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671A -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 Google Patents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671A
KR20200137671A KR1020190064414A KR20190064414A KR20200137671A KR 20200137671 A KR20200137671 A KR 20200137671A KR 1020190064414 A KR1020190064414 A KR 1020190064414A KR 20190064414 A KR20190064414 A KR 20190064414A KR 20200137671 A KR20200137671 A KR 20200137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halation
inhaler
us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450B1 (ko
Inventor
이은숙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4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은 약제 흡입기의 노즐이 사용자의 호흡기 방향으로 위치하는 위치단계; 상기 위치단계 이후에 들숨과 날숨을 센싱하는 호흡측정단계; 상기 호흡측정단계에 따라 들숨 및 날숨이 3회 이상 반복되면, 상기 사용자의 들숨 및 날숨의 교환주기를 감지하고 패턴화하는 패턴화단계; 상기 패턴화단계 이후에, 제어부가 패턴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들숨 시점을 예측하는 조절단계; 및 상기 조절단계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약제 저장부에 포함된 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RECOGNIZE THE TIME OF INHALATION OF THE DRUG INHALER AND ADMINISTER MEDICATION}
본 발명은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관지에 약물을 전달하는 호흡기 약물의 경우 환자의 흡입 시점에 스스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들숨 시점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물 흡입기 및 그에 따른 약제 투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정량약제 흡입기 또는 건조분말 흡입기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영향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기 위한 약제의 흡입기로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주로 호흡기에 약물을 투여 및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약제의 성상 및 분사의 원리에 따라 구분된다. 다만, 위와 같은 흡입기는 주로 천식질환에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천식용 약물 흡입기로도 불리우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흡입기 장치는 대부분 가압형 에어로졸공급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급용기는 밸브를 포함하며 이러한 밸브를 작동시키는 내부스프링이 충분히 압축될 때 이 밸브는 정량의 에어로졸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공급장치는 마우스피스를 갖는 챔버, 공기유입구, 공급용기의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 충전상태에서 상기 밸브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과, 잠금수단인 래치를 해제하여 정량의 에어로졸 화합물을 마우스피스의 영역으로 배출하는 흡입응답수단으로 구성된다. 모든 목적은 에어로졸 용기로부터의 약제방출을 환자의 흡입작용에 맞추어 최대도스의 약제가 폐의 기관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종래기술의 흡입기는 에어로졸약제용기가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용기는 일측단부에 환자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마우스피스측으로 연장된 공기유로를 제공하는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는 노즐을 갖는다. 대부분 종래기술의 흡입기에 있어서 에어로졸용기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효과적인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흡입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부 흡입기에 있어서, 하우징은 계속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약제용기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을 위하여 용기를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용기가 흡입기내에 배치되어 있는 지의 여부, 흡입기가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약제를 충분회 공급할 수 있는 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정보와 함께, 사용자는 약제용기의 교체시기도 알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사용자가 약제흡입기로부터 공급된 정량약제, 즉 도스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이러한 약제흡입기에 남아 있는 도스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기계적인 카운트/작동조립체가 사용자에게 도스카운트작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이후 개발된 종래기술의 흡입기는 전자 또는 전기기계적인 도스카운터와 인디케이터 조립체를 통하여 유사한 정보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정량분무흡입기(MPI), 건조분말 흡입기(DPI) 및 연무형 흡입기(SMI)는 제공되는 약물과 분사원리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호흡기 약물이 기관지에 전달하기 위한 점에서 공통된다. 또한 위와 같은 정량분무흡입기(MPI), 건조분말 흡입기(DPI) 및 연무형 흡입기(SMI) 모두 환자가 직접 자신의 들숨이 일어나는 호흡시점에 맞추어 약제를 분사해야 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위와 같은 들숨 시점에 약제를 정확하게 분사해야 하기 때문에 아동이나 고령층의 환자의 경우에는 약제를 정확하게 분사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약물의 소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얻기 어렵게 되고, 나아가서, 흡입하는 힘이 약한 아동이나 고령층의 환자에게 구강 내에 잔류하는 약제에 의하여 구강 칸디다증(Candidaiasis)과 같은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들숨 시점을 인식하고, 약제를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약물흡입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선행기술 1 (KR 10-2008-0044343 A)는 마우스 피스을 덮거나 덮지 않도록 폐쇄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덮개가 제공되는 흡입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정량 분무를 용이하게 하고 의도하지 않는 분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일 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또한 선행기술 2(KR 10-2010-0032662 A)는 휴대용 흡입기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지만, 마찬가지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는 점에 한계를 가진다.
