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927A -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927A
KR20200124927A KR1020190048406A KR20190048406A KR20200124927A KR 20200124927 A KR20200124927 A KR 20200124927A KR 1020190048406 A KR1020190048406 A KR 1020190048406A KR 20190048406 A KR20190048406 A KR 20190048406A KR 20200124927 A KR20200124927 A KR 2020012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ource
animal
db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4796B1 (en
Inventor
유용길
김연섭
Original Assignee
(주) 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번영 filed Critical (주) 번영
Priority to KR102019004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96B1/en
Priority to PCT/KR2020/005515 priority patent/WO2020218905A1/en
Publication of KR2020012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01K15/022Anti-bar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comprises: a sensing unit detecting an input source including a noise source; an analysis unit analyz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ource; a noise extraction unit extracting the noise source from the input source based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 anti-noise source canceling the noise source;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anti-noise source. Accordingly, noise generated by animal′s barking, howling, and the like can be actively reduced.

Description

동물 소음 저감 장치{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본 발명은 동물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의 소음을 능동적으로 상쇄시키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that actively cancels animal noise.

동물 좋아하는 동물 애호가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특히, 강아지를 좋아하는 애견가들이 상당히 증가했다. 애견가들은 본인 들의 취향에 따라 양육하는 동물의 종류도 다양하다. 동물은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울음소리 등으로 의사 표현을 한다. 보통 애견가들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 거주하기 때문에, 동물의 울음 소리 등으로 인한 소음은 이웃에게 피해를 주어 분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There are more and more animal lovers who love animal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dog lovers who like puppies has increased considerably. Dog owners also have various types of animals to raise according to their taste. Animals express their intentions by crying depending on their mood or situation. Since dogs usually live in apartments and apartments, noise caused by crying animals and the like damages neighbors and causes disputes.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동물의 울음 소리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충격, 가스 분사, 초음파 출력 등의 기술이 이용된다. 그러나, 전기 충격은 비인도적 방식이어서 문제된다. 가스 분사는 반려견이 싫어하는 가스를 분사하는 방식이나, 이는 가스의 유해성 문제와 가스를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초음파 출력은 반려견이 싫어할 만한 초음파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식이나, 반려견이 적응하면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echniques such as electric shock, gas injection, and ultrasonic output are used to prevent noise caused by the crying sound of animals. However, electric shock is a problem because it is an inhumane manner. Gas injection is a method of injecting gas that dogs do not like, but this has a problem of harmfulness of the gas and a problem of periodically charging the gas. Lastly, the ultrasonic output is a method of outputting ultrasonic waves through a speaker that dogs may dislik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ffective if the dog adapt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443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443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effectively reduce noise generated by animal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노이즈 소스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입력 소스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에서 노이즈 소스를 추출하는 노이즈 추출부, 노이즈 소스를 상쇄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안티 노이즈 소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input source including a noise source,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ource, and extracts a noise source from the input source based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ise extraction unit, a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nti-noise source canceling the noise sourc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nti-noise source.

또한,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ise extrac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racts an input source included in a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as a noise source.

또한, 주파수 특성은 적어도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an amplitude and a frequency.

또한, 입력 소스에 가중치를 더한 소음 레벨(dBA)을 산출하는 청감 보정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auditory correction circuit for calculating a noise level dBA obtained by adding a weight to the input source, and the noise extraction unit extracts an input source included in a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as a noise source. .

또한,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은 60dBA이상 90 dB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t noise level (dBA) is characterized in that 60 dBA or more and 90 dBA or less.

또한, 주파수 특성 범위 또는 소음 레벨(dBA)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or the noise level (dBA).

또한, 센싱부는 마이크로폰 및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microphone and a vibration sensor.

또한, 생성부는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 anti-noise source using a Filtered-x LMS (Least Mean Square) algorithm.

또한, 분석부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using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algorithm.

