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621A -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 Google Patents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621A
KR20200128621A KR1020190052682A KR20190052682A KR20200128621A KR 20200128621 A KR20200128621 A KR 20200128621A KR 1020190052682 A KR1020190052682 A KR 1020190052682A KR 20190052682 A KR20190052682 A KR 20190052682A KR 20200128621 A KR20200128621 A KR 20200128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pcorn
selection
transfer devi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2019005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621A/ko
Publication of KR20200128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로서,
구체적으로는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용기 하강 장치 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작동하게 하고,
위치 센서 1개와 센서 감지판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속도 제어 장치를 구현하고,
이송 모터 및 기어에 의한 유격을 방지하여 위치 제어의 정확성을 실현하는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를 구현하고,
팝콘 가열부로 팝콘 용기 낙하시 낙하 충격에 의한 안착 오류를 방지하고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를 구현하고,
가열부에서 팝콘 용기의 포획 및 분리를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를 구현하고,
가열부에 떨어질 수 있는 팝콘 찌꺼기를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를 구현하고,
배출구에서 화상 방지 도어의 개폐 및 상측 가열 부재 속의 팝콘 용기를 배출함에 있어서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 Popcorn vending machine with improved function }
본 발명은 본체에 팝콘 옥수수가 내재 된 팝콘 용기를 다수 적재하고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팝콘 용기가 이송하여 가열 조리되어서 팝콘 배출구로 안정적으로 자동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는 미리 팝콘을 요리하여 종이 팩 등의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고 있다가 판매 조건이 성립할 때 판매할 수 있도록 하거나 용기 내에 팝콘으로 튀겨지고자 하는 옥수수를 미리 수용하고, 해당 옥수수가 수용된 용기를 가열기기 방향으로 이송하여 열원에 의해 생성된 팝콘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팝콘 자동판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히, 용기 내부에 팝콘으로 튀겨지고자 하는 옥수수가 수용된 팝콘 자동판매장치는 사용자가 소정의 비용을 지불한 이후에 바로 생성된 팝콘을 시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는 이러한 방식의 팝콘 자동판매장치가 유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예로, 일본공개공보 제2004-157710호인 '팝콘 자동판매기'가 종래기술로 공지되어 있으며, 해당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맛의 팝콘 재료가 수용된 컵이 일 방향으로 배출가능한 컵 슈터(4)을 통해 컵 홀더(6)에 안착하면 마이크로파 조리부(5)를 통해 열원을 제공하여 해당 재료를 팝콘으로 튀겨져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컵 슈터를 통해 공급되는 컵이 관 형상의 홀더에 비스듬하게 삽입되거나 상기 컵 홀더 외부로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1,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
팝콘 용기통에서 낙하 된 팝콘 용기를 안착하여 가열부로 이송하는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용기 하강 장치를 무동력으로 구성하여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고,
2,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속도 제어 장치,
용기 선택 이송시 고속에서 저속으로의 속도 제어와 정지 제어의 2가지 기능이 위치 센서 1개와 센서 감지판 1개로 가능하게 구성하여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 및 팝콘 자판기 작동 시간 단축을 실현하고,
3,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
기어 유격에 의한 편심 오차를 제거하게 구성하여 용기 선택 이송시 이송 정지 위치의 오차를 제거하여 위치 오차에 의한 팝콘 용기 낙하 수납시 이상 수납에 의한 불량 가능성을 줄이고,
4,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
용기 선택 이송 장치에서 가열부로 용기를 낙하시, 용기의 낙하 충격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 가이드를 구성하여 제품 불량율을 줄이고,
5,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
6,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
7,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 등으로서
부품 간소화에 따른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 및 작동 시간 단축이 가능한 팝콘자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는
본체의 외부에 팝콘 배출 도어와 하나 이상의 결재 패널과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패널과 하나 이상의 화면 패널,
본체에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되,
고속 이송으로 팝콘 자판기 작동 시간을 단축하고 모터나 솔레노이드 동력 부품을 줄이면서 팝콘 자판기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상측 가열 부재와 하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무동력 용기 포획 및 분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평 이송 장치와 수직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 장치는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팝콘 용기 배출 장치는 화상 방지 도어와 배출 용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소발명 1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로서,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는 용기 하강 장치 2이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선택 용기 고정대와 용기 선택 이송대와 한쌍의 선택 용기 받침대와 용기 받침 지렛대와 용기 센서 2와 상측 회전축과 회전 스토퍼와 회전 보조대와 텐션 부재 2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는 상기 상측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는 상기 상측 회전축과 연결되어서 같이 회전하고,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는 선택 용기 받침대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는 지렛대 축 2와 지렛대 회전대 2를 구성하고 상기 지렛대 축 2는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의 지렛대 축홀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성하며,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가 상기 팝콘 용기통에서 팝콘 용기를 수납 받거나 또는 이송시
상기 텐션 부재 2는 텐션 작용으로 상기 한쌍의 선택 용기 받침대를 안쪽으로 잡아 당겨서 상기 팝콘 용기를 받쳐주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이송으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가 팝콘 가열부에 위치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의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의 일측면이 상기 회전 스토퍼에 의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측 회전축이 약간 더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상측 회전축에 연결된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의 이송대 회전대에 연결된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의 상기 지렛대 회전대 2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의 내측면을 밀어내게 되어서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는 서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팝콘 용기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측 회전축이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의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가 상기 회전 스토퍼와 이격되면, 상기 텐션 부재 2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를 안쪽으로 잡아 당겨서 팝콘 용기를 받칠수 있는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즉,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를 열고 닫을 때에 별도의 모터나 솔레이드 등의 동력 부품을 추가로 사용치 않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를 회전시키는 모터 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를 열고 닫으므로서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 한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는 일체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소발명 2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로서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를 고속에서 저속, 정지의 2단 이송 속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판과 모터 1과 기어 박스 1과 상측 회전축과 위치 센서 1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와 센서 감지판 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 1은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에 수납된 팝콘 용기가 각각의 팝콘 용기통 및 팝콘 가열부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센서 감지판 2는 일정 크기의 저속 해제 인식 구간을 인식하는 홈을 구성하고,
상기 팝콘 용기통의 위치에서 다른 팝콘 용기통 위치 또는 팝콘 가열부 위치로 이동시,
초기에는 상측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1은 고속으로 회전하고,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고속 이송 회전으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의 센서 감지판 2의 일 측면이 상기 위치 센서 1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모터 1은 저속으로 회전하게 제어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저속 이송 회전으로 상기 센서 감지판 2의 저속 해제 인식 구간이 상기 위치 센서 1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모터 1은 저속 제어를 해제하고 정지 준비를 하게 되고,
다시 상기 센서 감지판 2의 저속 해제 인식 구간의 끝 부분을 상기 위치 센서 1이 감지하면 상기 모터 1은 정지 제어를 받고 정지하게 된다.
