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018A - detect method - Google Patents

detect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018A
KR20200138018A KR1020200062008A KR20200062008A KR20200138018A KR 20200138018 A KR20200138018 A KR 20200138018A KR 1020200062008 A KR1020200062008 A KR 1020200062008A KR 20200062008 A KR20200062008 A KR 20200062008A KR 20200138018 A KR20200138018 A KR 2020013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formation
indicator
water outle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ublication of KR2020013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018A/en
Priority to KR102022001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9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 step of detecting the capacity of milk powd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tection method capable of giving peace of mind for stable temperature.

Description

검출방법{detect method}Detection method

액체의 온도를 맞추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다.It is a technique of how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a liquid.

가루는 희석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Flour is a technique for how and how to dilute.

분유 희석에 대한 기술이다. This is a technique for dilution of milk powder.

분유의 경우 차겁거나 또는 미지근한 물의 온도와 잘 희석되지 않은 경향(고온에 비해)이 있다.Formulas tend to be cold or lukewarm water and not well diluted (compared to high temperatures).

그래서 보편적으로 분유의 경우, 1차 고온에 희석하고, 이후에 2차에는 1차보다 저온을 희석하여 아기가 먹을 수 있는 온도를 맞추어 왔다.So, in the case of powdered milk, in general, in the case of powdered milk, it is diluted at the first high temperature, and afterwards, the low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is diluted to match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aby can eat.

그러나 아기가 먹을 수 있는 온도를 초보자인 아기의 부모가 맞추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However, it can be difficult for beginner babies' parents to set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aby can eat.

부모입장에서는 아기가 분유를 먹지 않으면, 아기가 먹는 분유의 온도에 영향이 있지 않나 고민하지만, 분유를 먹일 때 마다 그 온도를 일정하게 맞추거나, 또는 일정한 온도를 변경하여 어떤 온도에서 아기가 분유를 잘 먹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DATA를 알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Parents are concerned that if the baby does not eat formula, the temperature of the baby’s formula will be affected. However, each time the baby is fed formula, the temperature is adjusted to a certain temperature, or the temperature is changed so that the baby can prepare the formula. There was no way to know objective data on whether to eat well.

그리고 아기에게 맞는 온도로 분류의 온도를 맞추려고 해도, 그 온도를 맞추는 것을 사람이 하게됨으로 정확한 온도를 맞추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했다. 이는 실수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And even if you try to match the temperature of the classification to the temperature that suits your baby, it was difficult or impossible to set the correct temperature because humans do it. This is because mistakes can also be made.

야외에서 고온의 보온병을 가지고 가루를 희석할 경우, 고온의 보온병에 있는 온도는 처음에는 고온이지만, 시간에 따라서 온도가 점차 내려가며, 희석되는 저온의 경우에 일반 생수 또는 시중에서 구매되는 생수를 넣을 경우에, 생수 등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When diluting the powder with a high-temperature thermos outdoors, the temperature in the high-temperature thermos is high at first, but th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and in the case of low-temperature dilution, you can use ordinary mineral water or commercially available mineral water. In some cases, the temperature of bottled water or the like may not be constant.

그래서 이러한 온도에 맞춰 가루를 희석할 경우 적절한 온도를 맞추는 것이 어려웠다.So, when diluting the powder to this temperature, it was difficult to set the proper temperature.

아기의 분유등에 대한 DATA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으며, 이것으로 아기의 분유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웠다. There was no way to store data on baby's formula, etc., and this made it difficult to systematically manage baby's milk powder.

예를 들어 아기가 3시간마다 100Ml를 먹는데, 어떤 아기는 3시간마다 80mL를 먹는 등. 그날 또는 그 달에 총 먹는 분유의 량을 인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For example, babies eat 100 ml every 3 hours, some babies eat 80 ml every 3 hours, etc. In some cases, you may not be aware of the total amount of formula you eat that day or month.

또는 이를 수기로 자연인이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왔다.Or, there has been a hassle of having to write it by hand by a natural person.

또한 쌍둥이의 경우, 각각 3시간씩 먹여야 하지만, 누가 어떻게 먹었는지에 대해서 미리 체크하거나 별도의 수기 작성을 하지 않은 경우, 자연인의 기억에 의존할 경우, 더 먹이거나 빼서 먹이는 실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이를 기록하거나 수기로 적는 자연인의 정신적이 스트레스가 있어왔다. In the case of twins, they should be fed for 3 hours each, but there may be mistakes in feeding or subtracting more or feeding more, if you do not check who ate and how or did not write a separate handwriting, rely on the memory of a natural person, etc. The mental stress of the natural person who writes it or writes it down by hand has been stressed.

또한 희석된 분유량을 실제로 적은 data를 저장하는 방법이 없어서, 아기가 실제적으로 얼마나 먹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In addition, there was no way to store data on the actual amount of diluted milk powder, so there was no way to know how much information the baby actually ate.

어떤 경우 아기의 분유의 양을 늘리거나 줄이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때 희석되는 물의 량은 동일할 수 있다. 이유는 아기가 배탈이 나거나, 변비일 경우 분유의 양 또는 농도를 줄이거나 늘리는 방식으로 아기에게 먹이는 희석된 액체량과 이에 맞는 온도를 맞출 방법이 없었다.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r decrease the amount of infant formula, and the amount of water to be diluted may be the same. The reason is that if the baby has an upset stomach or constipation, there is no way to adjust the amount of diluted liquid fed to the baby and the appropriate temperature by reducing or increasing the amount or concentration of formula.

기술을 이루고하는 배경Background to achieve technology

가루와 희석되는 액체의 온도를 자연인에게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We need a way to know the temperature of the powder and the liquid to be diluted to a natural person,

최종 희석되는 온도를 자연인이 예측하거나, 또는 원하는 희석온도로 출수할 수 있는 액체의 용량을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allows natural persons to predict the final dilution temperature, or to recognize the volume of liquid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desired dilution temperature.

또한 야외에서 또는 전기가 없이 보온되는 액체의 온도를 인지하고, 이를 근거로 출수되는 액체의 정보와 가루와 희석되는 액체의 최종 온도를 맞출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필요하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to be warmed outdoors or without electricity, and matching the final temperature of the powder and the liquid to be diluted with information on the discharged liquid based on this.

희석된 후의 온도를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You need a way to know the temperature after dilution.

아기의 실제 먹은 분유량을 알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필요하다.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ay to know how much milk a baby has actually eaten.

아기의 상태에 따라서 희석되는 농도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Depending on the baby's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lution concentration.

분유등 희석되기 위해서 출수되는 액체들의 용량을 인지하거나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In order to be diluted, such as powdered milk,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recognizing or confirming the volume of liquids discharge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To solve the above problems

가루와 희석되는 액체의 온도를 자연인에게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We need a way to know the temperature of the powder and the liquid to be diluted to a natural person,

최종 희석되는 온도를 자연인이 예측하거나, 또는 원하는 희석온도로 출수할 수 있는 액체의 용량을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allows natural persons to predict the final dilution temperature, or to recognize the volume of liquid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desired dilution temperature.

또한 야외에서 또는 전기가 없이 보온되는 액체의 온도를 인지하고, 이를 근거로 출수되는 액체의 정보와 가루와 희석되는 액체의 최종 온도를 맞출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필요하다.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to be warmed outdoors or without electricity, and matching the final temperature of the powder and the liquid to be diluted with information on the discharged liquid based on this.

희석된 후의 온도를 알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You need a way to know the temperature after dilution.

아기의 실제 먹은 분유량을 알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필요하다.There is a need to provide a way to know how much milk a baby has actually eaten.

아기의 상태에 따라서 희석되는 농도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Depending on the baby's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lution concentration.

분유등 희석되기 위해서 출수되는 액체들의 용량을 인지하거나 또는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In order to be diluted, such as powdered milk,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recognizing or confirming the volume of liquids discharged.

예상되는 온도와 희석되는 양을 검출한다.Detect expected temperature and amount to be diluted.

희석되는 온도를 맞출수 있기 때문에, 희석되는 온도를 맞추기 위해서 고민되는 자연인의 스트레스가 줄어 들것을 예상된다.Since it is possible to match the temperature to be diluted, it is expected that the stress of the natural person who is troubled by the temperature to be diluted will be reduced.

희석된 온도가 일정하여, 이를 먹는 자연인에게 안정적인 온도에 대한 안심감을 심어줄수가 있다.Since the diluted temperature is constant, it can give the natural person who eats it a sense of security about a stable temperature.

분유등의 가루에 대해서 희석되는 제1 출수정보로 제대로 희석된 후 제2 출수정보로 아기에게 먹일 분유의 최종온도를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아기에게 먹이는 희석된 액체를 안심하게 먹을 수 있다.After properly dilution with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diluted for powders such as milk powder, the final temperature of the milk powder to be fed to the baby can be adjusted with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so you can safely eat the diluted liquid to feed your baby.

희석되는 최종적인 온도에 맞춰 표시되는 표시기를 확인함으로써 감각적으로 인지하여 조절하여 휘석했던 고온 또는 저온의 출수정보를 미리 인지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게된다.By checking the displayed indicator according to the final temperature to be diluted, it is convenient to recognize and adjust the information on the hot or cold water outflow that has been abraded in advance.

야외에서 또는 이미 끓여놓은 물의 온도가 변하더라도, 센서로 표시된 온도를 근거로하는 희석되는 출수량이 표시기에 표시됨으로 인해서, 아기에게 적당한 온도로 먹일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다.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at has already been boiled or outdoors is changed, the amount of water to be dilut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dicated by the sensor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feeding the baby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아기가 먹는 분유량에 대한 정보의 기억이 data로 저장이 가능하여, 아기의 일, 월, 년 단위의 분유 섭취량을 인지할 수 있는 정보의 습득이 가능하다.The memory of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milk a baby eats can be stored as data, so it is possible to acquire information that can recognize the baby's milk powder intake in units of days, months, and years.

도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도에 따른 도면이다.
도2와 도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따른 블록도이다.
도4,5,6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실시도이다.
1 is a vie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block diagrams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4, 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어떤 장치와 다른 장치의 연동, 전송, 전달, 송신, 수신된다는 내용에는 어떤 장치와 다른 장치 사이에 또 다른 제3의 장치를 통하여 행해진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고, 또는 그렇게 본 발명에 적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hat a device and another device interlock, transmit, transmit, transmit, or receive may be interpreted as implying that it is performed between a device and another device through another third device, or Thus, it can be interpreted by apply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하나의 장치와 다른 장치와의 송신등의 설명을 했을 때 그 사이에 제3의 장치가 이를 단순 전달 또는 가공하여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when a description such as transmission between one device and another device is described, a third device can simply transmit or process it and transmit it between them.

또한 본발명에서 단순히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다른 구성에 해당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포함하여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be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content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further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n other configuration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설정용량이 설정되는 단계; 및 희석온도가 설정되는 단계;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at least one set capacity; And setting a dilution temperature.

제 2차 온도의 제 2차의 출수정보와 희석시 희석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설정용량에 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차 온도에 해당하는 제1차 출수정보가 추출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에서 출수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도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Extracting or displaying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of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irst temperature for reaching the set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dilution temperature during dilution; It provides a method of extracting water outlet information from an extraction device or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적어도 하나의 설정용량(6)을 설정할 수 있도록 표시기(7-1)를 포함하는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A device including the indicator 7-1 can be configured so that at least one set capacity 6 can be set.

