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823A -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823A
KR20200128823A KR1020190052808A KR20190052808A KR20200128823A KR 20200128823 A KR20200128823 A KR 20200128823A KR 1020190052808 A KR1020190052808 A KR 1020190052808A KR 20190052808 A KR20190052808 A KR 20190052808A KR 20200128823 A KR20200128823 A KR 20200128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tray
activation process
manufactur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세종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5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823A/en
Publication of KR2020012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tray which is manufactured by a vacuum-molding method, and can also be used in an activation process unlike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s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Since the battery cell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the vacuum-molding method, cost and time can be reduced compared to a tray for a conventional activation proces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storage and removal of battery cells are easy, and defects such as stamping do not occur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s changes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and stability is excellent even when a large amount of the battery cells are stored and transferred.

Description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전지셀 활성화 공정에서 전지셀을 수납하기 위한 전지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전지셀 트레이 및 진공 성형을 이용한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tray for accommodating a battery cell in a battery cell activation process, and more specifically, to a battery cell tray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using vacuum forming. .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이 상승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고, 특히,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As the price of energy sources rises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s, the demand for eco-friendly alternative energy sources is becoming an indispensable factor for future life. In particular, technology development for mobile devices As the demand and demand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의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Typically, in terms of the shape of the battery, there is a high demand for prismatic secondary batteries and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with a thin thickness. In terms of materials, lithium-ion batteries with high energy density, discharge voltage, and output stability, There is high dema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적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사용량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 pouch-type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type or stack/folding-typ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low weight, and easy shape transformation.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파우치형 전지셀은 양극, 분리막, 음극을 적층하여 제조되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수납된다. 각각의 양극 및 음극은 전극 탭들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 탭들에 외부로 인출되는 전극 리드가 연결된다.The pouch-type battery cell accommodates a stack-type or stack-folding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stacking a positive electrode, a separator, and a negative electrode.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electrode tabs, and electrode leads drawn out to the outside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상기 전극 탭 및 전극 리드가 연결된 전극조립체를 파우치 형태의 전지케이스에 수납한 다음 전해액을 주입하고. 전극 리드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를 밀봉하여 파우치형 전지셀을 제조한다.The electrode assembly to which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lead are connected is accommodated in a pouch-shaped battery case, and then an electrolyte is injected. A pouch-type battery cell is manufactured by sealing the battery case while a part of the electrode lead is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지케이스는 파우치 형태 이루어져 가공이 용이하여, 전극조립체의 크기나 형태에 따른 제약이 적으며, 전지셀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전지셀은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자동차 전지에도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as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is formed in a pouch shape to facilitate processing, so that there are few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size or shape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space inside the battery cell can be efficiently used. Accordingly, the pouch-type battery cell has high energy density and can be processed in various forms, and has recently been used in automobile batteries in various forms.

일반적인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의 제조과정에서 활성화 과정을 거치는바, 상기 활성화 과정은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에 소정의 전압까지 전류를 인가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활성화를 위한 초기 충방전 과정에서 전극의 표면에 보호 피막을 형성하게 되고 일부 전해액이 분해되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한다.A typ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undergoes an activation process in a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activation process is a process of applying a current to a predetermined voltage to an electrode assembly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During the initial charging/discharging process for activation, a protectiv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nd some electrolyte is decomposed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gas.

그런데, 파우치형 전지셀의 경우 밀봉된 상태에서 활성화 공정이 진행되므로, 발생한 가스로 인해 전지셀이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충방전 후 탈기 공정을 거쳐 부반응으로 인한 전지셀 내부의 가스를 배출한 후 다시 밀봉 과정을 거쳐 이차전지의 완제품을 생산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uch-type battery cell, since the activation process proceeds in a sealed state, a swell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battery cell swells due to the generated gas. Accordingly, after charging and discharging, gas inside the battery cell is discharged through a degassing process and then sealed again to produce a finished product of the secondary battery.

도 1을 참조하면 활성화 공정 전 조립된 파우치형 전지셀(10)은 내부에 전극조립체(11)을 수납하고 있으며, 전극조립체에 연결된 전극 리드(12)가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파우치의 전극조립체 외주변 잉여부를 융착하여 전지셀을 제조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pouch-type battery cell 10 assembled before the activation process houses an electrode assembly 11 therein, and an electrode lead 12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is drawn out of the battery case. In this state, a battery cell is manufactured by fusing the excess part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uch.

이때 상기 잉여부를 융착하여 형성된 실링부(13)는 전극조립체(11)가 수납된 부위보다 두께가 얇으며, 그로 인해 파우치형 전지셀의 전극조립체(11)가 수납된 부위와 실링부(13)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aling portion 13 formed by fusion bonding the excess portion is thinn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accommodated, and thus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assembly 11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and the sealing portion 13 There is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m.

