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583A - Filter apparatus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lter apparatus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583A
KR20200131583A KR1020190056380A KR20190056380A KR20200131583A KR 20200131583 A KR20200131583 A KR 20200131583A KR 1020190056380 A KR1020190056380 A KR 1020190056380A KR 20190056380 A KR20190056380 A KR 20190056380A KR 20200131583 A KR20200131583 A KR 2020013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lutants
area
filtering
fil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6550B1 (en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to KR102019005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550B1/en
Publication of KR2020013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ilter device and a vacuum cleaner to effectively collect contaminants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device is a filter device collecting contaminants introduced with air. The filter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filtering area formed in internal space to store water for collecting the contaminants and having an air collection are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ing area to collec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area; an inflow line having one end part placed in the filtering area and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contaminants are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area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air; and a discharge line having outer end part plac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and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collect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is discharged from the air collection area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Filter apparatus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Filter apparatus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device and a cleane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모터의 동작에 의한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의 머리카락,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오염물질을 집진통에 포집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uses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a motor to suck pollutants, such as hair and dust, together with air, collect the pollutants in a dust collector,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최근, 미세먼지 등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에 의한 유해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에는 헤파필터와 같이 조밀한 구조로 제작되어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고성능 및 고가의 필터링 수단이 설치되고 있다.Recently, the harmfulness caused by contaminants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such as fine dust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ly, high-performance and expensive filtering means are installed in the vacuum cleaner to filter contaminants of small particles by being manufactured in a compact structure like a HEPA filter.

그러나 위와 같은 고성능의 필터링 수단은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되는 경우 오염물질이 흡착되어 필터링 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청소기는 흡입력이 감소되어 청소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나아가, 청소기는 필터링 수단을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해지며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above-described high-performance filtering means is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ollutants are adsorbed and filtering performance is deteriorated. Accordingly,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is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effectively perform the cleaning function. Further, since the cleaner needs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iltering mea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또한, 필터링 수단에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경우, 모터는 모터에 작용하는 부하가 증가하여 과열되어 오작동 또는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ntaminants are adsorbed to the filtering means, the motor may be overheated due to an increase in load acting on the motor, resulting in malfunction or damage.

그리고, 초미세먼지와 같은 아주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은 종래의 필터링 수단에 의해 필터링되기 어려워, 필터링 수단을 통과하여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고, 사용자 등 사람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In addition, very small contaminants such as ultrafine dust are difficult to filter by conventional filtering means,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with air through the filtering means, and may harm human health such as users.

따라서, 유지비용이 저렴하며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장치 및 그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나아가, 필터장치가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과정에 모터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filter device that has low maintenance cost and can effectively filter even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and a cleaner including the filter devic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vacuum cleaner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motor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pollutants by the filter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contaminants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and a clea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필터장치로서, 내부공간에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물이 수용되는 필터링영역 및 상기 필터링영역의 상측에서 상기 필터링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수집되는 공기수집영역이 형성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필터링영역에 위치하고, 공기와 함께 상기 오염물질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상기 필터링영역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라인; 및 일단부가 상기 공기수집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수집영역에 수집된 공기가 상기 공기수집영역에서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필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lter device for collecting pollutants introduced with air, a filtering area in which water for collecting the pollutants is received in an internal space, and a filtering area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area from an upper side of the filtering area A body in which an air collection area in which air is collected is formed; An inlet line having one end positioned in the filtering area and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pollutants and air are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area from outside the main body; And a discharge line having one end positioned in the air collecting region and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collected in the air collecting region is discharged from the air collecting region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적어도 일부에 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a lid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상기 유입라인 및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뚜껑부에 지지될 수 있다.The inlet line and the outlet line may be supported on the lid.

상기 유입라인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입라인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링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본체에 수용된 물을 교란시키는 교란부가 형성될 수 있다.A disturbing par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let line to disturb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whil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line moves to the filtering region.

상기 공기수집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링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버블을 분쇄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portion disposed in the air collection region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crush bubbles generated by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region.

상기 유입라인은 상기 다공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The inflow line may extend through the porous portion.

상기 다공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다공부는 상기 유입라인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rous part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orous par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flow line.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부재에 의해 복수의 소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소공간에는 상기 필터링영역 및 상기 공기수집영역이 형성되고,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상기 오염물질은 상기 복수의 소공간을 순차로 경유하여 포집되되, 상기 복수의 소공간 중 가장 먼저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소공간의 필터링영역에는 상기 유입라인의 일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소공간 중 가장 나중에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소공간의 공기수집영역에는 상기 배출라인의 일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spaces by a partition member, the filtering area and the air collection area are formed in each of the small spaces, and the pollutants introduced with air sequentially pass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Is collected via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one end of the inflow line is located in the filtering region of the small space that collects the pollutants first among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and the small space that collects the pollutants last among the plurality of One end of the discharge line may be locat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상기 복수의 소공간 중 앞선 순번의 소공간의 공기수집영역은 다음 순번의 소공간의 필터링영역과 연결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the air collection region of the small space of the previous order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ing region of the small space of the next order by a connection lin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로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 및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공기와 함께 상기 오염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터부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상기 오염물질 중 일부를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터부의 하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상기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using having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pollutants are sucked into the interior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motor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so that the pollutants are sucked together with air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 dust collecting unit form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of the housing and collecting some of the pollutants suck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filter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a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part of the housing and collecting the pollut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장치가 필터링영역에서 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device collects pollutants using water in the filtering area, so that pollutants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can be effectively filtered.

또한, 청소기가 모터부 상류측의 집진부에서 큰 입자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고, 모터부 하류측의 필터장치에서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걸러낼 수 있고, 헤파필터와 같이 고가의 필터링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터장치의 오염에 의한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청소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is configured to filter contaminants of large particles in the dust collecting unit on the up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and filter contaminants of small particles in the filter devic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thereby effectively collecting and filtering contaminants of various sizes.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n expensive filtering means such as a HEPA filter,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and a reduction in suction power due to contamination of the filter device can be prevented, thereby effectively maintaining a cleaning function.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용기부에서 분리된 뚜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다공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공기유입라인에 역류방지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leaner includ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lid part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art of FIG. 2.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a state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B line of FIG. 3.
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orous portion of FIG. 2.
7 is a view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view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along the CC line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ckflow prevention part is installed in the air inflow line of FIG. 2.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o.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and their meaning is not limited, and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do.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leaner includ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1에서 +Z축방향은 청소기(1)의 상측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the +Z-axis direction in FIG. 1 indicates the upper side of the cleaner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하우징(10), 모터부(50), 집진부(70) 및 필터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leaner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 a motor unit 50, a dust collecting unit 70, and a filter device 1000.

하우징(10)에는 하우징(10) 내부로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 및 오염물질은 후술하는 모터부(50)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A suction port (not shown) through which pollutants are sucked into the housing 10 together with air is formed in the housing 10. At this time, air and contaminants may be suck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오염물질은 머리카락과 같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입자 및 미세먼지와 같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aminants may include relatively large particles such as hair and relatively small particles such as fine dust.

흡입구에는 흡입관(30)이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30)은 공기 및 오염물질이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suction pipe 30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The suction pipe 30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air and pollutants are sucked into the housing 10.

흡입관(30)은 도 1과 같이 하우징(10)에 가까운 일단부가 흡입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실내바닥 등 청소대상면(미도시)에 배치되는 흡입몸체(35)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 외부의 오염물질은 공기와 함께 흡입몸체(35)를 통해 흡입관(30)으로 유입되어 흡입구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uction pipe 30 may have one end close to the housing 10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 suction body 35 disposed on a surface to be cleaned (not shown) such as an indoor floor. In this case, contaminants outside the housing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ipe 30 through the suction body 35 together with air and may move toward the suction port.

