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828A -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828A
KR20200128828A KR1020190052833A KR20190052833A KR20200128828A KR 20200128828 A KR20200128828 A KR 20200128828A KR 1020190052833 A KR1020190052833 A KR 1020190052833A KR 20190052833 A KR20190052833 A KR 20190052833A KR 20200128828 A KR20200128828 A KR 20200128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ic
storage stand
relic storage
fixe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2364B1 (en
Inventor
이영재
양경준
Original Assignee
뮤즈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뮤즈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뮤즈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364B1/en
Publication of KR2020012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03Suspended shelves, e.g. by means of supple elements
    • A47B43/006Suspended shelves, e.g. by means of supple elements fixed on cords, cables, wire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which prevents falling of a relic or overturning of a relic storage stand, when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lic storage stand where the relic is stored due to the influence of earthquakes or external vibrations, etc. The plurality of relic storage sta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including a shock-absorbing means capable of attenuating impact or vibration between them,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falling or shaking.

Description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본 발명은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이나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영향으로 유물이 보관된 유물 수장대에 전달될 시 유물 수장대의 전도나 유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개의 유물 수장대을 다른 유물 수장대에 서로서로 연결하는데, 서로 간의 충격이나 진동 감쇄할 수 있는 충격흡수 수단이 포함된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로 연결하여 넘어지거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installing an anti-seismic relic storage stand,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fall of the relic storage stand or the fall of the relic when the relic is transmitted to the relic storage stand in which the relic is stored due to an earthquake or external vibration. It is a seismic relic that can minimize a fall or shake by connecting several relic towers to each other to each other, and by connecting with a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that includes a shock absorbing means capable of damping each other's shock or vibration. It is about the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of a storage stand.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자국에서 보유하거나 새로이 발굴된 귀중한 문화재 및 유물을 보존하여 그 가치를 세계 여러 나라에 널리 알리고자 안전하게 보존 및 관리하기 위하여 각 나라에서는 해당 관련학계, 문화재 보존 박물관 및 문화재 보존과학분야 등에서 문화재 보관에 대하여 끊임없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preserve and manage valuable cultural assets and relics owned or newly discover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to spread their value t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each country preserves relevant academic circles, cultural assets conservation museums and cultural assets. Research is constantly being conducted on the storage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scientific field.

박물관이나 전시관 등에 전시되는 각종 유물을 포함한 문화재나 예술품 등은 햇빛, 온도, 습도 등의 자연적인 요인과 취급 및 보관 등의 부주의에 따른 외적 요인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특별한 유지 관리가 필요하며, 각 나라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 및 유물들을 진열장 내에 진열보관하거나, 문화재 수장고 내의 수장대에 수납하여 보관하고 있다.Cultural properties or art objects, including various relics displayed in museums or exhibition halls, may be damaged or damaged by natural factors such as sunlight, temperature, humidity, and external factors due to careless handling and storage, so special maintenance is required. In each country, cultural properties and relics are stored in display cases or stored in storage stands in the storage of cultural properties.

지진 발생 시 지진파의 진동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문화재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an earthquake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tect the cultural assets stored inside from the vibration of seismic waves.

