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010A - 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 Google Patents

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010A
KR20200135010A KR1020190061352A KR20190061352A KR20200135010A KR 20200135010 A KR20200135010 A KR 20200135010A KR 1020190061352 A KR1020190061352 A KR 1020190061352A KR 20190061352 A KR20190061352 A KR 20190061352A KR 20200135010 A KR20200135010 A KR 2020013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ze
makeup
share
collaps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란
최민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06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5010A/en
Publication of KR2020013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0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K9/00221
    • G06K9/323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a collapsed state of makeup using a cognitive scientific method with regard to the state of the makeup collapsed over time after makeup, and evaluating the state thereof. Specifically, by installing an actual mirror in an eye tracking device, a gaze movement is tracked when a user wearing the makeup actually looks at the mirror and a process of unconsciously determining the collapse makeup is measured, an evaluation index of beautifully and dirtily collapsed makeup is presented, and the collapsed makeup is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dex.

Description

메이크업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본 발명은 메이크업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메이크업이 무너지는 양상에 대하여 인지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메이크업이 무너진 상태를 측정하고 이의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시선 추적 장치에 실제 거울을 설치함으로써 메이크업을 한 사용자가 실제로 거울을 볼 때의 시선 움직임을 추적하여 무의식적으로 메이크업 무너짐을 판단하는 과정을 측정함으로써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과 지저분하게 무너짐의 평가 지표를 제시하고, 상기 평가 지표에 따라서 메이크업의 무너짐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easuring the collapsed state of makeup using a cognitive scientific method and evaluating the state of the makeup collapsed over time after makeup. Specifically, by installing an actual mirror in the eye-tracking device, the user who wears makeup tracks the gaze movement when actually looking at the mirror, and measures the process of unconsciously determining makeup collapse, which is an evaluation index of the beautiful and dirty makeup of makeup. An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it relates to a method of evaluating the collapse of makeup.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제품은 피부결점커버, 화사한 피부표현,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보호 및 땀과 피지에 대한 컨트롤 기능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In general, makeup cosmetic product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covering skin flaws, expressing bright skin, protecting skin from ultraviolet rays, and controlling sweat and sebum.

그러나, 메이크업을 하고 나서 시간이 경과하면, 메이크업 상태는 다양한 양상으로 악화한다. 이러한 “시간 경과에 따른 메이크업 상태의 악화”를 보통 “메이크업 무너짐”이라고 일컫는다. 이상적인 경우, 시간이 지나도 메이크업이 전혀 무너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Ideal State), 대개의 경우에는 메이크업은 결국 무너지게 되고, 이러한 무너짐 현상이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나타나느냐에 따라서 크게 “예쁘게 무너짐”과 “지저분하게 무너짐”으로 나뉠 수 있다.However, as time passes after applying makeup, the makeup condition deteriorates in various ways. This “deterioration of makeup condition over time” is commonly referred to as “makeup collapse”. Ideally, the makeup may not collapse at all over time (Ideal State), but in most cases, the makeup eventually collapses, and depending on how this collapse changes and appears, it is largely “beautifully collapsed” and “dirty”. It can be divided into”.

한편, 시간 경과에 따른 메이크업 제품의 특성과 관련하여, 보통 메이크업 지속성의 관점에서 평가되어 왔다. 메이크업 지속성은 특히 땀과 피지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피부에 도포한 메이크업 제품이 물과 땀에 의해 지워지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예: 파운데이션, 쿠션 등)의 특성과 관련하여서는 메이크업 지속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화장이 붕괴되어, 피부커버, 피부표현, 피부보호 등의 기능 또한 제대로 작동할 수 없게 되므로, 메이크업 무너짐과 메이크업 지속성은 용어가 반대 의미로서 혼용하여 사용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products over time, it has been generally evaluated in terms of makeup persistence. Makeup persistence is particularly resistant to sweat and sebum, and generally refers to the ability of a makeup product applied to the skin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erased by water and swea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e makeup cosmetics (e.g., foundation, cushion, etc.), if makeup persistence is not secured, the makeup collapses, and functions such as skin cover, skin expression, and skin protection cannot function properly. Persistence has been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s opposite.

그러나, 메이크업 지속성은 메이크업이 지워지지 않고 오래 유지되는 능력과 관련된 보다 광범위한 특성을 지칭하는 용어인 반면, 메이크업 무너짐은 메이크업 지속성에 비하여 보다 구체적인 상태를 언급하는 용어이다. 특히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의 선택 및 구매 시 점차 “메이크업 무너짐”에 대한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그 의미가 명확하게 정의된 적이 없고, 그 개념 또한 추상적이기 때문에 연구하기 어려워서, 지금까지 “메이크업 무너짐”에 대한 정의 및 관련 연구가 부재하였다.However, makeup persistence is a term referring to a wider range of properties related to the ability of makeup to last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erased, while makeup collapse is a term referring to a more specific condition compared to makeup persistence. In particular,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akeup Breakdown” when choosing and purchasing base makeup cosmetics, its meaning has never been clearly defined, and its concept is also abstract, making it difficult to study, so far “Makeup Breakdown” There was no definition of ”and related studies.

메이크업 무너짐의 양상 및 정도는 사용자가 특히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의 구체적인 기준 및 측정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Since the aspect and degree of makeup collapse ca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a base makeup product for a user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a specific criterion and measurement method for this evaluation.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7863호(2010년 5월 10일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7863 (published on May 10, 2010) 2. 일본공개특허 제2016-0182235호(2016년 10월 20일 공개)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6-0182235 (published on October 20, 2016)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선 추적 장치에 실제 거울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거울을 볼 때의 시선 움직임의 추적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메이크업 무너짐을 판단하는 과정을 측정함으로써, 얼굴에 적용된 메이크업이 “예쁘게” 또는 “지저분하게” 무너지는 현상의 특징을 규명함과 아울러 이를 객관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install a real mirror in the gaze tracking device, and measure the process of unconsciously determining makeup collapse through tracking the gaze movement when the user actually looks at the mirror, so that the makeup applied to the face is “pretty” or “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pse phenomenon could be identified and object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이크업 무너짐”의 현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정의하면서, 객관적으로 특성화할 수 있는 지표 및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jectively measure and define a phenomenon of “make-up collapse”, and to provide an index and an evaluation method that can be objectively characteriz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된 거울을 통해 시험대상자가 본인의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 관심 영역 별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 및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을 각각 측정하여 시선증감률이 (+) 값인 얼굴의 관심 영역을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산출된 지표를 이용하여 메이크업 무너짐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gaze track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e monitor while the test subject observes his/her face through a mirr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and uses a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for each facial area of interest. An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whose gaze increase/decrease rate is a (+) value as an evaluation index of makeup collapse by measuring the “gaze shar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and a method of calculating makeup collapse using the index calculated by the above method. Provides a way to evaluate.

본 발명의 방법은 시선 추적 장치와 실제 거울을 활용함으로써 메이크업을 한 사용자가 실제 본인 얼굴의 메이크업 무너짐을 무의식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진 자극이나 PC 내장 카메라가 담아내지 못하는 메이크업의 상세한 속성들을 평가할 수 있게 하여 보다 현실감 있고 사실적인 관찰 및 평가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관찰을 통하여 메이크업의 무너짐을 판단할 때 근거로 삼는 포인트 영역과 메이크업이 예쁘게 또는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판단할 때 근거로 삼는 포인트 영역을 도출함으로써 메이크업 무너짐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표를 이용하여 메이크업이 예쁘게 또는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easures the process of unconsciously determining the makeup collapse of the user who actually wears makeup by using the gaze tracking device and the actual mirror, but also the existing photo stimulus or PC built-in camera does not capture. It makes it possible to evaluate the detailed properties of makeup that is not possible, allowing more realistic and realistic observation and evaluation. In addition, through these observations, we will provide an index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makeup breakdown by deriving a point area that is used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makeup breakdown and a point area that is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makeup breakage that is pretty or messy. It is possible to use these indicators to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the appearance of a beautiful or dirty makeup.

