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108A -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 Google Patents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108A
KR20200124108A KR1020190047568A KR20190047568A KR20200124108A KR 20200124108 A KR20200124108 A KR 20200124108A KR 1020190047568 A KR1020190047568 A KR 1020190047568A KR 20190047568 A KR20190047568 A KR 20190047568A KR 20200124108 A KR20200124108 A KR 2020012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valuation
suitability
medical dev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4566B1 (en
Inventor
구윤서
오상하
공현중
유보람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66B1/en
Publication of KR2020012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performed by using a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The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selects an evaluation target device from pre-stored virtual content based on a user input, loads a peripheral device mapp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from the virtual content, presents combined content which combine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in a virtual space to a user, and derives a use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fo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based on user motion sensed by sensing the user motion for the combined content.

Description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의료기기의 제품 제작 전에 의료기기가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설계 및 개발 되었는지를 평가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whether a medical device is designed and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a user before manufacturing a product of the medical device.

수술도구, 진단기기, 판독기기나 환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의료 기기가 개발되는 과정에서, 새로 개발된 의료기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기능 검사,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안전 검사,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할 사용자가 사용 방식을 잘 인식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및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등이 실시된다.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urgical tools, diagnostic devices, reading devices, or medical devices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patients, functional tests of whether the functions of newly developed medical devices are operating normally, and whether the user can safely use the medical devices A safety check for the medical device, and the suitability evaluation for whether the user who will use the medical device is well aware of the way of use and whether it can be used in the correct way and conveniently can be used.

이 중 사용적합성 평가는 현재, 의료기기의 실물 샘플이 완성되면, 해당 의료기기가 사용될 임상 환경과 유사한 시험 환경에 설치된 뒤,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 해당 의료기기를 의료인들이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적합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Among them, use suitability evaluation is currently conducted when a physical sample of a medical device is completed, the medical device is installed in a test environment similar to the clin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medical device will be used, and then the medical device is used by medical professionals under various scenarios. Are doing.

도 1을 참조하면, 의료기기가 수술 시에 사용되는 장비일 경우, 수술실과 유사한 수술환경에 의료기기를 설치하여 의료인이 사용해보도록 하고, 진단이나 판독에 사용되는 경우 진단이 이루어지는 진찰실 또는 판독이 이루어지는 모니터링 실 등의 환경을 마련한 뒤, 해당 환경에서 의료인이 사용해 본 뒤, 사용시 발생한 오류를 기재하여 그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의료기기 제품에 반영하여, 수정하는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평가의 한 예를 아래의 표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Referring to FIG. 1, when a medical device is a device used during surgery, a medical device is installed in a surgical environment similar to an operating room so that a medical person can use it, and when it is used for diagnosis or reading, a diagnosis room or reading is performed. After preparing an environment such as a monitoring room, a medical professional uses it in the environment, and then describes the error that occurred during use, performs the evaluation, reflects it on the medical device product, and corrects it. An example of such an evaluation can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table below,

작업work 참가자Participant 상세내용Detail 치과용 진료대에 기구 연결Connecting instruments to the dental table SUBJECT 1SUBJECT 1 호스 모양이 비슷하여 핸드피스용 아울렛에 핸드피스 대신 다른 기구를 연결함. 이 후 핸드피스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보고 호스가 잘못 꽂힌 것을 확인 후 재 연결함The hose is similar in shape, so other instruments are connected to the handpiece outlet instead of the handpiece. After seeing that the handpiece does not work, reconnect after checking that the hose is incorrectly inserted. SUBJECT 2SUBJECT 2 출수 기구 연결 시 고정을 위한 고정핀을 제대로 꽂지 않음. 이 후 물이 새는 것을 발견 후 고정 핀을 잘못 꽂은 것을 인지하고 다시 연결함When connecting the water outlet, the fixing pin for fixing is not properly inserted. After discovering that water is leaking, reconnecting after recognizing that the fixing pin was incorrectly inserted 진료대 및 기구 종료 Termination of treatment tables and equipment SUBJECT 3SUBJECT 3 본체의 조명등 스위치를 전원스위치로 오인하여 한번 누름. 전원이 종료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조명등 버튼 임을 인지하고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종료함.Press the light switch on the main unit as a power switch and press it once. After confirming that the power is not turned off, recognize that it is a light button and turn off the power using the power switch. SUBJECT 4SUBJECT 4 SUBJECT 5SUBJECT 5

