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12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27A
KR20200124127A KR1020190051783A KR20190051783A KR20200124127A KR 20200124127 A KR20200124127 A KR 20200124127A KR 1020190051783 A KR1020190051783 A KR 1020190051783A KR 20190051783 A KR20190051783 A KR 20190051783A KR 20200124127 A KR20200124127 A KR 20200124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applica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연
김성훈
정상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53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18857A1/en
Priority to EP23152860.5A priority patent/EP4195863A1/en
Priority to US16/856,491 priority patent/US11483734B2/en
Priority to CN202210926920.0A priority patent/CN115460571A/zh
Priority to EP20794955.3A priority patent/EP3942896B1/en
Priority to CN202080030621.8A priority patent/CN113728722B/zh
Publication of KR2020012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27A/ko
Priority to US17/971,024 priority patent/US1185644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V2X(Vehicle to Everything)는 도로 차량에 적용 가능한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지칭하는 일반 용어로서 무선 통신 기술 발전과 접목하여 초기의 안전 유스케이스 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V2X 서비스 제공 기술로 IEEE 802.11p와 IEEE P1609 기반의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규격이 표준화 되었다. 그러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의 일종인 WAVE는 차(Vehicle)와 차 간의 메시지 통달 거리가 제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셀룰러 기반의 V2X 기술 표준이 3GPP에서 진행되고 있다. Release 14/Release 15에서 LTE 시스템 기반의 EPS(Evolved Packet System) V2X 표준이 완료되었고, Release 16에서 NR 시스템 기반의 5GS(5th Generation System) V2X 표준이 진행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 연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 연결 설정 절차를 도시한다.
도 4b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다.
도 4c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 업데이트 절차를 도시한다.
도 4d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의 생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의 생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와 관련된 QFI(QoS flow Identifier) 매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와 관련된 QFI 매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와 관련된 SLRB(sidelink radio bearer) 매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와 관련된 SLRB(sidelink radio bearer) 매핑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h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SCH(sidelink - shared channel)의 서브헤더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5G, NR(New Radio),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차량 통신 서비스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5G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여타의 서비스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5G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차세대 방송 서비스(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UR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URLLC 시스템, eMB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eMBB 시스템 등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URLLC 서비스는 기존 4G 시스템과 달리 5G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하고 있는 서비스이며, 다른 서비스들 대비 초 고 신뢰성(예를 들면, 패킷 에러율 약 10-5)과 저 지연(latency)(예를 들면, 약 0.5msec) 조건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URLLC 서비스는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단말(user equipment, 사용자 단말, 터미널(terminal), 또는 차량 단말(vehicle UE)과 혼용될 수 있다, 110)은 다른 단말(120)과 통신하기 위하여 직접 통신(예를 들어, Device-to-Device, D2D, ProSe, PC5, Sidelink 통신, 140)을 이용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통한 네트워크 통신(150, 160)을 이용할 수 있다. 직접 통신의 경우, 단말(110)과 다른 단말(120) 간 메시지 송수신이 PC5 링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의 경우, 송신 차량 단말이 수신 차량 단말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Uu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에 전송된 후, Uu 링크를 통해 수신 차량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130)은 3GPP 에서 정의한 EPC 시스템 또는 5GC 시스템 또는 3GPP 이외의 통신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직접 통신(140)은 LTE RAT(Radio Access Technology) 또는 NR RAT 또는 WiFi 등의 non-3gpp RAT 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평면 (Control Plane)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하고,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사용자 평면(User Plane)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단말(110)은 송신 단말일 수 있고, 단말(120)은 수신 단말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각각 단말(110) 및 단말(120)로 칭하도록 한다.
도 2a를 참고하면, 단말(110, 120)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계층(PC5 Signalling Protocol layer, 210, 215), RRC 계층(RRC layer, 220, 225), PDCP 계층(PDCP layer, 230, 235), RLC 계층(RLC layer, 240, 245), MAC 계층(MAC layer, 250, 255), PHY 계층(PHY layer, 260, 265)으로 구성될 수 있다. RRC 계층(220, 225), PDCP 계층(230, 235), RLC 계층(240, 245), MAC 계층(250, 255)은 AS 계층(Access Stratum layer, 200, 205) 으로 통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AS 계층(200, 205)이라 함은 RRC 계층(220, 225), PDCP 계층(230, 235), RLC 계층(240, 245), MAC 계층(250, 2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계층(210, 215)은 도 4a, 도 4b 내지 도 4c에 도시된 절차를 통해 단말(110)과 단말(120)간 직접 통신(140)을 위한 링크 연결 설정(link establishment) 및 링크 연결 관리(link maintenanc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단말(110, 120)의 PC5 시그널링 (PC5-S) 메시지는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계층(210, 215), RRC 계층(220, 225), PDCP 계층(230, 235), RLC 계층(240, 245), MAC 계층 (250, 255), PHY 계층 (260, 265)을 거쳐 상대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도 2a를 참고하면, 단말(110, 120)의 PC5 시그널링 (PC5-S) 메시지는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계층(210, 215), PDCP 계층(230, 235), RLC 계층(240, 245), MAC 계층 (250, 255), PHY 계층 (260, 265)을 거쳐 상대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단말(110, 120)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270, 275), SE 계층(Service Enabling layer, 280, 285), SDAP 계층(SDAP layer, 290, 295), PDCP 계층(PDCP layer, 230, 235), RLC 계층(RLC layer, 240, 245), MAC 계층(MAC layer, 250, 255), PHY 계층(PHY layer, 260, 265)으로 구성될 수 있다. SDAP 계층(290, 295), PDCP 계층(230, 235), RLC 계층(240, 245), MAC 계층(250, 255)은 AS 계층(Access Stratum layer, 200, 205)으로 통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AS 계층(200, 205)이라 함은 SDAP 계층(290, 295), PDCP 계층(230, 235), RLC 계층(240, 245), MAC 계층(250, 2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E 계층(280, 285)은 응용 계층(270, 275)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중간 계층으로 각 어플리케이션 또는 각 서비스 별로 특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SE 계층이 여러 응용 계층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각 응용 계층 별로 특화된 SE 계층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V2X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응용 계층(270, 275)은 V2X 응용 계층(V2X application layer) 일 수 있다. 또한, V2X 응용 계층 동작을 위해 SE 계층(280, 285)은 V2X 계층(V2X layer)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V2X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응용 계층(270, 275)은 V2X 응용 계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고, SE 계층(280, 285)은 V2X 계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SE 계층(280, 285)은 단말(110)과 단말(120)간 직접 통신(140)을 위해 설정된 링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E 계층(280, 285)은 메시지 전송을 위한 IP 프로토콜, non-IP 프로토콜, 전송 프로토콜 (Transport Protocol, 예를 들면, TCP 또는 UD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10, 120)은 V2X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표 1에 도시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SE 계층(280, 285)은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1) Authorization policy:
Figure pat00001
- When the UE is "served by E-UTRA" or "served by NR":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 PLMNs in which the UE is authorized to perform V2X communications over PC5 reference point when "served by E-UTRA" or "served by NR".
