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482A - Headup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dup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482A
KR20200129482A KR1020190053941A KR20190053941A KR20200129482A KR 20200129482 A KR20200129482 A KR 20200129482A KR 1020190053941 A KR1020190053941 A KR 1020190053941A KR 20190053941 A KR20190053941 A KR 20190053941A KR 20200129482 A KR20200129482 A KR 20200129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unit
link
display devic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482A/en
Priority to US16/851,721 priority patent/US11320654B2/en
Publication of KR2020012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capable of finely adjusting a tilting angle of a mirror unit, comprising: a mirror unit reflecting an image irradiated from a display unit; a support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rror unit;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a mirror link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irror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and rotating the mirr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UP DISPLAY APPARATUS}Head-up display device {HEADUP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러부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up display device capable of finely adjusting a tilting angle of a mirror unit.

일반적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는 운전자의 가시 영역 내(전방 윈도우)에 가상 화상을 투영한다. 운전자는 주행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주행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In general, a head-up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side an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The head-up display device projects a virtual image in the driver's visible area (front window). The driver can directly check the driving information while looking ahead.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미러부를 포함한다. The head-up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mirror unit.

미러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미러부에 구동부가 설치된다. A driving unit is installed in the mirror unit to adjust the angle of the mirror unit.

미러부는 링크부에 의해 피동력 전달부에 연결된다.The mirro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driven force transmission portion by a link portion.

그러나,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링크부가 피동력 전달부와 점접촉되도록 설치되므로, 차량의 진동, 가속도 및 마찰 등에 의해 하중이 점접촉 부위에 집중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ead-up display device, since the link portion is installed to be in point contact with the driven force transmission portion,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point contact portion due to vibration, acceleration and friction of the vehicle.

따라서, 링크의 점접촉 부위가 마모 및 형상 변경이 상대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구동 정밀도가 저하되면, 광학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oint contact portion of the link is relatively increased in wear and shape change, the driving precision is lowered, which may lead to a decrease in optical performance.

또한, 구동부는 리드스크류와 스텝모터에 의해 미러부를 회전시키므로, 리드스크류의 피치와 스텝모터의 회전각 정밀도에 의해 분해능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mirror unit by the leadscrew and the step motor,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resolution by the pitch of the leadscrew and the rotation angle accuracy of the step motor.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0730호(2011. 02. 07 공개, 발명의 명칭: 동력 전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1-0010730 (published on Feb. 7, 2011, title of the invention: 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미러부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head-up display device capable of finely adjusting a tilting angle of a mirror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휠; 및 일단은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미러 링크부;를 포함한다.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rror unit that reflects an image irradiated from the display unit; A support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rror part;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support;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a mirror link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irror unit,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and rotating the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상기 미러부는, 상기 미러부의 회전축 상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미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러 서포트;를 포함한다.The mirror unit may include a hinge unit protru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surfaces on the rotation axis of the mirror unit; And a mirror support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hinge portions to rotatably support the mirror portion.

상기 구동휠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휠몸체부; 상기 휠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미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러 링크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를 포함한다.The drive wheel is formed in a disk shape, the wheel body coupled to the drive motor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 guid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body portion; And a slid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guide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irror portion is disposed and slidably coupled to the mirror link portion.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를 포함한다.The sliding protrusion includes a groove por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미러 링크부는, 상기 미러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링크 레버부; 및 상기 링크 레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가 관통되는 링크 슬롯부;를 포함한다.The mirror link portion may include a link lever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irror portion; And a link slot portion formed on the link lever portion through which the sliding protrusion portion passes.

상기 링크 슬롯부의 내경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외경보다 작다.The inner diameter of the link slo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liding projection.

상기 구동휠은, 상기 링크 슬롯부를 관통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한다.The driving wheel further includes a fixed ring coupled to an end of the sliding protrusion passing through the link slot.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레버부가 상기 링크 슬롯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미러부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And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irror unit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for pulling the mirror unit downward so that the link lever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k slot unit.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And a switch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to detec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미러 링크부가 초기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링크 레버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The switch unit is installed to contact the link lever unit when the mirror link unit reaches an initial position.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drive motor to detec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irror link.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모터가 스텝모터(STEP MOTOR)를 적용함으로써, 모터내부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미러부의 분해능(RESOLVING POWER)이 향상될 수 있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탑승자의 키에 따라 미러부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tor applies a step motor, so that the resolving power of the mirror unit can be improved by the gear reduction ratio inside the motor, and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is improved. It can be improved, and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finely adjust the tilting angle of the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assenger.

