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318A - Wire connector device - Google Patents

Wire connec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318A
KR20200129318A KR1020190053536A KR20190053536A KR20200129318A KR 20200129318 A KR20200129318 A KR 20200129318A KR 1020190053536 A KR1020190053536 A KR 1020190053536A KR 20190053536 A KR20190053536 A KR 20190053536A KR 20200129318 A KR20200129318 A KR 20200129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connector
terminal
coupling groove
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9930B1 (en
Inventor
김인용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930B1/en
Publication of KR2020012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or to provide ease of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connector comprises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The female connector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part open to a front side; a lower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area of the space part; an upper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area of the space part; a locking step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a protruding end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 part to a front side; and a first terminal arranged in the lower coupling groove and having an upper end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nd. The male connector comprises: a main body; a lower insertion part protruding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an upper insertion part protruding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with the upper gap part of the lower insertion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a lever having a front end coupled to the upper insertion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rear end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ever; and a second terminal arranged in the lower insertion part. When the femal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conn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ding end is in a locked posi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ap part in a female-male coupling type and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ked to the locking step inside the upper coupling groove.

Description

와이어 커넥터장치{WIRE CONNECTOR DEVICE}Wire connector device {WIRE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상부 접속단과 수 커넥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접속단의 상단이 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접속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sinc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is not chan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end and the male connector, and sin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is suppor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from being changed.

일반적으로, 와이어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기판용 커넥터 등에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a wire connector i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wire to a board connector installed in an electronic device.

이러한, 와이어 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는 암 커넥터와, 외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암 커넥터와 암수로 결합되는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에 각각 설치되어 결합시 상호 접속되는 터미널 등으로 구성된다.The wire connector is composed of a female connector coupled to a board, a male connector coupled to a female connector and male and female in a state connected to an outer ear, and terminal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to be interconnected upon mating.

이때,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에는 암수로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형상이 적용되고,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에는 결합 및 결합 해지를 위한 록킹 구조가 적용된다.At this time,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applied with a shape for mutually coupling male and female, and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applied with a locking structure for mating and disengaging.

그런데,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가 복잡하고, 결합 및 분리시키는 과정이 어려웠으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터미널들의 접속 위치가 변경될 염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re connector,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 and separating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is complicated, a process of coupling and separating it is difficult,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terminals may chang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6-7006206호(1996년 11월 0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와이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6-7006206 (November 08, 1996), and a wire connector is disclosed in the prior docu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암 커넥터의 내부에 돌출단을 형성시킴으로써,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상부 접속단과 수 커넥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접속단의 상단이 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접속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end and the male connector by forming a protruding end inside the female connector, since the mating position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is not changed,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is supported. It is to provide a wire connecto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from being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의 후단이 전단을 기준으로 걸림 및 걸림 해지 위치로 회동되므로, 레버의 가동 거리가 길어 적은 힘으로도 레버를 걸림 해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끼워 넣는 동작으로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결합의 용이성을 갖는 와이어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ar end of the lever is rotated to the engaging and disengaging position based on the front end, so that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lever is long, so that the lever can be switched to the disengaged state with little force. It is to provide a wire connector device having ease of coupling since th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can be combined.

본 빌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는, 내부의 공간부가 전방으로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홈과, 상기 공간부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홈과, 상기 상부 결합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과, 상기 공간부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단 및, 상기 하부 결합홈에 배열되며, 상단이 상기 돌출단에 의해 지지되는 제1터미널이 구비된 암 커넥터 및,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하부 삽입부와, 상기 하부 삽입부의 상부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전단이 상기 상부 삽입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하부 삽입부의 내부에 배열되는 제2터미널이 구비된 수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단이 상기 간격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이 상기 상부 결합홈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bill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opened forward, a lower coupling groove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space, an upper coupl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space,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A female connector having a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a protruding e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space, and a first terminal arranged in the lower coupling groove and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nd, and a body And, a lower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and an upper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with an upper gap portion of the lower insertion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 lever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rear end elastically deformable vertically,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ever, and a second terminal arranged inside the lower insertion portion It includes a male connector provided, and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conn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ding end is position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gap,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is positioned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inside the upper coupling groove.