한편, 조립된 파우치형 전지셀은 전지셀 트레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충방전을 통한 활성화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파우치형 전지셀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활성화 공정 중 전지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므로, 필연적으로 두께 변화가 나타난다. 따라서, 활성화 공정에 사용되는 전지셀 트레이는 활성화 공정 중 전지셀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제작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assembled pouch-type battery cell undergoes an activation process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while being accommodated in a battery cell tray. However, in the pouch-type battery cell, since gas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ickness change inevitably appears. Therefore, the battery cell tray used in the activation process must be manufactured in response to the thickness change of the battery cell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8-0007854호(특허문헌 1)에서는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를 제시하고 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07854 (Patent Document 1) proposes a battery cell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상기 전지셀 트레이는 상부가 개방되어 전지셀이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전지셀의 두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트레이 수납부 내벽의 폭이 전지셀의 두께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다. 다만, 이 경우 삽입된 전지셀이 기울거나 쓰러질 수 있으므로, 푸셔 패널이 양측에서 전지셀에 면접하여 전지셀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기 푸셔 패널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전지셀의 두께가 변화하여도 스프링 길이가 변화하면서 전지셀에 지속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전지셀이 기울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attery cell tray has an open top so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inserted vertically, and the width of the inner wall of the tray accommodating part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so a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inserted battery cell may be tilted or collapsed, the pusher panel interviews the battery cell from both sides and supports the battery cell so that it does not collapse. The pusher panel is equipped with a spring, and the spring length changes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is changed and a constant pressur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battery cell, thereby maintaining the battery cell from inclining or falling.

상기한 종래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는 두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으로서, 통상적인 트레이에 비하여 부품이 다양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각 부품들이 사출 성형으로 제조된 후 추가로 조립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따라서, 트레이의 생산 단가가 높으며, 제조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The battery cell tray for the conventional activation process is specially designed to cope with the change in thickness, and has a variety of parts and a complex structure compared to a conventional tray, and each part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d then undergoes an additional assembly process. Complete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tray is high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also long.

또한, 종래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는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일반적인 전지셀 트레이 대비 수납 및 탈거가 까다롭고, 위치 편차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활성화 공정 이후 이루어지는 전지셀의 대량 이송, 조립 및 검사 공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활성화 공정 이후에는 통상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 별도의 전지셀 트레이에 전지셀을 다시 수납한 후 나머지 공정을 진행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is difficult to accommodate and remove compared to the general battery cell tray due to its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is easy to occur. Therefore, the mass transfer, assembly and inspection process of the battery cell after the activation process Inappropriate. Therefore, after the activation process, the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again in a separate battery cell tray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the remaining processes are performed.

즉, 활성화 이후 공정에서는 수납과 이송이 용이하고, 이송 중에도 안정적으로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전지셀 트레이가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트레이는 진공 성형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ost-activation process, a simple type of battery cell tray that is easy to receive and transport and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storage state during transport is used. In this case, the tray used may be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진공 성형 방법은 플라스틱 소재로 압출한 원단에 진공을 인가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 때 목적하는 모양의 금형을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성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트레이는 비용이 저렴하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형태는 제조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vacuum forming method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 vacuum to a fabric extruded from a plastic material,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ld into a desired shape using a mold having a desired shape. The tray manufactured by the vacuum form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inexpensive and can be manufactured quickly, bu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manufacture a complex shape.

또한,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트레이는 활성화 공정 중 파우치형 전지셀이 팽창함에 따라 외관에 찍힘 등 불량을 유발하므로,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전지셀의 두께 팽창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납부의 폭을 넓게 설계하더라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활성화 공정을 마치고 가스 제거 고정(degas)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전지셀들을 이송하는 도중에 외부 충격에 의해 전지셀들이 쉽게 트레이로부터 이탈되거나, 전지셀들이 수납된 상태에서 높은 빈도로 유동하여 전지셀들이 손상되는 일들로 인해 전지셀의 외관이 손상되거나 내부 구성들이 손상되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ay manufactured by the vacuum forming method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because the pouch-type battery cell expands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causing defects such as stamping on the exterior. Even if the width of the storage part is designed to be wide to cope with the expansion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s, a fixing member for fixing is not separately provided, so during the transfer of the battery cells to complete the activation process and perform the degas process. The battery cells may be easily removed from the tray due to external shock, or the battery cells may be damaged due to high frequency flow while the cells are stored, resulting in damage to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cells or damage to the internal components. .

한국공개특허 제2018-000785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07854 한국공개특허 제2018-003818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38181

본 발명은 종래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의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 대비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진공 성형 방식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injection molding, and to provide a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vacuum molding metho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save cost and time compared to the prior art. d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전지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는 전지셀을 고정하기 위한 곡면 형태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having an open top so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inserted, and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curved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attery cells.

이때, 상기 장착부에는 장착부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지셀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는 장착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전지셀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정부는 전지셀에 접하기 위하여 외주면이 볼록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ttery cells are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at least one pai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to fix the battery cells. Accordingly, the fixing portion may have a convex curved outer peripheral surface to contact the battery cell.

