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278A -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 Google Patents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278A
KR20200136278A KR1020190062188A KR20190062188A KR20200136278A KR 20200136278 A KR20200136278 A KR 20200136278A KR 1020190062188 A KR1020190062188 A KR 1020190062188A KR 20190062188 A KR20190062188 A KR 20190062188A KR 20200136278 A KR20200136278 A KR 20200136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mart home
health care
platform system
car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3725B1 (en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725B1/en
Publication of KR2020013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7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5G-based multi-health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5G-based multi-health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omprises: a smart home device including an IoT home appliance, a health device, and a medical device; a smart home control device; a cloud hub server; and a healthcar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reliable diagnosi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본 발명은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5G를 기반으로 한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based on 5G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사회가 발전할수록 국민의 건강이나 사회적 복지에 초점을 두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기 마련인데, 건강이나 사회적 복지에 관한 관심은 사람들의 생활패턴이나 기업의 사업화 방향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용 혈당기, 가정용 혈압기, 스마트 미러, 스마트 체중계, 스마트 온습도기 등의 가전기기나 헬스기기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 슈즈 등을 통해서도 사용자의 생활패턴이나 운동패턴을 알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다수의 가전기기, 헬스기기, 의료기기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환경정보, 생활정보, 의료정보를 대량으로 수집하는 것은 가능하나, 그 각각의 정보 취득에만 의미를 두고 있어서 이들을 통합해서 관리하는 제어 시스템이 부재하여, 대량의 정보에 비하여 그 정보의 쓰임이 변변치 못한 실정이다.
As society develops, a social atmosphere that focuses o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of the people is inevitable, and interest in health or social welfare has brought many changes in people's life patterns and in the direction of corporate commercialization. Accordingly, the market for home appliances and fitness devices such as home blood sugar devices, home blood pressure devices, smart mirrors, smart scales, and smart thermo-humidifiers is growing, and wearable devices, smart terminals, smart shoes, etc. There are many known applications on the market. However, it is possible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user's environmental information, life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through such a number of home appliances, fitness equipment, medical equipment, etc., but it is only meant to acquire each information, so it is integrated and managed. In the absence of a control system, the use of the information is unchanged compared to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특히 최근에는 노령인구, 영유아, 장애인, 급성/만성 질환자 등의 사회적 약자의 의료 관련 복지와 관련하여 그 시장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 사회적 약자들의 경우 스스로 자신을 돌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들의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하여 많은 제안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현 사회에서 시행 중인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 서비스 시스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행 중인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료 관리시스템은 단순히 의료기관과 복지기관의 돌봄 서비스를 연계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사회적 약자들의 건강을 주기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어려우며, 그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요구되기 때문에, 자신을 스스로 케어하기 어려운 처지에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시스템이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가정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발된 다수의 의료 디바이스의 개별적인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인 의료 장비만으로는 환자의 바이오 신호에 대한 종합적인 헬스케어 서비스가 거의 불가능하였다.
In particular, the market is growing in relation to the medical-related welfar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uch as the elderly, infants, disabled, and acute/chronic disease, in many case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socially weak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require periodic management Therefore, many proposals have been proposed for their effective health management. 1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care service system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the current society. As shown in Fig. 1, the current medical management system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imply links the care servic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welfare institutions to the extent that local governments support and manage them.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monitor,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s required, conventional systems have been ineffective when they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to care for themselves. In addition, despite the many individual advantages of a number of medical devices developed for home use, it has been almost impossible to provide a comprehensive healthcare service for a patient's biosignal with only individual medical equipment.