KR 10-2008-0044343 A KR 10-2010-0032662 A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들숨을 인식하여 적정량의 약제를 기관지로 투여 또는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기용 약제와 기타 호흡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정량으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는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은 약제 흡입기의 노즐이 사용자의 호흡기 방향으로 위치하는 위치단계; 상기 위치단계 이후에 들숨과 날숨을 센싱하는 호흡측정단계; 상기 호흡측정단계에 따라 들숨 및 날숨이 3회 이상 반복되면, 상기 사용자의 들숨 및 날숨의 교환주기를 감지하고 패턴화하는 패턴화단계; 상기 패턴화단계 이후에, 제어부가 패턴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들숨 시점을 예측하는 조절단계; 및 상기 조절단계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약제 저장부에 포함된 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흡입기는 약제 저장부; 약제를 분사하는 노즐부; 안면덮개부; 및 들숨 및 날숨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 안면덮개부에 설치된 것이며, 상기 호흡측정단계는,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약제 투여를 위한 호흡이 개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개시단계;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센서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들숨과 날숨을 인식하는 호흡인식 단계; 및 상기 호흡인식단계 이후에 들숨시점과 날숨시점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호흡분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압력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호흡인식단계 및 호흡분류단계는 상기 압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포함하여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장부는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 저장부 및 주약제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조절단계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 저장부에 포함된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단계; 상기 제1 분사단계에서 약제 들숨단계에 분사되어 성공한 것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분사평가단계; 및 상기 평가단계에서 상기 제1 분사단계가 성공하면, 상기 조절단계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주약제 저장부에 포함된 주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제2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약제는 천식 개선용 약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는 식물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흡입기는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은 약제 흡입기의 노즐이 사용자의 호흡기 방향으로 위치하는 위치단계(S1); 상기 위치단계(S1) 이후에 들숨과 날숨을 센싱하는 호흡측정단계(S2); 상기 호흡측정단계(S2)에 따라 들숨 및 날숨이 3회 이상 반복되면, 상기 사용자의 들숨 및 날숨의 교환주기를 감지하고 패턴화하는 패턴화단계(S3); 상기 패턴화단계 이후에, 제어부가 패턴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들숨 시점을 예측하는 조절단계(S4); 및 상기 조절단계(S4)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약제 저장부(100)에 포함된 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제 흡입기(1000)는 약제저장부(100); 노즐부(200): 안면덮개부(300) 및 센싱부(4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제 저장부(100) 호흡기에 전달하기 위한 약제가 보관되는 것으로 압력용기에 상기 약제를 보관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의 설계에 따라 압력용기가 아닌 용기에 약제를 보관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약제 저장부(100)는 단일한 약제를 보관하는 것일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각 용기에 서로 다른 약제가 보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즐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호흡기 방향으로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장치로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분사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안면덮개부(300) 상기 사용자의 안면의 일정 영역을 커버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흡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안면덮개부 내부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용이하게 수집되고, 날숨 및 들숨의 압력변화가 측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위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면덮개부를 모두 포함하며, 상술한 목적하에서 그 재질 및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싱부(400) 상기 사용자의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안면덮개부 내부의 압력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려센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목적을 위하여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약제저장부(100), 노즐부(200), 안면덮개부(300) 및 센싱부(400)가 포함된 약제 흡입기(100)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도면에 나타난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면과 함께 약제저장부(100), 노즐부(200), 안면덮개부(300) 및 센싱부(4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약제저장부(100)와 노즐부(200)가 결합된 약제 흡입기에 상기 안면덮개부(300) 끼워지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입을 통하여 상기 약제저장부(100)에 담기 약제가 분사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시 센싱부(400)가 상기 사용자가 입으로 호흡을 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이산화탄소와 압력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예시이다.