For each above PLMN: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 RAT(s) over which the UE is authorized to perform V2X communications over PC5 reference point.
Figure pat00007
- When the UE is "not served by E-UTRA" and "not served by NR":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 Indicates whether the UE is authorized to perform V2X communications over PC5 reference point when "not served by E-UTRA" and "not served by NR".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 RAT(s) over which the UE is authorized to perform V2X communications over PC5 reference point.
2) Radio parameters when the UE is "not served by E-UTRA" and "not served by NR":
Figure pat00012
- Includes the radio parameters per PC5 RAT (i.e. LTE PC5, NR PC5) with Geographical Area(s) and an indication of whether they are "operator managed" or "non-operator managed". The UE uses the radio parameters to perform V2X communications over PC5 reference point when "not served by E-UTRA" and "not served by NR" only if the UE can reliably locate itself in the corresponding Geographical Area. Otherwise, the UE is not authorized to transmit.
Figure pat00013
NOTE: Whether a frequency band is "operator managed" or "non-operator managed" in a given Geographical Area is defined by local regulations.
3) Policy/parameters per RAT for PC5 Tx Profile selection:
Figure pat00014
- The mapping of service types (e.g. PSID or ITS-AIDs) to Tx Profiles.
4) Policy/parameters related to privacy:
Figure pat00015
- The list of V2X services, e.g. PSID or ITS-AIDs of the V2X applications, with Geographical Area(s) that require privacy support.
5) Policy/parameters when NR PC5 is selected:
Figure pat00016
- The mapping of service types (e.g. PSID or ITS-AIDs) to V2X frequencies with Geographical Area(s).
Figure pat00017
- The mapping of Destination Layer-2 ID(s) and the V2X services, e.g. PSID or ITS-AIDs of the V2X application for broadcast.
Figure pat00018
- The mapping of Destination Layer-2 ID(s) and the V2X services, e.g. PSID or ITS-AIDs of the V2X application for groupcast.
Figure pat00019
- The mapping of default Destination Layer-2 ID(s) for initial signaling to establish unicast connection and the V2X services, e.g. PSID or ITS-AIDs of the V2X application.
Figure pat00020
- The list of V2X services that are allowed to use a specific PQI(s)
SDAP 계층(290, 295)은 단말(110)과 단말(120)간 직접 통신(14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10)과 단말(120)간 직접 통신(140) 링크 연결을 설정한 후 설정된 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예를 들면, PC5 유니캐스트 통신 또는 PC5 그룹캐스트), SDAP 계층(290, 295)이 메시지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단말(110)과 단말(120)간 직접 통신(140) 링크 연결 설정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도 (예를 들면, PC5 브로드캐스트 통신), SDAP 계층(290, 295)이 메시지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계층(210, 215)은 SE 계층(280, 285)이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PC5 시그널링 프로토콜 계층(210, 215)은 링크 연결 설정 및/또는 링크 연결 관리를 위해 SE 계층(280, 285) 및/또는 RRC 계층(220, 225) 및/또는 PDCP 계층(230, 235) 및/또는 SDAP 계층(290, 295)과 상호 작용(interaction)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10, 120)은 직접 통신을 이용하여 서비스(예를 들면, V2X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 2에 도시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E 계층(280, 285)은 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PQI
Value
Resource Type Default Priority Level Packet Delay Budget Packet Error
Rate
Default Maximum Data Burst Volume
Default
Averaging Window
Example Services
1
GBR 3 20 ms
10-4 N/A 2000 ms Platooning between UEs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Platooning between UE and RSU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2
(NOTE 1) 4 50 ms 10-2 N/A 2000 ms Sensor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3 3 100 ms 10-4 N/A 2000 ms Information sharing for automated driving - between UEs or UE and RSU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55 Non-GBR 3 10 ms 10-4 N/A N/A Cooperative lane change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56 6 20 ms 10-1 N/A N/A Platooning informative exchange - low degree of automation;
Platooning - information sharing with RSU;
57 5 25 ms 10-1 N/A N/A Cooperative lane change - lower degree of automation;
58 4 100 ms 10-2 N/A N/A Sensor information sharing - lower degree of automation
59 6 500 ms 10-1 N/A N/A Platooning - reporting to an RSU;
82 Delay Critical GBR 3 10 ms
10-4 2000 bytes 2000 ms Cooperative collision avoidance;
Sensor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Video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83 (NOTE 1) 2 3 ms 10-5 2000 byte 2000 ms Emergency trajectory alignment;
Sensor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NOTE 1: GBR and Delay Critical GBR PQIs can only be used for unicast PC5 communications.
Editor's Note: It is FFS if GBR and Delay Critical GBR can also be used for broadcast and groupcast.
NOTE 2: The MBDV value for Non-GBR PQIs is an informative indication of typical packet size.