여기서, 상기 레버는 전단이 상기 상부 삽입부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후단이 회동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이격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레버의 후단이 하강된 후 상승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이 상기 걸림턱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ever may have a front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a rear e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with a rotation interval therebetween, and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the l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lowered and then raised,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또한, 상기 제1터미널은 전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접속단과, 상기 하부 접속단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부 접속단 및, 후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접속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2터미널의 전단은 상기 하부 접속단과 상부 접속단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접속되고, 상기 상부 접속단의 상단은 상기 돌출단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어 접속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has a lower connection end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an upper connection end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end, and the housing from the rear end. A board connection end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ard may be formed, and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end and the upper connection end. It is connected in a state,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end, so that the connection position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하부 삽입부에는 상기 제2터미널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장착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 접속단이 상기 장착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2터미널의 전단은 상기 하부 접속단과 상부 접속단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접속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wer insertion part, a mounting hole may be formed through front and rear so that the second terminal is installed therein.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the upper connection end is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erminal may be connected while being insert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end and the upper connection end.

또한, 상기 돌출단은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전단이 상기 간격부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접속단의 전단은 상기 장착홀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end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the front end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spacing part to maintai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nd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le. Can be.

또한, 상기 몸체의 좌우 방향측 상단에는 상기 레버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감싸기 위한 한 쌍의 측벽이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sidewalls for enclosing both ends of the lev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the upper left-right side of the body.

본 발명은 암 커넥터의 내부에 돌출단을 형성시킴으로써,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상부 접속단과 수 커넥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접속단의 상단이 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접속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end and the male connector by forming a protruding end inside the female connector, since the mating position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is not changed, and sin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is supported, As a result,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from being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레버의 후단이 전단을 기준으로 걸림 및 걸림 해지 위치로 회동되므로, 레버의 가동 거리가 길어 적은 힘으로도 레버를 걸림 해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끼워 넣는 동작으로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결합의 용이성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end of the lever is rotated to the engaging and disengaging position based on the front end, the lever can be switched to the disengaged state with little force due to a long movable distance. Since the male connector can be combined, it has the effect of having ease of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를 정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수 커넥터를 정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of a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3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the side.
4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a plane.
5 is a view for showing the fe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6 is a view for showing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7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from the s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of a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giving, and FIG. 3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the si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평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를 정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수 커넥터를 정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the top, and FIG. 5 is a view for showing the fe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6 is a view for showing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의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7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from the side.

도 1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장치는 암 커넥터(100) 및, 수 커넥터(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wire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male connector 100 and a male connector 200.

여기서, 암 커넥터(100)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것으로, 암 커넥터(100)는 하우징(110)과, 하부 결합홈(120)과, 상부 결합홈(130)과, 걸림턱(140)과, 돌출단(150) 및, 제1터미널(160)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emale connector 100 is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and the female connector 100 includes the housing 110,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130. And, it may include a locking projection 140, a protruding end 150, and a first terminal 160.

그리고, 수 커넥터(200)는 몸체(210)와, 하부 삽입부(220)와, 상부 삽입부(230)와, 레버(240)와, 걸림돌기(250) 및, 제2터미널(26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le connector 200 includes a body 210, a lower insertion portion 220, an upper insertion portion 230, a lever 240, a locking protrusion 250, and a second terminal 260. Can include.

상기한 구성들 중, 암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은 기판(10)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the housing 11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is installed in a state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and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pace is opened forward.

여기서, 공간부의 하부 영역에는 하부 결합홈(120)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공간부의 상부 영역에는 상부 결합홈(130)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Here,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is formed to open forwar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pace,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130 is formed to open forwar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pace.

암 커넥터(100)의 걸림턱(140)은, 하우징(110)의 후방측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턱(140)은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 후술 될 걸림돌기(25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The locking protrusion 14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40 is described later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coupled. It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250 to be jammed.

암 커넥터(100)의 돌출단(150)은, 공간부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것으로, 돌출단(150)에 의해 하부 결합홈(120)과 상부 결합홈(130)가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The protruding end 15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is horizontally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pace portion to the front, and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130 are divided vertically by the protruding end 150. I can.