도 1은 거울을 접목한 시선 추적 장치가 장착된 모니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메이크업 무너짐 현상의 영역에 따른 얼굴의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 AOI)의 구체적인 구분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메이크업 직후 관심 영역(AOI)별 시선점유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메이크업 6시간 후 본인의 메이크업 상태를 무의식적으로 관찰할 때 예쁘게 무너짐을 판단하는 경우와,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판단하는 경우의 관심 영역(AOI)별 시선증감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메이크업 무너짐을 판단할 때 관심 영역(AOI)별로 무엇을 보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시간 경과에 따른 메이크업 무너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판단요인 별 영향력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nitor equipped with a gaze tracking device incorporating a mirror.
FIG. 2 is a diagram showing specific classification details of an area of interest (AOI) of the face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makeup collapse phenomenon.
3 shows the eye-gaze share by area of interest (AOI) immediately after makeup.
FIG. 4 shows the increase/decrease rate of eyesight for each area of interest (AOI) in the case of determining a beautiful collapse when an individual's makeup state is unconsciously observed after 6 hours of makeup, and a case in which a messy collapse is determined.
5 shows what to look at for each area of interest (AOI) when determining makeup collapse.
6 shows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makeup collapse over time and the influence of each judgment factor.

본 발명은 실제 거울이 접목된 시선 추적(eye tracking)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메이크업 무너짐과 관련된 평가 지표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riving an evaluation index related to makeup collapse by using an eye tracking device in which an actual mirror is grafted.

시선 추적은 모니터 화면에 시각자극(Visual Stimuli)을 제시하고 이를 관찰하는 사람의 시선을 추적함으로써, 시험대상자의 시각적 주의를 연구할 수 있는 인지과학 연구방법이다. Eye tracking is a cognitive science research method that can study the visual attention of a test subject by presenting a visual stimulus on a monitor screen and tracking the gaze of a person observing it.

하지만 무의식적인 시선 움직임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는 실험에서는 주로 이미지 자극을 활용하기 때문에, 실제 본인 얼굴의 메이크업을 관찰하는 시험대상자의 시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실제 거울에 비치는 얼굴을 화면에 실시간으로 제시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가능한 최선의 방법은 시선 추적 실험용 PC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내장 카메라로 시험대상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Inpu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좌우 반전시켜(거울상 이미지) 모니터에 좌우가 반전된 거울상 이미지(Output)를 보여주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에는, 해상도가 낮은 PC 내장 카메라로는 메이크업 제품의 뭉침, 주름 또는 모공에의 끼임, 들뜸을 포함하여 상세한 메이크업 속성 및 세밀한 피부 상태를 표현해 낼 수가 없고, 무엇보다 모니터를 보는 행위가 실제로 거울을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서 몰입감과 사실감이 떨어진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 상술할 바와 같은 “실제 거울”을 활용한 새로운 시선 추적을 통해 메이크업 무너짐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도 1 참조).However, in an experiment using a gaze tracking device that tracks unconscious gaze movements, since image stimulation is mainly used, it was difficult to track the gaze of the subject who actually observes the makeup of the person's face in real time. In order to present the face reflected in the real mirror on the screen in real time, the best way possible so far was to use the built-in camera of a PC for gaze tracking experiments. It is a method to capture the subject's face in real time with the built-in camera (Input), reverse the image taken using software (mirror image) and display the mirror image (Output) with the left and right inverted on the monitor. However, in this method, a PC built-in camera with a low resolution cannot express detailed makeup properties and detailed skin conditions, including lumps, wrinkles or pinching in pores, and lifting of makeup products. Above all, viewing the monitor is actually There was a limit to the lack of immersion and realism because I didn't think I was looking in the mirro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evaluating makeup collapse through a new eye tracking using a “real mirror” as described below (see FIG. 1).

본 발명은 실제 거울이 접목된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대상자가 메이크업 상태의 본인의 얼굴을 관찰할 때 얼굴의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 AOI),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사전 결정된 관심 영역에 따른 시선점유율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메이크업 무너짐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ea of interest (AOI) of the face when the subject observes his/her face in a makeup state by using a gaze tracking device in which an actual mirror is grafted, and more specifically, an interest predetermined by the present inventors. It provides a method of measuring the eye occupancy according to the area and calculating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makeup breakdown from this.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얼굴의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 AOI)은 얼굴 전체 영역을 메이크업의 얼굴 영역별 무너짐 현상에 따른 최소 영역 단위로 세분화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무너짐의 대표적인 현상인 끼임, 뭉침, 다크닝 등으로 나누고, 끼임이 발생하는 영역을 눈밑주름, 눈옆주름, 입가 팔자주름 등으로 세분화시켜 메이크업 무너짐 현상에 따른 최소 영역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11개의 관심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들 관심 영역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세분화되어 있다:The term “area of interest (AOI) of the fa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subdividing the entire face area into a minimum area unit according to the collapse of each face area of the makeup. For example, it is divided into pinching, clumping, darkening, etc., which are representative phenomena of makeup collapse, and subdividing the area where pinching occurs into undereye wrinkles, lateral eye wrinkles, and nasolabial folds around the mouth to represent the minimum area unit according to the makeup collapse phenomen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vided into 11 areas of interest, and these areas of interest are specifically subdivided as follows:

① 미간① Eyebrow

② 눈밑주름(좌우합산)② Wrinkles under the eyes (total left and right)

③ 눈옆주름(좌우합산)③ Wrinkles on the sides of the eyes (total left and right)

④ 코④ nose

⑤ 코옆(좌우합산)⑤ Side of the nose (total left and right)

⑥ 뺨(좌우합산)⑥ Cheek (total left and right)

⑦ 팔자주름(좌우합산)⑦ Nasolabial folds (total left and right)

⑧ 입+인중⑧ Mouth + seal weight

⑨ 턱+주변부⑨ Chin + Peripheral

⑩ 이마⑩ forehead

⑪ 이마와 머리카락 경계부.⑪ The forehead and hair boundary.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시선점유율”은 전체 관칠 시간 동안 각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시선 분포를 중심으로 얼굴의 관심 영역 별로 시험대상자의 시선이 머무르는 비율을 의미한다.The term “gaze sha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ratio of the subject's gaze staying for each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centering on the distribution of gazes for each area of interest during the entire viewing time.

본 발명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얼굴의 관심 영역 별 시선점유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gaze share for each region of interest of a predetermined face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 모니터 상단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시험대상자의 얼굴의 이미지를 좌우 반전시켜 거울상 이미지로 모니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a) Inverting the image of the subject's fac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t the top of the monitor, and outputting a mirror image on the monitor screen in real time.

본 단계에서는, 상단부에 얼굴 인식용 카메라를 구비하고, 일반적으로 하단부에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를 구비한 상기 모니터 앞에 시험대상자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모니터 상단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시험대상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좌우 반전시켜 모니터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바람직하게는, 본 단계에 앞서, 모니터 앞에 시험대상자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시선 추적 장치가 시험대상자의 눈 위치를 가리키도록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step, the subjec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monitor with a face recognition camera at the upper end and a gaze track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e monitor at the lower end, and then the subject is The face is photographed, and the photographed face image is inverted left and right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Preferably, prior to this step, the subject is placed in front of the monitor, and then the eye tracking device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subject's eyes. You can take steps to adjust the direction to point.

(b) 상기 출력된 화면 속 거울상 이미지의 위치에 맞추어 거울을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한 다음, 상기 거울상 이미지를 기준으로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대상자의 시선좌표를 생성하는 단계.(b) arranging the mirr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irror image in the output screen, and then generating the eye coordinates of the subject using a gaze tracking device based on the mirror image.

본 발명에서는 시판 중인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접촉식 거치형 시선 추적 장치인 THE EYE TRIBE(THE EYE TRIBE사)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mercially available gaze tracking device may be used, and for example, THE EYE TRIBE (THE EYE TRIBE), which is a non-contact stationary gaze tracking device, may be used.