특히, 종래의 수장고내 설치되는 수장대는 다수개의 칸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유물을 층층이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유물이나 전시품의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전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장고의 벽면 및 바닥면으로 작은 진동이라도 전달될 경우, 수장고 내에 위치하는 수장대 내에 보관된 각종 문화유산 즉, 귀중한 유물이 수장대으로부터 이탈되어 낙하할 우려가 있다.또한, 발굴 문화재는 극소수의 온전한 형태의 유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파손형태로 발굴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재는 오랜 시간에 걸친 복원작업을 통해 공개되고 있어, 지진 등에 의한 외력이 수장고 내 수장대에 전달될 경우, 수장대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별도의 완화수단이 없어 그 내부에 보관된 유물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storage stand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stor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nd is configured to store relics in layers, and the front is opened to facilitate handling and storage of various artifacts and exhibits. In the event that even a small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walls and floors of the store, there is a risk that various cultural heritages, that is, valuable relics stored in the storage rack, may fall off the storage rack and fall. In addition, very few excavated cultural assets are in complete form. Except for the relics, most of them have been excavated in the form of damage, and these cultural properties are being revealed through restor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so when external force from earthquakes is transmitted to the storage rack, the storage rack absorbs vibration. There is no separate mitigation measure that can be done, causing serious problems in the safety of the artifacts stored therei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9790호에는 유물이 보관되는 수장고용 수납장(100)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100)은 후단지지부(10)가 선단지지부(70) 보다 길이가 짧도록 형성되고, 후단지지부(10)에 낙하방지부(20)가 설치되되, 상기 낙하방지부(20)는, 수납장의 후단지지부(10)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25)을 구비하는 완충지지케이스(21)와, 후단지지부의 저면과 완충지지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받침스프링(22)과, 완충지지케이스(21)내로 삽입되는 후단지지부(10)의 일측면에 소정깊이로 형성된 스프링홀(11)내로 삽입되는 탄성스프링(23)과, 완충지지케이스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된 관통홀(26)을 통해 후단지지부의 스프링홀(11)내로 일측이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수평유지핀(24)을 포함하도록 하여, 진동 발생시, 탄성스프링(23)에 의해 수평유지핀(24)이 스프링홀(11) 및 관통홀(26)로부터 이탈되고, 수납장의 후단지지부(10)가 받침스프링(22)을 압축하면서 완충지지케이스(21)내로 삽입되어, 수납장(100)이 후단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물의 낙하 방지기능을 구비한 수장고용 수납장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1739790 discloses a storage cabinet 100 in which relics are stored; The storage cabinet 100 is formed such that the rear end support portion 10 is shorter than the front end support portion 70, and a fall prevention portion 20 is installed in the rear end support portion 10, and the fall prevention portion 20 ) Is a buffer support case 21 having a storage space 25 whose upper end is opened so that the rear end support portion 10 of the storage cabinet is inserted,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end support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uffer support case. The support spring 22 to be installed, the elastic spring 23 inserted into the spring hole 11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ide of the rear end support 10 inserted into the buffer support case 21, and a buffer support case By including a horizontal holding pin 24 installed so tha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spring hole 11 of the rear end support through the through hole 26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26 on one side of the, when vibration occurs, the elastic spring 23 The horizontal holding pin 24 is separated from the spring hole 11 and the through hole 26, and the rear end support portion 10 of the cabinet is inserted into the buffer support case 21 while compressing the support spring 22, There is disclosed a storage cabinet with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fall of artifacts, characterized in that 10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rear end direction.

다만, 상기 등록특허는 개별적인 수납장 내지 수장대에 대한 내진 설계에만 적용할 수 있을 뿐 다수의 수납장을 나란히 배치하는 전체적인 내진 레이아웃 설계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registered patent can only be applied to a seismic design for individual cabinets or cabinets, but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be applied to the overall seismic layout design in which a plurality of cabinets are arranged side by side.

