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90A -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890A
KR20200134890A KR1020190061057A KR20190061057A KR20200134890A KR 20200134890 A KR20200134890 A KR 20200134890A KR 1020190061057 A KR1020190061057 A KR 1020190061057A KR 20190061057 A KR20190061057 A KR 20190061057A KR 20200134890 A KR20200134890 A KR 20200134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ce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ra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성
홍성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6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890A/ko
Publication of KR2020013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04W72/085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이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서,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확인하는 단계;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여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한 RAN 자원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Radio Access Network slice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이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서,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4G/LTE 시스템에서는 각 엔티티 별로 전용 장비가 구축되어서 코어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코어 및 액세스 네트워크는, 정적인 형태로 구축되어, 네트워크 자원 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네트워크 구성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5G)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설계가 논의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단말에 대해서 단대단(End-to-End) 네트워크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기술을 통해서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코어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이 논리적으로 분리된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현재의 슬라이스 기술을 주로,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것으로서, 이동단말이 접속하는 무선 액세스망(RAN, Radio Access Network)에 대한 슬라이스에 대한 구성, 생성, 관리 방법이 미흡하다.
본 발명은 5G 기반의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 환경에서, RAN 슬라이스를 구성하고 관리하여 가입자에게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구성한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더라도, 슬라이스를 재구성하여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확인하는 단계;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여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한 RAN 자원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RAN 자원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타 기지국에서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타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타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고, 상기 타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판결 결과, 상기 RAN 자원 중에서 일부만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기지국의 자원과 상기 타 기지국의 자원이 포함되도록 상기 RAN 자원을 수정하여, 상기 현재 접속중인 기지국과 상기 타 기지국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의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의 전송비율, 슬롯(Slot) 심볼 포맷, 실롯 심볼 개수,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중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할 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운용 모드가 TDD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링크 통신 정보를 토대로,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의 전송 비율이 변경되도록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의 APN, DCN-ID, QCI 또는 TEID를 확인하고, 상기 APN, DCN-ID, QCI 또는 TEID과 대응되는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리 테이블에는 슬라이스 식별정보과 RAN 자원이 매핑되어 저장되고, APN, DNC-ID, QCI 또는 TEID가 상기 슬라이스 식별정보와 추가적으로 매핑되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슬라이스 관리 장치는, 슬라이스 식별정보와 RAN 자원 정보가 매핑된 관리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고,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여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품질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한 RAN 자원을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G/LTE 이동통신망과 5G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통신 환경에서도 이동단말로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RAN 슬라이스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지속으로 확인하여, RAN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이동단말의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함으로써, RAN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RAN 슬라이스의 품질 저하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대역폭 감소 또는 패킷 지연을 발생한 경우,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하거나 RAN 슬라이스에 포함된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에 대한 품질 열화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LTE 이동통신 시스템과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용되어 있는 NSA(Non-Standalone)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RAN을 슬라이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이동단말의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이동단말의 RAN 슬라이스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G/LTE 이동통신 시스템과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용되어 있는 NSA(Non-Standalone)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AN(Radio Access Network)은 LTE eNB(Long Term Evolution evolved NodeB)(310) 및 복수의 gNB(next Generation NodeB)(320, 330)를 포함한다.
상기 LTE eNB(310)는 4G/LTE 를 지원하는 레거시 네트워크 장치로서, LTE RU(Radio Unit)(311) 및 LTE DU(Digital Unit)(312)를 포함한다. LTE RU(311)와 LTE DU(312)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LTE eNB(3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LTE RU(311)는 LTE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으로서, 이동단말(100)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LTE DU(312)는 LTE 기반의 RAN에 분산되어 있는 유닛으로서, 다수의 LTE RU(3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LTE DU(312)는 5G 시스템의 CU(323)와 연동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LTE DU(312)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의하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CU(323)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gNB(320)는 5G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장치로서, RU(Radio Unit), DU(Distributed Unit)(322) 및 CU(323)를 포함한다. 상기 RU(321), DU(322), CU(323) 각각은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제1 gNB(320)에 포함될 수 있다.
