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638A -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 Google Patents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638A
KR20200137638A KR1020190064341A KR20190064341A KR20200137638A KR 20200137638 A KR20200137638 A KR 20200137638A KR 1020190064341 A KR1020190064341 A KR 1020190064341A KR 20190064341 A KR20190064341 A KR 20190064341A KR 20200137638 A KR20200137638 A KR 20200137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module
assembly robot
education
leve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아
Original Assignee
김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아 filed Critical 김정아
Priority to KR102019006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638A/ko
Publication of KR2020013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포함된 교육 프로세스를 따라 학생이 직접 로봇 제작 및 로봇 작동과 관련된 학습이 수행되도록 하는 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바 또는 판 형상을 구비하는 골격부재, 골격부재의 홀과 결합하여 복수 개의 골격부재 각각을 결합시키는 연결체, 또는 골격부재와 결합하여 골격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 중 선택되는 둘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여 조립로봇모듈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1레벨; 조립로봇모듈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또는 작업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레벨;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로봇암의 구동이 구현되고, 구동부재의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레벨; 수치 연산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인 연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연산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레벨; 및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수정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레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STUDENT MANUAL FOR ROBOT PRODUCTION EDUCATION}
본 발명은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함된 교육 프로세스를 따라 학생이 직접 로봇 제작 및 로봇 작동과 관련된 학습이 수행되도록 하는 교재에 관한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여 모든 산업 분야가 변화함에 따라 이에 맞는 새로운 방식의 교육이 필요하며,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IoT), 인공 지능(AI), 빅데이터 등 관련 산업과 기술이 급변하는 등 지금까지와 전혀 다른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변화에 맞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스마트한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교육에서, 실생활 문제(real world problem)는 어느 한 과목의 지식만 가지고는 풀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여러 학문에 숨은 유용한 지식을 하나로 연결해 활용해야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3591호(발명의 명칭: 언어교육교재에 의한 언어교육방법)에서는, 해당되는 단어가 각각 적혀있는 다수개의 사진과; 상기 사진과 관련한 다수 개의 문장부분이 기재되어 있는 포스트판과; 상기 사진에 해당되는 단어가 기재되어 있는 단어스티커들과; 상기 포스트판과 단어스티커들이 탈부착 결합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수강생들이 언어교육교재의 단어스티커를 떼면서 단어를 습득하고, 붙이면서 문장을 습득하는 언어교육교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359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교육 프로세스를 따라 교육을 받음으로써, 학생이 스스로 로봇을 제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바 또는 판 형상을 구비하는 골격부재, 상기 골격부재의 홀과 결합하여 복수 개의 상기 골격부재 각각을 결합시키는 연결체, 또는 상기 골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골격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 중 선택되는 둘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여 조립로봇모듈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1레벨;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또는 작업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레벨; 상기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로봇암의 구동이 구현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레벨; 수치 연산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인 연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상기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연산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레벨;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상기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수정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레벨 각각은 복수 개의 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골격부재 또는 상기 연결체와 결합하는 기어, 상기 기어와 결합하는 모터, 및 상기 기어, 상기 골격부재 또는 상기 연결체와 결합하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은, 상기 골격부재의 수치를 측정하고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직선 이동을 위해 상기 내부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1파트, 상기 골격부재를 이용하여 이차원 또는 삼차원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2파트, 상기 내부프로그램에 소정의 수치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3파트,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형성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4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벨은, 상기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직선 이동 또는 회전이 구현되는 과정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이 하중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1파트,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다리 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3레벨은,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배치와 속도가 가변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1파트, 및 상기 로봇암의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4레벨은, 상기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거리와 회전 각도가 설정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1파트, 및 Snap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설계도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5레벨은,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설치된 모터 센서, 터치 센서, 