KR20200138646A - Rrc 상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Rrc 상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646A
KR20200138646A KR1020197034365A KR20197034365A KR20200138646A KR 20200138646 A KR20200138646 A KR 20200138646A KR 1020197034365 A KR1020197034365 A KR 1020197034365A KR 20197034365 A KR20197034365 A KR 20197034365A KR 20200138646 A KR20200138646 A KR 20200138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rc
state
message
terminal devic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653B1 (ko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0998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1386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RC 상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를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Description

RRC 상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국제 표준 단체는 사람들이 서비스에 대한 속도, 지연, 고속 이동성, 에너지 효율의 추구, 및 미래의 생활 서비스의 다양성, 복잡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5 세대(5G, 5th 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5G 이동 통신 기술의 주요한 응용 장면은 강화형 이동 광대역(eMBB, Enhance Mobile Broadband), 저 지연 고 신뢰 통신(URLLC,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이다.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에어 포트 시그널링을 줄이고 무선 연결을 신속하게 복구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해, 새로운 RRC 상태, 즉 RRC 비활성화(RRC_INACTIVE) 상태가 정의된다. 이 상태는 RRC 아이들(RRC_IDLE) 상태 및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와 부동하다.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가 RRC_INACTIVE 상태에 있을 때, 네트워크 측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의 페이징 영역을 구성하고, 해당 RAN 페이징 영역은 하나의 셀 또는 복수의 셀일 수 있다. UE가 해당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네트워크 측에 통지하지 않고, 아이들(idle)에서의 이동성 거동, 즉 셀 선택 또는 재 선택 규칙에 따른다. UE가 RAN 구성의 페이징 영역에서 기타 영역으로 이동하면, UE는 RRC 연결을 복구하도록 트리거되고, RAN 구성의 페이징 영역을 다시 취득한다. UE에 하향 데이터가 도착하면, UE를 위해 RAN과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는 기지국(예 gNB)은 RAN 페이징 영역 내의 모든 셀이 페이징 메시지를 UE로 전송하도록 트리거하고, INACTIVCE 상태의 UE가 RRC 연결을 복구하고, 데이터 수신을 진행한다.
따라서, UE가 INACTIVE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진입하는 것은 다음의 세 가지 경우가 있다.
첫째, UE에 하향 데이터가 도착되면, 네트워크 측이 RAN 측의 페이징을 시작하고, UE가 연결 상태로 진입한다.
둘째, UE가 주기적 RAN 위치 업데이트 또는 교차 영역 위치 업데이트와 같은 RAN 위치 영역 업데이트를 스스로 시작한다.
셋째, UE가 상향 데이터 송신할 요구가 있으면, UE는 연결 상태로 진입한다.
현재 네트워크 측의 UE의 RRC 상태의 제어는 유연성이 결여되고, 관리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RRC 상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로컬에 기억된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불연속 수신주기(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로컬에 기억된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장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RRC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해당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UE가 RRC 연결 복구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측에 의해 단말기의 타겟 RRC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단말기의 RRC 상태의 전환 과정에 대한 제어를 실현하였다. 또한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협상하고, RRC 상태의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목적을 달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RRC 연결 복구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4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 1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 2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첨부 도면은 단기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주로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응용되는데,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유형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도 응용 가능하다.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요 응용 장면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 eMBB 장면: eMBB는 사용자가 멀티 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및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타겟으로 하고, 그 서비스 수요가 매우 빠르게 증가한다. eMBB는 실내, 시구, 농촌 등 부동한 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서비스 능력과 수요의 차이도 비교적 크기 때문에, 구체적인 배치 장면에 맞추어 서비스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
2) URLLC 장면: URLLC의 전형적인 용도는 산업 자동화, 전기 자동화, 원격 의료 조작, 교통 안전 보장 등을 포함한다.
3) mMTC 장면: URLLC의 전형적인 특징은 높은 연결 밀도, 적은 데이터 량, 지연에 둔감한 서비스, 모듈의 낮은 비용과 긴 사용 수명 등을 포함한다.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3 가지 RRC 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1) RRC_IDLE 상태: 이동성은 UE에 의한 셀 재선택이며, 페이징은 CN에 의해 시작되고, 페이징 영역은 CN에 의해 구성된다. 기지국 측에 UE AS 컨텍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RRC 연결은 존재하지 않는다.