여기서, 돌출단(150)은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도 7에서처럼 그 전단이 후술 될 간격부(G1)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어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의 결합 위치를 유지시킨다.Here, when the protruding end 150 is coupled to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the front end thereof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spacing portion G1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It maintains the mat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200.

암 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60)은, 후술 될 하부 결합홈(120)의 장착홀(221) 내에 배열되는 것으로, 전도성 소재를 이용해 제작한다.The first terminal 16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is arranged in the mounting hole 221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manufactur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여기서, 암 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60)은 하부 결합홈(1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the first terminals 16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may be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그리고, 암 커넥터(100)의 제1터미널(160)은 하부 접속단(161)과, 상부 접속단(162) 및, 기판 접속단(16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6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may have a lower connection end 161, an upper connection end 162, and a board connection end 163.

하부 접속단(161)은, 제1터미널(16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결합홈(12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부 접속단(161)의 상단이 후술 될 제2터미널(260)의 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lower connection end 161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terminal 160 and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end 161 is a second terminal 26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상부 접속단(162)은, 제1터미널(160)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하부 접속단(161)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상부 접속단(162)의 전방측 하단이 후술 될 제2터미널(260)의 상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upper connection end 162,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terminal 160, is located at a distance above the lower connection end 161, and the front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is a second terminal to be described lat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p of 260.

여기서, 상부 접속단(162)의 전단은,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후술 될 장착홀(221)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된다.Here,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221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coupled.

그리고, 상부 접속단(162)의 전방측 하단에는 후술 될 제2터미널(260)의 상단과 접속되는 접속돌기가 하부로 돌출될 수 있고, 상부 접속단(162)의 전단이 하부로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protrusion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260 to be described later may protrude downward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and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is bent downward. Can have

그리고, 상부 접속단(162)의 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부 접속단(161)의 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may have a shap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connection end 161 may have a shap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즉, 상부 접속단(162)의 전단과 하부 접속단(161)의 전단이 상호간의 사이 간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후술 될 제2터미널(260)의 전단을 상부 접속단(162)과 하부 접속단(161)의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connection end 161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pace between each othe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erminal 26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and the lower end. It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ends 161.

기판 접속단(163)은, 후단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기판 접속단(163)의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The substrate connection end 163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e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 and the shape of the substrate connection end 163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수 커넥터(200)에는, 몸체(210)가 구성되며, 수 커넥터(200)의 하부 삽입부(220)는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술한 암 커넥터(100)의 하부 결합홈(120)에 삽입된다.In the male connector 200, a body 210 is configured, and the lower insertion portion 220 of the male connector 200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body 210, so that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described above is ) Is inserted.

여기서, 수 커넥터(200)의 하부 삽입부(200)에는 후술 될 제2터미널(260)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장착홀(22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Here, in the lower insertion portion 200 of the male connector 200, a mounting hole 221 is formed through front and rear so that a second terminal 26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therein.

장착홀(221)은, 하부 삽입부(2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열 될 수 있으며,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 도 7에서처럼 제1터미널(160)의 상부 접속단(161)과 하부 접속단(162)이 장착홀(221)을 통해 삽입되어 제2터미널(2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mounting holes 221 may be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ower insertion part 200, and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coupled, the first terminal 160 as shown in FIG. 7 The upper connection end 161 and the lower connection end 162 of are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2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260.

여기서, 장착홀(221)의 후단은 후방을 통해 와이어(20)의 일단을 삽입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le 221 may have a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ont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one end of the wire 20 is inserted through the rear.

수 커넥터(200)의 상부 삽입부(230)는, 하부 삽입부(220)의 상부 간격부(G1)를 사이에 두고 몸체(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부 결합홈(13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upper insertion part 230 of the male connector 200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body 210 with the upper spacing part G1 of the lower insertion part 220 therebetween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130 to be.

