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905A -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905A
KR20200129905A KR1020190055000A KR20190055000A KR20200129905A KR 20200129905 A KR20200129905 A KR 20200129905A KR 1020190055000 A KR1020190055000 A KR 1020190055000A KR 20190055000 A KR20190055000 A KR 20190055000A KR 20200129905 A KR20200129905 A KR 20200129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torage
refrigerator
tray
draw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호
양창완
최원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5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905A/ko
Publication of KR2020012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서랍 조립체는, 서랍, 수납용기 및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용기들은 서랍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되거나 트레이를 인출할 때 일괄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용기들은 서랍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되거나 트레이를 인출할 때 일괄적으로 인출됨으로써, 냉장고 서랍에서 복수의 수납용기를 일일이 꺼내고 다시 일일이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RAWER ASSEMBLY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서 수납실을 형성하는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refrigerator)는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저온으로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 내부에는 서랍칸이 구비될 수 있다. 서랍칸은 냉장고 내부에서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다른 물품과 구분하여 보관할 용기들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4042호에는 슬라이드 인출형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4042호는, 본체, 사절부 및 도어를 포함하되,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인출형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4042호는, 인출형 도어를 수납공간부로부터 인출시키고, 인출형 도어에 수납된 반찬용기의 뚜껑을 열고 바로 식사를 할 수 있다. 즉,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4042호는, 사용자가 냉장고 옆에 붙어서 식사를 하면, 인출형 도어에서 일일이 반찬용기를 꺼낸 후 다시 수납해야 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비좁은 가정집 주방에서 냉장고 측면에 여유공간을 두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그리고 복수의 반찬용기에 반찬을 담거나 설거지, 냉장고 청소 등을 하려면, 복수의 반찬용기를 일일이 꺼낸 후 다시 일일이 수납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주방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빌트인 가전(built-in home appliances)이 선호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주방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반찬용기를 일일이 꺼낸 후 다시 일일이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한편, 냉장고에서 인출된 복수의 반찬용기를 식탁에 올려놓으면, 식탁의 열에너지는 반찬용기의 밑면을 통해 반찬용기 하부로 빠르게 이동한다. 반찬용기의 빠른 온도상승은 반찬의 신선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냉장고의 서랍칸에 수납된 반찬용기는 서랍칸과 접촉하고 있는 밑면부터 냉각된다. 반찬용기는 하루에도 몇 번씩 꺼내지고 다시 수납되는 냉장고 보관물품이다. 따라서, 반찬용기의 하부는 하루에도 몇 번씩 급격한 온도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반찬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식의 신선도는 하부부터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94042호 (공개일: 2013.08.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냉장고 서랍에서 복수의 수납용기를 일일이 꺼내고 다시 일일이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서랍에서 수납용기를 꺼내고 다시 수납하는 과정에서 수납용기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급격한 온도상승 및 하강이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여 수납용기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는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냉장고 서랍을 연 상태에서 복수의 수납용기를 일거에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복수의 수납용기를 꺼내고 다시 수납해야 하는 시간이 최소화되는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냉장고 서랍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복수의 수납용기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여 수납용기의 수납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서랍조립체는, 서랍 및 복수의 수납용기를 개별적으로 수납하는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은 상기 수납실을 형성하고, 위쪽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서랍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납용기는 상기 트레이에 개별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들은 상기 서랍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트레이를 인출할 때 일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은, 한 쌍의 측벽부와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상기 수납실의 양쪽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수납실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수평패널 및 안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패널에는 상기 수납용기들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수평패널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들은 상기 바닥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패널에 안착된 상기 수납용기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패널에는 상기 수납용기가 아래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용기의 상단부는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납용기와 상기 수평패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재의 하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안착홈은 삽입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파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서랍조립체, 바디 및 서랍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서랍조립체가 내부에 설치되고, 앞쪽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서랍칸은 상기 서랍조립체의 아래에 주수납실을 형성하고, 위쪽으로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용기들은 