한편, 최근에는 새로운 건축물, 박물관들을 건축할 때는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진설계 또는 면진 설계 등의 방법으로 설계부터 내진에 대한 대비를 건축물, 박물관에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오래전에 건축된 건축물이나 박물관은 내진 규정이 미비하거나 내진 규정이 적용된 건물이더라도, 건축물 내부에 구조물의 경우는 지진의 영향을 받아 유물 수장대(선반,랙)와 같이 높고, 폭이 좁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외력으로 쉽게 넘어질 수 있다. 특히 박물관 수장고 또는 도서관 등에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의 유물 수장대(선반,랙)을 나란하게 배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유물 수장대(선반,랙)이 넘어지면 인접하게 설치된 다른 유물 수장대(선반,랙)까지 도미노 현상으로 넘어질 수 있다. 진동에 민감한 유물 수장대(선반,랙)의 유물이나 설비 등이 전도나 충격 등으로 파손되는 일과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진 규정이 적용된 건물에서 면진 설계가 되어 있는 것을 도입하려 했으나, 기존 건물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 되고, 기존 내진 장치에 의하여 시공된 건물들에서도 수장고 바닥에 면진 장치를 도입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추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when building new buildings and museums, preparations for earthquake resistance from design through seismic design or seismic design are applied to buildings and museums to protect against earthquakes. However, even if a building or museum built a long time ago did not have a seismic resistance regulation or a seismic regulation was applied, an earthquake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side the building is as high and narrow as a relic storage stand (shelves, racks). You can fall easily with an external force such as. In particular, in a museum storage or a library, as shown in Figs. 7A and 7B, several relic storage stands (shelves, racks) are arranged side by side, so when one relic storage rack (shelf, rack) falls, it is adjacent. Other relics poles (shelves, racks) that are installed in such a way may fall due to the domino phenomenon. Relics sensitive to vibration Relics and equipment of storage stands (shelves, racks) may be damaged by fall or impact, and personal damage may occur. Conventional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s, it was attempted to introduce a seismic isolation design in a building to which the seismic regulation was appli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cost has to be additionally charged to introduce i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979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979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212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221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979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979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539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5396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13-0006798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013-000679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이나 외부 진동 등에 의한 영향으로 유물이 보관된 유물 수장대에 전달될 시 유물 수장대의 전도나 유물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개의 유물 수장대을 다른 유물 수장대에 서로서로 연결하는데, 서로 간의 충격이나 진동 감쇄할 수 있는 충격흡수 수단이 포함된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로 연결하여 넘어지거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all of the relics or the fall of the relics when the relics are transmitted to the relics holdings due to earthquakes or external vibrations. To prevent it, several relic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other relics, and they are connected with a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that includes a shock-absorbing means capable of attenuating each other's impact or vibration, thereby minimizing topples or shaking. It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installing seismic relics.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는 적어도 2개의 유물 수장대와; 이웃하는 유물 수장대를 연결하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각 유물 수장대는 한 쌍의 전방 기둥과, 상기 전방 기둥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 기둥으로 구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은 내부에 작동 유체가 충전된 피스톤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의 후방에 삽입 설치되어 인입, 인출되는 로드로 이루어지는 쇼크 업소바(shock absorber); 상기 피스톤 실린더 및 로드에 각각 연결된 제1, 2브라켓; 상기 제1, 2브라켓에 각각 연결된 제1, 2연결바; 및 상기 로드가 삽입된 피스톤 실린더와 인접하는 전단부는 상기 피스톤 실린더와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후단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seismic protection relic holder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relic holders; Includes; a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for connecting neighboring artifact poles, wherein each artifact pole includes a pair of front posts, a pair of rear post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posts, and the pillar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consists of a plurality of shelves spaced vertically apart between the parts, and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comprises a piston cylinder filled with a working fluid therein, and a rod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piston cylinder to be inserted and taken out. Shock absorber; First and second brackets connected to the piston cylinder and rod,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respectively; And a front end portion adjacent to the piston cylinder into which the rod is inserted, and a free end that is not fixed to the piston cylinder, and a rear end portion thereof is a coil spring fixed to the second brack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있어서, 제1연결바는 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의 후방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바는 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의 전방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ismic-proof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on bar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pillar of the relic storage unit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is the relic storage unit disposed in the rea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top of the front pill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있어서, 최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는 벽체에 고정하고, 최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을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ismic-proof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c storage stand arranged in the foremost is fixed to the wall, and the relic storage stand arranged in the rearmost position is fixed to the ceiling using a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있어서, 유물 수장대가 설치되는 바닥에는 유물 수장대의 각 기둥을 고정하는 바닥용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바닥용 브라켓은 전면과 후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양쪽 측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브라켓 몸체와, 상기 삽입홀과 상기 브라켓 몸체에 안착된 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홀부에 관통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기둥의 측면과 브라켓 몸체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ismic protection relic storage structure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or bracket for fixing each column of the relic storage st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relic storage stand is installed,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 of the floor bracket are inclined. It is made, and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a cylindrical bracket body with an open top, a rotation shaft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and a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seated in the bracket body, and the rotation shaft are inser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ide of the column and the side of the bracket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에 있어서, 전방 기둥과 후방 기둥의 상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의 제1연결바 또는 제1연결바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 또는 제2연결바를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한 다음, 상기 다수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이웃하는 유물 수장대 사이의 전후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ba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illar and the rear pillar, and the first connection bar of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or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bar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and after inserting the first connection bar or the second connection bar into the guide bar, a bolt is fasten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the adjacent relic storage stan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spacing between them is adjus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는 내진설계가 미비한 건축물이나 내진에 대한 대책이 미비한 건축물에서 다수의 유물 수장대를 매우 간단하게 상호 연결 할 수 있어서 유물 수장대(선반,랙)이 넘어지는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a seismic relic storag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in a structure with insufficient seismic design or in a structure with insufficient measures against seismic resistance. It can be interconnected so that it can prevent the relic storage stand (shelf, rack) from falling over.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유물 수장대를 어셈블리할 때 유물 수장대끼리 연결하는 커넥터에 서로 간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기 포함한 커넥터를 이용하여 서로서로 연결하여 어레이 설치하여 내진력이 향상으로 선반 위에 물건을 완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eismic power by installing an array by connecting to each other by using a connector including a shock absorber capable of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to a connector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relic holders. It has the effect of completely storing things on the shelf.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3과 대응하는 것으로서, 유물 수장대가 지진에 의한 충격을 받았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유물 수장대의 바닥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유물 수장대의 간격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반적인 유물 수장대가 지진 발생 시 예상 흔들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기존에 유물 수장고 내에 복수의 유물 수장대를 배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FIG. 1;
4A and 4B are diagrams corresponding to those of FIG. 3 and showing when the relic storage stand is impacted by an earthquake.
5 is a view showing the floor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lic storag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relic storag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view showing the expected shaking of a general relic storage station when an earthquake occurs, and FIG. 7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elic storage platforms are arranged in the existing relic storage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precedents of operato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과 대응하는 것으로서, 유물 수장대가 지진에 의한 충격을 받았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Figure 1, Figure 4a and FIG. 4B is a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3 and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relic storage stand is impacted by an earthquake.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100)는 크게 적어도 2개의 유물 수장대(110)와, 이웃하는 유물 수장대(110)를 연결하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120)을 포함한다.1 to 4B, the earthquake-resistant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ck-absorbing connector that connects at least two relic storage racks 110 and neighboring relic storage racks 110 It includes a module 120.