수 커넥터(200)의 레버(240)는, 몸체(210)의 상부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수 커넥터(200)의 전단이 상부 삽입부(230)의 전단에 연결되고, 반대되는 후단이 상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이격 위치된다.The lever 240 of the male connector 200 is a portion located above the body 210, and the front end of the male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insertion part 230, and the opposite rear end is vertically It is located spaced apart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여기서, 레버(240)는 전단이 상부 삽입부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반대되는 후단이 회동 간격(G2)을 사이에 두고 몸체(210)의 상부에 이격 위치된다.Here, the front end of the lever 2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the opposite rear end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10 with a rotation gap G2 therebetween.

그리고, 레버(240)의 후방측 상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부(241)가 상부로 돌출될 수 있는데,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 누름부(241)가 하우징(110)의 후방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upper rear side of the lever 240, a pressing part 241 that the user can press by hand may protrude upward.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combined, the pressing part 241 May be positioned expos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이와 같은 레버(240)는, 그 전단을 기준으로 후단이 넓은 폭으로 연장되므로, 레버(240)의 가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 레버(240)를 적은 힘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Since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extends in a wide width based on the front end, the movable distance of the lever 240 can be increased, and the lever 240 can be rotated with a small force.

수 커넥터(200)의 걸림돌기(250)는, 레버(24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며, 레버(240)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251)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250 of the male connector 200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lever 240, and an inclined surface 251 inclined upwardly to the rear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r 240.

걸림돌기(250)는, 전술한 걸림턱(140)에 걸림 위치되는 부분으로,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 도 7에서처럼 걸림턱(14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The locking protrusion 250 is a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above-described locking projection 140, and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140 as shown in FIG. 7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coupled.

예를 들어,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킬 경우, 걸림돌기(250)의 경사면(251)이 걸림턱(140)의 하단과 접하면서 결합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레버(240)의 후단이 전단을 기준으로 하부로 회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coupled, the inclined surface 251 of the locking protrusion 250 is moved in the coupling direction while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140, and in this process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is rotated downward based on the front end.

이 후, 레버(240)의 후단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회동 복귀되고, 걸림턱(140)의 전단에 걸림돌기(250)의 후단이 걸림 위치된다.After that,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is rotated upward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250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140.

이 상태에서는, 걸림돌기(250)가 걸림턱(14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므로,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250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140,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not separated in opposite directions.

반면,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는 레버(240)의 누름부(241)를 하방으로 눌러, 레버(240)의 후단을 하방으로 회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ng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241 of the lever 240 downward, and rotates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downward.

이때, 걸림돌기(250)가 걸림턱(140)보다 낮은 높이로 회동 위치되어 걸림 해지 상태로 전환되며, 이 상태에서 암 터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250 is rotat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locking protrusion 140 and is converted into an unlocked state. In this state,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can be separated in opposite directions. I can.

한편, 몸체(210)의 좌우 방향측 상단에는 레버(24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감싸기 위한 한 쌍의 측벽(211)이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sidewalls 211 for enclosing both ends of the lever 240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upper left-right side of the body 210.

한 쌍의 측벽(211)은, 레버(240)의 후단이 상하로 회동시킬 때 레버(240)의 후단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air of side walls 211 may prevent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from flow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is rotated vertically.

수 커넥터(200)의 제2터미널(260)은, 하부 삽입부(220)의 내부에 배열되는 것으로, 전도성 소재를 이용해 제작한다.The second terminal 260 of the male connector 200 is arranged inside the lower insertion part 220 and is manufactur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여기서, 수 커넥터(200)의 제2터미널(260)은 전술한 제1터미널(16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부 삽입부(230)의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terminal 260 of the male connector 20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forementioned first terminal 160,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terminals 260 are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ower insertion unit 230. Can be.

이와 같은 수 커넥터(200)의 전단은 하부 접속단(161)과 상부 접속단(162)의 사이를 통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수 커넥터(200)의 후단에는 와이어(20)의 전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The front end of the male connector 200 is inserted through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end 161 and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front end of the wire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male connector 200. It has a form that can be combined in a connected stat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하부 결합홈(120)에 하부 삽입부(220)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부 결합홈(130)에 상부 삽입부(230)가 삽입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coupled, the lower insertion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120 and the upper insertion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130. The part 230 is inserted.

