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818A -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818A
KR20200128818A KR1020190052799A KR20190052799A KR20200128818A KR 20200128818 A KR20200128818 A KR 20200128818A KR 1020190052799 A KR1020190052799 A KR 1020190052799A KR 20190052799 A KR20190052799 A KR 20190052799A KR 20200128818 A KR20200128818 A KR 2020012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reader
wearable device
rea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046B1 (ko
Inventor
이장원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Priority to KR102019005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0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2007/10524Hand-held scanners

Abstract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신체 착용부; 및 신체 착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위하여 해당 물건에 마련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RFID 리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FOR INFORMATION READING}
본 발명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신체적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정보 판독을 위한 장치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보 판독을 위해 바코드(Bar Code) 판독기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바코드(Bar Code)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이다. 이러한 바코드는 물건이나 상품의 종류, 매출정보, 도서 관리 등 다양한 정보의 판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바코드는 종이 외에도 다양한 재질에 인쇄할 수 있으며, 원하는 정보에 빨리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부분을 읽어서 정상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전통적인 형태의 바코드는 선형 바코드(1차원)이다. 다만, 이러한 선형 바코드는 많은 정보를 담기 어려워서 매트릭스 바코드(2차원)가 개발되고 있다. 매트릭스 바코드는 육각형이나 사각형 배열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류에 따라 약 4천 바이트까지 코드화할 수 있어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바코드는 데이터의 입력이 간편하고 자료 처리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하여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생산, 진열 및 판매되는 대부분 상품에는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한 바코드가 대두분 부착되며, 바코드 판독기와 같은 판독장치로 해당 정보가 판독된다.
한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소형 반도체 칩을 이용해 사물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의 총칭이다.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시스템이다.
판독, 해독기능이 있는 판독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 태그(RF ID tag),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 전파식별 시스템은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
RF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에는 스스로 작동하기 위해 RF 태그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실리콘 반도체 칩을 사용하는 칩 태그와 LC 소자,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polymer:중합체) 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 구분하기도 한다.
전파식별 기술은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으며, 활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저주파 전파식별 시스템(30 kHz~500 kHz)은 1.8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시스템(850 MHz~950 MHz 또는 2.4 GHz~2.5 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RFID 기술로 인해 공정 관리, 자산 관리, 물류 관리, 재고 관리, 출입 보완, 위치 추적, 문화재 관리 등의 각종 관리 시스템이 더욱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어서 근자에 들어서는 RFID 기술을 적용한 RFID 리더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다만, 현존하는 RFID 리더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grip)한 후, 물건에 접근시켜 정보를 판독하는 장비라서 사용상 편의성이 다소 떨어진다.
다시 말해, 통상의 핸드형 RFID 리더는 한 손으로 RFID 리더를 파지한 이후에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양손 모두가 자유로울 수 없다. 즉 한 손으로는 RFID 리더를 쥐고 다른 한 손으로 물건이나 판독 대상체를 핸들링해야 해서 잦은 사용에 따른 상당한 신체적 부담을 안길 수도 있음은 물론 정보 판독작업이 상당히 불편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173938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신체적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 가능한 신체 착용부; 및 상기 신체 착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위하여 해당 물건에 마련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RFID 리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는, 소정의 전자기기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루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바텀부; 및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바텀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바텀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바텀부 내에 삽입되게 마련되는 RFID 안테나; 및 상기 RFID 안테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텀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RFID 안테나를 보호하는 RFID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RFID 안테나와 상기 RFID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RFID 안테나의 전자파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는 전자파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RFID 커버의 외측에 결합하되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는 좌우 대칭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가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 형상을 하도록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의 일측에 배치되되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바코드(Bar Code) 방식을 이용해서 상기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되 상기 신체 착용부의 탑재부에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는 상기 신체 착용부의 개방된 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에 결합하며, 상기 신체 착용부의 개구 영역을 차폐하면서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 간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하는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의 단부에는 상기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의 설치를 위한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며, 상기 RFID 리더부 또는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용 후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복수의 후크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후크가 상기 후크 걸림부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대편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간의 결합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대편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결합하는 복수의 돌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 단자가 마련되는 단자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단자 돌출부가 끼워지는 단자 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단자 홈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복수의 제2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는, 베이스 플레이트; 다수의 내장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한 상기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는 바코드 모듈; 및 상기 바코드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바코드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바코드 모듈과 연결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조립체; 및 상기 PCB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PCB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USB 단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마련되는 NFC 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신체적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착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바코드 방식을 사용해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RFID 방식을 사용해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오른손 적용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과 배터리 착용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 이미지이다.