그리고, 구동모터가 지지부에 설치된 상태로 구동휠과 결합하여 구동휠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휠의 회전 시, 구동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미러 링크부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driving wheel by rotating the driving wheel while the driving moto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ing wheel from shaking when the driving wheel rotates,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link unit as the driving wheel is prevented from shaking.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trol accurately.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돌기부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돌기부에 미러 링크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돌기부가 미러 링크부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돌기부가 홈부에 의해 옴므려져 미러 링크부를 구동휠에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돌기부와 미러 링크부의 조립 후, 홈부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의 단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미러 링크부가 슬라이딩 돌기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uch a sliding protrusion has a groove por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its end, so that when the slid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irror link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mirror link to the sliding protrusion, the sliding protrusion is constricted by the groove It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driving wheel, and after assembling the sliding protrusion and the mirror link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irror link un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sliding protrusion due to the elastic force that the end of the sliding protrusion is about to open by the groove.

아울러, 탄성부재는 슬라이딩 돌기부가 링크 슬롯부에 밀착되도록 미러부를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구동휠의 회전 시, 슬라이딩 돌기부가 링크 슬롯부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미러부의 회전 각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미러부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irror unit downward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k slot, so that when the driving wheel rotate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sliding protrus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mirror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error in the rotation angle, and si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wheel is accurately controll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unit can be accurately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 rotational state of a mirr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Meanwhil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lan view showing a plan view of a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and FIGS. 6A and 6B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 rotational state of a mirr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부(100)와 지지부(200)와 구동모터(300)와 구동휠(400) 및 미러 링크부(500)를 포함한다.1 to 6B, the head-u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irror unit 100, a support unit 200, a driving motor 300, a driving wheel 400, and a mirror link unit 500. do.

미러부(100)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것으로서, 비구면 미러이다.The mirror unit 100 reflects an image irradiated from the display unit, and is an aspherical mirror.

이러한 미러부(100)는 미러 힌지부(110) 및 미러 서포트(120)를 포함한다.The mirror unit 100 includes a mirror hinge unit 110 and a mirror support 120.

미러 힌지부(110)는 미러부(100)의 회전축(310) 상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The mirror hinge portion 110 protrudes outwardly from both side surfaces on the rotation shaft 310 of the mirror portion 100.

그리고, 미러 서포트(120)는 한 쌍의 미러 힌지부(1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미러부(1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In addition, the mirror support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mirror hinge portions 110, respectively, to rotatably support the mirror portion 100.

이러한 미러 서포트(120)에는 미러 힌지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미러 힌지홀(미도시)이 형성된다. A mirror hinge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mirror support 120 so that the mirror hinge portion 110 is rotatably inserted.

지지부(200)는 미러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미러부(100)의 일측에 돌출된 미러 힌지부(110) 근처에 설치된다.The support par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rror part 100 and is installed near the mirror hinge part 11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irror part 100.

이러한 지지부(200)는 미러부(100) 및 구동모터(300) 등을 지지한다.The support part 200 supports the mirror part 100 and the driving motor 300.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텝모터(STEP MOTOR)를 적용할 수 있다. The drive motor 3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200, and preferably a step motor may be applied.

즉, 구동모터(300)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짐으로써, 모터내부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미러부(100)의 분해능(RESOLVING POWER)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drive motor 300 is made of a step motor, the resolving power of the mirror unit 100 may be improved by a gear reduction ratio inside the motor.

미러부(100)의 분해능이 향상됨으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탑승자의 키에 따라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By improving the resolution of the mirror unit 100,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tilting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occupant.

그리고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에 설치된 상태로 구동휠(400)과 결합하여 구동휠(400)을 회전시킨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300 rotates the driving wheel 400 by being combined with the driving wheel 400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200.

이로 인해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구동휠(400)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휠(400)의 회전 시, 구동휠(4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400)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motor 300 rotates the driving wheel 400 in a state that is s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00, so that when the driving wheel 400 rotates, the driving wheel 400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As vibration of the driving wheel 400 is prevented,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link unit 500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구동휠(400)은 구동모터(30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모터(300)에 연결된 것으로서, 구동모터(300)를 매개로 하여 지지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driving wheel 40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300 so a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0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200 through the driving motor 300.

