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796A -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796A
KR20200122796A KR1020190046000A KR20190046000A KR20200122796A KR 20200122796 A KR20200122796 A KR 20200122796A KR 1020190046000 A KR1020190046000 A KR 1020190046000A KR 20190046000 A KR20190046000 A KR 20190046000A KR 20200122796 A KR20200122796 A KR 20200122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ation
identification code
management service
schedule management
con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0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1700B1 (en
Inventor
정현식
박완석
Original Assignee
정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식 filed Critical 정현식
Priority to KR1020190046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700B1/en
Publication of KR2020012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7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academic conferenc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presenter terminal given and storing a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uploading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and an academic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with software as a service (SaaS), performing output for location transmiss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resentation time included in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and displaying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on a screen; 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cluding the presentation time, an academic conference name, a date, a presentation site, and an presentation order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presenter terminal; a storage unit receiving the academic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upload from the presenter terminal for mapping with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a confirmation unit receiving the location of the presenter terminal at the presentation time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it is the location of the presentation site; a scan unit performing control such that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is read or scanned at a presentation output device in a case where the presenter terminal is located at the presentation site at the presentation time; and a control unit performing control such that the academic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stored after pre-mapping with the read or scanned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is output at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located at the presentation site.

Description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cademic conference operation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발표자로부터 발표파일을 업로드받아 현장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nd provides a platform capable of flexibly performing scheduling in accordance with a field situation by receiving a presentation file from a presenter participating in an academic conference.

학술대회는 학문의 방법이나 이론, 발전 방향에 대하여 발표하고 토론하고자 다수의 사람이 때를 정하여 한 곳에 모이는 큰 모임이다. 이때, 학술대회의 참가자는 교수와 대학원생이 주가 되며, 대학원생들의 논문 발표와 해당 분야의 저명한 인사나 연구자 또는 기업인들의 강연 등으로 구성되고, 주요 연례행사로 연차학술대회, 추계학술대회, 춘계학술대회 등을 포함하는데, 주로 최신 연구동향이나 그 해의 주요 이슈와 관계된 사항을 구두발표한다. 발표는 심포지엄(Symposium)이나 구두발표(Oral Talk)에 포함되는데, 후자의 경우 대학원생이나 포닥이 특정한 주제별로 묶어서 개별 15분 내지 20분 정도의 간단한 발표를 하게 된다. 이때, 발표자가 자신의 연구결과를 프리젠테이션 형식으로 보여주게 되는데, 주어진 시간을 정확히 지키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마지막 발표자는 항상 조금씩 손해를 보게 된다.Academic conferences are large gathering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in one place at a fixed time to present and discuss the academic method, theory,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At this time, the attendees of the academic conference are mainly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and are composed of thesis presentations by graduate students and lectures by renowned personnel, researchers or businessmen in the field, and major annual events are annual conferences, fall conferences, and spring conferences. And the like, but mainly the latest research trends or matters related to major issues of the year are presented orally. Presentations are included in symposiums or oral talks, and in the latter case, graduate students or podaks are grouped by specific topics to make simple presentations of about 15 to 20 minutes individually. At this time, the presenter shows his research results in the form of a presentation, but the last presenter always loses little by little because there are few cases where the given time is kept accurately.

이때, 학술대회에서 발표자와 발표순서 및 발표파일 등을 관리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7081호(2016년05월02일 공개)에는 발표파일을 업로드하는 단말과, 발표파일을 출력하는 단말을 이원화시켜서 발표자가 발표 전 파일을 등록하고, 발표시간에 등록된 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로드시켜 발표당일 발표시간때마다 발표자료 파일을 이동 및 저장하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managing the presenter, presentation order, and presentation file at the academic conference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regard, the presentation file was uploaded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047081 (published on May 2nd, 2016). It reduces the time required to move and store presentation data files at each presentation time on the day of presentation by automatically downloading the file registered at the presentation time and registering the file before the presentation by dualizing the terminal that outputs the presentation file and the presentation file. A method of giving is disclosed.