도 10은 신체 착용부 영역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1은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을 제거한 도 9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배터리 착용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착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바코드 방식을 사용해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RFID 방식을 사용해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오른손 적용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서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과 배터리 착용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9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 이미지이고, 도 10은 신체 착용부 영역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11은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을 제거한 도 9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며, 도 13은 도 1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8은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서 배터리 착용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는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신체적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는 단독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를 내장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는 단독 장치로 사용되면서 물건에 대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는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와 연결해서 하나의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전력 소모량의 고민 없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를 개발함에 있어서 내장되는 배터리(미도시)의 사이즈를 줄이면 용량이 낮아 사용시간 짧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배터리의 사이즈를 키우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전체의 무게와 부피가 커져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목에 무리가 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사이즈를 키우면 배터리 사이즈 때문에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의 기능 부가 및 부품배치가 쉽지 않으며, 특히 배터리를 단말기에 맞게 개발해야 해서 규격화에 어려움이 있어 제품 단종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가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와 연결되어 하나의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와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과 연결되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도면의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 없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형태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신체 착용부(110)와, 신체 착용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위하여 해당 물건에 마련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RFID 리더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는 신체 착용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를 포함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RFID 리더부(117)는 신체 착용부(110)의 일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RFID 리더부(117)를 별도로 착용할 필요는 없다.
이에 반해,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해서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는 신체 착용부(1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를 신체 착용부(110)의 일측에 결합해 사용하면 된다.
신체 착용부(110)는 신체에 착용하는 부분이며,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실질적인 전자제품인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를 지지한다.
여기서, 신체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손을 의미한다. 하지만, 신체가 반드시 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즉 손목을 비롯하여 팔이나 다리에 착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처럼 손에 착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신체 착용부(110)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탑재되는 탑재부(111)와, 탑재부(11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바텀부(112)와, 탑재부(111) 및 바텀부(112)에 연결되는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체 착용부(110)는 좌우 대칭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를 도 5처럼 오른손잡이가 착용하거나 도 1 내지 도 4처럼 왼손잡이가 착용하더라도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의 바코드 촬영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신체 착용부(11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탑재부(111)는 손등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탑재부(111)의 상부 영역에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탑재부(111)의 상부에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도록 탑재부(111)에는 복수의 결합용 후크(118)가 마련되고,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는 복수의 후크 걸림부(161)가 마련된다. 후크 걸림부(161)는 탑재부(111)에 형성되는 결합용 후크(118)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장소로 활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용 후크(118)와 후크 걸림부(161)가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 각각 마련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결합용 후크(118)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 마련되고 후크 걸림부(161)가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에 마련되는 경우도 가능한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탑재부(111)의 상부 일측에는 탄성부재(121)가 마련된다. 탄성부재(121)는 탑재부(111)의 결합용 후크(118)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의 후크 걸림부(161)에 걸린 상태에서 결합용 후크(118)가 후크 걸림부(161)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탄성바이어스한다. 즉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에서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함으로써 결합용 후크(118)가 후크 걸림부(161)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탄성부재(121) 역시, 도면과 달리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 측에 적용될 수도 있다.
탑재부(111)의 상부 일측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119)가 마련된다. 가이드 돌기(119)는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 간의 결합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이다. 가이드 돌기(119)에 대응되게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는 가이드 돌기(119)가 결합하는 복수의 돌기홈(162)이 마련된다. 가이드 돌기(119)와 돌기홈(162)으로 인해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탑재부(111)의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돌기(119)와 돌기홈(162)이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 각각 마련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가이드 돌기(119)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 마련되고 돌기홈(162)이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에 마련되는 경우도 가능한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에 결합할 때, 이들 간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을 위해 제1 단자(123)와 제2 단자(164)가 마련된다.