상기 설정용량(6)은 제1 출수정보(4-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출수정보(5)의 합으로 구성된 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t capacity 6 may be composed of a capacity consisting of the sum o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and at least on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상기 설정용량(6)를 구성하기 위한 용량들의 합은 가루(또는 분유)등의 제3의 혼합물에 대한 용량 등의 영향을 반영하여 오차 등이 발생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um of the capacities for constituting the set capacity 6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error may occur b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he capacity on the third mixture such as powder (or milk powder).

상기 오차는 분유회사와 또는 별도의 실험결과물(DB, DATA등), 또는 별도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기 설정된 값으로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rror is reflected as a preset value by at least one of the milk powder companies, separate experimental results (DB, DATA, etc.), or separately stored information.

이것은 설정용량(6)이 100mL라고 하더라도, 이를 구성하는 용량(제1 출수정보 등)이 50mL, 40mL(제2 출수정보 등)로 구성되어 90mL라고만 표시되더라도, 이때의 50mL와 40mL는 설정용량(6)의 100mL라고 표시될 수도 있다. This means that even if the set volume (6) is 100 mL, the volume constituting it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etc.) is composed of 50 mL and 40 mL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etc.), and only 90 mL is displayed.At this time, 50 mL and 40 mL are the set volumes ( It may also be labeled as 100 mL of 6).

이것은 희석되는 가루 또는 액체의 용량이 희석시 포함되는 것을 감안한 값을 반영하여 상기 제1 출수정보(6) 또는 제2 출수정보(5)의 용량이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capacity o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6 or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can be set by reflecting a value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volume of the powder or liquid to be diluted is included during dilution.

이것은 상기 표시되는 용량이 제1 또는 제2 출수정보의합으로만 구성된다고만 해석해서는 안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displayed capacity may not be interpreted solely as consisting only of the sum of the first or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용량(6)의 설정이 바뀔 때 마다, 희석되는 가루 또는 액체의 량이 가상으로 정해지고, 이때 정해진 가상의 가루 또는 액체의 용량을 반영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들의 용량이 설정될 수도 있다. Preferably, whenever the setting of the set capacity 6 is changed, the amount of powder or liquid to be diluted is virtually determined, and at this time, the capacity o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reflecting the determined virtual powder or liquid volume It can also be set.

바람직하게 상기 가루 또는 액체의 용량은 상기 설정용량(6)의 값에 따라서 각각 변경된 정보 값을 갖도록 미리 저장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설정용량(6)이 선택될 때마다, 다른 용량 값으로 상기 제1 출수정보 또는 상기 제2 출수정보의 값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volume of the powder or liquid is configured to be stored in advance so as to have each changed information valu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set volume 6, so that each time each set volume 6 is selected, a different volume value It may be configured to be reflected in the value of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설정용량(6)을 설정할 때, 상기 가루 또는 액체의 용량을 표시하는 1숟가락, 2숟가락과 같은 가루의 용량 값이 같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when setting the set capacity 6, the capacity value of the powder such as 1 spoon and 2 spoons indicating the capacity of the powder or liquid may be displayed together.

여기서 상기 1숟가락 또는 2숟가락은 20mL, 40mL와 같은 가루 또는 액체의 용량 값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1 spoon or 2 spoon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capacity value of the powder or liquid such as 20 mL and 40 mL.

이것은 상기 1숟가락이 정량화된 또는 계량된 숟가락으로 액체의 용량을 암시할 수도 있기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1 spoon may imply the volume of the liquid as a quantified or metered spoon.

이것은 상기 표시되는 설정용량은 액체의 용량을 암시할 수 있거나, 이를 표시기와 연동된 제어모듈에서 인지(또는 추출)할 수 있다면, 이것은 어떠한 형태로 표시가 되었든 설정용량이라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if the displayed set capacity can imply the capacity of the liquid, or if it can be recognized (or extracted) from the contro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it is preferable to be interpreted as the set capacity no matter what form is displayed.

또한 이것은 상기 설정용량의 값을 설정할 때마다, 희석되는 적용한 가루 또는 액체의 용량을 상기 표시기(7)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is means that whenever the value of the set capacity is set, the capacity of the applied powder or liquid to be diluted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on the indicator 7.

여기서 상기 설정용량의 값에 따라서 희석되는 용량값의 표시는 상기 다른 옵션값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display of the capacity value dilut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set capacity may be configured to be changed by the other option value.

분유를 예를 들어, 아기의 변이 설사증상이거나, 또는 변비 증상일 경우,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희석되는 가루 또는 액체의 량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러한 옵션에 의해서 상기 희석되는 액체 량의 값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baby's stools are diarrhea symptoms or constipation symptoms, it may be configured to reduce or increase the amount of the diluted powder or liquid to control it.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value of the liquid amount is displayed differently.

이때 상기 메뉴에 표시되는 설사증상 또는 변비 증상은 상기 희석되는 가루 또는 액체의 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암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기(7-1)에 표시되는 설정용량(6), 제1 출수정보(4-2), 제2 출수정보(5) 중 적어도 하나의 용량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ymptoms of diarrhea or constipation displayed on the menu may imply that the amount of the powder or liquid to be diluted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set dose 6 displayed on the indicator 7-1 ,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apacity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바람직하게 가루 또는 액체의 량을 증가시킬 경우, 설정용량의 값은 이미 선택된 용량의 값을 표시하고, 상기 설정용량에 희석되는 용량을 반영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가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Preferably, when the amount of powder or liquid is increased, the value of the set capacity displays the value of the already selected capacity, and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reflecting the volume diluted to the set capacity is changed and displayed. It could be.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기에 표시되는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를 바로 출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기(7)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Preferably, when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dicator are configured so that water can be directly watered out, at least one of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not to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

여기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의 값은 상기 표시기(7)에서 표시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선택되거나, 또는 암시하는 선택을 한 경우, 이러한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옵션이 자동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변경된 정보의 용량 값을 반영한 정보를, 표시기와 연동된 메모리로부터 전달받아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value of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is selected by a predetermined menu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or when an implicit selection is made, the option is automatically changed by this predetermined menu, Alternatively, information reflecting the capacity value of the chang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displayed from a memory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이것은 상기 표시기에 상기 희석되는 가루 또는 액체의 용량 값, 제1 출수정보, 제2 출수정보 중 적어도 하 하나의 값이 변동될 수 있는 옵션에 영향을 제공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rovides a predetermined menu to the indicator so that at least one of the volume value of the powder or liquid to be diluted,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can be changed. It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본 발명에서 소정의 메뉴는 상기 표시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표시기와 연동된 제어모듈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뉴라고 해석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여기서 입력장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스위치에 의해서 상기 옵션이 변경된다면 상기 스위치 또는 상기 스위치와 표시기, 또는 상기 스위치와 제어모듈과 표시기 자체가 하나의 소정의 메뉴가 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menu may be composed of the indicator, or may be interpreted as a predetermined menu including an input device of a contro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In this case, the input device may be composed of a switch. If the option is changed by a switch, the switch, the switch and the indicator, or the switch and the control module and the indicator itself may be a predetermined menu.)

이것은 상기 아기의 상태에 대한 소정의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희석되는 가루(또는 분유) 또는 액체에 의해서 발생하는 용량 값, 제1 출수정보, 제2 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용량 값, 제1 출수정보, 제2 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This displays a predetermined menu for the condition of the baby, and when the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at least one of a volume value generated by the diluted powder (or milk powder) or liquid,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and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One is configured to be chang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at least one of the capacity value,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change.

여기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희석되는 가루 또는 액체의 수량의 유추가 가능한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수량에 해당하는 설정정보의 용량이 선택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a menu in which the quantity of the diluted powder or liquid can be inferred is selected, a capacity of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is selected.

이것은 상기 4숟가락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4숟가락에 해당하는 80mL라는 설정용량이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이를 인지하고 상기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를 상기 표시기(7-1)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is is configured so that when the 4 spoons are selected, a set capacity of 80 mL corresponding to the 4 spoons is automatically selected, or recognized and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7-1. You may.

상기 표시기(7)은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cator 7 is configured a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keypad.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LED, LCD와 같은 빛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을 포함하고, 이러한 빛으로 인해서 상기 설정용량을 암시 또는 인지할 수 있다면, 이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로고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f the display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that generates light such as an LED or LCD, and the set capacity can be implied or recognized by such light, it is preferably interpreted as a display device.

여기서 디스플레이(7)은 터치 모니터로된 키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 모바일, 터치형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display 7 may include a keypad as a touch monitor, and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mobile device, a touch-type display, and a monitor.

여기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아기의 상태에 대한 소정의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상기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가 변경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분유량이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메뉴는 아기가 설사 또는 변비와 같은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ndicato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menu for the state of the baby, and to change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menu, or to change the amount of milk powder.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menu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baby can display an image such as diarrhea or constipation and select the image.

이때 상기 상태에 따라서 상기 분유량의 용량이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apacity of the milk powde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또는 상기 변비와 같은 이미지가 아니더라도, 상기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소정의 메뉴의 일부를 선택했을 때 상기 분유량이 변화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even if the image is not the same as the constip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amount of milk powder when the displayed image or part of a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의 메뉴를 선택할 때 상기 분유량등에 대한 가루가 변동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분유량의 가루는 동일하고, 상기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가 바뀌어 분류가 희석되는 비율을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Preferably, when the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the powder for the milk powder is changed, but the powder for the milk powder is the same, and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is changed to adjust the ratio at which the classification is diluted. You may.

이는 상기 소정의 메뉴에 따라서 ??석되는 가루의 농도를 변동할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 menu capable of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powder to be ston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menu.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설정용량이 설정되면, 희석온도가 설정되거나, 희석온도(또는 제3 온도)가 추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at least one set capacity is set, a dilution temperature may be set or a dilution temperature (or a third temperature) may be extracted.

설정용량이 설정되면, 상기 표시기(7-1)에 희석온도(3)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희석온도(3)를 변경 또는 수정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희석온도(3)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set capacity is set, the dilution temperature (3)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indicator (7-1), or the dilution temperature (3) is set by a predetermined menu that can change or modify the dilution temperature (3).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change.

이때 변경되는 희석온도(3)에 따라서, 상기 제1 출수정보(4-2) 또는 제2 출수정보(5)의 용량 값이 변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acity value o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or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dilution temperature 3.

바람직하게 희석온도(3)을 증가하도록 설정하면, 제1 출수정보(4-2)는 증가하고, 제2 출수정보(5)는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if the dilution temperature 3 is set to increase,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increases,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decreases.

여기서 희석온도(3)은 자연인이 선택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여, 자연인이 원하는 희석온도(3)를 선택할 수 있다. Here, the dilution temperature 3 provides a predetermined menu so that the natural person can select it, so that the natural person can select the desired dilution temperature 3.

여기서 희석온도(3)는 상기 제1 온도(1)와 제2 온도(2)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온도(1)과 제2 온도(2)에 해당하는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가 희석되었을 때에 대한 제 3온도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ilution temperature (3) is the extrac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1) and the second temperature (2),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mperature (1) and the second temperature (2) It is preferable to be interpreted as the third temperature for when is diluted.