각 유물 수장대(110)는 한 쌍의 전방 기둥(112)과, 상기 전방 기둥(112)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 기둥(113)으로 구성되는 기둥부(111)와, 상기 기둥부(111) 사이에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115)으로 이루어진다.Each relic storage stand 110 includes a pair of front pillars 112, a pillar portion 111 composed of a pair of rear pillars 113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pillar 112, and the pillar portion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helves 115 disposed to be spaced apart vertically between (111).

그리고 각 유물 수장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폭이 전후 폭 보다 길게 구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유물 수장대(110)가 병설하여 배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each of the relics storage stands 110 has a left and right width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and a plurality of relics storage stands 11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실린더(122)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122)의 일측에 설치된 로드(123)로 이루어지는 쇼크 업소바(shock absorber)(121), 상기 피스톤 실린더(122) 및 로드(123)에 각각 연결된 제1, 2브라켓(124a,b), 상기 제1, 2브라켓(124a,b)에 각각 연결된 제1, 2연결바(125a,b) 및 상기 쇼크 업소바(121)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127)으로 구성된다.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120 is a shock absorber 121 comprising a piston cylinder 122 and a rod 12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ston cylinder 122 as shown in FIG. 2, First and second brackets 124a and 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iston cylinder 122 and rod 123,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125a and b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24a and b And a coil spring 127 installed on the shock absorber 121.

상기 피스톤 실린더(122)에는 내부에 작동 유체가 충전되어 로드(123)가 오른쪽으로 인출될 때에는 작동 유체가 충격을 감쇄시키면서 천천히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쇼크 업소바(121)는 자동차와 오토바이에서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서, 유압식 또는 가스식 쇼크 업소바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미 그 구조가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iston cylinder 122 is filled with a working fluid inside so that when the rod 123 is pulled out to the right, the working fluid is slowly pulled out while attenuating the impact.The shock absorber 121 is used in automobiles and motorcycles.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uspension, a hydraulic or gas shock absorber may b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structure is already well known.

