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77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4777A KR20200134777A KR1020190060752A KR20190060752A KR20200134777A KR 20200134777 A KR20200134777 A KR 20200134777A KR 1020190060752 A KR1020190060752 A KR 1020190060752A KR 20190060752 A KR20190060752 A KR 20190060752A KR 20200134777 A KR20200134777 A KR 202001347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wer
- lever
- door
- lifting devic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refrigerators are home appliances that allow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store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by cooling the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Recent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dietary life and the trend of high-end products, and refrigerators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that enable users' convenience and efficient use of internal space are being released. .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In addition, it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ructur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식 도어로 분류될 수 있다.Refrigerator doors can be classified into a rotating door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and a drawer door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식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wer door is often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rawer door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of the refrigerator, the waist must be bowed to take out the basket or food accommodated in the drawer door, and the basket or If the weight of the food is heavy, you may feel inconvenient to use the basket or cause injur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structures in which a drawer-type door can be elevated have been developed.
대표적으로, 미국등록특허 US9,377,238호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빈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Representatively, U.S. Patent No. 9,377,238 discloses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 bin provided 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빈의 외측에 배치되고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조로 인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such a prior art,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fting mechanism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bin and is exposed, and this may cause serious safety problem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poor appearanc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lifting mechanism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동부 동작시의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un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noise dur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s it is, which may result in user complaints.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고내측에 배치됨으로써 고내 저장용량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 용량 손실로 저장 효율을 매우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fting mechanism is disposed inside the warehouse, the storage capacity in the warehouse may be remarkably reduced,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 storage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loss of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as a whole.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고내측에 모두 제공되어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도어의 분리 및 리프팅 메커니즘의 분리가 필요하여 서비스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fting mechanism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door and the lifting mechanism in order to service the lifting mechanism, so there is a problem of poor serviceability.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동부는 시져 서포트 어셈블리의 일단을 밀어서 상기 빈을 승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크기가 큰 빈 구조 또는 빈의 내부에 무게가 무거운 물건이 배치된 경우에는 승강을 위한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동부의 모터 크기를 늘릴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고내 용적 손실과 소음이 더욱 커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of the lifting mechanism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bin to be lifted by pushing one end of the caesar support assembly, and thus, when a large bin structure or a heavy object is placed inside the bi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provide enough power for. Of cour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ize of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may be increased, but in this case, there are problems such as high volume loss and noise, and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은 구동부의 배치 위치로 인해 빈의 전체 바닥면 중 일측을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빈에 저장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편하중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작용되는 편하중으로 인해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승강 동작 또한 원활하게 이루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mechanism supports one side of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bin due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part, and therefore, an offset load is inevitably generated when the bin is filled with storage. In addition, a serious problem may occur in stability due to an offset load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pulled ou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ting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부의 내부에 승강을 위한 전기적 장치가 제공되고, 서랍부에 승강을 위한 기계적 장치가 각각 제공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n electrical device for lifting is provided inside a door part, and a mechanical device for lifting is provided in a drawer part,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승강 동작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noise during an elevating operation of a drawer do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facilitates an elevating operation of a drawer do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사용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guarantee user safet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사용시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사이에 이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prevents foreign objects from getting caught between a driving device and an elevator device when a drawer is use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계없이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을 위한 서랍 개구를 차폐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shielding a drawer opening for connecting a driving device and an elevator device regardless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개구를 차폐하는 홀 커버의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ㅎ ks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improving assembly properties and productivity by simplify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ole cover that shields the drawer open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캐비닛을 연결하며, 상기 도어의 인출입을 위한 레일;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서랍부의 일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서랍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개구와 대응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시 상기 서랍 개구를 차폐하는 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 door including a door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drawer unit for providing a storage space; A rail connecting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for withdrawing the door; A driving device provided on the door to provide power; An eleva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drawer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to move a portion of the drawer up and down; A drawer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drawer and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device to form a connection passage between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and provid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drawer opening, and the driving device It may include a hole cover for shielding the opening of the drawer when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서랍의 전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hole cov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상기 홀 커버는 상기 서랍 개구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le cover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wer opening.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되며,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스크류 홀더를 포함하는 스크류 유닛; 상기 스크류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승강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에 장착될 수 있다.The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motor assembly; A screw unit including a screw tha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tor assembly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assembly to operate at the same time, and includes a screw that rotates and a screw holder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crew; A lever that is coupled to the screw holder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rew holder, a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to provide power for lifting the lifting device, and the hole cover may be mounted on the lever.
상기 레버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서랍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승강장치와 결합되는 레버측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lever has a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drawer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ever, and coupled to the lifting device, and the hole cover is mounted on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and rotation of the lever Can be rotated with the poem.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랍 개구부더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hole cover may extend out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and may extend further outwardly than the drawer opening.
상기 홀 커버에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가 관통 삽입되는 커버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A cover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hole cover.
상기 승강장치에는 상기 서랍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저스측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scissor-sid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drawer open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상기 승강장치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되어 승강하는 한쌍의 시저스 어셈블리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서랍 내부의 승강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어퍼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scissor assemblies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scissor side connecting portion being rotated around an axis to elevate and descend; It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cissor assembly, and may include an upper frame forming a bottom surface to be raised and lowered inside the drawer.
상기 레버측 연결부는 상기 승강장치의 회전 축이 되는 시저스측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may form a recessed accommodation spac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issor-sid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scissor-side connection part serving as the rotation axis of the lifting device is inserted.
상기 레버측 연결부는, 상기 레버 및 승강장치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 보스부와, 상기 회전 보스부에서 상기 레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회전을 보조하는 레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rotation boss part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lever and the lifting device, and a lever protrusion extending along the lever from the rotation boss part to assist rotation of the lifting device.
상기 서랍 개구는 상기 레버 돌출부의 회전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awer opening may be formed larger than a radius of rotation of the lever protrusion.
상기 홀 커버는, 상기 회전 보스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전 보스와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돌출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서랍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결합부보다 상기 차폐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hole cover includes a cover coup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rotation boss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on boss, and a shield portion formed along the lever protrusion, and shielding the drawer opening, and the shielding from the cover coupling portion The width of the negative can be formed larger.
