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636A -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636A
KR20200121636A KR1020190044436A KR20190044436A KR20200121636A KR 20200121636 A KR20200121636 A KR 20200121636A KR 1020190044436 A KR1020190044436 A KR 1020190044436A KR 20190044436 A KR20190044436 A KR 20190044436A KR 20200121636 A KR20200121636 A KR 20200121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video
sub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367B1 (ko
Inventor
김원태
강문수
김봉석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 출력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송신 서브 시스템 및 송신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수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고, 수신 서브 시스템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송신 서브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각각에서 출력될 부분들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 블럭들의 순서를 영상 표시 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을 재구성된 순서대로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서브 시스템은,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UTPUTTING IMAGE WITH PLURALITY OF IMAGE DISPLAYING DEVICES}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표시 장치들로의 송신 이전에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져 영상 표시 장치들이 복잡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적합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영상 출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시각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영상 표시 장치가 여러 용도로 활용되면서 대면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는 기술적, 비용적 문제로 인해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영상 표시 장치로 표현할 수 있는 영상의 사이즈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영상 표시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보다 큰 사이즈의 영상을 표현하는 방식이 채택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된 시스템을 비디오 월 시스템(Video Wall System) 또는 멀티비전 시스템(Multivision System)이라고 한다.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ID를 할당받고, 디스플레 장치 각각이 영상 데이터 전체를 수신한 후 자신의 ID에 대응하는 영상의 부분을 판단하여 출력할 영상 위치를 파악한다. 아울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장치의 영상 출력 조건에 적합하게 영상을 조정하는 등의 복잡한 영상처리를 수행해야만 의도된 영상을 적합하게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 이러한 멀티비전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 각각에게 큰 사이즈의 원래의 영상이 송신된 후,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작은 영상 부분들로 분할 및 선택된 후 출력되고 이들이 상호 연동하여 원래의 영상이 단절됨 없이 디스플레이 되어야만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원래의 영상을 이루는 많은 양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들 각각에게 전달되어야 하고, 각 디스플레이는 수신한 영상을 자신의 처리 환경에 맞도록 재구성하는 영상 처리를 해야 하므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사양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고, 또한 이 복수의 장치들의 디스플레이를 전체적으로 세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기법들을 동원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915311호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멀티비전에서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ID를 매트릭스 형태로 자동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ID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ID 할당과 관련한 멀티비전의 설치가 간단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에서도 여전히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영상 전체를 수신하고 다시 영상 전체를 다음 디스플레이로 전달해야하기 때문에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모두 높은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춰야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치에 스케일러가 구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여전히 ID 할당이 필요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에서는 할당된 ID에 따라 출력해야할 영상의 위치를 파악해야하므로, 각 디스플레이에서 처리되어야 할 정보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멀티비전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각각이 갖추어야 할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사양이 높아지게 되고, 멀티비전 시스템이 구현하는 화면의 크기가 커질수록 장비 비용이 증가하고, 시스템 제어의 복잡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대면적의 영상을 복수의 부분 영상들로 분할하여 동 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디스플레이할 때, 각 영상 표시 장치의 요구 사양을 최소한도로 제한하면서도 부분 및 대면적 영상의 품질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하려는 상호 양립하기 어려운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영상 처리의 양을 줄이고 그 장치의 구비 사양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멀티비전 시스템 및 방법을 고안해 냄으로써, 종래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마다 ID가 할당되어야 하고,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마다 영상 전체에 대한 처리, 영상 스케일링 및 출력 영상 선별 작업이 수행되어야 했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ID 할당 작업 없이도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가 자신에게 할당된 적합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가 복잡한 영상 처리 작업 및 영상 선별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에게 할당된 적합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 출력 시스템 내에서 실제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출력될 크기의 영상 데이터만 송수신되도록 하여 영상 출력 시스템 내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부분의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요구사양을 낮추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영상 표시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을 간소화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사양을 낮춤으로써, 기존 멀티비전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비용으로 다수의 영상 표시 장치로 구성된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을 위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종래의 각 영상 표시 장치로 영상 데이터 전체가 중복하여 전송되는 자원 낭비를 줄이고 각 영상 표시 장치의 역할과 자체 영상 처리 수행을 크게 감소시키면서도 영상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본 발명가들은, 영상 스케일링, 영상 분할 및 분할된 영상 순서의 재구성 등 많은 영상 처리 작업이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사전 처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전 처리된 영상 데이터가 자원 효율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되게 함으로써,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비교적 단순하게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창안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은 송신 서브 시스템과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을 포함하는 수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서브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수신 서브 시스템은 송신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서브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 