하우징(10)에는 하우징(10)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경우, 배출구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고, 이 과정에 미세먼지 등 작은 입자의 일부 오염물질을 공기와 함께 배출할 수 있다.An outlet (not shown)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s formed in the housing 10. 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 discharges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in this process, some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may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모터부(50)는 하우징(10)에 배치된다. 이 경우, 모터부(50)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0) 내부에서 흡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motor unit 5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 In this case, the motor unit 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n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모터부(50)는 모터(미도시) 및 임펠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tor unit 50 may include a motor (not shown) and an impeller (not shown).

모터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모터는 BLDC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또는 카본브러쉬를 포함하는 모터 등 공지의 다양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otor generates rotational driving force. Such a motor may include various known motors such as a BLDC moto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or a motor including a carbon brush.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omitted.

임펠러는 모터에 결합된다. 임펠러는 모터가 동작할 때, 모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흡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impeller is coupled to the motor. When the motor operates, the impeller rotates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may generate a flow of air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모터부(50)는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모터부(50)는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입되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motor unit 50 generates a suction force so that pollutants are sucked together with air. In other words, the motor unit 50 may generate a vacuum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0 so that contaminants are sucked together with air.

보다 상세히,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 내부에는 하우징(10) 외부에 대해 압력차, 즉 진공압이 발생되고, 하우징(10) 외부의 공기 및 오염물질은 그 압력차에 의해 하우징(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ir inside the housing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t this time, a pressure difference, that is,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10 with respec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air and pollutants outside the housing 10 can be sucked into the housing 10 by the pressure difference. have.

집진부(70)는 하우징(10)의 모터부(50)의 상류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 집진부(70)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part 70 is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motor part 50 of the housing 10.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unit 70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1.

집진부(70)의 일측부는 흡입구에 연결된다. 이때, 집진부(70)는 흡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오염물질 중 일부를 포집한다.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7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t this time, the dust collecting unit 70 collects some of the pollutant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through the inlet.

보다 상세히, 집진부(70)는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오염물질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입자의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이때, 집진부(70)에서 포집되지 않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은 집진부(70)를 통과하여 공기와 함께 배출구로 이동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ust collecting unit 70 may collect pollutants of relatively large particles among pollutants sucked together with air. At this time, the contaminants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that are no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70 may pas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70 and move to the outlet together with air.

집진부(70) 내부에는 필터부재(75)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재(75)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또는 천과 같이 저렴하며 큰 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는 공지의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filter member 75 may be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70. In this case, the filter member 75 includes a known filtering means capable of filtering out inexpensive and large particles such as sponge or nonwoven fabric or cloth,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필터장치(1000)는 하우징(10)의 모터부(50)의 하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필터장치(1000)는 하우징(10) 외부에서 하우징(10)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lter device 10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50 of the housing 10. In this case, the filter device 1000 may be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housing 10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필터장치(1000)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한다.The filter device 1000 collects pollut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air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보다 상세히, 하우징(10)의 배출구에서는 공기와 함께 집진부(70)에서 포집되지 않은 크기가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은 필터장치(10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필터장치(1000)는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contaminants of small size particles no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70 together with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housing 10. Air and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discharged from the outlet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device 1000. At this time, the filter device 1000 may collect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and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필터장치(1000)는 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장치(1000)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The filter device 1000 may collect contaminants using wate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filter device 1000 will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모터부(50) 상류측의 집진부(70)에서 큰 입자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고, 모터부(50) 하류측의 필터장치(1000)에서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걸러낼 수 있고,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헤파필터와 같이 고가의 필터링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필터장치의 오염에 의한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청소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lters contaminants of large particles in the dust collecting unit 70 on the up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50, and filters small particles in the filter device 1000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50. By filtering contaminants of various siz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llect and filter contaminants of various sizes, and there is no need to use expensive filtering means such as HEPA filter to filter contaminants of small particles, thus reducing maintenance costs.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intain the cleaning function as it can prevent the reduction of suction power due to contamination of the filter device.

나아가,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이 모터부(50) 하류측에서 포집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이 집진부(70)에 흡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모터부(50)에 작용하는 부하가 감소하여, 모터부(50)의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하고, 청소기의 흡입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are collected from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50,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are prevented from being adsorb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70, thereby acting on the motor unit 50. As the load is reduced, malfunction and damage of the motor unit 50 can be prevented, and suction power of the cleaner can be effectively maintained.

또한,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필터장치(1000)가 모터부(50) 하류측에 배치됨으로써, 오염물질의 포집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필터장치(1000)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device 1000 for collecting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50,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collecting the contaminants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filter device 1000 It can be downsized.

한편, 모터부(50)가 카본브러쉬를 포함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경우, 카본브러쉬가 마모되어 발생하는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도 모터부(5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필터장치(1000)에 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tor unit 50 includes a motor including a carbon brush,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generated by abrasion of the carbon brush are also air in the filter device 1000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50. It can be introduced with and collected.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카본브러쉬가 마모되어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별도의 필터링 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use a separate filtering means to filter contaminants generated by abrasion of the carbon brush,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용기부에서 분리된 뚜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lid part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art of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3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view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along line BB of FIG. 3.

참고로, 도 2 및 도 3에서 +Z축방향은 필터장치(1000) 및 본체(1100)의 상측을 나타낸다.For reference, in FIGS. 2 and 3, the +Z-axis direction represents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device 1000 and the main body 1100.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0)는 본체(1100), 유입라인(1200), 배출라인(1300)을 포함한다.1 to 5, a filter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0, an inlet line 1200, and an outlet line 1300.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0)는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오염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한다.The filter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llects pollut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air, and discharges air filtered by the pollutants.

본체(1100)의 내부공간(1150)에는 필터링영역(1150a) 및 공기수집영역(1150b)이 형성된다.A filtering area 1150a and an air collection area 1150b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1150 of the main body 1100.

필터링영역(1150a)에는 물이 수용된다. 이 경우, 필터링영역(1150a)은 도 2와 같이 내부공간(1150) 중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링영역(1150a)은 물이 채워진 내부공간(115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Water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region 1150a. In this case, the filtering region 1150a may be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inner space 1150 as shown in FIG. 2. In other words, the filtering area 1150a may be a partial area of the inner space 1150 filled with water.

필터링영역(1150a)은 오염물질을 포집한다. 이 경우, 필터링영역(1150a)은 후술하는 유입라인(1200)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The filtering area 1150a collects pollutants. In this case, the filtering region 1150a may filter air containing pollutant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line 1200 to be described later.

보다 상세히,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은 필터링영역(1150a)으로 유입된다. 필터링영역(1150a)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필터링영역(1150a)의 물과 접촉되어 걸러지며 필터링영역(1150a)에 잔류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필터링영역(1150a)을 통과하여 필터링영역(1150a)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In more detail, pollutants are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area 1150a together with air. Contaminants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area 1150a are filtered by contacting water in the filtering area 1150a, and may remain in the filtering area 1150a. In addition, air may pass through the filtering area 1150a and move outside the filtering area 1150a.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0)는 필터링영역(1150a)에서 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 등 다양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ollects pollutants using water in the filtering area 1150a, thereby effectively filtering various pollutants such as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공기수집영역(1150b)은 도 2와 같이 필터링영역(1150a)의 상측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공기수집영역(1150b)은 내부공간(1150) 중 물이 채워지지 않은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is formed above the filtering region 1150a as shown in FIG. 2. In other words,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may be the remaining area of the inner space 1150 that is not filled with water.

공기수집영역(1150b)에는 필터링영역(1150a)을 통과한 공기가 수집된다. 다시 말해, 필터링영역(1150a)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할 수 있다.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area 1150a is collect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In other words, air from which contaminants have been filtered in the filtering area 1150a may move to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0)는 용기부(1110) 및 뚜껑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ody 1100 may include a container portion 1110 and a lid portion 1120.

용기부(1110)는 도 2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11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예컨대, 용기부(1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용기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육면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portion 111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In addition, the container portion is not shown,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hexahedral shape.