즉, 상기 장착부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전지셀이 수직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전지셀 하단은 장착부의 내측면에 있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부는 전지셀 장착부 내측면의 하단에 한 쌍 구비되어 삽입된 전지셀을 양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각 고정부는 서로 대향하는 곡면 사이의 거리가 전지셀의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cell is vertically inserted from the open top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inserted battery cell lower end is fixed by a fixing par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A pair of fixing units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battery cell mounting unit to effectively fix the inserted battery cells on both sides. To this end, a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pair of fixing portions may be gradually narrow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cells are inserted.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지셀 장착부에 삽입된 전지셀의 일 측면 및 그 대향 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지셀이 장착부에 삽입된 후 전지셀의 일 측면 및 대향하는 다른 측면은 장착부 내측면에 고정부에 접하면서 고정된다. The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cts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battery cell mounting part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That is, after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battery cell ar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xing portion on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이때, 상기 전지셀 두께와 장착부 상부의 개방된 폭의 비는 1 : 1.1 내지 1 :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 상부는 전지셀 삽입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데, 이때, 장착부 상부의 개방된 폭의 비는 도 8의 측단면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 내측면 중 고정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가장 좁은 폭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비율이 1 : 1.1 미만인 경우 전지셀을 삽입이 까다로울 수 있으며, 활성화 공정에서 전지셀이 팽창함에 따라 전지셀 자체가 트레이에서 이탈하거나, 찍힘 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이 1 : 2를 초과하는 경우 전지셀의 고정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송 중 전지셀이 기울거나 쓰러질 우려가 있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pen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preferably 1: 1.1 to 1: 2.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is open to insert the battery cell, in which case, the ratio of the open width of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is based on the narrowest width of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part excluding the fixed part as shown in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 If the ratio is less than 1:1.1, it may be difficult to insert the battery cell, and as the battery cell expands in the activation process, the battery cell itself may come out of the tray or defects such as stamping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ratio exceeds 1:2, it may be difficult to fix the battery cell,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battery cell may tilt or collapse during transport.

상기 전지셀 두께와 장착부 상부의 개방된 폭의 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내지 1 : 1.5일 수 있다. 전지셀 수납 용이성 및 활성화 공정 및 이송 중 안정성을 고려할 때 상기 범위인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pen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may be more preferably 1:1.3 to 1:1.5. It is more preferable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when considering the ease of storage of the battery cell and stability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and transport.

한편, 상기 고정부는 곡면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의 곡률 반경은 25 내지 70mm일 수 있다. 곡률 반경이 25mm 미만인 경우, 활성화 공정 중 전지셀이 팽창함에 따라 찍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곡률 반경이 70mm를 초과하는 경우 수납된 전지셀이 기울거나 쓰러져 트레이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part has a curved shape, and in this case,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xing part may be 25 to 70 mm. If the radius of curvature is less than 25mm, a stamping phenomenon may occur as the battery cell expands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and if the radius of curvature exceeds 70mm, the housed battery cell may be tilted or collapsed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tray.

한편, 상기 고정부의 곡률 반경이 35 내지 50mm인 경우, 전지셀 두께 변화에도 외관의 찍힘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전지셀이 트레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xing part is 35 to 50 mm,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does not appear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is changed, and the battery cell is stably fixed to the tray, which is most preferable.

한편,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진공 성형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장착부 및 장착부 내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로 인해, 금형을 이용하여 압출된 플라스틱 원단에 진공을 인가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종래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 대비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ounting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Due to this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y applying a vacuum to the extruded plastic fabric using a mold and molding it,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compared to the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manufactured by conventional injection molding. I can make it.

또한,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전지셀 활성화 공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수납 및 탈거가 간편하고 이송 중 안정성도 우수하여 활성화 공정 이후에도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use in the battery cell activation process, and it is easy to receive and remove, and has excellent stability during transport, so that it can be used even after the activation process.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플라스틱 소재의 원단을 압출하는 단계;Extruding a plastic material;

상기 압출된 원단을 진공 성형하여 전지셀을 수납하는 장착부 및 A mounting part for housing a battery cell by vacuum forming the extruded fabric, and

전지셀을 고정하는 곡면 형태의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curved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attery cell.

즉, 먼저 진공 성형 방법에 적합하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용융 압출한 다음, 금형을 이용하여 진공을 인가하면서 성형한다, 이때, 전지셀을 수납하기 위한 장착부를 성형하면서, 장착부 내측면 하단부위에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태의 고정부를 장착부와 동일하게 진공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진공 성형에 의한 장착부와 고정부의 형성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 방향에서 각각 장착부와 고정부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first, a plastic material suitable for the vacuum forming method and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is melt-extruded and then molded while applying a vacuum using a mold.At this time, while forming the moun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The curved fix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may be formed by applying a vacuum in the same manner as the mounting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sequentially by the vacuum forming, and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용융 압출을 위한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공 성형에 적합한 소재라면 상기한 소재 외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의 장착부 및 고정부는 상기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plastic material for melt extrusion is preferably a synthetic resin in which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styrene, polypropylene, an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is used, but a material suitable for vacuum molding Ramen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 materials. Therefore,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of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전지셀 트레이는 종래의 진공 성형 트레이와는 달리 활성화 공정에서 사용하여도 찍힘, 눌림, 트레이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공정 도중 트레이를 이송하더라도 전지셀이 잘 기울지 않아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지셀 트레이를 이용하여 전지셀 활성화 공정을 진행할 경우 외관이나 성능 결함이 없는 우수한 품질의 전지셀을 얻을 수 있다.Unlike conventional vacuum forming trays, the battery cell tray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stamping, pressing, and tray separation even when used in the activation process, and the battery cells do not tilt well even if the tray is transferred during the process. It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stability. Therefore, when the battery cell activ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battery cell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cell of excellent quality can be obtained without defects in appearance or performance.

본 발명에 의한 전지셀 트레이는 전지셀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로 활용이 가능하며,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전지셀의 수납 및 탈거가 용이하고, 활성화 공정 중 전지셀의 두께 변화에도 찍힘 등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지셀을 대량으로 수납하여 이송할 시에도 안정성이 우수하다.The battery cell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of a battery cell, and can be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thereby reducing cost and time. In addition, storage and removal of the battery cells are easy, and defects such as stamping do not occur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s change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and stability is excellent even when a large amount of battery cells are stored and transferred.

