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383A - 외과용 버 및 관련된 외과용 기구들 - Google Patents

외과용 버 및 관련된 외과용 기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383A
KR20200126383A KR1020207025637A KR20207025637A KR20200126383A KR 20200126383 A KR20200126383 A KR 20200126383A KR 1020207025637 A KR1020207025637 A KR 1020207025637A KR 20207025637 A KR20207025637 A KR 20207025637A KR 20200126383 A KR20200126383 A KR 20200126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surgical
bur
suction passag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엠 슈밤브
필립 제이 버만
존 알 프리스코
Original Assignee
메드트로닉 좀드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드트로닉 좀드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드트로닉 좀드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3Sleeves, i.e. non-rotating parts surrounding the bit shaft, e.g. the sleeve forming a single unit with the bit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88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inus or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95Trepans or craniotomes, i.e. specially adapted for drilling thin bones such as the sku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2017/32007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suction or vacuum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외과용 절단 기구(10)는 근위부 섹션, 중간 섹션, 및 중앙 내강을 가지는 외부 관형 부재(18)를 포함한다. 내부 관형 부재(22)는 중앙 내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외부 관형 부재의 원위부 섹션을 지나서 원위적으로 연장되고 외부 관형 부재의 원위부 섹션에 대해 노출된 버(24)를 가지는 원위부 단부를 포함한다. 버는 버의 중심 축에 대한 각도로 부분적으로 배향되는 흡인 통로(75a, 75b)를 정의한다. 흡인 통로는 버의 헤드(7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개구부(76) 또는 헤드에 근접하게 제공될 수 있는 개방부(276, 476)에서 종결된다.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용 동안에, 특히, 엔드 온 드릴링 동안에 흡인 통로의 막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내강 막힘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리브(28) 뿐만 아니라, 원위부 베어링 조립체(61, 62)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의 냉각을 증가시키는 세척 통로들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과용 버 및 관련된 외과용 기구들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이 출원은 2018년 2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5/908,029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 미국 출원의 전체 교시내용들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편입된다.
동력식 외과용 기구(powered surgical instrument)들은 정형외과적(orthopedic) 이비인후과(ear-nose-throat; ENT) 수술들 뿐만 아니라 두개골 내 및 두개골 주위의 다른 수술들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절단 기구의 한 유형은 외부 관형 부재(outer tubular member)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내부 관형 부재(inner tubular member)에 의해 지지된 버(bur)를 포함한다. 버는 치료 부위의 표적 골을 절제(debride)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많은 사례들에서는, 치료 부위의 윤활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버를 냉각하기 위하여 버 및/또는 치료 부위가 세척된다. 다른 사례들에서는, 절제된 골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잉여 유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흡인(aspiration)이 치료 부위에 적용된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된 기술과 연관된 문제들 및 제한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자들은 부비강(sinus) 및 두개골 기반의 수술들에 표적화된 많은 외과용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외과용 디바이스의 버에서의 흡입 또는 흡인 경로의 빈번한 막힘(clogging)이 발생하고, 이것은 수술 시간 및 환자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부비강 및 두개골 수술들에서, 버의 중앙화된 흡입 경로와 정렬되는 엔드-온 드릴링(end-on drilling)이 종종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엔드-온 드릴링이 골 및 조직 잔해 방향을 중앙화된 흡입 경로로 압축하여, 외과의사가 외과용 기구로부터 버를 제거하고, 진행하기 이전에 막힘부(clog)를 소거하도록 강제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 유형의 해면골(cancellous bone)이 막힘에 대한 더 큰 경향을 나타내고 수술 전반에 걸쳐 거의 일정한 엔드-온 드릴링을 요구하므로, 사대(clivus)와 같은 골 상에서 드릴링할 때에 이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근위부 섹션(proximal section), 중간 섹션, 및 중앙 내강(lumen)을 가지는 외부 관형 부재를 가지는 외과용 절단 기구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내부 관형 부재는 중앙 내강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외부 관형 부재의 원위부 섹션을 지나서 원위적으로 연장되고 외부 관형 부재의 원위부 섹션에 대해 노출된 버를 형성하는 원위부 단부(distal end)를 포함한다. 버는 흡인 통로(aspiration pathway)를 포함하고, 흡인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버의 중심 축에 대한 각도로 배향되고, 이것은 흡인 통로의 막힘을 감소시킨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잔해가 제거되고 기구를 통해 수송될 때에, 마찰을 감소시키는 내부 관형 부재 내에서 위치가 결정된 슬리브(sleeve)를 또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어링 조립체는 버의 축상 이동을 금지하기 위하여 외부 관형 부재 및 내부 관형 부재에 결합된다. 임의적으로, 외부 관형 부재의 내부 부분은 복수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elongate recessed surface)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이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의 적어도 일부는 베어링 조립체(bearing assembly)의 볼의 배치와 정렬되는 개구부(aperture)를 가진다. 기구는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에 볼들 및 베어링 조립체를 냉각하기 위하여, 세척 유체가 개구부를 통해 그리고 볼들로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을 따라 지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버를 가지는 외과용 절제 기구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일부 시스템 엘리먼트들은 예시의 용이함을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됨).
도 2는 기구의 선택 컴포넌트들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도 1 내지 도 2의 외과용 기구의 원위부 단부의 확대된 부분적 분해도이다.