뚜껑부(1120)는 도 2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부(1120)는 용기부(1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용기부(11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lid portion 112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the lid part 1120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part 1110 and be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1110.

예컨대, 용기부(1110)는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part 111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lower part.

용기부(1110)와 뚜껑부(1120)의 결합체는 도 2와 같이 내부공간(11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용기부(1110)의 적어도 일부, 즉 하부영역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The combination of the container part 1110 and the lid part 1120 may form an inner space 1150 as shown in FIG. 2. At this time, water may be accommod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container part 1110, that is, a lower region.

물이 수용된 용기부(1110)의 하부영역은 필터링영역(1150a)을 형성하고, 필터링영역(1150a)의 상측, 즉 용기부(1110)의 상부영역과 뚜껑부(1120)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공기수집영역(1150b)을 형성할 수 있다.The lower area of the container part 1110 containing water forms a filtering area 1150a, and the upper area of the filtering area 1150a, that is, the area surrounded by the upper area of the container part 1110 and the lid part 1120, is air. A collection area 1150b may be formed.

물이 수용되는 용기부(1110)는 광투과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용기부(11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포집된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정도를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ontainer part 1110 accommodating water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and effectively check the degree of contamination by the collected pollutants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unit 1110.

광투과성 소재의 용기부(1110)의 측벽에는 용기부(1110)에 수용되는 물의 수용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 scale part (not shown) may be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container part 1110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part 1110.

이 경우, 눈금부는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물의 최소수용량에 대응하는 최소눈금(미도시) 및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과정에서 물이 용기부(11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물의 최대수용량에 대응하는 최대눈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ale portion is the minimum sca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capacity of water capable of collecting pollutants, and the maximum amount of water tha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container unit 1110 during the process of collecting pollutants. It may include a maximum sca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capacity.

뚜껑부(1120)는 용기부(1110)의 상측에서 용기부(1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lid part 1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1110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1110.

이 경우, 뚜껑부(1120)는 오염물질을 포집하기 전 물이 수용된 용기부(1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뚜껑부(1120)는 용기부(1110) 내부로 물을 주입할 필요가 있거나,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용기부(1110) 내부의 물을 버릴 때 용기부(1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d portion 1120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portion 1110 containing water before collecting contaminants. Alternatively, the lid part 1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art 1110 when it is necessary to inject water into the container part 1110 or when disposing of water in the container part 1110 contaminated by contaminants.

예컨대, 용기부(1110)와 뚜껑부(1120)는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용기부(1110)의 상단부 외측벽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뚜껑부(1120)의 내측벽에는 용기부(1110)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portion 1110 and the lid portion 1120 may be screwed. At this time, a male screw part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art 1110, and a female screw part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lid part 1120 to screw with the male screw part of the container part 1110 Can be.

이 경우, 뚜껑부(1120)는 용기부(1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나사결합하여 용기부(1110)에 결합되고,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나사결합을 해제하며 용기부(1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d part 11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1110 and is screwed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1110, and when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screw connection is released and the container part ( 1110).

이외에도, 용기부와 뚜껑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리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lid portion are not shown, but may be combined in various separable structures.

한편, 본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main body is not shown,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in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0)는 하우징(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ody 11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

이 경우, 본체(1100)는 청소기(1)가 오염물질을 흡입하도록 작동할 때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본체(1100)는 청소기(1)가 작동을 종료할 때 하우징(10)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110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0 when the cleaner 1 operates to suck the pollutants. Alternatively, the main body 1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when the cleaner 1 ends its operation.

예컨대, 하우징(10)에는 제1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0)의 뚜껑부(1120)에는 제1걸림돌기에 걸리도록 걸림동작 또는 걸림이 해제되도록 걸림해제동작하는 제2걸림돌기(미도시) 및 제2걸림돌기를 걸림동작 또는 걸림해제동작시키는 작동버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 In addition, a second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and a second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and a second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that engages in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to be caught on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or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is operated to release the locking operation. A button (not shown) may be formed.

사용자는 본체(1100)를 하우징(10)에 결합시킬 때 제2걸림돌기가 걸림동작하도록 작동버튼을 누를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본체(1100)를 하우징(10)에서 분리시킬 때 제2걸림돌기가 걸림해제동작하도록 작동버튼을 누를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11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the user may press the operation button so that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is engaged. Alternatively, when the main body 11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the user may press the operation button so that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disengaged.

이외에도, 본체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ain body is not shown,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in various ways, such as slid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유입라인(1200)은 도 2와 같이 본체(1100) 외부와 필터링영역(1150a)을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이때, 유입라인(1200)은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이 본체(1100) 외부에서 필터링영역(1150a)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The inlet line 1200 extends to connec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and the filtering region 1150a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the inlet line 120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contaminants along with air flow into the filtering region 1150a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이 경우, 하우징(10)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은 유입라인(1200)으로 유입되어 필터링영역(1150a), 즉 물 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air and small particles of contaminant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housing 10 may flow into the inlet line 1200 and move into the filtering region 1150a, that is, water.

유입라인(1200)의 일단부는 필터링영역(1150a)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유입라인(1200)의 일단부는 본체(1100)의 내부공간(1150) 중 물이 수용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One end of the inflow line 1200 is located in the filtering area 1150a.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inlet line 1200 may be located in an area in which water is received in the inner space 1150 of the main body 1100.

유입라인(1200)의 타단부는 본체(1100) 외부, 즉 하우징(10)의 배출구를 향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inlet line 1200 may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that is, toward the outlet of the housing 10.

본 실시예에서, 유입라인(1200)의 일단부에는 도 2, 도 3 및 도 4와 같이 교란부(1400)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disturbing part 140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flow line 1200 as shown in FIGS. 2, 3 and 4.

교란부(1400)는 유입라인(1200)으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링영역(1150a)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본체(1100)에 수용된 물을 교란시킨다. 이 경우, 교란되는 물은 정지상태의 물보다 오염물질에 대한 접촉 가능성이 증가되고, 필터링영역(1150a)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교란되는 물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The disturbing part 1400 disturbs the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0 whil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flow line 1200 moves to the filtering area 1150a. In this case, the disturbed water is more likely to contact pollutants than the water in a stationary state, and pollutants flowing into the filtering area 1150a can be more effectively collected by the disturbed water.

교란부(1400)는 유입라인(120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교란부(1400)의 일단부는 유입라인(120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교란부(1400)의 타단부는 필터링영역(1150a)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라인(1200)으로 유입된 공기 및 오염물질은 교란부(1400)를 거쳐 필터링영역(1150a)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disturbing part 1400 may ext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flow line 1200. One end of the disturbance part 140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flow line 1200, and the other end of the disturbance part 1400 may be formed to open toward the filtering region 1150a. In this case, air and pollutants introduced into the inlet line 1200 may move to the filtering region 1150a through the disturbing part 1400.

예컨대, 교란부(1400)는 도 4와 같이 타단부가 유입라인(1200)의 일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란부(1400)에서 필터링영역(1150a)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속도가 증가하여 물을 효과적으로 교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urbance part 14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area of the disturbance part 1400 decreases as the other end moves away from one end of the inflow line 120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air moving from the disturbance unit 1400 to the filtering region 1150a increases in speed, thereby effectively disturbing water.

이때, 교란부(1400)의 타단부 측벽 중 일부 영역은 도 4와 같이 교란부(1400)의 연장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란부(1400)의 타단부는 교란부(1400)에서 필터링영역(1150a)으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흔들리며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 part of the sidewall of the other end of the disturbance part 1400 may be cut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isturbance part 1400 as shown in FIG. 4.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disturbing unit 1400 is shaken by the air moving from the disturbing unit 1400 to the filtering region 1150a, thereby more effectively disturbing the water.

