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732A - 거리 우세 안내 렌즈 - Google Patents

거리 우세 안내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732A
KR20200120732A KR1020207026817A KR20207026817A KR20200120732A KR 20200120732 A KR20200120732 A KR 20200120732A KR 1020207026817 A KR1020207026817 A KR 1020207026817A KR 20207026817 A KR20207026817 A KR 20207026817A KR 20200120732 A KR20200120732 A KR 2020012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raction
optical
optical power
focus
radi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베단 티와리
크리쉬나쿠마르 벤카테스와란
앤드류 윌리엄 존스
춘 잔
로렌조 살바토리
Original Assignee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20012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16Pseudo-accommodative, e.g. multifocal or enabling monovision
    • A61F2/1618Multifocal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54Diffractiv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0Diffractive and Fresnel lenses or lens por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내 렌즈는 제1 광학 도수를 생성하도록 형상화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베이스 굴절 구조 및 제2 및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공통 애퍼처 위에 중첩되는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을 포함하는 베이스 굴절 구조의 표면들 중 하나에 형성된 회절 구조를 포함한다. 제2 광학 도수는 제3 광학 도수의 비평탄 분할이다.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공통 애퍼처 위의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개별적으로 변경되는 각각의 단차부 높이를 갖는다.

Description

거리 우세 안내 렌즈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다초점 안내 렌즈, 특히 비구면이 있는 굴절 베이스 상에 복합 회절 격자를 갖는 그러한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눈에 있는 천연 수정체는 형상을 변경하여 근거리로부터 원거리(먼 거리) 시력까지 초점 거리 범위를 지원하는 데에 필요한 도수 변화를 수용한다. 예를 들어, 백내장 수술 동안 수정체를 제조된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IOL)로 교체하는 것은 오랜 기간 동안 초점 옵션 범위를 지원하기 위한 그러한 수용을 상실하였다. 단안 IOL은, 예를 들어 근거리 또는 원거리 시력을 지원하기 위해 환자가 주어진 초점 도수를 선택하게 하고 일부 다른 거리에서 초점을 맞추도록 안경을 사용하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다초점 IOL은 통상적으로 굴절 및/또는 회절 초점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이한 광학 도수를 제공하는 2개 이상의 환형 구역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각각의 환형 구역은 상이한 애퍼처를 갖고 외부 구역은 동공 크기의 변화에 의해 절두될 수 있다. 다른 다초점 IOL은 전체 렌즈에 걸쳐 회절 구조를 형성하고 상이한 회절 차수를 사용하여 광 에너지를 상이한 초점 도수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원거리 시력을 지원하도록 형상화된 베이스 굴절 렌즈는 중간 및 근거리 시력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회절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조화롭게 관련된 특징을 갖는 복합 회절 격자는 또한 광 에너지를, 낮은 도수 격자의 2차가 보다 높은 도수 격자의 1차에 일치하는 상이한 광학 도수로 분할하여 회절된 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도록 사용되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르면, 밝은 조명 조건 하에서 양호한 근거리 및 중간 시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낮은 조명 조건 하에서 원거리 시력 우세 에너지 분포를 갖는 3초점 IOL이 구상된다. 근거리 및 중간 시력을 지원하는 회절 프로파일은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아포다이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동공이 메소픽 조건(mesopic condition) 하에 개방될 때, 근거리 및 중간 시력을 지원하는 광학 도수로 지향되는 광의 비율이 감소되어 더 많은 광이 원거리 시력을 지원하는 광학 도수를 통해 지향되게 된다. 근거리/중간 에너지가 메소픽 조건 하에 감소된 상태에서 원거리 에너지의 증가는 원치 않는 시각 효과를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공 확대와 함께 원거리 시력을 지원하는 광의 증가된 분포는 주로 근거리 시력에 사용되는 에너지의 감소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므로, 중간 시력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고려된 동공 확대 범위에 걸쳐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 사이의 천이 구역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절 프로파일은, 회절 프로파일과 공통 중심축을 공유하는 베이스 굴절 표면, 예를 들어 IOL의 전방 표면에 중첩된다. 반대쪽 굴절 표면, 예를 들어 후방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유사하게 센터링된다. 함께, 반대쪽 표면은 원거리 시력을 지원하는 데에 필요한 광학 도수를 제공하기 위해 굴절 곡선을 갖게 만들어지며 눈의 전체 광학계에서 예상되는 구면 수차를 보상하기 위해 비구면 프로파일을 갖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회절 프로파일은 광학 에너지를 추가의 초점 도수로 분할한다.
