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991A -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991A
KR20200137991A KR1020200056690A KR20200056690A KR20200137991A KR 20200137991 A KR20200137991 A KR 20200137991A KR 1020200056690 A KR1020200056690 A KR 1020200056690A KR 20200056690 A KR20200056690 A KR 20200056690A KR 20200137991 A KR20200137991 A KR 2020013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thermoplastic elastomer
monomer unit
elasto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슌 다카하시
šœ 다카하시
리사 무라타
유키 아즈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991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apable of producing a molded article having a desirable appearance for non-painting applications.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two olefin polymers has a content of a component insoluble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of 20 to 50 wt%, and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of 300 seconds or more measured at 130°C.

Description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성형되는 성형체는, 높은 인장 강도나 인열 강도를 갖는 점, 한랭지에서의 사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갖는 점 등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관련의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A molded article molded from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ing an olefin polymer has high tensile strength and tear strength, and has excellent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so that it can withstand use in cold regions, for example, automobile-related members. It is used as a molding material for molding.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특정 분자량 분포 및 결정도를 갖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당해 수지 조성물은, 모노머, 가교제, 항산화제 및 핵 생성제를, 1 련 또는 2 련의 반응조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resin composition used for automobile parts including a matrix made of a propylene homopolymer or the like having a specific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crystallinity and a dispersed phase made of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In Patent Document 1, the resin composition is produced by reacting a monomer, a crosslinking agent, an antioxidant, and a nucleating agent in one or two reactors.

또, 특허문헌 2 에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그리고, 특정 밀도 및 MFR 을 갖는 2 종류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ropylene homopolymer and an ethylene-α-olefin copolymer,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and two types of ethylene-α-olefin copolymers having a specific density and MFR are essential.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containing as components are described.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3-528247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3-52824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9371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5-193710

최근,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시인 가능한 부위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를 비롯하여, 당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성형되는 성형체의, 비도장화가 검토되고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성형체는, 그 형상에 의하지 않고, 외관이 양호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resin compositions used in automobile parts and the like have been studied for non-painting of a molded article molded from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ncluding an airbag cover attached to a visible portion. The molded article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required to have a good appearance regardless of its shape.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예를 들어, 그 표면에 홈상의 박육부가 형성된 평판상의 성형체를 사출 성형하면, 당해 박육부의 근방에 있어서의 표면에 광택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 도장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정도의 양호한 외관은 얻어지지 않는다.However, when a flat molded article having a groove-like thin portion formed on its surface is injection-molded with the resin composi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gloss unevenness is likely to occur on the surface in the vicinity of the thin portion, and coating Good appearance to the extent that the process can be omitted is not obtained.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보다, 성형체의 형상에 의하지 않고 양호한 외관이 얻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for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that provides a better appearance regardless of the shape of a molded article tha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이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두께가 상이한 부위를 갖는 형상으로 사출 성형해도, 비도장 용도에 바람직한 외관을 갖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apable of producing a molded article having a desirable appearance for non-painting applications, even if injection molding into a shape having port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t is aimed at.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 및 등온 결정화 시간이, 당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물의 외관에 관여하는 것을 알아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out that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n orthodichlorobenzene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are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a molded article made of the com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 및, 등온 결정화 시간에 대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성형체가, 안정적이고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a molded article formed of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that satisfies specific conditions with respect to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n orthodichlorobenzene and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exhibits a stable and good appearanc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me to complet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inventions.

<1> 적어도 2 종의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서, 하기 요건 (I) 및 하기 요건 (II) : <1> As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two olefin polymers, the following requirement (I) and the following requirement (II):

(I)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 (I)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s 2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ealth;

(II)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130 ℃ 에서 측정되는 등온 결정화 시간이, 300 초 이상이다 ; (II)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measured at 130° C. using a heat flux ty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is 300 seconds or more;

를 만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Satisfy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2> 상기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 35 중량부인, <1> 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2>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s from 20 parts by weight to 35 parts by weight.

<3> 상기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24 중량부 ∼ 30 중량부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3>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s from 24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4> 상기 등온 결정화 시간이, 1500 초 ∼ 2000 초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4>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in which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is from 1500 seconds to 2000 seconds.

<5>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조성물로서, <5>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obtained by melt-knead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ed material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상기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고,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contains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 6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이 35 중량부 ∼ 55 중량부이며,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45 to 6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The content is from 35 parts by weight to 55 parts by weight,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는, The propylene copolymer (A),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1) 과, A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1), and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2) 를 포함하고,A monomer unit (A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상기 단량체 단위 (A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A2)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A1) 의 함유량이 95 중량부 ∼ 99.9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A2) 의 함유량이 0.1 중량부 ∼ 5 중량부이며,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unit (A1) and the monomer unit (A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1) is 95 parts by weight-99.9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2) is 0.1 parts by weight- 5 parts by weight,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는, The propylene copolymer (B),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1) 과, A monomer unit (B1) derived from propylene, and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2) 를 포함하고, And a monomer unit (B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상기 단량체 단위 (B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B2)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B1) 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 78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B2) 의 함유량이 22 중량부 ∼ 80 중량부인,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unit (B1) and the monomer unit (B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1) is from 20 parts by weight to 78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2) is from 22 parts by weight. 80 parts by weight,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n any one of <1>-<4>.

<6>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 × 105 ∼ 7.0 × 105 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 104 ∼ 1.3 × 106 인, <5> 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6>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1.0 × 10 5 to 7.0 × 10 5 ,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is 4.0 × 10 4 to 1.3 × 10 6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5>.

<7>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 × 105 ∼ 1.1 × 106 인, <5> 또는 <6> 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5> or <6>,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7> propylene copolymer (B) is 2.0 × 10 5 to 1.1 × 10 6 .

<8> 상기 가교제가, 유기 과산화물인, <5>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8>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7>, in which the crosslinking agent is an organic peroxide.

<9> 상기 가교 보조제가, 말레이미드 화합물, 다관능 비닐 화합물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인, <5>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9>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8>, wherein the crosslinking aid i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aleimide compound, a polyfunctional vinyl compound, and a polyfunctional acrylate compound. .

<10> 상기 용융 혼련을 실시하는 온도가, 170 ℃ ∼ 270 ℃ 인, <5>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10>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9>, wherei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elt-kneading is performed is from 170°C to 270°C.

<11> 상기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가, 다단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 재료인, <5>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11>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5> to <10>, in which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s a polymerization material obtained by multistage polymerization.

<12>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As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mprising a step of melt-kneading a <12>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상기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고,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contains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 6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이 35 중량부 ∼ 55 중량부이며,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45 to 6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The content is from 35 parts by weight to 55 parts by weight,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는, The propylene copolymer (A),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1) 과, A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1), and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2) 를 포함하고, A monomer unit (A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상기 단량체 단위 (A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A2) 의 100 중량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A1) 의 함유량이 95 중량부 ∼ 99.9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A2) 의 함유량이 0.1 중량부 ∼ 5 중량부이며, With respect to 100 weights of the monomer unit (A1) and the monomer unit (A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1) is from 95 parts by weight to 99.9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2) is from 0.1 parts by weight to 5 parts by weight,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는, The propylene copolymer (B),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1) 과, A monomer unit (B1) derived from propylene, and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2) 를 포함하고, And a monomer unit (B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상기 단량체 단위 (B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B2)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B1) 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 78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B2) 의 함유량이 22 중량부 ∼ 80 중량부이며,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B1) and the monomer unit (B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1) is from 20 parts by weight to 78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2) is 22 parts by weight. It is from parts to 80 parts by weight,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하기 요건 (I) 및 하기 요건 (II) :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the following requirement (I) and the following requirement (II):

(I)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 (I)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s 2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ealth;

(II)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130 ℃ 에서 측정되는 등온 결정화 시간이, 300 초 이상이다 ; (II)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measured at 130° C. using a heat flux ty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is 300 seconds or more;

를 만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Satisfying, the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13>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성형체.A molded article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n any one of <13> said <1>-<11>.

<14>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함유하는 에어백 커버.An airbag cover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n any one of <14> said <1>-<1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비도장 용도에 바람직한 외관을 갖는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그 관련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apable of producing a molded article having an appearance suitable for non-painting applications, and related technologies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각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A ∼ B」 는, 「A 이상, B 이하」를 의도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shown in the claims, and embodiments or implementations obtain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technical means disclosed in different embodiments or examples. Examples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to B" indicating a numerical range intends "A or more and B or le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적어도 2 종의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서, 요건 (I) 및 요건 (II) 의 요건을 만족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를 포함하고, 당해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에 의해, 1 종의 올레핀 중합체끼리, 또는, 적어도 2 종의 올레핀 중합체가, 서로 가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two olefin polymers, and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requirements (I) and (II).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and by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crosslinking aid, one olefin polymer or at least two olefin polymers are It has a crosslinking structure.

요건 (I) 및 요건 (II) 를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두께가 상이한 부위 (박육부) 를 갖는 형상으로 사출 성형해도, 당해 부위에 광택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도장 용도에 바람직한 외관을 갖는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필러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에 설치되는 에어백에 있어서의 에어백 커버, 몰딩 등의 자동차 외장 부품, 가전 부재, 건재, 가구 등, 잡화 등의 성형체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By satisfying the requirements (I) and (II), even i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ion-molded into a shape having a portion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thin portion), gloss unevenness is prevented in the portion. It is possible, and thus a molded article having an appearance suitable for non-painting applications can be produced. For this reason, for example, it can be suitably used for molded articles such as airbag covers and automotive exterior parts such as moldings, home appliances, building materials, furniture, etc. in airbags installed in automobile interior parts such as instrument panels and fillers. have.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용해성〕 [Solubility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요건 (I) 로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 C.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s the requirement (I) is 2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t is parts by weight.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올레핀 중합체의 비가교체와 올레핀 중합체의 가교체의 적어도 2 종의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올레핀 중합체에 있어서의 비가교체는,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용해된다. 그 한편으로, 올레핀 중합체에 있어서의 가교체는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용해되지 않고, 불용 성분으로서 용출된다. 즉, 요건 (I) 은,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용해도의 차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올레핀 중합체의 삼차원적인 가교도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s at least two types of olefin polymers, a non-crosslinked product of an olefin polymer and a crosslinked product of an olefin polymer. The non-crosslinked product in the olefin polymer contained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dissolved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On the other hand, the crosslinked product in the olefin polymer does not dissolve in 140°C orthodichlorobenzene, but elutes as an insoluble component. That is, the requirement (I) may be a three-dimensional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olefin polymer contained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ich can be analyzed using a difference in solubility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 ∼ 5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 45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 35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중량부 ∼ 30 중량부이다.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 50 중량부이면, 성형체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 C. is 20 to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They are -4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to 35 parts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24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n the 140°C orthodichlorobenzene is 20 to 50 parts by weight, the appearance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improved.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종류 및 첨가량, 용융 혼련을 실시하는 온도 및 시간 등을 조정하면 된다.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may be adjusted to the type and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crosslinking aid to be described later, the temperature and time for melt-kneading,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또한,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용해성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In addition, a method for measuring the solubility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is described in detail in Examples.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용해성〕 [Solubility in orthodichlorobenzene at 50°C]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용해도가 상이한 2 개의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용해도가 상이한 2 개의 올레핀 중합체를 병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올레핀 중합체의 등온 결정화 시간을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s two olefin polymers having different solubility in orthodichlorobenzene at 50°C. By using together two olefin polymers having different solubility in orthodichlorobenzene at 50°C,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of the olefin polymer described later can be preferably adjust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5 중량부 ∼ 65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7 중량부 ∼ 55 중량부이다.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C is preferably 45 to 6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Specifically, it is from 47 parts by weight to 55 parts by weight.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성형체의 저온 충격 성능 및 재료 강도를 저해하는 일 없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 C.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without impairing the low-temperature impact performance and material strength of the resulting molded artic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 및 가용 성분의 함유량, 그리고, 이들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1000 카본당의 메틸기의 양 (CH3/1000C) 은, 이하의 크로스 분별 크로마토그래피 (CFC) 에 의해 측정 할 수 있고,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and the 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C,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amount of methyl group per 1000 carbon (CH 3 /1000C) are as follows: It can be measured by cross fractionation chromatography (CFC), and the measurement method is described in detail in Examples.

〔등온 결정화 시간〕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요건 (II) 로서,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130 ℃ 에서 측정되는 등온 결정화 시간이, 300 초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초 ∼ 3000 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초 ∼ 3000 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초 ∼ 2000 초이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requirement (II), has an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measured at 130°C using a heat flux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of 300 seconds or more, more preferably 300 seconds to 3000 Seconds, more preferably 500 seconds to 3000 seconds, still more preferably 1500 seconds to 2000 seconds.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있어서의 등온 결정화 시간이 상기 범위 중, 300 초 이상이면, 성형체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2000 초 이하이면, 성형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300 seconds or more in the above range, the appearance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improved, and if it is 2000 seconds or less, the rigidity of the molded articl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등온 결정화 시간은,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is a value measured using the following method.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평활한 플레이트 사이에 끼우고, 230 ℃, 1 MPa 로 5 분간 프레스하고, 냉각하여 얻어지는 프레스 시트 (두께 0.2 mm) 를, 측정 시료로서 사용한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sandwiched between smooth plates, pressed at 230° C. and 1 MPa for 5 minutes, and cooled, and a press sheet (thickness 0.2 mm) obtained i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 시료를, 질소 분위기하, 200 ℃ 에서 5 분간 유지한 후에, 320 ℃ ∼ 340 ℃/분으로 130 ℃ 까지 냉각하여 유지한다. 이때의 시료의 결정화에 의한 발열량과 시간의 관계를 측정하고, 총 발열량의 1/2 의 발열량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등온 결정화 시간 (초) 으로 한다.Using a heat flux ty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measurement sample is held at 200°C for 5 minutes in a nitrogen atmosphere, and then cooled to 130°C at 320°C to 340°C/min and main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orific value and time due to crystallization of the sample at this time is measured,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calorific value of 1/2 of the total calorific value is taken as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second).

(기타 물성) (Other properties)

또,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이하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composition further satisfies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JIS K7210 : 1999 에 준거하여 측정한 온도 230 ℃, 측정 하중 21.18 N 에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얻어지는 성형체의 외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g/10 분 ∼ 50 g/10 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g/10 분 ∼ 30 g/10 분이다.The melt flow rate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t a temperature of 230° C. and a measurement load of 21.18 N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210:1999 is preferably 1 g/10 min to 50 g/10 min from the viewpoint of the appearance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And more preferably 5 g/10 minutes to 30 g/10 minutes.

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융해 온도는, 얻어지는 성형체의 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 이상이다. 또, 이 융해 온도는, 통상 175 ℃ 이하이다. 융해 온도는, 시차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승온 조작 시의 시차주사 열량 곡선에 있어서, 피크 온도가 가장 큰 흡열 피크의 피크 온도이다. 시차주사 열량계에 의한 시차주사 열량 곡선의 측정은, 다음의 조건으로 실시하고, 승온 조작에서의 시차주사 열량 곡선으로부터 융해 온도를 구하면 된다.Further,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preferably 140°C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145°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the rigidity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Moreover, this melting temperature is 175 degreeC or less normally. The melting temperature is the peak temperature of the endothermic peak with the largest peak temperature in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at the time of the temperature increase operation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measurement of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is carried ou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the melting temperature may be determined from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in the heating operation.

〔올레핀 중합체〕 [Olefin polyme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올레핀 중합체로서, 삼차원적으로 가교한 가교체와, 삼차원적으로 가교하고 있지 않은 비가교체의 적어도 2 종의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의 가교체와 비가교체는 적어도 2 개의 올레핀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2 개의 올레핀 중합체는,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가용 성분인 올레핀 중합체와,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인 올레핀 중합체를 들 수 있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s, as an olefin polymer, a crosslinked product three-dimensionally crosslinked and a non-crosslinked product not three-dimensionally crosslinked,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linking of the olefin polymer The sieve and non-crosslinked may consist of at least two olefin polymers. In this case, at least two olefin polymers include an olefin polymer that is a 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C, and an olefin polymer that is an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C.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고,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가용 성분인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상기 서술한 요건 (I) 및 (II) 를 만족하도록, 올레핀 중합체의 가교체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가용 성분으로서의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contains an olefin polymer and contains an olefin polymer that is a soluble component for orthodichlorobenzene at 50°C. That is, so that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requirements (I) and (II), a crosslinked product of an olefin polymer is included, and an olefin polymer as a soluble component for orthodichlorobenzene at 50° C. Can include.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중합체로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포함하고, 이들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가,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에 의해 삼차원적으로 가교한 가교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일 수 있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preferably, as an olefin polymer, contains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containing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and thes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s, It may be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mprising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ed product three-dimensionally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id.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는, 통상, 다단 중합에 의해 얻어지고,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고, 일방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중에, 타방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분산상이 균일하게 분산된 구조를 갖는 혼합물이다.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s usually obtained by multistage polymerization, contains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and is made of the other propylene copolymer in a matrix made of one propylene copolymer. It is a mix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ersed phase is uniformly dispersed.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융해 온도는,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성형체의 이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 ℃ 이상이다. 또, 이 융해 온도는, 통상 175 ℃ 이하이다. 융해 온도는, 시차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승온 조작 시의 시차주사 열량 곡선에 있어서, 피크 온도가 가장 큰 흡열 피크의 피크 온도이다. 시차주사 열량계에 의한 시차주사 열량 곡선의 측정은, 다음의 조건으로 실시하고, 승온 조작에서의 시차주사 열량 곡선으로부터 융해 온도를 구한다. 예를 들어, 융해 온도는,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구하면 된다.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s preferably 140°C or higher, and more preferably 145°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the mold releasability during injection molding. Moreover, this melting temperature is 175 degreeC or less normally. The melting temperature is the peak temperature of the endothermic peak with the largest peak temperature in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at the time of the temperature increase operation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measurement of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by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is carried ou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the melting temperature is determined from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in the heat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melting temperature may be determined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강온 조작 :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220 ℃ 에서 융해시키고, 이어서, 220 ℃ 부터 -90 ℃ 까지 5 ℃/분의 강온 속도로 강온한다.Temperature-falling operation: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s melted at 220°C, and t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from 220°C to -90°C at a temperature cooling rate of 5°C/min.

