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13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135A
KR20200129135A KR1020207028591A KR20207028591A KR20200129135A KR 20200129135 A KR20200129135 A KR 20200129135A KR 1020207028591 A KR1020207028591 A KR 1020207028591A KR 20207028591 A KR20207028591 A KR 20207028591A KR 20200129135 A KR20200129135 A KR 2020012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terest
region
amf
ro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415B1 (ko
Inventor
이지철
배범식
박중신
권기석
문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2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0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 and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5G System)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5G System)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관한 것이다.
하기 정보는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배경 정보로서만 제공된다. 공개와 관련하여 하기 중 어느 것이라도 선행 기술로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는 어떤 결정도, 주장도 되지 않는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셀룰러 이동통신 표준을 담당하는 3GPP는 기존 4G LTE 시스템에서 5G 시스템으로의 진화를 꾀하기 위해 새로운 코어 네트워크 (Core Network) 구조를 5G Core (5GC) 라는 이름으로 명명하고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5GC는 기존 4G를 위한 네트워크 코어인 진화된 패킷 코어 (Evolved Packet Core: EPC) 대비 다음과 같은 차별화된 기능을 지원한다.
첫째, 5GC에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Network Slice) 기능이 도입된다. 5G의 요구 조건으로, 5GC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 타입 및 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초광대역 이동 통신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사물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MTC). 이러한 단말/서비스는 각각 코어 네트워크에 요구하는 요구조건이 다르다. 예를 들면, eMBB 서비스인 경우에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data rate)를 요구하고 URLLC 서비스인 경우에는 높은 안정성과 낮은 지연을 요구한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Network Slice) 방안이다.
Network Slice는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가상화 (Virtualization) 하여 여러 개의 논리적인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으로, 각 Network Slice Instance (NSI) 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NSI 마다 그 특성에 맞는 네트워크 기능 (Network Function (NF))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각 단말마다 요구하는 서비스의 특성에 맞는 NSI를 할당하여 여러 5G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 할 수 있다.
둘째, 5GC는 이동성 관리 기능과 세션 관리 기능의 분리를 통해 네트워크 가상화 패러다임 지원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기존 4G LTE에서는 모든 단말이 등록, 인증, 이동성 관리 및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라는 단일 코어 장비와의 시그널링 교환을 통해서 망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5G에서는 단말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단말의 타입에 따라 지원해야 하는 이동성 및 트래픽/세션 특성이 세분화됨에 따라 MME와 같은 단일 장비에서 모든 기능을 지원하게 되면 필요한 기능별로 엔티티를 추가하는 확장성 (Scalability)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코어 장비의 기능/구현 복잡도와 시그널링 부하 측면에서 확장성 개선을 위해 이동성 관리 기능과 세션 관리 기능을 분리하는 구조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개시는 5GC 에서 consumer NF 요청에 따른 단말 이동성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에서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에 이벤트 보고 횟수 및 기간 등 이벤트 만료에 대한 조건을 명시하여 단말 이동성 관련 보고를 요청 하는 경우, 이를 지원하는 AMF 가 이동성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고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MF 가 단말 관심 영역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고안한다. 특히 RRC Inactive 도입으로인해, 단말이 CM(connection management)-CONNECTED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를 AMF 가 정확히 판단할 수 없는 경우, AMF 가 요청된 단말 관심 영역에서 단말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고안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5GC 망에서 NF 는 단말 관심 영역에 대한 이동성 이벤트에 대한 알림이 필요한 경우에,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F(policy control function)가 지정된 지역에서 과금을 달리하는 경우, PCF는 단말의 위치 별로 다른 과금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가 지정된 지역에서 UPF(user plane function) 에 대한 재 할당을 하는 경우, SMF는 단말의 위치 별로 다른 UPF 를 할당 할 수 있다. SMF 는 LADN(Local Area Data Network) 영역에서 PDU 세션에 대한 상태를 변경하거나, 패킷을 차단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 가능하다. SMF는 응급 서비스 (emergency service), 혹은 합법적 감청 (Lawful interception) 과 같이 단말의 이동성이 필요한 서비스에 사용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는 AMF 가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만료 조건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최종 보고를 공지 한 이후, 보고 서비스에 가입한 NF 와의 persistent 연결을 단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AMF가 요청한 보고 만료 이후에 Persistent 연결을 보존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AMF 의 시스템 자원을 보호 