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797A -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797A
KR20200122797A KR1020190046002A KR20190046002A KR20200122797A KR 20200122797 A KR20200122797 A KR 20200122797A KR 1020190046002 A KR1020190046002 A KR 1020190046002A KR 20190046002 A KR20190046002 A KR 20190046002A KR 20200122797 A KR20200122797 A KR 2020012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ush plate
brush
companion animal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봉균
김지홍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797A/en
Publication of KR2020012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7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groom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 vacuum cleaner main body with pet hair groomed. As a result, the groomed hair can be removed. The device includes: a housing where an inner space with an open surface is formed and a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internally forming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protrudes on one side surface; a brush plat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hinge-coupled to the housing with a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protruding on a surface facing th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a cleaning grill disposed on th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pass, and hinge-coupled to the brush plate; and a handle formed on the brush plate and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When the brush plate is rotated by the handle,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end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is position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escapes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Description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Pet grooming device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본 발명은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을 그루밍한 털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capable of easily cleaning the hair of the companion animal.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심 및 관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어 반려동물을 위한 기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not only the population raising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but also the attachment and interest for companion animals is increasing day by day, so that many mechanisms for companion animals are being developed.

그루밍은, 반려동물의 털을 브러시를 이용하여 빗질하는 행위와, 반려동물의 털을 깎는 행위를 통틀어 일컫는다.Grooming refers to both the act of combing the pet's hair with a brush and the act of shaving the pet's fur.

상기 그루밍은 양육자 및 반려동물간의 교감증대,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및 집안에 털 날림이 적어지는 여러 장점이 있어, 반려동물의 양육 시 반드시 필요한 행위이다.The grooming has several advantages of increasing sympathy between a caregiver and companion animals, health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less hair fluttering in the house, and thus is an essential activity when raising companion animal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9195호(2017.09.18. 공고)(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반려동물의 털을 깎은 후 집진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깎은 털을 상기 집진기 내로 흡입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그루밍 테이블'이 공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79195 (announced on September 18,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conventional technology') shows that the hair of a companion animal is shaved and then the shaved hair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or using the suction power of a dust collector to clean it. There is a'pet grooming table' that can be used easily.

상기 종래 기술은 테이블 본체 내에 반려동물을 넣은 후, 브러시나 가위 같은 별도의 그루밍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털을 그루밍한다. 이후에, 상기 테이블 본체 내에 쌓인 털을 상기 집진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집진기의 내부로 수거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after the companion animal is placed in the table body, the companion animal's hair is groomed using a separate grooming tool such as a brush or scissors. Thereafter, the hair accumulated in the table body may be coll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collector u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or.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테이블 본체에 상기 브러시나 가위 같은 그루밍 도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상기 집진기가 상기 테이블 본체에 항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루밍 후의 털을 수거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table body is not equipped with a grooming tool such as the brush or scissors, and the dust collector is always connected to the table body, it is used only for collecting hair after grooming. There was a problem.

한편, 일반적인 브러시를 이용해 반려동물을 그루밍하는 경우, 상기 브러시돌기들 사이에 낀 털이나 균이나 박테리아를 제거하는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grooming a companion animal using a general brush, there is also an inconvenient problem in removing hairs, bacteria, or bacteria stuck between the brush projections.