또한, 노이즈 소스는 동물의 짖음 또는 하울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ise sour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by barking or howling of an animal.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으로 발생하는 노이즈 소스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상쇄시켜, 동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Noise sources generated by barking and howling of animals are effectively extracted, and by actively canceling them, animal noise can be effectively reduced.

또한,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에 가중치를 더하여 소음 레벨(Dba)을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 사람의 청감을 반영하여, 스트레스, 고통을 주는 소음을 선별적으로 추출하여 상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level Dba may be calculated by adding a weight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input source I, and the noise source N may be extracted based on thi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extract and offset noises that cause stress and pain by reflecting a person's hearing sensatio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또한, 설정부는 상쇄 대상인 노이즈 소스(N)의 주파수 특성 범위(값) 및 소음 레벨(dBA) 범위(값)를 사전에 설정하여, 동물 종류, 거주 상황 등에 맞게 상쇄 대상인 노이즈 소스(N)를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unit set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value) and the noise level (dBA) range (value) of the noise source (N) to be canceled in advance, and adjusts the noise source (N) to be canceled according to the animal type and living situation. I ca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감 보정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wavefor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 hearing correction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G.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oise extracting unit shown in FIG. 1.
7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noise extracting unit shown in FIG. 6.
FIG. 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noise extracting unit shown in FIG. 6.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bond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waveform.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동물 소음을 능동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 센싱부(100), 분석부(200), 노이즈 추출부(300), 생성부(400) 및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센싱부(100)는 입력 소스(I)를 감지하고,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I) 중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한다. 생성부(400)는 노이즈 소스(N)를 기초로, 180도 위상 차이 나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생성한다. 출력부(500)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출력한다. 따라서, 노이즈 소스(N)는 안티 노이즈 소스(AN)에 의해 상쇄되어 동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1 and 2,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0, an analysis unit 200, and a noise extraction unit 300 in order to actively reduce animal noise. ), a generation unit 400 and an output unit 500. The sensing unit 100 detects the input source I, and the analysis unit 200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ource I. The noise extraction unit 300 extracts the noise source N from the input source I based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The generation unit 400 generates an anti-noise source AN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based on the noise source N. The output unit 500 outputs an anti-noise source (AN). Accordingly, the noise source N may be canceled by the anti-noise source AN to reduce animal noise.

센싱부(100)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헐떡거림, 으르렁거림 등으로 발생하는 입력 소스(I)를 감지한다. 입력 소스(I)는 동물이 스스로 발생시키거나, 동물이 위치하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원일 수 있다. 즉, 입력 소스(I)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의 소리원(I1, I2, I3, … , IN)을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소스(N)는 입력 소스(I) 중 동물의 짖음 등에 의해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식되는 상쇄(저감) 대상인 주파수 성분의 소리원을 말한다. The sensing unit 100 detects an input source I generated by barking, howling, gasping, and growling of an animal. The input source (I) may be a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animal itself or generated around the animal. That is, the input source I may include sound sources I1, I2, I3, …, IN of various frequency components. The noise source N refers to a sound source of a frequency component that is an object of cancellation (reduction) recognized as noise by humans by the barking of an animal among the input sources I.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짖음에 대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소스(N)는 하울링에 대응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에 해당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동물이 짖는 경우, 노이즈 소스(N)는 적어도 특정 범위의 주파수 및 특정 범위의 진폭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노이즈 소스(N)는 특정 값의 주파수 및 특정 값의 진폭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noise source (N) may be caused by barking or howling of animals. That is, the noise source N may have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the barking of an animal. Also, the noise source N may have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howling. Accordingly, the noise source N may be set in advance to have frequency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barking and howling of animals. For example, when an animal barks, the noise source N may be set to have at least a specific range of frequencies and a specific range of amplitudes. Of course, the noise source N may be set to have a frequency of a specific value and an amplitude of a specific value.