즉, 센서 감지판이 감지판 사이에 저속 해제 인식 구간을 구성하여 줌으로서 상기 센서 감지판 1개와 위치 센서 1개만으로도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또한 저속 구간 설정은 상기 센서 감지판 2의 폭을 조정함으로서 가능한데,
일예로 상기 센서 감지판 2의 폭을 적게하면 저속 구간이 적게되고,
반대로 상기 센서 감지판 2의 폭을 크게하면 저속 구간을 길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속 및 정지 제어를 하고자 하면,
저속 위치 감지 센서 1개와 정지 위치 감지 센서 1개 모두 2개의 위치 센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정지하는 위치가 많아지면, 그만큼 위치 센서의 수량은 늘어나게 된다.
소발명 3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로서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위치 센서의 거리가 멀어지면 적은 기어의 유격도 큰 오차를 유발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어는 일정한 유격을 갖게 되고, 이러한 유격이 용기를 이송하고 팝콘 용기를 정확히 하강 수납받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게 되고, 팝콘자판기가 동작되는데 장애를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기어 편심 유격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는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유격 방지 부재와 회전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판과 모터 1과 기어 박스 1과 상측 회전축과 위치 센서 1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와 센서 감지판 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판의 일정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유격 방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측 회전축의 일정 부분에 고정하고, 상기 유격 방지 부재를 1회 이상 상기 회전축에 감아서 한 방향으로 회전 텐션을 갖게 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회전 스토퍼에 고정한다.
즉, 상기 상측 회전축은 상기 유격 방지 부재의 회전력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항상 일정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기어 박스 1 기어의 기어 잇빨은 항상 한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기어에 의한 편심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이송에 따른 상기 팝콘 용기가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서 정교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불량을 줄이게 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소발명 4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로서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에서 상기 팝콘 가열부로 팝콘 용기를 낙하시키면,
상기 팝콘 용기는 상기 팝콘 가열부에 낙하하는 충격으로 튕겨서 팝콘 가열부 중앙에 정확히 안착하지 않고, 옆으로 이동하여 안착될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상측 가열 부재가 상기 팝콘 용기를 포획하게 되면 정확히 포획되지 못하고 팝콘 용기가 벗어나는 불량 원인이 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에서 상기 팝콘 가열부로 팝콘 용기를 하강 낙하시 정확하게 팝콘 가열부 중앙에 팝콘 용기가 안착할 수 있는 팝콘 용기 가이드가 필요한데,
상기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는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하측 회전축과 하측 지지대와 회전 부재 3과 지렛대 3과 텐션 부재 3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기 상측 회전축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회전 보조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회전축은 상기 하측 지지대에 구성하고 상기 상측 회전축과 동일 원상에 구성하고,
상기 회전 부재 3은 상기 하측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성하고 일단에 용기 가이드 3을 구성하고 다른 일단에 회전 부재 밀대를 구성하고,
상기 텐션 부재 3은 일단을 상기 회전 부재 3의 일단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하측 지지대의 일단에 연결하고,
상기 지렛대 3은 중심 일정 부분에 지렛대 축 3을 구성하고 일단에 지렛대 밀대를 구성하고 다른 일단에 지렛대 밀대봉을 구성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가 상기 팝콘 가열부와 떨어져 있으면, 상기 회전 부재 3은 상기 텐션 부재 3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용기 가이드 3이 팝콘 가열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가 상기 팝콘 가열부로 이동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의 상기 회전 보조대가 상기 지렛대 3의 지렛대 밀대를 밀고 상기 지렛대 3의 반작용으로 상기 지렛대 밀대봉이 상기 회전 부재 3을 밀게 되고 상기 회전 부재 3에 구성된 상기 용기 가이드 3이 상기 팝콘 용기의 측면 일단을 지지하는데,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가 상기 팝콘 가열부에 위치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에 구성된 용기 가이드 2와 상기 용기 가이드 3에 의해서 상기 팝콘 용기를 지지하여 주게 되고,
상기 팝콘 용기는 안전하게 상기 팝콘 가열부 중앙에 정확히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소발명 5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로서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전자레인지 방식으로 팝콘 옥수수를 가열하여 튀겨서 팝콘을 만든다.