또한, 일반적인 브러시를 이용해 반려동물을 그루밍하는 경우, 상기 브러시돌기들이 반려동물의 피부를 강하게 압박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grooming a companion animal using a general brus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ush protrusions strongly press the skin of the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반려동물의 털을 그루밍한 후 진공청소기 본체에 연결하여, 그루밍한 털을 제거할 수 있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capable of removing the groomed fur by connecting it to a vacuum cleaner body after grooming the companion animal's hai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반려동물의 털을 그루밍한 후 상기 털의 분리가 용이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that facilitates separation of the fur after grooming the fur of the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3 과제는, 그루밍 강도의 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grooming intensity.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는 하우징과 브러시판과 청소그릴과 손잡이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일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브러시판 중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을 향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브러시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청소그릴에는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브러시판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브러시판에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브러시판이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청소그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 중 적어도 일부의 끝단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에 위치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로부터 빠져나온다.Companion animal groo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using, a brush plate, a cleaning grill and a handle. The housing has an inner space with an open surface. A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insid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The brush plate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brush plate facing th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The brush plate is hinged to the housing. The cleaning grill is disposed on on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pass is formed in the cleaning grill. The cleaning grill is hinged to the brush plate. The handle is formed on the brush plate. The handle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When the brush plate is rotated by the handle,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at least some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are locat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escap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mes out.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에서 먼 끝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에서 먼 끝단부가 상기 브러시판의 상기 끝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brush plate may have an end portion far from the vacuum cleaner body connection portion hinged to the housing. The cleaning grill may have an end far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hinged to the end portion of the brush plate.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하우징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브러시판에 상기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brush plate may be hinged to the housing through a hinge shaft. The cleaning grill may be hinged to the brush plate through the hinge shaft.

상기 힌지축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의 돌출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axis may be formed as a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제1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그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판이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될 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A first stopper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When the brush plate is rotated by the handle while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the first stopper may limit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에 가까운 상기 청소그릴의 끝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may be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cleaning grill close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to limit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While the first stopper restricts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the brush plate may be rotatable by the handle.

상기 청소그릴에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판이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된 후,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브러시판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A second stopper may be formed on the cleaning grill. After the brush plate is rotated by the handle while the first stopper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the second stopper may limit the rotation of the brush plate.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브러시판 중 상기 청소그릴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편 면에 접촉되어 상기 브러시판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may contact a surface of the brush plate opposite to a surface facing the cleaning grill to limit rotation of the brush plate.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각각은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가 관통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as long holes.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may pas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각각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상기 브러시판 및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rush plate and the cleaning grill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pened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손잡이는 수직부와 수평부와 절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브러시판에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를 연결할 수 있다.The handle may be composed of a vertical portion, a horizontal portion, and a bent portion. The vertical portion may extend from the brush plate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bent portion may connect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상기 수직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는 UV LED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UV LED는 상기 브러시판 및 상기 청소그릴을 살균할 수 있다.UV LEDs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housing. The UV LED may sterilize the brush plate and the cleaning grill.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는,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털을 그루밍한 후, 진공청소기 본체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를 가동시켜서 흡입력을 생성시키고,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청소그릴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되고, 복수개의 브러시돌기 중 적어도 일부의 끝단은 상기 청소그릴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에 위치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 사이에 낀 그루밍된 털이 상기 청소그릴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털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내로 흡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after the user grooms the pet's hair. Thereafter, whe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is operated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the handle is rotated,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is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t least some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leaning grill. It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or exits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ccordingly, the groomed hairs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are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by the cleaning grill, and the separated hairs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thus, due to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body.

또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 사이에 낀 그루밍된 털이 상기 청소그릴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그루밍된 털의 분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handle is rotated, since the groomed hairs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are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by the cleaning grill,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separation of the groomed hairs.

또한, 상기 청소그릴이 상기 브러시판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의 끝단이 상기 청소그릴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사용자가 그루밍 중에 조절하여 반려동물의 그루밍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grill is hinged to the brush plate,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end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leaning grill can be adjusted by the user during grooming to adjust the grooming intensity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 is also an effec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가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ure 4,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acuum cleaner body;
7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t groo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1)는, 하우징(10)과 브러시판(20)과 청소그릴(30)과 손잡이(40)로 구성될 수 있다.1 to 4, 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housing 10, a brush plate 20, a cleaning grill 30, and a handle 40. have.

하우징(10)은 일면이 개구된 내부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have an inner space 15 with an open surface. The housing 10 may have an inner space 15 with an open bottom surface.

하우징(10)은 하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하면이 개구된 타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0)의 형상은 상기 사각통 형상 및 상기 타원통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n oval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The shape of the housing 10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and the elliptical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cylindrical shape.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의 일측면은 하우징(10)의 개구된 일면과 직교하는 면일 수 있다. 즉, 하우징(10)의 일측면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과 직교하는 면일 수 있다.A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may protrude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Here,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a surface orthogonal to the opened surface of the housing 10. That is,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a surface orthogonal to the opened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형상은 상기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 형상과 같이 다른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hap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cylindrical shape such as a square cylindrical shape.

