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067A - Filter - Google Patents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067A
KR20200131067A KR1020190055839A KR20190055839A KR20200131067A KR 20200131067 A KR20200131067 A KR 20200131067A KR 1020190055839 A KR1020190055839 A KR 1020190055839A KR 20190055839 A KR20190055839 A KR 20190055839A KR 20200131067 A KR20200131067 A KR 20200131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main body
raw w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3122B1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해양수산부장관)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해양수산부장관), 김보경 filed Critical 대한민국(해양수산부장관)
Priority to KR102019005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22B1/en
Publication of KR2020013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0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33/0077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comprising: a lower filter unit through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before filtration; a main body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filter unit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irst filter members for filtering the raw water; and an outlet unit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water filtered through the main body is discharged, wherein the raw water is filtered in the first filter members while repeating rising and falling inside the main body by the flow of the raw water.

Description

여과기{Filter} Filter {Filter}

본 발명은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수의 유동에 의해 필터부재를 순환시키면서 원수를 여과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어를 미세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있도록 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nd in particular, to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raw water while circulating a filter member by the flow of raw water, and finely dispersing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be supplied.

물고기를 기르기 위해 마련되는 수조 또는 어항의 물은 물고기들이 생존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에 한 개 이상의 다양한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물고기들에게 위험한 각종 오염물질들을 직접적으로 제거(물리적, 화학적 여과)하거나, 비교적 안전한 물질로 변환(생물학적 여과)시키며, 충분한 용존 산소를 제공하도록 유도한다.The water in tanks or tanks provided for raising fish must be kept in a condition where the fish can survive. Accordingly, one or more various filtering devices are installed to directly remove (physical and chemical filtration) various pollutants that are dangerous to fish, or convert them into relatively safe materials (biological filtration), and induce to provide sufficient dissolved oxygen.

종래 여과장치는 내부에 움직일 수 없는 입자성의 여과재를 채워 넣고, 물이 상기 여과재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상 여과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상 여과재는 초기에는 원수와 함께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어 충분한 여과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 오염물질이 상기 공극을 채워서 여과 기능이 서서히 떨어지고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상기 여과장치 및 여과재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고정상 여과방식은 원수에 녹아있는 최대 8ppm 이하의 매우 낮은 용존 산소만을 여과에 이용하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filtration devices mainly use a fixed bed filtration method in which a filter medium of immovable particulate matter is filled inside, and contaminants are filtered while water passes through the pores of the filter medium. However, such a fixed bed filter medium can exhibit sufficient filtering function since pollutants can flow smoothly with raw water at the beginning, but as time passes, pollutants fill the pores, resulting in a gradual drop in filtering function and obstruction of water flow. do.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re is a hassle of periodically cleaning the filtering device and the filter medium. In addition, most of the fixed bed filtration methods have a disadvantage of not high filtration efficiency because only very low dissolved oxygen of up to 8 ppm or less dissolved in raw water is used for filt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산소를 직접 여과재의 생물막 및 여과균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여과재가 스스로 움직이고 부딪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청소도 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여과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xygen to be directly supplied to the biofilm and filter bacteria of the filter medium, thereby improving filtration efficiency, while inducing the filter medium to move and collide by itself, thereby enabling self-cleaning,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that provides stable filtr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수의 유동에 의해 필터부재를 순환시켜서 원수를 여과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어를 미세하게 분산시켜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여과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requirements, and provides a filter capable of supplying the raw water by circulating the filter member by the flow of raw water, and finely dispers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여과 전 원수가 유입되는 하단필터부; 상기 하단필터부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제1 필터부재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필터부재는 상기 원수의 유동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상기 원수를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filter unit through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before filtration; A bod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ilter part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irst filter members for filtering the raw water; A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main body is discharged; including, the first filter member repeats rising and falling inside the main body by the flow of the raw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ile filtering the raw water.

또한, 상기 하단필터부(10)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필터부재(111)가 수용되는 필터장착부(1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filter unit 10 includes a filter mounting unit 11 accommodating a second filter member 111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또한, 상기 하단필터부(10)는, 상기 필터장착부(11)의 하측에 마련되며, 물에 가라앉는 중량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23)이 형성된 유입부(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wer filter unit 10 is provided under the filter mounting unit 11, a space for accommodating a weight body sinking in water is provided, and an inlet part having an inlet hole 123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12);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본체(20)의 하측에는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공급공(23)이 형성되고, 에어공급부로부터 생성된 에어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공급공(23)에 결합되는 에어튜브(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n air supply hole 23 for receiving air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an air tube 50 coupled to the air supply hole 23 is provided to supply the air generated from the air supply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상기 배출부(30)의 상부 내면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30 is inclined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one side.

또한, 상기 배출부(30)의 상부 내면에는 상기 본체(20)의 상부로 유도된 상기 여과수를 상기 배출구(31)로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유도리브(60)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도리브(60)의 상측은 상기 상부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유도리브(60)의 하측은 상기 본체(20)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각 유도리브(60)가 이격된 공간을 따라 상기 여과수가 유도되며, 상기 유도리브(60)의 하측은 상방향으로 오목한 라운드부(6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ribs 60 for guiding the filtered water guid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20 to the outlet 31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30, and the guide ribs The upper side of 60 is coupl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s 60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20, and the filtered water is guided along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guide ribs 60 ,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ide of the induction rib 60 is formed with a concave round portion 61 in the upward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20)의 하측에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디퓨저(70)가 결합되는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디퓨저(70)는, 복수의 제3 통과공(711)이 형성된 상판부(71); 상기 상판부(7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20)의 결합공(24)의 내주면과 끼움결합되는 중공의 끼움부(72); 상기 결합공(24)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부(72)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리브(7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coupling hole 24 to which the air diffuser 70 for generating fine bubbles is coupled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20, and the air diffuser 70 has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711 Formed upper plate portion 71; A hollow fitting portion 72 provided under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fitt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of the main body 2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engaging rib 73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tting portion 72 so as to be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hole 24.

