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904A - Crane Game Apparatus - Google Patents

Crane Gam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904A
KR20200130904A KR1020190055401A KR20190055401A KR20200130904A KR 20200130904 A KR20200130904 A KR 20200130904A KR 1020190055401 A KR1020190055401 A KR 1020190055401A KR 20190055401 A KR20190055401 A KR 20190055401A KR 20200130904 A KR20200130904 A KR 2020013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duct
crane
power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9988B1 (en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기 filed Critical 김현기
Priority to KR102019005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988B1/en
Publication of KR2020013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rane game device. The crane device comprises: a body receiving products therein; a camera unit with at least one camera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body to generate an internal image; a product transferring unit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body and transferring the product to a score point located inside the body after gripping the product;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score point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roduct passes the score point; a communication unit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roduct transferring unit based on control signals of the product transferring unit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nternal image and the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sensor unit. The product transferring unit includes: a movable unit having a power transmitting means provided to move a crane unit in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directions in an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crane unit including a battery and a power receiving means formed to charge the battery and perform the motion of gripping the product by us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The crane game device includes a battery, thereby operating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Description

크레인 게임기{Crane Game Apparatus}Crane Game Apparatus}

본 발명은 크레인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 유닛에 배터리가 마련되어 별도의 전력 케이블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선 연결이 간소화되고 온라인 시스템 구현에 있어 화면을 가리지 않게 되어 게임 진행이 보다 원활해진 크레인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game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a battery is provided in the crane unit to eliminate the need for a separate power cable, which simplifies the line connection and does not cover the screen in implementing the online system, thereby making the game progress more smooth. About.

크레인을 조작하여 상품을 뽑는 뽑기 게임이 대중적으로 성행하고 있다. 뽑기 게임이란 하우징 내부에 여러 상품들을 배치하고, 사용자가 조이스틱 또는 버튼을 통해 크레인을 조작하여 상품을 뽑아내어 가지고 가는 게임방식을 의미한다.A lottery game in which a crane manipulates a prize is popular. The lottery game refers to a game method in which several products are placed inside a housing, and a user operates a crane through a joystick or button to pull out and take the product.

이러한 뽑기 게임을 하기 위한 크레인게임기는 설치 장소가 한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 게임기가 위치한 곳에 직접 찾아 가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출 중에 게임기에서 뽑은 상품이 무겁거나 담을 곳이 마땅치 않은 경우 이를 들고 다니기에도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crane game machine for such a drawing game is limited. In order to enjoy the game, the user has to go directly to the location where the game machine is loc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cumbersome to carry around the product when the product pulled from the game machine is heavy or is not suitable for storage while going out.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온라인 크레인게임 시스템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퍼스널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크레인게임기를 원격으로 조종하고, 뽑힌 상품은 사용자의 집으로 배송된다.There is an online crane game system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user remotely controls a crane game machine using a personal computer or a smart phone, and the picked product is delivered to the user's home.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크레인게임기에 수용된 상품이 모두 뽑히게 되면 게임이 더 이상 진행될 수 없으므로, 크레인게임기의 운영자는 주기적으로 상품이 다 뽑혔는지 크레인게임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채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ccording to this prior art, since the game can no longer proceed when all the goods accommodated in the crane game machine are pulled out, the operator of the crane game machine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iodically check and fill the crane game machine to see if the product has been pulled out.

나아가, 종래기술에 따른 크레인게임기는 크레인유닛의 조작을 위해 별도의 전력선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력선은 크레인 유닛이 하강하는 길이에 맞추어 제공되어야 한다. 크레인 유닛은 상하로 이동하기에 전력선 또한 늘어났다 줄어 들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크레인 게임기에 있어 전력선은 스프링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스프링 형태의 전력선이 상하로 여러번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면 더 이상 원래 형태로 돌아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온라인 크레인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들은 실제 크레인 게임장치를 보며 게임기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카메라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력선에 의해 시야가 가리게 되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Further, the crane game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mus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power line for the operation of the crane unit. These power lines must be provided for the length of the crane unit descending. Since the crane unit moves up and down, the power line must also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tretch and contract. Accordingly, in crane game machines, the power line is often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pring. If the spring-shaped power line repeats stretching and contracting several times up and dow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no longer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Further, in the online crane game system, users do not operate the game machine while viewing the actual crane game device, but rely on an image provided by an internal camera,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when the view is blocked by a power line.

한국공개특허 제 2011-001464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1464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레인 유닛에 충전식 배터리가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전력선 없이도 동작하는 크레인게임기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by providing a rechargeable battery in the crane unit provides a crane game machine that operates without a separate power line.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상품이 수용된 본체;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product is accommodated in the body;

상기 본체 내부를 촬영하여 내부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마련되는 카메라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품을 집은 후 상기 상품을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상품이동부; 상기 스코어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상품이 상기 스코어지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외부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이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기 내부이미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이동부는, 전력송신수단을 포함하고, 크레인유닛을 본체 상부에서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닛; 및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전력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하는 크레인유닛을 포함하는 크레인게임기가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또한, 크레인유닛에 배터리가 마련되어 크레인유닛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선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하고,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게임진행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A camera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body to generate an internal image; A product mov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oduct to a score poin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fter picking up the product;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score point to detect whether the product passes the score point;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roduct moving unit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nternal image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to a server, wherein the product moving unit, A moving unit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configured to move the crane unit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to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a battery and a power receiving means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and a crane game machine comprising a crane unit that performs an operation to pick up a product by us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this, in addition, a battery is provided in the crane unit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rane unit,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iodically replace the power line, and not obstructing the user's view, thereby making the game progress more smooth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송신수단이 상기 크레인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이 소정거리 이내에 있을 때 상기 전력수신수단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력송신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provides power to the power reception means when the crane unit and the mobile unit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전력송신수단에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이 소정거리 이내에 있을 때 상기 전력송신수단과 상기 전력수신수단이 연장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length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are exten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crane unit and the mobile unit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You can control wealth.

상기 전력송신수단은 상기 전력수신수단과 유선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in a wired state with the power receiving means.

상기 전력수신수단은 상기 전력송신수단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력수신수단은 상기 전력송신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의 변화를 전기장의 변화로 유도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부; 및 생선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화하여 상기 전력을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receiv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wirelessly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includes a coil unit for generating an AC current by inducing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to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nd a rectifier configured to provide the electric power by changing the generated AC current into a DC current.

상기 크레인유닛은, 상기 크레인유닛을 상기 본체 내부에서 비행시키기 위한 비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ane unit may include a flying means for flying the crane unit inside the body.

상기 크레인유닛에 상기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mera may be provided in the cran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크레인게임기를 찾아가지 않고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크레인게임기에 접속하여 직접 작동과정을 보며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현장감 넘치는 게임진행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ccess the crane game machin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without directly visiting the crane game machine and operate while viewing the operation process directly,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enabling a game full of realism.

또한, 크레인게임기에 주기적으로 상품을 채워 넣지 않아도 되어 크레인게임기의 운영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of the crane game machine is improved because the crane game machine does not need to be periodically filled with products.

또한, 크레인게임기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다각도의 시각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편의성이 증가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crane game machine are provided to provide users with a variety of views,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또한, 크레인유닛에 배터리가 마련되어 크레인유닛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선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하고,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게임진행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In addition, a battery is provided in the crane unit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rane unit,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eriodically replace the power line, and not obstructing the user's view, thereby making the game progress more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크레인게임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과 전력수신수단이 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이 늘어나는 형태로 구현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과 전력수신수단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이 송신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타입의 크레인유닛을 구비한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카메라가 크레인유닛에 구비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의 내부이미지의 시점이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다.
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ane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nother crane gam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crane gam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product moving unit in which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product moving unit implemented in an elongated form of power transmiss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product moving unit through which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process of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product moving unit having a crane unit of the fligh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UI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product moving part provided in the crane unit with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iewpoint of the internal image of the crane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pos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o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ane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크레인게임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크레인 시스템을 이하, 시스템이라고도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rane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rane system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300), 서버(200) 및 크레인게임기(100)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300), 서버(200) 및 크레인게임기(100)는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단말(300)과 서버(200)는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티비, 디지털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형 디스플레이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휴대용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300, a server 200, and a crane game machine 100. The user terminal 300, the server 200, and the crane game machine 100 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200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fixed display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TV, a digital signage, and a mobile display device such as a notebook,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ortable terminal, and a wearable device. I can.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크레인게임기(100)의 내부이미지를 수신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수신된 내부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내부이미지를 보며 사용자단말(300)을 조작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단말(300)은 크레인게임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어신호는 크레인게임기(100)의 상품이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게임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단말(300)은 내부이미지와 게임결과를 표시하여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단말(300)에 구비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마련되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internal imag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th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the received internal image to the user. The user manipulates the user terminal 300 while viewing the internal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the server 200.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product moving part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product moving part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a game result received through the server 200 to the user. The user terminal 300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d providing an internal image and a game result.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button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300,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or the like.

서버(200)는 사용자단말(300)과 크레인게임기(100)의 통신을 중개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100)로부터 수신된 감지결과를 게임결과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게임결과로서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에 저장한다. 일례로서, 서버(200)는 수신된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횟수를 확인한다. 서버(200)는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횟수에 대응하는 점수를 사용자의 게임결과로서 DB에 저장한다. 게임결과는 토큰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토큰은 차후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가상의 화폐로서 사용된다. 서버(200)는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상품의 크기, 형태, 종류 색 등에 기초하여 점수를 달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코어지점에 이동된 상품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토큰을 사용자의 DB에 저장하고, 상품의 형태/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토큰을 사용자의 DB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토큰의 종류를 이용하여 원하는 구매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server 200 medi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 game result, and stores the game result of the user in a database (Data Base: DB). As an example, the server 200 checks the number of times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result. The server 200 stores a scor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in the DB as a game result of the user. Game results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tokens. The token is used as a virtual currency to purchase products desired by the user in the future. The server 200 may store scores differently based on the size, shape, type and color of produc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core points. For example, the server 200 stores more tokens in the user's DB as the size of the product moved to the score point by the user's manipulation increases, and stores different types of tokens in the user's DB according to the type/type of the product. I can. Users can purchase desired purchases using different types of token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크레인게임기(100)는 내부에 상품을 수용한다. 상품은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크레인게임기(100)는 내부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내부이미지를 생성하고, 서버(200)로 전송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의 상품을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을 시도한다.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는 상품이동부(103)의 이동을 명령하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하였는지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감지결과는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상품의 무게, 크기, 형태,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mmodates the product therein. A plurality of products may be provided. The crane game machine 100 photographs the inside with a camera, generates an internal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The crane game machine 100 attempts to move the internal product to the score point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200.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200 may be a control signal commanding movement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he crane game machine 100 detects whether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and transmits the detected result to the server 200. The detection result may include the weight, size, shape, and type of products that have passed the score point.

게임을 원활하게 즐기기 위해 사용자단말(300)은 내부이미지를 끊김없이 수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300)과 서버(200)는 서로 어댑티브 스트리밍(adaptive streaming) 방식을 통해 내부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어댑티브 스트리밍 방식이란, 전자장치가 네트워크 환경을 스스로 인지하여 영상의 해상도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내부이미지의 해상도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통신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 내부이미지를 낮게 인코딩하여 전송하고, 통신상태가 좋은 경우, 내부이미지를 높게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통신상태는 서버(200)와 사용자단말(300)간 응답속도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서버(200)와 사용자단말(300)은 서로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통신상태에 기초하여 낮은 해상도의 내부이미지를 보낼 것임을 알리는 해상도신호를 할 수 있. 사용자단말(300)은 해상도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해상도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내부이미지를 디코딩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enjoy the game smoothly, it is most important for the user terminal 300 to seamlessly receive internal images.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200 may each receive an internal image through an adaptive streaming method. The adaptive stream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a network environment by itself and adaptively changes the resolution of an imag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resolution of the internal image provided to the user may vary depending on the network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poor, the server 200 encodes and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low, and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good, the server 200 encodes and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high. The communication state may be determined using a response speed between the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The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may perform communication to check a communication state with each other. The server 200 may provide a resolu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ternal image of a low resolution will be sent based on the communication state. When the resolution signal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300 may decode the received internal image based on the received resolution signal and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unit.

