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604A -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604A
KR20200137604A KR1020190064250A KR20190064250A KR20200137604A KR 20200137604 A KR20200137604 A KR 20200137604A KR 1020190064250 A KR1020190064250 A KR 1020190064250A KR 20190064250 A KR20190064250 A KR 20190064250A KR 20200137604 A KR20200137604 A KR 20200137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formation
asset
terminal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702B9 (ko
KR102303702B1 (ko
Inventor
김기덕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주)씨앤테크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테크,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씨앤테크
Priority to KR102019006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7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04A/ko
Priority to KR1020210120948A priority patent/KR102565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02B1/ko
Publication of KR1023037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0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37/90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by means of a compu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6Moulds carrying mould related information or codes, e.g. bar codes, coun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 자산의 위치 감시를 통한 도난 방지와 금형의 타발 수, 이동횟수 등과 같은 금형 사용현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관리하기 위한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금형 자산의 위치 감시를 통한 도난 방지와 금형의 타발 수, 이동횟수 등과 같은 금형 사용현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위치 추적 기능을 금형의 작동 수명 동안 제공하여 계열사에 인도된 금형을 금형 소유업체가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Mold asset location control and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unique pattern of mold}
본 발명은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 자산의 위치 감시를 통한 도난 방지와 금형의 타발 수, 이동횟수 등과 같은 금형 사용현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관리하기 위한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형(mold)이란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료에 원하는 모양 또는 형상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말한다.
금형은 현재 거의 모든 제조업체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금형 제작 의뢰를 요청한 회사는 금형 실물에 대한 이력 관리와 다양한 금형 제작업체에서 만든 금형 정보의 통합 관리 및 금형의 품질 관리를 원한다.
그러나, 현재 금형은 다단계 양산업체에서 자체적으로 금형을 보관함으로 인해 실시간 현황 파악이 어려우며, 금형의 이력관리 미흡으로 인해 금형을 사용하여 양산해야 하는 제품의 규모 판단이 곤란한 상황이다.
또한, 제품 양산업체의 금형 사출조건 관리 미흡으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있다.
현재의 금형 이력 및 실물 관리 운영 방식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최초 금형 제작시 담당 작업자가 직접 시스템에 입력함으로써 금형 관련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제품 양산업체, 금형 수정업체, 금형 폐기업체에서 금형의 반출입시 담당자가 시스템 직접 입력을 통해 시스템에 금형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금형 제작업체 작업자의 시스템 직접 입력이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 금형 제작 및 금형에 대한 정보 확인이 불가능하다.
이는 제품 양산업체, 금형 수정업체 및 폐기업체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된다.
또한, 금형 제작업체부터 폐기업체까지의 통합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금형 제작업체나 제품 양산업체 입장에서는 현재 특정 금형이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없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해, 금형에 대해 금형 제작업체, 제품 양산업체, 금형 수정업체 및 폐기업체의 관리자가 금형 이력 및 실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
그리고, 현재 여러 업체에서 분산 관리되고 있는 금형정보의 통합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자료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60721호에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 금형관리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 금형관리방법은 기술적 측면에서 RFID 태그를 이용하므로 정보 조작 및 입력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최초 인코딩 후 태그에 안전장치를 부가하여 이후에 정보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배제함으로써 입력 실수로 인한 정보오류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적 측면에서는 RFID를 통한 금형자산 실제보유현황과 시스템 상의 정보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일관성 있는 금형이력관리가 가능하고, 금형 현황판에 의한 금형의 현재 위치 및 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며, 금형 보관의 정위치 관리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금형정보의 확인이 가능하고, 금형의 반출 및 반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금형자산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여 금형 위치정보를 통한 디자인 유출이 방지되고, 금형 자산분실 발생시 금형의 분실책임의 소재를 규명할 수 있다.