도 3b는 도 1 내지 도 3a의 외과용 기구의 원위부 단부의 조립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외과용 기구의 단면도들을 집합적으로 예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b의 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대안적인 버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또 다른 버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버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채용하는 외과용 시스템들 및 기구들은 다양한 부비강 수술들, (뇌하수체(pituitary) 종양들, 사대 척삭종(clivus chordomas) 등과 같은) 두개골 기저부 종양 제거, 유양돌기절제술(mastoidectomy), 측두골(temporal bone) 종양 제거, 개두술(craniotomy), 변형 로스로프 수술(modified Lothrop procedure), 척추(spinal) 질병들, 절흔 성형술(notchplasty), 견봉성형술(acromioplasty), 추궁절개술(laminotomy), 후궁절제술(laminectomy)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유형들의 수술에서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집합적으로 예시되는, 외과용 마이크로-버링(micro-burring) 기구(10)를 포함하는 시스템(5)을 예시한다. 요약하면, 기구(10)는 버(24)에 결합된 외부 관형 조립체(12) 및 내부 관형 조립체(14)를 포함하고, 그 각각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2를 특히 참조하면, 외부 관형 조립체(12)는 일반적으로, 외부 허브(outer hub)(16) 및 외부 관형 부재(18)를 포함하는 반면, 내부 관형 조립체(14)는 일반적으로 내부 허브(20) 및 내부 관형 부재(22)를 포함한다. 버(24)는 내부 관형 부재(22)의 원위부 단부에서 제공된다. 도 1에서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외부 관형 부재(18)는 외부 허브(16)로부터 원위적으로 연장된다. 이를 위하여, 외부 허브(16)는 광범위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허브(16)는 제어기(34)에 의해 제어된 유체 소스(32)와 배관(tubing)(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된 세척 포트(30)를 포함한다. 외부 관형 부재(18) 및 내부 관형 부재(22)는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티타늄 합금(titanium alloy)들 등과 같은 생체적합한 금속성 재료(biocompatible metallic material)들로 형성된다. 따라서, 적어도 외부 관형 부재(18)는 일반적으로 강성인 부재를 정의한다.
마이크로-버링 기구(10)는 외부 관형 부재(18) 내에서 내부 관형 부재(22)를 동축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c를 특히 참조하면, (내부 허브(20)의 원위부 단부(95)에서의) 내부 허브(20)는 (외부 허브(16)의 근위부 단부(94)에서의) 외부 허브(16)에 대해 접한다. 이것을 염두에 두면, 내부 관형 조립체(14)의 내부 관형 부재(22) 및 내부 허브(20)는 외부 관형 조립체(12)의 외부 관형 부재(18) 및 외부 허브(16)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내부 허브(20)와 버(24) 사이의 이격 거리는 외부 관형 부재(18)의 외부 허브(16)와 원위부 단부(45)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크고, 이에 의하여, 버(24)의 원하는 포지션(position)이 외부 관형 부재(18)에 대해 노출될 것이라는 것을 기술한다. 특히, 외부 관형 부재(18)의 원위부 단부(45)가 버(24)(또는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대안적인 버) 및 내부 관형 부재(22)의 원위부 섹션(145)에 근접하도록, 내부 관형 부재(22)는 외부 관형 부재(18) 내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외부 허브(16)는 핸드피스(handpiece)(36)를 계합(engage)하기 위한 숄더(shoulder)(35)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버(24)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는 고체 부재이고, 그 회전 시에 골을 절단하거나 연마시키기 위하여 연마재 또는 거친 표면으로 적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버(24)는 절단 표면을 형성하는 헤드(head)(70), 및 헤드(70)로부터 근접하게 연장되는 본체(71)를 포함한다. 이 예시된 실시예의 헤드(70)는 구형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원통형, 반구형, 타원형, 플루트형(fluted), 및 배-형상의(pear-shaped) 구성들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 다른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내부 관형 부재(22)의 중앙 내강(147)은, 중앙 내강(147)을 통해 흡입을 버(24)에 제공하는 시스템(5)의 음압 소스(negative pressure source)(37)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중앙 내강(147)은 버(24) 내에서 제공된 흡인 통로(75a, 75b)에 연결된다. 중앙 내강(147)은 마이크로-버링 기구(10)를 위한 흡인 도관(aspiration conduit)으로서 역할을 한다. 흡인 통로(75a, 75b) 및 중앙 내강(147)이 표적 부위를 치료하기 위하여 적용될 때, 버(24)를 통해 연장되는 흡인 통로(75a, 75b)는 표적 부위로부터 연마된 골 또는 조직을 제거하기 위하여 내부 관형 부재(22)의 중앙 내강(147)을 통한 주기적 또는 연속적 흡인을 가능하게 한다.