다만, 상술한 방법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발표자가 도착하지 않아 순서가 변경되거나, 발표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등의 변경이 일어나는 상황에서는 기 등록된 순서대로만 진행 및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발표자료가 더 뒤죽박죽 섞여버리는 대참사가 발생한다. 또한, 하나의 건물에 복수의 학회장이 존재하기 때문에 등록단말 및 발표단말을 이원화하는 경우일지라도, 등록단말에서 등록하는 시간에 따른 지연도 불가피하고, 이에 따라 여전히 발표시간은 짧아지고 지연은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used, in a situation where the order is changed because the presenter does not arrive, or the presentation is made longer or shorter, the presentation material is further mixed up as it is progressed and displayed only in the order previously registered. A catastrophe occur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multiple conference halls in one building, even if the registration terminal and the presentation terminal are dualized, the delay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time at the registration terminal is inevitable, and accordingly, the presentation time is still short and the delay is lengthened.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표자별로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발표자 단말에서 저장하도록 하고, 발표파일과 발표장소, 시간 및 순서 등을 매핑하여 저장하며, 해당 장소, 시간 및 순서에 발표자 단말에서 식별코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는 식별코드를 스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발표시간 및 순서에 웹서버에 등록된 발표자료가 프리젠테이션으로 출력되도록 동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열 수 없는 파일로 인한 지연을 제거하도록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제공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스케줄을 유연하게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ntification code is issued for each speaker and stored in the speaker terminal, and the presentation file and presentation place, time and order are mapped and stored,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e speaker terminal at the corresponding place, time and order Is displayed, and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controls to scan the identification code, so that the presentation data registered in the web server at the time and sequence of presentation can be displayed as a presentation, and can be opened i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We can provide SaaS (Software as a service) to eliminate delays due to missing files, and provide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cademic conference operations that allows flexible reschedul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I can.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표자 식별코드를 부여받아 저장하고, 발표자 식별코드와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이용하여 업로드하고, 발표자 식별코드에 포함된 발표시간에 동기화되어 위치를 전송하도록 출력하고, 발표자 식별코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발표자 단말, 발표자 단말로 학술대회 명칭, 날짜, 발표장소, 발표순서 및 발표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생성부, 발표자 단말로부터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발표자 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업로드받는 저장부, 발표시간에 발표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여 발표장소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발표자 단말의 위치가 발표시간에 발표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발표자 식별코드를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리딩 또는 스캔하도록 제어하는 스캔부, 리딩 또는 스캔된 발표자 식별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발표장소에 위치한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nd store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upload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using SaaS (Software as a Service). , Synchronized with the presentation time included in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output to transmit the location, and the speaker terminal that displays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on the screen, the speaker terminal, which includes the conference name, date, presentation place, presentation order and presentation time. A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 storage unit that receives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from the speaker terminal so that it is mapped to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whether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is received at the presentation time and matches the location of the presentation location. A check unit to check whether the presenter's terminal is located at the presentation place at the time of the presentation, a scan unit that controls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to read or scan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pre-map to the read or scanned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tored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to be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located at the presentation sit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발표자별로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발표자 단말에서 저장하도록 하고, 발표파일과 발표장소, 시간 및 순서 등을 매핑하여 저장하며, 해당 장소, 시간 및 순서에 발표자 단말에서 식별코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는 식별코드를 스캔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발표시간 및 순서에 웹서버에 등록된 발표자료가 프리젠테이션으로 출력되도록 동시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열 수 없는 파일로 인한 지연을 제거하도록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제공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스케줄을 유연하게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ntification code is issued for each speaker and stored in the speaker terminal, and the presentation file and the presentation place, time and order are mapped and stored, and the corresponding place, time and order By controll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displayed on the speaker terminal and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the presentation data registered in the web server at the time and sequence of presentation can be output as a presentation. SaaS (Software as a Service) can be provided to eliminate delays caused by files that cannot be opened i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and the schedule can be flexibly reschedul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in the sen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ssist,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includes at least one presenter terminal 100,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 40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However, since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present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through the network 200. . Further,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presenter terminal 100,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respective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Long Term (LTE). Evolution) network,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 Personal Area Network (PAN),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number and the plural number,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a singular or plural.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은,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발표자를 등록하고, 발표자 식별코드를 발급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은, 시간 및 장소에 동기화되어 발표자 식별코드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은,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시간변경 또는 장소변경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알람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gisters a speaker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nd receives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is synchronized with a time and a place and outputs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outputs an alarm from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ime change or place chang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manager terminal 5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may be included.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로부터 발표자 정보를 입력받고, 발표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발표장소, 시간, 순서 등의 정보와 매핑되도록 발표자 식별코드를 발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자 단말(100)에서 등록된 발표자료를 발표자 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자 단말(100)에서 발표파일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동기화하여 파일을 변경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자 단말(100)의 발표시간에 발표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서버일 수 있고, 발표자 단말(100)의 위치가 발표장소의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 발표자 단말(100)에서 발표자 식별코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발표자 단말(100)을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발표자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도록 제어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발표자 식별코드를 스캔하여 리턴하는 경우, 발표자 식별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발표파일이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발표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통하여 발표파일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시간을 카운팅하고 이를 발표자 단말(100)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자의 발표가 완료되어 발표파일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경우, 해당 발표자의 순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다음 발표자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술한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덧붙여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순서가 변경되거나 지연 또는 앞당겨진 경우 등의 이벤트가 등록된 경우, 그 다음 발표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서버일 수 있다.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speaker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speaker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to be mapped with information such as a presentation place, time, and order selected by the speaker terminal 100. It may be an issuing server. 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stores presentation materials registered in the speaker terminal 100 so as to be mapped with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Her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utomatically synchronizes and changes the file when the presentation file is updated by the speaker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at the presentation time of the speaker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matches the location of the presentation location. In this case, it may be a terminal that controls the speaker terminal 100 so that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s displayed on the speaker terminal 100. At the same time, w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ntrols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to scan or read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scans and returns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The presentation file previously mapped to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server that controls the presentation file to be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Her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that allows the presentation file to be opened through SaaS (Software as a Service) when the program installed i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does not support the presentation file. I can. 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unts the presentation time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terminal 100. 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he presentation of the presenter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of the presentation file is terminated, determines that the order of the presenter is complete, and then searches for the position of the presenter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It can be a server to do. 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informs the next presenter when an event such as an order change, a delay or an advance from the manager terminal 500 is registered.