이하, 하우징(10)의 개구된 일면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하우징(10)의 일측면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과 직교하는 일측면일 수 있다.Hereinafter, one open surface of the housing 10 will be described as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be a side surface orthogonal to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내부에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과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가 진공청소기 본체(2; 도 6 및 도 7 참조)에 연결된 상태일 때, 진공청소기 본체(2)가 작동되면 진공청소기 본체(2)에서 생성된 흡입력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 내의 상기 유로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으로 전달될 수 있고, 내부공간(15)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그루밍된 털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 내의 상기 유로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2) 내로 흡입될 수 있다.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sid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Therefore, whe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is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see FIGS. 6 and 7), whe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is operated,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is It can be transferred to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flow path in the cleaner body connection part 11, and the groomed hair of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inner space 15 is in the vacuum cleaner body connection part 11 It may be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body 2 through the flow path.

브러시판(20)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판(2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rush plate 2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The brush plate 2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브러시판(20)은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판(20)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서 먼 끝단부가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브러시판(20)은 하우징(10)에 힌지축(50)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brush plate 20 may be hinged to the housing 10. The brush plate 20 may be hinged to the housing 10 at an end distal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The brush plate 20 may be hinged 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hinge shaft 50.

브러시판(2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판(20)의 형상은 상기 사각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rush plate 20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The shape of the brush plate 20 is not limited to the square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using 10.

브러시판(20) 중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을 향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의 끝단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보다 아래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중 하우징(10)의 하면으로 돌출된 부분은 반려동물의 털(H)을 그루밍할 수 있다.A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may protrude on a surface of the brush plate 20 facing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may be disposed to protrude below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protruding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may groom the companion animal's hair H.

청소그릴(3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그릴(3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grill 30 may be disposed on an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cleaning grill 3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청소그릴(30)은 브러시판(2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그릴(30)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서 먼 끝단부가 브러시판(20)의 상기 끝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그릴(30)은 브러시판(20)에 힌지축(50)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cleaning grill 30 may be hinged to the brush plate 20. The cleaning grill 30 may be hinged to the end of the brush plate 20 at an end far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The cleaning grill 30 may be hinged to the brush plate 20 through the hinge shaft 50.

힌지축(50)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돌출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shaft 50 may be formed as a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청소그릴(3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그릴(30)의 형상은 사각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leaning grill 30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The shape of the cleaning grill 3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lat cross-section of the housing 10.

청소그릴(30)에는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3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31)을 관통한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의 끝단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pass may be formed in the cleaning grill 30.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복수개의 관통홀(31) 각각은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31)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통홀(31) 각각에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가 관통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may be formed stra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may pas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복수개의 관통홀(31) 각각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복수개의 관통홀(31)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돌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손잡이(40)는 브러시판(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0)는 브러시판(20) 중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서 먼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40)는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40)를 손으로 잡고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을 반려동물의 털에 맞댄 후 손잡이(40)를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돌출 방향으로 당겨서, 반려동물의 털을 그루밍할 수 있다.The handle 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ush plate 20. The handle 4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brush plate 20 far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The handle 4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10. The user holds the handle 40 by hand and touches the open bottom of the housing 10 to the pet's hair, and then pulls the handle 40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or 11 to groom the pet's hair. can do.

손잡이(40)는 수직부(41)와 수평부(42)와 절곡부(43)로 구성될 수 있다.The handle 40 may be composed of a vertical portion 41, a horizontal portion 42, and a bent portion 43.

수직부(41)는 브러시판(20)에서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41)는 하우징(10)의 타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의 타측면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가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10)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방향의 면일 수 있다.The vertical part 41 may extend from the brush plate 20. The vertical part 4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Here,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may be a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housing 10 on which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is protruded.