어댑티브 스트리밍방식은 크레인게임기(100)와 서버(200)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adaptive streaming method can also be applied between the crane game machine 100 and the server 200.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스템은 사용자단말(300), 서버(200) 그리고 크레인게임기(100) 외에도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중개 서버,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서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300, a server 200, and a crane game machine 100, as well as an intermediary server for mediating data transmission, a synchronization server for data synchronization,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크레인게임기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를 도시한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nother crane gam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ane gam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100)는 카메라부(101), 상품이동부(103), 센서부(105), 통신부(107) 및 제어부(10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100)는 상품통과부(106)와 상품순환부(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01, a product moving unit 103, a sensor unit 105, a communication unit 107 and a control unit 109 do.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duct passing unit 106 and a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본체(102)는 크레인게임기(100)의 각 구성을 수용한다. 또한, 본체(102)의 내부에는 상품(113)이 수용된다. 상품(113)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상품(113)은 서로 다른 형태, 무게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2)는 도 3에 도시된 대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2)는 또한, 외부에서 내부를 바라볼 수 있도록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102 accommodates each configuration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In addition, the product 113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02. The product 113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each product 113 may have a different shape, weight, or size. The main body 102 may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dy 102 is also made of a partially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카메라부(101)는 본체(102) 내부를 촬영하며, 생성한 내부이미지를 제어부(109)로 전송한다. 카메라부(101)는 본체(102) 내부를 다각도에서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1)는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과, 입사된 광을 감지하고 렌즈에 결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인 이미지로 변환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CCD(Charged Coupled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101 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2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ternal image to the control unit 109. The camera unit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interior of the body 102 from multiple angles. The camera unit 101 may include an optical module including a lens,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detects incident light and converts an image of a subject formed on the lens into an image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Charged Coupled Device (CCD).

카메라는 본체(102) 내외부의 다양한 각도에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camera may be provided at various angles inside and outside the body 102. The camera may be provided on the crane unit 111.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카메라부(101)는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카메라부(101)는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01)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부 이동유닛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camera unit 101 is configured to move the position based on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The camera unit 101 ma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a camera unit moving unit for moving the camera unit 101 based on a camera unit control signal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상품이동부(103)는 본체(102)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을 집은 후 상품(113)을 본체(102) 내부에 위치된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product moving part 103 is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102.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configured to pick up the product 113 and then move the product 113 to a score point located inside the body 102.

상품이동부(103)는 본체 상부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품이동부(103)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하고, 이동이 완료된 후, 이동이 완료된 위치에서 아래로 내려가 상품(113)을 집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을 집는 동작을 마치고, 본체 상부로 올라가서 스코어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동을 마친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을 놓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품이동부(103)의 동작은 상품이동부(103)가 실제로 상품(113)을 잡았는 지와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상품이동부(103)는 이동이 완료된 지점에서 기 정해진 거리를 내려가간다. 기 정해진 거리는 크레인게임기(100)의 생산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정해진 거리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길이설정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The product moving part 103 is configured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from the top of the body.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and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moves downwar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ovement is completed to pick up the product 113. The product moving unit 103 finishes the operation of picking up the product 113, and then goes up to the top of the body and moves to the score point.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hat has finished moving performs an operation of placing the product 113.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perform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product moving unit 103 actually holds the product 113.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dow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et at the production stag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urth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changed and set based on a length sett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다른 실시예로서,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과 닿을 때까지 본체(102)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상품이동부(103)는 아래로 내려가다가 상품(113)이 닿았다고 판단되면, 즉시 집는 동작을 수행한 후 본체(102) 상부로 올라간다. 이를 위해,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과 닿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duct moving part 103 may descend under the main body 102 until it contacts the product 1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duct 113 has touched while going down,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mmediately performs a picking operation and then goes up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2. To this end,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ay include a sensor that can know whether it is in contact with the product 113.

추가적인 예로서, 사용자가 상품이동부(103)의 이동 중에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상품이동부(103)가 내려갈 거리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조이스틱 형태의 아이콘을 아래로 드래그 한 시간, 버튼형태의 아이콘을 누른 시간 등에 대응하여 아래이동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생성된 아래이동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품이동부(103)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아래이동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거리를 내려갈 수 있다.As an additional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distance to which the product moving unit 103 will desce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whil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moving. The input can take a variety of forms. The user terminal 300 may generate a downward movement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a time when a joystick-shaped icon is dragged downward, a time when a button-shaped icon is pressed, and the like.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the generated down movement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ay descend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상품이동부(103)는 크레인유닛(111)과 이동유닛(110)을 포함한다.The product moving unit 103 includes a crane unit 111 and a moving unit 110.

크레인유닛(111)은 이동유닛(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이동유닛(110)의 움직임이 고정되면, 크레인유닛(111)은 상품(113)이 위치한 바닥으로 내려간다. 일정거리 이동한 크레인유닛(111)은 상품(113)을 집는 동작을 수행한다. 크레인유닛(111)이 본체(102)로 이동하여 이동유닛(110)과 소정거리 이내에서 고정되면, 이동유닛(110)은 크레인유닛(111)을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유닛(110)이 스코어지점으로 이동된 후 크레인유닛(111)은 본체(102) 상부에서 상품(113)을 놓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crane unit 111 moves up and down while attached to the mobile unit 110. When the movement of the mobile unit 110 is fixed, the crane unit 111 descends to the floor where the product 113 is located. The crane unit 111 that has moved a certain distance performs an operation to pick up the product 113. When the crane unit 111 moves to the main body 102 and is fix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bile unit 110, the mobile unit 110 moves the crane unit 111 to the score point. After the mobile unit 110 is moved to the score point, the crane unit 111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placing the product 113 on the body 102.

크레인유닛(111)은 집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집게수단(1110)과 집게수단(1110)이 집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로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모터는 솔레노이드, 스텝모터, 리니어모터 등 회전 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모든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에는 카메라(1117)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에는 비행을 위한 비행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crane unit 111 is a clamping means 1110 for performing a gripping operation, a motor providing power to perform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clamping means 1110, a battery providing power to the motor, and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It includes means for receiving power for. As the motor, any motor that performs rotational or linear motion, such as a solenoid, a step motor, and a linear motor, can be used. A camera 1117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crane unit 111. The crane unit 1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flight means for fligh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동유닛(110)은 크레인유닛(111)을 본체(102) 상부에서 전후좌우로 이동키도록 구성된다. 이동유닛(110)은 크레인유닛(111)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터와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유닛(110)에는 크레인유닛(111)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선(1100), 연결선(1100)을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하기 위한 모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송신수단(1101)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move the crane unit 111 back and forth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102 to the left and right. The moving unit 1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tors and rollers for moving the crane unit 111. The mobile unit 110 may include a connection line 1100 to be connected to the crane unit 111, a motor for winding or rewinding the connection line 1100,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유/무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may be implemented as wired/wireless.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센서부(105)는 스코어지점에 마련된다. 센서부(105)는 상품(113)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05)는 터치감지센서, 모션센서, 적외선센서, 움직임감지센서 등 물체가 특정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05)는 상품이동부(103)가 상품(113)을 집어 스코어지점 상에서 떨어트리는 동작을 수행한 뒤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스코어지점에는 상품통과부(106)가 스코어지점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품통과부(106)가 스코어지점에 구비되는 경우, 센서부(105)는 상품통과부(106) 내에 구비되며, 상품(113)이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부(105)는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는 상품(113)의 종류, 모양, 크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nsor unit 105 is provided at the score point. The sensor unit 105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roduct 113 passes through the score point. The sensor unit 105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variety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at an object passes through a specific area, such as a touch sensor, a mo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a motion senso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05 detects whether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after the product moving unit 103 performs an operation of picking up the product 113 and dropping it on the score point. At the score point,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score point. When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is provided at the score point, the sensor unit 105 is provided in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and detects whether the product 113 passes through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The sensor unit 105 is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the type, shape, size, and color of the product 113 passing through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상품통과부(106)는 위아래로 개구부가 마련된다. 상품통과부(106)의 개구부는 스코어지점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상품이동부(103)에서 놓아지는 상품(113)이 상품통과부(106)의 개구부를 통과하면, 스코어지점을 통과하게 된다. 상품통과부(106)는 상품이동부(103)가 정위치에서 상품(113)을 떨어트릴 때만, 상품(113)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품이동부(103)가 상품(113)을 스코어지점과 빗겨서 놓는 경우, 상품(113)은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품통과부(106)의 외측 테두리와 부딪힌 후 다시 본체(102) 바닥에 떨어진다. 상품(113)은 떨어지는 방향과 상품(113)의 특성에 따라 외측 테두리와 부딪힌 후 스코어지점을 통과할 수도 있다. 상품통과부(106)는 게임의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그 개구부가 더 작거나 모양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oduct passage part 106 is provided with an opening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opening of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core point. That is, when the product 113 placed in the product moving part 103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it passes through the score point.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is configured so that the product 113 can pass through the score point only when the product moving unit 103 drops the product 113 from the correct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product moving part 103 combs the product 113 with the score point, the product 113 does not pass through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and after colliding with the outer edge of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It falls back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The product 113 may pass through the score point after colliding with the outer edge according to the falling dire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113.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may have a smaller opening or a different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difficulty of the game.

상품통과부(106)는 통과하는 상품(113)이 다시 본체(102)에 수용되도록 개구부가 본체(102)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한 상품(113)은 상품이동부(103)에 의해 다시 이동될 수 있다.The product passage part 10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n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body 102 so that the product 113 passing through is received in the body 102 again. Through this, the product 113 passing through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may be moved again by the product moving unit 103.

통신부(107)는 크레인게임기(100)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07)는 크레인게임기(100)가 외부장치들과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음성,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다양하며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ommunication unit 107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ommunication unit 107 allows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types of transmitted/received data are various, such as voice, image, text, and video,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통신부(107)는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유선통신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서버들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7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for wired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nnection unit can transmit/receive signals/data according to standards such a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and component, and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se standards. It includes more than one connector or terminal. The crane game machine 100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a wired local area network (LAN).

통신부(107)가 지원하는 통신의 종류는 유선통신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통신부(107)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RF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ype of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7 is not limited to wir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7 may include an RF circu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Zigbee, UWM (Ultra-Wide Band), Wireless USB,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one or more communication amo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부(107)는 서버(200)로부터 크레인게임기(100)의 내부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07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ternal imag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the server 200 in real time.

상품순환부(104)는 본체에 수용되는 상품(113)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품순환부(104)는 주기적으로 상품(113)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품순환부(104)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순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품(113)을 순환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품(113)을 순환시키도록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명령을 내리면 사용자단말(300)은 순환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순환 제어신호는 상품(113)을 순환시키는 시간,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품순환부(104)는 순환 제어신호에 기초한 시간과 강도만큼 상품(113)을 순환시킨다.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product 113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circulate the product 113. In addition,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circulate the product 113 based on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For example, when a user issues a comma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to circulate the product 113,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circulation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ime and intensity of circulation of the product 113. When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circulates the product 113 by the time and intensity based on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상품순환부(104)는 본체(102) 바닥에 마련된다. 상품순환부(104)는 트레드밀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품순환부(104)는 천, 고무, 합성수지 등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품(11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과 지지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이 회전할 때, 돌기가 상품(113)을 밀어 순환시킬 수 있다.The product circulation part 104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readmill.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cloth, rubber, synthetic resin, and may include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product 113 and a plurality of rollers for rotating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en the support plate rotates, the protrusion may push the product 113 to circulate i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품순환부(104)는 본체(102) 바닥 중심에 마련되며, 회전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본체(102)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품(113)을 순환시키는 회전팔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to rotate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and the product 113 It may include a rotating arm to circulat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품순환부(104)는 본체 바닥에 마련되는 회전원판과, 회전원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구동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잇다. 회전원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원판이 회전할 때, 돌기가 상품(113)을 밀어 순환시킬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include a rotating disk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motor that is rotationally driven to rotate the rotating disk.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disk. When the rotating disk rotates, the protrusion may push the product 113 to circulate.