여기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출력 장치일 수 있고, 이는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장치와 연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스캔 또는 리딩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 준비를 하고, 식별코드가 스캔 또는 리딩되는 경우,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식별코드 데이터를 전송하여 발표파일을 리턴받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발표파일이 종료되는 경우, 이를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현재 발표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장치일 수 있고, 발표파일이 출력된 양 및 출력되지 않은 양을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그 다음 발표자를 준비시키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may be an output device us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related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which is a device interlocked with a display and an audio device. Can be At this time,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when a scan or reading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cans or prepares for reading, and scans or reads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is case, it may be a device that transmits identification code data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returns a presentation file. And,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when the presentation file is terminated, it may be a device that notifies that the current presentation is finished by transmitting it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amount of the presentation file output And a device that transmits the unprinted amount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o that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repares the next speaker.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smartphone), smart pad (smartpad), a tablet PC (Tablet PC), such as all kinds of handheld (Handheld)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included.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발표순서를 변경하거나 발표시간을 증감시키는 이벤트를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provides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events that change the presentation order or increase or decrease the presentation time by us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It may be an administrator's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server 3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may be included.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생성부(310), 저장부(320), 확인부(330), 스캔부(340), 제어부(350), 가상화부(360), 알람부(370), 편집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generation unit 310, a storage unit 320, a confirmation unit 330, a scan unit 340, a control unit 350, and a virtualization unit 360. , An alarm unit 370, and an editing unit 380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로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발표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or another server (not shown)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present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and at least When transmitt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to one manager terminal 500, at least one present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may install or open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presenter terminal 100, at least on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5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you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that is executed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생성부(310)는, 발표자 단말(100)로 학술대회 명칭, 날짜, 발표장소, 발표순서 및 발표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식별코드는 발표자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고,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상술한 정보는 모두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한 장치나 단말로 리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generator 310 may generate and transmit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erence name, date, presentation place, presentation order, and presentation time to the speaker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code is mapped with the presenter information and stored, and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scanned or read, all of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may be returned to the device or terminal that has scanned or read the identification code.

저장부(320)는, 발표자 단말(100)로부터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발표자 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업로드받을 수 있다. 이때, 발표자 단말(100)은, 발표자 식별코드를 부여받아 저장하고, 발표자 식별코드와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이용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파일의 종류가 달라서 업로드가 되지 않거나 지원하지 않는 포맷이라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국내 학술대회라면 프리젠테이션 파일의 종류가 ppt로 일치되는 경향이 있지만, 국제 학술대회인 경우 다양한 종류의 파일로 발표자료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때, 포맷이나 파일종류가 달라서 업로드가 되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저장부(320)는, SaaS를 제공하여 발표자 단말(100)에서 포맷이나 파일종류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저장부(320) 자체에서 다양한 종류의 파일포맷을 SaaS를 지원받아 기 설정된 파일포맷으로 트랜스코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SaaS는 사용자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최신의 소프트웨어 배포 모델로 정의할 수 있다. SaaS 플랫폼 공급자나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공자가 응용 소프트웨어를 서버에 설치하고 인터넷을 통해 여러 사용자가 자신의 환경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구매하지 않아도 인터넷 기반으로 다양한 종류의 파일을 열거나 편집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20 may upload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from the speaker terminal 100 to be mapped with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t this time, the presenter terminal 100 may receive and store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and upload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and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using a software as a service (SaaS). This is to minimize the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because uploading is not possible due to different types of files or because the format is not supported. In domestic academic conferences, the type of presentation file tends to be matched with ppt, but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there are cases in which presentation materials are made in various types of files.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320 provides SaaS so as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uploading is not possible or an error occurs due to a different format or file type, and converts the format or file type in the presenter terminal 100 by providing SaaS.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transcode various types of file formats into a preset file format by receiving SaaS support from the storage unit 320 itself. SaaS can be defined as a state-of-the-art software distribution model so that users can receive necessary software through the Internet.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SaaS platform providers or software service providers to install application software on a server and allow multiple users to set and use them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 through the Internet. In addition, it can be usefully used when opening or editing various types of files based on the Internet without installing or purchasing a program.

확인부(330)는, 발표시간에 발표자 단말(100)의 위치를 수신하여 발표장소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발표장이 여러 군데이고 실내이기 때문에 발표자 단말(100)의 위치는 GPS 보다는, 비콘이나 메쉬형(Meshtype)으로 구성된 RFID 위치식별자 등의 실내측위시스템으로 식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발표장에 위치한 비콘은 ABCD_1라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 2 발표장에 위치한 비콘은 ABCD_2라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발표자 단말(100)의 발표장소는 제 2 발표장인데, 발표자 단말(100)은 제 1 발표장에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발표자 단말(100)은 ABCD_1이라는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여 확인부(330)로 리턴할 것이다. 이때, 확인부(330)는 이미 발표자 단말(100)이 제 2 발표장에서 발표해야 한다는 사실과 발표시간을 알고 있으므로, 발표시간에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발표자 단말(100)이 제 1 발표장에 위치한 것을 파악하는 경우, 제 2 발표장으로 갈 수 있도록 알람 또는 안내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발표시간을 체크하는 이유는, 발표자는 발표 이전에 자신의 숙소에서 발표준비를 할 수도 있고, 다른 발표장에서 다른 발표자의 발표를 들을 수도 있고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표시간 10분전 등과 같이 발표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 이외에는 발표자의 위치를 체크하지 않는다. 물론,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충분한 경우에는 그 이전에도 발표자의 위치를 체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The verification unit 330 may receive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at the presentation time and check whether or not the location of the presentation location matches. Since there are multiple presentation rooms and indoors,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is preferably identified by an indoor positioning system such as a beacon or a mesh type RFID location identifier, rather than a GPS. For example, a beacon located in a first presentation room may output data of ABCD_1, and a beacon located in a second presentation room may be set to output data called ABCD_2. At this time, the presentation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is the second presentation room, and assuming that the speaker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first presentation room, the speaker terminal 100 receives the beacon data called ABCD_1 to the confirmation unit 330. Will return. At this time, since the confirmation unit 330 already knows that the presenter terminal 100 must present in the second presentation room and the presentation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aker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first presentation room before the preset time at the presentation time. When grasping, it is possible to output an alarm or a guide path to go to the second presentation. At this time, the reason for checking the presentation time is that the presenter can prepare the presentation in his or her own accommodation before the presentation, and can listen to the other speaker's presentation in a different presentation hall, or move in various ways.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speaker is not checked except for the time when the presentation can be prepared, such as 10 minutes before the presentation time. Of course, it will be obvious that if the networking and computing resources are sufficient, the speaker's position can be checked even before that.

