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637A -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 Google Patents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637A
KR20200122637A KR1020190045585A KR20190045585A KR20200122637A KR 20200122637 A KR20200122637 A KR 20200122637A KR 1020190045585 A KR1020190045585 A KR 1020190045585A KR 20190045585 A KR20190045585 A KR 20190045585A KR 20200122637 A KR20200122637 A KR 2020012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heating panel
vibration
soundproof
dust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854B1 (ko
Inventor
신정철
Original Assignee
신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철 filed Critical 신정철
Priority to KR102019004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85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난방패널에 충격 발생시 충격감쇄재를 통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킴으로써,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과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열을 방열시키도록 온수관이 매립 설치되는 난방패널 및 상기 난방패널에 충격 발생시 충격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로 전달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충전되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키는 충격감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DECK DEVICE FOR SOUNDPROOF AND DUSTPROOF}
본 발명은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패널에 충격 발생시 충격감쇄재를 통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킴으로써,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위층 바닥에서 사람의 보행, 물건의 낙하 등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질 때, 바닥슬래브, 천장 또는 벽체를 통해 바닥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바닥충격음은 크게 그릇, 골프공 등의 낙하음, 의자, 책상의 이동음 등과 같이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되는 경량충격음과 성인의 보행, 어린아이들의 뜀뒤기 등과 같이 저주파의 고에너지를 가지는 중량충격음으로 구분된다.
또한, 아래층과 위층을 구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는 상층과 하층의 공기 유통을 차단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차음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으나, 밀도가 강한 콘크리트 구조에 충격이나 진동을 가하게 되면, 음파가 상쇄되지 않고 바닥층이나 벽을 따라 인접한 다른 세대로 전달되는 특성을 가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층간 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물들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난방용 배관과 마감용 모르타르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마감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철근콘크리트층, 기포콘크리트층, 마감용 모르타르층을 통한 습식 타설 방법으로 인해 양생 후 밀도가 높은 경질체로 이루어져 소음 및 진동이 쉽게 전달되기 때문에 고무칩층, 폴리에틸렌(PE) 패드층,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칩층을 순서대로 적층 시공하고 있지만,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45164호(2005.05.17 공개, 명칭: 공동주택 층간 소음방지용 저감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난방패널에 충격 발생시 충격감쇄재를 통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윗층에서 아래층의 천장으로 전달되는 층간 소음과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열을 방열시키도록 온수관이 매립 설치되는 난방패널 및 상기 난방패널에 충격 발생시 충격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로 전달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키는 충격감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요철플레이트와, 상기 볼록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충격감쇄재가 구획 가능하게 충전되도록 충전공간부를 형성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충전공간부에 상기 충격감쇄재가 충전시 상기 구획부재의 상측에 지지되어 상기 충격감쇄재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감쇄재는 상기 지지부에 충전되어 상기 난방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고, 상측에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발포재 및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 가능하게 충전되어 상기 난방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운동 에너지로 전환하여 충격을 감쇄시키는 규사재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관은 상측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온수의 온열을 상기 난방패널의 표면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충격감쇄재를 넘어서는 충격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충격을 상기 난방패널로 리턴시키는 리턴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는 난방패널에 충격 발생시 충격감쇄재를 통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킴으로써,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규사재가 1차적으로 소음과 진동을 완화시킨 후, 발포재가 2차적으로 소음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에 의한 특성으로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의 시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는 감쇄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에서 요철플레이트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에서 온수관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 난방패널(200) 및 충격감쇄재(3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콘크리트 슬래브(C)에 안착된다. 이때, 지지부(100)는 경우에 따라 콘크리트보, 철골보 등에 안착될 수 있으며, 편의상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슬래브(C)에 안착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난방패널(200)을 지지하는 동시에 충격감쇄재(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요철플레이트(110), 구획부재(120) 및 커버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요철플레이트(110)는 콘크리트 슬래브(C)에 지지되고, 오목부(112)와 볼록부(111)가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오목부(112)는 콘크리트 슬래브(C)의 상측에 지지되고, 볼록부(111)는 구획부재(120)를 기립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된다.
여기서, 요철플레이트(110)의 재질은 구획부재(120)를 통해 전달되는 난방패널(200)의 하중으로부터 변형되지 않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감쇄재(300)를 통과하는 충격이 상쇄되도록 수평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오목부(112)는 콘크리트 슬래브(C)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충격감쇄재(300)를 통과하는 진동을 콘크리트 슬래브(C)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요철플레이트(110)와 콘크리트 슬래브(C)의 사이에는 습기를 차단시키는 방습지(1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획부재(120)는 볼록부(111)에 기립하게 설치되어 충격감쇄재(300)가 구획 가능하게 충전되도록 충전공간부(121)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획부재(120)는 충전공간부(121)에 충격감쇄재(300)의 시공이 완료되면 커버플레이트(130)를 지지한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130)는 충전공간부(121)에 충격감쇄재(300)가 충전시 충격감쇄재(300)를 커버하도록 구획부재(120)의 상측에 지지된다. 이러한 커버플레이트(13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획부재(120)의 상측에 지지시 난방패널(200)을 설치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충격감쇄재(300)에서 규사재(320)의 유실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커버플레이트(130)는 0.4mm 내 0.8mm의 두께를 가지며, 밀도가 높은 금속판이나 밀도를 높인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난방패널(200)은 지지부(100)의 상측에 지지되고, 열을 방열시키도록 온수관(210)이 매립 설치된다. 이러한 난방패널(200)은 온수관(210)에 온수가 공급되면 열기를 방출하여 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온수관(210)은 상측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온수의 온열을 난방패널(200)의 표면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온수관(210)은 확산부(211)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온수관(21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가 흐르는 부위의 둘레면에 공기층(21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층(212)은 온수관(210)에 별도의 공기를 주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온수관(210)의 성형 제조시 자연적으로 공기가 채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온수관(210)은 온수가 공급되면 온수에 의한 온열이 공기층(212)에 의해 단열된 상태에서 확산부(211)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난방패널(200)의 표면을 단시간에 가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격감쇄재(300)는 난방패널(200)에 충격 발생시 충격이 콘크리트 슬래브(C)로 전달 방지되도록 지지부(100)에 충전되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것으로서, 발포재(310) 및 규사재(320)를 포함한다.
발포재(310)는 지지부(100)의 발포 가능하게 충전되어 난방패널(200)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상측에 수용홈부(311)를 형성한다. 아울러, 발포재(310)는 지지부(100)의 충전공간부(121)에 충전시 콘크리트 슬래브(C)에서 난방패널(200)로 이동되는 냉기를 차단하는 단열재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규사재(320)는 수용홈부(311)에 수용 가능하게 충전되어 난방패널(20)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운동 에너지로 전환하여 충격을 감쇄시킨다. 이러한 규사재(320)는 난방패널(200)로부터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면 입자 사이의 공극을 통해 움직여서 마찰력으로 소음 및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실리카 샌드로 이루어진다.
즉, 충격감쇄재(300)는 난방패널(200)에 충격이 가해져 소음과 진동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 규사재(320)가 1차적으로 소음과 진동을 완화시킨 후, 발포재(310)가 2차적으로 소음과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에 의한 특성으로 소음과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규사재(320)가 수용홈부(311)에 충전시 발포재(310)가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발포재(310)는 충전공간부(121)의 70% 내지 90% 범위로 충전되고, 규사재(320)는 충전공간부(121)의 10% 내지 30% 범위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부(311)와 규사재(320)의 사이에는 수지필름(3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규사재(320)는 수용홈부(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소음 및 진동에 의해 움직여 마찰하는 과정에서 발포재(310)의 시공시 의도치 않게 생기는 틈새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부(100)의 가장자리에는 충격감쇄재(300)를 넘어서는 충격에 대해 충격을 난방패널(200) 방향으로 리턴시키는 리턴플레이트(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리턴플레이트(400)는 상단과 하단에 굴절된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커버플레이트(130)의 상측에 안착되고, 하단은 요철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충격감쇄재(300)에서 콘크리트 슬래브(C)로 전달되는 충격이 수평방향으로 전달될 경우 리턴플레이트(400)의 하단은 요철플레이트(11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고, 리턴플레이트(400)의 상단은 전달받은 진동을 난방패널(200)로 리턴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지지부 110: 요철플레이트
111: 오목부 112: 볼록부
120: 구획부재 121: 충전공간부
130: 커버플레이트 200: 난방패널
210: 온수패널 211: 확산부
212: 공기층 300: 충격감쇄부
310: 발포재 320: 규사재
330: 수지필름 400: 리턴플레이트