거리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컬러 센서의 센싱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1파트, 및 상기 모터 센서, 상기 터치 센서, 상기 거리센서, 상기 자이로 센서 또는 상기 컬러 센서의 센싱 정보에 의해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및 작업 구동이 가변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로봇 제작 교육을 수행하는 학생으로 하여금 수학과 공학 전반적인 개념을 자연 체득되도록 하고, 로봇의 제작과 프로그래밍을 수행할 수 있어 학생 스스로 로봇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로봇모듈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생용 교재의 지면에 기재된 사항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생용 교재에 포함된 지렛대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변화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생용 교재에 형성된 프로세스 표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용지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110)와 기어(132)가 결합된 사항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10과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의 계획표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로봇모듈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110)에 대한 이미지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생용 교재의 지면에 기재된 사항에 대한 이미지이다.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지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본 발명의 학생용 교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11)이 형성되고 바 또는 판 형상을 구비하는 골격부재(110), 골격부재(110)의 홀(111)과 결합하여 복수 개의 골격부재(110) 각각을 결합시키는 연결체(120), 또는 골격부재(110)와 결합하여 골격부재(1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 중 선택되는 둘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여 조립로봇모듈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1레벨; 조립로봇모듈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또는 작업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레벨;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로봇암의 구동이 구현되고, 구동부재의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레벨; 수치 연산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인 연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연산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레벨; 및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수정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레벨;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레벨 각각은 복수 개의 파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생용 교재는, 종이에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학생용 교재는, 전자책(e-book)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 파트에는 이미지 작성 공간(210) 또는 문장 기재 공간(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작성 공간(210)에는 소정의 이미지를 학생이 구성할 수 있도록 이미지와 관련된 질의사항이 기재될 수 있으며, 문장 기재 공간(220)에는 소정의 질의사항이 기재되어 있어 해당 질의사항에 관련된 문장을 기재하는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파트에 포함된 이미지 작성 공간(210)에는 각각의 파트에서 구현하기 위한 교육 프로세스와 관련된 조립로봇모듈 또는 각각의 부재를 이용한 이미지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파트에 포함된 문장 기재 공간(220)에는 각각의 파트에 포함된 교육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질의사항이 기재될 수 있다. 즉, 하기에서 설명하는 조립로봇모듈 또는 조립로봇모듈에 포함되는 각각의 부재와 이와 관련된 이미지는 이미지 작성 공간(210)에서 학생에 의해 도식화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파트에는 각각의 레슨에서 필요한 사항 또는 도출된 사항을 정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는, 골격부재(110) 또는 연결체(120)와 결합하는 기어(132), 기어(132)와 결합하는 모터(131), 및 기어(132), 골격부재(110) 또는 연결체(120)와 결합하는 휠(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체(120)는 나사 또는, 일단이 하나의 골격부재(110)의 홀(111)에 결합하고 타단이 다른 골격부재(110)의 홀(111)에 결합하여 양 골격부재(110)를 연결시키는 연결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재에 기어(132), 모터(131) 및 휠(133)이 포함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트, 끈, 집게, 로봇 암 등 로봇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조립로봇모듈은 내부프로그램이 내장되고 모터(131)와 연결되어 모터(131)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Robot C 프로그램으로써, 소정의 수치 등을 입력하는 경우, 조립로봇모듈이 작동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골격부재(110)는 색상 테이프와 결합할 수 있다. 제1파트를 이용한 교육 프로세스 중 골격부재(110)를 무작위로 섞어놓고 소정의 골격부재(110)를 선택하도록 학생에게 교육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각 골격부재(110)의 명확한 분류를 위하여 각각의 골격부재(110)에 색상 테이프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골격부재(110)의 색상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제1레벨은, 골격부재(110)의 수치를 측정하고 조립로봇모듈의 직선 이동을 위해 내부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1파트, 골격부재(110)를 이용하여 이차원 또는 삼차원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2파트, 내부프로그램에 소정의 수치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3파트, 및 조립로봇모듈의 형성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4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파트에서는, 각각의 골격부재(110)의 길이, 두께 등 수치와 수를 측정하게 함으로써, 수치와 수의 개념을 교육시키는 사항이 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파트에는 수를 쓰도록 하는 교육 프로세스, 각각의 부재의 길이, 두께 등의 물리적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기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질의사항이 기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답변사항을 기재할 수 있는 공간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생용 교재에 포함된 지렛대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파트에서는, 지렛대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교육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으며, 제1-2파트에는, 지렛대의 일단에 공을 위치시키고 공(솜, 천 등으로 형성된 공)에 힘을 전달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더 기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지렛대 형상을 각각의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형성된 지렛대의 양 단에 하중물을 위치시키고 지렛대의 운동을 관찰하도록 하는 교육 프로세스가 수행되게 하는 질의사항의 기재 및 이에 대한 답변사항을 기재하는 공간이 제1-2파트에 형성될 수 있다.