할 수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수행하기 전에, 본 특허 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특정 단어 및 구의 정의를 제시하는 것이 이점이 있을 수 있다. “포함” 및 “구성”의 용어 및 그 파생어는 제한 없이 포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은 포괄적이고 및/또는 의미이며; “연관된” 및 “그와 관련된” 및 그 파생어는 포함, 내부에 포함, 연결 또는 커플 또는 통신 가능, 협력, 인터리빙, 병치, 근접, 결합 또는 소유,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장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를 의미하며, 이러한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2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제어부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으로든 원격으로든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게다가, 하기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명령어 세트, 절차, 기능, 객체, 클래스, 인스턴스, 관련 데이터 또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에서 구현하기 위해 채택된 그 일부를 의미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라는 문구에는 소스 코드, 개체 코드 및 실행 코드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컴퓨터 코드가 포함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문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미디어와 같이 컴퓨터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디오 디스크(DVD) 또는 기타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전기 또는 기타 신호를 전송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기타 통신 링크를 제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덮어쓸 수 있는 매체, 예를 들어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 또는 지울 수 있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특정 단어 및 구에 대한 정의는 본 특허 문서 전체에 제공되며, 당업자는 이와 같이 정의된 단어 및 구의 사용이 이전 및 향후에 적용된다는 것을 대체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많은 NF service consumer 가 AMF 가 제공하는 단말 이동성 보고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수의 NF service consumer 는 공지가 완료된 이후에도 명시적으로 Unsubscription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HTTP/2 Persistent 연결을 맺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사용되지 않는 TCP 연결의 수가 많아져서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이를 방지 하기 위하기 방법을 고안한다.
본 개시 내용 및 그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관련한 하기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5G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 및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단말 이동성 보고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NG-RAN 위치 이동 보고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등록 영역 및 관심 영역에 따른 영역 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RAN 노티피케이션 영역 및 관심 영역에 따른 영역 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MF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NG-RAN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NF-service consumer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도 1 내지 도 8 및 본 특허 문헌에서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원리가 임의의 적절하게 배열된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RAN (Radio Access Network), AN (Access Network), RAN node,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5G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에 대하여 기술한다. AMF 는 consumer NF 에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 (UE mobility event notification service)를 제공한다. Consumer NF 는 AMF 에 다음과 같은 매개변수와 함께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에 가입한다.
● 이벤트 보고 형태 (Event Report Type),
● 관심 영역 (Area Of Interest),
● 이벤트 보고 관련 정보 (보고 모드, 보고 횟수, 보고 기간, 이벤트 보고 조건 (예를 들면, 타겟 단말이 지정된 관심영역으로 진입 하는 경우 (즉, 단말 관심 영역 값이 IN 으로 변경되는 경우))),
● 이벤트 보고 주소(Notification Address),
● 이벤트 보고할 대상 단말 (Target devices)
AMF 는 NG-RAN 이 RRC Inactive 를 지원하는 경우, CM-CONNECTED 상태에서, 단말의 관심영역 이동성을 추적하기 위하여, RAN에 NG-RAN 위치 보고 (NG-RAN location reporting)를 요청한다.
AMF 는 단말 관심영역 모드로 가입한 경우, 등록 절차, 핸드오버 절차, NG-RAN 위치보고 절차, AN Release 절차 발생시, 단말이 관심 영역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AMF 는 단말 관심 영역 내 단말의 존재 여부가 변경된 경우, 단말 관심 영역 이동을 가입한 NF 에게 보고 한다.
단말의 이동성 이벤트 가입 및 보고 그리고 취소 절차는 도 2에 기술되어 있다.
NF consumer (예를 들면, SMF, PCF 혹은 NEF, 205)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가입 절차 (도 2의 211 및 213)를 통하여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에 가입한다. AMF(203) 는 가입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조건에 해당하는 이벤트 발생을 결정하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221), 가입시 보고 받을 주소(Notification Address)로 단말 이동성 이벤트를 보고 한다 (도 2의 223). NF consumer(205) 는 상기 보고를 알릴 수 있고 (도 2의 225), 필요시, 단말의 이동성 이벤트 보고 가입의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도 2의 231).
NG-RAN 단말 위치 보고는 해당 단말이 CM-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NG-RAN(201)이 단말의 현재 위치 혹은 단말 관심 영역내에 존재 여부를 AMF(305) 에 보고 한다. 자세한 절차는 도 3에 기술되어 있다.