한편, 노이즈 소스(N)는 동물의 종류, 크기(소형, 중형, 대형), 성별, 소리 발생 상황(짖음, 하울링 등)에 따른 다수의 주파수 특성(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다수의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미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특성은 적어도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주파수 특성은 위상, 소음의 시작점과 종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oise source (N) may be set in advance to have a number of frequency characteristics (range) according to the type of animal, size (small, medium, large), gender, and sound occurrence situation (bark, howling, etc.) . To this end,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data. Her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ncludes at least amplitude and frequency. In additi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may include a phase, a starting point and an ending point of the noise, and the like.

일 실시 예로, 센싱부(100)는 마이크로폰(110) 및 진동 센서(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10)은 소리의 음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꾼다. 마이크로폰(110)은 크게 다이내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를 포함한다. 진동 센서(130)는 성대의 움직임으로 인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센서(130)는 적어도 동물의 짖음으로 인한 마이크로폰(110)의 감지 보다 먼저 입력 소스(I)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부(100)는 동물의 목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nsing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icrophone 110 and the vibration sensor 130. The microphone 110 converts sound waves of sound into electrical signals. The microphone 110 largely includes a dynamic microphone and a condenser microphone. The vibration sensor 130 may detect vibration due to movement of the vocal cords. Accordingly, the vibration sensor 130 may detect the input source I at least prior to detection of the microphone 110 due to barking of an animal. The sensing unit 100 may be disposed around the neck of the animal.

진동 센서(130)는 적어도 동물의 짖음으로 인한 마이크로폰(110)의 감지 보다 먼저 입력 소스(I)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센서(130)는 애완 동물(11)의 직접적인 소리 발생(짖음 등)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센서(130)와 마이크로폰(110)을 함께 배치하는 경우, 애완 동물(11)의 짖음 등으로 인한 상쇄 대상인 노이즈 소스(N)가 더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다. 즉, 진동 센서(130)와 마이크로폰(110) 각각의 입력 소스(I)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vibration sensor 130 may detect the input source I at least prior to detection of the microphone 110 due to barking of an animal. In addition, the vibration sensor 130 can confirm that the pet 11 directly generates sound (barking, etc.). Therefore, when the vibration sensor 130 and the microphone 110 are disposed together, the noise source N, which is a target of offset due to the barking of the pet 11, can be more accurately extracted. That is, accuracy may be improved by utilizing the input sources I of the vibration sensor 130 and the microphone 110, respectively.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입력 소스(I)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인한 다양한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다. 그 중,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식되는 주파수 성분인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하기 위해서,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부(200)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은 함수의 근사값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이다. 푸리에 변환에 근거하여 근사공식을 이용한 이산푸리에변환을 계산할 때 연산횟수를 줄여 빠른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The analysis unit 200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ource I. The input source I includes various frequency components due to noise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as well as barking and howling of animals. Among them, in order to extract the noise source N, which is a frequency component recognized as noise by humans, the analysis unit 200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ource I. The analysis unit 200 may use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algorithm.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calculates an approximation of a function. When calculating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using an approximation formula based on the Fourier transform, the number of operations can be reduced, enabling fast signal processing.

노이즈 추출부(300)는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I)에서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한다. 일 실시 예로,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I)를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소스(I)는 다수의 주파수 성분을 가질 수 있고, 다수의 주파수 성분 중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특정 범위 주파수, 특정 범위 진폭 등)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은 노이즈 소스(N)로 추출된다. 물론, 주파수 특성 범위 대신 주파수 특성의 특정 값이 사용될 수 있다.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extracts the noise source N from the input source I based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As an example,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may extract an input source I included in a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as a noise source N. Specifically, the input source (I) may have a plurality of frequency components, and a frequency component included in a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a specific range frequency, a specific range amplitude, etc.) among the plurality of frequency components is used as the noise source (N). Is extracted. Of course, a specific valu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may be used instead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생성부(400)는 노이즈 소스(N)를 상쇄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생성한다. 생성부(400)는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은 생성부(400)에 포함된 low pass filter, 파워 증폭기 및 출력부(500)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 generation unit 400 generates an anti-noise source (AN) that cancels the noise source (N). The generation unit 400 may use a Filtered-x LMS (Least Mean Square) algorithm. The Filtered-x Least Mean Square (LMS) algorithm may remove error components generated by the low pass filter, the power amplifier, and the output unit 500 included in the generation unit 400.