원본을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 서브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중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될 부분들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를 영상 표시 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을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해상도의 총합이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 블럭들 각각은 해당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송신 서브 시스템은 해상도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표시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을 수신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서브 시스템은 영상 표시 장치들에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가 모두 송신된 후에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영상 정보가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가능한 만큼인지를 계산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표시 장치 각각은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가능한 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자신이 출력할 영상이 모두 수신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추가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추가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출력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해상도의 총 합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는 영상 스케일러,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중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될 부분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블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따라 재구성하는 영상 재구성부, 및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된 순서에 따라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중 첫 번째 영상 표시 장치에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영상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서브 시스템 및 수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에 맞도록 스케일링하는 단계,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중 각각의 영상 출력 장치에서 출력될 부분들로 분할하는 단계,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분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 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따라 재구성하는 단계,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달하는 단계 사이에는,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스케일링하는 단계는 해상도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표시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해상도의 총합이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 각각은 해당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들에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가 모두 송신된 후에, 송신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동기화 신호를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는,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추가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방법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는,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고, 추가 영상 데이터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종래 멀티비전 시스템과는 달리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마다 ID가 할당될 필요가 없고,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마다 복잡한 영상 처리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단순화된 영상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ID 할당 작업 없이도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가 자신에게 할당된 적합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가 복잡한 영상 처리 작업 및 영상 선별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자신에게 할당된 적합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은, 영상 출력 시스템 내에서 실제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출력될 크기의 영상 데이터만 송수신되도록 하여 영상 출력 시스템 내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부분의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요구사양을 낮추고 처리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영상 출력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영상 표시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을 간소화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사양을 낮춤으로써, 기존 멀티비전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비용으로 다수의 영상 표시 장치로 구성된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복잡한 영상 처리가 대부분 이루어지고 수신 서브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단순하게 영상 출력 동작을 수행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제어의 복잡도가 낮아지고, 출력할 영상에 대한 복잡한 세팅 없이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외관 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외관 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스케일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영상 재구성 동작 및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재구성된 영상들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재구성된 영상들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부분을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외관을 도시한다.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송신하는 송신 서브 시스템(100)과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하는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비전 시스템 또는 비디오 월 시스템은 하나의 영상 표시 장치가 아닌,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가 함께 영상을 표시하는 구조의 시스템이다.
이에 따라,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각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에 대응하도록 영역별로 분할되고,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는 분할된 영상 프레임을 개별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인해 영상 출력 시스템은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을 통해 대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4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이 2x2 행렬 형태로 배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영상 표시 장치들이 수량과 배치방식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x2 행렬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 중,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좌상단에,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는 우상단에, 제3 영상 표시 장치(230)는 좌하단에, 제4 영상 표시 장치(240)는 우하단에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영상이 부분들로 분할되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에서 출력됨으로써 하나의 전체 영상이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의해 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프레임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배치에 대응하여 2x2로 분할되며, 영상 프레임의 각각의 분할된 영역은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에 표시된다. 