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590A -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590A
KR20200137590A KR1020190064207A KR20190064207A KR20200137590A KR 20200137590 A KR20200137590 A KR 20200137590A KR 1020190064207 A KR1020190064207 A KR 1020190064207A KR 20190064207 A KR20190064207 A KR 20190064207A KR 20200137590 A KR20200137590 A KR 2020013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late
ionic liquid
room temperature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590A/ko
Priority to PCT/KR2020/006984 priority patent/WO2020242243A1/ko
Publication of KR2020013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6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fluids in transparent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7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15Electrowe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실시 예에 의한 렌즈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와, 캐비티에 배치되는 상온 이온성 액체와, 캐비티에 배치되고 상온 이온성 액체에 접하는 비전도성 액체와,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및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LENS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LENS}
실시 예는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장치의 사용자는 고해상도를 가지며 크기가 작고 다양한 촬영 기능을 갖는 광학 장치를 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촬영 기능이란, 광학 줌 기능(zoom-in/zoom-out), 오토 포커싱(AF:Auto-Focusing) 기능 또는 손떨림 보정 내지 영상 흔들림 방지(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의 경우, 전술한 다양한 촬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개의 렌즈를 조합하고, 조합된 렌즈를 직접 움직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렌즈의 수를 증가시킬 경우 광학 장치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오토 포커스와 손떨림 보정 기능은, 광축으로 정렬된 여러 개의 렌즈가, 광축 또는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틸팅(Tilting)하여 수행된다. 이때, 광학 장치에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렌즈부와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액체의 열 팽창으로 인해, 광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미국 특허 공개 번호 US 2016/0299264(출원 번호 SN:14/824945) 미국 특허 공개 번호 US 2014/0347741(출원 번호 SN:13/902766)
실시 예는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광학 성능을 갖는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한 렌즈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상온 이온성 액체;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고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에 접하는 비전도성 액체;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다음 화학식들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겔형 전해질막; 상기 겔형 전해질막과 접촉하고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비전도성 물질;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겔형 전해질막과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겔형 전해질막과 접촉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겔형 전해질막은 상온 이온성 액체 또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륨(Imidazolium) 기반 이온성 액체일 수 있다.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다음 화학식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M][TFSI])
Figure pat00003
(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M][PF6])
Figure pat00004
(1-ethyl-3-methylimidazolium n-octylsulfate; [EMIM][OctOSO3])
Figure pat00005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M][TFSI])
예를 들어,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기반 이온성 액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는 PS-PEO-PS (polystyrene-block-poly(ethylene oxide)-block-polystyrene), 나피온(Nafion), 술포네이티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Poly(N-isopropylacrylamide)(PNIPAM),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겔형 전해질막은 물기반 액체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술폰산기, 아민기, 또는 인산기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 또는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불소계 또는 비불소계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어셈블리는, 제1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광축으로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전술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자체의 열 또는 주변의 온도 등으로 인해 온도가 변하거나 고온일 때에도 제2 플레이트의 변형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광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는 전도성 물질로서 겔형 전해질 막을 사용하므로 렌즈가 중력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고, 오일과 같은 비전도성 액체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렌즈의 제조 방법이 간단해지고 제조 원가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에서 전도성 물질로서 사용되는 겔형 고분자막은 투명도가 95%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표면 거칠기도 조절이 가능하여 매우 평탄하게 만들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는 -80℃ 내지 200℃의 넓은 온도 구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는 전기적 구동 범위가 매우 높은 잇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한 렌즈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 (a) 및 (b)는 전술한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제2 플레이트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 실시 예에 의한 제2 플레이트에서 신축부가 늘어나기 이전 및 이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플레이트에서 신축부가 늘어나기 이전 및 이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플레이트에서 신축부가 늘어나기 이전 및 이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 예에 의한 렌즈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비교 례에 의한 렌즈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에서 접착제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14a는 비교 례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4b는 실시 예에 의한 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실시 예에 의한 광학 기기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 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으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데카르트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데카르트 좌표계에 의하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x축, y축, z축은 직교하는 대신에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는 전도성 물질(110),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 복수의 플레이트, 제1 및 제2 전극(E1, E2) 및 절연층(14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물질(110)은 캐비티(Cavity)(CA)의 적어도 일부에 충진, 수용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전도성 물질(11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한 전도성 물질(110)을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제1 실시 예에 의하면, 전도성 물질(110)은 전도성 액체로서 상온 이온성 액체(RTIL:Room Temperature Ionic Liquid)일 수 있다. RTIL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이온성 액체를 의미한다. RTIL은 이온만으로 구성된, 예를 들어 질소를 포함하는 거대 양이온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액체일 수 있다. 쿨롱 힘(Coulomb force)에 의해 유지되는 RTIL은 매우 낮은 휘발성을 가지므로 상온에서 액체이면서도 낮은 팽창율을 보인다. 또한, RTIL은 비휘발성, 무독성, 비가연성이며 우수한 열적 안정성과 이온 전도도를 지니며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RTIL은 이용목적에 따라 양/음이온을 변화시켜 특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RTIL은 넓은 전기적 구동 범위(electrochemical window)와 높은 이온전도도, 넓은 액체온도범위, 비휘발성, 비폭발성을 갖추기 때문에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TIL은 다음 화학식 1 내지 5 중에서 선택되거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여기서, mmim은 디메틸이미다졸륨(dimethylimidazolium)이고, emim은 에틸메틸이미다졸륨(ethylmethylimidazolium)이고, bmim은 부틸메틸이미다졸륨(butylmethylimidazolium)이고, hmim은 헥실메틸이미다졸륨(hexylmethylimidazolium)이고, omim은 옥틸메틸이미다졸륨(octylmethylimidazolium)이다.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전도성 물질(110)은 RTIL뿐만 아니라 공용매(cosolv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TIL에 공용매를 섞을 경우, 전도성 물질(110)의 점도 특성, 사용 액체 온도범위, 전기적 특성, 이온 전도도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공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전도성 물질(110)의 점도는 낮아지고 전기적 특성은 증가되면서 사용 온도 범위도 증가되고, 전기 구동 범위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매는 디메틸 술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3 및 제4 실시 예에 의하면, 전도성 물질(110)은 젤형 전해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겔형 전해질막은 상온 이온성 액체 및/또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온 이온성 액체와 물리적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상온 이온성 액체를 겔형 전해질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온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륨(Imidazolium) 기반 이온성 액체일 수도 있고,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기반 이온성 액체일 수도 있다.