흡인 통로는 75a, 75b로서 지정된 2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흡인 통로의 제1 부분(75a)은 중앙 내강(147) 및 제2 흡인 통로 부분(75b)을 상호 연결한다.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75a)은 그것이 임의적으로 선형적일 수 있는 연속적 흡인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앙 내강(147)과 정렬될 수 있도록, 버(24)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흡인 통로의 제2 부분(75b)은 본체(71) 및 버(24)의 중심 축 A와 정렬되지 않는(즉, 동일하지 않음) 중심선 C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이것은 흡인 통로(75a, 75b)의 막힘을 감소시킨다. 흡인 통로의 제1 부분(75a)은 버(24)의 중심 축 A와 중심선을 공유하므로, 흡인 통로의 제2 부분(75b)의 중심선은 또한, 흡인 통로의 제1 부분(75a)의 중심선과 정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흡인 통로의 제1 부분(75a)의 중심선은 또한 도 5에서 A로서 표현된다. 그러나, 흡인 통로의 제1 부분(75a)의 중심선은 중심 축 A와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주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인 통로의 제2 부분(75b)의 중심선 C는 중심 축 A에 대하여 약 10 내지 약 40 도의 각도 φ로 배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도 φ는 중심 축 A에 대하여 약 18 내지 약 22 도의 각도로 배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도 φ는 중심 축 A에 대하여 약 20 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각도 φ가 막힘 없이 잔해의 흡입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탐침(stylet) 등(도시되지 않음)으로 흡인 통로(75a, 75b)의 임의의 잠재적인 막힘부들을 소거하는 데에도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각도 φ가 너무 클 경우에, 임의의 막힘부들을 소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탐침 또는 다른 공구가 막힘부를 효과적으로 소거하기 위하여 절단 부재를 통과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버(24)의 헤드(70)는, 버(24)의 본체(71)를 통해 연장되고, 내부 관형 부재(22)에 의해 정의된 중앙 내강(147)에 개방되는 버(24)의 본체(71)를 통해 연장되는 흡인 통로 또는 내강(75a, 75b)을 형성한다. 버(24)를 통해 연장하도록 흡인 통로(75a, 75b)를 형성함으로써, 외과용 기구(10)는 흡인 도관이 버에 대해 외부적으로 제공되는 기구와 비교하여 더 작은 단면 프로파일을 가진다. 이것을 염두에 두면, 기구(10)가 버(24)의 회전이 전개되는 치료 부위로의 경로를 따라 맞닥뜨리는 연조직(soft tissue)들 및 골 구조들 상에서 붙잡힐 더 적은 가능성으로, 기구(10)의 원위부 섹션(44)이 다양한 연조직들 및 골 구조들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 더 작은 단면 프로파일은 더 큰 조종성(maneuverability)을 기구(10)에 제공한다.
도 1,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c를 특히 참조하면, 개시내용의 외과용 기구들 및 버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내부 관형 부재(22)는 이용 동안에 내부 관형 부재(22)를 자동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는 핸드피스(36)(도 1)에 대한 선택적인 부착을 위하여 구성되는 내부 허브(20)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4c에서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허브(20)는 원위부 단부(95)로부터 근위부 단부(96)로 연장되고, 기구(10)를 취급하기 위하여 핸드피스(36)에 의해 계합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핸드피스(36)와 내부 허브(20) 사이의 연결을 통한) 회전 제어기(38)는 표적 골 또는 조직을 절제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 절단하기 위한 버(24)의 고속 회전을 야기시키기 위하여 내부 관형 부재(22)에 대한 선택적인 회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내부 관형 부재(22)는 외부 관형 부재(18) 내에서 동축으로 수용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버(24)의 근위부 단부(73)를 수용한다. 내부 관형 부재(22)는 근위부 단부(143)를 갖는 (비-리세스(non-recess) 부분(142)에서 위치된) 근위부 섹션, 및 원위부 섹션(145)을 포함한다. 내부 관형 부재(22)는 신축적일 수 있고, 추가적으로, 원위부 섹션(145)에서 버(24)에 근접하게 위치가 결정된 스프링 섹션(26)을 포함한다. 적용가능할 경우에, 내부 관형 부재(22)가 외부 관형 부재(18)의 곡률(curvature)을 띨 수 있도록, 스프링 섹션(26)은 신축성을 내부 관형 부재(22)로 부여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부 관형 부재(22)의 내부 표면은 내강(147)의 적어도 부분 또는 전부를 정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관형 부재(22)는 내강(147)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는 내부 슬리브(28)(도 4a 내지 도 4b)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슬리브(28)는, 슬리브(28)를 통해 수송된 잔해가 기구(10) 내에서 막히는 경향이 더 적도록, 낮은 마찰 계수(약 0.0200)를 가지는 Vestamid® ML18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Vestamid® ML18은 독일 에센(Essen) 소재의 Evonik Industries Corp.로부터 입수가능함).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관형 부재(22)는 추가적으로, (도 2에서 오직 도시된) 마디형 부분(knurled portion)(49)을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마디형 부분(49)은 내부 관형 부재(22)를 외부 허브(16)의 내부 부분에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외부 관형 부재(18)는 일반적으로, 근위부 단부(41)(도 4c)를 갖는 근위부 섹션(40), 중간 섹션(42), 원위부 단부(45)를 갖는 원위부 섹션(44)(도 2), 및 중앙 내강(46)을 정의하는 세장형 관형 본체로서 설명될 수 있다. 외부 관형 부재(18)는 임의적으로, 기구(10)의 원위부 섹션(44)과 근위부 섹션(40) 사이의 접합부에서, 51에 의해 일반적으로 참조된 바와 같은 경미한 굴곡부(bend)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1을 특히 참조하면, 굴곡부(51)는 (또한, 원위부 섹션(44)의 중심 축인) 버(24)의 (파선 라인 A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중심 축으로 하여금, 기구(10)의 근위부 섹션(40)의 (파선 라인 B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은) 중심 축에 대하여, 약 10° 내지 약 90°의 범위에서 각도 α를 정의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용도들 중에서도, 이 굴곡부(51)는 원위부 섹션(44)에서의 굴곡부(51)를 선호하는 다른 외과적 절차들 중에서, 두개골-기반 절차 동안의 원위부 섹션(44)의 적절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특히 유용하다. 대안적으로, 다른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곡부(51)는 외부 관형 부재(18)가 실질적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제거될 수 있다.