위와 같이 의료 디바이스, 의료 시스템 또는 의료기관의 통합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는, 대부분의 전자 의료 디바이스들이 통신 인터페이스나 통합적 정보 제어장치에 대한 고려 없이 개발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다양한 전자 의료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이나 인공지능의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원격 진료, 지역 기반의 의료 서비스,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케어 코디네이터의 통합적인 관리 등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사회적 약자와 통합서버 및 의료기관을 연계시킨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One of the factors that hinders the integration of medical devices, medical systems or medical institutions as described above is that most electronic medic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without consideration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or an integrated information control device. Therefore, by integrat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electronic medical devices using big data analysis 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obile remote medical treatment, regional-based medical services, coping with emergencies, and integrated care coordinators The need for a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that links socially underprivileged, integrated servers and medical institutions to enable support for management, etc. is emerging.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609716호(발명의 명칭: 통합 데이터 허브 기반 의료 데이터 수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공고일자: 2016년 04월 06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Meanwhile,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09716 (name of the inven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data collection service based on an integrated data hub, announcement date: April 06, 2016), etc. have.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전기기, 헬스기기 또는 의료기기 등의 개별적인 기기로부터 얻은 환경정보, 생활정보 및 의료정보를 스마트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개별 기기에서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욱 신뢰성 있는 진단을 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돌보기 힘든 사회적 약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스마트홈 제어장치에서 능동적으로 생활 환경을 제어하고 개선된 생활 패턴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특화된 진단을 내리는 것이 가능한,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uses a smart home control device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life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individual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fitness equipment, or medical devices. By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not only can you make a more reliable diagnosis than using each information from individual devices, but also smart home control even if you do not care about your own health in the cas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ho cannot take care of yourself. Its purpose is to provide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at enables a device to actively control the living environment and induce an improved life pattern to make a diagnosis specialized for the user's situation. .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홈 제어장치와 클라우드 허브 서버를 연계시킴으로써, 개인의 의료 관련 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나 표준지표 등의 외부 정보를 함께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종합적이고 정밀한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시키고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클라우드 허브 서버와 헬스케어 기관을 연계시킴으로써, 사회적 약자들의 의료 상태를 전문기관에서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긴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인별 의료정보뿐만 아니라 생활정보나 환경정보 등을 모두 이용하여 상황을 케어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linking a smart home control device and a cloud hub server, not only personal medical-related data, but also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public data or standard indicators can be used together, enabling a more comprehensive and precise healthcare system construction. And, by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or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services can be further enhanced and optimized, and by linking cloud hub servers with healthcare institutions, the medical statu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can be automatically monitored by specialized institutions. ,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that can immediate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and provides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s by taking care of the situation using not only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ut also living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으로서,As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개인별 환경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IoT 가전기기, 개인별 생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헬스기기, 및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의료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디바이스;A smart home device including an IoT home applianc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personal environmental data, a fitness devic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personal life data, and a medical device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personal health data;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상호운용하는 스마트홈 제어장치;A smart home control device that receives and integrat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home device for interoperability;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연산하는 클라우드 허브 서버; 및A cloud hub server for receiving and calculating integrated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And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헬스케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lthcare unit for receiving and monitoring the data calculated by the cloud hub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는,Preferably,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IoT 가전기기, 상기 헬스기기 및 상기 의료기기를 상호운용하고, 통합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By integrat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home device, the IoT home appliance, the health device, and the medical device may be interoperated, and the integrated data may be mana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는,Preferably, the cloud hub server,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로부터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A dat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integrated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A data operation unit that analyzes and diagnoses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상기 데이터 연산부에서 분석 및 진단된 데이터를 상기 헬스케어부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analyzed and diagnosed by the data operation unit to the healthcare uni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More preferably, the data operation unit,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다.
Data can be analyzed and diagnosed using big data analysis algorithms or artificial intelligenc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More preferably, the data operation unit,

고령인, 영유아, 장애인, 급/만성 질환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진단을 연산할 수 있다.
Personalized diagnosis can be calculated by analyzing data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fants, disabled persons, and persons with acute/chronic disease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는,More preferably, the cloud hub server,

데이터 수집 주기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수집이 기설정된 주기 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monitored and data collection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set period, a data request unit for requesting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과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and the cloud hub server may be implemented using 5G mobile communication (5G).

바람직하게는, 상기 헬스케어부는,Preferably, the healthcare unit,

의료기관, 케어 코디네이터, 지방자치단체, 및 복지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긴급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Including medical institutions, care coordinators, local governments, and welfare institu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personalized feedback by monitoring data calculated in the cloud hub server and responding to emergenc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헬스케어부는,More preferably, the healthcare unit,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를 다시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의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할 수 있다.
The result of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may be transmitted back to the data storage unit of the cloud hub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는,Preferably, the smart home device,

상기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사용자가 2 이상인 경우, 데이터 수집 시, 각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re are two or more users of th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when collecting data, a user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each user's account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으로서,As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driving method,

(1) IoT 가전기기, 헬스기기 및 의료기기에서 각각 개인별 환경, 생활 및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1) collecting personal environment, life, and health data from IoT home appliances, fitness devices, and medical devices, respectively;

(2) 상기 단계 (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마트홈 제어장치에서 통합하여 상호운용하는 단계;(2) receiving the data collected in step (1), integrating and interoperating with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3) 상기 단계 (2)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우드 허브 서버에서 연산하는 단계; 및(3) receiving the data integrated in step (2) and calculating it in a cloud hub server; And

(4) 상기 단계 (3)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헬스케어부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현상의 특징으로 한다.
(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lementation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the data calculated in the step (3) and monitoring in the healthcare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는,Preferably, the step (2),