제어부(10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09)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크레인게임기(100)의 본체에 실장되는 제어판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크레인게임기(100)의 각 구성에 동작의 제어를 위해 실장되는 마이크로칩 들의 군집적 표현이라고 이해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09 performs control for operating all the components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9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such a control operation,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the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a volatile memory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installed control program is loaded, and at least one that executes the loaded control program. It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e control program may include program(s) implemented in at least one of a BIOS, a device driver, an operating system, a firmware, a platform, and an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09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 panel panel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nd a cluster expression of microchips mounted to control the operation in each component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하나의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크레인게임기(100)의 제조 시에 크레인게임기(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게임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크레인게임기(1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As an embodiment, the application program is preinstalled or stored in the crane game machine 100 when manufacturing the crane game machine 100, or is based on the received data by receiving data of the application program from the outside when using It can be installed in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data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downloaded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an external server such as, for example, an application mark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9)는 카메라부(101)에서 본체(102)의 내부를 촬영하여 생성한 내부이미지와 센서부(105)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0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9)는 서버(200)로부터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상품이동부(103)를 이동시키고, 상품이동부(103)가 상품(113)을 집어 스코어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2 by the camera unit 101 and th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5 to th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unit 107 is controlled so as to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control unit 109 moves the product moving unit 103 based on this, and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he product 113 is picked up and controlled to move to the score point.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와 전력수신수단(1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와 전력수신수단(1111)가 유선인 경우,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또는 무선인 경우, 서로 소정거리 이내에서 전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전력송신수단(1101)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Whe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are wired, combined with each other, or wirelessly, the control unit 109 provides a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so that power can be transmit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Can be controlled.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와 전력수신수단(1111)가 일정거리 이내이거나 전력수신수단(1111)의 요청 또는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전력송신수단(1101)가 전력수신수단(1111)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09 determines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are within a certain distance or after the request of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deliver power to.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과 전력수신수단이 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4 shows a product moving unit in which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이동부(103)는 이동유닛(110)과 크레인유닛(111)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ncludes a moving unit 110 and a crane unit 111.

이동유닛(110)은 본체(102)에 연결되어 전력을 본체(102)로부터 공급받는다. 이동유닛(110)은 제어부(109)의 제어에 의해 공급받은 전력을 전력송신수단(1101)을 통해 전력수신수단(1111)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mobile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2 to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ody 102. The mobile unit 110 may transmit the power su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9 to the power receiving unit 1111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unit 1101.

일례로서,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서로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력송신수단(1101)은 숫커넥터, 즉 플러그로 구성되고, 전력수신수단(1111)은 암커넥터, 즉 리셉터클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의 구현형태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배럴타입, USB타입, USB A 내지 C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may be configured with a male connector, that is, a plug,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be configured with a female connector, that is, a receptacle.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not limited.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barrel type, USB type, and USB A to C type.

크레인유닛(111)에는 전력수신수단(1111)과 전력수신수단(1111)을 통해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결합되면 충전이 시작된다.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탈착되면 충전이 중단된다.The crane unit 111 may include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s an example, 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combined, charging starts. 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detached, charging is stopped.

제어부(109)는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된 후 충전이 시작되고 소정시간이 지나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전력송신수단(1101)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to stop charging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being combined to prevent overcharging.

다른예로서, 크레인유닛(111)에는 배터리의 전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전압측정수단, 크레인유닛(111), 배터리 또는 집게수단(11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전압측정수단, 온도측정센서가 제어부(109)로 센싱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크레인유닛(111)에는 통신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통신수단은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의 일채널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전압측정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제1레벨을 초과하면 충전을 중지한다. 만약 제어부(109)가 인지하기 전에 배터리의 전압이 제2레벨을 초과하면 방전을 시작하도록 전력수신수단(1111)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rane unit 111 may include a voltage measuring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voltage state of the battery,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rane unit 111, the battery or the clamp means 1110. . At this time, a communication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in order to transmit a signal sensed by the voltage measuring means and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to the control unit 109. The communication means may transmit a signal using one channel of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The control unit 109 stops charging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exceeds the first level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voltage measuring means. If the voltage of the battery exceeds the second level before the controller 109 recognizes it,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be controlled to start discharging.

충전에 따른 소정의 시간은 크레인유닛(111)의 움직이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9)는 크레인유닛(111)의 활동량이 많을수록 충전에 필요한 소정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전압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필요시간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송신수단(1101)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charg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moving time of the crane unit 1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9 may increase a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charging as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crane unit 111 increases. 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1 to calculate a time required to charge the battery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voltage measurement sensor and suppl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i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이 늘어나는 형태로 구현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5 shows a product moving unit implemented in an elongated form of power transmiss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유닛(110)에는 전력송신수단(1101)의 리치를 연장하기 위한 길이조절부(1103)가 마련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는 평소에는 이동유닛(1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크레인유닛(111)이 소정 거리 이내로 다가오면 제어부(109)의 제어에 기초하여 전력송신수단(1101)을 크레인유닛(11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길이조절부(1103)를 연장하기 위한 모터가 이동유닛(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유닛(111)은 이동유닛(110)으로부터 어느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어도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결합될 수 있다. The mobile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unit 1103 for extending the reach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The length adjustment unit is usually housed inside the mobile unit 110, but when the crane unit 111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1 is directed toward the crane unit 111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9. Can be extended. To this end, a motor for extending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03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ving unit 110. Accordingly, even if the crane unit 111 is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mobile unit 110,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be combined.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대로 결합되지 않았으면 길이조절부(1103)가 길어졌다 짧아졌다를 반복하도록 길이조절부(1103)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9 checks whether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coupled, and if not properly coupled, the length adjusting unit 1103 is lengthened and shortened to repeat the length. The adjustment unit 1103 can be controll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과 전력수신수단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이 송신되는 과정을 도시한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moving unit in which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rocess in which power is wirelessly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본 실시예에서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can transmit and receive power wirelessly.

전력수신수단(1111)은 전력송신수단(1101)으로부터 전력을 무서능로 수신하기 위해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을 사용하는 자기유도방식,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을 사용하는 자기공명방식, 또는 전기적 에너지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전자기파방식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의 송수신은 송신측의 1차 코일 및 수신측의 2차 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서, 하나의 코일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a magnetic induction method using inductive coupling based o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a wireless power signal in order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in an intelligent manner, Receiving power wirelessly using one or more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that uses 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signal, or the electromagnetic wave method that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omagnetic waves including electrical energy. Can be configur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technology that transmits power wirelessly using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ing side, and is applied to the chang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in one coil. This refers to a technology that transmits power by inducing current to the other coil.

자기공명방식은, 전력송신수단(1101)에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전력수신수단(1111)에 전자기적 공진이 발생하고,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어 전력이 전달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전력수신수단(1111)은 자기유도방식, 자기공명방식 및 전자기파방식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력수신부 및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electromagnetic resonance is generated in the power receiving unit 1111 by a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tting unit 1101, and electric current is induced by the resonance phenomenon to transmit power.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power using at least one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To this end, it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unit and a conversion unit.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다른 방식을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제외하고자 함은 아니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described as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ccording to a self-induction method, but other methods of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do not want to.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전력수신수단(1111)으로 전달한다.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송신수단(1101)은 TX코일부(1105)를,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수단(1111)은 RX코일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wireless power signal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wirelessly according to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To deliver. The wireless power signal is formed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or an electromagnetic field having a vibrating characteristic. To this e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1 for transmitting power may include a TX coil unit 1105, and the power reception unit 1111 for receiving power may include an RX coil unit 1113.

TX코일부(1105)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신호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TX코일부(1105)은 평판 나선형태(Planar Sprial type),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Cylindrical Solenoid type)로 구현될 수 있다.The TX coil unit 1105 is configured to form a magnetic field corresponding to a wireless power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current. The TX coil unit 1105 may be implemented in a planar spiral type or a cylindrical solenoid type.

전력송신수단(1101)은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는 외부로부터 얻은 직류전원을 교류파형을 갖는 전송전류(iT)로 변환한다. 전송전류(iT)는 TX코일부(1105) 및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는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하여 전송전류(iT)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이 TX코일부(1105)에서 형성된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The inverter converts the DC power obtained from the outside into a transmission current (i T ) having an AC waveform. The transmission current (i T ) drives a resonant circuit including the TX coil unit 1105 and a capacitor to form a magnetic field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urrent (i T ) in the TX coil unit 1105 do.

자기유도방식에 있어서, 장치들간의 배열 및 거리가 전력 전송의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바, 전력송신수단(1101)은 전력수신수단(1111)의 RX코일부(1113)가 형성된 자기장의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TX코일부(1105)와 RX코일부(1113)의 중심간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이동유닛(110)과 크레인유닛(111)의 위치와 서로간 거리를 판단하고,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유닛(110) 및 크레인유닛(111)은 센서부 및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arrangement and distance between devices can affect the efficiency of power transmiss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is th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in which the RX coil portion 1113 of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is 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located within, the position of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rane unit 11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TX coil unit 1105 and the RX coil unit 1113 are determin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To this end,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rane unit 111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and a position control unit.

전력수신수단(1111)은 RX코일부(1113) 및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전력송신수단(1101) 내에서 교류 파형을 갖는 전송전류(iT)로 변환되며, 교류인 전송전류(iT)의 성질에 의해 TX코일부(1105)에서 자기장이 형성된다. 또한, 형성된 자기장의 변화에 의하여 RX코일부(1113)에 전력수신수단(111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ID)가 유도된다. RX코일부(1113)의 구현 형태는, TX코일부(1105)와 마찬가지로, 평판 나선 형태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일 수 있다.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include an RX coil part 1113 and a rectifying par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onverted into a transmission current (i T ) having an AC waveform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TX coil part 1105 by the nature of the transmission current (i T ), which is AC. do. In addition, a driving current I D for driving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induced in the RX coil part 1113 by a change in the formed magnetic field. Like the TX coil part 1105, the RX coil part 1113 may have a flat spiral shape or a cylindrical solenoid shape.

또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을 높이거나 공진 감지(resonant detection)을 위해 직/병렬 커패시터들(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이 RX코일부(1113)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X coil unit 1113 to increase the reception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or to detect resonance.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TX코일부(1105)와 RX코일부(1113)는 코어를 사용하는 다이폴 형태 코일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이폴 형태 코일을 통한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TX코일부(1105)와 RX코일부(1113)는 긴 막대형의 코어의 가운데에 헬리컬 코일 형태로 리츠 와이어로 권선이 이루어져 각 코일부(1105, 1113)을 구성할 수 있다. TX코일부(1105)에 흐르는 전류가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 중 일부가 RX코일부(1113)의 코어로 전달되어 쇄교 자속을 형성하게 되며, 형성된 쇄교 자속이 전력수신수단(1111)에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다이폴 형태 코일을 사용함에 따라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가 최대 5m거리까지 떨어져 있어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X coil unit 1105 and the RX coil unit 1113 may use a dipole type coil using a core. In order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hrough a dipole coil, the TX coil unit 1105 and the RX coil unit 1113 are wound with Litz wire in the form of a helical coil in the center of a long rod-shaped c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each coil unit (1105, 1113).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X coil unit 1105 generates a magnetic field, and some of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is transferred to the core of the RX coil unit 1113 to form a flux linkage, and the formed flux linkage is transferred to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t induces an electric current. As the dipole type coil is used, power can be stably transmitted even 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separated by a maximum distance of 5 m.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타입의 크레인유닛을 구비한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Figure 8 shows a product moving unit having a crane unit of the fligh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유닛(111)에는 비행수단(1115)이 구비될 수 있다. 비행수단(1115)은 크레인유닛(111)의 본체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암(Arm)과 아암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 그리고 프로펠러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설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unit 111 may be provided with a flight means (1115). The flight means 1115 is provided with an arm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of the crane unit 111 in a radial direction, a rotatable propeller installed on the arm, and a mot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propeller.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크레인유닛(111)의 비행을 조절하여 원하는 상품을 집도록 조정할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의 집기 동작을 마친 후 이동유닛(110)은 연결선(1100)을 와인딩하여 크레인유닛(111)을 이동유닛(110) 하단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이 이동유닛(110)의 하단으로 끌어올려진 후, 이동유닛(110) 또는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된 고정수단이 서로를 고정한다.The user can adjust the flight of the crane unit 111 to pick up the desired product through online. After completing the pick-up operation of the crane unit 111, the mobile unit 110 may wind the connection line 1100 to raise the crane unit 111 to the lower end of the mobile unit 110. After the crane unit 111 is pulled up to the lower end of the moving unit 110, the moving unit 110 or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fix each other.

