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416A -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 Google Patents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416A
KR20200132416A KR1020190057904A KR20190057904A KR20200132416A KR 20200132416 A KR20200132416 A KR 20200132416A KR 1020190057904 A KR1020190057904 A KR 1020190057904A KR 20190057904 A KR20190057904 A KR 20190057904A KR 20200132416 A KR20200132416 A KR 2020013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case
light
easy storage
te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윤
Original Assignee
이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윤 filed Critical 이지윤
Priority to KR102019005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416A/ko
Publication of KR2020013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spectacles frame o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글라스이 수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외부물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가 외부물체와 결합할 수 있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Sunglasses case for easy storage of sunglasses}
본 발명은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유닛이 구비되어 외부물체와 결합할 수 있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선글라스케이스는 선글라스의 파손이나 분실을 막고, 먼지나 이물질등의 오염원으로부터 선글라스와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선글라스케이스는 종래의 것으로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되는 것으로 구비되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힌지 또는 경첩이 구비되고, 결합 개폐부 선단에는 후크와 걸림턱을 형성하여 선글라스케이스의 기밀을 유지하므로써 수납되는 선글라스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선글라스케이스는 부피나 크기가 커서 외부물체에 부착되어 사용되어 사용하기에 불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된 선행기술은 선글라스케이스(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569호(1999.01.15))로 상기 선행기술은 선글라스 수취부 후면의 높이가 전면의 높이보다 높게 이루어지고, 전면 중앙 상측이 굴곡지게 형성된 굴곡부와 수취부 하단 중앙에 형성된 돌출턱과, 그 후면에 천이 부착되고, 상기 선글라스케이스 배면에는 각도조절부가 연결되는 연결판과, 그 각도조절부의 후면에 삽입홈과, 그 삽입홈에 삽입되는 흡착고무의 삽입돌기로 이루어지며, 선글라스케이스 배면에 흡착고무를 형성하여 상황이나 장소에 따라 알맞은 위치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공에 삽입된 결합봉이 상,하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위치나 자세 등을 고려한 후 알맞은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알맞은 위치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물체 또는 특정한 물체와 결합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569호: 선글라스케이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연결유닛이 구비되어 선글라스케이스와 외부물체가 결합할 수 있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글라스이 수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외부물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립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케이스부와 인접하는 타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을 갖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절개홈을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이 삼각형 형상으로 갖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제2 체결부가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절개홈을 통과하여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선글라스렌즈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선글라스의 템플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수용되어 선글라스렌즈를 감싸는 선글라스수용덮개부와,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된 선글라스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선글라스렌즈의 일부를 감싸는 이탈방지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는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하기 위한 템플고정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템플고정부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수용된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상단에서 연장되어 스트립상으로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템플고정구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수용된 선글라스의 템플이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할 수 있도록 펼친상태에서 일측을 눌러 가압하면 감기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는 상기 이탈방지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1 커버부재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와 함께 선글라스렌즈를 감싸는 제2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1 커버부재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내장되어 있어서 상호간 자력(磁力)결합 할 수 있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는 각각 자석이거나,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글라스렌즈를 소독할 수 있도록 선글라스렌즈를 향해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이 조사되는 발광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는 수용된 선글라스렌즈를 소독할 수 있도록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선글라스이 수용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가 결합하는 것을 감지하는 선글라스센서와, 상기 발광램프에서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글라스센서에 의해 선글라스렌즈가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가 상호 결합한 것을 감지하면, 소정시간동안 발광램프를 점등시킨다.
상기 발광부는 수용된 선글라스렌즈를 소독할 수 있도록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서 조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광부에 수광된 광이 도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광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램프가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때 상기 조사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이 광섬유를 통해 도광하며, 상기 광섬유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광을 발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는 외부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립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체결되는 체결부가 포함되어 상기 케이스부가 외부물체가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부와 선글라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안개수용덮개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가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의 다른 실시예가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발광램프가 선글라스렌즈를 향해 조사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부와 선글라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안개수용덮개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가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템플고정부의 다른 실시예가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의 발광램프가 선글라스렌즈를 향해 조사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광섬유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선글라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글라스렌즈(22)와, 선글라스렌즈(22)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선글라스프레임(24)과, 상기 선글라스프레임(24)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려 장착되는 선글라스템플(26)이 구비된 선글라스(20)을 말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하기의 도 1 내지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글라스 케이스에만 적용되도록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안경케이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10)는 선글라스(20)이 수용되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케이스부(100)를 외부물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100)는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와 이탈방지덮개부(120)을 포함한다.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는 선글라스(20)의 템플(26)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수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또는 먼지로부터 선글라스렌즈(22)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선글라스렌즈(22)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글라스렌즈(22)를 감싼다.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는 상기 이탈방지덮개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버부재(112)와, 상기 제1 커버부재(112)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112)와 함께 선글라스렌즈(22)를 감싸는 제2 커버부재(114)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덮개부(120)는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의 선글라스렌즈(22)가 수용된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된 선글라스(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글라스렌즈(22)의 하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선글라스렌즈(22)의 일부를 감싼다.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케이스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립상의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체결되는 체결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220)는 제1 체결부(222)와, 제2 체결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부(222)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210)의 상기 케이스부(100)와 인접하는 타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222a)을 갖는다.