이때, 발표시간은, 기 설정된 고정 발표시간일 수도 있지만, 이전 발표자의 프리젠테이션이 남은 양으로 계산하여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발표자는 발표시간을 지켜야 하는 것을 준수사항 및 지침으로 인지는 하고 있지만, 발표시간을 지키는 발표자는 거의 없다. 이에 따라, 현재 발표자는 발표를 더 빨리 끝낼 수도 있고, 더 늦게 끝낼 수도 있다. 또한, 발표가 빨리 끝났다고 할지라도 질의응답이 늦어지는 경우에는 준수시간을 초과할 수도 있는 등 현장에서는 다양한 변수가 늘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표시간 및 순서는 늘 변동이 가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재 발표자의 프리젠테이션의 남은 양, 프리젠테이션 페이지가 전환되는 속도, 질의응답에 소요되는 시간 등 다양한 이벤트를 고려하여 발표시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resentation time may be a preset fixed presentation time, but the presentation of the previous presenter is calculated as the remaining amount so that it can be changed flexibly. In other words, although the presenter recognizes that it is a matter of compliance and guidelines to keep the presentation time, few presenters keep the presentation time. Accordingly, the current presenter may finish the presentation sooner or later. In addition, even if the presentation is finished quickly, there are always various variables in the field, such as if the Q&A is delayed, the compliance time may be exceeded. Accordingly, the presentation time and order should always be variable. To this e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remaining presentation of the presenter, the speed at which the presentation page is switched, the time required for answering a question, etc. In consideration of the event, the presentation time can be adjusted.

스캔부(340)는, 발표자 단말(100)의 위치가 발표시간에 발표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발표자 식별코드를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리딩 또는 스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발표자 식별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RFID 태그, NFC 태그 등일 수 있으나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When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presentation place at the presentation time, the scanning unit 340 may control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to read or scan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n this case,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barcode, a QR code, an RFID tag, an NFC tag,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제어부(350)는, 리딩 또는 스캔된 발표자 식별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발표장소에 위치한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50)는, SaaS로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주변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강의나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파워포인트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파워포인트의 경우 화면 이동을 위해서는 마우스가 꼭 필요하며 글자 입력 장치로 터치펜, 터치패드, Wireless Presenter 등의 주변 장치들이 요구되는데, 터치펜을 이용한 필기 시 미끄러짐 현상, 조정 오차로 펜의 위치와 파워포인트 상의 위치가 다른 문제 등으로 활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위치 및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를 연동시키고, IR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발표자의 모션이나 동작을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입력받도록 하고, 포인터, 펜 등의 다양한 포맷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동작인식용 IR 카메라와 영상을 위한 RGB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IR 카메라를 이용해 페이지 이동 기능과 함께 RGB 카메라를 이용해 스크린 상에 레이저 포인터로 쓴 글자를 인식하여 빔 프로젝터스크린에 해당 글자를 써주는 기능을 추가하여 두 가지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동작 인식을 통한 다양한 파워포인트 제어 기능과 스크린 상에 필기 기능을 갖춘 파워포인트용 프리젠테이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50 may control to output a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that is previously mapped to the read or scanned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and stored i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located at the presentation pla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50 enables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to manipulate the interface of the peripheral device using the motion sensor in SaaS. In other words, PowerPoint is widely used as software for lectures and presentations. In the case of PowerPoint, a mouse is required to move the screen, and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touch pen, a touch pad, and a wireless presenter are required as a character input device. When writing using a touch pen, the position and power of the pen due to slipping and adjustment errors The use of the point is limited due to different problem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50 interlocks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wit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position and motion, and further includes an IR camera to input the speaker's motion or motion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It can be controlled to receive and output in various formats such as pointers and pens. To this end,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may further include an IR camera for motion recognition and an RGB camera for an image, and a laser pointer written on the screen using an RGB camera with a page moving function using an IR camera. The two functions can be integrated by adding a function to recognize characters and write them on the beam projector scree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PowerPoint control functions through motion recognition and a presentation device for PowerPoint having a handwriting function on the screen.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의 화면이 스크린에 투영되면, 레이저 포인터를 스크린을 향하여 발사한다. 스크린 상에 레드닷(Red Dot)이 상을 형성하면,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의 RGB 카메라로 레드닷의 좌표값을 획득하고, OpenCV를 이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IR 카메라로 발표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윈도우 SDK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발표자는 레이저 포인터와 사용자의 동작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기능과 간단한 파워포인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RGB 카메라를 이용하여 필기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파워포인트에서 제공하는 포인터 옵션의 볼펜, 사인펜, 형광펜 등을 이용해야 하므로 레이저포인터로 마우스를 제어해야 한다. 스크린 상에 레이저포인터로 레드닷을 형성하면 RGB 카메라로 영상을 받아 영상처리 라이브러리인 OpenCV를 이용하여 스크린상의 레드닷의 위치를 파악하며 이에 따라 마우스의 위치를 닷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필기를 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포인터를 연필처럼 스크린에 붙이고 이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보통 레이저 포인터는 원거리에서 이용하기 때문에 사람의 손 떨림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레이저포인터는 ON/OFF 로 동작하기에 하드웨어적으로 마우스의 왼쪽, 오른쪽 버튼 클릭에 대한 구분이 어렵다. 이 문제를 프로그래밍으로 영역을 지정하여 그 영역에 레이저포인터를 일정 시간만큼 유지 하면 마우스의 우 클릭을 인식 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포인터의 위치를 마우스가 트래킹하여 파워포인트 상에 글씨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The principle of operation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screen of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is projected on the screen, a laser pointer is fired toward the screen. When a red dot forms an image on the screen, a coordinate value of the red dot is acquired by the RGB camera of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and the acquired data is processed using OpenCV. In addition, the IR camera detects the speaker's motion and acquires data, and the data can be processed with the Windows SDK. Therefore, the presenter can control the mouse function and simple PowerPoint using the laser pointer and the user's motio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lement a writing function using an RGB camera, a ballpoint pen, a sign pen, and a highlighter with pointer options provided by PowerPoint must be used, so the mouse must be controlled with a laser pointer. When a red dot is formed with a laser pointer on the screen, an image is received by an RGB camera, and the position of the red dot on the screen is identified using OpenCV, an image processing library, and the position of the mouse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dot. There is no problem because a laser pointer is attached to the screen like a pencil to take notes, but since laser pointers are usually used in a distance,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shaking of human hands. In addition, the laser pointer operates ON/OFF, so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clicking the left and right buttons of the mouse by hardware.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designating an area by programming and setting it to recognize the right-click of the mouse if the laser pointer is held in that area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Accordingly, the mouse tracks the position of the laser pointer so that the text can be overlaid on the PowerPoint.