다른예로서, 이동유닛(110)에는 유도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도신호송출부를 포함하고, 크레인유닛(111)은 유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유도신호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집기 동작을 마친 크레인유닛(111)은 유도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유도신호를 따라 이동유닛(110) 하부로 비행할 수 있다. 이동유닛(110)과 크레인유닛(111)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내가 되면 이동유닛(110) 또는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된 고정수단이 서로를 고정한다. 고정된 후 제어부(109)의 제어에 따라 크레인유닛(111)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유도신호송출부는 레이저신호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obile unit 110 includes an induc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induction signal, and the crane unit 111 may include an induction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duction signal. The crane unit 111 having finished the pick-up operation may fly below the mobile unit 110 according to the guida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uidance signal transmission uni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rane unit 111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ving unit 110 or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fix each other. After being fixed, the battery of the crane unit 111 may be char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9. The induction signal transmitter may be a laser signal.

다른예로서, 제어부(109)는 이동유닛(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크레인유닛(111)으로 하여금 이동유닛(110)의 하단으로 비행하도록 비행수단(1115)을 제어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09 includ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mobile unit 110, and may control the flight means 1115 to cause the crane unit 111 to fly to the lower end of the mobile unit 11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다.9 shows a UI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크레인게임기(100)를 조작중인 사용자단말(300)의 화면이 도시된다. 일례로서, 사용자단말(300)은 전면에 터치패널이 구비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screen of a user terminal 300 operating the crane game machine 100 is shown.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with a touch panel on the front.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크레인게임기(100)의 내부이미지(400)를 표시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이동아이콘(401), 집기아이콘(403) 및 시점이동아이콘(405)을 내부이미지(400)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아이콘들을 터치함으로써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300 may display a movement icon 401, a pick-up icon 403, and a viewpoint movement icon 405 together with the internal image 400. The user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icon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by touching the displayed icons.

이동아이콘(401)은 사용자가 이를 터치함으로써 원격에 위치한 크레인게임기(100)의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이동아이콘(401)은 상품이동부(103)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4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4방향키 중 상 방향 버튼을 누르면 상품이동부(103)를 위로 이동시키고, 우 방향 버튼을 누르면 상품이동부(103)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4방향키를 누를 수 있는 횟수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각 방향버튼을 한번 또는 두번까지 터치하며, 제한된 터치횟수 내에 원하는 곳으로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해야 할 수 있다.The moving icon 401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roduct moving unit 103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located remotely by touching it.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touching the moving icon 401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The movement icon 401 may include a four direction key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300 is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that moves the product moving unit 103 upward when the user presses the up direction button among the four direction keys, and moves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the right 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direction butt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can press the four direction keys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user may touch each direction button once or twice, and may need to control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a desired location within a limited number of touches.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아이콘(401)은 조이스틱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형태의 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고 드래그 하는 방향에 따라 상품이동부(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icon 40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joystick.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o control movement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and drags the joystick-shaped moving icon 40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크레인게임기(100)를 위에서 촬영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아이콘(401)은 생략된다. 사용자가 내부이미지(400) 중 원하는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로 상품이동부(103)를 이동시키도록 생성된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달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300 may provide an image taken from the abov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as an internal image 400. In this embodiment, the movement icon 401 is omitted. When the user touches a desired point in the internal image 400,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generated to mov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the position touched by the user to the server 200 do.

사용자에게는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 제한된 시간내에 이동아이콘(401)을 조작하여 상품위로 상품이동부(103)를 이동시키지 못하면, 상품이동부(103)는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하나, 실제로 상품을 집지 못할 수도 있다.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는 시간은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어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사용자단말(300)은 경고음이나 진동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user has a set time to control the product moving unit 103, so i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cannot be moved over the product by manipulating the moving icon 401 within a limited tim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will It performs a picking operation, but may not be able to actually pick up the product. The time at which the product moving unit 103 can be controlled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When the controllable time is short, the user terminal 300 may notify the user through a warning sound or vibration.

추가적인 예로서, 상품통과부(106)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아이콘(401)을 추가적으로 터치하여 상품이동부(103)가 상품을 원하는 상품통과부(106)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품이동부(103)는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품이동부(103)로부터 수신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품을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에게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 제한된 시간내에 이동아이콘(401)을 조작하여 상품을 집은 상품이동부(103)를 원하는 상품통과부(106)상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면, 상품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As an additional example, when a plurality of product passing units 106 are provided, the user may additionally touch the movement icon 401 to operat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move the product to the desired product passing unit 106. I can.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th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oduct moving unit 103 after performing an operation to pick up the product. At this time, if the user cannot move the product transfer unit 103, which has picked up the product by manipulating the movement icon 401 within a limited time, to the desired product passing unit 106, the product passes through the product desired by the user. It may be impossible to pass through the portion 106.

집기아이콘(403)은 사용자가 이를 터치함으로써 상품이동부(103)가 이동을 완료하기 전에 현재 위치에서 아래로 내려가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품이동부(10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집기아이콘(403)은 버튼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집기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누르는 시간에 대응하는 집기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누른 시간에 대응하여 상품이동부(103)의 크레인유닛(111)이 아래로 내려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길게 누르면 크레인유닛(111)이 더 길게 내려오고,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짧게 누르면 크레인유닛(111)이 더 짧게 내려오도록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누른 시간에 대응하는 집기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The pick-up icon 403 is a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perform an operation to pick up the product by going down from the current position befor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completes the movement by touching it. 300). The pinch icon 40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pick-up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ing the pick-up icon 403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 devic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device icon 403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crane unit 111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descending in response to a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for a long time, the server 200 lowers the crane unit 111 longer, and if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for a short time, the crane unit 111 comes down shorter. The pick-up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pick-up icon 403 is pressed is transmitted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집기아이콘(403)은 상품이동부(103)가 상품을 집은 후, 놓기아이콘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눌러 상품이동부(103)가 상품을 집고 이동 중에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또 터치하면, 사용자단말(300)은 놓기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놓기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상품이동부(103)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놓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그 자리에서 상품을 놓을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k-up icon 403 may operate as a drop icon after the product moving unit 103 picks up the product.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and the product transfer unit 103 picks up the product and the user touches the pick-up icon 403 again while moving, the user terminal 300 sends a dropping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send.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received placing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ay place the product on the spot in response to the plac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크레인유닛(111)이 내려가는 길이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크레인유닛(111)이 내려갈 길이를 입력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길이설정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크레인게임기(100)의 제어부(109)는 길이설정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내려가는 길이를 설정해두고, 설정된 길이만큼 크레인유닛(111)이 내려가도록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set the length of the crane unit 111 to desce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in advance. When the user inputs the length of the crane unit 111 to desce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length set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do. The control unit 109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may set a descending length based on the length sett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 the product moving part 103 so that the crane unit 111 descends by the set length.

사용자는 내부이미지(4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의 현재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내부이미지(40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단말(300)로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도 1을 참조한 설명 중에,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와 어댑티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만약 사용자가 내부이미지(400)의 해상도가 변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내부이미지(400)의 해상도를 고정으로 전송하도록 서버(2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300)은 표시되는 내부이미지(400)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can see the current appearanc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al image 400. The internal image 400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user terminal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in an adaptive streaming method. If the user does not want the resolution of the internal image 400 to change, it may request the server 200 to transmit the resolution of the internal image 400 fixedly.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300 may additionally provide an icon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ed internal image 400.

시점이동아이콘(401)은 사용자가 이를 터치함으로써 카메라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시점을 변경하도록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도 2와 3을 참조하며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01)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이미지(400)는 복수개의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100)의 복수개의 카메라 중 하나를 현재카메라로 선택하고, 현재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다른 시점에서 크레인게임기(100) 내부를 관찰하고 싶을 때, 시점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할 수 있다. 시점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면, 시점변경 제어신호가 서버(200)로 전송된다. 서버(200)는 현재카메라를 복수개의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로 변경하고, 변경된 현재카메라로가 촬영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서 사용자단말로 전송한다. 일례로서, 복수개의 카메라 중 서버(200)에 의해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한 카메라만 동작하고, 나머지 카메라는 대기상태로 있을 수 있다. 다른예로서, 복수개의 카메라 모두 동작하며,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는 복수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현재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to change the viewpoint of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unit 101 by the user touching i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camera unit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The internal image 400 is an image captured by one of a plurality of cameras. The server 20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cameras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s a current camera, and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current camera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 When the user wants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a different viewpoint, the user may touch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When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is touched, a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changes the current camera to another camera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changed current camera as an internal image 400 to the user terminal. As an example,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only one camera set as a current camera by the server 200 may operate, and the remaining cameras may be in a standby state.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cameras all operate, and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converts the image captured by the current camera amo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to the internal image 400 It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as.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단말(300)은 카메라부(101)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이동아이콘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이동아이콘을 통해 조작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카메라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카메라부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크레인게임기(100)의 제어부(109)는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부 이동유닛을 제어한다.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300 may further provide a camera movement icon for moving the camera unit 101. When the user operates through the camera movement icon,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camera unit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ontrol unit 109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controls a camera unit moving unit to move a selected camera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based on a camera unit control signal.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카메라가 크레인유닛에 구비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의 내부이미지의 시점이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duct moving part provided in a crane unit with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viewpoint of an internal image of a crane game is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01)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유닛(111) 하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unit 101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The camera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and may be provided under the crane unit 111 as shown in FIG. 10.

도 11의 좌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를 표시한다.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는 카메라부(101)의 서로 다각도로 마련된 복수개의 카메라 중 서버(200)에 의해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제1카메라가 크레인게임기(100)의 본체(102)를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Referring to the upper left drawing of FIG. 11,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a of a first point of view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internal image 400a of the first point of view is the first camera set as the current camera by the server 200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provided at different angles of the camera unit 101 to capture the main body 102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Means one video.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여 시점변경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를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to the user terminal 300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도 11의 좌하단 도면은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5)을 터치하여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를 표시한다.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는 카메라부(101)의 복수의 카메라 중 서버(200)에 의해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제2카메라가 본체(102)를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본체(102)를 촬영하도록 구비된다.The lower left diagram of 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5 to provide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photographed at a different viewpoint.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refers to an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set as the current camera by the server 200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s of the camera unit 101.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re provided to photograph the main body 102 at different positions.

도 11의 우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를 표시한다.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는 크레인유닛(111)에 구비된 제3카메라에 의해 본체(102)를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the upper right drawing of FIG. 11,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c of a third viewpoint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internal image 400c of the third viewpoint mean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third camera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and the main body 102.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가 제공되는 중에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5)을 추가로 누르면 사용자단말(300)은 시점변경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를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300)은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를 표시한다. When the user additionally presses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5 while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is provided,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400c of the third viewpoint to the user terminal 300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and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the internal image 400c of the third viewpoint.

