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198A -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198A
KR20200122198A KR1020190045157A KR20190045157A KR20200122198A KR 20200122198 A KR20200122198 A KR 20200122198A KR 1020190045157 A KR1020190045157 A KR 1020190045157A KR 20190045157 A KR20190045157 A KR 20190045157A KR 20200122198 A KR20200122198 A KR 20200122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ergency
mobile terminal
vo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기우
Original Assignee
염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기우 filed Critical 염기우
Priority to KR102019004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2198A/ko
Publication of KR2020012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변 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운드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위급상황 메시지를 기설정된 수신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없을 만큼 긴급하거나 위중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노인이나 유아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MERGENCY REQUES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없을 만큼 긴급하거나 위중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노인이나 유아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보호자나 구조기관에 신속하게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에,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기능 중 긴급통화 기능은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 처한 경우, 간단한 조작만으로 경찰서, 소방서 등의 등 공공기관에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 이와 유사한 애플리케이션들도 제공되고 있어, 사용자들은 긴급상황에서 긴급통화 버튼을 터치하는 것만으로 공공기관에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들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긴급통화 버튼, 혹은, 그에 상응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해야만 전화통화 혹은 메시지 발신이 가능하다.
그런데, 사용자가 불시에 위급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 통화 기능을 조작하는 것 조차 어려울 수 있으며, 시급을 다투는 긴박한 상황일 경우 긴급통화 기능을 조작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만큼 신고가 접수되는 시간도 지연되어 결과적으로 사용자를 구조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노약자나 연소자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사용에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위급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없을 만큼 긴급하거나 위중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노인이나 유아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보호자나 구조기관에 신속하게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주변 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운드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위급상황 메시지를 기설정된 수신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사용자의 평상시 발성 주파수에 비해 기준 대역 이상 높은 주파수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수신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인식된 단어,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조합하여 위급상황의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급상황의 단계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의 수신처를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후 상기 메시지의 수신처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재발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위급상황 메시지를 기설정된 수신처로 송신하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수신처로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이동 단말기에 수신 확인 신호를 회신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위급상황 알림 방법은, 주변 사운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운드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사용자의 평상시 발성 주파수에 비해 기준 대역 이상 높은 주파수로 판단된 경우 위급상황 메시지를 기설정된 수신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기준 대역 이상 높은 주파수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인식된 단어, 상기 현재 시간 및 상기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에 기초하여 위급상황의 단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이 위험상황에서 발성 시 나타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중앙관리서버, 구조기관서버, 보호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처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없을 만큼 긴급하거나 위중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노인이나 유아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위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은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소프트웨어인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 이동 단말기(100),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위급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중앙관리서버(10), 보호자 단말기(30) 및 경찰서, 소방서 등과 같은 긴급구조기관의 구조기관서버(20)를 포함한다.
중앙관리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위급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위급한 정도에 따라 구조기관서버(20)와 보호자 단말기(3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10)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을 업데이트하고 위급상황 알림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조기관서버(20)는 경찰서, 소방서 등의 긴급구조기관에서 위급상황을 신고 받는 관제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30)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보호자의 수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수신 단말기는 보호자의 휴대용 전화, 유선전화, PDA, 인터넷 웹페이지 등의 다양한 수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위급상황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휴대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망(CDMA/LTE/5G) 무선랜망(WiFi)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관리서버(10), 구조기관서버(20), 보호자 단말기(30)와 연결되어 위급상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다.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된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위급의 정도에 따라 중앙관리서버(10), 구조기관서버(20), 보호자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처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종래의 긴급호출 기능들이 사용자의 기능 조작에 의해 실행되었던 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평소와는 다르게 발성하는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한다. 