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994A -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994A
KR20200131994A KR1020190056728A KR20190056728A KR20200131994A KR 20200131994 A KR20200131994 A KR 20200131994A KR 1020190056728 A KR1020190056728 A KR 1020190056728A KR 20190056728 A KR20190056728 A KR 20190056728A KR 20200131994 A KR20200131994 A KR 2020013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wax
user
head
ear ca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로지랩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9005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1994A/en
Publication of KR2020013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9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61M13/003Blowing gases other than for carrying powders, e.g. for inflating, dilating or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 A61M2205/10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powered movement mechanisms recipro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earwax comprising: a pocket part including a collection hole and a discharge hole; a head par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hole and having one or more air injection holes; and a pump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iscomfort that a user can feel due to air pressure which can be applied to the eardrum.

Description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TECHNICAL FIELD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성귀지, 지성귀지 및 동물의 귀지를 자동으로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스크러빙 헤드가 전후진되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and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in which a scrubbing head that can safely and effectively remove dry earwax, oily earwax and animal earwax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귀지는 생리학적으로 귀를 통해 침입할 수 있는 외부 박테리아와 세균의 침입을 억제하여 감염을 최소화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Earwax physiological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minimizing infection by inhibiting the invasion of external bacteria and bacteria that can invade through the ear.

이러한, 귀지는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아도 사람이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을때 자연스럽게 턱관절 및 주변 근육들을 움직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귓속(외이도, ear canal) 피부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귓속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와 피부의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서서히 귓속에서 바깥으로 밀려 나오게 되어있다. 따라서, 의학적으로는 귀지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Even if the earwax is not removed artificially, it naturally moves the jaw joint and surrounding muscles when a person speaks or chews food, so this causes movement of the skin in the ear (ear canal) and easily detaches from the skin inside the ear. Is gradually pushed out of the ear due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refore, medically, it is not recommended to remove earwax artificially.

이는 귀지를 제거할 경우 귓속 깊은 곳 까지 제거 도구를 삽입하여 제거하려는 경향이 있어 최소한으로 필요한 양의 귀지마저도 제거할 수 있으며, 면봉과 같이 도구의 끝이 귓구멍을 모두 막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도구의 경우 도구를 귓속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귀지를 귓속 깊은 곳으로 밀어 넣어 그에 대한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re is a tendency to remove earwax by inserting a removal tool deep into the ear when removing earwax, so that even the minimum required amount of earwax can be removed, and the tip of the tool, such as a cotton swab, is large enough to cover all the ear holes.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ool into the ear, the risk of causing side effects is increased by pushing the earwax deep into the ear.

그러나, 이러한 의학적인 이해와 권고에도 불구하고, 귀지 제거는 개인위생과 관련된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에 가까우며 특히, 의학적인 설명과는 다소 다르게 인위적인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매우 오랫동안 귓속에 머물기 때문에 답답함과 이물감 내지 움직일 경우 피부자극 등을 줄 수 있어 귓속의 귀지 양이 어느 정도 누적되면 제거하고 싶은 욕구가 매우 커지는 게 일반적이다.However, despite these medical understandings and recommendations, earwax removal is close to a matter of personal choice related to personal hygiene, and especially, if artificial removal is not performed somewhat differently from medical explanation, it stays in the ear for a very long time, resulting in frustration and feeling of foreign body. It is common for the desire to remove very large when the amount of earwax in the ear accumulates to a certain extent because it can cause skin irritation if the body moves.

이러한 이유로,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문화권 사람들은 오랜 시간 동안 귀지를 제거 해 왔으며 현재에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주기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고 있다.For this reason, most cultur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removing earwax for a long time, and even today, most people around the world regularly remove earwax from their daily lives.

이러한 귀지제거에 대한 일반적인 욕구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귀지제거에 사용되는 전통적인 형태의 귀이개 및 면봉 또는 그와 유사한 귀지제거 도구들은 사용자 본인이 귓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감각에 의존하여 귀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자신의 귀지를 스스로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세밀한 힘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고령자 및 어린 아이들의 경우, 도구의 조작 실수로 인해 귓속 피부 표면에 무리한 힘을 가해 피부의 상처나 염증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구를 필요 이상 깊이 삽입할 경우 귀 고막의 손상이나 천공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Despite the general desire for earwax removal, traditional earpicks and cotton swabs or similar earwax removal tools sold in the world market depend on the senses since the user cannot directly see the inside of the ear. Because it removes earwax, there is a limit in removing your earwax effectively and safe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derly and young children who have relatively poor ability to control the fine force, exc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kin in the ear due to a mistake in the manipulation of the tool, resulting in skin injury or inflammation.If the tool is inserted deeper than necessary, the ear In some cases, damage or perforation of the eardrum may occur.

귓속 내부를 스스로 볼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USB형 소형 카메라를 내장한 귀지제거 도구가 개발되었으나, 스스로 볼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귀지를 완전히 제거하고자 하는 동기가 증폭될 수 있어 필요 이상의 귀지를 제거하려는 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수동조작으로 귀지를 제거하므로 조작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고령자 및 어린이의 사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see the inside of the ear by itself, a tool for removing earwax with a built-in USB-type small camera was recently developed, but the fact that you can see it by yourself can amplify your motivation to completely remove earwax, so you can remove more than necessary earwax. There is a drawback in that the psychology of trying to do so can work. Moreover, since the earwax is removed by manual operation, the safety of the operation is not secured, so the safety problem for the use of the elderly and children is still not resolved.

또한, 귀지의 수동제거의 불편함을 진공흡입 방법을 통해 자동제거의 형태로 상시키며 동시에 제거도구의 끝이 귓속 깊은 곳을 들어갈 수 없도록 안전하게 설계된 진공흡입방식의 귀지 제거기의 경우 진공 흡입력을 충분히 만들어 주어야 하므로 흡입 진공압력을 충분히 높이거나 흡입구의 면적을 충분히 작게 할 수 밖에 없다. 진공압력을 올리는 것은 고막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압력 수준만을 사용할 수 있어 흡입구의 면적을 작게 하여 흡입력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귓속 내부의 귀지 위치에 정확이 흡입구를 맞추지 못 할 경우 흡입압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매우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acuum suction type earwax remover designed safely so that the tip of the removal tool cannot go deep into the ear at the same time, the inconvenience of manual removal of earwax is overcome in the form of automatic removal through the vacuum suction method. As it must be provided, the suction vacuum pressure must be sufficiently increased or the suction port area must be sufficiently small. Increasing the vacuum pressure can increase the potential risk of damaging the eardrum, so only the minimum pressure level can be used, and thus the suction power is relatively increased by reducing the area of the suction port. Therefore, if the suction port is not accurately aligned with the earwax position inside the ear, the suction pressure is very small, so the removal efficiency is very low.

또한, 전통적인 형태의 귀이개는 그 끝단이 수 mm의 직경을 갖는 숟가락(spoon)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건성 및 지성의 귀지를 떼어내기에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끝단과 연결된 손잡이 부분 또한 수 mm 내외로 매우 얇고 긴 구조로 되어 귓속으로 삽입하는데 매우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재질은 주로 금속과 나무, 플라스틱 등의 대체로 단단한 재질을 가지고 있어 도구의 끝단을 귓속 피부표면에 접촉시켜 피부표면에 충분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ip of the traditional earpick has a shape similar to a spoon having a diameter of several mm, it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remove dry and oily earwax, and the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end is also around several mm. It has a very thin and long structure and is designed to be very easy to insert into the ear. The material is mainly made of hard material such as metal, wood, and plastic, so a material that can apply sufficient force to the skin surface by contacting the tip of the tool with the skin surface inside the ear is used.