교란부(1400)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disturbing part 14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배출라인(1300)은 도 2와 같이 본체(1100) 외부와 공기수집영역(1150b)을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이때, 배출라인(1300)은 공기수집영역(1150b)에 수집된 공기가 공기수집영역(1150b)에서 본체(1100)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The discharge line 1300 extends to connec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and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as shown in FIG. 2. At this time, the discharge line 1300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collected in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is discharged from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이 경우, 필터링영역(1150a)을 통과한 공기, 즉 오염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여 배출라인(1300)을 통해 본체(1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region 1150a, that is, air filtered with pollutants, may move to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through the discharge line 1300.

배출라인(1300)의 일단부는 공기수집영역(1150b)에 위치한다.One end of the discharge line 1300 is locat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배출라인(1300)의 타단부는 본체(1100) 외부를 향할 수 있다. 이때, 배출라인(1300)의 타단부는 하우징(10)의 배출구가 아닌 본체(1100) 외부를 향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line 1300 may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line 1300 may fac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rather than the discharge port of the housing 10.

본 실시예에서, 유입라인(1200) 및 배출라인(13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뚜껑부(11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라인(1200) 및 배출라인(1300)은 뚜껑부(1120)와 함께 용기부(1110)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며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let line 1200 and the outlet line 1300 may be supported by the lid portion 1120 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is case, the inlet line 1200 and the discharge line 1300 can be moved inside or outside the container portion 1110 together with the lid portion 1120, so that management is easy and loss can be prevented.

유입라인(1200)의 일단부는 도 2와 같이 용기부(11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필터링영역(1150a)에 위치하고, 유입라인(1200)의 타단부는 뚜껑부(1120) 내부를 관통하여 하우징(10)의 배출구를 향해 연장되며 뚜껑부(1120)에 지지될 수 있다.One end of the inlet line 120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110 as shown in FIG. 2 and is located in the filtering region 1150a, and the other end of the inlet line 1200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lid 1120. It extends toward the outlet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supported by the lid portion 1120.

그리고 배출라인(1300)의 일단부는 도 2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수집영역(1150b)에 위치하고, 배출라인(1300)의 타단부는 뚜껑부(1120) 내부를 관통하여 뚜껑부(1120) 외부, 즉 본체(1100) 외부를 향해 연장되며 뚜껑부(1120)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discharge line 130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and is locat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line 1300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lid part 1120 and the lid part 1120 It extends toward the outside, that i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0 and may be supported by the lid portion 1120.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입라인 및 배출라인은 용기부에 지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other embodiments, the inlet line and the discharge line may be supported by the container.

이 경우, 유입라인의 일단부는 용기부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필터링영역에 위치하고, 유입라인의 타단부는 용기부의 상단부 측벽, 즉 공기수집영역을 형성하는 측벽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배출구를 향해 연장되며 용기부에 지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inlet line extends vertically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is located in the filtering area, and the other end of the inlet line penetrate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that is, the sidewall that forms the air collection area, and extends toward the outlet of the housing. And can be supported on the container part.

그리고 배출라인의 일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수집영역에 위치하고, 배출라인의 타단부는 용기부의 상단부 측벽을 관통하여 용기부 외부를 향해 연장되며 용기부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discharge lin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locat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line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end sidewall of the container and extends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may be supported by the container.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0)는 도 2, 도 3 및 도 5와 같이 다공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portion 1500 as shown in FIGS. 2, 3 and 5.

다공부(1500)는 공기수집영역(1150b)에 배치된다. 이 경우, 다공부(1500)는 도 2와 같이 용기부(1110) 내부에 위치하고, 수면의 상측에서 수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orous portion 1500 is disposed in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In this case, the porous part 1500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part 1110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ater surface above the water surface.

다공부(1500)에는 복수의 관통홀(1500a)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관통홀(1500a)은 각각 다공부(15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00a are formed in the porous portion 150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500a may be formed by respectively penetrating the porous portion 15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예컨대, 다공부(1500)는 도 5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porous portion 1500 may be provided as a plate member as shown in FIG. 5,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공부(1500)는 필터링영역(1150a)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버블을 분쇄할 수 있다.The porous part 1500 may crush bubbles generated by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region 1150a.

보다 상세히, 유입라인(1200)으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링영역(1150a), 즉 본체(1100)에 수용된 물을 통과하는 과정에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버블은 상승이동하며 필터링영역(1150a)에서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버블은 필터링영역(1150a)에서 포집되지 않고 공기와 함께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는 일부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필터링영역(1150a)으로 회수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line 1200 may generate bubbles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region 1150a, that is,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0. The bubble moves upward and may move from the filtering area 1150a to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In this process, bubbles may be collected in the filtering area 1150a by collecting some contaminants that are not collected in the filtering area 1150a but moving to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together with air.

이때, 버블은 상승이동하는 과정에서 다공부(1500)의 복수의 관통홀(1500a)을 통과하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다수의 버블(이하에서, 미세버블이라 한다.)로 분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bble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00a of the porous portion 1500 in the process of moving upward, and may be crushed into a plurality of relatively small bubb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crobubbles).

다공부(1500)에 의해 분쇄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버블의 전체 표면적은 분쇄되기 전 버블의 표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미세버블은 분쇄되기 전 버블보다 오염물질과 접촉될 가능성이 증가하여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plurality of microbubbles formed by pulverization by the porous portion 1500 may be larg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bubbles before pulverization. In this case, the likelihood that the plurality of microbubbles come into contact with contaminants is increased rather than the bubbles before being pulverized, so that contaminants can be more effectively collect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0)는 다공부(1500)가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는 버블을 다수의 크기가 작은 버블로 분쇄함으로써, 그 다수의 작은 버블을 이용하여 필터링영역(1150a)에서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는 일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나아가 본체(1100)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lter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ulverizes the bubbles moving to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by the porous part 1500 into a number of small bubbles, and thus the filtering area using the plurality of small bubbles Some contaminants moving from 1150a to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may be effectively collected, and further, an effect of filtering contaminants flowing into the main body 1100 may be improved.

이와 같은 다공부(1500)는 수면에 대해 소정의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간격은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는 버블이 최대로 분쇄될 수 있는 다공부(1500)의 저면 및 수면 사이 간격이고, 다수의 모의실험 또는 수치해석 등의 방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The porous portion 1500 may be dispos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Here, the set interval is the interval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porous portion 1500 at which the bubble moving to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can be crushed to the maximum, and may be determined through a number of simulations or numerical analysis. .

본 실시예에서, 유입라인(1200)은 다공부(1500)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let line 1200 may extend through the porous portion 1500.

이 경우, 다공부(1500)에는 도 5와 같이 결합홀(1500b)이 관통 형성되고, 유입라인(1200)은 결합홀(1500b)을 관통하여 필터링영역(1150a)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hole 1500b is formed through the porous portion 1500 as shown in FIG. 5, and the inlet line 1200 may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1500b and extend to the filtering region 1150a.

예컨대, 다공부(1500)는 결합홀(1500b)을 관통하는 유입라인(1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다공부(1500)는 수면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형성하도록 유입라인(1200)에 끼워지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rous part 15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inlet line 1200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1500b. At this time, the porous portion 1500 is fitted into the inlet line 1200 to form a se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and may be fixedly coupl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이 경우, 다공부(1500)는 뚜껑부(1120)에 지지되는 유입라인(1200)과 함께 용기부(1110)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며 분실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rous portion 1500 can move inside or outside the container portion 1110 together with the inlet line 1200 supported by the lid portion 1120, so that management is easy and loss can be prevented.

이외에도, 다공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입라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유입라인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orous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inlet line in various ways, such a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line.

한편, 다공부(1501', 1502')는 도 6과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2의 다공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에서 +Z축방향은 본체(1100)의 상측방향을 나타낸다.Meanwhile, the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may be provided in plural as shown in FIG. 6. For reference, FIG. 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orous portion of FIG. 2, and in FIG. 6, the +Z-axis direction indicates an up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0.