제1 단자(123)는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 상에 마련되는 단자 돌출부(122)에 복수 개로 적용되며, 제2 단자(164)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 상에 마련되는 단자 홈부(163)에 복수 개로 적용된다.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에 결합하여 단자 돌출부(122)가 단자 홈부(163)에 삽입될 때, 제1 단자(123)와 제2 단자(164)가 서로 끼워지면서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와 신체 착용부(11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자 돌출부(122)가 단자 홈부(163)가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 각각 마련되고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단자 돌출부(122)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 마련되고 단자 홈부(163)가 신체 착용부(110)의 탑재부(111)에 마련되는 경우도 가능한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바텀부(112)는 탑재부(111)와 분리 제작되는 구성으로서 신체 착용부(110)를 착용할 때, 손바닥 영역에 배치된다.
탑재부(111)와 바텀부(112)는 합성수지의 사출로 제작될 수 있어서 탑재부(111)에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탑재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고, 바텀부(112)에 RFID 리더부(117)가 탑재될 수 있다.
RFID 리더부(117)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본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신체 착용부(110)에는 RFID 리더부(117)가 마련된다.
이러한 RFID 리더부(117)는 도 4에 음영 처리한 것처럼 물건에 마련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미도시)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역할을 한다. RFID 리더부(117)는 물건에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어서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FID 리더부(117)는 신체 착용부(110)의 바텀부(112)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RFID 리더부(117)가 바텀부(112)에 마련되면 물건을 손으로 잡을 때, 곧바로 RFID 방식의 정보 판독이 가능해지므로 정보 판독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정보 판독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RFID 리더부(117)는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안테나(117a)를 포함한다. RFID 안테나(117a)는 바텀부(112) 내에 삽입되게 마련된다.
RFID 안테나(117a)를 사이에 두고 바텀부(112)의 반대편에는 RFID 안테나(117a)를 보호하는 RFID 커버(117c)가 마련된다. RFID 커버(117c)는 바텀부(112)에 착탈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RFID 안테나(117a)와 RFID 커버(117c) 사이에는 전자파 차폐부(117b)가 마련된다. 전자파 차폐부(117b)로 인해 RFID 안테나(117a)의 전자파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117b)는 압소버 시트(absorber sheet) 혹은 필름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RFID 커버(117c)의 외측에는 쿠션부(117d)가 마련된다. 쿠션부(117d)는 RFID 리더부(117)에 쿠션감을 제공한다. RFID 리더부(117)가 예컨대, 손바닥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RFID 리더부(117)에 쿠션부(117d)가 적용되면 장시간 신체 착용부(110)를 착용하더라도 손바닥이 아프거나 결리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RFID 리더부(117)를 신체 착용부(110)의 바텀부(112)에 적용함으로써 물건을 잡을 때, 정보 판독작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정보 판독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연결부(113)는 탑재부(111) 및 바텀부(112)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13)는 탑재부(111)와 바텀부(112)의 일측에만 배치된다.
다시 말해, 신체 착용부(110)가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 형상을 하도록 연결부(113)는 탑재부(111)와 바텀부(112)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부(113)는 탑재부(111) 및 바텀부(112)와 달리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부(113)에는 RFID 리더부(117) 또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트리거 버튼(116, trigger button)이 마련된다. 트리거 버튼(116)은 터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트리거 버튼(116)을 가압하는 조작으로 RFID 리더부(117) 또는 바코드 모듈(153)이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트리거 버튼(116)이 연결부(113)에 적용됨으로써 마치 방아쇠를 당기듯 바코드 모듈(153) 또는 RFID 리더부(117)를 구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연결부(113)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는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 도 9 참조)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은 신체 착용부(110)의 개방된 개구(114) 영역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탑재부(111)와 바텀부(112)에 결합하며, 신체 착용부(110)의 개구(114) 영역을 차폐하면서 탑재부(111)와 바텀부(112) 간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허리띠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의 설치를 위해, 탑재부(111)와 바텀부(112)의 단부에는 고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은 선택 적용 사항이다. 즉 도 9처럼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이 적용해서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을 조이면 신체 착용부(110)의 개구(114) 영역이 차폐되는 한편 탄성 재질의 연결부(113)가 조여지면서 신체 착용부(110)가 손에 밀착될 수 있다.