그러나 이러한 끝단구조와 재질은 피부표면에 상당히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끝단구조의 피부표면과의 접촉부분은 주로 숟가락 구조의 모서리(edge) 부분이 되며 이때 접촉부분에 가해지는 힘은 수 백 g 내지 수 kg 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순간 수에서 수십 MPa 수준의 높은 압력이 피부 표면에 가해 질 수 있다.However, these end structures and materials can exert a fairly high pressure on the skin surface. The contact part with the skin surface of the end structure is mainly the edge part of the spoon structure. At this time, the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part is in the range of several hundred g to several kg. It can be applied to the skin surface.

따라서, 피부표면에 가해지는 힘 조절을 세밀하게 하지 못할 경우 큰 통증과 함께 피부 표면의 손상으로 인한 염증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귓속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대체로 감각에 의존하여 귀지를 제거하며 다른 사람이 제거해 준다고 해도 시야에 한계가 커 사실상 대체로 감각에 의존하거나 귓구멍 바깥쪽에서 보이는 부분의 귀지만 제거할 수밖에 없다. 특히, 피부의 상태가 좋지 않아 외부 자극에 매우 예민해져 있는 사람의 경우나, 자극에 더 민감한 고령자나 어린이의 경우 매우 큰 자극으로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안락한 귀지제거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Accordingly, if the force applied to the skin surface is not precisely controlled, inflammation may occur due to damage to the skin surface with great pain. Moreover, since the ear can't be seen directly, it usually relies on the senses to remove the earwax, and even if someone else removes it, the visual field is limited, so in fact, it is almost entirely dependent on the senses, or only the ear that is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ear hole has to be remov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ople who are very sensitive to external stimuli due to poor skin condition, or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or children who are more sensitive to stimulus, it can be felt as a very large stimulus, so it automatically removes earwax with little irritation to the ski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very comfortable earwax removal tool that can be done.

한편, 서양인들 중 백인 (caucasian) 의 924% 와 흑인 (negroid)의 969%, 유럽인구의 98% 는 동양인과 달리 왁스 형태의 지성귀지 (wet earwax)를 가지고 있으며 65세 노인의 약 50%는 수개월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귀지에 의해 귀가 완전히 막히는 이구전색 (cerumen impaction)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J Am Acad Audiol 1997 8(6) 391-400)On the other hand, 924% of Caucasians and 969% of Negroids of Westerners, 98% of Europeans have wet earwax in wax form unlike Asians, and about 50% of 65-year-olds He complains of symptoms of cerumen impaction in which ears are completely blocked by earwax periodically once every several months (J Am Acad Audiol 1997 8(6) 391-400).

이구전색의 증상은 기본적으로 귀가 매우 답답함을 느끼며 이비인후과적인 보고에 의하면 약 20 dB 의 청각손실이 발생돼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노인들의 일상생활의 큰 장애로 작용하여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귀지를 제거하는 서비스를 받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구전색 증상을 보이는 고령층에 대한 이구전색의 예방을 위해 일정 기간 내의 사용자의 귀지제거 횟수 등을 모니터링하여 귀지제거에 대한 개인위생 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귀지 제거장치에 대한 기술적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s for the symptoms of the ear infection, the ear is basically feeling very tight. According to an otorhinolaryngology report, a hearing loss of about 20 dB occurs, which can cause a major problem in communication, which acts as a major obstacle in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and visits the hospital regularly. It is known that economic losses are also significant because they receive a service to remove earwax.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ical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earwax removal device capable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for earwax removal by monitor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s earwax removal within a certain period in order to prevent earwax removal in the elderly who show signs of earwax spread.

한편, 개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의 경우는 사람과 달리 주기적인 귀지제거가 권고되고 있다. 애완동물의 귀지제거에는 크게 면봉형태의 기계적인 도구와 액체 형태의 귀지 용해제가 사용되고 있다. 사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액체형태의 귀지 용해제가 권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역시 사용의 불편함이 적지 않아 주로 면봉형태의 기계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면봉형태의 도구를 사용할 경우 도구의 삽입 시 귀지를 귓속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부작용이 있으며 사용자가 느낌과 감각에 의존해 안전한 깊이만큼 삽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안전한 깊이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과 편리성, 애완동물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형태의 귀지제거 도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Meanwhile, in the case of pets such as dogs and cats, periodic removal of earwax is recommended, unlike humans. To remove earwax from pets, a mechanical tool in the form of a cotton swab and an earwax dissolving agent in a liquid form are largely used. As in the case of humans, a liquid type of earwax dissolving agent is recommended, but this method is also less inconvenient to use, so there are many cases of using a mechanical tool in the form of a cotton swab. However, when using a cotton swab type tool, there is a side effect of pushing the earwax into the ear when the tool is inserted,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insert it to a safe depth depending on the feeling and sensa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of a tool for removing earwax in a form that allows the pet to feel comfortable, as well as safety and convenience that can be used by setting a safe dep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t.

한국공개특허 10-2011-008769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8769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removing earwax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거홀 및 배출홀을 포함하는 포켓부; 수거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을 갖는 헤드부; 및 공기 분사홀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마련된 펌프; 를 포함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cket portion including a collection hole and a discharge hole; A head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hole and having one or more air injection holes; And a pump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It provides an earwax removal device comprising a.

또한, 공기 분사홀은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 측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수거홀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면, 공기 분사홀로 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며 수거홀 및 배출홀을 따라 차례로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hole is formed so that the outflowing air flows toward the collection hole, and when the collection ho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ar of the use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flows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user's ear canal and follows the collection hole and the discharge hole. It can be arranged to pass in turn.

또한, 공기 분사홀은, 가상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중심축선과 45도 내지 9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jection hole may be formed to have an angle of 45 degrees to 90 degrees with the central axis based on the virtual central axis.

또한, 헤드부는 소정 길이를 갖고, 공기 분사홀과 연결된 공기 통로를 갖는 유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include a flow path member having an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hole.

또한, 헤드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외이도 벽면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bent toward the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so that at least a partial region contacts the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또한, 헤드부는 공기 분사홀을 갖고,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may include a scrubbing head having an air injection hole and contacting a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또한,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motor for rotating the head.

또한, 모터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may be a step motor.

또한,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 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provided to move the head unit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 구동부는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linear guide.

또한, 헤드부와 연결되며,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and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move the head portion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사용자의 장치 사용 정보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user recognition unit provided to store and recognize the user's device usage information.

또한,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이동하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각도가 5°내지 20°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unit can provide an earwax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sector (Unit sector) angle for moving the wall surface of the ear canal is controlled to be 5 ° to 20 °.

또한,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스크러빙 속도가 5 mm/s 내지 50 mm/s 가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unit may provide an earwax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ubbing speed for scrubbing the wall of the ear canal is controlled to be 5 mm/s to 50 mm/s.