복수의 다공부(1501', 1502')는 도 6과 같이 유입라인(1200')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다공부(1501', 1502')는 상하방향, 즉 본체(1100)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flow line 1200 ′ as shown in FIG. 6.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0.

이때, 수면에 대해 먼 측에 위치하는 다공부(1501')의 관통홀(1501a')은 수면에 대해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다공부(1502')의 관통홀(1502a')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는 버블은 복수의 다공부(1501', 1502')를 차례로 통과하며 보다 많은 미세버블로 분쇄되고,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1501a' of the porous portion 1501 ′ located on the side far from the water surface may be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1502a ′ of the porous portion 1502 ′ located on the side near the water surface. In this case, the bubbles moving to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in sequence, and are pulverized into more fine bubbles, and contaminants may be more effectively collected.

예컨대, 다공부(1501', 1502')는 도 6과 같이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다공부(1501', 1502')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다공부(1501', 1502') 중 제1다공부(1501')는 수면에 대해 먼 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제2다공부(1502')는 수면에 대해 가까운 측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wo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6. The two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of the two porous parts 1501 ′ and 1502 ′, the first porous part 1501 ′ may be located at a side far from the water surface, and the second second porous part 1502 ′ may be located at a side close to the water surface. have.

다공부(1501', 1502')의 수는 본체(1100)의 내부공간(115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number of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may be various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inner space 1150 of the main body 1100.

유입라인(1200')은 복수의 다공부(1501', 1502')를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라인(1200')은 복수의 다공부(1501', 150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며 복수의 다공부(1501', 1502')를 관통할 수 있다.The inlet line 1200 ′ may extend through 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in order. In this case, the inlet line 1200 ′ has a cross-sectional area reduc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penetrate 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1501 ′ and 1502 ′. have.

다시 말해, 유입라인(1200')은 수면에 대해 먼 측에 위치하는 다공부(1501')에서 수면에 대해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다공부(1502')를 관통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다단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let line 1200 ′ is provided in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it passes through the porous part 1502 ′ located on the side closer to the water surface in the porous part 1501 ′ located on the far side to the water surface. Can be.

예컨대, 유입라인(1200')에는 도 6과 수면에서 가장 먼 상단부에 단면적이 가장 큰 대면적영역(1200a')이 형성되고, 대면적영역(1200a')의 하측에 대면적영역(1200a')보다 단면적이 작은 제1소면적영역(1200b')이 형성되고, 제1소면적영역(1200b')의 하측에 제1소면적영역(1200b')보다 단면적이 작은 제2소면적영역(1200c')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nflow line 1200', a large area area 1200a' with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Fig. 6 and farthest from the water surface, and the large area area 1200a' is located below the large area area 1200a'. A first small area area 1200b'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and a second small area area 1200c'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irst small area area 1200b' is formed under the first small area area 1200b'. ) Can be formed.

이때, 제1소면적영역(1200b')은 제1다공부(1501')를 관통하고, 제2소면적영역(1200c')은 제2다공부(1502')를 관통하고, 제1다공부(1501')에는 제1소면적영역(1200b')에 대응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제2다공부(1502')에는 제2소면적영역(1200c')에 대응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mall area area 1200b' penetrates the first porous portion 1501', the second small area area 1200c' penetrates the second porous portion 1502', and the first porous portion A coupling ho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mall area area 1200b' is formed in 1501', and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mall area area 1200c' is formed in the second porous portion 1502' (Not shown) can be formed.

이 경우, 제1다공부(1501')는 대면적영역(1200a')과 제1소면적영역(1200b')이 형성하는 단턱에 지지되어 대면적영역(1200a')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제2다공부(1502')는 제1소면적영역(1200b')과 제2소면적영역(1200c')이 형성하는 단턱에 지지되어 제1소면적영역(1200b')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orous portion 1501 ′ is supported on a step formed by the large area area 1200a ′ and the first small area area 1200b ′ and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large area area 1200a ′, The second porous portion 1502 ′ is supported on a step formed by the first small area area 1200b ′ and the second small area area 1200c ′ and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first small area area 1200b ′. I can.

따라서, 제1다공부(1501') 및 제2다공부(1502') 는 유입라인(1200)의 연장방향으로 용이하게 이격될 수 있으며, 제1다공부(1501')의 관통홀(1501a')과 제2다공부(1502')의 관통홀(1502a')이 폐쇄되도록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orous portion 1501 ′ and the second porous portion 1502 ′ can be easily separat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flow line 1200, and the through hole 1501a ′ of the first porous portion 1501 ′ ) And the through hole 1502a' of the second porous portion 1502'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each other so that they are closed.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000)는 필터링영역(1150a)에서 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ollects contaminants using water in the filtering area 1150a, thereby effectively filtering contaminants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나아가, 공기수집영역(1150b)에 배치되는 다공부(1500)가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는 버블을 다수의 크기가 작은 버블로 분쇄하고, 그 다수의 작은 버블을 이용하여 필터링영역(1150a)에서 공기수집영역(1150b)으로 이동하는 일부 오염물질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Further, the porous portion 1500 disposed in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pulverizes the bubbles moving to the air collection region 1150b into a plurality of small bubbles, and the filtering region 1150a using the plurality of small bubbles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llect some pollutants moving to the air collection area 1150b.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view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in the CC line of FIG. 7.

도 7에서 +Z축방향은 필터장치(2000) 및 본체(2100)의 상측방향을 나타낸다.In FIG. 7, the +Z axis direction indicates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lter device 2000 and the main body 2100.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2000)는 본체(2100), 유입라인(2200), 배출라인(2300) 및 다공부(2500)를 포함하고, 물을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7 and 8, a filter device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0, an inlet line 2200, a discharge line 2300, and a porous part 2500, and water The pollutants introduced with the air can be filtered using.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2000)는 본체(2100)의 내부공간(2150)의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The filter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e structure of the inner space 2150 of the main body 2100.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본체(2100)의 내부공간(2150)은 구획부재(2600)에 의해 복수의 소공간(2151, 215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각 소공간(2151, 2152)에는 필터링영역(2151a, 2152a) 및 공기수집영역(2151b, 2152b)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pace 2150 of the main body 21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spaces 2151 and 2152 by the partition member 2600. In this case, filtering regions 2151a and 2152a and air collection regions 2151b and 2152b are formed in each of the small spaces 2151 and 2152.

예컨대, 내부공간(215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중앙부에 구획부재(2600)가 배치되어 두 개의 소공간(2151, 215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소공간(2151, 2152)에는 각각 필터링영역(2151a, 2152a) 및 공기수집영역(2151b, 2152b)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space 2150 may be divided into two small spaces 2151 and 2152 by arranging a partition member 2600 in the central por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In this case, filtering regions 2151a and 2152a and air collection regions 2151b and 2152b may be formed in the two small spaces 2151 and 2152, respectively.

참고로, 두 개의 소공간(2151, 2152) 중 하나를 제1소공간(2151)이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소공간(2152)이라 한다. 이 경우, 제1소공간(2151)에 형성되는 필터링영역(2151a) 및 공기수집영역(2151b)을 각각 제1필터링영역(2151a) 및 제1공기수집영역(2151b)이라 하고, 제2소공간(2152)에 형성되는 필터링영역(2152a) 및 공기수집영역(2152b)을 각각 제2필터링영역(2152a) 및 제2공기수집영역(2152b)이라 한다.For reference, one of the two small spaces 2151 and 2152 is referred to as a first small space 2151 and the other is referred to as a second small space 2152. In this case, the filtering region 2151a and the air collection region 2151b formed in the first small space 2151 are referred to as a first filtering region 2151a and a first air collection region 2151b,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mall space The filtering region 2152a and the air collecting region 2152b formed in the 2152 are referred to as a second filtering region 2152a and a second air collecting region 2152b, respectively.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획부재를 통해 3개 이상의 소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lthough not shown in other embodiments, it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small spaces through a partition member.