2) RRC_CONNECTED 상태: RRC 연결이 존재하고, 기지국과 UE는 UE AS 컨텍스트가 존재한다. 네트워크 측은 UE의 위치가 특정 셀 레벨인 것을 알게 된다. 이동성은 네트워크 측 제어의 이동성이다. UE와 기지국 사이에서 유니 캐스트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3) RRC_INACTIVE 상태: 이동성은 UE에 의한 셀 재선택 선택이며, CN과 RAN 사이에 연결이 존재하고, UE AS 컨텍스트는 일 기지국에 존재하고, 페이징은 RAN에 의해 티리거되고, RAN에 의한 페이징 영역은 RAN에 의해 관리되고, 네트워크 측은 UE의 위치가 RAN에 의한 페이징 영역 레벨인 것을 알게 된다.
도 1은 RRC 연결 복구 과정의 모식도이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RC 연결 복구 과정은 다음의 단계 101 내지 단계 107을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UE는 INACTIVE 상태에 있고, RRC 연결을 복구하려 한다.
단계 102에서, UE는 gNB에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다.
단계 103에서, gNB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UE에 송신한다.
단계 104에서, UE는 gNB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송신한다.
단계 105에서, gNB는 UE 컨텍스트 정보를 앵커 gNB(anchor gNB)에 요구한다.
단계 106에서, gNB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를 UE에 송신한다.
단계 107에서, UE는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로 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에서 UE가 RRC_CONNECTED 상태 RRC_INACTIVE 상태, RRC_IDLE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은 단계 201 내지 단계 203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 전화,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톱 등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5G에서의 gNB 등의 기지국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RRC 연결 복구 과정을 시작할 때, 먼저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한 후, 네트워크 측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제 1 RRC 메시지에 대응됨)을 MSG3에서 송신한다.
단계 202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203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로컬에 기억된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은 단계 301 내지 단계 308를 포함한다.
단계 301에서, UE는 INACTIVE 상태에 있고, RRC 연결을 복구하려한다.
단계 302에서, UE는 gNB에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다.
단계 303에서, gNB은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UE에 송신한다.
단계 304에서, UE는 gNB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송신한다.
gNB은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 내의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에 따라 UE의 이번 RRC 연결 복구 과정에서의 타겟 RRC 상태를 결정한다.
단계 305에서, gNB가 UE 컨텍스트 정보를 앵커 gNB(anchor gNB)에 요구한다.
단계 306에서, gNB는 UE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운반하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를 UE에 송신한다.
단계 307에서, UE는 지시에 따라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한다.
여기서, RRC_INACTIVE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RRC 연결 복구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지 않고, 네트워크 측이 UE가 RRC_INACTIVE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UE는 디폴트로 원래 기억된 RRC_INACTIVE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단계 308에서, UE는 gNB에 RRC 연결 복구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 Complete)를 송신한다.
여기서, UE는 단계 308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3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은 단계 401 내지 단계 407을 포함한다.
단계 401에서, UE는 INACTIVE 상태에 있고, RRC 연결을 복구하려한다.
단계 402에서, UE는 gNB에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다.
단계 403에서 gNB가 랜덤 액세스 응답(RAR, Random Access Response)을 UE에 송신한다.
단계 404에서, UE는 gNB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 Request)를 송신한다.
gNB은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 내의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에 따라, UE의 이번 RRC 연결 복구 과정에서의 타겟 RRC 상태를 결정한다.
단계 405에서, gNB가 UE 컨텍스트 정보를 앵커 gNB(anchor gNB)에 요구한다.
단계 406에서, gNB는 UE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운반하는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를 UE에 송신한다.
단계 407에서, UE는 지시에 따라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한다.
여기서, RRC_INACTIVE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RRC 연결 복구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지 않고, 동시에 네트워크 측이 UE가 RRC _ INACTIVE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UE는 디폴트로 원래 기억된 RRC _ INACTIVE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4이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은 단계 501 내지 단계 502를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단계 502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RRC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 1이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RC 상태의 제어 장치는 송신 유닛(601), 수신 유닛(602) 및 제어 유닛(603)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60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수신 유닛(602)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 유닛(603)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로컬에 기억된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도 6에 나타낸 RRC 상태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은 상기 RRC 상태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RRC 상태의 제어 장치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구체적인 논리 회로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RC 상태의 제어 장치의 구성도 2이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RC 상태의 제어 장치는 수신 유닛(701) 및 송신 유닛(702)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701)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702)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RRC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확정 유닛(70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이다.
