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189A -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 Google Patents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89A
KR20200124189A KR1020200134954A KR20200134954A KR20200124189A KR 20200124189 A KR20200124189 A KR 20200124189A KR 1020200134954 A KR1020200134954 A KR 1020200134954A KR 20200134954 A KR20200134954 A KR 20200134954A KR 20200124189 A KR20200124189 A KR 20200124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input module
touch input
signa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257B1 (ko
Inventor
이주협
Original Assignee
이주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1522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50599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협 filed Critical 이주협
Priority to KR102020013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2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선택이 실시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터치입력모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소정 거리 이격된 각각의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감지부의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에 대한 선택 수단의 선택이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영역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실시되도록 구비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는 터치 실행 장치가 제시된다.
이에 의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 이상의 지시위치나 감지영역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의 직관적 선택에 의하여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상기 데이터 실행을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TOUCH EXECUTION DEVICE USING A THUMB}
본 발명은 터치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시에 상기 선택 수단의 접촉을 감지하여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을 포함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선택부에서 실시되고, 상기 선택 시의 접촉 감지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구비된 터치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등에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을 수행하도록 하는 터치 실행 장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터치 실행 장치를 제공하는 공급자들은, 상기 터치 실행 장치의 사용성, 편리성, 산업상 이용성 등에 대한 업그레이드에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실행 장치의 제품 완성도를 더욱 높이는 한편,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나 상기 전자기기를 차별화시키는 터치 실행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777653호(등록일 2007년11월13일) '문자입력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누름스위치와 접촉스위치가 일체로 구비되는 입력스위치가 n×m 행렬로 배열되며, 인접한 4개의 입력스위치가 하나의 단위셀로 할당되고, 서로 인접한 단위셀의 경계선상의 입력스위치가 서로 공유되도록 하여 단위셀이 (n-1)×(m-1)의 행렬로 할당된 구성이다.
즉, 상기 특허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는, 상기 단위셀 내의 대각방향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입력스위치에 동시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접촉스위치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접촉된 입력스위치를 포함하는 단위셀이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단위셀을 이루는 어느 하나의 입력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의해 누름스위치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활성화된 단위셀 내의 입력스위치에 할당된 킷값이 입력되며, 상기 접촉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활성화된 단위셀은 입력스위치를 공유하는 인접 단위셀이 활성되기 이전까지 단위셀의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특허 발명에 의하면, 상기 문자입력장치에서는 입력스위치를 포함하는 단위셀을 활성화시키는 단계가 포함된 최소한 두 단계의 미리 설정된 선택 절차를 거쳐야지만 데이터 입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문자입력장치에서는 데이터 입력을 빠르게 할 수 없고, 연속적 데이터 입력이나 다양한 데이터 입력의 수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플레이트 상에 누름스위치와 접촉스위치가 일체로 구비되는 입력스위치가 n×m 행렬로 배열된 구조이다.
즉, 상기 n×m 행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입력스위치들은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기준으로 상기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조가 아니다.
이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입력스위치들은 상기 플레이트에 위치하는 하나의 손가락에 직관적으로 인식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장치에서 상기 n×m 행렬로 배열된 다수개의 입력스위치들의 각 입력스위치는 누름스위치와 접촉스위치가 일체로 구비된 구조이다.
즉, 상기 문자입력장치에서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과 메뉴 변경, 모드 전환 또는 키보드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오타없이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장치에 구비된 상기 다수개의 입력스위치들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과 상기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거나 두 개 이상의 작업을 혼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상기 손가락에 피로가 축적되어 상기 손가락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994362호(등록일 2010년11월09일) '데이터 입력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입력장치이다.
즉,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감지영역에서 위치 변위 가능한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시위치에 대한 접촉 또는 가압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상기 접촉 또는 가압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접촉, 가압지점 또는 가압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기준위치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1외향이동입력과, 상기 기준위치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외향으로 이동하는 제2외향이동입력과,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는 제1내향이동입력 및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에 접촉하기 전까지 내향으로 이동하는 제2내향이동입력을 구분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특허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입력부에서 실시하는 선택에 의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을 포함하는 데이터 실행에 있어서, 상기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시위치에 대한 접촉 또는 가압을 구분해서 상기 선택을 실시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선택에서 상기 4개의 선택 동작들(상기 제1외향이동입력, 상기 제2외향이동입력, 상기 제1내향이동입력 및 상기 제2내향이동입력)을 각각 구분해서 실시할 수 있도록 별도로 학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택에서 상기 4개의 선택 동작들 중 2개 이상의 선택 동작을 하나의 손가락으로 연속적으로 실시하거나 반복적으로 혼용하여 실시하게 되는 경우, 상기 선택 동작에 의하여 손가락의 집중력이 저하되고, 상기 데이터 실행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한편 오타율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선택 동작에서 사용자의 높은 집중력이 요구되므로, 상기 2개 이상의 선택 동작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실행에서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증폭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대응하는 영역 이내에서 실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선택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되는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이 상기 손가락의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일측 선택 위치와 타측 선택 위치로 각각 인식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의 사이 선택에 상응하는 위치로 인식되고; 상기 선택 시 상기 인식된 상기 선택 위치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의 직관적 선택으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터치 실행 장치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777653호(등록일 2007년11월13일)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0994362호(등록일 2010년11월09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대응하는 영역 이내에서 실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선택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되는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이 상기 손가락의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 내의 서로 다른 일측 선택 위치와 타측 선택 위치로 각각 인식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의 사이 선택에 상응하는 위치로 인식되고; 상기 선택 시 상기 인식된 상기 선택 위치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의 직관적 선택으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터치 실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손가락을 포함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선택부에서 실시되고, 상기 선택 시의 접촉 감지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구비된 터치 실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이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실시되도록 구비된 선택부 및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소정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선택 시에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영역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제1 감지영역과 제2 감지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기준위치인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의 기준위치인 제2 지시위치가 상기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함께 접촉되는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의 하나의 축 상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선택부의 일측 선택 위치와 타측 선택 위치로 각각 인식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대한 상기 엄지손가락의 선택에 함께 대응하는 상기 사이 선택 상응 위치로 인식되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2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이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설정되며;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가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의 생성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에 접촉된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의 외측에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2 신호의 생성에서,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에 접촉된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시위치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의 생성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함께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각각 대응하거나 함께 대응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선택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선택에서 상기 엄지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상기 제1 지시위치는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소정의 제어부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1 지시위치가 포함된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생성시킨 신호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고; 또는 상기 선택에서 상기 엄지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상기 제2 지시위치는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태이면,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2 지시위치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생성시킨 신호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부위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선택부의 표면에서 깊이방향으로 소정의 단차를 갖는 요부(凹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부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정 위치가 돌기, 홈, 라인 또는 요철(凹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의 일측, 상기 선택부의 타측 또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대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선택 횟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인 제3 신호가 연속 생성된 복수개의 제1 신호들, 복수개의 제2 신호들 또는 복수개의 제3 신호들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상기 기준값 이내면, 소정의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을 상기 신호들의 각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로 처리하고;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을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제3 신호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해서 생성된 복수개의 제1 신호들, 복수개의 제2 신호들 또는 복수개의 제3 신호들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로 구비되고,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세로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터치입력모듈과 제2 터치입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사이에 하나의 참조선이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소정의 제어부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지시위치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일 지점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일 지점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가로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터치입력모듈과 제2 터치입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사이에 하나의 참조선이 세로방향으로 위치하고;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소정의 제어부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손가락을 포함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선택부에서 실시되고, 상기 선택 시의 접촉 감지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구비된 터치 실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이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실시되도록 구비된 선택부 및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소정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선택 시에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영역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제1 감지영역과 제2 감지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기준위치인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의 기준위치인 제2 지시위치가 상기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함께 접촉되는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의 하나의 축 상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선택부의 일측 선택 위치와 타측 선택 위치로 각각 인식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대한 상기 엄지손가락의 선택에 함께 대응하는 상기 사이 선택 상응 위치로 인식되고;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 사이에 소정 크기의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감지영역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2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에 접촉된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중앙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이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중앙영역의 상기 접촉에서 생성된 중앙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설정되며;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가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 또는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신호들이 생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생성시킨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중앙 신호 중 상기 제1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고; 또는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생성시킨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중앙 신호 중 상기 제2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고; 또는 상기 제1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중앙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생성시킨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중앙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중앙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평면부위, 오목부위 또는 볼록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이 실시되는 선택 위치를 식별하도록 보조하는 보조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수단은 돌기, 홈, 라인, 형상, 패턴, 색상, 음영, 음향 또는 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나의 터치입력모듈과 다른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밴드형, 