도 1은 파우치형 전지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트레이에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트레이에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트레이에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에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에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에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의 측단면도 및 장착부 상부의 폭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도 9는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진공 성형 트레이를 이용하여 활성화 공정을 수행한 후 외관 불량이 나타난 전지셀의 사진이다.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pouch-type battery cell.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a conventional tray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a conventional tray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a conventional tray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a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a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uch-type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a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vacuum forming method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10 is a photograph of a battery cell in which appearance defects appear after an activ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vacuum forming tra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and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named as a first component.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or any further features,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above",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below",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bove" may include a case where it is disposed not only above but also below.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곡률"이란 대상의 휘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대상이 직선 형태라면 곡률 값은 0이 되며, 대상의 휘어진 정도가 클수록 곡률 값도 크게 나타난다. 한편, "곡률 반경"이란 곡선을 연장하여 생성된 원의 반지름을 의미하며, 곡률과는 서로 역수 관계에 있다. 통상 곡률 반경의 단위는 mm로 나타내며 R로 표시하기도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urvature" means the degree of curvature of an object. Therefore, if the object has a straight line shape, the curvature value becomes 0, and the larger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object, the larger the curvature value appears. Meanwhile, the "curvature radius" means the radius of a circle created by extending a curve, and has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curvature. In general, the unit of the radius of curvature is expressed in mm and also expressed as R.

가령 곡률 반경이 25mm인 경우. 곡선을 연장하여 생성된 원의 반지름이 25mm인 것을 의미한다. 이때, 곡률은 곡률 반경의 역수인 1/25mm가 된다. For example, if the radius of curvature is 25 mm. It means that the radius of the circle created by extending the curve is 25mm. At this time, the curvature is 1/25mm, which is the reciprocal of the radius of curvature.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전지셀 활성화 공정에 사용되는 전지셀 트레이,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 대비 트레이의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활성화 공정 중 충방전에 의한 전지셀 팽창에도 찍힘, 눌림, 트레이로부터의 위치 이탈, 탈거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전지셀 트레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ell tray used in a battery cell activation process for a secondary battery, specifically, a battery cell by charging and discharging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of the tra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It provides a battery cell tray that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stamping, pressing, dislocation from the tray, and poor removal even in expansion.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던 종래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 대비 간단한 진공 성형의 방법으로 빠르게 트레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manufacture a tray by a simple vacuum forming method compared to a tray for a conventional activation process that wa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Hereinafter, a battery cell tra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전지셀, 특히 파우치형 전지셀을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로서, 이차전지 제조 공정 중 전지셀의 활성화, 검사, 조립 및 출하 공정에 이르기까지 활용될 수 있다.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for accommodating a battery cell, particularly a pouch-type battery cell, and can be utilized from activation, inspection, assembly, and shipping of a battery cell during a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파우치형 전지셀은 파우치 형태의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고 있다.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분리막이 적층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전극 탭 및 전지셀 외부로 인출되는 전극 리드와 연결된다.The pouch-type battery cell houses an electrode assembly in a pouch-shaped battery case.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a stack type or a stack-fold typ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are stacked,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and an electrode lead drawn out of the battery cell.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10)은 내부에 양극, 음극,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11)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의 단부에는 전극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탭 다발은 전지셀(10) 외부로 인출되는 전극 리드(12)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a pouch-type battery cell 10 has an electrode assembly 11 made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side. An electrode tab is formed at an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bundle of electrode tabs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lead 12 drawn out of the battery cell 10.

파우치형 전지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11)를 수납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전극리드(12)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전지케이스를 밀봉한다. 전극조립체(11)를 수납한 후 전지케이스의 잉여부를 융착하여 밀봉하게 되며, 상기 융착된 잉여부가 실링부(13)를 형성하게 된다.In order to manufacture a pouch-type battery cell,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hous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an electrolyte is injected, and then the battery case is sealed with the electrode lead 12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accommodated, the excess part of the battery case is fused and sealed, and the fused excess part forms the sealing part 13.

상기 제조된 전지셀(10)은 활성화 공정을 위해 전지셀 트레이에 수납된다. 활성화 공정 중에는 전지셀의 충방전이 이루어지며, 이때, 밀봉된 전지셀 내부에서 부반응에 의한 가스가 발생한다. 이 가스로 인하여 전지케이스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활성화 공정에 사용되는 전지셀 트레이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두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The manufactured battery cell 10 is accommodated in a battery cell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the battery cells are charged and discharged, and at this time, gas due to side reactions is generated inside the sealed battery cells. This gas causes a swelling phenomenon in which the battery case swells. Therefore, the battery cell tray used in the activation process must be able to cope with the thickness change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트레이에 수납된 전지셀의 두께가 변화함에 따라, 도 10의 사진과 같은 전지셀의 눌림 또는 찍힘 현상이나 트레이로부터의 이탈 등 다양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활성화 공정에 사용되는 전지셀 트레이는 통상의 전지셀 트레이에 비해 복잡한 구조로 설계된다.As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tray changes, various defects such as pressing or stamping of the battery cells as shown in the picture of FIG. 10 or separation from the tray may occur.To prevent this, the conventional activation process used The battery cell tray is designed in a more complex structure than a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반면, 활성화 공정 외 다른 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지셀 트레이는 전지셀의 크기 및 두께에 대응하여 수납 및 탈거가 용이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로 제조 비용이 낮고 빠르게 제조가 가능한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ell tray, which is commonly used in processes other than the activation process, has a simple structure that is easy to receive and remove according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Therefore, it is mainly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that has low manufacturing cost and can be manufactured quickly.