덧붙여서, 파워포인트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의 동작을 추적함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파워포인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 센서는 발표자의 인체의 각 부분이나 관절 등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로 전송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이를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고 관절의 좌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윈도우 SDK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발표자의 위치 및 각 관절의 위치를 얻어와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파워포인트를 제어할 수 있다. IR 카메라는, 3차원 즉, X/Y/Z 축의 데이터를 얻어올 수 있는데 이는 IR 카메라에서 무수히 많은 적외선을 송신하고 반사되는 적외선들을 수신하여 깊이(Depth)까지 포함된 데이터를 얻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때, 프리젠테이션에서 페이지 넘김은 클릭 또는 백스페이스로 구현되는데, 이를 위해 관절 위치 중 허리선을 기준으로 오른손과 왼손의 X축 좌표 위치를 계산하여 손의 위치에 따라 클릭-백스페이스를 매핑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power point,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control the power point by tracking a person's motion using an IR camera. For example, the motion detection sensor recognizes the motion of each part or joint of the presenter's human body and transmits it to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and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connects the motion of a person by a line. Can be detected and the coordinate data of the joint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the Windows SDK may be us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may obtain the position of the presenter and the position of each joint and control the power point through programming. The IR camera can obtain data in three dimensions, that is, the X/Y/Z axis.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IR camera transmits countless infrared rays and receives the reflected infrared rays to obtain data including depth. At this time, page turning in the presentation is implemented by clicking or backspace.To this end, the click-backspace can be mapp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 by calculating the X-axis coordinate positions of the right and left hands based on the waistline among the joint positions. have.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at various methods can be used.

가상화부(360)는,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출력되도록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가상화하는 Saa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상화부(360)는,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출력되도록 서버기반컴퓨팅(Server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발표자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발표자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한 경우, 스캔 또는 리딩된 데이터를 제어부(350)로 전송하고, 제어부(350)로부터 리턴된 기 저장된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virtualization unit 360 may provide a SaaS service for virtualizing at least one program that drives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so that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is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In this case, the virtualization unit 360 may execute Server Based Computing or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so that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is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At this time,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includes a device that scans or reads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when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s scanned or read, transmits the scanned or read data to the controller 350, and the controller ( 350) may be a device that displays the previously stored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on the screen.