다른예로서,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 또는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가 제공되는 중에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5)과 별개로 구비되는 크레인시점아이콘(미도시)을 누르면 바로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된 카메라를 현재카메로 설정한 후, 촬영한 이미지를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로 제공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crane viewpoint icon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5 while the internal image 400a of the first viewpoint or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is provided, After setting the camera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as the current camera, the captured image may be provided as an internal image 400c at a third viewpoint.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크레인게임기(100)에서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제1카메라가 본체(102)를 촬영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제1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현재카메라가 아닌 제2카메라는 대기상태로 있는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카메라를 현재카메라로 설정한 후 시점변경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대기중이던 제2카메라는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본체(102)를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제2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을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camera set as the current camera in the crane game machine 100 photographs the main body 102.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to the server 200. The second camera, not the current camera, is in the standby state. The server 200 provid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a at a first point of view. The server 200 sets the second camera as the current camera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n transmits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second camera, which was in standby, photographs the main body 102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and provides an image.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provides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크레인게임기(100)의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복수개의 카메라가 본체(102) 내부를 촬영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카메라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로부터 수신된 제1위치의 영상과 제2위치의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3D 영상을 내부이미지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meras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2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may provide a 3D image to the user as an internal image to the user terminal 300 by synthesizing the image of the first position and the image of the second position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크레인게임기(100)의 제1위치에서 카메라가 본체(102)를 촬영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카메라가 제1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카메라부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제어부(109)는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부 이동유닛을 제어한다. 카메라는 이동된 제2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영상은 카메라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제공되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시점이 변경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amera photographs the main body 102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t the first position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provid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a at a first point of view. Then,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ontroller 109 controls the camera unit moving unit to move the camera based on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The camera provides the image captured at the moved second location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provid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The image is provided even while the camera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user can watc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viewpoint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크레인게임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크레인 시스템을 이하,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300), 서버(200) 및 크레인게임기(100)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300), 서버(200) 및 크레인게임기(100)는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단말(300)과 서버(200)는 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티비, 디지털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형 디스플레이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휴대용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크레인게임기(100)의 내부이미지를 수신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수신된 내부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내부이미지를 보며 사용자단말(300)을 조작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단말(300)은 크레인게임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어신호는 크레인게임기(100)의 상품이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게임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단말(300)은 내부이미지와 게임결과를 표시하여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는 사용자단말(300)에 구비되는 버튼, 디스플레이부 전면에 마련되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단말(300)과 크레인게임기(100)의 통신을 중개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100)로부터 수신된 감지결과를 게임결과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게임결과로서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에 저장한다. 일례로서, 서버(200)는 수신된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횟수를 확인한다. 서버(200)는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횟수에 대응하는 점수를 사용자의 게임결과로서 DB에 저장한다. 게임결과는 토큰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토큰은 차후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가상의 화폐로서 사용된다. 서버(200)는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상품의 크기, 형태, 종류 색 등에 기초하여 점수를 달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코어지점에 이동된 상품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토큰을 사용자의 DB에 저장하고, 상품의 형태/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토큰을 사용자의 DB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토큰의 종류를 이용하여 원하는 구매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내부에 상품을 수용한다. 상품은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크레인게임기(100)는 내부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내부이미지를 생성하고, 서버(200)로 전송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의 상품을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을 시도한다. 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는 상품이동부(103)의 이동을 명령하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하였는지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감지결과는 스코어지점을 통과한 상품의 무게, 크기, 형태,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임을 원활하게 즐기기 위해 사용자단말(300)은 내부이미지를 끊김없이 수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300)과 서버(200)는 서로 어댑티브 스트리밍(adaptive streaming) 방식을 통해 내부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어댑티브 스트리밍 방식이란, 전자장치가 네트워크 환경을 스스로 인지하여 영상의 해상도를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내부이미지의 해상도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통신상태가 좋지 못한 경우, 내부이미지를 낮게 인코딩하여 전송하고, 통신상태가 좋은 경우, 내부이미지를 높게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통신상태는 서버(200)와 사용자단말(300)간 응답속도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서버(200)와 사용자단말(300)은 서로 통신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통신상태에 기초하여 낮은 해상도의 내부이미지를 보낼 것임을 알리는 해상도신호를 할 수 있. 사용자단말(300)은 해상도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해상도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내부이미지를 디코딩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어댑티브 스트리밍방식은 크레인게임기(100)와 서버(200)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스템은 사용자단말(300), 서버(200) 그리고 크레인게임기(100) 외에도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중개 서버,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서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크레인게임기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100)는 카메라부(101), 상품이동부(103), 센서부(105), 통신부(107) 및 제어부(10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100)는 상품통과부(106)와 상품순환부(1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2)는 크레인게임기(100)의 각 구성을 수용한다. 또한, 본체(102)의 내부에는 상품(113)이 수용된다. 상품(113)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상품(113)은 서로 다른 형태, 무게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2)는 도 3에 도시된 대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2)는 또한, 외부에서 내부를 바라볼 수 있도록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카메라부(101)는 본체(102) 내부를 촬영하며, 생성한 내부이미지를 제어부(109)로 전송한다. 카메라부(101)는 본체(102) 내부를 다각도에서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1)는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과, 입사된 광을 감지하고 렌즈에 결상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인 이미지로 변환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는 CCD(Charged Coupled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본체(102) 내외부의 다양한 각도에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카메라부(101)는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카메라부(101)는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01)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부 이동유닛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품이동부(103)는 본체(102)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을 집은 후 상품(113)을 본체(102) 내부에 위치된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품이동부(103)는 본체 상부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품이동부(103)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하고, 이동이 완료된 후, 이동이 완료된 위치에서 아래로 내려가 상품(113)을 집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을 집는 동작을 마치고, 본체 상부로 올라가서 스코어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동을 마친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을 놓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품이동부(103)의 동작은 상품이동부(103)가 실제로 상품(113)을 잡았는 지와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상품이동부(103)는 이동이 완료된 지점에서 기 정해진 거리를 내려가간다. 기 정해진 거리는 크레인게임기(100)의 생산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정해진 거리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길이설정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과 닿을 때까지 본체(102)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상품이동부(103)는 아래로 내려가다가 상품(113)이 닿았다고 판단되면, 즉시 집는 동작을 수행한 후 본체(102) 상부로 올라간다. 이를 위해, 상품이동부(103)는 상품(113)과 닿는지 여부를 알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사용자가 상품이동부(103)의 이동 중에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상품이동부(103)가 내려갈 거리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조이스틱 형태의 아이콘을 아래로 드래그 한 시간, 버튼형태의 아이콘을 누른 시간 등에 대응하여 아래이동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생성된 아래이동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품이동부(103)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아래이동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거리를 내려갈 수 있다.
상품이동부(103)는 크레인유닛(111)과 이동유닛(110)을 포함한다.
크레인유닛(111)은 이동유닛(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이동유닛(110)의 움직임이 고정되면, 크레인유닛(111)은 상품(113)이 위치한 바닥으로 내려간다. 일정거리 이동한 크레인유닛(111)은 상품(113)을 집는 동작을 수행한다. 크레인유닛(111)이 본체(102)로 이동하여 이동유닛(110)과 소정거리 이내에서 고정되면, 이동유닛(110)은 크레인유닛(111)을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유닛(110)이 스코어지점으로 이동된 후 크레인유닛(111)은 본체(102) 상부에서 상품(113)을 놓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크레인유닛(111)은 집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집게수단(1110)과 집게수단(1110)이 집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로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모터는 솔레노이드, 스텝모터, 리니어모터 등 회전 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모든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에는 카메라(1117)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에는 비행을 위한 비행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동유닛(110)은 크레인유닛(111)을 본체(102) 상부에서 전후좌우로 이동키도록 구성된다. 이동유닛(110)은 크레인유닛(111)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터와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유닛(110)에는 크레인유닛(111)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선(1100), 연결선(1100)을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하기 위한 모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송신수단(1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유/무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센서부(105)는 스코어지점에 마련된다. 센서부(105)는 상품(113)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05)는 터치감지센서, 모션센서, 적외선센서, 움직임감지센서 등 물체가 특정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05)는 상품이동부(103)가 상품(113)을 집어 스코어지점 상에서 떨어트리는 동작을 수행한 뒤 상품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스코어지점에는 상품통과부(106)가 스코어지점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품통과부(106)가 스코어지점에 구비되는 경우, 센서부(105)는 상품통과부(106) 내에 구비되며, 상품(113)이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부(105)는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는 상품(113)의 종류, 모양, 크기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품통과부(106)는 위아래로 개구부가 마련된다. 상품통과부(106)의 개구부는 스코어지점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상품이동부(103)에서 놓아지는 상품(113)이 상품통과부(106)의 개구부를 통과하면, 스코어지점을 통과하게 된다. 상품통과부(106)는 상품이동부(103)가 정위치에서 상품(113)을 떨어트릴 때만, 상품(113)이 스코어지점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품이동부(103)가 상품(113)을 스코어지점과 빗겨서 놓는 경우, 상품(113)은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품통과부(106)의 외측 테두리와 부딪힌 후 다시 본체(102) 바닥에 떨어진다. 상품(113)은 떨어지는 방향과 상품(113)의 특성에 따라 외측 테두리와 부딪힌 후 스코어지점을 통과할 수도 있다. 상품통과부(106)는 게임의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그 개구부가 더 작거나 모양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품통과부(106)는 통과하는 상품(113)이 다시 본체(102)에 수용되도록 개구부가 본체(102)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한 상품(113)은 상품이동부(103)에 의해 다시 이동될 수 있다.
통신부(107)는 크레인게임기(100)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07)는 크레인게임기(100)가 외부장치들과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음성,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 다양하며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07)는 외부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유선통신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서버들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07)가 지원하는 통신의 종류는 유선통신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통신부(107)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RF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07)는 서버(200)로부터 크레인게임기(100)의 내부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품순환부(104)는 본체에 수용되는 상품(113)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품순환부(104)는 주기적으로 상품(113)을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품순환부(104)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순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품(113)을 순환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품(113)을 순환시키도록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명령을 내리면 사용자단말(300)은 순환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순환 제어신호는 상품(113)을 순환시키는 시간,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품순환부(104)는 순환 제어신호에 기초한 시간과 강도만큼 상품(113)을 순환시킨다.
상품순환부(104)는 본체(102) 바닥에 마련된다. 상품순환부(104)는 트레드밀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품순환부(104)는 천, 고무, 합성수지 등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품(11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과 지지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이 회전할 때, 돌기가 상품(113)을 밀어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품순환부(104)는 본체(102) 바닥 중심에 마련되며, 회전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본체(102) 바닥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품(113)을 순환시키는 회전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품순환부(104)는 본체 바닥에 마련되는 회전원판과, 회전원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구동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잇다. 회전원판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원판이 회전할 때, 돌기가 상품(113)을 밀어 순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10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기(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09)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크레인게임기(100)의 본체에 실장되는 제어판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크레인게임기(100)의 각 구성에 동작의 제어를 위해 실장되는 마이크로칩 들의 군집적 표현이라고 이해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크레인게임기(100)의 제조 시에 크레인게임기(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레인게임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크레인게임기(1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9)는 카메라부(101)에서 본체(102)의 내부를 촬영하여 생성한 내부이미지와 센서부(105)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0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9)는 서버(200)로부터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기초하여 상품이동부(103)를 이동시키고, 상품이동부(103)가 상품(113)을 집어 스코어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와 전력수신수단(1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와 전력수신수단(1111)가 유선인 경우,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또는 무선인 경우, 서로 소정거리 이내에서 전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전력송신수단(110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와 전력수신수단(1111)가 일정거리 이내이거나 전력수신수단(1111)의 요청 또는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전력송신수단(1101)가 전력수신수단(1111)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과 전력수신수단이 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이동부(103)는 이동유닛(110)과 크레인유닛(111)을 포함한다.
이동유닛(110)은 본체(102)에 연결되어 전력을 본체(102)로부터 공급받는다. 이동유닛(110)은 제어부(109)의 제어에 의해 공급받은 전력을 전력송신수단(1101)을 통해 전력수신수단(111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서로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력송신수단(1101)은 숫커넥터, 즉 플러그로 구성되고, 전력수신수단(1111)은 암커넥터, 즉 리셉터클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의 구현형태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배럴타입, USB타입, USB A 내지 C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에는 전력수신수단(1111)과 전력수신수단(1111)을 통해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결합되면 충전이 시작된다.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탈착되면 충전이 중단된다.
제어부(109)는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된 후 충전이 시작되고 소정시간이 지나면 충전을 중단하도록 전력송신수단(1101)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예로서, 크레인유닛(111)에는 배터리의 전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전압측정수단, 크레인유닛(111), 배터리 또는 집게수단(11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전압측정수단, 온도측정센서가 제어부(109)로 센싱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크레인유닛(111)에는 통신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통신수단은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의 일채널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전압측정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제1레벨을 초과하면 충전을 중지한다. 만약 제어부(109)가 인지하기 전에 배터리의 전압이 제2레벨을 초과하면 방전을 시작하도록 전력수신수단(1111)을 제어할 수 있다.
충전에 따른 소정의 시간은 크레인유닛(111)의 움직이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09)는 크레인유닛(111)의 활동량이 많을수록 충전에 필요한 소정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어부(109)는 전압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필요시간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송신수단(110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이 늘어나는 형태로 구현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이동유닛(110)에는 전력송신수단(1101)의 리치를 연장하기 위한 길이조절부(1103)가 마련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는 평소에는 이동유닛(1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크레인유닛(111)이 소정 거리 이내로 다가오면 제어부(109)의 제어에 기초하여 전력송신수단(1101)을 크레인유닛(11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길이조절부(1103)를 연장하기 위한 모터가 이동유닛(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유닛(111)은 이동유닛(110)으로부터 어느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어도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09)는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대로 결합되지 않았으면 길이조절부(1103)가 길어졌다 짧아졌다를 반복하도록 길이조절부(110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송신수단과 전력수신수단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이 송신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 할 수 있다.
전력수신수단(1111)은 전력송신수단(1101)으로부터 전력을 무서능로 수신하기 위해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을 사용하는 자기유도방식, 특정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을 사용하는 자기공명방식, 또는 전기적 에너지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전자기파방식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의 송수신은 송신측의 1차 코일 및 수신측의 2차 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서, 하나의 코일에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자기공명방식은, 전력송신수단(1101)에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전력수신수단(1111)에 전자기적 공진이 발생하고,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어 전력이 전달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전력수신수단(1111)은 자기유도방식, 자기공명방식 및 전자기파방식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력수신부 및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이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다른 방식을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제외하고자 함은 아니다.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은 자기유도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전력수신수단(1111)으로 전달한다.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송신수단(1101)은 TX코일부(1105)를,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수단(1111)은 RX코일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
TX코일부(1105)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신호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TX코일부(1105)은 평판 나선형태(Planar Sprial type),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Cylindrical Solenoid type)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송신수단(1101)은 인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는 외부로부터 얻은 직류전원을 교류파형을 갖는 전송전류(iT)로 변환한다. 전송전류(iT)는 TX코일부(1105) 및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는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하여 전송전류(iT)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이 TX코일부(1105)에서 형성된다.
자기유도방식에 있어서, 장치들간의 배열 및 거리가 전력 전송의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바, 전력송신수단(1101)은 전력수신수단(1111)의 RX코일부(1113)가 형성된 자기장의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TX코일부(1105)와 RX코일부(1113)의 중심간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이동유닛(110)과 크레인유닛(111)의 위치와 서로간 거리를 판단하고,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유닛(110) 및 크레인유닛(111)은 센서부 및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수신수단(1111)은 RX코일부(1113) 및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전력송신수단(1101) 내에서 교류 파형을 갖는 전송전류(iT)로 변환되며, 교류인 전송전류(iT)의 성질에 의해 TX코일부(1105)에서 자기장이 형성된다. 또한, 형성된 자기장의 변화에 의하여 RX코일부(1113)에 전력수신수단(111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ID)가 유도된다. RX코일부(1113)의 구현 형태는, TX코일부(1105)와 마찬가지로, 평판 나선 형태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을 높이거나 공진 감지(resonant detection)을 위해 직/병렬 커패시터들(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이 RX코일부(1113)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TX코일부(1105)와 RX코일부(1113)는 코어를 사용하는 다이폴 형태 코일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이폴 형태 코일을 통한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TX코일부(1105)와 RX코일부(1113)는 긴 막대형의 코어의 가운데에 헬리컬 코일 형태로 리츠 와이어로 권선이 이루어져 각 코일부(1105, 1113)을 구성할 수 있다. TX코일부(1105)에 흐르는 전류가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 중 일부가 RX코일부(1113)의 코어로 전달되어 쇄교 자속을 형성하게 되며, 형성된 쇄교 자속이 전력수신수단(1111)에 전류를 유도하게 된다. 다이폴 형태 코일을 사용함에 따라 전력송신수단(1101)과 전력수신수단(1111)가 최대 5m거리까지 떨어져 있어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타입의 크레인유닛을 구비한 상품이동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유닛(111)에는 비행수단(1115)이 구비될 수 있다. 비행수단(1115)은 크레인유닛(111)의 본체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암(Arm)과 아암에 설치되는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 그리고 프로펠러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크레인유닛(111)의 비행을 조절하여 원하는 상품을 집도록 조정할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의 집기 동작을 마친 후 이동유닛(110)은 연결선(1100)을 와인딩하여 크레인유닛(111)을 이동유닛(110) 하단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크레인유닛(111)이 이동유닛(110)의 하단으로 끌어올려진 후, 이동유닛(110) 또는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된 고정수단이 서로를 고정한다.
다른예로서, 이동유닛(110)에는 유도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도신호송출부를 포함하고, 크레인유닛(111)은 유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유도신호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집기 동작을 마친 크레인유닛(111)은 유도신호송출부에서 송출되는 유도신호를 따라 이동유닛(110) 하부로 비행할 수 있다. 이동유닛(110)과 크레인유닛(111)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내가 되면 이동유닛(110) 또는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된 고정수단이 서로를 고정한다. 고정된 후 제어부(109)의 제어에 따라 크레인유닛(111)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유도신호송출부는 레이저신호일 수 있다.
다른예로서, 제어부(109)는 이동유닛(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크레인유닛(111)으로 하여금 이동유닛(110)의 하단으로 비행하도록 비행수단(1115)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UI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크레인게임기(100)를 조작중인 사용자단말(300)의 화면이 도시된다. 일례로서, 사용자단말(300)은 전면에 터치패널이 구비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크레인게임기(100)의 내부이미지(400)를 표시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이동아이콘(401), 집기아이콘(403) 및 시점이동아이콘(405)을 내부이미지(400)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아이콘들을 터치함으로써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동아이콘(401)은 사용자가 이를 터치함으로써 원격에 위치한 크레인게임기(100)의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이동아이콘(401)은 상품이동부(103)가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4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4방향키 중 상 방향 버튼을 누르면 상품이동부(103)를 위로 이동시키고, 우 방향 버튼을 누르면 상품이동부(103)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4방향키를 누를 수 있는 횟수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각 방향버튼을 한번 또는 두번까지 터치하며, 제한된 터치횟수 내에 원하는 곳으로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해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아이콘(401)은 조이스틱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조이스틱형태의 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고 드래그 하는 방향에 따라 상품이동부(103)의 이동을 제어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크레인게임기(100)를 위에서 촬영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아이콘(401)은 생략된다. 사용자가 내부이미지(400) 중 원하는 지점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로 상품이동부(103)를 이동시키도록 생성된 상품이동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달한다.
사용자에게는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 제한된 시간내에 이동아이콘(401)을 조작하여 상품위로 상품이동부(103)를 이동시키지 못하면, 상품이동부(103)는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하나, 실제로 상품을 집지 못할 수도 있다.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는 시간은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어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사용자단말(300)은 경고음이나 진동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상품통과부(106)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아이콘(401)을 추가적으로 터치하여 상품이동부(103)가 상품을 원하는 상품통과부(106)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품이동부(103)는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품이동부(103)로부터 수신되는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품을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에게는 시간이 정해져 있어 제한된 시간내에 이동아이콘(401)을 조작하여 상품을 집은 상품이동부(103)를 원하는 상품통과부(106)상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면, 상품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통과부(106)를 통과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집기아이콘(403)은 사용자가 이를 터치함으로써 상품이동부(103)가 이동을 완료하기 전에 현재 위치에서 아래로 내려가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품이동부(10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집기아이콘(403)은 버튼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집기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누르는 시간에 대응하는 집기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누른 시간에 대응하여 상품이동부(103)의 크레인유닛(111)이 아래로 내려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0)는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길게 누르면 크레인유닛(111)이 더 길게 내려오고,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짧게 누르면 크레인유닛(111)이 더 짧게 내려오도록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누른 시간에 대응하는 집기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집기아이콘(403)은 상품이동부(103)가 상품을 집은 후, 놓기아이콘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눌러 상품이동부(103)가 상품을 집고 이동 중에 사용자가 집기아이콘(403)을 또 터치하면, 사용자단말(300)은 놓기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놓기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상품이동부(103)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놓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그 자리에서 상품을 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크레인유닛(111)이 내려가는 길이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크레인유닛(111)이 내려갈 길이를 입력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길이설정 제어신호를 서버(2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로 전송한다. 크레인게임기(100)의 제어부(109)는 길이설정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내려가는 길이를 설정해두고, 설정된 길이만큼 크레인유닛(111)이 내려가도록 상품이동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내부이미지(400)를 통해 크레인게임기(100)의 현재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내부이미지(400)는 서버(200)로부터 사용자단말(300)로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도 1을 참조한 설명 중에,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와 어댑티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만약 사용자가 내부이미지(400)의 해상도가 변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내부이미지(400)의 해상도를 고정으로 전송하도록 서버(2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300)은 표시되는 내부이미지(400)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아이콘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시점이동아이콘(401)은 사용자가 이를 터치함으로써 카메라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의 시점을 변경하도록 사용자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도 2와 3을 참조하며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01)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이미지(400)는 복수개의 카메라 중 하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100)의 복수개의 카메라 중 하나를 현재카메라로 선택하고, 현재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다른 시점에서 크레인게임기(100) 내부를 관찰하고 싶을 때, 시점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할 수 있다. 시점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면, 시점변경 제어신호가 서버(200)로 전송된다. 서버(200)는 현재카메라를 복수개의 카메라 중 다른 카메라로 변경하고, 변경된 현재카메라로가 촬영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서 사용자단말로 전송한다. 일례로서, 복수개의 카메라 중 서버(200)에 의해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한 카메라만 동작하고, 나머지 카메라는 대기상태로 있을 수 있다. 다른예로서, 복수개의 카메라 모두 동작하며,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는 복수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현재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내부이미지(400)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단말(300)은 카메라부(101)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이동아이콘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이동아이콘을 통해 조작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카메라부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카메라부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크레인게임기(100)의 제어부(109)는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부 이동유닛을 제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카메라가 크레인유닛에 구비되는 상품이동부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게임의 내부이미지의 시점이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01)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유닛(111) 하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1의 좌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를 표시한다.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는 카메라부(101)의 서로 다각도로 마련된 복수개의 카메라 중 서버(200)에 의해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제1카메라가 크레인게임기(100)의 본체(102)를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1)을 터치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여 시점변경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를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한다.
도 11의 좌하단 도면은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5)을 터치하여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를 표시한다.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는 카메라부(101)의 복수의 카메라 중 서버(200)에 의해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제2카메라가 본체(102)를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본체(102)를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도 11의 우상단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를 표시한다.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는 크레인유닛(111)에 구비된 제3카메라에 의해 본체(102)를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가 제공되는 중에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5)을 추가로 누르면 사용자단말(300)은 시점변경 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를 사용자단말(300)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300)은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를 표시한다.
다른예로서,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 또는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가 제공되는 중에 사용자가 시점이동아이콘(405)과 별개로 구비되는 크레인시점아이콘(미도시)을 누르면 바로 크레인유닛(111)에 마련된 카메라를 현재카메로 설정한 후, 촬영한 이미지를 제3시점의 내부이미지(400c)로 제공할 수도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크레인게임기(100)에서 현재카메라로 설정된 제1카메라가 본체(102)를 촬영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제1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현재카메라가 아닌 제2카메라는 대기상태로 있는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2카메라를 현재카메라로 설정한 후 시점변경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대기중이던 제2카메라는 시점변경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본체(102)를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제2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영상을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크레인게임기(100)의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복수개의 카메라가 본체(102) 내부를 촬영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카메라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로부터 수신된 제1위치의 영상과 제2위치의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3D 영상을 내부이미지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크레인게임기(100)의 제1위치에서 카메라가 본체(102)를 촬영한다. 크레인게임기(100)는 카메라가 제1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1시점의 내부이미지(400a)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카메라부 제어신호를 크레인게임기(100)로 전달한다. 제어부(109)는 카메라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카메라부 이동유닛을 제어한다. 카메라는 이동된 제2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크레인게임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제2시점의 내부이미지(400b)로서 사용자단말(300)로 제공한다. 영상은 카메라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제공되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300)을 통해 시점이 변경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pos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o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ane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rane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rane system i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ystem.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300, a server 200, and a crane game machine 100. The user terminal 300, the server 200, and the crane game machine 100 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each other.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200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fixed display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TV, a digital signage, and a mobile display device such as a notebook, a smartphone, a tablet PC, a portable terminal, and a wearable device I can.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internal imag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th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the received internal image to the user. The user manipulates the user terminal 300 while viewing the internal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the server 200.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product moving part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product moving part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a game result received through the server 200 to the user. The user terminal 300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d providing an internal image and a game result.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button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300, a touch pane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or the like.
The server 200 medi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 game result, and stores the game result of the user in a database (Data Base: DB). As an example, the server 200 checks the number of times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result. The server 200 stores a scor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in the DB as a game result of the user. Game results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tokens. The token is used as a virtual currency to purchase products desired by the user in the future. The server 200 may store scores differently based on the size, shape, type and color of product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score points. For example, the server 200 stores more tokens in the user's DB as the size of the product moved to the score point by the user's manipulation increases, and stores different types of tokens in the user's DB according to the type/type of the product. I can. Users can purchase desired purchases using different types of token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mmodates the product therein. A plurality of products may be provided. The crane game machine 100 photographs the inside with a camera, generates an internal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The crane game machine 100 attempts to move the internal product to the score point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200.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200 may be a control signal commanding movement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he crane game machine 100 detects whether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and transmits the detected result to the server 200. The detection result may include the weight, size, shape, and type of products that have passed the score point.
In order to enjoy the game smoothly, it is most important for the user terminal 300 to seamlessly receive internal images.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200 may each receive an internal image through an adaptive streaming method. The adaptive stream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recognizes a network environment by itself and adaptively changes the resolution of an image to transmit/receive. The resolution of the internal image provided to the user may vary depending on the network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poor, the server 200 encodes and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low, and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good, the server 200 encodes and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high. The communication state may be determined using a response speed between the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The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may perform communication to check a communication state with each other. The server 200 may provide a resolu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ternal image of a low resolution will be sent based on the communication state. When the resolution signal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300 may decode the received internal image based on the received resolution signal and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adaptive streaming method can also be applied between the crane game machine 100 and the server 200.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user terminal 300, a server 200, and a crane game machine 100, as well as an intermediary server for mediating data transmission, a synchronization server for data synchronization, and the like.