도 3의 310 에서 AMF(305) 는 NG-RAN(301) 에 Location Reporting Control 메시지를 전달한다. location reporting control 메시지는 보고 유형(Reporting Type), 위치 보고 레벨(Location Reporting Level), 관심 영역 (Area Of Interest) 그리고 요청 참조 식별자(Request Reference ID)를 포함할 수 있다. 보고 유형(Reporting Type)은 한번 보고(one-time reporting), 지속적 보고(continuous reporting) 혹은 관심영역 변경 보고가 될 수 있다. 위치 보고 레벨은 트래픽 영역 단위 보고 혹은 셀단위 보고 혹은 두 개를 보고 포함한 보고를 지정할 수 있다. 보고 유형이 관심영역 변경 보고인 경우, 상기 메시지(location report control 메시지는 관심영역을 포함한다. 관심영역은 셀 목록 혹은 트래픽 영역의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관심영역은 이를 참조할 수 있는 요청 참조 식별자를 통하여 식별될 수 있다.
도 3의 320에서 NG-RAN(301) 은 AMF(305) 에 Location Report 메시지를 전달한다. location report 메시지는 단말 위치, 단말의 관심영역에서 존재 여부 (UE Presence in Area Of Interest), 요청 참조 식별자, 그리고 타임스탬프(timestamp)를 포함 할 수 있다. 단말 위치는 셀 식별자 혹은 트래픽 영역 식별자 (Tracking Area Index) 가 될 수 있다. NG-RAN(301)은 AMF(305)에게 마지막으로 알려진 단말의 위치와 그 단말의 위치를 알려진 시각 정보를 타임스탬프로 알려준다. NG-RAN(301) 은 단말의 관심 영역내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그 정보가 변경된 경우, 요청 참조 식별자와 IN, OUT 혹은 UNKNOWN 값을 가질 수 있는 단말의 관심영역에서 존재 여부를 location report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330에서 AMF(305)는 NG-RAN(301)에 Cancel Location Reporting 메시지를 전달한다. cancel location reporting 메시지는 보고 유형과 요청 참조 식별자를 포함한다. 보고 유형이 one-time 혹은 지속적 보고 유형인 경우, NG-RAN(301)은 Cancel Location Reporting 메시지를 받고 해당 유형의 보고를 종료한다. 보고 유형이 관심영역 변경 보고인 경우, 요청 참조 식별자가 지시하는 관심영역 보고를 종료한다. cancel location reporting 메시지가 복수개의 요청 참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개의 관심 영역 보고를 모두 종료한다. 이러한 cancel location 절차는 AMF(305)가 NG-RAN 위치 보고의 요청을 야기한 이벤트 가입의 종료를 결정하였을 때, 수행된다. AMF(305)가 이벤트 종료를 결정하는 조건은 보고 기간 만료 혹은 단말이 요청된 관심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제 1실시 예>
제 1 실시 예에서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가입 절차를 설명한다.
도 2의 211에서 SMF, PCF 혹은 NEF 와 같은 NF consumer(205)는 AMF(203)에 Namf_EventExposure_Subscribe 메시지를 보내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에 가입한다. 가입시에 다음의 인자를 포함하여 가입한다.
● 이벤트 보고 형태 (Event Report Type),
● 관심 영역 (Area Of Interest),
● 이벤트 보고 관련 정보 (보고 모드, 보고 횟수, 보고 기간, 이벤트 보고 조건 (예를 들면, 타겟 단말이 지정된 관심영역으로 진입 하는 경우 (즉, 단말 관심 영역 값이 IN 으로 변경되는 경우))),
● 이벤트 보고 주소(Notification Address),
● 이벤트 보고할 대상 단말 (Target devices)
AMF(203)는 이벤트 보고 관련 정보에 포함된 보고 모드, 보고 횟수 및 보고 기간을 통해 이벤트 공지의 종료 혹은 만료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혹은 AMF(203)는 이벤트 보고 관련 정보를 통해 이벤트 보고 가입 종료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보고 횟수가 3회 인경우, AMF(203)는 3번의 이벤트 보고 이후 이벤트 보고의 가입을 종료 할 수 있다, 혹은 이벤트 보고 기간이 3시간인 경우, AMF(203)는 이벤트 보고에 가입된 이후 3시간 경과시에 이벤트 보고의 가입을 종료 할 수 있다. 이벤트 보고 형태가 관심 영역의 형태이고, 이벤트가 단말 관심영역 내 존재 여부가 특정 값(예를 들면 OUT)을 갖게되는 경우이면(예를 들어, 단말이 관심 영역 밖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AMF(203)는 이벤트의 종료를 지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단말 관심 영역 내 존재 여부가 IN 인경우, 즉 단말이 관심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AMF(203)는 이벤트 종료를 지정할 수 있다.
