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445A -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445A
KR20200127445A KR1020190051560A KR20190051560A KR20200127445A KR 20200127445 A KR20200127445 A KR 20200127445A KR 1020190051560 A KR1020190051560 A KR 1020190051560A KR 20190051560 A KR20190051560 A KR 20190051560A KR 20200127445 A KR20200127445 A KR 2020012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ata
monitoring
task
auto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서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룸
Priority to KR102019005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7445A/ko
Publication of KR2020012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프, 차트와 같이 사람이 눈으로 보고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비정형 데이터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형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변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상징후를 판단 하고 대응을 위한 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이 직접 보고 판단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휴먼 에러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사람이 수행하는 업무를 자동화하여 업무 처리에 대한 일관성과 반복성을 구현해 업무 결과의 신뢰성 향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위해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은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출해내는 비정형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듈과 이를 해석하는 모듈을 가지며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모듈이 분석을 수행하게 되고, 분석 결과에 대한 대응으로 업무 자동화 모듈과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이 수행한 내역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업무 결과 출력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Automation monitor system by analyzing unstructured data}
본 발명은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이미지, 그래프 등의 시각화된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형 데이터(Structured data)로 매칭시키고 이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업무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상태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일련의 시스템을 일컫는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교통, 통신, 전자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발생한 특이사항에 대해 식별 및 분석을 실시하고 장애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모니터링 기능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까지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업무 처리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체계화된 프로세스 관리를 통해 현재 진행중인 작업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장비에서 발생하는 정형화 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람이 알기 쉽도록 이미지, 그래프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방법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모니터링 결과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Human) 중심의 업무 처리에 효율적으로 작용한다.하지만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이 직접 업무를 수행하는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숙련도에 따른 업무 처리 및 결과 차이가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이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하더라도 사람이 업무를 수행하는 이상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업무가 처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여 문제를 처리함으로써 일관성이 유지되기 힘들며 개개인의 숙련도에 따라 판단 근거가 달라지게 된다.
두 번째는 인프라 발전에 따른 모니터링 업무량의 증가가 있다. 예를 들어 보안관제의 영역인 경우 꾸준이 증가하는 트래픽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 트래픽도 증가하게 되어 분석 및 처리하는 사용자에게 부담이 가중된다. 특히, 모니터링은 24시간 무중단으로 이루어지는 이벤트 탐지 뿐만 아니라 분석 및 대응까지 진행을 해야하는 업무로써, 이는 오탐(False positive)이나 미탐(False negative)과 같이 치명적인 휴먼 에러(Human Error)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업무로 인한 실수가 발생할 수 있어 모니터링 체계 유지 및 프로세스 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유로 복잡하고 반복적인 업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무실 업무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와 같이 모니터링 업무의 자동화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탐지 및 결과를 비정형화 데이터로 표현하는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업무 자동화 적용이 힘든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수정할 경우, 새로운 기능 개발이나 로그 가공에 필요한 비용적, 시간적인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다른 방면으로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및 수정에 대한 계약적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있을 때 임계치 70%일때 알림을 띄우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를 단순히 70%일때 업무처리를 하지 않고 과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시간때는 예외로 두고 싶다거나, 전 5분과 비교해서 급등했을때만 처리하고자할 때, 사람이 판단하면 시간과 조건에 대해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화 하기 위해서는 시간 규칙을 추가하거나 시간 수집 및 비교 기능을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전자의 경우 사람이 일일히 처리할 경우 잘못된 상황 판단으로 인한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시스템 개선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이 투자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시스템은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업무 자동화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정형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업무를 자동화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빠른 처리 속도와 일관성을 통해 업무 결과의 신뢰성 상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업무 자동화를 위해 개선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 혹은 기능 개발이나 기존 로그에 대한 가공, 로그 제공에 대한 계약적 문제로 소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은,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출력하는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및 수집한 비정형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데이터 해석 모듈을 포함한다. 데이터 해석 모듈은 비정형 데이터에서 문자열을 획득하기 위한 광학 문자 인식 모듈과 그래프와 같은 이미지를 해석하기 위한 컴퓨터 비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해석 모듈로부터 생성된 정형 데이터가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부합하는지 검사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과 규칙을 정의하는 모니터링 규칙 정책을 정의한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규칙에 부합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에 따른 업무 자동화 진행을 수행하기 위해 업무 자동화 모듈이 포함된다. 업무 자동화 모듈이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업무 결과 출력 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기존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가진 규칙에 의해 출력하는 모니터링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출력되는 값이 변화될 때 마다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해석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해석 모듈은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비정형 데이터를 자동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형 데이터로 변환을 수행한다. 비정형 데이터의 형태에 따라 광학 문자 인식 모듈을 사용하거나 컴퓨터 비전 모듈을 사용하여 정형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상기 데이터 해석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규칙 정책에 부합하는 내용이 있는지 확인을 하게 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업무 자동화 모듈로 전달하거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기 업무 자동화 모듈은 모니터링 규칙 정책에 부합하여 사람이 진행해야될 업무가 있을 경우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이 업무에는 이벤트 처리 알림, 사고 등록, 이메일 전파, SMS 전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모니터링 대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업무가 지정될 수 있다.