중앙 내강(46)은 근위부 섹션(40)으로부터 원위부 섹션(44)으로 연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원위부 섹션(44)은 내부 관형 부재(22)가 외부 관형 부재(18)의 원위부 단부(45)를 지나서 원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 원위부 단부(45)에서 개방된다. 유사하게, 근위부 섹션(40)은 중앙 내강(46) 내에서의 내부 관형 부재(22)의 적절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근위부 단부(41)에서 개방된다. 또한, 근위부 섹션(40)은 근위부 단부(41)의 원위적으로 위치된 근위부 윈도우(proximal window)(47)를 포함한다.
하나의 적당한 구성에서는, 도 4c에서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근위부 섹션(40)은 외부 관형 부재(18)를 외부 허브(16)의 원위부 섹션(92)에 고정하기 위하여 외부 허브(16)의 내강(93)으로 삽입된다. 근위부 섹션(40)은 윈도우(47)가 세척 포트(30)의 하단 개방부(31) 아래에서 정렬될 때까지, 외부 허브(16)의 내강(93) 내에서 근접하게 전진되고, 그 다음으로, 세척 포트(30)와 근위부 윈도우(47)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 포지션에서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이 구성에서, 근위부 단부(41)는 외부 허브(16)의 내강(93)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개시내용의 하나의 양태에서, 근위부 섹션(40)은 그 상에서 외부 허브(16)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외부 직경을 가진다. 외부 관형 부재(18)의 나머지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하는 부비강 수술을 수행하도록 선택된 상대적으로 균일한 외부 직경, 및 내부 관형 부재(2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선택된 상대적으로 균일한 내부 직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중간 섹션(42) 뿐만 아니라 원위부 섹션(44)은 부비강 수술의 일부로서의 내부 관형 부재(22)/버(24)의 이용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의 실시양태에서, 외부 관형 부재(18)는 일반적으로, 외부 부분(102) 및 내부 부분(104)을 포함한다. 외부 관형 부재(18)의 외부 부분(102)은 속이 빈 슬리브를 정의한다. 외부 부분(102)은 내부 부분(104)을 수용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적응된 내부 직경을 가진다. 외부 부분(102)은 또한, 외부 관형 부재(18)의 외부 표면(74)을 정의하고, 일반적으로 균일하고 일반적으로 평활한(smooth) 외부 직경을 제공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특히 참조하면, 내부 부분(104)은 많은 형태들을 취할 수 있지만, 하나의 구성에서, 내부 부분(104)은 내부 표면(120) 및 외부 표면(122)을 정의한다. 내부 표면(120)은 일반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정의하고, 근위부 섹션(40)으로부터 중간 섹션(42)을 거쳐 원위부 섹션(44)까지 일반적으로 균일하게 평활하다. 그러나, 외부 표면(122)은 원위부 섹션(44)으로부터 중간 섹션(42)을 따라, 그리고 근위부 섹션(40)의 적어도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의 어레이(array)를 정의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은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는 원형 리세스(140)(도 2)에 인접하게 종결되기 전에, 내부 부분(104)의 길이 L의 대부분(그리고 그러므로, 외부 관형 부재(18)의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원형 리세스(140)는 내부 부분(104)의 외부 표면의 원주(circumference) 주위로 연장되는 링(ring)을 형성한다. 원형 리세스(140)는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의 각각과 동시에 유체 연통한다. 각각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은 돌출부들(150)에 의해 분리된다.
다양한 기법들이 내부 부분(104)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지만,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부 부분(104)은 제1 두께를 가지는 일반적으로 관형 슬리브(도시되지 않음)를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그 다음으로, 각각의 세장형 리세스 표면(130)을 만들기 위하여 (외부 표면(122)에 대응하는) 슬리브의 외부 표면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도 4b를 참조하면, 돌출부들(150)은 일반적으로 슬리브의 원래의 제1 두께를 정의하는 한편, 개개의 돌출부들(150)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은 제1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제2 두께를 포함한다. 제1 두께와 제2 두께 사이의 차이는 그 다음으로,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의 높이를 정의할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서, 각각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의 높이, 각각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의 폭, 및 리세스들의 수는 세척 유체를 임의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내부 통로(64)인, 단면적을 정의한다.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양태에서, 내부 부분(104)의 외부 표면(122)은 원형 리세스(140)에 근접하게 비-리세스 부분(142)을 추가로 정의한다. 이 비-리세스 부분(142)은 외부 부분(102)의 내부 표면(107)에 밀봉식으로 고정되도록 크기 결정되고 적응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비-리세스 부분(142)은 외부 부분(102)의 내부 표면(107)에 대해 레이저 용접(laser weld)된다. 이 배열은 유체 연통 및 내부 통로(64)의 말단 단부를 동시에 정의하면서, 외부 관형 부재(18)의 근위부 섹션(40)에서 내부 부분(104)을 외부 부분(102)에 고정한다. 따라서, (세척 포트(30) 및 유체 소스(32)로부터) 근위부 섹션(40)에서의 외부 관형 부재(18)로 유동하는 유체는 외부 관형 부재(18)의 근위부 윈도우(47)를 통해 진입할 것이고,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내부 통로들(64)을 통해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을 따라 진행하기 전에, 내부 부분(104)의 비-리세스 부분(142)에 바로 원위에 있는 원형 리세스(140)를 통해 유동할 것이다.