승온 조작 : 강온 조작 후, 즉시 -90 ℃ 부터 200 ℃ 까지 5 ℃/분으로 승온한다.Temperature raising operation: After the temperature reduction operation, immediately raise the temperature from -90 ℃ to 200 ℃ at 5 ℃ / min.

(프로필렌 공중합체 (A)) (Propylene copolymer (A))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1) 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2) 를 포함하고, 단량체 단위 (A1) 및 단량체 단위 (A2)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단량체 단위 (A1) 의 함유량이 95 중량% ∼ 99.9 중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 99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 98.5 중량% 이며, 단량체 단위 (A2) 의 함유량이 0.1 중량% ∼ 5 중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 3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 3 중량% 이다. 단량체 단위 (A1) 및 단량체 단위 (A2) 의 함유량이, 당해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성형체에 대해, 양호한 외관이 얻어지기 쉽다. 단량체 단위 (A2) 의 함유량은, 적외 분광법에 의해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pylene copolymer (A) is a monomer unit (A1) derived from propylene, and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2) Containing,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A1) and the monomer unit (A2) 10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1) is 95% by weight to 99.9% by weight, more preferably 97% by weight to 99% by weight. It is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97 weight%-98.5 weight%, The content of a monomer unit (A2) is 0.1 weight%-5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1 weight%-3 weight%, Further Preferably it is 1.5% by weight to 3%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1) and the monomer unit (A2) is within the range, it is easy to obtain a good appearance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2) can be determined by infrared spectroscopy.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 × 105 ∼ 7.0 × 10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5 ∼ 3.0 × 105 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preferably 1.0 × 10 5 to 7.0 × 10 5 , and more preferably 1.0 × 10 5 to 3.0 × 10 5 .

단량체 단위 (A2) 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가 4 ∼ 12 인 α-올레핀으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2-에틸-1-헥센, 2,2,4-트리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As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constituting the monomer unit (A2), 1-butene, 1-pentene, 1-hexene, 1-heptene, 1-octene, 1-nonene, 1-decene, 1 -Undecene, 1-dodecene, 3-methyl-1-butene, 3-methyl-1-pentene, 4-methyl-1-pentene, 2-ethyl-1-hexene, 2,2,4-trimethyl-1 -Pentene, etc. are mentioned.

단량체 단위 (A2) 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0 의 α-올레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onomer constituting the monomer unit (A2) is preferably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ethylene, 1-butene, 1-hexene, and 1-octene. 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The propylene copolymer (A) may be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프로필렌 공중합체 (B)) (Propylene copolymer (B))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1) 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2) 를 포함하고, 단량체 단위 (B1) 및 단량체 단위 (B2)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단량체 단위 (B1) 의 함유량이, 20 중량% ∼ 78 중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 7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 65 중량% 이다. 또, 단량체 단위 (B2) 의 함유량이, 22 중량% ∼ 80 중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 70 중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 60 중량% 이다. 단량체 단위 (B1) 및 단량체 단위 (B2) 의 함유량이, 당해 범위임으로써, 얻어지는 성형체에 대해, 양호한 외관이 얻어지기 쉽다. 단량체 단위 (B2) 의 함유량은, 적외 분광법에 의해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pylene copolymer (B) is a monomer unit (B1) derived from propylene, and a monomer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B2) Including,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B1) and the monomer unit (B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1) is from 20% by weight to 78%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30% by weight It is 70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40 weight%-65 weight%. Moreover,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2) is 22 weight%-80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30 weight%-70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35 weight%-60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1) and the monomer unit (B2) is within the range, it is easy to obtain a good appearance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2) can be determined by infrared spectroscopy.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4.0 × 104 ∼ 1.3 × 106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05 ∼ 1.1 × 106 이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is preferably 4.0 × 10 4 to 1.3 × 10 6 , and more preferably 2.0 × 10 5 to 1.1 × 10 6 .

단량체 단위 (B2) 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가 4 ∼ 12 인 α-올레핀으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2-에틸-1-헥센, 2,2,4-트리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As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constituting the monomer unit (B2), 1-butene, 1-pentene, 1-hexene, 1-heptene, 1-octene, 1-nonene, 1-decene, 1 -Undecene, 1-dodecene, 3-methyl-1-butene, 3-methyl-1-pentene, 4-methyl-1-pentene, 2-ethyl-1-hexene, 2,2,4-trimethyl-1 -Pentene, etc. are mentioned.

단량체 단위 (B2) 를 구성하는 단량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0 의 α-올레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이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onomer constituting the monomer unit (B2) is preferably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ethylene, 1-butene, 1-hexene, and 1-octene. 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The propylene copolymer (B) may be a random copolymer or a block copolymer.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는,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나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ropylene copolymer (B) specifically includes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a propylene-ethylene-1-butene copolymer, a propylene-ethylene-1-hexene copolymer, and a propylene-ethylene-1-octene copolymer. However,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propylene-ethylene copolymer or a propylene-ethylene-1-butene copolymer.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와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혼합 비율)(Mixing ratio of propylene copolymer (A) and propylene copolymer (B))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와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혼합 비율은, 얻어지는 성형체의 외관 및 저온 내충격성의 관점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함유량이 45 중량% ∼ 65 중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7 중량% ∼ 55 중량% 이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이 35 중량% ∼ 55 중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 53 중량% 이다.In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the mixing ratio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is from the viewpoint of the appearance and low-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the propylene copolymer (A)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10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45% by weight to 65% by weight, more preferably 47% by weight to 55%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is 35 It is weight%-55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45 weight%-53 weight%.

(가교제) (Crosslinking agent)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교제는,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로는, 케톤퍼옥사이드류, 디아실퍼옥사이드류,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류, 디알킬퍼옥사이드류, 퍼옥시케탈류, 퍼옥시디카보네이트류, 및 퍼옥시에스테르류를 예시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an organic peroxide as a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e said manufacturing method. As the organic peroxide, ketone peroxides, diacyl peroxides, hydroperoxides, dialkyl peroxides, peroxy ketals, peroxydicarbonates, and peroxy esters can be exemplified.

케톤퍼옥사이드류로는, 시클로헥산퍼옥사이드, 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As ketone peroxides, cyclohexane peroxide, methyl cyclohexanone peroxide, etc. are mentioned.

디아실퍼옥사이드류로는, 이소부티릴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As diacyl peroxides, isobutyryl peroxide, benzoyl peroxide, etc. are mentioned.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류로는, 2,2,4-트리메틸펜틸-2-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조하이드로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hydroperoxides include 2,2,4-trimethylpentyl-2-hydroperoxide, diisopropylbenzo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and the like.

디알킬퍼옥사이드류로는, 디쿠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As dialkyl peroxides, dicumyl peroxide,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2,5-dimethyl-2,5-di(t-butylperoxy) Hexine-3, t-butylcumyl peroxide, di-t-butyl peroxide, and the like.

퍼옥시케탈류로는, 1,1-Bis(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n-부틸-4,4-bis(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peroxyketals, 1,1-Bis(t-butylperoxy)cyclohexane, n-butyl-4,4-bis(t-butylperoxy) valerate, etc. are mentioned.

퍼옥시디카보네이트류로는,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peroxydicarbonates include di-n-propylperoxydicarbonate, di-2-ethoxyethylperoxydicarbonate, and the like.

퍼옥시에스테르류로는, 쿠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헥실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peroxy esters, cumyl peroxy neodecanoate, t-butyl peroxy pivalate, t-hexyl peroxy benzoate, etc. are mentioned.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가교제의 양은, 얻어지는 성형체의 외관의 관점에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부 ∼ 0.5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중량부 ∼ 0.40 중량부이다.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0.05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0 parts by weight to 0.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the appearance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More preferably, it is 0.20 weight part-0.40 weight part.

가교제의 배합량이 과소이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유동성이나, 얻어지는 성형체의 외관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과대이면, 얻어지는 성형체의 저온 충격 성능이나 재료 강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too small, the fluidity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the appearance of the resulting molded article may not be sufficient, and if it is excessive, the low-temperature impact performance and material strength of the resulting molded article may decrease.

(가교 보조제) (Crosslinking aid)

가교 보조제는, 가교할 수 있는 중합체의 가교도를 높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분자 내에 복수의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crosslinking aid is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crosslinkable polymer and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a compound having a plurality of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is preferably used.

이와 같은 가교 보조제로는, 말레이미드 화합물, 다관능 비닐 화합물,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a crosslinking aid,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a maleimide compound, a polyfunctional vinyl compound, and a polyfunctional acrylate compound.

말레이미드 화합물로는,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톨루일렌비스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As a maleimide compound, N,N'-m-phenylene bismaleimide, toluylene bismaleimide, etc. are mentioned.

다관능 비닐 화합물로는, 디비닐벤젠,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a polyfunctional vinyl compound, divinylbenzene, triallyl cyanurate, triallyl isocyanurate, diallyl phthalate, etc. are mentioned.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이며,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가교 보조제로서,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등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HEMA) 등의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 등의 활성 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인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The polyfunctional acrylate compound is an ester of polyhydric alcohol and (meth)acrylic acid,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allyl(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as a crosslinking aid, for example, a poly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and a hydroxyl group such as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 You may use a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compound which is a reaction product of an acrylate.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가교 보조제의 양은, 얻어지는 성형체의 외관의 관점에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부 ∼ 0.7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중량부 ∼ 0.60 중량부이다.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id is preferably 0.05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0 parts by weight to 0.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the appearance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 More preferably, it is 0.20 weight part-0.60 weight part.

가교 보조제의 배합량이 과소이면, 얻어지는 성형체의 외관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과대이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id is too small, the appearance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 may be insufficient, and if it is excessive, the fluidity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may be insufficient.

(기타 성분) (Other ingredients)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사출 성형에서의 생산 안정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이형성을 부여시킨다는 관점에서,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의 금속염,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의 아미드, 및,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화합물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이형제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From the viewpoint of imparting releasabilit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oduction stability in injection mold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a fatty acid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a metal salt of a fatty acid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an amide of a fatty acid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and And at least one releas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of compounds consisting of esters of fatty acids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으로는,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에루크산, 리놀레산, 리시놀레산을 예시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fatty acid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include laur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behenic acid, oleic acid, erucic acid, linoleic acid, and ricinoleic acid.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의 금속염으로는, 상기 지방산과, Li, Na, Mg, Al, K, Ca, Zn, Ba, Pb 등의 금속의 염,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르산리튬,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등을 예시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al salts of fatty acids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include salts of the above fatty acids and metals such as Li, Na, Mg, Al, K, Ca, Zn, Ba, and Pb, specifically lithium stearate, sodium stearate, Calcium stearate, zinc stearate, etc. can be illustrated.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의 아미드로는, 라우르산아미드, 팔미트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스테아릴디에탄올아미드를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루크산아미드가 바람직하다.As amides of fatty acids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lauric acid amide, palmitic acid amide, stearic acid amide, oleic acid amide, erucic acid amide, methylene bis stearic acid amide, ethylene bis stearic acid amide, ethylene bis oleic acid amide, Stearyl diethanolamide can be illustrated. Among them, erucic acid amide is preferable.

탄소 원자수 5 이상의 지방산의 에스테르로는, 하기 알코올과 상기 지방산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esters of fatty acids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include the following alcohols and esters of the fatty acids.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12 하이드록시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 ; Aliphatic alcohols such as myristyl alcohol, palmityl alcohol, stearyl alcohol, behenyl alcohol, and 12 hydroxystearyl alcohol;

벤질알코올, β-페닐에틸알코올, 프탈릴알코올 등의 방향족 알코올 ; Aromatic alcohols such as benzyl alcohol, β-phenylethyl alcohol, and phthalyl alcohol;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소르비탄,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 ;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diglycerin, polyglycerin, sorbitan, sorbitol, prop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entaerythritol, and trimethylolpropane;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린디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시트르산디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ally, glycerin monooleate, glycerin dioleate, polyethylene glycol monostearate, citrate distearate, and the like may be mentioned.

상기 이형제의 함유량으로는, 사출 성형 후의 이형성과, 성형품 표면의 외관의 밸런스로부터,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 1.5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 1.0 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부 ∼ 0.50 중량부이다.The content of the release agent is preferably 0.01 parts by weight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material, from the balance between the release property after injection molding and the appearance of the molded product surface. It is 0.05 part by weight-1.0 part by weight, More preferably, it is 0.10 part by weight-0.50 part by weight.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탤크, 탄산칼슘, 소성 카올린,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무기 필러, 섬유, 목분, 셀룰로오스 파우더 등의 유기 필러, 실리콘 오일, 실리콘 검 등의 활제, 산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안료, 조핵제, 흡착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an inorganic filler such as talc, calcium carbonate, calcined kaolin, and hydrotalcite, organic fillers such as fiber, wood powder, cellulose powder, silicone oil, silicone gum, etc.,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It may contain a lubricant, an antioxidant, a weather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 heat stabilizer, a light stabilizer, a pigment, a nucleating agent, an adsorbent, and the lik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ncluding a step of melt-knead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ed material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여기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제조하는 공정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반드시 연속적으로 실시될 필요는 없지만,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시판품으로서 입수하고,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하는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and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carried out continuously, but are preferably carried out continuously. In other words,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ed material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described below is obtained as a commercial product, and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ed material is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Melt-kneading in the presence may be included.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제조 공정) (Production process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는, 이하의 제조 방법 1 및 제조 방법 2 를 들 수 있다.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the following manufacturing method 1 and manufacturing method 2 are mentioned.

<제조 방법 1> 공정 (1-1) 과 공정 (1-2) 를 포함하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1>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ncluding a process (1-1) and a process (1-2)

공정 (1-1) : 프로필렌 중합 촉매의 존재하, 다단 중합 방법에 의해,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올레핀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하여,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를 얻는 공정.Step (1-1): copolymerization of propylene with at least one olef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α-olefins having 4 to 12 carbon atoms by a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presence of a 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The process of obtaining a propylene copolymer (A).

공정 (1-2) :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존재하, 다단 중합 방법에 의해,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올레핀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하여,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얻는 공정.Step (1-2): At least one olef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α-olefins having 4 to 12 carbon atoms by a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presence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obtained in the above step And propylene are copolymerized to obtain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containing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제조 방법 2> 공정 (2-1) 과 공정 (2-2) 를 포함하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2>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ncluding the process (2-1) and the process (2-2)

공정 (2-1) : 프로필렌 중합 촉매의 존재하, 다단 중합 방법에 의해,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올레핀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하여,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얻는 공정.Step (2-1): copolymerization of propylene with at least one olef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α-olefins having 4 to 12 carbon atoms by a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presence of a 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The process of obtaining a propylene copolymer (B).

공정 (2-2) :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존재하, 다단 중합 방법에 의해,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올레핀과, 프로필렌을 공중합하여,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얻는 공정.Step (2-2): At least one olef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α-olefins having 4 to 12 carbon atoms by a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n the presence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obtained in the above step And propylene are copolymerized to obtain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containing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본 발명에 있어서, 다단 중합 방법이란,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반응 영역에 있어서, 중합 촉매의 존재하, 모노머를 중합하는 중합 방법으로서, 하기 공정 a ∼ 공정 c 를 포함하는 중합 방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s a polymerization method in which a monomer is 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catalyst in a plurality of reaction regions connected in series, and is a polymerization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a to c.

공정 a : 최상류의 제 1 반응 영역에, 중합 촉매와 모노머를 공급하고, 그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중합체를 얻는 공정.Step a: A step for obtaining a polymer by supplying a polymerization catalyst and a monomer to the uppermost first reaction region and polymerizing the monomer.

공정 b : 제 1 반응 영역에서 얻어진 중합체를, 제 1 반응 영역에 접속된 제 2 반응 영역으로 이송하는 공정.Step b: A step of transferring the polymer obtained in the first reaction zone to a second reaction zone connected to the first reaction zone.

공정 c : 상기 제 2 반응 영역에 모노머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반응 영역에서 얻어진 중합체의 존재하,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중합체를 얻는 공정.Step c: A step of supplying a monomer to the second reaction region and polymerizing the monomer in the presence of the polymer obtained in the first reaction region to obtain a polymer.

직렬로 접속된 반응 영역의 수가 3 이상인 경우, 제 3 반응 영역 이후의 반응 영역에 있어서도, 상기 공정 b 및 상기 공정 c 에 상당하는 공정을 실시한다.When the number of reaction regions connected in series is 3 or more, steps corresponding to the steps b and c are performed also in the reaction regions after the third reaction region.