상기 팝콘 용기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 속에 포획하여 가열한다.
상기 팝콘 용기를 상기 상측 가열 부재 속에 포획하기 위해서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수직 이송 장치의 모터 4의 동력을 이용한다.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는 상기 수직 이송 장치와 상측 가열 부재와 용기 포획 부재와 팝콘 커버와 용기 배출 밀대 4와 밀대 텐션 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 장치는 수직 고정대와 수직 이송대와 모터 4와 센서 감지판 4와 위치 센서 41과 위치 센서 42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상승하면 상기 밀대 텐션 4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를 밀어 내므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는 상기 용기 포획 부재를 간섭하지 않아서 상기 용기 포획 부재의 텐션 작용으로 팝콘 용기를 포획하게 되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하강하면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가 상기 용기 포획 부재를 누르게 되어서 상기 용기 포획 부재와 상기 팝콘 용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와 분리되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와 분리하여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팝콘 용기를 상측 가열 부재에 포획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소발명 6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로서
상기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는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하측 지지대와 하측 회전축과 회전 부재 3과 하측 가열 부재와 텐션 부재 3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측 회전축과 용기 하강 장치 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회전 보조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 3은 상기 하측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찌꺼기 밀대와 회전 부재 밀대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부재 3은 상기 회전 부재 3의 일단과 상기 하측 지지대의 일단 사이에 구성하고,
팝콘 용기가 팝콘 가열부에서 가열시에는 상기 회전 부재 3은 상기 텐션 부재 3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찌꺼기 밀대가 상기 팝콘 가열부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팝콘 용기의 가열이 종료되어서 상측 가열 부재가 하측 가열 부재에서 이동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이송에 의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가 회전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에 구성된 상기 회전 보조대가 상기 회전 부재 밀대를 밀어서 상기 회전 부재 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 부재 3에 구성된 상기 찌꺼기 밀대가 상기 하측 가열 부재 위에 있는 팝콘 찌꺼기를 밀어서 제거하게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팝콘 가열부의 팝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또한 상기의 회전 부재 3에 구성된 상기 찌꺼기 밀대와 용기 가이드 3을 하나의 상기 회전 부재 3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소발명 7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로서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상측 가열 부재와 용기 포획 부재와 팝콘 커버와 용기 배출 밀대 41과 도어 개폐 밀대와 배출구와 배출 용기 센서와 화상 방지 도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 장치는 수직 고정대와 수직 이송대와 모터 4와 센서 감지판 4와 위치 센서 41과 위치 센서 42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방지 도어 장치는 화상 방지 도어와 도어 중심핀과 텐션 부재 5와 도어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상승하면 상기 상측 가열 부재 내부에 구성된 상기 용기 포획 부재는 텐션 작용으로 팝콘 용기를 포획하고 있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하강하면 상기 도어 개폐 밀대가 상기 화상 방지 도어에 구성된 도어 개폐 가이드를 벌려서 상기 화상 방지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추가로 하강하면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1이 상기 용기 포획 부재를 눌러서 상기 팝콘 용기와 상기 용기 포획 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가 상기 상측 가열 부재에서 분리되어서 상기 배출구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배출구에 구성된 배출 용기 센서가 상기 팝콘 용기를 감지하면, 상기 수직 이송대는 상승하고 상기 도어 개폐 밀대도 상승하므로 상기 텐션 부재 5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화상 방지 도어는 닫히게 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를 손으로 꺼내 오면서 상기 상측 가열 부재에 손이 닿을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화상 방지 도어의 개폐 및 용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구현하고,
또한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용기 하강 장치,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
화상 방지 도어의 개폐 및 용기를 배출할 수 있어서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의 외관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의 블록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선택 이송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선택 이송 장치 설명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하강 장치 2의 설명도이고,
도 2d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하강 장치 2의 분리 설명도이고,
도 2f 내지 도 2i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속도 제어 장치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2j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2k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하강 장치 2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의 실시예이고,
도 3c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의 실시예이고,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와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를 일체화한 실시예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의 실시예이고,
도 4b 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포획 및 분리 장치의 실시예이고,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포획 및 분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방지 도어 장치의 실시예이고,
도 6a는 종래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는 다양한 부품들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소발명들, 상기 소발명 각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 및 상기 실시예 각각에 대한 다양한 상세예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는 다양한 부품들의 다양한 제작 방법 또는 다양한 사용 방법에 대한 다양한 소발명들, 상기 소발명 각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 및 상기 실시예 각각에 대한 다양한 상세예들도 포함한다.
단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구성 및 다양한 방법에 대한 소발명, 실시예 및 상세예 각각은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는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구성에 따라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팝콘 자판기, 다양한 부품, 제작 방법 및 사용 방법,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팝콘 자판기 및 다양한 부품은 물론 관련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다양한 상기 소발명들, 실시예들 및 상세예들을 용이하게 변형하여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다양한 제작 방법 및 다양한 사용 방법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는 도 1a와 도 1 b에서와 같이 본체(100)에 팝콘 배출 도어(101)와 결재 패널(102)과 팝콘 선택 패널(103)과 팝콘 선택 버튼(104)과 화면 패널(109)과 팝콘 용기통(110)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와 팝콘 가열부(300)와 팝콘 이송 장치(400)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500)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용기통(110)은 용기 하강 장치 1(111)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용기 하강 장치 2(210)을 포함한다.