도 2 및 도 4b에서 가장 잘 보여진 바와 같이, (외부 관형 부재(18)의) 내부 부분(104)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은 내부 부분(104)의 원주 주위로 균일하게 이격된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의 어레이(128)를 형성하고, 각각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은 내부 부분(104)의 외부 표면(122) 상에서 형성된 인접한 한 쌍의 융기된 돌출부들(150) 사이에서 정의된다.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에서, 어레이(128)는 내부 부분(104)의 외부 표면(122)의 원주 주위에서 균일하게 이격되는(즉, 서로로부터 등거리 또는 실질적으로 등거리임) 6 개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을 포함한다. 다른 구상된 구성들에서는, 6보다 더 크거나 더 적은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이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은 외부 관형 부재(18)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통로(64)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된다(오직 하나의 내부 통로(64)가 예시의 용이함을 위하여 도 4b에서 표기되지만, 6 개의 내부 통로들이 각각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에 대하여 하나씩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내부 부분의 원주 주위에서(그리고 결과적으로, 외부 관형 부재(18)의 원주 주위에서) 균일하게 이격된 (더 적은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과 비교하여) 더 큰 수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의 구성들은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 상에서의, 그리고 내부 통로들(64)을 통한 유체 유동에 더 많은 균형을 제공한다. 각각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용량의 유체가 내부 통로들(64) 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더 작은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 배열은 외부 관형 부재(18)가 측벽의 더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 통로들(64)의 형성은 다음과 같이 더 철저하게 이해될 수 있다. 외부 관형 부재(18)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부분(102) 내에서 내부 부분(104)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 후에, 내부 부분(104)은 외부 부분(102) 내에서 동축으로 배치되게 된다. 이 배열로, 돌출부들(150)은 외부 부분(102)의 내부 표면(107)과 접촉하고, 이에 의하여,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의 각각과 외부 부분(102)의 내부 표면(107) 사이에서 개별적인 내부 통로들(64)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양태에서, 각각의 인접한 쌍의 돌출부들(150)은 각각의 개개의 내부 통로(64)의 측벽들을 정의한다. 내부 통로들(64)은 외부 관형 부재(18)의 길이(도 2에서 "L"로 표현됨)의 대부분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도 2에서 보여진 바와 같은) 원형 리세스(140)의 표면(141) 및 각각의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130)의 하단 부분은 이들 사이의 일반적으로 끊김 없는 전이(seamless transition)을 제공하기 위하여 (원형 리세스(140)와 세장형 리세싱된 표면들(130) 사이의) 접합부(155)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앙각(elevation)을 가진다.
위에서 간략하게 표시된 바와 같이, 개시내용의 다양한 시스템들(예컨대, 시스템(5))은, 치료 부위를 윤활시키고/시키거나 버(24)(또는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버)를 냉각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유체 소스(32)를 포함한다. 일단 버(24)가 표적 골을 절제하기 위하여 치료 부위에서 위치가 결정되면, 유체는 원위부 단부(45)에 근접하게 진출한 후에 버(24) 및/또는 치료 부위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 포트(30)의 하단 개방부(31)로부터 유동하는 유체 소스(32)로부터 내부 통로들(64)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예시된 배열은 버(24)가 표적 골 또는 조직을 절단하기 위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절차에 적절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논의된) 임의적으로 제공된 베어링 조립체(61)의 직접적인 냉각 뿐만 아니라, 치료 부위를 유체로 범람(flooding)시키는 것의 양자를 가능하게 한다. 흡인 통로에서와 같이, 기구(10)의 더 작은 전체적인 단면 프로파일은 외부 관형 부재(18) 내에서 세척 통로(들)(64)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달성된 더 작은 단면 프로파일에 따라 유지된다. 세척 내부 통로들(64)은 외부 관형 부재(18) 내에서 내부적으로 포함되므로, 외부 관형 부재(18)는 더 작은 전체적인 단면 프로파일을 가진다. 또 다른 양태에서, 외부 관형 부재(18)의 외부 표면(74)은 기존의 기구들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기구에 외부적으로 부착된 세척 관에 의해 그렇지 않을 경우에 형성될 돌출부(들)와 같은 상당한 돌출부들 없이 일반적으로 균일하고 일반적으로 평활하다.
도 3a 내지 도 4b를 특히 추가로 참조하면, 기구(10)는 임의적으로, 외부 관형 부재(18)에 대한 버(24)(또는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다른 버)의 축상 이동을 제한하고 본체(71)/원위부 섹션(44)의 중심 축 A(도 1)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의 버(24)의 축상 이동을 제한하는 베어링 조립체(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베어링 조립체(61)는 외부 관형 부재(18) 내에서 유지되고 원형 레이스(race)(63)(도 4a 및 도 5)를 통해 버(24)와 결합된 복수의 볼들(62)(예시된 실시예에서는 3 개)을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볼들(62)은 돌출부들(150) 내에서 위치된 대응하는 개구부들(106) 내에서 위치가 결정된다. 도 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될 때, 볼들(62)은 원형 레이스(63)와 계합하고, 외부 부분(102)에 의해 피복된다.