그리고, 경제적 측면에서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출 조건을 로드하여 사출하기 때문에 품질 신뢰성이 확보되고, 다양한 주문에 대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지며 수작업이 감소되므로 생산성과 제품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 금형관리방법은 금형을 제조하거나 금형을 이용하여 부품 또는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금형 자체의 생산을 위한 금형 생산 관리,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금형 사용 관리, 금형의 유지 보수를 위한 금형 자산 관리, 금형 이력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금형을 이용하여 부품 또는 제품을 생산하는 제품양산업체의 경우에, 열에 많은 시간 노출되는 금형의 열화 상태에 따라 타발 가능한 횟수가 정해져 있지만 작업 타발수 관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아 금형의 타발수가 한계치를 초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발수가 한계치를 초과한 금형은 프레스 비가동 요인이 될 수 있고, 단품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형을 보전하기 위해 필요한 소포품의 재고 관리도 수행되지 않아 소모품 원가 관리나 소모품의 재고 부족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행 금형 관리감독으로는 금형이 계열 업체에 인도된 후, 실질적인 관리 및 감독을 수행할 수 없으며, 도난이 발생하여도 유출 경로나, 위치 파악이 불가능하여 금형 유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불가능한 사항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6072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 자산의 위치 감시를 통한 도난 방지와 금형의 타발 수, 이동횟수 등과 같은 금형 사용현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은,
금형 식별 정보, 금형 관리업체 및 하도급 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금형관리디비(110);와
금형자산관리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벤트신호수신부(120);와
상기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이벤트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정보처리부(130);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정보디비(140);와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금형의 위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금형위험정도구분부(150);와
상기 위험 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위험 정도 정보를 관리업체단말기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로 송출하기 위한 위험정도정보알림부(160);와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 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타수이벤트정보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와,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금형 자산에 설치 구성되는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와,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에서 송출된 위험 정도 정보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관리업체단말기(300)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35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은,
금형 자산의 위치 감시를 통한 도난 방지와 금형의 타발 수, 이동횟수 등과 같은 금형 사용현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위치 추적 기능을 금형의 작동 수명 동안 제공하여 계열사에 인도된 금형을 금형 소유업체가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금형자산관리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타수측정부의 프로세싱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타수측정부의 외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타수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실제 타수 감지 그래프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에 의해 타수현황, 조도 현황, 이동현황(탈착현황), 배터리현황 등을 그래프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은,
금형 식별 정보, 금형 관리업체 및 하도급 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금형관리디비(110);와
금형자산관리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벤트신호수신부(120);와
상기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이벤트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정보처리부(130);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정보디비(140);와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금형의 위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금형위험정도구분부(150);와
상기 위험 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위험 정도 정보를 관리업체단말기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로 송출하기 위한 위험정도정보알림부(160);와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 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타수이벤트정보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와,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금형 자산에 설치 구성되는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와,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에서 송출된 위험 정도 정보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관리업체단말기(300)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는,
원격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획득하여 트리거시키기 위한 트리거처리부(210);와
담보물의 성격에 따라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민감도설정부(220);와
감지 주기와 보고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감지주기설정부(230);와
금형의 고유운동패턴을 이용하여 금형 타발수 및 생산현황을 감지하기 위한 타수측정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은, 크게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 관리업체단말기(300), 하도급업체단말기(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는 통신부, 위치추적부, 전원공급부, 타수데이터수집부를 기본적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통신부는 예를 들어, 마스터-슬래이브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비 절약을 통한 단가 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추적부는 금형에 설치 구성되게 되며, 금형으로부터 이격되게 되어 위치가 변동되게 되면 이에 따른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이동 중임을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실내 이동이나 방향전환, 금형의 자세 변동 등의 국지적 이동에 대하여 감지하여 이벤트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자이로센서를 구성하여 실내 이동이나 방향 전환시 실내 이동 위치정보, 방향 전환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또한, 자이로센서를 통해 자세 변동값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국지적 이동 변동정보를 획득하여 이동 변동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국지적이동변동이벤트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수데이터수집부는 센서를 이용한 금형 가동률 측정 방식을 이용하게 되는데, 전력 신호와 가속계를 이용한 타수 감지 알고리즘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금형자산관리단말기는 충격 및 프레스 작동 환경에서의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을 가지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또한, 사출, 압출 등의 작동 환경에 대하여 내열성 또한 가지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는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금형 자산에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업체단말기(300)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350)는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에서 송출된 위험 정도 정보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위험 정도 정보를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는,