제1-3파트에서, 학생들은 제1-1파트와 제1-2파트에서 교육 받은 물리적 수치와 힘에 대한 사항을 이용하여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고 이를 통해 조립로봇모듈의 작동을 확인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고, 제1-4파트에서는, 학생이 제작하고자 하는 조립로봇모듈에 대한 이미지를 작성하고, 이미지를 따라 제작하고자 하는 조립로봇모듈을 형성하는 골격부재(110), 연결체(120) 및 구동부재를 리스트로 작성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직선 이동 또는 회전이 구현되는 과정 및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이 하중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1파트,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다리 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1파트의 1.1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명령 블록이 선택되어 각각의 명령 블록에 수치를 입력함으로써, 조립로봇모듈을 이동 또는 회전시키고, 이에 대해 분석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1파트의 1.2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여 조립로봇모듈이 공을 이동시키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변화에 대한 이미지이다. 제2-1파트의 1.3레슨에서는, 각도기를 이용하여 각도를 분석한 후 이에 대한 수치를 내부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로봇모듈이 최초 위치(로봇이 그려진 위치)로부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지 확인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1파트의 1.4레슨에서는, 교재의 지면에 형성된 각도 표시에 각도기를 위치시켜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을 파악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1파트의 1.5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이 공(하중물)을 운반하는데 요구되는 조건을 정의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생용 교재에 형성된 프로세스 표에 대한 이미지이다. 제2-1파트의 2.1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이 공(하중물)을 운반하는데 요구되는 조건을 정의하는 사항을 반영하여 내부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 프로세스를 정리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프로세스 표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프로세스 사항이 정리될 수 있다. 제2-1파트의 2.2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여 조립로봇모듈의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여 하중물을 획득한 후 운반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1파트의 3.1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여 조립로봇모듈이 복수 개의 장애물을 피하여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되고, 제2-1파트의 4.1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여 조립로봇모듈이 복수 개의 장애물을 피하여 이동한 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여 하중물을 획득한 후 운반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2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2파트의 1.1레슨에서는, 제2-2파트에서 이용되는 조립로봇모듈을 형성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2파트의 2.1레슨에서는, 소정의 도형을 이용하여 해당 도형의 둘레를 측정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용지에 대한 이미지이다. 제2-2파트의 2.2레슨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그리드 용지를 이용하여 그리드 용지에 이미지의 픽셀 수를 측정함으로써 면적 측정을 수행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2파트의 2.3레슨과 2.4레슨에서는, 그리드 용지에 각각 면적이 상이한 사각형을 형성하고 각각의 사각형 면적 차이를 파악하고 요구되는 면적을 형성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2-2파트의 3.1레슨과 3.2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다리 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사항이 포함될 수 있고, 제2-2파트의 4.1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대피용 트레일러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여 조립로봇모듈을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조립로봇모듈이 다리 또는 트레일러를 형성하는 소정의 부재를 이동시켜 다리 또는 트레일러를 조립할 수 있다.
제3레벨은, 조립로봇모듈의 배치와 속도가 가변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1파트, 로봇암의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1.1레슨에서는, 상기된 제1레벨과 제2레벨의 교육 과정을 요약하여 정리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1.2레슨에서는, 각도기를 이용하여 두 직선이 미리 설정된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1.3레슨에서는, 길이 또는 회전 각을 가변시키면서 이동 가능한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된 이동 경로를 따라 조립로봇모듈이 이동하도록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1.4레슨에서는, 상기된 이동 경로를 따라 조립로봇모듈이 이동하도록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조정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1.5레슨과 1.6레슨에서는, 목표로 마련되는 이동 거리인 목표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1.7레슨에서는, 목표 이동 거리를 따라 조립로봇모듈이 이동하도록 내부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2.1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의 작동을 위하여 내부프로그램에 코딩을 추가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2.2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의 작동을 위하여 내부프로그램에 코딩을 추가하고 예상되는 조립로봇모듈의 작동에 대해 주석을 첨부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2.3레슨 내지 2.5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의 작동에 대한 수정을 위하여 내부프로그램에 코딩을 추가하고 예상되는 조립로봇모듈의 작동에 대해 주석을 첨부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로봇모듈의 배치와 속도가 가변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에 대한 이미지이다. 