표 2를 참고하면, QoS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의 QoS 특징(characteristic)으로 구성될 수 있다. QoS 특징은, 예를 들면 우선 순위 레벨(Priority Level), 패킷 딜레이 버짓(Packet Delay Budget), 패킷 에러율(Packet Error Rate), 최대 데이터 크기(Maximum Data Burst Volume), 평균 윈도우(Averaging Window), 통신 거리(Communication Range) 등이 될 수 있다. QoS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의 QoS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PQI (5QI for PC5) 값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단말간 직접 통신 링크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110)과 단말(120)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310, 315)을 저장하고 구동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ID (예를 들면, OSAppID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310, 315)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310, 315)은 서비스 타입 #1(312, 317)과 서비스 타입 #2(314, 319)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비스 타입은 서비스 타입 ID(예를 들면, PSID, ITS-AID 등)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각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응용 계층 사용자 ID (예를 들면, 단말 ID, 단말 가입자 ID, 사용자 이메일 주소 등) 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응용 계층 사용자 ID는 각 사용자 및 어플리케이션별로 유일한 값(unique value)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만약, 단말(110)에 Application#1(310), Application#2, Application#3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1(310), Application#2, Application#3은 응용 계층 사용자 ID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SE 계층(280)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1(310), Application#2, Application#3)을 응용 계층 사용자 ID 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또한,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를 공유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만약, 단말(110)에 Application#1(310), Application#2, Application#3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Application#1(310)과 Application#2가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사용하고, Application#3은 또 다른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SE 계층(280)은 Application#1(310)과 Application#2를 동일한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로 구분하고, Application#3을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또한,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가 모든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를 공유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만약, 단말(110)에 Application#1(310), Application#2, Application#3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단말(110)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응용 계층 사용자 ID 를 사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구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SE 계층(280)은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가 단말(110)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됨을 알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310, 315) 및/또는 서비스 타입(312, 314, 317, 319)의 동작은 도 2b에 도시한 응용 계층(270, 275)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응용 계층(270, 275)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서비스 타입이 구동될 수 있다.
서비스 타입은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을 갖을 수 있다. SE 계층(280, 285)은 어플리케이션(310, 315) 및/또는 서비스 타입(312, 314, 317, 319)으로부터 제공받은 QoS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QoS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표 2에 도시된 PQI 값으로 맵핑할 수 있다.
단말(110)과 단말(120)은 도 4a, 도 4c, 도 4c에 도시된 절차를 이용하여 직접 통신 링크(330)를 설정할 수 있다. 직접 통신 링크(330)는 링크 ID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10)과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310, 315) 별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330)를 설정하고, 상기 직접 통신 링크(330)에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예를 들면, PSID, ITS-AID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da와 같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갖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110)과 단말(120)은 서비스 타입 (312, 317, 314, 319) 별 직접 통신 링크(330)를 설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비스 타입을 포함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각 서비스 타입을 지원하는 직접 통신 링크(330)를 생성하고, 각 직접 통신 링크에서 각 서비스 타입 (예를 들면, PSID, ITS-AID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db와 같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의 개수만큼 직접 통신 링크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직접 통신 링크(330)는 하나 이상의 QoS Flow를 포함할 수 있다. QoS Flow는 표 2에 도시된 PQI 값과 맵핑될 수 있다. 하나의 QoS Flow는 QoS Flow Identifier(QFI)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통신 링크(330)는 4개의 QoS Flow를 포함하고, 각 QoS Flow는 QFI #1(331), QFI #2(332), QFI #3(333), QFI #4(334)로 지칭될 수 있다. 직접 통신 링크(330)를 구성하는 각 QoS Flow는 서로 다른 수준의 QoS를 제공할 수 있다. 직접 통신 링크(330) 연결 절차를 도 4a에서 자세히 기술한다.
단말(110, 120)은 도 4b에 도시된 절차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110, 120)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직접 통신 링크(330)에 포함된 QoS Flow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E 계층(280, 285)은 전송할 데이터가 요구하는 QoS에 따라 적합한 QFI를 선택하고, 선택된 QFI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링크(330)를 통한 데이터 전송 절차는 도 4b에서 자세히 기술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의 연결 설정(ProSe link establishment) 절차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송신 단말(110)은 직접 통신 링크 연결을 시작하는 단말이고, 나머지 주변 단말(115, 120, 125)은 송신 단말(110)의 인접 거리에 위치하여 송신 단말(110)이 전송하는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Direct Communication Request, 425)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주변 단말(115, 120, 125) 중 하나 이상의 단말, 예를 들면 단말(120)이 송신 단말(110)과 직접 통신을 맺는(440) 단말이라고 가정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주변 단말(115, 120, 125)은 400 단계에서 직접 통신 요청(409)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지 레이어-2 ID (Destination Layer-2 ID) 를 [표 1]의 V2X 서비스 정책 파라미터 (예를 들면, [표1]의 'The mapping of default Destination Layer-2 ID(s) for initial signaling to establish unicast connection and the V2X services, e.g. PSID or ITS-AIDs of the V2X application'에 해당)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 수신을 위한 목적지 레이어-2 ID는 응용 계층 또는 응용 계층이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계층이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예를 들면, PSID, ITS-AID 등) 별로 다른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 수신을 위한 목적지 레이어-2 ID는 응용 계층 또는 응용 계층이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응용 계층이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에 상관없이 동일한 디폴트 값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단말(110)의 응용 계층(270)은 40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이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이하 '서비스 데이터' 내지 '데이터' 와 혼용될 수 있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통신 모드(communication mode)'(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그룹캐스트(Groupcast), 유니캐스트(Unicast) 등),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 중 적어도 하나를 SE 계층(28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 통신의 경우, 서비스 타입은 PSID, ITS-AI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응용 계층(270)이 SE 계층(280)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타입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 계층(270)이 SE 계층(280)에게 제공하는 QoS 요구사항은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일 수 있다. 또한, 응용 계층(270)은 서비스 타입과 그에 맵핑되는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 맵핑 정보를 SE 계층(28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래는 40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이 SE 계층(280)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 어플리케이션 ID (예를 들면, 도 3의 310)
-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 (예를 들면, 도 3의 312, 314에 해당)
- 각 서비스 타입에 맵핑되는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
- 통신 모드,
- 송수신 단말(110, 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s.
