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604A - Funiture door - Google Patents

Funitur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604A
KR20200121604A KR1020190044365A KR20190044365A KR20200121604A KR 20200121604 A KR20200121604 A KR 20200121604A KR 1020190044365 A KR1020190044365 A KR 1020190044365A KR 20190044365 A KR20190044365 A KR 20190044365A KR 20200121604 A KR20200121604 A KR 2020012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door panel
furnitur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관영
Original Assignee
임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영 filed Critical 임관영
Priority to KR102019004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604A/en
Publication of KR2020012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6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3Handles having blind holes at both end section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do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rniture door with improved engagement with a knob applied to the door of the furni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rniture door comprising: a door panel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two-stage bump where a first bump and a second bump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front end unit on one side, and an insertion groove uni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internal side of the second bump; and a knob panel which includes an insertion bump unit formed by protruding from one end of on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unit of the door pane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unit of the door panel, and a grip unit formed by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other side surf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the furniture door which is able to engage a knob made of materials different from those of a door.

Description

가구 도어{Funiture door}Furniture door {Funiture door}

개시된 내용은 가구 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의 도어에 적용되는 손잡이와의 결합관계를 개선한 가구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a furniture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door with improved coupling relationship with a handle applied to the door of the furnitur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가구의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슬라이드식, 회전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슬라이드식은 도어가 가구 내부에 슬라이드 가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고, 회전식은 도어의 일측이 붙박이장과 같은 가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측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Furniture doors can be divided into slide type and rotary typ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sliding type means that the door is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inside the furniture, and the rotary type means that one side of the door is rotatably coupled to furniture such as a built-in cabinet, and a hand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가구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원목 또는 합판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드 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다. 도어의 외측 평면에 하나 이상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도어의 일측 단면부에 손가락이 거치될 수 있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niture doors are generally made of solid wood or plywood, and include handles to facilitate slide or rotation. One or more handles may be included on the outer plane of the door, and a concave portion through which a finger may be mounted may be included in an end face of the door.

그러나, 종래의 가구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를 성형하고, 별도의 손잡이 부재를 결합하되, 손잡이 부재가 돌출되어 공간 상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손잡이로 사용될 오목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시트지를 부착할 때 원활하지 않고, 오목부에 시트지 들뜸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furniture d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is molded and a separate handle member is combined, but the handle member protrudes and space is limited. In the case of including a recess to be used as a handle integrally, the sheet pap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smooth when attached, and sheet paper lifted up in the concave portion.

이에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0468507호에서는 도어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가구용 손잡이를 게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패널과 결합되며, 패널이 수납되는 패널요입부를 포함하고, 도어패널을 관통하는 결합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삽입홈이 형성되어 볼트결합에 의해 도어패널과 결합되는 가구용 손잡이를 게시하고 있다. Accordingly,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8507, a handle for furniture that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is posted, and in more detail, it is combined with a door panel, including a panel recess in which the panel is accommodated, and a combination that penetrates the door panel. A bol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bolt can be inserted is formed, and a handle for furni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door panel by bolting is posted.

그러나, 도어와 손잡이가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제조공정이 길어지고, 결합부재가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볼트결합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경질의 소재로 형성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oor and the handle were joined by bolting,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lengthened and the number of coupling members was large, so it was not economical. There was a problem.

1.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0468507호1.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8507

손잡이가 외부에 돌출되지 않으면서, 문짝과 소재가 다른 손잡이를 결합할 수 있으며, 외부면을 감싸는 시트지의 들뜸을 줄일 수 있는 가구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furniture door capable of combining a door leaf and a handle having a different material without protruding from the outside, and reducing the lifting of the sheet covering the outer surfa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선단부의 내측으로 제1 및 제2단턱이 연속형성되는 2단의 단턱이 형성되고, 제2단턱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일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끼움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고, 타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패널을 포함하는 가구 도어를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Disclosed is a door panel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wherein a two-stage stepped step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teps are continuously formed is formed in the inside of one tip portion, and a fit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inside the second stepped part, and A gripping part protruding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at one end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including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door panel, and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A furniture door including a handle panel including a is presented as an example.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가구에 적용되는 도어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가 외부에 돌출하지 않고, 도어 몸체와 다른 소재로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외부면을 감싸는 시트지의 들뜸을 줄일 수 있는 가구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the door applied to the furniture, the handle held by the user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handle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door body, and the lifting of the sheet pap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can be reduced. Furniture doors can be provided.