상기 제1브라켓(124a)은 일단은 피스톤 실린더(122)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연결바(125a)에 고정되며, 제2브라켓(124b)은 일단은 로드(1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연결바(125b)에 고정된다.The first bracket 124a has one end fixed to the piston cylinder 122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first connection bar 125a, and the second bracket 124b has one end fixed to the rod 123 and the other end. 2 It is fixed to the connection bar (125b).

상기 제1연결바(125a)와 제2연결바(125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브라켓(124a,b)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볼트(B) 등의 체결부재로 브라켓(124a,b)과 고정되며, 볼트(B) 등의 체결부재로 유물 수장대(110)의 기둥에 고정된다.The first connection bar 125a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125b have a hollow pipe shap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24a and b can be inserted as shown in FIG. ) Is fixed to the brackets 124a and b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nd is fixed to the pillar of the relic storage stand 11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bolts (B).

그리고 상기 제1연결바(125a)는 이웃하는 2개의 유물 수장대(110) 중 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110)의 후방 기둥(113)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바(125b)는 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110)의 전방 기둥(112)의 상단에 고정된다.And the first connection bar (125a)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pillar 113 of the relic storage stand 110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two adjacent relic storage stand 110, the second connection bar (125b) )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pillar 112 of the relic storage stand 110 disposed at the rear.

상기 코일 스프링(127)은 상기 로드(123)가 삽입되되 상기 피스톤 실린더(122)와 인접하는 전단부(127a)는 상기 피스톤 실린더(122)와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후단부(127b)는 상기 제2브라켓(124b)에 고정된다.The coil spring 127 is the rod 123 is inserted, but the front end 127a adjacent to the piston cylinder 122 is a free end that is not fixed to the piston cylinder 122, and the rear end 127b is It is fixed to the second bracket (124b).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127)은 로드(123)가 오른쪽으로 인출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실린더(122)와 이격되고, 로드(123)가 왼쪽으로 인입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실린더(122)와 접하고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시켜 준다.Therefore, when the rod 123 is drawn to the right, the coil spring 127 is spaced apart from the piston cylinder 122 as shown in FIG. 4A, and when the rod 123 is drawn to the left, the piston It is in contact with the cylinder 122 and is compressed to absorb the impac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120)은 쇼크 업소바(121)의 복원력과 코일 스프링(127)의 압축력에 의해 지진에 의해 유물 수장대가 전후로 이동할 때 충격을 감쇄시켜 수납된 유물의 파손을 최소화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nuates the impact when the relic holder moves back and forth due to an earthquak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121 and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coil spring 127 and damages the stored artifact. Minimize

한편, 본 발명의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100)에서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120)을 이웃하는 유물 수장대(110)에 연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110a)는 연결부(11)를 이용하여 벽체(10)에 고정하고, 최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110c)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120)을 이용하여 천정(12)에 고정함으로써, 충격 흡수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ismic protection relic cabinet installation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impact-absorbing connector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relic cabinet 110, but also the relics arranged in the forefront as shown in FIG. The storage stand (110a) is fixed to the wall (10) using the connection part (11), and the relic storage stand (110c) disposed at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ceiling (12) using the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1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ximizes the shock absorption power.

최전방의 유물 수장대(110a)를 벽체에 고정하는 연결부(11)는 철재 바(bar)나 앙카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art 11 for fixing the foremost relic holder 110a to the wall may be composed of a steel bar or an anchor, or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means such as a spring.

상기 최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110c)를 고정하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120a)의 제1연결바(125a)는 천정(12)에 고정하고, 제2연결바(125b)는 후방 기둥(113)의 상단에 고정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연결바(125a)와 천정(12), 제2연결바(125b)와 후방 기둥(113)의 연결 부위에는 경첩, 힌지 등의 회동수단을 부가하여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수직으로 설치된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이 천정이나 유물 수장대에서 분리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nnection bar 125a of the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120a for fixing the relic holder 110c disposed at the rearmost side is fixed to the ceiling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125b is a rear pillar ( 113) may be fixed to the upper end, and although not shown, hinges, hinges, etc. may b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bar 125a and the ceiling 12, the second connection bar 125b and the rear pillar 113. It is desirable to add a rotating means of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installed vertically when a shock occurs so that it can absorb the shock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ceiling or the relic storage stand.

