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267A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267A
KR20200125267A KR1020190049307A KR20190049307A KR20200125267A KR 20200125267 A KR20200125267 A KR 20200125267A KR 1020190049307 A KR1020190049307 A KR 1020190049307A KR 20190049307 A KR20190049307 A KR 20190049307A KR 20200125267 A KR20200125267 A KR 2020012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eduction
vehicle
current
vibration
disturbance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289B1 (en
Inventor
오동욱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9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89B1/en
Publication of KR2020012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W2030/206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or induced by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12Feedforward or open loop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A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 by a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a vehicle;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 by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and performing feed forward control of current disturbance torque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Description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 및 저감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and reduction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 및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Anti-Jerk 기능이 발휘되지 않고 공진을 발생시키는 구간에서 차량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 및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and a reduction method capable of reducing vehicle vibration in a section in which the Anti-Jerk function is not exhibited and resonance is generated.

차량의 변속 시, 변속을 담당하는 변속기(Transmission)와 엔진의 로드 차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불쾌한 진동감을 제공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바, 이를 Jerk 현상이라고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엔진 제어기들은 Anti-Jerk 기능을 필수적으로 탑재하고 있다. When a vehicle is shifting, a phenomenon that provides an unpleasant sense of vibration to the driver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load between the transmission in charge of the shift and the engine. This is called a Jerk phenomenon. To prevent this, the existing engine controllers Jerk function is essential.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엔진 제어기들은 대부분 입력되는 엔진 회전수를 기준으로 위상 변화만을 단순히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토크(Torque) 산정만을 수행하는 1차원적인 방법만을 채택하고 있는바,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Injector)의 미세한 오차, 보다 구체적으로 인젝션 보정량으로 커버되지 않는 영역에서 분사하는 연료량의 차이가 있거나, 원하는 연료 분사 지령치 만큼 연료를 분사함에 있어서 연료 분사 지연이 발생하게 되면 Anti-Jerk 기능이 발휘되지 않고 오히려 공진을 일으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불쾌한 진동감은 배가 되며, 이는 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However, most of these existing engine controllers simply grasp only the phase change based on the input engine speed, and only adopt a one-dimensional method that only calculates the corresponding torque. Injector), or more specifically,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 the area not covered by the injection correction amount, or if a fuel injection delay occurs in injecting the fuel as much as the desired fuel injection command value, the Anti-Jerk function is not displayed. Rather, the unpleasant sense of vibration provided to the driver by generating resonance is doubled, and this inevitably has a negative effect on drivability.

따라서 기존의 엔진 제어기들이 채택하고 있는 1차원적인 Anti-Jerk 기능을 보완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불쾌한 진동감을 저감하여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hat can improve drivability by supplementing the one-dimensional Anti-Jerk function adopted by existing engine controllers to reduce unpleasant vibrations in any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9175호(2010.05.12)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0-0049175 (2010.05.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엔진 제어기들이 채택하고 있는 1차원적인 Anti-Jerk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 및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and a reduction method capable of supplementing the one-dimensional Anti-Jerk function adopted by the existing engine controll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의 미세한 오차, 보다 구체적으로 인젝션 보정량으로 커버되지 않는 영역에서 분사하는 연료량의 차이가 있거나, 원하는 연료 분사 지령치 만큼 연료를 분사함에 있어서 연료 분사 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Anti-Jerk 기능이 발휘되지 않고 오히려 공진을 일으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불쾌한 진동감이 배가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 및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re is a minute error of the injector that injects fuel, more specifical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 an area not covered by the injection correction amount, or when injecting fuel as much as a desired fuel injection command value, fuel It is to provide a 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and a red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jection delay occurs and the Anti-Jerk function is not exhibited, but rather causes resonance and the unpleasant vibration feeling provided to the driver is doubl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진동 저감 방법은 (a)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가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가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외란 토크 (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 (b)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receives the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ased on the required information for vibration reduction, and (c)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is fed forward. ) Controllin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현재 입력 토크(Torque)에 대한 정보, 현재 인젝션(Injection)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진동 저감 필요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a) includes: (a-1) information on current input torque, information on whether injec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information on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current gear stage.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수신한 현재 입력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토크가 제1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수신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b-4) 상기 수신한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기어 단수가 소정 시간 이전과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b) includes: (b-1)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torq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set valu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b-2)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b-3)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gear number has been changed compared to before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gear level and (b-4).