본 실시 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도어의 단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도어의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도어의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도어의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rnitu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5 is a use state diagram of a furnitur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선된 가구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mproved furniture do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가구 도어는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선단부의 내측으로 제1 및 제2단턱(12, 13)이 연속형성되는 2단의 단턱이 형성되고, 제2단턱(13)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11)가 형성되는 도어패널(10) 및 상기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일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부(21)를 포함하고, 타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22)를 포함하는 손잡이패널(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furniture doo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teps 12 and 13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inside of one front end. The door panel 10 is formed, and the fitting groove 1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second step 13 and protru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A handle panel comprising a fitting protrusion 21 formed and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and a gripping portion 22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 20).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패널(10)은 싱크대, 장농, 책상 및 벽장 등에 사용되는 문짝을 구성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가구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가구의 문짝은 사각형의 형상이므로 상기 도어패널(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door panel 10 constitutes a door used for a sink, a cabinet, a desk, and a closet, and may be formed of a polygonal plate to be applied to various furniture. Since the door of general furniture has a square shape, the door panel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shape.

상기 도어패널(10)의 일측 선단부의 내측으로 제1 및 제2단턱(12, 13)이 연속형성되는 2단의 단턱이 형성되고, 제2단턱(13)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패널(10)은 일정한 폭을 가진 판재의 형상으로써, 후술하는 손잡이패널(20)과 결합을 위한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지칭하는 일측 선단부는 손잡이패널(20)이 위치할 선단부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가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구와 결합하는 단부의 반대측에 손잡이패널(20)이 위치하나, 주방 상부에 위치한 찬장 및 싱크대의 경우에는 가구와 결합하는 단부와 수직되는 위치에 손잡이패널(20)이 위치할 수 있어, 손잡이패널(20)의 위치를 한정하지 않고, 가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 two-stage stepped step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teps 12 and 13 are continuously formed is formed inside the front end of one side of the door panel 10, and a fitting groove portion ( 11) is formed. The door panel 10 has a shap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form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panel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one-side end portion referred to above refers to a front end portion where the handle panel 20 will be located,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urnitur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pplied. In general, the handle panel 2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d coupled to the furniture, but in the case of a cupboard and a sink located above the kitchen, the handle panel 20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coupled to the furniture, The position of the handle panel 20 is not limited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furnitur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제1 및 제2단턱(12, 13)이 연속형성되는 2단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선단부의 최상부에서 제1단턱(12)까지의 높이와 제1단턱(12)에서부터 제2단턱(13)까지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최상부에서 제1단턱(12)까지의 높이가 제1단턱(12)에서부터 제2단턱(13)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상부에서부터 제1단턱(12)까지의 도어패널(10) 부분은 가구내부를 외부와 격리하는 역할을 하고, 후술하는 손잡이패널(20)이 결합되고 난 후 상기 선단부의 최상부와 손잡이패널(20)의 파지부(22)의 높이에 차이를 두어, 사용자가 파지부(22)에 손을 편안하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높이 차이는 실시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자명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a two-stage stepped step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teps 12 and 13 are continuously formed may be formed from the tip end to the inner side. The height from the top of the tip to the first stepped step 12 The height from the first step 12 to the second step 13 may be the same, or the height from the top to the first step 12 is the first step 12 to the second step 13 It can be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rtion of the door panel 10 from the top to the first stepped 12 serves to isolate the interior of the furniture from the outside, and after the handle panel 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he top of the front end and the handle panel 20 ), the height of the gripping part 22 is different,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put a hand in the gripping part 22.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the height difference can be variously combined according to implementation.

상기 2단의 단턱 중 제2단턱(13)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11)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손잡이패널(20)과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의 두께와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는 도어패널(10)에 대응되는 일측면의 일단에 형성되므로, 상호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끼움홈부(11)를 제2단턱(13) 제일 안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mong the stepped steps of the second step, a fitting groove 11 is formed inside the second stepped step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panel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handle panel 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handle panel 20 is formed at one end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door panel 10, so that the fitting groove 11 is placed in a second step so that they can be accurately coupled to each other. (13)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innermost.