착탈형 또는 가변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선택부가 디스플레이부 또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터치입력모듈, 상기 터치 실행 장치 또는 상기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소정 형상의 인터페이스 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에서 상기 선택이 실시되고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상기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착탈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 수단에는 착탈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착탈부재는 돌기, 홈, 슬롯, 가이드, 걸쇠, 홀더, 고리, 밴드, 벨크로 또는 반복적 피드백 성질을 갖는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에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나 상기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의 전달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택부가 복수개의 선택부들로 구비되고, 상기 선택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 실행 장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대응하는 영역 이내에서 실시되도록 하는 선택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서로 다른 2개의 감지영역들(제1 감지영역, 제2 감지영역)이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각각 대응하거나 함께 대응하도록 상기 감지영역들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의 하나의 축 상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선택부에서 실시되는 선택에 대응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는 상기 2개의 감지영역들이 상기 감지영역들의 중앙을 중심으로 접촉하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서로 다른 3개의 선택 위치들(상기 선택부의 일측 선택 위치, 상기 선택부의 타측 선택 위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의 사이 선택 상응 위치)로 인식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의하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는, 상기 선택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영역들에 대하여 각각 1회씩 실시하는 세 번의 상기 선택 동작에 의하여 서로 다른 3개의 데이터 입력이 각각 수행되고; 상기 선택 시 상기 인식된 상기 선택 위치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의 직관적 선택에 의하여,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기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의 각 기준위치가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기준으로 상기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므로, 두 번 이상 반복적으로 실시되는 서로 다른 각 경우의 독립적 선택이나 연속적 선택 동작에서 상기 손가락의 오타 발생 빈도가 낮아지거나 상기 손가락의 피로 누적 또는 스트레스 발생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장치를 휴대하거나 파지하거나 착용한 상태, 이동 중인 상태 또는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각 기준위치 또는 상기 기준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감지영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별도의 학습없이 자연스럽게 하나의 손가락의 익숙한 선택 동작으로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기기, 가변형기기, 사물인터넷기기, 복합기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에 적용하거나 상기 전자기기에 착탈식 또는 휴대형 액세서리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디바이스 구성의 기회나 더욱 향상된 데이터 실행의 사용자 환경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터치 실행 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 실행 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실행의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실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모듈의 구성,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와 다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모듈의 구성,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과 연결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모듈의 다양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영역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의 구성,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실시되는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를 설명하기 위치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터치입력모듈들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의 구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도 4 또는 도 5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모듈의 구성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도 9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영역의 다양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 또는 터치 실행 장치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실행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지영역은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시 상기 선택 수단의 접촉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소정 크기의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접촉대응영역 또는 접촉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기 감지영역 중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시에 상기 선택 수단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선택 수단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감지영역의 전체가 상기 접촉대응영역에 해당될 수도 있고, 상기 감지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접촉대응영역에 해당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대응영역에는 상기 감지영역의 기준위치인 지시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부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실시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선택부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 또는 상기 감지영역 이상의 소정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 '선택하다' 또는 '선택이 실시되다'는 '선택 수단이 상기 감지영역에 접촉되도록 하다' 또는 '선택 수단을 상기 감지영역에 접촉시키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하다' 또는 '위치시키다'는 '지정한 위치에 존재하다' 또는 '지정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다'라는 의미가 포함되고, 발명의 구성에 따라서 '지정한 위치에 형성되다' 또는 '지정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다'라는 의미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 수단에는 손가락, 보조 수단 등이 포함된다. 상기 선택 수단에는 상기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이 적합하다. 즉, 상기 선택부에서 실시되는 손가락에 의한 선택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의 습관에 따른 다양한 선택 동작이나 선택 방향을 고려하더라도, 상기 선택은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단에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골무 형태가 포함된 다양한 형태의 터치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선택 동작'은 '상기 감지영역의 기준위치인 지시위치 또는 상기 감지영역에 대하여 실시하는 선택 수단의 선택 행위' 또는 '상기 지시위치 또는 상기 감지영역에 대하여 실시하는 선택 수단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상기 선택 동작에는 터치하다(touch), 누르다(press), 두드리다(tab), 기울이다(tilt), 굴리다(roll), 미끄러지다(slide), 끌다(drag), 밀다(push) 또는 당기다(pull)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 실행은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으로 생성되는 소정의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하여 상기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에는 이벤트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포함된다. 상기 이벤트에는 상술한 선택 또는 선택 동작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기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복합 신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기적 신호는 소정의 단자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기적 신호에 해당되는 전달 신호가 상기 단자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자공학의 기술을 이용하거나 응용하여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만든 모든 전기 및 전자제품의 총칭이다. 상기 전자기기에는 컴퓨터기기, 음향기기, 영상기기, 정보기기, 통신기기, 정보통신기기, 게임기기, 유선기기, 무선기기, 동영상기기, 웨어러블기기, 사물인터넷기기, 가변형기기, 복합기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의 구성에는 각종 단말기, 주변기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유닛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터치 실행 장치(1)의 일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실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60)과 메모리부(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은 손가락(600)을 포함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실시되는 선택부(100)와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소정의 신호(S)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부(100)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실시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상부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선택부는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의 지문(610)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소정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부는 상기 감지부에 형성된 감지영역(210)과 단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는 소정의 형상이나 패턴으로 가변되거나, 상기 가변된 형상이나 패턴에서 상기 가변 전으로 복귀되거나, 상기 가변 및 복귀가 반복 가능한 가변식 하드웨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부는 상기 가변식이 아닌 비가변식 하드웨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에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는 글라스, 필름, 합성수지, 복합부재, 가변식부재 또는 반복적 피드백 성질을 갖는 탄성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0)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선택부의 형태와 상응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서 선택 수단의 접촉을 감지하고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는 터치 센서는 소정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하나의 패턴 또는 복수개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센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격자 형태나 마름모 형태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필름 형태, 글라스 형태, 디스플레이 일체 형태, 메탈 메시 형태, 실버 나노 와이어 형태, 탄소 나노 튜브 형태, 그래핀 형태, 복합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에는 상기 선택 수단의 접촉 방향, 접촉 강도 또는 접촉 압력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촉각압력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00)는 소정의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신호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실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정의 실행 명령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소정 단위의 메뉴별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는 수 개의 데이터 세트로 구분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실행에는 데이터 입력이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으로 데이터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 또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다'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의 객체에는 문자, 숫자, 기호, 특수 문자, 특수 기호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는 세계 각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실행에는 데이터 컨트롤이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 컨트롤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으로 소정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하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으로 소정의 하드웨어와 연동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다'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에는 키보드 기능, 마우스 기능, 정보통신 기능, 검색 기능, 플레이 기능, 모션 기능, 설정 기능 등이 포함된다. 상기 키보드 기능 또는 마우스 기능에는 모드(mode), 엔터(enter), 스페이스(space), 에프(F, fuction), 이에스시(esc), 백(back), 쉬프트(shift), 컨트롤(ctrl), 알트(alt), 탭(tab), 캡스락(caps lock), 홈(home), 삭제(del), 페이지(page), 캡처(capture), 포인팅(pointing), 클릭(click), 스크롤(scroll), 드래그(drag), 콜(call), 줌(zoom), 방향(direction), 속도(speed), 전환(change), 복귀(return)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팅 객체에는 인터넷, 문서, 메뉴창이나 팝업창이 포함되는 표시부, 프로그램, 응용 소프트웨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통신 기능에는 전화, 연락처, 메시지, 메모, 시계, 인터넷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검색 기능에는 구글링, 문서, 파일, 메뉴, 컨텐츠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 기능에는 음악, 동영상, 음성, 음향, 방송, 영화, 게임, 캐릭터, 카메라, 이미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모션 기능에는 시작, 전진, 후진, 일시정지, 정지, 상승, 하강, 기울임, 휨, 회전, 점프, 리턴, 지그재그, 요철(凹凸), 모션컨트롤(motion contol), 리모트컨트롤(remote control) 등의 움직임 제어, 방향 제어, 가변방향 제어 또는 원격 제어 기능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설정 기능에는 사용자 환경, 옵션, 기호, 예약 등이 포함된다. 상기한 데이터 입력의 객체와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구성 요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된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에 할당된 상기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데이터 컨트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여 처리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이하 다양한 실시의 예들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 실행 장치(1)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실행의 수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실행 장치는 디스플레이부(500) 또는 표시부(510)가 구비된 전자기기(700)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실행 장치에 구비된 터치입력모듈(60)의 상부에 하나의 손가락(600)을 위치시키고,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지시위치와 제2 지시위치를 각각 포함하는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에 대하여 실시하는 상기 손가락의 선택으로 데이터 실행을 수행하는 일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60)이 구비된 터치 실행 장치(1)를 이용하여, 전자기기(700)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560) 또는 소정의 표시부(510)에 디스플레이된 객체(560)를 독립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 실행 장치(1)에서 하나 이상의 지시위치나 감지영역에 대하여 실시하는 하나의 손가락(600)의 선택에 의하여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실행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은 선택부(100)와 감지부(2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200)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는 소정 크기의 감지영역(21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도 3의 a 및 d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감지영역에는 상기 일측의 기준위치인 P1이 위치하고,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감지영역에는 상기 타측의 기준위치인 P2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상기 P1과 상기 P2는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의 지문(610)에 상응하는 범위 내의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마주보는 형태가 상기 P1과 상기 P2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의 a 및 d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P1과 상기 P2는 선택부(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위치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의 지문(610)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P1과 상기 P2는 상기 선택부 내의 일 방향의 하나의 축 상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선택부의 일측 선택 위치와 타측 선택 위치로 각각 인식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대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의 선택에 함께 대응하는 상기 사이 선택 상응 위치로 인식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실질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선택 위치(P1, P2 또는 P1과 P2 사이)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600)의 직관적 선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에서, 상기 선택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선택부의 일측, 상기 선택부의 타측 또는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 사이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600)의 직관적 선택으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b 내지 c를 참조하여, 상기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의 지문(610)에 상응하는 범위는 상기 지문 전체의 표시 영역이다.