하지만, 연결부(113)가 탄성 재질이라서 자체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도 10처럼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이 장착되지 않아도 신체 착용부(110)를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 즉 개구(114) 영역을 벌려 신체 착용부(110)를 손에 끼우면 한편 탄성 재질의 연결부(113)가 자체적으로 조여지면서 신체 착용부(110)가 손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이 적용되는 타입 또는 적용되지 않는 타입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는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 즉 바코드(Bar Code) 방식으로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는 실질적인 전자제품으로서, 신체 착용부(110)에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는 NFC 태그(미도시)가 추가로 더 적용될 수 있다. NFC 태그가 적용되면 NFC 태그를 통해 주변기기와 연결될 수 있어서 정보의 교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는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1)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의 밑면을 형성하며, 외부 하우징(152)은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의 덮개를 이룬다.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 사이의 공간에 다수의 내장 부품이 위치별로 수용, 탑재된다.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품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 간의 분해 조립을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조립 보스(151a,152a)가 마련된다. 복수의 조립 보스(151a,152a)를 맞대고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을 조립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 내의 공간에는 바코드 모듈(153)과 PCB(Printed Circuit Board) 조립체(155)가 마련된다.
바코드 모듈(153)은 도 3에 음영 처리한 것처럼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바코드 모듈(153)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152)의 측면에 바코드 창(154)이 형성된다.
PCB 조립체(155)는 바코드 모듈(153)과 연결되는 회로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51)와 외부 하우징(152) 사이에 마련된다.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에서 전달되는 전력을 이용해서 바코드 모듈(153)을 비롯한 디스플레이(157), RFID 리더부(117) 등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컨트롤러(400)는 PCB 조립체(155)에 탑재될 수 있다.
PCB 조립체(155)에는 복수의 기능성 버튼(156)이 연결된다. 이들 기능성 버튼(156)은 PCB 조립체(155)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15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기능성 버튼(156)이 외부 하우징(152)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152)에 버튼 노출부(152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능성 버튼(156)은 외부 하우징(152)의 둘레에 복수 개로 적용된다. 이들 기능성 버튼(156)은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버튼, 선택된 메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버튼, 디스플레이(157)의 주변에 탑재되는 LED(미도시)를 온/오프(on/off)하기 위한 LED 버튼, 다양한 모드(mode)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 등 다양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처럼 여러 개의 기능성 버튼(156)을 적용하지 않고 하나의 버튼으로 위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도면에 도시된 복수의 기능성 버튼(156)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기능성 버튼(156)의 개수와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기능성 버튼(156)의 주변에는 USB 단자(158)가 마련된다. USB 단자(158)는 PCB 조립체(155)와 연결되고 외부 하우징(15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자이다. 이러한 USB 단자(158)를 통해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로부터의 배터리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혹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의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의 업데이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52)의 외면에는 디스플레이(157)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157)를 통해 정보 판독작업의 일부 내용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착탈식 정보 판독기(150)에 NFC 태그(미도시)가 추가로 더 적용되는 경우, NFC 태그는 디스플레이(157)의 일측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7)의 적용을 위해 디스플레이(157)가 위치되는 외부 하우징(152)에는 관통부(157a)가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부(157a) 상에는 보호 윈도우(157b)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57)를 보호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은 위에서 기술한 본 실시예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로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를 연결하는 USB 케이블(300)과, 이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는 USB 케이블(300)로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와 연결되며,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를 개발함에 있어서 내장되는 배터리(미도시)의 사이즈를 줄이면 용량이 낮아 사용시간 짧아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배터리의 사이즈를 키우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전체의 무게와 부피가 커져서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목에 무리가 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사이즈를 키우면 배터리 사이즈 때문에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의 기능 부가 및 부품배치가 쉽지 않으며, 특히 배터리를 단말기에 맞게 개발해야 해서 규격화에 어려움이 있어 제품 단종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가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와 연결되어 하나의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5,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210)과 배터리 착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착용부(27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배터리 착용부(270)는 전술한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130)과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배터리 유닛(210)을 지지하는 한편 배터리 유닛(210)을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끔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터리 착용부(270)를 손목에 착용하고 있으나, 배터리 착용부(270)는 신체의 다른 부분, 즉 배나 다리 등에 착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 유닛(210)은 배터리 착용부(270)에 의해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로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터리 유닛(210)은 유닛 지지부(220)와 배터리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닛 지지부(220)는 배터리 착용부(2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이다. 