상기 단계 (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IoT 가전기기, 상기 헬스기기 및 상기 의료기기를 상호운용하고, 통합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By integrating the data collected in step (1), the IoT home appliance, the fitness device, and the medical device can be interoperated, and the integrated data can be manag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은,Preferably, the step (3),

(3-1) 상기 단계 (2)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저장부에서 저장하는 단계;(3-1) receiving the data integrated in step (2) and storing it in a data storage unit;

(3-2) 상기 단계 (3-1)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부에서 분석하여 진단하는 단계; 및(3-2) analyzing and diagnosing the data stored in step (3-1) in a data operation unit; And

(3-3) 상기 단계 (3-2)에서 분석 및 진단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에서 상기 헬스케어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3-3)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analyzed and diagnosed in step (3-2)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to the healthcare uni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2)에서는,More preferably, in the step (3-2),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다.
Data can be analyzed and diagnosed using big data analysis algorithms or artificial intelligenc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2)에서는,More preferably, in the step (3-2),

고령인, 영유아, 장애인, 급/만성 질환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진단을 연산할 수 있다.
Personalized diagnosis can be calculated by analyzing data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fants, disabled persons, and persons with acute/chronic disease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은,More preferably, the step (3),

(3-4) 데이터 수집 주기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수집이 기설정된 주기 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데이터 요청부에서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3-4) Wh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not performed by monito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a step of requesting data from the data request unit to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과 클라우드 허브 서버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and the cloud hub server may be implemented using 5G mobile communication (5G).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Preferably, in step (4),

상기 헬스케어부는, 의료기관, 케어 코디네이터, 지방자치단체, 및 복지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단계 (3)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긴급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healthcare unit may include a medical institution, a care coordinator, a local government, and a welfare institution, and may monitor data calculated in step (3) and provide personalized feedback in response to an emergenc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는,More preferably, the step (4),

(4-1) 상기 단계 (4)에서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를 다시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의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4-1) It may be implemen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sult of providing the personalized feedback in step (4) back to the data storage unit of the cloud hub serv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은,Preferably, the step (1),

(1-1) 상기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사용자가 2 이상인 경우, 데이터 수집 시, 사용자 인증부에서 각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1-1) When the number of users of th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is 2 or more, when data is collected,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ng each user's accoun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가전기기, 헬스기기 또는 의료기기 등의 개별적인 기기로부터 얻은 환경정보, 생활정보 및 의료정보를 스마트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개별 기기에서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욱 신뢰성 있는 진단을 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돌보기 힘든 사회적 약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스마트홈 제어장치에서 능동적으로 생활 환경을 제어하고 개선된 생활 패턴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특화된 진단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individual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health devices, or medical devices are controlled by smart home. By collectively collecting and managing using devices, not only can you make a more reliable diagnosis than using individual information from individual devices, but also in the case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cannot take care of themselves, even if they do not care about their own health, It is possible to make a diagnosis specialized for the user's situation by actively controlling the living environment and inducing an improved life pattern i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홈 제어장치와 클라우드 허브 서버를 연계시킴으로써, 개인의 의료 관련 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나 표준지표 등의 외부 정보를 함께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종합적이고 정밀한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시키고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클라우드 허브 서버와 헬스케어 기관을 연계시킴으로써, 사회적 약자들의 의료 상태를 전문기관에서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긴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인별 의료정보뿐만 아니라 생활정보나 환경정보 등을 모두 이용하여 상황을 케어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linking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and the cloud hub server, not only personal medical-related data, but also public data or standards Since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indicators can be us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build a more comprehensive and precise healthcare system, and by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or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services can be further advanced and optimized, and cloud hub servers and healthcare By linking institution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onitor the medical condi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a specialized institution, making it possible to respond immediately to emergency situations, and to take care of the situation using not only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ut also lif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s.

도 1은 현 사회에서 시행 중인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 서비스 시스템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에서 이용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에서 이용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5G)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와 헬스케어부 사이의 관계를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스마트홈 디바이스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 구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care service system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the current society.
2 is a view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s a fun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oud hub server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s a fun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usable in a cloud hub server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usable 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loud hub server and a healthcare unit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home device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s a fun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for driving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for driving a cloud hub server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certain component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은,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의료기기(130)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디바이스(100), 스마트홈 제어장치(200),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 및 헬스케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5G-based multi-health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s a functional block. 2 and 3, the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is a smart home including an IoT home appliance 110, a health device 120, and a medical device 13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vice 100, a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 cloud hub server 300, and a healthcare unit 400.

