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527A -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527A
KR20200121527A KR1020190044176A KR20190044176A KR20200121527A KR 20200121527 A KR20200121527 A KR 20200121527A KR 1020190044176 A KR1020190044176 A KR 1020190044176A KR 20190044176 A KR20190044176 A KR 20190044176A KR 20200121527 A KR20200121527 A KR 2020012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medicine
information
smar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
Original Assignee
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 filed Critical 전진
Priority to KR102019004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527A/ko
Publication of KR2020012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A61J7/04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automatically changing in response to a schedule deviatio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04M1/7256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투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약품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의 약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약통은 상기 약품별로 부여된 식별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약통부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약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투약 방법이 결정된 투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약 신호에 기초하여 복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약품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상기 통을 통해 상기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SMA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MEDICA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이 보관된 복수의 통을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약통에 구비된 약품들에 대해 사용자의 실시간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량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여된 범위 내에서 투약 개수를 결정하여 복약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단순히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품을 비롯하여 건강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경우에 한 사람이 다양한 약품을 복용하는데 이들 약품들에 대해 권고되는 복용 방식이 매우 다양하여 복용자가 이를 일일이 관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약품을 복용하는 자가 인지 능력이 저하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약품의 복용을 도울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이 보관된 복수의 통을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약통에 구비된 약품들에 대해 사용자의 실시간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량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여된 범위 내에서 투약 방법을 결정하여 복약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상태에 따라 적합한 복약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약품들에 대해 복용 시간 등을 설정한 이후에 복용 시간이 도래한 약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장치 자체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알람신호를 출력하여 다양한 약품들을 복용 방식에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 스마트 투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알람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투약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약품 복용 시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약품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약품 복용 정보를 재전송하여 사용자의 약품 복용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투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품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의 약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약통은 상기 약품별로 부여된 식별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약통부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약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투약 방법이 결정된 투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약 신호에 기초하여 복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약품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상기 통을 통해 상기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통부의 각 통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 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리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용 정보에 포함된 복용 시간에 따라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약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상기 각 약품에 대해 결정된 투약 방법으로서, 투약 개수,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앱의 실행을 통해, 상기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해 처방된 전문투약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전문투약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투약 방법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용된 약품의 허용투약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상기 약품의 허용투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해당 약품에 대한 투약 방법을 결정하여 상기 투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 복수의 통의 일부에 설치된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약 신호에 저장된 약품의 투약 방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약품에 해당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 복수의 약통마다 상기 약품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는,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질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형상을 인식하는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투약 시간이 도래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한 결과, 약품의 보관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약품 복용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투약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한 투약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투약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약품 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에 관한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약통은, 전문 의료 시설의 단말로부터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마다 기 설정된 양만큼 제공된 약품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의 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통은 상기 약품별로 부여된 식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처방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해 제공된 전문투약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전문투약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방법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용된 약품의 허용투약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상기 허용투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약품의 투약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투약 방법을 포함하는 상기 투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투약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해 생성된 투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약품 정보와 동일한 약품이 보관된 약통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약품의 복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약통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술한 스마트 투약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이 보관된 복수의 통을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약통에 구비된 약품들에 대해 사용자의 실시간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 방법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여된 범위 내에서 투약 방법을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건강 상태에 따라 적합한 복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단말 및 가전제품을 통해 