또한,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라운드접촉면의 폭은 05 mm 내지 2 mm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round contact surface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for scrubbing the wall of the ear canal may provide an earwax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width of 05 mm to 2 mm.

또한,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라운드접촉면에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rwax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micro pattern is provided on a round contact surface that is provided on the head and scrubs the wall of the ear canal.

본 발명에 따르면,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고막으로 직접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a problem in which pressure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eardrum by discharging air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ar hole (the collection hole side).

따라서, 고막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iscomfort that a user may feel due to the air pressure that may be applied to the eardrum.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를 토출 시킴으로써, 세안 및 목욕 시, 사용자의 귓속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귓속 바깥으로 제거하고,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discharging ai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user's ear and evaporating it during washing and bath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가 스크러빙 동작 및 공기 분사를 동시에 함으로써, 건성 귀지 및 지성 귀지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dry earwax and oily earwax by the head unit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scrubbing operation and air inj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연령 등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구동부를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such as the user's age, the driving unit can be used by selecting an automatic mode or a manual mo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장치 내부 및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하고, 이를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저장된 자신의 사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해 음성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적당한 경고나 제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stored inside the device and on the online network, and the stored usage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analyzes the user's information by means of voice and tex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give appropriate warnings or sugges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수용부재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부분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헤드부를 나타낸 모식도 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내부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모션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removing earwa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wax receiv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earwa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earwa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earwa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the motion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mponent member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re exaggerated or reduced. Can b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은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예시적인 본 발명의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귀지를 자동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10, and according to an exemplary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afely and efficiently removing various types of earwax.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의 분해 사시도 이다.1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귀지 제거 장치(10)는 포켓부(100), 헤드부(200) 및 펌프(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cket portion 100, a head portion 200, and a pump 300.

상기 포켓부(100)는 수거홀(111) 및 배출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cket part 100 may include a collection hole 111 and a discharge hole 121.

또한, 상기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201)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art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11 and may be provided to have one or more air injection holes 201.

또한, 상기 펌프(300)는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Further, the pump 300 may supply air to outflow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여기서, 상기 펌프(300)는 에어 펌프(Air Pump) 또는 에어 팬(Air Fan)일 수 있다.Here, the pump 300 may be an air pump or an air fa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0)는, 포켓부(100)와 연결 장착되는 본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arwax remov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part 400 connected to the pocket part 100 and mounted.

상기 본체부(400)는 일측에 마련된 개구홀(401) 및 개구홀(401)과 연결된 소정 공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part 400 may be provided to have an opening hole 401 provided on one side and a predetermined space connected to the opening hole 401.

또한, 상기 포켓부(100)는 사용자의 귓구멍에 접촉 지지되는 수거홀(111)을 갖는 접촉부재(110) 및 배출홀(121)을 갖는 귀지수용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포켓부(100)는, 접촉부재(110)와 본체부(40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cket part 100 may include a contact member 110 having a collection hole 111 supported in contact with a user's ear hole and a earwax receiving member 120 having a discharge hole 121. In addition, the pocket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member 130 connecting the contact member 110 and the body portion 4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재(110)는 수거홀(111) 및 수거홀(111)의 반대방향에 형성된 장착홀(112)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11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수거홀(111)에서 장착홀(112) 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act member 110 may have a collection hole 111 and a mounting hole 112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llection hole 111. The contact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so as to be inclined so as to increase a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collection hole 111 toward the mounting hole 112.

상기 접촉부재(110)는 일 예로, 원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act member 110 may be, for example, a con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상기 수거홀(111)은 귓구멍에 삽입되어 귓구멍 측 내부 벽면과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어폰이 귓구멍에 삽입되는 정도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llection hole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ear hole to make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ar hole side. For example, a contact can be made such that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 hole.

여기서, 상기 접촉부재(11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무재질은 예를 들어, 일반고무, 합성고무, 연질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contact member 11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rubber material may include, for example, general rubber, synthetic rubber, and soft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사용자의 귓구멍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수거홀(111)을 갖는 접촉부재(110)를 고무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귓구멍에 보다 밀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by forming the contact member 110 having the collection hole 111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ear hole made of a rubber material, there is an effect of more closely contacting the user's ear hole.

상기와 같이 귓구멍에 밀착된 수거홀(111)에 의해 외이도 벽면으로부터 제거된 귀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Earwax removed from the wall of the ear canal by the collection hole 111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hole as described above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may be more easily introduced into the device.

이에 더하여, 상기 귀지수용부재(120)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배출홀(121) 및 일단부가 개구된 개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may include a discharge hole 121 provided for discharging air and an opening 122 with an open end thereof.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수용부재(120)의 사시도 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wax receiving memb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써, 상기 귀지수용부재(120)는 일단부가 개구된 개구부(122)를 갖고, 개구부의 반대방향에 배출홀(121)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an embodiment,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may have an opening 122 with an open end thereof, and a discharge hole 121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상기 배출홀(121)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출홀(121)에는 메쉬 형태의 메쉬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may be formed, and a mesh member (not shown) in the form of a mesh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상기와 같이 배출홀 각각에 메쉬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귀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21)은 일 예로, 슬롯 형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By providing a mesh member in each of the discharge hole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arwax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hole 121 may be, for example, a slot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through which air can pass may be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0)의 부분 단면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22)는 접촉부재(110)의 장착홀(112)과 연결 장착되어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에서 제거된 귀지가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귀지수용부재(1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opening 122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112 of the contact member 110 so that the earwax remov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user's ear canal passes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11 and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Can be accommodated within.

이 때, 귀지와 함께 유입된 공기는 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earwax may pass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1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장착홀(112)은 귀지수용부재(120)의 개구부(122)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unting hole 1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22 of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또한, 상기 귀지수용부재(120)의 중앙 영역에는 삽입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23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상기 삽입홀(123)은, 후술할 제2 연결부재(220)에 삽입 장착되어 귀지수용부재(120)가 제2 연결부재(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123 may be inserted into a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may be fixed b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121)은 삽입홀(123)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123,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130)는 귀지수용부재(12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장착홀(112) 측과 연결되는 제1 연결홀(131) 및 개구홀(401)과 연결 장착되는 제2 연결홀(132)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13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therei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31 and the opening hole 401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112 side.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second connection hole 132 to be mount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0)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Meanwhi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00)는 공기 분사홀(201)을 갖고,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는 스크러빙 헤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ead part 200 may include a scrubbing head 210 having an air injection hole 201 and contacting a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상기 스크러빙 헤드(210)는 헤드부(200)의 종단부에 라운드지게 마련된 라운드접촉면(202)을 통해 외이도 벽면을 접촉 및 스크러빙(Scrubbing)하여 사용자의 귀지를 외이도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The scrubbing head 210 may contact and scrub the wall of the ear canal through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provided to be rounded at the end of the head part 200 so that the user's earwax is separated from the wall of the ear canal.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부(200)는 소정 길이를 갖고, 공기 분사홀(201)과 연결된 공기 통로를 갖는 유로부재(20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20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 a flow path member 203 having an air passage connected to the air injection hole 201.

상기 유로부재(203)는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내부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귀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path member 203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crubbing head 210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ear canal by a predetermined depth to remove earwax.

상기 유로부재(203)의 일측은 펌프(300)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펌프(30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로부재(203)의 공기 통로를 통과하여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이도 내부로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flow path member 203 is fluidly connected to the pump 300 so that the air supplied from the pump 300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of the flow path member 203 and passes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to the inner ear canal. Air can be leaked.