또한, 상기 에어디퓨저(70)는, 상기 상판부(71)와 상기 끼움부(7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지며, 상기 상판부(71)와 상기 끼움부(72)를 연결하는 에어유로부(7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24)의 내주면과 함께 에어분출공(75)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부(71)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712)이 형성되어, 외부의 에어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에어가 상기 에어유로부(74)로 유도되고, 상기 에어분출공(75)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20)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ir diffuser 70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s of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the fitting portion 72, and an air passag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the fitting portion 72 ( 74), and to form an air ejection hole 75 together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a groove 712 recessed inwar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an external air supply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provided from is guided to the air passage part 74 and introduced into the body 20 through the air ejection hole 75.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원형의 상면(411) 및 하면(412)과, 상기 상면(411)과 하면(412)을 연결하는 측면(413)을 갖는 원기둥형의 몸체(41); 상기 측면(413)에 상기 몸체(41)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볼록부(42); 상기 몸체(41)의 내측에 형성되어 여과에 유익한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411) 및 상기 하면(412)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41)의 내측에 형성되는 증식홀(4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a cylindrical body 41 having a circular upper surface 411 and a lower surface 412 and a side surface 413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411 and the lower surface 412 ); A convex portion 42 continuous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41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41; A growth hole 43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dy 41 through the upper surface 411 and the lower surface 412 so that bacteria that are formed inside the body 41 and beneficial for filtration can inhabit It is preferably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원수의 유동에 의해 제1 필터부재를 순환시켜서 원수가 여과되고, 상기 제1 필터부재는 순환시 서로 부딪혀 그 내외면이 지속적으로 청소되므로 여과기 내부의 청소 간격을 늘려 사용이 간편 및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w water is filtered by circulating the first filter member by the flow of raw water, and the first filter member collides with each other during circulation an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are continuously cleaned, so the cleaning interval inside the filter is increased. It provides simplicity and ease of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어가 미세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여과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는 본체 내부에서 순환하는 상기 제1 필터부재에 의해 분산되어 여과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iltration by allowing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be finely dispersed.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dispersed by the first filter member circulating inside the bod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filtration efficiency.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는 물에 가까운 비중을 갖도록 하여 본체의 내부에서 원할하게 순환하면서 여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면은 여과균들이 서식하는 바이오필름(생물막)이 잘 형성되고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filter member has a specific gravity close to water so that filt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smoothly circulating inside the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is a biofilm (biofilm) in which filter bacteria live. It is well formed and provides a protective effect.

또한, 적절한 크기로 나누어 분산된 에어는 상부로 올라가면서 원수를 배출시키고, 새로운 원수가 본체 내부로 입수되도록 하여 여과기가 설치된 수조 또는 어항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상부로 올라가는 에어의 움직임에 의해 원수의 입수 및 출수를 유도하여 물의 순환을 일으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air distributed by dividing into appropriate sizes discharges raw water as it rises to the top, and provides the effect of circulating water in a tank or fish tank equipped with a filter by allowing new raw water to be received into the body. That is, it provides the effect of inducing the intake and outflow of raw water by the movement of air rising upwards, thereby causing water circulation.

또한, 상기 미세하게 분산된 에어는 상기 제1 필터부재의 내면에 생성되는 생물막 또는 여과균에 직접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작용을 하므로,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원수를 정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nely dispersed air acts to directly supply oxygen to the biofilm or filter bacteria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it provides an effect of stably and efficiently purifying raw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원수가 유입되는 하단필터부에 제2 필터부재를 마련하여 1차적으로 물리적 여과를 수행하고, 본체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상기 제1 필터부재에는 여과에 유익한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증식홀을 마련하여 2차적으로 생물학적 여과를 수행하므로, 여과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filter member is provided in the lower filter portion through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to primarily perform physical filtration, and the first filter member circulating inside the body contains bacteria beneficial for filtration. Biological filtration is secondarily performed by providing a growth hole capable of inhabiting,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ilt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제2 필터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물리적 여과가 수행되므로, 본체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청소주기를 늘리는 효과를 제공한다. Further, i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hysical filtration is primarily performed by the second filter member, foreign substances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bod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leaning cy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상기 하단필터부에 수중에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여과기는 상기 중량체에 의해 바닥에 가라앉게 되어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easily installing a weight body that can sink underwater in the lower filter part, and the filter is settled on the floor by the weight body, so that installation is easy. Provide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여과 작용 및 에어공급 작용을 동시에 제공하여, 종래와 같이 여과장치 및 에어공급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ration action and an air supply action at the same time, an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nd install a filtration device and an air supply device as in the prior art, s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convenient.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리사시도,
도3은 도1의 단면도,
도4는 도3을 다른 각도에 바라본 도면,
도5는 본체에 대한 도면,
도6은 배출부에 대한 도면,
도7은 유도리브에 대한 도면,
도8은 에어디퓨저에 대한 도면,
도9는 제1 필터부재에 대한 도면,
도10은 도9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 4 is a view of Fig. 3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5 is a view of the main body;
6 is a view of the discharge unit,
7 is a view of an induction rib,
8 is a view of the air diffuser;
9 is a view of a first filter member;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9;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는, 물고기를 기르는 인위적인 공간, 예컨대, 수족관이나 수반 등에 설치되어, 물고기들이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도록 물을 여과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수족관 등에는 사료찌꺼기, 물고기의 배설물 등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적절한 청소 내지 관리가 필요하며, 본 발명은 물고기의 서식을 위한 적절한 생태환경을 위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수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간 내의 물은 연속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를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서 여과기를 통과하기 전의 물을 원수라 칭하고,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물은 여과수로 칭한다.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rtificial space for raising fish, for example, an aquarium or a basin, and is used to filter water so that the fish can survive continuously. In the aquarium, etc., due to contaminants such as feed debris and fish excrement, proper cleaning or management is required. will be. The water in the space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fil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ater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referred to as raw water,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referred to as filtered water.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을 다른 각도에 바라본 도면이다. 도5는 본체에 대한 도면이고, 도6은 배출부에 대한 도면이며, 도7은 유도리브에 대한 도면이다. 도8은 에어디퓨저에 대한 도면이고, 도9는 제1 필터부재에 대한 도면이며, 도10은 도9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of FIG. 3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5 is a view of the main body, Fig. 6 is a view of the discharge unit, and Fig. 7 is a view of the guide rib. 8 is a view of an air diffuser, FIG. 9 is a view of a first filter member, and FIG. 10 is a plan view of FIG. 9.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는, 하단필터부(10), 본체(20), 배출부(3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ilter unit 10, a main body 20, and a discharge unit 30.