볼들(62)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형으로 성형되고, 버(24)의 근위부 단부(73) 근처에서 버(24)로 가공되는 원형 레이스(63) 주위에서 동일하게 이격된(즉, 서로로부터 약 120° 이격된) 세라믹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3보다 더 적거나 더 큰 수의 볼들이 이용될 수 있다. 버(24) 및 특히, 레이스(63)는 다양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고, 재료들의 예들은 440 스테인리스 강, M2 공구 강, 카바이드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하나의 실시예에서, 볼들(62)은 제1 재료(예컨대, 세라믹)로 형성되고, 레이스(63)는 제1 재료와는 상이한 제2 재료(예컨대, 440 스테인리스 강)로 형성된다. 일부 사례들에서, 볼들(62) 및 레이스(63)를 위한 상이한 재료들의 이용은 갤링(galling) 및/또는 마모를 배제할 수 있다.
볼들(62) 및 레이스(63)를 위하여 선택된 재료들에 관계 없이, 베어링 조립체(61)는 외부 부분(102)에 대한 버(24)의 축상 및 방사상 포지션을 제어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된 전자기 이미지 안내형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동안에 버(24)의 정밀한 추적을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볼들(62)과 레이스(63) 사이의 롤링 접촉은 버(24)와 내부 부분(104)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과 비교할 때에 감소된 마찰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동작 동안의 외부 부분(102)의 온도는 외부 부분(102)에 근접하고/하거나 외부 부분(102)과 접촉하는 조직 또는 골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감소된다. 또한, 기구(10)를 위한 별도의 추력 베어링(thrust bearing)이 필요하지 않다. 베어링 조립체(61)는 볼 베어링을 동작시킬 수 있고 볼 베어링과 유사한 구성이고, 여기서, 내부 부분(104)은 볼들(62)을 위한 볼 캐리어로서 작동하고, 버(24)/레이스(63)는 내부 레이스로서 작동한다. 외부 부분(102)은 볼들(62)로부터의 하중을 감내할 필요가 없고, 개구부들(106) 내에서 볼들(62)을 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종적인 조립 시에, 베어링 조립체(61)는 외부 부분(102) 및 내부 부분(104)에 대하여 버(24)의 회전을 허용하면서, 버(24)의 축상 운동을 한정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의 전부에 대하여, 기구(10)가 환자의 해부구조(anatomy) 내에서 버(24)(또는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대안적인 버)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는 적당한 전자기 이미지 안내형 시스템과 함께 이용될 수 있도록, 외부 허브(16)는 시스템(5)의 적당한 추적 디바이스(39)(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됨)와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추적 디바이스(39)는 환자의 해부구조에 대하여 기구(10) 및 버(24)의 표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이미지 안내형 시스템에 의해 검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자기적 코일들을 포함한다.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버(24)의 배향 및 포지션이 (예컨대,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또는 자기 공명 이미징(magnetic reasonable imaging; MRI) 스캔을 사용하여) 수술 전 절차 동안에 이미지 안내형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도록, 자기적 코일들은 이미지 안내형 시스템에 의해 검출 가능한 기준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외과적 절차 동안에, 버(24)의 배향 및 포지션의 표시는 예를 들어, 환자의 해부구조에 대하여 모니터 상에서 버(24)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외과의사를 보조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전자기적 이미지 안내형 시스템 또는 추적 디바이스는 "Navigating A Surgical Instrument"라는 명칭으로 2009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제8,504,139호에서 개시되고, 미국 특허의 내용들은 이로써 그 전체적으로 참조에 의해 편입된다.
도 6은 버(24)에 대한 대체부로서 이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버(224)를 예시한다. 버(224)는 명백히 기재되지 않은 모든 방식들에서 버(24)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버는 흡인 통로(275a, 275b)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제2 부분(275b) 및 개방부(276)는 버(224)의 헤드(270)와 근위부 단부(273) 사이의 버(224)의 본체(271) 내와 같이, 헤드(270)에 대하여 근접하게 제공된다. 흡인 통로의 제2 부분(275b)은 임의적으로, 레이스(263)에 근접한 흡인 통로의 제1 부분(275a)을 교차할 수 있고, 레이스(263)는 레이스(63)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고 레이스(63)에 대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흡인 통로의 제2 부분(275b)의 중심선 C'은 본체(271) 및 버(224)의 중심 축 A'에 대한 각도 φ로 배향되고, 중심선 C'은 또한, 흡인 통로의 제1 부분(275a)의 중심선이지만, 이것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마찬가지일 필요가 없다. 각도 φ는 중심 축 A'에 대하여 약 10 내지 약 90 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에서, 각도 φ는 약 24 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버(424)의 근위부 단부(473)를 내부 관형 부재(22)의 원위부 섹션(145)에 부착함으로써 시스템(5) 및 외과용 기구(10)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외과용 버(424)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버(424)는 본원에서 개시된 버들(24, 224)에 대한 대안이다. 버(424)는 명백히 기재되지 않은 모든 방식들에서 버(24)와 동일하다. 버(424)는 헤드(470), 본체(471), 및 임의적으로, 베어링 조립체(61)를 위한 레이스(463)를 포함한다(레이스(463)는 레이스(63)와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임). 예시된 실시예에서, 헤드(470)는 플루트형 구성을 가지지만, 그러나, 전술한 헤드 구성들 중의 임의의 것이 또한 구상된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흡인 통로(475a, 475b)는 본체(471) 내에서 제공된다. 