치과용 진료대에 기구를 연결하여 진료 환경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경우, 참가자 SUBJECT 1은 해당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핸드피스 및 타 기구들을 연결했으나, 핸드피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바로 인지하여 핸드피스 연결 튜브를 다시 제대로 연결한 것을 기재한 것이며, 다른 참가자 SUBJECT 2 역시 출수기를 연결했는데 고정 핀을 제대로 꽂지 않아서 물이 새는 것을 확인하고 재 연결한 것을 기재한 것이다. 실제 진료 환경에서 이러한 오연결이 이루어져 진료가 지연되거나 장비가 잘못 작동되면, 환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적합성 평가의 참가자에 의해 오연결이 자주 나타났다면, 진료대와 기구의 연결에 관한 안내 표시가 충분치 않은 것이므로, User Interface 가독성을 위한 수정이 제품의 sample에 가해져야 한다. 진료대 및 기구 종료 작업의 경우, 장비를 다 사용한 뒤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작업에서 전원 스위치를 눌러, 기기의 전원을 꺼야 하는 상황인데, 다수의 참가자(SUBJECT 3, SUBJECT 4, SUBJECT 5)가 조명등 스위치를 전원스위치로 오인하여 누르게 된 결과가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것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역시 조명등 스위치가 전원스위치로 오인되지 않도록 하는 수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제품의 sample에 적용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equipment used in a medical environment by connecting an instrument to a dental treatment table, participant SUBJECT 1 connected the handpiece and other instruments to use the equipment, but immediately recognized the handpiece after confirming that the handpiece was not working properly. It was described that the piece connection tube was properly connected again, and the other participant SUBJECT 2 also connected the water outlet, but the fixing pin was not properly inserted, so that the water leak was confirmed and reconnected. If such a misconnection occurs in the actual medical treatment environment and the treatment is delayed or the equipment is operated incorrectly, it may have a fatal effect on the patient. Therefore,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eatment table and the equipment is frequently found by participants in the suitability evaluation, Since the guide display is not enough, corrections for the user interface readability must be applied to the sample of the product. In the case of shutting down the treatment table and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device by pressing the power switch in the work to turn off the power after the equipment is used up.Many participants (SUBJECT 3, SUBJECT 4, SUBJECT 5) switch off the lights. Here is an example of the result of misrecognizing the power switch and pressing it through the result of the suitability evaluation. In this case, it is also necessary to modify the lighting switch so that it is not mistaken as a power switch, and this must be applied to the product sample.

그러나, 현재의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의 경우, 실물 sample을 제작한 후 평가의 수정사항을 반영해 재생산이 이루어져야 해서, 의료기기를 생산하는 기업의 시간적, 경제적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데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며, 물리적으로 해당 환경 내에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해서 병원을 포함한 여러 기관에 걸쳐서 평가가 필요한 경우, 여러 기관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적합성 평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지럼증을 갖고 있는 환자나 녹내장을 갖고 있는 환자가 사용하게 될 의료기기의 경우, 사용적합성 평가를 실시하는 의료인과 어지럼증 환자나 녹내장 환자의 주변 환경 인지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정확한 사용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웠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urrent us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a real sample must be produced and then reproduced by reflecting the revisions in the evaluation, which may cause time and economic damage to the companies that produce medical devices. In addition, costs are incurred for artificially configur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use environment, and if evaluation is required across several institutions including hospitals because the evaluation must be performed physically within the environment, it cannot be conducted simultaneously at several institutions. Therefore, it may take a lot of time to evaluate the suitability for u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medical devices that are to be used by patients with dizziness or glaucoma, accurate assessment of suitability for use is not possible because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patients with dizziness or glaucoma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dical personnel performing the suitability evaluation. It was difficult to achiev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894455호, 공고일자 2018년 09월 04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94455, Announcement Date September 04, 2018.

본 발명은, 의료기기가 실제 환경에서 적합하게 사용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물 sample을 제작하지 않은 채, 3차원 가상 현실 장치를 이용해 평가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erforming an evaluation using a 3D virtual reality device without producing a real sample and deriving a result in order to verify whether a medical device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be appropriately used in an actual environ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 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포함한다.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performed using 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n evaluation target device from among pre-stored virtual contents based on a user input, and Loading a peripheral device mapp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mong contents, presenting a combined content that combine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into a virtual space to a user, and sensing and sensing a user's motion on the combined content An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a medical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deriving a result of evaluating the suitability for use of the device to be evaluated based on the user's operation.

상기 평가 방법은,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사용될 상기 가상공간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valu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virtual space in which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to be used based 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whe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elected.

또한, 상기 평가 방법은, 상기 가상공간이 사용자의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선택을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virtual space based on a user's selection of the virtual space.

또한, 상기 평가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환경 속성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을 상기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based on a user's input, and reflecting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to the presented combined content.

이때,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은 정상, 어지럼증, 녹내장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two of normal, dizziness, and glaucoma.

또한, 제시되는 상기 결합 컨텐츠 내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때의 사용 순서에 관한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usage scenario related to a usage order when the user use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presented combined content.

또한, 상기 평가 방법에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를 보면서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 정해진 방식과 상이하게 사용한 내용을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valuation method, the step of deriving a usability evaluation result may include displaying the use scenario, and when the user use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the virtual space while viewing the virtual content, a predetermin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tent used differently from the method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이때, 상기 기 정해진 방식은 상기 평가 대상기기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주변기기와의 연결 방식, 상기 사용 시나리오 상에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의 요구되는 작업에 대해 눌러져야 하는 버튼의 3차원상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method may include a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and a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a button to be pressed for a required task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the use scenario. .

또한, 상기 평가 방법에서,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valuation method, the step of storing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 and the step of updating the use scenario, the step of presenting the combined content to the user,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steps to derive can be re-performed.

또한,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상기 주변 기기 및 상기 가상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peripheral device, and the virtual space may be updated.

또한,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도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도출된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방법의 각 단계가 동일한 평가 대상기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외의 복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얻어진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한 뒤, 상기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및 상기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deriving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 the first usability evaluation result derived after it is performed on the user is stored, and each step of the method is performed for the same evaluation target devi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riving a second usability evaluation result obtained after being performed on the user, and then deriving a final usability evaluation result based on the first usability evaluation result and the second usability evaluation result. .

