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294A -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294A
KR20200129294A KR1020190053496A KR20190053496A KR20200129294A KR 20200129294 A KR20200129294 A KR 20200129294A KR 1020190053496 A KR1020190053496 A KR 1020190053496A KR 20190053496 A KR20190053496 A KR 20190053496A KR 20200129294 A KR20200129294 A KR 20200129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ank
filter plate
space
fine dus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형
김규빈
Original Assignee
김남형
김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형, 김규빈 filed Critical 김남형
Priority to KR102019005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294A/ko
Publication of KR2020012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의 제거기능을 가짐으로써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격벽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이 되어 있으며, 구획되어 있는 공간 중 제1공간에 물고기를 생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항본체; 상기 어항본체의 후벽 상단에 세워져 설치되는 필터판; 상기 어항본체에 담긴 물을 펌핑하여 상기 필터판의 표면에 흘려보내기 위한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Aquarium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Eliminating Fine Dust}
본 발명은 어항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미세먼지의 제거기능을 가짐으로써 실내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황사,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가 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들 환경오염물질은 국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즉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십년에 걸쳐 나타나는 잠정적인 것이어서 더 큰 우려사항이 된다.
이들 오염물질은 실외활동시에만 부딪히는 문제가 아니며, 실내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근래 실내설치용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자체적으로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필터는 정기적으로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필터의 정화능력에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중에 보급되어 있는 공기청정기는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제거기능이라는 단일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이며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있어 공간활용도를 떨어뜨린다.
이에 대하여 집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자는 개념의 제안이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8-0001317호가 그러한데, 이는 창문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역시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며 미세먼지 유입이 창문을 통해서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므로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7-0002986호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8-0001317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7-0002986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미세먼지 제거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어항의 기본적 구성에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부가적으로 가지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격벽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이 되어 있으며 구획되어 있는 공간 중 하나인 제1공간에는 물고기를 생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항본체; 상기 어항본체의 후벽 상단에 세워져 설치되는 필터판; 상기 어항본체에 담긴 물을 펌핑하여 상기 필터판의 표면에 흘려보내기 위한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판의 표면은 숯 또는 스티로폼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펌핑부는 상기 어항본체에 담긴 물을 펌핑하는 펌프; 일단은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판의 상단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타공되는 복수 개의 분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판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판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어항본체의 격벽에 의해 구획이 되어 있는 공간 중 다른 공간인 제2공간에 모이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공간에는 상기 필터판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흡착하는 흡착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2공간에 모인 물이 상기 제1공간으로 회수되도록 상기 격벽에는 순환공이 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터판의 하단과 상기 흡착재 사이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유도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어항에 물고기를 키우면서 이와 동시에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습기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항의 상부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습식 필터를 이용하므로 정전기 필터와 같이 필터를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없어 경제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수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의 펌핑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이하, '어항장치')는 어항본체(10), 필터판(30) 및 펌프(40)를 포함한다. 어항본체(10)는 격벽(11)에 의해 제1,2공간(S1,S2)으로 구획이 되어 있다. 구획되어 있는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앞에 위치한 공간(이하, '제1공간(S1)'이라 한다)에는 물고기를 생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공간(S1)에는 물고기를 포함한 수생생물을 생육하기 위한 각종 장치(산소공급기, 여과기 등)들이 설치되어 있다.
필터판(30)은 어항본체(10)의 후벽 상단에 세워져 설치된다. 필터판(30)의 폭은 어항본체(10)의 폭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필터판(3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K)로 기울어져 있다. 이 각도(K)는 5 ~15°가 될 수 있다. 필터판(30)은 벽에 기대어놓을 수도 있고 미도시된 지지체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필터판(30)의 하단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어항본체(10)의 후벽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판(30)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끔 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필터판(30)의 표면은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공성 소재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숯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다공성 소재가 적합하다. 미세먼지가 잘 흡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이 이 다공성 소재를 타고 흘러내리면서 넓은 면적으로 분포되고, 공중에 부유하는 미세먼지는 물의 전기적 성질에 의해 필터판(30)의 표면에 쉽게 달라붙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판(30)은 지지판(20)의 앞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20)은 경첩(21)에 의해 어항본체(10)의 후벽 상단에 각도조정이 가능하게끔 연결되어 있다. 지지판(20)과 필터판(30)은 경우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본체(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펌프(40)가 주된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는 펌핑부는 어항본체에 담긴 물을 펌핑하여 상기 필터판의 앞면 전체에 흘려보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펌핑부는 어항본체(10)에 담긴 물을 펌핑하는 펌프(40)와, 일단은 펌프(40)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필터판(30)의 상단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급수관(32)과, 급수관(32)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타공되는 복수 개의 분출공(32a)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와 급수관 사이에는 토출관(42)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토출관(42)과 급수관(42)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급수관(32)은 가느라한 가요성 호스로 되어 있으며, 분출공(32a)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타공된 원형의 구멍이다. 분출공(32a)의 직경, 간격 및 타공 위치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급수관(32)은 다양한 방법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펌프(40)는 흡수관(41)을 통해 제1공간(S1)에 담긴 물을 흡수한 다음 이를 급수관(32)으로 분출 공급한다. 즉 제1공간(S1)의 물은 펌프(40)와 급수관(32)을 통해 필터판(30)의 표면(31) 상단으로 공급되어 이를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급수관(32)의 후단에는 배수관(35)이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35)의 관로 상에는 조절밸브(36)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관(35)의 단부는 제1공간(S1)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펌핑된 물(W)이 분출공(32a)과 배수관 단부를 통해 동시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출공(32a)으로 분출되는 물(W)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조절밸브(36)를 통해 필터판(3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실시예징에 의하면, 어항본체의 격벽(11)에 의해 구획이 되어 있는 공간 중 다른 공간, 즉 2공간(S2)에는 흡착재(34)가 설치된다. 제2공간(S2) 역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이다. 흡착재(34)는 탈지면이 될 수 있다. 탈지면은 흘러내리는 물 속에 있는 미세먼지 입자를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제2공간(S2)은 제1공간(S1)보다 좁게 되어 있다. 필터판(30)을 따라 흐르는 물은 제2공간(S2)으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흡착재(34)를 꺼내 세척한 다음 다시금 설치해두면 된다.
한편 물의 순환구조를 위하여 격벽(11)의 상부에는 순환공(12)이 타공되어 있다. 제1공간(S1)의 수위는 이 순환공(12) 아래로 유지된다. 필터판(30)을 거쳐 제2공간(S2)으로 모인 물(W')이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이 순환공(12)을 통해 다시금 제1공간(S1)으로 흘러들어 간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판(30)의 하단과 상기 흡착재(34) 사이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유도지(3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유도지는 합성수지 필름 또는 합성수지판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어항본체 11 : 격벽
12 : 순환공 29 : 지지판
21 : 경첩 30 : 필터판
31 : (필터판) 표면 32 : 급수관
32a : 분출공 33 : 유도지
34 : 흡착재 35 : 배수관
36 : 조절밸브 40 : 펌프
41 : 흡수관 42 : 토출관