회절 프로파일은, 제로 회절 차수를 통해 원거리 시력을 보존하면서 1차 및 2차 회절을 통해 근거리 및 중간 시력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회절 패턴을 중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미세한 피치 회절 패턴을 통한 1차 회절은 근거리 시력의 증가된 초점 도수를 지원하고 더 거친 피치 회절 패턴을 통한 1차 회절은 중간 시력의 더 적은 초점 도수를 지원한다. 그러나, 2개의 패턴의 특징이 주기적으로 중첩하도록 2개의 회절 패턴을 조화롭게 관련시키는 대신에, 2개의 패턴의 점진적 주기성이 그러한 규칙성에서 벗어나므로 더 거친 피치 패턴의 2차에 의해 기인된 광학 도수는 근거리 시력과 관련된 초점 심도를 연장하기 위해 더 미세한 피치 회절 패턴의 1차에 의해 기인된 광학 도수에서 약간 벗어난다. 따라서, 더 미세한 피치 회절 패턴에 의해 달리 제공되는 근거리 도수에 기여하기 위해 더 거친 피치 회절 패턴의 2차를 사용하는 대신에, 더 거친 피치 회절 패턴의 2차가 근거리 도수와 관련된 초점 심도를 증가시킨다.
2개의 중첩된 회절 패턴 각각의 회절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포물선형 프로파일 또는 그 원형 근사치가 단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직 단차부에 의해 분리된 환형 구역을 규정한다. 2개의 회절 패턴이 중첩되어 복합 회절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동안, 2개의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는 2개의 패턴의 회절 효율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정되어 근거리, 중간 및 원거리 초점 옵션 중에 원하는 양의 광학 도수를 분배할 수 있다. 게다가, 단차부 높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동공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근거리, 중간 및 원거리 초점 옵션 중의 광학 에너지 분포를 변경시키기 위해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변경된다. 2개의 상이한 아포다이제이션 함수는 바람직하게는 광축으로부터 상이한 반경방향 거리에 걸쳐 적용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안내 렌즈는 제1 광학 도수를 생성하도록 형상화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베이스 굴절 구조 및 제2 및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공통 애퍼처 위에 중첩되는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을 포함하는 베이스 굴절 구조의 표면들 중 하나에 형성된 회절 구조를 포함한다. 제2 광학 도수는 바람직하게는 제3 광학 도수의 비평탄 분할이다.
제1 광학 도수는 바람직하게는 거리 초점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의 0차 회절을 통해 전달된다. 제2 및 제3 광학 도수는 바람직하게는 제1 광학 도수와 조합하여 각각의 중간 및 근거리 초점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의 1차 회절을 통해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제1 회절 패턴을 통한 2차 회절이 근거리 초점의 유효 심도를 연장하기 위해 근거리 초점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되는 초점을 생성하도록 비조화 주기성을 갖는다.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굴절 구조의 광축을 중심으로 센터링되고 공통 애퍼처 위의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개별적으로 변경되는 각각의 단차부 높이를 갖는다. 제2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제1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보다 더 많이 변경된다. 회절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비점진적인 방식으로 변경된다.
거리 초점은 바람직하게는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공통 애퍼처를 통해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증가하는 부분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증가하는 부분은 중간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보다 근거리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로부터 더 많이 유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안내 렌즈는 또한 원거리 초점을 통해 입사광을 지향시키는 제1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형상화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베이스 굴절 구조, 및 제1 광학 도수와 조합하여 각각의 중간 및 근거리 초점을 통해 입사광을 지향시키는 제2 및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공통 애퍼처 위의 베이스 굴절 구조의 표면 중 하나에 형성된 회절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회절 구조는 1차 회절을 통해 제2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절 패턴 및 1차 회절을 통해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한 제2 회절 패턴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공통 애퍼처 위에 중첩되고 제1 회절 패턴을 통한 2차 회절이 근거리 초점의 초점 심도를 연장시키도록 비조화 주기성을 갖는다.