알람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투약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약품 복용 시간을 알려주고, 사용자가 약품을 꺼내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약품 복용 정보를 재전송하여 사용자의 약품 복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 투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의 외관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서 앱을 통해 사용자의 혈압 측정값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의 외관을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외관에서 관찰되는 스마트 투약 장치의 구성과 함께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는 구성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1)은 스마트 투약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투약 장치(100)는 전문 의료 시설의 단말(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마다 기 설정된 양만큼 제공된 약품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의 약통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약통부(110)마다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고, 각 약통에 보관되는 약품 정보와 상기 식별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투약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전문 의료 시설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한 투약 방법으로서, 투약 개수,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투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앱의 실행을 통해, 상기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해 처방된 전문투약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전문투약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 방법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용된 약품의 허용투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질병의 종류나 환자의 상태 또는 환자의 환경에 따라 전문 의료 시설로부터 사용자에게 장기간 복용할 약품을 처방하여 제공한 경우를 전제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전문 의료 시설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량,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투약하도록 하는 전문투약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문투약정보는 처방된 투약 기간 동안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한 투약 방법, 일 예로 사용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 투약해야 하는 약품 개수에 대한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허용투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에 자주 방문하기 어려운 환자, 질병에 따라 약품을 장기 일수로 처방받은 환자, 장기간 복용할 약품을 처방 받았지만 매일 질병 상태의 변화가 큰 환자 등이 있을 수 있다. 꾸준히 약을 복용해야 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저하증 환자나, 혈압의 변화에 관련된 고혈압, 저혈압 환자, 당 수치의 변화가 큰 당뇨병 환자 등의 경우가 그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1)은 이러한 환자에 대해 약품이 처방된 복용 기간 동안 질병의 실시간 상태 즉,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 방법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용된 범위 내에서 약품의 양(또는 개수)과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 등을 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시간 건강상태에 보다 세밀하고 신속하게 반영하여 질병의 치료와 상태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외부 진단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측정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설문 조사를 제공하여 상기 설문 조사에 대한 답변을 분석함으로써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고, 상기 전문 의료 시설의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해당 약품의 허용투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해당 약품에 대한 투약 방법을 포함하는 투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투약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결정된 약품의 개수,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 정보와 함께 해당 약품이 보관된 약통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에서 앱을 통해 사용자의 혈압 측정값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혈당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혈압 수치가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앱을 통해 사용자의 혈압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혈압 상태에 미리 매핑되어 저장된 약품의 개수,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에 관한 정보 등을 추출하여, 투약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스마트 투약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의 실시간 혈압 수치에 따라 스마트 투약 장치(100)를 통해 제공된 복약 정보가 어제는 하루 2회, 1회에 1개씩이었던 데에 비해, 오늘 측정된 혈압 수치에 따라 제공된 투약 방법은 하루 3회, 1회 2개씩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장치(100)는 약통부(110), 리드부(120), 개폐부(130), 복용 정보 관리부(140), 알림부(150), 제어부(160), 통신부(170) 및 감지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약통부(110)는 복수의 약통들(110_1, 110_2, 110_3, 110_4: 이하에서는 복수의 약통들 전부를 일컬어 참조부호 '110'으로 기재)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약통들(110)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각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배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약통들(110)이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직선 배치되거나 원형으로 배치되는 등 복수의 약통(110)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약통(110)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약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약통(110)에 보관되는 약품은 알약, 가루약, 포장재에 쌓인 약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약통(110)에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으며 각 식별정보에 따라 보관되는 약품의 종류와 개수가 관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약통(110_1)을 기준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약통(110_1)의 일방에 형성된 개구에는 리드부(120)가 구비되어 제1 약통(110_1)을 밀폐할 수 있다. 리드부(120)는 제1 약통(110_1)의 개구 일 측에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리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약통(110)의 개구의 형태에 따라 약통(110)을 밀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드부(120)는 약통(110)의 일측과 힌지 결합 또는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리드부(120)는 개폐부(130)를 통해 여닫힐 수 있고, 제어부(160)가 개폐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리드부(120)가 자동으로 개폐되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전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탄성수단(131), 제1 걸림수단(132) 및 제2 걸림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개폐부(130)는 제1 걸림수단(132)과 제2 걸림수단(133)의 결합을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수단(131)의 일 측은 약통(110)의 내부와 결합하고 타 측은 리드부(12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수단(131)은 탄성력으로 리드부(120)를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는데, 제1 걸림수단(132)과 제2 걸림수단(133)이 요철 형상을 통해 결합하는 등의 경우에는 이러한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리드부(120)의 타측이 약통(110)과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리드부(120)가 약통(110)을 밀폐할 수 있다. 그렇지만 리드부(120)가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경우, 해제수단을 통해 제1 걸림수단(132)과 제2 걸림수단(133)의 결합이 해제되어 탄성수단(131)의 탄성력을 통해 리드부(120)가 개방된다.
실시예에 따라 해제수단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걸림수단(132)과 제2 걸림수단(133)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폐부(130)는 리드부(120)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모터와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개폐부(130)는 리드부(12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어 리드부(120)를 외측으로 개방하거나, 리드부(120)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리드부(120)를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리드부(120)는 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체인이 회전되면 상기 리드부(120)의 결합 방식에 따라 리드부(120)를 외측으로 개방하거나 슬라이딩하여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리드부(120)는 모터의 반대 동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밀폐될 수 있다.