상기 하단필터부(10)는 여과 전 원수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최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단필터부(10)는 필터장착부(11)와, 유입부(12)를 포함한다. The lower filter unit 10 is a portion into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before filtration, and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ilter part 10 includes a filter mounting part 11 and an inlet part 12.

상기 필터장착부(11)는 주로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필터장착부(11)는 상하방향으로 통기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장착부(11)에는 제2 필터부재(111)이 삽입된다. The filter mounting part 11 is mainly provid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The filter mounting part 11 has a cylindrical shape venti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cond filter member 111 is inserted into the filter mounting part 11.

상기 제2 필터부재(111)는 상기 원수를 통과시키고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공성의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수를 물리적으로 여과한다. 예컨대, 상기 제2 필터부재(111)는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필터부재(111)가 상기 스펀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that passes the raw water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so that the raw water is physically filtered. For example,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may be formed of a sponge. Of course,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not limited to the sponge.

상기 유입부(12)는 상기 필터장착부(11)의 하측에 마련된다. 상기 유입부(12)에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2)는 물에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체가 수용되는 공간(S)을 형성한다. The inlet part 12 is provided under the filter mounting part 11. An inlet hole 123 into which the raw water is introduced is formed in the inlet part 12. The inlet portion 12 forms a space S in which a weight body that can sink in water is accommodated.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12)는 확장부(121)와 바닥부(122)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inlet part 12 includes an extension part 121 and a bottom part 122.

상기 확장부(121)는 상기 필터장착부(11)의 하측으로부터 갈수록 그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122)는 상기 확장부(121)의 하측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공(123)은 상기 확장부(121)의 외주면 둘레 방향 및 상기 바닥부(122)에 복수 개가 형성된다.The expansion portion 121 is obliquely extend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thereof increas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11. The bottom part 122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expansion part 12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inlet holes 123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part 121 and in the bottom part 122.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장착부(11)와 상기 유입부(12)의 사이에는 구획판(13)에 배치된다. 상기 구획판(13)은 상기 확장부(121) 및 바닥부(122)와 함께 소정의 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S)에 물에 가라앉을 수 있는 중량체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100)는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고 가라앉은 상태로 여과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disposed on the partition plate 13 between the filter mounting part 11 and the inlet part 12. The partition plate 13 forms a predetermined space S together with the expansion portion 121 and the bottom portion 122. A weight body that can sink in w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S. By the weight body, the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perform a filtering function in a submerged state without floating in water.

상기 중량체는 입자가 작은 자갈, 화산사, 제올라이트 및 세라믹 여과재 등의 단일소재 또는 복합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체는 여과기를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복수 개 마련되어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여과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중량체의 소재는 상기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weight body may be composed of a single material or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gravel, volcanic sand, zeolite, and ceramic filter media having small particles, and the weight body acts to prevent the filter from floating in water, and provides a plurality of So that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iltration can be performed. However, the material of the weight body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구획판(13)은 상기 제2 필터부재(111)와 중량체가 서로 분리되어 섞이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100)는 상기 구획판(13)을 제거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필터부재(111)가 수용되는 공간에 상기중량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중량체가 제2 필터부재(111)가 수용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중량체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100)를 수중에서 부유하지 않고 가라앉는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여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partition plate 13 provides an effect that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and the weigh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not mixed. In addition, the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with the partition plate 13 removed, and in this case, the weight body may be filled in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accommodated. When the weight body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 which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accommodated, the weight body performs a filtering function while maintaining the fil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nking state without floating in water. .

상기 구획판(13)에는 복수의 제1 통과공(131)이 마련되어, 유입부(12)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상기 필터장착부(11) 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획판(13)에는 삽입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122)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핀(124)은 상기 삽입공(132)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31 are provided in the partition plate 13 to allow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12 to flow toward the filter mounting part 11. An insertion hole 132 is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13. The coupling pin 124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and fastened.

상기 구획판(13)은 상기 결합핀(124)과 상기 삽입공(132)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 이외에 다른 방법, 예컨대, 필터장착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구획판(13)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The partition plate 13 forms a locking protrus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11 in a method other than the method of being fastened by the coupling pin 124 and the insertion hole 132,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the partition plate It can also be fastened by being inserted into (13) and caught.

