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430A - Foldable pet dryer - Google Patents

Foldable pet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430A
KR20200131430A KR1020190056037A KR20190056037A KR20200131430A KR 20200131430 A KR20200131430 A KR 20200131430A KR 1020190056037 A KR1020190056037 A KR 1020190056037A KR 20190056037 A KR20190056037 A KR 20190056037A KR 20200131430 A KR20200131430 A KR 20200131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ying space
door
dryer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9044B1 (en
Inventor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주)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붐테크 filed Critical (주)붐테크
Priority to KR1020190056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044B1/en
Publication of KR2020013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430A/en
Priority to KR1020210040230A priority patent/KR1026472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et dry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ldable pet dryer capable of improving spatial efficiency and portability by forming a space for drying a pet in an unfolding state and providing a foldab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door, and a hinge-combining unit. The housing includes a drying space, an internal air receiving unit which is provided in one side of the drying space, and an internal air supplying unit which is provided in another side of the drying space. The door is combined with the housing and forms the drying space. The hinge-combining un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rovides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of the housing.

Description

폴더블 펫 드라이어{FOLDABLE PET DRYER}Foldable Pet Dryer {FOLDABLE PET DRYER}

본 발명은 폴더블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펼침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드라이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접힘 가능한 폴더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공간효율 및 휴대성 등이 증대된 폴더블 펫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pet dryer, and more particularly, a foldable pet with increased space efficiency and portability by providing a foldable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space for drying a pet in an open state and providing a foldable structure. It is about the dryer.

최근 독신 가구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 등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위로를 얻기 위해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such as dogs and cats is increasing in order to obtain emotional comfort through communication with pets.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실내에서 애완동물과 같이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애완동물의 오염된 털이나 이물질은 사람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위생 청결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Not only apartments but also detached houses often live with pets indoors.At this time, contaminated hairs or foreign substances of pets can seriously affect human health, s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hygiene and cleanliness of pets. Should be tilted.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펫샵(Pet Shop)에 애완동물의 목욕을 의뢰하거나, 개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게 되는데, 목욕 후 털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감기나 피부병의 원인이 된다.In order to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pet, request a bath for the pet at a Pet Shop or the individual directly bathes the pet. If the hair is not dried well after bathing, it may cause a cold or skin disease.

건조를 위해 일반 헤어드라이어나 거치대에 거치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건조 과정에서 빠진 털을 포집할 수 없고, 건조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If you use a general hair dryer or a pet dryer mounted on a cradle for drying, you cannot collect the hair that has been removed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it takes a long time to dr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털을 말릴 수 있는 펫 드라이룸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et dry room capable of accommodating pets and drying their hair has been developed and spread.

종래의 기술(공개특허 제20-2010-0008637호)은 애완동물의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샤워가 끝난 후 애완견을 말려주기 위한 드라이 장치, 상기 드라이 장치에 의해 털을 건조시킨 후 환풍 동작에 의해 애완견으로부터 빠진 털이 걸리도록 하기 위한 걸림 장치를 갖는 환풍 장치를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Public Patent Publication No. 20-2010-0008637) relates to a bathing device for pets, a drying device for drying a dog after a shower is over, and a ventilating operation after drying the hair by the drying device. It includes a ventilating device having a locking device for catching the hair that has fallen out of the dog.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드라이 장치 및 환풍 장치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의 목욕장치가 폴더블 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공간효율이 낮으며, 포장 및 운송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oes not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et bath apparatus including a drying device and a ventilating device is foldable, so that space efficiency is low, and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are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구조를 제공하여 공간효율이 극대화되고 포장 및 운송이 용이한 폴더블 펫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pet dryer that maximizes space efficiency and facilitates packaging and transport by providing a foldable structure capable of expanding and folding.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and features.