상기 홀 커버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에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가 관통되는 커버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le cover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hole cover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and a cover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passes.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감싸는 커버 결합부와, 상기 회전 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서랍 개구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랍개구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e cover may include a cover coupling part surrounding the rotation axis of the lever, and a shielding part extending from the rotation boss part and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drawer opening to shield the drawer opening. .
상기 차폐부에는 상기 차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에 스크류가 체결되는 커버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A cover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screw is fastened to the lever may be formed in the shielding part.
상기 커버 삽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의 둘레면과 접하는 이너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An inner rim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insertion hole and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상기 레버측 연결부에는, 연결부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너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부 돌기가 삽입되는 테두리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의 장착시 상기 연결부 돌기가 상기 테두리 홈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a connection part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an rim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ner rim, and when the hole cover is mounted, the connection part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rim groove.
상기 연결부 돌기 및 테두리 홈은 레버측 연결부재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protrusion and the rim groove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lever-side connecting member.
상기 홀 커더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이너 테두리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우터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An outer rim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inner rim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e cover.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승강을 위한 승강장치는 서랍부 내측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가 모두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 안정성을 확보하고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a part of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drawer door to be lifted or lowered while the drawer door is pulled out. In addition, a driving device composed of an electric device for providing power is provided inside the door part, and the lifting device for lifting is provided inside the drawer part so that both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ility and improve the appearance.
특히,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iving device composed of an electric device is disposed inside the door unit to fundamentally block a user's access, and thu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can be expected.
그리고, 전체 구성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구동장치가 상기 도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랍부의 저장 용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 또는 하강된 상태에서는 컴팩트하게 접히고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고내 저장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storage capacity of the drawer part by arranging the driving device that occupies a significant part of the entire configuration in the door part. In addition, the lifting device or in a lowered state has an advantage of securing a storage capacity in the compartment by having a structure that is compactly folded and accommodated.
그리고, 이상 상황 또는 점검시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를 분리하여, 전기장치가 배치되는 도어부를 통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서비스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service is required during an abnormal situation or inspection, the door part and the drawer part are separated so that service through the door part in which the electric device is disposed is possible, so that service performa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는 양측에 스크류 유닛이 제공되며, 승강장치 양측에 각각의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하중의 식품 또는 용기도 원활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양측의 스크류 유닛는 하나의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므로, 따라서 별도의 제어 또는 구성 없이도 항상 승강장치의 치우침이나 쳐짐이 없이 수평상태로 승강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rive device is provided with screw units on both sides, and by providing power to both sides of the lift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food or containers with high loads can be smoothly lifted. In addition, since the screw units on both sides receive the driving force of one mo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lifting device is always raised and lowered 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any separate control or configuration.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을 위해 상기 서랍의 전면에는 서랍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 개구는 홀 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홀 커버는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동작 또는 정지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서랍 개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drawer opening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for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and the drawer opening is shielded by a hole cover. Particularly, the hole cover makes it possible to always close the drawer opening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r stop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따라서, 상기 서랍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는 과정에서 서랍 개구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hand from getting caught through the drawer opening in the process of storing food in the drawer,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또한, 상기 서랍 개구는 항상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서랍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서랍 개구에 끼거나 상기 서랍 개구를 통해서 승강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awer opening can always be kept in a shielded state, foreign matter existing inside the draw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drawer opening or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or the driving device through the drawer opening. .
또한, 상기 홀 커버는 상기 구동장치의 레버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서랍 개구를 상기 레버의 동작 중에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hole cover is coupled to the lever of the driving device, and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thereby effectively shielding the drawer opening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lever.
또한,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의 레버측 연결부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간단한 장착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e cover has a simple mounting structure by having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lever, and thus, an effect of improving assembly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expected.
또한,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인접한 커버 결합부와, 실질적으로 상기 서랍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부로 구성되며, 차폐부의 구성을 넓게 하여 상기 레버의 동작시 상기 홀 커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hole cover is composed of a cover coupling portion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ever, and a shielding portion that substantially shields the drawer opening, and by wide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portion, interference of the hole cover can be prevented when the lever is operated.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에서 승강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후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홀 커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홀 커버의 장착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홀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상기 구동장치의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구동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구동장치의 스크류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상기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레버에 홀 커버와 승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상태에서 상기 홀 커버와 서랍 개구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는 도 26의 상태에서 상기 홀 커버와 서랍 개구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vated state of a lower drawer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of the lower drawer door separate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drawer door as viewed from the front in which the drawer part and the door part are separat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drawer door.
6 is a rear view of the door part.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part with the door cover remove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ho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e cover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ole cover is mount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ed state.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device.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iving device.
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to a screw of the driving devic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part.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of the lifting device is raised.
2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le cover and a lifting device are coupled to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drawer door in a closed state.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drawer door fully ope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wer door when the container of the lower drawer door is completely lowered.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ates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23.
25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hole cover and the drawer opening in the state of FIG. 23.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wer door when the container of the lower drawer door is completely raised.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ates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26;
28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hole cover and the drawer opening in the state of FIG. 26;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vated state of a lower drawer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공간(11)은 냉장실로, 하부의 공간(12)은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의 공간과 하부의 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The storage space inside the
상기 도어(2)는 회전에 의해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공간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부 서랍 도어(30a)와 하부 서랍 도어(3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는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노츨되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rotating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 도어라 부를 수 있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 the basis of a refrigerator in which the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A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terior of the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도어(2) 또는 하부 도어(2)의 자동 회전 또는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한 명령을 조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The
상기 서랍 도어(30)에도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일측에 상기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n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하부 서랍 도어(30b)의 하단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어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승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즉,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3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또는 자동 승강이 조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303)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한편, 상기 조작 장치들(22,301,302, 303)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조작 장치들(22,301,302, 303)의 조작 조합 또는 순차적인 조작에 따라 인출입과 승강이 조작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ipulation devices 22,301,302, 303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nd used for withdrawal and lifting of the
하부 서랍 도어(30b)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수납을 위해서는 하부 서랍 도어(30b)를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내부의 용기(36)가 승강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In order to store food stored in the
한편, 상기 용기(3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후술할 승강장치(80)에 안착되므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승강장치(80)의 높이에 상기 용기(36)의 높이가 더하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사용자가 상기 용기(36)로의 접근 또는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기 매우 용이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따라서, 상기 용기(326)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시 서랍부(32)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ainer 326 can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한편, 상기 용기(36)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방 공간(도 3의 S1참조)의 크기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에도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가장 하방에 배치된 서랍 도어(30) 내부의 식품 또는 용기(36)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리고 사용할 수 있다.By such an operation, the food or
하부 서랍 도어(30b)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 및 피니언(141)과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하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에 의해 자동으로 전후방 인출입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내부의 용기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inside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및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동작을 위한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를 서랍 도어 또는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개수와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부의 저장 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nd shape of drawer doors, and may be applied to all refrigerators provided with a drawer-type door in a lower storage space.