상기 본체(20)는, 상기 하단필터부(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제1 필터부재(40)를 수용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0)의 하측에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디퓨저(70)가 결합되는 결합공(24)이 형성된다. The main body 2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first filter members 40 provided above the lower filter unit 10 and filtering the raw water. Referring to FIG. 5, a coupling hole 24 to which an air diffuser 70 generating fine bubbles is coupled is formed under the body 20.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20)는 저면부(21)와 측면부(22)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20 includes a bottom portion 21 and a side portion 22.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저면부(21)는 상기 본체(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에어디퓨저(70)가 결합되는 결합공(24)이 중심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4)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2 필터부재(111)를 통과한 원수가 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제2 통과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4)은 상기 저면부(2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bottom portion 21 is a portion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a coupling hole 24 to which the air diffuser 70 is coupled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and the coupling A second through hole 211 is formed so that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e 24 flows upward. The coupling hole 24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b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1.

상기 측면부(22)는 상기 본체(20)의 측벽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저면부(2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본체(20)는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20)의 하측으로 상기 하단필터부(1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20)의 상측으로 배출부(30)가 결합된다. The side portion 22 is a portion forming a side wall of the main body 20 and extends upwardly from the bottom portion 21. The main body 20 has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the lower filter unit 1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discharge unit 3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do.

상기 본체(20)의 하측에는 외부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기 위한 에어공급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공급공(23)은 상기 저면부(21)에 형성된다. 상기 에어공급공(23)은 상기 저면부(2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공(23)에는 에어공급부로부터 생성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튜브(50)가 결합된다. 상기 에어튜브(50)의 단부에는 연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에어공급공(23)에 삽입될 수 있다. An air supply hole 23 for receiving air from the outside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The air supply hole 23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21. The air supply hole 23 is formed to extend lo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ortion 21. In addition, an air tube 50 for supplying air generated from an air supply unit is coupled to the air supply hole 23.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is coupled to an end of the air tube 5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air supply hole 23.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원기둥 형의 몸체(41), 볼록부(42), 및 증식홀(43)을 포함한다.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used to filter raw water, and includes a cylindrical body 41, a convex portion 42, and a growth hole 43.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41)는, 원형의 상면(411) 및 하면(412), 그리고 상기 상면(411)과 하면(412)을 연결하는 측면(4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413)의 높이는 상기 상면(411) 또는 상기 하면(41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9, the body 41 includes a circular upper surface 411 and a lower surface 412, and a side surface 413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411 and the lower surface 412.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side surface 413 is formed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411 or the lower surface 412.

상기 볼록부(42)는 상기 측면(413)에 상기 몸체(41)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42)에 의해 상기 원수와 접촉하는 제1 필터부재(40)의 외주면의 면적이 넓어진다. The convex portion 42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41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41. The convex portion 42 increases the area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in contact with the raw water.

상기 증식홀(43)은 상기 몸체(41)의 내측에 형성되어 여과에 유익한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증식홀(43)은 상기 상면(41) 및 하면(412)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41)의 내측에 형성된다. The growth hole 4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dy 41 and is provided to allow bacteria beneficial for filtration to inhabit. The growth hole 43 is formed inside the body 41 through the upper surface 41 and the lower surface 412.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증식홀(43)은 중앙홀부(431)와 가지홀부(4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growth hole 43 includes a central hole part 431 and a branch hole part 432.

상기 중앙홀부(431)는 상기 몸체(41)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이며, 상기 가지홀부(432)는 상기 중앙홀부(431)로부터 상기 몸체(41)의 측면(413)을 향하여 연장되는 홀이다. The central hole part 431 is a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41, and the branch hole part 432 is a hole extending from the central hole part 431 toward the side surface 413 of the body 41. .

상기 가지홀부(432)는 상기 중앙홀부(431)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가지홀부(432)는 중간에서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A plurality of branch hole portions 432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hole portion 431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branch hole portions 432 are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in the middle.

상기 증식홀(43)에는 박테리아 및 다양한 유·무기물질들이 달라붙어 바이오필름(생물막)을 형성하고, 원수를 생물학적으로 여과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증식홀(43)은 상기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상면(411)과 하면(412)이 관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teria and various organic/inorganic substances adhere to the growth hole 43 to form a biofilm (biofilm), and biologically filter raw water. The growth hole 43 is preferably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so as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411 and the lower surface 412 penetrate even when the biofilm is formed.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본체(20)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20)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31)가 형성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30)는 그 상부 내면이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32)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구(31)의 크기는 상기 제1 필터부재(4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형성된다. The discharge part 3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filter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main body 20. The discharge part 30 has a discharge port 31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Referring to FIG. 4, the discharge unit 3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32 inclined so that the upper inner surface thereof gradually increases toward one side. The size of the outlet 3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and is formed so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40 does not escape.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30)에는 복수의 유도리브(60)가 마련된다. 상기 유도리브(60)는 여과수를 상기 배출구(31)로 유도하고,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부딪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배출부(30)의 상면 내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6 and 7, a plurality of guide ribs 60 are provided in the discharge part 30. The guide ribs 60 are provided to guide the filtered water to the discharge port 31 and reduce noise generated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40 collides, and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30. They are arranged spaced apart.