이때, 레버(240)의 후단이 하강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승 복귀되며, 레버(240)의 걸림돌기(250)가 걸림턱(14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At this time, after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is lowered, it is raised and returned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the locking protrusion 250 of the lever 240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jection 140.

그리고, 암 커넥터(100)의 돌출단(150)이 간격부(G1)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돌출단(150)의 전단이 간격부(G1)의 후면이 걸림 위치되므로,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는 결합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정 위치에서 결합이 완료된다.And, the protruding end 150 of the female connector 100 is inserted into the spacing portion G1, and the front end of the protruding end 150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pacing portion G1, so that the female connector 100 ) And the male connector 200 are no longer moved in the mating direction and the mating is completed at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제1터미널(160)의 하부 접속단(161)과 상부 접속단(162)의 사이를 통해 제2터미널(260)의 전단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erminal 260 is inserted through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end 161 and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of the first terminal 16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 상태에서는, 돌출단(150)의 걸림 상태에 의해 상부 접속단(162)의 전단이 장착홀(221)의 후단으로부터 회피 간격(G3)으로 이격 위치되고, 상부 접속단(162)의 상단이 돌출단(150)에 의해 지지되어 상방으로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hole 221 by an avoidance gap G3 due to the locking state of the protruding end 150,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is It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nd 150 so that the shape does not change upward.

이때, 상부 접속단(162)의 전방측 하단이 제2터미널(260)의 상단에 탄성 접촉되므로, 외력에 의해 상부 접속단(162)과 제2터미널(260)의 접속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front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econd terminal 260,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and the second terminal 260 is not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암 커넥터(100)의 내부에 돌출단(150)을 형성시킴으로써,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상부 접속단(162)과 수 커넥터(20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접속단(162)의 상단이 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제1터미널(160)과 제2터미널(260)의 접속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protruding end 150 inside the female connector 100,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is not changed, so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and the mal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200 from contacting, and sin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162 is suppor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terminal 160 and the second terminal 260 from being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

또한, 본 발명은 레버(240)의 후단이 전단을 기준으로 걸림 및 걸림 해지 위치로 회동되므로, 레버(240)의 가동 거리가 길어 적은 힘으로도 레버(240)를 걸림 해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끼워 넣는 동작으로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결합의 용이성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end of the lever 240 is rotated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position based on the front end, the movable distance of the lever 240 is long, so that the lever 240 can b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with little force. In addition, since the female connector 100 and the male connector 200 can be coupled by a fitting operation, the coupling is easy.

지금까지 본 발명의 와이어 커넥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Until now, specific embodiments of the wire conne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various embodiments can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transmitt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기판 20: 와이어
100: 암 커넥터 110: 하우징
120: 하부 결합홈 130: 상부 결합홈
140: 걸림턱 150: 돌출단
160: 제1터미널 161: 하부 접속단
162: 상부 접속단 163: 기판 접속단
200: 수 커넥터 210: 몸체
211: 측벽 220: 하부 삽입부
221: 장착홀 230: 상부 삽입부
240: 레버 241: 누름부
250: 걸림돌기 251: 경사면
260: 제2터미널 G1: 간격부
G2: 회동 간격 G3: 회피 간격
10: substrate 20: wire
100: female connector 110: housing
120: lower coupling groove 130: upper coupling groove
140: locking jaw 150: protruding end
160: terminal 1 161: lower connection terminal
162: upper connection terminal 163: substrate connection terminal
200: male connector 210: body
211: side wall 220: lower insertion portion
221: mounting hole 230: upper insertion portion
240: lever 241: pressing part
250: stopping protrusion 251: slope
260: terminal 2 G1: gap
G2: rotation interval G3: avoidance interval

Claims (6)