싱기 팝콘 이송 장치(400)는 수직 이송 장치(420)와 수평 이송 장치(4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이송 속도 제어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콘 가열부(300)는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콘 가열부(300)는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콘 이송 장치(400)는 무동력 가열부 용기 포획 및 분리 장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콘 용기 배출 장치(500)는 화상 방지 도어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소발명 1은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의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를 무동력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즉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로서 용기 하강 장치 2(210)이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의 상측 회전축(116)의 일단에 구성되고,
도 2a 내지 도 2 e와 같이
선택 용기 고정대(211)와 용기 선택 이송대(212)와 한쌍의 선택 용기 받침대(214)와 용기 받침 지렛대(215)와 용기 센서 2(220)와 상측 회전축(116)과 회전 스토퍼(117)와 회전 보조대(219)와 텐션 부재 2(218)과 센서 감지판 2(221)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211)는 상기 상측 회전축(116)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212)는 상기 상측 회전축(116)과 연결되어서 같이 회전하고,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214)는 선택 용기 받침대 축(223)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215)는 지렛대 축 2(216)와 지렛대 회전대 2(217)를 구성하고 상기 지렛대 축 2(216)는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211)의 지렛대 축 홀(224)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성하며,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가 상기 팝콘 용기통(110)에서 팝콘 용기(115)를 수납 받거나 또는 이송시
상기 텐션 부재 2(218)는 텐션 작용으로 상기 한쌍의 선택 용기 받침대(214)를 안쪽으로 잡아 당겨서 상기 팝콘 용기(115)를 받쳐주고,
모터 1(112)의 회전으로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의 이송으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가 팝콘 가열부(300)에 위치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의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211)의 일측면이 상기 회전 스토퍼(117)에 의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측 회전축(116)이 약간 더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상측 회전축(116)에 연결된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212)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212)의 이송대 회전대(213)에 연결된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215)의 상기 지렛대 회전대 2(217)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215)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214)의 내측면을 밀어내게 되어서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214)는 서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팝콘 용기(115)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측 회전축(116)이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의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211)가 상기 회전 스토퍼(117)와 이격되면, 상기 텐션 부재 2(218)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214)를 안쪽으로 잡아 당겨서 상기 팝콘 용기(115)를 받칠수 있는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즉,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는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214)를 열고 닫을 때에 별도의 모터나 솔레이드 등의 동력 부품을 추가로 사용치 않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를 회전시키는 모터 1(11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214)를 열고 닫으므로서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또한 도 2d와 도 2k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214) 한쌍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212)는 받침대 이송대 일체형(214-2)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받침대 이송대 일체형(214-2)의 회전축은 상기 상측 회전축(116)과 연결되어서 같이 회전한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소발명 2는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구현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상판(114)과 모터 1(112)과 기어 박스 1(113)과 상측 회전축(116)과 위치 센서 1(118)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와 센서 감지판 2(221)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감지판 2(221)는 센서판 중앙 일정 부분에 일정 크기의 저속 해제 인식 구간(222)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에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의 회전 이송을 고속에서 저속 및 정지의 2단 이송 속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데,
도 2f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에 구성된 상기 센서 감지판 2(221)가 상기 위치 센서 1(118)과 떨어져 있으면, 상기 모터 1(112)은 고속 회전을 하여서 상기 상측 회전축(116)이 고속 회전하여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도 고속 이송하고,
도 2g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에 구성된 상기 센서 감지판 2(221)의 센서판 측면이 상기 위치 센서 1(118)에 감지되면, 상기 모터 1(112)은 저속 회전으로 제어되고 상기 상측 회전축(116)이 저속 회전하여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도 저속 이송하고,
도 2h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에 구성된 상기 센서 감지판 2(221)의 센서판 중앙의 저속 해제 인식 구간(222)을 상기 위치 센서 1(118)가 감지하면, 상기 모터 1(112)은 저속 회전에서 정지 준비 단계로 제어되고,
도 2i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에 구성된 상기 센서 감지판 2(221)의 센서판 중앙의 저속 해제 인식 구간(222)의 옆 센서판을 상기 위치 센서 1(118)가 감지하면, 상기 모터 1(112)은 저속 회전에서 정지 단계로 제어되고 정지 브레이크 제어를 할 수 있고,
상기 상측 회전축(116)이 정지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도 같이 정지 한다.
즉, 상기 위치 센서 1(118)은 상기 센서 감지판 2(221)의 감지로 저속 위치를 특정하면서도 정지 위치를 확실히 알수 있는 것이다.