단말(110)의 SE 계층(280)은 40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통신 모드, 서비스 타입 등)를 기반으로 406 단계에서 링크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모드가 PC5 유니캐스트(PC5 unicast) 일 경우, SE 계층(280)은 링크 연결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기존에 설정된 직접 통신 링크가 재활용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재활용될 수 없다면 설정 절차를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기존에 설정된 직접 통신 링크가 재활용될 수 있다면, 도 4b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0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및/또는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저장하고 있는 링크 프로파일이 존재할 경우, SE 계층(280)은 단말(110)이 단말(120)과 미리 설정한 직접 통신 링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SE 계층(280)은 새로운 직접 통신 링크를 연결하지 않고, 기존에 설정된 직접 통신 링크를 재활용할 것을 결정하고, 도 4b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경우,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별로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단말(120)과 맺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생성되고,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경우, 단말(110)은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단말(120)과 맺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공유하고,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가 모든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경우, 단말(110)과 단말(120) 사이에는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맺고,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단말(110)과 단말(120)이 지원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및/또는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저장하고 있는 링크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SE 계층은 아래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110)의 SE 계층(280)은 단계 409부터 단계 418의 과정을 통해 생성될 직접 통신 링크(330)를 지칭할 링크 ID (Link Identifier)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링크 ID는 단말(110)내에서 유일한 값(unique value)으로 할당될 수 있다. SE 계층(280)은 SE 계층(280)이 할당한 링크 ID로 지칭되는 직접 통신 링크(330)를 위한 링크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프로파일은 403 단계에서 SE 계층(280)이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송수신 단말(110, 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s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SE 계층(280)은 40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QoS 요구사항을 AS 계층(2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PQI(PC5 5QI)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 타입이 복수개의 QoS 요구사항을 요청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의 서비스 타입이 복수개의 PQI 값과 맵핑될 수 있다. 또한, SE 계층(280)은 각 PQI 값에 QFI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한 PQI 값에 대해 (예를 들면, PQI#3) 서비스 타입이 다를 경우, 다른 QFI 값(예를 들면, QFI#3과 QFI#4)를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도 4dc에 도시된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한 PQI 값에 대해 (예를 들면, PQI#3) 서비스 타입이 달라도 동일한 QFI 값(예를 들면, QFI#3)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도 4dd에 도시된다.
SE 계층(280)이 생성하고 관리하는 링크 프로파일은 직접 통신 링크와 연관된 PQI 값, 각 PQI 값에 대응하는 QFI 값, 각 PQI 값에 대응하는 서비스 타입, 각 QFI 값에 대응하는 서비스 타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될 단말(110) 자신의 레이어-2 ID를 결정하고 스스로 할당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SE 계층(280)이 생성하고 관리하는 링크 프로파일에 단말(110) 자신의 레이어-2 ID를 저장할 수 있다. 아래는 406 단계에서 SE 계층(280)이 생성한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해당 링크 프로파일은 링크 ID로 지칭될 수 있다.
-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415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415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 단말(110)의 레이어-2 ID (단말이 스스로 할당한 레이어-2 ID)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ID (예를 들면, 도 3의 310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 (예를 들면, 도 3의 312, 314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PQ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F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 PQI, QFI 간 맵핑 정보
SE 계층(280)은 유니캐스트 링크 설정을 위한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는 40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ID', '서비스 타입',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직접 통신 링크를 지칭하는 '링크 ID', 직접 통신 링크가 제공해야 할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 'PQI', 'QFI', 송신 단말(110)의 '레이어-2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는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 직접 통신 링크를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ID (예를 들면, 도 3의 310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 (예를 들면, 도 3의 312, 314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PQ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F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 PQI, QFI 간 맵핑 정보
SE 계층(280)은 생성한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MAC 헤더에 포함될 소스 레이어-2 ID와 목적지 레이어-2 ID를 결정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소스 레이어-2 ID로 단말(110)이 스스로 할당한 레이어-2 ID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레이어-2 ID는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된 단말(110)의 레이어-2 ID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SE 계층(280)은 목적지 레이어2-ID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표 1]의 V2X 서비스 정책 파라미터를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1]의 'The mapping of default Destination Layer-2 ID(s) for initial signaling to establish unicast connection and the V2X services, e.g. PSID or ITS-AIDs of the V2X application'를 기반으로 목적지 레이어-2 ID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레이어-2 ID는 400 단계에서 주변 단말(115, 120, 125)이 결정한 목적지 레이어-2 ID와 동일한 값일 수 있다.
SE 계층(280)은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AS 계층(200)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AS 계층(200)에 전달되는 정보는 상기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 메시지의 소스 레이어-2 ID, 메시지의 목적지 레이어-2 ID, 링크 ID, PQI 값, QFI 값, PQI와 QFI 간 맵핑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면, PC5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종류(예를 들면, 시그널(제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아래는 SE 계층(280)이 AS 계층(200)에 전달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직접 통신 요청(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
- 메시지의 소스 레이어-2 ID
- 메시지의 목적지 레이어-2 ID
- 직접 통신 링크를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PQ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F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 PQI, QFI 간 맵핑 정보
- 통신 모드
- 메시지 종류
AS 계층(200)은 SE 계층(28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직접 통신을 위한 라디오 베어러 (SideLink Radio Bearer, SLRB)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PQI 값에 대해 하나의 QFI 값이 할당되고, 하나의 QFI 값이 하나의 SLRB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FI#5와 SLRB#3). 또는, 서비스 타입이 다른 경우, 동일한 PQI 값에 대해 서로 다른 QFI 값이 할당되고, 여러 QFI 값이 하나의 SLRB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FI#3, QFI4#와 SLRB#2). 또는, 하나의 PQI 값에 대해 하나의 QFI 값이 할당되고, 여러 QFI 값이 하나의 SLRB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FI#1, QFI#2와 SLRB#1). 이러한 예시가 도 4de에 도시된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PQI 값에 대해 하나의 QFI 값이 할당되고, 하나의 QFI 값이 하나의 SLRB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FI#4와 SLRB#3). 또는, 서비스 타입이 달라도 동일한 PQI 값에 대해 하나의 QFI 값이 할당되고, 하나의 QFI 값이 하나의 SLRB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FI#3과 SLRB#2). 또는, 하나의 PQI 값에 대해 하나의 QFI 값이 할당되고, 여러 QFI 값이 하나의 SLRB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FI#1, QFI#2와 SLRB#1). 이러한 예시가 도 4df에 도시된다.