도 5는 본 발명의 유물 수장대의 바닥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floor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relic storag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100)에서는 바닥용 브라켓(15)을 이용하여 유물 수장대(110)를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ic storage stand 110 may be fixed using a floor bracket 15.

보다 구체적으로 유물 수장대(110)가 설치되는 바닥에는 유물 수장대(110)의 각 기둥(112,113)을 고정하는 바닥용 브라켓(15)이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a floor bracket 15 for fixing each of the pillars 112 and 113 of the relic holder 110 is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relic holder 110 is installed.

상기 바닥용 브라켓(15)은 적어도 전면과 후면이 경사면(151)으로 이루어지며 양쪽 측면(152)에는 삽입홀(152a)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브라켓 몸체(150)와, 상기 삽입홀(152a)과 상기 브라켓 몸체(150)에 안착된 기둥(112,113)의 하단에 형성된 홀부(114)에 관통하는 회동축(153)과, 상기 회동축(153)이 삽입되어 상기 기둥(112,113)의 측면(152)과 브라켓 몸체(15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스프링(155)으로 구성된다.The floor bracket 15 has at least a front and a rear side of which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151, and an insertion hole 152a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152, and an upper cylindrical bracket body 150 with an open top, and the insertion The pivot shaft 153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11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e 152a and the pillars 112 and 113 seated in the bracket body 150, and the pivot shaft 153 are inserted into the pillars 112 and 113 It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prings 155 disposed between the side 152 and the side of the bracket body 150.

상기 바닥용 브라켓(15)은 상기 유물 수장대(110)의 각 기둥(112,113)을 브라켓 몸체(150)에 고정하여 충격을 받더라도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되, 회동축(153)을 기준으로 유물 수장대(110)가 전,후의 경사면(151)까지 회동하도록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유물 수장대(110)가 충격에도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만일 유물 수장대의 바닥이 상기 바닥용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지 않는 경우, 유물 수장대는 상단만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완전히 쓰러지지는 않더라도 자유단인 유물 수장대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유물을 보호하는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지므로 바닥용 브라켓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or bracket 15 fixes each of the pillars 112 and 113 of the relic storage rack 110 to the bracket body 150 so that they cannot move even when they are impacted, bu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53 By providing a space so that the (110) rotates to the front and rear slopes (151), the relic storage stand (110) can stably store the relic without collapsing under impact. If the bottom of the relic storage stand is not rotatably fixed to the floor bracket, only the top of the relic storage stand is connected by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so even if it is not completely collapsed, the bottom of the relic storage stand, which is the free end, is free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floor bracket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achieve the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tect the artifact by rotating.

또한, 회동축 없이 유물 수장대의 기둥을 바닥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충격이 유물 수장대의 하측으로 집중되어 기둥이 파손되거나 바닥에서 분리, 이탈되면서 2차 충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기둥이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축과 경사면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pillars of the relic storage stand are fixed to the floor without a rotation axis, the impact is concentr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lic storage rack, and the column may be damaged or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floor, resulting in a secondary impact.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rotating shaft and an inclined surface so that it can rotate.

여기서 상기 스프링(155)은 브라켓 몸체(150)에 안착된 기둥(112,113)이 좌우 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때 충격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spring 155 serves to attenuate the impact when the pillars 112 and 113 seated on the bracket body 150 are impa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6은 본 발명의 유물 수장대의 간격을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relic storag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100)에서는 상기 전방 기둥(112)과 후방 기둥(113)의 상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홀(117a)이 형성되는 가이드바(11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120)의 제1연결바(125a) 또는 제2연결바(125b)에는 각각 상기 체결홀(117a)에 대응하는 결합홀(126)이 형성된다.6, in the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7a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pillar 112 and the rear pillar 113 Bar 117 is installed. In addition, a coupling hole 126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17a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bar 125a or the second connection bar 125b of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120, respectively.