금형 식별 정보, 금형 관리업체 및 하도급 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금형관리디비(110);와
금형자산관리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벤트신호수신부(120);와
상기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이벤트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정보처리부(130);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정보디비(140);와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금형의 위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금형위험정도구분부(150);와
상기 위험 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위험 정도 정보를 관리업체단말기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로 송출하기 위한 위험정도정보알림부(160);와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 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타수이벤트정보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금형관리디비(110)에는 금형 식별 정보, 금형 관리업체 및 하도급 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되는데, 예를 들어, 금형의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고유 식별번호에 장소, 소유주, 생산일시, 연락처 등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신호수신부(120)는 금형자산관리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즉, 금형자산관리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에 따른 이벤트 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해당 송출 신호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벤트정보처리부(130)는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이벤트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타수이벤트정보처리부(170)를 통해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 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벤트정보디비(140)에는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되며, 추가적으로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 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원격지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와 같은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관리업체단말기(300)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350)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식별자 정보와 접속된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 이벤트정보디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접속권한부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위험정도구분부(150)는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금형의 위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금형의 위험 정도를 구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의 위험 정도는 도난, 파손, 허가받지 않은 사용 등에 대한 것을 의미하며, 이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험정도정보알림부(160)는 위험 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위험 정도 정보를 관리업체단말기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난의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파손의 경우에는 파손의 정도에 따라 이벤트 신호의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로부터 타수값, 조도값, 이동(탈착)값, 배터리값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타수현황, 조도 현황, 이동현황(탈착현황), 배터리현황 등을 그래프로 변환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에는 일반적으로 조도센서, 가속도센서, 배터리관리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값을 통해 주기적으로 통계 분석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의 금형자산관리단말기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는,
원격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획득하여 트리거시키기 위한 트리거처리부(210);와
담보물의 성격에 따라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민감도설정부(220);와
감지 주기와 보고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감지주기설정부(230);와
금형의 고유운동패턴을 이용하여 금형 타발수 및 생산현황을 감지하기 위한 타수측정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리거처리부(210)는 원격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획득하여 트리거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담보물측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트리거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민감도설정부(220)는 담보물의 성격에 따라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담보물의 성격에 따라 센서의 민감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서버에서 위험 정도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감지주기설정부(230)는 감지 주기와 보고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관리자에 의해 감지 주기를 실시간으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며, 보고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감지 주기 혹은 보고 주기를 참조하여 해당 주기마다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 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시키기 위하여 타수측정부로부터 감지 정보를 추출하여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타수측정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등의 정보에 대해 주기적으로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계열사가 인도받은 금형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금형의 관리 및 감독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특히, 타수는 금형의 운용 여부를 보여주는 단서로서 타수를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타수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한 타수측정부(170)는 금형의 고유운동패턴을 이용하여 금형 타발수 및 생산현황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수측정부(240)는,
금형의 고유 운동특성과 충격특성을 이용하여 접촉식, 비접촉식, 기계식, 전기전자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전모듈을 통해 금형자산관리단말기에 필요한 전력공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타수측정부에서는 금형의 고유 운동특성과 충격특성을 이용하여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금형자산관리단말기에 필요한 전력공급 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발전모듈이 추가될 수 있다.
즉, 프레스가 왕복할 때마다 발전모듈을 통해 기계적 또는 전기적 신호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타수를 측정하게 된다.
