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683A -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683A
KR20200129683A KR1020190054461A KR20190054461A KR20200129683A KR 20200129683 A KR20200129683 A KR 20200129683A KR 1020190054461 A KR1020190054461 A KR 1020190054461A KR 20190054461 A KR20190054461 A KR 20190054461A KR 20200129683 A KR20200129683 A KR 20200129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plasma
air
hous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진
Original Assignee
황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진 filed Critical 황원진
Priority to KR102019005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683A/ko
Publication of KR2020012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F24F2003/1671
    • F24F2003/168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로 공기를 송출하는 제1브로워와,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의 끝단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실내의 공기를 빨아당기는 제2브로워와, 상기 제2브로워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정제하는 오존정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실내에 존재하는 병균 등을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오존으로 살균 및 멸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살균 및 멸균 뒤에 잔존하는 오존을 회수 및 정제할 수 있으며, 오존이 회수 및 정제된 공기를 실내에 다시 제공함으로써 30분이 넘지 않는 시간 내에 인체에 무해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Indoor disinfecting device using plasma}
본 발명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존재하는 병균 등을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오존으로 살균 및 멸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살균 및 멸균 뒤에 잔존하는 오존을 회수 및 정제할 수 있으며, 오존이 회수 및 정제된 공기를 실내에 다시 제공함으로써 30분이 넘지 않는 시간 내에 인체에 무해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병원이나 요양병원 등의 병실에는 각종의 병원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병원균이나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단시간 내에 살균 및 멸균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장치는 고가이거나 적당한 살균 및 멸균 장치가 없다고 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한편, 실내에 오존을 이용한 살균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2158호(이하 "종래 개시기술"이라고 한다)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개시기술은 일정한 농도 이상이 실내에 존재하면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회수 및 정제하는 구성이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인체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개시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의 가격이 비싸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에 존재하는 병균 등을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오존으로 살균 및 멸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살균 및 멸균 뒤에 잔존하는 오존을 회수 및 정제할 수 있으며, 오존이 회수 및 정제된 공기를 실내에 다시 제공함으로써 30분이 넘지 않는 시간 내에 인체에 무해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은,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내재되며,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로 공기를 송출하는 제1브로워와,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의 끝단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실내의 공기를 빨아당기는 제2브로워와, 상기 제2브로워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정제하는 오존정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서, 상기 오존정제부재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열이 제공되는 열제공부를 가져서 열로 일차적으로 오존을 정제하는 제1차정제부재와, 상기 제1차정제부재의 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경로가 휘어지는 원호부를 가져서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굴곡부재와, 상기 굴곡부재의 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오존을 정제하는 촉매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2차정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서, 상기 열제공부는 파이프 외주에 결합되는 밴드히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 의하면, 실내에 존재하는 병균 등을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된 오존으로 살균 및 멸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살균 및 멸균 뒤에 잔존하는 오존을 회수 및 정제할 수 있으며, 오존이 회수 및 정제된 공기를 실내에 다시 제공함으로써 30분이 넘지 않는 시간 내에 인체에 무해한 공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서 오존정제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에서 오존정제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200)는, 하우징(110)과, 플라즈마발생부재(120)와, 제1브로워(130)와, 제2브로워(140)와, 오존정제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유입구(112) 및 유출구(114)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내재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브로워(130)는 상기 하우징(110)에 내재되며,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로 공기를 송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의 끝단은 상기 유출구(114)와 연통된다.
상기 제2브로워(140)는 상기 유입구(112)와 연통되며, 실내의 공기를 빨아당기는 것이다.
상기 오존정제부재(100)는 상기 제2브로워(140)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정제하는 것이다.
상기 오존정제부재(100)는, 제1차정제부재(30)와, 굴곡부재(40)와, 제2차정제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차정제부재(30)는 상기 유입구(112)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열이 제공되는 열제공부(32)를 가져서 열로 일차적으로 오존을 정제하는 것이다.
상기 굴곡부재(40)는 상기 제1차정제부재(30)의 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경로가 휘어지는 원호부(42)를 가져서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차정제부재(50)는 상기 굴곡부재(40)의 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오존을 정제하는 촉매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출구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제공부(32)는 파이프 외주에 결합되는 밴드히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제1브로워(130)를 통해서 공기를 유입하고, 이를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되며, 이 플라즈마는 공기 속의 산소(O2)를 오존(O3)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에서 발생된 오존은 상기 유출구(114)를 통해서 유동되고 실내의 세균이나 병원균 등을 멸균 및 탈취를 한다.
이어서, 이렇게 실내의 세균이나 병원균을 멸균 및 탈취를 한 후에는 실내에 남아있는 오존을 정제하여야 한다. 실내의 오존을 정제하여 오존의 농도를 정해진 규정 농도 이하로 강하시켜야 인체나 동물에게 해롭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브로워(140)를 작동시켜 실내의 공기를 빨아당긴다.
그러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입이 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차정제부재(30)로 유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1차정제부재(30)에 포함된 밴드히터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상기 공기중에 포함된 오존이 일차적으로 정제가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1차정제부재(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굴곡부재(4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굴곡부재(40)에서 공기의 유속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렇게 유속이 급격히 감속된 공기는 상기 제2차정제부재(50)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차정제부재(50)에 포함된 오존 정제 촉매제에 의해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오존이 다시 이차적으로 정제가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굴곡부재(40)가 3개가 존재하며, 상기 제2차정제부재(50)는 2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굴곡부재(40)의 갯수나 제2차정제부재(5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1차정제부재(30)와, 굴곡부재(40)와, 제2차정제부재(50)를 통과하면서 공기 속에 포함된 오존은 완전히 정제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유동된다.
그러면 인체나 동물에게 그 공기가 접촉되어도 전혀 해롭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30. 제1차정제부재 32. 열제공부
40. 굴곡부재 42. 원호부
50. 제2차정제부재 100. 오존정제부재
110. 하우징 112. 유입구
114. 유출구
120. 플라즈마발생부재 130. 제1브로워
140. 제2브로워