일 실시 예에 따르면, (b-5) 상기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까지 상기 현재 외란 토크가 상기 토크 제한치를 몇 회 초과하였는지 카운팅하는 단계 및 (b-6) 상기 카운팅 결과가 제2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b-5) counting how many times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value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o the pres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b- 6)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ing resul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상기 (b-1) 단계 내지 (b-6)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모두 "Yes"인 경우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of step (c) is satisfied, the determination results of steps (b-1) to (b-6) may be all "Y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차량의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 및 최저점이 포함되는 시간인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를 산정하는 단계 및 (C-2) 상기 현재 외란 토크의 피드 포워드 제어를 위한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c) includes: (c-1) calculating an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which is a time including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of the current engine speed of the vehicle, and (C- 2) It may includ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for feed forward control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2)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C-3) 상기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상기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현재 외란 토크의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1 지연 시간(Td1)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 (c-2) is "No", (C-3)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within the calculated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It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 first delay time Td1, which is a time between the peaks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2)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C-4) 상기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에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적용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하는 단계 및 (C-5) 상기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상기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적용된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 내에서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2 지연 시간(Td2)을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 (c-2) is "Yes", (C-4) feed forward by apply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o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Controlling step and (C-5)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within the calculated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highest point with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which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applie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econd delay time (Td2) which is a time of.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6) 상기 산정한 제2 지연 시간(Td2)이 0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C-7) 상기 C-6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상기 제2 지연 시간(Td2)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C-6)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second delay time Td2 is 0, and (C-7)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the C-6 is “Yes”, the It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o the second delay time Td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6) 상기 산정한 제2 지연 시간(Td2)이 0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C-8) 상기 C-6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C-6)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second delay time Td2 is 0, and (C-8)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the C-6 step is “No”, th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initializ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a)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오퍼레이션 및 (c)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외란 토크(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오퍼레이션을 실행한다. An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 network interface, a memory for load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large-capacity network data, and the computer. Including a storage for storing a program, wherein the computer program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a) an operation of receiving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b)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And (c)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feed forward is execut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a)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오퍼레이션 및 (c)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외란 토크(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오퍼레이션을 실행시킨다.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combined with a computing device, (a) an operation of receiving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b) the received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ased on the (c)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current disturbance torque feed forward is execu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에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가 실시간으로 일치될 수 있는바, 공진이 발생하지 않기 되므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의 미세한 오차, 보다 구체적으로 인젝션 보정량으로 커버되지 않는 영역에서 분사하는 연료량의 차이가 있거나 원하는 연료 분사 지령치 만큼 연료를 분사함에 있어서 연료 분사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불쾌한 진동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eed forward control is performed 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so that the vibration period of the engine rotation speed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can be matched in real time. Since no resonance occurs, fuel is injected. Unpleasant vibration provided to the driver even if there is a slight error of the injector, more specifically,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 an area not covered by the injection correction amount, or a fuel injection delay occurs when injecting fuel as much as the desired fuel injection command value.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prevent this from occurring.

또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불쾌한 진동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엔진 제어기들의 1차원적인 Anti-Jerk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pleasant vibration provided to the driv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ivability of the vehicl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ne-dimensional Anti-Jerk function of the existing engine controllers can be supplemen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중,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S220 단계를 제1 실시 예로 구체화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중,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S220 단계를 제2 실시 예로 구체화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중,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하는 S230 단계를 구체화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정상 상태의 차량과 운전자에게 불쾌한 진동감을 제공하는 문제 차량의 엔진 회전수, 외란 토크, 외란 토크가 반영된 최종 토크 및 연료량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문체 차량의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의 어느 하나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를 제1 지연 시간과 함께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에 있어서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를 제1 지연 시간만큼 타임 시프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문제 차량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이 적용된 연료량, 차속, 엔진 회전수 및 외란 토크와 적용되지 않은 연료량, 차속, 엔진 회전수 및 외란 토크를 동시에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included in a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howing representative steps of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220 of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n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220 of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n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230 of performing feed forward control in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the engine speed, disturbance torque, and final torque reflecting the disturbance torque and fuel amount of a problem vehicle providing an unpleasant sense of vibration to the vehicle and driver in a normal state.
FIG. 7 is a view showing separately one of the vibration period of the engine speed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of the style vehicle shown in FIG. 6 together with a first delay time.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is time-shifted by a first delay time 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engine rotation speed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shown in FIG. 7.
9 is a fuel amount, vehicle speed, engine rotational speed and disturbance torque to which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case of the problem vehicle shown in FIG. 6, and the amount of fuel not applied, vehicle speed, and engine It is a graph showing the rotation speed and disturbance torque at the same ti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결정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pos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o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결정이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Unless otherwise determ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결정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In addition, generally used terms determined in advance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termined.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and/or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included in a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cessary, and of course, the role of one component may be performed by another component.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는 프로세서(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스토리지(4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버스(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10, a network interface 20, a memory 30, a storage 40, and a data bus 50 connecting them. I can.

프로세서(10)는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e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형태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rocessor 10 may be any one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processor unit (M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or a type of processor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he processor 10 may perform an operation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for performing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그 밖의 공지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그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20 supports wired/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support other known communication methods. Therefore, the network interface 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ly.

메모리(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스토리지(4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을 로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모리(30)의 하나로 RAM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30)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memory 30 stores various data, commands and/or information, and can load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41 from the storage 40 in order to perform the smart light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 FIG. 1, a RAM is shown as one of the memories 30,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storage media can be used as the memory 30.

스토리지(4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42)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storage 40 may non-temporaril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41 and mass network data 42. The storage 40 i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read only memory (ROM), an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may be any one of widely know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컴퓨터 프로그램(41)은 메모리(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에 의해, (a)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오퍼레이션 및 (c)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현재 차속 및 기어 단수에 따라 현재 외란 토크(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puter program 41 is loaded into the memory 30 and, by one or more processors 10, (a) an operation of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 (b) vibration reduc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The operation to determine the condition and (c) if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ccording to the current vehicle speed and gear stage of the vehicle is performed. I can.

