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390A - 무인 비행체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390A
KR20200134390A KR1020190059758A KR20190059758A KR20200134390A KR 20200134390 A KR20200134390 A KR 20200134390A KR 1020190059758 A KR1020190059758 A KR 1020190059758A KR 20190059758 A KR20190059758 A KR 20190059758A KR 20200134390 A KR20200134390 A KR 2020013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19005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390A/ko
Publication of KR2020013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07Doors; surroun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01Flying sa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7
    • B64C2201/042
    • B64C2201/0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는 상면 및 하면이 대칭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물품이 적재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측 및 하측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기체, 상기 기체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 및 하면이 대칭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물품이 적재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측에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설치 가능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물품을 안전하게 목표지점까지 전달할 수 있으며,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비행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은 내부에 물품 보관이 가능하고, 비행 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고정익 비행체와 대비되어 복수 개의 로터(rotor)를 이용하여 부양력을 얻는 무인 비행체로서, 군사, 생활편의, 농업, 재난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그 실용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드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몸체부(10)의 둘레에 복수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암(arm, 20), 복수개의 암(20)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모터(40), 그리고 각 모터(40)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추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로터(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드론은 각 모터(40)에 연결된 로터(30)의 회전에 의하여 공중으로 부양되고, 공중으로 부양된 상태에서 각 로터(30)의 상대적인 회전속도제어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드론은 로터(30)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비행 중 충돌 또는 통신이상 등의 이유로 인하여 추락하는 경우, 로터(30)에 외부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로터(30)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드론은 단순히 비행 기능만을 구현하여, 물품의 운송 시 몸체부(10)의 외측에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 설치하여 운송될 물품을 끈 혹은 로프 등을 이용하여 거치시킴에 따라, 운송도중 물품이 드론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외부 환경에 의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드론은 비행 시 바람에 취약하여, 쉽게 항로를 이탈하거나, 바람의 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추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910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구동부를 보호하고,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며, 바람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비행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는 상면 및 하면이 대칭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물품이 적재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측 및 하측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기체, 상기 기체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체는 내부가 관통되고, 둘레에 고리형상의 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측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는 상기 개폐부를 상기 기체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기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그리고 상기 기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부를 상기 기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지상 및 상기 기체 주변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그리고 상기 기체의 하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기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기체의 이착륙 시 지면에 대하여 상기 기체를 지지하는 랜딩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획득부는 상기 날개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기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1 촬영부, 상기 기체의 하측에 설치된 개폐부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기체의 하측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2 촬영부, 그리고 상기 기체의 상측에 설치된 개폐부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기체의 상측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3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딩기어의 단부에는 상기 기체의 기울기 및 상기 기체의 착륙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의 외면에는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어 외부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를 충전시키는 충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체의 하측에 설치된 개폐부의 내부에는 코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기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체의 이착륙 시 상기 랜딩기어와 함께 상기 기체를 지지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 및 하면이 대칭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물품이 적재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측에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설치 가능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물품을 안전하게 목표지점까지 전달할 수 있으며,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비행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상, 하부에는 개폐 가능한 개폐부가 형성되고, 기체에는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증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목적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하고, 비행 시 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기체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에 설치됨에 따라, 프로펠러가 회전되어 기체를 들어 올릴 경우, 프로펠러의 후방으로 밀려나는 공기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관통공을 통해 집중적으로 프로펠러의 후방으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보다 높은 비행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랜딩기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제2 개폐부재의 내측에 코어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외측에 스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랜딩기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제2 개폐부재의 내측에 코어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외측에 스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100)(이하 '무인 비행체(100)'라 함)는 내부에 물품 보관이 가능하고, 비행 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100)로서, 기체(10)를 포함한다.
기체(10)는 상면 및 하면이 대칭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물품이 적재 가능한 수용공간(10a)이 형성된다.