성공적인 이벤트 가입이후 AMF(203)가 가입 요청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도 2의 213에서 AMF(203)는 NF consumer(205)의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MF(203)는 설정되어 있지 않은 LADN DNN(data network name) 에 대한 단말 관심 영역 이동성 보고 요청을 거절 할 수 있다.
도 2의 215에서 AMF(203)는 다음의 조건을 확인하여, NG-RAN 위치 보고가 필요한 경우 NG-RAN 위치 보고 요청을 절차를 수행한다.
조건:
- NF service consumer 가 가입한 보고 모드가 단말의 관심 영역에 대한 보고 혹은 단말에 위치에 대한 보고 이고,
- 현재 단말의 CM 상태가 CM-CONNECTED 상태이고
- 단말이 RRC Inactive 를 지원하고
- NG-RAN 이 RRC Inactive 를 지원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르면, AMF(203)는 상기 정보를 확인하고 NG-RAN(201)에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한다.
도 2의 215단계 수행이후, AMF(203)는 다음의 조건을 확인하여 A N2 Notification 보고가 필요한 경우, N2 Notification 요청 절차를 수행한다.
조건:
- NF service consumer 가 가입한한 보고가 단말의 상태 변화에 대한 보고이고,
- 현재 단말이 CM 상태가 CM-CONNECTED 상태이고,
- 단말이 RRC Inactive 를 지원하고,
- NG-RAN 이 RRC Inactive 를 지원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르면, AMF(203)는 상기 정보를 확인하고 NG-RAN(201)에 N2 Notification 요청 절차를 수행한다.
<제 2실시 예>
제 2 실시 예에서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절차를 설명한다.
도 2의 221에서 AMF(203)는 가입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조건에 해당하는 이벤트 발생을 결정한다. 가입 요청이 단말 관심 영역 이동성 보고인 경우, AMF(203)는 단말 관심 영역 존재 여부를 결정하고, 변경이 발생한 경우 보고 절차(223)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보고 이후, AMF(203)는 보고 만료 조건을 검사하여, 최종 보고 여부를 검사한다. AMF(203)는 다음과 같이 보고 만료 조건을 검사한다.
● 이벤트 보고 횟수가 가입 절차시 요청된 최대 이벤트 보고 횟수와 일치
● 보고 시간 경과에 의한 보고가 결정된 경우, 최종 보고 여부 검사
● 이벤트 가입시, 단말 관심 영역의 상태를 지정하고 (예를 들면, IN 혹은 OUT) 상태 보고 후 만료를 지시한 경우
도 2의 223에서 AMF(203)는 가입시 보고 받을 주소(Notification Address)로 단말 이동성 이벤트를 보고 한다. AMF(203)가 최종 보고를 판단한 경우, AMF(203)는 최종 보고임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여 전달한다. 최종 보고임을 알리는 지시자는 단말 이동성 보고 메시지에 추가적인 정보 개체 (Information Element)로 추가된다. 본 지시자를 수신한 NF consumer(205)는 명시적으로 231 단계를 통해 단말 이동성 가입 취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최종 보고를 전달한 AMF(203)는 NF consumer(205)와 연결된 HTTP/2 Persistent 연결을 강제 종료 할 수 있다.
AMF(203)가 보고 만료에 의하여 최종 보고를 결정하고 최종 보고가 수행된 경우, AMF(203)는 요청했던 NG-RAN 위치 보고를 취소 한다.
<제 3실시 예>
제 3 실시 예에서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가입 취소 절차를 설명한다.
도 2의 231 단계 수행 전에 NF consumer(205)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가입의 취소를 결정한다. NF consumer(205)는 이벤트 보고가 1회 필요한 경우, 혹은 정해진 횟수만 필요한 경우, 해당하는 보고가 달성된 경우,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가입의 최소를 결정한다.
도 2의 231 단계에서 NF consumer(205)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가입의 취소를 AMF(203)에 요청한다.
도 2의 233에서, AMF(203)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의 취소를 결정하고 요청한 NF Consumer(205)에 응답한다.
도 2의 235에서 AMF(203) 는 NG-RAN(201)에 요청하였던 NG-RAN 위치 보고를 취소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제 4실시 예>
제 4실시 예는 AMF 가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하거나 취소하는 조건을 결정하는 AMF 동작에 관한 설명이다.
AMF 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공지 가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이후,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에 대한 통계 정보(예를 들면 이벤트 보고 횟수)를 관리한다.