희석온도(3)가 설정되거나, 추출되면 상기 제1 온도(1)를 추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 온도(1)과 제2 온도(2)가 희석될 경우, 상기 희석온도(3)이 되는 가상의 제1 출수정보(4-2)와 제2 출수정보(5)를 추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dilution temperature (3) is set or extracted, the first temperature (1) is extracted, and when the first temperature (1) and the second temperature (2) are diluted, the dilution temperature (3) is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virtual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이때 미리 실험된 값 또는 데이터 또는 수식에 의해서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가 희석될 경우, 설정용량이 상기 희석온도(3)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기(7-1) 또는 상기 표시기(7-1)와 연동된 메모리(또는 서버, 또는 다른 연동된 장치의 메모리)에서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are diluted by a previously tested value, data, or formula, the indicator 7-1 or the indicator 7 is set so that the dilution temperature 3 can be extracted. -1) I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extract from the memory (or the memory of the server or other linked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온도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고, 자연인이 상기 표시기(4-2)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표시기(4-2) 또는 상기 표시기(4-2)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기 일수도 있다.)가 임의의 제2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temperature does not actually exist and may be configured so that a natural person can select and input arbitrarily by a predetermined menu provided by the indicator 4-2, or the indicator 4-2 or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dicator 4-2 (may be a controller including a control module) may be configured to set an arbitrary second temperature.

또는 제2 온도는 실온 또는 주변 공기의 온도를 반영한 가상의 제 m온도로 추출하거나,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extracted as room temperature or a virtual m-th temperature refl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air, or may be arbitrarily set.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온도는 제1 액체용기(10)의 내부 온도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액체용기(10)와 다른 제2 액체용기(11)의 내부 온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first temperature mean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different from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It could mean.

여기서 상기 제1 온도 및 제2온도는 상기 액체용기(10)의 표면 또는 내부에 장착된 별도의 제1센서(8) 또는 제2 센서(9)로부터 측정되어 검출된 온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as temperatures measured and detected by a separate first sensor 8 or a second sensor 9 mounted o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liquid container 10.

여기서 상기 표시기(7)와 연동된 센서(8)로부터 측정된 제1 온도를 추출할 수 있도록 추출모듈(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extraction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measured first temperature from the sensor 8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여기서 추출모듈은 상기 센서(8, 34)로부터 추출된 온도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모듈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xtraction module is preferably interpreted as a module for extracting temperatur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ensors 8 and 34.

상기 센서(8)은 상기 제1액체용기(8)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제1 액체용기(10)의 외부의 온도값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일 수도 있고, 도5에서와 같이 제1 액체용기(9)의 내부에 위치하여, 내부 액체(27)를 무선(적외선과 같은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온도 무선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모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nsor 8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8, or may be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n external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as shown in FIG. 1 Located inside the liquid container 9, it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rnal liquid 27 wirelessly (a sensor module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wirelessly in the same manner as in infrared rays).

또한 상기 온도센서(8)은 상기 제1 액체용기(10)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8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액체용기는 금속으로 된 용기이고, 금속으로 된 내부용기와 금속을 보온하도록 구성된 다른 제 3의 물체로 내부용기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으로 구성된 내부용기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가 접촉되도록 구성하고, 제1 센서로부터 검출된 제1 온도에 해당하는 신호를 받아서 표시할 수 있는 표시기, 또는 표시기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first liquid container is a metal container, and may be configured to enclose the inner container with a metal inner container and another third object configured to keep the metal warm. At this time, the inner container made of metal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 firs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and an indicator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mperature detected from the first sensor, or an indicator for transmitting to the indicator It may be configured as a wireless module.

여기서 무선 모듈은 NFC, RF 중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wireless module may be composed of one of NFC and RF.

이때 외부를 감싸는 제3의 물체는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내부의 금속용기에 닿도록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third object surrounding the outside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device so that the first sensor contacts the inner metal container.

이것은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내부금속에 닿도록 구성되고, 금속의 외부인 제3의 물체는 상기 제1 센서가 내부 금속에 더 밀착하도록 하면서, 착탈이 가능한 표시기를 포함하는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한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is is a combina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a device including a detachable indicator while the first sensor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metal, and a third object that is outside of the metal makes the first sensor mo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metal. It can also be configured with hardware including wealth.

이것은 상기 금속으로 된 내부용기를 보온하기 위한 제3의 물체의 일부를 개봉(또는 공간을 만들어 제1 센서가 닿도록 구성함)하여 내부에 있는 상기 내부의 금속으로 된 용기와 상기 제1 센서가 닿으면서, 제3의 물체를 대체하여 보온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is opens a part of the third object for insulating the metal inner container (or makes a space so that the first sensor touches) so that the inner metal container and the first sensor inside While touching, i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keep warm by replacing a third object.

여기서 상기 제 3의 물체는 사출물 또는 플라스틱(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재질)으로 된 물체가 될 수도 있다. Here, the third object may be an injection-molded product or an object made of plastic (or a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다른 한편 상기 제1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로부터 제1 온도를 추출하고, 상기 다른 제2 온도에 대해서 가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2 액체용기(11)의 내부 온도는 제2 센서(9)로 부터 측정값을 추출하여 상기 표시기(7)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extracted from a firs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first temperatu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et virtually for the other second temperature. Preferably, the second tempera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by extracting a measured value from the second sensor 9.

그러나 상기 제2 센서(9)에서 반듯이 제2 온도를 추출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extract the second temperature from the second sensor 9.

이것은 자연인의 육감적으로 임의의 온도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선택 입력(표시기와연동된 제어모듈의 입력장치에서 선택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This may be configured to allow selection inpu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device of a control module linked to the indicator) so that a natural person's sensual temperature can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보통 냉장고에서 차거운 물을 산 경우 Z값의 온도, 일반적으로 더운 여름날 시원한 곳에 보관한 경우는 P값의 도 정도라는 것을 자연인이 살아온 경험으로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can be inferred from the experience of a natural person that it is about Z-value when cold water is bought from a refrigerator and generally P-value when stored in a cool place on a hot summer day.

또한 상기 표시기와 연동된 제어모듈에서 임의의 온도를 설정하거나, 또는 다른 센서 또는 다른 시스템의 서버등과 같은 장치로부터 전달 정보를 근거로하여 상기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arbitrary temperature may be set in a contro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or the temperature may be set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device such as another sensor or a server of another system.

다른 한편 제 2차 온도의 제 2차의 출수정보와 희석 시 희석온도에 해당하는 상기 설정용량에 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온도에 해당하는 제1차 출수정보가 추출(또는 출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of the second temperature and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irst temperature for reaching the set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dilution temperature during dilution are extracted (or configured to be watered out) Or it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상기 설정용량이 설정되고, 상기 제1 온도가 추출되면, 상기 설정용량(3)으로 희석되는 액체는 상기 제3온도(또는 희석온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set capacity is set and the first temperature is extracted, the liquid diluted with the set capacity 3 may be configured to become the third temperature (or dilution temperature).

상기 표시기(7)과 연동된 제어모듈에서는 상기 설정용량(3)의 선택입력 받은 정보를 근거로 기 확정되어 있거나, 또는 자연인이 선택 입력한 제 3온도가 되도록, 제1 온도와 제2 온도를 갖는 제1 출수정보(4)와 제2 출수정보(5)의 액체 용량 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are set to be a third temperature that has been previously determined based on the selected input information of the set capacity (3) or that a natural person has selected and input. It can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liquid volume value o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having.

여기서 상기 제 3온도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최소한 제1 온도의 값이 입력 또는 추출되고, 이를 근거로 가상의 제2 온도 또는 센서로부터 추출된 제2 온도를 근거로, 설정된 설정용량(6)에 희석되는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의 값을 기존 실험 데이터(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또는 수식들을 반영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Here, in order to become the third temperature, at least the value of the first temperature is input or extracted, and based on this, based on the virtual second temperature or the second temperature extracted from the sensor, it is diluted to the set set capacity (6). The values of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extracted by reflecting existing experimental data (o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r equations.

이때의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의 비율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실험 데이터 또는 수식으로만 이루어졌다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Since the ratio of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at this time can be extracted in various way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made only with experimental data or formula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용량을 가변이 가능하도록 표시기(7)에서 소정의 메뉴 또는 소정의 설정용량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모듈을 구성하고, 살기 설정모듈에 의해서 설정용량이 가변 되어 설정되면, Here, when a setting module capable of setting a predetermined menu or a predetermined setting capacity is configured in the display 7 so that the at least one setting capacity can be variable, and the setting capacity is changed and set by the living setting modu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출수정보와 희석되어 상기 설정용량으로 도달 시 상기 희석온도인 제 3온도가 될 수 있는 제1 출수정보가 추출되거나, 또는 추출된 제1 출수정보가 상기 표시기(7)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at least one second water supply information is diluted and reaches the set capacity, first water supply information that can be the third temperature, which is the dilution temperature, is extracted, or the extracted first water supp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It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여기서 설정모듈은 상기 표시기(7)과 연동된 제어모듈과 표시기(7)에 표시된 소정의 메뉴를 선택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또는 표시기의 터치모니터, 또는 제어모듈과 연동된 스위치등)를 포함한 모듈로 해석될 수도 있고, 상기 터치모니터 또는 스위차가 설정모듈이 될 수도 있다.Here, the setting module includes a contro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and an input device (or a touch monitor of the indicator or a switch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module) that can select and input a predetermined menu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It may be interpreted as a module, and the touch monitor or switcher may be a setting module.

다른 한편 상기 표시기 또는 표시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1차 출수정보(4)는 상기 제1 온도(1)의 값에 따라서, 에러표시 또는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 control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dicator or the indicator,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r not display an error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irst temperature 1.

이것은 상기 제1 출수정보에 해당하는 제1 온도가 상기 제3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제 3의 온도를 맞출 수 없다는 의미의 내용을 상기 표시기(7)에 소정의 메뉴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is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indicator 7 a predetermined menu indicating that the third temperature cannot be met when the firs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third temperature. have.

여기서 제1 액체용기는 이동이 가능한 보온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liquid container may be configured as a movable thermos.

보온병은 내부에는 금속이고 외부에는 금속을 보호하는 제3 물체로 보호되도록 구성되고 있어서 보온이 가능한 제 3물체일 수 있다.The thermos may be a third object capable of warming because it is configured to be protected by a metal inside and a third object protecting the metal outside.

이때 상기 보온병이 내부 금속재질에 제1 센서가 닿거나, 또는 내부에 보관중인 액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1 센서가 착탈(결합장치 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sensor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 combination device or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mbining and separating) so that the thermos can contact the internal metal material or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stored therein. have.

도5를 참조하면, 제1 액체용기의 덮개 또는 제1 액체용기의 물이 출수가 되는 곳의 위치에 무선으로 제1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8-1)이 부착되고, 상기 제1 센서(8-1)에서 측정된 온도의 값이 상기 덮개에 부착된 표시기(7-4)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a first sensor 8-1 capable of wirelessly measuring the first temperature is attached to the cover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or at a location where water from the first liquid container is discharged.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8-1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4 attached to the cover.