AS 계층(200)은 SE 계층(28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MAC 헤더를 구성할 수 있다. MAC PDU 구성의 예가 도 4dg에 도시된다. MAC PDU 는 MAC 헤더(MAC header)를 포함할 수 있다. MAC 헤더는 SL-SCH 서브 헤더(sub-header)와 R/R/E/LCID/F/L 서브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SL-SCH 서브 헤더(sub-header)는 MAC payload 전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R/R/E/LCID/F/L 서브 헤더는 MAC payload 중 MAC SDU 하나에 순차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도 4dh는 도 4dg에 도시된 SL-SCH 서브 헤더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SL-SCH 서브 헤더는 소스 레이어-2 ID (표 4의 SRC에 해당)와 목적지 레이어-2 ID (표 4의 DST에 해당)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레이어-2 ID와 목적지 레이어-2 ID는 각각 3 octet 또는 2 octet 값의 범위를 갖을 수 있다. AS 계층(200)은 SE 계층(280)으로부터 전달받은 소스 레이어-2 ID를 SL-SCH 서브 헤더의 소스 레이어-2 ID (표 4의 SRC에 해당)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AS 계층(200)은 SE 계층(280)으로부터 전달받은 목적지 레이어-2 ID를 SL-SCH 서브 헤더의 목적지 레이어-2 ID (표 4의 DST에 해당)로 설정할 수 있다.
R/R/E/LCID/F/L 서브 헤더는 서브 헤더가 지칭하는 MAC SDU 의 메시지 종류를 나타내는 논리적 채널 ID(Logical Channel ID, LCID)를 포함할 수 있다. 표 3은 LCID의 예를 나타낸다. AS 계층(200)은 SE 계층(280)으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 종류를 기반으로 LCID 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 종류가 시그널링 메시지를 나타낼 수 경우, LCID를 11100 또는 11101 또는 111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dex LCID values
00000 Reserved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010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which is used for duplication
10101-11011 Reserved
11100 PC5-S messages that are not protected
11101 PC5-S messages "Direct Security Mode Command" and "Direct Security Mode Complete"
11110 Other PC5-S messages that are protected
11111 Padding
AS 계층(200)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MAC 헤더를 구성하고, MAC payload에 SE 계층(280)으로부터 수신한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여 물리 계층(260)을 통해 주변 단말(115, 120, 125)에게 전송할 수 있다(단계 409).
송신 단말(110)의 주변 단말(115, 120, 125)은 송신 단말(110)이 전송한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412). 주변 단말(115, 120, 125)은 단말(115, 120, 125)의 PHY 계층, AS 계층을 거쳐 SE 계층에게 수신한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E 계층은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메시지의 처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가 400 단계에서 단말이 결정한 목적지 레이어-2 ID 주소일 경우, SE 계층은 수신한 메시지가 PC5-S 시그널링 메시지 중 직접 통신 요청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임을 판단할 수 있다. SE 계층은 수신한 메시지의 목적지 레이어-2 ID 주소 또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또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또는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수신한 메시지를 전달할 응용 계층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응용 계층에게 수신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20)의 응용 계층(275)은 수신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서비스 타입',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정보 등을 기반으로 수신한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에 대한 회신을 하기로 결정 결정할 수 있다.
수신한 직접 통신 요청을 승낙하고자 하는 단말(120)의 응용 계층(275)은 412 단계에서 응용 계층(275)이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이하 '서비스 데이터' 내지 '데이터' 와 혼용될 수 있다),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통신 모드(communication mode)'(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그룹캐스트(Groupcast), 유니캐스트(Unicast) 등),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 중 적어도 하나를 SE 계층(285)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 통신의 경우, 서비스 타입은 PSID, ITS-AI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응용 계층(275)이 SE 계층(285)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타입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 계층(275)이 SE 계층(285)에게 제공하는 QoS 요구사항은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일 수 있다. 또한, 응용 계층(275)은 서비스 타입과 그에 맵핑되는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 맵핑 정보를 SE 계층(285)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래는 412 단계에서 응용 계층(275)이 SE 계층(285)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 어플리케이션 ID (예를 들면, 도 3의 315)
-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 (예를 들면, 도 3의 317, 319에 해당)
- 각 서비스 타입에 맵핑되는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
- 통신 모드,
- 송수신 단말(110, 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s.
단말(120)의 SE 계층(285)은 412 단계에서 응용 계층(275)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통신 모드, 서비스 타입 등)를 기반으로 415 단계에서 링크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용 계층(275)으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직접 통신 링크 연결을 필요로 할 경우, SE 계층(285)은 링크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412 단계에서 응용 계층(275)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409 단계에서 송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15).
단말(120)의 SE 계층(285)은 단계 415부터 단계 418의 과정을 통해 생성될 직접 통신 링크(330)를 지칭할 링크 ID (Link Identifier)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SE 계층(285)은 단계 409에서 송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링크 ID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링크 ID는 단말(120)내에서 유일한 값(unique value)으로 할당될 수 있다. SE 계층(285)은 SE 계층(285)이 상기 링크 ID로 지칭되는 직접 통신 링크(330)를 위한 링크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프로파일은 412 단계 내지 409 단계에서 수신한 송수신 단말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s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SE 계층(285)은 직접 통신에서 지원할 PQI를 결정하기 위하여, 412 단계 내지 409 단계에서 수신한 QoS 요구사항을 AS 계층(205)에서 사용될 수 있는 PQI(PC5 5QI)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SE 계층(285)은 409 단계에서 수신한 PQI 값을 이용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직접 통신에서 지원할 PQI에 맵핑되는 QFI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SE 계층(285)은 409 단계에서 수신한 PQI 값과 QFI 의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QFI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과 QoS 요구사항, PQI, QFI의 관계는 406 단계에서 기술한 방법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SE 계층(285)이 생성하고 관리하는 링크 프로파일은 직접 통신 링크와 연관된 PQI 값, 각 PQI 값에 대응하는 QFI 값, 각 PQI 값에 대응하는 서비스 타입, 각 QFI 값에 대응하는 서비스 타입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될 단말(120) 자신의 레이어-2 ID를 결정하고 스스로 할당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SE 계층(285)이 생성하고 관리하는 링크 프로파일에 단말(120) 자신의 레이어-2 ID를 저장할 수 있다. 아래는 415 단계에서 SE 계층(285)이 생성한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해당 링크 프로파일은 링크 ID로 지칭될 수 있다.