즉, 상기 지문 전체의 표시 영역은, 상기 엄지손가락 말단부의 지문(610)을 소정의 기준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지문의 일측 끝에서 타측 끝까지 굴림이동으로 지문을 찍었을 때, 상기 기준면에 접촉되어 나타나는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b 내지 c와 같이, 터치입력모듈(60)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이 선택부(100)에 위치하면, 상기 손가락의 지문(610)이 접촉되는 상기 선택부의 영역 중, 상기 접촉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는 감지영역(210)의 대응 영역에 해당되는 선택대응영역(630)이 상기 선택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모듈(60)의 구성,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감지부(200)에 구비되는 감지영역(210)은 하나의 손가락(600)의 접촉면에 대응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제1 감지영역(211)과 제2 감지영역(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영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각각 대응하거나 함께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터치입력모듈(60)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211)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시위치(P1)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영역이고,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시위치(P2)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영역이다. 상기 선택은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선택 수단의 접촉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지시위치가 위치되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시위치는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선택 수단의 접촉면의 위치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접촉면의 중앙에서 벗어나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211)의 기준위치인 제1 지시위치(P1) 및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의 기준위치인 제2 지시위치(P2)가 상기 엄지손가락의 지문(610)에 함께 접촉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터치입력모듈(60) 구성의 특성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제1 지시위치(P1) 및 상기 제2 지시위치(P2)는 상기 선택부 내의 일 방향의 하나의 축 상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선택부의 일측 선택 위치와 타측 선택 위치로 각각 인식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대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의 선택에 함께 대응하는 상기 사이 선택 상응 위치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상기 특성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으로 상기 인식된 3개의 선택 위치들(상기 선택부의 일측, 상기 선택부의 타측,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 사이)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600)의 직관적 선택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선택부의 일측의 선택 위치인 상기 제1 지시위치(P1)를 중심으로 실시되면(SP1), 상기 선택 시 상기 제1 감지영역(211)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S1)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S1)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300)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에 설정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도 4의 c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S1)의 생성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211)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시위치(P1)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221)에 접촉된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의 외측에 상기 제2 지시위치(P2)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에서, 상기 손가락은 상기 손가락의 지문(610)의 중앙을 세로로 지나는 지문중앙선(620)이 상기 제1 지시위치(P1)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지시위치(P1)에 근접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영역(211)의 전체가 상기 제1 영역(221)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의 위치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시위치(P1)가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S1)의 신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제 1신호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제 1신호에 할당된 데이터가 컨트롤되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해당되는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3의 a 및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신호 S1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전화'이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제1 신호 S1에 해당되는 상기 정보통신 기능의 전화 데이터 또는 상기 전화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전화'에 관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전화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호출 리스팅(Call Listing)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선택부의 타측의 선택 위치인 상기 제2 지시위치(P2)를 중심으로 실시되면(SP2), 상기 선택 시 상기 제2 감지영역(212)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S2)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S2)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300)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에 설정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도 4의 d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2 신호(S2)의 생성에서,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시위치(P2)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222)에 접촉된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시위치(P1)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도 4의 b 및 d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에서, 상기 손가락은 상기 손가락의 지문(610)의 중앙을 세로로 지나는 지문중앙선(620)이 상기 제2 지시위치(P2)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지시위치(P2)에 근접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의 전체가 상기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의 위치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외측에 상기 제2 지시위치(P2)가 위치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S2)의 신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제 2신호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제 2신호에 할당된 데이터가 컨트롤되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해당되는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3의 a 및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신호 S2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메시지'이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제2 신호 S2에 해당되는 상기 정보통신 기능의 메시지 데이터 또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메시지'에 관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에스엔에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 4의 c 및 d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 구성의 특성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상기 선택부의 일측 및 타측 사이의 선택 위치인 상기 제1 지시위치(P1)와 상기 제2 지시위치(P2) 사이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의 직관적 선택으로 더욱 자연스럽게 실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선택부의 일측 및 타측 사이의 선택 위치인 상기 제1 지시위치(P1)와 상기 제2 지시위치(P2) 사이를 중심으로 실시되면(SP12),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영역(221) 및 상기 제2 영역(222)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P1) 및 상기 제2 지시위치(P2)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이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S1 또는 상기 S2와 다른 S12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S12)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300)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에 설정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도 4의 e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의 생성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의(211)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시위치(P1)와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시위치(P2)가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함께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b 및 e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에서, 상기 손가락은 상기 손가락의 지문(610)의 중앙을 세로로 지나는 지문중앙선(620)이 상기 제1 지시위치(P1)와 상기 제2 지시위치(P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상기 중앙에 근접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도 4의 e와 같이 실시되는 경우,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 및 제2 감지영역(212) 전체가 상기 제1 영역(221) 및 상기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선택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의 신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신호 S12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신호 S12에 할당된 데이터가 컨트롤되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해당되는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3의 b 및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연락처'이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신호 S12에 해당되는 상기 정보통신 기능의 연락처 데이터 또는 상기 연락처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연락처'에 관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연락처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키워드 리스팅(Keyword Listing)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도 4의 c와 d와 e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은,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의 지문(610)이 접촉하는 영역 내의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에 위치한 하나의 지시위치(P1)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지시위치(P2)를 기초로 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중 상기 지시위치(P1, P2)에 대하여 한 번 실시되는 각 경우의 선택(SP1, SP2, SP12)에서 서로 다른 세 개의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키, 버튼, 스위치 등의 하드웨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은 상기 터치입력모듈 구성의 특성에 의하여 상술한 도 4의 c 내지 e의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a 또는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상기 손가락에 선택되고, 상기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가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S1)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도 5의 a 또는 d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상기 제1 영역(221)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선택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가 상기 손가락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또는,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 및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선택되고, 상기 선택에 의해 상기 감지영역 중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영역(221)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영역(222)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지시위치(P1)는 포함되고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지시위치(P2)가 제외된 상태이면,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영역(221)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영역(222)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소정의 제어부(400)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1 지시위치(P1)가 포함된 상기 제1 영역에(221)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생성시킨 신호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신호(S1)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상기 손가락에 선택되고, 상기 선택에 의해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가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S2)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도 5의 b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상기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601)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 및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선택되고, 상기 선택에 의해 상기 감지영역 중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영역(222) 및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영역(221)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지시위치(P2)는 포함되고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지시위치(P1)가 제외된 상태이면,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영역(222) 및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영역(221)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소정의 제어부(400)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2 지시위치(P2)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에(222)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생성시킨 신호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신호(S2)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은, 서로 다른 영역들(221, 222)에서 서로 다른 신호들(S1, S2)이 상기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 이내에 함께 생성되는 경우, 소정의 지시위치(P1 또는 P2)가 포함된 영역(221 또는 222)에서 생성된 신호(S1 또는 S2)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은 0.1초로 설정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복수의 신호들에 대한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을 적용하여 정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 또는 상기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은 상술한 내용에 해당되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 또는 상기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이 본 발명의 신호 처리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택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 또는 제2 지시위치(P2)가 상기 손가락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구비된 터치 실행 장치는 상기 선택에 의해 생성되는 소정의 신호(제1 신호(S1), 제2 신호(S2) 또는 새로운 하나의 신호 (S12))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하나의 손가락 선택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터치입력모듈 구성의 특성에 의하여, 상기 터치 실행 장치는 하나의 손가락(600)의 직관적 선택으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의 연속적 또는 반복적 선택에 의하여 상술한 제1 신호(S1), 제2 신호(S2) 또는 상기 제1 신호나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가 연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4의 c 내지 e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소정의 신호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의 선택 위치로 인식된 상기 선택부의 일측, 상기 선택부의 타측 또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600)의 선택 횟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신호(S1), 상기 제2 신호(S2)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인 제3 신호(S12)가 연속 또는 반복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부의 일측, 상기 선택부의 타측 또는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 사이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600)의 가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신호(S1), 상기 제2 신호(S2)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인 제3 신호(S12)가 연속 또는 반복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속 또는 반복 생성되는 신호들은 각각 복수개의 제1 신호들, 복수개의 제2 신호들 또는 복수개의 제3 신호들로 이루어지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신호들은 소정의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을 기준으로 하여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상기 기준값 이내면,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을 상기 신호들의 각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