도 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에서 승강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of the lower drawer door separate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drawer door as viewed from the front in which the drawer part and the door part are separated. 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drawer door.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30)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The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다수의 플레이트들(도 13에서 391,392,395)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물론 내부에도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기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draw-out
상기 인출입 레일(33)에는 레일 브라켓(331)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상기 인출입 레일(33)의 일측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고내측 벽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즉, 상기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이 상기 인출입 레일(33)의 상방에서 안착되는 형태로 장착되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언더 레일(under rail)이라 부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aw-out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랙(34)의 이동에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A pull-
물론, 상기 서랍부(32)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도어(30)를 직접 인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80)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nside of the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상기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도어(30)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 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도어(30)의 인출 거리가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인출 거리가 길어질수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such a structure,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와 용기(36)가 수용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함께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용기(36)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6)의 장착시 상기 용기(36)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가 가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어떠한 구성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Inside the front space (S1), a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A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으로, 상기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후방 공간(S2)을 가리고, 상기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되도록 하여보다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 및 용기(36)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가려서 승강 도중 식품이 낙하하거나 틈새에 물건이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낟. By attaching the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그리고,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체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승강장치(80)는 간단히 분리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여 상기 서랍부(32) 내부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And, in order to utilize the entire space inside the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외관은 플레이트들(도 17의 391,392,395참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되는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부와 내부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도 17의 391,392,395참조)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보다 고급스럽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External appearances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한편, 상기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도 7의 40참조)는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driving device (refer to 40 in FIG. 7) for lifting the
특히,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도 7의 40참조)는 전원의 입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들과 동력을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도 7의 40참조)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하여 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만을 교체하여 간단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driving device (refer to 40 in FIG. 7) provided in the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316a)와, 상기 도어 결합부(316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랍 결합부(316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어 결합부(316a)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간단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의 일측과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와 인접하도록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인출입 레일(33)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될 수도 있다. 삽입되되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도어 결합부(316a)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에 삽입되어 상기 서랍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서로 형합되는 구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부(32) 전면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일부가 노출되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서랍 개구(35)의 내측으로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 축이 되는 시저스측 연결부(842)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가 상기 구동장치(4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승강장치(80)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수 있다.A scissor-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35)는 좌우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좌우 양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35)의 사이에는 상기 서랍부(32)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통기구(3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381)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장착시 상기 서랍 개구(35)와 통기구(381)가 가려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랍부(32)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용적을 크게 하거나, 승강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승강장치(80)를 상기 서랍부(32) 내측에서 들어올려 분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이때, 서로 연결된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측 연결부(842)와 상기 구동장치(40)의 레버측 연결부(422)를 먼저 분리한 후 상기 승강장치(80)를 상기 서랍부(32)로부터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 전면의 서랍 개구(35)는 홀 커버(43)에 의해 차폐된 상태로 작업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cissor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의 분리로 상기 서랍부(32) 전면의 서랍 개구(35)와 통기구(381)는 노출 상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한편,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실질적으로 개폐하고 동시에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4),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312) 및 로어 데코(3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311)와 도어 라이너(314) 사이의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6은 상기 도어부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도어부의 도어 커버를 제거한 후면 사시도이다.6 is a rear view of the door part. And, Figure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portion of the door cover removed.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위한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 라이너(314)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a driving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도어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함몰부는 상기 구동장치(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함몰부는 고내를 밝히기 위한 도어 라이트(318)를 비롯한 전장 부품들이 더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 도어 라이트(318)는 상기 도어(30)의 배면 좌측에서 우측까지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318)는 다수의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도어(30)의 내측 특히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30)가 인출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서랍부(32)의 내부를 밝히게 된다.The door light 318 may be long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상기 구동장치(40)를 차폐한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40)가 장착된 상태에서 레버측 연결부(422)를 제외한 상기 구동장치(4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사이드 절개부(3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절개부(315a)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 노출되도록 절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 양측에는 커버 개구(31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구(315b)는 상기 구동장치(40)의 일구성인 레버(42)의 서랍측 연결부(422)가 노출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 개구(315b)를 통해 상기 서랍측 연결부(422)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개구(315b)는 상기 서랍 개구(35)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cover
따라서,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 개구(315b)와 상기 서랍 개구(35)는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버 개구(315b)와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서 상기 서랍측 연결부(422)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측 연결부(84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랍측 연결부(422)와 시저스측 연결부(842)의 분리를 통해 상기 승강장치(80)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커버 개구(315b)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커버 개구(315b)는 상기 레버(42) 및 승강장치(80)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상기 도어부(31)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되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회전 반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ver opening (315b) with reference to Figure 6, the cover opening (315b) is on both sides of the
즉, 상기 커버 개구(315b)는 커버측 중심부(315c)와 커버측 반경부(315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측 중심부(315c)는 상기 커버 개구(315b)의 양측단을 형성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회전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측 중심부(315c)는 그 크기가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회전 보스부(422b)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 반경부(315d)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회전 반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커버측 중심부(315c)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커버 개구(315b)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 외측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개구(315b) 중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 외측으로 노출된 공간은 홀 커버(4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레버(42)에 장착되며, 상기 레버(42)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고, 상기 레버(42)의 회전 동작에 관계없이 항상 커버 개구(315b)를 차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와 도어 라이트(318) 등의 전장 부품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출입되는 케이블 홀(315e)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홀(315e)을 통해 출입되는 전선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방을 지나 상기 캐비넷(10)에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도어 가스켓(3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가스켓(317)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접하여 기밀될 수 있다. A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서 차폐되어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승강장치(8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40)의 동력은 상기 승강장치(8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승강장치(80) 좌우 양측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치우치지 않고 좌우 양측이 수평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The driving