출력부(500)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노이즈 소스(N)는 안티 노이즈 소스(AN)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500 outputs the anti-noise source AN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400. Thereby, the noise source N may be canceled by the anti-noise source AN.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소스(I)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I1, I2, I3, … ,IN)을 포함한다. 따라서, 동물에 의해 발생되고, 사람에게 소음으로 인식되는 주파수 성분, 즉, 노이즈 소스(N)가 추출되어야 한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I1, I2, I3, … ,IN) 중에서 특정 조건의 주파수 성분인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한다. 생성부(400)는 오차 성분을 고려하여, 노이즈 소스(N)에 대응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AN)를 생성한다. 즉, 안티 노이즈 소스(AN)는 노이즈 소스(N)의 반전 파형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2, the input source I includes various frequency components I1, I2, I3, …, IN. Therefore, a frequency component generated by an animal and recognized as a noise by a human, that is, a noise source (N) must be extracted.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extracts a noise source N, which is a frequency component under a specific condition, from among various frequency components I1, I2, I3, ..., IN. The generation unit 400 generates an anti-noise source (AN) corresponding to the noise source (N) in consideration of the error component. That is, the anti-noise source (AN) has an inverted waveform of the noise source (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감 보정 회로부(600)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earing correction circuit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도 3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청감 보정 회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감 보정 회로부(600)는 분석부(200)에서 분석된 입력 소스(I)에 가중치를 더하여 소음 레벨(dBA)을 산출한다. 소음 레벨은 가중치에 따라 A 보정(dBA, 파란색), B 보정(dBB, 노란색) 및 C 보정(dBC, 빨강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여기서의 소음 레벨(dBA)는 A보정에 따른 것이다.3 and 4,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ring correction circuit unit 600. The auditory correction circuit part 600 calculates a noise level dBA by adding a weight to the input source I analyzed by the analysis part 200. The noise level can be classified into A correction (dBA, blue), B correction (dBB, yellow) and C correction (dBC, red) according to the weight. That is, the noise level dBA here is according to the A correction.

센싱부(100)는 기계적으로 음압을 측정한다. 즉, 센싱부(100)는 특정 주파수와 진폭을 가지는 소리를 측정할 수 있다. 소리의 세기는 주파수가 클수록 커진다. 그러나, 사람은 주파수가 1000Hz에서 민감도 높고, 주파수가 작을수록 무뎌진다. 즉, 사람은 주파수에 따라서 들을 수 있는 감도가 달라진다. 이를 반영하여 주파수 마다 센싱부(100)에서 측정된 값에 가중치를 더한 소음 레벨(dBA)을 산출한다. 따라서, 소음 레벨(dBA)을 이용하면, 사람에게 실질적으로 소음으로 느껴지는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00 mechanically measures the sound pressure. That is, the sensing unit 100 may measure sound having a specific frequency and amplitude. The loudness of the sound increases as the frequency increases. However, humans are more sensitive at a frequency of 1000 Hz, and become dull as the frequency decreases. In other words, the sensitivity that a person can hear varies depending on the frequency. Reflecting this, a noise level dBA obtained by adding a weight to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100 for each frequency is calculated. Therefore, by using the noise level dBA,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noise source N, which is substantially felt to a person as noise.