구획부재(2600)는 본체(2100) 내부에서 본체(210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재(2600)는 본체(2100)의 내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extend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00 inside the main body 2100. In this case, 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2100.

예컨대, 구획부재(2600)는 도 7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재(2600)는 뚜껑부(2120)의 저면에서 용기부(2110)의 바닥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7. In this case, 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part 212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2110.

이러한 구획부재(2600)의 상단부는 도 7과 같이 뚜껑부(2120)의 저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재(2600)는 뚜껑부(2120)가 용기부(2110)에 결합될 때 내부공간(2150)을 2개의 소공간(2151, 2152)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거나, 뚜껑부(2120)가 용기부(2110)에서 분리될 때 내부공간(2150)에 대한 구획을 해제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be fixed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part 2120 as shown in FIG. 7. In this case, the partition member 2600 is arranged to divide the inner space 2150 into two small spaces 2151 and 2152 when the lid part 21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2110, or the lid part 2120 When is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art 2110, the compartment for the inner space 2150 may be released.

구획부재(2600)의 측단부는 도 8과 같이 구획부재(2600)의 측단부와 마주보는 용기부(2110)의 내측벽에 지지될 수 있다.The side end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portion 2110 facing the side end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as shown in FIG. 8.

이때, 용기부(2110)의 내측벽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2700)가 용기부(2110)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돌기(2700)는 각각 용기부(21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구획부재(2600)의 두께방향(예컨대, 도 8에서 볼 때 X축방향)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재(2600)의 측단부는 뚜껑부(2120)와 용기부(2110)가 결합할 때, 한 쌍의 지지돌기(2700)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27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part 2110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part 2110.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2700 extends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tainer part 211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eg, the X-axis direction as seen in FIG. 8 ). . In this case, the side end portion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protrusions 2700 and supported when the lid portion 2120 and the container portion 2110 are coupled.

한 쌍의 지지돌기(2700)는 도 8과 같이 구획부재(2600)의 일측단부와 마주보는 용기부(2110)의 내측벽 및 구획부재(2600)의 타측단부와 마주보는 용기부(2110)의 내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부재(2600)는 양측단부가 지지됨으로써, 용기부(2110) 내부에서 공기 및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흔들림이 방지되며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 pair of support protrusions 2700 are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part 2110 facing one end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and the container part 2110 facing the oth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as shown in FIG. Each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In this case, since both ends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are supported, shaking is prevented and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even when air and contaminants move inside the container unit 2110.

구획부재(2600)의 하단부는 도 7과 같이 용기부(2110)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may be supported by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110 as shown in FIG. 7.

본 실시예에서,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복수의 소공간(2151, 2152)을 순차로 경유하여 포집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소공간(2151, 2152) 중 앞선 순번의 소공간(2151)의 공기수집영역(2151b)은 다음 순번의 소공간(2151)의 필터링영역(2152a)과 연결라인(2800)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contamin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air may be collected through a plurality of small spaces 2151 and 2152 in sequence. In this case, among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2151 and 2152, the air collection area 2151b of the small space 2151 of the previous order is a filtering area 2152a and the connection line 2800 of the small space 2151 of the next order. Can be connected.

이때, 복수의 소공간(2151, 2152) 중 가장 먼저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소공간(2151)의 필터링영역(2151a)에는 유입라인(2200)의 일단부가 위치하고, 복수의 소공간(2151, 2152) 중 가장 나중에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소공간(2152)의 공기수집영역(2152b))에는 배출라인(2300)의 일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inlet line 2200 is located in the filtering region 2151a of the small space 2151 that first collects pollutants among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2151 and 2152, and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2151 and 2152 One end of the discharge line 2300 may be located in the air collection area 2152b of the small space 2152 where pollutants are collected at the last.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2000)는 내부공간(2150)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복수의 단계를 거쳐 순차로 포집함으로써,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어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lter apparatus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llect pollutants more effectively by sequentially collecting pollutants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2150 through a plurality of steps, thereby having an effect of filtering pollutants. It can be improved.

예컨대, 제1소공간(2151)의 제1필터링영역(2151a)에는 도 7과 같이 유입라인(2200)의 일단부가 위치하고, 제2소공간(2152)의 제2공기수집영역(2152b)에는 배출라인(2300)의 일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inlet line 2200 is located in the first filtering region 2151a of the first small space 2151, and discharged to the second air collection region 2152b of the second small space 2152 One end of the line 2300 may be located.

연결라인(2800)은 제2소공간(2152)에 배치되어 연장되고, 구획부재(2600)의 제1공기수집영역(2151b)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1소공간(2151)과 제2소공간(2152)을 연통시키는 연통홀(2600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2800)의 일단부는 연통홀(2600a)에 연결되어 연통홀(2600a)을 매개로 제1공기수집영역(2151b)과 연결되고, 연결라인(2800)의 타단부는 제2필터링영역(2152a)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2800 is disposed in the second small space 2152 and extends, and a first small space 2151 and a second small spac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ir collection area 2151b of the partition member 2600 A communication hole 2600a communicating with the 2152 may be formed through. 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e 28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2600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collection region 2151b via the communication hole 2600a,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2800 is subjected to second filtering. It may be located in the area 2152a.

이 경우, 제1소공간(2151)의 제1필터링영역(2151a)은 가장 먼저 오염물질을 포집하고, 제2소공간(2152)의 제2필터링영역(2152a)은 그 다음, 즉 가장 나중에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iltering area 2151a of the first small space 2151 collects contaminants first, and the second filtering area 2152a of the second small space 2152 is next, that is, the last contamination. It can capture material.

보다 상세히, 유입라인(2200)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가장 먼저 제1필터링영역(2151a)으로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다. 제1필터링영역(2151a)을 통과한 공기 및 일부 오염물질은 제1공기수집영역(2151b)에 수집될 수 있다.In more detail, pollut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inlet line 2200 may be first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ing region 2151a and collected. Air and some pollutan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ing region 2151a may be collected in the first air collection region 2151b.

이후, 제1공기수집영역(2151b)에 수집된 공기 및 오염물질은 연결라인(2800)을 통해 제2필터링영역(2152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라인(2800)은 제1공기수집영역(2151b)의 공기 및 오염물질이 제1공기수집영역(2151b)에서 제2필터링영역(2152a)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air and pollutants collected in the first air collection region 2151b may flow into the second filtering region 2152a through the connection line 2800.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line 2800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air and contaminants in the first air collection region 2151b move from the first air collection region 2151b to the second filtering region 2152a.

연결라인(2800)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제2필터링영역(2152a)에서 포집되고, 제2필터링영역(2152a)을 통과한 공기는 제2공기수집영역(2152b))에 수집되어 배출라인(2300)을 통해 본체(2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Pollut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connection line 2800 are collected in the second filtering area 2152a,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area 2152a is collected in the second air collection area 2152b.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0 through the discharge line 2300.

한편, 유입라인(2200)의 일단부 및 연결라인(2800)의 타단부에는 도 7과 같이 각각 교란부(240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each disturbing part 240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inflow line 22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2800.

다공부(2500)는 도 7과 같이 제1소공간(2151) 및 제2소공간(2152)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소공간(2151)에 제공되는 다공부(2500)는 제1공기수집영역(2151b)에서 유입라인(2200)에 결합되고, 제2소공간(2152)에 제공되는 다공부(2500)는 제2공기수집영역(2152b)에서 연결라인(28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porous part 250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mall space 2151 and the second small space 215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7. In this case, the porous portion 2500 provided in the first small space 2151 is coupled to the inlet line 2200 in the first air collection region 2151b, and the porous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small space 2152 ( 250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line 2800 in the second air collection region 2152b.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와 같이 공기유입라인(1200)에 역류방지부(190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a backflow prevention part 1900 may be formed in the air inflow line 1200 as shown in FIG. 9.