상기 손잡이패널(20)은 상기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일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부(21)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22)를 포함한다.The handle panel 20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at one end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an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to be coupled. ) Is formed protruding, and includes a gripping portion 22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상기 손잡이패널(20)은 상기 도어패널(10)의 선단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장변과 일정한 너비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패널(20)은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결합되어 선단부 전체를 덮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장변의 길이를 선단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패널(20)이 상기 도어패널(10)의 제1단턱(12)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손잡이패널(20)의 두께를 상기 도어패널(10)의 제1단턱(12)과 제2단턱(13)의 차이만큼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손잡이패널(20)은 도어패널(10)의 제2단턱(13)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써, 도어패널(10)과 유격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단변의 너비는 상기 도어패널(10)의 제2단턱(13)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handle panel 2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sid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door panel 10 and a short sid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handle panel 20 is preferably combined with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to cover the entire front end,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is preferably formed equal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a), the thickness of the handle panel 20 so that the handle panel 20 can be coupled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stepped portion 12 of the door panel 10. It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equ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tep 12 and the second step 13 of the door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is the second step 13 of the door panel 10 As a configuration coupled to the door panel 10, the width of the short side is preferably formed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stepped 13 of the door panel 10 so that it can be coupled without a gap.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맞닿는 손잡이패널(20) 일측면의 일단에는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끼움돌부(21)가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패널(20)의 저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홈부(11)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부(11)의 두께와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one end of one side of the handle panel 20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a fitting protrusion 21 is formed protruding in a configuration for engaging with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of the handle panel 20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fitting groove 11 so as to be accurately coupled with the fitting groove 11 as described abov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끼움돌부(21)가 형성된 저면의 타측면 즉, 상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부(22)가 돌출 형성된다. 도어패널(10)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구성으로써, 도어패널(10)과 결합되는 경우 외측 모서리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손을 수월하게 넣을 수 있도록 파지부(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패널(10)의 선단부 최상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되, 사용자의 손가락이 여유롭게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1 to 3, the gripping part 22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21 is formed, that is,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It is combined with the door panel 10 to hold the user's hand, and when combined with the door panel 1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edge.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gripping part 22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t the hand, and preferably,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op end of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but the user's finger is It can be formed to have a difference enough to be able to enter it leisurely.

또한,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22)는 손잡이패널(2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손잡이패널(20)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패널(20)과 곡률을 가지면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종의 인체공학적인 설계로써, 사용자의 손이 자극없이 접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파지부(22)가 곡률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어패널(10)의 제1단턱(12)을 직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곡률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단턱(12)의 곡률과 파지부(22)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a), the gripping part 22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handle panel 20 while protruding upward of the handle panel 20, and shown in Fig. 2(b). Likewise,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while having a curvature with the handle panel 20. As a kind of ergonomic design, it is a configuration for the user's hand to contact without stimulation. When the gripping portion 22 is formed with a curvature, the first stepped portion 12 of the door panel 10 may be formed at a right angle, but may be formed with a curvature. In this case, the curvature of the first step 12 and the gripping portion 2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urvature.

상기 도어패널(10)과 손잡이패널(20)이 상호 결합되어 가구 도어를 이루는 것으로써, 상기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와 상기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가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관계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부재를 통해 나사결합을 할 수도 있고, 본드, 에폭시 등의 접착부재를 더 부가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The door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are mutually coupled to form a furniture door, and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and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handle panel 20 are mutually Can be fitted. In this case,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relationship, screw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 screw member, or an adhesive member such as bond or epoxy may be further added to be combined.