서랍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되거나 트레이를 인출할 때 일괄적으로 인출됨으로써, 냉장고 서랍에서 복수의 수납용기를 일일이 꺼내고 다시 일일이 수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착부재가 측벽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납용기들이 바닥부와 이격되고, 지지부재가 평면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납용기들이 평면상에서 이격됨으로써, 서랍에서 수납용기를 꺼내고 다시 수납하는 과정에서 수납용기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급격한 온도상승 및 하강이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여 수납용기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착부재는 측벽부와 이격된 파지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냉장고 서랍을 연 상태에서 복수의 수납용기를 일거에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복수의 수납용기를 꺼내고 다시 수납해야 하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가 안착홈에 삽입되면 서랍과 트레이의 수평방향 상대이동이 차단됨으로써, 냉장고 서랍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복수의 수납용기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여 수납용기의 수납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조립체가 바디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서랍조립체가 바디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서랍조립체가 바디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서랍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랍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서랍조립체의 트레이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트레이의 용기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서랍조립체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트레이가 평면상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조립체가 바디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서랍조립체가 바디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서랍조립체가 바디에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서랍식 냉장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주방 가구와 조화를 이루는 빌트인 가전(built-in home appliances)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서랍조립체(10), 바디(20) 및 서랍칸(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앞쪽'은 서랍칸(30)이 열리는 방향을 의미하고, '뒤쪽'은 서랍칸(30)이 닫히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디(20)는 저온의 내부공간(20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앞쪽으로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20)에는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가 설치되어 저온의 내부공간(20A)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칸(30)은 주수납실(30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위쪽으로 개구된 서랍형태를 형성한다. 서랍칸(30)은 도어패널(31), 측면패널(32), 바닥패널(33) 및 후면패널(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어패널(31), 측면패널(32), 바닥패널(33) 및 후면패널(34)은 위쪽으로 개구된 주수납실(30A)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주수납실(30A)에 각종 식재료들을 보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패널(31)의 상단부를 잡고 서랍칸(30)을 앞으로 당겨 열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05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 바디(20)의 내측 옆면과 측면패널(32)의 외측 옆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되어 서랍칸(30)의 인출 및 인입을 안내할 수 있다.
서랍칸(30)의 아래에는 하부서랍칸(40)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서랍칸(40)은 독립된 부수납실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서랍칸(40)은 서랍칸(30)과 마찬가지로 위쪽으로 개구된 서랍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부서랍칸(40)의 도어패널(41) 상단부를 잡고 하부서랍칸(40)을 앞으로 당겨 열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서랍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서랍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서랍조립체의 트레이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조립체(10)는 서랍(100), 수납용기(200) 및 트레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00)은 수납실(100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위쪽으로 개구된 서랍형태를 형성한다. 서랍(100)은 전면패널(110), 한 쌍의 측벽부(120), 바닥부(130), 후벽부(140) 및 손잡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패널(110), 한 쌍의 측벽부(120), 바닥부(130) 및 후벽부(140)는 위쪽으로 개구된 수납실(100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측벽부(120)는 수납실(100A)의 양쪽 측면을 형성한다. 바닥부(130)는 수납실(100A)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후벽부(140)는 수납실(100A)의 후면을 형성한다. 한 쌍의 측벽부(120), 바닥부(130) 및 후벽부(14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측벽부(120)의 상부에는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전면패널(110)은 수납실(100A)의 전면을 형성한다. 전면패널(110)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면패널(110)의 아래에 구비된 손잡이(150)를 잡고 서랍(100)을 앞으로 당겨 열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05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 바디(20)의 내측 옆면과 측벽부(120)의 외측 옆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되어 서랍(100)의 인출 및 인입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00)은 주수납실(30A)의 위쪽에 수납실(100A)을 형성한다. 서랍(100)은 바디(20)의 내부공간(20A) 위쪽에서 수납실(100A)을 형성하고, 서랍칸(30)은 바디(20)의 내부공간(20A) 아래쪽에서 주수납실(30A)을 형성한다.
서랍칸(30)을 닫으면, 도어패널(31)은 바디(20)의 개구를 완전히 덮는다. 따라서, 서랍(100)을 열기 위해서는 먼저 서랍칸(30)을 열어야 한다.
도 7은 도 5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트레이의 용기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용기(200)는 음식, 식재료를 저장하는 용기로서, 수납실(100A)에 수납된다. 수납용기(200)는 몸체(210)와 뚜껑(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10)는 상단에 개구를 형성한다. 뚜껑(220)은 몸체(210)의 개구를 덮는다. 몸체(210)의 상단부에는 단턱부(211)가 형성된다. 단턱부(211)는 몸체(210)의 상단부에서 몸체(2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형성한다.