상기 유도리브(60)의 상측은 상기 배출부(30)의 상부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유도리브(60)의 하측은 상기 본체(20)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유도리브(60)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상기 여과수 및 에어 기포가 상기 배출구(31) 측으로 유도된다.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ib 60 is coupl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30, and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 60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20. The filtered water and air bubbles are guided toward the outlet 31 along the spaced apart space of the guide rib 60.

상기 유도리브(60)는 라운드부(61)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61)는 상기 유도리브(60)의 하측에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61)는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상기 원수의 유동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할 때,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상기 라운드부(61)를 따라 다시 본체(20)의 하측으로 부딪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라운드부(61)는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회전할 때 도움을 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에어디퓨저(70)에서 적절한 크기의 기포가 발생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40)를 밀어올릴 때,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상기 라운드부(61)를 따라서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상기 원수를 생물학적으로 여과시킨다. The guide rib 60 has a round portion 61 formed thereon. The round part 61 is formed to be concave upwardly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 60.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40 rises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 by the flow of the raw water, the round part 61 moves the first filter member 40 to the round part 61. Accordingly, it hits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again so that it can move while rotating. That is, the round part 61 serves to help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40 rotates. In addition, when bubbles of an appropriate size are generated in the air diffuser 70 to push up the first filter member 40, the first filter member 40 rotates along the round part 61. . Accordingly, the first filter member 40 biologically filters the raw water while repeating ascending and descending inside the body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는, 에어디퓨저(70)를 구비한다.The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diffuser 70.

상기 에어디퓨저(70)는 상기 본체(20)의 하측에 결합되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에어디퓨저(70)는 적절한 크기의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디퓨저(70)는 상판부(71), 끼움부(72), 및 걸림리브(73)를 포함한다. The air diffuser 7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is provided to generate fine bubbles. The air diffuser 70 may be designed to generate bubbles of an appropriate size. The air diffuser 70 includes an upper plate portion 71, a fitting portion 72, and a locking rib 73.

도3 및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부(71)는 복수의 제3 통과공(711)이 형성된다. 상기 원수는 상기 하단필터부(10)에 마련된 중량체 및 제2 필터부재(111)를 통과하여 1차적으로 여과되고, 상기 원수의 일부는 상기 에어디퓨터(70)의 상판부(71)에 마련된 상기 제3 통과공(711)을 통과한 후에 상기 본체(2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2 필터부재(111)를 통과한 나머지 원수는 상기 에어디퓨저(70)가 결합되는 결합공(24)의 외측에 형성된 제2 통과공(211)을 통해 본체(20)로 유입된다.3 and 8, the upper plate portion 7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ird through-holes 711. The raw water is primarily filtered by passing through the weight body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provided in the lower filter part 10, and a part of the raw water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part 71 of the air diffuser 70. After passing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711, it is introduced into the body 20. Meanwhile, the remaining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0 through a second through hole 211 formed outside the coupling hole 24 to which the air diffuser 70 is coupled.

상기 끼움부(72)는 상기 상판부(7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20)의 결합공(24)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끼움부(72)의 내측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3 통과공(711)과 연통된다. The fitting portion 72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is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of the body 20. The inside of the fitting part 72 is made of a hollow shape and communicates with the third through hole 711.

상기 걸림리브(73)는 상기 결합공(24)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부(72)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에어디퓨져(70)는 상기 걸림공(24)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공(24)에 결합된다.The locking rib 73 extends out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tting portion 72 so as to be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hole 24. The air diffuser 70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hole 24 and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4.

상기 에어디퓨저(70)가 상기 본체(20)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20)가 상기 하단필터부(10)와 체결되면, 상기 에어디퓨저(70)의 하단부와 구획판(1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제2 필터부재(111)가 수용된다. When the air diffuser 70 is coupled to the body 20 and the body 20 is coupled to the lower filter part 10, a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air diffuser 70 and the partition plate 13 Is formed,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에어디퓨저(70)는, 에어유로부(74) 및 홈(712)을 구비한다.The air diffuser 70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ir passage part 74 and a groove 712.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유로부(74)는 상기 상판부(71)와 상기 끼움부(72)를 연결한다. 즉, 상기 에어유로부(74)는 상기 상판부(71)와 상기 끼움부(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유로부(74)는 상기 상판부(71)와 상기 끼움부(7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상기 에어디퓨저(70)가 상기 결합공(24)에 체결되면, 상기 에어유로부(74)는 상기 결합공(24)이 내주면과 함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4, the air passage part 74 connects the upper plate part 71 and the fitting part 7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ir passage part 74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part 71 and the fitting part 72. The air passage part 74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s of the upper plate part 71 and the fitting part 72. When the air diffuser 7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24, the air passage part 74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flows together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상기 홈(712)은 상기 상판부(71)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712)은 상기 상판부(7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된다. The groove 712 is provided by being recessed inwar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7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grooves 712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71 by bein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에어디퓨저(70)가 상기 결합공(24)에 체결되면, 상기 홈(712)은 상기 결합공(24)의 내주면과 함께 에어분출공(75)을 형성한다. 외부의 에어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에어는 상기 에어유로부(74)로 유도되고, 상기 에어분출공(75)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20)로 유입된다. When the air diffuser 70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24, the groove 712 forms an air ejection hole 75 together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Air provided from an external air supply unit is guided to the air passage unit 74 and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air ejection hole 75.