시험대상자는 시선 추적 장치에서 시험대상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는 공간인 트랙박스 범위 안에 위치하도록 하여 모니터와 시험대상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 때 모니터와 시험대상자 사이의 적정 거리는 약 60cm이다.The subject is placed within the range of the track box, which is a space where the subject's gaze can be tracked in the gaze tracking devic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subject is kept constant. In this case, the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subject is approximately It is 60 cm.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시험대상자의 시선좌표(x, y)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개인마다 상이한 눈의 기하학적 특징을 계측하고 시선 추적 측정체계인 3D 안구모델에 맞추어 표준화시키는 교정 과정(Calibration)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시험대상자의 각막, 중심와의 위치, 형태, 빛의 굴절과 반사특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화면에 제시되는 교정 포인트를 주시할 때의 눈 상태의 특징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제 거울을 접목한 시선 추적 방식에서 교정 횟수는 관찰대상자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나, 통상 2회가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gaze coordinates (x, y) of a subject, different geometric features of the eye are measured for each individual, and a calibr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standardize according to a 3D eye model, a gaze tracking measurement system. . In this process, the subject's cornea,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fovea, the refraction and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light are acqui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ye condition when looking at the correction point presented on the screen are modeled. In the gaze tracking method incorporating an actual mirr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rrection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bserver, but usually two times are preferred.

그 중 1차 교정 과정은 상기 (a)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모니터 상단의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촬영하는(input) 시험대상자의 얼굴을 시선 추적과 관련된 응용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시선 추적 결과의 심층적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비엔알아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인 BRITS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를 이용하여 촬영 이미지를 좌우 반전시킨 다음, 이를 거울상 이미지(즉, 좌우 반전된 이미지)로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한다(output).Among them, the first correction process is performed in step (a), and application software related to gaze tracking of a subject's face, which is input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at the top of the monitor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gaze tracking BRITS, a software developed by BNRI Co., Ltd., was used to perform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sult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o invert the photographed image left and right, and then convert it to a mirror image (ie, a left and right inverted image). Output to the monitor.

2차 교정 과정은 본 (b)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시험대상자가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한 실제 거울을 보고 본인 얼굴을 관찰 및 평가하도록 하며, 이러한 평가 과정 동안 안구의 움직임을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로 추적하고, 이를 녹화/촬영함으로써 추적 결과를 기록한 다음, 상기 기록된 결과와 모니터에 출력된 이미지를 정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제 거울은 화면 속 “거울상 이미지”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되며, 따라서 시험대상자는 실제 거울 속 본인 얼굴을 보고 평가하게 되지만, 사실상은 거울 뒤 동일 위치에 놓은 화면의 거울상 이미지를 기준으로 영역별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 시험대상자의 시선좌표의 교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개인별 시선좌표(x, y)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The secondary correc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is step (b), and the subject is asked to observe and evaluate his or her face by looking at the actual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During this evaluation process, the movement of the eyeball is linked with the monitor. Tracking with a gaze tracking device, recording the tracking result by recording/taking it, and then aligning the recorded result with the image output to the monitor. The actual mirror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irror image” in the screen, so the test subject sees and evaluates his or her face in the actual mirror, but in reality, evaluation by area is based on the mirror image of the screen placed in the same position behind the mirror. Therefore, through this, the subject's gaze coordinates are corrected, and individual gaze coordinates (x, y) can be generated.

(c) 시험대상자가 거울을 통해 본인의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시험대상자의 안구 움직임을 상기 모니터와 연동된 시선 추적 장치로 추적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 별로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을 분석하는 단계.(c) Analyzing the eyeball share of the subject for each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by tracking the eye movement of the subject with a gaze tracking device linked to the monitor while the subject observes his or her face through a mirror.

본 발명에서는 얼굴의 관심 영역을 크게 11개의 사전 결정된 영역으로 구분하여,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얻은 기록 결과로부터 각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시선 분포를 중심으로 얼굴의 관심 영역 별로 시험대상자의 시선이 머무르는 비율, 즉 시선점유율을 분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is largely divided into 11 predetermined areas, and the gaze of the subject stays in each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center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gaze for each area of interest from the recording result obtained using the gaze tracking device. Analyze ratio, that is, eye-catching percentage.

이 때 사람은 AOI 영역의 분석에 있어서 본능적으로 눈에 가장 먼저 시선이 머무르게 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얼굴의 관심 영역에는 눈 주변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analysis of the AOI region, the human eye instinctively stays on the eye first, so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does not include the area around the eye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 때, 얼굴 전체에 대한 영역별 시선점유율을 산출하고, 개인별 시선좌표의 기준이 변하지 않도록, 안구 움직임의 추적 및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시험대상자는 본인의 얼굴이 실제 거울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고개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gaze share for each area of the face is calculated, and the criteria of the individual gaze coordinates are not changed, while the eye movement tracking and evaluation are in progress, the subject is to fix their head so that their face does not go out of the actual mirror. It is desirable.

상기한 바와 같이, 얼굴의 관심 영역에 따른 시선점유율을 측정함으로써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를 산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valuation index of makeup collapse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eye-gaze share according to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evaluation index of makeup collap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1) 시험대상자가 메이크업 직후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된 거울을 통해 본인의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상기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AOI) 별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을 측정하는 단계.(1) While the subject is observing his/her face through a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immediately after make-up, by using a gaze tracking device linked to the monitor,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for each area of interest (AOI) of the face ( Measuring X)”.

본 단계에서는 메이크업 직후, 시험대상자가 모니터 화면 상면에 배치한 실제 거울을 보고 본인 얼굴을 관찰 및 평가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평가 과정 동안 안구의 움직임을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로 추적한다. 추적 결과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결과로부터 각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시선 분포를 중심으로 영역별 시선점유율, 즉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을 도출한다. In this step, immediately after makeup, the subject is asked to observe and evaluate his or her face by looking at the actual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screen, and during this evaluation process, eye movements are tracked with a gaze tracking device linked to the monitor. . The tracking result is recorded, and the gaze share for each area, that is,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X)” is derived from the recording result, centering on the gaze distribution for each area of interest.

(2)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시험대상자가 상기 (1) 단계의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된 거울을 통해 본인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상기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AOI) 별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을 측정하는 단계.(2)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using the eye-tracking device while the subject is observing his or her face through a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in step (1). (AOI) The step of measuring the “eye view share (Y)”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시험대상자가 모니터 화면 상면에 배치한 실제 거울을 보고 본인 얼굴을 관찰 및 평가하는 작업을 다시 수행하도록 하고, 이러한 평가 과정 동안 안구의 움직임을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로 추적한다. 추적 결과를 기록하고, 상기 기록 결과로부터 각각의 관심 영역에 대한 시선 분포를 중심으로 영역별 시선점유율, 즉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을 도출한다.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the subject is asked to perform the task of observing and evaluating his or her face again by looking at an actual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screen. Track with a gaze tracking device. The tracking result is recorded, and the gaze share for each area, that is, the “gaze share (Y)”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is derived based on the gaze distribution for each area of interest from the recording result.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이크업 상태를 유지한 다음,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을 측정할 때까지 유지하는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메이크업을 유지하는 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3시간 내지 12시간, 4시간 내지 10시간, 또는 5시간 내지 8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이크업 6시간 유지 후에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을 측정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of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and then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until the eyeball share is measur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general, considering the time that people maintain makeup, from 3 hours to It may be 12 hours, 4 hours to 10 hours, or 5 hours to 8 hours.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for 6 hours, the “gaze share (Y)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was measured.

(3) 얼굴의 동일한 관심 영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로부터 도출한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과 상기 (2) 단계로부터 도출한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로부터 얻은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 얼굴의 관심 영역을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단계.(3) In the same area of interest on the face, the gaze obtained from the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X)” derived from step (1) above and the “Gaze shar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e (Y)” derived from step (2) above. A step of calculating a region of interest of a face having an increase/decrease rate of (+) as an evaluation index of makeup collapse.