개폐부(130)가 리드부(120)를 열고 닫는 매커니즘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투약 장치(100)에 보관된 약품이 투입되고 배출되도록 리드부(120)가 개폐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처방된 약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결정된 투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투약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약통(110_1, 110_2, 110_3, 110_4) 각각에 대해 보관된 약품의 복용 정보를 생성하여 복용 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투약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투약 방법을 포함하는 신호로서,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약품에 대해 처방된 투약 개수,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용 정보 관리부(140)는 외부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 또는 입력된 정보나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약품 복용 정보는 복수의 약통(110_1, 110_2, 110_3, 110_4) 각각에 부여된 약통 식별정보와 연계되어 각 약통에 보관된 약품과 약품 복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용 정보 관리부(140)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로서 입력 수단과 출력 수단이 통합된 형태이거나, 버튼으로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입력 수단과 출력 수단이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용 정보 관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투약 장치(100)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약통(110_1, 110_2, 110_3, 110_4)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복용 정보 관리부(140)는 설정된 복용 시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복용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하여 약품이 투입되면 자동으로 복용 시간을 평균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투약 장치(100)는 사용자가 동일한 약품을 반복적으로 보관하면서 동일한 약품 복용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대신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용 정보 관리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투약 신호 외의 다른 정보도 수신하여 복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복용 정보 관리부(140)는 음식물 섭취 계획을 포함하는 식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식사 정보에 따라 음식물을 섭취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의 시간을 약품 복용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투약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 자신의 음식물 섭취 계획, 즉 식사 시간 등을 입력하기만 하면 별도로 약품 복용 시간을 입력하지 않고도 스마트 투약 장치(100)의 약품 복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알림부(150; 도 1의 150_2 및 150_3)는 복수의 약통(110_1, 110_2, 110_3, 110_4) 또는 리드부(120)의 외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알림부(150)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약품 복용 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알람 신호는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소리, 진동, 빛, 향기 등의 출력을 제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약통 각각에 대해 구비된 알림부(150)는 서로 다른 방식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약통에 보관되는 약품의 종류나 복용 시간에 따라 상이한 알람 신호가 설정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약품 종류가 비타민인 경우에 알림부(150)는 비타민 약품 복용 시간에 과일 향기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약품 복용 시간이 늦은 밤인 경우 알림부(150)는 진동을 출력하고 약품 복용 시간이 오후인 경우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알림부(150)는 사용자에게 약품의 복용 시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알림부(150)의 알림을 듣고서도 어떠한 약품을 복용해야 하는지를 인지하도록 하거나, 약품 복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150)는 상술한 신호들 외에도 LED등과 같은 발광 소자를 통해 빛을 발광하는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약통(110)으로부터 약을 꺼내고 난 뒤 리드부(120)를 닫으면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복용 정보 관리부(140)를 통해 관리되는 약품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약품 복용 시간이 도래한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약통의 개폐부(130) 및 알림부(150)를 작동시켜 리드부(120)가 열리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약품 복용 시간이 도래하면 복용 시간이 도래한 약품이 보관된 약통(110)에 해당하는 개폐부(130)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 수단을 통해 제1 걸림수단(132)과 제2 걸림수단(133)의 결합을 해제하거나, 힌지 결합 또는 슬라이드 결합된 리드부(120)가 개폐되도록 리드부(120)와 결합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약품 복용 시간이 도래하면 복용 시간이 도래한 약품이 보관된 약통(110)에 해당하는 알림부(150)가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약품 복용 시간이 도래한 이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출력 신호를 제공하거나 복용 시간이 도래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약품 보관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출력 신호를 다시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부(170)는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투약 장치(10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여 설정된 투약 시간에 기초하여 약품 복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함에 있어서 스마트 투약 장치(100)에는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의 약품이 한꺼번에 보관될 수 있으므로 해당 약품이 어느 사용자가 복용하는 약품인지에 대한 정보도 관리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복용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복용 정보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70)는 실내의 가전제품(300)과도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가전제품(300)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통신부(170)는 무선 랜, 블루투스, UWB(ultra wide 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 및 그 등가 방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투약 장치(100)를 통해 미리 연결된 단말일 수 있다. 가전제품(300)은 TV, 에어컨, 보일러 또는 냉장고 등 가정에 배치되는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가전제품은 사용자 단말(200) 또는 스마트 투약 장치(100)를 통해 미리 연결된 가전제품일 수 있다.