도 2 내지 4는 통상적인 공정에서 사용되는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종래의 전지셀 트레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2 to 4 are front, side and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used in a conventional process.

먼저 도 2의 정면도를 보면, 도 1에 도시한 파우치형 전지셀(10)이 전지셀 트레이(100)에 수납되어 있다. 전지셀 트레이 정면에는 자동화 공정에서 로봇 암에 의한 전지셀 수납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사다리꼴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First, looking at the front view of FIG. 2, the pouch-type battery cell 10 shown in FIG. 1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ell tray 100. In the front of the battery cell tray, a trapezoidal groove is formed to facilitate the storage and removal of battery cells by the robot arm in an automated process.

다음으로 도 3은 전지셀(10)이 전지셀(100) 트레이에 수납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전지셀 트레이의 상부에는 전지셀을 수납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전지셀 장착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지셀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한편 전지셀 중 전극조립체가 수납된 부분과 실링부에 단차가 있으므로, 전지셀 실링부에 대응하는 홈이 장착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Next,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ttery cell 10 as viewed from the side when the battery cell 10 is accommodated in the tray of the battery cell 100. A battery cell mounting portion 110 with an open top to accommodate the battery cells is formed on the top of the battery cell tray,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battery cell.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rtion of the battery cell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and the sealing portion have a step,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ell sealing portion is formed under the mounting portion.

도 4는 종래의 전지셀 트레이(100)에 전지셀(10)이 수납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상부가 개방된 전지셀 장착부(110)은 전지셀(10) 중 전극조립체가 수납된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4 is a plan view from above of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s 10 are accommodated in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100. The battery cell mounting portion 110 with an open top is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thickest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상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전지셀 트레이(100)는 전지셀의 외주면 형태에 대응하는 홈 형태의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전지셀을 수납한 후 대량 이송에도 전지셀이 안정적으로 수납 상태가 유지되며, 전지셀이 기울어지거나 트레이로부터 탈리되는 일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battery cell tray 100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vacuum forming method has a groove-shaped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ly, the battery cells are stably kept in a storage state even when mass transfer after the battery cells are stored, and the battery cells are hardly inclined or detached from the tray.

그러나, 진공 성형진공 성형 제조된 종래의 전지셀 트레이는 활성화 공정 중에 사용되는 전지셀 트레이로는 적합하지 않다. 활성화 공정은 섭씨 65도 이상의 고온으로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밀봉된 전지셀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셀이 팽창하는 스웰링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이 실험해 본 결과 11.95mm의 파우치형 전지셀에 대한 활성화 공정 진행 시 최대 15.72mm까지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manufactured by vacuum molding and vacuum molding is not suitable as a battery cell tray used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This is because the activation process proceeds at a high temperature of 65 degrees Celsius or higher, and during this process gas is generated inside the sealed battery cell, resulting in a swelling phenomenon in which the battery cell expand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onduct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of 11.95 mm increases up to 15.72 mm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따라서, 통상적인 전지셀 트레이를 사용하여 활성화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이러한 전지셀 팽창 및 두께 증가로 인해, 도 10의 사진과 같이 찍힘 또는 눌림 현상에 의한 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찍힘 또는 눌림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내부에서 가스에 의해 팽창함에 따라 트레이에 수납되어 있던 전지셀이 트레이로부터 탈리되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activ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due to the expansion and thickness increase of the battery cells, appearance defects may occur due to being taken or pressed as shown in the picture of FIG. 10. In addition, even if no stamping or pressing occurs, the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the tray may be detached from the tray as it expands by gas inside.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활성화 공정에는 통상적인 전지셀 트레이와 다른 변형된 구조의 전지셀 트레이를 사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는 전지셀 팽창 두께에 대응하도록 개방된 장착부 폭을 충분히 크게 하고, 전지셀이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푸셔 패널로 양측으로부터 압박을 가하는 등 주로 내부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기재되어 있다.To prevent this phenomenon, a battery cell tray having a modified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is used in the activation process. Patent Document 1 describes various methods of installing a separate fixing device inside, such as increasing the width of the open mounting portion sufficiently to correspond to the expansion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applying pressure from both sides with a pusher panel so that the battery cell is fixed vertically. Has been.

그러나, 종래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들은 수납부에 고정장치 등을 부가하여 조립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이를 위해 트레이뿐만 아니라 전지셀 고정에 필요한 각 부품들을 사출 성형을 통해 정밀하게 제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금형 비용, 사출 비용, 제조 시간 등이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통상적인 트레이에 비하여 금형 및 사출에 의한 비용이 몇 배나 발생하며, 제조 시간도 훨씬 길어지게 된다. 또한, 전혀 다른 공정으로 두 종의 트레이를 별도 제작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s for the activation process are manufactured by adding a fixing device to the storage unit and assembling,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manufacture not only the tray but also the parts necessary for fixing the battery cell through injection molding. have. Accordingly, mold cost, injection cost, manufacturing time, and the like, are several times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tray manufactured by a vacuum molding metho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much longer.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of lowering productivity because two types of trays had to be separately manufactured by completely different processe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활성화 공정용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tray for an activation process that can be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도 5 내지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20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5 to 7 schematically sho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battery cell tray 200 for an activ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의 정면도를 보면, 정면에 로봇 암에 의한 수납 및 탈거를 용히하게 하기 위해 트레이 정면에 사다리꼴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은 종래의 전지셀 트레이(100)와 유사하다.First, looking at the front view of FIG. 5, a trapezoidal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tray in order to facilitate storage and removal by the robot arm at the front. This point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100.