또는,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을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제3 신호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 또는 반복해서 복수개로 생성된 제1 신호들(S1, S1, …), 제2 신호들(S2, S2, …) 또는 제3 신호들(S12, S12, …)로 처리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도 4의 c와 같이 제1 지시위치(P1)에 대하여 두 번 연속적으로 실시되면(SP1이 두 번 연속 실시됨), 상기 제1 지시위치가 포함된 제1 감지영역(211)이 상기 손가락에 두 번 연속 접촉되고, 상기 제1 감지영역 또는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두 개의 제1 신호들(S1, S1)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도 13의 a, 도 14의 a 및 도 15의 c를 참조하여, 상기 두 개의 제1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소정의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 이내면, 제어부(400)는 상기 두 개의 제1 신호들을 상기 신호들의 각 신호(S1)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제1 연속신호(S1-2)로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연속신호(S1-2)의 신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제1 연속신호(S1-2)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가 컨트롤되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해당되는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4의 a 및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연속신호 S1-2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숫자 '7'이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번 연속 선택에 의한 상기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S1-2)에 해당되는 상기 '7' 데이터 또는 상기 '7'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7'에 관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7'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깜빡거림(Flickering)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4의 c와 같이 SP1이 두 번 연속 실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제1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소정의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400)는 상기 두 개의 제1 신호들을 상기 제1 신호가 독립적으로 연속해서 생성된 두 개의 제1 신호들(S1, S1)로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제1 신호들(S1, S1)의 신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두 개의 제1 신호들(S1, S1)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가 컨트롤되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해당되는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3의 a 및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제1 신호들(S1, S1)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숫자 '1'과 또 하나의 숫자 '1', 즉 두 개의 연속적인 '1과 1'이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번 연속 선택에 의한 상기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S1, S1)에 해당되는 상기 두 개의 연속적인 '1과 1' 데이터 또는 상기 '1과 1'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1과 1'에 관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1과 1'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색상 변화(Color Changing)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소정의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0.1초로 설정할 수 있고 통상적인 연속신호들에 대한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을 적용하여 설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준값이 본 발명의 신호 처리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생성되는 소정의 신호에서, 제1 신호(S1), 제2 신호(S2),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인 제3 신호(S12)에 할당되는 데이터에는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손가락이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를 중심으로 소정 시간 이상 계속 위치하게 되면, 상기 손가락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신호 S12를 계속 생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소정 시간을 초과한 신호에 설정된 '무효기능'을 기초로 상기 신호 S12를 무효로 처리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손가락이 제1 지시위치(P1) 또는 제2 지시위치(P2)를 중심으로 소정 시간 이상 계속 위치하게 되면, 상기 손가락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신호 S1 또는 상기 신호 S2를 계속 생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소정 시간을 초과한 신호에 설정된 간편기능을 기초로 하여 상기 신호 S1 또는 상기 신호 S2에 해당되는 상기 간편기능의 데이터 실행을 수행하도록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간편기능에는 '메뉴', '모드', '단축', '리셋' 등이 포함된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하나 이상이 할당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과 연결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은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나의 터치입력모듈과 다른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밴드 형태, 가변 형태 또는 착탈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a 또는 b를 참조하여, 복수개로 구비된 터치입력모듈들(101, 102, 103, …)에서 가로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나의 터치입력모듈(101)과 다른 하나의 터치입력모듈(102 또는 103)은 하나 또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모듈들(101, 102, 103)과 상기 연결프레임(18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의 a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들과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프레임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들과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프레임의 표면에서 소정 높이의 단차를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들과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프레임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의 단차를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밴드 형태, 가변 형태 또는 착탈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 형태에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지거나 반복적 피드백 성질을 갖는 플렉시블 가변 형태, 소정의 요철(凹凸) 형상의 단차를 갖는 단차 가변 형태 또는 탄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되거나 복귀되는 탄성 가변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 형태에는 사용자의 소정 부위와 착탈되게 하는 착탈부재 또는 상기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착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재는 밴드, 고리, 걸쇠, 가이드, 벨크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모듈(60)의 다양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평면부위, 오목부위 또는 볼록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사각형, 타원형, 원형, 마름모형 또는 다각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형상을 갖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모서리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소정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소정의 형상이나 패턴으로 가변되거나, 상기 가변된 형상이나 패턴에서 상기 가변 전으로 복귀되거나, 상기 가변 및 복귀가 반복 가능한 가변식 형태 또는 상기 가변식이 아닌 비가변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기준위치나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기준위치나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일 방향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대칭이나 비대칭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는 선택 수단의 선택이 실시되는 선택 위치를 식별되도록 보조하는 보조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단에는 돌기, 홈, 라인, 형상, 패턴, 색상, 음영, 음향 또는 조명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7의 a 또는 도 8의 a와 같이 평면부위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7의 b와 같이 소정의 음영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7의 c와 같이 소정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7의 d와 같이 소정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8의 f와 같이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를 중심으로 오목부위(151)를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또는 상기 터치실햄모듈의 선택부(100)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터치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수단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으로 전술한 실시예의 데이터 실행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수단에는 키스킨(Key Skin), 앱(App), 웹(Web), 아이콘(Icon), 이모티콘, 이미지, 그림, 도형, 윈도(Window) 또는 지유아이(GUI)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도 7의 e 내지 j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제1 감지영역(211)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부위 및 제2 감지영역(212)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부(100)의 표면에서 깊이방향으로 소정의 단차를 갖는 요부(凹部)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평판형으로(도 7의 e 참조)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일측부위 또는 상기 타측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함몰형으로(도 7의 f 또는 i 참조)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일측부위 또는 상기 타측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돌출형으로(도 7의 g 참조)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일측부위 및 상기 타측부위가 함몰 및 돌출 복합형으로(도 7의 j 참조)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일측부위 및 상기 타측부위가 돌출된 요철형(凹凸形) 또는 함몰된 요철형(凹凸形)으로(도 7의 h 참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한 바와 다르게, 상기 일측부위 및 상기 타측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상기 선택부의 표면에서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단차를 갖는 철부(凸部)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의 선택부(100)에서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이 실시되는 선택 위치로 인식된 상기 선택부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가 돌기, 홈, 라인 또는 요철(凹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정 위치가 돌기, 홈, 라인 또는 요철(凹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 제2 지시위치(P2) 또는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가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8의 b와 같이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를 각각 중심으로 하는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161)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b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에 각각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8의 c와 같이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를 각각 중심으로 하는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홈(163)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c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에 각각 하나의 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8의 d와 같이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에 각각 하나의 돌출부위(15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d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를 각각 중심으로 하는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위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8의 e와 같이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에 각각 하나의 라인(16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e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를 각각 중심으로 하는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라인(16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도 8의 g와 같이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를 각각 중심으로 하는 소정 부위에 오목부위(151)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f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의 소정 부위를 중심으로 3차원 궤적을 갖는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g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를 각각 중심으로 하는 3차원 궤적을 갖는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7 또는 상기 도 8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터치입력모듈(60)의 다양한 구성에서, 제1 지시위치(P1), 제2 지시위치(P2) 또는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은 대칭 형태 또는 비대칭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영역(210)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영역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9의 a 내지 f와 같이, 상기 감지영역은 터치입력모듈(60)의 일측의 기준위치인 제1 지시위치(P1)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제1 감지영역(211)과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의 기준위치인 제2 지시위치(P2)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제2 감지영역(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 또는 e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c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은 다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d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은 부분적으로 소정의 곡률이 포함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d 또는 e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은, 터치입력모듈(60)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으로 구분된 형태,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 감지영역과 타측 감지영역으로 구획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f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은 터치입력모듈(60) 전체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으로 구획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9의 감지영역(210)의 다양한 구성에서, 제1 지시위치(P1), 제2 지시위치(P2) 또는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211)과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은 대칭 형태 또는 비대칭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도 9의 감지영역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모듈이나 터치 실행 장치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60)들의 구성,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실시되는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를 설명하기 위치한 예시도이다.