상기 업무 결과 출력 모듈은 상기 업무 자동화 모듈이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의해 모니터링 이벤트 발생에 대한 대응 업무를 실행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규칙 정책 모듈은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내에 존재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거나 별도의 서버에 위치하여 다수의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일관적으로 관리 될 수가 있으며, 관리 필요에 의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사람의 직관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비정형화 데이터를 정형화 하여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업무처리 속도와 일관된 업무처리 결과를 제공하여 업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모니터링 시스템을 대상으로 업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 혹은 기능 개발이나 기존 로그에 대한 가공, 로그 제공에 대한 계약적 문제로 소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자동화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식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모니터링 시스템(100),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110), 사용자(120)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기존에 구축, 운영되고있는 시스템이다. 모니터링 하고자하는 대상의 상태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비정형 데이터로 가공하여 출력해준다. 예를들어, 통합보안관리(ESM),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 등과 같이 대상의 이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축 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도면에서는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용자(120)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사용자(120)는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통해 이벤트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업무를 개인의 환경에서 진행한다.
분석 시스템(110)은 모니터링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판독하고 분석하여 사용자가 일률적으로 진행해야될 업무를 자동화로 진행한다. 진행 결과는 사용자(120)에게 전송하고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자동화된 업무 수행 내역을 반영한다. 분석 시스템(110)은 앞서 설명한 모니터링이 실제 이루어지는 개인의 환경에 위치하며 기존에 사용자(120)가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처리하는 업무를 자동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120)는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110)으로부터 처리된 결과를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통해 확인한다.
도 2는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110)을 이루고 있는 모듈을 도식화 한것으로, 데이터 수집 모듈(210), 데이터 해석 모듈(220), 데이터 분석 모듈(230), 업무 자동화 모듈(240), 업무 결과 출력 모듈(250)로 구성된다.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110)은 실제로 사용자로부터 모니터링 업무가 수행되는 환경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보고 판단하고 수행하는 업무를 대체하기 위해 존재한다.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발생한 비정형 출력 결과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큐(Queue) 형태로 저장이 되어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기존 모니터링이 출력하는 이미지 및 그래프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 출력 부분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에서 모니터링이란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고 판단하는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수집 모듈(210)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비정형 데이터의 변화를 감지하고 변화가 발생할때마다 데이터 해석 모듈을 통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형 데이터로의 변환을 시도한다.
데이터 해석 모듈(220)은 데이터 수집 모듈(210)로 부터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모듈로 광학 문자 인식 모듈(221)과 컴퓨터 비전 모듈(222)을 포함한다. 데이터 해석 모듈(220)은 비정형 데이터의 형태를 확인하고 알맞은 해석 모듈을 호출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 모듈(210)이 모니터링 대상의 컨디션을 확인하는 그래프를 읽어 들인다면 데이터 수집 모듈은(210)은 그래프 값인 비정형 데이터를 데이터 해석 모듈(220)로 전달한다. 데이터 해석 모듈(220)은 데이터 수집 모듈(210)로 부터 받은 그래프 형식의 비정형 데이터를 컴퓨터 비전 모듈(222)을 이용해 해석을 수행한다.
상기 광학문자인식모듈(221)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를 읽어들이기 위해 사용된다. 즉, 이미지로 표현된 문자를 자동화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컴퓨터 비전 모듈(222)은 그래프와 같은 이미지를 정형화 된 수치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광학문자인식모듈(221)과 컴퓨터 비전 모듈(222)은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가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모듈들은 데이터 수집 모듈(210)에 의해 정의되고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데이터 해석 모듈(220)에 의해 단독으로 호출되며 동시에 호출되지 않는다. 광학 문자 인식 모듈(221)이나 컴퓨터 비전 모듈(222)에서 생성된 정형 데이터는 분석 모듈로 전달된다.
데이터 분석 모듈(230)은 광학문자인식모듈(210)이나 컴퓨터 비전 모듈(220)에서 생성한 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위 실시예와 같이 사전에 정의한 규칙을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하며 정탐으로 확인될 경우 업무 처리를 위해 로그 처리 모듈(240)을 호출한다.