만일, 상온 이온성 액체가 이미다졸륨 기반 이온성 액체일 경우, 상온 이온성 액체는 다음 화학식 6 내지 9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11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M][TFSI])
Figure pat00012
(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M][PF6])
Figure pat00013
(1-ethyl-3-methylimidazolium n-octylsulfate; [EMIM][OctOSO3])
Figure pat00014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M][TFSI])
또한, 제3 실시 예에서, 겔형 전해질막에 포함되는 고분자는 PS-PEO-PS (polystyrene-block-poly(ethylene oxide)-block-polystyrene), 나피온(Nafion), 술포네이티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Poly(N-isopropylacrylamide)(PNIPAM),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실시 예에 의하면, 겔형 전해질막은 물기반 액체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물기반의 액체 전해질을 제조한 후, 물기반의 액체 전해질과 물리적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물기반 액체 전해질을 겔형 물기반 전해질막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술폰산기, 아민기, 또는 인산기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 또는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불소계 또는 비불소계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Polytetrafluoroethrylene, PTFE), 폴리비닐플루라이드 (Polyvinylfluoride, PVF), 폴리비닐리딘플루라이드 (Polyvinylidi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ETFE)의 불소계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불소계 고분자와 술폰산기, 아민기, 인산기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및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를 지닌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친수성 이온교환기능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나피온 (Nafion), 아퀴비온 (Aquivion), 플레미온 (Flemion), 고어 (Gore), 에이씨플렉스 (Aciplex), R-1030, Aciplex A-192 또는 Morgane ADP 일 수 있다.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 아릴렌계, 폴리에테른케톤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어느 하나의 비불소계 고분자, 또는 비불소계 고분자에 술폰산기, 아민기, 인산기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및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친수성 이온 교환기능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은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 (sPEEK)),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케톤(sulfonated polyetherketone (sPEK)),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술폰(sulfonated polyethersulfone (sPES)),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 (sPAES))의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막 또는 음이온 전도성 고분자막 일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4 실시 예 각각에서, 렌즈(100)는 비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전도성 물질은 비전도성 액체(이하, ‘비전도성 액체’라 한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도성 액체(120)는 캐비티(CA) 내에서 전도성 물질(110)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전도성 액체(120) 위에 전도성 물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비전도성 액체(120)는 상온 이온성 액체(110)에 접하여 배치되고, 제3 및 제4 실시 예에 의하면 비전도성 물질(120)은 젤형 전해질막(110)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 물질(110)과 비전도성 물질(120)(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은 서로 섞이지 않으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 사이의 접하는 부분에 계면(BO)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3 및 제4 실시 예 각각에서, 전도성 물질(110)의 아래에 비전도성 물질은 비전도성 액체 대신에 공기(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도성 물질(110)과 공기(120)는 서로 섞이지 않으며, 전도성 물질(110) 및 공기(120) 사이의 접하는 부분에 계면(BO)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및 제4 실시 예에 의하면, 오일과 같은 비전도성 액체를 사용하지 않고 겔형 전해질막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만일, 도 1에서 전도성 물질(110)이 극성을 갖는 유체(polar fluid) 예를 들어, 염(salt)을 포함하는 물(H2O)일 경우, 렌즈(100)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열 또는 렌즈(100) 주변의 온도에 의해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는 광축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러한 열 팽창에 의한 응력이 제2 플레이트(P2)로 집중되어, 제2 플레이트(P2)에 많은 굴곡이 야기되어 광학적 성능이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에서와 같이, 전도성 물질(110)이 상온 이온성 물질, 공용매를 포함하는 상온 이온성 물질 또는 젤형 전해질막을 포함할 경우, 온도에 따른 열팽창이 극성을 갖는 유체보다 작기 때문에, 제2 플레이트(P2)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여, 광학적 성능이 악화되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캐비티(CA)는 광축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플레이트는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P1 내지 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는 캐비티(C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P1)는 캐비티(CA)의 측부를 정의하는 내측면(i)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P1)의 내측면(i)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질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캐비티(CA)는 제1 플레이트(P1)의 