사용자는 가구 도어의 손잡이를 외측으로 잡아 당겨 여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손잡이패널(20)이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부(21)와 동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동일면의 타단에 상기 끼움돌부(21)와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3)을 포함하는 경우 손잡이패널(20)의 너비는 두번째 단턱(13)의 너비에 걸림턱(23)의 너비만큼 더 넓도록 형성하여 걸림턱(23)과 파지부(22)가 형성되는 손잡이패널(20)의 측면에 굴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3)에 의해 파지부(22)를 외측으로 당기는 힘을 지렛대의 원리로 도어패널(10)를 압박하여 결합관계가 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제2단턱(13)은 끼움돌부(21)와 걸림턱(23)이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user repeats the operation of pulling and opening the handle of the furniture door to the outside, so that the handle panel 20 can be separated outward, and thus, as shown in FIG. 3(b),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23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tting protrusion 21 and spaced apart from the fitting protrusion 21 at the other end of the same surface and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locking jaw 23, the width of the handle panel 2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jaw 23 to the width of the second staged jaw 13, so that the locking jaw 23 and the gripping portion 22 are 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nd the side of the handle panel 20 to be formed. A force for pulling the gripping part 22 outward by the locking projection 23 may be applied to the door panel 10 by the principle of a lever, so that the coupling relationship is not weakened. Looking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the second stepped portion 13 may be coupled to surround the fitting protrusion 21 and the locking projection 23.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가구 도어의 다른 일 실시 예를 살펴보면,Looking at another embodiment of the furniture doo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선단부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11)가 형성되는 도어패널(10) 및 상기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일측면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부(21)를 포함하고, 타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22)를 포함하는 손잡이패널(20)을 포함하는 가구 도어를 개시한다.Doedoe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panel 10 in which the fitting groove 11 is form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t the middle of one front end and the middle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A handle panel including a fitting protrusion 21 formed protruding and fit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and a gripping portion 22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A furniture door comprising (20) is disclosed.

본 실시 예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싱크대, 장농, 책상 및 벽장 등에 사용되는 문짝을 구성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가구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가구의 문짝은 사각형의 형상이므로 상기 도어패널(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a door used for a sink, a marketplace, a desk, and a closet is configured, and may be formed of a polygonal plate to be applied to a variety of furniture. Since the shape of the door panel 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도어패널(10)의 일측 선단부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도어패널(10)과 결합되는 손잡이패널(20)이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가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주방 상단벽에 설치되며, 손잡이가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부장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장은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잡이패널(20)이 가구 도어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모든 가구에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자명할 것이다. 이에 따라, 도어패널(10)에 단턱을 형성하지 않고, 일측 선단부의 중단에 손잡이패널(20)과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fitting groove 11 may be formed in a middle portion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door panel 10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panel 20 coupled with the door panel 10 can be applied to furnitur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wall of the kitchen, and the handle is It can be applied to the upper cabinet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It will be appar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the upper cabinet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the handle panel 20 can be applied to all furniture installed on the top or side of the furniture door. Accordingly, without forming a step on the door panel 10, the fitting groove 11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panel 20 at the middle of one end portion.

상기 끼움홈부(11)는 후술하는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와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의 두께와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패널(20)과 결합관계를 단단히 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홈부(11)와 후술하는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의 두께는 상기 도어패널(10)의 두께의 3분의 1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itting groove 11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handle panel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handle panel 20. In order to secure the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handle panel 20, the thickness of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fitting groove 11 and the handle panel 20 to be described later is at least one third of the thickness of the door panel 10. It would be desirable to form.

상기 손잡이패널(20)은 상기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일측면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부(21)를 포함하고, 타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22)를 포함한다.The handle panel 20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t the middle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and the fitting protrusion 2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 and includes a gripping portion 22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상기 손잡이패널(20)은 상기 도어패널(10)의 선단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장변과 일정한 너비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패널(20)은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결합되어 선단부 전체를 덮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장변의 길이를 선단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패널(20)의 너비는 상기 도어패널(10)의 결합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어패널(1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panel 2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sid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door panel 10 and a short sid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e handle panel 20 is preferably combined with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to cover the entire front end, and the length of the long side is preferably formed equal to the length of the front end.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handle panel 2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door panel 10 so as not to cause a gap when the door panel 10 is coupled.

도어패널(10)의 선단부와 맞닿는 손잡이패널(20)의 일측면 중단에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끼움돌부(21)가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패널(20)의 저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홈부(11)와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부(11)의 두께와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rotrusion 21 is formed to protrude in a configuration for engaging with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at the middle of one side of the handle panel 20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10.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of the handle panel 20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fitting groove 11 so as to be accurately coupled with the fitting groove 11 as described above.