얼굴의 동일한 관심 영역 내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산출한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 기준선)과 상기 (2) 단계에서 산출한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의 변화(차이)를 비교하여 시선증감률을 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시선증감률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구할 수 있다:In the sam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the change (difference) of the eye-gaze share (X; baseline) immediately after makeup calculated in step (1) and the eye-gaze share (Y)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calculated in step (2) is compared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can be obtained, and specifically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 Y(%)] -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 X(%)]Gaze increase/decrease rate (%) = [Gaze share Y(%)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Gaze share X(%) right after makeup]

상기한 바와 같이 구한 시선증감률을 통하여, 메이크업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시험대상자가 무의식적으로 관심 있게 살펴보는(즉, 시선을 두는) 얼굴의 관심 영역의 변화를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 얼굴의 관심 영역이 메이크업의 상태, 구체적으로 메이크업의 무너짐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평가 지표가 된다.Through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change in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that the subject unconsciously looks at (i.e., puts gaz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makeup has elapsed. The area of interest on the face having this (+) value becomes an important evaluation index in evaluating the condition of the makeup, specifically, the collapse of the makeup.

구체적으로, 메이크업의 무너짐은 “예쁘게 무너짐”과 “지저분하게 무너짐”으로 나뉘고,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과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할 때 시선증감률의 변화 양상은 각각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들 시선증감률은 하기 수학식 2 및 3에 따라서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 단계는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0),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1) 또는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2)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기 수학식에서,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점유율은 메이크업의 무너짐과 상관없이 단순히 메이크업의 상태를 점검할 때의 시선점유율을 의미한다.Specifically, makeup collapse is divided into “pretty collapse” and “dirty collapse”, and when evaluating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and the dirty collapse of makeup, the change in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may appear differently. The rate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s 2 and 3 below. In this case, the step (2) is the eye-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eye-tracking task (Y 0 ), the eye-gaze share of the test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eye-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Y 1 ), or makeup. It includes measuring the gaze share (Y 2 )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essy collapse of In the following equation, the general gaze shar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refers to the gaze share when simply checking the makeup state regardless of the collapse of the makeup.

[수학식 2][Equation 2]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예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Y1 -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 X)(%)]Gaze increase/decrease rate (%) when evaluating makeup's beautiful collapse = [Gaze increase/decrease rate (Y 1 -X)(%) when evaluating beautiful collaps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us]-[General gaze increase/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us (Y 0 -X) )(%)]

(Y0은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이고, Y1은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임)(Y 0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Y 1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beautiful fall of makeup)

[수학식 3][Equation 3]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Y2 -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 X)(%)]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of makeup (%) = [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2 -X)(%)]-[General gaze increase/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0) -X)(%)]

(Y0은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이고, Y2는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임)(Y 0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Y 2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즉, 상기 수학식 2에 따라서 구한 시선증감률이 (+) 값으로 나타난 얼굴의 관심영역은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함에 있어 평가 지표가 되고, 상기 수학식 3에 따라서 구한 시선증감률이 (+) 값으로 나타난 얼굴의 관심영역은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함에 있어 평가 지표가 된다.In other words,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in which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2 is expressed as a (+) value becomes an evaluation index in evaluating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and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3 is (+) ) The area of interest on the face represented by the value becomes an evaluation index in evaluating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본 발명자들은 부단한 시험과 분석을 통해, 메이크업을 한 시험대상자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거울을 통해 메이크업 상태를 관찰하는 경우,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졌는지를 판단할 경우에는 “이마 및/또는 미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간에 시선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메이크업이 지저분하게 무너졌는지를 판단할 경우에는 “콧볼”과 “팔자주름”에 시선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의 평가 시 평가 지표는 “이마” 및/또는 “미간”이 되며,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의 평가 시 평가 지표는 “콧볼” 및/또는 “팔자주름”이 된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rough constant testing and analysis, when a subject who wears makeup observes the makeup state through a mirr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makeup has collapsed beautifully, "forehead and/or eyebrow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gaze tends to be focused on the eyebrows, whereas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makeup is messy, the gaze tends to focus on the “nose cheeks” and “nasolabial folds”. Therefore, when evaluating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the evaluation index becomes “forehead” and/or “eyebrow”, and when evaluating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the evaluation index becomes “nose cheek” and/or “nasolabial fold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구한 “시선증감률”을 통하여, 메이크업 상태, 구체적으로는 메이크업 무너짐,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또는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evaluating a makeup state, specifically makeup collapse, more specifically makeup breakage or messy makeup breakage through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로 산출된 얼굴의 관심 영역에서, 상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구한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지 여부를 도출함으로써 메이크업의 무너짐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In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calculated as an evaluation index of makeup collapse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keup collapse may be determined by deriving whether or not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has a (+) value.

특히, 수학식 2에 따라서 예쁘게 무너짐 평가 지표로 도출된 얼굴의 관심 영역, 즉 “이마” 및/또는 “미간”에서 수학식 1에 따라서 구한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 경우에는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수학식 3에 따라서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지표로 도출된 얼굴의 관심 영역, 즉 “콧볼” 및/또는 “팔자주름”에서 수학식 1에 따라서 구한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 경우에는 메이크업이 지저분하게 무너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eye-gaze increase/decrease rat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in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derived as a beautiful collapse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Equation 2, that is, “forehead” and/or “eyebrow” has a (+) value, makeup is It can be evaluated as beautifully collapsed, and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obtained according to Equation 1 in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derived as a messy collapse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Equation 3, that is, “nose cheeks” and/or “nasolabial folds” is (+) If it has a value,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makeup is messy.

또한, 본 발명자들은 시험대상자가 이마 및/또는 미간을 볼 때에는 유분감의 정도를 주로 관찰하는 반면, 코 옆을 포함한 코 주변 영역을 볼 때에는 번들거림과 끼임 현상을, 팔자주름을 볼 때에는 끼임 현상을 주로 관찰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In addi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observe the degree of oiliness when the subject looks at the forehead and/or glabellar, whereas when looking at the area around the nose including the side of the nose, the phenomenon of gleaming and pinching occurs, and when viewing the nasolabial folds, the pinching phenomenon is mainly observed. Turned out to be observed.

따라서, 메이크업 직후 측정한 시선점유율에 비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시험대상자가 메이크업 된 얼굴에서 어느 영역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지를 평가함으로써 메이크업의 무너짐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도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도출된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졌는지, 지저분하게 무너졌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compared to the eyeball share measured immediately after makeup,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 evaluation index for evaluating the collapse of makeup can be derived by evaluating which area the subject is intensively looking at on the makeup face. Based on the derived evaluation index,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akeup has collapsed beautifully or dirty.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무너짐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져 고객 만족도가 높은 메이크업 화장품 소재와 제형을 개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제품의 선택 및 추천이 가능하다.Furthermore, using the makeup collaps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makeup cosmetic materials and formulations with high customer satisfaction due to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as well as selection and recommendation of an appropriate product that meets the needs of customers.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Test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nd Test Examples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시험예 1] 메이크업 무너짐 평가[Test Example 1] Evaluation of makeup collapse

I. 연구방법론 설계I. Research methodology design

실제 거울을 접목한 시선 추적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메이크업 무너짐 정도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선 추적 장치는 THE EYE TRIBE(THE EYE TRIBE사)를 사용하였으며, 거울은 모니터에 출력된 이미지의 위치에 맞추어서 배열하였고, 모니터와 시험대상자 사이의 거리는 60cm으로 유지하였다. 또한, 모니터 화면 상의 보정(1차 보정)을 위하여 시선 추적과 관련된 소프트웨어인 BRITS(㈜비엔알아이 개발)를 사용하였다.Using the gaze tracking method incorporating an actual mirror, in this study, the degree of makeup collapse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way. In this study, THE EYE TRIBE (THE EYE TRIBE) was used as the gaze tracking device, and the mirror was arr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subject was maintained at 60 cm. Also, for correction (first correction) on the monitor screen, BRITS (developed by BNRI Co., Ltd.), a software related to gaze tracking, was used.