노이즈 추출부(300)는 다른 실시 예로 소음 레벨(dBA)을 이용하여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 즉,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I)를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할 수 있다. 소음 레벨(dBA)의 설정에 관한 설명은 위 주파수 특성 설정에 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애견의 짖음이나, 하울링의 경우 소음 레벨(dBA)이 60 dBA 이상 90 dBA 이하로 측정된다. 따라서, 노이즈 소스(N) 추출을 위해, 소음 레벨(dBA)은 사전에 60 dBA 이상 90 dBA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위 소음 레벨(dBA) 구간은 사람에게 불쾌감 및 고통을 주는 정도이다.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may extract the noise source N using the noise level dBA as another embodiment. That is,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may extract the input source I included in the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as the noise source N. For a description of the setting of the noise level (dBA),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frequency characteristic sett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barking or howling of a dog, the noise level (dBA) is measured to be 60 dBA or more and 90 dBA or less. Therefore, in order to extract the noise source (N), the noise level (dBA) may be previously set to 60 dBA or more and 90 dBA or less. The gastric noise level (dBA) is the level of discomfort and pain in a pers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는 설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700)는 주파수 특성 범위(값) 및 소음 레벨(dBA)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부(700)는 사전에 주파수 특성 범위(값)을 1개 또는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700)는 사전에 소음 레벨(dBA)을 1개 또는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노이즈 추출부(300)는 설정부(700)의 설정에 따라 노이즈 소스(N)를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pparatus 10 for reducing animal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tting unit 700. The setting unit 700 may set at least one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value) and a noise level dBA. For example, the setting unit 700 may set one or more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s (values) in advance. Also, the setting unit 700 may set one or more noise levels dBA in advance. The noise extraction unit 300 may extract the noise source N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setting unit 70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물 소음 저감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300)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shown in FIG. 1 to be.

도 1, 5 및 6을 참조하면, 센싱부(100)는 동물의 짖음, 하울링 등으로 인한 입력 소스(I)를 감지한다(S110). 분석부(2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S120). 노이즈 추출부(300)는 입력 소스(I)에 포함된 다수의 주파수 성분 중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130). 예컨대,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들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220, S230). 포함되지 않는 주파수 성분은 일상 잡음 등으로 판단되어 추출하지 않는다.1, 5, and 6, the sensing unit 100 detects an input source I due to barking or howling of an animal (S110). The analysis unit 200 analyz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ource I (S120). The noise extraction unit 300 extracts a frequency component included in a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value) from among a plurality of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put source I as the noise source N (S130). For example,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extracts frequency components included in the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value) as the noise source N (S220 and S230). Frequency components that are not included are determined as everyday noise and are not extracted.

생성부(400)는 노이즈 소스(N) 파형에 대응하여 반전된 파형을 가지는 안티 노이즈 소스(N)를 생성한다(S140). 출력부(500)는 안티 노이즈 소스(N)를 출력하여 노이즈 소스(N)를 상쇄시킨다(S150).The generator 400 generates an anti-noise source N having an inverted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noise source N waveform (S140). The output unit 500 outputs the anti-noise source N to cancel the noise source N (S150).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300)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noise extraction unit 300 shown in FIG. 6.

도 3 및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분석부(200)에서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이 입력되면(S310), 청감 보정 회로부(600)는 소음 레벨(dBA)을 산출한다(S320). 노이즈 추출부(300)는 산출된 소음 레벨(Dba)이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노이즈 추출부(300)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성분들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340).3 and 7,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input source I is input from the analysis unit 200 (S310), the auditory correction circuit unit 600 calculates the noise level dBA (S320). ).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noise level Dba is included in the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value) (S330).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extract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source I included in the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value) as the noise source N (S340).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노이즈 추출부(300)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FIG. 8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shown in FIG. 6.