한편, 구동모터(300)와 구동휠(4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일방향과 타방향에 각각 배치된다.Meanwhile, the driving motor 300 and the driving wheel 400 are dispos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support part 200 as shown in FIGS. 2 and 3.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미러부(100)가 배치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구동휠(400)은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미러부(100)가 배치된 방향에 배치된다.In more detail, the driving motor 300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mirror unit 100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200, and the driving wheel 400 is the mirror unit 100 based on the support unit 200. It is placed in the placed direction.

이러한 구동휠(400)은 휠몸체부(410)와 가이드부(420) 및 슬라이딩 돌기부(430)를 포함한다.The driving wheel 400 includes a wheel body 410, a guide part 420, and a sliding protrusion 430.

휠몸체부(41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구동모터(300)의 회전축(31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The wheel body 41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10 of the driving motor 300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300.

이러한 휠몸체부(410)의 중심에는 구동모터(300)의 회전축(3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A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heel body 410 so that the rotation shaft 310 of the driving motor 300 can be coupled.

한편, 회전축(310)과 결합공은 휠몸체부(41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haft 310 and the coupling hole have a polygonal shape so that the wheel body 410 can easily rotate.

가이드부(420)는 휠몸체부(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 것으로서, 직선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guide portion 420 extend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body portion 410 in the outer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이러한 가이드부(420)는 휠몸체부(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됨으로써, 휠몸체부(410)가 회전하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한다.This guide part 420 is exten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body part 410, so that when the wheel body part 410 rotates, it rotat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420)에서 휠몸체부(41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 단부로부터 미러부(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러 링크부(50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liding protrusion 430 extend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irror unit 100 is disposed from an 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body unit 410 is disposed in the guide unit 420 formed in a bar shape, so that the mirror link unit 500 is It is slidably coupled.

이러한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431)가 형성된다.The sliding protrusion 430 has a groove portion 431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end thereof.

따라서,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미러 링크부(5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미러 링크부(500)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홈부(431)에 의해 옴므려짐으로써 미러 링크부(500)를 구동휠(400)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inserted into the mirror link 500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mirror link 500 to the sliding protrusion 430,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constricted by the groove 431 As a result, the mirror link unit 500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driving wheel 400.

또한,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미러 링크부(500)의 조립 후, 홈부(431)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가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assembling the sliding protrusion 430 and the mirror link 500, the mirror link 500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that the end of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about to open by the groove 431. Can be firmly fixed on.

미러 링크부(500)는 일단이 미러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휠(400)에 연결된 것으로서, 구동휠(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러부(100)를 회전시킨다.The mirror link unit 5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irror unit 1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400, and rotates the mirror unit 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400.

구체적으로 미러 링크부(500)는 일단에 연결된 미러 힌지부(110) 근처에서 구동모터(3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mirror link unit 50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motor 300 is disposed near the mirror hinge unit 110 connected to one end.

미러 링크부(500)는 구동모터(300)에 의한 구동휠(400)의 회전 시, 가이드부(420)의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의해 미러부(100)가 회전되도록 한다.The mirror link unit 500 allows the mirror unit 100 to rotate by the sliding protrusion 430 of the guide unit 420 when the driving wheel 400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00.

이러한 미러 링크부(500)는 링크 몸체부(510)와 링크 레버부(520) 및 링크 슬롯부(530)를 포함한다.The mirror link part 500 includes a link body part 510, a link lever part 520, and a link slot part 530.

링크 몸체부(510)는 미러부(1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미러 링크부(500)의 몸체를 이룬다.The link body portion 510 is coupled to the mirror portion 100 and forms a body of the mirror link portion 500.

링크 레버부(520)는 링크 몸체부(5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link lever part 52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link body part 510 and has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러한 링크 레버부(520)의 길이는 가이드부(420)와 나란한 상태에서 가이드부(420)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진다.The length of the link lever unit 520 is longer than the guide unit 420 in parallel with the guide unit 420.

링크 슬롯부(5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크 레버부(5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관통된다.The link slot portion 530 is formed in the link lever portion 5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sliding protrusion 430 passes through it.

이러한 링크 슬롯부(530)의 내경은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The link slot portion 530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liding protrusion 430.