위 및 아래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개구(O1, O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캐비티(CA)는 제1 플레이트(P1)의 내측면(i), 제1 개구(O1) 및 제2 개구(O2)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O1, O2) 중에서 보다 넓은 개구의 직경은 렌즈(100)에서 요구하는 화각(FOV) 또는 렌즈(100)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서 수행해야 할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개구(O1)의 크기(또는, 면적 또는 폭)는 제2 개구(O2)의 크기(또는, 면적 또는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개구(O1, O2) 각각의 크기는 수평 방향(예를 들어, x축과 y축 방향)의 단면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개구(O1, O2) 각각의 크기란, 개구의 단면이 원형이면 반지름을 의미하고, 개구의 단면이 정사각형이면 대각선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캐비티(CA)는 광이 투과하는 부위이다. 따라서, 캐비티(CA)를 이루는 제1 플레이트(P1)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광의 투과가 용이하지 않도록 불순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은 캐비티(CA)에서 제2 개구(O2)보다 넓은 제1 개구(O1)를 통해 입사되어 제2 개구(O2)를 통해 출사될 수도 있고, 제1 개구(O1)보다 좁은 제2 개구(O2)를 통해 입사되어 제1 개구(O1)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P2)는 제1 플레이트(P1)의 위 또는 아래 중 한 곳에 배치되고, 제3 플레이트(P3)는 제1 플레이트(P1)의 위 또는 아래 중 다른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P2)는 제1 플레이트(P1)의 위에 배치되고, 제3 플레이트(P3)는 제1 플레이트(P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플레이트(P2)는 캐비티(CA) 위에 배치되고, 제3 플레이트(P3)는 캐비티(CA)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2)와 제3 플레이트(P3)는 제1 플레이트(P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P2) 또는 제3 플레이트(P3)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또는 제3 플레이트(P2, P3) 중 적어도 하나는 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부 영역이 도피되어 후술할 전극의 일부를 노출 시킬 수 있다. 제2 및 제3 플레이트(P2, P3) 각각은 광이 통과하는 영역으로서,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및 제3 플레이트(P2, P3) 각각은 유리(glass)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정의 편의상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플레이트(P2, P3) 각각의 가장 자리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2 플레이트(P2)는 입사되는 광이 제1 플레이트(P1)의 캐비티(CA) 내부로 진행하도록 허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 광 출사를 허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3 플레이트(P3)는 제1 플레이트(P1)의 캐비티(CA)를 통과한 광이 출사되도록 허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도 광 출사를 허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플레이트(P2)는 전도성 물질(11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렌즈(100)의 실제 유효 렌즈 영역은 제1 플레이트(P1)의 제1 및 제2 개구(O1, O2) 중에서 좁은 제2 개구(O2)의 직경보다 좁을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또는, 개별 전극)(E1)은 제1 플레이트(P1)의 일면(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P1)의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전극(또는, 공통 전극)(E2)은 제1 플레이트(P1)의 타면(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P1)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E1)은 제1 플레이트(P1) 상에 배치되고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하지 않고 제2 전극(E2)은 제1 플레이트(P1) 상에 배치되고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1)의 위에 배치된 제2 전극(E2)의 일부가 전도성 물질(110)에 노출되어 전도성 물질(11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전극(E1)과 전도성 물질(110) 사이에 절연층(146)이 배치되고, 제1 전극(E1)과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 사이에 절연층(146)이 배치되어, 제1 전극(E1)과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전극(E2)과 전도성 물질(110) 사이에 산화막(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전극(E1)은 복수의 전극이고, 제2 전극(E2)은 한 개의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1)의 개수는 4개일 수도 있고, 8개일 수도 있으며, 실시 예는 제1 전극(E1)의 특정한 개수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전극(E1)은 제1 및 제3 플레이트(P1, P3)의 사이로부터 제1 플레이트(P1)의 내측면(i)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극(E1)은 제1 플레이트(P1)의 내측면(i)으로부터 제1 플레이트(P1)의 위까지 연장되어 제2 전극(E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각각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절연층(146)은 캐비티(CA)의 하부 영역에서 제3 플레이트(P3)의 상부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절연층(146)은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와 제3 플레이트(P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46)은 캐비티(CA)의 내측면(i)에 배치된 제1 전극(E1)의 전체를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층(146)은 제1 플레이트(P1)의 상부면에서, 제2 전극(E2)의 일부와 제1 전극(E1)의 전체를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층(146)은 제1 전극(E1)과 전도성 물질(110) 간의 접촉, 제1 전극(E1)과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 간의 접촉 및 제3 플레이트(P3)와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 간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절연층(146)이 제1 전극(E1)을 덮고, 제2 전극(E2)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2 전극(E2)을 통해 전도성 