도 3및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분석부(200)에서 입력 소스(I)의 주파수 특성이 입력되면(S410), 청감 보정 회로부(600)는 주파수 특성에 가중치를 더하여 소음 레벨(dBA)를 산출한다(S430). 노이즈 추출부(300)는 입력된 주파수 특성이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에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또한, 노이즈 추출부(300)는 산출된 소음 레벨(dBA)이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 여부를 판단한다(S440). 노이즈 추출부(300)는 입력 소스(I)의 주파수 성분 중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값) 및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값)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을 노이즈 소스(N)로 추출한다(S450). 이로써, 입력 소스(I) 중 동물의 짖음 등으로 발생하고, 사람에게 소음(스트레스)으로 인식되는 노이즈 소스(N) 만을 효과적이고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다.3 and 8,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input source I is input from the analysis unit 200 (S410), the auditory correction circuit unit 600 adds a weight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to determine the noise level (dBA). ) Is calculated (S430).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frequency characteristic is included in a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value) (S420). In addition, the noise extraction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noise level dBA is included in the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value) (S440). The noise extracting unit 300 extracts a frequency component included in a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value) and a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value) among the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nput source I as the noise source N. (S450). As a result, only the noise source N, which is generated by the barking of an animal, among the input sources I, and is recognized as noise (stress) by humans, can be effectively and accurately extrac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동물 소음 저감 장치
100 : 센싱부
200 : 분석부
300 : 노이즈 추출부
400 : 생성부
500 : 출력부
600 : 청감 보정 회로부
700 : 설정부
I : 입력 소스
N : 노이즈 소스
AN : 안티 노이즈 소스
10: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100: sensing unit
200: analysis unit
300: noise extraction unit
400: generation unit
500: output
600: hearing correction circuit part
700: setting unit
I: input source
N: noise source
AN: Anti-noise source

Claims (10)

노이즈 소스를 포함하는 입력 소스를 감지하는 센싱부;
입력 소스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주파수 특성을 기초로 입력 소스에서 노이즈 소스를 추출하는 노이즈 추출부;
노이즈 소스를 상쇄하는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안티 노이즈 소스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A sensing unit detecting an input source including a noise source;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ource;
A nois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noise source from an input source based on a frequency characteristic;
A generator that generates an anti-noise source that cancels the noise source; And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includ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nti-noise 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주파수 특성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extraction unit is an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that extracts an input source included in a preset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as a noise source.
청구항 2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은 적어도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ncludes at least the amplitude and frequency of the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 소스에 가중치를 더한 소음 레벨(dBA)을 산출하는 청감 보정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노이즈 추출부는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에 포함되는 입력 소스를 노이즈 소스로 추출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ring correction circuit for calculating a noise level (dBA) obtained by adding a weight to the input source,
The noise extraction unit is an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that extracts an input source included in a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as a noise source.
청구항 4에 있어서,
기 설정된 소음 레벨(dBA) 범위는 60dBA이상 90 dBA 이하인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with a preset noise level (dBA) range of 60 dBA or more and 90 dBA or less.
청구항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주파수 특성 범위 또는 소음 레벨(dBA)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tting unit for set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range or a noise level (dBA).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센싱부는 마이크로폰 및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imal noise reduction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ensing unit and a microphone and a vibration sensor.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생성부는 Filtered-x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티 노이즈 소스를 생성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enerator is an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that generates an anti-noise source using a Filtered-x LMS (Least Mean Square) algorithm.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분석부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nalysis unit is an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that analyzes frequency characteristics using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algorithm.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노이즈 소스는 동물의 짖음 또는 하울링으로 발생하는 동물 소음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oise source is an animal noise reduction device that is caused by barking or howling of animals.
KR1020190048406A 2019-04-25 2019-04-25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KR102194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06A KR102194796B1 (en) 2019-04-25 2019-04-25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PCT/KR2020/005515 WO2020218905A1 (en) 2019-04-25 2020-04-27 Pet noise reduction device, and collar equipment for pet noise reduction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06A KR102194796B1 (en) 2019-04-25 2019-04-25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27A true KR20200124927A (en) 2020-11-04
KR102194796B1 KR102194796B1 (en) 2020-12-23