RU(321)는 Sub-6GHz 주파수인 3.5GHz 대역으로 동작할 수 있는 5G 기지국으로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에 의해서 슬라이싱된 RAN 자원을 이동단말(100)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U(321)는 자신의 대역폭을 10개로 슬라이싱한 후, 이 10개로 슬라이싱된 대역폭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동단말(100)의 무선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DU(322)는 5G RAN에 분산되어 있는 유닛으로서, 다수의 RU(3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DU(322)는 제조사 자체 혹은 O-RAN 등에서 정의되는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RU(321)와 통신하고, 더불어 3GPP에서 정의한 F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CU(323)와 통신한다.
CU(323)는 복수의 DU(322), AU(331)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는 유닛으로서, 각각의 DU(322)의 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LTE DU(312)와도 연동 가능하다. 또한, CU(323)는 코어망에 포함되는 MME(410), AMF/SMF(430) 각각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CU(323)는 3GPP에서 정의한 S1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MME(410)와 통신할 수 있고, 또한 3GPP에서 정의한 N2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AMF/SMF(43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gNB(330)는 5G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장치로서, AU(331)를 포함하고, CU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gNB(330)는 특정 그룹의 가입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축될 수 있으며, 제1 gNB(320)와 비교하여 고속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U(331), DU 각각은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상기 제2 gNB(330)에 포함될 수 있다.
AU(Access Unit)(331)은 28 GHz 대역과 같은 밀리미터파(mmWave) 광대역 주파수 사용할 수 있는 기지국으로서, 초고속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 AU(331)는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입자(예컨대, 기업 전용 가입자)를 위한 기지국일 수 있다. 단, AU(331)는 장비 설계 및 구성에 따라 DU와 RU로 분리도 가능하며, AU의 RLC, MAC, PHY의 전체 혹은 일부 기능은 DU에 포함될 수 있고, PHY의 일부 및 RF 기능은 RU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4G/LTE 기지국은 LTE RU(311)로 표현되고, 5G 기지국은 RU(321)로 표현된다.
코어망은 4G/LTE 기반의 코어망과 5G 기반의 코어망이 혼용되어 있으며,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410), 게이트웨이(420) 및 AMF/SMF(430)를 포함한다.
MME(410)는 4G/LTE 기반의 코어망에 속하는 장치로서, 가입자 인증, 데이터 시그널링, 호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웨이(420)는 4G/LTE 기반의 코어망에 속하는 장치로서, PDN(Public Data Network)(500)과의 연동을 수행한다.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430)는 5G 기반의 SA 코어망에 속하는 장치로서, 이동단말(100)의 접근과 이동성을 담당하고 세션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코어망은 게이트웨이에 추가하거나 게이트웨이를 대체하여 사용자의 평면을 담당하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NSA((Non-Standalone) 네트워크 또는 SA(Standalone) 네트워크에서의 슬라이스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저장부(210), 품질 모니터링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30)와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상기 메모리에 탑재(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10)는 메모리, 디스크 장치와 같은 저장수단으로서,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10)는 기지국별 가용 상태를 저장한다. 상기 기지국별 가용 상태에는 기지국의 식별정보, 기지국의 설치 위치,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현재 이용중인 자원 및 사용 가능한 자원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저장부(210)는 슬라이스 식별정보(이하, '슬라이스 ID'로 지칭함)와 필요한 RAN(Radio Access Network) 자원 정보가 매핑되어 기록되는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RAN 자원으로서, 기지국 유형,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 대역, 국사 정보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자원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유형이 슬라이스 ID와 매핑되어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스 ID '1'에는 대용량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할 수 서비스 유형 및 대용량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슬라이스 ID '2'에는 HD 또는 VAR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유형 및 비디오 스트리밍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매핑되어 상기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NSA 네트워크에서는 표준에서 정의한 NSSAI(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의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QCI(QoS Class Identifier), APN(Access Point Name), DCN ID(Dedicated Core Network Identifier), TEID(Termination Endpoint Identifier) 중에서 하나 이상이 슬라이스 ID와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NSSAI(혹은 S-NSSAI) 정보 사용이 NSA 네트워크에서도 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슬라이스 ID와 QCI가 매핑되어 저장된 경우, 해당 QCI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상기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해당 데이터(즉, 슬라이스 ID와 QCI)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B(Packet Delay Budget)가 60ms을 초과하면서 PER(Packet Error Rate)이 10-6 이하를 만족하는 QCI 4, 6, 8, 9 및 70가 슬라이스 ID '1'과 매핑되어 상기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PDB가 60ms 이하이면서 PER이 10-4 이하를 만족하는 QCI 69, 80, 82, 83, 84 및 85가 슬라이스 ID '2'와 매핑하여 