여기서 제2 액체용기는 제1 액체의 용기와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 액체용기는 제2 물체로 보온이 필요하지 않은 금속재질 또는 보온이 상관없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liquid container may be configured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tainer of the first liquid, but the second liquid container may be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that does not require heat insulation as a second object or a material that does not care about heat insulation. .

이것은 상기 제2 액체용기에 뜨거운 액체를 넣은 경우, 뜨거운 액체가 빠르게 식히게 되어야만, 상기 제3의 설정온도를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a hot liquid is put in the second liquid container, the third set temperature can be met only when the hot liquid is cooled down quickly.

이것은 상기 제2 액체용기는 제2 액체용기에 비해서 외부온도에 영향을 받아 더 빨리 식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i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liquid container cools faster than the second liquid container because it is affected by an external temperature.

이것은 상기 제1 액체용기와 제2 액체용기를 구성하는 재질이 일부가 상이하고, 상기 상이한 일부에 의해서 제2 액체용기의 액체가 제1 액체용기의 액체보다 외부의 온도(또는 실온)에 의해서 더 빠른 시점에 낮아지도록 구성된 재질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로 제1 온도 또는 제2 온도의 추출이 가능하다면, 이것은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한 제1 액체용기 또는 제2 액체용기라고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is becaus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liquid container and the second liquid container are partially different, and the liquid in the second liquid container is more than the liquid in the first liquid container due to the external temperature (or room temperature). If it is composed of a material configured to be lowered at a rapid time, and extrac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or the second temperature is possible with at least one first sensor or the second sensor, this is the first liquid container or the second liquid fo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be interpreted as a container.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기(7)에서는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를 추출하였을 때, 제3 온도로의 희석이 불가능(제3온도로 맞출 수 없는 경우)할 경우, 제2 온도에 해당하는 제2 출수정보 또는 제1 출수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Preferably, in the indicator 7 when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are extracted, if dilution to the third temperature is impossible (if it cannot be adjusted to the third temperature), the second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mperature is It may be configured not to display the water outlet information or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제1 온도가 제 3온도보다 높고, 제 2온도가 제3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표시기(7)은 상기 제2 온도에 해당하는 제2 출수정보가 아닌, 다른 제2 출수정보를 희석하라는 요구가 표시되도록 소정의 메뉴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예로 상기 표시기(7)의 소정의 메뉴에 제2 출수정보로 생수가 표시되도록 하고, 평균적인 또는 기 프로그램 된 절차에 해당하는 온도(또는 가상의 온도)를 표시하도록 구성한 후, 상기 온도를 반영한 제2 출수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Here, when the firs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hird temperature and the secon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hird temperature, the indicator 7 dilutes other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other than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mperature. It can be configured with a predetermined menu so that the request to be displayed is displayed. For example, after configuring to display bottled water as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menu of the indicator 7 and to display the temperature (or virtual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 average or pre-programmed procedure, the temperature is reflected.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제1 온도는 반듯이 제1 센서에서 추출된 온도라고 해석해서는 안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temperature may not necessarily be interpreted as a temperature extracted from the first sensor.

경우에 따라서 제1 센서의 온도가 낮고, 제2 센서의 온도가 높은 경우, 제2 센서의 온도를 제1 온도로 판단하거나, 제2 센서의 온도가 제1 온도라고 인지한 후 제 3온도로 상기 설정용량(6)이 되도록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를 추출(또는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sensor is low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ensor is high,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ensor is determined as the first temperature, or after recognizing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sensor is the firs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s set to a third temperature. It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or calculate)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to be the set capacity 6.

이것은 상기 제1 액체용기와 제2 액체용기가 적어도 N개 이상 존재할 수 있고, 이때 N개중 상기 표시기와 연동된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3 온도로 희석되는 설정용량을 맞추기 위해서, 적용한 온도를 갖는 N개의 액체용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re may be at least N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and the second liquid container, and at this time, in order to match the set capacity diluted to the third temperature in the contro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among the N At least one of the liquid containers may be selected and displayed.

여기서 상기 N개의 액체용기가 존재하고, 상기 설정용량이 설정되면, N개의 액체용기 중 희석되어야 하는 액체용기에 설치된 각각의 표시기(7)에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가 표시되록 구성할 수 있다. Here, when the N number of liquid containers exist and the set capacity is set, each indicator 7 installed in the liquid container to be diluted among the N number of liquid containers is configured to display first and second water out information. I can.

이것은 상기 설정용량이 설정되면, 여러 (N)개의 액체용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의미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기(7)에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로 표시되도록 구성하고, 자연인은 표시된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를 의미하는 정보를 근거로 찾아서 설정요량으로 되도록 희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at least one or at least two or more of a plurality of (N) liquid containers as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or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in the indicator 7 when the set capacity is set, The natural person can find it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means the displayed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and dilute it to a set amount.

다른 한편 본 발명은 휴대용 보온병과 같은 액체용기에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도4를 참조하면, 제1 온도는 정수기의 온수온도이고, 제2 온도는 정수기의 냉수, 정수, 저온온수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only to a liquid container such as a portable thermos, and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temperature is the hot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low temperature hot water of the water purifier. have.

이것은 정수기와 표시기(7)를 연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표시기(7-2)에 표시되는 설정용량(6)으로 정수기(12)의 온수와 냉수의 혼합 용량을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is means that the water purifier and the indicator 7 can be interlocked, and the mixing capacity of the hot water and cold water of the water purifier 12 can be displayed with the set capacity 6 displayed on the indicator 7-2. .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는 제1 온도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온수보다 낮은 냉수/정수와 같은 액체는 제2 온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temperature is composed of a first temperature, and a liquid such as cold water/purified water lower than the first hot wat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econd temperature.

상기 정수기(12)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7)가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무선단말기와 같은 모바일로 구성된 표시기(7-3)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dicator 7 may be attached to the water purifier 12, or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7-3 mad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wireless terminal.

자연인이 설정용량(6)를 설정하면, 상기 온수노즐(13)에 해당하는 제1 온도와 제1 온도와 다른 제2 온도에 해당하는 정수노즐(또는 냉수노즐)등에 해당하는 제2 출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When a natural person sets the set capacity (6), the firs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hot water nozzle 13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nozzle (or cold water nozzle) corresponding to a second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e first temperature are stored. Can be extracted.

여기서 상기 표시기(7)에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용량(6)만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only at least one set capacity 6 can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이것은 단순히 led 1개가 표시되면 80mL , 2개가 표시되면 100mL와 같이 자연인이 그 의미를 인지할 수 있는 정도의 빛을 발생할 수 있는 전자부품을 사용했다면, 이것은 표시기(7)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설정용량(6)이 표시되면, 상기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가 상기 표시기(7)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무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can be said to be an indicator (7) if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can generate light enough for a natural person to recognize the meaning is used, such as 80mL when one LED is displayed and 100mL when two are displayed. This means that when at least one set capacity 6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atering information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dicator 7.

그 예로, 설정요량(6)이 설정되면 상기 정수기의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를 출수할 수 있는 콘트롤장치(16)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콘트롤장치(16)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게되면, 자동으로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가 출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As an example, when the set amount 6 is set, a control device 16 capable of dispensing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of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and a predetermined menu provided by the control device 16 This is because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are automatically watered when you select.

이때 상기 콘트롤장치(16)의 일부의 선택 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의 용량만큼 자동으로 출수가 되도록 구성하는 용량 출수 제어기가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device 16 is configured such that a capacity water discharge controller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ischarge water as much as the capacity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 discharge information is attached when a part of the control device 16 is selected.

여기서 용량 출수 제어기는 액체의 용량만큼 출수한 후 출수가 안되도록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출수기의 제어기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outlet controller is interpreted as a controller of a water outlet that allows water to be stopped so that water can not be discharged after watering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liquid.

상기 정수기 또는 상기 액체용기(10,11)에서는 상기 액체 출수 제어기가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정수기 또는 상기 액체용기(10,11)와 연동된 서버, 모바일, 무선단말기, 무선 표시기(7)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콘트롤장치(16)에 의해서 제어를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water purifier or the liquid container (10, 11)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liquid outlet controller, and the water purifier or the liquid container (10, 11) is linked to the server, mobile, wireless terminal, wireless indicator (7)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16 displayed on at least one.

이것은 상기 무선단말기가 콘트롤장치(16)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콘트롤장치(16)은 상기 무선단말기로 구성된 표시기(7)의 화면에 소정의 메뉴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the control device 16, and the control device 16 may be configured with a predetermined menu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7 composed of the wireless terminal.

이것은 콘트롤장치(16-2)가 상기 무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소정의 메뉴를 의미할 수도 잇다.This may mean a predetermined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by the control device 16-2.

이때 콘트롤장치(16-2)에 표시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게되면, 상기 콘트롤장치(16)에 의해서 제어를 받는 용량 출수 제어기가 동작하여, 상기 표시기(7) 또는 표시기(7)과 연동된 제어모듈에서 추출된 제1 출수정보(또는 제2 출수정보)가 출수(또는 자동으로 출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a predetermined menu displayed on the control device 16-2 is selected, the capacity water outlet controller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16 operates, and is linked with the indicator 7 or the indicator 7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control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watered (or automatically watered).

여기서 상기 용량 출수 제어기는 상기 추출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의 용량을 출수할 수 있는 제어장치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Here, the capacity outlet controller is preferably interpreted as a control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the extracted capacity of the first outlet information or the second outlet information,

상기 용량 출수 제어기는 펌프에 의해서 출수가되고, 상기 펌프의 잠금 또는 오픈를 제어할 수있는 제어기등과 같이 용량을 검출(또는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acity discharg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ct (or extract) the capacity, such as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locking or opening of the pump to be discharged by the pump.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액체용기(또는 제2 액체용기)는 무선으로 연동된 다른 무선단말기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콘트롤 장치(콘트롤 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콘트롤 모듈)와 같은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어메뉴(상기 제1 출수정보의 자동출수 또는 상기 제1 출수정보의 표시가 되도록하는 메뉴를 의미할 수도 있다.)의 선택입력에 따라서 출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portable movable first liquid container (or second liquid container) includes another wireless terminal connected wirelessly or a control device provided by the wireless terminal (a control module that can be used as a control devic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watering according to a selection input of a control menu controlled by the same predetermined menu (it may mean a menu for automatically watering out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displaying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have.

상기 도4의 표시기(7-2)가 부착된 정수기(12)와 상기 도1의 휴대용 보온병에 부착(또는 탈착이 가능하여 부착)된 상기 표시기(7)은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다른 표시기(7-3)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각각의 표시기(7-2,7-3)에서 동작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서버(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water purifier 12 to which the indicator 7-2 of FIG. 4 is attached and the indicator 7 attached to (or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thermos of FIG. 1 are other indicator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ly.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menu provided in -3), or may include a server 16 capable of managing information operated by each of the indicators 7-2 and 7-3.

다른 한편 시간알람이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근거하여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가 희석된 상기 설정용량이, 상기 시간안람을 반영한 시간에 제3온도가 되거나 또는 제3 온도가 되는 제1 출수정보(또는 제2 출수정보)를 추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ime alarm is configured to be settable, and the set capacity in which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are diluted becomes a third temperature or a third temperature at a time reflecting the time schedule. It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1 water outlet information (or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상기 설정용량(6)이 설정되고, 설정용량(6)에 해당하는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가 희석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시간만큼 실온에 노출되었을 때의 온도가 상기 제3온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When the set capacity (6) is set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capacity (6) are diluted and exposed to room temperature for the set time, the temperature becomes the third temperature. It can be configured.