즉, 센서 감지판이 감지판 사이에 저속 해제 인식 구간을 구성하여 줌으로서 상기 센서 감지판과 위치 센서 1개씩만으로도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또한 저속 구간 설정은 상기 센서 감지판 2(221)의 폭을 조정함으로서 가능한데,
일예로 상기 센서 감지판 2(221)의 폭을 적게하면 저속 구간이 적게되고,
반대로 상기 센서 감지판 2(221)의 폭을 크게하면 저속 구간을 길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소발명 3은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240)를 구현하고,
상기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240)는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와 유격 방지 부재(241)와 회전 스토퍼(117)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상판(114)과 모터 1(112)과 기어 박스 1(113)과 상측 회전축(116)과 위치 센서 1(118)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와 센서 감지판 2(221)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117)는 상기 상판(114)의 일정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유격 방지 부재(241)의 일단은 상기 상측 회전축(116)의 일정 부분에 고정하고, 상기 유격 방지 부재(241)를 1회 이상 상기 회전축(116)에 감아서 한 방향으로 회전 텐션을 갖게 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회전 스토퍼(117)나 상기 상판(114)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유격 방지 부재(241)의 일단은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측 회전축(116)은 상기 유격 방지 부재(241)의 회전 텐션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항상 일정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기어 박스 1(113) 기어의 기어 잇빨은 항상 한 방향에 접촉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기어에 의한 편심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이송에 따른 상기 팝콘 용기가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서 정교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불량을 줄이게 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소발명 4는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310)를 구현하며,
상기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310)는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와 하측 회전축(311)과 하측 지지대(312)와 회전 부재 3(313)과 지렛대 3(318)과 텐션 부재 3(319)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상기 상측 회전축(116)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는 회전 보조대(219)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회전축(311)은 상기 하측 지지대(312)에 구성하고 상기 상측 회전축(116)과 동일 원상에 구성하고,
상기 회전 부재 3(313)은 상기 하측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성하고 일단에 용기 가이드 3(314)을 구성하고 다른 일단에 회전 부재 밀대(316)를 구성하고,
상기 텐션 부재 3(319)은 일단을 상기 회전 부재 3(313)의 일단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하측 지지대(312)의 일단에 연결하고,
상기 지렛대 3(318)은 중심 일정 부분에 지렛대 축 3(321)을 구성하고 일단에 지렛대 밀대(317)를 구성하고 다른 일단에 지렛대 밀대봉(320)을 구성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가 상기 팝콘 가열부(300)와 떨어져 있으면, 상기 회전 부재 3(313)은 상기 텐션 부재 3(319)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용기 가이드 3(314)이 상기 팝콘 가열부(300)에서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가 상기 팝콘 가열부(300)로 이동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의 상기 회전 보조대(219)가 상기 지렛대 3(318)의 지렛대 밀대(317)를 밀고 상기 지렛대 3(318)의 반작용으로 상기 지렛대 밀대봉(320)이 상기 회전 부재 3(313)을 밀게 된다.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의 팝콘 용기(115)가 상기 팝콘 가열부(300)에 위치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에 구성된 용기 가이드 2(315)와 상기 회전 밀대 3(318)에 구성된 상기 용기 가이드 3(314)에 의해서 상기 팝콘 용기(115)를 지지하여 주게 되고,
상기 팝콘 용기(115)는 안전하게 상기 팝콘 가열부(300) 중앙에 정확히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 3(313)은 상기 상측 회전축(116)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소발명 5는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4 b 내지 도 4 d에서와 같이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는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410)를 구현하며,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410)는 수직 이송 장치(420)와 상측 가열 부재(411)와 용기 포획 부재(413)와 팝콘 커버(412)와 용기 배출 밀대 4(441)와 밀대 텐션 4(44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 장치(420)는 수직 고정대(421)와 수직 이송대(422)와 모터 4(423)와 센서 감지판 4(428)와 위치 센서 41(426)과 위치 센서 42(427)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대(422)가 상승하면 상기 밀대 텐션 4(443)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441)를 밀어 내므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441)는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를 간섭하지 않아서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의 텐션 작용으로 팝콘 용기(115)를 포획하게 되고,
상기 수직 이송대(422)가 하강하면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가 하강하고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441)가 하측 가열 부재(미도시)의 받침으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441)가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를 누르게 되어서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와 상기 팝콘 용기(11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115)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와 분리되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441)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와 분리하여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d와 같이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에 구성한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에서 용기 받침(414)을 2개 이상 구성하면 높이가 다른 팝콘 용기를 2개 이상 공용으로 상측 가열 부재(411)로 포획할 수 있고,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에서 내측 가이드(415)를 상하 다르게 2개 이상 구성하면 폭이 다른 팝콘 용기를 2개 이상 공용으로 상측 가열 부재(411)에 포획할 수 있다.