흡인 통로는 제1 부분(475a) 및 제2 부분(475b)을 포함한다. 흡인 통로의 제2 부분(475b)은 헤드(470)에 근접하게 제공되고,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체(471)로부터 이어지는 개방부(476)를 가진다. 흡인 통로(475)는 임의적으로, 본체(471)에 근접하고 개방부(476)로부터 본체(471)로 연장되는 경사형 표면(ramped surface)(478)(도 7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개방부(476)에 근접하게, 흡인 통로의 제2 부분(475b)은 본체(471) 및 버(424)의 중심 축 A"에 대하여 약 24 도의 각도 φ로 배향되는 중심선 C"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중심 축 A"은 흡인 통로의 제1 부분(475a)의 중심선과 동일하지만, 이것은 그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주목된다. 각도 φ는 중심 축 A"에 대하여 약 10 내지 약 90 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정확한 형태에 관계 없이,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들, 마이크로-버링 기구들, 및 버들은 다양한 부비강 수술들 및 기타 다른 절차들을 수행할 시에 유용하다. 예로서, 외과적 절차에서, 기구(10)는 치료 부위로 조종되고, 버(24)(또는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대안적인 버)는 골 또는 다른 표적 조직에 대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다음으로, 내부 관형 부재(22)는 그 다음으로, 외부 관형 부재(18)에 대하여 회전되어, 버(24)는 접촉된 연골(cartilage) 및/또는 골을 버링(예컨대, 절단 또는 연마)한다. 치료 부위는 내부 통로들(64)을 통해 세척 유체로 연속적으로 플러싱(flush)될 수 있다. 다른 관련된 외과적 기법들은 기구(예컨대, 기구(10))의 적용 전에, 그 동안에, 또는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일반적으로 개략된 외과적 절차에 추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들, 마이크로-버링 기구들, 및 버들은 버 및 표적 조직 또는 골을 세척하기 위하여 유체로 치료 부위를 범람시키면서, 경조직 또는 골이 절제되거나 절단되는 다양한 다른 외과적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자들은 본 개시내용에 의해 망라된 버들(예컨대, 버들(24, 224))의 막힘에 대한 경향을 문서화하기 위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이전의 테스팅은 미네소타주 미니아폴리스(Minneapolis) 소재의 Medtronic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표준 30K 역 테이퍼 다이아몬드 버(reverse taper diamond bur) 모델 번호 1884015RTD("표준 30K 버")의 성능을 특징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사하게, 외과용 버들(24 및 224)은 프로토타입이고, 표준 30K 버와 비교할 때에 막힘에 대한 경향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으로 시스템(5) 및 외과용 기구(10)로 편입된다. 표준 30K 버의 이전의 테스팅 및 이 테스팅의 양자에서, 햄 호크(ham hock)는 사대에서 발견된 골의 밀도를 면밀하게 시뮬레이팅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햄 호크는 테스트 매질들로서 이용되었다.
각각의 프로토타입 버(24(헤드 흡입), 224(근위부 흡입))의 2 개의 샘플들이 테스팅되었다(즉, 햄 호크를 절제하기 위하여 이용됨). 샘플 3(근위부 흡입 설계(즉, 도 6에서 도시된 버(224))는 테스트에서 조기에 막혔고, 막힘부는 소거될 수 없었다. 이 테스트는 막힘을 특징화하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샘플 3에 대한 테스트는 중지되었다. 막힘 결과들은 표 1에서 발견될 수 있고, 이하의 표 2에서 요약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현재의 테스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햄 호크에 대한 표준 30K 버들의 이전의 테스팅에서, 표준 30k 버들은 드릴링 시에, 그리고 각각의 개개의 막힘부가 소거되고 테스팅이 재개된 후에, 거의 즉각적이고 연속적인 막힘을 겪었다. 본 개시내용의 테스팅된 실시예들의 양자(버들(24, 224))는 비교에 의해 상당한 개선을 제공한다. 이 특정한 테스트에서의 흡인 통로 및 막힘부들을 소거하기 위하여 이용된 탐침의 크기/각도로 인해, 막힘이 발생하였을 때, 근위부 흡입 버(224)는 표준 30K 버와 비교하여 덜 빈번하게 막혔지만, 막힘해제(de-clog)될 수 없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탐침은 미네소타주 미니아폴리스 소재의 Medtronic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부품 번호 66E1139이었다. (근위부 흡입 버(224) 뿐만 아니라 표준 30K 버와 비교하여) 막힘이 상당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발생한 임의의 막힘부들이 탐침으로 소거될 수 있었으므로, 헤드 흡입 버(24)로부터의 결과들은 표준 30K 버에 비해 현저한 개선들이다.
본 개시내용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해 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변경들이 형태 및 세부사항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0)

  1. 외과용 버(surgical bur)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된 헤드 - 상기 헤드 및 상기 본체는 중심 축을 집합적으로 정의함 -; 및
    상기 중심 축에 대한 각도로 배열되는 중심선을 정의하는 흡인 통로(aspiration pathway)를 포함하는, 외과용 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구형 형상을 가지는, 외과용 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10 내지 약 40 도 사이인, 외과용 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18 내지 약 22 도인, 외과용 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 부분의 중심선은 상기 제2 부분의 중심선에 대하여 정렬되는, 외과용 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개방부에서 종결되고, 상기 흡인 통로는 상기 개방부에 근접한 경사형 표면을 형성하는, 외과용 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상기 헤드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부를 정의하는, 외과용 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상기 헤드에 대하여 근접하게, 상기 본체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부를 정의하는, 외과용 버.