여기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이고,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이고, 상기 결합 컨텐츠는 제 1 결합 컨텐츠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상이한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한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동일한 제 2 결합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상기 제 2 결합 컨텐츠를 동기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기화된 제 1 및 제 2 결합 가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더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Here,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device used by at least two or more users, the user is a first user,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is a first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and the combined content is a first It is combined content, and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second combined content identical to the first combined content to a second user wearing a second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different from the first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and , Synchronizing the first combined content and the second combined content, and in the step of deriving a usability evaluation result for the device to be evaluated, the synchronized first and second combined virtual content By further sensing the second user motion, a final usability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may be derived based on the sensed first user motion and the second user mo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a medical device is stor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a medic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물 샘플(sample)을 제작한 후 평가의 수정사항을 반영해 재생산이 이루어질 필요 없이, 미리 평가를 수행하여, 기기 샘플 제작 전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후속 개발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기기를 생산하는 기업의 시간적, 경제적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using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oducing a real sample, it is not necessary to reproduce by reflecting the modifications of the evalua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subsequent development by reflecting the revised matters, time and economic damages may occur for companies that produce medical devices.

또한, 실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데에 따른 비용의 최소화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만 구비하면, 여러 주체가 신속하게 평가를 진행한 뒤, 그 결과를 취합하여 수정 필요 여부를 도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of artificially configur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actual use environment, and if only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for use of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several subjects can quickly perform the evaluation. After that, the results can be aggregated to derive whether correction is necessary.

뿐만 아니라, 특정의 시청각적 증상을 갖고 있는 환자가 사용하게 될 의료기기의 평가에서도, 해당 환자의 증상을 고려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valuation of a medical device to be used by a patient with specific audiovisual symptoms, since the eval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ymptoms of the patient can be performed, a more accurat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can be made.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의료기기가 사용될 임상 환경과 유사하게 마련된 시험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마련된 가상 공간 컨텐츠 및 사용자가 가상 공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한 양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특정 평가 대상 의료기기 및 이에 대응되는 주변 의료기기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평가 대상 기기를 사용할 사용자의 환경 속성으로서 설정 가능한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가상 공간 컨텐츠 및 가상 기기 컨텐츠들이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결합 컨텐츠 내에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결합 컨텐츠에 사용자 환경 속성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test environment similar to a clinical environment in which a medical device is to be use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space content prepare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spect of a user wearing 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displaying the virtual space cont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virtual content for a selected specific evaluation target medical device and corresponding peripheral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 example that can be set as an environment attribute of a user who will use a specific evaluation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usage scenario is included in a virtual combined content displayed by combining selected virtual space content and virtual devic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by reflecting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on virtual combin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ince it is provided by way of example in order to allow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clear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200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리액션을 센싱하여 사용자 입력으로서 획득하는 입력부(210), 가상(VR, 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20), 제어부(230) 및 가상 현실 컨텐츠나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거나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200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medical devices includes an input unit 210 that senses a user's motion or reaction and obtains it as a user input, a storage unit 220 storing virtual reality (VR) content, and a control unit 230 And a display unit 240 that displays or presents virtual reality content or an image to a user.

입력부(210)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나 관성 센서 등의 사람의 동작 센싱부(도시안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사용자 입력으로서 획득한다. 또한,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시되며 가상 객체를 선택하도록 가상 컨텐츠를 지시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조절패드 및 버튼과 같은 누름부(도시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10 may include a human motion sensing unit (not shown)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or an inertial sensor, and senses a user's motion to obtain a user input. In addition, the input unit 210 is presented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and may include a pressing unit (not shown) such as a control pad and a button for moving a cursor indicating virtual content to select a virtual object.

저장부(220)는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가상의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것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변기기에 관한 가상 주변기기 컨텐츠(224), 평가 대상기기가 사용되어야 하는 사용 공간을 가상공간으로서 제작해놓은 가상공간 컨텐츠(226) 및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게 될 사용자 환경에 관한 사용자 환경 컨텐츠(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 내의 컨텐츠는 3차원의 가상(VR)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20 is a virtual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222 for an evaluation target device, a virtual peripheral device content 224 for a peripheral device that is predefined as necessary to use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used. It may include a virtual space content 226 in which the used space to be used is produced as a virtual space and user environment content 228 related to a user environment in which the device to be evaluated is used. Content in such a storage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virtual (VR) image.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는, 병원의 수술실이나, 판독실, 진단실 등에서 의료인에 의해 사용되는 의료기기에 관한 컨텐츠나, 어지럼증 환자나, 시야가 좁게 보이는 녹내장 환자 등의 생활 보조를 위해 환자의 생활 환경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기는 가정용 의료기기가 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가정용 의료기기로는 혈압계, 혈당계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평가 대상 의료기기는 1인에 의해 사용되는 의료기기나, 2인 이상의 역할 분담에 의해 각각 정해진 동작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일 수 있다.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는 각 종류별로, 그에 대응되는 사용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나리오는 의료기기의 제품이 제작될 때, 의료기기 사용을 위해 참조되는 사용자 매뉴얼의 내용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222 includes contents related to medical devices used by medical personnel in operating rooms, reading rooms, and diagnosis rooms of hospitals, and for assisting life of patients with dizziness or glaucoma with a narrow field of view. Contents related to medical devices used in the environment may be included. The medical device may be a home medical device, and representative home medical devices may include a blood pressure monitor, a blood glucose met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edical device to be evaluated may be a medical device used by one person or a medical device that is used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sharing roles of two or more people.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222 may include a use scenario corresponding to each type. The usage scenario may be based on at least part of the contents of a user manual referenced for use of the medical device when a product of the medical device is manufactured.