상기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실시되는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는 전술한 실시예 중 도 4 또는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에 관한 내용 중 해당되는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은 세로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의 a와 같이,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를 향하여 실시되면(SP1),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S1)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10의 a와 같이,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의 전체가 제1 지시위치(P1)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221)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61)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62)과 동일하게 구성된 도 11의 a 또는 b와 같이,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제1 지시위치(P1)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221)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10의 a와 같이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를 향하여 실시되고(SP1), 도 11의 c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 및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221) 및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도 11의 c와 같이,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제1 지시위치(P1)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221)에 해당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제2 지시위치(P2)가 제외된 상기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1 지시위치가 포함된 상기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에 해당되는 제1 신호(S1)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도 13의 c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S1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전화'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S1의 신호 처리에 의한 상기 전화 데이터의 데이터 실행은 전술한 도 13의 a 및 도 15의 a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일례로,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를 향하여 실시되면(SP2),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S2)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의 전체가 제2 지시위치(P2)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제2 지시위치(P2)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를 향하여 실시되고(SP2),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 및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선택 시 접촉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222) 및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선택 시 접촉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제2 지시위치(P2)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222)에 해당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제1 지시위치(P1)가 제외된 상기 제1 영역(221)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2 지시위치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에 해당되는 제2 신호(S2)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도 13의 c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신호 S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메시지'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 S2의 신호 처리에 의한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데이터 실행은 전술한 도 13의 a 및 도 15의 a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 다른 일례로,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를 향하여 실시되면(SP12),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의 제1 영역(221) 및 제2 감지영역(212)의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은, 소정의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술한 실시예의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의 c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 S1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연락처'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신호 S12의 신호 처리에 의한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데이터 실행은 전술한 도 13의 b 및 도 15의 a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 중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한 데이터 실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를 향하여 실시되면(SP1),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S1)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도 13의 c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S1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검색 기능의 '구글링'이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신호 S1에 해당되는 상기 검색 기능의 구글링 데이터 또는 상기 구글링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구글링'에 관한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구글링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모바일 지도(Mobile Map)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를 향하여 실시되면(SP2),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S2)를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도 13의 c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신호 S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인터넷'이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2 신호 S2에 해당되는 상기 정보통신 기능의 인터넷 데이터 또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인터넷'에 관한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인터넷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인터넷 부가 기능(Internet Add-ons)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를 향하여 실시되면(SP12),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의 제1 영역(221) 및 제2 감지영역(212)의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은, 소정의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술한 실시예의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의 c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 S1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메모'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신호 S12에 해당되는 상기 정보통신 기능의 메모 데이터 또는 상기 메모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메모'에 관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메모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메모 부가 기능(Memo Add-ons)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의 b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한 데이터 실행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참조선(RL)을 중심으로 실시되면(SP1SP1),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S1)로 처리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3의 d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호 S1S1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플레이 기능의 '카메라'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신호 S1S1에 해당되는 상기 플레이 기능의 카메라 데이터 또는 상기 카메라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카메라'에 관한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편집(Image or Video Editing)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참조선(RL)을 중심으로 실시되면(SP2SP2),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영역(222)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2 영역(222)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2S2)로 처리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3의 d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호 S2S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플레이 기능의 '카메라'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신호 S1S1에 해당되는 상기 플레이 기능의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음성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음성'에 관한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음성 부가 기능(Voice Add-ons)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a와 같이 구성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의 일 지점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의 일 지점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참조선(RL)을 중심으로 실시되면(SP12SP12), 상기 선택 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 및 제2 신호(S2)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 및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S12)로 처리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3의 d 및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호 S12S1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정보통신 기능의 '시계'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신호 S12S12에 해당되는 상기 정보통신 기능의 시계 데이터 또는 상기 시계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시계'에 관한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시계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시계 부가 기능(Watch Add-ons)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 10의 a 내지 c와 다르게,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은 가로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사이에 하나의 참조선(RL)이 세로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d를 참조하여,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RL)을 중심으로 실시되면(SP1SP2),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2 영역(222)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S2)로 처리하게 된다.
다른 일례로,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RL)을 중심으로 실시되면(SP2SP1),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2 영역(222)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1신호(S1)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2S1)로 처리하게 된다.
상술한 도 10 또는 도 11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에 구비된 감지영역의 전체가 소정의 영역에 해당될 수도 있고, 상기 감지영역의 일부분이 소정의 영역에 해당될 수도 있다.
즉, 도 10과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영역(211)의 전체가 제1 영역(221)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의 전체가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도 11과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영역(211)의 일부분이 제1 영역(221)에 해당되거나, 상기 제2 감지영역(212)의 일부분이 제2 영역(222)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영역(221 또는 222)에는 상기 선택 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지시위치(P1 또는 P2)가 상기 손가락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은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은 가로방향 내지 세로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이 포함된 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은 도 13의 e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제3 터치입력모듈(63)의 제2 지시위치(P2)와 제4 터치입력모듈(64)의 제1 지시위치(P1)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참조선(RL)을 중심으로 실시되면(SP2SP1),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의 제2 영역(222)과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 또는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2S1)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13의 e 및 도 15의 d와 같이,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 및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호 S2S1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키보드 또는 마우스 기능의 'mode'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신호 S2S1에 해당되는 상기 키보드나 마우스 기능의 mode 데이터 또는 상기 mode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mode'에 관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mode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모드 선택, 모드 변경, 모드 복귀, 문자 선택, 문자 입력, 특수 문자 선택, 특수 문자 입력, 기호 선택, 기호 입력, 이모티콘 선택, 이모티콘 입력, 방향 선택, 방향 컨트롤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3의 e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제1 터치입력모듈(61)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에서 실시되면(SP12),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 및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영역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 또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도 13의 e 및 도 15의 g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호 S1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검색 기능의 '컨텐츠'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신호 S12에 해당되는 상기 검색 기능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컨텐츠'에 관한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컨텐츠 부가 기능(Contents Add-ons)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켄텐츠의 객체에는 음악, 동영상, 음성, 음향, 방송, 영화, 게임, 캐릭터, 카메라,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13의 e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제3 터치입력모듈(63)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에서 실시되면(SP12),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의 제1 영역(221) 및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영역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 또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도 13의 e 및 도 15의 g와 같이,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신호 S12에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모션 기능의 '시작'이라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신호 S12에 해당되는 상기 모션 기능의 시작 데이터 또는 상기 시작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상기 '시작'에 관한 기능이 포함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시작 데이터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를 통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모션 부가 기능(Motion Add-ons) 등의 다양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에 의한 데이터 실행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실시되는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는 전술한 실시예 중 도 1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에 관한 내용 중 해당되는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3의 e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입력에 의한 데이터 실행에서, 상기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문자의 한글 '포' 입력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실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의 e 및 도 15의 e를 참조하여, 상기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제1 터치입력모듈(61)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에서 실시되면(SP12),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호 중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가 생성된다. 즉, 상기 S12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문자의 한글 'ㅍ'이다.
이어, 상기 선택이 제4 터치입력모듈(64)의 제1 지시위치(P1)를 향해 실시되면(SP1),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제1 신호(S1)가 생성된다. 즉, 상기 S1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문자의 한글 'ㅗ'이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S12에 할당된 상기 문자의 한글 'ㅍ' 데이터 또는 상기 'ㅍ'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 및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S1에 할당된 상기 문자의 한글 'ㅗ' 데이터 또는 상기 'ㅗ'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한글 'ㅍ' 및 'ㅏ'가 결합된 '포' 데이터 입력에 의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포' 데이터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3의 e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입력 및 데이터 컨트롤에 의한 데이터 실행에서, 상기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문자의 알파벳 'SOY' 입력과 상기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키보드 기능의 'enter' 컨트롤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실행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e 및 도 15의 f를 참조하여, 상기 네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 63, 64)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제3 터치입력모듈(63)의 제2 지시위치(P2)를 향해 실시되면(SP2),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제2 신호(S2)가 생성된다. 즉, 상기 S2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문자의 알파벳 'S'이다.
이어, 상기 선택이 소정의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 범위 내에서 제2 터치입력모듈(62)의 제2 지시위치(P2)에 대하여 세 번 연속 실시되면(SP2가 세 번 연속 실시됨),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호 중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제2 신호(S2-3)가 생성된다. 즉, 상기 S2-3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문자의 알파벳 'O'이다.