수평부(42)는 하우징(10)의 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의 타면은 하우징(10)의 개구된 일면과 반대되는 방향의 면으로서, 하우징(10)의 상면일 수 있다. 수평부(42)는 절곡부(43)에서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horizontal portion 4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0. Here,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s a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ed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may be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horizontal portion 42 may extend from the bent portion 43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11.

절곡부(43)는 수직부(41) 및 수평부(42)를 연결할 수 있다. 절곡부(43)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될 수 있다. 절곡부(43)는 하우징(1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43 may connect the vertical portion 41 and the horizontal portion 42. The bent portion 43 may be convexly bent outward. The bent part 43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수직부(41)는 하우징(10)의 타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수평부(42)는 하우징(10)의 타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수평부(42)는 하우징(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평부(42)와 하우징(10)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 손가락을 넣은 후, 수평부(42)를 손으로 감쌀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을 반려동물의 털에 맞댄 후, 수평부(42)를 손으로 잡고 당겨서 반려동물을 그루밍할 수 있다.The vertical part 41 may contact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 The horizontal portion 4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horizontal portion 42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fter inserting a finger in the space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user may wrap the horizontal portion 42 by hand. After abutting the opened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the pet's hair, the user can groom the pet by holding and pulling the horizontal portion 42 by hand.

도 5는 도 4의 작동도이다.5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4.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40),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은 힌지축(50)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기면, 손잡이(40),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은 힌지축(50)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andle 40,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may be rotatable around the hinge shaft 50. When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handle 40 to one side, the handle 40,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may rotate around the hinge shaft 50 as a rotation center.

손잡이(40)는 브러시판(20)이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된 부분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손잡이(40)의 회전 시, 브러시판(20)도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된 부분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0)의 회전 시, 청소그릴(30)도 브러시판(20)에 힌지 결합된 부분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handle 40 may be rotated around a portion of the brush plate 20 hinged to the housing 10. When the handle 40 is rotated, the brush plate 20 may also be rotated about a portion hinged to the housing 10 as a center of rotation. In addition, when the handle 40 is rotated, the cleaning grill 30 may also rotate a portion hinged to the brush plate 20 with a rotation center.

브러시판(20)이 손잡이(40)에 의해 회전되면, 청소그릴(3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브러시판(20)이 손잡이(40)에 의해 회전될 시, 브러시판(20) 및 손잡이(40)는 힌지축(50)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어서, 브러시판(20) 및 손잡이(40)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 가까운 각각의 일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 내에서 도면 상 상측으로 이동된다.When the brush plate 20 is rotated by the handle 40,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3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That is, when the brush plate 20 is rotated by the handle 40, the brush plate 20 and the handle 40 are rotated around the hinge shaft 50, so that the brush plate 20 and the handle 40 )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awing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each one end close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11).

다시 말해, 사용자가 손잡이(40)를 회전시키지 않은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손으로 잡고 도 5와 같이 회전시킨 상태에서,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은 하우징(10)의 개구된 하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In other words, in a state as shown in FIG. 4 in which the user does not rotate the handle 40,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handle 40 by hand and rotates it as shown in FIG. 5,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ar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그리고,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손으로 잡고 도 5와 같이 회전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중 적어도 일부의 끝단은 복수개의 관통홀(31)에 위치되거나 복수개의 관통홀(3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사이에 낀 그루밍된 반려동물의 털(H)은, 청소그릴(30)에 걸려서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nd, in the state that the user holds the handle 40 by hand and rotates it as shown in FIG. 5, at least some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are locat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or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 To escape from. Accordingly, the groomed pet hair H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may be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by being caught in the cleaning grill 30.