즉, 영상 프레임의 분할된 영역 중 좌상단 영역은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에, 우상단 영역은 제2 영상 표시 장치(220)에, 좌하단 영역은 제3 영상 표시 장치(230)에, 우하단 영역은 제4 영상 표시 장치(240)에 의해 출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서브 시스템(100)과 수신 서브 시스템(200)이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210, 220, 230, 240)이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송신 서브 시스템(100)과 수신 서브 시스템(200)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는 무선 연결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 서브 시스템(100)이 제1 케이블(21)을 통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와 연결되고, 제1 영상 표시 장치(210)가 제2 케이블(22)을 통해 제2 영상 표시 장치(220)와 연결되고, 제 2 영상 표시 장치(220)가 제3 케이블(23)을 통해 제3 영상 표시 장치(230)와 연결되고, 제3 영상 표시 장치(230)가 제4 케이블(24)을 통해 제4 영상 표시 장치(240)에 연결된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들 중 제일 선순위인 제1 영상 표시 장치(210)가 수신하고 순차적으로 다음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들(220 내지 240)로 영상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달을 위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는 입력 포트(210a, 220a, 230a, 240a) 및 출력 포트(210b, 220b, 230b, 240b)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송신 서브 시스템(100)이 수신 서브 시스템(200)과 별개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수신 서브 시스템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영상 표시 장치들 중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일 예로서 셋탑박스(set-top box)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와 같은 별도 장치 존재할 수 있고,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영상 처리 및 송신을 담당한다는 의미에서 서브 시스템이라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들에 송신될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공한다는 의미에서는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들의 구성 역시 도시된 배치 및 숫자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배치 및 개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표시 장치들은 LCD, PDP, O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영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까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영상 스케일러(110), 영상 재구성부(120) 및 영상 송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입력부, 데이터 저장부 등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이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의 원본은 TV 방송과 같이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처리될 수도 있고, 영상 파일 원본이 송신 서브 시스템(100)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데이터가 처리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스케일링 동작, 영상 재구성 동작 및 영상 송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영상 스케일러(110)는 영상이 출력될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출력 능력에 따라 출력될 영상을 스케일링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출력 능력은 해상도(Resolution) 이외에도, 영상 표시 장치의 개수, 화면 종횡비(Aspect Ratio), 주사율, 표현 가능 색상 등 다양한 영상 출력에 관련된 제한조건이 될 수 있으며, 영상 출력 능력은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영상 출력 능력은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송신 서브 시스템(200)은 해상도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표시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될 원본 영상 데이터(11)가 3840 X 2160의 4K 영상이고 수신 서브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4개의 영상 표시 장치가 각각 720 X 480의 해상도를 가진다면, 영상 스케일러(110)는 3840 X 2160의 영상 데이터(11)를 (720 X 480) X 4 = 2880 X 1920 의 해상도의 영상 데이터(13)로 스케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출력 능력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210, 220, 230, 240)의 해상도의 총합이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 각각은 해당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4와 같은 경우라면,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출력 능력은 2880 X 1920이고, 수신 서브 시스템(200)에 송신될 영상 데이터는 4개의 블럭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영상 데이터의 블럭은 720 X 480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출력 능력은 영상 출력 시스템 설치시에 작업자에 의해 사전 설정되어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영상 처리 이전 단계에서 송신 서브 시스템(100)이 수신 서브 시스템(200)과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파악할 수도 있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의 영상 스케일러(110)를 통해 영상 데이터가 수신 서브 시스템(200)에 적합하도록 사전 스케일링되므로,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는 원본 영상 데이터 자체가 아닌 수신 서브 시스템(200)에서 출력할 수 있는 만큼의 해상도를 가진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서브 시스템(100)과 수신 서브 시스템(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부 및 수신 서브 시스템(200) 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부에서의 하드웨어적 및 소프트웨어적 사양이 낮게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비용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영상 재구성부(120)는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동작 방식에 맞추어 영상 데이터를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될 복수의 블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를 재구성한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 영상 데이터가 재구성되어 송신되는 순서에 따라 어떤 영상 표시 장치에서 어떤 영상 부분이 출력될지가 결정되므로, 재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는 수신 서브 시스템(200)에서 영상 표시 장치들이 연결되는 순서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과 관련된 규칙에 따라서 수신 서브 시스템(200)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이 최종적으로 어느 영상 표시 장치에 저장되는지가 달라진다.
따라서, 송신 서브 시스템(100)의 영상 재구성부(120)는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의 동작 규칙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최종 전달 결과로서,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의 블럭이 저장될 수 있도록 재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를 결정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4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210, 220, 230, 240)이 도 2와 같이 연결된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들은 먼저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에 맞는 크기 만큼만 저장하고, 이후에 추가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도록 동작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상기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규칙은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시에 이미 설정되어 출고될 수도 있고, 멀티비전 시스템의 설치시에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후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서브 시스템(100)의 영상 재구성부(120)는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13)를 4개의 영역 또는 블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이 좌상단 영상(1), 우상단 영상(2), 우하단 영상(4), 좌하단 영상(3)의 순서로 배열되도록 재구성한다.