Claims (5)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열을 방열시키도록 온수관이 매립 설치되는 난방패널; 및
    상기 난방패널에 충격 발생시 충격이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로 전달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소음과 진동을 이중으로 감쇄시키는 충격감쇄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요철플레이트;
    상기 볼록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충격감쇄재가 구획 가능하게 충전되도록 충전공간부를 형성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충전공간부에 상기 충격감쇄재가 충전시 상기 구획부재의 상측에 지지되어 상기 충격감쇄재를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쇄재는,
    상기 지지부에 충전되어 상기 난방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상측에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발포재; 및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 가능하게 충전되어 상기 난방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운동 에너지로 전환하여 충격을 감쇄시키는 규사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은 상측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온수의 온열을 상기 난방패널의 표면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충격감쇄재를 넘어서는 충격에 대해 수평 방향의 충격을 상기 난방패널로 리턴시키는 리턴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KR1020190045585A 2019-04-18 2019-04-18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KR10224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85A KR102245854B1 (ko) 2019-04-18 2019-04-18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85A KR102245854B1 (ko) 2019-04-18 2019-04-18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37A true KR20200122637A (ko) 2020-10-28
KR102245854B1 KR102245854B1 (ko) 2021-04-28

Family

ID=7301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585A KR102245854B1 (ko) 2019-04-18 2019-04-18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8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84A (ko) * 2003-06-25 2003-07-10 조훈희 층간소음저감 조립식 건식 온돌패널
KR100632147B1 (ko) * 2005-03-15 2006-10-12 (주)재현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1737101B1 (ko) * 2016-08-26 2017-05-17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KR101929628B1 (ko) * 2016-11-09 2018-12-14 김재화 층간소음 차음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784A (ko) * 2003-06-25 2003-07-10 조훈희 층간소음저감 조립식 건식 온돌패널
KR100632147B1 (ko) * 2005-03-15 2006-10-12 (주)재현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101737101B1 (ko) * 2016-08-26 2017-05-17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KR101929628B1 (ko) * 2016-11-09 2018-12-14 김재화 층간소음 차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854B1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653596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20120003557A (ko)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의 흡수를 위한 층간차음재
KR102028754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및 공법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587987B1 (ko) 집합건축물에 사용되는 차음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층간바닥구조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2245854B1 (ko) 방음 및 방진용 데크장치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1176496B1 (ko)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KR200473232Y1 (ko) 층간소음재
KR20080029515A (ko)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음 감쇄구조
KR200453109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378892Y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KR100730094B1 (ko) 층간차음 구조체
KR20110126398A (ko) 층간 흡음패널
KR100692315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방지구조
KR20070110630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구조
KR102428342B1 (ko)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