Claims (5)

  1. 격벽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이 되어 있으며, 구획되어 있는 공간 중 제1공간에 물고기를 생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어항본체;
    상기 어항본체의 후벽 상단에 세워져 설치되는 필터판;
    상기 어항본체에 담긴 물을 펌핑하여 상기 필터판의 표면에 흘려보내기 위한 펌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의 표면은 숯 또는 스티로폼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어항본체의 제1공간에 담긴 물을 펌핑하는 펌프;
    일단은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판의 상단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타공되는 복수 개의 분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어항본체의 격벽에 의해 구획이 되어 있는 공간 중 다른 공간인 제2공간에 모이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공간에는 상기 필터판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흡착하는 흡착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2공간에 모인 물이 상기 제1공간으로 회수되도록 상기 격벽에는 순환공이 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의 하단과 상기 흡착재 사이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표면이 매끄러운 유도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KR1020190053496A 2019-05-08 2019-05-08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KR20200129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96A KR20200129294A (ko) 2019-05-08 2019-05-08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96A KR20200129294A (ko) 2019-05-08 2019-05-08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294A true KR20200129294A (ko) 2020-11-18

Family

ID=7369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496A KR20200129294A (ko) 2019-05-08 2019-05-08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29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86U (ko)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180001317U (ko) 2016-10-27 2018-05-09 황윤숙 안에선 버섯 재배 밖에선 태양 발전하는 비닐하우스 뼈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986U (ko)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다단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180001317U (ko) 2016-10-27 2018-05-09 황윤숙 안에선 버섯 재배 밖에선 태양 발전하는 비닐하우스 뼈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55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288217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101152015B1 (ko) 팬을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WO2008023513A1 (fr) Dispositif de trop-plein pour un réservoir d'eau
KR200473002Y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RE38989E1 (en) Skimmer filters for ponds
KR200470792Y1 (ko)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160024822A (ko)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KR20160035754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80131160A (ko) 공기 청정장치
KR101218943B1 (ko) 물흐름가이드부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 장치
JP5793785B1 (ja) 水棲生物用水槽の水濾過装置
KR101887882B1 (ko) 수족관용 복합여과장치
KR20200129294A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어항장치
JP2010243006A (ja) 加湿装置
KR102042830B1 (ko) 습식 공기정화기
KR20110128440A (ko) 공기 청정 가습기
KR102328815B1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0490253Y1 (ko) 저소음 공기정화기
US6840987B1 (en) Air filtering apparatus
KR101772555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200134738A (ko) 공기정화기
KR101913329B1 (ko) 무동력 회전을 통한 고효율 정화가 가능한 빗물 정화 필터 카트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정화 시스템
KR20110012428A (ko) 폭포형 공기 청정기
KR20150121780A (ko)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