A. 아침 메이크업 상태 평가(메이크업 직후)A. Morning makeup condition evaluation (right after makeup)

- 측정 장비 세팅(시선 추적 장치(THE EYE TRIBE; THE EYE TRIBE사), 모니터, 거울의 위치 및 적정 거리 확인)-Measurement equipment setting (eye tracking device (THE EYE TRIBE; THE EYE TRIBE), monitor and mirror location and proper distance check)

- 실험 안내-Experiment guide

- 1차 보정(모니터 화면 상의 보정) -1st correction (correction on the monitor screen)

- 2차 보정(거울 상의 보정)-Secondary correction (mirror correction)

- 측정- Measure

*과제. 자유롭게 메이크업 상태 점검(10초) *assignment. Freely check makeup status (10 seconds)

B. 메이크업 무너짐 유발 활동B. Activities that cause makeup collapse

- 영화관(영화 관람)-Cinema (watching a movie)

- 식당(점심식사)-Restaurant (Lunch)

- 헬스장(가벼운 걷기)-Gym (light walking)

C. 오후 메이크업 상태 평가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6시간 경과)C. Afternoon makeup status evaluation (6 hours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 아침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팅 및 보정-Setting and calibration in the same way as in the morning

- 측정(하기 과제k는 노출의 순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무작위로 제시하였으며, 과제마다 5초간 휴식을 진행함)-Measurement (task k below was randomly presented to remove the effect of the sequence of exposure, and each task took a break for 5 seconds)

*과제 1. 자유롭게 메이크업 상태 점검(10초) *Task 1. Freely check makeup status (10 seconds)

*과제 2.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10초) *Task 2. Assessing makeup's beautiful collapse (10 seconds)

*과제 3.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10초) *Task 3. Assessing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10 seconds)

II. 실험 결과 및 데이터II. Experiment results and data

인지과학(예를 들어, fMRI, EEG, 시선 추적(eye tracking) 등) 결과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조건 간 상대적 비교를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의 시선 추적 분석 방법 역시, 특정 자극물에 대한 A/B 조건 간의 시선 움직임 데이터의 유의미한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A-B 또는 B-A) 그 결과값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러한 비교 값은 통계적 유의미성을 가지나, 다른 자극물/조건 간 비교로 확장시킬 경우 분석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세트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 차이 값(수치)에는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인지과학 결과 데이터의 해석은 수치적인 값에 의존하지 않고, 어떤 뇌 영역(fMRI, EEG) 또는 시선 영역(Eye-tracking)에서 차이가 나는지, 영역기반(Topographic) 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도출한다. 본 연구 또한 인지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얼굴의 주요 영역 AOI(Area of Interest; 관심 영역)을 설정하고 영역 내의 조건 간 비교를 통하여, 각 조건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차이영역을 도출하였다. Cognitive science (e.g., fMRI, EEG, eye tracking, etc.) resultant data is usually based on relative comparisons between conditions. The gaze tracking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can also derive the resul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gaze motion data between A/B conditions for a specific stimulus (A-B or B-A). These comparison value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when expanded to a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stimuli/conditions, the data set to be analyzed is different, so the difference value (numerical value) inevitably differs.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cognitive science result data does not depend on numerical values, but in which brain regions (fMRI, EEG) or eye-tracking regions (Eye-tracking) differ, and the results are derived through topographic analysis. do. This study also used cognitive science method to establish AOI (area of interest) in the main area of the face, and through comparison between conditions within the area, a significant difference area that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dition was derived.

1) 메이크업 무너짐 AOI(Area of Interest; 관심 영역)(총 11개 영역) 설정 - 메이크업 무너짐을 판단할 때 얼굴의 “어느 부분”을 보는가?1) Make-up breakdown AOI (area of interest) (a total of 11 areas) set-When judging make-up breakdown, do you look at the “Which part of the face”?

오후시간 본인의 메이크업이 무너진 정도를 판단할 때, 사람들은 주로 얼굴의 어느 부분을 보고 판단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In the afternoon, when judging the extent to which my makeup has collapsed, people mainly tried to find out which part of the face they judged.

시선 추적 결과를 분석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인 AOI(Area of Interest; 관심 영역) 분석 방법은, 사전에 AOI를 나누고 각 영역별 시선의 Visit(영역 방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였다. 각 AOI에 시선의 방문 시각, 체류 시간, 순서, 횟수, 재방문률 등을 분석하여 시간/공간적 데이터의 정량 분석을 통해 결과값을 도출하였다. The AOI (Area of Interest) analysis method,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of analyzing the gaze tracking results, was based on the AOI divided in advance and the visit data of each gaze.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temporal/spatial data by analyzing the visit time, residence time, sequence, frequency, and revisit rate of each AOI.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의 얼굴 영역별 무너짐 현상을 중심으로 얼굴 영역을 세분화하여 총 11개의 AOI를 구분하였다. 예를 들어 메이크업 무너짐의 대표적인 현상인 끼임, 뭉침, 다크닝 등을 나누고, 끼임이 발생하는 영역을 눈밑주름, 눈옆주름, 입가 팔자주름 등으로 세분화시켜 메이크업 무너짐 현상에 따른 최소 영역 단위를 설정하였다. 메이크업 무너짐 현상의 영역에 따른 AOI의 구체적인 구분 내용은 다음과 같다(도 2 참조):In this study, a total of 11 AOIs were classified by subdividing the facial area, focusing on the collapse of each facial area of the makeup. For example, the representative phenomena of makeup collapse, such as pinching, clumping, and darkening, were divided, and the area where pinching occurred was subdivided into undereye wrinkles, lateral wrinkles, and nasolabial folds around the mouth, and the minimum unit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makeup collapse phenomenon was set. The details of the AOI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makeup collapse phenomenon are as follows (see Fig. 2):

① 미간① Eyebrow

② 눈밑주름(좌우합산)② Wrinkles under the eyes (total left and right)

③ 눈옆주름(좌우합산)③ Wrinkles on the sides of the eyes (total left and right)

④ 코④ nose

⑤ 코옆(좌우합산)⑤ Side of the nose (total left and right)

⑥ 뺨(좌우합산)⑥ Cheek (total left and right)

⑦ 팔자주름(좌우합산)⑦ Nasolabial folds (total left and right)

⑧ 입+인중⑧ Mouth + seal weight

⑨ 턱+주변부⑨ Chin + Peripheral

⑩ 이마⑩ forehead

⑪ 이마와 머리카락 경계부⑪ Border between forehead and hair

상기와 같이 관찰하고자 하는 AOI를 설정하고, Visit(영역 방문) 기반의 시공간적 정량분석을 통해 각 영역의 시선 도달 시각, 순서, 시선 체류 시간, 재방문률 등을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각 AOI 영역에 대한 시선 분포(시선점유율)를 중심으로 예쁘게 무너짐과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관찰할 때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As described above, the AOI to be observed was set, and the gaze arrival time, sequence, gaze dwell time, revisit rate, etc. of each area were analyzed through spatiotemporal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Visit (area visit). Among them, I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observing a beautiful collapse and a messy collapse, typically focusing on the gaze distribution (eye gaze share) for each AOI area.

i) 시선점유율i) Eye-catching share

본 연구에서 시선분포는 시선 고정(Fixation)과 단속 운동(Saccade)을 구분하지 않은 전체 시선점유율(Total duration)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1초에 30개의 시선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30Hz로 샘플링 된 모든 좌표정보의 각 AOI 상의 비율을 분석함으로써 시선분포를 계산하였다. 이러한 시선분포(시선점유율)는 특정 대상을 관찰할 때 주로 '어디를 보는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계산 결과는 도 3에 제시되어 있다.In this study, the gaze distribution was based on the total duration, which did not distinguish between gaze fixation and saccade. In addition, the gaze distribution was calculated by collecting 30 gaze position information per second and analyzing the ratio of all coordinate information sampled at 30 Hz on each AOI. This gaze distribution (eye gaze share) visually represents'where do you look at' when observing a specific object, and the calculation result is shown in FIG. 3.