물질(110)에 전기 에너지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은 제1 연결 기판 및 제2 연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기판은 제1 전극(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패드를 통해 메인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기판은 제2 전극(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패드를 통해 메인 기판 상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기판은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현되고, 제2 연결 기판은 FPCB 또는 단일 메탈 기판(전도성 메탈 플레이트)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연결 기판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전압(이하, ‘개별 전압’이라 함)을 복수의 제1 전극(E1)으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제2 연결 기판은 하나의 구동 전압(이하, ‘공통 전압’이라 함)을 제2 전극(E2)으로 전달할 수 있다. 공통 전압은 DC 전압 또는 AC 전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통 전압이 펄스 형태로 인가되는 경우 펄스의 폭 또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은 일정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 기판과 제2 연결 기판을 통해 렌즈(100)로 구동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렌즈(100) 내에 형성되는 계면(BO)의 곡률이 변하여 오토 포커싱(AF:Auto-Focusin)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계면(BO)의 틸팅되는 각도가 변하여 손떨림 보정 내지 영상 흔들림 방지(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일, 렌즈(100)가 AF 기능을 수행할 경우, 서로 동일한 개별 전압이 제1 연결 기판을 통해 복수의 제1 전극(E1)으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렌즈(100)가 OIS 기능을 수행할 경우, 서로 다른 복수의 개별 전압이 제1 연결 기판을 통해 복수의 제1 전극(E1)으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횡축은 전하량을 나타내고 종축은 변위량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렌즈(10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레벨(예를 들어, 전하량)을 달리 함에 따라 렌즈(100)의 변위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렌즈(100)를 구동하여 AF 또는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a) 및 (b)는 전술한 제4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이해를 돕기 위해, 2개의 전압(V1, V2)을 인가받는 전극이 전도성 물질(110)과 직접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V1, V2)과 전도성 물질(110) 사이에 절연층(146)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100)로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이온과 음이온이 배열된다. 이후, 렌즈(100)로 양의 전압(V1)과 음의 전압(V2)이 인가될 경우,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의 전압(V2)이 인가된 전극으로 양이온이 이동하고, 양의 전압(V1)이 인가된 전극으로 음이온이 이동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렌즈(100)로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AF 기능 또는 OIS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서로 다른 2개의 액체 중 전도성 액체 대신에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의한 전도성 물질이 배치되고, 서로 다른 2개의 액체 중 비전도성 액체 대신에 공기가 배치되거나 비전도성 액체 자체가 배치될 수 있다면, 기존의 어떠한 구성을 갖는 렌즈에도 실시 예에 의한 렌즈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렌즈를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0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P2)는 제1 및 제2 부분(PA1, P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PA1)은 전도성 물질(110)과 접하는 부분이고, 제2 부분(PA2)은 제1 부분(PA1)을 에워싸는 부분이다. 제2 플레이트(P2)는 균일한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렌즈(100)는 본딩 부재(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딩 부재(또는, 접착제)(148)는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00)는 본딩 부재(148)를 포함하는 대신에 플레이트 레그(LEG)(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레그(148)는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플레이트(P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플레이트 레그(148)는 제2 플레이트(P2)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부재(148)는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제3 플레이트(P3)에서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와 마주하는 부분의 두께(이하, ‘제3 두께’라 한다)(T3)는 제1 두께(T1) 이상이고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의 총 합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T1)와 제3 두께(T3)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열 또는 렌즈(100) 주변의 온도에 의해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는 광축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때, 제3 플레이트(P3)의 제3 두께(T3)가 두껍고 제2 플레이트(P2)의 제1 두께(T1)가 상대적으로 얇다면, 열 팽창에 의한 응력이 제3 플레이트(P3)보다 제2 플레이트(P2)로 집중되어 제2 플레이트(P2)에 많은 굴곡이 야기되어 광학적 성능이 열악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P2)의 제1 두께(T1)와 제3 플레이트(P3)의 제3 두께(T3)가 동일하거나, 제3 두께(T3)가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의 총합보다 작으면서 제1 두께(T1)보다 약간 클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열 팽창에 의한 응력이 제1 및 제3 플레이트(P1, P3)로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력이 분산될 경우 제2 플레이트(P2)가 파손될 확률이 감소하고, 렌즈(100)의 광학적 성능이 악화되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플레이트(P2)의 제1 부분(PA1)은 평탄부(FP) 및 신축부(EP)를 가질 수 있다.