상기와 같이, 브러시판(20)이 손잡이(40)에 의해 회전되면, 청소그릴(3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중 적어도 일부의 끝단은 복수개의 관통홀(31)에 위치되거나 복수개의 관통홀(31)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사이에 낀 그루밍된 반려동물의 털(H)은, 청소그릴(30)에 걸려서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로부터 분리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로부터 분리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위치된 털(H)은, 진공청소기 본체(2)의 가동 시 진공청소기 본체(2)에서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 내의 유로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2) 내로 흡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ush plate 20 is rotated by the handle 40,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grill 3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and among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Since at least some of the ends are locat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or exit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the groomed pet hair H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is a cleaning grill. It is caught on 30 and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and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And, the hair (H)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and locat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is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whe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is operated. As a result, it can be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through a flow path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하우징(10) 내에는 제1 스토퍼(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2)는 하우징(10) 내의 측벽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청소그릴(3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배치된 상태에서 브러시판(20)이 손잡이(40)에 의해 회전될 시, 제1 스토퍼(12)는 청소그릴(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A first stopper 12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0. The first stopper 12 may protrude from the sidewall of the housing 10. When the brush plate 20 is rotated by the handle 40 while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3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the first stopper 12 is a cleaning grill ( 30) can be restricted.

제1 스토퍼(12)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 가까운 청소그릴(30)의 끝단부에 접촉되어 청소그릴(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2)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 가까운 청소그릴(30)의 끝단부 중 상면에 접촉되어 청소그릴(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leaning grill 30 close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11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30. The first stopper 12 may b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an end of the cleaning grill 30 close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11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30.

제1 스토퍼(12)가 청소그릴(30)의 회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브러시판(20)은 손잡이(40)에 의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청소그릴(30)은 제1 스토퍼(12)에 접촉될때까지 힌지축(50)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고, 브러시판(20)은 힌지축(50)을 회전중심으로 청소그릴(30)보다 더 회전될 수 있으므로, 브러시판(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중 적어도 일부의 끝단은, 청소그릴(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31)에 위치하거나, 복수개의 관통홀(31)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opper 12 restricts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30, the brush plate 20 may be rotatable by the handle 40. Therefore,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40 by hand and rotates it, the cleaning grill 30 rotates the hinge shaft 50 around the rotational center until it contacts the first stopper 12, and the brush plate 20 is hinged. Since the shaft 50 can be rotated more than the cleaning grill 30 with a rotational center, at least some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rush plate 20 are attached to the cleaning grill 30. It may be located in the formed plurality of through-holes 31 or may come out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31.

청소그릴(30)에는 제2 스토퍼(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2)가 청소그릴(30)의 회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브러시판(20)이 손잡이(40)에 의해 회전된 후, 제2 스토퍼(32)는 브러시판(2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A second stopper 32 may be formed in the cleaning grill 30. After the brush plate 20 is rotated by the handle 40 while the first stopper 12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30, the second stopper 32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brush plate 20. Can be limited.

제2 스토퍼(32)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 가까운 청소그릴(30)의 끝단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2)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에 가까운 청소그릴(30)의 끝단부 중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32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at the end of the cleaning grill 30 close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11. The second stopper 32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an upper surface of an end portion of the cleaning grill 30 close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11.

제2 스토퍼(32)는 브러시판(20) 중 청소그릴(30)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편 면에 접촉되어 브러시판(2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스토퍼(32)의 끝단부(32A)는, 브러시판(20) 중 청소그릴(30)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편 면인, 브러시판(20)의 상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스토퍼(32)의 끝단부(32A)는 브러시판(20)의 회동 시 브러시판(20)의 상면에 접촉되어 브러시판(2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32 may be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brush plate 20 opposite to a surface facing the cleaning grill 30 to limit rotation of the brush plate 20. The end portion 32A of the second stopper 32 may extend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brush plate 20, which is an opposite surface of the brush plate 20 that faces the cleaning grill 30. The end portion 32A of the second stopper 32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rush plate 20 when the brush plate 20 rotates,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brush plate 20.