여기서, 상기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유로부재(203)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2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head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connecting the pump 300 and the flow path member 203.

상기 제2 연결부재(220)는 소정 길이를 갖고, 펌프(3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로부재(203)로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low path may be formed therein so that air supplied from the pump 300 flows to the flow path member 20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제거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6 is a use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head part 200 may be provided to be bent toward the wall of the ear can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art 200 contacts the wall of the ear cana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0)의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유로부재(203)가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low path member 203 may be provided to be bent toward the wall of the ear canal so that the scrubbing head 210 of the head 200 contacts the wall of the ear canal.

상기 공기 분사홀(201)은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111) 측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수거홀(111)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면, 공기 분사홀(201)로 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며 수거홀(111) 및 배출홀(121)을 따라 차례로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hole 201 is formed so that the outflowing air flows toward the collection hole 111, and when the collection hole 1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ar of the use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It may be provided to flow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external ear canal and sequentially pass along the collection hole 111 and the discharge hole 12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분사홀(201)에서 토출된 공기는 사용자의 귀지와 함께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장착홀(112)에 연결된 귀지수용부재의 개구부(122)로 유입되고, 귀지는 귀지수용부재(120)에 저장되며 공기는 배출홀(1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injection hole 201 passes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11 along with the user's earwax and flows into the opening 122 of the earwax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112, and the earwax is It is stored in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an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1.

특히, 상기 공기 분사홀(201)은, 가상의 중심축선(G)을 기준으로, 중심축선(G)과 45도 내지 9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ir injection hole 201 may be formed to have an angle of 45 degrees to 90 degrees with the central axis G, based on the virtual central axis G.

상기와 같이 공기 분사홀(201)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111) 측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air injection hole 201 as described above, 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can flow toward the collection hole 111.

따라서, 외이도 벽면에 붙어있는 귀지는,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토출된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밀어냄으로써,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arwax attached to the wall of the ear canal can be removed by pushing the earwax outward (the collection hole side) by using the air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이 때, 생성되는 공기압력은 7 내지 14kPa 또는 9 내지 11kPa 또는 10kPa 이하 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generated air pressure may be 7 to 14 kPa, 9 to 11 kPa, or 10 kPa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귓구멍 바깥 방향(수거홀 측)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고막으로 직접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막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discharging air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ear hole (the collection hole si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problem that pressure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eardrum, and accordingly,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ay feel due to the air pressure that may be applied to the eardrum.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feelings, etc.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를 토출 시킴으로써, 세안 및 목욕 시, 사용자의 귓속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귓속 바깥으로 제거하고,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discharging ai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user's ear and evaporating it during washing and bathing.

한편,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접촉부재(110)와 제1 연결부재(120)를 관통하도록 포켓부(100) 내에 배치될 수있다. 특히, 상기 수거홀(111)의 단면적은, 헤드부(20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의 가장자리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소정 간격에 의해 형성된 소정 영역을 통해 귀지가 수거홀(111)을 통과하여 귀지수용부재(120)로 유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part 200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11, and may be disposed in the pocket part 100 to penetrate the contact member 110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120. .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llection hole 111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ead portion 200, and the head portion 200 is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collection hole 111, so th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Earwax may be introduced into the earwax receiving member 120 through the predetermined region formed by the earwax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11.

여기서, 상기 펌프(300)는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펌프의 일부 영역은 포켓부(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부(200)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ump 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and a partial area of the pump may be disposed in the pocket part 100. In addition, the head part 200 may be formed of a soft or hard material.

특히, 상기 스크러빙 헤드(210)와 유로부재(203)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crubbing head 210 and the flow path member 203 may be formed of a soft or hard material.

상기 연질 및 경질의 소재는, 경도 Shore A 30 내지 90을 갖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0)는 외이도 내벽, 즉 피부표면과의 접촉력을 일정하게 소정의 크기로 제어하도록, 경도 Shore A 30 내지 90을 갖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soft and hard material may have a hardness Shore A of 30 to 90. More specifically, the head part 200 may be formed of a soft or hard material having a hardness of 30 to 90 Shore A to control the contact force with the inner wall of the external ear canal, that is, the skin surface to a predetermined size.

특히, 외이도 벽면 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유로부재(203)는 탄성 복원력이 있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유로부재(203)와 연결된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과 접촉 시, 사용자의 외이도 크기에 따라 유로부재(320)가 펴지게 되고 이 때 유로부재(203)의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에 의해 탄성 에너지가 축적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low path member 203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wall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s formed of a soft or hard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power, so that when the scrubbing head 210 connected to the flow path member 203 contacts the wall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e size of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Accordingly, the flow path member 320 is unfolded, and at this time, elastic energy may be accumulated due to bending stiffness of the flow path member 203.

이러한 탄성 에너지는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는 스크러빙 헤드(210)를 통해 탄성 접촉력의 형태로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게 된다.This elastic energy is applied to the wall of the ear canal in the form of an elastic contact force through the scrubbing head 210 in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ear canal.

즉, 본 발명의 유로부재(203)는 소정의 강성(stiffness)을 갖는 경도 Shore A 30 내지 90을 갖는 연질 또는 경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외이도 벽면 측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크러빙 헤드(210)가 외이도 벽면에 쉽게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유로부재(203)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완전히 펴졌을 때에도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탄성 접촉력을 소정 값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That is, the flow path member 20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wall of the external ear canal using a soft or hard material having a hardness Shore A of 30 to 90 having a predetermined stiffness, and the scrubbing head 210 ) Can easily contact the wall of the ear canal, and the elastic contact force applied to the wall of the ear canal can be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even when the flow path member 203 is fully opened by the user's force.

따라서, 유로부재(203)가 사용자의 힘과 외이도 벽면에 의해 완전히 펴지는 경우,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탄성 접촉력은 최대값이 되므로, 탄성 접촉력의 최대 값은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외이도 벽면의 스크러빙(Scrubbing)에 의한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low path member 203 is completely unfolded by the user's forc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the elastic contact force appli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becomes the max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elastic contact force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ysical stimulation by scrubbing (Scrubbing).

여기서, 연질 및 경질의 소재는 일 예로,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Rubber,TPR),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PVC)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soft and hard material may be, for example, silicone rubber, thermoplastic rubber (TPR), polyvinyl chloride (PVC), and polyurethane (Polyurethane, PU), but limited thereto. It does not become.

한편,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는 헤드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 모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earwax remova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or 500 provided to rotate the head part 100.

여기서, 상기 모터(500)는 일 예로, 스텝모터(스테핑모터)일 수 있다.Here, the motor 500 may be, for example, a step motor (stepping moto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200)의 일측은 모터(500)와 연결되어 모터(5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헤드부(200)가 회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head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motor 500 and the head part 200 may rotate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500.

즉, 상기 헤드부(200)는 외이도 벽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외이도 벽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head part 200 rotat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and can contact the wall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여기서, 상기 헤드부(200)는 외이도 벽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스크러빙 헤드(210)에 의해 외이도 내부 벽면 전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head part 200 may rotate 36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all of the external ear canal, and the earwax attached to the entire internal wall of the external ear can be removed by the scrubbing head 210.