상기 구동장치(40)는, 모터 어셈블리(60)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과, 상기 각 스크류 유닛(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레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유닛(50)은 스크류(52)와, 상기 스크류(52)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스크류 유닛(50)을 따라 승강되는 스크류 홀더(56)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한편, 상기 레버(42)는 레버 연장부(421)의 일단에 레버측 연결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연장부(421)의 다른 일측단에는 홀더 체결부재(564)가 체결되는 레버 홀(423)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레버 홀(423)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 체결부재(564)의 이동을 안내하며, 동시에 상기 홀더 체결부재(564)가 상기 스크류 홀더(56)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52)의 회전시 승강되는 스크류 홀더(56)에 의해 상기 레버(42)는 회전된다. 상기 구동장치(4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The
상기 레버(42)의 회전축이 되는 일단에는 상기 구동장치(40)와의 결합을 위한 레버측 연결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에는 상기 홀 커버(43)가 장착되어 상기 커버 개구(315b) 및 서랍 개구(35)를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도어 커버(315) 및 커버 개구(315b)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도어 커버(315)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상기 도어 커버(315)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서랍 개구(35)만을 차폐할 수도 있다.A lever-
이하에서는, 상기 홀 커버(43) 및 사이 홀 커버(43)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홀 커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홀 커버의 장착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홀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hol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hole cover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An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e cover is mounted. And,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레버 연장부(421)의 배면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4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위해 매우 높은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파손의 방지를 위해 상기 레버 연장부(421)의 배면 전체에 격자 형상의 보강 리브(42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42)는 전체적으로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이캐스팅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As shown, a plurality of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레버(42)의 회전축이 되는 단부에는 상기 서랍부(32)를 향하여 돌출되는 레버측 연결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는 상기 레버 연장부(421)의 외측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에는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42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422c)은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회전시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lever-
그리고,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 보스부(422b)와, 상기 회전 보스부(422b)에서 상기 레버(42)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 돌출부(42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보스부(422b)와 상기 레버 돌출부(422a)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422c)이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r-
상기 회전 보스부(422b)는 상기 보스 홀(422d)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보스 홀(422d)에는 상기 레버(42)의 체결을 위한 레버 부싱(44)과 체결부재(4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 보스부(422b)는 원통형의 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일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보스부(422b)의 내측에는 상기 레버 부싱(44)이 삽입되며, 상기 레버 부싱(44)은 상기 보스 홀(422d)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440)는 상기 레버 부싱(44)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체결되며, 따라서 상기 레버(42)는 상기 레버 부싱(44)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e rotating
상기 보스 홀(422d)이 형성된 상기 회전 보스부(422b)의 바닥면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 부싱(44)이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가 상기 수용 공간(422c)에 삽입될 때 간섭되지 않게 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상기 레버 돌출부(422a)는 상기 회전 보스부(422b)에서 상기 레버(42)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돌출부(422a)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422c)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돌출부(422a)로 인해 상기 레버(42)의 회전력은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레버(42)는 상기 레버 돌출부(422a)의 작용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승강장치(8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레버 돌출부(422a)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부 돌기(422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돌기(422e)는 상기 레버 돌출부(422a)의 외측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레버 돌출부(422a)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 돌기(422e)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테두리 홈(438)과 결합되어 상기 홀 커버(43)를 구속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홀 커버(43)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홀 커버(43)에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에 의해 관통되는 커버 삽입구(43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 삽입구(433)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둘레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삽입구(433)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회전 보스부(422b) 및 레버 돌출부(422a)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외측면이 상기 커버 삽입구(433)의 내측면과 서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커버 삽입구(433)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도어부(31)측으로 연장되는 이너 테두리(43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테두리(437)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둘레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홀 커버(43)와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너 테두리(437)의 연장된 단부에는 테두리 홈(438)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 커버(43)가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에 장착될 때 상기 연결부 돌기(422e)가 상기 테두리 홈(43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돌기(422e)와 상기 테두리 홈(438)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는 상기 홀 커버(43)를 관통하여 적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레버 연장부(421)로부터 적정 높이로 이격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그리고, 상기 홀 커버(43)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상기 도어부측으로 연장되는 아우터 테두리(43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테두리(436)에 의해 판상의 상기 홀 커버(43)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으며, 상기 홀 커버(43)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테두리(436)는 상기 홀 커버(43)의 커버 결합부(432)와 차폐부(431)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한편, 상기 홀 커버(43)는 커버 결합부(432)와 차폐부(43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432)는 상기 회전 보스부(422b)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43)가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결합부(432)는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 개구(315b) 및 커버 개구(315b)를 차폐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레버(42)의 회전시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소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차폐부(431)는 상기 커버 결합부(43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커버 개구(315b) 및 서랍 개구(35)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부(431)는 상기 커버 결합부(432)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반경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42)의 회전 및 정지에 관계없이 어떤 상태에서도 상기 커버 개구(315b)와 서랍 개구(35)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431)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 중 레버 돌출부(422a)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 돌출부(422a)의 외측에서 소정의 폭만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elding
그리고, 상기 차폐부(431)의 일측에는 상기 홀 커버(43)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435)가 체결되는 커버 체결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체결홀(434)은 상기 커버 삽입구(433)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435)의 체결시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돌출된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435)의 체결에 의해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레버(42)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42)의 동작시 유동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 체결홀(434)은 상기 이너 테두리(437)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측방에서 체결되는 스크류(435)가 이너 테두리(437)를 관통하여 레버 돌출부(422a)의 측면에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도 12는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상기 구동장치의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구동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구동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구동장치의 스크류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onnected state. And, Fig. 1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device. And, Figure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iving device. And, Figure 15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crew of the driving device.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의 좌우 방향으로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구동 모터(64)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60)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스크류 유닛(50, 50a) 및 레버(42)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다수의 기어의 조합을 통해 감속 및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될 때 함몰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64)와 기어들이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좌우측 방향 폭을 넓게 하고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 모터(64)는 상기 서랍부(32)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부(31)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구동 모터(64)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신호가 입력되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4)의 부하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정지신호의 입력시 정지될 수 있다. The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구동 모터(64)가 설치되는 모터 케이스(61)와, 상기 모터 케이스(61)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모터(64)를 커버하는 모터 커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구동 모터(64)의 회전 축은 상기 모터 케이스(61)에서 상기 모터 커버(62)의 반대편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구동 모터(64)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 케이스(61)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모터(6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rotation axis of the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기 구동 모터(64)의 반대편에서 장착되는 커버부재(66)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gears, and may be shielded by a cover member 66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 케이스(61)를 관통한 상기 구동 모터(64)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기어(651)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 기어(651)와 맞물리는 제 1 전달 기어(6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는 일 예로 다단 기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는, 상기 구동 기어(651)와 맞물리는 제 1 기어(652a)와, 상기 제 1 기어(652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 2 기어(6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652a) 및 상기 제 2 기어(652b) 각각은 평 기어일 수 있다. The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와 맞물리는 제 2 전달 기어(6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의 제 2 기어(652a)와 맞물리는 제 1 기어(653a)와, 상기 제 1 기어(653a)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 2 기어(65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의 제 1 기어(653a) 및 상기 제 2 기어(653b) 각각은 평 기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의 제 2 기어(653b)는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의 제 1 기어(652a)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달 기어(652)와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에 의해서 상기 구동장치(60)의 전후 폭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Each of the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와 맞물리는 제 3 전달 기어(6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의 제 2 기어(653b)의 하방에서 상기 제 2 기어(653b)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는 평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의 일부는 상기 제 2 전달 기어(653)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모터 케이스(61)에는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샤프트가 구비될 수 있다. A gear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gears may be provided in the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에 맞물리는 한 쌍의 교차 기어(655, 6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교차 기어(655, 656)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회전 중심이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의 회전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와 맞물릴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pair of cross gears 655 and 656 meshed with the