즉, 기체(10)는 비행 시 공기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외면이 유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비행 시 보다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원형의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기체(10)는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경량 알루미늄 또는 카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체(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10)는 수용공간(10a)이 형성된 상측 및 하측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기체(10)는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에서 기체(10)의 내부에 수납된 물품을 꺼낼 수 있는 용도로 활용되거나, 수용공간(10a)에 적재된 물품을 공중에서 기체(10)의 하부로 투하 또는 낙하 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기체(10)는 몸체부(11)와 개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내부가 관통되어 수용공간(10a)을 형성하고, 몸체부(11)의 둘레에는 고리형상의 날개(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는 하나의 도넛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에는 몸체부(11)에 구비된 날개(111)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후술할 구동부(20)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통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관통공(113)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기체(1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기체(10)의 중심축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는 둘레에 복수 개의 관통공(113)이 형성된 도넛형상으로 형성되되, 상, 하면이 중심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3)는 몸체부(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개폐부(13)는 몸체부(11)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몸체부(11)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재(131), 및 몸체부(11)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몸체부(11)의 하측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부재(131) 및 제2 개폐부재(133)는 기체(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고, 개구를 폐쇄한 상태일 경우, 기체(10)의 외형과 연속되는 외형을 이루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이 유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부재(131) 및 제2 개폐부재(133)는 각각 후술할 구동부(20) 및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힌지 결합된 부위에 기구적 구조(예컨대, 기어구조)가 적용되어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따라 완전 개방되거나, 미리 설정된 각도로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부재(131) 및 제2 개폐부재(133)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는 단문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두 개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는 양문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나 제1 개폐부재(131) 및 제2 개폐부재(13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부재(131) 및 제2 개폐부재(133)와 맞닿는 기체(10)의 개구 부위는 실링 처리되거나, 패킹소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폐부재(131) 및 제2 개폐부재(133)가 개구를 폐쇄할 경우, 수용공간(10a)을 밀폐하여, 눈, 비, 습기 등이 수용공간(10a)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공간(10a)에 수용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기체(10)는 사용자 인증 수단(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기체(10)에는 개폐부(13)를 기체(10)에 고정시키거나, 기체(1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15)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수단(15)은 제어자로부터 미리 인가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터치패널을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방식, 카메라를 이용한 지문 또는 얼굴인식 방식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 수단(15)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무인 비행체(100)가 목표한 위치로 비행을 완료한 경우라도, 임의의 사용자가 개폐부(13)를 개방할 수 없다.
또한, 본 무인 비행체(100)는 구동부(20), 제어부(30) 및 전원부(40)를 포함한다.
구동부(20)는 기체(10)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추력을 발생시킨다. 즉, 구동부(20)는 기체(10)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공(113)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추력을 발생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20)는 전원부(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따라 미리 설정된 토크를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21), 동력발생부(21)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23), 및 기체(10)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21)를 기체(10)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기체(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구동부(20)의 회전을 제어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0)는 기체(10)의 내측에 설치되고, 구동부(20), 전원부(40) 및 복수의 계패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컨트롤러를 통해 전달된 제어명령을 구동부(20) 및 각 개폐부재에 전달하여 구동부(20) 및 각 개폐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0)에는 MCU, GPS, 무선통신 수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3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거리에서도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무인 비행체(100)는 제어부(30)의 제어명령을 통하여 상승, 하강, 좌향변경, 우향변경, 전진, 후진, 좌진, 우진 등의 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무인 비행체(100)에 설치된 구동부(20)가 4개로 이루어 졌을 경우, 전방 좌측에 배치된 구동부(20)의 프로펠러(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전방 우측에 배치된 구동부(20)의 프로펠러(2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좌측에 배치된 구동부(20)의 프로펠러(2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후방 우측에 배치된 구동부(20)의 프로펠러(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각 구동부(20)에 구비된 프로펠러(23)의 회전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본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방향 및 기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어부(30)가 각 구동부(20)에 구비된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증가시킬 경우 본 무인 비행체(100)는 상승하고, 반대로 각 구동부(20)에 구비된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감소시킬 경우 본 무인 비행체(100)는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가 전방 좌, 우측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증가시킬 경우 본 무인 비행체(100)는 전진하고, 반대로 후방 좌, 우측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증가시킬 경우 본 무인 비행체(100)는 후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가 좌측 전, 후방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증가시킬 경우 본 무인 비행체(100)는 좌진하고, 반대로 우측 전, 후방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증가시킬 경우 본 무인 비행체(100)는 우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가 전방 좌측 