주변기기 컨텐츠(224)는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전원 케이블, 네트워크 케이블, 어댑터 등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마다 사용에 필요한 주변기기 컨텐츠(224)가 미리 정의되어 맵핑되어 있을 수 있다.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224 may include content related to a power cable, a network cable, an adapter, etc. required to use the device to be evaluated, and the content of the peripheral device 224 required for use for each content of the device to be evaluated 222 is previously It may be defined and mapped.

가상공간 컨텐츠(226)는 수술실, 진단실, 판독실, 혹은 환자가 거주하는 일반적인 가정집 또는 환자가 생활하는 입원실 등을 가상공간으로 제작하여 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ontents 226 may include contents in which an operating room, a diagnosis room, a reading room, or a general family house in which a patient resides or an inpatient room in which a patient lives, as a virtual space.

사용자 환경 속성(228)은 정상인의 시야 조건, 어지럼증 환자의 흔들리는 화면의 시야조건, 혹은 녹내장 환자와 같이 정상인 보다 보이는 시야범위가 좁은 시야조건에 관한 컨텐츠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228 may include a content attribute related to a viewing condition of a normal person, a viewing condition of a shaking screen of a dizziness patient, or a viewing condition having a narrower viewing range than a normal person, such as a glaucoma patient.

제어부(230)는 컨텐츠 결합부(232) 및 평가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may include a content combining unit 232 and an evaluation unit 236.

컨텐츠 결합부(232)는 저장부(220) 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평가대상 기기 컨텐츠와, 선택된 평가대상 기기 컨텐츠에 따라, 그에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 컨텐츠를 선택하여 로딩하고,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및 주변기기 컨텐츠가 사용될 환경에 해당하는 가상공간 컨텐츠를 선택하여 로딩한 뒤, 선택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주변기기 컨텐츠 및 가상공간 컨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 The content combining unit 232 selects the content of the device to be evaluated selected by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10 from among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content of the peripheral device mapped thereto according to the selected content of the device to be evaluated. After loading,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and the virtual spac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will be used are selected and loaded, and then the selected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and the virtual space content may be combined.

평가부(236)는 가상 결합 컨텐츠를 의료기기 평가 장치(예를 들면, 가상 현실 장치)의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시되는 사용 시나리오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이나 리액션을 기초로 입력부(21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값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져 있는 올바른 사용에 관한 동작이나 리액션 값과 대비하여, 평가 대상 의료기기에 대해 사용자가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했는지에 관한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했는지에 관한 판단 기준의 일예로서, 진료대와 기구의 연결 위치 시비, 요구되는 작업(예를 들면, 조명등이 필요한 상황)을 위해 대응되는 적절한 버튼(조명등 버튼)이 눌러졌는지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진료대와 기구의 연결이 잘못 연결되었거나, 조명등 버튼이 눌러져야 하는 작업 상황에서, 전원오프 버튼이나, 경고음 버튼 등이 눌러진 경우, 평가부에서 어떤 작업 상황에서 어떤 오류를 사용자가 범했는지를 평가하여, 이를 저장부(220) 내에 저장해 둘 수 있다. The evaluation unit 236 transfers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to the input unit 210 based on a user's action or reaction according to a usage scenario presented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of a medical device evaluation device (for example, a virtual reality device). The user input value obtained by this method is received, and an evaluation result regarding whether the user used the medical device to be evaluated in a correct manner is derived by comparing it with a predetermined action or reaction value for correct use. As an example of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was used in the correct way, there are fertilization of the connection location of the treatment table and equipment, and whether the appropriate button (light button) has been pressed for the required operation (e.g., a situation where a light is needed). I can. At this time,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eatment table and the equipment is incorrectly connected, or if the power off button or the beep button is pressed in a working situation where the light button has to be pressed, the evaluation unit will determine what error the user made in what working situation. It may be evalu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제어부(230)는 또한, 속성 반영부(234)나 동기화부(23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attribute reflecting unit 234 and a synchronization unit 238.

속성 반영부(234)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 환경 속성(228) 내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 의료기기의 사용자의 상태가 선택되면, 선택된 속성을 사용자 환경 속성(228)으로부터 로딩하여 결합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특성으로서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상태는 예를 들면, 정상, 어지럼증, 녹내장 중 하나일 수 있다. 정상이 선택된 경우에는, 컨텐츠 결합부(232)에 의해 제작된 가상 결합 컨텐츠의 속성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택된 속성이 어지럼증인 경우에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에 어지럼증 증상 발병시에 환자에게 나타나는 잔상 증상, 예를 들면 잔상효과를 반영할 수 있다. 선택된 속성이 녹내장인 경우에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시되는 가상 결합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시야 범위를 사용자가 볼 수 없도록 검정색으로 마킹하여 제시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state of the evaluation target medical device stored in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228 is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210, the attribute reflecting unit 234 sets the selected attribute to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228. It can be loaded from and reflected as a display characteristic of the combined content. The user's condition may be, for example, one of normal, dizziness, and glaucoma. When normal is selected, the property of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combining unit 232 may be present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as it is. When the selected attribute is dizziness, an afterimage symptom, for example, an afterimage effect, which appears to a patient when the symptom of dizziness occurs, may be reflec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When the selected attribute is glaucoma, the viewing range of at least a part of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presented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may be marked in black so that the user cannot see it.

한편, 결합 컨텐츠에 반영될 사용자 환경 속성은, 사용자가 평가대상 의료기기를 선택하면, 속성 반영부(234)에 의해 평가대상 의료기기 의 종류에 의해 기정해져 있는 사용자 상태가 결정되어 반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지럼증 환자의 생활 보조를 위한 평가대상 의료기기의 경우, 별도의 사용자 선택 없이도,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통해 제시되는 가상 결합 컨텐츠는 잔상 효과가 가미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selects the medical device to be evaluated,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to be reflected in the combined content may be determined and reflected by the attribute reflecting unit 234 to determine a user state predetermined by the type of the medical device to be evaluated.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valuation target medical device for assisting life of a dizziness patient,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presented through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may be displayed with an afterimage effect added without a separate user selection. .