상기 다단 중합으로는, 하나의 반응기 중에 하나의 반응 영역을 갖는 반응기가, 직렬로 복수 접속된 반응 장치 중에서 실시하는 경우와, 하나의 반응기 중에 복수의 반응 영역을 갖는 반응기 중에서 실시하는 경우와, 하나의 반응기 중에 하나의 반응 영역을 갖는 반응기와, 하나의 반응기 중에 복수의 반응 영역을 갖는 반응기가 접속된 반응 장치 중에서 실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In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a reactor having one reaction zone in one reactor is carried out in a reaction apparatus connected in series in plural, a case where it is carried out in a reactor having a plurality of reaction zones in one reactor, and one The case of carrying out in a reaction apparatus in which a reactor having one reaction zone in the reactor and a reactor having a plurality of reaction zones in one reactor is connected may be mentioned.

하나의 반응기 중에 복수의 반응 영역을 갖는 반응기로는, 다단 분류층형 반응기를 들 수 있다.As a reactor having a plurality of reaction zones in one reactor, a multistage split bed type reactor may be mentioned.

다단 중합 방법에 있어서의 반응 영역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공정 (1-1) 또는 상기 공정 (2-2) 에서는, 다단 중합 방법의 반응 영역의 수는 6 ∼ 10 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1-2) 또는 상기 공정 (2-1) 에서는, 다단 중합 방법의 반응 영역의 수는 2 ∼ 5 가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reaction regions in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step (1-1) or the step (2-2), the number of reaction regions in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s preferably 6 to 10. In the step (1-2) or the step (2-1), the number of reaction regions in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method is preferably 2 to 5.

상기 공정 (1-2) 또는 상기 공정 (2-1) 은, 수소 농도가 0.4 mol% 보다 높고, 또한 10 mol% 이하인 분위기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수소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5.0 mol% 이다.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aid process (1-2) or said process (2-1) in an atmosphere in which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0.4 mol% and 10 mol% or less.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more preferably 0.5 to 5.0 mo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단 중합의 1 단째에서는, 예를 들어 베셀형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0 ∼ 120 ℃ 로 할 수 있다. 중합 압력은, 예를 들어 상압 ∼ 10 MPaG 로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stage of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for example, a vessel type reactor can be used.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can be, for example, 0 to 120°C. The polymerization pressure can be, for example, normal pressure to 10 MPaG.

이어서, 다단 중합의 2 단째에서는, 예를 들어 기상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40 ∼ 8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 75 ℃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은, 예를 들어 상압 ∼ 10 MPaG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압 ∼ 2.0 MPaG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Subsequently, in the second stage of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a gas phase reactor can be us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40-80 degreeC, and, as for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40-75 degreeC, for example. The polymerization pressure is preferably, for example, from normal pressure to 10 MPaG, and more preferably from normal pressure to 2.0 MPaG.

이어서, 다단 중합의 3 단째에서는, 예를 들어 기상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0 ∼ 12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은, 예를 들어 상압 ∼ 10 MPaG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압 ∼ 2.0 MPaG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소 농도는 예를 들어 0.4 ∼ 10 vol%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in the third stage of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for example, a gas phase reactor can be use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to 0-120 degreeC, for example. The polymerization pressure is preferably, for example, from normal pressure to 10 MPaG, and more preferably from normal pressure to 2.0 MPaG. It is preferable that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for example, 0.4 to 10 vol%.

이어서, 다단 중합의 4 단째에서는, 예를 들어 기상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0 ∼ 12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은, 예를 들어 상압 ∼ 10 MPaG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압 ∼ 2.0 MPaG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소 농도는 예를 들어 0.4 ∼ 10 vol%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in the fourth stage of the multistage polymerization, a gas phase reactor can be us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to 0-120 degreeC, for example. The polymerization pressure is preferably, for example, from normal pressure to 10 MPaG, and more preferably from normal pressure to 2.0 MPaG. It is preferable that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for example, 0.4 to 10 vo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프로필렌 중합 촉매로서,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프로필렌 중합 촉매를 들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preferably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a 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obtained by bringing a solid catalyst component into contact with an organoaluminum compound is exemplif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프로필렌 중합 촉매로서, 고체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과, 외부 전자 공여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프로필렌 중합 촉매를 들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preferably used in a method for produc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a propylene polymerization catalyst obtained by contacting a solid catalyst component, an organoaluminum compound, and an external electron donor Can be mentioned.

상기 고체 촉매 성분으로는, 모노에스테르 화합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 디올디에스테르 화합물, β-알콕시에스테르 화합물 및 디에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내부 전자 공여체와, 티탄 원자와, 마그네슘 원자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고, 하기 요건 (i) ∼ (iv) 를 만족하는, 고체 촉매 성분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solid catalyst component, at least one internal electron don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noester compound,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a diol diester compound, a β-alkoxy ester compound and a diether compound, and a titanium atom And, a solid catalyst component containing a magnesium atom and a halogen atom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requirements (i) to (iv) can be preferably used.

(i) 규격 ISO15901-1 : 2005 에 따라, 수은 압입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세공 용적이 0.95 ∼ 1.80 mL/g 이며, 또한, 규격 ISO15901-1 : 2005 에 따라, 수은 압입법에 의해 측정되는 비표면적이 60 ∼ 170 ㎡/g 이다.(i) According to the standard ISO15901-1: 2005, the total pore volume measured by the mercury intrusion method is 0.95 to 1.80 mL/g, an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ISO15901-1: 2005, the ratio measured by the mercury intrusion method The surface area is 60 to 170 m 2 /g.

(ii) 규격 ISO13320 : 2009 에 따라,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10 ㎛ 이하인 성분의 누적 백분율이 6.5 % 이하이다.(ii)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ISO13320:2009, in the volume-based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measured by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components 10 µm or less is 6.5% or less.

(iii) 규격 ISO15472 : 2001 에 따라, X 선 광전자 분광법 (XPS) 에 의해 얻어지는 산소 원자의 1 s 궤도에 귀속되는 피크를 파형 분리하여 얻어지는 피크 성분 중, 결합 에너지가 532 eV 이상, 또한, 534 eV 이하의 범위에서 피크 탑을 갖는 피크 성분의 면적 (F) 에 대한, 결합 에너지가 529 eV 이상, 또한, 532 eV 미만의 범위에서 피크 탑을 갖는 피크 성분의 면적 (G) 의 비 (G/F) 가 0.33 이하이다.(iii)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ISO15472: 2001, among the peak components obtained by separating the peak attributable to the 1 s orbit of an oxygen atom obtained b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 binding energy is 532 eV or more, and 534 eV. The ratio of the area (G) of the peak component having the peak top in the range of 529 eV or more and less than 532 eV with respect to the area (F) of the peak component having a peak top in the following range (G/F ) Is 0.33 or less.

(iv) 티탄 원자 함유량이 1.50 ∼ 3.40 중량% 이다.(iv) The content of titanium atoms is 1.50 to 3.40% by weight.

이와 같은 고체 촉매 성분은, 예를 들어, 할로겐화티탄 화합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할로겐화티탄 화합물 용액과, 마그네슘 화합물을 접촉시켜, 고체 생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얻는 공정을 갖는 제조 방법으로서, 당해 공정에 있어서,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C 에 대한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A 의 비 (A/C) 가, 3 이하인, 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Such a solid catalyst component is, for example, a production method having a step of contacting a titanium halide compound solution containing a titanium halide compound and a solvent and a magnesium compound to obtain a slurry containing a solid product, in the step , The ratio (A/C) of A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to C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can be produc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catalyst component of 3 or less.

A = a/b ···(1) A = a/b ···(1)

C = a/c ···(2) C = a/c ···(2)

a : 할로겐화티탄 화합물 용액에 포함되는 할로겐화티탄 화합물의 체적 (mL) a: Volume of the titanium halide compound contained in the titanium halide compound solution (mL)

b : 할로겐화티탄 화합물 용액에 포함되는 용매의 체적 (mL) b: Volume of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titanium halide compound solution (mL)

c : 고체 생성물을 포함하는 슬러리에 포함되는 용매의 체적 (mL) c: Volume of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slurry containing the solid product (mL)

내부 전자 공여체로서 사용되는 모노에스테르 화합물로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지방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로는, 벤조산메틸, 벤조산에틸, 벤조산프로필, 벤조산부틸, 벤조산펜틸, 벤조산헥실, 벤조산옥틸, 톨루산메틸, 톨루산에틸, 톨루산프로필, 톨루산부틸, 톨루산펜틸, 톨루산헥실 및 톨루산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로는,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펜틸, 아세트산헥실, 아세트산옥틸,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프로필, 프로피온산부틸, 프로피온산펜틸, 프로피온산헥실, 프로피온산옥틸, 부티르산메틸,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프로필, 부티르산부틸, 부티르산펜틸, 부티르산헥실, 부티르산옥틸, 발레르산메틸, 발레르산에틸, 발레르산프로필, 발레르산부틸, 발레르산펜틸, 발레르산헥실, 발레르산옥틸, 카프로산메틸, 카프로산에틸, 카프로산프로필, 카프로산부틸, 카프로산펜틸, 카프로산헥실, 카프로산옥틸, 에난트산메틸, 에난트산에틸, 에난트산프로필, 에난트산부틸, 에난트산펜틸, 에난트산헥실, 에난트산옥틸, 카프릴산메틸, 카프릴산에틸, 카프릴산프로필, 카프릴산부틸, 카프릴산펜틸, 카프릴산헥실, 카프릴산옥틸, 펠라르곤산메틸, 펠라르곤산에틸, 펠라르곤산프로필, 펠라르곤산부틸, 펠라르곤산펜틸, 펠라르곤산헥실, 펠라르곤산옥틸, 카프르산메틸, 카프르산에틸, 카프르산프로필, 카프르산부틸, 카프르산펜틸, 카프르산헥실, 카프르산옥틸, 라우르산메틸,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프로필, 라우르산부틸, 라우르산펜틸, 라우르산헥실, 라우르산옥틸, 미리스트산메틸, 미리스트산에틸, 미리스트산프로필, 미리스트산부틸, 미리스트산펜틸, 미리스트산헥실, 미리스트산옥틸, 팔미트산메틸, 팔미트산에틸, 팔미트산프로필, 팔미트산부틸, 팔미트산펜틸, 팔미트산헥실, 팔미트산옥틸, 마르가르산메틸, 마르가르산에틸, 마르가르산프로필, 마르가르산부틸, 마르가르산펜틸, 마르가르산헥실, 마르가르산옥틸, 스테아르산메틸, 스테아르산에틸, 스테아르산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스테아르산펜틸, 스테아르산헥실 및 스테아르산옥틸 등을 들 수 있다.As the monoester compound used as an internal electron donor, an aromatic 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and an aliphatic 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are preferable. Examples of the aromatic 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include methyl benzoate, ethyl benzoate, propyl benzoate, butyl benzoate, pentyl benzoate, hexyl benzoate, octyl benzoate, methyl toluate, ethyl toluate, propyl toluate, butyl toluate, pentyl toluate, Hexyl toluate, octyl toluate, and the like. As an aliphatic 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butyl acetate, pentyl acetate, hexyl acetate, oct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propyl propionate, butyl propionate, pentyl propionate, hexyl propionate, octyl propionate , Methyl butyrate, ethyl butyrate, propyl butyrate, butyl butyrate, pentyl butyrate, hexyl butyrate, octyl butyrate, methyl valerate, ethyl valerate, propyl valerate, butyl valerate, pentyl valerate, hexyl valerate, octyl valerate, Methyl caproate, ethyl caproate, propyl caproate, butyl caproate, pentyl caproate, hexyl caproate, octyl caproate, methyl enanthate, ethyl enanthate, propyl enanthate, butyl enanthate, pentyl enanthate, enanthate Hexyl, octyl enanthate, methyl caprylate, ethyl capryate, propyl caprylate, butyl caprylate, pentyl caprylate, hexyl caprylate, octyl caprylate, methyl pelargonate, ethyl pelargonate , Propyl pelargonate, butyl pelargonate, pentyl pelargonate, hexyl pelargonate, octyl pelargonate, methyl caprate, ethyl caprate, propyl caprate, butyl caprate, pentyl caprate , Hexyl caprate, octyl caprate, methyl laurate, ethyl laurate, propyl laurate, butyl laurate, pentyl laurate, hexyl laurate, octyl laurate, methyl myristic , Ethyl myristic acid, propyl myristic acid, butyl myristic acid, pentyl myristic acid, hexyl myristic acid, octyl myristic acid, methyl palmitate, ethyl palmitate, propyl palmitate, butyl palmitate , Pentyl palmitate, hexyl palmitate, octyl palmitate, methyl margarate, ethyl margarate, propyl margarate, butyl margarate, pentyl margarate, hexyl margarate, octyl margarate , Methyl stearate, ethyl stearate, propyl stearate, butyl stearate, pentyl stearate, hexyl stearate, octyl stearate, and the like.

내부 전자 공여체로서 사용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로는, 에탄 2 산디메틸, 에탄 2 산디에틸, 에탄 2 산디프로필, 에탄 2 산디부틸, 에탄 2 산디펜틸, 에탄 2 산디헥실, 에탄 2 산디옥틸, 프로판 2 산디메틸, 프로판 2 산디에틸, 프로판 2 산디프로필, 프로판 2 산디부틸, 프로판 2 산디펜틸, 프로판 2 산디헥실, 프로판 2 산디옥틸, 부탄 2 산디메틸, 부탄 2 산디에틸, 부탄 2 산디프로필, 부탄 2 산디부틸, 부탄 2 산디펜틸, 부탄 2 산디헥실, 부탄 2 산디옥틸, 펜탄 2 산디메틸, 펜탄 2 산디에틸, 펜탄 2 산디프로필, 펜탄 2 산디부틸, 펜탄 2 산디펜틸, 펜탄 2 산 디헥실, 펜탄 2 산디옥틸, 헥산 2 산디메틸, 헥산 2 산디에틸, 헥산 2 산디프로필, 헥산 2 산디부틸, 헥산 2 산디펜틸, 헥산 2 산디헥실, 헥산 2 산디옥틸, (E)-부타-2-엔 2 산디메틸, (E)-부타-2-엔 2 산디에틸, (E)-부타-2-엔 2 산디프로필, (E)-부타-2-엔 2 산디부틸, (E)-부타-2-엔 2 산디펜틸, (E)-부타-2-엔 2 산디헥실, (E)-부타-2-엔 2 산디옥틸, (Z)-부타-2-엔 2 산디메틸, (Z)-부타-2-엔 2 산디에틸, (Z)-부타-2-엔 2 산디프로필, (Z)-부타-2-엔 2 산디부틸, (Z)-부타-2-엔 2 산디펜틸, (Z)-부타-2-엔 2 산디헥실, (Z)-부타-2-엔 2 산디옥틸,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메틸,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에틸,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프로필,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부틸,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펜틸,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헥실,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옥틸, 1,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메틸, 1,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에틸, 1,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프로필, 1,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부틸, 1,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펜틸, 1,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헥실, 1,2-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디옥틸, 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메틸, 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에틸, 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프로필, 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부틸, 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펜틸, 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헥실, 3-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옥틸, 3,6-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메틸, 3,6-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에틸, 3,6-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프로필, 3,6-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부틸, 3,6-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펜틸, 3,6-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헥실 및 3,6-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디옥틸 등을 들 수 있다.As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used as an internal electron donor, ethane 2 acid dimethyl, ethane 2 acid diethyl, ethane 2 acid dipropyl, ethane 2 acid dibutyl, ethane 2 acid dipentyl, ethane 2 acid dihexyl, ethane 2 acid di Octyl, Propane 2 Dimethyl Acid, Propane 2 Diethyl, Propane 2 Dipropyl, Propane 2 Dibutyl, Propane 2 Dipentyl, Propane 2 Dihexyl, Propane 2 Dioctyl, Butane 2 Dimethyl San, Butane 2 Diethyl Diethyl, Butane 2 Sandipropyl, Butane 2 Sandibutyl, Butane 2 Sandipentyl, Butane 2 Sandihexyl, Butane 2 Sandioctyl, Pentane 2 Dimethyl, Pentane 2 Diethyl, Pentane 2 Sandipropyl, Pentane 2 Sandibutyl, Pentane 2 Sandipentyl, Dihexyl pentane, Dioctyl pentane 2, Diethyl hexane 2, Diethyl hexane 2 Diethyl hexane, Dipropyl hexane 2 Dibutyl hexane, Dipentyl hexane 2 Dihexyl hexane 2 Dioctyl hexane 2, (E) -Buta-2-ene 2 acid dimethyl, (E)-buta-2-ene 2 acid diethyl, (E)-buta-2-ene 2 acid dipropyl, (E)-buta-2-ene 2 acid dibutyl, ( E)-buta-2-ene 2 sandipentyl, (E)-buta-2-ene 2 sandihexyl, (E)-buta-2-ene 2 sandioctyl, (Z)-buta-2-ene 2 acid Dimethyl, (Z)-buta-2-ene 2 acid diethyl, (Z)-buta-2-ene 2 acid dipropyl, (Z)-buta-2-ene 2 acid dibutyl, (Z)-buta-2-ene 2 Sandipentyl, (Z)-buta-2-ene 2 Sandihexyl, (Z)-buta-2-ene 2 Sandioctyl, 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methyl, cyclohexane-1,2 -Diethyl dicarboxylic acid, 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propyl, 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butyl, 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pentyl, cyclohexane- 1,2-dicarboxylic acid dihexyl, 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octyl, 1,2-cyclohexene-1,2-dicarboxylic acid dimethyl, 1,2-cyclohexene-1,2 -Diethyl dicarboxylic acid, 1,2-cyclohexene-1,2-dicarboxylic acid dipropyl, 1,2-cyclohexene-1,2-dibutyl dicarboxylic acid, 1,2-cyclohexene-1, 2-dicarboxylic acid dipentyl, 1,2-cyclohexene-1,2-dicarboxylic acid di Hexyl, 1,2-cyclohexene-1,2-dicarboxylic acid dioctyl, 3-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methyl, 3-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ethyl , 3-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propyl, 3-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butyl, 3-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pentyl, 3-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hexyl, 3-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octyl, 3,6-di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methyl, 3,6-di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ethyl, 3,6-di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propyl, 3,6-dimethylcyclohexane-1,2-dicar Dibutyl acid, 3,6-di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pentyl, 3,6-dimethylcyclohexane-1,2-dicarboxylic acid dihexyl and 3,6-dimethylcyclohexane-1 And dioctyl, 2-dicarboxylic acid.