영상 재구성부(120)에 의해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17)의 블럭들은 배열된 순서에 따라 영상 송신부(130)를 통해 순차적으로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되는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19)의 블럭들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오른쪽에 배치된 영상 데이터 블럭이 가장 먼저 송신되고, 가장 좌측에 배치된 영상 데이터 블럭이 가장 나중에 송신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순차적으로 송신되는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19)는 위치 정보나 출력되어야할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ID 정보를 별도로 포함하지 않으며, 분할되어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 자체가 어느 영상 표시 장치에 어떤 영상 데이터 부분이 출력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출력 시스템 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이 감소하며,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표시 장치(210, 220, 230, 240)는 ID의 할당이나 별도 영상 처리 없이도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여 적합한 영역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내부 블럭도를 도시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송신 서브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211),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터(213),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215),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217) 및 다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어야할 영상 데이터를 다음에 연결된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로 전달하는 영상 송신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11)는 송신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픽셀 카운터(213)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픽셀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에서는 각각의 픽셀 데이터마다 하나의 픽셀을 나타내는 유효한 데이터임을 표시하는 신호가 있어서, 픽셀 카운터(213)는 이러한 신호를 판독하여 제1 영상 표시 장치(210)가 수신한 픽셀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영상 데이터에서 일정 수의 픽셀 데이터마다 이를 표시하는 신호가 있어서, 픽셀 카운터(213)가 이러한 신호를 판독하여 수신되는 픽셀의 수를 일정 수의 단위로 계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정된 동작 규칙에 따르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제1 영상 표시 장치(210)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215)에 저장한다.
제1 영상 표시 장치(210)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를 초과하여 추가로 영상 데이터가 제1 영상 표시 장치로 수신되면 해당 영상 표시 장치(210)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220)로 추가 영상 데이터가 전달된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해상도가 720 X 480이라면 픽셀 카운터(213)는 영상 수신부(211)와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픽셀의 수가 345,600개가 될 때까지 카운트하여 영상 저장부(215)에 저장되도록 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영상 송신부(219)를 통해 제2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된게 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다른 영상 표시 장치들도 상술된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원칙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표시 장치들(210, 220, 230, 240)은 단순하게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원래 출력되어야할 영상의 부분이 적합한 영상 표시 장치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든 영상 표시 장치에 적합한 영상 데이터 부분들이 저장되면, 송신 서브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신호에 따라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저장된 영상이 출력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에는 별도의 영상 스케일러나 영상 재구성부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영상 표시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이 간소화되고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사양이 낮아진다.
상술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필요한 영상 표시 장치는 종래의 멀티비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영상 표시 장치보다 훨씬 낮은 사양이 요구되어 멀티비전 시스템 구성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출력 시스템을 대규모로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영상 표시 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더욱 큰 비용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된 미리 정해진 규칙과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재구성된 영상들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7에서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사전에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로서, 좌상단 영상(1, 1번 영상), 우상단 영상(2, 2번 영상), 우하단 영상(4, 4번 영상), 좌하단 영상(3, 3번 영상)의 순서로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된다.
도 7에 도시된 방식에서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의 픽셀 수만큼만 수신 및 저장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다음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규칙에 따라 설정된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먼저 1번 영상(1)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로 전송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자신이 출력할 수 있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도 7의 a),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2 내지 4)는 모두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로 전달한다(도 7의 b).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가 720 X 480이라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중 345,600개의 픽셀 수를 가지는 영상 데이터를 먼저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후에 수신되는 추가 영상 데이터는 모두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영상들(1 내지 4)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스케일링되었으므로, 1번 영상(1)은 제1 영상 표시 장치(210)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와 동일한 픽셀 수의 데이터이고, 2번 영상(2)은 제2 영상 표시 장치(220)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와 동일한 픽셀 수의 데이터이고, 3번 영상(3)은 제3 영상 표시 장치(230)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와 동일한 픽셀 수의 데이터이고, 4번 영상(4)은 제4 영상 표시 장치(240)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와 동일한 픽셀 수의 데이터이다.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는 제1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2번 영상(2)을 수신하고, 자신이 출력할 수 있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인 2번 영상(2)을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b),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들은 모두 제4 영상 표시 장치(240)로 전달한다(도 7의 c).
제4 영상 표시 장치(240)는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순서에 따라 제2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4번 영상(4)을 수신하고, 자신이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 만큼의 영상 데이터인 4번 영상(4)을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도 7의 c),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들은 모두 제3 영상 표시 장치(230)로 전달한다(도 7의 d).
제3 영상 표시 장치(230)는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순서에 따라 제4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3번 영상(3)을 수신하고, 자신이 출력할 수 있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인 3번 영상(3)을 영상 저장부에 저장한다(도 7의 d).
모든 영상들이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되면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동기화 신호는 vsync 신호일 수 있으며, hsync, 클럭 신호 등의 다른 동기화 신호일 수도 있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에서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들은 모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도 8은 상술된 미리 정해진 규칙과는 다른 규칙이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재구성된 영상들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8에서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사전에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로서, 좌하단 영상(3, 3번 영상), 우하단 영상(4, 4번 영상), 우상단 영상(2, 2번 영상), 좌상단 영상(1, 1번 영상)의 순서로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된다.