동기화부(238)는 평가 대상 의료기기에 대해 적어도 2인의 사용자가 동시에 각자의 역할대로 동작시켜야 하는 경우, 제 1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서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와, 제 2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서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 간의 시간 및 공간에 따른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시 심장에 전기 충격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장 충격기의 경우, 전극을 연결하여 홀딩한 채로 피수술자에게 부착하여야 하는 의사와, 기기의 출력 버튼을 눌러야 하는 간호사의 두명이 의료기기의 사용자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의료기기가 사용적합성 평가 대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의사의 역할로서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간호사의 역할로서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가 필요하고, 제 1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제 2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에 제시되는 3차원 영상의 동기화가 필수이므로, 결합 컨텐츠를 각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전이나, 제시한 직후 제 1 및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 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unit 238 includes combined content presented by the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worn by the first user when at least two users must simultaneously operate in their respective roles for the medical device to be evaluated,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time and space between combined contents presented by the apparatus 200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a medical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rdiac shock device used to apply an electric shock to the heart during surgery, two medical devices: a doctor who must attach the electrode to the patient while holding it connected, and a nurse who must press the output button of the device. A medical device that may exist as a user of and is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may be subject to use suitability evaluation. In this case, a first user who uses the device to be evaluated as a role of a doctor and a second user who uses the device to be evaluated as a role of a nurse are required, and the first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worn by the first user and , Since it is essential to synchronize the 3D image presented to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the first and second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before or immediately after presenting the combined content to each user 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can be achieved.

동기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센싱하여, 이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동일한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After synchronization is achieved, both the mov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are sensed, their movements are reflected in the same virtual combined content in real time and displayed,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mov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and suitable for use. Evaluation results can also be derived.

디스플레이부(240)는 속성 반영부(234)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may display the combined content in which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determined by the attribute reflector 234 is reflected to the user as a virtual reality image.

이러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HMD(Head Mounted Device) 타입의 가상 현실 장치일 수 있다.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may be a head mounted device (HMD) type virtual reality device.

또한, 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부(220)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명령어 등이 저장될 수 있는 DB(database)나, Flash Ram이나, 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storage unit 220 i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DB (database), Flash Ram, or ROM in which programs or data commands may be stored. Includes.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가상공간 컨텐츠,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주변기기 컨텐츠, 사용자 환경 속성, 사용 시나리오를 포함한 결합 컨텐츠, 사용자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결합 컨텐츠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virtual space content, an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a peripheral device content,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a combined content including a usage scenario, and a combined content reflecting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마련된 가상 공간 컨텐츠(226) 및 가상 공간 컨텐츠(226)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현실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350)를 나타낸다.FIG. 3 illustrates a virtual space content 226 prepare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350 wearing a virtual reality device displaying the virtual space content 226.