즉, 상기 에어공급공(23)으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에어유로부(74)와 상기 결합공(24)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며, 상기 유로의 상측에는 상기 에어분출공(7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는 상기 에어분출공(75)을 통과하여 본체(20) 내부에 제공된다. That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hole 23 flow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a flow path formed by the air flow path part 7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and the air is ejected above the flow path. Since the hole 75 is formed, the air is provided inside the body 20 through the air ejection hole 75.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100)의 작용 내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ction or effect of the fil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2를 참고하면, 하단필터부(10)의 확장부(121)와 바닥부(122)는 서로 분리되며, 상기 확장부(121)와 바닥부(122)를 끼움 결합시킨다. 상기 확장부(121)와 바닥부(122) 사이에 적당한 중량체(예컨대, 돌, 쇠, 제올라이트, 세라믹 필터부재 등)을 수용시킨다. Referring to FIG. 2, the extended portion 121 and the bottom portion 122 of the lower filter portion 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extended portion 121 and the bottom portion 122 are fitted together. A suitable weight body (eg, stone, iron, zeolite, ceramic filter member, etc.) is accommodated between the extension part 121 and the bottom part 122.

이어서, 상기 바닥부(122)에 마련된 결합핀(124)을 상기 구획판(13)의 삽입공(132)에 삽입하여 상기 구획판(13)을 상기 확장부(121)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부재(111)를 필터장착부(11)에 수용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13)이 미설치되는 경우, 하단필터부(10)의 내부에 중량체만을 수용시킬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oupling pin 124 provided in the bottom part 1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of the partition plate 13 to couple the partition plate 13 with the expansion part 121.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11.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rtition plate 13 is not installed, only the weight body may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filter unit 10.

상기 에어디퓨저(70)를 상기 본체(20)의 하단에 마련된 결합공(24)에 결합한다. 상기 에어디퓨저(70)가 결합된 본체(20)는 하단필터부(10)의 필터장착부(11)와 체결된다. 상기 필터장착부(11)의 상측 내주면에는 체결돌기(112)가 형성되고, 본체(10)의 저면부(21)에는 체결홈(212)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홈(212)은 "┌" 자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12)를 하방에서 삽입한 후 일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본체(20)와 상기 하단필터부(10)는 간편하게 체결된다. The air diffuser 7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0. The body 20 to which the air diffuser 70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11 of the lower filter portion 10. A fastening protrusion 112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part 11, and a fastening groove 212 is provided in the bottom 21 of the main body 10. The fastening groove 212 is formed in a "┌" shap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12 is inserted from below and then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main body 20 and the lower filter part 10 are easily fastened.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제1 필터부재(40)를 적정한 양으로 채워넣고,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배출부(30)를 체결한다. 상기 에어공급공(23)에는 에어연결부재를 결합시키고 에어공급관(50)을 연결시킨다.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filled in an appropriate amount inside the main body 20, and the discharge unit 30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n air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air supply hole 23 and an air supply pipe 50 is connected.

이와 같이 조립된 여과기(100)는 수조 또는 어항 속에 투입되어 원수를 여과시키면서 에어를 공급하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한다. The filter 100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implements the function of supplying air while being injected into a water tank or a fish tank to filter raw water.

원수는 하단필터부(10)의 유입공(123)을 통하여 여과기(100)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중량체 및 제2 필터부재(111)에 의해 순차적으로 여과된다. 상기 중량체 및 상기 제2 필터부재(111)를 통과한 원수는 상기 본체(20)의 저면부(21)에 마련된 제2 통과공(211) 및 에어디퓨저(70)의 상판부(71)에 마련된 제3 통과공(711)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다.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100 through the inlet hole 123 of the lower filter unit 10, and is sequentially filtered by the weight body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eight body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is provid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211 provided in the bottom part 21 of the main body 20 and the upper plate part 71 of the air diffuser 70 It is introduced into the body 2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711.

한편, 상기 본체(20)에 마련된 에어공급공(23)에는 에어 연결부재를 결합시키고 에어공급관(50)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된다. 상기 에어는 에어디퓨저(70)의 에어유로부(74) 측으로 유도되어 에어분출공(75)을 통하여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air supply hole 23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and the air supply pipe 50 is coupled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The air is guided toward the air passage part 74 of the air diffuser 70 and provided into the body 20 through the air ejection hole 75.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제1 필터부재(40)는 상기 제2 통과공(211) 및 제3 통과공(711)을 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원수와 상기 에어분출공(75)을 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에어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The first filter member 40 accommodated in the body 20 includes raw water flowing upwar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11 and the third through hole 711 and the air ejection hole 75 )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by air flowing in the upward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수 및 에어의 흐름에 의해 본체(20) 내부에서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필터부재(40)의 비중은 0.95 내지 0.98 정도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을 압출 가공하여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filter member 40 flows inside the body 20 by the flow of raw water and ai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0.95 to 0.98, and may be prepared by extrusion processing, for exampl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상기 제1 필터부재(40)의 비중이 너무 낮으면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상기 본체(20)의 상측에 체류하고, 반면에 비중이 물에 비하여 크면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본체(20)의 하측에 가라앉게 되므로 제1 필터부재(40)가 순환되는 효과가 제대로 달성되지 못한다.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too low, the first filter member 40 stays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whereas when the specific gravity is greater than water, the first filter member 40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circulated, so the effect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not properly achieved.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상기 본체(20)의 상측으로 유동할 때,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서로 충돌하고 스스로 회전하면서 원수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40)에 형성된 바이오필름 및 여과균에 에어 기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산소를 공급시키므로 생물학적 여과 효율이 향상된다.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40 flows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20, the first filter members 40 collide with each other and rotate by themselves to secure a wide contact area with raw water to improve filtration efficiency. . In addition, since air bubbles directly contact the biofilm formed on the first filter member 40 and the filter bacteria to supply oxygen, biological filt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외주면에 볼록부(42)가 형성되어 원수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킨다. 상기 제1 필터부재(40)의 내측에는 증식홀(43)이 형성되어 박테리아가 붙어서 증식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1 필터부재(40)에서는 생물학적 여과 작용이 함께 일어난다. In addition, the first filter member 40 has a convex portion 42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raw water. Since a proliferation hole 43 is formed inside the first filter member 40 to form a space in which bacteria can adhere and proliferate, a biological filtration action occurs in the first filter member 40 together.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순환하는 중에 서로 충돌하므로, 상기 제1 필터부재(40)의 외주면에는 바이오필름이 쌓이지 않아서 제1 필터부재(40)의 청소 간격을 늘려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상기 제1 필터부재(40)가 서로 엉겨붙어서 원수의 흐름이 방해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lter member 40 collides with each other during circulation, biofilm does not accumulat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so that the cleaning interval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increased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raw water from being obstructed by the first filter member 40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상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배출부(30)에 마련된 유도리브(60)와 충돌하고, 상기 유도리브(60)에는 라운드부(61)가 마련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40)를 다시 하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30)의 내주면은 사선 형태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사선의 윗쪽 부분에 제1 필터부재(40) 보다 작은 크기의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after the first filter member 40 flows upward, it collides with the guide rib 60 provided in the discharge part 30, and a round part 61 is provided in the guide rib 60. 1 Induce the filter member 40 to smoothly move downward. 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30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agonal shape, and an outlet 31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agonal lin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iltered water. .