특히, 상기 헤드부(200)는 모터(500)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 각도 간격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ead part 200 may be provided to rotate forward or reverse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angle interval by the motor 500.

상기와 같이, 설정된 기준 각도 각각은 하나의 스텝으로써,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회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et reference angles is one step, and may be rotated by repeat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ultiple times within one step rotation.

즉, 상기 헤드부(200)는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할 때,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360도 정회전을 완료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할 때, 하나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360도 역회전을 완료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head part 200 rotat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it can repeat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multiple times within one step rotation to complete the 360-degree forward rotation, and on the contrary, rotate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360-degree reverse rotation by repea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ultiple times within one step rotation.

예를 들어, 설정된 기준 각도가 5°(도)인 경우, 5°(도) 회전을 1스텝(Step)으로 하여, 360°(도)를 72스텝으로 나누어 회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텝 회전 내에서 복수 번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며 회전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t reference angle is 5° (degrees), 5° (degrees) rotation is 1 step, and 360° (degrees) is divided into 72 steps, and each step rotation It can rotate by repeat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ultiple times within.

즉, 외이도 내부 원주를 72구역으로 나누어 각각 5°(도)각도를 갖는 부채꼴 원주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정회전과 역회전은 5회 내외로 반복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by divid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ar canal into 72 zone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within a fan-shaped circumference each having an angle of 5° (degrees), and in particular,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round 5 time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이, 정회전과 역회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72개의 부채꼴 원주에 대한 정회전이 완료되면, 역회전 방향으로 72개의 부채꼴 원주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5회내외로 반복 수행하여 역회전이 완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forward rotation for 72 sectors is complete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are repeatedly performed about 5 times within 72 sector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otation can be completed.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러빙 헤드(210)는 외이도 벽면 둘레방향을 따라 360도 정회전 및 역회전하며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함으로써, 외이도 내벽에 단단히 부착된 지성귀지의 점착력(Adhesion)과 건성귀지의 고착력(Interlocking)을 약화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scrubbing head 210 rotates 360 degrees forward and rever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ear canal wall and scrubs the wall of the ear canal, so that the adhesion of the oily earwax firm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ear canal and the adhesion of dry earwax (Interlocking) weakens.

이 때,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외이도 벽면으로 공기를 유출시킴으로써, 귀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y flowing air to the wall of the ear canal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earwax can be more easily removed.

본 발명은, 전술한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공기압을 가하여 외이도 벽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하는 경우, 외이도 피부 표면에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 하면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moving the earwax attached to the wall of the external ear canal by applying air pressure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move earwax while minimizing physical irritation on the surface of the skin of the external ear canal.

그러나, 외이도 피부 표면에 단단히 붙어있는 귀지의 경우, 공기압만을 가하여 귀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스크러빙 헤드(210)를 이용하여However, in the case of earwax firmly attached to the skin surface of the external ear canal, since it may be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the earwax by applying only air pressure, the scrubbing head 210 is used to

외이도 내부 벽면 전체 면적을 촘촘히 스크러빙 함과 동시에 공기 분사홀(201)을The entire area of the inner wall of the ear canal is thoroughly scrubbed and the air injection hole 201 is

통해 공기압을 가하여 줌으로써, 귀지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By applying air pressure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remove earwax more easily and quickly.

상기 건성 귀지는, 기계적 압력에 대해 쉽게 부서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스크러빙 동작만으로도 쉽게 외이도 표면에서 떨어질 수 있고, 공기분사압력에 의해 쉽게 포켓부(100)로 배출될 수 있다.The dry earwax has a property of being easily broken against mechanical pressure,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ear canal with only a scrubbing operation, an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pocket unit 100 by the air injection pressure.

상기 지성 귀지는, 본 발명의 공기 분사홀(201)을 통해 토출된 공기에 의해 지성귀지의 속건조를 유발시켜 피부에 붙어있는 귀지의 경계선을 따라 표면장력을 발생시켜 귀지가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oily earwax causes quick drying of the oily earwax b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generating surface tension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earwax attached to the skin so that the earwax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kin. Has the effect of

따라서, 지성귀지는 분사된 공기에 의해 피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동시에 건조과정을 통해 건성 귀지와 유사한 성질로 바뀌면서 스크러빙 동작에 의해 쉽게 부스러질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ily earwax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kin by the sprayed air, and at the same time, it is changed to a property similar to that of dry earwax through the drying process, so that it can be easily crushed by the scrubbing operation.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200)가 스크러빙 동작 및 공기 분사를 동시에 함으로써, 건성 귀지 및 지성 귀지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dry earwax and oily earwax by the head unit 200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scrubbing operation and air injectio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00)의 스크러빙 동작은, 제한된 접촉력에 의한 최소한의 물리력을 이용하여 귀지를 외이도 피부 표면에서 분리하여 외이도 외부로 배출시켜 포켓부(100)에 포집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crubbing operation of the head part 200 may be collected in the pocket part 100 by separating the earwax from the surface of the skin of the ear canal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ear canal using a minimum physical force due to a limited contact force. .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는, 외이도 벽면 측으로 수분을 미량 분사하여 수분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수분공급장치(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wax remova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e supply device (not shown) provided to supply moisture by spraying a small amount of moisture toward the wall of the ear canal.

상기와 같이 수분공급장치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면, 건성 귀지의 경우 공급된 수분에 의해 귀지의 고착력을 약화시켜 귀지 제거 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스크러빙 헤드(210)의 스크러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When moisture is supplied by the moisture supply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dry earwax, the adhesion of earwax is weakened by the supplied moisture, reducing pain when removing earwax, and improving the scrubbing effect of the scrubbing head 210. You will be able to.

여기서, 상기 수분은 생리 식염수, 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water may include physiological saline, wat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모터(500)는, 본체부(400) 내부에 배치되어 펌프(3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500)는 펌프(300)와 모터(5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된 커넥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400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pump 300. In particular, the motor 500 may include a connector 510 provided to connect the pump 300 and the motor 500.

일 예로, 상기 커넥터(510)의 일측은 펌프(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장착되는 제1 결합부 및 타측은 모터(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결합 장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one side of the connector 51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pump 300, and the other side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motor 500. .

한편,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는, 헤드부(200)를 전진 및 후진 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리니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arwax removal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unit 600 provided to move the head 200 forward and backward. The driving unit 600 may include a linear guide.

상기 리니어 가이드는 전동식 이송 장치로써, 구동부를 구동 시키면, 기 설정된 속도로 전진 및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진 또는 후진은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다.The linear guide is an electric transfer device, and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may be performed at a preset speed. Here, the forward or backward may be repeatedly performed.

상기 구동부(600)는 헤드부(200)와 연결되어, 헤드부(200)를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600)는 모터(500)의 일측과 연결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the head unit 200 to be provided to slide the head unit 200 into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and may move the head unit 200 at a preset speed.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tor 500.

즉, 상기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기 설정된 속도로 모터(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motor 500 may be moved at a preset speed by driving of the driving unit 6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300)는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와 연결되며, 모터(500)는 구동부(600)와 연결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ump 300, the pump 300 is connected to the motor 500 by a connector 510, and the motor 500 is a driving part 600 ) Is connected to the motor 500, the pump 300, and the head unit 200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600 may move forward or backward while sliding.