내부 전자 공여체로서 사용되는 디올디에스테르 화합물로는, 1,2-디벤조에이트프로판, 1,2-디아세틸옥시프로판, 1,2-디벤조에이트부탄, 1,2-디아세틸옥시부탄, 1,2-디벤조에이트시클로헥산, 1,2-디아세틸옥시시클로헥산, 1,3-디벤조에이트프로판, 1,3-디아세틸옥시프로판, 2,4-디벤조에이트펜탄, 2,4-디아세틸옥시펜탄, 1,2-디벤조에이트시클로펜탄, 1,2-디아세틸옥시시클로펜탄, 1,2-디벤조에이트-4-tert-부틸-6-메틸벤젠, 1,2-디아세틸옥시-4-tert-부틸-6-메틸벤젠, 1,3-디벤조에이트-4-tert-부틸-6-메틸벤젠 및 1,3-디아세틸옥시-4-tert-부틸-6-메틸벤젠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diol diester compounds used as internal electron donors include 1,2-dibenzoatepropane, 1,2-diacetyloxypropane, 1,2-dibenzoatebutane, 1,2-diacetyloxybutane, 1 ,2-dibenzoatecyclohexane, 1,2-diacetyloxycyclohexane, 1,3-dibenzoate propane, 1,3-diacetyloxypropane, 2,4-dibenzoatepentane, 2,4- Diacetyloxypentane, 1,2-dibenzoatecyclopentane, 1,2-diacetyloxycyclopentane, 1,2-dibenzoate-4-tert-butyl-6-methylbenzene, 1,2-diacetyl Oxy-4-tert-butyl-6-methylbenzene, 1,3-dibenzoate-4-tert-butyl-6-methylbenzene and 1,3-diacetyloxy-4-tert-butyl-6-methylbenzene And the like.

내부 전자 공여체로서 사용되는 β-알콕시에스테르 화합물로는, 2-메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메틸, 2-메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에틸, 2-메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프로필, 2-메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부틸, 2-메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펜틸, 2-메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헥실, 2-메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옥틸, 3-메톡시-2-페닐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2-페닐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2-페닐프로피온산프로필, 3-메톡시-2-페닐프로피온산부틸, 3-메톡시-2-페닐프로피온산펜틸, 3-메톡시-2-페닐프로피온산헥실, 3-메톡시-2-페닐프로피온산옥틸,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메틸,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에틸,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프로필,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부틸,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펜틸,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헥실,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옥틸, 3-에톡시-2-페닐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2-페닐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2-페닐프로피온산프로필, 3-에톡시-2-페닐프로피온산부틸, 3-에톡시-2-페닐프로피온산펜틸, 3-에톡시-2-페닐프로피온산헥실, 3-에톡시-2-페닐프로피온산옥틸, 2-프로필옥시메틸-3,3-디메틸부탄산메틸, 2-프로필옥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에틸, 2-프로필옥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프로필, 2-프로필옥시메틸-3,3-디메틸부탄산부틸, 2-프로필옥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펜틸, 2-프로필옥시메틸-3,3-디메틸부탄산헥실, 2-프로필옥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옥틸, 3-프로필옥시-2-페닐프로피온산메틸, 3-프로필옥시-2-페닐프로피온산에틸, 3-프로필옥시-2-페닐프로피온산프로필, 3-프로필옥시-2-페닐프로피온산부틸, 3-프로필옥시-2-페닐프로피온산펜틸, 3-프로필옥시-2-페닐프로피온산헥실, 3-프로필옥시-2-페닐프로피온산옥틸, 2-메톡시벤젠카르복실산메틸, 2-메톡시벤젠카르복실산에틸, 2-메톡시벤젠카르복실산프로필, 2-메톡시벤젠카르복실산부틸, 2-메톡시벤젠카르복실산펜틸, 2-메톡시벤젠카르복실산헥실, 2-메톡시벤젠카르복실산옥틸, 2-에톡시벤젠카르복실산메틸, 2-에톡시벤젠카르복실산에틸, 2-에톡시벤젠카르복실산프로필, 2-에톡시벤젠카르복실산부틸, 2-에톡시벤젠카르복실산펜틸, 2-에톡시벤젠카르복실산헥실 및 2-에톡시벤젠카르복실산옥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β-alkoxy ester compound used as an internal electron donor include 2-m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2-m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and 2-methoxymethyl- 3,3-dimethylbutanoate propyl, 2-m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2-m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pentyl, 2-methoxymethyl-3,3-dimethyl Hexyl butanoate, 2-methoxymethyl-3,3-dimethyl octyl butanoate, 3-methoxy-2-phenylpropionate methyl, 3-methoxy-2-phenylpropionate ethyl, 3-methoxy-2-phenylpropionic acid Propyl, 3-methoxy-2-phenylpropionate butyl, 3-methoxy-2-phenylpropionate pentyl, 3-methoxy-2-phenylpropionate hexyl, 3-methoxy-2-phenylpropionate octyl, 2-ethoxy Methyl-3,3-dimethylbutanoate methyl,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ethyl,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propyl, 2-ethoxymethyl-3,3 -Butyl dimethylbutanoate,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pentyl,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hexyl,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octyl , 3-ethoxy-2-phenylpropionate methyl, 3-ethoxy-2-phenylpropionate ethyl, 3-ethoxy-2-phenylpropionate propyl, 3-ethoxy-2-phenylpropionate butyl, 3-ethoxy- 2-phenylpropionate pentyl, 3-ethoxy-2-phenylpropionate hexyl, 3-ethoxy-2-phenylpropionate octyl, 2-propyloxymethyl-3,3-dimethylbutanoate methyl, 2-propyloxymethyl-3 ,3-dimethylbutanoate ethyl, 2-propyloxymethyl-3,3-dimethylbutanoate propyl, 2-propyloxymethyl-3,3-dimethylbutanoate, 2-propyloxymethyl-3,3-dimethyl moiety Pentyl carbonate, 2-propyloxymethyl-3,3-dimethyl hexyl butanoate, 2-propyloxymethyl-3,3-dimethylbutanoate octyl, 3-propyloxy-2-phenylpropionate methyl, 3-propyloxy-2 -Ethyl phenylpropionate, 3-propyloxy-2-phenylpropionate propyl, 3-propyloxy-2-phenylpropionate butyl, 3-propyloxy-2-phenylpropionate pentyl, 3-propyloxy-2-phenylpropionate hexyl, 3 -Propyloxy-2-phenylpropionate octyl, 2-methoxybenzene carboxylic acid methyl, 2-methoxybenzene carboxylic acid ethyl, 2-methoxybenzene carboxylic acid propyl, 2-methoxybenzene carboxylic acid butyl, 2-methoxyben Pentyl zencarboxylic acid, hexyl 2-methoxybenzenecarboxylic acid, octyl 2-methoxybenzenecarboxylic acid, methyl 2-ethoxybenzenecarboxylic acid, ethyl 2-ethoxybenzenecarboxylic acid, 2-ethoxy Benzenecarboxylic acid propyl, 2-ethoxybenzenecarboxylic acid butyl, 2-ethoxybenzenecarboxylic acid pentyl, 2-ethoxybenzenecarboxylic acid hexyl, 2-ethoxybenzenecarboxylic acid octyl, and the like. .

내부 전자 공여체로서 사용되는 디에테르 화합물로는, 1,2-디메톡시프로판, 1,2-디에톡시프로판, 1,2-디프로필옥시프로판, 1,2-디부톡시프로판, 1,2-디-tert-부톡시프로판, 1,2-디페녹시프로판, 1,2-디벤질옥시프로판, 1,2-디메톡시부탄, 1,2-디에톡시부탄, 1,2-디프로필옥시부탄, 1,2-디부톡시부탄, 1,2-디-tert-부톡시부탄, 1,2-디페녹시부탄, 1,2-디벤질옥시부탄, 1,2-디메톡시시클로헥산, 1,2-디에톡시시클로헥산, 1,2-디프로필옥시시클로헥산, 1,2-디부톡시시클로헥산, 1,2-디-tert-부톡시시클로헥산, 1,2-디페녹시시클로헥산, 1,2-디벤질옥시시클로헥산, 1,3-디메톡시프로판, 1,3-디에톡시프로판, 1,3-디프로필옥시프로판, 1,3-디부톡시프로판, 1,3-디-tert-부톡시프로판, 1,3-디페녹시프로판, 1,3-디벤질옥시프로판, 2,4-디메톡시펜탄, 2,4-디에톡시펜탄, 2,4-디프로필옥시펜탄, 2,4-디부톡시펜탄, 2,4-디-tert-부톡시펜탄, 2,4-디페녹시펜탄, 2,4-디벤질옥시펜탄, 1,2-디메톡시시클로펜탄, 1,2-디에톡시시클로펜탄, 1,2-디프로필옥시시클로펜탄, 1,2-디부톡시시클로펜탄, 1,2-디-tert-부톡시시클로펜탄, 1,2-디페녹시시클로펜탄, 1,2-디벤질옥시시클로펜탄, 9,9-비스(메톡시메틸)플루오렌, 9,9-비스(에톡시메틸)플루오렌, 9,9-비스(프로필옥시메틸)플루오렌, 9,9-비스(부톡시메틸)플루오렌, 9,9-비스-tert-부톡시메틸플루오렌, 9,9-비스(페녹시메틸)플루오렌, 9,9-비스(벤질옥시메틸)플루오렌, 1,2-디메톡시벤젠, 1,2-디에톡시벤젠, 1,2-디프로필옥시벤젠, 1,2-디부톡시벤젠, 1,2-디-tert-부톡시벤젠, 1,2-디페녹시벤젠 및 1,2-디벤질옥시벤젠 등을 들 수 있다.As a dieter compound used as an internal electron donor, 1,2-dimethoxypropane, 1,2-diethoxypropane, 1,2-dipropyloxypropane, 1,2-dibutoxypropane, 1,2-di -tert-butoxypropane, 1,2-diphenoxypropane, 1,2-dibenzyloxypropane, 1,2-dimethoxybutane, 1,2-diethoxybutane, 1,2-dipropyloxybutane, 1,2-dibutoxybutane, 1,2-di-tert-butoxybutane, 1,2-diphenoxybutane, 1,2-dibenzyloxybutane, 1,2-dimethoxycyclohexane, 1,2 -Diethoxycyclohexane, 1,2-dipropyloxycyclohexane, 1,2-dibutoxycyclohexane, 1,2-di-tert-butoxycyclohexane, 1,2-diphenoxycyclohexane, 1, 2-dibenzyloxycyclohexane, 1,3-dimethoxypropane, 1,3-diethoxypropane, 1,3-dipropyloxypropane, 1,3-dibutoxypropane, 1,3-di-tert-part Toxoxypropane, 1,3-diphenoxypropane, 1,3-dibenzyloxypropane, 2,4-dimethoxypentane, 2,4-diethoxypentane, 2,4-dipropyloxypentane, 2,4- Dibutoxypentane, 2,4-di-tert-butoxypentane, 2,4-diphenoxypentane, 2,4-dibenzyloxypentane, 1,2-dimethoxycyclopentane, 1,2-diethoxycyclo Pentane, 1,2-dipropyloxycyclopentane, 1,2-dibutoxycyclopentane, 1,2-di-tert-butoxycyclopentane, 1,2-diphenoxycyclopentane, 1,2-dibenzyl Oxycyclopentane, 9,9-bis(methoxymethyl)fluorene, 9,9-bis(ethoxymethyl)fluorene, 9,9-bis(propyloxymethyl)fluorene, 9,9-bis(part Oxymethyl)fluorene, 9,9-bis-tert-butoxymethylfluorene, 9,9-bis(phenoxymethyl)fluorene, 9,9-bis(benzyloxymethyl)fluorene, 1,2- Dimethoxybenzene, 1,2-diethoxybenzene, 1,2-dipropyloxybenzene, 1,2-dibutoxybenzene, 1,2-di-tert-butoxybenzene, 1,2-diphenoxybenzene and 1,2-dibenzyloxybenzene, etc. are mentioned.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46699호에 기재된 내부 전자 공여체도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the internal electron donor describ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1-246699 can also be applied.

내부 전자 공여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디카르복실산에스테르 화합물, 디올디에스테르 화합물 및 β-알콕시에스테르 화합물이다. 내부 전자 공여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internal electron donors, preferably, they are a di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 a diol diester compound, and a β-alkoxy ester compound. Each of the internal electron donor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2319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트리알킬알루미늄, 트리알킬알루미늄과 디알킬알루미늄할라이드의 혼합물, 또는, 알킬알루목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 iso-부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과 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의 혼합물 또는 테트라에틸디알루목산이다. As an organoaluminum compound, the compound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0-212319 can be illustrated, for example. Among them, preferably, trialkyl aluminum, a mixture of trialkyl aluminum and dialkyl aluminum halide, or alkyl alumoxane, more preferably triethyl aluminum, tri iso-butyl aluminum, triethyl aluminum and diethyl aluminum A mixture of chlorides or tetraethyldialumoxane.

외부 전자 공여체로는, 일본 특허공보 제29501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969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73870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68545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산소 함유 화합물 또는 질소 함유 화합물이다. 산소 함유 화합물로서, 알콕시규소, 에테르, 에스테르, 및 케톤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알콕시규소 또는 에테르이며,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에틸디메톡시실란, 디 iso-프로필디메톡시실란, tert-부틸에틸디메톡시실란, tert-부틸-n-프로필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디페닐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부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iso-부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sec-부틸트리에톡시실란, 시클로헥실트리에톡시실란, 시클로펜틸트리에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As the external electron donor, the compound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95016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9693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173870,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168545 can be exemplified. Among them, an oxygen-containing compound or a nitrogen-containing compound is preferred. As the oxygen-containing compound, alkoxy silicon, ether, ester, and ketone can be illustrated. Among them, preferably alkoxy silicon or ether, and cyclohexylmethyldimethoxysilane, cyclohexylethyldimethoxysilane, di iso-propyldimethoxysilane, tert-butylethyldimethoxysilane, tert-butyl-n-propyldime Toxoxysilane, phenyltrimethoxysilane, diphenyldimethoxysilane, dicyclobutyldimethoxysilane, dicyclopentyldimethoxysilane, tetraethoxysilane, methyltriethoxysilane, ethyltriethoxysilane, iso-butyltri Ethoxysilane, vinyl triethoxysilane, sec-butyl triethoxysilane, cyclohexyl triethoxysilane, and cyclopentyl triethoxysilane are mentioned.

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펜탄, 이소펜탄, 헥산, 헵탄, 옥탄, 시클로헥산, 벤젠 및 톨루엔 등의 불활성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The solvent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olid catalyst component is preferably an inert hydrocarbon such as propane, butane, isobutane, pentane, isopentane, hexane, heptane, octane, cyclohexane, benzene, and toluene.

본 발명의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제조 방법은, 추가로, 고체 촉매 성분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소량의 올레핀을 중합시켜, 그 올레핀의 중합체로 표면이 덮인 촉매 성분을 생성시키는 공정 (그 중합은 통상, 예비 중합으로 일컬어지고, 따라서 그 촉매 성분은 통상, 예비 중합 촉매 성분으로 일컬어진다) 을 포함해도 된다. 예비 중합에 사용되는 올레핀은, 본 중합에 있어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올레핀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예비 중합 공정에서는, 생성되는 올레핀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수소와 같은 연쇄 이동제를 사용해도 되고, 외부 전자 공여체를 사용해도 된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tep of polymerizing a small amount of olefin in the presence of a solid catalyst component and an organoaluminum compound to produce a catalyst component covered with a polymer of the olefin (the The polymerization is usually referred to as prepolymerization, and therefore, the catalyst component may also include (usually referred to as a prepolymerization catalyst component). The olefin used in the prepolymerization is at least one of the olefin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n the polymerization. In the prepolymerization step, a chain transfer agent such as hydrogen may be used or an external electron donor may be used in order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esulting olefin polymer.

일 양태에 있어서, 예비 중합에서는,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은, 고체 촉매 성분에 포함되는 천이 금속 원자 1 몰당 0.1 ∼ 700 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 ∼ 200 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외부 전자 공여체는, 고체 촉매 성분에 포함되는 천이 금속 원자 1 몰당 0.01 ∼ 400 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1 L 당에 포함되는 고체 촉매 성분은 1 ∼ 500 g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중합되는 올레핀의 양은, 고체 촉매 성분 1 g 당, 통상, 0.1 ∼ 200 g 이다. In one aspect, in the prepolymerization, the organoaluminum compound is preferably 0.1 to 700 mol, and preferably 0.2 to 200 mol per 1 mol of transition metal atoms contained in the solid catalyst component. Further, the external electron donor is preferably 0.01 to 400 moles per mole of the transition metal atom contained in the solid catalyst compon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id catalyst component contained per 1 L of the solvent is 1 to 500 g. The amount of olefin to be prepolymerized is usually 0.1 to 200 g per 1 g of the solid catalyst component.