통신부(170)는 가전제품(300)으로 상기 약품 복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약품 복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뿐 아니라 가전제품(300)에서 알람 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과 가전제품(300)에서 출력되는 알람 신호는 스마트 투약 장치(100)와는 구별되게 사용자 단말(200)과 가전제품(300)에 구비된 출력 수단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70)는 가전제품(300) 중에서 사용자 단말(200)과 가장 인접한 가전제품(300)으로 약품 복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70)를 통해 모든 가전제품(300)에 대해 약품 복용 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200)과 인접한 가전제품(300)에서만 알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투약 장치(100)는 음파를 통해 각 가전제품(300)의 위치를 판별하고 사용자 단말(200)과 가전제품(300) 사이의 근접 통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가전제품(300)과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복용 시간이 도래한 약통(11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약품의 보관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7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약품 복용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해야 하는 사실을 잊은 경우 사용자에게 약품 복용 시간을 재차 상기시켜 사용자의 약품 복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각각의 약통(110)에 보관된 약품의 수량 또는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질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형상을 인식하는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관된 약품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지부(180)를 통해 복용 시간이 도래한 약품이 보관된 약통(110)에 보관된 약품의 보관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약품을 꺼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알림부(150)를 통해 알람 신호를 제공하거나 통신부(17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대하여 알람 신호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투약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해 생성된 투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00),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약품 정보와 동일한 약품이 보관된 약통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410) 및 상기 투약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약품의 복용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약통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스마트 투약 장치 110 : 약통부
120 : 리드부 130 : 개폐부
140 : 복용 정보 관리부 150 : 알림부
160 : 제어부 170 : 통신부
180 : 감지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가전제품

Claims (13)

  1. 서로 다른 종류의 약품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의 약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약통은 상기 약품별로 부여된 식별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약통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약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투약 방법이 결정된 투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약 신호에 기초하여 복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약품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하는 상기 약통을 통해 상기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약통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각 약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리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용 정보에 포함된 복용 시간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약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상기 각 약품에 대해 결정된 투약 방법으로서, 투약 개수, 투약 빈도 및 투약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앱의 실행을 통해, 상기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해 처방된 전문투약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전문투약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투약 방법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용된 약품의 허용투약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상기 약품의 허용투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해당 약품에 대한 투약 방법을 결정하여 상기 투약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약통의 일부에 설치된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약 신호에 저장된 약품의 투약 방법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약품에 해당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약통마다 상기 약품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질량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형상을 인식하는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한 결과, 기 설정된 투약 시간이 도래한 이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한 결과, 약품의 보관 상태가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약품 복용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장치.
  9.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한 투약 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투약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복용 방법에 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약품에 관한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약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약통은,
    전문 의료 시설의 단말로부터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마다 기 설정된 양만큼 제공된 약품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복수의 약통으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약통은 상기 약품별로 부여된 식별정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처방전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해 제공된 전문투약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전문투약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투약방법이 변경 가능하도록 허용된 약품의 허용투약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며, 상기 허용투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약품의 투약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투약 방법을 포함하는 상기 투약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시스템.
  12.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상태에 기초하여 제공된 처방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품에 대해 생성된 투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투약 신호에 포함된 약품 정보와 동일한 약품이 보관된 약통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약품의 복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약통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투약 방법.
  13. 제12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44176A 2019-04-16 2019-04-16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76A KR20200121527A (ko) 2019-04-16 2019-04-16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76A KR20200121527A (ko) 2019-04-16 2019-04-16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27A true KR20200121527A (ko) 2020-10-26

Family

ID=7300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176A KR20200121527A (ko) 2019-04-16 2019-04-16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5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4957B2 (ja) ロバストなヘルストラッキングサービス
Minaam et al. Smart drugs: Improving healthcare using smart pill box for medicine reminder and monitoring system
US202101456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nd assisting in medication compliance
US9323897B2 (en) Medication dispenser
US201600486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ill container activity
US20100328099A1 (en) Night Light With Embedded Cellular Modem
JP2018536449A (ja) スマート薬剤容器
US20110112686A1 (en) Devic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d/or indicating a medicament dosage regime
JP2018536449A5 (ko)
US20230411002A1 (en) Night light with embedded cellular modem
KR101042245B1 (ko) 약복용 지원 장치, 약상자, 약 보관용 컨테이너 및 약 복용지원 방법
Yared et al. Ambient technology to assist elderly people in indoor risks
Abbey et al. A remotely programmable smart pillbox for enhancing medication adherence
US9785750B2 (en) Medicine organizer
KR20190125271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CN105814572B (zh) 一种记录系统、记录设备、分配设备和登记数据的方法
US20220160585A1 (en) Smart containers, sensors, and methods for medication management
US9183353B2 (en) System for real-time tracking of medication use by a user
KR20200121527A (ko) 스마트 투약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326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armaceutical usage
CN108764763A (zh) 一种便携式物品管理设备
US10881585B2 (en) Pill complianc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KR20130000090A (ko) 투약 관리 장치
KR102116234B1 (ko) 약품 수납 박스의 무게센서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20095570A (ko) IoT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