사용자(350)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두부에 착용함으로써, 수술실에 관한 가상 공간(310), 진단실에 관한 가상공간(320), 입원실에 관한 가상공간(330), 환자의 거주공간에 관한 가상공간(340)등을 체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가상 공간 컨텐츠(226) 내에서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객체의 움직임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350 wears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200 on a part of the body, for example, on the head, so that the virtual space 310 for the operating room, the virtual space 320 for the diagnosis room, and the virtual space for the hospitalization room 330, can experience the virtual space 340 related to the patient's living space, an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the movement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ser's hand is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content 226 It can be confirm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 및 이에 대응되는 주변기기 컨텐츠(420)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n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410 selected by a user and a peripheral device content 420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저장부(2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 중 특정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대응되는 주변기기 컨텐츠(420)는, 저장부(2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기기 컨텐츠(224) 가운데, 선택된 특정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에 대응되는 주변기기 컨텐츠(420)가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특정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마다, 해당 평가 대상기기의 사용에 필요한 소정 주변기기 컨텐츠(420)가 미리 정의되어 맵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 및 주변기기 컨텐츠(224)는 추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부(220) 내에 저장함으로써, 각 컨텐츠의 선택의 풀을 확장할 수 있다. A specific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410 from among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s 222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of FIG. 2 may be selected by a user. Corresponding peripheral device content 420, of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224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420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410 is 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 200) can be selected automatically. In this case, for each specific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410, a predetermined peripheral device content 420 required for use of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target device may be predefined and mapp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222 and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224 may be additionally produced and upd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to expand the pool of selection of each cont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사용자의 환경으로서 설정 가능한 사용자 환경 속성(228)의 예를 나타낸다.5 shows an example of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228 that can be set as an environment of a user who will use an evaluation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환경 속성(228) 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환경 속성 그룹은, 정상 상태(510), 어지럼증 상태(520), 녹내장으로 인한 시야 좁음 상태(530)등 시각적, 청각적으로 영향을 받는 환자의 여러 가지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사용자 환경은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 선택하여,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는, 평가 대상 의료기기마다, 해당 의료기기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가 맵핑되어 있어, 평가 대상 의료기기가 선택되면, 해당 의료기기에 맵핑되어 있는 사용자 환경 속성이 자동으로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group stored in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228 includes various types of patients who are visually and aurally affected, such as a normal state 510, a dizziness state 520, and a narrow field of view state 530 due to glaucoma. May include symptoms. These user environments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10 and reflected in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On the one hand, for each medical device to be evaluated, the state of the user who mainly uses the medical device is mapped, and when the medical device to be evaluated is selected,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mapped to the medical device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It may be reflected and display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결합 컨텐츠 내에 사용 시나리오가 함께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usage scenario is presented to a user together in a virtual combin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650)가 좌측 그림과 같이, HMD 등의 가상 현실 장치를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장치로서 착용하면, 가상 공간 컨텐츠, 평가대상 기기 컨텐츠(630) 및 주변기기 컨텐츠(640)가 결합된 가상 결합 컨텐츠(610) 내에, 평가대상 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한 사용 시나리오(620)가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 시나리오(620), “탁자 위의 장비를 찾으세요” 및 “선반 위의 전극을 장비와 연결하세요” 등의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탁자 측을 향하여 움직이면, 예를 들어 걸음을 걷거나, 몸을 기울이는 등의 이동 모션을 취하면, 가상 결합 컨텐츠(610)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가 탁자 측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에 근접하게 되면,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 상에 기재된 텍스트나, 로고, 마크 등이 식별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뻗어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를 집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객체가 결합 컨텐츠(610) 내에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사용 시나리오(620)에 따라, 사용자가 선반 측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하면,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주변기기 컨텐츠(640)에 근접하게 되고, 주변기기 컨텐츠(640)의 형태나, 그립부, 그 위에 새겨진, 텍스트나, 로고, 마크, 연결 안내 태그 등이 식별 가능할 정도로 확대되어 제시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뻗어 주변기기 컨텐츠(640)를 집거나 이동시킬 수 있고,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에 연결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650 wears a virtual reality device such as an HMD as 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as shown in the left figure, virtual combined content in which virtual space content,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630 and peripheral device content 640 are combined. In 610, a usage scenario 620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ing the device to be evaluated is presented to the user. The user moves toward the table according to the messages such as usage scenario 620, “Find equipment on the table” and “Connect the electrode on the shelf with the equipment”, for example, walking, When a moving motion such as tilting the body is taken, the user's view of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610 may be changed to approach the tabl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630 in the virtual space, the text, logo, mark, etc. written o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630 can be identified, and the user reaches out his or her hand to be evaluated. Device content 630 can be picked up or moved. In this case,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ser's hand may be displayed in the combined content 610. Thereafter, according to the usage scenario 620, when the user moves to the shelf side, the user approaches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640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shape of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640, the grip part, and the like The text, logo, mark, connection guide tag, etc. engraved on the top are enlarged and presented so as to be identifiable, and the user can reach out and pick up or move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640, and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630 Can be linked to or bound to.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결합 컨텐츠에 사용자 환경 속성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to a user by reflecting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on virtual combin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좌측에 도시된 결합 컨텐츠(710)는 사용자 환경 속성으로서 정상이 선택된 경우이며, 우측에 도시된 결합 컨텐츠(720)는 사용자 환경 속성으로서 어지럼증이 선택된 경우이다. 결합 컨텐츠(720)와 같이, 어지럼증의 사용자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경우 정상인의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결합 컨텐츠(710)에 비해 선명도가 떨어지고, 잔상 효과 등에 의해 시야가 흐릿하게 제공되며, 평가 대상기기나, 주변 대상기기 등 주변 사물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combined content 710 shown on the left is when normal is selected as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and the combined content 720 shown on the right is when dizziness is selected as a user environment property. Like the combined content 720, when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of dizziness is reflected, the clarity is inferior to the combined content 710 in which the environmental attribute of a normal person is reflected, and the field of view is blurred due to an afterimage effect, etc. It may be displayed so that awareness of surrounding objects such as a target device decreas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사용하여,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valuating a suitability for use of a medical device using the apparatus 200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착용하면, 해당 장치를 이용해 의료기기에 대해 사용적합성 평가가 가능한 복수의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이때, 컨텐츠 영상은 가상 현실 영상일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When the user wears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a plurality of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images capable of evaluating the suitability for use of the medical device using the device are presented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content image may be a virtual reality image or a 3D image.

사용자가 이들 중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한 특정 평가대상 기기를 선택하면(S80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선택된 평가대상 기기에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 컨텐츠를 로딩한다(S810). 이때, 사용자는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할 때, 3차원 가상(VR) 영상으로 제시되 있는 복수의 평가 대상기기 중 선택하고자 하는 기기를, 가상 디스플레이 내에서 손에 대응되는 객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평가 대상기기를 가리키는 커서와, 이를 이동시키는 조절패드 및 누름 버튼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evaluation target device for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mong them (S802),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loads the peripheral device content mapped to the selected evaluation target device (S810). In this case, when selecting an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user may select a device to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evaluation target devices presented as a 3D virtual (VR) image by mov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hand in the virtual display. In addition, it may be selected using a cursor pointing to the device to be evaluated, an adjustment pad to move it, and a push button.

또한, 사용자는 선택한 평가 대상기기를 위치시킬 가상공간을 선택한다(S801). 가상공간은 사용자의 판단에 기초해 선택될 수 있고, 또한 평가 대상기기가 주로 사용되는 가상공간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selects a virtual space in which the selected evaluation target device is to be located (S801). The virtual space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user's judgment, and a virtual space in which the device to be evaluated is mainly used is predefined, and thus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apparatus 200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the medical device.