이벤트 공지 가입 정보에 따라 AMF 는 NG-RAN 위치 보고 혹은 RRC Inactive 적용시 단말의 RRC 상태 (RRC connected or inactive) 상태를 보고하는 N2 Notification를 요청할지 취소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AMF 는 이벤트 보고 기간이 완료된 경우 혹은 이벤트 보고 횟수가 최대 이벤트 보고 횟수에 다다른 경우 NG-RAN 위치 보고를 취소할 수 있다.
AMF 는 성공적인 핸드오버 절차 이후, target NG-RAN 노드에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AMF 는 성공적인 UE Triggered Service Request 절차의 수행에 의하여, 단말의 상태가 CM-CONNECTED 로 변경된 경우에, NG-RAN 위치 보고 요청을 할 수 있다.
<제 5실시 예>
제 5실시 예는 AMF 가 단말이 관심영역 내 존재하는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MF 는 단말이 CM-CONNECTD 상태이고, 단말의 관심영역 변경에 대한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한 경우 단말 관심영역을, NG-RAN 이 위치 보고한 값 (IN, OUT or UNKNOWN)으로 결정한다.
AMF 는 등록 절차, 핸드오버 절차, 단말이 CM-IDLE 상태에서 트리거하는 서비스 요청 절차 (UE Triggered Service Request in CM-IDLE), NG-RAN 위치 보고 절차, AN Release 절차에서 단말 관심 영역 이동 여부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AMF 는 단말의 CM 상태와 표 1과 도 4에 기술된 등록 영역과 관심영역을 고려한 타겟 단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단말의 관심영역내의 존재여부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관심영역 내(IN)
● 단말이 관심 영역 내에 있고, 단말이 CM-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표 1의 1,7번)
● 단말이 관심 영역 내에 포함된 등록 영역 내에 있는 경우 (표1의 7,8번)
관심영역 밖(OUT)
● 단말이 관심 영역을 포함한 등록 영역 내에 있으나, 관심 영역 밖에 있고 단말이 CM-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표 1의 3번)
● 단말이 관심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등록 영역이내에 있는 경우 (표1의 5,6번)
관심영역내 존재 여부 모름 (UNKNOWN)
● 단말이 관심영역을 포함한 등록 영역 내에 있고 관심 영역이 전체 등록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단말이 CM-IDLE 상태에 있는 경우 (표1의 2,4번)
AMF는 등록 영역 및 단말의 CM 상태에 따른 단말 관심 영역 내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은 등록 영역 및 관심 영역에 따른 분류 방법을 사용한다.
도 4의 영역 분류 방법와 단말의 CM 상태에 따라서 AMF 는 표 1에서 구분한 8가지 조건에서 단말의 관심영역 내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 등록 영역 및 단말의 CM 상태에 따른 단말 관심 영역 존재 여부 결정 방법
<제 6실시 예>
제 6 실시 예는 AMF가 NG-RAN 위치 보고를 활용하여 단말 관심 영역내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MF 는 CM-CONNECTED 상태에서 단말 관심 영역에 대한 이동을 결정하기 위하여, NG-RAN 에 단말 관심 영역에 대한 보고에 대한 NG-RAN 이동성 보고를 요청한다.
AMF 로 부터 위치 보고 요청을 받은 NG-RAN 은 단말 관심 영역내 존재 여부을 다음과 같이 결정 한다.
AMF 는 단말의 RRC 상태와 표 2과 도 5에 기술된 RAN 노티피케이션 영역과 관심영역을 고려한 타겟 단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단말의 관심영역내의 존재여부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관심 영역 내 (IN) (표2의 1,7,8번)
● 단말이 관심 영역 내에 있고, 단말이 RRC 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표2의 1,7번)
● 단말이 관심 영역 내에 포함된 RAN 영역 내에 있는 경우 (표2의 7,8번)
관심 영역 밖 (OUT) (표2의 3,5,6번)
● 단말이 관심 영역을 포함한 등록 영역 내에 있으나, 관심 영역 밖에 있고 단말이 RRC 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표2의 3번)
● 단말이 관심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등록 영역이내에 있는 경우 (표2의 5,6번)
관심 영역 내 위치 모름 (UNKNOWN) (표2의 2,4번)
● 단말이 관심영역을 포함한 등록 영역 내에 있고 관심 영역이 전체 등록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단말이 RRC 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표2의 2,4번)
NG-RAN 은 단말 관심 영역내 존재 여부가 변경된 경우, AMF 에 이를 보고 한다. AMF 는 NG-RAN가 보고하는 단말 관심 영역내 존재 여부를 보고 받고, 변경 사항이 있는지 판단하여 단말 관심 영역 이동 여부를 결정한다.