도 3에 나타낸 시선점유율은 시험대상자가 무의식적으로 어느 영역에 주의/집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동일 AOI 영역 내에서의 시선점유율의 변화를 통해 AOI 별 '시선증감률'의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The gaze share shown in Fig. 3 not only enables the subject to unconsciously check which area he or she pays attention to, but also enables the calculation of the'gaze increase/decrease rate' for each AOI through a change in the gaze share within the same AOI area. do.

이번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직후와 메이크업 6시간 유지 후의 동일 AOI내에서의 시선점유율의 증(+)/감(-) 변화량(=시선증감률)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In this study, the amount of increase (+)/decrease (-) change in gaze share (= gaze increase/decrease rate) within the same AOI immediately after makeup and after 6 hours of makeup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 -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Gaze increase/decrease rate (%) = [Gaze share (Y)(%)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X)(%)]

ii) 시선 추적 과제별 시선증감률ii) Gaze increase/decrease rate by gaze tracking task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직후 시선 추적 측정에서는 별도의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하지 않고 자유롭게 본인의 메이크업 상태를 점검하도록 한 다음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6시간 동안의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 추적 측정에서는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하기 전과 후에 각각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을 측정하였다. 시선 추적 과제의 목적에 따라 시험대상자의 관찰의도가 무의식적인 시선 움직임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in the eye-tracking measurement immediately after makeup, a separate eye-tracking task was not assigned, and the subject's eye-gaze share was measured after allowing them to freely check their makeup status. In addition, in the eye-tracking measurement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for 6 hours, the eye-gaze share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ye-tracking task was assigned. This is becaus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gaze tracking task, the subject's observation intention is reflected in the unconscious gaze movement.

구체적으로,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의 시선 추적 측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우선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0) 측정시에는, 실제 수정화장할 때 거울을 보듯 '자유롭게 본인의 화장상태를 점검'하도록 하였다.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1) 측정시에는, 메이크업 상태가'얼마나 예쁘게 무너졌는지를 관찰하라는 지시 하에 본인의 화장상태를 점검'하도록 하였다. 또한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2) 측정시에는, 마찬가지로 메이크업 상태가 '얼마나 지저분하게 무너졌는지를 관찰하라는 지시 하에 본인의 화장상태를 점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선 추적 과제 부여에 따른 시선점유율의 차이는, 동일한 이미지일지라도 시험대상자가 평소에 무의식적으로 거울을 들여다 볼 때와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할 때 그리고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판단할 때의 관점의 차이가 시선점유율에 반영된다. 따라서 시선 추적 과제 부여 전후의 시선점유율을 비교분석한다면, 각각의 고유한 차이값들을 도출해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of eye tracking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of all, when measuring the gaze share (Y 0 ) of the subjects who were not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hey were allowed to'freely check their makeup status' as if they were looking in a mirror when actually correcting makeup. When measuring the gaze share (Y 1 ) of the subject who was given a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akeup's beautiful collapse, the makeup status was'checked under the instructions to observe how beautifully collapsed'. 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gaze share (Y 2 ) of a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a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the makeup status is likewise'check your makeup status under the instruction to observe how dirty you are'. I did it. The difference in gaze share according to the assignment of this gaze tracking task is that even if the subject has the same imag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between when the subject unconsciously looks into the mirror and when evaluating the collapse beautifully, and when judging the collapse in a messy manner is the difference in gaze share. Is reflected. Therefore, if we compare and analyze the gaze share before and after the gaze tracking task is assigned, we can derive each unique difference value.

하지만 무너짐이 시간경과에 따른 메이크업의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 대비 메이크업 6시간 유지 후의 시선점유율의 변화값인 시선증감률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AOI 영역별로 메이크업 직후 대비 메이크업 6시간 유지 후, 자유롭게 메이크업 상태점검 시 대비 ① 예쁘게 무너진 메이크업을 볼 때(수학식 2), ② 지저분하게 무너진 메이크업을 볼 때(수학식 3)의 시선증감률을 비교하여 각 조건 별 고유 AOI값을 도출하였다.However, since the collapse reflects the change in makeup over time, it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hange in gaze share after 6 hours of makeup maintenance compared to the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Compared to immediately after makeup by AOI area, compared to immediately after makeup, compared to when makeup is maintained for 6 hours, and compared to freely checking the makeup condition ① When looking at a beautifully collapsed makeup (Equation 2), ② When looking at a messyly collapsed makeup (Equation 3) Thus, a unique AOI value for each condition was derived.

[수학식 2][Equation 2]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예쁘게 무너짐 평가시 시선증감률(Y1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X)](%)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akeup's beautiful collapse = [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beautiful collaps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Y 1 -X)](%)-[General gaze increase or 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Y 0 -X)]( %)

[수학식 3][Equation 3]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시 시선증감률(Y2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X)](%)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of makeup = [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2 -X)](%)-[General gaze increase/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0 -X) ](%)

상기 수학식에 따라서 AOI 값을 도출한 결과, 오후시간 거울 속 본인 메이크업 상태를 무의식적으로 관찰할 때, '예쁘게 무너짐'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이마/미간'에 시선이 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메이크업이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판단할 때에는 '콧볼'과 '팔자주름'에 시선이 더 집중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1 및 도 4 참조). As a result of deriving the AOI value according to the above equation, when a person unconsciously observes the makeup state in the mirror in the afterno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pretty collapsed', the gaze tends to be more concentrated on the'forehead/eyebrow'. , When it was determined that the makeup was'dirtyly collapsed', it was found that the eyes were more concentrated on the'nose cheeks' and'nasolabial folds' (see Table 1 and FIG. 4).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과 지저분하게 무너짐의 시선증감률에 따른 비교Comparison according to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of beautifully collapsed makeup and messy collapsed 구분division 계산식formula 차이 영역Difference area
(( 시선증감률이The rate of gaze increase or decrease (+) 값인 영역) (+) value area)
예쁘게 무너짐Beautifully collapsed [(Y1 -X)](%) - [(Y0 -X)](%)[(Y 1 -X)](%)-[(Y 0 -X)](%) 이마/미간(+)%Forehead/Grown (+)% 지저분하게 무너짐Messy collapse [(Y2 -X)](%) - [(Y0 -X)](%)[(Y 2 -X)](%)-[(Y 0 -X)](%) 콧볼, 팔자주름(+)%Nose and nasolabial folds (+)%

상기 표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쁘게 무너짐을 판단할 때와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판단할 때 시험대상자는 무의식적으로 관심있게 살펴보는 영역(즉, 주 관심 영역(AOI))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AOI 별 시선증감률 도출 결과는, 메이크업이 무너지더라도 “더 예쁘게 무너진다”고 인식하게 하려면, 어떤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제품을 설계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얼굴의 피지 분비량은 영역마다 다 다르고, 모든 영역을 동일한 수준으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는 메이크업시 얼굴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결과적으로 가장 만족스럽고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2) 무너짐 판단 요인 - 무너짐을 판단할 때 '무엇'을 보는가? As shown in Tables 1 and 4, it is no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rea (ie, the main area of interest (AOI)) that the subject unconsciously looks at when deciding a beautiful collapse and when judging a dirty collapse. Able to know. The result of deriving the gaze increase/decrease by AOI tells you what area to focus on in order to recognize that even if the makeup is broken, it will be perceived as “more beautifully”. For example, since the amount of sebum secretion on the face varies from area to area,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all areas to the same level, the above data can be the most satisfactory and effective as a result of focusing on a certain area of the face during makeup. It can be the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2) Factors for determining collapse-What do you look at when determining collapse?