본 발명은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건조 공간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하는 힌지결합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housing including a drying space, an internal air inl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ying space and an internal air supply part provided on another side of the drying space, and the housing is folded And a hinge coupling means for providing an unfolding operation.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하우징의 펼침 및 접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펼침 상태에서는 애완동물의 드라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접힘 상태에서 공간효율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포장 및 운송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provides a space for drying of pets in the unfolded state by providing a hinge coupling means to allow the housing to be unfolded and folded, and in the folded state, space efficiency is maximized while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This has an easy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펼침 상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하면에 애완동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도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ldable pet dryer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ldable pet dryer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t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ldable pet dryer in an open stat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oupled to the housing to form a drying space in which pets are accommodated.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of the bar, implementation (態樣, aspect) (or embodiment) that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sun, 態樣,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1~, ~2~,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only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different constituent elem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It may not match.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the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에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foldable pet dryer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foldable pet dryer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폴더블 펫 드라이어(1)는 하우징(11) 및 힌지결합수단(1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펫 드라이어(1)를 '본 드라이어'라 칭하기로 한다.1 and 2, the foldable pet dryer 1 includes a housing 11 and a hinge coupling means 13.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dable pet dryer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referred to as a “bone dry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건조 공간(DS)을 구비한다. 또한 힌지결합수단(13)은 하우징(11)에 구비되고, 하우징(11)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1)은 후술할 힌지결합수단(13)을 기준으로 일 측에 제1바디(111) 및 타 측에 제2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 측은 도 2의 힌지결합수단(13)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6시 방향)을 의미하고, 타 측은 도 2의 힌지결합수단(13)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12시 방향)을 의미한다. 힌지결합수단(13)은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ㄴ' 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펼침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예시적으로 힌지결합수단(13)은 하우징(11)(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이 대략'='자 형상이 되도록 접힘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바디(112)는 수평 배치되어 애완동물(펫)이 안착되는 하면을 구성하고, 제1바디(111)는 상기 제2바디(112)에 수직(도 1을 기준으로 12시-6시 방향) 배치되어 상기 건조 공간(DS)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배치라 함은 지면에 대해 수평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도 1을 기준으로 3시-9시 방향을 의미한다. 1 and 2, the housing 11 includes a drying space DS. In addition, the hinge coupling means 13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 and provides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housing 11. In more detail, the housing 11 may include a first body 111 on one side and a second body 112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hinge coupling means 13 to be described later. Here, one side means a downward direction (6 o'clock) with respect to the hinge coupling means 13 of FIG. 2, and the other side means an upper direction (12 o'clock) with respect to the hinge coupling means 13 of FIG. 2 do. The hinge coupling means 13 may provide an unfolding operation of the housing 11 so that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have a'b' shape (for example, the hinge coupling means 13 ) May provide a folding operation such that the housing 11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has an approximately'=' shape. At this time, the second body 112 is disposed horizontally to form a lower surface on which the pet (pet) is seated, and the first body 111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ody 112 (12 o'clock -6 o'clock based on FIG. Viewing direction) may constitute a side surface of the drying space DS. Here, the horizontal arrangement may mean horizontal arrangement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refers to the 3 o'clock-9 o'clock direction based on FIG. 1.

이와 같이, 제2바디(112)에 애완동물(펫)이 안착됨으로써,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구비하는 건조 공간(DS)에 애완동물이 안착된다.In this way, as the pet (pet) is seated on the second body 112, the pet is seated in the drying space DS provided by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상술하였듯이 힌지결합수단(13)은 하우징(11)에 구비되어 하우징(11)(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에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하는데,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 사이에 구비되어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상호 힌지 회동되도록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inge coupling means 13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 to provide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to the housing 11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the first body 111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ody 112 provides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so that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are hing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하우징(11)은 제1바디(111) 및 제2바디(112)가 힌지결합수단(13)에 각각 연결되어 힌지 회전됨으로써, 펼침 상태에서는 펫(애완동물)의 드라이를 위한 건조 공간(DS)을 제공하고, 접힘 상태에서는 부피가 축소되므로 공간 활용성이 증대되어 포장,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In this way, the housing 11 is a drying space for drying a pet (pet) when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hinge coupling means 13 and rotated by hinges. (DS) is provided, and since the volume is reduced in the folded state, space utilization is increased, and packag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are easy.