〔용융 혼련 공정〕 [Melt and knead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하는 용융 혼련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 production method including a melt-kneading step of melt-kneading the above-described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함으로써, 프로필렌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가, 가교성의 단량체 단위로서 작용하고,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적어도, 사슬형 구조를 갖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비가교체, 및, 가교성의 단량체 단위를 많이 함유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가교체를 함유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추가로,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가교체,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비가교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비가교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가교체,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비가교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 monomer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in a propylene copolymer by melt-knead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material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The unit acts as a crosslinkable monomer unit and forms a crosslinked structure. Therefore,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s at least a non-crosslinked produc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having a chain structure and a crosslinked produc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crosslinkable monomer units.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crosslinked produc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and a non-crosslinked produc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s a non-crosslinked produc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a crosslinked produc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and a non-crosslinked produc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를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에 첨가하는 타이밍은, 동시여도 되고 따로따로여도 되고, 또, 어느 것을 먼저 첨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압출기의 상류측에서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공급하고, 이 공급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또는 그것보다 하류측에서, 가교제 및/또는 가교 보조제를 공급해도 된다.The timing of adding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crosslinking aid to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may be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or may be added first. For example,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may be supplied from the upstream side of an extruder, and a crosslinking agent and/or a crosslinking aid may be suppli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upply position or at a downstream side thereof.

용융 혼련을 실시하는 온도는, 첨가하는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용융 혼련 후의 각 성분이 충분히 가교되는 정도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70 ℃ ∼ 270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250 ℃ 이다.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elt-kneading is performed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rosslinking agent and the crosslinking aid to be added, but it is preferably a temperature such that each component after melt-kneading is sufficiently crosslinked, for example, 170°C to 270°C, and more Preferably it is 180-250 degreeC.

용융 혼련을 실시하는 시간은, 첨가하는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용융 혼련 후의 각 성분이 충분히 가교되는 정도의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0.1 ∼ 5.0 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2.0 분이다.The time to perform melt-kneading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rosslinking agent and crosslinking aid to be added, but it is preferably a time such that each component is sufficiently crosslinked after melt-kneading, and is, for example, 0.1 to 5.0 minutes, more preferably. It is 0.3 to 2.0 minutes.

〔사출 성형 공정〕 [Injection molding process]

사출 성형 시의 성형 온도는 일반적으로 150 ℃ ∼ 3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180 ℃ ∼ 280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 250 ℃ 이다. 금형의 온도는 통상 0 ℃ ∼ 1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20 ℃ ∼ 90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 8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75 ℃ 이다.The mold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injection molding is generally 150°C to 300°C, preferably 180°C to 280°C, and more preferably 200°C to 250°C. The temperature of the mold is usually 0°C to 100°C, preferably 20°C to 90°C, more preferably 40°C to 80°C, and still more preferably 50°C to 75°C.

실시예Example

〔참고예 1〕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 [Reference Example 1] Preparation of solid catalyst component

공정 (1-1) : 교반기, 적하 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100 mL 용량의 플라스크를 질소로 치환하고, 이어서, 당해 플라스크에, 톨루엔 36.0 mL, 및 4 염화티탄 22.5 mL 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4 염화티탄 용액을 얻었다.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0 ℃ 로 한 후, 동일 온도에서 마그네슘디에톡사이드 1.88 g 을 30 분 간격으로 4 회로 나누어 투입하고, 0 ℃ 에서 1.5 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에틸 0.60 mL 를 플라스크 내에 투입하고,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10 ℃ 로 승온시켰다. 그 후, 동일 온도에서 2 시간 교반하고, 톨루엔 9.8 mL 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 내의 온도를 승온시키고, 60 ℃ 의 시점에서 플라스크 내에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에틸 3.15 mL 를 투입하고, 110 ℃ 까지 승온시켰다. 동일 온도에서 3 시간, 플라스크 내의 혼합물을 교반하였다.Step (1-1): A 100 mL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dropping funnel, and thermometer was replaced with nitrogen, and then 36.0 mL of toluene and 22.5 mL of titanium tetrachloride were added to the flask, followed by stirring. 4 A titanium chloride solution was obtained. After the temperature in the flask was set to 0°C, 1.88 g of magnesium diethoxide was divided into 4 times at 30 minute intervals at the same temperature, and stirred at 0°C for 1.5 hours. Subsequently, 0.60 mL of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ethyl was put into the flask, and the temperature in the flask was raised to 10°C. Then, it stirred at the same temperature for 2 hours, and 9.8 mL of toluene was added. Subsequently, the temperature in the flask was raised, and 3.15 mL of ethyl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was added into the flask at the time point at 60°C,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10°C. The mixture in the flask was stirred for 3 hours at the same temperature.

얻어진 혼합물을 고액 분리하여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고체를, 100 ℃ 에서 톨루엔 56.3 mL 로 3 회 세정하였다. The obtained mixture was solid-liquid separated to obtain a solid. The obtained solid was washed 3 times with 56.3 mL of toluene at 100°C.

공정 (1-2) : 상기 공정 (1-1) 에서 얻어진 세정 후의 고체에, 톨루엔 38.3 mL 를 투입하여,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그 슬러리에 4 염화티탄 15.0 mL, 2-에톡시메틸-3,3-디메틸부탄산에틸 0.75 mL 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조제하고, 110 ℃ 에서 1 시간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어서, 교반한 혼합물을 고액 분리하고, 얻어진 고체를, 60 ℃ 에서 톨루엔 56.3 mL 로 3 회 세정하고, 추가로 실온에서 헥산 56.3 mL 로 3 회 세정하고, 세정 후의 고체를 감압 건조하여 고체 촉매 성분을 얻었다.Step (1-2): To the washed solid obtained in the step (1-1), 38.3 mL of toluene was added to prepare a slurry. 15.0 mL of titanium tetrachloride and 0.75 mL of ethyl 2-ethoxymethyl-3,3-dimethylbutanoate were added to the slurry to prepare a mixture,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110°C for 1 hour. Then, the stirred mixture was solid-liquid separation, and the obtained solid was washed three times with 56.3 mL of toluene at 60°C, and further washed three times with 56.3 mL of hexane at room temperature, and the washed solid was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solid catalyst component. Got it.

이 고체 촉매 성분에 대해, 티탄 원자 함유량은 2.53 중량% 이며, 에톡시기 함유량은 0.44 중량% 이며, 내부 전자 공여체 함유량은 13.7 중량% 였다. With respect to this solid catalyst component, the titanium atom content was 2.53 weight%, the ethoxy group content was 0.44 weight%, and the internal electron donor content was 13.7 weight%.

또,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중심 입경은 59.5 ㎛ 이며, 체적 기준의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10 ㎛ 이하인 성분의 누적 백분율은 5.3 % 였다. Moreover, the central particle diameter measured by the laser diffraction/scattering method was 59.5 µm, and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components 10 µm or less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a volume basis was 5.3%.

XPS 에 의해 얻어지는 산소 원자의 1s 궤도에서 유래하고, 결합 에너지가 532 ∼ 534 eV 의 범위에서 피크 탑을 갖는 피크 성분량은 85.0 % 이며, 상기 결합 에너지가 529 eV 이상, 532 eV 미만의 범위에서 피크 탑을 갖는 피크 성분량은 15.0 % 였다.The amount of the peak component originating from the 1s orbital of the oxygen atom obtained by XPS and having a peak top in the range of 532 to 534 eV of binding energy is 85.0%, and the amount of peak components in the range of 529 eV or more and less than 532 eV of the binding energy The amount of the peak component having was 15.0%.

수은 압입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세공 용적은 1.43 mL/g 이며, 세공 반경 5 ∼ 30 nm 의 범위의 세공의 합계 용적은 0.160 mL/g 이며, 세공 반경 30 ∼ 700 nm 의 범위의 세공의 합계 용적은 0.317 mL/g 이며, 비표면적은 107.44 ㎡/g 이었다. The total pore volume measured by the mercury intrusion method is 1.43 mL/g, the total volume of pores in the range of 5 to 30 nm is 0.160 mL/g, and the total volume of pores in the range of 30 to 700 nm Was 0.317 mL/g,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was 107.44 m2/g.

〔참고예 2〕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의 제조 [Reference Example 2] Preparation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2-1) 예비 중합 (2-1) prepolymerization

내용적 3 L 의 교반기가 부착된 SUS 제 오토클레이브에, 충분히 탈수 및 탈기 처리한 n-헥산 1.0 L, 트리에틸알루미늄 (이하, 「TEA」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20 밀리몰 (mmol), t-부틸-n-프로필디메톡시실란 (전자 공여체 성분) 2.0 밀리몰을 수용시켰다. 그 중에, 참고예 1 에서 제조한 고체 촉매 성분 6 g 을 첨가하고, 오토클레이브 내의 온도를 약 10 ℃ 로 유지하면서 프로필렌 6 g 을 약 30 분에 걸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예비 중합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예비 중합 슬러리를 내용적 150 L 의 교반기가 부착된 SUS316L 제 오토클레이브로 이송하고, 액상 부탄 100 L 를 첨가하여, 예비 중합 촉매 성분의 슬러리로 하였다.In an SUS autoclave with an inner volume of 3 L equipped with a stirrer, sufficiently dehydrated and degassed n-hexane 1.0 L, triethylaluminu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TEA") 20 mmol (mmol), 2.0 mmol of t-butyl-n-propyldimethoxysilane (electron donor component) was received. Among them, 6 g of the solid catalyst component prepared in Reference Example 1 was added, and 6 g of propylene was continuously supplied over about 30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mperature in the autoclave at about 10°C to perform prepolymerization. Subsequently, the prepolymerization slurry was transferred to an SUS316L autoclave equipped with a stirrer having an inner volume of 150 L, and 100 L of liquid butane was added to obtain a slurry of the prepolymerization catalyst component.

(2-2) 본중합 (2-2) Main polymerization

슬러리 중합 반응기와 기상 반응기 3 조를 직렬로 배치한 반응 장치에 있어서, 하기 중합 공정 (2-2-1) 및 하기 중합 공정 (2-2-2) 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을 제조하고, 생성된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을 실활하는 일 없이 후단으로 이송하여, 하기 중합 공정 (2-2-3) 및 하기 중합 공정 (2-2-4) 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을 제조하였다.In a reaction apparatus in which a slurry polymerization reactor and three gas phase reactors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following polymerization step (2-2-1) and the following polymerization step (2-2-2), a propylene copolymer (A-1) Produced and transferred to the rear stage without deactivating the produced propylene copolymer (A-1), and in the following polymerization step (2-2-3) and the following polymerization step (2-2-4), a propylene copolymer ( B-1) was prepared.

중합 공정 (2-2-1) Polymerization process (2-2-1)

교반기가 부착된 SUS304 제 베셀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을 실시하였다. 즉, 프로필렌, 에틸렌, 수소, 트리에틸알루미늄, t-부틸-n-프로필디메톡시실란 및 (2-1) 에서 제조한 예비 중합 촉매 성분의 슬러리를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A vessel type reactor made of SUS304 equipped with a stirrer was used to perform copolymerization of propylene and ethylene. That is, propylene, ethylene, hydrogen, triethylaluminum, t-butyl-n-propyldimethoxysilane, and a slurry of the prepolymerization catalyst component prepared in (2-1) we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eactor, and a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 The re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중합 온도 : 50 ℃Polymerization temperature: 50 ℃

교반 속도 : 150 rpm Stirring speed: 150 rpm

반응기의 액 레벨 : 18 L Liquid level in reactor: 18 L

프로필렌의 공급량 : 20.0 kg/시간 Propylene supply: 20.0 kg/hour

에틸렌의 공급량 : 0.03 kg/시간 Ethylene supply: 0.03 kg/hour

수소의 공급량 : 24.0 NL/시간 Hydrogen supply: 24.0 NL/hour

트리에틸알루미늄의 공급량 : 37.2 밀리몰/시간 Triethylaluminum supply amount: 37.2 mmol/hour

t-부틸-n-프로필디메톡시실란의 공급량 : 7.90 밀리몰/시간 Supply amount of t-butyl-n-propyldimethoxysilane: 7.90 mmol/hour

예비 중합 촉매 성분의 슬러리의 공급량 (중합 촉매 성분 환산) : 0.42 g/시간 Supply amount of slurry of prepolymerization catalyst component (in terms of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nent): 0.42 g/hour

중합 압력 : 3.50 MPa (게이지압). Polymerization pressure: 3.50 MPa (gauge pressure).

중합 공정 (2-2-2) Polymerization process (2-2-2)

연직 방향으로 6 단의 반응 영역을 갖고, 그 중 최상단이 유동층이며, 나머지 5 단이 분류층인 다단 기상 중합 반응기를 준비하였다.A multistage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having 6 stages of reaction zon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which the uppermost stage is a fluidized bed, and the remaining 5 stages, is a fractional layer, was prepared.

중합 공정 (2-2-1) 의 베셀형 반응기로부터, 다단 기상 중합 반응기의 최상단인 유동층에,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입자 및 액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실활시키는 일 없이 연속 공급하였다.From the vessel type reactor of the polymerization step (2-2-1), the slurry containing the polypropylene copolymer particles and the liquid propylene copolymer wa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luidized bed, which is the uppermost stage of the multistage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without deactivating.

다단 기상 중합 반응기 내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입자의 단 간 이송은, 더블 밸브 방식에 의해 실시하였다. 이 이송 수단은, 상단의 반응 영역과 하단의 반응 영역을 1 인치 사이즈의 배관으로 접속하고, 배관에 2 개의 개폐 밸브를 설치하고, 하측의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측의 밸브를 개방하여, 상단의 반응 영역으로부터 밸브 사이에 파우더를 모으고, 그 후, 상측의 밸브를 폐쇄한 후에 하측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하단의 반응 영역으로 폴리프로필렌 입자를 이송하는 것이다.The interstage transfer of the polypropylene particles in the multistage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was performed by a double valve system. This transfer means connects the upper reaction region and the lower reaction region with a 1-inch-sized pipe, installs two on-off valves in the pipe, and opens the upper valve with the lower valve closed. The powder is collected between the valves from the reaction zone of, and then the upper valve is closed and the lower valve is opened to transfer the polypropylene particles to the lower reaction zone.

상기 구성의 다단 기상 중합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프로필렌, 에틸렌 및 수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로써, 각 반응 영역에 각각 유동층 또는 분류층을 형성시키고, 가스 조성 및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수소의 공급량을 컨트롤하고, 과잉 가스를 퍼지하면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을 추가로 실시하여,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을 제조하였다. 반응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From the bottom of the multistage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of the above configuration, propylene, ethylene and hydrogen were continuously supplied. Thereby, a fluidized bed or a fractionation bed is formed in each reaction zone, and the amounts of propylene, ethylene and hydrogen are controlled to keep the gas composition and pressure constant, and the propylene and ethylene are further copolymerized while purging the excess gas , To prepare a propylene copolymer (A-1). The re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중합 온도 : 65 ℃Polymerization temperature: 65 ℃

중합 압력 : 1.70 MPa (게이지압).Polymerization pressure: 1.70 MPa (gauge pressure).

당해 다단 기상 중합 반응기에 있어서, 반응기 내의 가스의 농도비는, 에틸렌/(프로필렌 + 에틸렌) 이 1.40 몰% 이며, 수소/(수소 + 프로필렌 + 에틸렌) 이 5.60 몰% 였다.In the multistage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the concentration ratio of gas in the reactor was 1.40 mol% in ethylene/(propylene+ethylene) and 5.60 mol% in hydrogen/(hydrogen+propylene+ethylene).

중합 공정 (2-2-3) Polymerization process (2-2-3)

중합 공정 (2-2-2) 의 다단 기상 중합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입자를, 유동층형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유동층형 반응기는, 가스 분산판을 구비한 것이며, 전단 (前段) 의 다단 기상 중합 반응기로부터 유동층형 반응기로의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입자의 이송 수단은, 상기 더블 밸브 방식으로 실시하였다.The particles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discharged from the multistage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of the polymerization step (2-2-2) we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luidized bed reactor. The fluidized bed reactor was equipped with a gas dispersion plate, and means for transferring the particles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from the multistage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in the front end to the fluidized bed reactor was carried out by the double valve method. .

상기 구성의 유동층형 반응기에, 프로필렌, 에틸렌 및 수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가스 조성 및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가스 공급량의 조정 및 과잉 가스의 퍼지를 실시하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입자의 존재하,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을 실시하였다. 반응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였다.Propylene, ethylene and hydrogen a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luidized bed reactor of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gas supply amount is adjusted and the excess gas is purged so that the gas composition and pressure are kept constant, while the propylene copolymer (A-1) In the presence of particles of, propylene and ethylene were copolymerized. The re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중합 온도 : 70 ℃Polymerization temperature: 70 ℃

중합 압력 : 1.60 MPa (게이지압). Polymerization pressure: 1.60 MPa (gauge pressure).