-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409 단계 내지 415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409 단계 내지 415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 단말(110)의 레이어-2 ID (409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
- 단말(120)의 레이어-2 ID (415 단계에서 단말이 스스로 할당한 레이어-2 ID)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ID (예를 들면, 도 3의 315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 (예를 들면, 도 3의 317, 319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PQ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F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 PQI, QFI 간 맵핑 정보
SE 계층(285)은 유니캐스트 링크 설정을 위한 직접 통신 응답(Direct Commun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는 412 단계에서 수신한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412 단계 내지 409 단계에서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ID', '서비스 타입',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직접 통신 링크를 지칭하는 '링크 ID', 직접 통신 링크가 제공해야 할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 'PQI', 'QFI', 단말(110)의 '레이어-2 ID', 단말(120)의 '레이어-2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는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 직접 통신 링크를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ID (예를 들면, 도 3의 315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타입 (예를 들면, 도 3의 317, 319에 해당)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oS 요구사항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PQ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F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 PQI, QFI 간 맵핑 정보
SE 계층(285)은 생성한 직접 통신 응답(Direct Commun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MAC 헤더에 포함될 소스 레이어-2 ID와 목적지 레이어-2 ID를 결정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소스 레이어-2 ID로 단말(120)이 스스로 할당한 레이어-2 ID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레이어-2 ID는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된 단말(120)의 레이어-2 ID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SE 계층(285)은 목적지 레이어2-ID로 409 단계에서 수신한 직접 통신 요청 메시지의 소스 레이어-2 ID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레이어2-ID는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된 단말(110)의 레이어-2 ID 값과 동일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AS 계층(205)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AS 계층(205)에 전달되는 정보는 상기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 메시지의 소스 레이어-2 ID, 메시지의 목적지 레이어-2 ID, 링크 ID, PQI 값, QFI 값, PQI와 QFI 간 맵핑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면, PC5 유니캐스트), 메시지 종류(예를 들면, 시그널(제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아래는 SE 계층(285)이 AS 계층(205)에 전달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직접 통신 응답(Direct Communication Response) 메시지
- 메시지의 소스 레이어-2 ID
- 메시지의 목적지 레이어-2 ID
- 직접 통신 링크를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PQ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QFI 값
- 직접 통신 링크가 지원하는 서비스 타입, PQI, QFI 간 맵핑 정보
- 통신 모드
- 메시지 종류
AS 계층(205)은 SE 계층(285)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직접 통신을 위한 라디오 베어러 (SideLink Radio Bearer, SLRB)를 관리할 수 있다. SLRB 관리 및 SLRB와 QFI, PQI의 관계는 406 단계에서 기술한 방법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AS 계층(205)은 SE 계층(285)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MAC 헤더를 구성할 수 있다. MAC 헤더의 구성 방법은 406 단계에서 기술한 방법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AS 계층(205)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MAC 헤더를 구성하고, MAC payload에 SE 계층(285)으로부터 수신한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를 포함하여 물리 계층(265)을 통해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단계 418).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10)의 SE 계층(280)은 수신한 메시지의 목적지 레이어-2 ID 주소 또는 논리적 채널 ID (Logical Channel ID, LCID) 또는 AS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예를 들면, PC5-S 시그널링 메시지를 나타내는 지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PC5-S 시그널링 메시지임을 판단하고, 수신한 메시지를 다음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수신한 메시지가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직접 통신 링크 연결이 설정되었음을 응용 계층(270)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단말(110)의 SE 계층(280)은 연결된 직접 통신 링크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링크 ID, QFI 등)를 함께 응용 계층(270)에게 알릴 수 있다. 아래는 SE 계층(285)이 응용 계층(270)에 전달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직접 통신 연결 설정 완료 indication
- 직접 통신을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이 지원하는 QFIs
- QFI와 QoS 요구사항의 맵핑 정보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418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또한, SE 계층(280)은 연결 설정이 완료된 직접 통신 링크 정보(예를 들면, 링크 ID, QFI 정보)를 AS 계층(200)에게 알릴 수 있다. 아래는 SE 계층(280)이 AS 계층(200)에 전달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AS 계층(200)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 향후 직접 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 직접 통신 연결 설정 완료 indication
- 직접 통신을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이 지원하는 QFIs
- QFI와 PQI의 맵핑 정보
- 단말(110)의 레이어-2 ID
- 단말(120)의 레이어-2 ID
SE 계층(280)은 수신한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 정보를 기반으로 406 단계에서 생성한 링크 프로파일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18 단계에서 수신한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의 목적지 레이어-2 ID를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418 단계에서 수신한 직접 통신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면,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 'PQI', 'QFI' 정보 등)가 406 단계에서 생성한 링크 프로파일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링크 프로파일 정보를 418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절차를 도시한다.
도 4b을 참고하면, 단말(110)과 단말(120)은 도 4a에서 전술한 절차를 통해 직접 통신 링크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단말(110, 120)은 직접 통신 링크 연결 설정 과정 중 링크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직접 통신 링크에 사용될 단말(110, 120)의 레이어-2 ID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120)은 421 단계에서 도 4a 절차를 통해 생성된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지 레이어-2 ID (Destination Layer-2 ID) 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목적지 레이어-2 ID는 해당 링크 프로파일에 포함된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110)의 응용 계층(270)은 424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이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데이터가 전송될 직접 통신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ID', 데이터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통신 모드(communication mode)'(예를 들면, 브로캐스트, 그룹캐스트, 유니캐스트 등),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PQI',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QFI' 중 적어도 하나를 SE 계층(2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424 단계에서 수신한 링크 ID와 연관된 링크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424 단계에서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소스 레이어-2 ID와 목적지 레이어-2 ID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레이어-2 ID는 링크 ID와 연동된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된 단말(110)의 레이어-2 ID로 결정할 수 있다. 목적지 레이어-2 ID는 링크 ID와 연동된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된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결정할 수 있다(427 단계).