그러나, 도 6의 측면도를 보면 종래의 전지셀 트레이(100)와는 달리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200)는 전지셀(10)의 두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착부(210)의 폭이 종래 트레이(100)의 장착부(110)의 폭 대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210)의 하부 내측면에는 한 쌍의 고정부(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220)는 외주면이 볼록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수직으로 수납된 전지셀(10)의 양측면에 접하면서 전지셀(10)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삽입된 전지셀(10)을 양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부(220)는 전지셀(10)이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대면하는 곡면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However, looking at the side view of FIG. 6, unlike the conventional battery cell tray 100, the battery cell tray 200 for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2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change of the battery cell 10.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110 of the conventional tray 100. In addition, a pair of fixing parts 220 are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10, and the fixing part 22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vertically accommodated battery cell 10 The battery cell 10 is vertically fixed while contacting both sides.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fix the inserted battery cell 10 on both sides, the pair of fixing parts 220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distance of the curved surface facing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cell 10 is inserted is gradually narrowed. have.

즉,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100)는 전지셀(10)이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장착부(210); 및 전지셀을 고정하기 위한 곡면 형태의 고정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장착부(21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한 쌍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21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전지셀(10)이 수직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전지셀 양측면은 장착부(210)의 내측면에 있는 고정부(220)에 의해 고정된다. 효과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부(220)는 전지셀 장착부(210) 내측면의 하단에 한 쌍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두 쌍 이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battery cell tr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10 whose upper portion is open so that the battery cells 10 can be vertically inserted; And a curved fixing part 220 for fixing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fixing part 2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i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10. The battery cell 10 is vertically inserted from the open top of the mounting part 210, and both sides of the inserted battery cell are fixed by the fixing part 2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10. For effective fixing, the fixing part 22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battery cell mounting part 210,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wo or more pairs as necessary.

상기 고정부(220)는 상기 전지셀 장착부(210)에 삽입된 전지셀(10)의 일 측면 및 그 대향 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지셀(10)이 장착부에 삽입된 후 전지셀(10)의 일 측면 및 대향하는 다른 측면은 장착부 내측면에 고정부(220)에 접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The fixing part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cts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10 inserted in the battery cell mounting part 210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That is, after the battery cell 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10 and the other side facing each other are fixed while contacting the fixing portion 2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도 7에는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지셀 두께와 장착부(210) 상부의 개방된 폭에 전지셀(10)이 수납되며, 전극조립체가 수납되어 있는 전지셀(1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은 고정부(220)에 접하는 구조가 된다. 7 is a plan view of the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battery cell 10 is accommodated i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pen width of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210, and the thickest part of the battery cell 1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220 Becomes.

이때, 장착부(210) 상부의 개방된 폭(211)은 도 8에서 트레이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 내측면 중 고정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가장 좁은 폭을 기준으로 한다. 한편, 전지셀 두께와 상부의 개방된 폭의 비는 1 : 1.1 내지 1 : 2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open width 211 of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210 is based on the narrowest width of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part excluding the part provided with the fixing part as shown in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y cut in the AA' direction in FIG. .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pen width of the upper portion is 1:1.1 to 1:2.

장착부(210) 상부는 전지셀 삽입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비율이 1 : 1.1 미만인 경우 전지셀을 삽입이 까다로울 수 있으며, 활성화 공정에서 전지셀이 팽창함에 따라 찍힘, 눌림, 전지셀 이탈 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율이 1 : 2를 초과하는 경우 전지셀의 고정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송 중 전지셀이 기울거나 쓰러질 우려가 있다.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210 is open for insertion of the battery cell, but if the ratio is less than 1:1.1, it may be difficult to insert the battery cell, and defects such as stamping, pressing, and detachment of the battery cell as the battery cell expand in the activation process This can happen. In addition, when the ratio exceeds 1:2, it may be difficult to fix the battery cell,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battery cell may tilt or collapse during transport.

한편, 상기 전지셀 두께와 장착부 상부의 개방된 폭의 비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내지 1 : 1.5일 수 있다. 전지셀 수납 용이성 및 활성화 공정 및 이송 중 안정성을 고려할 때 상기 범위인 경우에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pen width of the upper mounting portion may be more preferably 1: 1.3 to 1: 1.5. It is more preferable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when considering the ease of storage of the battery cell and stability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and transport.

상기 고정부(220)는 곡면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220) 외주면을 곡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지셀(10)을 수직으로 고정하면서도, 고정부(220)에 접하는 전지셀(10) 부위에서 팽창이 발생하여도 찍히거나 눌리는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The fixing part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urved shape. By mak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a curved shape, while fixing the battery cell 10 vertically, even if expansion occurs in the part of the battery cell 10 in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220, appearance defects of being stamped or pressed do not occur. Does not.

이때, 상기 고정부(220)의 곡률 반경은 25 내지 70mm일 수 있다. 곡률 반경이 25mm 미만인 경우, 활성화 공정 중 전지셀이 팽창함에 따라 찍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곡률 반경이 70mm를 초과하는 경우 수납된 전지셀이 기울거나 쓰러져 트레이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xing part 220 may be 25 to 70 mm. If the radius of curvature is less than 25mm, a stamping phenomenon may occur as the battery cell expands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and if the radius of curvature exceeds 70mm, the housed battery cell may be tilted or collapsed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tray.