상기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일체화 되어 구동부 즉,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기 설정된 속도로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터(5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은 커넥터(510)에 의해 펌프(300)를 회전시키며, 펌프(300)와 연결된 헤드부(2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 motor 500, the pump 300, and the head part 200 are integrated by the connector 510, so that the motor 500, the pump 300, and the head part 200 can be simultaneously moved forward or backward at a preset speed by a driving part, that is, a linear guide. In particular,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500 rotates the pump 300 by the connector 510, and the head portion 200 connected to the pump 300 can rotate.

따라서, 구동부(600)에 의해 헤드부(200)는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때, 외이도 내부로 이동되는 깊이는 15 내지 20mm 일 수 있다.Accordingly, by the driving unit 600, the head unit 200 may move into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and at this time, the depth of movement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may be 15 to 20 mm.

상기와 같이 헤드부는 설정된 속도에 따라 일정하게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며, 스크러빙 동작은 귀구멍의 입구에서부터 시작되어 외이도 내부 일정 깊이 사이를 왕복하며 지속적으로 귀지 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d portion constantly enters into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according to a set speed, and the scrubbing operation starts from the entrance of the ear hole and reciprocates between a predetermined depth inside the ear canal, and the earwax removal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특히, 상기 헤드부(200)의 진입 깊이는 15 내지 20mm로 한정 함으로써, 외이도 바깥 부분으로 밀려나온 귀지만을 제거하므로 외이도 안쪽에 형성된 귀지의 생리학적 순기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limiting the entry depth of the head part 200 to 15 to 20 mm, only the earwax that has been pushed out of the ear canal is removed, so that the physiological pure function of the earwax formed inside the ear canal can b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작은 힘과 동작의 조절이 어려운 고령자 및 장애인 등 또는 피부자극에 민감한 사용자의 경우, 헤드부(200)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빠르게 움직일 경우 큰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헤드부가 외이도 내부에서 전진 및 후진 속도를 느리면서 일정하게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큰 불편을 느끼지 않으며 전자동으로 사용자의 귀지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an elderly person, a disabled person, etc.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trol a small force and motion, or a user who is sensitive to skin irritation, a great pain may be felt when the head portion 200 moves quickly while in contact with the skin. Therefore, since the head part automatically adjusts the forward and backward speeds in the external ear canal by the driving part at a slow and constant speed, the user does not feel great inconvenience and the user's earwax can be removed automatically.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1)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FIGS. 7 and 8 are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wax removal device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ortion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portions comm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mitt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11)의 구동부(6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0)는, 헤드부(200)와 연결되며,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601)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driving unit 600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ally operated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ing unit 600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601 that is connected to the head unit 2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move the head unit forward and backward.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600)는 조작부(601), 리턴 스프링(603) 및 슬라이드링(605)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unit 60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601, a return spring 603, and a slide ring 605.

일 예로, 상기 조작부(601)는 모터(50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ipulation unit 60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motor 500.

또한, 상기 본체부(400) 일측에는 조작부(6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조작홀(60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nipulation hole 602 provided to expose the manipulation unit 601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400.

즉, 상기 모터(500)는 본체부(400)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5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조작부(601)는 조작홀(602)을 통과하여 본체부(4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at is, the motor 500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400, and the operation unit 601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otor 500 may pass through the operation hole 602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400. .

상기 조작홀(602)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조작부(601)의 전진 및 후진을 안내할 할 수 있다. 즉, 조작부(601)는 조작홀(6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operation hole 60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operation part 601. That is, the manipulation unit 601 may be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nipulation hole 602.

상기 조작홀(6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부(601)를 이동시키면, 조작부(601)와 연결된 헤드부(200)가 외이도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 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부(200)는 펌프(300)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300)는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와 연결되며, 모터(500)는 조작부(60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부(601)를 이동시킴에 따라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user moves the manipulation unit 601 with a fing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manipulation hole 602, the head 200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unit 601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inside the ear canal.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head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ump 300, the pump 300 is connected to the motor 500 by the connector 510, the motor 500 is a control unit It is connected to 601 so that the motor 500, the pump 300, and the head 200 may move forward or backward as the user moves the control unit 601.

상기 커넥터(510)에 의해 모터(500), 펌프(300) 및 헤드부(200)가 일체화 되어 조작부(601)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motor 500, the pump 300, and the head part 200 are integrated by the connector 510, so that the motor 500, the pump 300, and the head part 200 can be simultaneously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manual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part 601.

특히, 상기 조작부(601)는 조작부(601)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슬라이드 링(6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링(605)은 본체부(40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롤러(6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607)는 슬라이드 링(605)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nipulation unit 601 may include a slide ring 605 provided to move the manipulation unit 601 more easily. The slide ring 605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607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400 and movabl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ollers 607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lide ring 605.

또한, 상기 슬라이드 링(605)은 모터(50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조작부(601)를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링의 복수 개의 롤러(607)가 회전하며, 본체부(40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조작부(60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lide ring 605 is dispos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tor 500, and when the operation unit 601 is moved, a plurality of rollers 607 of the slide ring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400. By moving, the user can move the operation unit 601 more easily.

이에 더하여, 상기 리턴 스프링(603)은 사용자가 조작부(601)를 조작하여 헤드부(200)를 전진시킬 때,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빼면 자동으로 헤드부(200)를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603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manipulation unit 601 to advance the head unit 200, the head unit 200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user removes force from the finger. I can.

일 예로, 상기 리턴 스프링(603)은 본체부(400)의 내주면 일측과 모터(500)의 일측을 연결함으로써, 조작부(601)에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리턴 스프링(603)과 연결된 모터가 리턴 스프링(603)에 의해 본체부(400) 내부 측(후진 방향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the return spring 603 connects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400 and one side of the motor 500, so that when a force is not applied to the operation unit 601, the motor connected to the return spring 603 is The return spring 603 moves to the inner side (reverse direction side) of the main body 400.

따라서, 피부자극에 민감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전진 및 후진 속도를 스스로 조절하며 즉각적인 헤드부(20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헤드부(200)가 외이도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 및 삽입 횟수 등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 general user who is not sensitive to skin irritation can self-adjust the forward and backward speeds at a speed desired by the user, and allow the head 200 to be immediately moved, and the head 200 can move into the inner ear canal.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arbitrarily control the depth of insertion and the number of insertions.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구동부(600)를 리니어 가이드, 조작부(601), 리턴 스프링(603) 및 슬라이드 링(605)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사용자에 따라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ar guide, the operation unit 601, the return spring 603, and the slide ring 605 are appropriately arranged so that the driving unit 600 can be used by selecting a manual mode or an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user. Can be prepared.

여기서, 상기 본체부(400)는 사용자가 수동 또는 자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모드 선택부(미도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4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mode selection unit (Midodo)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 manual or automatic mode.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전술한 리니어 가이드가 구동하여 기 설정된 속도에 따라 헤드부를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고, 헤드부는 설정된 속도로 외이도 내부로 진입하며 외이도 벽면에 부착된 귀지를 스크러빙과 공기토출압력을 이용해 제거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mode, the above-described linear guide is driven to slide the head part into the user's ear canal according to a preset speed, and the head part enters the inner ear canal at a set speed, and scrubs the earwax attached to the wall of the ear canal. And air discharge pressure to remove.