스마트홈 디바이스(100)는, 개인별 환경 데이터, 생활 데이터, 건강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들을 총칭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30)의 세부적인 장치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smart home device 100 may collectively refer to smart devices that colle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environmental data, life data, and health data, and transmit them to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in order to manage them in an integrated mann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oT home appliance 110, a fitness device 120, and a medical device 130. Hereinafter, detailed devices of the IoT home appliance 110, the fitness device 120, and the medical device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홈 디바이스(100)는, 개인별 환경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IoT 가전기기(110), 개인별 생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헬스기기(120), 및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의료기기(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기기에서 얻은 데이터는 개인 건강 관리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을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oT 가전기기(110)의 예시로는, 사용자 맞춤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해주는 스마트 미러, 체중 변화를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체중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체중계, 자동으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주는 스마트 온습도계 등이 있다. 또한, 헬스기기(120)의 예시로는, 사용자의 운동량, 수면시간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나 스마트 단말기, 칼로리 소모량 및 운동 거리와 시간 등을 추적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슈즈, 수면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IoT 베개 등이 있다. 의료기기(130)의 예시로는, 가정에서의 사용을 위해 개발된 혈당계, 혈압계, 심전도(ECG) 기기 등이 있다.
As shown in Figure 2, the smart home device 100, the IoT home appliance 110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individual environmental data, a fitness device 120 for collecting and transmitting personal life data, and individual health data. It may include a medical device 130 to collect and transmit, and data obtained from each device may constitute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Mor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IoT home appliance 110 include a smart mirror that displays user-customiz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a smart scale that stores weight changes and manages weight by linking with an application, and automatically temperature and humidity. There is a smart thermo-hygrometer that adjusts the temperature. 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fitness device 120, a smart band or smart terminal that can manage the user's exercise amount and sleep time, and a smart shoe that can track calorie consumption and exercise distance and time, etc. , IoT pillows that can manage sleep conditions. Examples of the medical device 130 include a blood glucose meter, a blood pressure monitor, and an electrocardiogram (ECG) device developed for use at home.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는, 스마트홈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상호운용할 수 있다. 즉,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3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처리함으로써,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30)를 상호운용하고 통합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스마트폰을 통하여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30)에서 수집된 환경 데이터, 생활 데이터, 건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개인 건강 관리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으로서 맞춤형 건강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smart home control apparatus 200 may receive and integrate data collected from the smart home device 100 and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That is, the IoT home appliance 110, the fitness device 120, and the medical device 130 by receiving and integrating and proces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oT home appliance 110, the fitness device 120, and the medical device 130 It can interoperate with and manage integrated data, for example an IoT gateway device. The user connects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nd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to the environment data, life data, and health collected from the IoT home appliance 110, the fitness device 120 and the medical device 130 through the smart phone. Data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the collected data can be processed as needed and used for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as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는,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연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는,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로부터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10),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데이터 연산부(320) 및 데이터 연산부(320)에서 분석 및 진단된 데이터를 헬스케어부(400)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loud hub server 300 may receive and calculate the integrated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ud hub server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s a function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cloud hub server 300 analyzes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10 and the data storage unit 310 for receiving and storing integrated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ata operation unit 320 for diagnosis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330 that transmits the data analyzed and diagnosed by the data operation unit 320 to the healthcare unit 400.