거리 초점은 바람직하게는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공통 애퍼처를 통해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증가하는 부분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광학 에너지의 증가하는 부분은 중간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보다 근거리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로부터 더 많이 유도될 수 있다. 제2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제1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보다 더 많이 변경된다. 단차부 높이를 규정하는 함수는 반경방향 거리의 상이한 범위에 걸쳐 상이할 수 있으므로, 회절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 높이는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비점진적인 방식으로 변경된다.
도 1은 전방 표면에 회절 프로파일을 갖는 안내 렌즈(IOL)의 개략적인 단면이다.
도 2a는 근거리 초점을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중첩된 회절 패턴 중 하나의 프로파일을 플롯한다.
도 2b는 중간 초점을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중첩된 회절 패턴 중 다른 하나의 프로파일을 플롯한다.
도 2c는 2개의 중첩된 회절 패턴의 결합된 프로파일을 플롯한다.
도 3은 회절 프로파일이 베이스 굴절 표면의 굴절 프로파일에 중첩되는 IOL의 전방 표면의 프로파일을 플롯한다.
도 4a는 근거리 초점을 생성하기 위한 회절 패턴에서 각각의 구역의 반경방향 위치 및 아포다이즈된 단차부 높이를 나열한 표 B1을 포함한다.
도 4b는 중간 초점을 생성하기 위한 회절 패턴에서 각각의 구역의 반경방향 위치 및 아포다이즈된 단차부 높이를 나열한 표 B2를 포함한다.
도 5는 동공 크기의 범위에 걸쳐 근거리, 중간 및 원거리(먼 거리) 초점 구역 사이의 광학 에너지 분포를 플롯한다.
도 6a는 3 mm 애퍼처에서 디포커스 거리 범위에 걸쳐 초점 MTF 값을 통해 플롯한다.
도 6b는 4.5 mm 애퍼처에서 디포커스 거리 범위에 걸쳐 초점 MTF 값을 통해 플롯한다.
도 7a는 3 mm 애퍼처에 대한 원거리 초점에서 주파수 MTF 곡선을 통해 대표적인 이론을 플롯한다.
도 7b는 3 mm 애퍼처에 대한 중간 초점에서 주파수 MTF 곡선을 통해 대표적인 이론을 플롯한다.
도 7c는 3 mm 애퍼처에 대한 근거리 초점에서 주파수 MTF 곡선을 통해 대표적인 이론을 플롯한다.
도 7d는 4.5 mm 애퍼처에 대한 원거리 초점에서 주파수 MTF 곡선을 통해 대표적인 이론을 플롯한다.
도 1에 도시된 안내 렌즈(IOL)(10)는 볼록한 전방 표면(14) 및 볼록한 후방 표면(16)을 포함하는 렌즈의 일반화된 형태의 베이스 굴절 구조(12)를 갖지만, 오목형, 볼록형 및 평면형의 다양한 조합을 갖는 굴절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된 형태의 IOL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전방 및 후방 표면(14 및 16)은 구형 표면으로 보이지만, 양쪽 표면(14 및 16)은 바람직하게는 공통 광축(18)을 중심으로 센터링된 비구면 표면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도록 의도된 회절 구조(20)는 IOL(10)의 전방 표면(14) 상에 중첩되고 전방 표면(14)의 형상에 통합된다.