도 3은 펼침 상태의 폴더블 펫 드라이어의 제2바디에 애완동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t is seated in a second body of the foldable pet dryer in an open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은 건조 공간(DS)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113) 및 건조 공간(DS)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114)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내기 유입부(113)는 하우징(11)의 펼침 상태에서 제1바디(111)의 상측(도 1을 기준으로 12시 방향)에 구비되고, 내기 공급부(114)는 제2바디(112) 또는 제1바디(111)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되되, 제1바디(111)에 구비되는 내기 공급부(114)는 제1바디(111)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1 to 3, the housing 11 includes an air inlet 11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ying space DS and an air supply 114 provided on another side of the drying space DS. Includes. Illustrative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the air inlet 113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111 (12 o'clock based on FIG. 1)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housing 11 , The bet supply unit 114 is provided in the second body 112 or the first body 111 or both, but the bet supply unit 114 provided in the first body 111 is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dy 111 Can be provided in.

즉 상술하였듯이 본 드라이어가 'ㄴ' 자 형상이 되도록 하우징(11)이 펼침 상태에 놓인다고 하였는데, 본 드라이어가 'ㄴ'자 형상으로 펼침 상태에 놓임으로써,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에 안착된 애완동물로 내기를 공급한 이후에, 상기 내기를 다시금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공간(DS) 내의 내기를 원활히 이동(순환)시키는 동시에 건조 공간(DS) 내의 드라이 도중 발생한 털 등이 내기 유입부(113)로 용이하게 배출(후술하는 통로부(11P) 유입되도록 한다)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기란 건조 공간(DS) 및 후술하는 통로부(11P) 내의 공기로서,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housing 11 is in an unfolded state so that the dryer has a'b' shape, but by placing the dryer in an unfolded state in a'b' shape, the drying space ( After supplying the bet to the pet seated in the DS), the bet is moved again through the bet inlet 113, thereby smoothly moving (circulating) the bet in the drying space DS, and at the same time, the drying space (DS ) Can be easily discharged (to allow the passage portion 11P to be described later)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inside air inlet 113 during drying. Here, the bet refers to air in the drying space DS and the passage portion 11P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include pet hair generated during drying.

도 4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도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coupled to a housing to form a drying space in which a pet is accommodat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드라이어(폴더블 펫 드라이어(1))는 건조 공간(DS)을 형성하도록 하우징(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도어(12)는 제1바디(111), 제2바디(112)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내기 공급부(114) 및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건조 공간(DS) 및 후술하는 통로부(11P)에서 공기가 이동(순환)되도록 도어(12)는 하우징(11)과 결합될 수 있다.1 to 4, the dryer (foldable pet dryer 1) may include a door 12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1 to form a drying space DS (door (1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11, the second body 112 or both). In more detail, the door 12 includes the housing 11 so that air is moved (circulated) in the drying space DS and the passage portion 11P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14 and the air inlet unit 113. Can be combined.

이와 같이, 본 드라이어는 하우징(11)이 도어(12)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드라이어의 역할을 수행(도 3 참조)하며, 하우징(11)에 도어(12) 결합되는 경우 드라이룸으로서 역할을 수행(도 4 참조)한다는 이점이 있다. 즉 도어(12)를 하우징(11)에 결합함으로써,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이 건조 공간(DS) 및 후술하는 통로부(11P)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도어(12) 및 하우징(11)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그루밍(빗질) 및 드라이를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yer functions as a dryer when the housing 11 is not connected to the door 12 (see FIG. 3), and when the door 12 is coupled to the housing 11, it serves as a dry room. There is an advantage of performing (see Fig. 4). That is, by coupling the door 12 to the housing 1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utflow of the pet hair generated during drying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space DS and the passage portion 11P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oor 12 ) And by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housing 11, grooming (combing) and drying can be performed.