한편, 사용자는 선택한 평가 대상기기를 주로 사용하게 될 사용자가 정상인인지 시청각적으로 증상이 있는 환자인지를 고려하여, 사용자 환경 속성을 선택한다(S803). 이때, 평가 대상기기를 주로 사용할 사용자 타입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 의해 사용자 환경 속성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selects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user who will mainly use the selected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normal person or a patient with audiovisual symptoms (S803). In this case, since a user type that will mainly use the device to be evaluated is predefined,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may be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apparatus 200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the medical device.

다음으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선택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맵핑된 관련 주변기기 컨텐츠, 선택된 가상공간을 결합하여 결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해당 평가 대상기기의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사용자가 따라야 하는 사용 시나리오를 결합 컨텐츠 내에 포함시켜서 결합 컨텐츠를 생성한 뒤,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820). 여기서, 사용 시나리오는 평가대상 기기의 타입이나 종류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사용자 환경 속성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에 반영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환경 속성으로서 어지럼증이 선택된 경우, 결합 컨텐츠의 화면에 잔상 효과를 부가하여, 정상인이 선택된 경우보다 선명도가 떨어지고, 시야의 가시거리가 더 짧거나, 객체 식별력이 떨어지는 화면이 제시될 수 있다.Next,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apparatus 200 generates combined contents by combining the selected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s, the mapped related peripheral device contents, and the selected virtual space, and the user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corresponding evaluation target device for use of the medical device. The combined content is generated by including the usage scenario to be followed in the combined content, and then the combined content is presented to the user (S820). Here, the usage scenario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r type of the device to be evaluated. In addition, the selected user environment attribute may be reflected in the combined content presented to the user and displayed. At this time, when dizziness is selected as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an afterimage effect is added to the screen of the combined content, so that a screen with less clarity, a shorter viewing distance, or a lower object identification ability than when a normal person is selected may be presented. have.

제시된 결합 컨텐츠를 보면서, 사용자는 제시되는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이동하는 모션, 손으로 기기를 잡는 모션 등을 취하고, 가상 현실 장치(200)는 이를 센싱하여, 센싱된 사용자 움직임을 기초로, 평가대상 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830). 이 때,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현재 제작된 가상의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에서 수정이 가해져야 하는 부분, 예를 들면, 출력 버튼의 사용자 식별력을 증가시킬 것 혹은 튜브의 삽입 플러그의 형태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 등을 도출할 수 있다. While viewing the presented combined content, the user takes a motion to move, a motion to hold a device with a hand, etc. according to the presented usage scenario, and the virtual reality device 200 senses it, and based on the sensed user motion, the device to be evaluated A usability evaluation for can be performed (S830). At this time, as a result of the suitability evaluation, the part that needs to be modified in the currently produced virtual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for example, increase the user's identification of the output button or change the shape of the plug inserted in the tube. You can derive what you need.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를 출력하고 저장한다(S840). 이때, 평가 대상기기에 관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순차적이고 누적적인 평가가 필요한 경우, 저장된 평가결과를 다시 로딩하여, 다른 사용자에 대해 단계(S801, S802, S803, S810, S820, S830, S840)를 수행한 뒤, 수행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모두 저장하고, 저장된 결과 모두를 고려하여 적합 여부에 대한 최종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Finally, the evaluation result is output and stored (S840). At this time, whe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requires sequential and cumulative evaluation by a plurality of users, the stored evaluation result is reloaded, and steps for other users (S801, S802, S803, S810, S820, S830, S840) After performing, it is possible to store all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performed, and to output the final evaluation result for conformity by considering all the stored results.

한편, 순서도에서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평가 대상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2인 이상이 각자의 역할을 따라 사용하게 되는 기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때는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가 각각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하고,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중 마스터 역할이 부여된 1인이, 단계(S801 내지 S803)을 수행하면, 단계 S820부터는 각 사용자에게 동일한 가상 결합 컨텐츠가 제공되어, 동일 가상 공간을 체험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적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제 1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제 2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에 제시되는 가상 영상의 동기화가 필수이므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전이나, 제시한 직후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 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low chart, there may be devices that two or more people us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roles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to be evaluated. In this case,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re each device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medical devices. Wearing and, if one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who is assigned the master role, performs steps (S801 to S803), the same virtual combined content is provided to each user from step S820 to experience the same virtual space. Can be done. At this time, for proper evaluation, synchronization of the virtual image presented on the first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worn by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worn by the second user is essential. Synchronization between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s may be achieved before or immediately after the combined content is presented to the user.

그 후,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센싱하여, 이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After that, both the mov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are sensed, their movements are reflected in the virtual combined content in real time and displayed,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 is derived by considering both the movements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You may.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은,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로딩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medical device usabilit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an instruction to perform it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 program may be loaded and executed by a hardware device including a microprocesso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etc.,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see that this 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technical though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
220: 저장부
222: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224: 주변기기 컨텐츠
226: 가상공간 컨텐츠
228: 사용자 환경 속성
230: 제어부
232: 컨텐츠 결합부
234: 속성 반영부
236: 평가부
238: 동기화부
240: 디스플레이부
350, 650: 사용자
610, 710, 720: 가상 결합컨텐츠
200: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220: storage unit
222: Evaluation target device content
224: peripheral device content
226: virtual space content
228: User environment attributes
230: control unit
232: content combining unit
234: attribute reflector
236: evaluation unit
238: synchronization unit
240: display unit
350, 650: user
610, 710, 720: virtual combined content