당해 유동층형 반응기에 있어서, 반응기 내의 가스의 농도비는, 에틸렌/(프로필렌 + 에틸렌) 이 45.9 몰% 이며, 수소/(수소 + 프로필렌 + 에틸렌) 이 3.10 몰% 였다.In the fluidized bed reactor, the concentration ratio of gas in the reactor was 45.9 mol% in ethylene/(propylene+ethylene) and 3.10 mol% in hydrogen/(hydrogen+propylene+ethylene).

중합 공정 (2-2-4) Polymerization process (2-2-4)

중합 공정 (2-2-3) 의 유동층형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입자를, 추가로 후단의 유동층형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중합 공정 (2-2-4) 의 유동층형 반응기는, 중합 공정 (2-2-3) 의 유동층형 반응기와 동일하게, 가스 분산판을 구비한 것이며, 중합 공정 (2-2-3) 의 유동층형 반응기로부터 중합 공정 (2-2-4) 의 유동층형 반응기로의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입자의 이송 수단은, 더블 밸브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Particles of the polypropylene copolymer discharged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of the polymerization step (2-2-3) were further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luidized bed reactor at the rear stage. The fluidized-bed reactor of the polymerization step (2-2-4) is provided with a gas distribution plate similarly to the fluidized-bed reactor of the polymerization step (2-2-3), and the polymerization step (2-2-3) The means for transferring the particles of the polypropylene copolymer from the fluidized-bed reactor to the fluidized-bed reactor of the polymerization step (2-2-4) was performed by a double valve system.

이하의 조건 이외는 상기 중합 공정 (2-2-3)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을 실시하여,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을 함유하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을 얻었다.Except for the following conditions, propylene and ethylene are copolymeriz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olymerization step (2-2-3), and a heterogeneous propylene copolymer (A-1) and a propylene copolymer (B-1) are contained. Fragile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was obtained.

중합 온도 : 70 ℃Polymerization temperature: 70 ℃

중합 압력 : 1.40 MPa (게이지압).Polymerization pressure: 1.40 MPa (gauge pressure).

당해 유동층형 반응기에 있어서, 반응기 내의 가스의 농도비는, 에틸렌/(프로필렌 + 에틸렌) 이 46.0 몰% 이며, 수소/(수소 + 프로필렌 + 에틸렌) 이 3.20 몰% 였다.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the concentration ratio of the gas in the reactor was 46.0 mol% in ethylene/(propylene+ethylene) and 3.20 mol% in hydrogen/(hydrogen+propylene+ethylene).

(2-3)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함유량 (2-3) Content of propylene copolymer (A-1) and propylene copolymer (B-1)

얻어진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중의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함유율 (XA-1)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함유율 (XB-1) 은,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및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전체의 결정 융해열량을 각각 측정하고,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에 의해 구하였다. 결정 융해열량은, 시차주사형 열분석 (DSC) 에 의해 측정하였다.The content rate (X A-1 ) of the propylene copolymer ( A-1 ) and the content rate (X B-1 ) of the propylene copolymer (B-1) in the obtained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1 are the propylene copolymer (A- 1) and the amount of heat of fusion of crystals of the entir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were measured, respectively, and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The amount of crystal fusion wa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thermal analysis (DSC).

시차주사형 열분석 (DSC) 의 조건은, 먼저, 1st 런 (1 회째의 주사) 로서, 50 ℃ 부터 220 ℃ 까지 200 ℃/분으로 승온시키고, 220 ℃ 에서 5 분간 유지하였다. 이어서, 220 ℃ 부터 180 ℃ 까지 70 ℃/분으로 강온시키고, 180 ℃ 에서 1 분간 유지하였다. 이어서, 180 ℃ 부터 50 ℃ 까지 150 ℃/분으로 강온시키고, 50 ℃ 에서 2 분간 유지하였다 (강온 과정). 다음으로 2nd 런 (2 회째의 주사) 으로서, 50 ℃ 부터 185 ℃ 까지 16 ℃/분으로 승온시켰다. 2 nd 런일 때에 있어서의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흡열 피크를 측정하고, 얻어진 피크 면적으로부터, 이하에 나타내는, (ΔHf)T 및 (ΔHf)A-1 을 구하였다. 또한, 시차주사형 열분석 (DSC) 에 사용한 1 회당의 시료의 양은, 약 5 mg 이다.The conditions of differential scanning thermal analysis (DSC) were, first, as a 1st run (first scan), the temperature was raised from 50°C to 220°C at 200°C/min, and maintained at 220°C for 5 minutes. Then, the temperature was lowered from 220°C to 180°C at 70°C/min, and maintained at 180°C for 1 minute. Then, the temperature was lowered from 180°C to 50°C at 150°C/min, and maintained at 50°C for 2 minutes (temperature lowering process). Next, in the 2nd run (second scan), the temperature was raised from 50°C to 185°C at 16°C/min. The endothermic peak of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or the propylene copolymer (A-1) at the time of the 2nd run was measured, and from the obtained peak area, (ΔHf) T and (ΔHf) A-1 shown below Obtained.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sample per one used for differential scanning thermal analysis (DSC) is about 5 mg.

XA-1 = (ΔHf)T/(ΔHf)A-1 X A-1 = (ΔHf) T /(ΔHf) A-1

XB-1 = 1-(ΔHf)T/(ΔHf)A-1 X B-1 = 1-(ΔHf) T /(ΔHf) A-1

(ΔHf)T :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전체에 포함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융해열량 (J/g)(ΔHf) T : Heat of fusion (J/g)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contained in the entir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ΔHf)A-1 :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융해열량 (J/g) (ΔHf) A-1 : Heat of fusion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J/g)

상기 조건에 의한 시차주사형 열분석 (DSC) 에 있어서,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은 실질적으로 흡열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 때문에, (ΔHf)T 를 구하기 위한 피크 면적은,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 전체-1 에 포함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에서 유래하는 피크 면적에 상당한다. 따라서, (ΔHf)T 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전체의 융해열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해지는, 당해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전체에 포함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융해열량에 상당한다.In differential scanning thermal analysis (DSC)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propylene copolymer (B-1) does not substantially exhibit an endothermic peak. For this reason, the peak area for calculating (ΔHf) T corresponds to the peak area derived from the propylene copolymer (A-1) contained in the whol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Therefore, (ΔHf) T corresponds to the heat of fusion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contained in the whol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ed material-1, which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heat of fusion of the entire heterofarsic propylene polymerized material-1 .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함유율 (XA-1)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함유율 (XB-1) 에 근거하여 구해지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한,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함유량은, 50.4 중량% 이며,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함유량은, 49.6 중량% 였다.Propylene copolymer (A-1) and propylene copolymer,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nt rate (X A-1 ) of the propylene copolymer ( A-1 ) and the content rate (X B-1 ) of the propylene copolymer (B-1)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polymer (B-1) was 50.4%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1) was 49.6% by weight.

(2-4)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A-1) (2-4) Content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the propylene copolymer (A-1) (Y A-1 )

FT-IR5200 형 (닛폰 분광 제조) 에 의해 중합 공정 (2-2-1) 및 중합 공정 (2-2-2) 에서 얻어진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A-1) 을, 다음 식을 사용하여 구하였다.From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ob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tep (2-2-1) and the polymerization step (2-2-2) by FT-IR5200 type (manufactured by Nippon Spectroscopy), the propylene copolymer ( Content (Y A-1 )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A-1) was calculated|requir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YA-1 은, 고분자 분석 핸드북 (저자 : 일본 분석 화학회 고분자 분석 연구 간담회 출판 : 키노쿠니야 서점)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해 정량하였다.Y A-1 wa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Polymer Analysis Handbook (Author: Japan Analytical Chemical Society Polymer Analysis Research Conference Publication: Kinokuniya Bookstore).

1)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 자료의 밀도 : ρ (g/㎤) 및 두께 : t (cm) 와, 파수 732 cm-1 에 있어서의 흡광도 A'732 및 파수 718 cm-1 에 있어서의 흡광도 A'718 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파수 732 cm-1 에 있어서의 겉보기의 흡광 계수 (K'732)a 및 파수 718 cm-1 에 있어서의 겉보기의 흡광 계수 (K'718)a 를 산출하였다. 또한,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 시료의 밀도는 0.9 g/㎤ 로 하였다. 또,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 시료의 두께는 시판되는 디지털 두께계 (접촉식 두께계, 상품명 : 초고정밀도 데지마이크로 헤드 MH-15M, 닛폰 광학사 제조) 로 측정하고, 0.02 cm 였다.1)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measurement data density: ρ (g/cm3) and thickness: t (cm), absorbance A'at wave number 732 cm -1 and absorbance A'at wave number 718 cm -1 by the following formula from 718, yielding a surface of the absorption coefficient (K '732) a frequency and appearance of the absorption coefficient at a 718 cm -1 (K' 718) a of the wave number 732 cm -1. 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was 0.9 g/cm 3.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was measur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digital thickness meter (contact type thickness meter, brand name: ultra-high precision Digital Micro Head MH-15M, manufactured by Nippon Optical Co., Ltd.), and was 0.02 cm.

(K'732)a = A'732/(ρt) (K' 732 ) a = A'732 /(ρt)

(K'718)a = A'718/(ρt) (K' 718 ) a = A'718 /(ρt)

2) 하기 식에 의해, 파수 732 cm-1 에 있어서의 보정 후의 흡광 계수 (K'732)c 및 파수 718 cm-1 에 있어서의 보정 후의 흡광 계수 (K'718)c 를 산출하였다.2)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732 ) c after correction at wave number 732 cm -1 and the absorption coefficient (K′ 718 ) c after correction at wave number 718 cm -1 we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K'732)c = 1/0.96{(K'732)a - 0.268(K'718)a(K' 732 ) c = 1/0.96((K' 732 ) a -0.268(K' 718 ) a

(K'718)c = 1/0.96{(K'718)a - 0.150(K'718)a(K' 718 ) c = 1/0.96((K' 718 ) a -0.150(K' 718 ) a

3) 하기 식에 의해, YA-1 (중량%) 을 산출하였다.3) Y A-1 (weight%)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YA-1 = 0.575{(K'722)c + (K'736)cY A-1 = 0.575{(K' 722 ) c + (K' 736 ) c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및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A-1) 은, 1.8 중량% 였다.The content (Y A-1 )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was 1.8%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nd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2-5)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B-1) (2-5) Content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the propylene copolymer (B-1) (Y B-1 )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B-1) 은, 얻어진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 (닛폰 분광 제조 FT-IR5200 형) 에 의해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T-C2') 측정하고,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에 의해 구하였다.The content (Y B-1 )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the propylene copolymer (B-1) is determined by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FT-IR5200 manufactured by Nippon Spectroscopy) of the obtained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Material-1 (T-C2') was measured and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YB-1 = (T - C2' - (YA-1 × XA-1))/XB-1 (중량%) Y B-1 = (T-C2'-(Y A-1 × X A-1 ))/X B-1 (wt%)

T-C2' 는, 고분자 분석 핸드북 (저자 : 일본 분석 화학회 고분자 분석 연구 간담회 출판 : 키노쿠니야 서점)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해 정량하였다.T-C2' wa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Polymer Analysis Handbook (Author: Japan Analytical Chemistry Society Polymer Analysis Research Conference Publication: Kinokuniya Bookstore).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 자료의 밀도 : ρ (g/㎤) 및 두께 : t (cm) 와, 파수 736 cm-1 에 있어서의 흡광도 A'736 및 파수 722 cm-1 에 있어서의 흡광도 A'722 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파수 736 cm-1 에 있어서의 겉보기의 흡광 계수 (K'736)a 및 파수 722 cm-1 에 있어서의 겉보기의 흡광 계수 (K'722)a 를 산출하였다. 또한,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 시료의 밀도는 0.9 g/㎤ 로 하였다. 또, 적외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 시료의 두께는 시판되는 디지털 두께계 (접촉식 두께계, 상품명 : 초고정밀도 데지마이크로 헤드 MH-15M, 니폰 광학사 제조) 로 측정하고, 0.02 cm 였다.The density of measurement data of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from t (cm) and the wave number 736 cm -1 'absorbance A of the wave number 736 and 722 cm -1' absorbance A at the 722: ρ (g / ㎤) and thickness It was calculated to the apparent extinction coefficient of the expression by the wave number 736 cm -1 (K '736) a frequency and appearance of the absorption coefficient at a 722 cm -1 (K' 722) a. 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was 0.9 g/cm 3.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measurement sample of the infrared absorption spectrum was measur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digital thickness meter (contact type thickness meter, brand name: ultra-high precision Digital Micro Head MH-15M, manufactured by Nippon Optical Co., Ltd.), and was 0.02 cm.

(K'736)a = A'736/(ρt) (K' 736 ) a = A'736 /(ρt)

(K'722)a = A'722/(ρt) (K' 722 ) a = A'722 /(ρt)

2) 하기 식에 의해, 파수 736 cm-1 에 있어서의 보정 후의 흡광 계수 (K'736)c 및 파수 722 cm-1 에 있어서의 보정 후의 흡광 계수 (K'722)c 를 산출하였다.2) The extinction coefficient (K' 736 ) c after correction at wave number 736 cm -1 and the absorption coefficient (K′ 722 ) c after correction at wave number 722 cm -1 we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K'736)c = 1/0.96{(K'736)a - 0.268(K'722)a(K' 736 ) c = 1/0.96((K' 736 ) a -0.268(K' 722 ) a

(K'722)c = 1/0.96{(K'722)a - 0.150(K'736)a(K' 722 ) c = 1/0.96((K' 722 ) a -0.150(K' 736 ) a

3) 하기 식에 의해, T-C2' (질량%) 를 산출하였다.3) T-C2' (mass%) was computed by the following formula.

T-C2' = 0.575{(K'722)c + (K'736)cT-C2' = 0.575{(K' 722 ) c + (K' 736 ) c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및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B-1) 은, 42.1 중량% 였다.The content (Y B-1 )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was 42.1%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nd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2-6)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 (2-6)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ropylene copolymer (A-1) and propylene copolymer (B-1)

후술하는 CFC 를 사용하는 측정의 조건 및 그 측정 순서에 따라,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1) was calculated|requi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measurement using CFC mentioned later and the measurement procedure.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1 × 105 이며,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7 × 105 였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1) was 5.1×10 5,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1) was 8.7×10 5 .

〔참고예 3〕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2 의 제조 [Reference Example 3] Preparation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2

표 1 에 나타내는 값 이외에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필렌 중합체 (A-2)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2) 를 함유하는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2 를 제조하였다.Except for the values shown in Table 1,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heterocycl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a propylene polymer (A-2) and a propylene copolymer (B-2) containing a heterocycl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2 were prepared.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2 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 (A-2)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2)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프로필렌 중합체 (A-2) 의 함유량 (XA-2) 는, 47.1 중량% 이며, 프로필렌 공중합체 (B-2) 의 함유량 (XB-2) 는, 52.9 중량% 였다.In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2, the content (X A-2 ) of the propylene polymer (A-2)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propylene polymer (A-2)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2 ) is , and 47.1% by weight, the content (X B-2) of propylene copolymer (B-2), was 52.9% by weight.

또, 프로필렌 중합체 (A-2) 에 있어서,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및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A-2) 는, 0.0 중량% 였다.In addition, in the propylene polymer (A-2), the content (Y A-2 )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nd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s 0.0 It was weight%.

또, 프로필렌 공중합체 (B-2) 에 있어서,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및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YB-2) 는, 47.0 중량% 였다.In addition, in the propylene copolymer (B-2), the content (Y B-2 )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nd the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s, It was 47.0% by weight.

또, 프로필렌 중합체 (A-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6 × 105 이며, 프로필렌 공중합체 (B-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9.2 × 105 였다.Moreover,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polymer (A-2) was 4.6 X 10 5,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2) was 9.2 X 10 5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사용한 재료〕 〔Material used〕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하의 재료를 사용하였다.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materials were used.

(1)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1)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의 함유량 : 50.4 중량%Content of propylene copolymer (A-1): 50.4%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의 함유량 : 49.6 중량%Content of propylene copolymer (B-1): 49.6%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A-1)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 1.8 중량%Content of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propylene copolymer (A-1): 1.8%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B-1)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 42.1 중량% Content of monomer units derived from ethylene in propylene copolymer (B-1): 42.1% by weight

(2)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2 (2)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2

프로필렌 중합체 (A-2) 의 함유량 : 47.1 중량%Content of propylene polymer (A-2): 47.1%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B-2) 의 함유량 : 52.9 중량%Content of propylene copolymer (B-2): 52.9% by weight

프로필렌 중합체 (A-2)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 0.0 중량%Content of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propylene polymer (A-2): 0.0%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B-2)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 47.0 중량% Content of monomer unit derived from ethylene in propylene copolymer (B-2): 47.0% by weight

(3)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3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노블렌 AZ564) (3)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3 (Noble AZ564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프로필렌 공중합체 (A-3) 의 함유량 : 87 중량%Content of propylene copolymer (A-3): 87%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B-3) 의 함유량 : 13 중량%Content of propylene copolymer (B-3): 13%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A-3)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 0 중량%Content of monomer units derived from ethylene in propylene copolymer (A-3): 0% by weight

프로필렌 공중합체 (B-3) 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 : 46 중량% Content of monomer units derived from ethylene in propylene copolymer (B-3): 46% by weight

(4)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1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노블렌 Z144CE4) (4) Propylene-ethylene copolymer-1 (Noblen Z144CE4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MFR = 27 g/10 분 ; 융해 온도 = 141 ℃ ;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의 함유량 = 96 중량% ;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의 함유량 = 4 중량%) MFR = 27 g/10 min; Melting temperature = 141°C; Content of monomer derived from propylene = 96% by weight; Content of ethylene-derived monomer = 4% by weight)

(5)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1 (5) Ethylene-1-octene copolymer-1

다우 케미컬사 제조, Engage 8842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Engage 8842

(밀도 = 0.857 g/㎤) (Density = 0.857 g/cm 3)

(6)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1 (6) Ethylene-1-butene copolymer-1

다우 케미컬사 제조, Engage 7487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Engage 7487

(밀도 = 0.860 g/㎤) (Density = 0.860 g/cm 3)

(7) 가교제-1 (7) crosslinking agent-1

가교제-1 로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화약 아쿠조 주식회사 제조 카야헥사 Ad-40C, 탄산칼슘 및 함수 비정질 이산화규소 등으로 40 중량% 농도로 희석한 것) 을 사용하였다.As a crosslinking agent-1,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Kayahexa Ad-40C manufactured by Explosives Akuzo Co., Ltd., calcium carbonate and hydrated amorphous silicon dioxide) at a concentration of 40% by weight Diluted) was used.