도 9는 도 8의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0)는 수납용기(200)들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서랍(100)에 수납된다. 트레이(300)는 수평패널(310), 안착부재(320), 지지부재(330) 및 가이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패널(310)은 수납용기(200)들이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평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수평패널(310)은 금속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수평패널(31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변형이 억제되도록 각각 아래쪽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패널(310)에는 수납용기(200)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311)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수납용기(200)들을 각각 삽입홀(311)에 삽입하면, 몸체(210)는 단턱부(211)를 통해 삽입홀(311)의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311)의 가장자리에는 수납용기(200)와 수평패널(310)을 서로 이격시키는 가이드(34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340)는 삽입홀(3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수납용기(200)와 수평패널(310)을 서로 이격시킨다.
가이드(340)는 삽입홀(311)의 모서리 부분에 의한 수납용기(200)의 긁힘을 방지한다. 가이드(34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320)는 측벽부(120)에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수평패널(310)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형성된다.
안착부재(320)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패널(3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재(3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안착부재(320)에는 살빼기 리브(320R)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320)에는 측벽과 이격되는 파지공간(300A)이 형성된다. 트레이(300)가 측벽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지공간(300A)에 손가락을 넣고 안착부재(320)를 들 수 있다. 안착부재(320)에는 사용자의 손이 수평패널(310)의 모서리에 닿지 않도록 단턱(320T)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30)는 평면상(S)으로부터 수납용기(200)들을 이격시키는 구성으로서, 수평패널(310)의 서로 반대쪽에 각각 형성된다. 지지부재(330)는 안착부재(32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지지부재(330)는 안착부재(3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납용기(200)들을 트레이(300)에 안착시키고 나서, 트레이(300)를 한 쌍의 측벽부(1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0)의 상부에는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재(320)의 하부에는 안착홈(321)이 형성된다.
돌출부(121)는, 트레이(300)가 측벽부(120)에 안착될 때 안착홈(321)에 삽입된다. 돌출부(121)가 안착홈(321)에 삽입되면, 트레이(300)가 측벽부(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서랍(100)과 트레이(300)의 수평방향 상대이동이 차단된다.
도 2는 서랍(100)이 바디(20)에서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서랍(100)을 바디(20)로부터 인출하고 나서, 트레이(300)를 한 쌍의 측벽부(120)에 안착시키거나 한 쌍의 측벽부(120)에서 위쪽으로 빼낼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반찬용기에 반찬을 담거나 설거지, 냉장고 청소 등을 하려면, 복수의 반찬용기를 일일이 꺼낸 후 다시 일일이 수납할 수밖에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조립체(10)는, 사용자는 수납용기(200)들을 트레이(300)에 안착시키고 나서, 트레이(300)를 서랍(100)에 수납하거나 서랍(100)에서 인출함으로써, 복수의 수납용기(200)들을 일괄적으로 서랍(100)에 수납하거나 서랍(100)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수납용기(200)를 서랍(10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4의 서랍조립체의 정면 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트레이가 평면상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0)가 서랍(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용기(200)들은 바닥부(130)와 이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쌍의 측벽부(120)에 안착된 트레이(300)를 들고, 트레이(300)를 평면상(S)에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평면상(S)'은 식탁, 조리대의 상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트레이(300)는 지지부재(330)를 통해 서랍(100)의 외부에서 평면상(S)에 안착된다. 지지부재(330)가 평면상(S)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납용기(200)들과 안착부재(320)들은 평면상(S)에서 이격된다.
종래에는 냉장고에서 인출된 복수의 반찬용기를 식탁에 올려놓으면, 식탁의 열에너지는 반찬용기의 밑면을 통해 반찬용기 하부로 빠르게 이동한다. 반찬용기의 빠른 온도상승은 반찬의 신선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냉장고의 서랍칸에 수납된 반찬용기는 서랍칸과 접촉하고 있는 밑면부터 냉각된다. 반찬용기는 하루에도 몇 번씩 꺼내지고 다시 수납되는 냉장고 보관물품이다. 따라서, 반찬용기의 하부는 하루에도 몇 번씩 급격한 온도상승과 하강을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반찬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식의 신선도는 하부부터 빠르게 감소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0)가 서랍(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용기(200)들은 바닥부(130)와 이격된다. 그리고 트레이(300)가 서랍(100)의 외부에서 평면상(S)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납용기(200)들은 평면상(S)과 이격된다. 수납용기(200)는 몸체(210)의 단턱부(211)에서 가이드(340)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용기(200)들은 트레이(3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주로 공기와의 열전달에 의존해서 온도가 변화하게 된다. 고체와 기체 간 열전달은 고체와 고체 간 열전달보다 충분히 느리다. 따라서, 수납용기(200)가 냉장고(1) 바깥으로 빈번하게 인출되더라도 수납용기(200)에 저장된 음식 및 식재료의 온도변화폭은 작다.