참고로, 도 9는 도 2의 공기유입라인에 역류방지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에서는 도 2의 공기유입라인(1200)의 일부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For reference,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ckflow prevention part is installed in the air inflow line of FIG. 2, and in FIG. 9, a part of the air inflow line 1200 of FIG. 2 is enlarged.

역류방지부(1900)는 공기유입라인(1200)의 하우징(도 1의 10 참조)의 배출구를 향하는 타단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backflow prevention part 19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air inlet line 1200 toward the outlet of the housing (refer to 10 in FIG. 1 ).

역류방지부(1900)는 본체(도 2의 1100 참조)에 수용된 물이 공기유입라인(1200)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ckflow prevention unit 1900 may prevent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see 1100 of FIG. 2)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air inlet line 1200.

보다 상세히, 물이 수용된 본체는 청소기(도 1의 1 참조)의 하우징(도 1의 10참조)에서 분리된 상태 또는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넘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에 수용된 물은 공기유입라인(1200)으로 역류하여 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본체가 하우징에 결합된 경우, 본체에 수용된 물은 역류하여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body containing water may fall by an external force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housing (see 10 in FIG. 1) of the cleaner (see 1 in FIG. 1) or in a state coupled to the housing. In this case, the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may flow back to the air inlet line 120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hous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flows backward an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utlet of the housing. Can be introduced.

이때, 역류방지부(1900)는 공기유입라인(1200)을 폐쇄하여 본체에 수용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에 수용된 물, 특히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물이 본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1900 closes the air inlet line 1200 to prevent the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from flowing backward, and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especially water contaminated by pollutant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r the housing It can prevent inflow to the inside.

예컨대, 역류방지부(1900)는 개폐부재(1910), 탄성부재(1920) 및 스토퍼(193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ckflow prevention part 1900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member 1910, an elastic member 1920, and a stopper 1930.

개폐부재(191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어 공기유입라인(1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개폐부재(1910)는 공기유입라인(1200)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inside the air inlet line 1200. In this case,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inflow line 1200.

개폐부재(1910)는 일단부가 힌지축(H)을 매개로 공기유입라인(1200)의 내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1910)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공기유입라인(1200)을 개폐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air inflow line 1200 at one end through the hinge shaft H. At this time,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may rotate around the hinge shaft H and open and close the air inlet line 1200.

보다 상세히, 개폐부재(1910)는 도 9와 같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유입라인(1200)을 개방시키는 개방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오염물질은 공기유입라인(1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910 may rotate in one direction around the hinge axis H as shown in FIG. 9 to open the air inlet line 1200. In this case, air and pollutant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housing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line 1200.

또는 개폐부재(1910)는 힌지축(H)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유입라인(1200)을 폐쇄시키는 폐쇄동작할 수 있다(도 9의 점선 참조). 이 경우, 본체에 수용된 물은 공기유입라인(1200)을 통해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may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H in another direction to close the air inflow line 1200 (see dotted line in FIG. 9 ). In this case, water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air inlet line 1200.

탄성부재(1920)는 개폐부재(1910)를 탄성지지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1920)는 개폐부재(1910)가 개폐동작할 때 신축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920 elastically support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910.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920 may expand and contract when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is opened/closed.

보다 상세히, 공기유입라인(1200)에는 청소기가 작동할 때 하우징의 배출구로부터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1910)는 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동작하고, 탄성부재(1920)는 수축하며 개방동작하는 개폐부재(1910)를 지지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ir and pollutants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line 1200 from the outlet of the housing when the cleaner is operated. At this time,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is pressurized b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let to open the opening, and the elastic member 1920 may support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which contracts and opens.

또는 공기유입라인(1200)에는 청소기가 작동을 중지할 때 하우징의 배출구로부터 공기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중지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920)는 신장되고, 개폐부재(1910)는 신장하는 탄성부재(1920)에 지지되어 폐쇄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재(1910)는 탄성부재(1920)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동작할 수 있다.Alternatively, air and pollutants may be stopped from flowing into the air inlet line 1200 from the outlet of the housing when the cleaner stops operating.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1920 is elongated,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is supported by the elongated elastic member 1920 to be closed. In other words, the opening/closing member 1910 may be clo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920.

탄성부재(1920)의 탄성력은 모터부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압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92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acuum pressure formed by the motor unit.

탄성부재(192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elastic member 1920 may include a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스토퍼(1930)는 폐쇄동작한 개폐부재(1910)를 지지한다. 이 경우, 스토퍼(1930)는 공기유입라인(1200)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되고, 폐쇄동작한 개폐부재(1910)의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topper 1930 supports the closing member 1910 in a closed operation. In this case, the stopper 193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inlet line 1200 and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closing member 1910.

이때, 스토퍼(1930)는 개폐부재(1910)가 탄성부재(1920)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동작하는 과정에 타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공기유입라인(1200)을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부재(1910)의 폐쇄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per 1930 prevent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910 from opening the air inflow line 1200 by continuously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92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910 ) Can maintain the closing operation.

이외에도, 역류방지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에 수용된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backflow prevention un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contained in the main body.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공부는 유입라인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porous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let line.

예컨대, 유입라인의 외측벽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다공부의 결합홀을 형성하는 측벽에는 유입라인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부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승이동하며 유입라인에 결합되고, 다공부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하강이동하며 유입라인에서 분리될 수 있다.For example, a male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inlet line,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screwed with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inlet line may be formed on a sidewall forming a coupling hole of the porous portion. In this case, the porous portion moves upward when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inlet line, and the porous portion moves downward when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inlet line.

이러한 다공부는 용기부에 주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승강하며 유입라인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Such a porous par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part, and the position of the inlet line can be adjusted.

보다 상세히, 용기부에 주입되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 수면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다공부는 수면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형성하도록 유입라인에 대해 상승 이동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is large, the water surface may rise. At this time, the porous portion may move upward with respect to the inflow line to form a se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또는, 용기부에 주입되는 물의 양이 작은 경우, 수면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다공부는 수면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형성하도록 유입라인에 대해 하강 이동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is small, the water surface may be lowered. At this time, the porous portion may move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inflow line to form a se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공부의 저면에는 위치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other embodiment, the position control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ous portion.

위치조절부는 용기부에 주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승강하는 수면에 대응하여 다공부의 유입라인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부의 결합홀을 형성하는 측벽은 다공부의 결합홀을 관통하는 유입라인의 외측벽에 대해 이격되고, 다공부는 유입라인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The position control unit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let line of the porou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sing water surfac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unit. In this case, the sidewall forming the coupling hole of the porous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inlet line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of the porous portion, and the porous portion can be mov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inlet line.

이때, 다공부는 용기부에 주입되는 물의 양의 변경되는 경우에도 수면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rous portion may maintain a se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even when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container portion is changed.

일례로, 위치조절부는 고무풍선과 같이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osition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oyancy body that forms buoyancy such as a rubber balloon.

이 경우, 다공부는 위치조절부의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유할 수 있다. 이때, 다공부는 승강하는 수면에 대응하여 부력에 의해 승강하며 수면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rous portion may float on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buoyancy of the position control portion. At this time, the porous portion is raised and lowered by buoyancy in response to the raised water surface and may maintain a se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water surface.

다른 예로, 위치조절부는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봉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절부는 복수의 제공되고, 복수의 위치조절부 각각의 일단부는 다공부의 저면을 지지하고, 위치조절부 각각의 타단부는 용기부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sition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that can expand and contr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osition control units may be provided,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control units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ous unit,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osition control units may b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이 경우, 위치조절부는 수면이 상승하는 경우 신장되고, 다공부는 신장하는 위치조절부에 지지되어 상승 이동하며 상승하는 수면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 control unit is elongated when the water surface rises, and the porous portion is supported by the elongating position control unit to move upward and maintain a se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rising water surface.