----------------------------------------------------------------------

이것은 상기 제1 온도로 출수되는 제1 출수정보가 60mL이고, 제 2온도로 출수되는 제2 출수정보가 40mL라는 가정하면, 30분 뒤에 상기 희석된 액체를 먹이고자할 경우, 제1 출수정보는 70mL로 높이고, 제2 출수정보는 30mL로 낮추도록 하여, 희석되는 제 3온도가 전체적으로 높게 유지하다고, 30분뒤에는 자연적으로 온도가 내려가서 제3온도에 맞춰지는 것을 예상(제어모듈에서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7)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This is assuming that the first water discharge information discharged at the first temperature is 60 mL,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information discharged at the second temperature is 40 mL. If you want to feed the diluted liquid after 30 minutes, the first water discharge information is Raise it to 70 mL, and lower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to 30 mL, so that the third temperature to be diluted is kept high overall, and after 30 minutes, the temperature will naturally decrease and adjust to the third temperature (extracted from the control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7.

이것은 상기 표시부(7)에 상기 희석된 설정용량(6)을 먹일 수 있는 시간을 더 지정하고, 더 지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제3 온도가 되도록 하여, 적용한 온도로 상기 희석된 설정용량(6)를 먹일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This further designates a time for feeding the diluted set capacity 6 to the display unit 7 and makes the third temperature at a time corresponding to a more designated time, so that the diluted set capacity ( 6) can be fed.

이것은 상기 희석된 설정용량(6)이후 특정 시간을 설정하여 식용하겠다는 것을 상기 표시기(7)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after the diluted set dose 6, a specific time can be set and edible can be selected by a predetermined menu provided by the indicator 7.

다른 한편 상기 표시기(7)에는 시간주기(17)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용량(6)으로 상기 제1 출수정보와 제2 출수정보로 식용된 이후, 다음 식용을 위한 시간주기(17)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또는 특정 시간에 매일 알람(또는 표시기에 표시)이 울리도록 시간주기(17)를 선택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 time period 17 is set on the indicator 7 to set the time period 17 for the next edible after being edible as the first and second watering information as the set capacity 6 It can be configured to be. Alternatively, the time period 17 may be selected and input so that an alarm (or displayed on an indicator) sounds every day at a specific time.

예를 들어 신생아의 경우, 매일 3시간마다 식용을 해야한다고 선택입력하게되면, 상기 3시간마다 상기 식용을 해야된다는 알람 또는 상기 표시기의 화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소정의 메뉴 또는 소정의 빛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ewborn baby, if the user selects input that they should eat every 3 hours, the alarm that the food should be eaten every 3 hours, or a signal with a predetermined menu or a predetermined light from part or all of the screen of the indicator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send.

도1를 참조하면 시간주기(17)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용량(6)으로 선택입력되면, 제1 출수정보와 제2출수정보가 표시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제1 출수정보와 제2출수정보로 희석된 상기 설정용량(6)을 식용으로 사용했다는 별도의 소정의 메뉴를 기준으로 상기 시간주기(17)는 리셋되도록 하여, 주기적인 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when a time period 17 is set and the selected amount is inputted as the set capacity 6, the time when the first and second water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r the first and second watering information The time period 17 may be reset based on a separate predetermined menu indicating that the diluted set capacity 6 was used for food, and thus a periodic time may be displayed.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된 설정용량(6)에 대응되는 식용 후 용량을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Preferably, a predetermined menu for inputting a post-edible dose corresponding to the set dose 6 may be further provided.

이것은 상기 희석된 설정용량(6)으로 식용하였지만, 실제 설정용량(6)보다 적은 량으로 식용이 완료된경우, 이러한 상태의 적은 량에 대해서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상기 표시기(7)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was edible with the diluted set capacity (6), but when edible is completed in an amount less than the actual set capacity (6), the indicator (7) will provide a predetermined menu for inputting a small amount of this state. Means you can.

이때 설정용량(6)을 표시하는 표시기(7)와 희석된 설정용량(6)으로 실제 식용한 후 식용하지 못한 정보에 대한 용량을 입력할 수 있는 표시기(7)는 다른 표시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indicator 7 for indicating the set capacity 6 and the indicator 7 for inputting the amount of unedible information after actually edible with the diluted set capacity 6 may be composed of other indicators. .

이것은 도1에서 희석된 설정용량(6)에 대해서 제1 액체용기(10)에서 출수가 되면 자동으로 서버에 저장되고, 이후에 실제 식용하지 못한 정보에 대한 용량은 모바일과 같은 무선 단말기(25, 또는 단말기)로 구성된 표시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를 적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server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for the set volume 6 diluted in FIG. 1, and the capacity for information that is not actually edible afterwards is a wireless terminal 25, such as a mobile, Or, it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input by applying a predetermined menu provided by an indicator configured with a terminal).

이때 상기 식용하지 못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정한 주기시간(17) 또는 적정한 설정용량(6)를 제시하도록 표시기(7)에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based on the unedible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menu to the indicator 7 so as to present the appropriate cycle time 17 or an appropriate set capacity 6.

이것은 상기 100mL의 설정용량(6)으로 희석되었지만, 실제적으로 40mL만 식용을 마칠수도 있고, 이러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표시기(7)에서는 상기 시간주기(17)의 N값보다 더 짧은 주기로 식용을 해야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소정의 메뉴(또는 소정의 메시지)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is is diluted with the set volume (6) of 100 mL, but in reality only 40 mL can be edible. When this information is entered, the indicator (7) is edible at a shorter period than the N value of the time period (17).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predetermined menu (or a predetermined message) to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indicating that the user should do so.

예로 시간주기(17)와 다른 짧은 시간주기(17')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short time period 17 ′ different from the time period 17.

또는 이러한 경우 시간주기(17)의 변동이 없을 수도 있고, 다음에 식용할 경우 적에 식용하였음으로, 설정용량을 더 증가해야된다는 소정의 메시지 또는 소정의 메뉴를 상기 표시기(7)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re may be no change in the time period 17, and the next time it is edible,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message or a predetermined menu on the indicator 7 indicating that the set capacity has to be increased further. May be.

또는 상기 시간주기(17)과 상기 설정용량을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식용할 수 있는 최적의 시간주기 또는 설정용량에 대해서 관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에 의해서 소정의 메뉴가 자동으로 표시(메뉴로 표시 또는 메시지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by automatically setting the time period 17 and the set capacity, a predetermined menu is automatically displayed (displayed as a menu or a process that can manage the set capacity)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as a message).

여기서 상기 시간주기(17)이 적용되면, 시간주기(17) 이후 시간에 알람(또는 표시기에 표시)이 되면 상기 표시기와 연동된 출력장치에서 이를 표시(또는 다시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when the time period 17 is applied, when an alarm (or displayed on the indicator) occurs at a time after the time period 17, the output device linked with the indicator may display (or redisplay) it.

또는 알람이 발생하거나, 모바일과 같은 무선통신기기에 시간이 되었다는 것을 전송하거나 또는 미리 전송되어 상기 무선통신기기에서 알람이 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n alarm may be generated or transmit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that the time has come, or transmitted in advance, so that an alarm may soun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여기서 상기 표시기(7)에서는 상기 주기시간(17)이 경과되었거나, 또는 아직 경과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간알람(23-1)일 발생하는 시점을 표시할 수도 있다. Here, the indicator 7 may display the timing at which the time alarm 23-1 occurs so that it is recognized that the periodic time 17 has elapsed or has not yet elapsed.

또는 경과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predetermined menu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elapsed time.

다른 한편 상기 제2 출수정보는 적어도 2개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1를 참조하면,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as at least two, and referring to FIG. 1,

상기 희석되는 가루가 아기 분일 경우이고, 아기가 신생아과 신생아 이후의 분유의 특성이 틀려서 신생아의 분유를 희석할 경우 거품이 일어나거나 또는 물과 잘 썩이지 않는 경향이 발생할 수도 있다.If the powder to be diluted is for a baby, and when the baby's infant formula is diluted because of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newborn and the infant formula, there may be a tendency to foam or not rot well with water.

만약 거품이 많이 발생하거나 또는 거품이 발생하면 안되는 분유를 희석할 경우, 상기 제3 온도(3)보다 높은 온도에서 분유를 희석하고, 이후에 희석이 완료된 이후에 제 3 온도(3)를 맞추기 위해서 제2 출수정보(5)로 희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f a lot of foaming occurs or the milk powder that should not foam is diluted, dilute the milk powder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hird temperature (3), and then to set the third temperature (3) after the dilution is complet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luted with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

이것은 1차로 희석되는 제1 온도(1)의 제1 출수정보(4-2)에 제 2온도(2-3)의 제2출수정보(5-1)를 표시하거나, 출수(상기 용량 출수 제어기에 의해서 출수될 수 있음)가 되도록 하여 제 3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되도록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된 후, 다시 제3온도가 되도록 제 2출수정보(5-2)가 출수되거나 또는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is is to display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1) of the second temperature (2-3) in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of the first temperature (1) to be diluted first, or the water outlet (the capacity outlet controller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is displayed so that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hird temperature, and then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5-2) is discharged to the third temperature again. Or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이것은 상기 제1 출수정보가 제2 출수정보의 일부의 용량을 포함하여 제1 출수정보로 표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first watering information including a portion of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출수정보의 일부가 포함된 용량의 제1 출수정보가 설정되고, 제어버튼(29)를 선택하게되면 제1 출수정보가 출수될 때 일부의 제2 출수정보가 자동으로 출수되도록 상기 용량 출수 제어기에 의해서 출수가 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Preferably, when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f the capacity including part of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is set, and when the control button 29 is selected, some of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is discharg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water discharged by the capacity water discharge controller.

이것은 도1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제1 출수정보에 제1 출수정보(4-2)와 제2 출수정보(5-1)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4-2 and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5-1.

이것은 도4의 정수기에서 제1 출수정보(4-2)에 해당하는 온수와 제2 출수정보(5-1)에 해당하는 냉수가 동시에 출수되던가, 또는 시간적인 차이로 출수가 되던가, 또는 상기 정수기의 출수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루게되면 상기 추출된 제1 출수정보(4-2)와 제2 출수정보(5-1)의 용량값 만큼 출수가 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water purifier of Fig. 4, the hot wa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and the cold wat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1) are simultaneously discharged, or the water is discharged by a time difference, or the water purifier. When at least one of the water outlet buttons of is pressed, the extracted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1 can be configured to have water as much as the capacity value.

그리고 다시 출수버튼을 선택하게되면 나머지 제2 출수정보(5-2)가 출수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And when the water outlet button is selected again, the remaining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2 can be configured to be watered out.

여기서 상기 제1 출수정보(4-2)에 제2 출수정보(5-1)가 포함되어 제3 온도(희석온도)보다 높은 값을 출수(또는 표시기에 표시)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후, 나무지 제2 출수정보(5-2)에 대해서는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includes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1), so that a value higher than the third temperature (dilution temperature) can be watered out (or displayed on the indicator),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2 may not be displayed.