하우징(11)은 펼침 상태에서 도어(12)를 연결하여 건조 공간(DS)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1)의 접힘 상태 이전에 도어(12) 및 하우징(11)의 결합을 해제하여 하우징(11)이 접힘 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어(12) 및 하우징(11)은 볼팅 결합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11 can form a drying space DS by connecting the door 12 in the unfolded state, and the combination of the door 12 and the housing 11 is released before the housing 11 is folded. (11) can be folded. For example, the door 12 and the housing 11 may be detachably coupl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ing.

도어(12)가 하우징(11)과 착탈 가능한 구조이므로, 도어(12)를 하우징(11)에 연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용이하게 건조 공간(DS)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건조 공간(DS)에 애완동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도어(12)를 하우징(11)에 결합(연결)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을 건조 공간(DS)에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접힘 상태 이전에 도어(1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하우징(11)의 접힘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 및 도어(12)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하우징(11) 및 도어(12) 각각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door 12 is detachable from the housing 11, the pet can be easily seated in the drying space DS without connecting the door 12 to the housing 11, and the drying space DS ) By coupling (connecting) the door 12 to the housing 11 in a state where the pet is seated, the pet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drying space DS. In addition, by releasing the coupled state of the door 12 before the folded state of the housing 11, the folded state of the housing 11 can be easily maintain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maintenance of each of the housing 11 and the door 12 is easy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11 and the door 12 are disengag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11P)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후술할 팬(FA) 등에 의해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건조 공간(DS)의 내기가 통로부(11P)로 유입되고, 통로부(11P)를 이동한 내기가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으로 이동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바디(111)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부(111P)를 포함하며, 제2바디(112)는 내부에 공기가 이동되는 제2통로부(112P)를 포함하는데 제1통로부(111P) 및 제2통로부(112P)는 연결부(13P)를 통해 연통되는 구조이다.1 to 4, the housing 11 may include a passage part 11P through which air moves. That is, the internal air of the drying space DS is introduced into the passage 11P through the air inlet 113 by a fan F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air that has moved through the passage 11P is the internal air supply 114 It is moved to the drying space (DS) through. In more detail, the first body 111 includes a first passage part 111P through which air moves, and the second body 112 includes a second passage part 112P through which air moves. Including, the first passage portion 111P and the second passage portion 112P have a structure communicating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13P.

이때, 통로부(11P)는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공급부(114) 사이에 필터(FI)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드라이 도중 발생되는 펫의 털 등을 포함하는 내기가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통로부(11P)내 구비되는 필터(FI)에 의해 여과되어 내기 공급부(114)를 통하여 재공급 되므로, 펫이 수용되는 건조 공간(DS)의 청결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case, the passage part 11P may include a filter FI between the air inlet 113 and the air supply 114. That is, since the bet including pet hair generated during drying is filtered by the filter FI provided in the passage 11P through the bet inlet 113 and is resupplied through the bet supply unit 114, Maintain the cleanliness of the drying space DS in which pets are accommodat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통로부(11P)는 건조 공간(DS) 및 통로부(11P)의 공기(내기)를 이동시키는 팬(FA)을 구비하되, 팬(FA)은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팬(FA)은 건조 공간(DS)의 내기를 내기 유입부(113)를 통해 통로부(11P)로 유입시키고, 통로부(11P) 내 내기를 다시금 내기 공급부(114)를 통해 건조 공간(DS)으로 이동시킨다. 즉, 내기 순환 경로는 건조 공간(DS) - 내기 유입부(113) - 통로부(11P) - 내기 공급부(114) - 건조 공간(DS)이다. 1 to 4, the passage part 11P includes a drying space DS and a fan FA for moving the air (exhaust) of the passage part 11P, but the fan FA circulates the internal air. 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FI based on the path. In more detail, the fan FA introduces the bet from the drying space DS into the passage part 11P through the bet inlet 113, and the bet supply part 114 in the passage part 11P again Through the drying space (DS). That is,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path is the drying space DS-the internal air inlet 113-the passage part 11P-the internal air supply part 114-the drying space DS.