Family

ID=7357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406A KR102194796B1 (en) 2019-04-25 2019-04-25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79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82A1 (en)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noise sensing module
US11924597B2 (en) 2020-11-06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ise detection circuitr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237A (en) * 2006-11-13 2008-05-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ter circuit for noise cancellation, noise reduction signal production method and noise canceling system
KR20110014283A (en) * 2009-08-05 2011-02-11 신수현 Built-in bark controller for wireless device
KR20160014438A (en) 2014-07-29 2016-02-11 엄윤주 Apparatus for Removing Pet noise
KR101721386B1 (en) * 2016-12-07 2017-03-30 송수한 Automatic feeding movable apparatus, care robot for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59684A (en) * 2016-11-26 2018-06-05 홍동현 Necklace to eliminate noise of dog bark using noise cancellation
KR20180101777A (en) * 2017-03-06 2018-09-14 주식회사 씨앤디마이크로 Bark Control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237A (en) * 2006-11-13 2008-05-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ter circuit for noise cancellation, noise reduction signal production method and noise canceling system
KR20110014283A (en) * 2009-08-05 2011-02-11 신수현 Built-in bark controller for wireless device
KR20160014438A (en) 2014-07-29 2016-02-11 엄윤주 Apparatus for Removing Pet noise
KR20180059684A (en) * 2016-11-26 2018-06-05 홍동현 Necklace to eliminate noise of dog bark using noise cancellation
KR101721386B1 (en) * 2016-12-07 2017-03-30 송수한 Automatic feeding movable apparatus, care robot for companion animal,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01777A (en) * 2017-03-06 2018-09-14 주식회사 씨앤디마이크로 Bark Control Device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82A1 (en)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noise sensing module
US11924597B2 (en) 2020-11-06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ise detection circui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796B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140B2 (en) Headphone off-ear detection
Heffner et al. Hearing ranges of laboratory animals
Roian Egnor et al. Noise‐induced vocal modulation in cotton‐top tamarins (Saguinus oedipus)
Finneran et al. Effects of fatiguing tone frequency on temporary threshold shift in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truncatus)
KR102194796B1 (en) The apparatus for decreasing animal's noise
Feng et al. Noseleaf dynamics during pulse emission in horseshoe bats
Machens et al. Representation of acoustic communication signals by insect auditory receptor neurons
MX20140115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erceived quality of sound reproduction by combin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and perceptual noise compensation.
Morris-Drake et al. Anthropogenic noise alters dwarf mongoose responses to heterospecific alarm calls
WO2013169453A3 (en) Frequency and direction-dependent ambient sound handling in personal audio devices having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KR102162588B1 (en) The necklace apparatus for decresing pet's noise
Kugler et al. Low-frequency sound affects active micromechanics in the human inner ear
Grabarczyk et al. Anthropogenic noise affects male house wren response to but not detection of territorial intruders
Tougaard et al. Why is auditory frequency weighting so important in regulation of underwater noise?
CN103874001B (en) The method of the output translator of hearing instrument and identification hearing instrument
Nachtigall et al. Conditioned hearing sensitivity reduction in a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US114063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motional state of pet
Aubin et al. Mother vocal recognition in Antarctic fur seal Arctocephalus gazella pups: a two-step process
Reichmuth et al. Underwater hearing in California sea lions (Zalophus californianus): Expansion and interpretation of existing data
Stritih et al. The role of frequency in vibrational communication of Orthoptera
MX2021006078A (en) Method for monitoring a livestock facility and/or livestock animals in a livestock facility using improved sound processing techniques.
Kastelein et al. Temporary Hearing Threshold Shift in Harbor Porpoises (Phocoena phocoena) Due to One-Sixth Octave Noise Band at 16 kHz.
Reichmuth et al. Low-frequency temporary threshold shift not observed in spotted or ringed seals exposed to single air gun impulses
Ruser et al. In-air evoked potential audiometry of grey seals (Halichoerus grypus) from the North and Baltic Seas
Nachtigall et al. Learning and extinction of conditioned hearing sensation change in the beluga whale (Delphinapterus leuc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