상기 각 교차 기어(655, 656)가 상기 제 3 전달 기어(654)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각 교차 기어(655, 656)는 평기어 형태의 평기어부(655a,656a)와 헬리컬 기어 형태의 제 1 헬리컬 기어부(655b, 656b)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crossed gears (655, 656) is a spur gear (655a, 656a) and a helical gear form so that the cross gears (655, 656) can mesh with the third transmission gear (654). It may include first
그리고, 좌우 양측에 이격 배치된 상기 교차 기어(655, 656)의 회전 중심선은 서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lines of the cross gears 655 and 65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extend horizontally to each other.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각 교차 기어(655, 656)와 맞물리는 한 쌍의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second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는, 상기 제 1 헬리컬 기어부(655b, 656b)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 중심선은 상기 교차 기어(655, 656)의 회전 중심선과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헬리컬 기어부(655b, 656b)와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는 서로 교차 상태로 결합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교차기어(655,656)의 회전 중심선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 중심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 중심선은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center lines of the cross gears 655 and 656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otation center lines of the second
이와 같이 한 쌍의 교차 헬리컬 기어를 사용함에 따라서, 상기 동력 전달 방향을 쉽게 전환시킬 수 있으면서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해 큰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소음이 크게 발생되지 않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a pair of crossed helical gears has the advantage that the power transmission direction can be easily switched and the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becomes compact. In particular, even when a large force is transmitted for the lifting of the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air of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도어부(31) 내측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유닛(50, 50a)은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다. The pair of screw units (50, 50a)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ide of the door part (31), and the pair of screw units (50, 50a) differ only in their mounting positions, and their structure and shape Are the same.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의 하측부에서 상기 구동 모터(64)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Power of the driving
양측의 스크류 유닛(50, 50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들의 사이에 상기 모터 어셈블리(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사이의 거리가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구동 모터(6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52, 5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외측을 향하고 하단은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The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제 2 헬키컬 기어부(657, 657a)에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52)에는 상기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따라서, 상기 스크류(52, 52a)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의 중심선과 동일한 중심선상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양측의 상기 스크류(52, 52a)는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배치를 가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상기 스크류(52, 52a)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스크류 홀더(56,5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는 상기 스크류(52, 52a)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52, 52a)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상기 레버(4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이동 시 상기 레버(42)는 회전될 수 있다. The
상세히,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중앙는 홀더 관통구(561)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관통구(561)는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52,52a)가 상기 홀더 관통구(561)를 통과하도록 삽입 장착된다. 홀더 관통구(561)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크류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52,52a)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는 상기 스크류(52,52a)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In detail, a holder through
그리고, 상기 홀더 관통부(561)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 홀(56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562)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 바(53,54)가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 바(53,54)를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가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guide holes 562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상기 가이드 바(53,54)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guide bars 53 and 54 may be formed in a round bar shape,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stably support the
상기 가이드 홀(562)의 내측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 홀(562)에는 상기 가이드 바(53,54)에 의해 관통되는 슬리브 형상의 윤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윤활부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며,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 자체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 bearin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한쌍의 상기 가이드 바(53,54)가 상기 가이드 홀(562)을 통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는 좌우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승강장치(80)의 구동을 위해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되며, 소음 또한 발생되지 않게 된다.Since a pair of the guide bars 53 and 54 ar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56a)에는 자석(563)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크류 홀더(56a)에는 자석이 압입되는 자석 장착홈(56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석 장착홈(563a) 상에 상기 자석(563)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
상기 자석(563)은 상기 스크류 홀더(56a)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 홀더(56a)가 상기 스크류(52,52a)의 가장 하단 또는 상단에 위치되는 경우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 감지장치(90)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크류 홀더(56a)에 장착된 상기 자석(563)의 감지 여부로 상기 승강 장치의 상승 완료 및 하강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자석(563)이 구비되는 상기 스크류 홀더(56a)의 후면의 반대측 즉, 상기 스크류 홀더의 전면에는 홀더 커넥터(562)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상기 홀더 커넥터(562)는 상기 레버(42)와 상기 스크류 홀더(56,56a)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즉, 홀더 커넥터(562)는 상기 레버(4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홀더 커넥터(562)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레버(42)는 장방형의 슬롯(4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좌우 양측에 스크류 유닛(50, 50a)이 배치되므로, 좌우 양측의 스크류(52, 52a)의 연장선은 상기 구동장치(40)의 외측에서 교차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레버(42)는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와 상기 승강장치(80)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스크류 홀더(56,56a)와 상기 승강장치(7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은, 스크류(52, 52a)를 수용하는 하우징(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우징(51)은, 상기 스크류 유닛(50, 50a)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스크류(52, 52a) 및 스크류 홀더(56,56a)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개구된 부분은 후술할 커버부재(66)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The
상기 하우징(51)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상기 하우징(51)은 상기 스크류(52, 52a)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511)와,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수용부(511)와 상기 제 2 수용부(512)는 구획벽(513)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부(512)는 상기 제 1 수용부(511)의 하방에 위치된다. The
상기 제 2 수용부(512)에는 상기 교차 기어(655, 656)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수용부(512) 내에서 상기 교차 기어(655, 656)와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가 연결될 수 있다. Part of the crossover gears 655 and 656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상기 스크류(52, 52a)의 하측은 상기 구획벽(513)을 관통하고, 상기 구획벽(513)을 관통한 상기 스크류(52, 52a)에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가 결합된다.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하우징(51)에는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상승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53, 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53, 54)는 상기 스크류(52, 52a)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52, 52a)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One or more guide bars 53 and 54 for guiding the rise of the
상기 스크류 홀더(56,56a)가 상기 스크류(52, 52a)를 중심으로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가이드 바(53, 54)가 상기 하우징(51)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53, 54) 사이에 상기 스크류(52)가 위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guide bars (53, 54) are provided in the housing (51) so that the screw holders (56, 56a) are not inclined to either right or left around the screws (52, 52a), the plurality of guides The
상기 모터 케이스(61)와 한 쌍의 하우징(5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의 커버부재(66)가 상기 모터 케이스(61) 및 상기 한 쌍의 하우징(51)을 커버할 수 있다. The
즉, 상기 커버부재(66)는 상기 모터 케이스(61)와 체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를 커버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51)과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52, 52a), 가이드 바(53, 54), 스크류 홀더(56,56a)를 커버할 수 있다. That is, the cover member 66 is fastened to the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66)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상기 스크류유닛(50,50a)을 각각 차폐하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각각을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cover member 66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respectively shield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본 실시 예에서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40)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구동장치(40)가 컴팩트해져 상기 구동장치(40)를 상기 도어부(31)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또한, 단일의 커버부재(66)가 상기 모터 케이스(61) 및 한 쌍의 하우징(51)을 함께 커버하므로, 상기 커버부재(66)의 분리 시 상기 동력 전달부나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서비스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single cover member 66 covers the