이와 같이, 팬(FA)은 필터(FI)의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후단에 구비되어 펫의 털 등이 여과된 내기만이 통과됨으로 팬(FA)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팬(FA)의 수명 연장).In this way, the fan FA is provided at the rear end based on the inner air circulation path of the filter FI, so that only the inner air filtered through the pet's hair, etc. is passed, so that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pped in the fan FA. There is (extending the life of the fan (FA)).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상기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된 내기 배출부(115)를 포함하고, 도어(12)는 통공된 외기 유입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 및 도어(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12)가 외기 유입부(121)를 포함함으로써, 펫이 안착되는 건조 공간(DS)에 신선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외기는 본 드라이어(건조 공간(DS) 및 통로부(11P)) 외측의 대기를 의미한다.1 and 4, the housing 11 includes an internal air discharge unit 115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FI based on the circulation path of the internal air, and the door 12 enters through the outside air. The part 121 may be provided.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fresh outside air can be supplied to the drying space DS in which the pet is seated by the door 12 including the outside air inlet 121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11 and the door 12 are combined. . Here, the outside air means the atmosphere outside the dryer (dry space DS and passage part 11P).

이때, 건조 공간(DS) 및 통로부(11P)의 내기를 본 드라이어(드라이룸)의 외측으로 배출하지 않은 경우, 건조 공간(DS) 내의 드라이 도중 발생한 펫의 털 등이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본 드라이어의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은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되는 내기 배출부(115)를 포함함으로써, 건조 공간(DS)내 내기의 압력을 항상 대기압 미만으로 유지하여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건조 공간(DS)내의 털(드라이 도중 발생한 펫의 털) 등이 본 드라이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신선한 외기가 건조 공간(DS)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nternal air of the drying space DS and the passage part 11P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er (dry room), the hair of the pet generated during drying in the drying space DS is the outside air inlet 121 It may flow out to the outside of the dryer. Therefore, the housing 11 includes an internal air discharge unit 115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FI,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air in the drying space DS is always below atmospheric pressure and is dried through the external air inlet 12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hairs (hairs of pets generated during drying) in the space DS ar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dryer, and fresh outside air is allowed to flow into the drying space DS.

또한 상술하였듯이 단일개의 필터(FI)가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공급부(114) 사이에 구비되는 동시에, 내기 유입부(113) 및 내기 배출부(115)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필터(FI)를 복수개 구비할 필요 없이 한 개의 필터(FI)만으로 드라이 도중 발생한 펫의 털 등을 여과하여 건조 공간(DS)으로 공급 및, 본 드라이룸의 외측(하우징(11) 및 건조 공간(DS)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어, 필터(FI)를 복수개 구입하고 복수개의 필터(FI)를 유지보수 할 필요가 없으므로 필터(FI)에 관한 비용이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single filter FI is provided between the air inlet 113 and the air supply 114, and is provided between the air inlet 113 and the air discharge 115, so that the filter FI Without the need to provide a plurality of, the pet hair generated during drying is filtered with only one filter (FI) and supplied to the drying space (DS), and the outside of the drying room (housing 11 and the outside of the drying space DS) ) Can be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related to the filter (FI) is sav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a plurality of filters (FI) and maintain the plurality of filters (FI).