상기 끼움돌부(21)가 형성된 저면의 타측면 즉, 손잡이패널(20)의 상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부(22)가 돌출 형성된다. 도어패널(10)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구성으로써, 도어패널(10)과 결합되는 경우 외측 모서리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적용되는 가구에 따라 파지부(22)의 높이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22)는 손잡이패널(2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손잡이패널(20)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손잡이패널(20)과 곡률을 가지면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종의 인체공학적인 설계로써, 사용자의 손이 자극없이 접촉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gripping portion 22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21 is formed, that is,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panel 20. It is combined with the door panel 10 to hold the user's hand, and when combined with the door panel 1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edge.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gripping part 22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applied furniture. 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22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handle panel 20 and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handle panel 20, or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andle panel 20 while having a curvature. As a kind of ergonomic design, it is a configuration for the user's hand to contact without stimulation.

상기 도어패널(10)과 손잡이패널(20)이 상호 결합되어 가구 도어를 이루는 것으로써, 상기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와 상기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가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관계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부재를 통해 나사결합을 할 수도 있고, 본드, 에폭시 등의 접착부재를 더 부가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The door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are mutually coupled to form a furniture door, and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and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handle panel 20 are mutually Can be fitted. In this case,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relationship, screwing may be performed through a screw member, or an adhesive member such as bond or epoxy may be further added to be combined.

사용자는 가구 도어의 손잡이를 외측으로 잡아 당겨 여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손잡이패널(20)이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부(21)와 동일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2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3)을 포함하는 경우 손잡이패널(20)의 너비는 도어패널(10)의 너비에 걸림턱(23)의 너비만큼 더 넓도록 형성하여 걸림턱(23)과 파지부(22)가 형성되는 손잡이패널(20)의 측면에 굴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3)에 의해 파지부(22)를 외측으로 당기는 힘을 지렛대의 원리로 도어패널(10)를 압박하여 결합관계가 약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repeats the operation of pulling and opening the handle of the furniture door to the outside, so that the handle panel 20 can be separated outward, and thus, as shown in FIG. 5, the fitting protrusion ( 2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ame surface, and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23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ipping portion 22.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locking projection 23, the width of the handle panel 2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cking projection 23 to the width of the door panel 10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23 and the gripping portion 22 are 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nd the side of the handle panel 20 to be formed. A force for pulling the gripping part 22 outward by the locking projection 23 may be applied to the door panel 10 by the principle of a lever, so that the coupling relationship is not weakened.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패널(10) 및 상기 손잡이패널(20)의 외측면을 감싸는 시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구의 소재를 보호하며 디자인적 요소를 부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방수 및 스크래치가 방지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패널(20)과 도어패널(10)이 일체로 이루어진 가구 도어의 경우 다수의 굴곡면에 정확하게 부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굴곡면에서 시트지의 들뜸이 발생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경우 도어패널(10)과 손잡이패널(20)을 각각 시트지로 감싸고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된 굴곡면의 시트지가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고, 도어패널(10)과 손잡이패널(20)이 결합하는 면까지 시트지를 부착하여 결합부위의 시트지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손잡이패널(20)과 도어패널(10)의 외측면 전체를 각각 시트지로 감싸고, 도어패널(10)의 끼움홈부(11)를 감싸고 있는 시트지를 끼움홈부(11)에 따라 절개하고, 바로 손잡이패널(20)의 끼움돌부(21)를 삽입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configuration applied to all of the above embodiments, a sheet paper cover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door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component that can protect the material of the furniture and add design elements, it can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waterproof and scratch-resistant. In the case of a furniture door in which the handle panel 20 and the door panel 10 are integrated,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attach to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and the sheet paper was lifted on the curved surfaces, bu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oor Each of the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may be wrapped and combined with sheet paper. In this case, the sheet paper of the combined curved surface can be accurately attached, and the sheet paper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where the door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are joined to prevent the sheet paper from lifting. For example,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anel 20 and the door panel 10 is wrapped with sheet paper, and the sheet paper surrounding the fitting groove 11 of the door panel 10 is cut along the fitting groove 11 And, it can be fitted by inserting the fitting protrusion 21 of the handle panel 20 immediately.