데이터 연산부(320)는,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별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 스마트홈 디바이스(100)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개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나 표준지표 등의 외부 정보를 함께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같은 연령대의 사람들에 비하여 자신의 생활습관이 올바른지 여부를 알 수 있고, 건강상의 이상 징후가 있는지 비교할 수 있으며, 비슷한 징후를 가진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질환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산부(320)에서 이용 가능한 기술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data operation unit 320 may analyz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10 to make a diagnosis for each user. In this case, in order to make a more accurate diagnosis, not only the user's personal data obtained from the smart home device 100, but also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public data or standard indicators can be used together. You can see if this is correct, you can compare if there are any abnormalities in your health, and you can predict your own disease from people with similar symptoms. Hereinafter, techniques available in the data operation unit 3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에서 이용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연산부(320)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별 진단을 연산하는 과정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인공지능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정밀한 헬스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질환을 예측하고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데이터 연산부(320)에 적용할 수 있고, 의료 AI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데이터 연산부(320)에 적용할 수도 있는바, 점차 개발되는 신기술을 데이터 연산부(320)에 적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시키고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령인, 영유아, 장애인, 및/또는 급/만성 질환자 등의 사용자 개인별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진단을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5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usable in a cloud hub server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data operation unit 320 may provide more comprehensive and precise healthcare by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rocess of analyzing data and calculating diagnosis for each user. More specifically, an algorithm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diseases through big data analysis may be applied to the data operation unit 320, and a medical AI program may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data operation unit 320, which is gradually developed. By applying the new technology to the data operation unit 320,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and optimize the healthcare servic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personalized diagnosis by analyzing data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users such as the elderly, infants, disabled, and/or persons with acute/chronic diseases.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는, 데이터 요청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데이터 요청부(340)는, 데이터 수집 주기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수집이 기설정된 주기 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요구되는 혈당량이나 혈압 측정을 잊고 지나친 경우 또는 계획된 운동량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 등 데이터 저장부(310)로의 데이터 전송이 기설정된 일정 주기 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 주의를 환기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The cloud hub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ata request unit 340, wherein the data request unit 340 monitors the data collection period, and when data collection does not occur within a preset period, Data can be requested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That is, when data transmission to the data storage unit 310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such as when the user forgets to measure the blood glucose level or blood pressure that is regularly required or fails to fill the planned exercise amount, the user is notified and cautioned. By ventilating, disease can be prevented and systematic health care can be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에서 이용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5G)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와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5세대 이동통신(5G)은, 최대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로, 전 세대인 LTE의 최대 속도(1Gbps)보다 20배가량 빠르며 처리용량도 100배 많다. 또한, 초저지연성(지연시간 1㎳)과 초연결성이 강점으로 꼽히며 이를 토대로 가상현실(VR),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실시간(real-time) 인터랙티브(interactive)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을 경험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다. 즉, IoT 게이트웨이와 같은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와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6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usable in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nd the cloud hub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using 5G mobile communication (5G). Here, the fif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i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ith a maximum speed of 20 Gbps, which is about 20 times faster than the maximum speed (1 Gbps) of the previous generation LTE, and has 100 times more processing capacity. In addition, ultra-low latency (delay time 1 ms) and hyper connectivity are considered strong points, and based on this, virtual reality (VR), autonomous driving, and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can be implemented. interactive) It is a technology necessary for users who use multimedia services to experience natural interaction. That is, by implement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such as an IoT gateway and the cloud hub server 300 using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the convenience of service users can be achieved.

헬스케어부(400)는,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헬스케어부(400)는, 의료기관, 케어 코디네이터, 지방자치단체, 및 복지기관을 포함하되,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긴급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성/만성 질환자의 경우, 움직임이 없으면 가족들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고, 전문 케어 코디네이터로부터 주기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질병에 걸리기 전에 의료기관으로부터 검사를 권유받을 수도 있어 양방향적이고 능동적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The healthcare unit 400 may receive and monitor data calculated by the cloud hub server 300. More specifically, the healthcare unit 400 includes a medical institution, a care coordinator, a local government, and a welfare institution, but monitors the data calculated in the cloud hub server 300 and provides personalized feedback by responding to an emergency. can do. For example, in the case of acute/chronic disease, if there is no movement, you can contact family members, receive periodic health care services from a professional care coordinator, and receive examinations from medical institutions before getting sick. It is possible to build an active and active healthcare service system.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와 헬스케어부 사이의 관계를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스케어부(400)는,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의 데이터 송신부(330)로부터 통합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긴급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 후에,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를 다시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의 데이터 저장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를 다시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의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축적하여 이용할 수 있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loud hub server and a healthcare unit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As shown in FIG. 7, the healthcare unit 400 monitors the integrated data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330 of the cloud hub server 300 and provides personalized feedback in response to an emergency, and then provides personalized feedback. The provided result may be transmitted back to the data storage unit 310 of the cloud hub server 300. Through this, the result of providing the customized feedback can be stored, accumulated and used again as data of the cloud hub server 300.