한편, 상기 고정부(220)의 곡률 반경이 35 내지 50mm인 경우, 전지셀 두께 변화에도 외관의 찍힘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며, 전지셀이 트레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xing part 220 is 35 to 50 mm,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does not appear at all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is changed, and the battery cell is stably fixed to the tray, so it is most preferable.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진공 성형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장착부 및 장착부 내측면에 구비되는 곡면의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단순한 구조로 인해,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ounting portion and a curved fixing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due to this simple structure, it can be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즉,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는 간단한 금형을 제조한 후 압출된 플라스틱 원단에 진공을 인가하면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종래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 대비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a simple mold and then applying a vacuum to the extruded plastic fabric and molding it, compared to the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manufactured by conventional injection mold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전지셀 활성화 공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수납 및 탈거가 간편하고 이송 중 안정성도 우수하여 활성화 공정 이후에도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use in the battery cell activation process, and it is easy to receive and remove, and has excellent stability during transport, so that it can be used even after the activation proces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활성화 공정용 전지셀 트레이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ttery cell tray for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플라스틱 소재의 원단을 압출하는 단계;Extruding a plastic material;

상기 압출된 원단을 진공 성형하여 전지셀을 수납하는 장착부 및 A mounting part for housing a battery cell by vacuum forming the extruded fabric, and

전지셀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attery cell.

즉, 먼저 진공 성형 방법에 적합하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를 용융 압출한 다음, 금형을 이용하여 진공을 인가하면서 성형한다, 이때, 전지셀을 수납하기 위한 장착부를 성형하면서, 장착부 내측면 하단부위에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볼록 곡면 형태의 고정부를 장착부와 동일하게 진공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 인가 시 사용하는 금형은 원단을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진공을 인가하여 고정부의 원형 돌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반대편인 타측면에서 U자 형태의 장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순차적인 연속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사출 성형에 비해 금형의 형태도 단순하여 제조 단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That is, first, a plastic material suitable for the vacuum forming method and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is melt-extruded and then molded while applying a vacuum using a mold.At this time, while forming the moun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The fixed portion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may be formed by applying a vacuum in the same manner as the mounting portion. For this purpose, the mold used when applying vacuum is sequentially manufactured by applying vacuum from one side of the fabric to form a circular protrusion of the fixed part and forming a U-shaped mounting part on the other side of the fabric. Is possible. Therefore, compared to general injection molding, the mold shape is also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lowered.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외면이 25 내지 70mm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곡률 반경은 금형의 형태를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곡률 반경에 대응하도록 별도의 부가적인 지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도 조정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25 to 70 mm. The radius of curvature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mold, and can be adjusted by using an additional jig to correspond to various radiuses of curvature.

상기 용융 압출을 위한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공 성형에 적합한 소재라면 상기한 소재 외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진공 성형 트레이의 경우 사출 성형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낮으므로, 대량의 전지셀에 대한 활성화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강성이 높은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stic material for the melt extrusion is preferably a synthetic resin in which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styrene, polypropylene, an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is used, but a material suitable for vacuum molding Ramen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 materials. However, in general, in the case of a vacuum forming tray,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er than that of injection molding,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when performing an activation process for a large amount of battery cells.

상기와 같이 진공 성형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는 종래의 진공 성형 트레이와는 달리 활성화 공정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단기간에 낮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활성화 공정을 거친 후에도 외관 및 성능 불량이 없는 우수한 전지셀의 제조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지셀 트레이 사시도를 참조하면, 활성화 공정에도 전지셀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두께 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내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내부의 고정부가 삽입된 전지셀이 쓰러지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vacuum form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the activation process, unlike the conventional vacuum forming tray,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appearance and performance after the activ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excellent battery cells without defects.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cell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the battery cell in which the internal fixing part is inserted is made of an internal structure so as to cope with the thickness expansion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cell does not occur even during the activation process. It plays a role in stably supporting it so that it does not fall.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테스트용 전지셀의 제조Manufacturing of test battery cells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적층한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수납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파우치형 테스트 전지셀을 8개 제조하였다. 각 전지셀의 두께는 12mm로 동일하였다.A stack-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were stacked was prepared, stor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and an electrolyte was injected, and eight pouch-type test battery cells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The thickness of each battery cell was the same as 12 mm.

실시예 1Example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스티렌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소재 원단을 압출하였다. 미리 제작한 진공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장착부 상부의 폭 15.5mm, 고정부 곡률 반경 25mm인 테스트용 전지셀 트레이를 2개 제조하였다.A plastic material fabric was extruded using a synthetic resin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styrene. Two test battery cell trays having a width of 15.5 mm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25 mm in the fixed portion were manufactured using a previously prepared vacuum forming mold.