이어, 상기 선택이 제4 터치입력모듈(64)의 제2 지시위치(P2)를 향해 실시되면(SP2),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제2 신호(S2)가 생성된다. 즉, 상기 S2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입력의 객체 중 문자의 알파벳 'Y'이다.
이어, 상기 선택이 제4 터치입력모듈(64)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에서 실시되면(SP12),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호 중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가 생성된다. 즉, 상기 S12에 할당된 데이터는 데이터 컨트롤의 객체 중 키보드 기능의 'enter'이다.
여기서, 제어부(500)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고 판단된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S2에 할당된 상기 문자의 알파벳 'S' 데이터 또는 상기 'S'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S2-3에 할당된 상기 문자의 알파벳 'O' 데이터 또는 상기 'O'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S2에 할당된 상기 문자의 알파벳 'Y' 데이터 또는 상기 'Y'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 및 상기 제4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S12에 할당된 상기 키보드 기능의 'enter' 데이터 또는 상기 'enter'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자기기(700)에 출력시켜, 상기 알파벳 'SOY' 데이터 입력 및 상기 키보드 기능의 'enter' 데이터 컨트롤에 의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SOY' 데이터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에서 디스플레이 되거나 상기 'enter' 데이터에 의해 컨트롤 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도 13의 e, 도 14의 e 및 도 15의 e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인식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 수단에는 상기 데이터('포' 또는 'SOY')가 디스플레이부(500)나 표시부(51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또는 상기 표시된 이후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는 표시알림소리, 깜빡거림, 색상변화, 크기변화 또는 형태변화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4의 c 내지 e를 참조하여, 복수개로 구비된 터치입력모듈들(61, 62, …)에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 위치로 인식되는 각 지시위치(P1 또는 P2) 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나의 지시위치와 다른 하나의 지시위치 사이(P1과 P1 사이, P2와 P2 사이 또는 P1과 P2 사이)에 대한 선택 수단의 연속적 또는 반복적 선택에 의하여 복수개의 신호들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신호들은,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도 14 참조), 복수개의 제1 신호들(S1-n), 복수개의 제2 신호들(S2-n) 또는 복수개의 제3 신호들(S12-n)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3 신호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신호(S1)이나 제2 신호(S2)와 다르게 설정된 새로운 하나의 신호인 제3 신호(S12)가 복수개로 생성된 신호들이다.
예를 들어, 도 14의 d 또는 e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터치입력모듈들(61, 62)의 선택부(101 또는 102)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연속적 또는 반복적 선택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신호(S1)이나 제2 신호(S2)와 다른 제3 신호(S12)가 복수개의 제3 신호들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제3 신호들은,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도 14의 d와 같은 S1S1-n, S2S2-n 또는 S12S12-n, 도 14의 e와 같은 S2S1-n 또는 S1S2-n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도 14에 도시된 'n'은 상기 선택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연속적 또는 반복적 선택의 횟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4의 c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또는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한 데이터 실행은 도 14의 a 및 도 15의 c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으므로, 도 14의 c 내지 e에 관한 상세한 실시예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로 구비되는 터치입력모듈들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복수개로 구비되는 터치입력모듈들(61, 62, …)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들 중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에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기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2의 c와 같이, 소정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기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2의 d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들 중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터치입력모듈(61)과 제2 터치입력모듈(62)과 제3 터치입력모듈(63)에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기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3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로 구비되는 터치입력모듈들 중 하나 이상의 터치입력모듈(60)은 소정의 음영이나 패턴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도 4 또는 도 5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모듈(60)의 구성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 4의 a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에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감지영역(210)이 하나의 손가락(600)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소정 크기의 제1 감지영역(211)과 제2 감지영역(212)과 적어도 하나의 중앙감지영역(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 사이에 소정 크기의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실시되고, 상기 선택 수단이 상기 중앙감지영역에 접촉되면, 상기 중앙감지영역에 접촉된 상기 선택 수단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중앙영역(25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가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소정의 중앙 신호를 생성시키게 된다. 상기 중앙 신호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호 중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에 해당되는 신호(S12)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는 소정의 신호 설정값을 기초로 제3 신호(S12)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6의 c 또는 d와 같은 터치입력모듈(60)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SP1, SP2) 또는 상기 선택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제1 신호, 제2 신호)는 도 4의 c 및 d에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6의 c 또는 상기 도 16의 d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 시(SP1 또는 SP2) 접촉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상기 중앙감지영역(250)이 제외된 경우이다.
일례로, 상기 도 16의 c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에서, 전술한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선택(SP1) 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가 포함된 제1 감지영역(211)의 전체가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제1 영역(221)이 형성된 한편,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상기 제1 영역과 소정 거리 이격된 중앙감지영역(250)이 제외된 경우의 실시예이다.
다른 일례로, 상기 도 16의 d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에서, 전술한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선택(SP2) 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2 지시위치(P2)가 포함된 제2 감지영역(212)의 전체가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제2 영역(222)이 형성된 한편,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상기 제2 영역과 소정 거리 이격된 중앙감지영역(250)이 제외된 경우의 실시예이다.
상기한 도 16의 c 또는 d와 다르게,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 시(SP1 또는 SP2) 접촉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중앙감지영역(250) 또는 상기 중앙감지영역에 접촉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중앙영역(251)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 또는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신호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6의 c 및 도 17의 a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감지영역(211)과 중앙감지영역(250)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제어부(400)에서, 소정의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영역(221)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의 중앙영역(25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생성시킨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중앙 신호 중 상기 제1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의 위치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제1 지시위치(P1)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의 신호처리는 상기한 신호처리가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6의 d 및 도 17의 b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에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2 감지영역(212)과 중앙감지영역(250)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소정의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영역(222)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의 중앙영역(25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생성시킨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중앙 신호 중 상기 제2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의 위치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제2 지시위치(P2)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의 신호처리는 상기한 신호처리가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16의 e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제1 지시위치(P1)와 제2 지시위치(P2) 사이를 중심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실햄모듈에서,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제1 감지영역(211)과 제2 감지영역(212)과 중앙감지영역(250)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영역(221)과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영역(222)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의 중앙영역(25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제1 신호(S1) 또는 제2 신호(S2) 또는 중앙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는 소정의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S1 또는 상기 S2와 다른 S12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와 상기 중앙 신호의 신호 처리에서, 제어부(400)는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신호 중 상기 중앙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택에서,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의 위치나 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제1 지시위치(P1)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영역에 제2 지시위치(P2)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의 신호처리는 상기한 신호처리가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6 또는 상기 도 17의 실시예에서 생성된 신호의 신호 처리 또는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한 데이터 실행은 도 4 또는 도 5에서 설명한 내용 중 해당되는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도 9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영역(210)의 다양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8의 a 내지 f와 같이, 상기 감지영역은 터치입력모듈(60)의 일측의 기준위치인 제1 지시위치(P1)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제1 감지영역(211)과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의 기준위치인 제2 지시위치(P2)를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제2 감지영역(212)과 상기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지시위치로부터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소정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중앙감지영역(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의 a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의 b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의 c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다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의 d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부분적으로 소정의 곡률이 포함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의 d 또는 e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터치입력모듈(60)의 일측 영역과,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 영역과, 상기 일측 영역 및 상기 타측 영역 사이의 영역으로 구분된 형태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 감지영역과 타측 감지영역과 상기 일측 감지영역 및 상기 타측 감지영역 사이의 감지영역으로 구획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의 f와 같이,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터치입력모듈(60) 전체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과 상기 일측 영역 및 상기 타측 영역 사이의 영역으로 구획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18의 감지영역(210)의 다양한 구성에서, 제1 지시위치(P1), 제2 지시위치(P2) 또는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과 상기 제2 감지영역과 상기 중앙감지영역은 대칭 형태 또는 비대칭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 또는 상기 중앙감지영역의 중앙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감지영역이 복수개의 구획된 감지영역 형태로 구비되거나 복수의 감지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8의 감지영역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모듈이나 터치 실행 장치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 또는 터치 실행 장치(1)의 다양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7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가 디스플레이부(500) 또는 표시부(51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 상기 터치 실행 장치 또는 상기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터치 실행 장치(1)의 본체(2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9의 a와 같이,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적용되어 구성된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500)에 소정의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선택에 의하여, 상기 객체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9의 a에 도시된 상기 객체(전화, 메시지 또는 연락처)에 관한 데이터 실행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신호(S1, S2 또는 S12)의 신호 처리 중 해당되는 사항이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전자기기의 본체(2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9의 c 또는 f와 같이,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적용되어 구성된 상기 전자기기의 표시부(510)에 소정의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선택에 의하여, 상기 객체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9의 f에 도시된 상기 객체(전화, 메시지, 연락처, 시작, 인터넷 또는 동영상)에 관한 데이터 실행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신호(S1, S2 또는 S12)의 신호 처리 중 해당되는 사항이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터치 실행 장치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본체(2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9의 b 또는 c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구비된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상기 전자기기에 적용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적용되어 구성된 상기 전자기기의 표시부(510)에 소정의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에 의한 선택에 의하여, 상기 객체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9의 b 또는 c에 도시된 상기 객체(숫자, 문자 또는 기호)에 관한 데이터 실행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선택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생성된 신호(S1, S2 또는 S12)의 신호 처리 중 해당되는 사항이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터치 실행 장치의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9의 d, g 또는 h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터치 실행 장치의 본체(20)에 하나 이상의 터치입력모듈(61, …)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전자기기의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9의 j 또는 k와 같이,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전자기기의 본체(20)에 하나 이상의 터치입력모듈(61, …)로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9의 e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실행 장치(1)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은 소정의 전자기기(700)와 유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9의 a, b 또는 d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실행 장치(1)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은 소정의 전자기기(700)와 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실행 장치와 상기 전자기기,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과 상기 전자기기는, 본 발명의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실시에 따른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와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나 상기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의 전달신호를 송수신 수단에 의하여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수단에는 RF, Bluetooth, IrDA, Zigbee, SWAP, Wi-Fi, Li-F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9의 g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실행 장치(1)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60)은 상기 전자기기(700)와 인케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g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 실행 장치의 본체(20) 또는 상기 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와 상기 전자기기가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 수단이 포함된 착탈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 수단에는 착탈부재가 포함된다.