허리띠 형태의 배터리 착용부(270)가 유닛 지지부(2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유닛 지지부(220)의 단부에는 고리부(221)가 형성된다. 유닛 지지부(220)의 배면에는 신체에 접촉되어 신체를 보호하는 보호대(225)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230)은 유닛 지지부(220)에 일체로 마련되는 배터리 하우징(240)과, USB 단자(251)를 구비하되 배터리 하우징(240) 내에 삽입되는 내장형 배터리(250)를 포함한다. 내장형 배터리(250)는 충전식일 수 있다. 배터리 모듈(230)의 후면에는 포고(pogo) 단자(255)가 마련될 수 있다. 포고(pogo) 단자(255)를 통해 크래들(미도시)에서 단독 혹은 여러 개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USB 케이블(300)은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USB 방식으로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USB 케이블(300)은 단선 및 USB 빠짐 방지를 위해 스프링 케이블(spring cable)로 적용된다. 따라서, 부피를 줄이면서도 길게 늘어날 수 있는 이점 역시, 추가고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400)는 USB 케이블(300)에 의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가 연결될 때,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의 전력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로 공급되게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400)는 중앙처리장치(410, CPU), 메모리(420,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430,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410)는 본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의 전력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로 공급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420, MEMORY)는 중앙처리장치(410)와 연결된다. 메모리(42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430,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410)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430)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0)는 USB 케이블(300)에 의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가 연결될 때,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의 전력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로 공급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420)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420)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처럼 장갑을 착용한다. 장갑은 산업용 일반 장갑이다. 물론, 장갑을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를 장시간 착용할 때는 장갑을 끼우는 편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처럼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는 손에 착용하고,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는 팔목에 착용한 다음, USB 케이블(300)에 의해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200)를 연결한다.
그런 다음, 마치 방아쇠를 당기듯 트리거 버튼(116)을 편안하게 가압 혹은 터치(touch)한다.
그러면, 바코드 모듈(153) 또는 RFID 리더부(117)가 동작해서 도 3처럼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 또는 도 4처럼 RFID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양손이 프리(free)한 상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신체적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10 : 신체 착용부
111 : 탑재부 112 : 바텀부
113 : 연결부 114 : 개구
115 : 고리부 116 : 트리거 버튼
117 : RFID 리더부 118 : 결합용 후크
119 : 가이드 돌기 121 : 탄성부재
122 : 단자 돌출부 123 : 제1 단자
130 :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 150 : 착탈식 정보 판독기
151 : 베이스 플레이트 152 : 외부 하우징
153 : 바코드 모듈 154 : 바코드 창
155 : PCB 조립체 156 : 기능성 버튼
157 : 디스플레이 157a : 관통부
157b : 보호 윈도우 158 : USB 단자
161 : 후크 걸림부 162 : 돌기홈
163 : 단자 홈부 164 : 제2 단자

Claims (18)

  1. 신체에 착용 가능한 신체 착용부; 및
    상기 신체 착용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위하여 해당 물건에 마련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RFID 리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는,
    소정의 전자기기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루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바텀부; 및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바텀부와 상기 연결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바텀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바텀부 내에 삽입되게 마련되는 RFID 안테나; 및
    상기 RFID 안테나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텀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RFID 안테나를 보호하는 RFID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RFID 안테나와 상기 RFID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RFID 안테나의 전자파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는 전자파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부는,