상기 제1연결바(125a) 또는 제2연결바(125b)를 상기 가이드바(117)에 삽입한 다음, 상기 다수의 체결홀(117a) 중 어느 하나와 결합홀(126)에 볼트(B)를 체결함으로써 이웃하는 유물 수장대(110) 사이의 전후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inserting the first connection bar 125a or the second connection bar 125b into the guide bar 117, a bolt (B)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7a and the coupling hole 126 By fastening 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spacing between the neighboring relics stand 110 is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not departing from.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
110 : 유물 수장대 111 : 기둥부
112 : 전방 기둥 113 : 후방 기둥
114 : 홀부 115 : 선반
117 : 가이드바 117a : 체결홀
120 :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 121 : 쇼크 업소바
122 : 피스톤 실린더 123 : 로드
124a,b : 제1, 2브라켓 125a,b : 제1, 2연결바
126 : 결합홀 127 : 코일 스프링
127a,b : 전단부, 후단부
10 : 벽체 11 : 연결부
12 : 천정 13 : 바닥
15 : 바닥용 브라켓 150 : 브라켓 몸체
151 : 경사면 152 : 측면
152a : 삽입홀 153 : 회동축
155 : 스프링 B : 볼트
100: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110: relic storage stand 111: pillar
112: front pillar 113: rear pillar
114: hole 115: shelf
117: guide bar 117a: fastening hole
120: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121: shock absorber
122: piston cylinder 123: rod
124a,b: 1st and 2nd bracket 125a,b: 1st and 2nd connecting bar
126: coupling hole 127: coil spring
127a,b: front end, rear end
10: wall 11: connection
12: ceiling 13: floor
15: floor bracket 150: bracket body
151: slope 152: side
152a: insertion hole 153: pivot shaft
155: spring B: bolt

Claims (5)

적어도 2개의 유물 수장대와;
이웃하는 유물 수장대를 연결하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며,
각 유물 수장대는,
한 쌍의 전방 기둥과, 상기 전방 기둥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 기둥으로 구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은,
내부에 작동 유체가 충전된 피스톤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실린더의 후방에 삽입 설치되어 인입, 인출되는 로드로 이루어지는 쇼크 업소바(shock absorber); 상기 피스톤 실린더 및 로드에 각각 연결된 제1, 2브라켓; 상기 제1, 2브라켓에 각각 연결된 제1, 2연결바; 및 상기 로드가 삽입된 상기 피스톤 실린더와 인접하는 전단부는 상기 피스톤 실린더와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후단부는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
At least two antiquities poles;
Includes; a shock-absorbing connector module for connecting the neighboring relics poles,
Each relic tower,
It consists of a pair of front pillars, a pillar portion consisting of a pair of rear pillar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pillar, and a plurality of shelves disposed vertically spaced between the pillar portions,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 piston cylinder filled with a working fluid therein, and a rod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piston cylinder to be inserted and taken out; First and second brackets connected to the piston cylinder and rod,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respectively; And a front end adjacent to the piston cylinder into which the rod is inserted, and a free end that is not fixed to the piston cylinder, and a coil spring fixed to the second bracket at a rear end thereof.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는 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의 후방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연결바는 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의 전방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nection bar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column of the relic storage unit arranged in the front,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lumn of the relic storage unit arranged in the rear. The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of a stand.
제1항에 있어서,
최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는 벽체에 고정하고,
최후방에 배치된 유물 수장대는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을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ic tower placed in the forefront is fixed to the wall,
An anti-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ic storage stand disposed at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ceiling using a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물 수장대가 설치되는 바닥에는 유물 수장대의 각 기둥을 고정하는 바닥용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바닥용 브라켓은,
전면과 후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양쪽 측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브라켓 몸체와, 상기 삽입홀과 상기 브라켓 몸체에 안착된 기둥의 하단에 형성된 홀부에 관통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기둥의 측면과 브라켓 몸체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floor bracket for fixing each pillar of the relic storage st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relic storage stand is installed,
The floor bracke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made of inclined surfaces, and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a cylindrical bracket body with an open top, a rotation shaft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and a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seated in the bracket body, A seismic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into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colum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racke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기둥과 후방 기둥의 상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바가 설치되며,
상기 충격흡수 커넥터 모듈의 제1연결바 또는 제1연결바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바 또는 제2연결바를 상기 가이드바에 삽입한 다음, 상기 다수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이웃하는 유물 수장대 사이의 전후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유물 수장대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 guide ba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illars,
Each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bar or the first connection bar of the shock absorbing connector module,
Inserting the first connecting bar or the second connecting bar into the guide bar, and then fastening a bolt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nd a connecting hole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distance between adjacent relics Jinyong relic storage stand installation structure.
KR1020190052833A 2019-05-07 2019-05-07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KR102242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33A KR102242364B1 (en) 2019-05-07 2019-05-07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33A KR102242364B1 (en) 2019-05-07 2019-05-07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28A true KR20200128828A (en) 2020-11-17
KR102242364B1 KR102242364B1 (en) 2021-04-20