이것은 자연인이 상기 설정된 설정용량(6)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출수정보(4-2)와 제2 출수정보(5-1)를 추출한 후, 나머지는 상기 설정용량(6)에 맞춰서 제2 출수정보를 출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natural person is aware of the set capacity (6), after extracting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and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5-1), the rest is adjusted to the set capacity (6). This is because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can be watered out.

다른 한편 본발명에서 상기 제1 출수정보에 해당하는 제1 온도는 분유가루가 녹는 50도에서 100도사이의 A구간의 어느 한 M값이고,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is an M value in the A section between 50 degrees and 100 degrees at which the powdered milk is melted,

상기 설정온도는 유아가 먹을 수 있는 30도에서 50도 사이의 B구간의 어느 F값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t temperatur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t to a certain F value in the B section between 30 degrees and 50 degrees that infants can eat.

이것은 상기 M값 맞춰서 제1 출수정보가 설정되거나, 또는 M값을 맞추기 위해서 제1 출수정보는 일부 제2출수정보을 포함하여 출수되거나 또는 표시기에 표시되어, 분유가루가 잘 녹을 수 있는 M값을 맞출 수도 있도록 구성할수 있고, This means that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M value, or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including some of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to match the M value, so that the M value that the powdered milk powder can be easily dissolved is adjusted. Can be configured to be

이후 자연인에 의해서 희석이 완료된 이후, F값을 갖는 제2 출수정보가 표시 또는 추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reafter, after dilution is completed by a natural person,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having an F value may be displayed or extracted.

여기서 제2 출수정보는 자연인이 수동으로 출수를 하는 경우에는, 제1 출수정보와 상기 설정용량을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기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because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set capacity can be recognized when a natural person manually waters the water.

바람직하게 상기 M값 또는 F값은 기 설정된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표시기(7) 또는 표기기(7)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에서 자연인에게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M value or F value may be configured as a preset value, bu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input from a natural person in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indicator 7 or the indicator 7.

다른 한편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표시기(7)와 연동된 스위치(24)의 작동에 의해서 추출되도록 구성될수도 있으며 도1를 참조하면,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to be extrac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4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and referring to FIG. 1,

제1 액체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접촉(또는 부착)되고 있는 제1 센서(8)가 스위치(24) 기능을 제공하는 구조 또는 부품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면, 이때 제1 센서(8)에서 추출된 제1 온도가 추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추출된 제1 온도는 상기 표시기(7)에 표시되도록 구성될수도 있다.If the first sensor 8 that is in contact with (or attach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is configured to operate by a structure or component that provides the switch 24 function, it is extracted from the first sensor 8 at this time. The extracted first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to b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first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이전의 표시기(7)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또는 제1 온도에 따른 제1 출수정보(4-2)가 표시되지 않다가, 상기 스위치(24)의 동작을 유지하면, 상기 제1 출수정보(4-2)가 상기 표시기(7)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previous indicator (7) is not powered. Alternatively, i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according to the first temperature is not displayed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4 is maintained,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It may be configured to b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액체용기에 다양한 기존 존재하는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하겠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existing switches can be configured in the first liquid container,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will be omitted.)

상기 스위치는 제1 액체용기(10)의 덮개를 open하게되면, open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스위치(24)를 구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cover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is opened, the switch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recognized to open, and the switch 24 may be configured.

이것은 자연인이 제1 출수정보를 출수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상기 덮개(또는 마개)를 open하게되면, 상기 표시기(7)에서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제1 온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온도에 해당하는 제1 출수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This is when a natural person manually opens the cover (or stopper) in order to discharge the first water supply information, the indicator 7 extracts the first temperature from the first sensor, and the firs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mperature It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water outlet information.

이때 상기 제2 출수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제2 액체용기(11)에 무선으로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제2 액체용기(11)에 부착된 제2 센서(9)로부터 제2 온도를 추출하고, 제 2온도에 해당하는 제2 추수정보가 상기 제1 액체용기(10)또는 제2 액체용기(11)의 표시기(7)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 signal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capable of displaying the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and a second temperature is extracted from the second sensor 9 attached to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 Second harv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or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이것은 상기 표시기(7)가 제2 액체용기(11)에 부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indicator 7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또는 상기 제1 액체용기(10)와 제2 액체용기(11)간에 서로 무선(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액체용기(11)의 제2 센서(9)에 의한 제2 온도(2)를 상기 제1 액체용기(10)의 표시기(7)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이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and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ar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temperature by the second sensor 9 of the second liquid container 11 ( 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control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dicator 7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can extract.

이것은 상기 제1 액체용기(8) 또는 제2 액체용기(9)에 RFID(24-1, 24-2)가 각각의 온도 센서(8,9)와 연동되어 있고, 이때 각각의 온도센서(8,9)로부터 추출된 온도에 대한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RFID (24-1, 24-2) in the first liquid container (8) or the second liquid container (9) is interlocked with each temperature sensor (8, 9), and at this time, each temperature sensor (8)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extracted from ,9).

여기서 상기 제1 액체용기 또는 제2 액체용기에 NFC와 같은 근접이 가능한 무선 프로토콜을 장착하도록 구성하고, 근접 무선통신(또는 NFC)이 가능한 무선단말기(25)가 근접하게 되면, 상기 무선단말기(25)에서는 상기 설정용량(6) 또는 제1 출수정보(4-2)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뉴 또는 소정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when the first liquid container or the second liquid container is configured to mount a wireless protocol capable of proximity such as NFC, and the wireless terminal 25 capable of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or NFC) approaches, the wireless terminal 25 )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predetermined menu or a predetermined message including the set capacity 6 or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여기서 상기 제1 액체용기(10)에서는 시간알람(23-2)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장치에서 상기 표시기(17)에서 선택입력된 시간주기(17)가 되면, 상기 출력장치에서 출력이 발생하도록 알람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있다. Here, in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an output device capable of a time alarm 23-2 is mounted, and when the time period 17 selected and input by the indicator 17 in the output device is reached, the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n alarm function so that an output occurs in the output device.

여기서 출력장치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진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출력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output devic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peaker, but may be composed of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display function such as an LED.

이것은 상기 표시기(7)에서 상기 시간주기(17)가 되면, 상기 표시기(7) 또는 표시기(7)와 연동된 출력장치에서 알람을 위한 출력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 액체용기(10)에 부착된 출력장치에서 출력(또는 알람)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time period 17 in the indicator 7 is reached, an output for an alarm may be generated from the indicator 7 or an output devic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but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output (or alarm) from an attached output device.

여기서 상기 제1 액체용기(10)에는 상기 표시기(7)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1 액체용기(10)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와 연동된 무선으로 동작하는 단말기(25)의 디스플레이(7)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디스플레이(7)간에는 다양한 이동경로를 거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1 센서의 정보에 의해서, 제1 온도를 반영한 제1 출수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7)에 표시된다면, 이때의 디스플레이(7)은 표시기(7)가 되는 것이다. Here, the indicator 7 is not present in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an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25 operating wirelessly in connection with a firs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first liquid container 10 ( It can also consist of 7). This may go through various movement paths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display 7,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reflecting the first temperatur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7 by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sensor, The display 7 at this time becomes the indicator 7.

이것은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표시기(7)간에 기지국을 통한 무선, 와이파이, RF, RFID, NFC, 비콘과 같은 다양한 무선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온도 또는 제1 출수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스, CPU, 마이컴, 전자칩, 제어칩, 제어모듈등과 같은 장치들이 포함되어 상기 발명을 구성(또는 지원)할 수도 있다.This may be configured by including hardware capable of sending and receiving various wireless signals such as wireless, Wi-Fi, RF, RFID, NFC, and beacons through a base station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indicator 7, and the first temperature or Devices such as a process for extracting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a CPU, a microcomputer, an electronic chip, a control chip, and a control module may be included to constitute (or support) the above invention.

상기 제1 온도에 해당하는 액체을 보관 또는 추출할 수 있는 액체 저장소(제1 액체용기, 정수기등을 의미한다.)와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25)에 상기 제1 출수정보로 출수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소정의 메뉴에 의해서 제공하는 메뉴를 선택하게되면, 상기 무선으로 연동된 상기 액체 저장소에서 상기 추출된 제1 출수정보(4-2)가 출수되도록 자동셋팅 또는 출수가 실행되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water discharge information is available to a liquid storage (means a first liquid container, a water purifier, etc.) for storing or extracting the liqui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mperature and a wireless terminal 25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ly. Provides a predetermined menu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when a menu provided by the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the extracted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is discharged from the liquid reservoir linked wirelessly.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perform automatic setting or water out.

이것은 상기 설정용량을 설정하게되면, 제1 온도가 추출되고 제1 온도에 해당하는 제1 액체용기 또는 정수기에서 상기 제1 출수정보로 출수가 시작이 가능하도록 대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set capacity is set, the first temperature is extracted, and the first liquid container or water purifi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to wait so that water can be started with the first water discharge information.

이때 상기 제1 액체용기 또는 정수기와 같은 액체 저장소에 부착된 키패드(또는 버튼, 또는 출수가 가능하도록 동작된 기구)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무선단말기에서 추출된 상기 제1 출수정보에 해당하는 액체 값이 출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keypad (or a button or a mechanism operated to enable water extraction) attached to a liquid reservoir such as the first liquid container or water purifier is operated, a liquid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ater extrac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It can be configured to be drained.

이때 출수의 제어는, 상기 액체 출수 제어기를 통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water outlet through the liquid outlet controller.

여기서 액체 출수 제어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25)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제1 출수정보가 출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liquid outlet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25 so that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is discharged.

다른 한편 상기 제1 액체용기, 제2 액체용기, 정수기, 표시기와 연동된 RF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단말기(25)가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제1 온도를 전달받아, 제1 출수정보, 제2 출수정보, 설정용량, 설정온도, 설정중기, 시간 알람, 설정주기가 초과한 시간 표시, 설정주기로 도달하기 위한 시간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기(7)에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25 approaches at least one of the first liquid container, the second liquid container, a water purifier, and an RF device interlocked with an indicator, the first temperature is received and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and the second water outlet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 set capacity, a set temperature, a set mid-term, a time alarm, a time for which the set period has exceeded, and a time for reaching the set period may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제1 온도를 추출하기 위한 제1 입력모듈(200)과, 제2 온도를 추출하기 위한 제2 입력모듈(300)과 제1 입력모듈(200)과 제2 입력모듈(300)으로부터 전달된 제1온도 또는 제2 온도를 근거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제어모듈(100)과, 추출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가 출수할 수 있도록 액체 출수 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는 출수모듈(500) 또는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00)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모듈(40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input module 200 for extracting a first temperature, a second input module 300 for extracting a second temperature, a first input module 200 and a second input module 300. Based on the first temperature or the second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 the control module 100 for extracting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and the extracted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can be watered out. A water outlet module 5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liquid outlet controller or a display module 400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first outlet information or the second outle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상기 제1 입력모듈(200)은 제1 온도를 측정 또는 추출할 수 있는 제1 센서와 연동될 수도 있지만, 자연인이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모듈 또는 키패드로 입력받아, 제1 온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input module 200 may be interlocked with a first sensor capable of measuring or extracting a first temperature, but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menu that a natural person can input through a module or keypad,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extract information and receive input.