상기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APN과 슬라이스 ID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APN이 기록되는 경우, 각각의 APN은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전에 구분되고, 이동단말(100)에서는 필요한 서비스 유형에 해당하는 APN을 이용하여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할 수 서비스를 나타내는 'APN1' 및 대용량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슬라이스 ID '1'과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HD 또는 VAR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APN2' 및 비디오 스트리밍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슬라이스 ID '2'와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DCN-ID와 슬라이스 ID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DND-ID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전에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 전용의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DCN-ID1'과 기업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슬라이스 ID '1'과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일반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DCN-ID2'와 일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슬라이스 ID '2'와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TEID와 슬라이스 ID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TEID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전에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화질의 CCTV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데 이용되는 'TEID1' 및 고화질의 CCTV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슬라이스 ID '1'과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일반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TEID2' 및 일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RAN 자원 정보가 슬라이스 ID '2'와 매핑되어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슬라이스를 구성하고, 또한 기 구성된 RAN 슬라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이 통신망에 접속하면,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와 대응되는 슬라이스 ID를 저장부(210)의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고, 이 슬라이스 ID와 대응되는 RAN 자원을 상기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한다. 게다가, 제어부(230)는 기지국별 가용 상태를 토대로, 이동단말(100)의 주변에서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311, 321, 331)을 식별하고, 상기 확인한 RAN 자원이 포함된 슬라이스 정보를 식별한 기지국(311, 321, 331)의 노드(310, 320, 330)으로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311, 321, 331)에서 이동단말(100)을 위한 RAN 자원이 할당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하거나, 현재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중인 기지국의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RAN 서비스를 제어한다.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품질 보고서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때,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품질 보고서를 분석하여, 대역폭의 저하, 서비스 지연도의 증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CU(332) 또는 DU(322)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고,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RAN을 슬라이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AU(331)를 포함하는 제2 gNB(330)를 통해서 RAN 슬라이싱이 수행된 것으로 설명되고, 이동단말(100)이 NSA 네트워크과 호환되는 단말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100)은 초기 구동되면, 4G 통신망인 LTE eNB(310)에 접속한다(S301).
그러면, LTE eNB(310)는 이동단말(100)이 요구하는 서비스 유형, 이동단말(100)의 QCI, APN, TEID, DCN-ID 중에서 하나 이상을 확인한다. 그리고 LTE eNB(310)는 이동단말(100)의 접속을 알리며, 더불어 상기 확인한 서비스 유형, 이동단말(100)의 QCI, APN, TEID, DCN-ID 중에서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접속 알림 메시지를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303). 또 다른 실시예로서, LTE eNB(310)는 이동단말(310)로부터 슬라이스 ID를 획득하여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어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이 5G 통신 서비스에 접속 가능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05). 이때,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이 이동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이동단말(100)의 5G 지원 여부를 조회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상기 이동단말(100)이 5G 지원 가능한 단말이면,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에 매칭되는 슬라이스 ID를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서 식별한다(S307). 이때, 제어부(230)는 상기 접속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유형, QCI, APN, TEID 또는 DCN-ID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하고, 이 확인한 서비스 유형, QCI, APN, TEID 또는 DCN-ID과 매핑되는 슬라이스 ID를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접속 알림 메시지에 슬라이스 ID가 기록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230)는 접속 알림 메시지에서 바로 슬라이스 ID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230)는 상기 식별한 슬라이스 ID와 매칭되는 RAN 자원 정보를 상기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한다(S309).