(8) 가교제-2 (8) crosslinking agent-2

가교제-2 로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화약 아쿠조 주식회사 제조 카야헥사 APO-10DL, 파라핀계 오일로 10 % 농도로 희석한 것) 을 사용하였다.As the crosslinking agent-2,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Kayahexa APO-10DL manufactured by Explosives Akuzo Co., Ltd., diluted to 10% concentration with paraffinic oil) was used. I did.

(9) 가교 보조제 (9) crosslinking aid

가교 보조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세이코 화학 주식회사 제조 하이크로스 MS-50, 무기 충전제 (비정질 실리카) 로 50 중량% 농도로 희석한 것) 를 사용하였다.As a crosslinking ai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Hycross MS-50 manufactured by Seiko Chemical Co., Ltd., diluted with an inorganic filler (amorphous silica) to a concentration of 50% by weight) was used.

(10) 기타 재료 (10) Other materials

이형제 : 에루크산아미드 (닛폰 정화 제조 뉴트론 S) Mold release agent: Erucsanamide (Nutron S manufactured by Nippon Purification)

산화 방지제 1 :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 Antioxidant 1: Irganox 1010 manufactured by BASF Japan Co., Ltd.

산화 방지제 2 :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이르가포스 168 Antioxidant 2: Irgafoss 168 manufactured by BASF Japan Co., Ltd.

산화 방지제 3 :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밀라이저 GA80 Antioxidant 3: Sumitomo Chemical Co., Ltd. Milker GA80

광 안정제 1 :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소르브 300Light stabilizer 1: Sumitomo Chemical Co., Ltd. Sumisorb 300

광 안정제 2 :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티누빈 622SF Light stabilizer 2: Tinuvin 622SF manufactured by BASF Japan Co., Ltd.

광 안정제 3 :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티누빈 XT850FF Light stabilizer 3: Tinuvin XT850FF manufactured by BASF Japan Co., Ltd.

광 안정제 4 :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티누빈 123 Light stabilizer 4: Tinuvin 123 manufactured by BASF Japan Co., Ltd.

방부제 (무기 필러) : 하이드로탈사이트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DHT-4A) Preservative (inorganic filler): Hydrotalcite (Kyowa Chemical Industries, Ltd., DHT-4A)

무기 필러 : 탄산칼슘 (시라이시칼슘 주식회사 제조, Vigot10)Inorganic filler: Calcium carbonate (manufactured by Shiraishi Calcium Co., Ltd., Vigot10)

〔실시예 1〕 [Example 1]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을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1 을 0.7 중량부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의 첨가량으로서 0.28 중량부), 가교 보조제를 0.8 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량으로서 0.4 중량부), 이형제를 0.15 중량부, 산화 방지제 1 을 0.2 중량부, 산화 방지제 2 를 0.1 중량부, 광 안정제 1 을 0.2 중량부, 광 안정제 2 를 0.1 중량부, 광 안정제 3 을 0.1 중량부, 방부제를 0.2 중량부 첨가하고, 2 축 압출기에 의해, 실린더 온도 200 ℃ 에서 약 1 분간, 용융 혼련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었다.Crosslinking agent-1 is 0.7 parts by weight (0.28 parts by weight as added amount of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crosslinking 0.8 parts by weight of an auxiliary agent (0.4 parts by weight as an added amount of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0.15 parts by weight of a release agent, 0.2 parts by weight of an antioxidant 1, 0.1 parts by weight of an antioxidant 2, 0.2 parts by weight of a light stabilizer 1 , 0.1 parts by weight of light stabilizer 2, 0.1 parts by weight of light stabilizer 3, and 0.2 parts by weight of preservative were added, and melt-kneaded by a twin-screw extruder at a cylinder temperature of 200°C for about 1 minute to obtain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Got it.

〔실시예 2 ∼ 3〕 [Examples 2 to 3]

표 2 에 나타낸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 3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xcept having used the material shown in Table 2,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of Examples 2-3.

〔실시예 4〕 [Example 4]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of Example 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no preservative was added.

〔실시예 5〕 [Example 5]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을 75 중량부,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2 를 25 중량부에 대해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1 과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2 의 합계량이 100 중량부), 가교제-1 을 0.5 중량부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의 첨가량으로서 0.20 중량부), 가교 보조제를 0.8 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량으로서 0.4 중량부), 이형제를 0.15 중량부, 산화 방지제 1 을 0.2 중량부, 산화 방지제 2 를 0.1 중량부, 광 안정제 1 을 0.2 중량부, 광 안정제 2 를 0.1 중량부, 광 안정제 3 을 0.1 중량부, 방부제를 0.2 중량부 첨가하고, 2 축 압출기에 의해, 실린더 온도 200 ℃ 에서 약 1 분간, 용융 혼련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었다.75 parts by weight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25 parts by weight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2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1 and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2), crosslinking agent -1 0.5 parts by weight (0.20 parts by weight as the addition amount of 2,5-dimethyl-2,5-di(t-butylperoxy) hexane), 0.8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ing aid (addition of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As 0.4 parts by weight), release agent 0.15 parts by weight, antioxidant 1 0.2 parts by weight, antioxidant 2 0.1 parts by weight, light stabilizer 1 0.2 parts by weight, light stabilizer 2 0.1 parts by weight, light stabilizer 3 0.1 parts by weight Part and 0.2 parts by weight of a preservative were added, and melt-kneading was performed for about 1 minute at a cylinder temperature of 200°C by a twin screw extruder to obtain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비교예 1 ∼ 5 및 8〕 [Comparative Examples 1 to 5 and 8]

표 3 에 나타낸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 5 및 8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xcept having used the material shown in Table 3,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5 and 8.

〔비교예 6〕 [Comparative Example 6]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3 을 35 중량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1 을 20 중량부,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1 을 20 중량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1 을 25 중량부에 대해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3 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1 과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1 과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1 의 합계량이 100 중량부), 가교제-2 를 2.0 중량부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의 첨가량으로서 0.2 중량부), 가교 보조제 0.5 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의 첨가량으로서 0.25 중량부), 이형제를 0.05 중량부, 산화 방지제 2 를 0.1 중량부, 산화 방지제 3 을 0.2 중량부, 광 안정제 1 을 0.2 중량부, 광 안정제 2 를 0.1 중량부, 광 안정제 4 를 0.1 중량부, 방부제를 0.2 중량부, 무기 필러를 0.6 중량부 첨가하고, 2 축 압출기에 의해, 실린더 온도 200 ℃ 에서 약 1 분간, 용융 혼련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얻었다.35 parts by weight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3, 20 parts by weight of propylene-ethylene copolymer-1, 20 parts by weight of ethylene-1-octene copolymer-1, 25 parts by weight of ethylene-1-butene copolymer-1 Based on parts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3, propylene-ethylene copolymer-1, ethylene-1-octene copolymer-1, and ethylene-1-butene copolymer-1), crosslinking agent-2 2.0 parts by weight (0.2 parts by weight as an added amount of 2,5-dimethyl-2,5-di(t-butylperoxy)hexane), 0.5 parts by weight as a crosslinking aid (0.25 parts by weight as an added amount of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Parts), release agent 0.05 parts by weight, antioxidant 2 0.1 parts by weight, antioxidant 3 0.2 parts by weight, light stabilizer 1 0.2 parts by weight, light stabilizer 2 0.1 parts by weight, light stabilizer 4 0.1 parts by weight, preservative 0.2 parts by weight and 0.6 parts by weight of an inorganic filler were added, and melt-kneading was performed by a twin screw extruder at a cylinder temperature of 200°C for about 1 minute to obtain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비교예 7〕 [Comparative Example 7]

표 3 에 나타낸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7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Except having used the material shown in Table 3,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5, and produce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7.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사출 성형체의 제조〕 [Production of injection molded article]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8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100 중량부에, 흑 안료 마스터 배치 (스미카 컬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SPEC824) 1 중량부를 첨가하고, 사출 성형기 (스미토모 중기계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SE180D) 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20 ℃, 금형 온도 25 ℃ 의 조건으로 사출 성형을 실시하였다.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1 part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master batch (trade name SPEC824 manufactured by Sumika Color Co., Ltd.) was added, and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trade name SE180D manufactured by Sumitomo Heavy Machinery Industries, Ltd.) was added. Using, injection molding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a cylinder temperature of 220°C and a mold temperature of 25°C.

금형으로서, 400 × 100 × 3 mm 의 평판 금형을 사용하고, 평판 금형의 코어측 (가동측) 에, 64 × 12.7 × 2 mm 의 수지제 평판을 설치하고, 평판 금형의 캐비티측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인서트를 설치하였다. 또, 수지제 평판을 설치한 위치에, 두께가 1.0 mm 가 되는 박육부 (티어 라인부) 를 형성하였다.As the mold, a 400 × 100 × 3 mm flat plate mold was used, a 64 × 12.7 × 2 mm resin flat plate was installed on the core side (moving side) of the flat plate mold, and embossed on the cavity side of the plate mold. The processed insert was installed. Further, a thin portion (tear line portion) having a thickness of 1.0 mm wa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resin flat plate was installed.

〔물성의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8 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사출 성형체에 대해, 이하의 방법으로 각종 물성을 평가하였다.About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and injection molded articles of Examples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8, various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1)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1) Melt flow rate (MFR)

JIS K7210 : 1999 에 준거하여, 230 ℃, 하중 21.18 N 으로 측정하였다.According to JIS K7210:1999, it measured at 230 degreeC and load 21.18N.

(2) 융해 온도 (2) melting temperature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 (TA 인스트루먼트사 제조 DS CQ100) 를 사용하여, 하기 측정 조건으로 시차주사 열량 곡선의 측정을 실시하고, 승온 조작에서의 시차주사 열량 곡선으로부터 융해 온도 (℃) 를 구하였다.Using a heat flux ty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 CQ100 manufactured by TA Instruments),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and the melting temperature (°C) was determined from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fic value curve in the temperature raising operation.

<측정 조건> <Measurement conditions>

강온 조작 : 220 ℃ 에서 융해시키고, 다음으로, 220 ℃ 부터 -90 ℃ 까지 5 ℃/분의 강온 속도로 강온하였다.Temperature-falling operation: It melt|dissolved at 220 degreeC, and then, the temperature was lowered from 220 degreeC to -90 degreeC at a temperature lowering rate of 5 degreeC/min.

승온 조작 : 강온의 조작 후, 즉시 -90 ℃ 부터 200 ℃ 까지 5 ℃/분으로 승온하였다.Temperature raising operation: After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was immediately raised from -90°C to 200°C at 5°C/min.

(3) 등온 결정화 시간 (3)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 (PerkinElmer 사 제조 DSC8500) 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시료를 200 ℃ 에서 5 분간 유지한 후에, 약 320 ℃ ∼ 340 ℃/분으로 130 ℃ 까지 냉각하여 유지한다. 이때의 시료의 결정화에 의한 발열량과 시간의 관계를 측정하고, 총 발열량의 1/2 의 발열량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등온 결정화 시간 (초) 으로 하였다.Using a heat flux ty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8500 manufactured by PerkinElmer), the sample was held at 200°C for 5 minutes in a nitrogen atmosphere, and then cooled to 130°C at about 320°C to 340°C/min and maint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lorific value and time due to crystallization of the sample at this time was measured,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calorific value of 1/2 of the total calorific value was taken as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second).

또한, 측정 시료로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평활한 플레이트 사이에 끼우고, 230 ℃, 1 MPa 로 5 분간 프레스하고, 냉각하여 얻어지는 프레스 시트 (두께 0.2 mm) 를 사용한다.In addition, as a measurement sample, a press sheet (thickness 0.2 mm) obtained by sandwich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etween smooth plates, pressing at 230° C. and 1 MPa for 5 minutes, and cooling, is used.

(4)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 (4) Content of insoluble components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하기 GPC 를 사용하는 측정의 조건, 및,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의 산출 방법에 따라,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을 구하였다.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measurement using the following GPC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GPC 를 사용하는 측정의 조건) (Measurement conditions using GPC)

GPC 장치 : HLC-8121GPC/HT (토소 주식회사 제조) GPC device: HLC-8121GPC/HT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GPC 칼럼 : TSKgel GMH6-HT 7.8 mm I.D. × 300 mm (토소 주식회사 제조) 3 개 GPC column: TSKgel GMH6-HT 7.8 mm I.D. × 300 mm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3 pieces

이동상 : 오르토디클로로벤젠 (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 주식회사 제조, 특급) 에, 중합체의 분해를 억제하는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BHT) (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 주식회사 제조, 특급, 순도 98 %) 을 0.1 w/V%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Mobile phase: 2,6-di-t-butyl-4-methylphenol (BHT) as an antioxidant that inhibits polymer decomposition in orthodichlorobenzene (manufactured by Fujifilm Wako Junyaku Co., Ltd., Limited) (Fujifilm Wako Junyaku Corporation) Co., Ltd. make, limited express, purity 98%) was added and used at 0.1 w/V%.

유속 : 1 ml/분 Flow rate: 1 ml/min

칼럼 오븐 온도 : 140 ℃ ㅇColumn oven temperature: 140 ℃ ㅇ

오토 샘플러 온도 : 140 ℃Auto sampler temperature: 140 ℃

시스템 오븐 온도 : 40 ℃System oven temperature: 40 ℃

검출 : 시차 굴절률 검출기 (RID) Detection: differential refractive index detector (RID)

RID 셀 온도 : 140 ℃ RID cell temperature: 140 ℃

시료 용액 주입량 : 300 μl Sample solution injection volume: 300 μl

용해 용매 : 이동상과 동일Dissolving solvent: same as mobile phase

용해용 자동 진탕기 : DF-8020 (토소 주식회사 제조) Automatic shaker for melting: DF-8020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시료 용액의 조제 순서 : 30 ml 용량의 스크루 바이알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20.0 mg, 및, 용해 용매 20.0 ml 를 넣어 밀전하고, 이것을 용해용 자동 진탕기에 세트하고, 140 ℃ 에서 120 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용액을, 0.8 ㎛ 이상의 구멍 지름을 갖는 필터를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여기서, 여과는, 140 ℃ 이상에서 실시하고, 또한 용매의 증발에 의한 농도 변화를 피하기 위해서 20 분간 이내에서 실시하였다. 이들 조작에 의해, GPC 측정용의 시료 용액을 조제하였다.Procedure for preparing the sample solution: 20.0 mg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20.0 ml of the dissolving solvent were put in a 30 ml screw vial, and then tightly sealed, and this was set in an automatic shaker for dissolution, followed by stirring at 140°C for 120 minutes. Subsequently, the obtained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0.8 µm or more. Here, filtration was performed at 140°C or higher, and within 20 minutes in order to avoid a change in concentration due to evaporation of the solvent. By these operations, a sample solution for GPC measurement was prepared.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의 산출 방법) (Calculation method of content of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이하의 식 (3) 에 의해,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을 산출하였다.Content of an insoluble component in 140 degreeC orthodichlorobenzene was compu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 (중량%) = (1 - B/A) × 100 ···(3) Content of insoluble components in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 by weight) = (1-B/A) × 100 ... (3)

식 (3) 중, A 는, 폴리에틸렌 표준 물질 NIST1475a 를 상기 GPC 를 사용하는 측정에 교부하고,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대해, 피크에 베이스 라인을 그음으로써 얻어지는 피크 면적이다. 또, B 는, 시료 용액을 상기 GPC 를 사용하는 측정에 교부하고,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대해, 피크에 베이스 라인을 그음으로써 얻어지는 피크 면적이다. 베이스 라인의 규정은, ISO16014-1 의 기재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In Formula (3), A is a peak area obtained by passing a polyethylene standard substance NIST1475a to the measurement using the GPC, and drawing a base line to the peak for the obtained chromatogram. In addition, B is a peak area obtained by passing a sample solution to the measurement using the GPC and drawing a baseline on the peak for the obtained chromatogram. The baseline regulation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ISO16014-1.

(5)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가용 성분 및 불용 성분의 함유량 (5) Content of Soluble Components and Insoluble Components in Orthodichlorobenzene at 50°C

하기 CFC 를 사용하는 측정의 조건에 근거하는, 산출 방법에 따라,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가용 성분 및 불용 성분의 함유량을 구하였다.According to th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conditions of measurement using the following CFC, the content of a soluble component and an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 degreeC was calculated|required.