상기 제2 체결부(224)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절개홈(222a)을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222a)은 상기 제2 체결부(224)가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224)가 상기 절개홈(222a)을 통과하여 고정되며, 따라서 상기제2 체결부(224)가 외부물체를 체결하고, 상기 삼각형 형상인 제2 체결부(224)의 절개홈(222a)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부(100)과 외부물체와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220)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2 체결부(224)의 일단에 원형의 단추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의 단추가 상기 절개홈(222a)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222)와 상기 제2 체결부(224)에 똑딱이 단추 또는 밸크로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내지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템플고정부(3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상기 템플고정부(300)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에 수용된 선글라스(20)의 템플(26)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100) 상단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스트립상으로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템플고정부(300)는 상기 케이스부(100)의 제1 커버부재(112) 상단의 중앙에서 스트립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100)의 제2 커버부재(114) 상단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케이스부(100)의 제2 커버부재(114) 상단의 중앙에서 스트립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100)의 제1 커버부재(112) 상단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템플고정부(300)는 선글라스(20)의 템플(26)을 파손되지 않도록 재질이 플렉서블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에 수용된 선글라스(20)의 템플(26)이 펼쳐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템플(26)이 파손되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템플고정부(4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템플고정구(400)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에 수용된 선글라스(20)의 템플(26)이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글라스(20)의 템플(26)을 고정할 수 있도록 펼친상태에서 일측을 눌러 가압하면 감기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템플고정구(400)는 상기 선글라스(20)의 템플(26)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에 수용된 선글라스(20)의 템플(26)이 펼쳐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템플(26)이 파손되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1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제1 커버부재(112)와 상기 제2 커버부재(114)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호간 자력(磁力)결합 할 수 있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1 결합부재(132)와 제2 결합부재(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부재(132)와 제2 결합부재(134)는 각각 자석이거나,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커버부재(112)와 상기 제2 커버부재(114)가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선글라스(20)에 발생하는 외력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선글라스렌즈(22)가 오염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 11 내지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5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500)는 상기 제2 커버부재(11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광램프(510)와, 수광부(520)와, 선글라스센서(530)와, 전원공급부(540)와, 제어부(55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10)에 설치되는 광섬유(215)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램프(510)는 수용된 선글라스렌즈(22)를 소독할 수 있도록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선글라스렌즈(22)를 향하여 조사한다.
상기 수광부(520)는 상기 광섬유(215)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광램프(510)에 의해 조사되는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을 상기 광섬유(215)로 도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글라스센서(530)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에 선글라스이 수용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132)와 상기 제2 결합부재(134)가 결합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광섬유(215)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광부(550)에 수광된 광이 도광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광섬유(215)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광을 발산한다.