일상적인 대화를 위해 하는 발성과 신음 소리, 비명, 등 위급상황에서 하는 발성은 그 주파수 대역이 전혀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음성이 위험상황에서 발성 시 나타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중앙관리서버(10), 구조기관서버(20), 보호자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처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 없을 만큼 긴급하거나 위중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노인이나 유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할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의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중앙관리서버(10) 없이, 이동 단말기(100)에서 보호자 단말기(30) 및 긴급구조기관의 구조기관서버(20)로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보호자 단말기(30) 또는 긴급구조기관의 구조기관서버(20) 중 어느 한 측에만 위급 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30) 및 긴급구조기관의 구조기관서버(20) 이외에 다른 연락처로 위급 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및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의 제어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40), 센싱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50), 제어부(160) 및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 예를 들어, GIPS기반 실내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4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42),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phone, 144),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44)로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는 제어부(160)에서 분석되어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42)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14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6)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46)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46)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ㅇ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2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2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참고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32), 스피커(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2)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46)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13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4)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5)에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저장된다.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관리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으며, 혹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으로서 출고 당시부터 탑재될 수 있다.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위급상황 관리를 위한 일련의 동작이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의 실행이 선택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부팅 시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앙관리서버(10), 구조기관서버(20), 보호자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처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마이크(144)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210),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212), 음성 인식부(210) 및 주파수 분석부(212)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위급상황 판단부(214)를 포함하며, 위급 상황 판단을 위한 기준값들의 설정정보 저장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정보 저장부(216)에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 설정정보, 위급상황 메시지의 수신처가 설정된 연락처 설정정보,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이외에 위급 상황 판단의 부차적인 조건이 설정되는 위치 설정정보, 시간 설정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음성 인식부(210)는 마이크(144)로 입력되는 사운드들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마이크(144)로 입력되는 사운드는 사용자의 음성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음성이나 생활 소음 등이 혼재되어 있다. 음성 인식부(210)는 설정정보 저장부(216)에 저장된 사용자 음성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혼재된 사운드들 중 사용자의 음성을 추출해낼 수 있다.
주파수 분석부(212)는 음성 인식부(210)에서 사용자 음성으로 인식된 사운드의 주파수를 분석한다. 주파수 분석부(212)는 사용자의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주파수 대역의 변화를 실시간 분석할 수 있다.
위급상황 판단부(214)는 주파수 분석부(212)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음성 주파수 대역은 성별, 나이, 개인 특성 등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를 각기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사용자일지라도 감정 상태에 따라 음성 주파수 대역이 변동될 수 있다. 위급상황일 경우 비명을 지를 가능성이 높으며, 비명소리는 일상적인 대화를 수행할 때와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위급상황 판단부(214)는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음성이 위험상황에서 발성 시 나타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한다.
위급상황 판단부(214)는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 이외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시간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분석된 음성 주파수 대역이 비명으로 간주될 만큼 충분히 높지 않거나, 높은 주파수 대역은 아니지만 평소와는 확연히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분석될 경우, 혹은, 높은 주파수 대역의 음성을 발성하지만 위급상황은 아닌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위급상황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위치 및 시간 등의 환경정보가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심야 시간대에는 주간 시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의 비명일 지라도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위험 시간대, 안전 시간대, 위험 지역, 안전 지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과 함께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현재 시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급상황 판단부(214)는 위급상황으로 판단될 시 중앙관리서버(10), 구조기관서버(20), 보호자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처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위급상황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사용자 이름, 연락처 등, 사용자 구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급상황 판단부(214)는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출력부를 통해 위급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34)를 통해 경고음 및 구조요청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구조 요청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구조 신호를 발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각부 구성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관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 흐름도로서,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에 따라 제어부(160)가 이동 단말기(100)의 각부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위급상황 관리 모드에 진입한다(S110).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의 실행이 선택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부팅 시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할 수 있다.
위급상황 관리 모드에서 제어부(160)는 마이크(144)를 통해 주변의 사운드를 입력 받는다(S112).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사운드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한다(S114). 마이크(144)로 입력되는 사운드는 사용자의 음성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음성이나 생활 소음 등이 혼재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음성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혼재된 사운드들 중 사용자의 음성을 추출해낼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으로 인식된 사운드의 주파수를 분석하고(S116), 판단된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특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8). 위급상황일 경우 비명을 지를 가능성이 높으며, 비명소리는 일상적인 대화를 수행할 때와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 음성이 위험상황에서 발성 시 나타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음성인식 기능 중 단어 인식 기능도 주파수 분석에 기초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는 것과 함께 단어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후(S120), 단어를 인식하여 인식된 단어에 따라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22). 입력된 특정 단어(소리치지마, 꼼짝마, 살려주세요, 엄마야, 하지마, 다가오지마, ..)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위급상황을 인지하여야 한다. 즉, 자신이 위기상황일때의 상황을 가정하여 어플에 특정단어를 자신의 음성으로 미리 입력하여 놓으면 실제 위기상황에서 스위치 버튼의 작동없이 비명이나 특정단어를 말하면 어플이 작동하여 지정된 곳으로 위기신고(위치안내 포함)를 문자와 호출로 보내게 하는 장치와 기능을 하는 어플에 대한 특허이다.