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another crane gam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ane gam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01, a product moving unit 103, a sensor unit 105, a communication unit 107 and a control unit 109 do.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duct passing unit 106 and a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The main body 102 accommodates each configuration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In addition, the product 113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02. The product 113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each product 113 may have a different shape, weight, or size. The main body 102 may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dy 102 is also made of a partially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e camera unit 101 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2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ternal image to the control unit 109. The camera unit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interior of the body 102 from multiple angles. The camera unit 101 may include an optical module including a lens,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detects incident light and converts an image of a subject formed on the lens into an image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Charged Coupled Device (CCD).
The camera may be provided at various angles inside and outside the body 102. The camera may be provided on the crane unit 111.
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camera unit 101 is configured to move the position based on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The camera unit 101 may move up, down, left and right, and a camera unit moving unit for moving the camera unit 101 based on a camera unit control signal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product moving part 103 is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102.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configured to pick up the product 113 and then move the product 113 to a score point located inside the body 102.
The product moving part 103 is configured to move up, down, left and right from the top of the body.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and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moves downwar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ovement is completed to pick up the product 113. The product moving unit 103 finishes the operation of picking up the product 113, and then goes up to the top of the body and moves to the score point.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hat has finished moving performs an operation of placing the product 113. The operation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perform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product moving unit 103 actually holds the product 113.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dow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et at the production stag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urth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changed and set based on a length sett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duct moving part 103 may descend under the main body 102 until it contacts the product 1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duct 113 has touched while going down,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mmediately performs a picking operation and then goes up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2. To this end,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ay include a sensor that can know whether it is in contact with the product 113.
As an additional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distance to which the product moving unit 103 will desce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whil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moving. The input can take a variety of forms. The user terminal 300 may generate a downward movement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a time when a joystick-shaped icon is dragged downward, a time when a button-shaped icon is pressed, and the like.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the generated down movement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ay descend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movemen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ncludes a crane unit 111 and a moving unit 110.
The crane unit 111 moves up and down while attached to the mobile unit 110. When the movement of the mobile unit 110 is fixed, the crane unit 111 descends to the floor where the product 113 is located. The crane unit 111 that has moved a certain distance performs an operation to pick up the product 113. When the crane unit 111 moves to the main body 102 and is fix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bile unit 110, the mobile unit 110 moves the crane unit 111 to the score point. After the mobile unit 110 is moved to the score point, the crane unit 111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placing the product 113 on the body 102.
The crane unit 111 is a clamping means 1110 for performing a gripping operation, a motor providing power to perform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clamping means 1110, a battery providing power to the motor, and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It includes means for receiving power for. As the motor, any motor that performs rotational or linear motion, such as a solenoid, a step motor, and a linear motor, can be used. A camera 1117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crane unit 111. The crane unit 1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flight means for fligh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v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move the crane unit 111 back and forth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102 to the left and right. The moving unit 1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tors and rollers for moving the crane unit 111. The mobile unit 110 may include a connection line 1100 to be connected to the crane unit 111, a motor for winding or rewinding the connection line 1100,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may be implemented as wired/wireless.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nsor unit 105 is provided at the score point. The sensor unit 105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roduct 113 passes through the score point. The sensor unit 105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variety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at an object passes through a specific area, such as a touch sensor, a mo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a motion sensor.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05 detects whether the product has passed the score point after the product moving unit 103 performs an operation of picking up the product 113 and dropping it on the score point. At the score point,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score point. When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is provided at the score point, the sensor unit 105 is provided in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and detects whether the product 113 passes through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The sensor unit 105 is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the type, shape, size, and color of the product 113 passing through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The product passage part 106 is provided with an opening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opening of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core point. That is, when the product 113 placed in the product moving part 103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it passes through the score point.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is configured so that the product 113 can pass through the score point only when the product moving unit 103 drops the product 113 from the correct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product moving part 103 combs the product 113 with the score point, the product 113 does not pass through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and after colliding with the outer edge of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It falls back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The product 113 may pass through the score point after colliding with the outer edge according to the falling dire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113. The product passing part 106 may have a smaller opening or a different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difficulty of the game.
The product passage part 10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n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body 102 so that the product 113 passing through is received in the body 102 again. Through this, the product 113 passing through the product passing unit 106 may be moved again by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he communication unit 107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ommunication unit 107 allows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types of transmitted/received data are various, such as voice, image, text, and video,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e communication unit 107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for wired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nnection unit can transmit/receive signals/data according to standards such a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and component, and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se standards. It includes more than one connector or terminal. The crane game machine 100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a wired local area network (LAN).
The type of communication suppor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7 is not limited to wir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7 may include an RF circu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Zigbee, UWM (Ultra-Wide Band), Wireless USB,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one or more communication amo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7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ternal imag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the server 200 in real time.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product 113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be configured to periodically circulate the product 113. In addition,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circulate the product 113 based on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For example, when a user issues a comma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to circulate the product 113,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circulation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ime and intensity of circulation of the product 113. When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circulates the product 113 by the time and intensity based on the circulation control signal.
The product circulation part 104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readmill.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cloth, rubber, synthetic resin, and may include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product 113 and a plurality of rollers for rotating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en the support plate rotates, the protrusion may push the product 113 to circulate i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to rotate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2 and the product 113 It may include a rotating arm to circulate.
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irculation unit 104 may include a rotating disk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motor that is rotationally driven to rotate the rotating disk.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disk. When the rotating disk rotates, the protrusion may push the product 113 to circulate.
The control unit 109 performs control for operating all the components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09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such a control operation,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the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a volatile memory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installed control program is loaded, and at least one that executes the loaded control program. It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he control program may include program(s) implemented in at least one of a BIOS, a device driver, an operating system, a firmware, a platform, and an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09 may be implemented as a control panel panel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nd a cluster expression of microchips mounted to control the operation in each component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s an embodiment, the application program is preinstalled or stored in the crane game machine 100 when manufacturing the crane game machine 100, or is based on the received data by receiving data of the application program from the outside when using It can be installed in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data of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downloaded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an external server such as, for example, an application market.
The control unit 10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2 by the camera unit 101 and th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05 to th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unit 107 is controlled so as to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control unit 109 moves the product moving unit 103 based on this, and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he product 113 is picked up and controlled to move to the score point.
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Whe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are wired, combined with each other, or wirelessly, the control unit 109 provides a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so that power can be transmit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unit 109 determines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are within a certain distance or after the request of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deliver power to.
4 shows a product moving unit in which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roduct moving unit 103 includes a moving unit 110 and a crane unit 111.
The mobile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2 to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ody 102. The mobile unit 110 may transmit the power su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9 to the power receiving unit 1111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unit 1101.
As an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an example,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may be configured with a male connector, that is, a plug,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be configured with a female connector, that is, a receptacle.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not limited.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barrel type, USB type, and USB A to C type.
The crane unit 111 may include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s an example, 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combined, charging starts. 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detached, charging is stopped.
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to stop charging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being combined to prevent overcharging.
As another example, the crane unit 111 may include a voltage measuring means capable of measuring the voltage state of the battery, a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rane unit 111, the battery or the clamp means 1110. . At this time, a communication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in order to transmit a signal sensed by the voltage measuring means and the temperature measuring sensor to the control unit 109. The communication means may transmit a signal using one channel of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The control unit 109 stops charging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exceeds the first level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voltage measuring means. If the voltage of the battery exceeds the second level before the controller 109 recognizes it,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be controlled to start discharging.
The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charg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moving time of the crane unit 1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9 may increase a predetermined time required for charging as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crane unit 111 increases. The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1 to calculate a time required to charge the battery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voltage measurement sensor and supply p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is.
5 shows a product moving unit implemented in an elongated form of power transmiss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unit 1103 for extending the reach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The length adjustment unit is usually housed inside the mobile unit 110, but when the crane unit 111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1 is directed toward the crane unit 111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9. Can be extended. To this end, a motor for extending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03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ving unit 110. Accordingly, even if the crane unit 111 is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mobile unit 110,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be combined.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9 checks whether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coupled, and if not properly coupled, the length adjusting unit 1103 is lengthened and shortened to repeat the length. The adjustment unit 1103 can be controlle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 moving unit in which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rocess in which power is wirelessly transm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can transmit and receive power wirelessly.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a magnetic induction method using inductive coupling based o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a wireless power signal in order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in an intelligent manner, Receiving power wirelessly using one or more of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that uses electromagnetic resonance coupling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signal, or the electromagnetic wave method that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omagnetic waves including electrical energy. Can be configur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technology that transmits power wirelessly using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secondary coil of the receiving side, and is applied to the chang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in one coil. This refers to a technology that transmits power by inducing current to the other coil.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electromagnetic resonance is generated in the power receiving unit 1111 by a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tting unit 1101, and electric current is induced by the resonance phenomenon to transmit power.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power using at least one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To this end, it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unit and a conversion unit.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described as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ccording to a self-induction method, but other methods of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do not want to.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 wireless power signal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wirelessly according to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To deliver. The wireless power signal is formed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or an electromagnetic field having a vibrating characteristic. To this e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1 for transmitting power may include a TX coil unit 1105, and the power reception unit 1111 for receiving power may include an RX coil unit 1113.
The TX coil unit 1105 is configured to form a magnetic field corresponding to a wireless power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current. The TX coil unit 1105 may be implemented in a planar spiral type or a cylindrical solenoid type.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may further include an inverter. The inverter converts the DC power obtained from the outside into a transmission current (i T ) having an AC waveform. The transmission current (i T ) drives a resonant circuit including the TX coil unit 1105 and a capacitor to form a magnetic field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urrent (i T ) in the TX coil unit 1105 do.
In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arrangement and distance between devices can affect the efficiency of power transmission,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is the range of the magnetic field in which the RX coil portion 1113 of the power reception means 1111 is 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located within, the position of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rane unit 11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TX coil unit 1105 and the RX coil unit 1113 are determin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can be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To this end,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rane unit 111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and a position control unit.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may include an RX coil part 1113 and a rectifying par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onverted into a transmission current (i T ) having an AC waveform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101), and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TX coil part (1105) by the nature of the transmission current (i T ) that is AC. do. In addition, a driving current I D for driving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s induced in the RX coil part 1113 by a change in the formed magnetic field. Like the TX coil part 1105, the RX coil part 1113 may have a flat spiral shape or a cylindrical solenoid shape.
In addition, 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X coil unit 1113 to increase the reception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or to detect reson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X coil unit 1105 and the RX coil unit 1113 may use a dipole type coil using a core. In order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hrough a dipole coil, the TX coil unit 1105 and the RX coil unit 1113 are wound with Litz wire in the form of a helical coil in the center of a long rod-shaped c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each coil unit (1105, 1113).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X coil unit 1105 generates a magnetic field, and some of the generated magnetic field is transferred to the core of the RX coil unit 1113 to form a flux linkage, and the formed flux linkage is transferred to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It induces an electric current. As the dipole type coil is used, power can be stably transmitted even 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1101 and the power receiving means 1111 are separated by a maximum distance of 5 m.
Figure 8 shows a product moving unit having a crane unit of the fligh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unit 111 may be provided with a flight means (1115). The flight means 1115 is provided with an arm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of the crane unit 111 in a radial direction, a rotatable propeller installed on the arm, and a motor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propeller.
The user can adjust the flight of the crane unit 111 to pick up the desired product through online. After completing the pick-up operation of the crane unit 111, the mobile unit 110 may wind the connection line 1100 to raise the crane unit 111 to the lower end of the mobile unit 110. After the crane unit 111 is pulled up to the lower end of the moving unit 110, the moving unit 110 or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fix each other.
As another example, the mobile unit 110 includes an induc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induction signal, and the crane unit 111 may include an induction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duction signal. The crane unit 111 having finished the pick-up operation may fly below the mobile unit 110 according to the guida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uidance signal transmission uni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unit 110 and the crane unit 111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moving unit 110 or the fixing means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fix each other. After being fixed, the battery of the crane unit 111 may be char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9. The induction signal transmitter may be a laser signal.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09 includ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mobile unit 110, and may control the flight means 1115 to cause the crane unit 111 to fly to the lower end of the mobile unit 110. .
9 shows a UI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a screen of a user terminal 300 operating the crane game machine 100 is shown.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with a touch panel on the front.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300 may display a movement icon 401, a pick-up icon 403, and a viewpoint movement icon 405 together with the internal image 400. The user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icon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by touching the displayed icons.
The moving icon 401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product moving unit 103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located remotely by touching it.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touching the moving icon 401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The movement icon 401 may include a four direction key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300 is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that moves the product moving unit 103 upward when the user presses the up direction button among the four direction keys, and moves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the right 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direction butt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can press the four direction keys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user may touch each direction button once or twice, and may need to control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a desired location within a limited number of touche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icon 40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joystick.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o control movement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and drags the joystick-shaped moving icon 401.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300 may provide an image taken from the abov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as an internal image 400. In this embodiment, the movement icon 401 is omitted. When the user touches a desired point in the internal image 400,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generated to mov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the position touched by the user to the server 200 do.
The user has a set time to control the product moving unit 103, so i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cannot be moved over the product by manipulating the moving icon 401 within a limited tim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will It performs a picking operation, but may not be able to actually pick up the product. The time at which the product moving unit 103 can be controlled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When the controllable time is short, the user terminal 300 may notify the user through a warning sound or vibration.
As an additional example, when a plurality of product passing units 106 are provided, the user may additionally touch the movement icon 401 to operat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move the product to the desired product passing unit 106. I can.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oves th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product moving unit 103 after performing an operation to pick up the product. At this time, if the user cannot move the product transfer unit 103, which has picked up the product by manipulating the movement icon 401 within a limited time, to the desired product passing unit 106, the product passes through the product desired by the user. It may be impossible to pass through the portion 106.
The pick-up icon 403 is a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to perform an operation to pick up the product by going down from the current position before the product moving unit 103 completes the movement by touching it. 300). The pinch icon 40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pick-up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ing the pick-up icon 403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 devic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device icon 403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crane unit 111 of the product moving unit 103 descending in response to a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for a long time, the server 200 lowers the crane unit 111 longer, and if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for a short time, the crane unit 111 comes down shorter. The pick-up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pick-up icon 403 is pressed is transmitted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k-up icon 403 may operate as a drop icon after the product moving unit 103 picks up the product.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pick-up icon 403 and the product transfer unit 103 picks up the product and the user touches the pick-up icon 403 again while moving, the user terminal 300 sends a dropping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send.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received placing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product moving unit 103 may place the product on the spot in response to the placing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set the length of the crane unit 111 to desce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in advance. When the user inputs the length of the crane unit 111 to descen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length sett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rough the server 200 do. The control unit 109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may set a descending length based on the length sett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 the product moving part 103 so that the crane unit 111 descends by the set length.
The user can see the current appearanc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in real time through the internal image 400. The internal image 400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user terminal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in an adaptive streaming method. If the user does not want the resolution of the internal image 400 to change, it may request the server 200 to transmit the resolution of the internal image 400 fixedly.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300 may additionally provide an icon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ed internal image 400.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to change the viewpoint of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unit 101 by the user touching i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camera unit 1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The internal image 400 is an image captured by one of a plurality of cameras. The server 20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cameras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as a current camera, and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current camera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 When the user wants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from a different viewpoint, the user may touch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When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is touched, a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changes the current camera to another camera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transmits an image captured by the changed current camera as an internal image 400 to the user terminal. As an example,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only one camera set as a current camera by the server 200 may operate, and the remaining cameras may be in a standby state.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cameras all operate, and the captur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converts the image captured by the current camera amo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to the internal image 400. It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s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300 may further provide a camera movement icon for moving the camera unit 101. When the user operates through the camera movement icon,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camera unit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ontrol unit 109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controls a camera unit moving unit to move a selected camera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based on a camera unit control signal.
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duct moving part provided in a crane unit with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viewpoint of an internal image of a crane game is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unit 101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The camera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and may be provided under the crane unit 111 as shown in FIG. 10.
Referring to the upper left drawing of FIG. 11,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a of a first point of view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internal image 400a of the first point of view is the first camera set as the current camera by the server 200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provided at different angles of the camera unit 101 to capture the main body 102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Means one video.
When the user touches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1,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to the user terminal 300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The lower left diagram of 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5 to provide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photographed at a different viewpoint.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refers to an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set as the current camera by the server 200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s of the camera unit 101. The first camera and the second camera are provided to photograph the main body 102 at different positions.
Referring to the upper right drawing of FIG. 11,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an internal image 400c of a third viewpoint received from the server 200. The internal image 400c of the third viewpoint mean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third camera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and the main body 102.
When the user additionally presses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5 while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is provided,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internal image 400c of the third viewpoint to the user terminal 300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and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the internal image 400c of the third viewpoint.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crane viewpoint icon (not show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iewpoint movement icon 405 while the internal image 400a of the first viewpoint or the internal image 400b of the second viewpoint is provided, After setting the camera provided in the crane unit 111 as the current camera, the captured image may be provided as an internal image 400c at a third viewpoint.
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camera set as the current camera in the crane game machine 100 photographs the main body 102.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to the server 200. The second camera, not the current camera, is in the standby state. The server 200 provid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100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a at a first point of view. The server 200 sets the second camera as the current camera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n transmits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second camera, which was in standby, photographs the main body 102 based on the viewpoint change control signal and provides an image.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provides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meras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2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may provide a 3D image to the user as an internal image to the user terminal 300 by synthesizing the image of the first position and the image of the second position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amera photographs the main body 102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rane game machine 100 provid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t the first position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provid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a at a first point of view. Then,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o the crane game machine (100). The controller 109 controls the camera unit moving unit to move the camera based on the camera unit control signal. The camera provides the image captured at the moved second location to the server 200. The server 200 provid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rane game machine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n internal image 400b of a second viewpoint. The image is provided even while the camera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user can watc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viewpoint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Claims (7)