알람부(370)는, 학술대회의 스케줄을 변경하는 변경 이벤트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발표자 단말(100)로 변경된 스케줄에 따라 재조정된 발표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370)는, 상황인지(Context-Awareness) 컴퓨팅을 이용할 수 있다. 상황인지란 특정 실체의 상황(context)를 인지(aware)하여 그 실체에게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이다. 상황의 개념은, 공통적으로 실세계(Real World)에 존재하는 실체(Entitiy)의 상태를 특징화하여 정의하는 정보이며, 사용자의 작업과 관련 있는 적절한 정보 또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황을 사용하는 경우 이를 상황인식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페트리 넷(Timed Petri-net : TPN)을 이용할 수 있다. 페트리 넷은 분산 시스템을 설명하고 분석하기 위한 수학적인 모델이며, 동시성(concurrency)과 병렬성 측면(parall- elism)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모델링 방법으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인간 행동(human behavior)에 대해서도 모델링이 가능하다. 그리고, 페트리 넷은, 분산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시각적 툴로써, 페트리 넷은 규칙을 규정하고, 플로우 차트, 그리고 유한상태 머신(Finite State Machine, FSM)의 형태로 에이전트들의 행동을 정의 할 수 있다. 페트리 넷은 정지 구조와 정보의 흐름, 충족된 조건, 그리고 다른 상태·조건으로의 이행간의 의존관계(흐름, 순서, 충돌하는 요구사항 등)를 확실하게 보일 수 있으며, 그 중 객체 기반으로 페트리 넷을 확장한 G-Net은 페트리 넷의 연장선이고, 독립적이고 각의 의존성을 느슨하게 짝지어진 모듈로 규정된다.When a change event for changing the schedule of the academic conference is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the alarm unit 370 may transmit the re-adjusted presentation time according to the changed schedule to the presenter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alarm unit 370 may use context-awareness computing. Context awareness is a concept that recognizes the context of a specific entity and provides an optimal service for that entity. The concept of a situation is information that characterizes and defines the state of an entity that commonly exists in the real world, and uses the situatio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user with appropriate information or services related to the user's work. If so, it can be called a situational awareness system. To this e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tri-net (TPN) may be used. Petri net is a mathematical model for explaining and analyzing distributed systems. It is an effective system modeling method in terms of concurrency and parallelism. It is possible to model not only hardware or software but also human behavior. Do. In addition, Petri Net is a visual tool for modeling a distributed system, and Petri Net can define rules, flow charts, and behaviors of agents in the form of a finite state machine (FSM). Petri net can clearly show the dependence (flow, sequence, conflicting requirements, etc.) between the stationary structure and the flow of information, the fulfilled condition, and the transition to another state/condition, among which Petri net G-Net is an extension of the Petri net, and is defined as an independent and loosely coupled module with angular dependence.

상술한 상황인지 및 페트리 넷을 이용하여, 복수의 발표자의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다음에 발표를 진행할 발표자의 위치 시작 지점을 기준으로 매칭을 수행함으로써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발표자는 학회장 건물로 들어온 이후, 정해진 대기실에서 머물다가 발표시간 30분전에 화장실을 다녀오고 그 뒤로 학회장으로 입실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발표자가 기 저장된 패턴 정보대로 움직였을 경우에는 상황인식을 수행할 수 있지만, 패턴대로 움직이지 않아 오류를 발생시켰을 경우에는 오류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오류 발생시 처리방법의 핵심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에 일치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술한 복수의 발표자 패턴이 아닌 건물입구->화장실->학회장->대기실의 경우, 건물입구에서는 다음 패턴으로 대기실을 예측하지만 실제로는 화장실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이 경우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다른 발표자 그룹과 동일한 패턴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 패턴에 맞게 상황인지 컴퓨팅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스케줄링을 위해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술한 스케줄링 방법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By using the above-described situational awareness and Petri net, patter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presenters is stored, and match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position starting point of the presenter to be presented next, so that schedul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presenter enters the conference hall building, stays in the designated waiting room, goes to the bathroom 30 minutes before the presentation time, and then enters the conference chair. At this time, if the presenter moves according to the previously stored pattern information, situation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but if an error occurs because the speaker does not move according to the pattern, the error must be handled. The key to dealing with an error is to search for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existing database. In the case of a building entrance->toilet->academic chair->waiting room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pattern of multiple speakers, the building entrance predicts the waiting room with the next pattern, but it is actually a toilet, so an error occur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irst check whether the database has the same pattern as other speaker groups, and provide computing whether the situation is appropriate for that pattern. Of cours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scheduling, and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cheduling method.

편집부(380)는, 발표장소의 크기를 확인하고, 학술대회 발표파일 내에 포함된 폰트의 크기를 체크하고, 체크된 폰트의 크기가 기 저장된 발표장소크기별 크기보다 작은 경우, 체크된 폰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폰트의 크기가 증가됨으로써 프리젠테이션의 화면을 벗어나는 이미지 콘텐츠의 크기를 조정하여 화면 내부에 위치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XB의 해상도 및 크기를 가지는 화면에서 발표파일이 출력된다고 가정하면, 폰트의 크기가 X인 경우, CXD의 크기로 출력된다. 이때, 발표장소의 크기별로 발표장소가 작으면 CXD의 크기로 출력되더라도 맨 뒷자리에서 글씨가 보이지만, 발표장소가 큰 경우 CXD의 크기의 글씨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편집부(380)는, 발표장소 크기별 및 해상도별 최소 폰트의 크기를 레이블화된 테이블에 저장하고, 수신된 발표파일에 포함된 폰트의 크기가 최소 폰트의 크기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이를 증가시키도록 편집할 수 있다.The editing unit 380 checks the size of the presentation place, checks the size of the font included in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and if the size of the checked fon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reviously stored presentation place size, the size of the checked font is As the size of the font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font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image content that is outside the screen of the presentation can be adjusted and edited to be located inside the screen. For example, assuming that a presentation file is output on a screen having the resolution and size of AXB, if the font size is X, it is output in the size of CXD. At this time, if the presentation place is small by the size of the presentation place, the text is visible in the back seat even if the CXD size is printed, but if the presentation place is large, the CXD size text may not be visible. Accordingly, the editing unit 380 stores the size of the minimum font for each presentation location size and resolution in the labeled table, and increases the size of the font included in the received presentation file when the size of the minimum font does not meet the minimum font size. You can edit it to make it happen.