    상기 RFID 커버의 외측에 결합하되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는 좌우 대칭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가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 형상을 하도록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의 일측에 배치되되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바코드(Bar Code) 방식을 이용해서 상기 물건에 대한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되 상기 신체 착용부의 탑재부에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정보 판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는 상기 신체 착용부의 개방된 개구 영역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에 결합하며, 상기 신체 착용부의 개구 영역을 차폐하면서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 간의 벌어짐 정도를 조절하는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탑재부와 상기 바텀부의 단부에는 상기 착탈식 판독기 스트랩의 설치를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며, 상기 RFID 리더부 또는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동작을 온/오프(on/off)시키는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용 후크가 마련되며,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복수의 후크 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후크가 상기 후크 걸림부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대편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간의 결합 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대편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결합하는 복수의 돌기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 단자가 마련되는 단자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신체 착용부와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단자 돌출부가 끼워지는 단자 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단자 홈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하는 복수의 제2 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는,
    베이스 플레이트;
    다수의 내장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바코드(Bar Code)를 이용한 상기 정보 판독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는 바코드 모듈; 및
    상기 바코드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는 바코드 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바코드 모듈과 연결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조립체; 및
    상기 PCB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정보 판독기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PCB 조립체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USB 단자;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변에 마련되는 NFC 태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KR1020190052799A 2019-05-07 2019-05-07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KR10222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799A KR102225046B1 (ko) 2019-05-07 2019-05-07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799A KR102225046B1 (ko) 2019-05-07 2019-05-07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18A true KR20200128818A (ko) 2020-11-17
KR102225046B1 KR102225046B1 (ko) 2021-03-09

Family

ID=7364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799A KR102225046B1 (ko) 2019-05-07 2019-05-07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0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328A (ko) * 2006-12-18 2008-06-23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KR20120119154A (ko) * 2011-04-20 2012-10-30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스마트단말장치
KR20120128081A (ko) * 2009-04-22 2012-11-26 프란웰, 아이엔씨. 착용 가능한 rfid 시스템
KR101850919B1 (ko) * 2017-11-02 2018-04-20 이혜진 웨어러블 바코드 스캐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328A (ko) * 2006-12-18 2008-06-23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가 장착가능한 rfid 리더기
KR20120128081A (ko) * 2009-04-22 2012-11-26 프란웰, 아이엔씨. 착용 가능한 rfid 시스템
KR20120119154A (ko) * 2011-04-20 2012-10-30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착용형 스마트단말장치
KR101850919B1 (ko) * 2017-11-02 2018-04-20 이혜진 웨어러블 바코드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046B1 (ko)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2772B2 (ja) 着用可能なrfidシステム
EP2100262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for detaching mobile terminal
US8270911B2 (en) Communications methods, methods of forming a reader, wireless communications readers,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A2991522A1 (en) Wearabl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nabled devices
US8919648B2 (en) Barcode and RFID reading apparatus
TWI479367B (zh) 無線鍵盤及電腦系統
TW201239771A (en) Outer covering of portable calculating device for RFID object management system
US20120038515A1 (en) Arm-worn rfid reader
US9405952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64887B1 (en) Energizing scanners
KR102225046B1 (ko)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장치
CN205334079U (zh) 一种内置nfc装置的智能手表
KR102225047B1 (ko) 웨어러블 배터리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정보 판독용 웨어러블 시스템
KR101537314B1 (ko) 바코드 및 rfid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리더기
JP2009098951A (ja) 質問器
KR101996128B1 (ko) 알에프아이디, 바코드 및 ic 카드 통합 리더기
JP2018159975A (ja) 携帯型リーダに着脱可能な拡張操作装置
KR20090010277U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사인패드 결합형 바코드또는 rfid 리더기
WO2017185587A1 (zh) 可穿戴式rfid读写器
KR102002255B1 (ko) 바코드 및 rfid 판독 장치
JP5715663B2 (ja) ハンディアンテナ、棚卸装置、棚卸システム及び棚卸方法
US105280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isplays via a smart hand-strap accessory
US20230237304A1 (en) Rfid-enabled watch band
JP2009187407A (ja) タグ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グ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747508B1 (ko)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rfid tag 및 그 rfidtag를 포함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