한편, 상기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가 코로 호흡을 하면서 발생하기 위는 이산화탄소의 압력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 흡입기가 도 1 및 도 2와 달리 상기 도 3 및 도 4와 같이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코로 호흡을 하다가 약제가 제공되는 시점에 입으로 호흡을 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된 들숨 및 날숨의 패턴이 달라질 수 있어 부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센싱부(400)는 상기 사용자가 입으로 숨쉬는 호흡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싱부(200)는 상기 안면덮개부(300)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위치단계(S1)은 약제를 흡일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약제 흡입기(1000)를 안면쪽으로 가까이 대는 것을 말하며, 그 범위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임의적으로 정할 수 있는 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는 상기 안면덮개부(300)에 설치된 거리측정센서를 통하여 안면과 안면덮개부(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이 미리 정해 놓은 범위 내로 들어오는 경위 상기 위치단계(S1)가 진행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호흡측정단계(S2)는 상기 센서부(400)에 포함된 센서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호흡을 인식하고, 상기 호흡의 들숨과 날숨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상기 패턴화단계(S3)는 상기 센서를 통하여 확인된 압력값과 이산화탄소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들숨 시점의 피크, 날숨시점의 피크를 정하고 상기 들숨시점의 피크와 상기 날숨시점의 피크에 소용되는 시간을 분석하여 들숨과 날숨의 패턴을 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절단계(S4)는 상기 패턴화단계(S4)에서 측정된 들숨 및 날숨의 패턴을 기초로 다음 들숨 시점을 예측하는 것을 말한한다.
상기 분사단계(S5)는 상기 조절단계(S4)에서 예측한 시점에 노즐부(200)를 통하여 약제저장부(100)에 저장된 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방향으로 분사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흡입기는 약제 저장부(100); 약제를 분사하는 노즐부(200); 안면덮개부(300); 및 들숨 및 날숨을 센싱하는 센싱부(400)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센싱부(400)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 안면덮개부(300)에 설치된 것이며, 상기 호흡측정단계(S2)는, 상기 센싱부(4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약제 투여를 위한 호흡이 개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개시단계(S2.1); 상기 센싱부(400)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센서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들숨과 날숨을 인식하는 호흡인식단계(S2.2); 및 상기 호흡인식단계(S2.2) 이후에 들숨시점과 날숨시점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호흡분류단계(S2.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400)는 압력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호흡인식단계(S2.2) 및 호흡분류단계(S2.3)는 상기 압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포함하여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시단계(S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호흡이 개시되는 신호를 전달받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큰 날숨 3번이 반복되는 경우 상기 개시단계를 진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호흡측정단계(S2)에서 오작동에 의한 개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호흡인식단계(S2.2) 및 호흡분류 단계(S2.3)는 이산화탄소의 양 변화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변화 값을 제1 요소로 하고, 이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제2 요소로 하고, 상기 제1 요소를 통하여 압력값의 피크를 기초로 들숨과 날숨의 피크 값을 정하고, 상기 제2 요소를 통하여 상기 측정된 피크 값을 검증하는 것일 수 있다.
압력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값이 들숨과 날숨의 피크 및 주기를 측정하는데 보다 정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산화탄소 센서의 경우 상기 안면덮개부(300) 내부의 잔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누적되기 때문에 그 주기를 상기 제2 요소를 기초로 도출하는 경우 오차가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요소를 통하여 들숨과 날숨의 주기를 정하고, 누적되는 이산화탄소의 누적주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요소에 따라 정해진 들숨과 날숨의 주기를 검증 함으로서 들숨과 날숨 인식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장부(100)는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 저장부 및 주약제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분사단계(S5)는, 상기 조절단계(S4)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 저장부에 포함된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단계(S5.1); 상기 제1 분사단계(S5.1)에서 약제 들숨단계에 분사되어 성공한 것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분사평가단계(S5.2); 및 상기 평가단계에서 상기 제1 분사단계(S5.1)가 성공하면, 상기 조절단계(S4)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주약제 저장부에 포함된 주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제2 분사단계(S5.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는 식물 추출물 기반으로 순간적으로 기도를 확장시켜 호흡이 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를 사용하는 경우 들숨과 날숨의 주기가 정확해지고, 들숨이 보다 안정화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약제를 흡입하기 좋은 상태 호흡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이는 고령의 환자에게 순간적으로 들숨을 안정화 시킬 수 있어 들숨을 통한 주 약제의 흡입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는 그 자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야 함은 물론 주 약제에 대한 영향이 없어야 하므로 식물 추출물인 것으로 기화가 빠른 것이어야 한다.