평탄부(FP)는 제1 두께(T1)를 균일하게 가지며, 제2 플레이트(P2)에서 광축(LX)이 지나는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신축부(EP)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FP)를 에워싸는 부분으로서, 평탄부(FP)와 제2 부분(P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신축부(EP)는 평탄부(FP)보다 더 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평탄부(FP)보다 신축부(EP)가 더 큰 탄성을 가질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열 팽창 시, 응력이 평탄부(FP)보다 신축부(EP)로 집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축부(EP)의 신축에 따라 캐비티(CA)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평행 이동 가능하게, 평탄부(FP)는 신축부(EP)와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제2 플레이트(P2)의 제1 부분(PA1)이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열팽창에 의해 만곡(후술되는 도 15a의 230)될 경우, 렌즈(100)의 성능이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평탄부(FP)가 평행 이동할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열팽창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영향을 덜 받아, 렌즈(100)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만일, 평탄부(FP)의 폭(W)이 제2 개구(O2)의 폭보다 작을 경우, 평탄부(FP)의 양단부 중 하나가 편향되는 등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팽창시에 평탄부(FP)의 평행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평탄부(FP)의 폭(W)은 제2 개구(O2)의 폭보다 클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EP)는 환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신축부(EP)의 특정한 평면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는 제2 플레이트(P2)의 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제2 플레이트(P2)의 전체 단면을 도시한 반면, 설명의 편의상, 도 5b는 제2 플레이트(P2)의 단면 형상에서 좌측 부분 만을 도시한다. 도 5b에서 도시가 생략된 제2 플레이트(P2)의 우측 부분은 도 5b에 도시된 좌측 부분과 y축 방향으로 대칭이므로 도 5b를 통해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평탄부(FP)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FP)는 제1 및 제2 평탄부(FP1, F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부(FP1)는 도 4에 도시된 평탄부(FP)에 해당하며, 제2 평탄부(FP2)는 신축부(EP)와 제2 플레이트(P2)의 제2 부분(P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평탄부(FP)의 개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이고, 신축부(EP)는 제2 부분(PA2)과 직접 접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평탄부(FP2)가 제2 플레이트(P2)의 제2 부분(PA2)에 해당할 경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P2)도 하나의 평탄부(FP1)를 갖는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평탄부(FP2)는 제2 플레이트(P2)의 제2 부분(PA2)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이하에서 언급되는 평탄부란, 도 4에 도시된 평탄부(FP) 또는 도 5a 및 도 5b 각각에 도시된 제1 평탄부(FP1)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신축부(EP)는 제1 내지 제3 세그먼트(S1 내지 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그먼트(S1)는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4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제2 세그먼트(S2)는 제1 세그먼트(S1)와 평탄부(FP, F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세그먼트(S3)는 제1 세그먼트(S1)와 제2 부분(P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및 제3 세그먼트(S2, S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세그먼트(S1)로 접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세그먼트(S2, S3) 각각은 제1 세그먼트(S1)로 접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부(EP)가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4 두께(T4)를 갖는 제1 세그먼트(S1)를 포함할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열팽창에 의한 응력이 평탄부(FP, FP1) 대신에 신축부(EP)로 인가되어, 평탄부(FP, FP1)가 응력에 의해 받는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세그먼트(S2, S3)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가 제1 세그먼트(S1)로 접근할수록 감소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가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 신축부(EP)의 신축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EP)는 하나의 제1 세그먼트(S1)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신축부(EP)는 복수의 제1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EP)는 제1-1 및 제1-2 세그먼트(S11, S12)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신축부(EP)에 포함된 제1 세그먼트의 개수가 복수 개일 경우, 신축부(EP)는 복수의 제1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된 제4 세그먼트(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EP)가 제1-1 및 제1-2 세그먼트(S11, S12)를 포함할 경우, 신축부(EP)는 제1-1 세그먼트(S11)와 제1-2 세그먼트(S12) 사이에 배치된 제4 세그먼트(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4 세그먼트(S4)는 제4-1 내지 제4-3 세그먼트(S41 내지 S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 세그먼트(S41)는 제1-1 세그먼트(S11)와 접하며 제1-1 세그먼트(S11)와 제4-2 세그먼트(S42)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다. 제4-3 세그먼트(S43)는 제1-2 세그먼트(S12)와 접하며 제1-2 세그먼트(S12)와 제4-2 세그먼트(S42)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다. 제4-2 세그먼트(S42)는 제4-1 세그먼트(S41)와 제4-3 세그먼트(S43)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다.
또한, 제4 세그먼트(S4)는 제1 세그먼트(S1)로 접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제4-1 세그먼트(S41)는 제1-1 세그먼트(S11)로 접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제4-3 세그먼트(S43)는 제1-2 세그먼트(S12)로 접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세그먼트(S1)의 개수가 복수 개이고, 복수의 제1 세그먼트(S1) 사이에 제4 세그먼트(S4)가 배치될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열팽창에 의한 응력이 평탄부(FP, FP1) 대신에 신축부(EP)로 더 많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4 세그먼트(S4)가 제1 세그먼트(S1)로 접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 신축부(EP)의 신축이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신축부(EP)는 리세스 및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세그먼트(S1 내지 S3)는 리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4 세그먼트(S4)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4-2 세그먼트(S42)의 탑면이 돌출부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2 플레이트(P2)에서 제1 부분(PA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 각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EP)는 복수의 리세스(R1, R2)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T1, PT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리세스와 돌출부 각각은 반원형, 반타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어, 세모, 네모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R1)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R2)는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의하면, 신축부(EP)는 지그재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실시 예에 의한 제2 플레이트(P2)에서 신축부(EP)가 늘어나기 이전 및 이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a), 도 8 (a) 및 도 9 (a)는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가 열팽창하기 이전에 즉, 신축부(EP)가 늘어나기 이전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7 (b), 도 8 (b) 및 도 9 (b)는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가 열팽창하여 신축부(EP)가 늘어난 이후의 단면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P2)의 제1 부분(PA1)의 양단에 신축부(EP)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이 열팽창할 경우 평탄부(FP, FP1)보다 신축부(EP)로 응력이 보다 많이 집중될 수 있다. 