지금까지 간단하게 언급한 컴퓨터 프로그램(41)이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41)의 일 기능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는 엔진 제어기(미도시) 또는 이에 포함되는 일 구성으로 볼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41)은 ECU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mputer program 41 simply mentioned so far can be viewed as a function of the computer program 41, and in this case,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is an engine controller (not shown) or included therein. It can be seen as one configuration, and the computer program 41 may be an ECU program.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in the description of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의 대표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 chart showing representative steps of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순서도에 해당하나,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corresponds to a preferred flow chart in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cessary.

한편,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포함하는 개별적인 구성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수행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each step is performed as an individual component included in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by one or more processors 10,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this,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as performed by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of the vehicle.

우선,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한다(S210). First,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of the vehicle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 (S210).

여기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는 차량의 운전성을 향상시켜야 하는 상황에 해당하는지 판단함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정보로서, 차량의 현재 상태에 따른 다양한 정보가 진동 저감 필요 정보가 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 is minimum information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ability of the vehicle is to be improved, and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may be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예를 들어, 진동 저감 필요 정보는 현재 입력 토크(Torque)에 대한 정보, 현재 인젝션(Injection)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 현재 외란 토크(Disturbance Torque)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현재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 현재 엔진 회전수(RPM)에 대한 정보 및 퓨얼컷(Fuel-Cut)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is any one of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information on whether injec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gear stage. The above may be included, and in addition,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a current vehicle speed, information on a current engine speed (RPM), and information on a fuel cut may be further included.

따라서 S210 단계는 현재 입력 토크(Torque)에 대한 정보, 현재 인젝션(Injection)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진동 저감 필요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S210-1)를 포함할 수 있다. Therefore, in step S210,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information on whether injec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number of gear stages are received as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It may include step S210-1.

한편, 이들 진동 저감 필요 정보는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해당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 예를 들어, ECU(Engine Control Unit) 및 MCU(Mission Control Unit) 등으로부터 공지된 차량 내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가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se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of the vehicle manages the information, for example, an in-vehicle communication method known from an ECU (Engine Control Unit) and an MCU (Mission Control Unit). Using the network interface 20 may be able to receive.

더 나아가,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는 S210 단계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통해 소정 시간 이전에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 또는 후술할 지연 시간 학습치(Tdf)는 메모리(30)에 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되어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continuously performs step S210 in real time. Through this,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received before a predetermined time or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memory 30 ) May be stored permanently or temporarily and used for feed forward control fo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했다면,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한다(S220).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is received,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S220).

앞서 S21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는 현재 입력 토크에 대한 정보,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진동 저감 조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정보 모두를 진동 저감 필요 정보로 수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진동 저감 필요 정보가 현재 입력 토크에 대한 정보,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 모두를 포함함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Previously, in the description of step S210, it was said that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information on whether injec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gear stage. ,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t is most preferable to receive all of these information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is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gear level are include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중,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S220 단계를 제1 실시 예로 구체화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220 of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n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순서도에 해당하나,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corresponds to a preferred flow chart in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cessary.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S220 단계는 수신한 현재 입력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토크가 제1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220-1), 수신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20-2),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20-3) 및 수신한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기어 단수가 소정 시간 이전과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20-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진동 저감 필요 정보와 마찬가지로 진동 저감 조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220-1 단계 내지 S220-4 단계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S220 단계가 S220-1 단계 내지 S220-4 단계 모두를 더 포함하고 있음을 전제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The step S220 of determining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torq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set valu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S220-1),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As a result,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S220-2),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S220-3), and the received current gear stag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gear stage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mber of gears has been changed compared to before a predetermined time (S220-4).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ll of steps S220-1 to S220-4, an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on the premise that step S220 further includes all of steps S220-1 to S220-4. .

우선, 수신한 현재 입력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토크가 제1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220-1).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torq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set valu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S220-1).

여기서 현재 입력 토크는 순수한 Raw 데이터 상태인 입력 토크일 수 있으며, 엔진에 입력되기 위해 소정 단계 필터링된 Filtered 토크일 수 있으나, 어느 경우에나 외란 토크에 의해 감쇄되기 이전 상태의 토크이어야 할 것이며, Raw 데이터 상태인 입력 토크인지 또는 소정 단계 필터링된 Filtered 토크인지 여부는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의 설계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current input torque may be an input torque that is in pure raw data state, and may be a filtered torque filtered by a predetermined step to be input to the engine, but in any case, the torque must be in a state before attenuation by the disturbance torque. Whether it is the input torque in the state or the filtered torque filtered by a predetermined step may be freely set by the designer of th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한편, 제1 설정값은 가솔린/디젤 차량인지 여부의 스펙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디젤 차량의 경우 일반적으로 30Nm를 전후하여 제1 설정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입력 토크가 30Nm 이하인 경우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 시 진동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입력 토크 수준이기 때문이며, 가솔린 차량의 경우 디젤 차량과 달리 중/저속도 영역에서 입력 토크 증가에 대한 리스폰스(Response)가 다소 느리므로 디젤 차량의 경우보다 제1 설정값을 높게, 예를 들어 40Nm를 전후하여 제1 설정값을 설정함으로써 가솔린/디젤 차량인지 여부에 따라 각각의 스펙에 부합하는 제1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t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of whether the vehicle is a gasoline/diesel vehicle, but in the case of a diesel vehicle,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set the first set value around 30 Nm. When the input torque is 30 Nm or less, the vehicle This is because the input torque level is so that vibration is not felt durin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gasoline vehicle. Unlike diesel vehicles, the response to the increase in input torque in the medium/low speed range is somewhat slower than that of diesel vehicles. 1 By setting the first set value high, for example around 40 Nm, the first set value corresponding to each specification may be set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a gasoline/diesel vehicle.