측정 방식은 예를 들어, 프레스가 왕복할 때마다 자체 발전 모듈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신호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타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속도를 이용한 기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하게 되면 이를 통해 타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수측정부(240)는,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센서;와
누름 스위치로부터 누름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스탠바이모드에서 슬립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슬립모드변환부;와
상기 가속도센서를 통해 충격 감지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웨이크업모드변환부;와
상기 웨이그업변환부에 의해 웨이크업모드로 변환시 상기 가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가속도값을 획득하여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되, 이동 및 탈착이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한 이벤트디텍팅부;와
상기 이벤트디텍팅부로부터 생성된 이벤트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슬립모드에서 충격 감지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타수를 측정하기 위한 쇼크모드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가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다가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에 형성된 누름 스위치를 3초 이상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init report에 의해 슬립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이후, 가속도센서에 의해 충격이 감지되게 되면 설정된 주기만큼 시간이 흐를 경우에 웨이크업변환부의 동작에 의해 슬립모드에서 웨이크업모드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때, 이벤트디텍팅부를 통해 웨이그업변환부에 의해 웨이크업모드로 변환시 상기 가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가속도값을 획득하여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되, 이동 및 탈착이 감지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이동 및 탈착이 감지되게 되면 even report를 생성하여 웨이크업변환부로 제공하여 지속적인 센싱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벤트디텍팅부는 주기만큼 시간이 흐르면 periodic report를 슬립모드변환부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벤트디텍팅부는 슬립모드에서 충격 감지 신호를 설정된 횟수이상을 획득하게 되면 쇼크모드실행부로 타수 측정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쇼크모드실행부는 이벤트디텍팅부로부터 생성된 이벤트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슬립모드에서 충격 감지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이면 타수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슬립모드에서 충격 감지 10회 이상일 경우에 쇼크모드(shock mode)로 전환되어 쇼크모드에서 타수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립모드에서 타수를 체크하게 되면 전력 소모가 상당하여 단기간 내에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된다면 슬립모드와 쇼크 모드를 나누어 센싱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수측정부를 통해 실제 금형 실타 가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실제 타수 감지의 경우, 진폭이 평상시보다 훨씬 크게 되므로 진폭 변화량을 토대로 타수를 측정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금형 자산의 위치 감시를 통한 도난 방지와 금형의 타발 수, 이동횟수 등과 같은 금형 사용현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따른 생산 효율성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위치 추적 기능을 금형의 작동 수명 동안 제공하여 계열사에 인도된 금형을 금형 소유업체가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
110 : 금형관리디비
120 : 이벤트신호수신부
130 : 이벤트정보처리부
140 : 이벤트정보디비
150 : 금형위험정도구분부
160 : 위험정도정보알림부
170 : 타수이벤트정보처리부
200 : 금형자산관리단말기
210 : 트리거처리부
220 : 민감도설정부
230 : 감지주기설정부
240 : 타수측정부
300 : 관리업체단말기
350 : 하도급업체단말기

Claims (3)

  1.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금형 식별 정보, 금형 관리업체 및 하도급 업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금형관리디비(110);와
    금형자산관리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이벤트신호수신부(120);와
    상기 이벤트 신호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이벤트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정보처리부(130);와
    발생한 시각 및 지속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정보디비(140);와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금형의 위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금형위험정도구분부(150);와
    상기 위험 정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에 해당 위험 정도 정보를 관리업체단말기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로 송출하기 위한 위험정도정보알림부(160);와
    금형의 타수 정보 및 생산현황 정보, 배터리 잔량, 국지적 이동횟수, 충격감지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이벤트정보디비에 저장 처리하기 위한 타수이벤트정보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와,
    이벤트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금형 자산에 설치 구성되는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와,