SE 계층(280)은 424 단계에서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QFI를 결정할 수 있다(427 단계). 예를 들면, SE 계층(280)은 424 단계에서 수신한 QFI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SE 계층(280)은 424 단계에서 수신한 PQI와 대응되는 QFI를 결정할 수 있다. PQI와 대응되는 QFI 결정하기 위하여 SE 계층(280)은 단말에 미리 설정된 정보 내지 링크 ID와 연결된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PQI와 QFI의 맵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SE 계층(280)은 424 단계에서 수신한 QoS 요구사항과 대응되는 QFI를 결정할 수 있다. QoS 요구사항과 대응되는 QFI 결정하기 위하여 SE 계층(280)은 단말에 미리 설정된 정보 내지 링크 ID와 연결된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QoS 요구사항과 QFI의 맵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424 단계에서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427 단계에서 결정한 '소스 레이어-2 ID' 및 '목적지 레이어-2 ID', 'QFI', 해당 직접 통신 링크와 관련된 '링크 ID', 통신 모드(예를 들면, PC5 unicast), 메시지 종류(예를 들면, 데이터(User Plane)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AS 계층(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아래는 SE 계층(280)이 AS 계층(200)에 전달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 직접 통신을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이 요구하는 QFI
- 직접 통신이 요구하는 PQI
- 직접 통신이 요구하는 QFI와 PQI의 맵핑 정보
- 소스 레이어-2 ID (즉, 단말(110)의 레이어-2 ID)
- 목적지 레이어-2 ID (즉, 단말(120)의 레이어-2 ID)
- 통신 모드
- 메시지 종류
AS 계층(200)은 SE 계층(28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MAC 헤더를 구성할 수 있다. MAC 헤더의 구성 방법은 406 단계에서 기술한 방법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MAC 헤더의 소스 레이어-2 ID는 427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11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MAC 헤더의 소스 레이어-2 ID는 427 단계에서 수신한 링크 ID를 참조하여, AS 계층(200)이 도 4a 절차에서 저장한 링크 ID와 맵핑되는 단말(11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MAC 헤더의 목적지 레이어-2 ID는 427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MAC 헤더의 목적지 레이어-2 ID는 427 단계에서 수신한 링크 ID를 참조하여, AS 계층(200)이 도 4a 절차에서 저장한 링크 ID와 맵핑되는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AS 계층(200)은 427 단계에서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QFI를 결정할 수 있다. QFI는 427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예를 들면, QFI) 내지 427 단계에서 수신한 정보(예를 들면, 링크 ID)와 도 4a 절차에서 AS 계층(200)이 저장하고 있는 정보의 조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AS 계층(200)은 427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 종류(예를 들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LCID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메시지에 사용되는 논리적 채널 아이디 값은 시그널링 메시지에 사용되는 논리적 채널 아이디 값과 다른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CID는 메시지가 전송되는 QFI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SDAP 헤더 및/또는 MAC 헤더에는 메시지를 전송할 QFI를 나타낼 수 있는 값, 링크 ID를 나타낼 수 있는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AS 계층(200)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MAC 헤더를 구성하고, MAC payload에 SE 계층(280)으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하여 물리 계층(260)을 통해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단계 43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120)의 AS 계층(205)은 수신한 메시지의 SDAP 헤더 및/또는 MAC 헤더에 포함된 정보 (예를 들면, 논리적 채널 아이디 등)에 기초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메시지임을 판단할 수 있다. AS 계층(205)은 수신한 메시지를 SE 계층(285)에게 전달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수신한 메시지의 링크 ID 및/또는 목적지 레이어-2 ID 및/또는 QFI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전술한 절차로 생성된 직접 통신 링크를 위한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SE 계층(285)은 AS 계층(205)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예를 들면, SDAP 헤더, MAC 헤더 등) 를 기반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메시지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SE 계층(285)은 수신한 메시지의 링크 ID 및/또는 목적지 레이어-2 ID 및/또는 QFI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메시지의 서비스 타입 내지 어플리케이션 ID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SE 계층(285)은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해당하는 응용 계층(275)의 어플리케이션(315) 내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317 내지 319)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SE 계층(285)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와 연관된 직접 통신 링크 정보(예를 들면, 링크 ID, 서비스 타입, 어플리케이션 ID 등)를 응용 계층(275)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통신 링크의 업데이트 절차를 도시한다.
도 4c을 참고하면, 단말(110)과 단말(120)은 도 4a에서 전술한 절차를 통해 직접 통신 링크 연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단말(110, 120)은 직접 통신 링크 연결 설정 과정 중 링크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직접 통신 링크에 사용될 단말(110, 120)의 레이어-2 ID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120)은 421 단계에서 도 4a 절차를 통해 생성된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지 레이어-2 ID (Destination Layer-2 ID) 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목적지 레이어-2 ID는 해당 링크 프로파일에 포함된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110)의 응용 계층(270)은 43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이 생성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데이터가 전송될 직접 통신 링크를 나타내는 '링크 ID', 데이터 종류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Service type)',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통신 모드(communication mode)'(예를 들면, 브로캐스트, 그룹캐스트, 유니캐스트 등),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application layer user identifier),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QoS 요구사항'(QoS requirements),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PQI',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QFI' 중 적어도 하나를 SE 계층(2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SE 계층(480)은 433 단계에서 응용 계층(270)으로부터 수신한 송신 단말(11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및/또는 수신 단말(120)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저장하고 있는 링크 프로파일이 존재할 경우, SE 계층(280)은 단말(110)이 단말(120)과 미리 설정한 직접 통신 링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SE 계층(280)은 새로운 직접 통신 링크를 연결하지 않고, 기존에 설정된 직접 통신 링크를 재활용할 것을 결정하고, 도 4b에 도시된 링크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436 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경우,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별로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단말(120)과 맺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생성되고,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경우, 단말(110)은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단말(120)과 맺을 수 있다. 즉,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공유하고,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응용 계층 사용자 ID 가 모든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경우, 단말(110)과 단말(120) 사이에는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를 맺고, 하나의 직접 통신 링크 상에서 단말(110)과 단말(120)이 지원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E 계층(480)은 433 단계에서 수신한 서비스 타입이 링크 ID에 연관된 링크 프로파일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및/또는 QoS 요구사항과 맵핑되는 PQI 및/또는 QFI가 링크 ID에 연관된 링크 프로파일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링크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436 단계).
SE 계층(280)은 도 4a에서 기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433 단계에서 수신한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PQI 및/또는 새로운 QFI 를 결정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링크 업데이트 요청 (Link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링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는 링크 ID, SE 계층(280)이 결정한 새로운 PQI, 새로운 QFI, PQI와 QFI의 맵핑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SE 계층(280)은 링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도 2b에서 기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소스 레이어-2 ID 및 목적지 레이어-2 ID를 결정할 수 있다.