베이스 굴절 구조(12)에 의해 기인된 굴절 프로파일과 전방 표면(14)에서 회절 구조(20)에 의해 기인된 회절 프로파일은 모두 축 대칭성이므로, 베이스 굴절 곡선 B(r)과 회절 곡선 D(r) - "r"은 광학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임 - 의 중첩은 전방 표면(14)의 전체 광학 영역을 규정할 수 있다. 베이스 굴절 곡선 B(r)은 후방 표면(16)의 형상 및 베이스 굴절 구조(12)의 두께를 포함하여 IOL(10)의 다른 굴절 파라미터에 따라 변경되어, 구면 수차를 조정하기 위해 적절한 원추 상수를 통합하면서도 원거리 시력을 위해 의도된 베이스 광학 도수의 범위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제조 목적을 위해, 전방 표면의 베이스 굴절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제한된 범위의 광학 도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고 후방 표면의 베이스 굴절 프로파일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광학 도수를 조정하도록 변경된다. 후방 원추는 광학 도수의 전체 범위에 걸쳐 거의 동일한 음의 구면 수차를 발생시키도록 개발되었다. "Aspheric Lenses and Lens Family"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8,535,376호는 원하는 양의 구면 수차를 갖는 IOL 제품군을 형성하기 위해 참고 자료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회절 구조(20)는 IOL(10)을 통과하는 광학 에너지를 다초점 구역을 초래하는 다중 회절 차수로 분할한다. 0차 회절 차수는 거리 초점에 대한 베이스 굴절 구조(12)의 광학 도수를 전달한다. 중간 및 근거리 초점은 베이스 굴절 구조(12)의 광학 도수를 넘어서 추가적인 양의 광학 도수에 기여하는 제1 및 제2 회절 차수에 의해 제공된다. 회절 표면 곡선 D(r)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회절 패턴의 중첩으로부터 유도된다. 패턴은 광축(18)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 범위(밀리미터 단위)에 걸쳐 단차부 높이로 플롯된다. 도 2a의 회절 패턴은 근거리 초점을 생성하기 위해 제1 회절 차수를 통한 3.1D(디옵터)의 추가 광학 도수에 기여하고, 도 2b의 회절 패턴은 근거리 초점을 생성하기 위해 제1 회절 차수를 통한 1.6D(디옵터)의 추가 광학 도수에 기여한다. 도 2b의 회절 패턴의 2차 차수는 3.2D(디옵터)의 추가 광학 도수를 제공하며, 이는 근거리 도수와 관련된 초점 심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까운 간격의 근거리 초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2b의 더 거친 피치 회절 패턴에 의해 기인된 광학 도수는 도 2a의 더 미세한 피치 회절 패턴에 의해 기인된 광학 도수의 비평탄 분할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2개의 회절 패턴 사이의 조화 관계로부터의 이탈은, 각각의 회절 패턴이 일정한 피치를 갖도록 회절 패턴이 반경방향 거리 제곱의 함수로서 플롯될 때 더욱 더 명백하다.
3.1D 및 1.6D의 추가 광학 도수에 기여하기 위한 각각의 회절 패턴은 각 구역의 시작점과 종료점 사이에 포물선형 프로파일이 있는 수직 단차부에 의해 분리된 구역을 포함한다. 구역 종료점의 반경방향 위치는 다음에 의해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p"는 구역 번호, "f"는 회절 추가 도수의 초점 길이, "γ"는 설계 파장이다.
베이스 굴절 곡선 B(r) 상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복합 회절 프로파일 D(r)의 중첩은 도 3에 도시된 종류의 프로파일을 초래한다. 프로파일은 광축(18)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범위에 걸쳐 단차부 높이에 관하여 플롯된다. 도 2c에서 명백한 회절 프로파일 단차부는 굴절 표면 처짐보다 약 두 차수 작다.
낮은 조명 조건 하에서 원거리 시력 우세 에너지 분포를 달성할 뿐만 아니라 밝은 조명 조건 하에서 우수한 근거리 및 기능적 중간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절 프로파일은 3.1D 및 1.6D 패턴에 대한 회절 단차부 높이를 수정하여 아포다이즈된다.
회절 단차부 높이는 다음에 의해 제공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h"는 회절 단차부 높이(아포다이즈되지 않음)이고; "ε"은 회절 효율이며; "γ"는 설계 파장이고; "nl"은 렌즈 재료 굴절률이며; "na"는 수성 굴절률이다.