상기 전원공급부(540)는 상기 발광램프(5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공급부(540)는 상기 발광램프(510), 상기 수광부(520), 상기 선글라스센서(530), 상기 광섬유(215), 상기 전원공급부(540), 상기 제어부(5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열한 구성들은 전원공급부(540)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자체 내장된 전력을 사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550)은 상기 발광램프(510)에서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520)에 의해 전원이 상기 발광램프(510)로 공급되면 상기 선글라스센서(530)가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110)에 연경렌즈(22)가 수용되어 있는지 감지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132)와 상기 제2 결합부재(134)가 상호 결합한 것을 감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50)는 소정시간동안 상기 발광램프(510)가 수용된 선글라스렌즈(22)에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제어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로 오염되어 있는 선글라스렌즈(22)를 소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결합부재(132)와 상기 제2 결합부재(134)가 상호 결합되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선글라스렌즈(22)가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40)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발광램프(510)을 점등시켜 선글라스렌즈(22)를 소독하므로, 효율적인 전원의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이때, 상기 수광부(550)는 상기 발광램프(510)에 의해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때 상기 조사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이 상기 광섬유(215)를 통해 도광하여 상기 광섬유(215)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광을 발산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섬유(215)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광이 발산되는 것을 보고 상기 발광램프(510)가 광을 조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100)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210)에 상기 광섬유(215)가 구비되므로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20: 선글라스 22: 선글라스렌즈
24: 렌즈프레임 26: 템플
100: 케이스부 110: 선글라스수용덮개부
112: 제1 커버부재 114: 제2 커버부재
120: 이탈방지덮개부 130: 결합부
132: 제1 결합부재 134: 제2 결합부재
200: 연결유닛 210: 연결부재
215: 광섬유 220: 체결부
222: 제1 체결부 222a: 절개홈
224: 제2 체결부 300, 400: 템플고정부
500: 발광부 510: 발광램프
520: 수광부 530: 선글라스센서
540: 전원공급부 550: 제어부

Claims (12)

  1. 선글라스이 수용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외부물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립상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케이스부와 인접하는 타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을 갖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절개홈을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이 삼각형 형상으로 갖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제2 체결부가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절개홈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선글라스렌즈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선글라스의 템플이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수용되어 선글라스렌즈를 감싸는 선글라스수용덮개부와;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된 선글라스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선글라스렌즈의 일부를 감싸는 이탈방지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는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하기 위한 템플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고정부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수용된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 상단에서 연장되어 스트립상으로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고정구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수용된 선글라스의 템플이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글라스의 템플을 고정할 수 있도록 펼친상태에서 일측을 눌러 가압하면 감기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는
    상기 이탈방지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1 커버부재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와 함께 선글라스렌즈를 감싸는 제2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하단과 상기 제1 커버부재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내장되어 있어서 상호간 자력(磁力)결합 할 수 있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는 각각 자석이거나, 하나는 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금속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글라스렌즈를 소독할 수 있도록 선글라스렌즈를 향해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이 조사되는 발광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는 수용된 선글라스렌즈를 소독할 수 있도록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선글라스이 수용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가 결합하는 것을 감지하는 선글라스센서와;
    상기 발광램프에서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글라스센서에 의해 선글라스렌즈가 상기 선글라스수용덮개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가 상호 결합한 것을 감지하면, 소정시간동안 발광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수용된 선글라스렌즈를 소독할 수 있도록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서 조사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광부에 수광된 광이 도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광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램프가 살균이 가능한 파장대의 광을 조사할 때 상기 조사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수광된 광이 광섬유를 통해 도광하며, 상기 광섬유의 표면을 통해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KR1020190057904A 2019-05-17 2019-05-17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KR20200132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04A KR20200132416A (ko) 2019-05-17 2019-05-17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904A KR20200132416A (ko) 2019-05-17 2019-05-17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16A true KR20200132416A (ko) 2020-11-25

Family

ID=7364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904A KR20200132416A (ko) 2019-05-17 2019-05-17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4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69A (ko) 1997-06-16 1999-01-15 구자홍 공조기의 팬모터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69A (ko) 1997-06-16 1999-01-15 구자홍 공조기의 팬모터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707B1 (ko) Led 마스크
US4970631A (en) Headband device for holding flashlight
US20080298048A1 (en) Headlamp with detachable led flashlight
GB0227894D0 (en) Image projection device with an integrated photodiode light source
KR20130074068A (ko) 자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살균 휴대폰 케이스
CN110915707A (zh) 宠物护理装置和用于控制宠物护理装置的方法
US7926938B2 (en) Hang-on eyeglasses
US9669234B2 (en) Light-beam therapeutic apparatus
US20220023464A1 (en) Ultraviolet irradiator
KR20200132416A (ko) 선글라스의 보관이 용이한 선글라스케이스
EP3378533B1 (en)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e
KR101930993B1 (ko) 용접 마스크용 조명장치
US20210077825A1 (en) Skin care apparatus using light
US6848804B2 (en) Head-mounted light
KR102516302B1 (ko) 다부위에 적용가능한 플라즈마 다기능 조사기
KR102444564B1 (ko) 안면보호구용 조명장치
KR20160138615A (ko) 다용도 휴대용 랜턴
KR20200109661A (ko) 광치료 장치
KR102155459B1 (ko) 휴대폰용 충전 및 살균 거치대
US20070049098A1 (en) Optical connector
GB2369194A (en) Safety goggles with built in light source
KR20240069313A (ko) Uvc led 램프기능 스마트폰
KR200463289Y1 (ko) 의료용 조명장치
KR200221260Y1 (ko) 적외선등 치료기
KR20220052114A (ko) 자동 충전 및 살균이 가능한 투명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