또는 위치조절부는 수면이 하강하는 경우 수축하고, 다공부는 수축하는 위치조절부에 지지되어 하강 이동하며 하강하는 수면에 대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osition control unit may contract when the water surface descends, and the porous part may be supported by the contracting position control unit to move downward and maintain a se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descending water surfac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장치(1000)가 도 1과 같이 청소기(1)의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청소기(1)가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filter device 10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of the cleaner 1 as shown in FIG. 1, the cleaner 1 collects pollutants that are sucked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air. It has been described with an example.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장치가 환기를 위한 설비인 공기이동덕트에 결합되어 공기이동덕트를 따라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설비 또는 장비에 결합되어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lthough not shown in other embodiments, a filter device is coupled to an air moving duct, which is a facility for ventilation, and collects pollutants that move along with the air along the air moving duct. Can be combined with equipment to trap contaminant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ns of the lik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청소기
10: 하우징
30: 흡입관
50: 모터부
70: 집진부
1000, 2000: 필터장치
1100, 2100: 본체
1150, 2150: 내부공간
1110, 2110: 용기부
1120, 2120: 뚜껑부
1200, 1200’, 2200: 유입라인
1300, 2300: 배출라인
1400, 2400: 교란부
1500, 1501’, 1502’, 2500: 다공부
2600: 구획부재
2800: 연결라인
1900: 역류방지부
1910: 개폐부재
1920: 탄성부재
1930: 스토퍼
1: cleaner
10: housing
30: suction pipe
50: motor unit
70: dust collecting unit
1000, 2000: filter device
1100, 2100: main body
1150, 2150: internal space
1110, 2110: container part
1120, 2120: lid
1200, 1200', 2200: inlet line
1300, 2300: discharge line
1400, 2400: disturbance
1500, 1501', 1502', 2500: porous part
2600: partition member
2800: connecting line
1900: backflow prevention unit
1910: opening and closing member
1920: elastic member
1930: stopper

Claims (10)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필터장치로서,
내부공간에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물이 수용되는 필터링영역 및 상기 필터링영역의 상측에서 상기 필터링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수집되는 공기수집영역이 형성되는 본체;
일단부가 상기 필터링영역에 위치하고, 공기와 함께 상기 오염물질이 상기 본체 외부에서 상기 필터링영역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라인; 및
일단부가 상기 공기수집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수집영역에 수집된 공기가 상기 공기수집영역에서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라인을 포함하는, 필터장치.
As a filter device that collects pollutants flowing in with air,
A main body having a filtering area in which water for collecting pollutants is received in an internal space and an air collection area in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area is collected from an upper side of the filtering area;
An inlet line having one end positioned in the filtering area and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pollutants and air are introduced into the filtering area from outside the main body; And
And a discharge line having one end positioned in the air collecting region and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collected in the air collecting region is discharged from the air collecting region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적어도 일부에 물이 수용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A container portion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in at least a portion; And
A filter device comprising a lid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 및 상기 배출라인은 상기 뚜껑부에 지지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let line and the outlet line are supported on the lid portion, the filt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의 일단부에는 상기 유입라인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링영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본체에 수용된 물을 교란시키는 교란부가 형성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one end of the inlet line, a disturb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let line to disturb water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whil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line moves to the filtering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수집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링영역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버블을 분쇄하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공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t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orous portion disposed in the air collecting reg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o crush bubbles generated by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은 상기 다공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inlet line extends through the porous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부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다공부는 상기 유입라인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orous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le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구획부재에 의해 복수의 소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 소공간에는 상기 필터링영역 및 상기 공기수집영역이 형성되고,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상기 오염물질은 상기 복수의 소공간을 순차로 경유하여 포집되되,
상기 복수의 소공간 중 가장 먼저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소공간의 필터링영역에는 상기 유입라인의 일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소공간 중 가장 나중에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소공간의 공기수집영역에는 상기 배출라인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spaces by a partition member,
The filtering area and the air collection area are formed in each of the small spaces,
The pollutants introduced with air are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in sequence,
One end of the inflow line is located in the filtering area of the small space that collects the pollutants first among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The filter device, wherein one end of the discharge line is located in the air collection region of the small space that collects the pollutants at the last among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공간 중 앞선 순번의 소공간의 공기수집영역은 다음 순번의 소공간의 필터링영역과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필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lter device, wherein the air collection region of the small space of the previous order among the plurality of small spaces is connected to the filtering region of the small space of the next order by a connection line.
내부로 공기와 함께 오염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 및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공기와 함께 상기 오염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터부의 상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상기 오염물질 중 일부를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모터부의 하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상기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contaminants are sucked in together with air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motor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so that the pollutants are sucked together with air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A dust collecting unit form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motor unit of the housing and collecting some of the pollutants suck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a downstream side of the motor part of the housing and collects the pollutant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 vacuum cleaner.
KR1020190056380A 2019-05-14 2019-05-14 Cleaner including filter apparatus KR102236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80A KR102236550B1 (en) 2019-05-14 2019-05-14 Cleaner including filte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80A KR102236550B1 (en) 2019-05-14 2019-05-14 Cleaner including filte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83A true KR20200131583A (en) 2020-11-24
KR102236550B1 KR102236550B1 (en) 2021-04-06

Family

ID=7367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380A KR102236550B1 (en) 2019-05-14 2019-05-14 Cleaner including filte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5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6099A1 (en) 2020-10-13 2022-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latch assembly and storage devic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757B1 (en) * 1998-05-30 2000-08-01 배길성 Main body for a vacuum cleaner
US20020023541A1 (en) * 1999-12-30 2002-02-28 Angelo Sanchez Liquid spray absorbing
KR101335675B1 (en) * 2012-04-27 2013-12-03 박명덕 Dust collecting apparatus by water washing
KR20150127815A (en) * 2012-05-22 2015-1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20180103288A (en) * 2017-03-09 2018-09-19 주식회사 텍콤 Cleaner with Filter Using Wa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757B1 (en) * 1998-05-30 2000-08-01 배길성 Main body for a vacuum cleaner
US20020023541A1 (en) * 1999-12-30 2002-02-28 Angelo Sanchez Liquid spray absorbing
KR101335675B1 (en) * 2012-04-27 2013-12-03 박명덕 Dust collecting apparatus by water washing
KR20150127815A (en) * 2012-05-22 2015-1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KR20180103288A (en) * 2017-03-09 2018-09-19 주식회사 텍콤 Cleaner with Filter Using W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6099A1 (en) 2020-10-13 2022-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latch assembly and storage devic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550B1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1252B (en) Vacuum cleaner
CA2730632C (en) Seal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3654617B (en) Vacuum cleaner
KR102391161B1 (en) Dust collection box and robot vacuum cleaner
RU2181254C1 (en) Cyclone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KR100647195B1 (en)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CA2628573A1 (en) 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KR20060087853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dust counterflow prevent member
US20110219579A1 (en) Suction motor housing for an upright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7513939B2 (en) Wet type air cleaner
CN109952051B (en) Vacuum cleaner with a vacuum cleaner head
US20060102003A1 (en) Wet type air cleaner
CN113243839A (en) Separation component, sewage storage device, suction device and surface cleaning equipment
CN211704431U (en) Vacuum cleaner with a vacuum cleaner head
WO2018188632A1 (en) Cyclone separator and handheld vacuum cleaner
KR102236550B1 (en) Cleaner including filter apparatus
US20130247328A1 (en) Vacuum cleaner
EP300592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0704336B1 (en) Cyclone dust collecter for vacuum cleaner
KR101474903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and dust separating method
CN1241518C (en) Vacuum cleaner having automatic dust-remover
KR100751764B1 (en) Exhaust filter for vacuum cleaner
JP4942573B2 (en) Electric equipment and vacuum cleaner
KR101669134B1 (en) Dust cleaning apparatus
CN103908194A (en) Bedding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