즉, 상기 착탈부재에는 돌기, 홈, 슬롯, 가이드, 걸쇠, 홀더, 고리, 밴드 또는 벨크로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는 오목부위, 볼록부위, 날개부위, 돌출부위 또는 복합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합부위에는 주름, 요철(凹凸) 또는 지그재그 패턴 중 하나 이상의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재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와 상기 전자기기의 착탈에서 상기 터치 실행 장치와 상기 전자기기의 결합을 지지하거나 유지시키고, 상기 터치 실행 장치와 상기 전자기기의 이탈을 용이하게 실행시키며, 상기 결합과 상기 이탈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복적 피드백 성질을 갖는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반복적 피드백 성직을 갖는 부재에는 소정의 곡률로 피드백을 수행하는 플렉시블 부재 또는 소정의 탄성률로 피드백을 수행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9의 h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실행 장치(1)는 상기 전자기기(700)와 착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9의 h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여, 상기 착탈 형태의 구성에서 상기 착탈이 실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소정 형상의 단자(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 또는 상기 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에 구비된 터치입력모듈(60)에서 생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와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나 상기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의 전달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19의 h에서, 상기 터치 실행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지지하거나 유지시키도록 하는 소정 형상의 홀더(3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9의 c를 참조하면, 터치입력모듈(60) 또는 터치 실행 장치(1)는 손목착용 형태나 안경 형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형태의 전자기기(700)에 적용되거나 상기 전자기기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9의 b 또는 f를 참조하면, 터치입력모듈(60) 또는 터치 실행 장치(1)는 목걸이 형태나 반지 형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형태의 전자기기(700)에 적용되거나 상기 전자기기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9의 j를 참조하면, 터치입력모듈(60) 또는 터치 실행 장치(1)는 복수방향식 또는 접이식 또는 회전식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형태의 전자기기(700)에 적용되거나 상기 전자기기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9의 k를 참조하면, 터치입력모듈(60) 또는 터치 실행 장치(1)는 평판형 또는 플렉시블형 또는 가변형을 포함하는 단일프레임 형태의 전자기기(700)에 적용되거나 상기 전자기기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의 c 내지 e 또는 도 14의 c 내지 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택부(100)는 복수개의 선택부들(101, 102, …)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들은 터치 실행 장치(1) 또는 전자기기(7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9의 i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은 소정 형상의 인터페이스 유닛(50)에 포함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의 소정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실시되고 상기 선택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신호가 생성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9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50)과 소정의 전자기기(700)가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50)과 소정의 터치 실행 장치(1)가 착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9의 i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전자기기 중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전자기기가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20의 a 내지 c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의 본체(20) 중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 수단이 포함된 착탈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d 또는 e를 참조하여, 상기 착탈 수단에는 착탈부재(72)가 포함된다.
상기 착탈 수단, 상기 착탈부 또는 상기 착탈부재는 도 19의 g의 실시예 중 해당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9의 i 또는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의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터치입력모듈(61, …)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50)과 소정의 터치 실행 장치(1)가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와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나 상기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의 전달신호를 송수신 수단에 의하여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수단에는 RF, Bluetooth, IrDA, Zigbee, SWAP, Wi-Fi, Li-Fi 등이 포함된 무선 방식의 수단이나 소정의 유선 방식의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50)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1) 중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에 단자(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에서 생성되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와 새로운 하나의 신호(S12)를 포함하는 소정의 신호나 상기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의 전달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는 상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 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착탈 수단, 상기 착탈 수단에 포함되는 착탈부(70) 또는 착탈부재(72)는에 관한 내용은 도 19의 g의 실시예 중 해당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60) 또는 터치 실행 장치(1)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는 하드웨어 실행 장치나 소프트웨어 실행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터치 실행 장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상응하는 범위 내의 소정 거리 이격된 각각의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지시위치나 감지영역에 대하여 실시되는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상기 지문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실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하여,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지시위치(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 내의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에 위치한 하나의 지시위치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지시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선택 중 상기 지시위치에 대하여 한 번 실시되는 각 경우의 선택에서 서로 다른 세 개의 데이터 실행이 수행됨은 물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시위치나 감지영역에 대한 하나의 손가락의 직관적 선택에 의하여,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을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한 각각의 지시위치가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므로, 상기 각각의 지시위치 또는 상기 각각의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이 하나의 손가락의 직관적 선택 동작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각의 지시위치 또는 상기 감지영역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손가락의 연속적 또는 반복적 선택 동작에서 오타 발생 빈도가 낮아짐은 물론, 상기 손가락의 피로 누적이나 스트레스 발생이 억제되는 사용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각각의 지시위치 또는 상기 각각의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감지영역들에 대한 선택이 하나의 손가락의 가벼운 터치에 의해 용이하고 빠르게 실시되므로, 이동 중이거나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데이터 실행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모듈 또는 터치 실행 장치는 웨어러블기기, 가변형기기, 사물인터넷기기, 복합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에 적용하거나 상기 전자기기에 착탈식 또는 휴대형 액세서리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사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데이터 실행의 환경이나 기회를 제공해주는 산업상 이용성의 장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실행으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분야에서 사용성, 편리성 및 산업상 이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거나 제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실행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실시 단계와,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단계와, 신호 처리에 의한 데이터 실행 단계를 포함하여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터치 실행 장치(1)는 전술한 실시예 중 도 4, 도 10 또는 도 16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6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실행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실행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단계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실시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실시되는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제1 감지영역(211)의 기준위치인 제1 지시위치(P1), 제2 감지영역(212)의 기준위치인 제2 지시위치(P2) 또는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에서 실시된다. 다음 단계로, 상기 선택에 의한 신호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221)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S1)를 생성시키거나,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222)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S2)를 생성시키거나, 상기 선택 시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은 소정의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인 제3 신호(S12)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상기 신호 처리에 의한 데이터 실행 단계에서는, 제어부(400)가 상기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300)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자기기에 출력시켜,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컨트롤 중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신호 처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P1) 또는 상기 제2 지시위치(P2)를 중심으로 두 번 연속 실시되고, 상기 두 번 연속 실시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역(221) 또는 상기 제2 영역(222)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를 두 번 연속해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신호 중 먼저 생성된 제1 신호 생성시간과 나중에 생성된 제1 신호 생성시간과의 시간차를 계산하거나, 상기 신호 중 먼저 생성된 제2 신호 생성시간과 나중에 생성된 제2 신호 생성시간과의 시간차를 계산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계산된 시간차가 미리 정한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 이내면, 상기 먼저 생성된 제1 신호와 상기 나중에 생성된 제1 신호를 상기 제1 신호(S1)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제1 신호로 처리하거나, 상기 먼저 생성된 제2 신호와 상기 나중에 생성된 제2 신호를 상기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제2 신호로 처리하게 된다.
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계산된 시간차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먼저 생성된 제1 신호와 상기 나중에 생성된 제1 신호를 상기 제1 신호(S1)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해서 생성된 두 개의 제1 신호들(S1, S1)로 처리하거나, 상기 먼저 생성된 제2 신호와 상기 나중에 생성된 제2 신호를 상기 제2 신호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해서 생성된 두 개의 제2 신호들(S2, S2)로 처리하게 된다.