즉, 신축부(EP)가 도 7 (b), 도 8 (b),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스프링처럼 늘어남으로 인해, 평탄부(FP, FP1)가 광축 방향으로 평행 이동할 수 있어, 렌즈(100)의 광학적 성능이 악화되지 않고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2)의 제2 부분(PA2)은 본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본딩 영역(BA)에서 제2 플레이트(P2)는 제1 플레이트(P1)와 본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딩 방식이란, 투광성을 갖는 제2 플레이트(P2)의 제2 부분(PA2)으로 본딩 영역(BA)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플레이트(P1)와 제2 플레이트(P2)를 결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a 및 도 10b는 제2 플레이트(P2)만을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P2)는 본딩 영역(BA)을 포함한다. 각 본딩 영역(BA)은 내곽(IE)과 외곽(OE)을 갖는다. 본딩 영역(BO)의 내곽(IE) 또는 외곽(OE) 중 적어도 하나는 다각형 저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딩 영역(BA)의 외곽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각형의 저면 형상을 갖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형의 저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비교 례에 의한 렌즈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렌즈의 제2 플레이트(P2)는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의 제2 플레이트(P2)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11에 도시된 제2 플레이트(P2)의 외곽(OE)의 저면 형상이 다름을 제외하면, 도 11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렌즈는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 영역(BA)의 외곽이 원형 저면 형상을 가질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의 열팽창으로 야기된 응력이 원의 테두리 부분(OE)과 거리가 동일한 원점 즉, 제2 플레이트(P2)의 중심 즉, 광축(LX)에 가장 많이 가해지게 되어 제2 플레이트(P2)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P2)의 본딩 영역(BA)의 외곽이 원형이 아니라, 다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경우,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의 열팽창으로 야기된 응력이 제2 플레이트(P2)의 중심 즉, 광축(LX)만이 아니라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본딩 영역(BA) 외곽(OE)의 각 모서리로 분산됨으로써 외곽(OE)이 원형일 때보다도 제2 플레이트(P2)가 응력을 덜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OE)이 원형일 때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OE)이 다각형일 경우, 본딩 영역(BA)의 면적이 증가하여, 온도에 따라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액체(또는, 공기)(120)의 부피가 팽창할 때 제2 플레이트(P2)가 굴곡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P1, P2)는 접착제(148)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148)는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도시된 본딩 영역(BA)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00)에서 부재(148)와 제2 플레이트(P2)가 일체일 경우, 본딩 영역(BA)에서 본딩에 의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P1, P2)가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00)에서 접착제(148)를 형성하는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P1)에서 캐비티(CA)에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 및 전도성 물질(110)을 순차적으로 채우고 접착제(148) 제조용 물질(148A)을 캐비티(CA)의 주변에 배치시킨다.
이후, 도 12b를 참조하면, 전도성 물질(110)이 캐비티(CA)에 채워지고 접착제(148) 제조용 물질(148A)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P1) 위에 제2 플레이트(P2)를 덮는다.
이후, 도 12c를 참조하면, 도 12b에 도시된 결과물 위에 열이나 UV(160)를 인가하여 접착제(148) 제조용 물질(148A)을 경화시킴으로써, 접착제(148)에 의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P1, P2)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접착제(148)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접착제(148)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이드 실링 몰딩(SSM:Side Sealing Molding)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P1, P2)가 본딩 방식으로 결합할 경우, 전도성 물질(110)과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가 열팽창할 때 제1 및 제2 플레이트(P1, P2)의 결합 부위는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제2 플레이트(P2)로 많은 응력이 부여되어 파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P1, P2)가 접착제(148)에 의해 결합할 경우, 전도성 물질(110)과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가 열팽창할 때,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A1)으로 접착제(148)의 부피가 팽창함으로써, 제2 플레이트(P2)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도성 물질(110)과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120)가 열팽창할 때 제2 플레이트(P2)가 평행 이동할 수 있어, 광학적 성능이 악화됨을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 의하면, 접착제(148)의 열팽창률은 제2 플레이트(P2)의 열팽창률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렌즈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200)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200)은 렌즈 어셈블리(210) 및 이미지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어셈블리(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 및 제2 렌즈(2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렌즈(21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00)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제2 렌즈(214)와 광축(LX)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부(212) 및 제2 렌즈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렌즈부(212, 216)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렌즈부(212, 216)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렌즈 각각은 고체 렌즈일 수도 있고 액체 렌즈일 수도 있으며,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어셈블리(210)는 렌즈의 특정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3의 경우 제2 렌즈(214)가 제1 렌즈부(212)와 제2 렌즈부(216)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렌즈(214)는 제1 렌즈부(212)의 위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렌즈부(216)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렌즈(214)는 복수의 제1 렌즈 사이, 복수의 제1 렌즈 위 및 복수의 제1 렌즈 아래 중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214)는 복수의 제1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20)는 제2 렌즈(214)의 개구(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개구(O1, O2))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를 통과한 광을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220)는 제2 렌즈(214)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212, 216)와 광축(LX)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214)가 복수의 제1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대상 렌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어셈블리(210)에 포함된 렌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어셈블리(210)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비교 례 및 실시 예에 의한 렌즈 및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4a는 비교 례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4b는 실시 예에 의한 렌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a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제1 렌즈부(212), 액체 렌즈(10), 제2 렌즈부(216) 및 이미지 센서(220)를 포함하고, 도 14b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제1 렌즈부(212), 제2 렌즈(214), 제2 렌즈부(216) 및 이미지 센서(220)를 포함한다.
도 14a에 도시된 제1 렌즈부(212), 제2 렌즈부(216) 및 이미지 센서(220)는 도 13에 도시된 제1 렌즈부(212) 제2 렌즈부(216) 및 이미지 센서(220)에 각각 해당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a에 도시된 비교 례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액체 렌즈(1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제1 내지 제3 플레이트(P1 내지 P3) 각각의 특성이 다르고, 전도성 물질(110) 대신에 물 기반의 전도성 액체(이하, ‘LQ1’이라 한다)를 포함하고, 비전도성 물질(120)로서 오일과 같은 비전도성 액체(이하, ‘LQ2’라 한다)가 배치된다.