실시예 2Example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스티렌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소재 원단을 압출하였다. 미리 제작한 진공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장착부 상부의 폭 19.5mm, 고정부 곡률 반경 40mm인 테스트용 전지셀 트레이를 2개 제조하였다.A plastic material fabric was extruded using a synthetic resin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styrene. Using a mold for vacuum molding prepared in advance, two test battery cell trays having a width of 19.5 mm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xed portion 40 mm were manufactur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스티렌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소재 원단을 압출하였다. 미리 제작한 진공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장착부 상부의 폭 11.5mm, 고정부 곡률 반경 0mm인 테스트용 전지셀 트레이를 2개 제조하였다.A plastic material fabric was extruded using a synthetic resin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styrene. Using a mold for vacuum molding prepared in advance, two test battery cell trays having a width of 11.5 mm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xed portion of 0 mm were manufactur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스티렌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소재 원단을 압출하였다. 미리 제작한 진공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장착부 상부의 폭 19.5mm, 고정부 곡률 반경 100mm인 테스트용 전지셀 트레이를 2개 제조하였다.A plastic material fabric was extruded using a synthetic resin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styrene. Using a mold for vacuum molding prepared in advance, two test battery cell trays having a width of 19.5 mm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xed portion 100 mm were manufactured.

활성화 공정 테스트Activation process test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충방전을 통한 활성화 공정을 진행한 후, 80℃, 1.5T, 5ch 조건에서 Degas를 수행한 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지셀들 (각 2개 * 4 = 8개)에 대한 불량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After performing the activation process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for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fter performing degas under 80°C, 1.5T, 5ch conditions, the battery cells of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2 each * 4 = 8)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defects occur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전지셀 팽창 두께Battery cell expansion thickness 찍힘, 눌림자국Imprinted, pressed 이탈 또는
기우는 현상
Deviated or
Tilting phenomenon
실시예 1Example 1 14.1914.19 14.9914.99 없음none 정상normal 실시예 2Example 2 14.7214.72 14.0214.02 없음none 정상normal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3.9813.98 15.2815.28 없음none 전지셀 상부 이탈Leaving the top of the battery cell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5.7215.72 14.7714.77 없음none 기우는 현상Tilting phenomenon

10 : 전지셀
11 : 전극조립체
12: 전극 리드
13 : 실링부
100 : 트레이(종래)
110 : 장착부
200 : 트레이(본 발명)
210 : 장착부
211 : 장착부 상부의 폭
220 : 고정부
10: battery cell
11: electrode assembly
12: electrode lead
13: sealing part
100: tray (conventional)
110: mounting part
200: tray (invention)
210: mounting part
211: width of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220: fixed part

Claims (13)

전지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는 전지셀을 고정하기 위한 곡면 형태의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with an open top so that the battery cell can be inserted,
The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urved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attery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전지셀이 장착부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A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ells are inserted in the mounting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면에 한 쌍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부의 서로 대향하는 곡면 사이의 거리가 전지셀이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3,
A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urv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fixing portions gradually decreas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cells are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볼록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has a convex curv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지셀 장착부에 삽입된 전지셀의 일 측면 및 그 대향 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inserted in the battery cell mounting portion and the opposite sid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두께와 장착부 상부의 개방된 폭의 비는 1 : 1.1 내지 1: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pen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1: 1.1 to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두께와 장착부 상부의 개방된 폭의 비는 1 : 1.3 내지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pen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1: 1.3 to 1: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곡면 곡률반경은 25 내지 7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is 25 to 70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곡면 곡률반경은 35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is 35 to 50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트레이는 진공 성형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tray is a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ed by a vacuum form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트레이는 전지셀 활성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트레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tray is a battery cell tray, characterized in that used in the battery cell activation process.
제1항의 전지셀 트레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셀.A battery cell manufactured using the battery cell tray of claim 1.
KR1020190052808A 2019-05-07 2019-05-07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001288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8A KR20200128823A (en) 2019-05-07 2019-05-07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08A KR20200128823A (en) 2019-05-07 2019-05-07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23A true KR20200128823A (en) 2020-11-17

Family

ID=7364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08A KR20200128823A (en) 2019-05-07 2019-05-07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82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46A1 (en)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tr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854A (en)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Tray for activating of battery cell
KR20180038181A (en)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ing Plate Assembly Employed with Flexible Plate and Pressing Device for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854A (en)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Tray for activating of battery cell
KR20180038181A (en)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ing Plate Assembly Employed with Flexible Plate and Pressing Device for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46A1 (en)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econdary battery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460B1 (en)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the same
JP5908128B2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US9300006B2 (en) Battery cell of stair-like structure
US20220311090A1 (en) Pouch-Shaped Battery Case Comprising Crack Preventio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41974B2 (en) Battery cell having round corner
US9478773B2 (en) Battery cell of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467859B1 (en) Battery Case for Secondary Battery
KR101443832B1 (en)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Case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20190010434A (en) Pouch case for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ing the same
KR20070099068A (en)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KR10173033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11824214B2 (en) Pouch cas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86896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Pouch for Rechargeable Battery
KR102188712B1 (en) Tray for activating of battery cell
KR101428541B1 (en) Wrapping electrode plate for use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90334131A1 (en) Pouch Cell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1725901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Battery Case of Shape Corresponding to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KR20200128823A (en) Tray for Activating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628892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stepped cell structure
CN113875085B (en) Battery cell having improved weldability and battery cell handling apparatus
EP3159959B1 (en) Battery cell including battery case having projecting portion formed thereon corresponding to step-structured electrode assembly
KR101742303B1 (en) Method for Battery Cell
KR20220085343A (en) Inner tray for transporting battery cells and tray having the same
CN220474715U (en) Battery pack
KR102082655B1 (en) Method Preparing Electrode Assembly Having Corner Cutting Structure and Electrode Assembly Prepared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