사용자가 수동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조작부(601)를 직접 손으로 조작하여 외이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 시켜 외이도 벽면에 부착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manual mode, the user can directly manipulate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nit 601 by hand and slide it inside the ear canal to remove the earwax attached to the wall of the ear canal.

한편, 상기 본체부(400) 내부에는 펌프(300), 모터(500) 및 구동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700)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700 for supplying power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ump 300, the motor 500, and the driving unit 6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400.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 또는 11)는 사용자의 장치 사용정보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식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800)는 지문인식 장치(지문인식 센서)일 수 있으며, 본체부(400)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wax removal device 10 o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er recognition unit 800 provided to store and recognize device usage information of a user. Here, the user recognition unit 800 may be a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4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식부(800)는 사용자가 장치(10 또는 11)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배치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 또는 사용 시 사용자 자동 등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장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장치 내부에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grips the device 10 or 11, the user recognition unit 800 places the user's thumb in a position to reach the user's thumb. It may be provided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of the user,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device and the time of use, in the device.

또한,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전송장치를 통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ed user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be stored on an online network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such as Wi-Fi.

특히,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자신의 사용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해 음성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적당한 경고나 제안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user can check his or her usage information stored on an online network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and the application can be arranged to analyze the user's information and provide an appropriate warning or suggestion by means of voice and text.

또한, 장치 내부에 별도의 저장장치와 정보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정보로 사용자에게 경고나 권고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software inside the device can be used to deliver warnings or recommendations to the user through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built-in speaker.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장치 사용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경고 및 권고 방법은 이구전색이 자주 발생되는 사용자에 대해 이구전색 방지를 목적으로 한 관리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이구전색 발생이 잦은 사용자의 경우, 주기적으로 장치 사용을 독려하기 위한 알림 기능을 갖는 알림부가 장치에 추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rning and recommendation method for users based on the user's device usage information is in the case of users with frequent occurrences of redundancy by linking with a management program aimed at preventing redundant redundancy for users with frequent redundancy. , A notification unit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for periodically encouraging the use of the device may be added to the device.

즉, 본 발명의 사용자 인식부(800)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및 귀지 제거장치(10 또는 11) 내에 구비된 복수의 장치를 통해 음성정보 및 문자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적당한 알람과 권고를 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recognition unit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ovide appropriate alarms and recommendations to the user through a method such as voice information and text through a plurality of devices provided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 earwax removal device 10 or 11 Can be.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부(400) 외주면에는 장치(10 또는 11)를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스위치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장치(10 또는 11)를구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 switch (not shown) for operating the device 10 or 11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400, and the device 10 or 11 may be driven according to an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

또한, 상기 장치(10 또는 11)의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미도시)가 본체부(400)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자동 모드인 경우, 구동부(600)가 구동될 수 있으며, 수동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601)를 조작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mode selection unit (not shown) for selecting an automatic mode or a manual mode of the device 10 or 1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400.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mode, the driving unit 600 may be driven, and in the case of the manual mode, the user may manipulate the manipulation unit 601 to drive.

전술한 본 발명의 귀지 제거 장치(10 또는 11)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모터(500)의 상부에 조작부(601)가 구비될 수 있고, 모터의 하부에 리니어 가이드가 연결 구비되며, 모터의 전방(포켓부 측)에 펌프(300)가 연결 구비될 수 있고, 모터의 후방에 리턴 스프링이 연결 구비될 수 있다.The earwax removal device 10 o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rt 601 on the upper part of the motor 500, and a linear guid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tor, and The pump 30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pocket), and a return spring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otor.

따라서, 구동부(600)가 구동되면, 구동부(600)와 연결된 모터(500)가 전진하게 되고, 모터(500)와 연결된 펌프(300)는 장치 내부에서 전진하며, 펌프와 연결된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전진하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600 is driven, the motor 500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600 moves forward, and the pump 300 connected to the motor 500 advances inside the device, and the head unit 200 connected to the pump Advanc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1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이 때, 사용자는 조작부(601)를 통해 조작 시, 조작부(601)와 연결된 모터가 전진하게 되고, 모터(500)와 연결된 펌프(300)는 장치 내부에서 전진하며, 펌프와 연결된 헤드부(200)는 수거홀(111)을 통해 외부로 전진하며 외이도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조작부(601)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603)에 의해 장치 내부로 후진하여 헤드부(200)가 원위치 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operates through the operation unit 601, the motor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601 moves forward, and the pump 300 connected to the motor 500 advances inside the device, and the head unit 200 connected to the pump moves forward. ) Advanc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11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unit 601 is released, the head unit 200 moves back to the inside of the device by the return spring 603 Can b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모션을 도시한 것이다.9 shows the motion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의 모션은 크기 두 가지의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otion of the earwax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be controlled by two parameters.

첫 번째 파라미터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의 각도이고, 두 번째 파라미터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의 각도에 따라 상기 스크러빙 헤드(210) 가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스크러빙 속도이다.The first parameter is the angle of the unit sector, and the second parameter is the scrubbing speed at which the scrubbing head 210 scrubs the wall of the ear canal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unit sector.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지 제거 장치는 유닛 섹터(Unit sector) 각도는 5°내지 20°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evice for removing earwa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nit sector angle is 5° to 20°.

유닛 섹터의 각도가 5°보다 작게 되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데 소요시간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유닛 섹터의 각도가 20°보다 크게 되면 외이도 벽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져 사용자의 외이도 벽면에 예상치 못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f the angle of the unit sector is less than 5°, the time required to scrub the wall of the ear canal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remove earwax efficiently.If the angle of the unit sector is greater than 20°, the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wall of the ear canal is reduced. As it becomes larger, there is a problem that unexpected skin irritation occurs on the wall of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한편, 스크러빙 속도는 5 mm/s 내지 50 mm/s 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크러빙 속도가 5 mm/s 보다 작게 되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데 소요시간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유닛 섹터의 각도가 50 mm/s 보다 크게 되면 외이도 벽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져 사용자의 외이도 벽면에 예상치 못한 피부자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the scrubbing speed may be provided to be 5 mm/s to 50 mm/s. If the scrubbing speed is less than 5 mm/s, the time required to scrub the wall of the ear canal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remove the earwax efficiently.If the angle of the unit sector is greater than 50 mm/s, it will act on the wall of the ear canal. There is a problem that unexpected skin irritation occurs on the wall of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due to increased friction.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예를 든 것이고, 이 둘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스크러빙 헤드 (210) 의 물리적인 조건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scrubbing head 210 to satisfy both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를 도시한 것이다.10 is a view showing a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 (210) 는 라운드접촉면(202) 에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라운드접촉면 (202) 는 제1 폭 (W) 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head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micro patterns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to have a first width (W). It can be provided.

상기 제 1 폭 (W) 은 05 mm 내지 2 mm 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제 1 폭 (W) 이 05 mm 보다 작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접촉면 (202) 에 구비되는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되는 공간이 작아지게 되어 귀지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마이크로 패턴의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first width W may be provided in the range of 05 mm to 2 mm. If the first width (W) is provided with less than 05 mm,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in which various micro patterns provided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are provided becomes smaller, so that the micro pattern for efficiently providing earwax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effectiveness of

반면, 제 1 폭 (W) 이 2 mm 보다 크게 구비되는 경우에는 라운드 접촉면 (202) 외이도 벽면에 가해지는 접촉압력이 감소되어 귀지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width (W) is provided larger than 2 mm, the contact pressure applied to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to the wall of the ear canal is reduced,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earwax cannot be efficiently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라운드접촉면 (202) 의 폭은 상기 제 1 폭 (W) 은 05 mm 내지 2 mm 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Therefore, the width of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irst width W of 05 mm to 2 mm, so that the user can more efficiently remove earwax.