따라서,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본체(2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한 후에 다시 하측으로 내려오는 과정을 반복하여 순환하고, 이러한 순환에 의한 유동은 원수 및 에어 기포가 배출구(31)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circulated repeatedly after mov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then descending to the lower side, and the flow by this circulation is the raw water and air bubbles at the outlet 31 To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이와 같이, 원수는 하측에 마련된 하단필터부(10)로 유입되어 상측에 마련된 배출구(31)를 통해 배출되기까지, 중량체, 제2 필터부재(111) 및 제1 필터부재(40)를 거치고, 제1 필터부재(40)에 형성되는 바이오필름 및 여과균은 공급되는 에어 기포로부터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받으므로, 원수의 물리적, 생물학적 여과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is way,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weight body, the second filter member 111 and the first filter member 40 until it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filter unit 10 provided at the lower side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1 provided at the upper side. , Since the biofilm and the filtering bacteria formed on the first filter member 40 are smoothly supplied with oxygen from the supplied air bubbles, the physical and biological filtration efficiency of raw water is remarkably improv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rovi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하단필터부 11... 필터장착부
111... 제2 필터부재 112... 체결돌기
12... 유입부 121... 확장부
122... 바닥부 123... 유입공
124... 결합핀 13... 구획판
131... 제1 통과공 132... 삽입공
20... 본체 21... 저면부
211.. 제2 통과공 212... 체결홈
22... 측면부 23... 에어공급공
24... 결합공 30... 배출부
31... 배출구 40... 제1 필터부재
41... 몸체 411... 상면
412... 하면 413... 측면
42... 볼록부 43... 증식홀
431... 중앙홀부 432... 가지홀부
50... 에어튜브 60... 유도리브
61... 라운드부 70... 에어디퓨저
71... 상판부 711... 제3 통과공
712... 홈 72... 끼움부
73... 걸림리브 74... 에어유로부
75... 에어분출공 100... 여과기
10... lower filter part 11... filter mounting part
111... second filter member 112... fastening protrusion
12... inlet 121... extension
122... bottom part 123... inlet hole
124... Mating pin 13... Partition plate
131... 1st through hole 132... Insertion hole
20... main body 21... bottom part
211.. 2nd through hole 212... Fastening groove
22... side part 23... air supply hole
24... coupling hole 30... discharge part
31... outlet 40... first filter member
41...body 411...top
412... bottom 413... side
42...convex part 43...proliferation hole
431... central hall part 432... branch hole part
50... Air tube 60... Guide rib
61...Round part 70...Air diffuser
71... Top plate 711... 3rd through hole
712... groove 72... fitting
73... locking rib 74... air flow section
75... Air blow hole 100... Filter

Claims (9)