    금형자산및생산관리서버(100)에서 송출된 위험 정도 정보를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관리업체단말기(300) 혹은 하도급업체단말기(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는,
    원격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획득하여 트리거시키기 위한 트리거처리부(210);와
    담보물의 성격에 따라 센서의 민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민감도설정부(220);와
    감지 주기와 보고 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감지주기설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자산관리단말기(200)는,
    금형의 고유운동패턴을 이용하여 금형 타발수 및 생산현황을 감지하기 위한 타수측정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KR1020190064250A 2019-05-31 2019-05-31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KR10230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50A KR102303702B1 (ko) 2019-05-31 2019-05-31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KR1020210120948A KR102565313B1 (ko) 2019-05-31 2021-09-10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50A KR102303702B1 (ko) 2019-05-31 2019-05-31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948A Division KR102565313B1 (ko) 2019-05-31 2021-09-10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04A true KR20200137604A (ko) 2020-12-09
KR102303702B1 KR102303702B1 (ko) 2021-09-23
KR102303702B9 KR102303702B9 (ko) 2022-12-27

Family

ID=737874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250A KR102303702B1 (ko) 2019-05-31 2019-05-31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KR1020210120948A KR102565313B1 (ko) 2019-05-31 2021-09-10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948A KR102565313B1 (ko) 2019-05-31 2021-09-10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3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013B1 (ko) 2023-03-28 2023-11-06 주식회사 아이투프럼 금형 관리 장치 및 터미널을 활용한 금형 자산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721B1 (ko) 2012-09-26 2013-05-06 (주)하이텍정보시스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 금형관리방법
KR101487163B1 (ko) * 2014-05-15 2015-01-29 아진산업(주) Rfid 기반의 통합 금형 관리 시스템
KR101882146B1 (ko) * 2017-08-22 2018-07-25 정대의 스마트 현장 정보관리 시스템
KR20190020941A (ko) * 2017-08-22 2019-03-05 (주)씨앤테크 금형 자산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189B1 (ko) * 2006-11-27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그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저전력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12951A (ko) * 2013-03-15 2014-09-24 이정훈 담보물 감시시스템 및 담보물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721B1 (ko) 2012-09-26 2013-05-06 (주)하이텍정보시스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기반 금형관리방법
KR101487163B1 (ko) * 2014-05-15 2015-01-29 아진산업(주) Rfid 기반의 통합 금형 관리 시스템
KR101882146B1 (ko) * 2017-08-22 2018-07-25 정대의 스마트 현장 정보관리 시스템
KR20190020941A (ko) * 2017-08-22 2019-03-05 (주)씨앤테크 금형 자산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313B1 (ko) 2023-08-10
KR20210116390A (ko) 2021-09-27
KR102303702B9 (ko) 2022-12-27
KR102303702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3744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urveillance tag
US20070182576A1 (en) Remote battery monitoring
US10379167B2 (en) Rechargeable tool and battery status monitoring in an automated tool control system
CN112862401B (zh) 库位管理系统
KR20180006893A (ko) 통합 자산 완전성 관리 시스템
KR20170038879A (ko) 공장에서 모니터링될 대상의 재고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JP2020500396A5 (ko)
CN105313270A (zh) 保存模具周期计数的监视器及检索模具周期数据的方法
KR101492592B1 (ko) 동산 관리 시스템
CN108202444A (zh) 模具监视装置、监视系统和方法
CN101089904A (zh) 检测紧急情况的方法、装置以及计算机产品
KR102565313B1 (ko) 금형의 고유 패턴을 이용한 금형자산 위치관제 및 생산관리 시스템
CN102682318B (zh) 一种用于监测存放装置状态的rfid传感标签系统
KR102205304B1 (ko) 금형 자산관리 시스템
WO2011055112A1 (en) Monitoring movement
KR102394574B1 (ko) 스마트 태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9070030B2 (en) Management system for container data center
CN202391475U (zh) 便携式安全记录仪
CN104573973A (zh) 一种基于rfid技术的文物监控保护系统及方法
CN111860710A (zh) Rfid继电保护装置全生命周期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16505660A (zh) 一种储能运维系统和运维方法
CN210627239U (zh) 一种自动识别耗材的供纸装置
KR20210137404A (ko) 지능적 관리를 위한 기계 가공용 툴의 사용 및 마모의 실시간 모니터링
CN113290782A (zh) 显示装置
WO202212622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tools for manufacturing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