이로 인해, 구동휠(400)은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홈부(431)의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ing wheel 400 may be firmly fixed to the link slot 53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groove 431 of the sliding protrusion 430 to open.

또한,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링크 슬롯부(530)가 상호 선접촉되므로, 차량의 진동, 가속도 및 마찰 등에 의해 하중이 선접촉 부위에 분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liding protrusion 430 and the link slot 530 are in lin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ad may be distributed to the line contact portion due to vibration, acceleration, and friction of the vehicle.

이로 인해, 미러 링크부(500)의 선접촉 부위가 마모 및 형상 변경 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구동 정밀도가 저하되거나 광학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by suppressing the wear and shape change of the linear contact portion of the mirror link portion 5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driving precision or a decrease in optical performance.

이러한 링크 슬롯부(530)와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400)이 반시계방향(CCW: COUNTER CLOCK WISE)으로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미러 힌지부(110)의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미러 링크부(500)에 연결된 미러부(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wheel 400 rotates counterclockwise (CCW: COUNTER CLOCK WISE), as shown in FIG. 4, the link slot 530 and the sliding protrusion 430 are It moves in one direction at 530,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protrusion 430 presses the link slot 530 upwardly to the mirror link part 500 around the rotation axis 310 of the mirror hinge part 110. The connected mirror unit 100 rotates counterclockwise.

이와 반대로 구동휠(400)이 시계방향(CC: CLOCK WISE)으로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서 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미러 힌지부(110)의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미러 링크부(500)에 연결된 미러부(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riving wheel 40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CC: CLOCK WISE), the sliding protrusion 430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from the link slot 530, and at the same time, the sliding protrusion 430 By pressing 530 downwardly, the mirror unit 100 connected to the mirror link unit 50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310 of the mirror hinge unit 110.

한편, 링크 슬롯부(530)를 관통한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에는 고정링(440)이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 fixing ring 440 may be coupled to an end of the sliding protrusion 430 passing through the link slot 530.

고정링(440)은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관통되어 링크 레버부(520)로부터 돌출되면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에 장착된다.The fixing ring 440 has a donut shape, and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sliding protrusion 430 when the sliding protrusion 430 penetrates the link slot 530 and protrudes from the link lever unit 520.

따라서 고정링(440)은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링크 슬롯부(530) 사이의 유격을 삭제함으로써, 기구적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ixing ring 440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sliding protrusion 4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ink slot 530, and by eliminating the gap between the sliding protrusion 430 and the link slot 530, mechanical It can reduce the error.

한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부(100)에 연결되고, 링크 레버부(520)가 링크 슬롯부(530)에 밀착되도록 미러부(100)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70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head-up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mirror unit 100, the elastic member 700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pulling the mirror unit 100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link lever unit 5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k slot unit 530 It includes more.

탄성부재(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100)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인장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elastic member 700 is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mirror unit 100, and a tension spring may be preferably applied.

탄성부재(700)는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밀착되도록 미러부(100)를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The elastic member 70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irror unit 100 in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k slot unit 530.

이로 인해 탄성부재(700)는 구동휠(400)의 회전 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driving wheel 400 rotates, the elastic member 700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sliding protrusion 430 and the link slot 530, resulting in an error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Can be prevented.

즉, 구동휠(400)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wheel 400 is accurately controlled,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can be accurately adjusted.

한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지지부(200)에 설치되는 스위치부(60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head-up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witch part 600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200 to detec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irror link part 500.

스위치부(600)는 구동휠(400)의 회전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가 사용환경에 따라 설정된 초기 위치(주차 모드의 위치)에 도달되면 미러 링크부(500)의 링크 레버부(520)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When the switch unit 600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position of the parking mode) se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400, the link lever unit 520 of the mirror link unit 500 ) Is installed to contact.

이러한 스위치부(600)는 구동휠(400)의 회전에 따라 링크 레버부(520)와 접촉됨으로써,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각도, 즉 미러부(100)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switch part 600 is in contact with the link lever part 52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400,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link part 500, that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part 100,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have.

구체적으로 스위치부(600)는 링크 레버부(520)와 접촉되어 Stall전류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tch unit 600 may contact the link lever unit 520 and detec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by the Stall current.

여기서 Stall전류란 모터에 부하가 걸려 모터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의 전류로서, 모터소자의 특성값이다.Here, the Stall current is a current in a state in which the motor can no longer rotate due to a load on the motor, and is a characteristic value of the motor element.