이후, 수신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 판단한다(S220-2). Thereaft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S220-2).

여기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이란 것은 차량의 주행을 위해 연료가 엔진에 분사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인바, 이를 통해 현재 입력 토크가 실제 연료 분사에 이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Here, the current injection is to determine whether fuel is being injected into the engine for driving the vehicle. Through this, it is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input torque is actually being used for fuel injection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이후,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220-3). Thereaft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value (S220-3).

여기서 외란 토크란 Disturbance Torque라는 영단어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입력 토크에 가해지는 일종의 방해 토크를 의미하는바, 높은 입력 토크의 경우 이를 낮추는 토크일 수 있으며, 낮은 입력 토크의 경우 이를 높이는 토크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토크 제한치는 가장 높은 제한치인 Max 토크 제한치와 가장 낮은 제한치인 Min 토크 제한치 2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함으로써 토크 입력에 따른 엔진의 출력의 이상이 발생했는지 모니터링 가능하다. Here, the disturbance torque refers to a kind of disturbing torque applied to the input torque, 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English word “disturbance torque”. In the case of a high input torque, it may be a torque to lower it, and in the case of a low input torque, it may be a torque that increases it. Accordingly, there may be two torque limits, the highest limit, the Max torque limit, and the lowest limit, the Min torque limit, and monitor whether an abnormality in the engine output according to the torque input occurs by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It is possible.

한편, S220-3 단계는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므로 토크 제한치는 Max 토크 제한치로 볼 수 있으며, Min 토크 제한치가 적용되는 경우라면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로 S220-3 단계가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Max 토크 제한치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Min 토크 제한치를 이용하는 경우 모두 이어지는 단계는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Max 토크 제한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step S220-3 is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so the torque limit can be viewed as the max torque limit, and if the Min torque limit is applied, it is a step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is less than the torque limit. Step S220-3 could be replaced.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Max torque limit value or the Min torque limit value, the following steps are the same, so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on the premise that the Max torque limit value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후, 수신한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기어 단수가 소정 시간 이전과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S220-4). Thereaft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gear leve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gear level has been changed compared to before a predetermined time (S220-4).

이는 소정 시간 이전과 비교하여 기어 단수가 변경되는 변속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것인바, 기어 변속 시에는 아주 잠시 동안 토크 제한치를 넘어 외란 토크가 산정되기 때문에 기어 변속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토크 제한치를 넘는 경우 인젝션의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check whether a shift in which the number of gears is changed compared to before a predetermined time has been made.When a gear is shifted, the disturbance torque is calculated beyond the torque limit for a very short time. If it exceeds, it is to judge that there is an injection problem.

한편, 여기서 소정 시간은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의 설계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10ms와 같이 짧은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하여 기어 단수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외란 토크의 산정은 실시간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기어 단수의 변경 역시 매우 짧은 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함이 진동 저감 조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here,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freely set by the designer of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but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set a short time such as 10 ms to a predetermined time to compare the number of gear stages, and the calculation of the disturbance torque is This is because, since it is performed in real time, it is helpful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y judging the change in the corresponding gear stage based on a very short time.

지금까지 설명한 S220-1 단계 내지 S220-4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은 진동 저감 조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f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s S220-1 to S220-4 described so far is "Ye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has been satisfied, but the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 steps may be further includ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reduction conditions.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중,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S220 단계를 제2 실시 예로 구체화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220 of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n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순서도에 해당하나,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corresponds to a preferred flow chart in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cessary.

도 4를 참조하면, S220-1 단계 내지 S220-4 단계는 도 3의 경우와 동일하며, S220-4 단계 뒤에 S220-5 단계 및 S220-6 단계가 추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steps S220-1 to S220-4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3, and it can be seen that steps S220-5 and S220-6 are added after step S220-4.

그에 따라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S220 단계는 수신한 현재 입력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 토크가 제1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220-1), 수신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20-2),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20-3) 및 수신한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기어 단수가 소정 시간 이전과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20-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와 더불어,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까지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몇 회 초과하였는지 카운팅하는 단계(S220-5) 및 카운팅 결과가 제2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220-6)를 더 포함하여 진동 저감 조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ep S220 of determining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torq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et valu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S220-1), a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received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Based on,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S220-2),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S220-3), and the received curr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gears, in addition to any one or more of the steps (S220-4)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number of gears has been changed compared to before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urrent disturbance torque,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of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s, including counting how many times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value from time before to the present (S220-5)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ing resul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S220-6) Can improve the accuracy of.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까지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몇 회 초과하였는지 카운팅하며(S220-5), 카운팅 결과가 제2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220-6).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counting how many times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value from a predetermined time to the present (S220-5), and whether the counting resul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et value. It is determined (S220-6).

여기서 카운팅은 토크 제한치를 기준으로 외란 토크가 이를 몇 회나 초과하였는지 횟수를 카운팅하는 것이며, 소정 시간의 경우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외란 토크의 상황을 반영하여 0.3sec 내지 0.4sec, 가장 바람직하게는 0.34sec로 매우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토크 제한치의 수치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counting is to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is, based on the torque limit, and 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time, it is 0.3sec to 0.4sec, most preferably 0.34sec, reflecting the situation of the disturbance torque that fluctuates in real time. It is desirable to set it very short,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torque limit.