또한, 수납용기(200)와 공기 간 열전달은 수납용기(200)의 바깥면 전체에서 균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조립체(10)는, 수납용기(200) 내부에 저장된 음식 및 식재료의 신선도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서랍조립체
100 : 서랍 300 : 트레이
100A : 수납실 300A : 이격공간
110 : 전면패널 310 : 수평패널
120 : 측벽부 311 : 삽입홀
121 : 돌출부 320 : 안착부재
130 : 바닥부 321 : 안착홈
140 : 후벽부 320R : 리브
150 : 손잡이 320T : 단턱
200 : 수납용기 330 : 지지부재
210 : 몸체 340 : 가이드
211 : 단턱부 S : 평면상
220 : 뚜껑
20 : 바디 30 : 서랍칸
20A : 내부공간 31 : 도어패널
40 : 하부서랍 30A : 주수납실
41 : 도어패널

Claims (8)

  1. 냉장고에서 수납실을 형성하는 서랍조립체로서,
    상기 수납실을 형성하고, 위쪽으로 개구된 서랍;
    상기 서랍에 수납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개별적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들은 상기 서랍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트레이를 인출할 때 일괄적으로 인출되는, 서랍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은,
    상기 수납실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수납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수납용기들이 안착되는 수평패널; 및
    상기 수평패널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안착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들은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는, 서랍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안착부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패널에 안착된 상기 수납용기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서랍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널에는 상기 수납용기가 아래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용기의 상단부는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서랍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납용기와 상기 수평패널을 서로 이격시키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서랍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재의 하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안착홈이 삽입결합되는, 서랍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서랍조립체.
  8. 제1항의 서랍조립체;
    상기 서랍조립체가 내부에 설치되고, 앞쪽으로 개구된 바디; 및
    상기 서랍조립체의 아래에 주수납실을 형성하고, 위쪽으로 개구된 서랍칸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055000A 2019-05-10 2019-05-10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129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00A KR20200129905A (ko) 2019-05-10 2019-05-10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00A KR20200129905A (ko) 2019-05-10 2019-05-10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905A true KR20200129905A (ko) 2020-11-18

Family

ID=7369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000A KR20200129905A (ko) 2019-05-10 2019-05-10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9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042A (ko) 2012-02-15 2013-08-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인출형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042A (ko) 2012-02-15 2013-08-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인출형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974B2 (en) Refrigerator with storage bin
US6729704B2 (en) Removable glass encapsulated shelves
US10151525B2 (en) Harvest bin assembly
EP2594877A2 (en) Refrigerator
KR20100137377A (ko) 냉장고
KR101210801B1 (ko) 냉장고 서랍의 소음 저감구조
US20160131416A1 (en) Liner shelf support structures for refrigerators and freezers
EP2401569B1 (en) Basket kick-out
WO2008015181A2 (en) A refrigerator
KR20200129905A (ko) 서랍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8832809U (zh) 大容量存储冰箱
KR20170126575A (ko) 냉장고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101803625B1 (ko) 냉장고
KR200454654Y1 (ko) 바스킷서랍을 갖는 테이블냉장고
KR100782183B1 (ko) 냉장고 이중서랍
US20210310722A1 (en) Refrigerator
KR20080026389A (ko) 냉장고용 에그트레이 키트
US20220316793A1 (en) Crisper assembly with slide out shelf
KR100471105B1 (ko) 냉장고
US11852401B2 (en) Adjustable shelf assembly
CN217031785U (zh) 储物装置及安装有其的冰箱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CN209783082U (zh) 家用制冷器具
KR100271583B1 (ko) 냉장고의슬라이딩포켓을지니는도어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