NG-RAN은 RAN 노티페케이션 영역 (RAN Notification Area; RNA) 및 단말의 RRC 상태에 따른 단말 관심 영역 내 존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RAN 노티피케이션 영역 및 관심영역에 따른 분류 방법을 사용한다.
도 5의 영역 분류 방법과 단말의 RRC 상태에 따라서 NG-RAN 는 표 2에서 구분한 8가지 조건에서 단말의 관심영역 내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표 2]
Figure pct00002
<제 7 실시 예>
제 7 실시 예는 AMF 에서 종합적인 단말의 관심 영역 존재 여부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즉, 제 5 실시예에서의 결정 방법과 NG-RAN 이 RRC Inactive 상태를 지원하는 경우, AMF 가 NG-RAN 보고를 요청하고, NG-RAN 위치 보고를 보고 받는 AMF 가 단말의 관심 영역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MF 는 등록 절차, 핸드오버 절차, 단말이 CM-IDLE 상태에서 트리거하는 서비스 요청 절차 (UE Triggered Service Request in CM-IDLE), NG-RAN 위치 보고 절차, AN Release 절차에서 단말 관심 영역 이동 여부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관심 영역 안 (IN)
● 단말이 관심 영역 내에 있고, 단말이 CM-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제 4실시예의 표1의 1,7번).
● 단말이 관심 영역 내에 포함된 등록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제 4실시예 표1의 7,8번), 혹은
● AMF 가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하였고, NG-RAN 이 단말 관심 영역을 IN 이라고 보고한 경우 (제 5실시예의 표2의 1,7,8번)
관심 영역 밖 (OUT)
● 단말이 관심 영역을 포함한 등록 영역 내에 있으나, 관심 영역 밖에 있고 단말이 CM-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제 4 실시예의 표1의 3번).
● 단말이 관심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등록 영역이내에 있는 경우 (제 4실시예의 표1의 5,6번). 혹은
● AMF 가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하였고, NG-RAN 이 단말 관심 영역을 OUT 이라고 보고한 경우 (제 5실시예의 표2의 3,5,6번)
관심영역내 존재여부 모름(UNKNOWN)
● 단말이 관심영역을 포함한 등록 영역 내에 있고 관심 영역이 전체 등록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단말이 CM-IDLE 상태에 있는 경우 (제 4실시예의 표1의 2,4번) 혹은
● AMF 가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하여, NG-RAN 이 관심 영역을 UNKNOWN 이리고 보고한 경우 (제 5실시예의 표2의 2,4번)
<제 8 실시 예>
제 8 실시예는 성공적인 이벤트 가입이후, AMF 의 동작에 관련된 내용이다.
성공적인 이벤트 가입이후에 AMF 는 보고된 이벤트 개수와 같은 이동성 이벤트 보고 관련 통계를 관리하고 업데이트한다. AMF 는 보고될 이벤트에 대하여 이벤트 가입 정보 및 이벤트 보고 통계 정보에 따라 이벤트 가입의 종료를 결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보고 기간이 만료되거나, 보고된 이벤트 보고 개수가 최대 이벤트 보고 개수에 다다르거나 혹은 타겟 단말이 지정된 영역에 진입 혹은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이벤트 가입은 종료 될 수 있다.
만약 AMF 가 이벤트 가입의 종료를 결정하면, AMF 는 최종 이벤트 보고 지시자를 NF service consumer (혹은 event consumer NF, subscriber NF) 에게 전달한다. 참고로, NF service consumer 는 AMF의 이벤트 보고 서비스에 가입한 NF (Network Function) 을 의미하며, event consumer NF, subscriber NF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NF 는 SMF, PCF, NEF 등이 될 수 있다. NF service consumer 에게 마지막 이벤트 보고를 전달한 이후에, AMF 는 NF service consumer 로 부터의 unsubscription 요청을 기다리지 않고, NF service consumer 와의 연결 (TCP 연결 혹은 HTTP persistent connection) 혹은 연관 관계(association) 을 해지할 수 있다. 만일 이벤트 보고에 마지막 보고 지시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NF service consumer 는 AMF 에게 unsubscription 요청을 보내지 않고, 이벤트 가입을 해지 할 수 있다.