한편, 제2 설정값의 경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의 설계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나, 3회 이상 초과한 경우 외란 토크의 산정이 올바르지 않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제2 설정값을 3회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는 제2 설정값을 3회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면 외란 토크가 1회 또는 2회 토크 제한치를 초과한 경미한 상황에서도 외란 토크 산정이 올바르지 않다고 결정할 것인바, 지나치게 엄격한 기준이 될 것이며, 3회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다면 외란 토크 산정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도 올바르지 않다는 결정을 하지 못할 것인바, 지나치게 유연한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set value, the designer of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can freely set it, but if it exceeds three or more time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calculation of the disturbance torque is incorrect, so setting the second set value to three times It would be desirable. If the second set value is set to a value less than 3 times, it will be determined that the calculation of the disturbance torque is not correct even in a slight situation where the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for 1 or 2 times. If it is set to a large value, even if the disturbance torque calculation is not correct, it will not be possible to determine that it is not correct, because it can be an overly flexible standard.

앞서 설명한 S220-1 단계 내지 S220-4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와 마찬가지로 S220-1 단계 내지 S220-6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S220-1 단계 내지 S220-4 단계만을 수행하여 판단한 것보다 진동 저감 조건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milar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s S220-1 to S220-4 described abov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s S220-1 to S220-6 is "Ye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satisfi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than that determined by performing only steps S220-1 to S220-4.

아울러, S220-5 단계 및 S220-6 단계는 S220-4 단계 이후가 아니라 앞서 설명한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S220-3 단계에서 함께 수행될 수도 있는바, 외란 토크에 대하여 판단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한번에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steps S220-5 and S220-6 may be performed together in step S220-3,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disturbance torque described above exceeds the torque limit, rather than after step S220-4.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turbance torque This is because processing speed can be improved if it is performed in one batch.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2 again.

진동 저감 조건의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가 현재 외란 토크를 피드 포워드 제어한다(S230).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feed-forward controls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S230).

여기서 외란 토크의 피드 포워드 제어는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를 차량의 현재 엔진 회전수의 진동 주기와 일치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불쾌한 진동감을 저감할 수 있는 제어를 의미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 the feed forward control of the disturbance torque refers to a control capable of reducing an unpleasant sense of vibration provided to the driver by matching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with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engine speed of the vehicl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중,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하는 S230 단계를 구체화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230 of performing feed forward control in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순서도에 해당하나,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is corresponds to a preferred flow chart in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cessary.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하는S230 단계는 차량의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 및 최저점이 포함되는 시간인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를 산정하는 단계(S230-1) 및 현재 외란 토크의 피드 포워드 제어를 위한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230-2),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 내에서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1 지연 시간(Td1)을 산정하는 단계(S230-3),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에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적용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하는 단계(S230-4),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적용된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 내에서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2 지연 시간(Td2)을 산정하는 단계(S230-5), 산정한 제2 지연 시간(Td2)이 0인지 판단하는 단계(S230-6),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제2 지연 시간(Td2)으로 갱신하는 단계(S230-7) 및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초기화하는 단계(S230-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드 포워드 제어 수행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230-1 단계 내지 S230-8 단계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S230 단계가 S230-1 단계 내지 S230-8 단계 모두를 더 포함하고 있음을 전제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In the step S230 of performing the feed forward control, the step of calculating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which is the time at which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of the current engine speed of the vehicle are included (S230-1), and the feed forward control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for (S230-2),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and the highest point with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within the calculated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Calculating a first delay time (Td1), which is a time (S230-3), applying a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o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controlling the feed forward (S230-4), the calculated engine Calculating a second delay time (Td2), which is the tim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within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highest point with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which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applied ( S230-5),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second delay time Td2 is 0 (S230-6), and updat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o the second delay time Td2 (S230-7) And initializ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S230-8), and includes all of the steps S230-1 to S230-8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performing the feed forward control. It is preferable to do this, an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on the premise that the step S230 further includes all of the steps S230-1 to S230-8.

우선, 차량의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 및 최저점이 포함되는 시간인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를 산정한다(S230-1). First, an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which is a time including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of the current engine speed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S230-1).

여기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는 일정한 주기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어느 지점을 선택하여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를 산정하여도 무방하나, 최고점 및 최저점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일정한 주기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가 아닐 시에는, S230-1 단계를 수행하는 시점이 포함되되, 최고점 및 최저점이 동시에 포함되는 시간을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로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may be calculated by selecting a point and calculating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when a certain period is continuously repeated, but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must be included, and a certain period. When is not continuously repeated, the time point at which step S230-1 is performed is included, and the time at which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are simultaneously included may be calculated as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도 6은 정상 상태의 차량과 운전자에게 불쾌한 진동감을 제공하는 문제 차량의 엔진 회전수, 외란 토크, 외란 토크가 반영된 최종 토크 및 연료량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인바, 정상 상태의 차량 및 문제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살피면 일정한 주기가 지속적으로 반복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별도 표시한 부분이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로 볼 수 있을 것이다. 6 is a graph showing the engine speed, disturbance torque, and final torque and fuel amount reflecting the disturbance torque of a problem vehicle providing an unpleasant sense of vibration to the vehicle and the driver in a normal state. If you look at the number of revolutions, you can see that a certain period is continuously repeated, and the separately marked part can be seen as the engine revolution number vibration period (Tp).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외란 토크의 진동 그래프는 엔진 회전수의 진동 그래프를 좇는 경향을 나타내는바, S230-1 단계에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가 아니라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를 산정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6, the vibration graph of the disturbance torque indicates a tendency to follow the vibration graph of the engine speed. In step S230-1,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is not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It would be okay to calculate.