내기 배출부(115)는 팬(FA)에 근접하여 팬(FA)에 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팬(FA)이 구비되는 통로부(11P) 내의 내기는 팬(FA)의 후단에서 팬(FA)에 근접할수록 내기 순환 경로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빠르며, 팬(FA)과의 거리가 멀수록 내기 순환 경로 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느리므로, 내기 배출부(115)를 팬(FA)의 후단에서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내기가 원활하게 내기 배출부(115)를 통해 본 드라이어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신선한 외기가 용이하게 건조 공간(DS)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 part 115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an FA in proximity to the fan FA. That is, the bet in the passage part 11P in which the fan FA is provided is closer to the fan FA from the rear end of the fan FA, the faster the moving spe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path is, and the distance from the fan FA is farther. Since the moving spe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air circulation path is slow, the inside air discharge unit 115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fan FA, so that the inside of the dryer as seen through the inside air discharge unit 115 is smooth. Fresh outdoor air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drying space DS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121 by being discharged into the ai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기 유입부(121)는 도어(12)가 하우징(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12)의 하측(도 1을 기준으로 6시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술하였듯이 제2바디(112)는 건조 공간(DS)의 하면을 구성하고, 제1바디(111)는 제2바디(112)에서 수직 배치되어 측면을 구성하는데, 외기 유입부(121)는 제2바디(112)에 인접한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다.1 to 4, the outside air inlet 121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door 12 (6 o'clock based o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coupled to the housing 11 desirable. In more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ody 112 constitutes the lower surface of the drying space DS, and the first body 111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second body 112 to constitute a side surface. 12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adjacent to the second body 112.

이와 같이, 외기 유입부(121)가 도어(12)의 하측에 구비됨으로써, 본 드라이어의 내기 순환 경로 상 건조 공간(DS)에 수용된 펫에 신선한 외기(통로부(11P)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를 바로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외기 유입부(121)가 도어(12)의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 팬(FA)에 의한 본 드라이룸의 내기 순환 경로 상,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공급된 신선한 공기가 펫에 바로 제공되지 않고, 내기 유입부(113)를 통과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outside air inlet 12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12, so that fresh outside air to the pet accommodated in the drying space DS on the inside air circulation path of the dryer (air not passing through the passage 11P) Can be supplied immediately. Conversely, when the outside air inlet 12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12, fresh air supplied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121 on the inner air circulation path of the dry room by the fan FA is sent to the pet. It is not provided immediately, and may pass through the bet inlet 113.

외기 유입부(121)는 펫의 얼굴 높이(펫의 코 높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utside air inlet 121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ace of the pet (the height of the nose of the pet).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2)가 하우징(11)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드라이어)에서도, 내기 배출부(115)를 통해 필터(FI)에 의해 여과된 내기가 배출됨으로써, 건조 공간(DS)의 내기(외기가 포함될 수 있다)가 외기 유입부(121)를 통해 통로부(11P)로 이동된다. 따라서 그루밍(빗질) 시에도 펫의 털 등이 본 드라이어(건조 공간(DS))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는 이점이 있다.1 and 3,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not coupled to the housing 11 (dryer), the bet filtered by the filter FI through the air outlet 115 is discharged, thereby drying The inside air (which may include outside air) of the space DS is moved to the passage portion 11P through the outside air inlet 121. Therefore, even during grooming (comb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utflow of the pet's hair and the like to the outside of the dryer (drying space DS) is suppressed.

도 5는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필터(FI)는 제1바디(111)의 제1통로부(111P)에 구비되고, 제1바디(111)는 제1통로부(111P)를 개방하는 개폐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1111)는 예시적으로 제1통로부(111P)에 구비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힌지 회전에 따라 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1 to 5, the filter FI is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part 111P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first body 111 i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the first passage part 111P. (1111) may be included. Referring to FIG. 5,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11 illustratively includes a hinge part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part 111P and a cover hingedly coupled to the hinge part, and the cover is a first passageway according to the hinge rotation. The opened portion of the portion 111P can be opened and closed.