제어부(160)는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한 후(S124), 판단 결과에 따라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실행한다(S126). 위급상황으로 판단될 시 제어부(160)는 중앙관리서버(10), 구조기관서버(20), 보호자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처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위급상황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와 사용자 이름, 연락처 등, 사용자 구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124단계의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단순히 위급 여부만을 판단할 뿐 아니라 위급한 정도를 세분화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의 위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뿐 아니라, 사용자가 언급한 단어, 현재 위치, 현재 시간에 따라 위급의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가장 위급한 상황인 경우 1 단계로 판단하고 위급성이 덜할 수록 2단계, 3단계로 단계의 판단할 수 있다. 제1 단계 위급상황은 경찰서나 소방서 등의 구조기관의 즉각적인 구조 및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고, 제2단계는 구조기관에 신고접수를 할지를 시간을 두고 판단할 수 있는 정도의 상황이며, 제3단계는 보호자의 조치로 수습이 가능한 정도의 상황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야 시간대에 집 등의 실내가 아닌 옥외에서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이 높게 입력된 경우 가장 위급한 상황인 1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낮 시간대에 사용자의 집 안에서 일상적인 주파수 대역보다는 높지만 비명으로 간주하기에는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성이 입력되면 상대적으로 위급의 정도가 낮은 상황인 3단계 혹은 2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급의 단계를 세분화하여 판단하는 경우, 각 단계별로 위급상황 메시지의 수신처를 다르게 설정하여 각 상황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위급의 단계를 세분화하여 판단하는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급상황 판단결과, 가장 위급한 상황인 1단계로 판단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실행중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1단계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중앙관리서버(10), 보호자 단말기(30), 구조기관서버(2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한다(S210). 제1단계 위급상황은 즉각적인 구조조치가 필요한 가장 위급한 상황임으로 즉시 경찰서, 소방서 등의 구조기관서버(20)에 사용자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30) 및 중앙관리서버(10)에도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여 사용자의 안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관리서버(10)는 제1단계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피드백한다(S220). 중앙관리서버(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호출하여 사용자의 착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와의 통화를 수행하여 현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후 중앙관리서버(10)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메시지 발신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 메시지를 재발신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10)는 사용자가 설정한 보호자 단말기(3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230).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100)가 보호자 단말기(30) 측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하지만, 일부 보호자에 대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직접 송신하지 않고 중앙관리서버(10)에서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서도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고 중앙관리서버(10)에서도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설정하여 메시지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10)는 구조기관서버(2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240).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100)가 구조기관서버(20) 측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하지만, 제1단계 위급상황인 경우 중앙관리서버(10)에서도 구조기관서버(20) 측에 이동 단말기(100)의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여 위급상황에 대한 신고접수가 누락되거나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급상황 판단결과, 중간 단계의 위급한 상황인 2단계로 판단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실행중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2단계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중앙관리서버(10)와 보호자 단말기(3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한다(S310). 제2단계 위급상황은 구조기관에 신고접수를 할지를 시간을 두고 판단할 수 있는 정도의 상황으로서, 먼저 보호자 단말기(30) 및 중앙관리서버(1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여 사용자의 안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관리서버(10)는 제2단계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피드백한다(S320).
이 후, 중앙관리서버(1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구조기관서버(20) 혹은 보호자 단말기(3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하여 송신할 수 있다(S330). 중앙관리서버(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호출하여 사용자의 착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와의 통화를 수행하여 현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1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호출하여 일정 시간 내에 전화 연결이 되지 않거나, 혹은, 전화통화를 수행하여 확인된 사용자의 상태가 위급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호자 단말기(30) 및 구조기관서버(2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후 중앙관리서버(10)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메시지 발신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 메시지를 재발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위급상황 판단결과 상대적으로 위급도가 떨어지는 3단계로 판단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200)이 실행중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3단계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중앙관리서버(1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한다(S410). 제3단계 위급상황은 구조기관의 조치 없이 해결될만한 상황이거나 신고 여부를 시간을 두고 판단할 수 있는 정도의 상황으로서 먼저 중앙관리서버(1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여 사용자의 안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관리서버(10)는 제3단계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피드백한다(S420).