도 8에 도시된 방식에서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픽셀 수의 크기만큼만 수신 및 저장하고, 추가로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다음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의 크기 만큼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동작과 함께 영상 저장부에서는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만약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는다면,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에 덮어써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규칙에 따라 설정된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는 먼저 3번 영상(3)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로 전송되고,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자신이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의 픽셀 수만큼의 영상 데이터인 3번 영상(3)을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도 8의 a), 4번 영상(4)이 추가로 수신되면, 기저장된 3번 영상(3)을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로 전달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4번 영상(4)을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한다(도 8의 b).
4번 영상(4)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후, 추가로 2번 영상(2)이 수신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4번 영상(4)을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로 전달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2번 영상(2)을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한다(도 8의 c).
2번 영상(4)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후, 추가로 1번 영상(1)이 수신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2번 영상(2)을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로 전달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1번 영상(1)을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한다(도 8의 d).
종국적으로는 1번 영상(1)은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저장부에, 2번 영상(2)은 제2 영상 표시 장치(220)의 저장부에, 3번 영상(3)은 제3 영상 표시 장치(230)의 저장부에, 4번 영상(4)은 제4 영상 표시 장치(210)의 저장부에 저장되게 된다.
모든 영상들이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되면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동기화 신호는 vsync 신호일 수 있으며, hsync, 클럭 신호 등의 다른 동기화 신호일 수도 있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에서 동기화 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들은 모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에서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11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되고,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12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되며, 제2 영상 표시 장치(220)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13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되며, 마지막 영상 표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14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된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출력될 원본 영상 데이터를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출력 능력에 따라 출력될 영상을 스케일링한다(S1110).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이 출력된 영상 표시 장치들의 수에 맞추어 분할된다(S1120). 분할된 영상 데이터는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들의 순서에 따라 적합한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도록 순서가 재구성된다(S1130).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는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제1 영상 표지 장치(210)에서는 송신 서브 시스템(10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210).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215)에 저장된다. 제1 영상 표시 장치는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의 픽셀 수를 계산하여 제1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의 픽셀 수만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판단한다(S1230). 영상 데이터가 제1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크기의 픽셀만큼 저장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는 추가로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한다(S1240).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는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310).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S1320),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계산하여 제2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픽셀 수만큼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판단한다(S1330). 영상 데이터가 제2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 만큼 저장되면, 제2 영상 표시 장치는 추가로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다음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한다(S1340).
이러한 동작들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동일하게 수행되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자신이 출력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는 직전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저장부에 저장한다(S1410). 마지막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크기 만큼 저장되었는지 판단하고(S1420), 영상 데이터가 마지막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만큼 저장되면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영상 데이터가 모두 전달되면,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동기화 신호를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전달하고, 동기화 신호를 받은 영상 표시 장치들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21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되고,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22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되며, 제2 영상 표시 장치(220)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23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되며, 마지막 영상 표시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는 S2400의 박스 안에서 표시된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출력될 원본 영상 데이터를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영상 출력 능력에 따라 출력될 영상을 스케일링한다(S2110).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이 출력된 영상 표시 장치들의 수에 맞추어 분할된다(S2120). 분할된 영상 데이터는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들의 순서에 따라 적합한 영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도록 순서가 재구성된다(S2130).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는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송신된다.