다른 일례로,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선택부(100)에서 하나의 손가락(600)에 의한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P1)와 상기 제2 지시위치(P2) 사이를 중심으로 두 번 연속 실시되고, 상기 두 번 연속 실시된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역(221) 및 상기 제2 영역(222)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200)의 터치 센서에서 네 개의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네 개의 신호들 중 맨 먼저 생성된 첫째 신호 생성시간에서 맨 나중에 생성된 넷째 신호 생성시간까지 각 신호와 신호 간의 시간차를 계산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계산된 시간차가 미리 정한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 이내면, 상기 네 개의 신호들을 상기 제1 신호(S1) 또는 상기 제2 신호(S2)와 다른 새로운 신호인 제3 신호(S12)로 처리하게 된다.
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계산된 시간차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네 개의 신호들을 상기 제3 신호(S12)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해서 생성된 두 개의 제3 신호들(S12, S12)로 처리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은 0.1초로 설정할 수도 있고 통상적인 복수의 신호들에 대한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을 적용하여 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모듈이나 상기 터치 실행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다양한 신호 처리로 데이터 실행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한 실시예의 데이터 실행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모듈(60) 또는 터치 실행 장치(1)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면을 기초로 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이 접촉하는 영역 내의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에 위치한 하나의 지시위치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지시위치를 기초로 하여,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중 상기 지시위치에 대하여 한 번 실시되는 각 경우의 선택에서 서로 다른 세 개의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구비됨- 또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구비된 터치 실행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 : 터치 실행 장치
60 : 터치입력모듈
100 : 선택부
200 : 감지부
210 : 감지영역
300 : 메모리부
400 : 제어부
P1 : 제1 지시위치
P2 : 제2 지시위치
RL : 참조선

Claims (25)

  1. 선택이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실시되도록 구비된 선택부 및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선택부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대응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소정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선택 시에 상기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영역은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영역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제1 감지영역과 제2 감지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엄지손가락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제1 지시위치,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제2 지시위치 및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제2 지시위치의 사이가 엄지손가락의 지문에 함께 접촉되는 범위 내의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2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의 사이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이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설정되며;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독립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의 생성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영역에 접촉된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의 외측에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2 신호의 생성에서,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시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영역에 접촉된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의 외측에 상기 제1 지시위치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의 생성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감지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함께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은 상기 선택 시 접촉되는 상기 손가락의 접촉면에 각각 대응하거나 함께 대응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감지영역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선택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선택에서 상기 엄지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상기 제1 지시위치는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소정의 제어부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1 지시위치가 포함된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생성시킨 신호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고; 또는
    상기 선택에서 상기 엄지손가락에 접촉된 영역 내에 상기 제2 지시위치는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위치가 제외된 상태이면,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 중 상기 제2 지시위치가 포함된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생성시킨 신호에 해당되는 상기 제2 신호만을 유효한 신호로 처리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제1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일측부위 및 상기 제2 감지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타측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선택부의 표면에서 깊이방향으로 소정의 단차를 갖는 요부(凹部)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서 일측 모서리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시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일측 신호가 생성되고, 타측 모서리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시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타측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서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가 함께 선택되면 상기 선택 시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신호들이 생성되고, 상기 신호가 상기 일측 신호 또는 상기 타측 신호와 다른 새로운 신호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부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정 위치가 돌기, 홈, 라인 또는 요철(凹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의 일측, 상기 선택부의 타측 또는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대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선택 횟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인 제3 신호가 연속 생성된 복수개의 제1 신호들, 복수개의 제2 신호들 또는 복수개의 제3 신호들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생성 시간차의 기준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상기 기준값 이내면, 소정의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을 상기 신호들의 각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로 처리하고;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의 각 신호의 시간간격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신호들, 상기 제2 신호들 또는 상기 제3 신호들을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제3 신호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속해서 생성된 복수개의 제1 신호들, 복수개의 제2 신호들 또는 복수개의 제3 신호들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복수개의 터치입력모듈들로 구비되고,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세로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터치입력모듈과 제2 터치입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사이에 하나의 참조선이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소정의 제어부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지시위치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일 지점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의 일 지점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가로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제1 터치입력모듈과 제2 터치입력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사이에 하나의 참조선이 세로방향으로 위치하고;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참조선을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손가락에 함께 접촉되고,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소정의 제어부에서, 미리 정한 복수신호의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상기 제1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터치입력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7. 선택이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실시되도록 구비된 선택부 및 상기 선택에 대응하여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된 감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하나의 엄지손가락에 의한 한번의 선택 동작을 기준으로,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1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1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2 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제2 감지영역 중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영역인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제2 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선택이 상기 제1 지시위치와 상기 제2 지시위치 사이를 중심으로 실시되면, 상기 선택 시 상기 엄지손가락에 함께 접촉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감지부의 터치 센서가 상기 제1 지시위치 및 상기 제2 지시위치에서의 접촉을 포함하는 상기 엄지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서로 다른 신호들을 생성시키고, 상기 서로 다른 신호들이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새로운 하나의 신호로 설정되며;
    상기 선택에 의한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또는 상기 새로운 하나의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 실행이 수행되도록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은 평면부위, 오목부위 또는 볼록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에서 상기 선택이 실시되는 선택 위치를 식별하도록 보조하는 보조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수단은 돌기, 홈, 라인, 형상, 패턴, 색상, 음영, 음향 또는 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2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나의 터치입력모듈과 다른 하나의 터치입력모듈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밴드형, 착탈형 또는 가변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터치입력모듈의 상기 선택부가 디스플레이부 또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터치입력모듈, 상기 터치 실행 장치 또는 상기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2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모듈이 소정 형상의 인터페이스 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에서 상기 선택이 실시되고 상기 선택에 의하여 상기 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착탈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가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 수단에는 착탈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착탈부재는 돌기, 홈, 슬롯, 가이드, 걸쇠, 홀더, 고리, 밴드, 벨크로 또는 반복적 피드백 성질을 갖는 부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과 상기 터치 실행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소정 위치에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 또는 상기 터치 실행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나 상기 신호에 할당된 데이터의 전달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2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가 복수개의 선택부들로 구비되고,
    상기 선택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KR1020200134954A 2014-02-11 2020-10-19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KR10228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54A KR102286257B1 (ko) 2014-02-11 2020-10-19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28A KR102250599B1 (ko) 2014-02-11 2014-02-11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KR1020200134954A KR102286257B1 (ko) 2014-02-11 2020-10-19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28A Division KR102250599B1 (ko) 2014-02-11 2014-02-11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89A true KR20200124189A (ko) 2020-11-02
KR102286257B1 KR102286257B1 (ko) 2021-08-04

Family

ID=7339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954A KR102286257B1 (ko) 2014-02-11 2020-10-19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2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3B1 (ko) 2007-02-21 2007-11-21 박노수 문자입력장치
KR100994362B1 (ko) 2008-03-31 2010-11-16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데이터 입력장치
KR20130019590A (ko) * 2011-08-17 2013-02-27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25306A (ko) * 2011-09-01 2013-03-11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3B1 (ko) 2007-02-21 2007-11-21 박노수 문자입력장치
KR100994362B1 (ko) 2008-03-31 2010-11-16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데이터 입력장치
KR20130019590A (ko) * 2011-08-17 2013-02-27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25306A (ko) * 2011-09-01 2013-03-11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257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599B1 (ko)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JP6224202B2 (ja) 腕時計キーボード
JP6275839B2 (ja) リモコン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721662B2 (ja) 入力受付方法、入力受付プログラム、及び入力装置
KR101695174B1 (ko) 전자장치에 수신문자입력을 위한 인체공학적 움직임 감지
JP2015531527A (ja) 入力装置
US10048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rsive system interfacing
WO2013181881A1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JPWO2011135944A1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その操作制御方法
JP6109788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作動方法
CN104360813A (zh) 一种显示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CN112817443A (zh) 基于手势的显示界面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2629184A (zh) 一种手持终端及其操作方法
JP20150262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19762A (ko) 터치 스크린 한손 제어 방법
CN103927114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286253B1 (ko) 데이터 실행 장치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JP2011243157A (ja) 電子機器、ボタンサイ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02670A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세밀한 조작을 위한 사용자별 손가락 및 터치 펜 접촉 위치 포인트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940900B2 (en)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2286257B1 (ko)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US1052090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martwatch
US20140143726A1 (en) Method of choosing software button
JP2012238128A (ja) 背面入力機能を有する情報機器、背面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