스마트홈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증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 인증부(140)는,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의 사용자가 2 이상인 경우, 데이터 수집 시, 각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한다.
The smart home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wherein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includes data when the number of users of th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is 2 or more. Upon collection, each user's account is authentica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스마트홈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기능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스마트홈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30)는 사용자 간의 정보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140)와 연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은 커뮤니티센터나 공동주택 등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공공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30)에서 각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할 때마다 사용자 계정을 인증하는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home device 100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s a function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th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the IoT home appliance 110 constituting the smart home device 100, the health device 120, and medical care The device 130 is connected with a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that authenticates a user's account so that information between users is not mixed with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can be installed in public places that can be used by a number of people, such as community centers or apartment houses, in this case, IoT home appliance 110, fitness device 120 And since the step of authenticating the user account each time the medical device 130 collects information of each user, it is possible for a plurality of users to use a singl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10) 구동 방법은,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20)에서 각각 개인별 환경, 생활 및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00), 단계 S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에서 통합하여 상호운용하는 단계(S200), 단계 S200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에서 연산하는 단계(S300) 및 단계 S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헬스케어부(400)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for driving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 method of driving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home appliance 110, a health device 120, and a medical device ( In 120), each individual environment, life, and health data is collected (S100), the data collected in step S100 is received and integrated i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for interoperation (S200), and in step S200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step S300 of receiving the received data and calculating it in the cloud hub server 300 and a step S400 of receiving the data calculated in step S300 and monitoring it in the healthcare unit 400.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우드 허브 서버 구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00에서는,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에서 연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300은, 단계 S200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저장부(310)에서 저장하는 단계(S310), 단계 S310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부(320)에서 분석하여 진단하는 단계(S320) 및 단계 S320에서 분석 및 진단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330)에서 헬스케어부(400)로 송신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for driving a cloud hub server of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in step S300, the integrated data is received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nd calculated by the cloud hub server 300. More specifically, in step S300, the step of receiving the integrated data in step S200 and storing it in the data storage unit 310 (S310), the step of analyzing and diagnosing the data stored in step S310 in the data operation unit 320 ( S320) and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analyzed and diagnosed in step S320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330 to the healthcare unit 400 (S330) may be implemented.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s related to each step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가전기기, 헬스기기 또는 의료기기 등의 개별적인 기기로부터 얻은 환경정보, 생활정보 및 의료정보를 스마트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함으로써, 개별 기기에서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욱 신뢰성 있는 진단을 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돌보기 힘든 사회적 약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신경을 쓰지 않더라도, 스마트홈 제어장치에서 능동적으로 생활 환경을 제어하고 개선된 생활 패턴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특화된 진단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스마트홈 제어장치와 클라우드 허브 서버를 연계시킴으로써, 개인의 의료 관련 데이터뿐만 아니라, 공공데이터나 표준지표 등의 외부 정보를 함께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종합적이고 정밀한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시키고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클라우드 허브 서버와 헬스케어 기관을 연계시킴으로써, 사회적 약자들의 의료 상태를 전문기관에서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긴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인별 의료정보뿐만 아니라 생활정보나 환경정보 등을 모두 이용하여 상황을 케어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life information obtained from individual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s, health devices, or medical devices By collecting and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manner using a smart home control device, it is possible to make a more reliable diagnosis than using each information from individual devices, and in the case of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who cannot take care of themselves, their health It is possible to make a diagnosis specialized for the user's situation by actively controlling the living environment and inducing an improved life pattern i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even if you do not care about i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and its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inking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and the cloud hub server, not only personal medical data, but also public data B.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standard indicators can be used together to build a more comprehensive and precise healthcare system, and by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ology or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services can be further advanced and optimized. By linking healthcare institutions, professional institutions can automatically monitor the medical conditions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enabling immediate response to emergencies, and using both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s well as living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taking care of, it is possible to provide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s.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or applied in various way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100: 스마트홈 디바이스
110: IoT 가전기기
120: 헬스기기
130: 의료기기
140: 사용자 인증부
200: 스마트홈 제어장치
300: 클라우드 허브 서버
310: 데이터 저장부
320: 데이터 연산부
330: 데이터 송신부
340: 데이터 요청부
400: 헬스케어부
S100: 개인별 환경, 생활 및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S200: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상호운용하는 단계
S300: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연산하는 단계
S310: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단계
S320: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단계
S330: 분석 및 진단된 데이터를 헬스케어부로 송신하는 단계
S340: 데이터 수집이 기설정된 주기 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스마트홈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S400: 연산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긴급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 단계
10: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0: smart home device
110: IoT home appliance
120: fitness equipment
130: medical device
140: user authentication unit
200: smart home control device
300: Cloud Hub Server
310: data storage
320: data operation unit
330: data transmission unit
340: data request unit
400: Health Care Department
S100: Steps to collect personal environment, life and health data
S200: Step of receiving and integrating collected data for interoperation
S300: receiving and calculating the integrated data
S310: receiv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data
S320: Analyzing and diagnosing the stored data
S330: transmitting the analyzed and diagnosed data to the healthcare unit
S340: When data collection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set period, requesting data to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S400: Monitoring the calculated data and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by responding to emergency