만약 NF service consumer 가 이벤트 가입 종료를 결정하면, NF service consumer 는 unsubscription 요청을 AMF 에 보내어 이벤트 가입을 해지 한다. AMF 가 NF service consumer 로 부터 unsubcription 요청을 받으면, AMF 는 이벤트 가입을 종료한다. 이벤트 가입을 종료한 후에 AMF 는 이전에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 했다면, 이를 취소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MF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AMF는 송수신부(610), 제어부(620) 및 저장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20)는 이벤트 보고 관련 정보를 통하여 이벤트 보고 가입 만료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보고 횟수가 3회인 경우, 상기 제어부(620)는 이벤트 보고 이후 이벤트 보고의 가입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620)는 상기 송수신부(610)를 제어하여 NG-RAN의 위치 보고가 필요한 경우 NG-RAN 위치 보고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NG-RAN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NG-RAN은 송수신부(710), 제어부(720) 및 저장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20)는 상기 송수신부(710)를 제어하여 AMF로 Location Report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단말 위치, 단말 관심영역에서의 존재 여부(UE Presence in Area Of Interest), 요청 참조 식별자, 그리고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NF service consumer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NF service consumer는 송수신부(810), 제어부(820) 및 저장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F service consumer는 SMF, PCF 또는 NEF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820)는 상기 송수신부(810)를 제어하여 Namf_EventExposure_Subscribe 메시지를 AMF로 보내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제공될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단말 이동성 이벤트 가입시, 이벤트 보고 조건과 이벤트 만료 조건이 포함된 가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 이동에 따른 이벤트 보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AMF는 만료 조건을 검사하고, 만료가 되는 경우, AMF는 최종 보고 지시자를 포함하여 가입한 NF 에 보고 하는 절차 수행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MF 는 단말에 대한 관심영역에 대한 보고를 수신한 경우, 등록 절차, 핸드오버 절차, 단말이 CM-IDLE 상태에서 트리거하는 서비스 요청 절차, NG-RAN 위치 보고 절차, AN Release 절차에서 단말의 CM 상태 및 등록 영역과 관심영역을 고려하여 단말의 관심 영역 존재 여부를 결정하고, 이의 변경을 보고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NG-RAN 이 RRC Inactive 상태를 지원하는 경우, AMF 가 단말에 대한 관심 영역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면, AMF는 NG-RAN 보고 요청을 통하여 NG-RAN 으로부터 단말의 관심영역내 존재 여부를 보고 받고, CM-CONNECTED 상태에서는 NG-RAN 으로부터 보고 받은 관심영역내 존재여부를 보고한다. 또한 NG-RAN은 CM-CONNECTED 상태에서 단말의 관심 영역 이동성 보고를 위하여 단말의 RRC 상태 및 RAN 노티피케이션 영역과 관심 영역을 고려하여 단말의 관심영역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MF는 단말 이동성 가입 절차에서 이벤트 보고 만료에 대한 조건을 수신하고, RAN이 RRC Inactive 를 지원하는 경우, CM-CONNECTED 상태에서의 단말의 위치 추적을 위하여 NG-RAN 위치 보고를 요청하고, 이동성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보고 만료 조건을 검사하고 최종 보고 여부를 판단한 후, 가입한 NF 에 발생된 이벤트를 보고한다. AMF는 보고시 최종 보고 여부를 표시한다. 최종 보고가 완료된 AMF 는 자발적으로 NF service consumer 와의 persistent 연결을 중단할 수 있다. 성공적인 보고 완료 이후, AMF는 보고 만료에 의하여 최종 보고가 수행된 경우 요청했던 NG-RAN 위치 보고를 취소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위치 보고를 요청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전송에 대응하여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CM(connection management) 연결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단말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에 있고, 상기 기지국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 상태에 있으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트래킹하기 위한 제3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N2 알림 절차를 요청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부에 있고 상기 단말이 상기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IN”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IN”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밖에 있고,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OUT”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OUT”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방법에 있어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으로부터, 위치 보고를 요청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MF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이 CM(connection management) 연결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정보는, 상기 AMF에 의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상기 단말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이고 상기 기지국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 상태이면, 상기 AMF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트래킹하기 위한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N2 알림 절차를 요청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부에 있고 상기 단말이 상기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IN”으로 결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IN”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밖에 있고,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OUT”으로 결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OUT”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으로, 위치 보고를 요청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메시지의 전송에 대응하여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및 상기 단말이 CM(connection management) 연결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단말의 존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에 있고, 상기 기지국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 상태에 있으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트래킹하기 위한 제3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N2 알림 절차를 요청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부에 있고 상기 단말이 상기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IN”으로 결정하고;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IN”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밖에 있고,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OUT”으로 결정하고; 및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OUT”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F.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으로부터, 위치 보고를 요청하기 위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및 상기 AMF로,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이 CM(connection management) 연결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정보는, 상기 AMF에 의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상기 단말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이고 상기 기지국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비활성 상태이면, 상기 AMF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를 트래킹하기 위한 제3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N2 알림 절차를 요청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부에 있고 상기 단말이 상기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IN”으로 결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IN”으로 결정되며,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 밖에 있고, 상기 단말이 CM 연결 상태이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OUT”으로 결정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관심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등록 영역 내부에 있으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상기 단말의 존재는 “OUT”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07028591A 2018-04-06 2019-04-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2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0213 2018-04-06