즉, 팝콘 용기의 용량이 다른 용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팝콘 용기를 상측 가열 부재에 포획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소발명 6는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3 c 내지 3 e에서와 같이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330)를 구현하며,
상기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330)는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와 하측 지지대(312)와 하측 회전축(311)과 회전 부재 3(313)과 하측 가열 부재(301)와 텐션 부재 3(319)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는 상측 회전축(116)과 용기 하강 장치 2(21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는 회전 보조대(219)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 3(313)은 상기 하측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찌꺼기 밀대(331)와 회전 부재 밀대(316)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부재 3(319)은 상기 회전 부재 3(313)의 일단과 상기 하측 지지대(312)의 일단 사이에 구성하고,
팝콘 용기(115)가 팝콘 가열부(300)에서 가열시에는 상기 회전 부재 3(313)은 상기 텐션 부재 3(319)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찌꺼기 밀대(331)가 상기 팝콘 가열부(300)와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팝콘 용기(115)의 가열이 종료되어서 상측 가열 부재(411)가 하측 가열 부재(301)에서 이동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200)의 이송에 의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가 회전하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210)에 구성된 상기 회전 보조대(219)가 상기 회전 부재 밀대(316)를 밀어서 상기 회전 부재 3(313)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 부재 3(313)에 구성된 상기 찌꺼기 밀대(331)가 상기 하측 가열 부재(301) 위에 있는 팝콘 찌꺼기(332)를 밀어서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팝콘 가열부의 팝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또한 도 3 f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 3(313)에 구성된 용기 가이드 3(314)과 상기 찌꺼기 밀대(331)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전 부재 3(313)에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대한
소발명 7는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는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440)를 구현하며,
상기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440)는
수직 이송 장치(420)와 상측 가열 부재(411)와 용기 포획 부재(413)와 팝콘 커버(412)와 용기 배출 밀대 41(444)과 도어 개폐 밀대(442)와 배출구(512)와 배출 용기 센서(513)와 화상 방지 도어 장치(51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 장치(420)는 수직 고정대(421)와 수직 이송대(422)와 모터 4(423)와 센서 감지판 4(428)와 위치 센서 41(426)과 위치 센서 42(427)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방지 도어 장치(510)는 화상 방지 도어(511)와 도어 중심핀(517)과 텐션 부재 5(514)와 도어 회전축(516)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대(422)가 상승하면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 내부에 구성된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는 텐션 작용으로 팝콘 용기(115)를 포획하고 있고,
상기 수직 이송대(421)가 하강하면 상기 도어 개폐 밀대(442)가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에 구성된 도어 개폐 가이드(515)를 벌려서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를 개방하고,
상기 수직 이송대(422)가 추가로 하강하면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1(444)이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를 눌러서 상기 팝콘 용기(115)와 상기 용기 포획 부재(4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115)가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에서 분리되어서 상기 배출구(512)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배출구(512)에 구성된 배출 용기 센서(513)가 상기 팝콘 용기(115)를 감지하면, 상기 수직 이송대(422)는 상승하고 상기 도어 개폐 밀대(442)도 상승하므로 상기 텐션 부재 5(514)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는 닫히게 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115)를 손으로 꺼내 오면서 상기 상측 가열 부재(411)에 손이 닿아서 화상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화상 방지 도어의 개폐 및 용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방지 도어 장치의 실시예이고,
상기 화상 방지 도어 장치(510)는 화상 방지 도어(511)와 도어 중심핀(517)과 텐션 부재 5(514)와 배출구(512)와 배출 용기 센서(513)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는 도어 회전축(516)과 도어 개폐 가이드(515)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 용기 센서(513)는 배출되는 팝콘 용기를 감지하고 상기 도어 중심핀(517)은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의 중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는 상기 도어 회전축(516)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 개폐 가이드(515)의 밀림 제어로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는 개방 제어를 하게되고,
상기 텐션 부재 5(514)는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를 서로 잡아 당겨서 화상 방지 도어(511)를 닫아 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화상 방지 도어(511)는 배출구와 가열된 상측 가열 부재 사이를 차단하여
사용자가 배출구 내의 팝콘 용기를 손으로 배출할 때에 실수로 가열된 상측 가열 부재에 손이 닿아서 화상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100 : 본체
101 : 배출도어
102 : 결재 패널
103 : 팝콘 선택 패널
104 : 팝콘 선택 버튼
109 : 화면 패널
110 : 팝콘 용기통
111 : 용기 하강 장치 1
112 : 모터 1
113 : 기어 박스 1
114 : 상판
115 : 팝콘 용기
116 : 상측 회전축
117 : 회전 스토퍼
118 : 위치 센서 1
120 : 중간판
121 : 중간판 지지대
130 : 바닥판
200 : 용기 선택 이송 장치
210 : 용기 하강 장치 2
211 : 선택 용기 고정대
212 : 용기 선택 이송대
213 : 이송대 회전대
214 : 선택 용기 받침대
214-2 : 받침대 이송대 일체형
215 : 용기 받침 지렛대
216 : 지렛대 축 2
217 : 지렛대 회전대 2
218 : 텐션 부재 2
219 : 회전 보조대
220 : 용기 센서 2
221 : 센서 감지판 2
222 : 저속 해제 인식 구간
223 : 선택 용기 받침대 축
224 : 지렛대 축 홀
230 : 이송 속도 제어 장치
240 :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
241 : 유격 방지 부재
242 : 유격 방지 부재 고정봉
300 : 팝콘 가열부
301 : 하측 가열 부재
310 :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
311 : 하측 회전축
312 : 하측 지지대
313 : 회전 부재 3
314 : 용기 가이드 3
315 : 용기 가이드 2
316 : 회전 부재 밀대
317 : 지렛대 밀대
318 : 지렛대 3
319 : 텐션 부재 3
320 : 지렛대 밀대봉
321 : 지렛대 축 3
330 :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
331 : 찌꺼기 밀대
332 : 팝콘 찌꺼기
400 : 팝콘 이송 장치
410 : 무동력 가열부 용기 포획 및 분리 장치
411 : 상측 가열 부재