  9. 외과용 기구(surgical instrument)로서,
    근위부 섹션(proximal section), 원위부 섹션(distal section), 및 중앙 내강(central lumen)을 가지는 외부 관형 부재; 및
    상기 중앙 내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내부 관형 부재 - 상기 내부 관형 부재는 내강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관형 부재의 원위부 단부는 상기 원위부 섹션을 지나서 원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위부 섹션에 대하여 노출되는 버를 형성하고; 상기 버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된 헤드 - 상기 헤드 및 상기 본체는 중심 축을 집합적으로 정의함 -; 및
    상기 중심 축에 대한 각도로 배열되는 중심선을 정의하는 흡인 통로 - 상기 흡인 통로는 상기 내부 관형 부재의 상기 내강과 연통함 - 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외과용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 부분의 중심선은 상기 제2 부분의 중심선에 대하여 정렬되는, 외과용 기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개방부에서 종결되고, 상기 흡인 통로는 상기 개방부에 근접한 경사형 표면을 형성하는, 외과용 기구.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구형 형상을 가지는, 외과용 기구.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10 내지 약 40 도 사이인, 외과용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18 내지 약 22 도인, 외과용 기구.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관형 부재의 상기 내강 내에서 슬리브(sleeve)를 더 포함하는, 외과용 기구.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상기 헤드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부를 정의하는, 외과용 기구.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통로는 상기 헤드에 대하여 근접하게, 상기 본체를 통해 연장되는 개방부를 정의하는, 외과용 기구.
  18.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헤드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외과용 기구.
  19.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용 기구는 복수의 평면형 섹션들을 정의하는 내부 관을 포함하고, 또한, 각각의 평면형 섹션은 베어링 조립체의 볼을 수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과용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는 상기 볼이 위치되는 레이스를 한정하는, 외과용 기구.
KR1020207025637A 2018-02-28 2018-12-12 외과용 버 및 관련된 외과용 기구들 KR20200126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08,029 US20190262006A1 (en) 2018-02-28 2018-02-28 Surgical bur and related surgical instruments
US15/908,029 2018-02-28
PCT/US2018/065161 WO2019168583A1 (en) 2018-02-28 2018-12-12 Surgical bur and related surgical instru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383A true KR20200126383A (ko) 2020-11-06

Family

ID=6535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637A KR20200126383A (ko) 2018-02-28 2018-12-12 외과용 버 및 관련된 외과용 기구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262006A1 (ko)
EP (1) EP3758625A1 (ko)
KR (1) KR20200126383A (ko)
CN (1) CN111818861A (ko)
AU (1) AU2018410917A1 (ko)
CA (1) CA3092429A1 (ko)
WO (1) WO2019168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7413B1 (en) * 2018-12-19 2023-09-20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A surgical cutting tool
CN112274273B (zh) * 2020-10-20 2021-05-25 成都贝施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牙科种植用钻头
US11540845B2 (en) * 2020-10-21 2023-01-03 Medtronic Xomed, Inc. High speed cutting bur
DE102022107972A1 (de) 2022-04-04 2023-10-05 Aesculap Ag Medizinisches Werkzeugsystem
DE102022107970A1 (de) 2022-04-04 2023-10-05 Aesculap Ag Flexibles chirurgisches Werkzeug mit integrierter Lagerbaugrupp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785A (en) * 1990-06-28 1993-12-14 Bonutti Peter M Apparatus and method for tissue removal
CA2203568A1 (en) * 1994-10-24 1996-05-02 Smith & Nephew Endoscopy, Inc. Hollow surgical cutter with apertured flutes
US6132448A (en) * 1998-06-19 2000-10-17 Stryker Corporation Endoscopic irrigated bur
US20080132929A1 (en) * 2005-07-19 2008-06-05 O'sullivan Denis F Surgical bur with anti-chatter flute geometry
US20090270894A1 (en) * 2008-04-25 2009-10-29 Joshua David Rubin Surgical instrument with internal irrigation
US8504139B2 (en) 2009-03-10 2013-08-06 Medtronic Xomed, Inc. Navigating a surgical instrument
US9155555B2 (en) * 2012-01-31 2015-10-13 Medtronic Xomed,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distal bearing assembly
US20140088517A1 (en) * 2012-09-24 2014-03-27 John Calderone Catheters, aspirators, and atherectomy tools using vortices
US9498244B2 (en) * 2012-10-19 2016-11-22 Iogyn, Inc. Medical systems and methods
US9636131B2 (en) * 2013-03-15 2017-05-02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tool arrangement and surgical cutting accessory for use therewith
US10470786B2 (en) * 2014-10-16 2019-11-12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tool arrangement and surgical cutting accessory for use therewith
WO2017156335A1 (en) * 2016-03-10 2017-09-14 RELIGN Corporatio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US9855675B1 (en) * 2016-09-20 2018-01-02 RELIGN Corporatio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410917A1 (en) 2020-10-01
US20190262006A1 (en) 2019-08-29
CN111818861A (zh) 2020-10-23
CA3092429A1 (en) 2019-09-06
EP3758625A1 (en) 2021-01-06
WO2019168583A1 (en)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4558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distal bearing assembly
KR20200126383A (ko) 외과용 버 및 관련된 외과용 기구들
US9232957B2 (en) Curved bur
US11234759B2 (e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EP2412320B1 (en) Labrum retracting burr
JP4299668B2 (ja) 手術用リーマのための着脱可能なリーミング・ヘッド
US20170172648A1 (en) Arthroscopic devices and methods
US20170354431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internal irrigation
JP2011518609A6 (ja) 内部注水を備える手術器具
US20230063136A1 (en) Tissue-Removing Catheter with Distal T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