이후, 토크의 피드 포워드 제어를 위한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30-2). Thereafter,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for the feed forward control of the torque (S230-2).

여기서 지연 시간 학습치(Tdf)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위해 외란 토크에 입력되는 지연 시간의 학습치를 의미하는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이 이전에 수행된 적이 있다면, 지연 시간 학습치(Tdf)는 존재할 것이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의 설계자가 최초 설계 시 일정 시간의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기 설정해 놓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이 이전에 수행된 적이 없고,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의 설계자가 최초 설계 시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기 설정해놓지 않았다면 이하의 S230-3 단계가 수행된다. Here,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means a learning value of the delay time input to the disturbance torque for feed forward control. If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viously performed,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will exist, and the designer of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may preset a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of a predetermined time when initially designing the vehicle. However, if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been previously performed, and the designer of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100 has not previously set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during the initial design, the following Step S230-3 is performed.

S230-2 단계의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현재 외란 토크의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1 지연 시간(Td1)을 산정한다(S230-3).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230-2 is "No", more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does not exist,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within the calculated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The first delay time Td1, which is a time between the peak point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is calculated (S230-3).

여기서 제1 지연 시간(Td1)은 S230-1 단계에서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현재 외란 토크의 최고점 사이의 시간 또는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저점과 현재 외란 토크의 최저점 사이의 시간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산정할 수 있는바, 도 6에 도시된 문체 차량의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의 어느 하나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를 별도로 도시한 도 7에 제1 지연 시간(Td1)을 별도로 도시해 놓았다. Here, the first delay time Td1 is the tim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within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calculated in step S230-1, or the low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and the current It can be calculated through any one of the time between the lowest point of the disturbance torque, and in FIG. 7 showing separately any one of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of the stylistic vehicle shown in FIG. 6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The first delay time Td1 is shown separately.

한편, S230-2 단계의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에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적용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한다(S230-4).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230-2 is "Yes", more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exists,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applied to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Feed forward control is performed (S230-4).

이는 보다 구체적으로, 타임 시프팅(Time Shifting)을 수행하는 것인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지연 시간 학습치(Tdf)만큼 외란 토크를 타임 시프팅하여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일치시키는 것이며, S230-3 단계에서 제1 지연 시간(Td1)을 산정한 경우, 산정한 제1 지연 시간(Td1)만큼 외란 토크를 타임 시프팅하여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일치시키는 것이다. 도 8에 도 7에 도시된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를 제1 지연 시간(Td1)만큼 타임 시프팅하는 모습을 도시해 놓았으며, S230-2 단계에서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도 8에 도시된 제1 지연 시간(Td1)을 지연 시간 학습치(Tdf)로 변경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즉, S230-4 단계에서는 지연 시간 학습치(Tdf)와 제1 지연 시간(Td1)이 동일하게 취급되기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연 시간 학습치(Tdf)로 통일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this is to perform time shifting, and the disturbance torque is time-shifted by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confirmed to exist to match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When the first delay time Td1 is calculated in step S230-3, the disturbance torque is time-shifted by the calculated first delay time Td1 to match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In FIG. 8,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shown in FIG. 7 is time-shifted by the first delay time Td1,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exists in step S230-2. If so, it is sufficient to change the first delay time Td1 shown in FIG. 8 to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hat is, in step S230-4, since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and the first delay time Td1 are treated the sam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will be unified to continue the description.

이후,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적용된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 내에서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2 지연 시간(Td2)을 산정한다(S230-5). Thereafter, the second delay time (Td2), which is the tim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within the calculated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highest point with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which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applied. Is calculated (S230-5).

S230-4단계에서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적용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는 일치됨이 일반적일 것이나, 경우에 따라 특별한 사정, 예를 들어 다른 외적인 요인 등에 의해 시간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S230-5 단계는 이를 검증하기 위한 단계이다. If feed forward control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n step S230-4, it is common that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coincide, but in some cases, special circumstances, eg For exampl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time delay may occur due to other external factors, and step S230-5 is a step to verify this.

이 경우, 제2 지연 시간(Td2)의 산정은 앞서 설명한 제1 지연 시간(Td1)의 산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중복 서술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calculation of the second delay time Td2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alculation of the first delay time Td1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prevent redundant description.

이후, 산정한 제2 지연 시간(Td2)이 0인지 판단하며(S230-6), 판단 결과 "Yes"인 경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제2 지연 시간(Td2)으로 갱신하고(S230-7), 판단 결과 "No"인 경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초기화한다(S230-8).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culated second delay time Td2 is 0 (S230-6), 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updated to the second delay time Td2 (S230- 7)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initialized (S230-8).

제2 지연 시간(Td2)이 0이라는 것은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가 일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일치하는 경우 기존에 확인된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통해 타임 시프팅이 재차 수행되어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제2 지연 시간(Td2)으로 갱신하며, 이 경우 지연 시간 학습치(Tdf)는 0이 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When the second delay time (Td2) is 0, it means that the engine rotational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coincide. If they match, the time through the previously identified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updated to the second delay time (Td2) to prevent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vibration period of disturbance torque from being inconsistent due to the shifting performed again.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will generally be zero.