내부에 상품이 수용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를 촬영하여 내부이미지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마련되는 카메라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품을 집은 후 상기 상품을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스코어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상품이동부;
상기 스코어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상품이 상기 스코어지점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외부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상품이동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이동부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기 내부이미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이동부는,
전력송신수단을 포함하고, 크레인유닛을 본체 상부에서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닛; 및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전력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품을 집는 동작을 수행하는 크레인유닛을 포함하는 크레인게임기.
A main body in which the product is accommodated;
A camera unit provided with at least on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body to generate an internal image;
A product mov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oduct to a score poin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fter picking up the product;
A sensor unit installed at the score point to detect whether the product passes the score point;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product moving unit based on the product moving unit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internal image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to a server,
The product moving unit,
A moving unit compris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configured to move the crane unit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to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A crane game machine comprising a battery and a power receiving means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and a crane unit that performs an operation to pick up a product by using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batte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송신수단이 상기 크레인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이 소정거리 이내에 있을 때 상기 전력수신수단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전력송신수단을 제어하는 크레인게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crane game machine for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to provide power to the power receiving means when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crane unit and the mobile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송신수단에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이 소정거리 이내에 있을 때 상기 전력송신수단과 상기 전력수신수단이 연장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길이조절부를 제어하는 크레인게임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length,
When the crane unit and the mobile unit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ngth adjustment unit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power receiving unit are extended and coupl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송신수단은 상기 전력수신수단과 유선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크레인게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a crane game machine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in a wired state with the power receiving mean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수신수단은 상기 전력송신수단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력수신수단은 상기 전력송신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자기장의 변화를 전기장의 변화로 유도하여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코일부; 및
생선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화하여 상기 전력을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크레인게임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power receiving means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wirelessly from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The power receiving means includes a coil unit for generating an AC current by inducing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sensed by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nto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nd
A crane game machine comprising a rectifier for providing the electric power by changing the generated AC current into a DC curr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유닛은, 상기 크레인유닛을 상기 본체 내부에서 비행시키기 위한 비행수단을 포함하는 크레인게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rane unit is a crane game machine comprising a flying means for flying the crane unit inside th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유닛에 상기 카메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게임기.
The method of claim 1,
Crane game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is provided in the crane unit.
KR1020190055401A 2019-05-13 2019-05-13 Crane Game Apparatus KR102239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01A KR102239988B1 (en) 2019-05-13 2019-05-13 Crane Gam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01A KR102239988B1 (en) 2019-05-13 2019-05-13 Crane Gam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04A true KR20200130904A (en) 2020-11-23
KR102239988B1 KR102239988B1 (en) 2021-04-13