메이크업 무너짐을 판단함에 있어서 '어디'를 보는지가 확인되었다면, 그 영역에서 '무엇'을 보는지 또한 중요할 것이다. 앞서 밝혀진 메이크업 무너짐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주요 AOI 영역인 미간, 코옆, 팔자주름 등에서 시험대상자가 주로 무엇을 관찰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평가와 사후 IDI(In-Depth-Interview) 결과를 확인하였다. AOI 별로 시험대상자가 무엇을 보는지, 즉 무너짐 판단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있어서, 영역별 % 데이터는 사전평가 설문조사(n=60)를 통해 얻은 것이고, 영역 내에서의 구체적인 현상 기술은 사후 IDI를 통해 얻은 것이다.In judging the makeup breakdown, if'where' is confirmed, it will also be important to see'what' in that area. In determining makeup breakdown, the pre-evaluation and post-IDI (In-Depth-Interview) results were confirmed to confirm what the subjects mainly observed in the major AOI areas such as the eyebrows, nose, and nasolabial folds. 5 shows what the test subjects see for each AOI, that is, what is the deciding factor for collapse. In FIG. 5,% data for each area was obtained through a pre-evaluation questionnaire (n=60), and a specific development description within the area was obtained through post IDI.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AOI 영역별로 보고하는 메이크업 무너짐 판단요인을 확인한 결과, 구체적인 메이크업 무너짐 양상에 대한 판단은 시험대상자의 주관적 기준이 포함되어 시험대상자마다 그 정도에 대해서는 다르게 판단될 수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미간을 포함한 이마영역에서는 '적당한 유분감'을, 코옆을 포함한 코 주변 영역에서는 '번들거림'과 '끼임'현상을, 마지막으로 팔자주름 영역 역시 '끼임'현상을 주로 관찰했음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 5,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for determining makeup collapse reported by each AOI area, the determination of the specific makeup collapse pattern includes the subject's subjective criteria, and thus the degre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subject. , In common, it can be seen that'appropriate oiliness' was observed in the forehead area including the glabellar, the'greasy' and'interrupted' phenomena were observed in the area around the nose including the side of the nose, and finally, the nasolabial fold area also observed the phenomenon of'interception'.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메이크업 무너짐 만족도와 '메이크업 직후' 그리고 '메이크업 6시간 후'의 각 속성에 대하여 사전평가 설문조사(n=60)의 정량 데이터 결과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각 요인별 영향력을 산출하였다(도 6 참조). 그 결과 시점별 상위 3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지는 데 가장 영향력이 큰 속성은 바른 직후의 '밀착력', '매끈함', '커버력'이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피부 유분과 메이크업이 잘 어울러져 적당히 광이 나는 정도' 그리고 '메이크업이 얼룩덜룩하게 지워지지 않는 것' 등이 중요 요인으로 꼽혔다.In addition,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is calcula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n the quantitative data results of the pre-evaluation survey (n=60) for each attribute of'just after makeup' and '6 hours after makeup' with the satisfaction of makeup collapse over time. (See Fig. 6). As a result, the top three factors by time point are as follows. The most influential attributes for the makeup break down are'adhesion','smoothness', and'covering power'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the degree to which the skin oil and makeup match well and shine moderately' and ' The make-up does not come off mottled' is an important factor.

3) 결론 - 메이크업 무너짐이란 무엇인가?3) Conclusion-What is makeup breakdown?

결론적으로 메이크업 무너짐은 메이크업을 완료한 다음 일정 시간 경과 후 메이크업 상태가 변화하는 다양항 양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하지만 메이크업 무너짐 현상 내에서도 시험대상자가 더 주요하게 관찰하는 속성은 분명 존재한다. 시험대상자가 주로 관찰하는 영역과 주로 관찰하는 특징이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졌는가'와 '지저분하게 무너졌는가'를 결정하는 판단 근거가 된다. 이를 종합해보면, 메이크업 무너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In conclusion, makeup collapse includes all the various aspects in which the makeup condition change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makeup is completed. However, even within the phenomenon of makeup collapse, there are certain properties that the subjects observe more importantly. The areas that the subjects mainly observe and the features they observe are the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akeup is'pretty broken' and'is it dirty?' Taken together, makeup breakdown can be defined as follows:

-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짐: 메이크업이 얼룩덜룩하게 지워지지 않고 균일한 상태를 유지함 + 특히 이마와 미간에 적당한 수준의 광이 있음-Make-up breaks beautifully: Make-up is not stained and maintains a uniform state + There is a moderate level of gloss, especially on the forehead and brow

- 메이크업이 지저분하게 무너짐: 메이크업이 얼룩덜럭하게 지워짐 + 특히 코와 팔자주름 인근에 끼임 현상이 있음.-Make-up is messy: Make-up is smudged + There is a jamming phenomenon, especially near the nose and nasolabial folds.

Claims (10)