하우징(10) 내에는 UV LED(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가 더 배치될 수 있다. UV LED(60)는 하우징(10) 내의 측벽에 매립되어 장착될 수 있다. UV LED(60)는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로 UV광을 조사하여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을 살균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1)를 이용해 반려동물을 그루밍 한 이후에,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사이에 낀 털에 존재하는 균 및 박테리아가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로 옮겨갈 수 있기 때문에, UV LED(60)는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로 UV광을 조사하여 브러시판(20) 및 청소그릴(30)을 살균하는 것이다.A UV LED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housing 10. The UV LED 60 may be embedded and mounted on a side wall in the housing 10. The UV LED 60 may sterilize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by irradiating UV light with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That is, after grooming the companion animal using 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bacteria and bacteria present in the hairs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21 are transferred to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Because it can go, the UV LED 60 is to sterilize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by irradiating UV light with the brush plate 20 and the cleaning grill 3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가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acuum cleaner body.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1)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털(H)을 그루밍한 후, 상기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1)를 상하로 뒤집은 상태에서,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를 진공청소기 본체(2)에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fter grooming the pet's hair (H) using 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urns 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1 upside down.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may be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즉, 사용자는 상기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1)의 개구된 하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를 진공청소기 본체(2)에 연결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connect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so that the opened bottom surface of 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1 faces upward.

도 7은 도 6의 작동도이다.7 is an operation diagram of FIG. 6.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를 진공청소기 본체(2)에 연결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 본체(2)를 가동시키면, 진공청소기 본체(2)가 생성하는 흡입력은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까지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operates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whil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is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is the vacuum cleaner.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1)의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사이에 낀 반려동물의 털(H)은 청소그릴(30)에 의해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로부터 분리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위치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위치된 털(H)은 진공청소기 본체(2)의 흡입력에 의해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의 유로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2) 내로 흡입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40 of the pet grooming device 1, the pet's hair H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is removed by the cleaning grill 30. Separated from the brush protrusion 21 and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the hair (H) located in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is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body (2) As a result, it can be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body 2 through the flow path of the vacuum cleaner body connection part 11.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1)는,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털(H)을 그루밍한 후, 진공청소기 본체(2)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에 진공청소기 본체(2)를 가동시켜서 흡입력을 생성시키고,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청소그릴(3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으로 이동되고,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중 적어도 일부의 끝단은 청소그릴(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31)에 위치되거나 복수개의 관통홀(31)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사이에 낀 그루밍된 털(H)이 청소그릴(30)에 의해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털(H)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5)에 위치되기 때문에, 진공청소기 본체(2)의 흡입력에 의해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11) 내의 유로를 통해 진공청소기 본체(2) 내로 흡입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2 after the user grooms the companion animal's hair H. Thereafter, whe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is operated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the handle 40 is rotated,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30 is moved to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brushes At least some ends of the protrusions 21 are locat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formed in the cleaning grill 30 or come out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Accordingly, the groomed hair H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21 is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21 by the cleaning grill 30, and the separated hair H is of the housing 10. Since it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15, it can be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through a flow path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11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또한,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 사이에 낀 그루밍된 털(H)이 청소그릴(30)에 의해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그루밍된 털(H)의 분리가 용이해진다.In addition, when the handle 40 is rotated, the groomed hair H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21 is separated from the plurality of brush projections 21 by the cleaning grill 30, so that the groomed hair The separation of (H) becomes easy.

또한, 청소그릴(30)이 브러시판(20)에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브러시돌기(21)의 끝단이 청소그릴(3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사용자가 그루밍 중에 조절하여 반려동물의 그루밍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grill 30 is hinged to the brush plate 20, the length of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21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grill 30 is adjusted by the user during grooming. The intensity of grooming of the animal can be adjus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2 : 진공청소기 본체
10 : 하우징 11 :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
12 : 제1 스토퍼 15 : 하우징의 내부공간
20 : 브러시판 21 : 브러시돌기
30 : 청소그릴 31 : 관통홀
32 : 제2 스토퍼 40 : 손잡이
41 : 수직부 42 : 수평부
43 : 절곡부 50 : 힌지축
60 : UV LED
1: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2: vacuum cleaner body
10: housing 11: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12: first stopper 15: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 brush plate 21: brush protrusion
30: cleaning grill 31: through hole
32: second stopper 40: handle
41: vertical portion 42: horizontal portion
43: bent part 50: hinge shaft
60: UV LED

Claims (15)