반경방향 범위 0 ≤ r ≤ 3 mm에 대한 아포다이제이션 함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3
반경방향 범위 r > 3 mm에 대한 아포다이제이션 함수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4
각각의 구역 에지에 대한 결과적인 회절 프로파일 반경방향 위치 및 도 2a 및 도 2b의 회절 패턴에 대한 아포다이즈된 단차부 높이가 도 4a 및 도 4b의 각각의 표 B1 및 B2에 나열되어 있다. 상이한 반경방향 거리 범위에 걸쳐 있는 상이한 함수의 결과로서, 2개의 회절 프로파일 패턴의 아포다이즈된 단차부 높이는 3.1D 프로파일의 제6 구역과 제7 구역 사이와 1.6D 프로파일의 제3 구역과 제4 구역 사이에 나타나는 높이 불연속성에 따라 비점진적인 방식으로 변경된다.
도 5는 수치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개발된 에너지 균형 도면을 도시한다. 3개의 라인(30, 32 및 34) 각각은 2 mm 내지 4.5 mm의 동공 직경 범위에 걸쳐 각각의 원거리(먼 거리), 중간 및 근거리 초점 구역 사이에 분포된 광학 에너지의 각 부분을 플롯한다. 약 2 mm의 동공 직경에서 시작하여, 근거리 초점 구역으로 전달된 광학 에너지의 부분은 원거리 초점 구역으로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부분과 거의 동일하지만, 약 2.5 mm 내지 4.5 mm의 동공 직경의 경우, 원거리 초점 구역으로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부분은 증가하는 반면 근거리 초점 구역으로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부분은 감소한다. 중간 초점 구역으로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부분은 근거리 및 원거리 초점 구역으로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부분보다 낮은 레벨에서 시작하지만, 약 2 mm의 동공 직경은 약 2.5 mm 내지 4.5 mm 범위 동공 직경에 걸쳐 근거리 초점 구역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감소보다 얕은 비율로 동일한 범위의 동공 직경에 걸쳐 감소한다. 따라서, 약 2.5 mm 내지 4.5 mm 범위의 동공 직경에 걸쳐 원거리 초점 구역에 의해 획득된 광학 에너지의 대부분의 증가는 근거리 초점 구역으로 전달되는 에너지 부분의 감소로 인한 것이다. 중간 초점 구역은 근거리 및 원거리 초점 구역으로의 다양한 에너지 전달 간에 안정적인 천이를 제공한다.
3 mm 및 4.5 mm 애퍼처에서 20D 베이스 도수 IOL에 대한 초점 MTF 곡선을 통한 대표적인 이론이 도 6a 및 도 6b에 플롯되어 있다. MTF 값은 광축을 따라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디포커스 거리 범위에 걸쳐 플롯된다. 플롯은 50 lp/mm, ISO 모델 눈 0.15 μm SA 및 ISO 모델 눈 1에 -0.15 μm SA가 있는 IOL을 고려한다.
3 mm 애퍼처에서 원거리(먼 거리), 중간 및 근거리 초점에서 20D IOL에 대한 주파수 MTF 곡선을 통한 대표적인 이론이 도 7a, 도 7b 및 도 7c에 각각 플롯되어 있다. 도 7d는 연장된 범위의 공간 주파수에 걸쳐 4.5 mm 애퍼처에서 원거리 초점을 유사하게 플롯한다.

Claims (13)

  1. 안내 렌즈로서,
    제1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형상화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베이스 굴절 구조;
    제2 및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공통 애퍼처 위에 중첩되는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굴절 구조의 표면 중 하나에 형성된 회절 구조를 포함하고;
    제2 광학 도수는 제3 광학 도수의 비평탄 분할인, 안내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거리 초점을 형성하기 위해 0차 회절을 통해 제1 광학 도수를 전달하고,
    (b) 상기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제1 광학 도수와 조합하여 각각의 중간 및 근거리 초점을 형성하기 위해 1차 회절을 통해 제2 및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도록 제공되며,
    (b) 상기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제1 회절 패턴을 통한 2차 회절이 근거리 초점의 유효 심도를 연장하기 위해 근거리 초점으로부터 약간 오프셋되는 초점을 생성하도록 비조화 주기성을 갖는, 안내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베이스 굴절 구조의 광축을 중심으로 센터링되고,
    (b)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공통 애퍼처 위의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개별적으로 변경되는 각각의 단차부 높이를 갖는, 안내 렌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는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제1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보다 더 많이 변경되는, 안내 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거리 초점은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공통 애퍼처를 통해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증가하는 부분을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증가하는 부분은 중간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보다 근거리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로부터 더 많이 유도되는, 안내 렌즈.