한편, 좌우 양측의 스크류유닛(50,50a) 중 일측의 스크류 유닛(50a)에는 승강 감지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스크류유닛(50a)은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60)에 의해 동시에 동작하기 때문에 일측의 스크류유닛(50a)에만 상기 승강 감지장치(90)가 구비되더라도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감지장치(90)는 좌우 양측 중 어느 쪽의 스크류 유닛(50,50a)에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Meanwhile, a
상기 승강 감지장치(90)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완료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완료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The elevating
상기 승강 감지장치(90)는 상기 커버부재(6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유닛(50a)을 따라 상하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승강 감지장치(90)는, 한쌍의 감지 센서(92,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92,93)는 자석(563)을 감지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통상적으로 자석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홀 센서를 대신하여 상기 자석(563)을 감지하는 다른 센서 또는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자석(563)과 홀 센서를 대신하여 상기 스크류 홀더(56a)의 특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place of the
상기 감지 센서(92,93)는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완료되었을 때 상기 자석(56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가 장착되고,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되었을 때 상기 자석(56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른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감지 센서(92,93)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92,93)가 상기 자석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승 또는 하강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One of the detection sensors 92 and 93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서랍부(32)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도 16은 상기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And,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및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80) 및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후면은 경사면(321)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3)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양측 또는 좌우 양측면 하부의 프레임 장착부(3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상기 서랍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구조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 사이의 형합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Draw-out
물론, 상기 도어(30)가 자동 인출입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밀거나 당겨서 인출입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인출입 랙(34)이 생략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서만 인출입이 안내될 수도 이다.Of course, the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draw-out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외장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이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the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316)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면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4)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4)는 상기 서랍 본체(38)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구비로 증가된 상기 도어의 중량에 대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보다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reinforcing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384)는 양측면에 장착되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를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부(395a), 하면부(395b) 및 후면부(395c)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장치(80)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구동장치(40)와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좌우 양측이 균일하게 승강될 수 있다. Meanwhile, an elevating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구동장치(4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부 양측단에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된다. In order to couple the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커버 개구(315b)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 개구(315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의 회전시에도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의 반경 크기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홀 커버(4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서랍 개구(35)는 서랍측 중심부(351)와 서랍측 반경부(3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중심부(351)는 상기 서랍 개구(35)의 양측단을 형성하며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의 회전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측 중심부(351)는 그 크기가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의 회전 중심이 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측 반경부(352)는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의 회전 반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서랍측 중심부(351)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승강장치(80)는 시저스 타입으로 구성되어 하강된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가 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펼쳐지게 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서포트 플레이트(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상기 용기(36)의 안착 면 또는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lifting
한편, 상기 서랍 개구(35)의 높이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단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상태에서도 상기 서랍 개구(35)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ight of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전방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방 공간(S1)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장치(80)로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장치(80)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레버에 홀 커버와 승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of the lifting device is raised. And, Figure 20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e cover and the lifting device are coupled to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것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 바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the elevating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 및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저스 어셈블리(84)를 포함할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서랍부(32)의 내부 전방 공간(S1)의 크기와 대응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안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승강장치(80)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와 함께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36)를 지지한다. The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전체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둘레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부(821)와,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의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외형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높은 강도가 요구되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강도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단이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의 하측면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824)가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a
상기 구획부(822)를 기준으로 양측의 공간(823, 824)에 각각 시저스 어셈블리(84)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4)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관통할 수 있는 장공(824a)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4)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방향만 다를 뿐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프레임부와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프레임(83)의 상면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834)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4)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관통할 수 있는 장공(834a)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4)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의 시저스 어셈블리(84)는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6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하므로, 동시에 동일한 높이만큼 승강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무거운 하중물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양측에 독립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한쌍의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 효과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어퍼 프레임(82)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수평 상태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supporting a heavy load, it can be effectively lifted and lowered by a pair of the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사각 틀 형태의 제 1 시저스 프레임(841)과,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각 틀 형태의 제 2 시저스 프레임(84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시저스 프레임(845)의 좌우 폭은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의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시저스 프레임(845)은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과 연결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샤프트(도 21의 841a)와 상부 샤프트(도 23의 84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샤프트(도 23의 841a)는 상기 로어 프레임(8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도 23의 841b)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슬라이딩 가이드(824)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The lower shaft (841a in FIG. 23)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로드(도 23의 841a)와 상부 샤프트(도 23의 841b)와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시저스 프레임(84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샤프트(851a)와 상부 샤프트(미도시)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로드(852a) 및 제 2 로드(85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에는 상기 레버(42)와 연결되기 위하여 돌출되는 시저스측 연결부(8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는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842b)와, 상기 연장부(842b)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422c)과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부(84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레버(42)는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와 결합을 위하여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를 수용하는 레버측 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상기 수용 공간(422c)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는 원형의 회전축에서 일측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보스부(422b) 및 레버측 돌출부(422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의 단부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가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42)가 회전될 때, 상기 레버(42)가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와 헛도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위해 보다 큰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end of the scissor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842)는 상기 연장부(842b) 및 결합부(842c)가 상기 서랍 개구(35)를 관통하고, 상기 결합부(842c)가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의 수용 공간(422c)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구동장치(40)의 동력이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에는 상기 홀 커버(43)가 장착되어 상기 서랍 개구(35)를 차폐할 수 있다.In the scissor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도어(30)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the