도 7에 나타낸 RRC 상태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각 유닛의 구현 기능은 상기 RRC 상태의 제어 방법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RRC 상태의 제어 장치의 각 유닛의 기능은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구체적인 논리 회로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RRC 상태의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되여,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모든 또는 일부를 하나의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의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 매체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특정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RRC 상태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한 컴퓨터 기억 매체를 더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해당 컴퓨터 장치는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도면에는 하나만 표시됨) 프로세서(1002)(프로세서(10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1004) 및 통신 기능을 위한 전송 장치(10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상술한 전자 장치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100)는 도 8에 나타낸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도 8에 나타낸 구성과 부동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00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 모듈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기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1002)는 메모리(1004) 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즉, 상기 방법을 실현한다. 메모리(1004)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기억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비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등의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004)는 프로세서(1002)에 대해 원격으로 배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시예는 인터넷,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 장치(1006)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예는 컴퓨터 장치(100)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전송 장치(1006)는 기지국을 통해 기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어 인터넷과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 어댑터(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포함한다. 일례로, 전송 장치(1006)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넷과 통신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책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방법 및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타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 또한, 이상의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 기능의 구분으로서, 실제 구현에 있어서 기타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및 구성 요소를 조합하거나 기타 시스템에 통합하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되는 구성 요소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있다.
상기 분리된 부분으로서 기술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낸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산할 수도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에서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 유닛은 모두 하나의 제 2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은 각각 단독으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 개 이상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경이나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여야 한다.

Claims (27)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로컬에 기억된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8.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RRC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방법.
  14.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RRC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로컬에 기억된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이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로 진입된 후,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RRC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타겟 RRC 상태로 진입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RRC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타겟 RRC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가 RRC 비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RRC 메시지에 의해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RRC 비활성 상태에 대응되는 구성 정보는
    I-RNTI, RAN 통지 영역, RAN DRX 주기, 주기적 RAN 통지 영역 업데이트의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RC 메시지는 RRC 연결 복구 메시지, RRC 연결 해제 메시지 또는 새롭게 정의된 RRC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RC 메시지에 의해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RRC 연결 복구의 원인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연결 복구 과정에서 상기 타겟 RRC 상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RC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비활성 상태 또는 RRC 아이들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RC 상태의 제어 장치.
  27.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기억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해당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고, 또는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기억 매체.
KR1020197034365A 2018-04-02 2018-04-02 Rrc 상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08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81646 WO2019191884A1 (zh) 2018-04-02 2018-04-02 一种rrc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646A true KR20200138646A (ko) 2020-12-10
KR102508653B1 KR102508653B1 (ko) 2023-03-10

Family

ID=6809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365A KR102508653B1 (ko) 2018-04-02 2018-04-02 Rrc 상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1582828B2 (ko)
EP (2) EP3624549B1 (ko)
JP (1) JP7086110B2 (ko)
KR (1) KR102508653B1 (ko)
CN (2) CN111132380B (ko)
AU (1) AU2018417371A1 (ko)
BR (1) BR112019025619A2 (ko)
CA (1) CA3064490C (ko)
DK (1) DK3624549T3 (ko)
ES (1) ES2870589T3 (ko)
HU (1) HUE053590T2 (ko)
IL (1) IL270757B (ko)
MX (1) MX2019015474A (ko)
PH (1) PH12019502633A1 (ko)
PL (1) PL3624549T3 (ko)
PT (1) PT3624549T (ko)
RU (1) RU2762261C1 (ko)
TW (1) TW201943311A (ko)
WO (1) WO2019191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6683B (zh) * 2016-07-29 2019-08-3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无线系统区域管理的方法、终端及基站