이 후, 중앙관리서버(1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구조기관서버(20) 혹은 보호자 단말기(3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할지를 판단하여 송신할 수 있다(S330). 중앙관리서버(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호출하여 사용자의 착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가 연결된 경우 사용자와의 통화를 수행하여 현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1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를 호출하여 일정 시간 내에 전화 연결이 되지 않거나, 혹은, 전화통화를 수행하여 확인된 사용자의 상태가 위급한 것으로 판단되면 보호자 단말기(30)나 구조기관서버(20)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후 중앙관리서버(10)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피드백이 수신되지 않으면 메시지 발신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 메시지를 재발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음성이 위험상황에서 발성 시 나타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경우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중앙관리서버(10), 구조기관서버(20), 보호자 단말기(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처에 위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없을 만큼 긴급하거나 위중한 상황에 처해 있거나 노인이나 유아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대역과 함께 사용자가 언급한 단어들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위급한 정도를 세부 단계로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위급함의 정도에 따라 위급상황 메시지의 수신처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항의 위급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중앙관리서버 20 : 구조기관서버
30 : 보호자 단말기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센싱부
130 : 출력부 140 : 입력부
150 : 메모리 160 : 제어부
200 :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

Claims (9)

  1. 주변 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사운드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위급상황 메시지를 기설정된 수신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사용자의 평상시 발성 주파수에 비해 기준 대역 이상 높은 주파수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수신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인식된 단어,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조합하여 위급상황의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급상황의 단계에 따라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의 수신처를 각기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후 상기 메시지의 수신처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재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위급상황 메시지를 기설정된 수신처로 송신하는 위급상황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수신처로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위급상황 메시지를 발신한 이동 단말기에 수신 확인 신호를 회신하는 중앙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7. 이동 단말기의 위급상황 알림 방법에 있어서,
    주변 사운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운드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사용자의 평상시 발성 주파수에 비해 기준 대역 이상 높은 주파수로 판단된 경우 위급상황 메시지를 기설정된 수신처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의 주파수 대역이 상기 기준 대역 이상 높은 주파수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인식된 단어, 상기 현재 시간 및 상기 현재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에 기초하여 위급상황의 단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시간 및 현재 위치 중 GPS기반 실외 위치와 GIPS기반 실내 위치를 조합하여 위급상황 시 사용자 위치를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90045157A 2019-04-17 2019-04-1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22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57A KR20200122198A (ko) 2019-04-17 2019-04-1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57A KR20200122198A (ko) 2019-04-17 2019-04-1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98A true KR20200122198A (ko) 2020-10-27

Family

ID=7313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157A KR20200122198A (ko) 2019-04-17 2019-04-17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21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7014B2 (en) Proximity-based reminders
US10656905B2 (en) Automatic and selective context-based gating of a speech-output function of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AU20183312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sponding to an audio inquiry
RU2518064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для служб обще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JP6144428B2 (ja) 無線lan自動接続方法、無線lan自動接続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17821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ing a voice message
US20210366475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location-variable group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quiries
US11600274B2 (en) Method for gathering information distributed among first responders
CN102970323A (zh) 通过无线局域网对移动通信设备的远程访问
US9706380B1 (en) Providing emergency notification and tracking data from a mobile device
US99677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 persona of a digital assistant
US11910335B2 (en) Vehicle-to-everyth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US108246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 timeline of a public safety incident
AU20183810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compliance of communication of a dispatcher
US118635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delivery
KR20150025930A (ko) 오디오 채널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22198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633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28234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rowd control
KR101289255B1 (ko) 학교 내 위급상황 알림용 스마트폰
KR20160052280A (ko) 위치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80124227A1 (en) Vehicula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vehicle-mounted device, method for providing text data, and program for providing the same
WO2024130599A1 (en) Method for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taking over an assignment
US20130052980A1 (en) Pager having a call-back function
JP201204445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