및 후방 우측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증가시키거나, 전방 우측 및 후방 좌측에 배치된 2개의 프로펠러(23)의 RPM을 동시에 증가시킬 경우, 본 무인 비행체(100)는 좌향 또는 우향으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전원부(40)는 제어부(30)와 함께 기체(10)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부(20) 및 각 개폐부(13)재의 개폐 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수단(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4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형태로 형성되며, 기체(10)의 내측에 탈부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무인 비행체(100)는 영상획득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지상 및 기체(10) 주변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영상획득부(50)는 날개(11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기체(10)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1 촬영부(51), 기체(10)의 하측에 설치된 제2 개폐부재(133)의 중심부 외측에 장착되어 기체(10)의 수직방향으로 기체(10)의 하측(지상)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2 촬영부(53), 및 기체(10)의 상측에 설치된 제1 개폐부재(131)의 중심부 외측에 장착되어 기체(10)의 수직방향으로 기체(10)의 상측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3 촬영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영상획득부(50)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영상들을 통하여, 현재 본 무인 비행체(100)의 상태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촬영부(53) 및 제3 촬영부(55)로부터 이착륙 지점에 관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고 정확한 이착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무인 비행체(100)는 랜딩기어(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랜딩기어(60)는 기체(10)의 하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고, 기체(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납되어 기체(10)의 이착륙 시 지면에 대하여 기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랜딩기어(60)는 기체(10)의 둘레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기체(10)의 하면에는 랜딩기어(60)에 대응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기체(10)와 랜딩기어(60)가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한 개폐부(13)와 동일하게 기계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랜딩기어(60)는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따라 기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기체(10)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다. 즉, 각 랜딩기어(60)는 힌지(미도시) 등을 통해 기체(1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힌지는 기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부(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모터(미도시)등과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제어부(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기체(10)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랜딩기어(60)의 외면은 기체(10)의 외형과 연속되는 외형을 이루도록, 유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랜딩기어(60)의 단부에는 감지부(6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체(10)의 착륙 시 지면에 접하는 랜딩기어(60)의 단부에는 기체(10)의 기울기 및 기체(10)의 착륙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6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61)가 지면을 향하여 전송한 전파가 지면에 반사되어 다시 감지부(61)로 전송되었을 경우, 감지부(61)에 연결된 제어부(30)는 랜딩기어(60)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었다고 판단하여, 기체(10)가 완전히 착륙된 상태로 인지하고 구동부(20)의 구동을 종료한다.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61)가 지면을 향하여 전송한 전파가 일정시간 내에 감지부(61)로 전송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30)는 랜딩기어(60)가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었다고 판단하여, 기체(10)의 착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인지하고 구동부(20)의 회전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기체(10)에는 충전수단(1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체(10)의 외면에는 전원부(40)에 연결되어 외부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전원부(40)를 충전시키는 충전수단(17)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수단(17)은 기체(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태양열을 전기로 전환하는 태양전지패널 또는 기체(10)의 비행 시 기체(10)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를 전기로 전환하는 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체(10)의 하측에 설치된 개폐부(13)의 내부에는 코어부재(13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개폐부재(133)의 내부에는 본 무인 비행체(100)에 추 역할을 하는 코어부재(135)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시 기체(10)에 바람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무게중심이 기체(10)의 중심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기체(10)가 쉽게 흔들리거나 뒤집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지상에 착륙할 경우에도 바람에 의해 착륙지점을 이탈하거나, 착륙한 후 바람에 의해 기체(10)에 뒤집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무인 비행체(100)는 스커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커트(70)는 기체(1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설치되며, 기체(10)의 외형과 연장되도록 유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커트(70)는 기체(10)의 둘레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며, 각 스커트(70)의 일 측에는 기체(10)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체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커트(70)는 기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커트(70)는 기체(10)의 단부에 결합되어 기체(10)의 외면과 연속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되, 기체(10)의 외측(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기체(10)가 외부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커트(70)의 단부는 기체(10)의 이착륙 시 지면에 지지되는 랜딩기어(60)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랜딩기어(60)와 함께 기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으로 기체(10)를 지면에 지지하여, 기체(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기체(10)가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기체(10)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점멸등(8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체(10)의 비행 시 지면을 향하는 기체(10)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점멸등(8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각 점멸등(80)은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30)의 제어명령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점멸등(80)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빛을 조사하여 점멸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무인 비행체(100)는 사고발생위치 또는 위급상황 발생위치의 상공에서 상기 점멸등(80)을 작동하여, 주변에 위험상황을 알릴 수 있다.