업무 자동화 모듈(240)은 로그 분석 모듈(230)의 결과가 업무 처리가 필요할 경우 자동화 업무 처리(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진행한다. 이벤트 접수, 이메일 발송 등 사용자(120)가 직접 수행해야하는 업무를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작업은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수행하는 기능이 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업무 자동화 모듈(240)은 매크로 기능과 같은 반복적인 작업 수행을 위한 기능을 사용하여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입력도구를 사용하는 작업을 대체할 수 있으며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값과 행위를 기억해 업무 처리를 자동화할 수 있다. 후자와 같은 경우 업무 자동화 모듈(240)은 업무 자동화에 필요한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을 선택하여 호출함으로써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업무 결과 출력 모듈(250)은 업무 자동화 모듈(240)에서 진행한 일련의 과정과 결과를 사용자(120)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취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정형 데이터를 확인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진행해야할 업무를 자동화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의 가공이 필요할 경우에도 모니터링 시스템(100) 원래의 로그를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 개선 및 유지보수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110)이 자동화 업무를 위해 수행하는 업무 흐름도이다.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규칙에 기반하여 사용자(120)가 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프나 이미지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로 이루어진 결과를 출력한다.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110)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를 위해 출력된 비정형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S100). 여기서 비정형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데이터 분석을 위해 비정형 데이터 수집하는 단계를 가진다(S200).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는 분석을 위해 정형 데이터로 변경되는 작업을 가지는데(S300),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가 문자열 이미지인지(S310), 시각화 데이터(S311)인지 확인한다. 문자열 이미지로 확인이 되면(S310) 데이터 해석 모듈(220)은 광학 문자 인식 모듈(221)을 호출해 정형 데이터로 매칭시킨다(S320). 문자열 이미지가 아닌 그래프와 같이 시각화 데이터로 확인되면(S311) 컴퓨터 비전 모듈(222)을 호출하는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S321).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해석 하는 과정(S300) 이후 정형 데이터 분석(S400)을 수행한다. 데이터 분석 모듈(230)은 사전에 정의 된 정책(S420)을 기준으로 데이터 분석을 수행(S410)하며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업무를 진행할지 무시할지 결정(S430)한다. 업무 처리가 불필요할 경우 다시 모니터링 상태(S100)로 돌아가며 필요할 경우 업무 자동화 처리 단계(S500)가 수행된다. 업무 자동화 처리 단계(S500)가 완료되면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110)은 해당 결과를 사용자(120)에게 출력하며(S600) 명령의 흐름이 종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0 : 모니터링 시스템
110 :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120 : 사용자
210 : 데이터 수집 모듈
220 : 데이터 해석 모듈
221 : 광학 문자 인식 모듈
222 : 컴퓨터 비전 모듈
230 : 데이터 분석 모듈
231 : 규칙 정책
240 : 업무 자동화 모듈
250 : 업무 결과 출력 모듈

Claims (3)

  1. 자동화처리를 위한 분석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로그를 수집하는 모듈과,
    비정형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광학 문자 인식 모듈, 컴퓨터 비전 모듈과
    해석된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
    모니터링 업무를 자동화 하는 업무 자동화 모듈과 이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업무 결과 출력 모듈
    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모니터링 업무를 실제로 수행하는 환경에 직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비정형 데이터를 자동화에 이용하기 위한 정형 데이터로 실시간으로 해석하는 모듈을 가지면서, 실시간으로 해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이상 징후 판단 후, 사용자가 직접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매크로와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능 호출을 활용해 자동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KR1020190051560A 2019-05-02 2019-05-02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KR20200127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60A KR20200127445A (ko) 2019-05-02 2019-05-02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60A KR20200127445A (ko) 2019-05-02 2019-05-02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445A true KR20200127445A (ko) 2020-11-11

Family

ID=7345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560A KR20200127445A (ko) 2019-05-02 2019-05-02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74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359B1 (ko) * 2021-12-09 2022-05-02 (주)제인소프트 인공지능 기반의 하이퍼오토메이션 솔루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359B1 (ko) * 2021-12-09 2022-05-02 (주)제인소프트 인공지능 기반의 하이퍼오토메이션 솔루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2372B2 (en) Detection rule-generating facility
US20110166912A1 (en) Plant analysis system
JP2021121956A (ja) 故障予測方法、装置、電子設備、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GB2586105A (en) Quality review management system
CN106233261A (zh) 处理环境的一体化监视和控制
KR20180108446A (ko) Ict 인프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ct 인프라 관리 방법
CN104011611A (zh) 用于管理工业过程的系统和方法
US10963797B2 (en) System for analyzing machine data
US20080040464A1 (en) Dual phased manufacturing data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US20120116827A1 (en) Plant analyzing system
CN112351004A (zh) 一种基于计算机网络信息安全事件处理系统及方法
EP40385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 estimation and representation of risk
KR20200127445A (ko)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니터링 업무 자동화 시스템
KR20190081691A (ko)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공정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06012A (zh) 工厂管理系统及控制系统
CN115147236A (zh) 一种处理方法、处理装置和电子设备
CN115033412A (zh) 一种任务日志归并方法和装置
Jharko Crit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objects: operator support systems
CN11243407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二次设备异常判别决策方法及装置
CN113656452A (zh) 调用链指标异常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045849A (zh) 核对异常原因的识别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17742241B (zh) 一种基于云计算的数据采集方法和系统
CN112904807B (zh) 工业分析系统、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CN117670033A (zh) 一种安全检查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723682A (zh) 产品缺陷管理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