상기 제1 분사제 단계(S5.1)에 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들숨 및 날숨을 인식하여 패턴화 된 측정 및 분석 값이 잘못된 경우 이를 시정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아동이나 고령층 환자의 경우 들숨 주기를 잘못 정하여 주 약제를 흡입하는 경우 약제가 호흡기로 정량에 비하여 일부만 제공됨으로서 얼마나 부족한 양이 제공된 것인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감으로 부족한 양을 다시 흡입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정량에 부족하거나 과량의 약제가 환자에게 제공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분사제 단계(S5.1)에 의하는 경우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는 상기 주 약제와 달리 정량이 정확히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호흡패턴을 잘못 측정하여도 위와 같은 문제가 없다. 또한 잘못 측정된 호흡패턴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가 자체가 사용자의 호흡 특히, 들숨을 보다 안정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들숨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약제가 흡입되기에 더 유리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약제는 천식 개선용 약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주 약제는 흡입용 천식 치료제를 말하며, 스테로이스 제제, 항콜린제제 등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천식용 분무식 흡입제의 약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주 약제는 주기적으로 정량이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분사단계(S5.1) 이후 분사평가단계(S5.2)를 진행한 후에 상기 제2 분사단계(S5.3)이 이루어지는 경우 보다 상기 사용자의 들숨 주기에 안정적으로 맞추어 상기 주 약제를 정량으로 손실 없이 상기 사용자의 기관지로 흡입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는 식물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는 애플민트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민트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로즈마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월계수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상추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감자 껍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라임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사용자의 기도가 확장되고, 들숨이 안정화 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허브를 이용한 보조제의 경우 기도 확장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기도 자극에 의하여 사용자가 기침을 하는 경우가 많아 들숨 및 날숨의 패턴이 무너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기도 자극이 없어 기침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보다 순간적으로 안정적인 호흡으로 상기 주 약제를 흡입하기 좋은 호흡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호흡기 질환의 경우 장기간 일정한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약제를 흡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보조제는 기호성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기호성이 높아 보다 다양한 범위의 환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흡입기는 상기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은 사용자의 들숨을 인식하여 적정량의 약제를 기관지로 투여 또는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은 호흡기용 약제와 기타 호흡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정량으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와 비교하기 위하여 센싱부가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와 비교하기 위하여 센싱부가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호흡안정화용 보조제의 제조]
본 발명에 있어 제1 분사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를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은 열수 추출방법으로 제조하였고 하기의 [표 1]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였다.
(A: 애플민트 추출물, B: 로즈마리 추출물, C: 월계수 추출물, D: 상추 추출물, E: 감자껍질 추출물, F: 라임 추출물, G: 박하 추출물.)
M1 M2 M3 M4 M5 M6 M7 M8 M9
A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 - - 5 10 20 30 40 20 -
C - - 5 10 20 30 40 20 -
D - - 0.5 1 3 5 7 - 5
E - - 0.5 1 3 5 7 - 5
F - - 0.05 0.1 0.5 1 1.5 - -
G 100 - - - - - - - -
(단위: 중량부)
[실험예: 실시예 평가]
성인 20인을 대상으로 상기 M1 내지 M9에 따른 조성물을 각각 기화시켜 호흡기로 분사하여 흡입하게 하였다. 그 후 들숨이 안정화되는 정도를 M1과 비교하여 10점 척도법으로 평가하도록 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도록 하였다.(TU) 상기 지수를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또한 기침이 발생하는 정도를 같은 방법으로 비교하게 하였다.(TX) 이 역시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리고 시험자에게 TX값이 5 이상인 대상에 대하여 M1과 비교하여 10점 척도에 따라 기호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TY) 마찬가지로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M1 M2 M3 M4 M5 M6 M7 M8 M9
TU 5 2 3 7 8 7 5 3 3
TX 5 4 4 6 7 7 3 3 6
TY 5 - - 5 7 7 5 - 4
(단위: 지수)
상기 범위를 참조하면, M4 내지 M6에 의하는 경우 기도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일시적으로 들숨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호성도 우수한 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기도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일시적으로 들숨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호흡안정화용 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호성이 우수하므로 보급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0: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
100: 약제저장부
200: 노즐부
300: 안면덮개부
400: 센싱부