도 21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drawer door in a closed state.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30)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21, the
상기 도어(30)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개방될 수 있다. The
이때,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도어(3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301)를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장치(302)에 의한 개방 조작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s operation can be operated by touching the rotating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와 조작 장치(302)가 각각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30) 중 하부 서랍 도어(30 b)를 개방 및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의 도어(30)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입 및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And, hereinafter, the opening and elevation of the
도 22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도 23의 상태에서 상기 홀 커버와 서랍 개구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drawer door fully ope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wer door when the container of the lower drawer door is completely lowered. And,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ates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23. In addition, FIG. 25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e cover and the drawer opening in the state of FIG. 23.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 조작에 따라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As shown, the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사용자가 직접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입 된다.The draw-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 거리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들(20,30) 또는 상기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The draw-out distance of the
이때,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하부 서랍 도어(30b)에 배치되는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aw-out distance of the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출되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out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a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a switch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64)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작동 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즉, 상기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작동하여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다른 도어들(20,30) 또는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여야만 한다.Looking in more detail at the state in which the
특히, 상기 전방 공간(S1)의 후단(L1)은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 더 인출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될 수 있어야만 한다.In particular, the rear end (L1) of the front space (S1) must be in a state that is more pulled out than the front end (L2) of the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구동되기 위해 인출될 때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위치까지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부(32)의 후방 공간(S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후단(L3)은 적어도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를 포함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자체의 무게에 더하여 수납물의 무게까지 더하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자체의 처짐이나 파손이 없이 안정적인 인출입과 승강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weight of the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기 전에는, 상기 레버(42) 및 상기 스크류 홀더는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승강 감지장치(9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상태가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Before the
상기 승강 감지장치(90)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조작 또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완전한 인출시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홀더(56) 및 레버(42)의 단부는 가장 낮은 상태로, 도 2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지 않은 가장 낮은 상태에서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커버 개구(315b) 및 서랍 개구(35)를 차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가 식품의 수납 작업 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분리 작업을 위해 상기 서랍부(32) 내부에 손을 넣게 되더라도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홀 커버(43)에 의해 완전히 차폐된 상태가 되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the ends of the
도 26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도 26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는 도 26의 상태에서 상기 홀 커버와 서랍 개구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wer door when the container of the lower drawer door is completely raised. And,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ure 26. And, FIG. 28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e cover and the drawer opening in the state of FIG. 26.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에 의해 도 22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A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서 어퍼 프레임(82)이 하강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lifting of the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승강장치(80)와 연결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개시와 함께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The driving
상세히,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또는 하강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64)가 정역회전 하게 되면 상기 구동장치(40)는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In detail, when the driving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하는 동작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구동 모터(64)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 기어(65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 기어(651)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구동 모터(64)의 회전력이 상기 제 1 전달 기어 내지 제 3 전달 기어(652, 653, 654)를 통해 상기 교차 기어(655, 656)로 전달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상기 교차 기어(665, 656)에 연결되는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는 상기 교차 기어(655, 656)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동력 전달 방향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헬리컬 기어부(657, 657a)와 연결되는 스크류(52, 52a)가 회전된다. The second
이때, 양측의 상기 스크류(52, 50a)로 동일한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상기 스크류 홀더(56,56a)가 동시에 동일한 높이만큼 상승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sam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의 상승에 따라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연결된 상기 레버(4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 홀더(56,56a)에 연결되는 상기 레버(42)가 회전되하면서 상기 레버(42)의 높이가 증가되고, 상기 레버(42)의 높이 증가에 의해서 상기 레버(42)와 연결되는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의 제 1 로드(842a)의 높이가 증가된다. As the
상기 제 1 시저스 프레임(841)의 제 1 로드(842a)의 높이 증가에 의해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펼쳐질 수 있게 된다. The
결국,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펼쳐지면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에 안착된 상기 용기(36) 또는 식품은 상승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는 최대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Eventually, as the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도 22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지 않고도 식품 또는 용기(36)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42) 및 상기 스크류 홀더는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승강 감지장치(9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현재의 상태가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When the
상기 승강 감지장치(90)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 모터(64)가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lifting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bend the waist excessively for lifting the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Looking in more detail at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구동장치(80)에는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용기(36)를 기준으로 본다면, 상기 용기(36)의 상단(H1)은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상단(H2)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때의 높이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손을 뻗어 상기 용기(36)를 들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사용에 가장 적합한 높이가 될 수 있다. When the
즉,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36)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driving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홀더(56) 및 레버(42)의 단부는 가장 높 상태로, 도 2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어 가장 높은 상태에서 상기 홀 커버(43)는 상기 커버 개구(315b) 및 서랍 개구(35)를 차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승강장치의 상승으로 상기 서랍 개구(35)가 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홀 커버(43)에 의해 완전히 차폐된 상태가 되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the ends of the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구동 모터(64)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user's food storage operation is completed, the user may lower the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되면 도 2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 또한 상기 승강 감지장치(9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방에 위치된 상기 감지 센서(93)에서 상기 자석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장치(80)는 하강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구동장치(40)는 정지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4)의 정지 후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닫힐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21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한편, 상기 레버(42)가 회전되는 과정 중에도 상기 홀 커버(43)는 항상 상기 레버측 연결부(422)와 커버 개구(315b)의 사이 그리고 시저스측 연결부(842)와 상기 서랍 개구(35)를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신체 또는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Claims (20)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캐비닛을 연결하며, 상기 도어의 인출입을 위한 레일;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서랍부의 일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서랍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개구와 대응하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연결시 상기 서랍 개구를 차폐하는 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 door including a door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a drawer unit for providing a storage space;
A rail connecting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for withdrawing the door;
A driving device provided on the door to provide power;
An eleva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drawer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device to move a portion of the drawer up and down;
A drawer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awer and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device to form a connection passage between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and
And a hole cover provid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drawer opening and shielding the drawer opening when the driving device and the lifting device are connected.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서랍의 전면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e cov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front of the drawer.