즉, 본 드라이어는 펫을 드라이 또는 그루밍 하는 경우 개폐부(1111)에 의해 제1통로부(111P)를 밀폐시켜(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밀폐) 건조 공간(DS), 내기 유입부(113), 통로부(11P), 내기 공급부(114) 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되, 내기 배출부(115)로 내기를 배출시킨다(도어(121)가 결합되는 경우 외기 유입부(121)로 외기를 유입시키기도 한다). 반면에 본 드라이어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FI) 등을 유지보수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개폐부(1111)를 통해 제1통로부(111P)를 개방(제1통로부(111P)의 개구된 부분을 개방)하여 필터(FI) 등을 용이하게 유지보수(필터(FI)에 포집된 먼지, 털 등을 제거하거나 필터(FI) 등을 교체)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drying or grooming a pet, this dryer seals the first passage part 111P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11 (closes the open part of the first passage part 111P), drying space DS, The air is circulated over the inlet 113, the passage 11P, and the inner air supply unit 114, but discharges the inner air to the inner air outlet 115 (when the door 121 is coupled, the outside air inlet 121) It also introduces outside air into it).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need to maintain the filter (FI), etc. without using the dryer, the first passage portion 111P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11 (the opening of the first passage portion 111P). The filter (FI) can be easily maintained (removing dust, hair, etc. collected in the filter (FI) or replacing the filter (FI)) by opening the part).

도 5를 참조하면, 개폐부(1111) 상기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술하였듯이, 팬(FA)이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된다고 하였으므로, 통로부(11P)의 개구된 부분 및 개폐부(1111)는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전단에 구비됨으로써, 팬(FA)에 방해를 받지 않고 필터(FI)에 포집된 먼지나 털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FI) 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5,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11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lter FI based on the bet circulation path. In more detail, as described above, since it was said that the fan FA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FI, the opened port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11 of the passage portion 11P are formed of the filter FI based on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path. By being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ust or hair collected in the filter FI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fan FA, and the filter FI or the like can be easily replaced.

본 드라이어는 통로부(11P)에 히터(H)를 구비할 수 있는데, 히터(H) 또한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FI)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yer may include a heater H in the passage part 11P, and the heater H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lter FI based on the internal air circulation path.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폴더블 펫 드라이어: 1
하우징: 11
통로부: 11P
제1바디: 111
제1통로부: 111P
개폐부: 1111
제2바디: 112
제2통로부: 112P
내기 유입부: 113
내기 공급부: 114
건조 공간: DS
필터: FI
팬: FA
히터: H
내기 배출부: 115
댐퍼: 1151
도어: 12
외기 유입부: 121
힌지결합수단: 13
연결부: 13P
Foldable Pet Dryer: 1
Housing: 11
Pathway: 11P
Body 1: 111
1st passage part: 111P
Opening: 1111
Body 2: 112
2nd passage part: 112P
Bet inlet: 113
Bet Supply: 114
Drying space: DS
Filter: FI
Fan: FA
Heater: H
Bet outlet: 115
Damper: 1151
Door: 12
Outside air inlet: 121
Hinge coupling means: 13
Connection: 13P

Claims (9)