Claims (7)

  1. 약제 흡입기의 노즐이 사용자의 호흡기 방향으로 위치하는 위치단계;
    상기 위치단계 이후에 들숨과 날숨을 센싱하는 호흡측정단계;
    상기 호흡측정단계에 따라 들숨 및 날숨이 3회 이상 반복되면, 상기 사용자의 들숨 및 날숨의 교환주기를 감지하고 패턴화하는 패턴화단계;
    상기 패턴화단계 이후에, 제어부가 패턴값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들숨 시점을 예측하는 조절단계; 및
    상기 조절단계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약제 저장부에 포함된 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흡입기는 약제 저장부; 약제를 분사하는 노즐부; 안면덮개부; 및 들숨 및 날숨을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된 안면덮개부에 설치된 것이며,
    상기 호흡측정단계는,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약제 투여를 위한 호흡이 개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개시단계;
    상기 센싱부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센서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들숨과 날숨을 인식하는 호흡인식단계; 및
    상기 호흡인식단계 이후에 들숨시점과 날숨시점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호흡분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압력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호흡인식단계 및 호흡분류단계는 상기 압력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포함하여 미리 정해놓은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장부는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 저장부 및 주약제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조절단계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 저장부에 포함된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제1 분사단계;
    상기 제1 분사단계에서 약제 들숨단계에 분사되어 성공한 것인지 여부를 평가하는 분사평가단계; 및
    상기 평가단계에서 상기 제1 분사단계가 성공하면, 상기 조절단계에서 결정된 시점에 상기 약제 호흡기에 포함된 노즐에서 주약제 저장부에 포함된 주약제를 사용자의 호흡기 쪽으로 분사하는 제2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약제는 천식 개선용 약제인 것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안정화용 보조제는 식물 추출물인 것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이 적용된 약제 흡입기.
KR1020190064414A 2019-05-31 2019-05-31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KR10221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14A KR102211450B1 (ko) 2019-05-31 2019-05-31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14A KR102211450B1 (ko) 2019-05-31 2019-05-31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71A true KR20200137671A (ko) 2020-12-09
KR102211450B1 KR102211450B1 (ko) 2021-02-02

Family

ID=7378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14A KR102211450B1 (ko) 2019-05-31 2019-05-31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4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343A (ko) 2005-09-08 2008-05-20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흡입기
KR20100032662A (ko) 2008-09-18 2010-03-26 이경범 휴대용 흡입기
JP2012531973A (ja) * 2009-07-01 2012-12-13 マイクロドース セラピューテ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幼児及び呼吸困難患者用ネブライ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343A (ko) 2005-09-08 2008-05-20 글락소 그룹 리미티드 흡입기
KR20100032662A (ko) 2008-09-18 2010-03-26 이경범 휴대용 흡입기
JP2012531973A (ja) * 2009-07-01 2012-12-13 マイクロドース セラピューテ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幼児及び呼吸困難患者用ネブラ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450B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1491B1 (en) Intrapulmonary delivery of hormones
US7077125B2 (en)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erosols
RU2163819C2 (ru) Дозатор-распределитель
EP3117858B1 (en) Nebulizer for infants and respiratory compromised patients
US9180263B2 (en) Laboratory animal pulmonary dosing device
US20090270752A1 (en) Devices for Measuring Inspiratory Airflow
DOLOVICH New propellant-free technologies under investigation
US20170368275A1 (en) Nebulizer for infants and respiratory compromised patients
Leung et al. Comparison of breath-enhanced to breath-actuated nebulizers for rate, consistency, and efficiency
CN112584761A (zh) 脉动式输送一氧化氮的方法和装置
CA2404454A1 (en) Method for measuring changes in the airways of humans and other animals
KR102211450B1 (ko) 들숨 시점을 인식하는 약제 흡입기의 약제 투여 방법
Bauer et al. The influence of breathing pattern during nebulization on the delivery of arformoterol using a breath simulator
US20030159693A1 (en) Breath-activated, microprocessor controlled system for pulmonary drug delivery
Souëf The meaning of lung dose
CN213789390U (zh) 一种设置有辅助推入结构的吸入剂装置
Group Chinese expert consensus on standardized inhaler device application in stable chronic airway diseases (2023)
Li et al. 11 Inhalation Therapy in the Intensive Care Unit
KR100852476B1 (ko) 에어로졸 투여용 장치
CN114302754A (zh) 吸入器的改进
O'DOHERTY et al. Aerosolised Drug Administration in the Ventilated Patient: In-Vitro and In-Vivo Correlates
AU2013209385A1 (en) Nebulizer for infants and respiratory compromised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