도 14b에 도시된 제2 렌즈(214)는 도 1또는 도 13에 도시된 렌즈(100 214)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도 14a 및 도 14b 각각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220)는 도 13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220)의 결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비교 례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2개의 액체(LQ1, LQ2) 사이의 계면의 구조가 전압을 통해 바뀌는 액체 렌즈(10)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제약된다. 제1 액체(LQ1)는 물 기반의 전해액으로서, 물에 소금과 같은 이온을 일정 함량 이상으로 넣어서 구현된다. 물기반의 전해액이 0℃에서 어는점 혹은 녹는점을 갖고 100℃에서 끓는점을 가지며, 1.23V의 전압이 걸리면 분해되는 물의 근본적인 물질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상 제약을 갖는다. 따라서, 물기반의 전해액을 전도성 액체(LQ1)로 사용하는 액체 렌즈(10)는 100℃ 이상의 고온과 0℃ 이하의 저온에서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물의 급격한 팽창계수로 인해서 전도성 액체(LQ1)가 쉽게 팽창되므로 온도에 따라 제2 플레이트(P2)에 만곡이 발생하여 광학적 성능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액체 렌즈(10)의 온도가 30℃ 내지 80℃일 경우,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액체(LQ1, LQ2)의 팽창으로 인해 제2 플레이트(P2)가 응력을 받아 변형되거나 심지어 파괴될 수도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P2)의 두께를 감소시켜 제2 플레이트(P2)에 걸리는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 플레이트(P2)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식각 공정이 추가될 경우, 제조 비용과 제조 시간이 증가하고 액체 렌즈(10)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도 있다.
또한, 액체 렌즈(10)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도성 액체(LQ1)와 비전도성 액체(LQ2)가 팽창하여 제2 플레이트(P2)의 곡률이 점점 낮아지고 이는 액체 렌즈(10)로서 만곡(230)을 발생시켜 해상력 저하 같은 광학적인 성능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비교 례에 의한 액체 렌즈(10)의 경우, 물의 휘발성 및 낮은 끓는점으로 인해서 온도를 올리면, 액체의 팽창에 의한 응력이 얇은 두께를 갖는 제2 플레이트(P2)에만 굴곡이 치중되어 광학적 성능이 매우 악화될 수 있다.
반면에,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 214)의 경우, 물기반의 전해액 대신에 물기반의 전해액보다 온도에 따른 팽창률이 낮은 상온 이온성 액체, 공용매를 포함하는 상온 이온성 액체, 상온 이온성 액체와 고분자를 포함하는 겔형 전해질막 또는 물 기반 액체 전해질과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겔형 전해질막을 사용하므로, 렌즈(100, 214) 자체의 열 또는 주변의 온도 등으로 인해 온도가 변하거나 고온일 때에도 제2 플레이트(P2)의 변형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광학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비교 례와 달리, 제3 및 제4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도성 물질(110)로서 겔형 전해질 막을 사용할 경우, 렌즈(100)가 중력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제3 및 제4 실시 예의 경우, 오일과 같은 비전도성 액체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렌즈(100, 214)의 제조 방법이 간단해지고 제조 원가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실시 예에서 전도성 물질(110)로서 사용되는 겔형 고분자막은 투명도가 95%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표면 거칠기도 조절이 가능하여 매우 평탄하게 만들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비교 례에 의한 액체 렌즈(10)의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온도 구간이 물의 온도 구간인 0℃ 내지 100℃인 반면,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 214)의 경우 -80℃ 내지 200℃의 넓은 온도 구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교 례에 의한 물기반의 액체 렌즈(10)의 경우, 전기적으로 매우 낮은 1.23V의 전압에서 분해될 수 있어, 전기적 구동 범위가 매우 낮은 반면, 실시 예에 의한 렌즈(100, 214)는 전기적 구동 범위가 매우 높은 잇점을 갖는다.
또한, 전도성 물질(110) 및 비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비전도성 액체 또는 공기)의 열팽창이 제2 플레이트(P2)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3 플레이트(P3)의 제3 두께(T3)를 제2 플레이트(P2)의 제1 두께(T1)와 유사하게 또는 동등하게 구현하거나, 제2 플레이트(P2)가 신축부(EP)를 갖도록 구현하거나, 본딩 영역(BA)의 외곽 또는 내각 중 하나가 다각형 평면 형상을 갖도록 구현하거나, 본딩 대신에 접착제(148)에 의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P1, P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온도 또는 고온에서 렌즈(214)의 제2 플레이트(P2)의 변형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광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한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200)을 이용하여 광학 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 기기는 광 신호를 가공하거나 분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기기의 예로는 카메라/비디오 장치, 망원경 장치, 현미경 장치, 간섭계 장치, 광도계 장치, 편광계 장치, 분광계 장치, 반사계 장치, 오토콜리메이터 장치, 렌즈미터 장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는 광학 기기에 본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기기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기기는 카메라 모듈(200),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카메라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 카메라 모듈(200)과 디스플레이부와 배터리를 실장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기기는 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과 메모리부 역시 본체 하우징에 실장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한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3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실시 예에 의한 광학 기기(300)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5는 실시 예에 의한 광학 기기(300)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나타낸다.