(1) 시험대상자가 메이크업 직후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된 거울을 통해 본인의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상기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 별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을 측정하는 단계;
(2)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시험대상자가 상기 (1) 단계의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된 거울을 통해 본인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상기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 별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얼굴의 동일한 관심 영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로부터 도출한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과 상기 (2) 단계로부터 도출한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로부터 얻은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 얼굴의 관심 영역을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3) 단계에서 시선증감률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계산되는 것인,
[수학식 1]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 Y(%)] -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 X(%)]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방법.
(1)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X)” for each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by using a gaze tracking device linked to the monitor while the test subject observes his/her face through a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immediately after makeup Measuring a;
(2)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using the eye-tracking device while the subject is observing his or her face through a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in step (1) Measuring the "eye view share (Y)"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And
(3) In the sam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the gaze obtained from the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X)” derived from step (1) above and the “Gaze shar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e (Y)” derived from step (2) abov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whose increase/decrease rate has a (+) value as an evaluation index of makeup collapse
It includes, and the gaze increase or decrease rate in step (3)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Equation 1]
Gaze increase/decrease rate (%) = [Gaze share Y(%)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Gaze share X(%) right after makeup]
How to calculate the evaluation index of makeup break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의 관심 영역은
- 미간;
- 눈밑주름(좌우합산);
- 눈옆주름(좌우합산);
- 코;
- 코옆(좌우합산);
- 뺨(좌우합산);
- 팔자주름(좌우합산);
- 입+인중;
- 턱+주변부;
- 이마; 및
- 이마와 머리카락 경계부
의 총 11개 영역으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Brow;
-Undereye wrinkles (left and right summation);
-Wrinkles on the sides of the eyes (summed left and right)
-Nose;
-Side of the nose (left and right summation);
-Cheek (left and right sum);
-Nasolabial folds (total left and right);
-Mouth + seal weight;
-Chin + periphery;
- forehead; And
-Forehead and hair boundary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a total of 11 are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점유율의 측정은,
(a) 모니터 상단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시험대상자의 얼굴의 이미지를 좌우 반전시켜 거울상 이미지로 모니터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출력된 화면 속 거울상 이미지의 위치에 맞추어 거울을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한 다음, 상기 거울상 이미지를 기준으로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시험대상자의 시선좌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시험대상자가 거울을 통해 본인의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시험대상자의 안구 움직임을 상기 모니터와 연동된 시선 추적 장치로 추적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 별로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asurement of the eye gaze share
(a) reversing the image of the subject's fac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t the top of the monitor, and outputting a mirror image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in real time;
(b) arranging the mirr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irror image in the output screen, and then generating the eye coordinates of the subject using a gaze tracking device based on the mirror image; And
(c) Analyzing the subject's gaze share for each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by tracking the subject's eye movements with a gaze tracking device linked to the monitor while the subject is observing his or her face through a mirror
Contai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2) 단계는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0), 및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1)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3) 단계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서 계산되는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 얼굴의 관심 영역을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수학식 2]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예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Y1 -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 X)(%)]
(Y0은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이고, Y1은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to calculate an index for evaluating the appearance of makeup,
Here, the step (2) is to measure the gaze share (Y 0 )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the gaze share (Y 1 )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Including that,
The step (3) includes calculating a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having a value of (+) in the eye gaze increase/decreas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Equation 2]
Gaze increase/decrease rate (%) when evaluating makeup's beautiful collapse = [Gaze increase/decrease rate (Y 1 -X)(%) when evaluating beautiful collaps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us]-[General gaze increase/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us (Y 0 -X) )(%)]
(Y 0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Y 1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beautiful fall of make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지표를 산출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2) 단계는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0), 및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2)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3) 단계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라서 계산되는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갖는 얼굴의 관심 영역을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지표로서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수학식 3]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Y2 -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 X)(%)]
(Y0은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이고, Y2는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is to calculate an index for evaluating messy makeup,
Here, in step (2), the gaze share (Y 0 )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the gaze share (Y 2 ) of the subject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are measured. Including that,
The step (3) includes calculating a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having a value of (+) in the eye gaze increase/decreas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Equation 3]
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of makeup (%) = [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2 -X)(%)]-[General gaze increase/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0) -X)(%)]
(Y 0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Y 2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 지표는 이마, 미간 또는 상기 둘 모두인 것인,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dex for evaluating the beauty of the makeup is a forehead, a brow, or bo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지표는 콧볼, 팔자주름 또는 상기 둘 모두인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dex for evaluating messy collapse of the makeup is a nose cheek, a nasolabial fold, or both. (1) 시험대상자가 메이크업 직후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된 거울을 통해 본인의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상기 모니터와 연동되는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 별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X)”을 측정하는 단계;
(2)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시험대상자가 상기 (1) 단계의 모니터의 화면 상면에 배치된 거울을 통해 본인 얼굴을 관찰하는 동안 상기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얼굴의 관심 영역 별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메이크업 무너짐의 평가 지표로 산출된 얼굴의 관심 영역에서,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시선증감률이 (+) 값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무너짐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
[수학식 1]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시선점유율Y(%)] - [메이크업 직후 시선점유율 X(%)]
(1) “Gaze share immediately after makeup (X)” for each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by using a gaze tracking device linked to the monitor while the test subject observes his/her face through a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immediately after makeup Measuring a;
(2)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the area of interest of the face using the eye-tracking device while the subject is observing his or her face through a mirr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in step (1). Measuring the star “eye-eye share (Y)”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e; And
(3) In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calculated as an evaluation index of makeup collapse according to any one of paragraphs 1 to 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aze increase or decrease rate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represents a (+) value. Steps to
Containing, a method for evaluating the makeup collapse state.
[Equation 1]
Gaze increase/decrease rate (%) = [Gaze share Y(%)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Gaze share X(%) right after makeu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0), 및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1)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서 계산되는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가져서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 지표로서 산출된 얼굴의 관심 영역에서,
[수학식 2]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예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Y1 -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 X)(%)]
(Y0은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이고, Y1은 메이크업의 예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임)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시선증감률이 (+)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메이크업이 예쁘게 무너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step (3), the eye-gaze share (Y 0 )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eye-tracking task, and the eye-gaze share (Y) of the test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eye-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In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calculated as an index for evaluating beautiful collapse of makeup by measuring 1 ) and having a gaze increase/decrease rat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Equation 2]
Gaze increase/decrease rate (%) when evaluating makeup's beautiful collapse = [Gaze increase/decrease rate (Y 1 -X)(%) when evaluating beautiful collaps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us]-[General gaze increase/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the makeup status (Y 0 -X) )(%)]
(Y 0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Y 1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beautiful fall of makeup)
A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that the makeup is beautifully broken when the eye gaze increase/decrease rate according to Equation 1 represents a (+) valu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0), 및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Y2)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3에 따라서 계산되는 시선증감률이 (+) 값을 가져서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지표로서 산출된 얼굴의 관심 영역에서,
[수학식 3]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지저분하게 무너짐 평가 시 시선증감률(Y2 - X)(%)] - [메이크업 상태 유지 후 일반적인 시선증감률(Y0 - X)(%)]
(Y0은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지 않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이고, Y2는 메이크업의 지저분하게 무너짐을 평가하도록 시선 추적 과제를 부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시선점유율임)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시선증감률이 (+)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메이크업이 지저분하게 무너진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in step (3),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Y 0 ), and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 Y 2 ) is measured, and the gaze increase/decreas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has a (+) value so that in the region of interest of the face calculated as an evaluation index for messy collapse of makeup,
[Equation 3]
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of makeup (%) = [Gaze increase/decrease rate when evaluating messy collaps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2 -X)(%)]-[General gaze increase/decrease rate after maintaining makeup status (Y 0) -X)(%)]
(Y 0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not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and Y 2 is the gaze share of the subject who has been assigned the gaze tracking task to evaluate the messy collapse of makeup)
A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that the makeup is messyly collapsed when the gaze increase/decrease rate according to Equation 1 represents a (+) value.
KR1020190061352A 2019-05-24 2019-05-24 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KR202001350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52A KR20200135010A (en) 2019-05-24 2019-05-24 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52A KR20200135010A (en) 2019-05-24 2019-05-24 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10A true KR20200135010A (en) 2020-12-02

Family

ID=7379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352A KR20200135010A (en) 2019-05-24 2019-05-24 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50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6494A (en) * 2024-03-13 2024-04-12 东莞莱姆森科技建材有限公司 Target area observ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irror angle dynamic adjus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7863A1 (en) 2006-04-07 2010-02-25 B.R.A.I.N. Ag Group of novel enantiosleective microbial nitrile hydratases with broad substrate specificity
JP2016182235A (en) 2015-03-26 2016-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kin diagnosis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7863A1 (en) 2006-04-07 2010-02-25 B.R.A.I.N. Ag Group of novel enantiosleective microbial nitrile hydratases with broad substrate specificity
JP2016182235A (en) 2015-03-26 2016-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kin diagnosis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6494A (en) * 2024-03-13 2024-04-12 东莞莱姆森科技建材有限公司 Target area observ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irror angle dynamic adjustment
CN117876494B (en) * 2024-03-13 2024-05-10 东莞莱姆森科技建材有限公司 Target area observ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irror angle dynamic adjus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ter et al. Best practices in eye tracking research
RU2754195C2 (en) System for measuring set of clinical parameters of visual function
JP6535899B2 (en) Evaluation method of eyeglass lens and calculation method of appearance characteristic of subject when viewing object through lens
Holle et al. Functional and structural brain differences associated with mirror-touch synaesthesia
Kwart et al. Age and beauty are in the eye of the beholder
Ding et al. Using event related potentials to identify a user's behavioural intention aroused by product form design
CN106255473A (en) Augmented reality dentistry method for designing and system
JP7153112B2 (en)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device and evaluation program
Flament et al. Evaluating the respective weights of some facial signs on perceived ages in differently aged women of five ethnic origins
Belov et al. Electrooculogram detection of eye movements on gaze displacement
Dureux et al. Close facial emotions enhanc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facilitate perceptual discrimination
Benson et al. A computer-graphic technique for the study of body size perception and body types
Okada et al. Advertisement effectiveness estimation based on crowdsourced multimodal affective responses
KR20200135010A (en) Method for evaluating a state of makeup
Liu et al. Viewing garden scenes: Interaction between gaze behavior and physiological responses
Lyapunov et al. Tremor eye movements as an objective marker of driver’s fatigue
Mao et al. Different eye movement behaviors related to artificial visual field defects–A pilot study of video-based perimetry
WO2015097183A2 (en) A test method and assay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linical product performance
Chen et al. Virtual reality improves clinical assessment of the optic nerve
JP7288272B2 (en)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device
Chynał et al. Application of thermal imaging camera in eye tracking evaluation
CN115699113A (en) Intelligent system for skin testing, custom formulation and cosmetic production
Higuera-Trujillo et al. Emotional cartography in design: A novel technique to represent emotional states altered by spaces
Yamada et al. Virtual facial image synthesis with facial color enhancement and expression under emotional change ofanger
ARSLAN et al.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ized Eye Tracking Metrics in VR Using Data Driven Iterative-Adaptive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