내부의 공간부가 전방으로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공간부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홈과, 상기 공간부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홈과, 상기 상부 결합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과, 상기 공간부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단 및, 상기 하부 결합홈에 배열되며, 상단이 상기 돌출단에 의해 지지되는 제1터미널이 구비된 암 커넥터 및,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하부 삽입부와, 상기 하부 삽입부의 상부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상부 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전단이 상기 상부 삽입부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하부 삽입부의 내부에 배열되는 제2터미널이 구비된 수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단이 상기 간격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이 상기 상부 결합홈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A housing in which the internal space part is opened forward, a lower coupling groove formed in a lower region of the space part, an upper coupling groove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space part, and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A female connector having a protruding e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 unit and a first terminal arranged in the lower coupling groove and supported by the protruding end,
A body, a lower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and an upper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body with an upper spacing portion of the lower insertion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 A lever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rear end elastically deformable up and dow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ever, and a second arranged inside the lower insertion portion It includes a male connector equipped with a terminal,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conn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ruding end is position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gap, and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Wir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sition in the locking jaw from the in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전단이 상기 상부 삽입부의 전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후단이 회동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레버의 후단이 하강된 후 상승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후단이 상기 걸림턱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r,
The front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insertion portion, and the rear end is locat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with a rotation interval therebetween,
When combining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 wir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lever is lowered and then rais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전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접속단과, 상기 하부 접속단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에서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상부 접속단 및, 후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 접속단이 형성되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제2터미널의 전단은 상기 하부 접속단과 상부 접속단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접속되고, 상기 상부 접속단의 상단은 상기 돌출단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어 접속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terminal,
A lower connection e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end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an upper connection end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end, an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the substrate. A substrate connection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is formed,
When combining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 w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in a state insert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end and the upper connection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end to maintain a connection position. Connector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삽입부에는,
상기 제2터미널이 내부에 설치되도록 장착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 접속단이 상기 장착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2터미널의 전단은 상기 하부 접속단과 상부 접속단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lower insertion part,
Mounting holes are formed through front and rear so that the second terminal is installed inside,
When combining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The upper connection end is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in a state inserted between the lower connection end and the upper connection en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은,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전단이 상기 간격부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 위치를 유지시키며,
상기 상부 접속단의 전단은,
상기 장착홀의 후면으로부터 이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truding end,
Wh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coupled, the front end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spacing portion to maintai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nnection end,
Wir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좌우 방향측 상단에는,
상기 레버의 좌우 방향측 양단을 감싸기 위한 한 쌍의 측벽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 of the body,
A wire connec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idewalls protruding upwardly to surround both ends of the lev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KR1020190053536A 2019-05-08 2019-05-08 Wire connector device KR102259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36A KR102259930B1 (en) 2019-05-08 2019-05-08 Wire conne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36A KR102259930B1 (en) 2019-05-08 2019-05-08 Wire connec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18A true KR20200129318A (en) 2020-11-18
KR102259930B1 KR102259930B1 (en) 2021-06-03

Family

ID=7369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536A KR102259930B1 (en) 2019-05-08 2019-05-08 Wire connec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9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2618A (en) * 2005-06-30 2007-01-18 Hitachi-Lg Data Storage Korea Inc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110032881A (en) * 2009-09-24 2011-03-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JP2017224530A (en) * 2016-06-16 2017-12-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Terminal used for contact with substrate, connector using the terminal, and connector device using the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2618A (en) * 2005-06-30 2007-01-18 Hitachi-Lg Data Storage Korea Inc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110032881A (en) * 2009-09-24 2011-03-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JP2017224530A (en) * 2016-06-16 2017-12-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Terminal used for contact with substrate, connector using the terminal, and connector device using th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930B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282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7104831B2 (en) Connector
JP6288125B2 (en) connector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CN100578866C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4651521B2 (en) Shield case for connectors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JP2009140678A (en) Female terminal fitting for base board
JP5872503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07302648A (en) Lock connection detecting structure fo connector
JP2008293722A (en) Connector
TW201813211A (e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eeping a locking function of a locking member
JP2018041648A (e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R100653666B1 (en) A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forming it
JP2011048995A (en) Connector
WO2017119395A1 (en) Terminal locking structure and connector
JP6322596B2 (en) Connector with slider and connector fitting structure
CN110800166B (en) Substrat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circuit substrate and substrate connector
KR20200129318A (en) Wire connector device
JP4267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5203139A (en) Connector
JP2005116366A (en) Connector
JP2008276993A (en) Connector
US7083461B2 (en) Connector
JP3187082U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