한편, 라운드접촉면 (202) 에는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 접촉면은 No-pattern, Box-pattern, Parallel line-pattern, Pyramid-pattern, Perpendicular line-pattern, bottle-pattern 등으로 다양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micro patterns may be provided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As shown in FIG. 10, the round contact surface is No-pattern, Box-pattern, Parallel line-pattern, Pyramid-pattern, Perpendicular line-pattern. , bottle-pattern, etc., various patterns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라운드접촉면 (202) 에 다양한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앞서 설명한 두 가지 파라미터인 유닛 섹터(Unit sector) 및 스크러빙 속도가 한정되어 있어도, 사용자의 외이도 벽면에 피부자극을 주지 않고, 보다 효율적으로 귀지를 제거하는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various micro patterns are provided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in this way, even if the two parameters described above, the unit sector and the scrubbing speed are limited, the user's external ear canal does not irritate the skin on the wall surface, and is more efficient. It can provide friction to remove earwax.

예를 들면, 발명자는 라운드접촉면(202)에 Parallel line-pettern 을 형성한 경우, 2mN 의 하중에서 1 이상의 마찰계수가 발생되며, 10 mN 의 접촉력에서 점막층이 쉽게 떨어져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For example, the inventors have confirmed that when a parallel line-pettern is formed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a friction coefficient of 1 or more occurs under a load of 2 mN, and the mucous membrane layer easily detaches at a contact force of 10 mN.

상기와 같이 라운드접촉면 (202) 에 형성되는 다양한 마이크로패턴은 PDMS 몰드를 이용한 다양한 UV-curable polymer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EDM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다라 다양한 방식으로 라운드접촉면 (202) 에 마이크로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Various micropatterns formed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using various UV-curable polymer materials using a PDMS mold, and may be formed using an EDM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ethod. Depending on necessity, micro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202 in various ways, and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귀지 제거를 위한 자동 귀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헬스케어 마켓 및 애완동물의 관리 마켓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for removing earwax,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in healthcare market and pet management market.

10, 11: 귀지 제거 장치
100: 포켓부
200: 헤드부
300: 펌프
400: 본체부
500: 모터
600: 구동부
700: 배터리
800: 사용자 인식부
10, 11: earwax removal device
100: pocket portion
200: head
300: pump
400: main body
500: motor
600: drive unit
700: battery
800: user recognition unit

Claims (5)

수거홀 및 배출홀을 갖는 포켓부, 수거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이도 벽면과 접촉하도록, 외이도 벽면 측으로 구부러지게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홀을 갖는 스크러빙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부, 공기 분사홀을 통해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키도록 헤드부와 연결된 펌프, 상기 헤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자동 귀지 제거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이동하는 유닛 섹터 (Unit sector) 각도가 5°내지 20°가 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헤드부는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스크러빙 속도가 5 mm/s 내지 50 mm/s 가 되도록 제어되는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 방법.
A pocket portion having a collection hole and a discharge hole, a head portion including a scrubbing head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lection hole, and is provided to be bent toward the wall of the ear can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ear canal and has at least one air injection hole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comprising a pump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so as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jection hole, and a step motor for rotating the head portion,
The head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angle of the unit sector moving the wall surface of the ear canal is 5° to 20°,
The head part is controlled so that the scrubbing speed for scrubbing the wall of the ear canal is 5 mm/s to 50 mm/s.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earwax remova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분사홀은, 가상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중심축선과 45도 내지 9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유출되는 공기가 수거홀 측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고, 수거홀이 사용자의 귀 부분에 접촉되면, 공기 분사홀로 유출된 공기가 사용자의 외이도 내벽을 유동하며 수거홀 및 배출홀을 따라 차례로 통과하도록 제어되는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injection hole is formed to have an angle of 45 degrees to 90 degrees with the center axis based on the virtual center axis, so that the outflowing air flows toward the collection hole, and when the collection hole contacts the user's ear, air Controlled so that the air leak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flows through the inner wall of the user's ear canal and passes through the collection and discharge holes in sequence.
How to operate the earwax remov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장치 사용 정보를 저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식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또는 사용 시 사용자 자동 등록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장치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장치 내부에 저장하여 이력정보로 활용하도록 하는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cludes a user recognition unit provided to store and recognize the user's device usage information, and is a pre-registered user recognized by the user recognition unit, or a user such as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device and the usage time through automatic user registration when using To use as history information by storing various information of
How to operate the earwax remov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 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조작하여 헤드부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를 정해진 유닛섹터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시키면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기 헤드부의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귀지 제거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driving unit provided to move the head unit forward and backward; Further comprising; a manipulation unit exposed to the outside to manipulate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head unit forward and backward,
While rotating the head within a predetermined unit sector angular range, the user manually manipulates the control unit to advance or reverse the head unit.
How to operate the earwax remova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어 외이도 벽면을 스크러빙 하는 라운드접촉면에 마이크로 패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지 제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 pattern is provided on the round contact surface provided in the head and scrubbing the wall of the ear canal
Earwax removal device.
KR1020190056728A 2019-05-15 2019-05-15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KR202001319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28A KR20200131994A (en) 2019-05-15 2019-05-15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28A KR20200131994A (en) 2019-05-15 2019-05-15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994A true KR20200131994A (en) 2020-11-25

Family

ID=7364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728A KR20200131994A (en) 2019-05-15 2019-05-15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199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90A (en) 2010-01-27 2011-08-03 안도진 Suction-type electric motor expression earwa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90A (en) 2010-01-27 2011-08-03 안도진 Suction-type electric motor expression earwa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54731T3 (en) Adhesive earplugs that can be used to seal the ear canal
US11324636B2 (en) Automatic cerumen removing device
KR102573525B1 (en)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moving the wax by moving the scrubbing head forward and backward
KR20200131994A (en) Method for operating of automatic wax removal device
KR20200131988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00131993A (en) Apparatus for automatic wax removal with a scrubbing head having a micro pattern
KR20200131998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CN204501224U (en) A kind of medicine-feeding therapy equipment for otology
KR20210034343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comprising a scrubbing head with a micro pattern
KR20210034341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20003420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comprising a scrubbing head with a micro pattern
KR20220003417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20056559A (en) Machine learning method of AI system for control of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KR20220056558A (en) AI system for control of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s
KR20220003418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10091529A (en) Automatic wax removal system that removes earwax using trajectory using AI
KR20210091531A (en) Automatic wax removal apparatus that removes earwax using trajectory using AI
KR20200018012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
EP2694000A2 (en) Earplug having a resilient core structure
KR102238821B1 (en) brushless toothbrush
KR20240002478A (en) A Method For Operating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30041238A (en)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30041237A (en) Earwax removal apparatus
KR20220077658A (en) Method for operation of automatic earwax removal device for scraping off oily earwax
KR20220077649A (en) Automatic earwax removal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