412 : 팝콘 커버
413 : 용기 포획 부재
414 : 용기 받침
415 : 내측 가이드
420 : 수직 이송 장치
421 : 수직 고정대
422 : 수직 이송대
423 : 모터 4
424 : 기어 4
425 : 수직 기어 4
426 : 위치 센서 41
427 : 위치 센서 42
428 : 센서 감지판 4
430 : 수평 이송 장치
440 :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
441 : 용기 배출 밀대 4
442 : 도어 개폐 밀대
443 : 밀대 텐션 4
444 : 용기 배출 밀대 41
500 : 팝콘 용기 배출 장치
510 : 화상 방지 도어 장치
511 : 화상 방지 도어
512 : 배출구
513 : 배출 용기 센서
514 : 텐션 부재 5
515 : 도어 개폐 가이드
516 : 도어 회전축
517 : 도어 중심핀

Claims (10)

  1.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판과 모터 1과 기어 박스 1과 상측 회전축과 위치 센서 1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와 센서 감지판 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로서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선택 용기 고정대와 용기 선택 이송대와 한쌍의 선택 용기 받침대와 용기 받침 지렛대와 용기 센서 2와 상측 회전축과 회전 스토퍼와 회전 보조대와 텐션 부재 2와 센서 감지판 2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는 상기 상측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는 상기 상측 회전축과 연결되어서 같이 회전하고,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는 선택 용기 받침대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는 지렛대 축 2와 지렛대 회전대 2를 구성하고 상기 지렛대 축 2는 상기 선택 용기 고정대의 지렛대 축 홀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성하며,
    모터 1의 회전으로 상기 상측 회전축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에 의해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의 선택 용기 고정대는 정지하고,
    상기 상측 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의 회전과 상기 텐션 부재 2의 텐션 작용과 상기 용기 받침 지렛대의 작용으로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팝콘 용기를 받쳐주거나 하강하게 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와 상기 선택 용기 받침대 하나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서
    무동력 용기 하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3.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위치 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구현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판과 모터 1과 기어 박스 1과 상측 회전축과 위치 센서 1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와 센서 감지판 2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감지판 2는 센서판 중앙 일정 부분에 일정 크기의 저속 해제 인식 구간을 구성하고,
    상기 위치 센서 1이 상기 센서 감지판 일측을 감지하면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이송을 고속에서 저속으로 제어하고,
    상기 위치 센서 1이 상기 센서 감지판의 상기 저속 해제 인식 구간을 감지하면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이송을 저속제어를 해제하고 정지 준비 제어하고,
    상기 위치 센서 1이 상기 센서 감지판 다른 일측을 감지하면 용기 선택 이송 장치의 이송을 정지 제어하는데,
    이와 같이
    위치센서 1개에 의한 저속 및 정지 2단 이송 속도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4.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를 구현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판과 모터 1과 기어 박스 1과 상측 회전축과 위치 센서 1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와 센서 감지판 2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는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유격 방지 부재와 회전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상판의 일정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유격 방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측 회전축의 일정 부분에 고정하고, 상기 유격 방지 부재를 1회 이상 상기 회전축에 감아서 한 방향으로 회전 텐션을 갖게 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회전 스토퍼나 상기 상판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상측 회전축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가 상기 유격 방지 부재의 회전 텐션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항상 일정한 힘을 받게하여서 상기 기어 박스 1 기어의 기어 잇빨은 항상 한 방향에 접촉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기어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기어 편심 유격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5.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를 구현하며,
    상기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는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하측 회전축과 하측 지지대와 회전 부재 3과 지렛대 3과 텐션 부재 3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기 상측 회전축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회전 보조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회전축은 상기 하측 지지대에 구성하고 상기 상측 회전축과 동일 원상에 구성하고,
    상기 회전 부재 3은 상기 하측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구성하고 일단에 용기 가이드 3을 구성하고 다른 일단에 회전 부재 밀대를 구성하고,
    상기 텐션 부재 3은 일단을 상기 회전 부재 3의 일단에 연결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하측 지지대의 일단에 연결하고,
    상기 지렛대 3은 중심 일정 부분에 지렛대 축 3을 구성하고 일단에 지렛대 밀대를 구성하고 다른 일단에 지렛대 밀대봉을 구성하고,
    팝콘 용기의 측면 일단은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에 구성된 상기 용기 가이드 2가 지지하고,
    모터 1의 회전으로 상기 상측 회전축이 회전하고,
    상기 상측 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의 회전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의 상기 회전 보조대와 상기 지렛대 3의 작용으로 상기 회전 부재 3에 된 용기 가이드 3으로 팝콘 용기의 다른 측면 일단을 지지하게 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낙하 용기 이탈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6.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가열 부재는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를 구현하며,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상측 가열 부재와 용기 포획 부재와 팝콘 커버와 용기 배출 밀대 4와 밀대 텐션 4를 포함하고,
    수직 이송 장치는 수직 고정대와 수직 이송대와 모터 4와 센서 감지판 4와 위치 센서 41과 위치 센서 42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 장치에 구성된 상기 모터 4의 회전력으로