그리고 제2 입력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온도의 입력을 받거나, 제2센서로부터 제2 온도를 유추 또는 추출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nput module 2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of at least one second temperature or information capable of inferring or extracting the second temperature from the second sensor.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00)과 연동된 입력장치 또는 표시모듈(400)을 구성하는 터치모니터와 같은 입력장치로부터 출수모듈(500)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신호 또는 선택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모듈(100)은 상기 추출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로 출수가 되도록 출수모듈(5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Here, when an input signal or a sel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water outlet module 500 is transmitted from an input devic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module 100 or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monitor constituting the display module 400, the control module ( 1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watering module 500 so that water can be watered with the extracted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의 합이 설정용량을 갖으면서 제3온도가 되도록 액체 출수 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liquid outlet controller so that the sum of the first outlet information or the second outlet information has a set capacity and a third temperature.

이때 상기 제어모듈(100)은 상기 추출된 제1 출수정보 또는 제2 출수정보에 오차값을 적용하여 더 출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적게 출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more water or less water by applying an error value to the extracted first water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watering information.

이것은 제어모듈(100)에서 추출되거나 또는 인지할 수 있는 설정용량에 포함되는 가루(또는 희석되는 가루) 또는 액체(희석되는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수에 오차값을 적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This is configured to apply an error value to the water outlet for the purpose of reflecting that the control module 100 includes powder (or diluted powder) or liquid (diluted liquid) included in the set capacity that is extracted or recognized. You can do it.

바람직하게 상기 오차값은 상기 설정용량의 증가하면 오차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error valu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rror value is the same or increases when the set capacity is increased.

바람직하게 도2를 참조하면, 제어모듈(100)은 온도센서 모듈(700)과 연동되어 있어서 제1 센서또는 제2 온도 센서인 온도센서 모듈(700)로부터 제1 온도, 또는 제2 온도를 추출할 수 있다.Preferably,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module 100 is interlocked with the temperature sensor module 700 to extract a first temperature or a second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module 700, which is a first sensor or a second temperature sensor. can do.

이때 추출되는 시점은 제어모듈(100)과 연동된 스위치 모듈(8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근걸로하여 제1 온도 또는 제2 온도가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xtraction poin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temperature or the second temperature can be extracted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witch module 800 linked to the control module 100.

또는 상기 스위치 모듈(800)로부터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표시모듈(400)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출수정보가 추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witch module 800, the display module 400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at least on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다른 한편 표시기(7)은 액체용기(또는 제1 액체용기)와 분리가 가능한 덮개에 부착되거나,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5를 참조하면,On the other hand, the indicator 7 may be attached to a cover that is detachable from the liquid container (or the first liquid contain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Referring to FIG.

덮개에 표시기(7-4)가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덮개에는 표시기(7-4)와, 표시기와 연동된 제어모듈(100)과, 제어모듈(100)연동된 제1 센서(8-1)가 장착(또는 조립, 또는 탈찰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되고, 제1 센서(8-1)은 적외선 또는 무선으로 용기에 담긴 액체(27)의 온도를 감지할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ver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ndicator 7-4, and the cover has an indicator 7-4, a control module 100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and a first sensor 8-1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module 10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r assembled, or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the first sensor 8-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27 contained in the container by infrared or wirelessly.

다른 한편 액체용기(제1 액체용기, 또는 제2 액체용기)에서 스위치(24)가 동작하게되면, 제1 입력모듈(200)로부터 전달된 제1 온도 정보를 근거로 제1 입력모듈(200)과 연동된 제어모듈(100)에서 표시기(7)에 제1 출수정보를 표시할 때, 제1 표시기 또는 제어모듈(100)과 연동된 LED에서 빛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24 is operated in a liquid container (a first liquid container or a second liquid container), the first input module 200 is based on the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input module 200. When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in the control module 100 interlocked with, the first indicator or the LED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light.

이때의 빛은 어두운곳에서 더 밝게 빛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는 제어모듈(100)과 연동되어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 의해서 더 밝게 빛나도록 표시기(7) 또는 상기 LED에서 빛을 나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ght may be configured to shine brighter in a dark place, and in this case, the indicator 7 or the LED will emit light so that it shines brighter by a sensor that can detect the light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module 100. I can.

이것은 아기가 자는 시간, 상기 스위치(24)를 사용하면, 어두운 곳에서 젖병으로 사용되는 용기에 인쇄된 눈금(Ml로 된 눈금)을 자연인이 인지할 수 있는 정보의 빛이 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when the baby sleeps, when the switch 24 is used, the information that a natural person can recognize is a scale printed on a container used as a feeding bottle in a dark place (a scale in Ml). .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기(7)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록(32)을 입력(또는 선택 또는생성)할 수 있으며, 도1를 참조하면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7 can input (or select or generate) at least one list 32, and referring to FIG.

상기 목록(32)은 아기의 태명, 또는 아기를 분류할 수 있는 기호(또는 문자, 숫자등)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목록(32)이 바뀔때마다 시간주기(17)에 도달하거나 또는 초과되는 시간이 목록(32)마다 각각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표시기(7)에 제1 출수정보가 표시되거나, 또는 추출된 제1 출수정보가 출수되었다는 시간으로부터 상기 설정된 시간주기(17)까지 도달하는 시간 또는 시간주기(17)를 초과했다는 시간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list 32 may consist of a baby's birth name, or a symbol (or letters, numbers, etc.) that can classify the baby, and each time the list 32 changes, the time period 17 is reached or exceed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time to be displayed for each list 32. This means that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or the time from the time that the extracted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is watered out to the set time period 17 or the time period that the time period 17 has been exceeded is display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이때 상기 제1 출수정보(4-2)로 출수되어 희석된 설정용량보다 적은 량을 입력한 정보(이러한 상황은 앞에서 설명하였다.)에 근거하여 상기 시간주기(17)의 시간을 더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period 17 is configured to shorten the time period 17 based on information (such a situ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putting an amount less than the set capacity that was watered out and diluted with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4-2. Can be.

이것은 상기 목록(32)마다 다른 설정용량(6), 다른 제1 출수정보(4-2) 또는 제2 출수정보, 시간주기(17)까지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시간주기를 초과한 시간까지의 시간, 시간 주기가 도래되었을 때의 알람 중 적어도 하나가 목록(32)마다 각각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목록(32)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기에 표시된 소정의 메뉴를 선택한 정보들이 도4의 서버(16) 또는 단말기(25) 또는 표시기(7)와 연동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목록(32)마다 설정용량으로 희석되는 시점(제1 출수정보가 출수되거나, 또는 출수됨을 암시할 수 있는 신호가 추출되는 경우)에 대한 시간을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is is a different set capacity (6) for each of the list (32), different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4-2) or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time to reach the time period (17), and the time until the time period exceeds. At least one of the time and the alarm when the time period arrives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for each list 32, and based on this list 32, information on selecting a predetermined menu displayed on the indicator is shown in FIG. It is stored in a memory interlocked with the server 16 or the terminal 25 or the indicator 7 of, and is diluted to the set capacity for each list 32 (which can imply that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is watered out or It can be configured to store time for when the signal is extracted).

도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목록(32)에 해당하는 A시점(19)에 100mL라는 희석된 설정용량(20)을 희석하였고, 희석된 설정용량(20)보다 적은 양으로 소비된 경우, 소비된 정보에 해당하는 수정량(21)를 다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a diluted set volume 20 of 100 mL is diluted at point A (19)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ist 32, and is consumed in an amount less than the diluted set volume 20, The correction amount 21 corresponding to the consumed information may be input again.

그리고 이후에 상기 시간주이(17) 또는 시간주기(17)의 도래 또는 초과를 알리는 알람(또는 시간의 표시)에 의해서 B시점(19)에 다시 희석되는 설정용량이 추출되면, A시점과 B시점 사이의 시간적인 간격에 대한 표시가 발생하도록 상기 표시기(7) 또는 상기 표시기(7)와 연동된 단말기, 또는 상기 표시기(7)와 연동된 제어모듈(100)으로부터 서버(16)에 전달된 정보를 DB화하여 보여줄 수 있는 제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n, when the set capacity to be diluted again at point B 19 is extracted by an alarm (or display of time) notifying the arrival or excess of the time week 17 or the time period 17, time A and time B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rver 16 from the indicator 7 or the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or the control module 100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so that a display of the temporal interval therebetween occurs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a third display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DB and shown.

상기 DB의 수정량(21)를 근거로하여 일 또는 월기준으로 누적되어 소비된 양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amount accumulated and consumed on a daily or monthly basis based on the correction amount 21 of the DB.

그리고 상기 누적으로 소비된 양이, 다른 목록(32)들의 평균과 비교하여 적당한지, 또는 부족한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기(7) 또는 상기 제 3의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mulatively consumed amount is appropriate or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other lists 32 on the indicator 7 or the third display.

이것은 상기 표시기(7)와 연동된 제어모듈(100)으로부터 입력(또는 입력받도록 구성되어 입력된)된 수정량(21)를 취합하고, 상기 취합한 수정량(21)을 일, 월, 특정 구간의 시점과 시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으로 누적된 수정량(21)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해당하는 기준DB를 비교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기(7) 또는 제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is collects the correction amount 21 input (or is configured to receive input and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100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and calculates the collected correction amount 21 by day, month, or specific section. 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correction amount 21 accumulated as at least one of the point in time and the point in time, and to b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or the third display so that the reference DB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oint in time can be compared. Can be.

이때 상기 제3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수정량(21)을 저장할 수 있는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또는 표시기)와 연동된 이메일, 고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이메일 또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이때 전송된 이메일 또는 메시지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hird display transmits an email or a message based on at least one of an email and customer information linked to the terminal (or indicator) from a server capable of storing the correction amount 21, and at this time, the transmitted email or It is desirable to interpret the message as a viewable display.

다른 한편 상기 설정용량(6)을 출수하기 위한 소정의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시점의 시간정보가 상기 표시기(7)과 연동된 단말기(25) 또는 서버로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t least one of the predetermined menus for discharging the set capacity 6 is selected, tim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time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25 or the server linked to the indicator 7.

이것은 상기 설정용량(6)를 출수하고자 상기 표시기(7)에 표시되는 제1 온도를 근거로 표시되는 제1 출수정보가 추출된 이후 상기 제1 출수정보가 출수된 시점을 유추할 수 있는 시간의 정보가 상기 표시기의 메모리, 표시기와 연동이 가능한 서버, 표시기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is is the time at which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first temperature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to discharge the set capacity 6 is extracted and the time when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is discharged can be inferred. The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 at least one of a memory of the indicator, a server interlocking with the indicator, and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indicator.

그리고 상기 메모리, 서버,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메뉴로 상기 시점이 추출되고, 상기 시점에 대해서 확정(또는 수정량의 입력하여 확정)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point may be extracted to at least one predetermined menu of the memory, the server, and the terminal, and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menu capable of determining (or determining by inputting a correction amount) the time point. .