Claims (20)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으로서,
개인별 환경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IoT 가전기기(110), 개인별 생활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헬스기기(120), 및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의료기기(130)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디바이스(100);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통합하여 상호운용하는 스마트홈 제어장치(200);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연산하는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 및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는 헬스케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As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A smart home device including an IoT home appliance 110 that collects and transmits personal environmental data, a fitness device 120 that collects and transmits personal life data, and a medical device 130 that collects and transmits personal health data ( 100);
A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that receives and integrates the data collected by the smart home device 100 for interoperability;
A cloud hub server 300 for receiving and calculating the integrated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nd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lthcare unit 400 to receive and monitor the data calculated by the cloud hub serve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는,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IoT 가전기기(110), 상기 헬스기기(120) 및 상기 의료기기(130)를 상호운용하고, 통합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Integrat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smart home device 100 to interoperate the IoT home appliance 110, the health device 120, and the medical device 130, and manage the integrated data. ,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로부터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10);
상기 데이터 저장부(3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데이터 연산부(320); 및
상기 데이터 연산부(320)에서 분석 및 진단된 데이터를 상기 헬스케어부(400)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oud hub server (300),
A data storage unit 310 for receiving and storing integrated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 data operation unit 320 for analyzing and diagnos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10; And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omprising a data transmission unit 330 for transmitting the data analyzed and diagnosed by the data operation unit 320 to the healthcare unit 4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320)는,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ata operation unit (320),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s analyzed and diagnosed using a big data analysis algorithm or artificial intellige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320)는,
고령인, 영유아, 장애인, 및/또는 급/만성 질환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진단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ata operation unit (320),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ersonalized diagnosis is calculated by analyzing data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fants, disabled, and/or acute/chronic disease pers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는,
데이터 수집 주기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수집이 기설정된 주기 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loud hub server (300),
5G-bas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ata request unit 340 for requesting data from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when data collection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set period by monitoring a data collection period. Multi health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와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nd the cloud hub server 300 is implemented using 5G mobile communication (5G).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부(400)는,
의료기관, 케어 코디네이터, 지방자치단체, 및 복지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긴급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lthcare unit 400,
5G-based multi-health care including medical institutions, care coordinators, local governments, and welfare institu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alculated by the cloud hub server 300 is monitored and personalized feedback is provided in response to emergency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부(400)는,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를 다시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의 상기 데이터 저장부(31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ealthcare unit 400,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ult of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is transmitted back to the data storage unit 310 of the cloud hub serve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디바이스(100)는,
상기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의 사용자가 2 이상인 경우, 데이터 수집 시, 각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mart home device 100,
When the number of users of th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is 2 or more, 5G-based multi-healt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that authenticates each user's account when collecting data.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10) 구동 방법으로서,
(1) IoT 가전기기(110), 헬스기기(120) 및 의료기기(120)에서 각각 개인별 환경, 생활 및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마트홈 제어장치(200)에서 통합하여 상호운용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에서 연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헬스케어부(400)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As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10) driving method,
(1) collecting personal environment, life, and health data from the IoT home appliance 110, the fitness device 120, and the medical device 120, respectively;
(2) receiving the data collected in step (1) and integrating and interoperating the data i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3) receiving the data integrated in step (2) and calculating it in the cloud hub server 300; And
(4) A method of driving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data calculated in step (3) and monitoring it in the healthcare unit 40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상기 IoT 가전기기(110), 상기 헬스기기(120) 및 상기 의료기기(130)를 상호운용하고, 통합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2),
5G, characterized in that by integrating the data collected in step (1), interoperating the IoT home appliance 110, the health device 120, and the medical device 130, and managing the integrated data A method of driving a smart home platform system based on multi-health care servi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3-1) 상기 단계 (2)에서 통합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저장부(310)에서 저장하는 단계;
(3-2) 상기 단계 (3-1)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산부(320)에서 분석하여 진단하는 단계; 및
(3-3) 상기 단계 (3-2)에서 분석 및 진단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부(330)에서 상기 헬스케어부(4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3),
(3-1) receiving the data integrated in step (2) and storing it in the data storage unit 310;
(3-2) analyzing and diagnosing the data stored in step (3-1) in the data operation unit 320; And
(3-3) 5G-based multi-health care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data analyzed and diagnosed in step (3-2)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330 to the healthcare unit 400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driving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2)는,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3-2),
A method of driving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alyzing and diagnosing data using a big data analysis algorithm or artificial intelligen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2)는,
고령인, 영유아, 장애인, 급/만성 질환자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진단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3-2),
A method of driving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ersonalized diagnosis is calculated by analyzing data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fants, disabled, and acute/chronic disease person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3-4) 데이터 수집 주기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수집이 기설정된 주기 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데이터 요청부(340)에서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3),
(3-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questing data from the data request unit 340 to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when data collection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set period by monitoring a data collection period. Characterized in,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driving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제어장치(200)과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은 5세대 이동통신(5G)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smart home control device 200 and the cloud hub server 300 is implemented using 5G mobile communication (5G),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driving method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헬스케어부(400)는, 의료기관, 케어 코디네이터, 지방자치단체, 및 복지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단계 (3)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긴급대응하여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n step (4),
The healthcare unit 400 includes a medical institution, a care coordinator, a local government, and a welfare institution, and monitors the data calculated in step (3) and provides personalized feedback in response to an emergency. ,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driving method comprising a.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4-1) 상기 단계 (4)에서 개인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를 다시 상기 클라우드 허브 서버(300)의 상기 데이터 저장부(31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tep (4),
(4-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result of providing the personalized feedback in step (4) back to the data storage unit 310 of the cloud hub server 300, 5G-based How to drive a smart home platform syste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1-1) 상기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10) 시스템의 사용자가 2 이상인 경우, 데이터 수집 시, 사용자 인증부(140)에서 각 사용자의 계정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1),
(1-1) When the number of users of the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10 system is 2 or more, when data is collected, the step of authenticating each user's account in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How to drive a 5G-based multi-health care service smart home platform system.
KR1020190062188A 2019-05-27 2019-05-27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KR102233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88A KR102233725B1 (en) 2019-05-27 2019-05-27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88A KR102233725B1 (en) 2019-05-27 2019-05-27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78A true KR20200136278A (en) 2020-12-07
KR102233725B1 KR102233725B1 (en) 2021-04-06