이하, 상술한 도 2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자 단말(100)로부터 발표자를 등록받고, 발표자가 등록한 정보에 대응하는 발표자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발표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파일을 발표자 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b) 이때,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파일을 오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SaaS에 엑세스 가능하도록 해당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c)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간 및 장소를 확인한 후 발표자 단말(100)에서 발표자 식별코드가 출력되도록 하고,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는 스캔 또는 리딩이 되도록 제어하며,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스캔 또는 리딩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분석하여 기 매핑되어 저장된 발표파일을 추출하고 다시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로 이를 전송한다. (d) 이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는, 발표자 파일을 출력할 수 있게 되고, 발표자는 발표를 할 수 있게 된다.3, (a)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speaker from the speaker terminal 100, generates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speaker,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terminal 100. . 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ps and stores the presentation file with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b) At this tim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so as to be accessible to SaaS when a program capable of opening the presentation file does not exist i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can do. And, (c)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checking the time and place, so that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s output from the speaker terminal 100, and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controls to be scanned or read. , When scanning or reading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alyzes it, extracts the previously mapped and stored presentation file, and presents again. This is transmitted to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d) Accordingly,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can output a speaker file, and the speaker can make a presentation.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that are not described about the method of providing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nference of FIGS. 2 and 3 a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nference through FIG.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as such an embodiment, and is illustrated in FIG. 4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4를 참조하면,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자 단말(100)로부터 발표자를 등록받고(S4100), 식별코드를 발급하여 발표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4200).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표자 단말(100)로부터 발표파일을 등록받고(S4300), 발표파일과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4400).Referring to FIG. 4,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a speaker from the speaker terminal 100 (S4100), issu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terminal 100 (S4200). 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a presentation file from the presenter terminal 100 (S4300), and maps and stores the presentation file and an identification code (S4400).

한편,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현재 시간이 학회가 시작하는 시간인지를 확인하고(S4500), 현재 시간이 학회 시간인 경우, 발표자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고(S4600, S4700), 발표자 단말(100)의 위치가 학회장소가 아닌 경우, 발표자 단말(100)로 발표순서를 알려주고(S4710), 학회장소와 현재장소가 일치하는 경우 발표자 단말(100)에서 식별코드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스캔을 하도록 제어한다(S4730). 그리고 나서,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스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S4750), 스캔 데이터로 파악된 식별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발표파일을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로 전송한다(S4770). Meanwhil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the time the conference starts (S4500), and if the current time is the conference time,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S4600, S4700). ), if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100 is not the conference venue, the presentation order is notified to the speaker terminal 100 (S4710), and if the conference venue and the current venue match, the identification code is output from the speaker terminal 100 At the same time as the display control is performed,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controls the scan to be performed (S4730). 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ransmitting the scan data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S4750), the presentation file that is previously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identified as the scan data and stored is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It transmits to 400 (S4770).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 발표파일이 로딩되고(S4800), 발표파일이 출력되는 경우(S4810), 출력된 양 및 남은 양을 계산하여 다음 발표자에게 다음 순서를 알리는 프로세스를 시작하고(S4850), 현재 발표자에게는 잔여시간(발표시간 중 남은 시간)을 카운트다운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발표자 단말(100) 화면을 제어한다(S4830). 이때,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400)에서 발표파일이 닫힌(Close) 경우, 발표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고(S4900, S4910), 다음 발표자 단말에 대하여 상술한 프로세스가 구동되도록 루프를 돈다(S4920).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he presentation file is loaded o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S4800), and the presentation file is output (S4810), calculates the output amount and the remaining amount to the next speaker The process of notifying the next step to the presenter is started (S4850), and the screen of the presenter terminal 100 is controlled so that the remaining time (remaining time of the presentation time) can be counted down to the current presenter (S4830). At this tim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rmines that the presentation has ended when the presentation file is closed i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400 (S4900 and S4910),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the next speaker terminal is performed. The loop is turned to be driven (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2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4100 to S492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도 4의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nference of FIG. 4 a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nference through FIGS. 1 to 3.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표자 단말로 학술대회 명칭, 날짜, 발표장소, 발표순서 및 발표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5100).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표자 단말로부터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발표자 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업로드받고(S5200), 발표시간에 발표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여 발표장소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300).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erence name, date, presentation place, presentation order, and presentation time to the presenter terminal (S5100). The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from the speaker terminal so as to be mapped to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S5200),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at the presentation time, and checks whether or not it matches the location of the presentation location. (S5300).

그리고,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표자 단말의 위치가 발표시간에 발표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발표자 식별코드를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리딩 또는 스캔하도록 제어하고(S5400), 리딩 또는 스캔된 발표자 식별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발표장소에 위치한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500).In addition,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is located at the presentation place at the presentation time, controls to read or scan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n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S5400), and read or scanned speaker identification code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previously mapped and stored is controlled to be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located at the presentation place (S5500).