    상기 수직 이송대가 상승하면 상기 밀대 텐션 4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를 밀어 내므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는 상기 용기 포획 부재를 간섭하지 않아서 상기 용기 포획 부재의 텐션 작용으로 팝콘 용기를 포획하게 되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하강하면 상기 상측 가열 부재가 하강하고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가 하측 가열 부재의 받침으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가 상기 용기 포획 부재를 누르게 되어서 상기 용기 포획 부재와 상기 팝콘 용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와 분리되어 아래로 하강하게 구성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와 분리하여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는 상기 상측 가열 부재와 분리하여 별도로 구성된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획 부재는 용기 받침을 2개 이상 구성하고,
    팝콘 용기의 용량이 다른 용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동력 가열부 용기의 포획 및 분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9.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를 구현하며,
    상기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는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하측 회전축과 하측 지지대와 회전 부재 3과 하측 가열 부재와 텐션 부재 3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선택 이송 장치는 상기 상측 회전축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는 회전 보조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회전축은 상기 하측 지지대에 구성하고 상기 상측 회전축과 동일 원상에 구성하고,
    상기 회전 부재 3은 상기 하측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일단에 찌꺼기 밀대와 다른 일단에 회전 부재 밀대를 구성하고,
    상기 텐션 부재 3은 상기 회전 부재 3의 일단과 상기 하측 지지대의 일단 사이에 구성하고,
    모터 1의 회전으로 상기 상측 회전축이 회전하고,
    상기 상측 회전축의 회전에 의한 상기 용기 선택 이송대의 회전과 상기 용기 하강 장치 2의 상기 회전 보조대와 상기 회전 밀대 3에 구성된 회전 부재 밀대와 상기 회전 밀대 3에 구성된 상기 찌꺼기 밀대의 작용으로 상기 하측 가열 부재 상부에 있는 팝콘 찌꺼기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팝콘 찌꺼기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10. 결재 패널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팝콘 선택 버튼과 하나 이상의 팝콘 용기통과 용기 선택 이송 장치와 팝콘 가열부와 팝콘 이송 장치와 팝콘 용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팝콘 용기통은 용기 하강 장치 1을 포함하고,
    상기 팝콘 가열부는 하측 가열 부재와 상측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팝콘 이송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가열 부재는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를 구현하며,
    상기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는
    수직 이송 장치와 상측 가열 부재와 용기 포획 부재와 팝콘 커버와 용기 배출 밀대 41과 도어 개폐 밀대와 배출구와 배출 용기 센서와 화상 방지 도어 장치를 포함하고,
    수직 이송 장치는 수직 고정대와 수직 이송대와 모터 4와 센서 감지판 4와 위치 센서 41과 위치 센서 42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이송 장치에 구성된 상기 모터 4의 회전력으로
    상기 수직 이송대가 상승하면 상기 상측 가열 부재 내부에 구성된 상기 용기 포획 부재는 텐션 작용으로 팝콘 용기를 포획하고 있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하강하면 상기 도어 개폐 밀대가 상기 화상 방지 도어에 구성된 도어 개폐 가이드를 벌려서 상기 화상 방지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수직 이송대가 추가로 하강하면 상기 용기 배출 밀대 41이 상기 용기 포획 부재를 눌러서 상기 팝콘 용기와 상기 용기 포획 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팝콘 용기가 상기 상측 가열 부재에서 분리되어서 상기 배출구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배출구에 구성된 배출 용기 센서가 상기 팝콘 용기를 감지하면, 상기 수직 이송대는 상승하고 상기 도어 개폐 밀대도 상승하므로 상기 텐션 부재 5의 텐션 작용으로 상기 화상 방지 도어는 닫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 부품을 사용치 않고 다른 장치의 동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화상 방지 도어 개폐 및 용기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KR1020190052682A 2019-05-06 2019-05-06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KR20200128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82A KR20200128621A (ko) 2019-05-06 2019-05-06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682A KR20200128621A (ko) 2019-05-06 2019-05-06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621A true KR20200128621A (ko) 2020-11-16

Family

ID=7367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682A KR20200128621A (ko) 2019-05-06 2019-05-06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4814A (zh) * 2021-07-15 2021-10-26 浙江佰润科技有限公司 一种多口味自动混合配料爆米花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4814A (zh) * 2021-07-15 2021-10-26 浙江佰润科技有限公司 一种多口味自动混合配料爆米花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7677B2 (en) Vending apparatus for dispensing hot pizzas
RU23068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бора и опорожнения капсул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US10687655B2 (en) Beverage brewing device for brewing and removal of different sized beverage capsules
RU2279242C2 (ru) Система переноса отдельных упаковок кофе из контейнера в камеру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фе "эспрессо"
JP4977680B2 (ja) 抽出システム、カプセル、及びカプセルの使用方法
TWI249394B (en) Espresso brewing device
WO2007045553A1 (en) Device for expelling used prepackaged capsules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KR20200128621A (ko) 기능이 향상된 팝콘 자판기
KR20170108204A (ko) 캡슐 띠에 의한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KR20160148774A (ko)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안착시스템
KR20180045960A (ko)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KR20160148777A (ko)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원액추출부 승하강장치
KR20160148772A (ko)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
JP5920642B2 (ja) くるみ供給装置
KR20200128622A (ko) 팝콘 튀김 장치를 구비한 게임기
KR20160148776A (ko)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수거장치
KR20160148775A (ko)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 저면개구장치
CN112562195B (zh) 全自动饮品售卖机
JP5065917B2 (ja) 飲料抽出装置
KR20160148778A (ko) 캡슐 원두커피 자동판매기의 캡슐이동슬라이드 이송장치
CN108471898B (zh) 用于通过使热水通入容纳食品物质的容器来制作饮料的设备
US11272804B2 (en) Beverage brewing device for brewing and removal of different sized flavored beverage packets (POD)
JP4003701B2 (ja) 飲料供給機のカップ搬送装置
CN112489304B (zh) 全自动饮品售卖机
KR102467892B1 (ko) 자동 캡슐 커피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