따라서, 스위치부(600)에 의해 상기 특성 전류가 검출되면 미러 링크부(500)가 정지위치인 것이 감지되어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haracteristic current is detected by the switch unit 600, it is sensed that the mirror link unit 500 is in a stop position, so th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can be detect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600)는 링크 레버부(520)가 누름부를 누름방식으로 접하여 Stoll전류가 감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600)가 스토퍼와 같은 움직이지 않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링크 레버부(520)가 접하면 링크 레버부(520)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Stall전류를 발생시켜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link lever unit 520 contacts the pressing unit in a pressing manner and detects the Stoll current, but the switch unit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made of a non-moving configuration such as a stopper, and when the link lever unit 520 contacts the link lever unit 520, the rotation of the link lever unit 520 is suppressed, thereby generating a stall current to detec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have.

한편,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미러부(100)에 태양광 등의 외부광이 집중되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인 것으로서,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주차 모드시의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is a position in which external light such as sunlight is concentrated on the mirror unit 100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unit located inside the head-up display devic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unit 500 may be set equal to or different from the position in the parking mode.

예컨대,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미러부(100)에 태양광 등의 외부광에 의한 디스플레이부 썬번(sun burn)을 방지하기 위해 미러부(100)의 틸팅각도를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is to adjust the tilt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unit in order to prevent sun burn of the display unit by external light such as sunlight. It can be set so that it is not a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스위치부(600)를 통해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미러 링크부(5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면, 회전센서(미도시) 또는 엔코더(미도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도 있으며, 회전센서 및 엔코더는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위치뿐만 아니라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cted through the switch unit 600, if the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can be detected, a rotation sensor ( Not shown) or an encoder (not shown) may be used, and the rotation sensor and the encoder can detect not only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but also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mirror link unit 500.

이외에도 미러 링크부(500)의 위치는 다양한 방식 및 다양한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500 may be detected using various methods and various sensing units.

또한, 운전자의 키 차이에 따른 눈높이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구동모터(300)의 회전각도에 따라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운전자에 적합한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generating a difference in eye level according to the driver's height difference, the sliding protrusion 430 slides from the link slot 530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motor 300, and thus the tilt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suitable for the driver. Can be finely adjusted.

예컨대 평균키의 사람을 기준으로 운전자의 키가 평균키의 사람보다 큰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방향으로 조절하고, 운전자의 키가 평균키의 사람보다 작은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상기와 반대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s height is greater than the average height of the person based on the average height, the tilting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is adjusted in the (+) direction as shown in FIG. 6A, and the driver's height is the average height. If it is smaller than the person of, as shown in FIG. 6B, the tilting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may be adjusted in the (?) direction opposite to the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모터(300)가 스텝모터(STEP MOTOR)를 적용함으로써, 모터내부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미러부(100)의 분해능(RESOLVING POWER)이 향상될 수 있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탑승자의 키에 따라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tor 300 applies a step motor, so that the resolving power of the mirror unit 100 can be improved by the gear reduction ratio inside the motor. In addition,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tilt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occupant.

그리고, 구동모터(300)가 지지부(200)에 설치된 상태로 구동휠(400)과 결합하여 구동휠(400)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휠(400)의 회전 시, 구동휠(4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400)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driving wheel 400 by combining the driving wheel 400 with the driving wheel 400 while the driving motor 3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200, the driving wheel 400 is prevented from shaking when the driving wheel 400 is rotated. It can be prevented, and as the shaking of the driving wheel 400 is prevented,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link unit 500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431)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미러 링크부(5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미러 링크부(500)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홈부(431)에 의해 옴므려져 미러 링크부(500)를 구동휠(400)에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미러 링크부(500)의 조립 후, 홈부(431)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가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protrusion 430 has a groove part 431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thereof,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a mirror link part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mirror link part 500 to the sliding protrusion 430. When inserted into 500,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constricted by the groove 431 so that the mirror link unit 500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driving wheel 400, and the sliding protrusion 430 and the mirror link unit ( After assembling 500), the mirror link part 500 may be firmly fixed to the sliding protrusion 430 by the elastic force that the end of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about to open by the groove part 431.