바람직하게 상기 시점의 저장은 자연인이 상기 제1 출수정보의 출수를 위해서 상기 표시기와 연동된 소정의 장치를 선택하는 전기적인 이벤트를 근거로 임의로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storage of the viewpoint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arbitrarily on the basis of an electrical event in which a natural person selects a predetermined device linked with the indicator for watering of the first watering information.

이것은 자연인이 실수로 상기 제1 출수정보의 추출을 한 후, 그 시점의 시간을 잊어먹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표시기(7)에 표시되는 정보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 상기 시점이 저장되고, 자연인이 다시 이러한 이벤트 또는 변화가 발생한 정보를 인지하여, 실제 자연인이 제1 출수정보를 출수하고서도 누락된 제1 출수정보의 출수를 확인하여, 시점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is because a natural person may forget the time of the time point after accidentally extracting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and the time point is stored when a change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dicator 7 occurs. This again means that 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on which such an event or change has occurred, and to store the time point by confirming the water discharge of the missing first water discharge information even after the actual natural person discharges the first water discharge information.

또는 상기 자연인이 상기 표시기(7)의 제어모듈로부터 제1 출수정보의 출수 또는 설정용량으로 식용했다는 것을 입력하기 위한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소정의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시점의 시간과 설정용량이 상기 메모리, 서버,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predetermined menu is provided for inputting that the natural person has edible the first water suppl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odule of the indicator 7 as the water or set capacity, and when the predetermined menu is selected, the time of the selected time and It can be configured to store the set capacity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server, and terminal.

그리고 상기 서버, 메모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시점 또는 시점과 설정용량을 추출하고, 상기 시점 또는 시점과 설정용량에 해당하는 수정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를 제공하여, 다시 상기 서버, 메모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And extracting the time point or time point and set capacity from at least one of the server, memory, and terminal,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menu to input a correct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or time point and set capacity, and the server, It can be stored in at least one of a memory and a terminal.

그리고 이러한 data를 적용하여 상기 제3의 디스플레이등에서 일(또는 월 또는 특정 시점과 다른 특점시점) 누적 수정량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such data, it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and display the cumulative correction amount of a day (or a month or a characteristic point different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from the third display.

도3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기(7) 또는 표시기(7)과 연동된 제어모듈의 동작이, 제어모듈과 연동된 무선모듈로부터 전송받아 인지가되고, 인지가 된 정보는 서버(또는 표시기) 또는 단말기(25)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며, 이때 저장은 수정량(21)정보와 연동되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operation of the indicator 7 or the control module interlocked with the indicator 7 is recognized by being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module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module, and the recognized information is a server (or indicator) or It i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25, and the storage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ction amount 21 information.

이때 수정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수정량(21)을 추출하여, 누적된 수정량(22), 일(또는 월, 시점과 시점사이)평균에 대한 누적 평균 수정량(30)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corrected and stored at least one correction amount 21 to display the accumulated correction amount 22 and the accumulated average correction amount 30 for the average of the daily (or month, time and time point). have.

또한 이때 표시기(3)에서는 상기 누적 평규 수정량(30)과 비교할 수 있는다른 기준치(또는 표준치에 대한 기준치, 또는 다른 평균치에 대한 기준치, 또는 기 저장된 다른 평균치에 대한 기준치)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은 상기 누적 평균 수정량(30)과 비교할 수 있는 기준 수정량(31)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기(7)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indicator 3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other reference value (or a reference value for a standard value, a reference value for another average value, or a reference value for another previously stored average value)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accumulated average correction amount 30. have. This may configure the indicator 7 so that a reference correction amount 31 that can be compared with the accumulated average correction amount 30 is displayed.

여기서 기준치의 실시예로는 도4에서 기준 수정량(31)으로 표시하였다.Here, as an example of the reference value, it is indicated by the reference correction amount 31 in FIG. 4.

바람직하게, 상기 누적 수정량(22), 누적 평균 수정량(30), 누적 기준 수정량(31) 중 적어도 하나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상기 누적 수정량(22)가 다른 수정량들에 비해서 차이가 나는지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accumulated correction amount 22, the accumulated average correction amount 30, and the accumulated reference correction amount 31 is displayed as a graph, so that the accumulated correction amount 22 is different from other correction amounts.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또한 상기 누적 수정량(22) 또는 평균 수정량(30)를 선택할 때, 전체 다른 data와 비교하여 특정 구간과 구간사이에 숫자(또는 기호 또는 그래프)로된 등수를 암시할 수 있는 표시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mulative correction amount 22 or the average correction amount 30 is selected, a display that can imply an equal number (or symbol or graph) between a specific section and a section is displayed compared to all other data. It can also be configured.

이것은 예로, 1과 10을 기준으로 5에 해당한다는 식으로 5라는 숫자를 표시할 수도 있고, 백분율, 등수등 그 방법은 다양하게 자연인이 인지할 수 있는 정도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면 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number 5 in such a way that it corresponds to 5 based on 1 and 10, and the methods such as percentages, ranks, etc. can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to a degree that can be recognized by natural persons in various ways.

다른 한편 상기 표시기(7-5)는 온도측정기(33)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On the other hand, the indicator 7-5 may be mounted on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33,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상기 스위치(24-1)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무선으로 온도의 측정이 가능한 센서(34)가 동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34)로부터 제1 온도 또는 제2 온도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nsor 34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wirelessly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4-1, and the first temperature or the second temperature can be extracted from the sensor 34. have.

이때 상기 추출된 제1 온도를 근거로하여 상기 표시기(7-5)에서는 본 발명의 앞에서 설명하고 있는 다양한 정보(제1 출수정보등)가 추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based on the extracted first temperature, the indicator 7-5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various information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etc.) described above.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24-1)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센서(34)에서 전달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가, 제1 온도, 제2 온도, 또는 사람의 체온을 측정하여 표시하기 위한 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sensor 34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4-1 is at least one of a first temperature, a second temperature, or a temperature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a person's body temperature. It can be configured to extract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이것은 상기 스위치(24-1)의 조작방법에 의해서 첫번째 측정한 온도정보는 제1 온도(1), 2번째 측정한 온도는 제2 온도(2)라고 인지한 후, 상기 표시기(7-5)에 상기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고,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witch 24-1, after recognizing that the first measured temperature information is the first temperature (1) and the second measured temperature is the second temperature (2), the indicator (7-5) The above variou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온도를 추출한다는 제1 모드, 또는 체온을 측정한다는 제2 모드를 구성하고, 제2 모드일 경우에는 적어도 1회측정하면 상기 표시기에 체온과 같은 온도가 표시되도록 구성하고, 제1 모드일 경우, 적어도 2회이상 온도를 측정한 후, 적어도 2회 이상 중 하나의 높은 온도를 제1 온도, 그리고 제1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제2 온도로 판단한 후, 상기 표시기(7-5)에 상기 다양한 정보(여기서 다양한 정보는 앞에서 다양하게 설명하였다.)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y operating the switch, a first mode of extracting at least one first temperature or a second mode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 is configured, and in the second mode, a temperature equal to the body temperature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by measuring at least once. And in the first mode, after measuring the temperature at least two times or more, determining one high temperature of at least two or more times as the first temperature, and determining the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s the second temperature, the indicator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various information (here, various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ways above) in (7-5).

이것은 온도측정기(33), 또는 체온계(33)로 동작하는 장치의 프로세스에 스위치(24-1)의 조작에 의해서 1회 측정하여 체온등을 표시하는 온도측정의 기능과, 적어도 2회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출수정보가 상기 표시기(7-5)의 화면에 추출되도록 프로세스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is a function of measuring temperature to display body temperature by measuring onc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24-1 in the process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33 or the device operating as the thermometer 33, and measuring at least two times. This means that the process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is extracted on the screen of the indicator 7-5.

1) 제1 온도 2)제2온도 3)제3온도
4) 제1 출수정보 5)제2출수 정보 6) 설정용량
(7)표시기 8)제1 센서 9)제2센서
10)제1 액체용기 11)제2 액체용기
12)정수기 13)온수노즐 14)정수노즐
15)전용노즐 16)콘트롤장치 17)시간주기
18)시간간격 19)시점정보 20)출수량
21)수정량 22)누적량 23)시간알람
24)스위치 25)단말기 26)용기
27)액체 28)결합장치 29)제어버튼
100) 제어모듈 200)제1 입력모듈 300)제 2입력모듈
400)표시모듈 500)출수모듈 600)콘트롤모듈
700)온도 센서모듈 800)스위치 모듈
1) 1st temperature 2) 2nd temperature 3) 3rd temperature
4) First water outlet information 5) Second water outlet information 6) Set capacity
(7) Indicator 8) First sensor 9) Second sensor
10) 1st liquid container 11) 2nd liquid container
12) Water purifier 13) Hot water nozzle 14) Water purification nozzle
15) Exclusive nozzle 16) Control device 17) Time period
18) Time interval 19) Time point information 20) Outflow volume
21) Correction amount 22) Accumulated amount 23) Time alarm
24) Switch 25) Terminal 26) Container
27) Liquid 28) Coupling device 29) Control button
100) Control module 200) 1st input module 300) 2nd input module
400) Display module 500) Outlet module 600) Control module
700) Temperature sensor module 800) Switch module

Claims (1)

분유에 대한 용량을 검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출방법.The detection method comprising; detecting the dose for the milk powder.
KR1020200062008A 2019-05-29 2020-05-25 detect method KR202001380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79A KR20220030962A (en) 2019-05-29 2022-02-09 Water outlet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milk pow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01 2019-05-29
KR20190063501 2019-05-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679A Division KR20220030962A (en) 2019-05-29 2022-02-09 Water outlet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milk pow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018A true KR20200138018A (en) 2020-12-09

Family

ID=737871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08A KR20200138018A (en) 2019-05-29 2020-05-25 detect method
KR1020220016679A KR20220030962A (en) 2019-05-29 2022-02-09 Water outlet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milk powder
KR1020230018395A KR20230025834A (en) 2019-05-29 2023-02-12 detect method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679A KR20220030962A (en) 2019-05-29 2022-02-09 Water outlet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milk powder
KR1020230018395A KR20230025834A (en) 2019-05-29 2023-02-12 detec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00138018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834A (en) 2023-02-23
KR20220030962A (en)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9332B2 (en) Remote cooking systems and methods
US9930980B2 (en) Beverage container
US9981790B1 (en) Container lid with electronic sensors system
TWI558369B (en) Liquid ingesting management system
US20120094261A1 (en) Flow Meter for a Container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Hydration of a Patient
US9901516B2 (en) Pill management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WO2017156884A1 (en) Water dispenser, electronic device and water drinking reminding system
JP2017501086A (en) Fluid container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201501456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herein
CN103761838B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water drinking
US20100328099A1 (en) Night Light With Embedded Cellular Modem
US201500687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fant-milk Warmer
CN109640685A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US20230411002A1 (en) Night light with embedded cellular modem
CN106511099A (en) Feeding system for an infant and method of using such a system
EP2869737A1 (en) A water heater
CN104267162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food
US1142745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timed preheating for dispensed fluids
US20210335476A1 (en) Food packaging selection and handling
KR100673782B1 (en) Remote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200138018A (en) detect method
CN107438384A (en) A kind of Intelligent cup and detection method
WO2016138047A1 (en) Pill management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CN104833427A (en) Liquid temperatur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WI621094B (en) Liquid ingesting managem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