이와 같은 도 5의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nference of FIG. 5 a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nference through FIGS. 1 to 4.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A method of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Yes),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I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6)

발표자 식별코드를 부여받아 저장하고, 상기 발표자 식별코드와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이용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발표자 식별코드에 포함된 발표시간에 동기화되어 위치를 전송하도록 출력하고, 상기 발표자 식별코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발표자 단말;
상기 발표자 단말로 학술대회 명칭, 날짜, 발표장소, 발표순서 및 발표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생성부, 상기 발표자 단말로부터 상기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상기 발표자 식별코드와 매핑되도록 업로드받는 저장부, 상기 발표시간에 상기 발표자 단말의 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발표장소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발표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발표시간에 상기 발표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발표자 식별코드를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리딩 또는 스캔하도록 제어하는 스캔부, 상기 리딩 또는 스캔된 발표자 식별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상기 발표장소에 위치한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and stored,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and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are uploaded using SaaS (Software as a Service), and synchronized with the presentation time included in the presenter identification code to transmit the location. A speaker terminal for displaying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on a screen;
A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ference name, date, presentation place, presentation order, and presentation time to the speaker terminal, and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from the speaker terminal with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 storage unit that is uploaded to be mapped, a confirmation unit that receives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at the presentation time and check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presentation place matches, and the location of the speaker terminal is located at the presentation place at the presentation time In this case, a scanning unit that controls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to be read or scanned by a presentation output device, and a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previously mapped to and stored in the reading or scanned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s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located at the presentation location.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be performed;
Containing,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가상화하는 SaaS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 virtualization unit providing a SaaS service for virtualizing at least one program driving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so that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is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further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부는,
상기 학술대회 발표파일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서버기반컴퓨팅(Server Based Computing) 또는 데스크탑 가상화(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virtualization unit,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characterized in that server-based computing or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is executed so that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is output from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출력 장치는,
발표자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표자 식별코드를 스캔 또는 리딩한 경우, 스캔 또는 리딩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리턴된 기 저장된 학술대회 발표파일을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entation output device,
A device that scans or reads a speaker identification code, and when the speaker identification code is scanned or read, transmits the scanned or read data to the control unit, and a previously stored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returned from the control un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system for providing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web server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which is a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술대회의 스케줄을 변경하는 변경 이벤트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발표자 단말로 변경된 스케줄에 따라 재조정된 발표시간을 전송하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n alarm unit for transmitting a re-adjusted presentation time according to the changed schedule to the presenter terminal when a change event for changing the schedule of the academic conference is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발표장소의 크기를 확인하고, 상기 학술대회 발표파일 내에 포함된 폰트의 크기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폰트의 크기가 기 저장된 발표장소크기별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체크된 폰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폰트의 크기가 증가됨으로써 프리젠테이션의 화면을 벗어나는 이미지 콘텐츠의 크기를 조정하여 상기 화면 내부에 위치되도록 편집하는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술대회 운영을 위한 웹서버 기반 스케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Check the size of the presentation place, check the size of the font included in the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and if the size of the checked fon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reviously stored presentation place size, increase the size of the checked font. And an editing unit that adjusts the size of image content outside the screen of the presentation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font and edits the image content to be located inside the screen;
A web server-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operating an academic conference further comprising a.
KR1020190046000A 2019-04-19 2019-04-19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KR102181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00A KR102181700B1 (en) 2019-04-19 2019-04-19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000A KR102181700B1 (en) 2019-04-19 2019-04-19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796A true KR20200122796A (en) 2020-10-28
KR102181700B1 KR102181700B1 (en) 2020-11-23

Family

ID=7301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000A KR102181700B1 (en) 2019-04-19 2019-04-19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7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2640A (en) * 2020-12-30 2021-12-21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Conferen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45A (en) * 2001-05-29 2001-11-08 봉 경 김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using bar-code, and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presentation funcion using bar-code
KR20140040994A (en) * 2012-09-27 2014-04-04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ont processing method for maintaining document layou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font processing program for the same
KR20160080091A (en) * 2014-12-29 2016-07-07 (주)자이닉스 Lecture presentation system that provides lecture presentation to field participant using QR co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645A (en) * 2001-05-29 2001-11-08 봉 경 김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using bar-code, and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presentation funcion using bar-code
KR20140040994A (en) * 2012-09-27 2014-04-04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ont processing method for maintaining document layou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font processing program for the same
KR20160080091A (en) * 2014-12-29 2016-07-07 (주)자이닉스 Lecture presentation system that provides lecture presentation to field participant using QR co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2640A (en) * 2020-12-30 2021-12-21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Conferen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822640B (en) * 2020-12-30 2024-04-09 京东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Conferen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700B1 (en)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90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electronic presentations with a shared electronic pointer
US10620898B2 (en) Method to exchange visual elements and populate individual associated displays with interactive content
Johanson et al. The event heap: A coordination infrastructure for interactive workspaces
US6989801B2 (en) Two-way presentation display system
Carter et al. Momento: support for situated ubicomp experimentation
US112880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30061155A1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orkflow Environment
CN110073385A (en) Document links in e-mail system
WO20140234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llaborative environment using distributed touch sensitive surfaces
KR20160106610A (en) Accessing and configuring meeting attributes
US202002804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223105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computer system based on process modeling of an implemented process
US109903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3151597A1 (en) Task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181700B1 (en) System for providing web server based schedule management service for conference administration
Van Kleek Intelligent environments for informal public spaces: the Ki/o kiosk platform
CN110286971A (e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medium and calculating equipment
Edge et al. The physical world as an abstract interface
US201500670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ills et al. Situated computing: the next frontier for HCI research
Krumm � An Introduction to Ubiquitous Computing ROY WANT
KR102228572B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topic oriented intelligent collabor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rllige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23080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collaborative editing by hooking the editing area on the web
Zwach et al. ICT: Attendance and Contact Tracing During a Pandemic
KR101690465B1 (en) Portal implementation applicaion preced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social network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