Claims (3)

  1. 유입구(112) 및 유출구(114)를 가지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내재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재(120);
    상기 하우징(110)에 내재되며,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로 공기를 송출하는 제1브로워(130);
    상기 플라즈마발생부재(120)의 끝단은 상기 유출구(114)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112)와 연통되며, 실내의 공기를 빨아당기는 제2브로워(140);
    상기 제2브로워(140)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동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정제하는 오존정제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정제부재(100)는,
    상기 유입구(112)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열이 제공되는 열제공부(32)를 가져서 열로 일차적으로 오존을 정제하는 제1차정제부재(30)와,
    상기 제1차정제부재(30)의 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경로가 휘어지는 원호부(42)를 가져서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굴곡부재(40);
    상기 굴곡부재(40)의 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오존을 정제하는 촉매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출구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2차정제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제공부(32)는 파이프 외주에 결합되는 밴드히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KR1020190054461A 2019-05-09 2019-05-09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KR20200129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61A KR20200129683A (ko) 2019-05-09 2019-05-09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61A KR20200129683A (ko) 2019-05-09 2019-05-09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83A true KR20200129683A (ko) 2020-11-18

Family

ID=7369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461A KR20200129683A (ko) 2019-05-09 2019-05-09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6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17139T3 (es) Uso de radiación germicida ultravioleta en ambientes sanitarios
CN106016478A (zh) 负压空气净化消毒机
US20120118150A1 (en) Ai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11466642A (zh) 杀菌消毒口罩装置
CN113757861A (zh) 一种发热门诊室感染防控系统
WO2002065972A3 (de) Verfahren zur desinfektion von frischluft, luftdesinfektionsmodul, cpap-gerät, luftbefeuchter, beatmungsgerät, blitzlampe sowie gasentladungslampe
CN109771687A (zh) 一种传染病预防用飞沫气体消毒装置
CN204072871U (zh) 一种新型传染病防治装置
CN205252138U (zh) 电梯用uvled杀菌消毒器
US20200338297A1 (en) Ventilator
KR20200129683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멸균 소독장치
CN205980022U (zh) 负压空气净化消毒机
CN212157472U (zh) 空气净化装置
KR200337042Y1 (ko) 공기정화기용 자외선살균필터
CN111450300A (zh) 一种呼出空气即时消毒方法与系统结构
CN205339648U (zh) 一种结核病防治用杀菌消毒器
CN213407150U (zh) 一种运用等离子技术的空气消毒设备
CN205095064U (zh) 新型空气消毒装置
KR20090128363A (ko) 살균공기정화기
CN212393954U (zh) 杀菌消毒口罩装置
JP2003205000A (ja) 排便介護用臭気吸引浄化装置
CN203123102U (zh) 牙科床辅助等离子体消毒机
CN204744750U (zh) 一种应用于传染科病员床上的排风排气装置
CN218763840U (zh) 一种移动式空气消毒器
JP3242439U (ja) 殺菌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