제3-1파트의 3.1레슨과 3.2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의 조작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3.3레슨과 3.4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의 이동과 속도를 가변시키는 사항에 대한 명령을 내부프로그램에 입력하고, 내부프로그램의 수정을 위해 코딩을 수행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코딩에 주석을 추가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3.5레슨 내지 3.7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이 속도를 가변하며 이동을 하거나, 소정의 하중물(줄)에 힘을 제공하도록 컨트롤러에 대한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직사각형의 트랙을 형성하고 조립로봇모듈이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조립로봇모듈이 줄의 일단을 파지하고 다른 조립로봇모듈이 줄의 타단을 파지한 다음 양 조립로봇모듈이 줄다기를 수행하도록 각각의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1파트의 4.1레슨과 4.1레슨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프로세스 표를 이용하여 내부프로그램 및 컨트롤러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사항에 대해 정리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2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2파트의 1.1레슨 내지 1.4레슨에서는, 로봇암에 결합하여 하중물을 파지하는 집게부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가지의 집게부가 제작되도록 하며, 4가지의 집게부 각각의 형상은 사전에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제3-2파트의 1.1레슨 내지 1.4레슨 각각에는 4가지의 집게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집게부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재를 정리한 리스트 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요구되는 어느 하나의 집게부를 이미지로 작성하고, 집게부의 이미지와 집게부를 형성하는 각 부재의 리스트 표를 이용하여 집게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2파트의 2.1레슨 내지 2.4레슨에서는, 집게부와 결합하고 집게부를 구동시키며 집게부를 3차원 운동시키는 로봇암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4가지의 로봇암이 제작되도록 하며, 4가지의 로봇암 각각의 형상은 사전에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제3-2파트의 2.1레슨 내지 2.4레슨 각각에는 4가지의 로봇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로봇암을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재를 정리한 리스트 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요구되는 어느 하나의 로봇암을 이미지로 작성하고, 로봇암의 이미지와 로봇암을 형성하는 각 부재의 리스트 표를 이용하여 로봇암을 조립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2파트의 3.1레슨에서는, 동영상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기어(132)의 작동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2파트의 3.2레슨에서는, 기어(132)와 모터(131)를 결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세부적인 조립을 수행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110)와 기어(132)가 결합된 사항에 대한 이미지이다. 제3-3파트의 3.3레슨에서는, 도 8의 사항이 포함되며, 도 8의 사항을 분석하여 기어(132)의 토크 전달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3파트의 3.4레슨에서는, 로봇암과 집게부를 이용하여 하중물을 들어올리는 조작을 컨트롤러로 수행하는 과정을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3-3파트의 3.5레슨에서는, 하나의 조립로봇모듈과 다른 조립로봇모듈을 각각 별도의 컨트롤러로 제어하여 이동시키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레벨은,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거리와 회전 각도가 설정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1파트, 및 Snap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설계도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1.1레슨 내지 1.3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한 프로그래밍과 조립로봇모듈에 대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1.4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이 소정의 단위(센티미터, 밀리미터 등)에 의하 길이 간격으로 이동 거리가 설정되도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1.5레슨에서는, 하나의 조립로봇모듈과 다른 조립로봇모듈을 제어하여 공을 파지하여 이동시키고 목표물에 인입시키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2.1레슨 내지 2.3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을 수치를 입력하여 조립로봇모듈이 복수 회 회전하여 소정의 회전 각에서 정지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3.1레슨과 3.2레슨에서는, 내부프로그램에 있는 명령 블록을 이용하여 모터(131)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31)를 제어하는 명령 블록에 코딩을 추가하거나 명령 블록을 수정하는 사항과 관련된 프로세스가 개시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3.3레슨과 3.4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이 좌회전 후 이동 또는 우회전 후 이동되도록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4.1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하며, 소정의 위치에서 하중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작업 구동을 수행하도록 내부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거나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2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1.1레슨 내지 1.3에서는, 복수 개의 골격부재(110)를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의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시간을 학생에게 배정하고 학생이 소정의 시간 동안 제한된 수의 골격부재(110)를 이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4-1파트의 1.4레슨에서는, SnapCAD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1.5레슨에서는, Snap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트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2.1레슨 내지 2.4레슨에서는, SnapCAD 프로그램의 메뉴를 습득하고, Snap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3.1레슨과 3.2레슨에서는, Snap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립로봇모듈을 개선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4-1파트의 4.1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정지하며, 소정의 위치에서 하중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작업 구동을 수행하도록 내부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거나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시간으로 각각의 이동 및 작업 구동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제5레벨은, 조립로봇모듈에 