한편, 제2 지연 시간(Td2)이 0이 아니라는 것은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가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바,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초기화하고 정확한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S230-1 단계로 회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delay time (Td2) is not 0, it means that the vibration period of the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disturbance torque do not coincide. The engine rotation speed vibration period despite the feed forward control is performed. Since (Tp)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do not match,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initializ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230-1 in order to perform accurate feed forward control.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문제 차량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이 적용된 연료량, 차속, 엔진 회전수 및 외란 토크와 적용되지 않은 연료량, 차속, 엔진 회전수 및 외란 토크를 동시에 도시한 그래프인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와 다르게 적용된 경우 연료량, 차속, 엔진 회전수 및 외란 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무엇보다 엔진 회전수의 진동 주기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가 일치하기에 운전자에게 불쾌한 진동감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 is a fuel amount, vehicle speed, engine rotational speed and disturbance torque to which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case of the problem vehicle shown in FIG. 6, and the amount of fuel not applied, vehicle speed, and engine It is a graph show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disturbance torque at the same time. When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fferently from the case where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amount of fuel, vehicle speed, engine revolution speed, and disturbance torque are kept constant. Above all, since the vibration period of the engine speed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coinc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pleasant vibration feeling to the driver.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에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와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가 실시간으로 일치될 수 있는바, 공진이 발생하지 않기 되므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의 미세한 오차, 보다 구체적으로 인젝션 보정량으로 커버되지 않는 영역에서 분사하는 연료량의 차이가 있거나 원하는 연료 분사 지령치 만큼 연료를 분사함에 있어서 연료 분사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불쾌한 진동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엔진 제어기들의 1차원적인 Anti-Jerk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So far, a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 forward control is performed 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so that the engine rotational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vibration period of the disturbance torque can be matched in real time. Since resonance does not occur, an injector that injects fuel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uel injected in an area not covered by the injection correction amount, or a fuel injection delay occurs in injecting fuel as much as the desired fuel injection command value, the unpleasant vibration provided to the driver is I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accordingly, the driv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one-dimensional Anti-Jerk function of the existing engine controllers can be supplemented.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 및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a)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오퍼레이션 및 (c)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외란 토크(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오퍼레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apparatus 100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same technical features.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In this case, the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is combined with the computing device to: (a) an operation of receiving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b) an operation of determining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received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and (c) th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feed forward may be executed.

아울러, 중복 서술을 위해 자세히 기술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100) 및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에 적용된 모든 기술적 특징과 그에 따른 효과를 공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for redundancy,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uter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hare all the technical features applied to the vehicle vibration re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xample and the corresponding effect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10: 프로세서
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 메모리
40: 스토리지
41: 컴퓨터 프로그램
50: 데이터 버스
100: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
10: processor
20: network interface
30: memory
40: storage
41: computer program
50: data bus
100: vehicle vibration reduction device

Claims (12)

(a)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가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가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외란 토크 (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a) receiving, by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information necessary for vibration reduction;
(b) determining, by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And
(c)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satisfies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ontrolling a current disturbance torque feed forward;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현재 입력 토크(Torque)에 대한 정보, 현재 인젝션(Injection)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진동 저감 필요 정보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a),
(a-1) Receiving any one or more of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input torque, information about whether injec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number of gear stages as information required for vibration reduction Step to do;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수신한 현재 입력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토크가 제1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수신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인젝션 진행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외란 토크가 토크 제한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b-4) 상기 수신한 현재 기어 단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현재 기어 단수가 소정 시간 이전과 비교하여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b),
(b-1)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torq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first set valu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input torque;
(b-2) determining whether injection is currently in progres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current injection is in progress;
(b-3)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a torque limi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b-4)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gear number has been changed compared to before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gear level;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any one or more of the steps.
제3항에 있어서,
(b-5) 상기 수신한 현재 외란 토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까지 상기 현재 외란 토크가 상기 토크 제한치를 몇 회 초과하였는지 카운팅하는 단계; 및
(b-6) 상기 카운팅 결과가 제2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b-5) counting how many times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exceeds the torque limit value from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o the presen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And
(b-6) determining whether the counting resul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set value;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상기 (b-1) 단계 내지 (b-6)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모두 "Yes"인 경우인,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of step (c) is satisfied,
In the case where the determination results for the steps (b-1) to (b-6) are all "Yes",
How to reduce vehicle vib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차량의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 및 최저점이 포함되는 시간인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를 산정하는 단계; 및
(C-2) 상기 현재 외란 토크의 피드 포워드 제어를 위한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c),
(c-1) calculating an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which is a time including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of the current engine speed of the vehicle; And
(C-2)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for feed forward control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C-3) 상기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상기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 내에서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1 지연 시간(Td1)을 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 (c-2) is "No",
(C-3) Calculating a first delay time (Td1) that is a tim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and the highest point with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within the calculated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C-4) 상기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에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적용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하는 단계; 및
(C-5) 상기 산정한 엔진 회전수 진동 주기(TP) 내에서 상기 현재 엔진 회전수의 최고점과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가 적용된 현재 외란 토크의 진동 주기 내에서 최고점 사이의 시간인 제2 지연 시간(Td2)을 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 (c-2) is "Yes",
(C-4) apply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o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control feed forward; And
(C-5) The tim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current engine speed within the calculated engine speed vibration period (TP) and the highest point within the vibration period of the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which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is applied. 2 calculating a delay time (Td2);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C-6) 상기 산정한 제2 지연 시간(Td2)이 0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C-7) 상기 C-6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Yes"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상기 제2 지연 시간(Td2)으로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6)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second delay time Td2 is 0; And
(C-7)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 C-6 is "Yes", updat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to the second delay time Td2;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C-6) 상기 산정한 제2 지연 시간(Td2)이 0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C-8) 상기 C-6 단계에 대한 판단 결과가 "No"인 경우, 상기 지연 시간 학습치(Tdf)를 초기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C-6) determining whether the calculated second delay time Td2 is 0; And
(C-8) initializing the delay time learning value (Tdf)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for step C-6 is "No";
Vibration reduction method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a)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오퍼레이션; 및
(c)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외란 토크(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오퍼레이션;
을 실행하는 차량의 진동 저감 장치.
One or more processors;
Network interface;
A memory for loading a computer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Including storage for storing large-capacity network data and the computer program,
The computer program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a) an operation of receiving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b)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And
(c)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current disturbance torque to feed forward;
The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the vehicle running.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a)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b) 상기 수신한 진동 저감 필요 정보를 기초로 진동 저감 조건을 판단하는 오퍼레이션; 및
(c) 상기 판단 결과 진동 저감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현재 외란 토크(Disturbance Torque)를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하는 오퍼레이션;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mbined with a computing device,
(a) an operation of receiving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b)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vibration reduction necessary information; And
(c)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current disturbance torque as a feed forward when the vibration reduction condition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o run,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KR1020190049307A 2019-04-26 2019-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KR1022032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07A KR102203289B1 (en) 2019-04-26 2019-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07A KR102203289B1 (en) 2019-04-26 2019-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267A true KR20200125267A (en) 2020-11-04
KR102203289B1 KR102203289B1 (en) 2021-01-14