수신 서브 시스템(200)의 제1 영상 표지 장치(210)에서는 송신 서브 시스템(10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2210).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제1 영상 표시 장치(210)의 영상 저장부(215)에 저장된다(S2220). 제1 영상 표시 장치는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계산하여 제1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 만큼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판단한다(S2230). 영상 데이터가 제1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 만큼 저장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는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로 전달하고, 영상 저장부에서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삭제한다(S2240). 아울러, 추가로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한 후 추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였으나,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추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에 덮어쓰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는 제1 영상 표시 장치(2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2310). 제2 영상 표시 장치(22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S2320),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계산하여 제2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해상도 만큼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판단한다(S2330). 영상 데이터가 제2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픽셀 수만큼 저장되면, 제2 영상 표시 장치(210)는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제3 영상 표시 장치(230)로 전달하고,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삭제한다(S2340). 아울러, 추가로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동작들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동일하게 수행되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자신이 출력할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는 직전에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저장부에 저장한다(S2410). 마지막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해상도 만큼 저장되었는지 판단하고(S2420), 영상 데이터가 마지막 영상 표시 장치가 출력할만큼 저장되었다면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에서 영상 데이터가 모두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전달되었으며,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동기화 신호를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전달하고, 동기화 신호를 받은 영상 표시 장치들은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서브 시스템(100)은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출력될 영상의 매 프레임이 영상 표시 장치들(210, 220, 230, 240)에 저장될 때마다 이러한 동기화 신호를 수신 서브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출력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송신 서브 시스템 110: 영상 스케일러
120: 영상 재구성부 130: 영상 송신부
200: 수신 서브 시스템 210: 제1 영상 표시 장치
211: 영상 수신부 213: 픽셀 카운터
215: 영상 저장부 217: 영상 출력부
219: 영상 송신부 220: 제2 영상 표시 장치
230: 제3 영상 표시 장치 240: 제4 영상 표시 장치

Claims (15)

  1.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영상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송신 서브 시스템 및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수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고,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각각에 상응하도록 복수의 블럭들로 분할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를 재구성하고, 상기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을 재구성된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픽셀 카운터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은 상기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표시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해상도의 총합이고,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 각각은 해당 영상 데이터의 블럭이 출력될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상기 추가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고,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고, 추가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중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들에 상기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이 모두 송신된 후에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
  8. 순차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출력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해상도의 총 합에 기초하여 스케일링하는 영상 스케일러;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각각에서 출력될 부분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재구성하는 영상 재구성부; 및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을 재구성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중 첫 번째 영상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영상 송신부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9. 송신 서브 시스템, 및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을 포함하는 수신 서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영상 출력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에 맞도록 스케일링하는 단계;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상기 스케일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 각각에서 출력될 부분을 나타내는 복수의 블럭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의 순서를 영상 표시 장치들이 연결된 순서에 기초하여 재구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에서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을 재구성된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에서 상기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달하는 단계 사이에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픽셀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스케일링하는 단계는 상기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영상 표시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영상 출력 능력은 상기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의 해상도의 총합이고, 상기 분할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 각각은 해당 영상 데이터의 블럭이 출력될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추가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추가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저장부에 기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해당 영상 표시 장치에 연결된 다음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추가 영상 데이터 중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는 픽셀 수만큼의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상기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의 블럭들이 모두 전달된 후에, 상기 송신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으로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서브 시스템의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의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KR1020190044436A 2019-04-16 2019-04-16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7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36A KR102170367B1 (ko) 2019-04-16 2019-04-16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36A KR102170367B1 (ko) 2019-04-16 2019-04-16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636A true KR20200121636A (ko) 2020-10-26
KR102170367B1 KR102170367B1 (ko) 2020-10-27

Family

ID=7300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436A KR102170367B1 (ko) 2019-04-16 2019-04-16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0968B2 (en) 2020-07-31 2023-04-04 Alphascal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nto LED panels
US11495195B2 (en) * 2020-07-31 2022-11-08 Alphascal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in display images unto LED pane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71B1 (ko) * 2007-10-15 2014-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14810A (ko) * 2014-04-02 201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16523A (ko) * 2014-08-04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71B1 (ko) * 2007-10-15 2014-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14810A (ko) * 2014-04-02 201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16523A (ko) * 2014-08-04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367B1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8163C (zh) 多屏幕系统及其驱动方法
US8072449B2 (en) Workstation for processing and producing a video signal
JP6045705B2 (ja) ピクセル繰り返し帯域幅を利用したビデオストリーム及びオーディオストリームの結合
KR102170367B1 (ko)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68853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video signal
KR20210117141A (ko)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7072644A (ja) 表示制御装置
GB2538797B (en) Managing display data
US7382375B2 (en) Video card with interchangeable connector module
US20140204994A1 (en) Auxiliary data encoding in video data
US20060181538A1 (en) Displaying apparatus and data writing device
KR101513413B1 (ko) 안드로이드 기반 uhd 매트릭스 영상 배열 장치
CN104182193B (zh) 一种高清大屏幕显示方法、系统及大屏工作站
CN106598526B (zh) 一种在拼接墙显示ppt的方法、装置及系统
US66429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frame rate matching
JP2008523654A (ja) 画面多重化
KR102010456B1 (ko)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9198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processing a video signal
US20180295315A1 (en) Display device configuring multi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13423B1 (ko) 스케일러를 이용한 uhd 영상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US11962820B2 (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indicating game play status
US20200112708A1 (en) Image slicing to generate input frames for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CN113038036A (zh) 背景图显示方法、视频处理设备、显示系统和主控卡
CN108243293B (zh) 一种基于虚拟现实设备的图像显示方法及系统
JP2020167472A (ja) 画像処理装置、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