설치된 모터(131) 센서, 터치 센서, 거리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컬러 센서의 센싱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1파트, 및 터 센서, 터치 센서, 거리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컬러 센서의 센싱 정보에 의해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및 작업 구동이 가변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2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5-1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1파트의 1.1레슨에서는, 모터(131) 센서, 터치 센서, 거리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컬러 센서 각각에 대한 센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센서 프로그램 구동에 따라 각각의 센서의 센싱 과정을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5-1파트의 1.2레슨에서는, 각각의 휠(133)의 속도 가변에 의한 조립로봇모듈의 회전, 휠(133)의 둘레와 휠(133) 회전 수에 대한 수치를 내부프로그램에 입력하고 이에 따른 조립로봇모듈의 작동을 분석하는 과정 및 이와 같은 분석과 모터(131) 센서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에 대한 교육을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5-1파트의 2.1레슨 내지 2.3레슨에서는, 주위 물체의 근접 정도를 센싱하는 범퍼 스위치 또는 접촉을 센싱하는 터치 센서에 대한 센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5-1파트의 3.1레슨 내지 3.3레슨에서는,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또는 조립로봇모듈의 무게 중심 유지 여부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또는 색을 센싱하는 컬러 센서에 대한 센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제5-2파트는 복수 개의 레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1파트의 1레슨 내지 4레슨에서는, 모터(131) 센서, 범퍼 스위치, 터치 센서, 거리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컬러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조립로봇모듈에 설치하고, 제어유닛에 저장된 내부프로그램과 센서 프로그램의 설정을 변경하여 조립로봇모듈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과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의 계획표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10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된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는 복수 개의 파트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슨이 구비되며, 상기 레슨에는 상기 레슨에 대한 강의 계획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파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레슨에는 강의 계획표가 구비될 수 있다.
강의 계획표는, 강의에 필요한 부재와 장치(Materials and Equipment), 교육의 목표(Learning Targets), 강의의 목적(Lesson Objective), 강의의 배경과 목표(Lesson Context and Goal), 강의 전략(Differentiation strategies to meet diverse learner needs) 및 강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강의 과정은 관심(ENGAGE), 탐구(EXPLORE), 설명(EXPLAIN), 확장(EXTEND) 및 평가(EVALUATE)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강의에 필요한 부재와 장치에는, 골격부재(110)의 종류와 연결체(120)의 종류, 구동부재의 종류, 그 외 필요한 부재와 장치가 기재될 수 있으며, 교사는 기재된 부재와 장치를 확인하고 강의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교육의 목표에는 강의 계획표와 관련된 레슨에서 수행되는 교육 프로세스에 대한 요약이 기재될 수 있다.
강의의 목적에는, 학생이 수행해야 하는 레슨의 목적에 대해 기재될 수 있으며, 강의의 배경과 목표에는 교사의 강의 진행을 위한 가이드 라인이 기재될 수 있다. 그리고, 강의 전략에는 레슨에서 수행되는 상황에 대한 대처가 구체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강의 과정 중 관심에는 레슨의 교육 프로세스 초기 진행에 대한 사항이 기재될 수 있고, 탐구에는 레슨의 교육 프로세스 중 수행 과제에 대한 사항이 기재될 수 있으며, 설명에는 수행 과제 후 학생의 자체 설명을 유도하는 사항이 기재될 수 있다. 또한, 확장에는 레슨의 교육 프로세스를 확장하여 실생활 등에 응용하는 사항이 도출되도록 지도하는 사항이 기재될 수 있으며, 평가에는 학생의 과제 수행에 대해 평가하는 사항이 기재될 수 있다. 그리고, 강의 계획표에는 추가적으로 학생에게 주어지는 숙제(HOMEWORK)에 대한 사항이 기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골격부재
111 : 홀
120 : 연결체
131 : 모터
132 : 기어
133 : 휠
210 : 이미지 작성 공간
220 : 문장 기재 공간

Claims (7)

  1.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지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고 바 또는 판 형상을 구비하는 골격부재, 상기 골격부재의 홀과 결합하여 복수 개의 상기 골격부재 각각을 결합시키는 연결체, 또는 상기 골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골격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 중 선택되는 둘 이상의 부재를 결합하여 조립로봇모듈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1레벨;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또는 작업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레벨;
    상기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로봇암의 구동이 구현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레벨;
    수치 연산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인 연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상기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연산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레벨;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범위와 작업 구동 범위, 상기 로봇암의 구동 범위 및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 범위가 수정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레벨 각각은 복수 개의 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골격부재 또는 상기 연결체와 결합하는 기어,
    상기 기어와 결합하는 모터, 및
    상기 기어, 상기 골격부재 또는 상기 연결체와 결합하는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은,
    상기 골격부재의 수치를 측정하고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직선 이동을 위해 상기 내부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1파트,
    상기 골격부재를 이용하여 이차원 또는 삼차원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2파트,