  6. 제3항에 있어서, 단차부 높이는 광축으로부터 그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변경되고, 함수는 반경방향 거리의 상이한 범위에 걸쳐 상이한, 안내 렌즈.
  7. 제6항에 있어서, 회절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 높이는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비점진적인 방식으로 변경되는, 안내 렌즈.
  8. 안내 렌즈로서,
    거리 초점을 통해 입사광을 지향시키는 제1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형상화된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갖는 베이스 굴절 구조;
    제1 광학 도수와 조합하여 각각의 중간 및 근거리 초점을 통해 입사광을 지향시키는 제2 및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해 공통 애퍼처 위의 베이스 굴절 구조의 표면 중 하나에 형성된 회절 구조를 포함하고;
    회절 구조는 1차 회절을 통해 제2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절 패턴을 포함하며;
    회절 구조는 1차 회절을 통해 제3 광학 도수를 생성하기 위한 제2 회절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공통 애퍼처 위에 중첩되고 제1 회절 패턴을 통한 2차 회절이 근거리 초점의 초점 심도를 연장시키도록 비조화 주기성을 갖는, 안내 렌즈.
  9. 제8항에 있어서,
    (a) 회절 구조는 베이스 굴절 구조의 광축을 중심으로 센터링되고,
    (b) 거리 초점은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공통 애퍼처를 통해 전달되는 광학 에너지의 증가하는 부분을 수신하도록 배치되며,
    (c) 광학 에너지의 증가하는 부분은 중간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보다 근거리 초점에 의해 수신된 광학 에너지의 대응하는 감소로부터 더 많이 유도되는, 안내 렌즈.
  10. 제9항에 있어서,
    (a) 제1 및 제2 회절 패턴은 단차부 높이를 가지며,
    (b) 제2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는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제1 회절 패턴의 단차부 높이보다 더 많이 변경되는, 안내 렌즈.
  11. 제10항에 있어서, 단차부 높이는 광축으로부터 그 반경방향 거리의 함수로서 변경되고, 함수는 반경방향 거리의 상이한 범위에 걸쳐 상이한, 안내 렌즈.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절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 높이는 반경방향 거리에 따라 비점진적인 방식으로 변경되는, 안내 렌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절 패턴에 의해 기인된 제2 광학 도수는 약 1.6 디옵터이고, 상기 제2 회절 패턴에 의해 기인된 제3 광학 도수는 약 3.1 디옵터인, 안내 렌즈.