Family

ID=7357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307A KR102203289B1 (en) 2019-04-26 2019-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289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684A (en) * 1993-05-26 1994-12-06 Mazda Motor Corp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of vehicle
JPH0791306A (en) * 1992-12-28 1995-04-04 Nippondenso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2000217209A (en) * 1999-01-22 2000-08-04 Toyota Motor Corp Damping device for vehicle using motor as source of drive force
JP2006036074A (en) * 2004-07-28 2006-02-09 Toyota Motor Corp Power output device, and automobile and driving device which mount the same
JP2007218138A (en) * 2006-02-15 2007-08-30 Denso Corp Vibration reduc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100049175A (en) 2008-11-03 2010-05-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osition adaptive type disturbance torque compensation apparatus of servo motor
JP2012011860A (en) * 2010-06-30 2012-01-19 Toshiba Corp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on of railway vehicle
JP2015173548A (en) * 2014-03-12 2015-10-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ib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306A (en) * 1992-12-28 1995-04-04 Nippondenso Co Ltd Vib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H06337684A (en) * 1993-05-26 1994-12-06 Mazda Motor Corp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of vehicle
JP2000217209A (en) * 1999-01-22 2000-08-04 Toyota Motor Corp Damping device for vehicle using motor as source of drive force
JP2006036074A (en) * 2004-07-28 2006-02-09 Toyota Motor Corp Power output device, and automobile and driving device which mount the same
JP2007218138A (en) * 2006-02-15 2007-08-30 Denso Corp Vibration reduc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100049175A (en) 2008-11-03 2010-05-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osition adaptive type disturbance torque compensation apparatus of servo motor
JP2012011860A (en) * 2010-06-30 2012-01-19 Toshiba Corp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on of railway vehicle
JP2015173548A (en) * 2014-03-12 2015-10-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Vib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289B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102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apturing automotive vehicle diagnostic information, monitoring, and controlling
CN112441004B (en) Longitudinal planning method, system, vehicle and storage medium for automatic driving lane change
US10906482B2 (en) Real-time performance tuning
US20090049232A1 (en) Execute-in-place implementation for a nand device
US8448625B2 (en) Method of pilot injection control and system thereof
KR1022032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ehicle vibration
US9708985B1 (en) Matching torque map to shift pattern
US20090093941A1 (en)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with exempt area of fuel map
CN105988899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data buffer storage
CN115657537B (en) Calibration data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vehicle and electronic control unit
JP5111486B2 (en) Update apparatus and update method for control program
US20220197627A1 (en) Control system, mobile objec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886859B2 (en) Control system, mov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4712446A (en) Method of reducing rattle noise of vehicle
CN113312085B (en) Instruction block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855375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oil injector,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90263407A1 (en) Control Strategy for a Hybrid Vehicle for Reduced Emission Values
CN111480144B (en)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tasks by multi-core motor vehicle computer
US10544750B2 (en) Control device for recognizing fuel type, a fuel pump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US8260484B2 (en) Data update processing method and vehicle operation control device
KR1022132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ehicle drivability
SE1551560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gear shifting in a hybrid powertrain
CN107710162B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stack using method
WO2018010899A1 (en) Data processing method
CN112599172B (en) Data writing method and device of electronic control uni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