(CFC 를 사용하는 측정의 조건) (Measurement conditions using CFC)

CFC 장치 : Polymer ChAR 사 제조 Automated 3D analyzer CFC-2 CFC device: Automated 3D analyzer CFC-2 manufactured by Polymer ChAR

TREF 칼럼 : Polymer ChAR 사 제조 스테인리스스틸 마이크로 볼 충전 칼럼TREF column: Stainless steel microball packed column manufactured by Polymer ChAR

(3/8"o.d x 150mm) (3/8"o.d x 150mm)

용매 및 GPC 이동상 : 오르토디클로로벤젠 (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 주식회사 제조, 특급) 에, 중합체의 분해를 억제하는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BHT) (후지 필름 와코 준야쿠 주식회사 제조, 특급, 순도 98 %) 을 0.05 w/V% 첨가하여 사용 Solvent and GPC mobile phase: 2,6-di-t-butyl-4-methylphenol (BHT) as an antioxidant that inhibits polymer decomposition in orthodichlorobenzene (manufactured by Fujifilm Wako Junyaku Co., Ltd., Limited) (Fujifilm Wako Junyaku Co., Ltd. product, limited express, purity 98%) added 0.05 w/V% and used

시료 용액 농도 : 시료 20 mg 에 대해 용매 20 ml 를 첨가 Sample solution concentration: 20 ml of solvent is added to 20 mg of sample

시료의 용해 : 145 ℃ 에서 60 분간 가열 교반 Dissolution of sample: heating and stirring at 145°C for 60 minutes

TREF 칼럼에의 주입량 : 0.5 mlInjection volume into TREF column: 0.5 ml

GPC 칼럼 : TSKgel GMHHR-H(S)HT2 7.8 mm I.D. × 300 mm (토소) 3 개 GPC column: TSKgel GMHHR-H(S)HT2 7.8 mm I.D. × 300 mm (Tosoh) 3 pieces

GPC 이동상의 유속 : 1.0 ml/분 Flow rate of GPC mobile phase: 1.0 ml/min

검출기 : Polymer ChAR 사 제조 적외 분광 광도계 IR5 (CFC 장치에 내장) Detector: Infrared spectrophotometer IR5 manufactured by Polymer ChAR (built into CFC device)

GPC 칼럼의 교정 : 토소 주식회사 제조 표준 폴리스티렌 (F-1, F-2, F-4, F-10, F-40, F-80, F-288, F-850, A-500, A-1000, A-2500) 각 5 mg 을, 각각 표 4 와 같은 조합으로 칭량하고, 20 ml 의 용매를 첨가하여 145 ℃ 에서 1 시간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각각 GPC 분석하고, 각 표준 폴리스티렌의 분자량과 피크 탑 용출 시간의 관계로부터 교정 곡선을 작성하여 교정을 실시하였다.Calibration of GPC column: Tosoh Corporation standard polystyrene (F-1, F-2, F-4, F-10, F-40, F-80, F-288, F-850, A-500, A-1000) , A-2500) Each 5 mg, each weighed in the combination shown in Table 4, was dissolved for 1 hour at 145° C. by adding 20 ml of a solvent, and the obtained solutions were analyzed by GPC, respectively, and the molecular weight and peak of each standard polystyrene Calibration was performed by creating a calibration curve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tower elution time.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적외 분광 광도계의 교정 : 폴리에틸렌 표준 물질 NIST1475a 및 Merck 사 제조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시료 (제품 번호 182389) 각 10 mg 에 각각 20 ml 의 용매를 첨가하여 145 ℃ 에서 1 시간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각각 GPC 분석하고, 전자의 CH3/1000C 를 0.1, 후자의 CH3/1000C 를 333.3 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의 CH3/1000C 를 구하는 데에 사용하였다.Infrared spectrophotometer calibration: Polyethylene standard NIST1475a and Merck's isotactic polypropylene sample (product number 182389) Each 10 mg of 20 ml of solvent was added and dissolved at 145° C. for 1 hour, and the obtained solutions were each GPC After analysis,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using the former CH 3 /1000C as 0.1 and the latter CH 3 /1000C as 333.3, and used to determine the CH 3 /1000 C of the sample.

측정 순서 : 시료 20 mg 에 용매 20 ml 를 첨가하고, 145 ℃ 에서 60 분간 가열 교반하여, 시료 용액을 조제한다. 얻어진 시료 용액을, CFC 장치 중에서 145 ℃ 로 유지된 승온 용출 분별 (TREF) 칼럼에 0.5 ml 주입하고, 20 분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TREF 칼럼의 온도를 20 ℃/분의 속도로 100 ℃ 까지 강온시키고, 100 ℃ 에서 20 분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TREF 칼럼의 온도를 0.5 ℃/분의 속도로 30 ℃ 까지 강온시키고, 30 ℃ 에서 30 분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TREF 칼럼의 온도를 20 ℃/분의 속도로 50 ℃ 까지 승온시키고, 50 ℃ 에서 약 19 분간 유지시켰다. 이어서, 50 ℃ 에서의 용출량, Mw 및 CH3/1000C 를, 적외 분광 광도계를 구비한 GPC (CFC 에 내장) 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TREF 칼럼의 온도를 20 ℃/분의 속도로 140 ℃ 로 상승시키고, 약 19 분간 유지한 후, 140 ℃ 에서의 용출량, Mw 및 CH3/1000C 를, 적외 분광 광도계를 구비한 GPC (CFC 에 내장) 로 측정한다. 전체 용출량에서 차지하는 50 ℃ 에서의 용출량과, 140 ℃ 에서의 용출량의 비율 (중량%) 로부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중의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가용 성분 중,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가용 성분 및 5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각각의 양 (중량%) 을 구하였다.Measurement procedure: 20 ml of a solvent is added to 20 mg of a sample, and heated and stirred at 145°C for 60 minutes to prepare a sample solution. 0.5 ml of the obtained sample solution was injected into a temperature-raised elution fractionation (TREF) column maintained at 145°C in a CFC device, and held for 20 minutes. Then, the temperature of the TREF column was lowered to 100° C. at a rate of 20° C./min, and maintained at 100° C. for 20 minutes. Then, the temperature of the TREF column was lowered to 30° C. at a rate of 0.5° C./min, and maintained at 30° C. for 30 minutes. Then, the temperature of the TREF column was raised to 50° C. at a rate of 20° C./min, and maintained at 50° C. for about 19 minutes. Then, the elution amount, Mw and CH 3 /1000C at 50°C were measured by GPC (built into CFC) equipped with an infrared spectrophotometer. Subsequently, the temperature of the TREF column was raised to 140° C. at a rate of 20° C./min, and after holding for about 19 minutes, the elution amount at 140° C., Mw and CH 3 /1000 C were determined by GPC with an infrared spectrophotometer (CFC Built in). From the ratio (wt%) of the elution amount at 50° C. to the total elution amount and the elution amount at 140° C., among the soluble components to orthodichlorobenzene at 140° C.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the 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 C. And the respective amounts (% by weigh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50°C.

(6) 물성 평가용 사출 성형체의 제조 방법 (6) Manufacturing method of injection molded article for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사출 성형체와는 별도로, 토시바 기계사 제조 사출 성형기 EC160NII 로, 사이드 게이트 평판 금형을 사용하고, 실린더 온도 220 ℃, 금형 온도 50 ℃ 의 조건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세로 90 mm, 가로 150 mm, 두께 2 mm 의 사출 성형체를 얻었다.Apart from the injection molded body, a side gate plate mold was used with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ry Co., Ltd., under conditions of a cylinder temperature of 220°C and a mold temperature of 50°C,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90 mm long and horizontally. An injection molded article having a thickness of 150 mm and a thickness of 2 mm was obtained.

(6-1) 인장 파단 강도 (TB), 인장 파단 신도 (EB) (6-1) Tensile breaking strength (TB), tensile breaking elongation (EB)

JIS K6251 : 1993 에 따라, (7) 에서 제조한 사출 성형체의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JIS 3 호 덤벨, 인장 속도 200 mm/분으로 하였다.According to JIS K6251: 1993, the tensile breaking strength and tensile breaking elongation of the injection molded article manufactured in (7) were measured. In addition, it was set as a JIS No. 3 dumbbell and a tensile speed of 200 mm/min.

(6-2) 저온 내충격성 (IZOD) (6-2) Low temperature impact resistance (IZOD)

JIS K7110 : 1984 에 따라, (7) 에서 제조한 사출 성형체의 내충격성의 측정을 실시하였다.According to JIS K7110:1984,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injection molded article manufactured in (7) was measured.

또한, 측정 온도는 -40 ℃ 이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temperature is -40°C.

NB = 파괴되지 않는다NB = not destroyed

B = 파괴된다 B = destroyed

(7) 성형 외관 (7) Molded appearance

사출 성형체에 대해, 엠보스면에서 발생하는 광택 불균일을 육안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판단을 실시하였다. 육안 관찰을 실시할 때에는, 스탠드 라이트를 사용하여, 광택 불균일이 두드러져 보이도록 광택 불균일부를 비추어 관찰을 실시하였다.With respect to the injection molded article, the gloss unevenness occurring on the embossed surface was visually observed, and judgment was made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When visual observation was carried out, a stand light was used, and the gloss uneven part was illuminated so that the gloss unevenness became prominent and observed.

○ : 티어 라인부의 광택 불균일이 두드러져 보이지 않는다○: The uneven gloss of the tear line is not visible.

× : 티어 라인부의 광택 불균일이 두드러져 보인다 ×: The gloss unevenness of the tear line portion is conspicuous.

결과를 표 5 와 표 6 에 나타낸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5 and 6.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공지된 성형 가공 방법,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법에 의해, 에어백 커버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필러 등의 자동차 내장 부품, 몰딩 등의 자동차 외장 부품, 가전 부재, 건재, 가구 등, 잡화 등의 성형체로 가공된다.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own molding processing method, preferabl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automobile interior parts such as airbag covers, instrument panels and fillers, automobile exterior parts such as molding, home appliance members, and building materials. It is processed into molded objects such as furniture, miscellaneous goods, etc.

Claims (14)

적어도 2 종의 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서, 하기 요건 (I) 및 하기 요건 (II) :
(I)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전체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20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
(II)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130 ℃ 에서 측정되는 등온 결정화 시간이, 300 초 이상이다 ;
를 만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As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two olefin polymers, the following requirement (I) and the following requirement (II):
(I)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as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s 2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making the total amoun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100 parts by weight;
(II)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measured at 130° C. using a heat flux ty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is 300 seconds or more;
Satisfy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 35 중량부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erei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s from 20 parts by weight to 35 parts by weigh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24 중량부 ∼ 30 중량부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erein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is from 24 parts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온 결정화 시간이, 1500 초 ∼ 2000 초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erein the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is from 1500 seconds to 2000 second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조성물로서,
상기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고,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 6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이 35 중량부 ∼ 5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1) 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2) 를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단위 (A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A2)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A1) 의 함유량이 95 중량부 ∼ 99.9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A2) 의 함유량이 0.1 중량부 ∼ 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1) 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2) 를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단위 (B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B2)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B1) 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 78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B2) 의 함유량이 22 중량부 ∼ 80 중량부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obtained by melt-knead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material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contains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45 parts by weight to 6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The content is from 35 parts by weight to 55 parts by weight,
The propylene copolymer (A),
A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1), and
A monomer unit (A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A1) and the monomer unit (A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1) is 95 parts by weight to 99.9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2) is 0.1 parts by weight. It is from parts to 5 parts by weight,
The propylene copolymer (B),
A monomer unit (B1) derived from propylene, and
And a monomer unit (B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B1) and the monomer unit (B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1) is from 20 parts by weight to 78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2) is 22 parts by weight. Parts-80 parts by weight,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 × 105 ∼ 7.0 × 105 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 × 104 ∼ 1.3 × 106 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5,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1.0 × 10 5 to 7.0 × 10 5 ,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ropylene copolymer (B) is 4.0 × 10 4 to 1.3 × 10 6 ,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 × 105 ∼ 1.1 × 106 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erein the propylene copolymer (B)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 × 10 5 to 1.1 × 10 6 .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유기 과산화물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erein the crosslinking agent is an organic peroxide.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보조제가, 말레이미드 화합물, 다관능 비닐 화합물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erein the crosslinking aid i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aleimide compound, a polyfunctional vinyl compound, and a polyfunctional acrylate compound.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혼련을 실시하는 온도가, 170 ℃ ∼ 270 ℃ 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9,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elt-kneading is performed is from 170°C to 270°C.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가, 다단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 재료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wherein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is a polymerization material obtained by multistage polymerization.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를, 가교제 및 가교 보조제의 존재하에서 용융 혼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헤테로파직 프로필렌 중합 재료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를 함유하고,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및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합계량 100 중량% 에 대해,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의 함유량이 45 중량부 ∼ 6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의 함유량이 35 중량부 ∼ 5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A)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1) 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A2) 를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단위 (A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A2)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A1) 의 함유량이 95 중량부 ∼ 99.9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A2) 의 함유량이 0.1 중량부 ∼ 5 중량부이며,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B) 는,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1) 과,
에틸렌 및 탄소 원자수 4 ∼ 12 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 (B2) 를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단위 (B1) 및 상기 단량체 단위 (B2) 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단량체 단위 (B1) 의 함유량이 20 중량부 ∼ 78 중량부이며, 상기 단량체 단위 (B2) 의 함유량이 22 중량부 ∼ 80 중량부이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은, 하기 요건 (I) 및 하기 요건 (II) :
(I)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140 ℃ 의 오르토디클로로벤젠에 대한 불용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전체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20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
(II) 열 유속형 시차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130 ℃ 에서 측정되는 등온 결정화 시간이, 300 초 이상이다 ;
를 만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comprising a step of melt-kneading a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material in the pre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rosslinking aid,
The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contains a propylene copolymer (A) and a propylene copolymer (B),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is 45 to 6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propylene copolymer (A)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and the propylene copolymer (B) The content is from 35 parts by weight to 55 parts by weight,
The propylene copolymer (A),
A monomer unit derived from propylene (A1), and
And a monomer unit (A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A1) and the monomer unit (A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1) is 95 parts by weight to 99.9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A2) is 0.1 parts by weight. It is from parts to 5 parts by weight,
The propylene copolymer (B),
A monomer unit (B1) derived from propylene, and
And a monomer unit (B2) derived from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and an α-olefin having 4 to 12 carbon atom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unit (B1) and the monomer unit (B2),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1) is from 20 parts by weight to 78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monomer unit (B2) is 22 parts by weight. It is from parts to 80 parts by weight,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the following requirement (I) and the following requirement (II):
(I) The content of the insoluble component to orthodichlorobenzene at 140°C as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s 20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making the total amount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100 parts by weight;
(II) Isothermal crystallization time measured at 130°C using a heat flux ty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is 300 seconds or more;
Satisfying, the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성형체.A molded article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함유하는 에어백 커버.An airbag cover containing the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200056690A 2019-05-31 2020-05-12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2020013799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2956 2019-05-31
JP2019102956 2019-05-31
JP2020006739A JP7446822B2 (en) 2019-05-31 2020-01-20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JP-P-2020-006739 2020-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991A true KR20200137991A (en) 2020-12-09

Family

ID=7364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690A KR20200137991A (en) 2019-05-31 2020-05-12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46822B2 (en)
KR (1) KR2020013799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39561B (en) * 2019-10-15 2024-04-21 美商美力肯及公司 Methods for making polymer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8247A (en) 2010-06-10 2013-07-08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High rigidity high impact propylene impact copolymer
JP2015193710A (en) 2014-03-31 2015-11-05 住友化学株式会社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025A (en) * 1983-08-18 1985-03-06 Oji Yuka Gouseishi Kk Manufacture of composite polypropylene resin stretched film
JP2002265692A (en) 2001-03-09 2002-09-18 Mitsubishi Chemicals Corp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2005298571A (en)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Chemicals Corp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165183B2 (en) 2004-07-22 2013-03-21 三菱化学株式会社 Olefin-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728735B2 (en) 2004-08-04 2011-07-20 三井化学株式会社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foam thereof
JP5361779B2 (en) 2010-03-30 2013-12-04 三井化学株式会社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foam obtained from the composition
KR102517797B1 (en) 2014-09-10 2023-04-0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oam, laminate, and formed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8247A (en) 2010-06-10 2013-07-08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High rigidity high impact propylene impact copolymer
JP2015193710A (en) 2014-03-31 2015-11-05 住友化学株式会社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6822B2 (en) 2024-03-11
JP2020196859A (en)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6395B2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improved optics for film and moulding applications
JP5651918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EP2084223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JP2010537036A (en) Compatibilized polyolefin composition
US10800911B2 (en)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ization material
JP6998175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 compression molded product
EP3960812A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JP5590907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JP2024051120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00137991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RU2554352C2 (en) Polyolefin compositions
JP7524002B2 (en) Heterophagic propylene polymeric materials and their uses
JP6102439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comprising the same
WO2021246338A1 (e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laminat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se
US11472951B2 (en) Heterophasic propylene polymer material and use of the same
JP2014221913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the same
JP7421324B2 (en) 4-Methyl-1-pentene/α-olefin copolymer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JP2007231161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body comprising the same
JP2019156910A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mat-like injection molding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2013071963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pencil exterior shaft, and pencil type cosmetic
JP2000109568A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2000143886A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5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