KR1020207026817A 2018-02-22 2018-12-27 거리 우세 안내 렌즈 KR20200120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33661P 2018-02-22 2018-02-22
US62/633,661 2018-02-22
PCT/US2018/067686 WO2019164581A1 (en) 2018-02-22 2018-12-27 Distance dominant intraocular l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732A true KR20200120732A (ko) 2020-10-21

Family

ID=6524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817A KR20200120732A (ko) 2018-02-22 2018-12-27 거리 우세 안내 렌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344404B2 (ko)
EP (1) EP3756042B1 (ko)
JP (1) JP7336449B2 (ko)
KR (1) KR20200120732A (ko)
CN (1) CN111971613B (ko)
AU (1) AU2018409857A1 (ko)
CA (1) CA3091758A1 (ko)
ES (1) ES2945724T3 (ko)
WO (1) WO2019164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563B2 (en) 2012-08-31 2016-05-10 Amo Groningen B.V. Multi-ring lens,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ed depth of focus
AU2018235011A1 (en) 2017-03-17 2019-10-24 Amo Groningen B.V. Diffractive intraocular lenses for extended range of vision
US11523897B2 (en) 2017-06-23 2022-12-13 Amo Groningen B.V.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WO2019002384A1 (en) 2017-06-28 2019-01-03 Amo Groningen B.V. DIFFRACTIVE LENSES AND INTRAOCULAR LENSES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OF PRESBYOPIA
AU2018292030B2 (en) 2017-06-28 2024-02-08 Amo Groningen B.V. Extended range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US11327210B2 (en) 2017-06-30 2022-05-10 Amo Groningen B.V. Non-repeating echelettes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CA3166308A1 (en) 2019-12-30 2021-07-08 Amo Groningen B.V. Lenses having diffractive profiles with irregular width for vision treatment
CN114902120A (zh) 2019-12-30 2022-08-12 阿莫格罗宁根私营有限公司 用于视力治疗的具有区域级混合的消色差镜片
CA3166089A1 (en) 2019-12-30 2021-07-08 Amo Groningen B.V. Achromatic lenses for vision treatment
AU2021283398A1 (en) 2020-06-01 2023-01-05 Icares Medicu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EP3939543A1 (en) * 2020-07-15 2022-01-19 Hoya Corporation Multifocal lens
CN113331994B (zh) * 2021-07-29 2021-12-07 微创视神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人工晶状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5917B2 (en) 2003-03-31 2011-03-15 Bausch & Lomb Incorporated Aspheric lenses and lens family
WO2006047698A1 (en) 2004-10-25 2006-05-04 Advanced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lens with multiple phase plates
US20090088840A1 (en) 2007-10-02 2009-04-02 Simpson Michael J Zonal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US8292953B2 (en) * 2008-10-20 2012-10-23 Amo Groningen B.V. Multifocal intraocular lens
BE1019161A5 (fr) 2010-01-26 2012-04-03 Physiol Lentille intraoculaire.
US20120140166A1 (en) 2010-12-07 2012-06-07 Abbott Medical Optics Inc. Pupil dependent diffractive lens for near, intermediate, and far vision
US9387345B2 (en) 2012-07-13 2016-07-12 Varian Medical Systems International Ag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determining a spatially-variant normal tissue constraint as a function of dose distribution
EP3179293A4 (en) 2014-08-08 2018-08-22 Menicon Co., Ltd. Diffractive multi-focal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ffractive multi-focal lens
EP3130314A1 (en) 2015-08-12 2017-02-15 PhysIOL SA Trifocal intraocular lens with extended range of vision and correction of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7040A1 (en) 2023-01-19
EP3756042B1 (en) 2023-04-19
US11344404B2 (en) 2022-05-31
EP3756042A1 (en) 2020-12-30
CN111971613A (zh) 2020-11-20
ES2945724T3 (es) 2023-07-06
CN111971613B (zh) 2022-12-23
JP7336449B2 (ja) 2023-08-31
JP2021514713A (ja) 2021-06-17
US20190254810A1 (en) 2019-08-22
CA3091758A1 (en) 2019-08-29
WO2019164581A1 (en) 2019-08-29
AU2018409857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1613B (zh) 远距主导的人工晶状体
US11684469B2 (en) Multifocal lens having reduced chromatic aberrations
KR102635338B1 (ko) 회절형 다초점 이식 가능 렌즈 장치
US7572007B2 (en) Apodized diffractive IOL with frustrated diffractive region
KR101314775B1 (ko) 다중 회절 패턴을 가지는 유사-조절용 iol
EP1891912A1 (en) Truncated diffractive intraocular lenses
AU2022203187A1 (en) Multifocal lens having reduced visual disturbances
KR20080094101A (ko) 상이한 영역을 갖는 회절 존을 지닌 유사적응성 iol
Lenkova Features of optical surfaces of multifocal diffractive-refractive eye lenses
US10537421B2 (en) Diffractive-refractive lens
WO201806031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traocular ophthalmic lens and ophthalmic lens obtain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
US20240061271A1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extended depth-of-foc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