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의 위치를 주변에서 상기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을 이동단말(100)을 접속시킬 기지국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3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기지국별 가용 상태와 이동단말(100)의 위치를 토대로, 상기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주변 기지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3에서는 AU(331)가 RAN 자원을 지원하는 기지국인 것으로 설명된다. 이동단말(100)의 가입자가 기업 전용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인 경우, 이동단말(100)이 접속되는 기지국으로 AU(331)가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선정한 AU(331)애 필요 자원이 할당되도록 슬라이스 정보를 생성하고, 이 슬라이스 정보를 상기 AU(331)를 포함하는 제2 gNB(330)로 전송한다(S311). 상기 슬라이스 정보에는 이동단말(100)의 식별정보 및 이동단말(100)로 할당되어야 하는 RAN 자원(즉, S309 단계에서 확인한 RAN 자원)이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로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폭을 상기 슬라이스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할당한 주파수 대역폭 중에서, 다운링크 대역폭과 업링크 대역폭을 설정하고, 이렇게 다운링크 대역폭과 업링크 대역폭을 상기 슬라이스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2 gNB(330)는 상기 슬라이스 정보에 포함된 RAN 자원을 토대로, 가용 가능한 자신의 무선자원 중에서 상기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RAN 슬라이싱을 진행한다(S313). 이때, 제2 gNB(330)에 포함된 AU(331)는 이동단말(100)의 상기 RAN 자원에서 주파수 대역폭을 확인하고, 가용 대역폭에서 상기 확인한 주파수 대역폭만큼을 이동단말(100)의 대역폭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AU(331)는 상기 슬라이스 정보에서 업링크 대역폭 및 다운링크 대역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가용 대역폭 중에서, 상기 업링크 대역폭 및 다운링크 대역폭만큼을 이동단말(100)을 위한 대역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제2 gNB(330)는 정상적으로 RAN 슬라이싱을 종료하면, 슬라이싱 응답 메시지를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고(S315),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상기 RAN 슬라이싱을 수행한 기지국인 AU(331)의 가용 상태를 변경하여, 기지국별 가용 상태를 갱신한다. 한편,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필요시 기지국에 제공된 RAN 슬라이스 정보를 삭제하거나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gNB(330)는 이동단말(100)의 접속을 유도하여, 이동단말(100)과 무선 접속하고, 상기 할당한 무선자원(즉,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단말(1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이동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317).
도 3과 같이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면, 이동단말(100)은 LTE eNB(310)와 무선접속된 상태이고, 동시에 제2 gNB(330)와도 무선접속된 상태가 된다. 상기 이동단말(100)은 제어 메시지(즉, 시그널링 메시지)를 LTE eNB(310)로 전송하거나 LTE eNB(310)로부터 수신하고, 일반적인 데이터(예를 들어, 스트리밍 데이터, 드론 데이터 등)는 LTE eNB(310)가 아니라 제2 gNB(330)를 통해서 송수신한다.
이렇게 이동단말(100)은 제2 gNB(33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 상태에서, 제2 gNB(330)의 서비스 영역에서 멀어지거나 제2 gNB(330)에서 과부하가 발생하여,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받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하여,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이동단말(100)의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하거나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중인 기지국의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이동단말의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감지할 수 있다(S401). 이때,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품질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이 품질 보고서를 분석하여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저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100)은 현재 PER(Packet Error Rate), PDB(Packet Delay Budget), 다운링크 대역폭, 업링크 대역폭 등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한 PER, PDB, 다운링크 대역폭, 업링크 대역폭 등이 포함된 품질 보고서를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한 품질 보고서를 분석하여,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에 대한 품질 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에 필요한 서비스 품질(예컨대, 지연도, 대역폭 등)과 상기 품질 보고서를 통해 확인한 서비스 품질을 비교하여, 이동단말(100)의 슬라이스에 품질 저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품질 모니터링부(220)에서 이동단말(100)의 슬라이스 서비스에 품질 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403). 이때,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으며, 또는 이동단말(100)과 통신한 기지국의 무선신호를 토대로 이동단말(100)의 위치 또는 이동단말(100)의 서비스 영역(즉, 셀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위치한 주변 기지국 중에서,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311, 321, 331)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5). 상기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기지국별 가용 상태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주변 기지국(311, 321, 331)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4에서는 RU(321)가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AU(331) 등과 같이 또 다른 기지국이 상기 필요한 자원을 지원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100)의 슬라이스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하여,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을 수행한다(S407). 즉,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제1 gNB(320)에 포함된 RU(321)가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음에 따라, S309 단계에서 슬라이스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한 RAN 자원이 상기 제1 gNB(320)에서 지원하도록,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한다.