Family

ID=7368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401A KR102239988B1 (en) 2019-05-13 2019-05-13 Crane Gam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98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719A (en) * 2004-04-20 2005-11-04 Taito Corp Prize, game machine, and game system
KR20110014646A (en) 2009-06-23 2011-02-11 파나소닉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KR20140064325A (en) * 2012-11-20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ceiver
KR101961072B1 (en) * 2018-11-12 2019-03-21 김현기 Online crane game apparatus and crane game system
KR20190046197A (en) * 2017-10-25 2019-05-07 김규천 Crane game machine using dr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4719A (en) * 2004-04-20 2005-11-04 Taito Corp Prize, game machine, and game system
KR20110014646A (en) 2009-06-23 2011-02-11 파나소닉 주식회사 Plasma display panel
KR20140064325A (en) * 2012-11-20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ceiver
KR20190046197A (en) * 2017-10-25 2019-05-07 김규천 Crane game machine using drone
KR101961072B1 (en) * 2018-11-12 2019-03-21 김현기 Online crane game apparatus and crane gam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988B1 (en)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8286B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ccording to location type and method of transmitting wireless power
US11178334B2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1669265B (en) Charging display system
US896348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97497B1 (en) Mobile terminal wireless charger
KR101929674B1 (en) Crane game apparatus, crane gam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crane game apparatus
US1172868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3348555B (en) power transmission
KR20220106075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utomatic alignment method, and charging dock
US10320228B2 (en) Power coupling device
US9749018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ransmission
KR102239988B1 (en) Crane Game Apparatus
JP6632258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8053919A1 (en) Smart user companion terminal device and usage method thereof
KR101937629B1 (en) Crane game apparatus, crane gam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crane game apparatus
CN205584411U (en) Multimode expansion controller
CN207704176U (en) A kind of shooting tripod head of wireless charging, shooting tripod head renting device and system
JP6141175B2 (en) Electronics
KR20200116643A (en) Hair roll for wireless charging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JP2014003790A (en) Charging unit and control program of the same
KR102347219B1 (en) Wireless magnetic resonant power transfer device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CN109038847A (en) A kind of wireless charg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CN205568197U (en) Backpack
TWM382667U (en) Portable wireless moniotring system
CN110770995A (en) Wireless charging and dis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