KR1020180040213 2018-04-06
PCT/KR2019/003876 WO2019194538A1 (en) 2018-04-06 2019-04-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rminal mobility event notific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35A true KR20200129135A (ko) 2020-11-17
KR102482415B1 KR102482415B1 (ko) 2022-12-29

Family

ID=6809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591A KR102482415B1 (ko) 2018-04-06 2019-04-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13212A1 (ko)
EP (1) EP3759954A4 (ko)
KR (1) KR102482415B1 (ko)
CN (1) CN111937419A (ko)
WO (1) WO20191945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370A (ko) 2022-06-10 2023-12-19 김소정 플라스틱 용기 튜브 고리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0686A (zh) 2017-02-06 2022-12-09 三星电子株式会社 基站、接入和移动性管理功能实体及其方法
US11075984B1 (en) * 2018-07-16 2021-07-27 Amazon Technologies, Inc. Workload management at streaming data service supporting persistent connections for reads
CN111245875B (zh) 2018-11-28 2022-03-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事件通知方法、设备、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11262893B (zh) * 2018-11-30 2022-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事件通知的方法、服务器设备、事件通知装置、介质
CN112511579A (zh) 2019-09-16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事件通知方法、系统,服务器设备、计算机存储介质
WO2021232410A1 (en) * 2020-05-22 2021-11-25 Nokia Shanghai Bell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porting behavior of target apparatus associated with geographical area
CN114615613A (zh) * 2020-11-25 2022-06-10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位置信息处理、上报方法、基站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4027838A1 (en) * 2022-08-05 2024-0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topping location report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3498D0 (en) * 2002-10-09 2002-11-13 Nokia Corp Provision of information regarding a mobile station
EP1588184A1 (en) * 2003-01-15 2005-10-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ject location information
US9509519B2 (en) * 2013-09-09 2016-1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8008944A1 (ko) * 2016-07-04 2018-01-1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등록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90116486A1 (en) * 2017-10-17 2019-04-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service in 5g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77850* *
3GPP S2-178874* *
3GPP S2-18025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370A (ko) 2022-06-10 2023-12-19 김소정 플라스틱 용기 튜브 고리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9954A4 (en) 2021-03-31
CN111937419A (zh) 2020-11-13
WO2019194538A1 (en) 2019-10-10
KR102482415B1 (ko) 2022-12-29
US20190313212A1 (en) 2019-10-10
EP3759954A1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41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이동성 이벤트 보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93669B1 (ko) 5g 셀룰러망의 세션 연속성 지원 방안
KR102336313B1 (ko) 네트워크 가상화 및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14865B1 (ko) 단말이 Temporary User ID(임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해 5G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안
US20180359795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protocol data unit se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11172405B2 (en) Method for checking change in wireless connection type of terminal in third-party application server
US11792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 area data network service based on non-subscription mod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5560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에 따라서 세션의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37350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configuration of terminal according to time or service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25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ransfer of mobile edge compu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667765A (zh) 无线通信系统中选择网络切片的方法和装置
KR20210136486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이용하여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EP3878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eauthentication of dn authorized pdu session and managing pdu session according to change of dn authorization data
KR102488913B1 (ko) 5g 단말과 네트워크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2300658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51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1646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poli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8067A (ko)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lte 및 nr 액세스간 트래픽 경로 제어를 위한 기구 및 방법
KR20200114932A (ko) NAS 프로토콜을 이용한 QoS 관리 방법 및 장치
RU277772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услуги локальной сет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на основе модели без подписк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230135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636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44205A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수립 방법 및 장치
KR20190132168A (ko) 사업자의 제한적인 서비스에 대한 망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300600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