여과 전 원수가 유입되는 하단필터부(10);
상기 하단필터부(10)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제1 필터부재(40)를 수용하는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20)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구(31)를 갖는 배출부(30);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상기 원수의 유동에 의해 상기 본체(20)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상기 원수를 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A lower filter unit 10 through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before filtration;
A main body 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ilter unit 10 and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irst filter members 40 for filtering the raw water;
Includ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having an outlet 31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main body 20 is discharged.
The first filter member (40) is a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w water is filtered while repeating rising and falling inside the body (20) by the flow of the raw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필터부(10)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필터부재(111)가 수용되는 필터장착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filter part 10,
A filter comprising a filter mounting portion (11) in which a second filter member (111)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is accommod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필터부(10)는,
상기 필터장착부(11)의 하측에 마련되며, 물에 가라앉는 중량체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23)이 형성된 유입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filter part 10,
And an inlet portion 12 provided below the filter mounting portion 11, a space for accommodating a weight body sinking in water, and an inlet hole 123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into the raw water.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하측에는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공급공(23)이 형성되고,
에어공급부로부터 생성된 에어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공급공(23)에 결합되는 에어튜브(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supply hole 23 for receiving air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A filter comprising an air tube (50) coupled to the air supply hole (23) to supply air generated from the air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의 상부 내면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unit 30 is inclined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on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의 상부 내면에는 상기 본체(20)의 상부로 유도된 상기 여과수를 상기 배출구(31)로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유도리브(60)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도리브(60)의 상측은 상기 상부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유도리브(60)의 하측은 상기 본체(20)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각 유도리브(60)가 이격된 공간을 따라 상기 여과수가 유도되며,
상기 유도리브(60)의 하측은 상방향으로 오목한 라운드부(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guiding ribs 60 for guiding the filtered water guid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20 to the outlet 31 are spaced apart and dispos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30,
The upper side of the induction rib 60 is coupl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the lower side of the induction rib 60 extends toward the main body 20, and the filtered water along the space apart from each of the induction ribs 60 Is induced,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ib (60)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61) concave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하측에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디퓨저(70)가 결합되는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디퓨저(70)는,
복수의 제3 통과공(711)이 형성된 상판부(71);
상기 상판부(71)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20)의 결합공(24)의 내주면과 끼움결합되는 중공의 끼움부(72);
상기 결합공(24)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부(72)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리브(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upling hole 24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to which the air diffuser 70 for generating fine bubbles is coupled,
The air diffuser 70,
A plurality of third through-holes (711) is formed top plate portion 71;
A hollow fitting portion 72 provided under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fitt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of the main body 20;
And a locking rib 73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tting part 72 so as to be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hole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디퓨저(70)는,
상기 상판부(71)와 상기 끼움부(7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지며, 상기 상판부(71)와 상기 끼움부(72)를 연결하는 에어유로부(7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24)의 내주면과 함께 에어분출공(75)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부(71)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712)이 형성되어,
외부의 에어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에어가 상기 에어유로부(74)로 유도되고, 상기 에어분출공(75)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2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diffuser 70,
It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the fitting portion 72, and includes an air passage portion 74 connecting the upper plate portion 71 and the fitting portion 72,
A groove 712 recessed inwar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71 so as to form an air ejection hole 75 together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4,
A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air provided from an external air supply unit is guided to the air passage unit (74), and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air ejection hole (7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재(40)는,
원형의 상면(411) 및 하면(412)과, 상기 상면(411)과 하면(412)을 연결하는 측면(413)을 갖는 원기둥형의 몸체(41);
상기 측면(413)에 상기 몸체(41)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볼록부(42);
상기 몸체(41)의 내측에 형성되어 여과에 유익한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411) 및 상기 하면(412)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41)의 내측에 형성되는 증식홀(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ilter member 40,
A cylindrical body 41 having a circular upper surface 411 and a lower surface 412 and a side surface 413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411 and the lower surface 412;
A convex portion 42 continuous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41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41;
A growth hole 43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dy 41 through the upper surface 411 and the lower surface 412 so that bacteria that are formed inside the body 41 and beneficial for filtration can inhabit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KR1020190055839A 2019-05-13 2019-05-13 Filter KR102253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39A KR102253122B1 (en) 2019-05-13 2019-05-13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39A KR102253122B1 (en) 2019-05-13 2019-05-13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067A true KR20200131067A (en) 2020-11-23
KR102253122B1 KR102253122B1 (en) 2021-05-14

Family

ID=7368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39A KR102253122B1 (en) 2019-05-13 2019-05-13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2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268A (en) * 1997-11-21 1999-08-03 Onoda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Co Ltd Diffuser for raising water tank and air diffusing member
KR101528124B1 (en) * 2015-05-07 2015-06-16 이상준 Diffuser for ventilation facilities
KR20160000907A (en) * 2014-06-25 2016-01-06 이앤티코리아 주식회사 Micro Bubble Diffuser With Dual Air Inlet Line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180131455A (en) * 2017-05-30 2018-12-10 김보경 Aquarium filtering equipment using moving media with air floating type and moving medi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268A (en) * 1997-11-21 1999-08-03 Onoda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Co Ltd Diffuser for raising water tank and air diffusing member
KR20160000907A (en) * 2014-06-25 2016-01-06 이앤티코리아 주식회사 Micro Bubble Diffuser With Dual Air Inlet Line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528124B1 (en) * 2015-05-07 2015-06-16 이상준 Diffuser for ventilation facilities
KR20180131455A (en) * 2017-05-30 2018-12-10 김보경 Aquarium filtering equipment using moving media with air floating type and moving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122B1 (en)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7675B1 (en) Fish pond filter system
US7468134B2 (en) See-thru self cleaning biological filter system for aqua-culture
US6685826B1 (en) Fish pond filter system
JP3840249B2 (en) Closed circulation aquaculture equipment
KR101247990B1 (en) Biofiltering tank using microbial media with solid removal function
JP2838130B2 (en) Particle trap
US6365044B1 (en) Buoyant media filter with diffuser
KR101610807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18263B1 (en) A precipitator for a nursery to cycle filtration
KR101757205B1 (en) A Filtration Device For Swirl Upflow Type Water Processing
EP2328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KR102253122B1 (en) Filter
KR102608176B1 (en) Filtration Device for Fishtank
KR101784886B1 (en) Continuous Filtration Apparatus using Distribution Chamber
KR100973773B1 (en) The waste water purifying apparatus of and aquarium
CN214382140U (en) Aquaculture system
CN201995464U (en) Large ornamental aquarium
JPH10337131A (en) Fish-farming installation
KR100887760B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fluidized bed media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US20080217226A1 (en) Ornamental pond filter apparatus
KR102254551B1 (en) 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for Aquarium
CN102124984A (en) Large-size ornamental fish tank
KR101146125B1 (en) Underground reclamation type water storage tank for removing contaminants
KR0167135B1 (en) Device for filtering water in the aquar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