특히,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의 경우, 지상이 아닌 공중에서 위험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후속차량이 멀리에서도 사고유무를 감지 가능하여 미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추가 사고가 발생될 확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 및 하면이 대칭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물품이 적재 가능한 수용공간(10a)이 형성되며, 내측에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가 설치 가능한 복수개의 관통공(113)이 형성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동부(20)를 보호할 수 있고, 물품을 안전하게 목표지점까지 전달할 수 있으며,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비행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체(10)의 상, 하부에는 개폐 가능한 개폐부(13)가 형성되고, 기체(10)에는 개폐부(13)를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증 수단(15)이 구비됨에 따라,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목적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개폐부(13)를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하고, 비행 시 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는 기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113)에 설치됨에 따라, 프로펠러(23)가 회전되어 기체(10)를 들어 올릴 경우, 프로펠러(23)의 후방으로 밀려나는 공기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관통공(113)을 통해 집중적으로 프로펠러(23)의 후방으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보다 높은 비행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무인 비행체
10. 기체 10a. 수용공간
11. 몸체부
111. 날개 113. 관통공
13. 개폐부
131. 제1 개폐부재 133. 제2 개폐부재
135. 코어부재
15. 사용자 인증 수단 17. 충전수단
20. 구동부
21. 동력발생부 23. 프로펠러
25. 지지부재
30. 제어부
40. 전원부
50. 영상획득부
51. 제1 촬영부 53. 제2 촬영부
55. 제3 촬영부
60. 랜딩기어
61. 감지부
70. 스커트
80. 점멸등

Claims (10)

  1. 상면 및 하면이 대칭되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접시 또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물품이 적재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측 및 하측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기체,
    상기 기체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회전을 통하여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2. 제1항에서,
    상기 기체는
    내부가 관통되고, 둘레에 고리형상의 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재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측 개구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3. 제2항에서,
    상기 기체는
    상기 개폐부를 상기 기체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기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4.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그리고
    상기 기체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부를 상기 기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5. 제2항에서,
    상기 기체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지상 및 상기 기체 주변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그리고
    상기 기체의 하면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기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수납되어 상기 기체의 이착륙 시 지면에 대하여 상기 기체를 지지하는 랜딩기어
    를 더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6. 제5항에서,
    상기 영상획득부는
    상기 날개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기체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1 촬영부,
    상기 기체의 하측에 설치된 개폐부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기체의 하측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2 촬영부, 그리고
    상기 기체의 상측에 설치된 개폐부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상기 기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기체의 상측에 관한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제3 촬영부
    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7. 제5항에서,
    상기 랜딩기어의 단부에는
    상기 기체의 기울기 및 상기 기체의 착륙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설치되는 무인 비행체.
  8. 제1항에서,
    상기 기체의 외면에는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어 외부 환경 요인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를 충전시키는 충전수단이 구비되는 무인 비행체.
  9. 제2항에서,
    상기 기체의 하측에 설치된 개폐부의 내부에는 코어부재가 설치되는 무인 비행체.
  10. 제5항에서,
    상기 기체의 둘레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기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체의 이착륙 시 상기 랜딩기어와 함께 상기 기체를 지지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KR1020190059758A 2019-05-21 2019-05-21 무인 비행체 KR20200134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58A KR20200134390A (ko) 2019-05-21 2019-05-21 무인 비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758A KR20200134390A (ko) 2019-05-21 2019-05-21 무인 비행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390A true KR20200134390A (ko) 2020-12-02

Family

ID=7379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758A KR20200134390A (ko) 2019-05-21 2019-05-21 무인 비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3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103B1 (ko) 2015-08-27 2016-04-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락사고 방지 드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103B1 (ko) 2015-08-27 2016-04-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락사고 방지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0737B2 (en) High speed multi-rot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10676180B2 (en) Multi-rotor personal air vehicle with a central lifting fan
US10647419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US10112694B2 (en) Self-righting aeronautical vehicle and method of use
US20170247110A1 (en) Unmanned aerial system
US10081424B2 (en) Flying car or drone
US8434710B2 (en) Aircraft
US8827200B2 (en) Flying vehicle
US7959104B2 (en) Flying device with improved movement on the ground
EP2356022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method
US2017025332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a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thereof
AU2016256294B2 (en) Intelligent docking system with automated stowage for uavs
KR101564380B1 (ko) 무인비행체
CN112004746A (zh) 自主飞行救护车
KR20180026373A (ko) 항공 수송용 어셈블리
US20060284002A1 (en) Unmanned Urban Aerial Vehicle
US10597153B1 (en) Heliplane craft
RU2674742C1 (ru) Авиационный ракетный комплекс с беспилотным ударным вертолетом-самолетом
EP4255804A1 (en) Steerable dependent vehicl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RU179906U1 (ru) Модульный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злета и посадки
KR101621210B1 (ko) 틸트-큐브 무인기
KR20200134390A (ko) 무인 비행체
CN109533306B (zh) 一种全角度视觉隐身飞行器
CN112124592B (zh) 一种可以垂直升降的盘式飞行装置
EP2868577B1 (en) Remotely controllable airplane adapted for belly-la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