일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을 향하는 면에는 복수개의 브러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브러시판;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판에 힌지 결합된 청소그릴; 및
상기 브러시판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판이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청소그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 중 적어도 일부의 끝단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에 위치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로부터 빠져나오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A housing having an open inner spac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to form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 brush plat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surface facing the opened surface of the housing, and hinged to the housing;
A cleaning grill disposed on an opened surface of the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pass, and hinged to the brush plate; And
Includes; a handle formed on the brush plate and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When the brush plate is rotated by the handle,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at least some ends of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are located 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r escaped from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pet grooming device that comes ou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에서 먼 끝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에서 먼 끝단부가 상기 브러시판의 상기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ush plate has an end portion far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hinged to the housing,
The cleaning grill is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in which an end far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is hingedly coupled to the end part of the brush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하우징에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브러시판에 상기 힌지축을 통해 힌지 결합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ush plate is hinged to the housing through a hinge shaft,
The cleaning grill is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hinged to the brush plate through the hinge shaf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의 돌출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축으로 형성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hinge axis is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formed in a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그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판이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될 시,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anion animal grooming further comprising a first stopper formed in the housing to limit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when the brush plate is rotated by the handle while at least a part of the cleaning grill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에 가까운 상기 청소그릴의 끝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stopper is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that is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cleaning grill close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to limit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판은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 가능한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wherein the brush plate is rotatable by the handle while the first stopper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소그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청소그릴의 회동을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판이 상기 손잡이에 의해 회전된 후, 상기 브러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anion animal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opper formed on the cleaning grill to limit rotation of the brush plate after the brush plate is rotated by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opper restricts rotation of the cleaning grill Grooming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브러시판 중 상기 청소그릴과 대향하는 면의 반대편 면에 접촉되어 상기 브러시판의 회동을 제한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stopper is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that is in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brush plate opposite to a surface opposite to the cleaning grill to limit rotation of the brush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각각은 장홀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돌기가 관통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ormed as a long hole,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brush protrusions pass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각각은 상기 진공청소기 본체 연결부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is a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that is elong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nnection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판 및 상기 청소그릴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ush plate and the cleaning grill are pet grooming devices that are disposed parallel to the opened surface of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브러시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is,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rush plate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 horizontal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comprising a bent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서 이격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vertical par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that the horizontal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판 및 상기 청소그릴을 살균하는 UV LED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그루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anion animal grooming device disposed 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UV LED sterilizing the brush plate and the cleaning grill.
KR1020190046002A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KR202001227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02A KR20200122797A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02A KR20200122797A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797A true KR20200122797A (en) 2020-10-28

Family

ID=7301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02A KR20200122797A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79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08035A1 (en) Pet Vacuum Cleaner
US10918201B2 (en) Brush cleaning device using UV light to dry, sanitize, and disinfect cosmetic brushes
US5502873A (en) Pet grooming device
US20110308034A1 (en) Vacuum aid system and method for total body cleansing
ES2728512T3 (en) Device to pluck dead hairs from a dog's skin
US8707504B2 (en) Hygienic toothbrush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00180398A1 (en) Pet Vacuum Cleaner
KR20170003635U (en) Pet care device having dry and fur collecting function
KR20060007303A (en) A brush for a pet
KR20200048961A (en) Head brush for pet health care cleaner
KR20180000416U (en) Vacuum comb for pet
KR20200122797A (en)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KR100526115B1 (en) Head assembly of a pet animal for vacuum cleaner
KR20200122799A (en)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KR20200035598A (en) Toothbrush cover having toothbrush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KR20050115986A (en) Pet animal brush for vacuum cleaner
KR100572771B1 (en) Head assembly of a pet animal for vacuum cleaner
KR20090011956A (en) Pet animal brush
KR200338905Y1 (en) Brush of a pet animal for vacuum cleaner
KR101839058B1 (en) Vacuum brush for pet animals
KR20200122798A (en) Apparatus for grooming pet's hair
KR20050002114A (en) Multifunctional brush for trimming hair of a pet animal by using absorption force generated from a vacuum cleaner
JP3242961U (en) Antimicrobial capable biocare box module
JP2019076030A (en) Hair recovery device
KR200190862Y1 (en) Suction co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