Claims (14)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 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In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performed using 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Selecting an evaluation target device from pre-stored virtual contents based on a user input;
Loading a peripheral device mapped to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from among the virtual contents;
Presenting to a user combined content by combining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in a virtual space;
And deriving a usability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based on the sensed user motion by sensing a user motion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사용될 상기 가상공간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selecte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irtual space in which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will be used based 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은 사용자의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선택을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medical devic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irtual space based on a user's selection of the virtual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환경 속성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을 상기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a medical device,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user environment attribute based on a user's input, and reflecting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to the presented combined cont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은 정상, 어지럼증, 녹내장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method of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the medical device, wherein the user environment attribute includes at least two of normal, dizziness, and glaucoma.
제 1 항에 있어서,
제시되는 상기 결합 컨텐츠 내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때의 사용 순서에 관한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a medical device, wherein a usage scenario related to an order of use when the user use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included in the presented combined content.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를 보면서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 정해진 방식과 상이하게 사용한 내용을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deriving the results of the suitability evaluation is:
Displaying the usage scenario;
In the case where the user uses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the virtual space while viewing the virtual content, displaying a content used differently from a predetermined method as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해진 방식은 상기 평가 대상기기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주변기기와의 연결 방식, 상기 사용 시나리오 상에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의 요구되는 작업에 대해 눌러져야 하는 버튼의 3차원상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determined method is a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use of a medical device including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a button to be pressed for a required task of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n the use scenario. Conformity assessment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above method,
Storing the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updating the usage scenario,
A method for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a medical device performing the step of presenting the combined content to a user and deriving a result of evaluating suitability for use of the device to be evalu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상기 주변 기기 및 상기 가상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device to be evaluated, the peripheral device, and the virtual space can be upd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도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도출된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방법의 각 단계가 동일한 평가 대상기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외의 복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얻어진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한 뒤, 상기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및 상기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riving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
After being performed on the user, the derived first usability evaluation result is stored, and the second usability obtained after each step of the method is performed for a plurality of users other than the user on the same evaluation target device After deriving an evaluation result, a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riving a final use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based on the first use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and the second use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이고,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이고,
상기 결합 컨텐츠는 제 1 결합 컨텐츠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상이한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한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동일한 제 2 결합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상기 제 2 결합 컨텐츠를 동기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기화된 제 1 및 제 2 결합 가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더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is a device used by at least two or more users,
The user is a first user,
The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is a first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The combined content is a first combined content,
The above method,
Providing the same second combined content as the first combined content to a second user wearing a second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different from the first medical device use suitability evalu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ynchronizing the first combined content and the second combined content,
In the step of deriving a usability evaluation result for the evaluation target device, the first user motion and the second user sensed by further sensing the second user motion with respect to the synchronized first and second combined virtual content A medical device suit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deriving a final use suitability evaluation result for the device to be evaluated based on an operation.
제 1 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3.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use of the medical device is stored.
제 1 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medical device.

KR1020190047568A 2019-04-23 2019-04-23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KR102264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8A KR102264566B1 (en) 2019-04-23 2019-04-23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8A KR102264566B1 (en) 2019-04-23 2019-04-23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08A true KR20200124108A (en) 2020-11-02
KR102264566B1 KR102264566B1 (en) 2021-06-15

Family

ID=7339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68A KR102264566B1 (en) 2019-04-23 2019-04-23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6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5899A2 (en) * 2000-11-14 2002-05-1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Simul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installation and the operation of a medical image diagnostic device
KR20060086668A (en) * 2005-01-2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product evaluation at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20090064634A (en)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ability evaluation system of virtual mobile information appliance and its method
KR20140046197A (en)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씨씨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esture recogni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KR101591300B1 (en) * 2014-10-15 2016-02-04 한국원자력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KR101894455B1 (en) 2017-04-05 2018-09-0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radiology X-ray stud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5899A2 (en) * 2000-11-14 2002-05-1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Simul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installation and the operation of a medical image diagnostic device
KR20060086668A (en) * 2005-01-2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product evaluation at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20090064634A (en)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ability evaluation system of virtual mobile information appliance and its method
KR20140046197A (en)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씨씨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esture recogni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KR101591300B1 (en) * 2014-10-15 2016-02-04 한국원자력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cation human factors of nuclear energy instrument
KR101894455B1 (en) 2017-04-05 2018-09-0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radiology X-ray stud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의료기기 파트 의료기기의 - 2: 사용적합성 엔지니어링 적용에 관한 가이던스".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2017년 11월 공개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566B1 (en)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5184B (en) Guidance for placement of surgical ports
US104384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reality medical training
US11980429B2 (en) Tracking methods for image-guided surgery
US103598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992448B2 (en) Image system and method
US102515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tances from an object
CN110060767A (en) A kind of monitoring method washed one's hands,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4512550A6 (en) Image system and method
CN101511296A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electrodes on a patient body
US20200121195A1 (en) Medical condition sensor
Southworth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mixed reality display for guidance during transcatheter cardiac mapping and ablation
KR102264566B1 (en) 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US10810758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augmentated reality for positioning of ECG electrodes
US9619023B2 (en) Terminal,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munication program
CN110618749A (en) Medical activity auxiliary system based on augmented/mixed reality technology
JP2016066351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073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hemineglect
US20220000558A1 (en) Augmented reality surgery set-up for robotic surgical procedures
CN113811954A (en) Storing and presenting audio and/or visual content of a user
JP2005278942A (en) Contrast sensitivity test support system and program
Seales et al. Surgical Technology Integration with Tools for Cognitive Human Factors (STITCH)
CN115620889A (en) Interaction method, processing device, system, device and medium based on augmented reality
Duchowski et al. System Calib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