다음으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재구성한 슬라이스 정보를 해당 제1 gNB(320)로 전송하여, RU(321)에서 이동단말(100)을 위한 RAN 슬라이싱이 이루어지게 제어한다(S409). 이때,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제1 gNB(320)에 상기 RAN 자원이 할당되도록 슬라이스 정보를 생성하고, 이 슬라이스 정보를 상기 제1 gNB(320)로 전송한다. 상기 슬라이스 정보에는 이동단말(100)의 식별정보 및 이동단말(100)로 할당되어야 하는 RAN 자원(즉, S309 단계에서 확인한 RAN 자원)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제1 gNB(320)는 수신한 RAN 슬라이스 정보에 포함된 RAN 자원을 토대로,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여 RAN 슬라이싱을 수행하고(S411), 자원 할당이 완료되면 슬라이스 완료 응답 메시지를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413).
그러면,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RAN 슬라이싱을 수행한 기지국인 RU(321)의 가용 상태를 변경하여, 기지국별 가용 상태를 갱신한다. 이때,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AU(331)에 자원이 회수됨에 따라, AU(331)의 가용 상태도 변경한다. 다음으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상기 RU(321)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재접속 지시 메시지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S415). 이때,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4G/LTE 기반의 액세스망인 LTE eNB(310)를 이용하여 상기 재접속 지시 메시지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단말(100)은 제2 gNB(330)에서 제1 gNB(320)로 RU(321)로 무선 접속한다(S417). 그리고 제1 gNB(320)는 이동단말(100)를 위한 할당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이동단말(100)과 무선 링크를 형성하고, 이 무선 링크를 통해서 이동단말(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감지하였으나 이동단말(100)의 주변 기지국에서 가용 가능한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주변 기지국의 가용 자원을 일부 이용되도록, RAN 슬라이스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주변 기지국인 RU(321)에서 가용할 수 있는 일부 자원이 포함된 RAN 슬라이스를 구성하고, 이 RAN 슬라이스 정보를 제1 gNB(3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로 제1 gNB(320)로의 추가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단말(100)의 제2 gNB(330) 뿐만 아니라 제1 gNB(320)로도 접속되게 제어한다. 이 경우, 이동단말(100)은 데이터를 제1 gNB(320)와 제2 gNB(330) 모두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산시켜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이동단말의 RAN 슬라이스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이동단말(100)의 슬라이스 서비스에 필요한 주변 기지국이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 이미 구축된 슬라이스 정보의 운용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품질 모니터링부(220)는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감지한다(S501).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품질 모니터링부(220)에서 이동단말(100)의 슬라이스 서비스에 품질 저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503). 다음으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위치한 주변 기지국 중에서,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311, 321, 331)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05). 도 5에서는 이동단말(100)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주변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설명된다.
다음으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었으나, 주변에 이동단말(100)의 필요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이동단말(100)의 RAN 슬라이스의 운용 파라미터(즉, AU의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507).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제2 gNB(330)가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로 운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TDD 모드로 운용되고 있는 경우, 다운링크 대역폭과 업링크 대역폭의 전송 비율을 조정되도록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품질 보고서를 분석하여, 이동단말(100)에서 업링크 통신과 다운링크 통신 중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통신 유형을 확인하고, 이 통신 유형을 토대로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의 전송 비율이 변경되도록 전송 비율 파라미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에서 다운링크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전송 비율에서 다운링크 통신의 전송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전송 비율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이동단말(100)에서 업링크 통신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전송 비율에서 업링크 통신의 전송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제2 gNB(330)가 FDD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 TDD로 운영 모드를 변경한 후에, 업링크 전송 비율과 다운링크 전송 비율이 조정되도록 운영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동단말(100)의 품질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동단말(100)에서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지연도를 낮추기 위하여, 슬롯(Slot) 포맷, 슬롯 심볼 개수, MCS 레벨,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중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서비스 지연이 발생하면, 슬롯 심볼 개수가 작아지도록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또는 슬롯 포맷 변경을 통해 DL 및 UL 전송 비율을 변경할 수 있으며, 또는 상위 레벨의 MCS로 변경되도록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또는 서브 캐리어 간격이 증가되도록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서비스 지연도가 증가하면, 동일 패킷을 사전에 설정된 횟수를 재전송되도록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스 관리 장치(200)는 운영 파라미터가 변경된 슬라이스 정보를 제2 gNB(330)로 전송한다(S509).