건조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된 내기 유입부 및 상기 건조 공간의 또 다른 일 측에 구비된 내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제공하는 힌지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A housing including a drying space, an internal air inlet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ying space, and an internal air supply part provided on another side of the drying space; And
A hinge coupling mean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providing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housing;
Foldable pet dry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힌지결합수단을 기준으로 일 측에 제1바디 및 타 측에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수단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가 'ㄴ' 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펼침 동작을 제공하고, 상기 제2바디는 수평 배치되어 애완동물이 안착되는 하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2바디에 수직 배치되어 상기 건조 공간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body on one side and a second body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hinge coupling means, and the hinge coupling means is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have a'b' shape. Provides an unfolding operation of the housing, wherein the second body is disposed horizontally to constitute a lower surface on which the pet is seated, and the first body is disposed vertically to the second body to constitute a side surface of the drying space. Foldable pet dr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펫 드라이어는 상기 건조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able pet dryer further comprises a door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form the drying sp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로부는 상기 내기 유입부 및 상기 내기 공급부 사이에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3,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air moves,
The foldable pet dryer, wherein the passage portion includes a filter between the air inlet portion and the air supply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건조 공간 및 상기 통로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을 더 구비하되, 상기 팬은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의 후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4,
The passage portion further includes a fan for moving the air in the drying space and the passage portion, wherein the fan i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filter based on a circulation path of the b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기의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의 후단에 구비된 내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통공된 외기 유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5,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n inside air discharge par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ilter based on a circulation path of the inside air, wherei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outside air inlet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6,
The outside air inlet portion is a foldable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while the door is coupled to the hou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 각각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부 및 제2통로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1바디의 제1통로부에 구비되고,
제1바디는 상기 제1통로부를 개방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4,
Each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cludes a first passage portion and a second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air moves,
The filter is provided in the first passage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first body is a foldable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the first passag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내기 순환 경로를 기준으로 필터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펫 드라이어.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foldable pet dry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filter based on the air circulation path.
KR1020190056037A 2019-05-14 2019-05-14 Foldable pet dryer KR102239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037A KR102239044B1 (en) 2019-05-14 2019-05-14 Foldable pet dryer
KR1020210040230A KR102647239B1 (en) 2019-05-14 2021-03-29 Foldable pet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037A KR102239044B1 (en) 2019-05-14 2019-05-14 Foldable pet dry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230A Division KR102647239B1 (en) 2019-05-14 2021-03-29 Foldable pet dr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430A true KR20200131430A (en) 2020-11-24
KR102239044B1 KR102239044B1 (en) 2021-04-12

Family

ID=7367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037A KR102239044B1 (en) 2019-05-14 2019-05-14 Foldable pet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04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401A (en) * 2008-05-30 2009-12-03 (주) 에띠라 Drying apparatus having folding type heater for pet
KR20100085569A (en) * 2009-01-21 2010-07-29 최영민 Foot drier
KR20150041757A (en) * 2013-09-14 2015-04-17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Box type pet dryer
KR20170049258A (en)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Pet Carrier With Dry Room Function
KR101840655B1 (en)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Pet Dry Room
KR20190050892A (en) * 2017-11-04 2019-05-14 김은영 feet dryer only for large do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401A (en) * 2008-05-30 2009-12-03 (주) 에띠라 Drying apparatus having folding type heater for pet
KR20100085569A (en) * 2009-01-21 2010-07-29 최영민 Foot drier
KR20150041757A (en) * 2013-09-14 2015-04-17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Box type pet dryer
KR20170049258A (en)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Pet Carrier With Dry Room Function
KR101840655B1 (en)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Pet Dry Room
KR20190050892A (en) * 2017-11-04 2019-05-14 김은영 feet dryer only for large do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044B1 (en)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KR200472302Y1 (en) Pet Drying Equipment
US20210337766A1 (en) Multi-house for pets
KR20110011502U (en) Pet drier
KR20080068977A (en) Dryer for pet
KR20190001102A (en) Drying device for pet
KR20150049810A (en) Pet dry room
CN110419458A (en) Arrangement device and the cooking equipment of the hair made from arrangement device and cooking method
WO2017150805A1 (en) Pet dryer having brush
KR101971577B1 (en) Pet dry device
KR102239044B1 (en) Foldable pet dryer
KR20210036337A (en) Foldable pet dryer
KR20180045246A (en) A pet drier
JPH10150877A (en) Housing box for pet and other animals
JP3166426U (en) Pet dryer
CN209672423U (en) A kind of super bath device with sterilizing function
KR102239047B1 (en) Pet drying room to maintain negative pressure
KR102647241B1 (en) Pet drying room to maintain negative pressure
KR200398311Y1 (en) pet dryer
CN117322352B (en) Shared intelligent pet beauty locker
KR102015799B1 (en) Glove box type petdry room
CN215223896U (en) Pet hair drying apparatus with excrement treatment function
KR102041948B1 (en) Door structure for pet dry device
KR20180067773A (en) Removable dry room for pet
JP2007259746A (en) Dryer with quiet wind for p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