광학 기기(300)는 프리즘 유닛(310), 렌즈(320) 및 주밍(zooming)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320)은 전술한 렌즈(100, 214)에 해당할 수 있다.
프리즘 유닛(310)은 IN으로 표기된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렌즈(320)의 광축(LX)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프리즘 유닛(310)에서 광로가 변경된 광에 대해 렌즈(320)는 OIS 및 AF 기능을 수행하여 주밍부(330)로 출사할 수 있다.
주밍부(330)는 렌즈(320)를 경유한 광을 줌 인/줌 아웃한다. 이를 위해, 주밍부(330)는 복수의 렌즈(320)를 광축(LX)과 나란한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고, 서로 상반되지 않은 한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 중에서 어느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경우 다른 실시 예의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 준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14, 320: 렌즈

Claims (14)

  1. 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상온 이온성 액체;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고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에 접하는 비전도성 액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와 접촉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렌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다음 화학식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렌즈.
    Figure pat00015
  3. 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겔형 전해질막;
    상기 겔형 전해질막과 접촉하고 상기 캐비티에 배치되는 비전도성 물질;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겔형 전해질막과 접촉하지 않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겔형 전해질막과 접촉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렌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하는 렌즈.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공기를 포함하는 렌즈.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겔형 전해질막은 상온 이온성 액체 또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렌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륨(Imidazolium) 기반 이온성 액체인 렌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다음 화학식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렌즈.
    Figure pat00016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EMIM][TFSI])
    Figure pat00017

    (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M][PF6])
    Figure pat00018

    (1-ethyl-3-methylimidazolium n-octylsulfate; [EMIM][OctOSO3])
    Figure pat00019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M][TFSI])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 이온성 액체는 피롤리디늄(Pyrrolidinium) 기반 이온성 액체인 렌즈.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PS-PEO-PS (polystyrene-block-poly(ethylene oxide)-block-polystyrene), 나피온(Nafion), 술포네이티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Poly(N-isopropylacrylamide)(PNIPAM),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겔형 전해질막은
    물기반 액체 전해질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렌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렌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술폰산기, 아민기, 또는 인산기의 친수성 양이온 교환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 또는 아민계 친수성 음이온 교환 기능기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불소계 또는 비불소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렌즈.
  14. 제1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광축으로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제1 항 또는 제3 항에 기재된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KR1020190064207A 2019-05-31 2019-05-31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KR20200137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07A KR20200137590A (ko) 2019-05-31 2019-05-31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PCT/KR2020/006984 WO2020242243A1 (ko) 2019-05-31 2020-05-29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07A KR20200137590A (ko) 2019-05-31 2019-05-31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590A true KR20200137590A (ko) 2020-12-09

Family

ID=7355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207A KR20200137590A (ko) 2019-05-31 2019-05-31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37590A (ko)
WO (1) WO2020242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6788B (zh) * 2023-07-24 2023-11-24 季华实验室 一种基于高折射率离子液体的电润湿变焦透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7741A1 (en) 2013-05-24 2014-11-27 Raymond Miller Karam Fabrication of liquid lens arrays
US20160299264A1 (en) 2015-04-11 2016-10-13 Invenios Method to prevent emulsion in a liquid le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4951A (ja) * 2004-08-26 2006-03-09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素子、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100674851B1 (ko) * 2005-01-13 2007-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감소된 구동전압을 갖는 가변 초점 액체 렌즈
CN101427160A (zh) * 2006-08-10 2009-05-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可变焦点透镜装置
JP2011227194A (ja) * 2010-04-16 2011-11-10 Sony Corp 光学装置及び筐体
CN102466825A (zh) * 2010-11-16 2012-05-23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基于离子液体的电润湿变焦透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47741A1 (en) 2013-05-24 2014-11-27 Raymond Miller Karam Fabrication of liquid lens arrays
US20160299264A1 (en) 2015-04-11 2016-10-13 Invenios Method to prevent emulsion in a liquid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2243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0847B2 (en) Optical element module and image pickup device
KR101951319B1 (ko) 가변 초점 렌즈
JP2009271095A (ja) 可変焦点レンズ、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11333804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a liquid lens enabling adjustment of a focal length and an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US11953703B2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80114382A (ko) 가변 초점 양볼록 렌즈
US20150002726A1 (en) Integrated lens barrel, actuator, and mems snubber systems and methods
WO2021047605A1 (zh) 镜头模组
KR20200137590A (ko) 렌즈 및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CN104423116A (zh) 变焦镜头及摄像模组
US11846767B2 (en) Camera module
CN105842888A (zh) 用于快速对焦的光学元件及成像装置
US11009768B2 (en) Liquid le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0402414B (zh) 液体透镜、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光学仪器
CN205787458U (zh) 可变焦光学元件及成像装置
KR102156378B1 (ko) 액체 렌즈 및 이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KR20140053115A (ko) 구동 장치, 렌즈 모듈 및 촬상 장치
US20210149088A1 (en) Liquid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137589A (ko) 액체 렌즈, 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90196149A1 (en) Reflective active variable le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5128795B (zh) 镜头组件及电子设备
KR20200137148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US11619768B2 (en) Liquid lens modul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module
KR100843371B1 (ko) 액체 렌즈 모듈
EP3750005B1 (en) Lens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