PT3624549T (pt) 2018-04-02 2021-04-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s e dispositivos para controle de estado rrc
EP3791681B1 (en) 2018-05-07 2023-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uspending inactive when resuming and resuming inactive when suspending
EP4044759A4 (en) * 2019-11-07 2022-11-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RESTORATION METHOD AND DEVICE
WO2021207940A1 (zh) * 2020-04-14 2021-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CN113905452B (zh) * 2020-07-06 2023-08-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消息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4449623A (zh) * 2020-10-31 2022-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4449516A (zh) * 2020-11-05 2022-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2213963A1 (zh) * 2021-04-09 2022-10-1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CN115474242A (zh) * 2021-06-10 2022-12-1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455A (ko) * 2016-08-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rrc 운용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9698B2 (en) * 2012-01-18 2015-06-02 Mediatek Inc. Method of enhanced connection recovery and cell selection
EP2908507B1 (en) * 2012-10-09 2019-01-30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6233767A (zh) 2014-05-07 2016-12-14 Lg电子株式会社 终端执行的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小区覆盖范围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CN106686749A (zh) * 2015-11-06 2017-05-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rrc连接建立及其控制方法及装置
CN106961747A (zh) * 2016-01-12 2017-07-1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基站及配置连接恢复信息的方法、连接恢复的方法及装置
KR20170087054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연결 실패 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WO2017135676A1 (en) * 2016-02-02 2017-08-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with resume id for suspend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35779A1 (ko) * 2016-02-05 201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재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318176B (zh) * 2016-04-26 2022-12-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恢复标识的获取、发送方法及装置、ue、接入网设备
KR102016106B1 (ko) * 2016-05-03 2019-09-02 주식회사 케이티 연결 상태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CN107360561B (zh) * 2016-05-03 2020-09-11 株式会社Kt 改变连接状态的方法及其设备
US10187910B2 (en) * 2016-05-12 2019-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uming RRC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898894B (zh) * 2016-05-13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Rrc状态的控制方法和装置
CN107666692B (zh) * 2016-07-29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状态转移方法、用户终端和基站
WO2018056718A1 (ko) * 2016-09-23 2018-03-29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연결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6793170B (zh) * 2016-09-29 2019-03-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用户终端及数据的传输方法
US10952107B2 (en) * 2016-09-30 2021-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ss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CN106658758A (zh) * 2017-02-10 2017-05-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状态转换方法、状态保持方法、装置及用户设备
US10368334B2 (en) * 2017-03-17 2019-07-30 Ofinno Technologies, Llc Radio access network paging area configuration
US20190037635A1 (en) * 2017-07-28 2019-01-3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covering rrc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88459B1 (ko) * 2017-07-30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rrc 연결을 재개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61135A1 (en) * 2017-09-28 2019-04-04 Lenovo (Beijing) Limited EXECUTING A REPEAT REQUEST PROCESS
US11432209B2 (en) * 2017-11-13 2022-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UE context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90289661A1 (en) * 2018-03-16 2019-09-1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multiple radio resource control (rrc) procedur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T3624549T (pt) 2018-04-02 2021-04-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s e dispositivos para controle de estado rr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455A (ko) * 2016-08-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rrc 운용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3250* *
3GPP R3-17237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32380B (zh) 2021-03-05
JP7086110B2 (ja) 2022-06-17
RU2762261C1 (ru) 2021-12-17
WO2019191884A1 (zh) 2019-10-10
CA3064490A1 (en) 2019-10-10
US11582828B2 (en) 2023-02-14
DK3624549T3 (da) 2021-05-03
US20200084825A1 (en) 2020-03-12
EP3624549A1 (en) 2020-03-18
EP3840522B1 (en) 2023-06-28
KR102508653B1 (ko) 2023-03-10
PT3624549T (pt) 2021-04-30
HUE053590T2 (hu) 2021-07-28
PL3624549T3 (pl) 2021-11-02
EP3624549B1 (en) 2021-03-24
ES2870589T3 (es) 2021-10-27
CN111132380A (zh) 2020-05-08
PH12019502633A1 (en) 2020-06-08
MX2019015474A (es) 2020-02-19
JP2021520655A (ja) 2021-08-19
EP3624549A4 (en) 2020-07-29
IL270757B (en) 2022-08-01
AU2018417371A1 (en) 2019-12-12
EP3840522A1 (en) 2021-06-23
CA3064490C (en) 2023-08-15
BR112019025619A2 (pt) 2020-11-03
TW201943311A (zh) 2019-11-01
CN110612777A (zh) 2019-12-24
IL270757A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653B1 (ko) Rrc 상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700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RC connec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2659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RRC connec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210084496A1 (en) Apparatus for validity verification of network
US1135697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reliabtility of paging
US118824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ecurity algorith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