    상기 내부프로그램에 소정의 수치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3파트,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형성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제1-4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벨은,
    상기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직선 이동 또는 회전이 구현되는 과정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이 하중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1파트, 및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작업 구동을 이용하여 다리 형상의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2-2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레벨은,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배치와 속도가 가변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1파트, 및
    상기 로봇암의 구동이 구현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3-2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레벨은,
    상기 내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거리와 회전 각도가 설정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1파트, 및
    Snap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설계도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4-2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레벨은,
    상기 조립로봇모듈에 설치된 모터 센서, 터치 센서, 거리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컬러 센서의 센싱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1파트, 및
    상기 모터 센서, 상기 터치 센서, 상기 거리센서, 상기 자이로 센서 또는 상기 컬러 센서의 센싱 정보에 의해 상기 조립로봇모듈의 이동 및 작업 구동이 가변되는 과정에 대해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가 기재된 제5-2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KR1020190064341A 2019-05-31 2019-05-31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KR20200137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41A KR20200137638A (ko) 2019-05-31 2019-05-31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41A KR20200137638A (ko) 2019-05-31 2019-05-31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38A true KR20200137638A (ko) 2020-12-09

Family

ID=7378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341A KR20200137638A (ko) 2019-05-31 2019-05-31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6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22A (ko) * 2020-12-09 2022-06-16 김남호 학습용 로봇 교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91B1 (ko) 2012-03-16 2012-09-17 주식회사 비씨엔키즈 언어교육교재에 의한 언어교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91B1 (ko) 2012-03-16 2012-09-17 주식회사 비씨엔키즈 언어교육교재에 의한 언어교육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22A (ko) * 2020-12-09 2022-06-16 김남호 학습용 로봇 교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sello et al. Using robotics to train students for Industry 4.0
US20180261131A1 (en) Robotic Instructor And Demonstrator To Train Humans As Automation Specialists
Fonseca Ferreira et al. Computer applications for education on industrial robotic systems
Verner et al. Exploring affordances of robot manipulators in an introductory engineering course
KR20200137638A (ko)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학생용 교재
Sell et al. Indu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engineering pedagogy on the example of remote labs
KR20200137631A (ko) 로봇 제작 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재
Ghaleb et al. Project-based learning of robotics for engineering education improvement
Sell et al. Inductive principles in engineering pedagogy on the example of remote labs
Chookaew et al. Upskilling and reskilling for engineering workforce: implementing an automated manufacturing 4.0 technology training course
Stolkin et al. A paradigm for vertically integrated curriculum innovation–how curricula were developed for undergradua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underwater robotics
Sell et al. Remotely controlled multi robot environment
Sirinterlikci et al. Vex v5 workcell: Industrial robotic arm model for stem education (other)
Belmonte et al. A proposal to improve practical skills learning in mobile robotics through lego mindstorms nxt
Silawatchananai et al. Designing a Project-based Plant to Enhance Mechatronics Students for Self-learning Embedded Control System
Verner et al. Fostering students’ spatial skills through practice in operating and programming robotic cells
Wang et al. Mitsubishi Electric’s robot teaching course design
Gull et al. 1 Robotics Primer for Independent Learners: Background, Curriculum, Resources, and Tips
Ma Teaching undergraduate robotic courses using enhanced vex robots
Mašek et al. Transfer of learning in mechatronics education for Industry 4.0
Verner et al. Digital twin of the robot baxter for learning practice in spatial manipulation tasks
Haruna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bile robot for effective learning of material handling in mechanical workshops in universities
Barradas et al. Robots in action
Latif Intro to Robotics: Design and Development of a Hands-on Undergraduate Course on Robotics
Wicaksono et al. Towards a Low-Cost Solution to Learn Robot Manipulato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