Family

ID=7379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188A KR102233725B1 (en) 2019-05-27 2019-05-27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7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1253A1 (en) 2021-01-25 2022-07-25 Dom Ino Labs S R L HOME ASSISTANCE SYSTEM FOR FRAGILE PEOPLE
KR20230027488A (en) 2021-08-19 2023-0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Housing Platform, and Smart Home Service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64A (en) * 2010-12-0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atients relationship buiding method based on medical informations of patients
US20180168464A1 (en) * 2016-12-20 2018-06-2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Internet of Things (IoT) Personal Track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878710B1 (en) * 2018-01-29 2018-07-16 수상에스티(주) Smart home maintenance system using security-enhanced residential gateway device
WO2018232221A1 (en) * 2017-06-16 2018-12-20 Woodenshark Llc Systems including a server storing sensor data, and related methods
KR20190052190A (en) * 2017-11-06 2019-05-16 김성범 PROTECTION SYSTEM FOR VULNERABLE CLASSES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64A (en) * 2010-12-0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atients relationship buiding method based on medical informations of patients
US20180168464A1 (en) * 2016-12-20 2018-06-2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Internet of Things (IoT) Personal Track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WO2018232221A1 (en) * 2017-06-16 2018-12-20 Woodenshark Llc Systems including a server storing sensor data, and related methods
KR20190052190A (en) * 2017-11-06 2019-05-16 김성범 PROTECTION SYSTEM FOR VULNERABLE CLASSES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METHOD THEREFOR
KR101878710B1 (en) * 2018-01-29 2018-07-16 수상에스티(주) Smart home maintenance system using security-enhanced residential gatew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1253A1 (en) 2021-01-25 2022-07-25 Dom Ino Labs S R L HOME ASSISTANCE SYSTEM FOR FRAGILE PEOPLE
KR20230027488A (en) 2021-08-19 2023-02-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Housing Platform, and Smart Home Servic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725B1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rik et al. Remote medical monitoring
Ghosh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through IoT
JP7355826B2 (en) Platform-independent real-time medical data display system
US20140278475A1 (en) Tele-analytics based treatment recommendations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CN103605911A (en) Intelligent community health care system control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Rajasekaran et al. Sensor grid applications in patient monitoring
KR101542817B1 (en) Realtime EC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Health Records
Yan et al. A home-based health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Trajkovik et al. General assisted living system architecture model
KR101695130B1 (en) Health monitoring method for silvertown membership in smart environment and system of the same
KR102233725B1 (en) Smart home platform for multi-health care service with 5g network and its way to working
Shetty et al. A review on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IoT
Ahmed An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 to monitor vital signs in daily life–a case study on health-iot
Soni An IoT based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KR20210135403A (en) System for managing personalized health data based on the internet
Elsaadany et al. A triggering mechanism for end-to-end IoT eHealth system with connected ambulance vehicles
Rokonuzzam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lehealth device: Linking IoT sensors to cloud networks
CN108538346A (en) A kind of intelligence family endowment health fil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process
Kiss et al. Vital fitness and health telemonitoring of elderly people
Ghorbani et al. Personal health service framework
Iancu-Constantin et al. An E-health approach for remote cardiac rehabilitation
KR20110086653A (en) U-care system for promoting health
KR101148424B1 (en) Health care system for using wire/wireless network in ubiquitous environment
Sharma et al. IoT-based monitoring system for diagnosing adverse drug reactions and enhancing drug compliance in TB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