SE 계층(280)은 '링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436 단계에서 결정한 '소스 레이어-2 ID' 및 '목적지 레이어-2 ID', 해당 직접 통신 링크와 관련된 '링크 ID', 통신 모드(예를 들면, PC5 unicast), 메시지 종류(예를 들면, PC5-S 시그널링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AS 계층(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아래는 SE 계층(280)이 AS 계층(200)에 전달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 링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 직접 통신을 지칭하는 링크 ID
- 직접 통신이 요구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 ID
- 직접 통신이 요구하는 추가 QFI
- 직접 통신이 요구하는 추가 PQI
- 직접 통신이 요구하는 추가 QFI와 추가 PQI의 맵핑 정보
- 소스 레이어-2 ID (즉, 단말(110)의 레이어-2 ID)
- 목적지 레이어-2 ID (즉, 단말(120)의 레이어-2 ID)
- 통신 모드
- 메시지 종류
AS 계층(200)은 SE 계층(28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MAC 헤더를 구성할 수 있다. MAC 헤더의 구성 방법은 406 단계에서 기술한 방법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MAC 헤더의 소스 레이어-2 ID는 436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11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MAC 헤더의 소스 레이어-2 ID는 427 단계에서 수신한 링크 ID를 참조하여, AS 계층(200)이 도 4a 절차에서 저장한 링크 ID와 맵핑되는 단말(11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MAC 헤더의 목적지 레이어-2 ID는 436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MAC 헤더의 목적지 레이어-2 ID는 436 단계에서 수신한 링크 ID를 참조하여, AS 계층(200)이 도 4a 절차에서 저장한 링크 ID와 맵핑되는 단말(120)의 레이어-2 ID로 설정될 수 있다.
AS 계층(200)은 436 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 종류(예를 들면,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LCID를 결정할 수 있다. 시그널링 메시지에 사용되는 논리적 채널 아이디 값은 데이터 메시지에 사용되는 논리적 채널 아이디 값과 다른 값이 사용될 수 있다.
AS 계층(200)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MAC 헤더를 구성하고, MAC payload에 SE 계층(280)으로부터 수신한 링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여 물리 계층(260)을 통해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단계 439).
링크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20)의 AS 계층(205)은 수신한 메시지의 MAC 헤더의 논리적 채널 아이디에 기초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시그널링 메시지임을 판단할 수 있다. AS 계층(205)은 수신한 메시지를 SE 계층(285)에게 전달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수신한 메시지의 링크 ID 및/또는 목적지 레이어-2 ID 및/또는 QFI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전술한 절차로 생성된 직접 통신 링크를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SE 계층(285)은 메시지의 LCID를 기반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시그널링 메시지임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120)의 SE 계층(285)은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새로운 QoS 정보 (예를 들면, QoS 요구사항, PQI, QFI 등)를 링크 ID와 연동된 링크 프로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SE 계층(285)은 변경된 QoS 정보를 응용 계층(275)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SE 계층(285)은 직접 통신 링크의 링크 ID 및 해당 직접 통신 링크 관련 변경된 QoS 정보를 AS 계층(205)에게 전달할 수 있다. AS 계층(205)은 수신한 링크 ID로 지칭되는 저장하고 QoS 정보(예를 들면, 새로운 PQI 및 그에 대응되는 QFI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향후 직접 통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는 이동통신 시스템(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엔티티는 송수신부(500), 제어부(510) 및 저장부(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통신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의 송수신부(500), 제어부(510) 및 저장부(5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500), 제어부(510) 및 저장부(52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50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수신부(506)와 네트워크 엔티티의 송신부(503)를 통칭한 것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50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500)의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송수신부(50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50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510)로 출력하고, 제어부(5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52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20)는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10)는 송수신부(500)를 통해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처리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부(50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 115, 120, 125)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일 수 있다. 단말은 송수신부(550), 제어부(560) 및 저장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단말의 송수신부(550), 제어부(560), 및 저장부(57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550), 제어부(560), 및 저장부(57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550)는 단말의 수신부(556)와 단말의 송신부(553)를 통칭한 것으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5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55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55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55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560)로 출력하고, 제어부(5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57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7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7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6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60)는 송수신부(550)를 통해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60)는 처리한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부(55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190051783A 2019-04-23 2019-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24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5394 WO2020218857A1 (en) 2019-04-23 2020-04-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152860.5A EP4195863A1 (en) 2019-04-23 2020-04-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856,491 US11483734B2 (en) 2019-04-23 2020-04-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210926920.0A CN115460571A (zh) 2019-04-23 2020-04-23 由无线通信系统中的第一终端或第二终端执行的方法
EP20794955.3A EP3942896B1 (en) 2019-04-23 2020-04-2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080030621.8A CN113728722B (zh) 2019-04-23 2020-04-23 用于提供无线通信系统中的直接通信服务的装置和方法
US17/971,024 US11856445B2 (en) 2019-04-23 2022-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80 2019-04-23
KR20190047280 2019-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27A true KR20200124127A (ko) 2020-11-02

Family

ID=7339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783A KR20200124127A (ko) 2019-04-23 2019-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24127A (ko)
CN (1) CN113728722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9154B2 (en) * 2015-01-19 2017-07-0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rect communication using a PC5 protocol
CN107645710A (zh) * 2016-07-20 2018-01-3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v2x业务的传输方法
CN107995605B (zh) * 2016-10-27 2020-07-10 工业和信息化部电信研究院 一种移动通信系统及终端直通单播发送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28722A (zh) 2021-11-30
CN113728722B (zh)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4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communication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520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communications in 5G system
US10880799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fronthaul interface, method for performing access for a U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ndover for a UE, data forward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1026311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QoS Flow 기반으로 브로드캐스트와 그룹캐스트를 통한 단말 대 단말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US111847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one-to-one communic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183920A1 (en) Quality of service support for sidelink relay service
US116381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handover, and encryption control of a UE
US20220070732A1 (en) Management of backhaul bearer for control plane signaling transmissions
CN113573355B (zh) 通信方法和装置
CN115280897A (zh) 用于移动通信系统中mbs配置和接收的方法和装置
KR102436667B1 (ko) 네트워크에 의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u 세션 연결의 업데이트 방안
CN114557093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分配资源的装置和方法
EP37503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uplicated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03455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2412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4191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2484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autonomous retransmission considering reactivated configured grant
US20230262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unstructured pdu session types
KR202001316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199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