상기 홀 커버는 상기 서랍 개구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e cov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rawer opening.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되며, 회전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스크류 홀더를 포함하는 스크류 유닛;
상기 스크류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며, 상기 승강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device,
Motor assembly;
A screw unit including a screw tha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tor assembly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assembly to operate at the same time, and includes a rotating screw and a screw holder vertically moved along the screw;
Includes; a lever coupled to the screw holder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rew holder,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device to provide power for lifting the lifting device,
The hole cover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lever.
상기 레버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서랍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승강장치와 결합되는 레버측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The lever has a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drawer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ever and coupled to the lifting device,
The hole cover is mounted on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lever is rotated.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랍 개구부더 더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The hole cover extends out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urther outwardly from the drawer opening.
상기 홀 커버에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가 관통 삽입되는 커버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A refrigerator, wherein a cover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hole cover.
상기 승강장치에는 상기 서랍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저스측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scissor-sid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drawer open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상기 승강장치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되어 승강하는 한쌍의 시저스 어셈블리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서랍 내부의 승강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어퍼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The lifting device,
A pair of scissor assemblies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 scissor side connection part being rotated around an axis to elevate;
And an upper fram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cissor assembly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to be elevated and lowered.
상기 레버측 연결부는 상기 승강장치의 회전 축이 되는 시저스측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시저스측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forms a receiving space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issor-side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scissors-side connection portion serv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lifting device is inserted.
상기 레버측 연결부는,
상기 레버 및 승강장치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 보스부와,
상기 회전 보스부에서 상기 레버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승강장치의 회전을 보조하는 레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lever side connection part,
A rotating boss part serving as a rotating shaft of the lever and the lifting device,
And a lever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ever from the rotation boss portion to assist the rotation of the lifting device.
상기 서랍 개구는 상기 레버 돌출부의 회전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1,
The drawer opening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a radius of rotation of the lever protrusion.
상기 홀 커버는,
상기 회전 보스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전 보스와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돌출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서랍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결합부보다 상기 차폐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1,
The hole cover,
A cover coupling portion formed along the rotation boss portion and coupled to the rotation boss portion,
It is formed along the lever protrusion, and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to shield the drawer opening,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shielding portion is formed larger than that of the cover coupling portion.
상기 홀 커버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에는 상기 레버측 연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가 관통되는 커버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4,
The hole cov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refrigerator, wherein the hole cov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and a cover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lever-side connection part passes.
상기 홀 커버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감싸는 커버 결합부와,
상기 회전 보스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서랍 개구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랍개구를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The hole cover,
A cover coupling part surrounding the rotational axis of the lever,
And a shielding part extending from the rotating boss part and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a width of the drawer opening to shield the drawer opening.
상기 차폐부에는 상기 차폐부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에 스크류가 체결되는 커버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cover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screw is fastened to the lever through the shielding part.
상기 커버 삽입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레버측 연결부의 둘레면과 접하는 이너 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inner rim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insertion hole and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상기 레버측 연결부에는, 연결부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너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부 돌기가 삽입되는 테두리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 커버의 장착시 상기 연결부 돌기가 상기 테두리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lever-side connection portion, a connection portion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An edge groove in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ner edge,
When the hole cover is mounted, the connecting po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edge groove.
상기 연결부 돌기 및 테두리 홈은 레버측 연결부재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necting portion protrusion and the rim groove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lever-side connecting member.
상기 홀 커더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이너 테두리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우터 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7,
An outer rim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inner rim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e co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752A KR20200134777A (en) | 2019-05-23 | 2019-05-23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0752A KR20200134777A (en) | 2019-05-23 | 2019-05-23 |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4777A true KR20200134777A (en) | 2020-12-02 |
Family
ID=7379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0752A KR20200134777A (en) | 2019-05-23 | 2019-05-23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3477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02530A (en) * | 2021-03-12 | 2021-06-04 | 杭州创式云科技有限公司 | Beautiful refrigerator of making up of intelligence |
-
2019
- 2019-05-23 KR KR1020190060752A patent/KR2020013477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02530A (en) * | 2021-03-12 | 2021-06-04 | 杭州创式云科技有限公司 | Beautiful refrigerator of making up of intellige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0745B1 (en) | Refrigerator | |
CN110360800B (en) | Refrigerator with a door | |
US11668519B2 (en) | Lifting mechanism for refrigerator drawer | |
KR102586889B1 (en) | Refrigerator | |
KR20200134777A (en) | Refrigerator | |
KR20210008709A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68703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98957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3767207B1 (en) |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wable do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00134781A (en) | Refrigerator | |
KR20200140572A (en) | Refrigerator | |
KR20200140556A (en) | Refrigerator | |
KR20200140570A (en) | Refrigerator | |
KR20200134785A (en) | Refrigerator | |
KR20200134787A (en) | Refrigerator | |
KR20200134772A (en) | Refrigerator | |
KR102721787B1 (en) | Refrigerator | |
KR20200140551A (en) | Refrigerator | |
EP3767208A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00140561A (en) |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