또한, 시트지로 도어패널(10)과 손잡이패널(20)을 각각 감싸는 구성뿐만 아니라, 도어패널(10)와 손잡이패널(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면을 감싸는 구성도 포함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not only a configuration that surrounds the door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respectively with sheet paper, but also a configuration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panel 10 and the handle panel 20 are combined. It will be self-evid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engineer.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closed contents are only example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s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disclosed contents i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10 : 도어패널
11 : 끼움홈부
12 : 제1단턱
13 : 제2단턱
20 : 손잡이패널
21 : 끼움돌부
22 : 파지부
23 : 걸림턱
10: door panel
11: fitting groove
12: first step
13: the second step
20: handle panel
21: fitting protrusion
22: holding part
23: locking jaw

Claims (5)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선단부의 내측으로 제1 및 제2단턱이 연속형성되는 2단의 단턱이 형성되고, 제2단턱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일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끼움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고, 타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패널; 을 포함하는 가구 도어.
A door panel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in which a two-stage stepped step is formed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epped steps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inside of one tip portion, and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stepped inner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ripping part protruding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at one end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including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door panel, and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Handle panel comprising a; Furniture doo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패널은 상기 끼움돌부와 동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동일면의 타단에 상기 끼움돌부와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panel further comprises a locking jaw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tting protrus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tting protrusion at the other end of the same surface and protru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선단부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도어패널; 및
상기 도어패널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일측면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패널의 끼움홈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고, 타측면의 일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패널; 을 포함하는 가구 도어.
Doedoe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a door panel in which a fitting groov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in the middle of one end portion; And
A gripping part protruding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at a middle of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door panel, including a fitt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of the door panel, and protruding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t one end of the other side Handle panel comprising a; Furniture door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패널은 상기 끼움돌부와 동일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
The method of claim 3,
The handle panel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tting protrusion on the same surface, the furniture door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rotruding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ipping portion.
청구한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 및 상기 손잡이패널의 외측면을 감싸는 시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urniture door further comprising a; sheet pap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panel and the handle panel.
KR1020190044365A 2019-04-16 2019-04-16 Funiture door KR202001216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65A KR20200121604A (en) 2019-04-16 2019-04-16 Funitur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65A KR20200121604A (en) 2019-04-16 2019-04-16 Funiture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604A true KR20200121604A (en) 2020-10-26

Family

ID=7300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65A KR20200121604A (en) 2019-04-16 2019-04-16 Funitur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60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07Y1 (en) 2012-01-20 2013-08-19 황종식 A handle for furni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07Y1 (en) 2012-01-20 2013-08-19 황종식 A handle for furn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8915S1 (en) Stopper
US10844627B2 (en) Pocket door pull devices
USD920009S1 (en) Telescopic portable desk
USD934652S1 (en) Door handles for switchgear cabinet
USD913088S1 (en) Cosmetic box
USD922121S1 (en) Cooking stove for camping with integrated movable box and table
USD922174S1 (en) By-pass tool for door knobs
US5634675A (en) Latch for battery compartment
KR101343998B1 (en) Insert type knob
US20060054651A1 (en) Safety switch for an electric nailer
USD960680S1 (en) Door handle for switchgear cabinet
KR20200121604A (en) Funiture door
KR200488601Y1 (en) Cake box
USD885881S1 (en) Door stopper
JP6202429B2 (en) Furniture puller
KR101388198B1 (en) insert type knob
USD930465S1 (en) Casement window operator cover and folding handle
USD951642S1 (en) Bag with handle
USD913029S1 (en) Portable microwave
KR101678877B1 (en) Handle for furniture and furniture having the same
USD898942S1 (en) Entry prevention fence for infant
KR101178732B1 (en) Door for kitchen furniture
US20030135956A1 (en) Ergonomic handle
KR200383005Y1 (en) Jointing structrue of front panel of drawer with knob
KR102377211B1 (en) Coupling Bracket Assembly for Furniture Having Decoupl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