아울러, 탄성부재(700)는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밀착되도록 미러부(100)를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구동휠(400)의 회전 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400)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700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irror unit 100 in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sliding protrusion 4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k slot 530, so that when the driving wheel 400 rotates, the sliding protrusion 430 ) Can be suppressed from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link slots 530, can prevent an error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and accurately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wheel 400 Therefore,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unit 100 can be accurately adjusted.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미러부 110: 미러 힌지부
120: 미러 서포트 200: 지지부
300: 구동모터 310: 회전축
400: 구동휠 410: 휠몸체부
420: 가이드부 430: 슬라이딩 돌기부
431: 홈부 440: 고정링
500: 미러 링크부 510: 링크 몸체부
520: 링크 레버부 530: 링크 슬롯부
600: 스위치부 700: 탄성부재
100: mirror unit 110: mirror hinge unit
120: mirror support 200: support
300: drive motor 310: rotation shaft
400: drive wheel 410: wheel body
420: guide part 430: sliding protrusion
431: groove 440: retaining ring
500: mirror link portion 510: link body portion
520: link lever unit 530: link slot unit
600: switch unit 700: elastic member

Claims (11)

디스플레이부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휠; 및
일단은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미러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 mirror unit for reflecting an image irradiated from the display unit;
A support pa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rror part;
A drive motor installed on the support;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And a mirror link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irror unit,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and rotating the mirror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In-head-up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미러부의 회전축 상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미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러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rror unit,
Hinge port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both side surfaces on the rotation axis of the mirror portion; And
Including; mirror supports each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to support the mirror portion rotatably
In-head-up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휠몸체부;
상기 휠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미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러 링크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e wheel,
A wheel body formed in a disk shape and coupled with the driving motor to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A guid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body portion; And
And a sliding protru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irror unit is disposed from an end of the guide unit and slidably coupled to the mirror link unit.
In-head-up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liding protrusion,
Including; groove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head-up display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링크부는,
상기 미러부와 결합되는 링크 몸체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링크 레버부; 및
상기 링크 레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가 관통되는 링크 슬롯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irror link unit,
A link body portion coupled to the mirror portion;
A link lever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irror part; And
And a link slot portion formed on the link lever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sliding protrusion portion passes.
In-head-up displa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슬롯부의 내경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외경보다 작은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inner diameter of the link slo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liding protrusion
In-head-up displa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링크 슬롯부를 관통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rive wheel,
A fixing ring coupled to the end of the sliding protrusion passing through the link slot portion; further comprising
In-head-up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레버부가 상기 링크 슬롯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미러부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irror unit and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pull the mirror unit downward so that the link lever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k slot unit;
In-head-up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switch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to detec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In-head-up display devic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미러 링크부가 초기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링크 레버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witch unit,
It is installed to contact the link lever part when the mirror link part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In-head-up display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drive motor to detec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mirror link unit
In-head-up display device.
KR1020190053941A 2019-04-18 2019-05-08 Headup display apparatus KR2020012948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41A KR20200129482A (en) 2019-05-08 2019-05-08 Headup display apparatus
US16/851,721 US11320654B2 (en) 2019-04-18 2020-04-17 Headup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41A KR20200129482A (en) 2019-05-08 2019-05-08 Headup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82A true KR20200129482A (en) 2020-11-18

Family

ID=7369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41A KR20200129482A (en) 2019-04-18 2019-05-08 Headup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48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2250B1 (en) Head-up display device
JP5060792B2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projection unit,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JPH05257048A (en) Lens barrel
JP6642290B2 (en) Display position adjustment unit and head-up display device
EP3521885B1 (en) Vehicle display device
JP6760220B2 (en) Angle adjustment mechanism, reflector unit, and display device
KR20200129482A (en) Headup display apparatus
JP395240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24026577A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KR102452806B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JP2009222882A (en) Head-up display device
KR20200052581A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JP6468161B2 (en) Head-up display device
JP6877591B2 (en) Drive device for head-up display
WO2020196160A1 (en) Head-up display device
US11320654B2 (en) Headup display device
JP7248035B2 (en) head up display
WO2021193634A1 (en) Head-up display
KR20200122534A (en) Headup display device
WO2023022003A1 (en) Display device
JP2021156955A (en) Head-up display
JP2018176849A (en) Head-up display device
KR102480737B1 (en)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7327263B2 (en) virtual image display
WO2021059953A1 (en) Head-up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