러면, 제2 gNB(330)는 슬라이스 정보에서 변경된 운용 파라미터를 확인하고, 다운링크 대역폭, 업링크 대역폭, 슬롯(Slot) 포맷, 슬롯 심볼 개수, MCS 레벨,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중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변경한 후, 이동단말(100)과 통신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S513).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이동단말 200 : 슬라이스 관리 장치
210 : 저장부 220 : 품질 모니터링부
230 : 제어부 310 : LTE eNB
311 : LTE RU 312 : LTE DU
320 : 제1 gNB 321 : RU
323 : DU 330 : 제2 gNB
331 : AU 410 : MME
420 : GW 430 : AMF/SMF
500 : PDN

Claims (14)

  1.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서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확인하는 단계;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여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한 RAN 자원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AN 자원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타 기지국에서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타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타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고, 상기 타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결 결과, 상기 RAN 자원 중에서 일부만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이동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기지국의 자원과 상기 타 기지국의 자원이 포함되도록 상기 RAN 자원을 수정하여, 상기 현재 접속중인 기지국과 상기 타 기지국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의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의 전송비율, 슬롯(Slot) 심볼 포맷, 실롯 심볼 개수,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중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운용 모드가 TDD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링크 통신 정보를 토대로,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의 전송 비율이 변경되도록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의 APN, DCN-ID, QCI 또는 TEID를 확인하고, 상기 APN, DCN-ID, QCI 또는 TEID과 대응되는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테이블에는 슬라이스 식별정보과 RAN 자원이 매핑되어 저장되고, APN, DNC-ID, QCI 또는 TEID가 상기 슬라이스 식별정보와 추가적으로 매핑되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4세대 기지국으로 접속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APN, DCN-ID, QCI 또는 TEID를 확인하고,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가용할 수 있는 5G 기지국을 확인하고, 이 5G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10. RAN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슬라이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스 식별정보와 RAN 자원 정보가 매핑된 관리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이동단말의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의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고,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여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단말로 제공중인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품질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한 RAN 자원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스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면, 상기 이동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타 기지국에서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타 기지국의 자원을 슬라이싱하여 상기 타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상기 이동단말로 할당하고, 상기 타 기지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스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별 결과, 상기 필요한 RAN 자원을 지원 가능한 타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의 운용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스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의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의 전송비율, 슬롯(Slot) 심볼 포맷, 실롯 심볼 개수,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중에서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스 관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의 APN, DCN-ID, QCI 또는 TEID를 확인하고, 상기 APN, DCN-ID, QCI 또는 TEID과 대응되는 슬라이스 식별정보를 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스 관리 장치.
KR1020190061057A 2019-05-24 2019-05-24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34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57A KR20200134890A (ko) 2019-05-24 2019-05-24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57A KR20200134890A (ko) 2019-05-24 2019-05-24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90A true KR20200134890A (ko) 2020-12-02

Family

ID=7379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57A KR20200134890A (ko) 2019-05-24 2019-05-24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8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331B2 (en) Apparatus configured to report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for dual connectivity
US11445434B2 (e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side device for accessing network side device
US1109619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ata scheduling
EP3197233B1 (en) Wireless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first base station and system
EP29454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management
EP25630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set
CN102202362B (zh) 一种增量信令配置方法和装置
EP404087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service registration event via e2 interfa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62695A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동적 스펙트럼 공유
EP3373607A1 (en) Base station, processor, wireless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20220071216A (ko) 다중 QoS 프로파일 세션을 위한 서비스 품질 프로파일 변경
US20170164258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servic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3017109A1 (zh) 选择载波的方法、装置及基站
KR20170054287A (ko) 무선 자원 구성 방법 및 장치
US10237878B2 (en) Method for allocat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EP3264842A1 (en) Carrier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20200134890A (ko)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65372B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200134889A (ko) Ran 슬라이스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03811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リソース制御方法、並びに、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