Family

ID=7364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33A KR102242364B1 (en) 2019-05-07 2019-05-07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36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968B2 (en) * 1978-09-27 1986-05-02 Oriental Photo Ind Co Ltd
KR20130006798U (en) 2012-05-17 2013-11-27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Bookshelf for library and Conecting type bookshelf assembly using the same
JP2016047197A (en) * 2014-08-28 2016-04-07 Kyb株式会社 Fall prevention device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KR101722122B1 (en) 2016-11-03 2017-04-03 (주)에스케이엘엠스 Museme storage having the function of vibration isolation
KR101739790B1 (en) 2017-02-17 2017-05-26 (주)에스케이엘엠스 Cabinets for storage
KR101857879B1 (en) * 2016-11-18 2018-05-15 뮤즈플러스 주식회사 Seismic Ra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6968B2 (en) * 2013-03-29 2017-04-19 鹿島建設株式会社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rack shel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968B2 (en) * 1978-09-27 1986-05-02 Oriental Photo Ind Co Ltd
KR20130006798U (en) 2012-05-17 2013-11-27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Bookshelf for library and Conecting type bookshelf assembly using the same
JP2016047197A (en) * 2014-08-28 2016-04-07 Kyb株式会社 Fall prevention device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KR101722122B1 (en) 2016-11-03 2017-04-03 (주)에스케이엘엠스 Museme storage having the function of vibration isolation
KR101857879B1 (en) * 2016-11-18 2018-05-15 뮤즈플러스 주식회사 Seismic Rack
KR101739790B1 (en) 2017-02-17 2017-05-26 (주)에스케이엘엠스 Cabinets for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364B1 (en)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487B1 (en) Damping device equipped with seismic isolaion devices
CN110080382B (en) Anti-seismic fabricated house
JP6758665B2 (en) container
SK2012000A3 (en) Earthquake protection consisting of vibration-isolated mounting of buildings and objects using virtual pendulums with long cycles
KR101781131B1 (en) Distribution board with function rolling type earthquake proof
KR102050497B1 (en) Rack cabinet for earthquake-proof
US9506265B1 (en) Cross-type earthquake platform
KR101569872B1 (en) Earthquake proof bookshelf
JP2016172953A (en) Impact absorber
CN106931069B (en) Based on gyroscopic anti-torsion apsacline three-dimensional shock insulation device
US6364274B1 (en) Seismic isolator for exhibits
KR102242364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cultural assets for earthquake prevention
KR101739790B1 (en) Cabinets for storage
CN212743002U (en) Anti-seismic house structure
KR20100104292A (en) 3way viewing type display case
TWI551527B (en) Vibration-proof structure of accommodation shelves
KR102454855B1 (en) Exhibition showcases with seismic isolation function
JP5546262B2 (en) Nuclear fuel storage rack
KR20180109577A (en) Damper for earthquake-resistant of wooden structure and contruction method for the same
JP3951865B2 (en) Seismic control structure of column base
JP2001107321A (en) Falling stone preventive method by pocket type covering net
KR101857879B1 (en) Seismic Rack
KR102210420B1 (en) Wooden house with seismic structure
TW201425175A (en) Goods storage rack
KR101757701B1 (en) Switchboard having earthquake proo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