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681A -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 Google Patents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681A
KR20200120681A KR1020207026009A KR20207026009A KR20200120681A KR 20200120681 A KR20200120681 A KR 20200120681A KR 1020207026009 A KR1020207026009 A KR 1020207026009A KR 20207026009 A KR20207026009 A KR 20207026009A KR 20200120681 A KR20200120681 A KR 2020012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beam measurements
measurements
measurement
wirel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카로 엘. 제이. 다 실바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to KR102023701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322A/ko
Publication of KR2020012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04B17/327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5Determin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서빙 주파수들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한다(도 4).

Description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빔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엔알(NR; New Radio)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달범위(coverage)를 제공하기 위해 빔형성에 의존할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NR이 종종 빔-기반 시스템으로 지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송신 포인트(TRP)/액세스 노드/안테나 어레이에서 양호한 빔 방향을 발견하기 위해, 빔-스윕 절차가 전형적으로 이용된다. 전형적인 빔-스윕 절차의 경우, 노드는, 동기화 신호 및/또는 빔 식별 신호를 포함하는 빔을 여러 가능한 방향들 각각으로 한 번에 하나 이상의 방향을 겨냥한다. 이는 도 2에 예시되며, 여기서, 예시된 로브들 각각은 빔을 표현하고, 빔들은, 연속적으로, 스위핑 방식으로, 또는 동시에, 또는 일부 조합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동일한 통달범위 특성들이 각각의 빔의 동기화 신호 및 빔 식별 신호 둘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 UE는 TRP에 동기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위치에서의 최상의 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NR에서, UE는 측정 보고를 촉발한 셀들에 대한 빔 측정들을 보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NR 규격들에서, 빔이라는 용어는 빔형성된 기준 신호(RS)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RS는 채널 상태 정보 RS(CSI-RS) 또는 동기화 신호/공용 브로드캐스트 채널(SS/PBCH 블록), 또는 SSB일 수 있다. 그 때, 빔 색인은 또한 규격들에서 RS 색인으로 지칭될 수 있다.
TS 38.331 NR 무선 리소스 제어(RRC) 규격들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SS/PBCH 블록들에 기반한 측정 정보, 이를테면, SS/PBCH 블록별 측정 결과들, SS/PBCH 블록들 또는 SS/PBCH 블록 색인들에 기반한 셀별 측정 결과들을 보고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CSI-RS 리소스별 측정 결과들, CSI-RS 리소스들에 기반한 셀별 측정 결과들, 또는 CSI-RS 리소스 측정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CSI-RS 리소스들에 기반한 측정 정보를 보고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다.
측정 구성은, 측정 객체(MO)들, 보고 구성들 및/또는 측정 아이덴티티들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MO는, UE가 측정들을 수행할 객체들의 목록이다. 주파수-내 및 주파수-간 측정들의 경우, 측정 객체는 NR 캐리어 주파수와 연관된다. 이러한 NR 캐리어 주파수와 연관되면, 네트워크는, 셀 특정 오프셋들의 목록, "블랙리스트된" 셀들의 목록, 및 "화이트리스트된" 셀들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블랙리스트된 셀들은 이벤트 평가 또는 측정 보고에 적용가능하지 않다. 화이트리스트된 셀들은 이벤트 평가 또는 측정 보고에 적용가능한 유일한 셀들이다. UE는, 어느 MO가 서빙 셀 구성 내의 ServingCellConfigCommon에서 frequencyInfoDL로부터의 각각의 서빙 셀 주파수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한다. RAT-간 E-UTRA 측정들의 경우, 측정 객체는 단일 E-UTRA 캐리어 주파수이다. 이러한 E-UTRA 캐리어 주파수와 연관되면, 네트워크는 또한, 셀 특정 오프셋들의 목록, "블랙리스트된" 셀들의 목록, 및 "화이트리스트된" 셀들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측정 객체별 보고 구성을 갖는 보고 구성들의 목록이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보고 구성은, 보고 기준, RS 유형, 또는 보고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보고 기준은, UE가 측정 보고를 전송하도록 촉발하는 기준이다. 이는, 주기적이거나 단일 이벤트 설명일 수 있다. RS 유형은, UE가 빔 및 셀 측정 결과들에 사용하는 RS(SS/PBCH 블록 또는 CSI-RS)이다. 보고 형식에 대해 말하자면, UE가 측정 보고에 포함하는 셀별 및/또는 빔별 양들, 이를테면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및 다른 연관된 정보, 이를테면, 최대 셀 수 및 보고할 셀별 최대 빔 수이다.
측정 아이덴티티들의 목록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측정 아이덴티티는 하나의 측정 객체를 하나의 보고 구성과 링크한다. 다수의 측정 아이덴티티들을 구성함으로써, 하나 초과의 측정 객체를 동일한 보고 구성에 링크할 뿐만 아니라 하나 초과의 보고 구성을 동일한 측정 객체에 링크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정 아이덴티티는 보고를 촉발한 측정 보고에 또한 포함되어 네트워크에 대한 기준의 역할을 한다.
빔 보고와 관련되어 현재 RRC 규격들에 정의된 2개의 파라미터가 reportConfigNR에 존재하며, 다음에 도시된 바와 같다(reportConfigNR에 대한 ASN.1 단락):
-- RS 색인 보고 구성
Figure pct00001
-- 구성된 경우, UE는 서빙 주파수별 최상의 이웃 셀들을 포함함
3GPP TS 38.331의 버전 15.0.0에서, maxNrofRsIndexesToReport 필드는, A1-A6 이벤트들에 대해 측정 보고에서 포함할 RS 색인별 최대 측정 수 정보로서 정의된다. reportQuantityRsIndexes는, 어느 RS 색인별 측정 정보를 UE가 측정 보고에 포함해야 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파라미터들과 관련된, 특히, 서빙 주파수들에 대한 측정들과 관련된 UE 거동의 설명에서, 다음의 설명이 RRC 규격 38.331에서 발견된다:
5.5.3 측정들의 수행
5.5.3.1 일반
...
UE는 다음을 행할 것이다:
1> UE가 measConfig를 가질 때마다, 다음과 같이 각각의 서빙 셀에 대해 RSRP 및 RSRQ 측정들을 수행한다:
2>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가 s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가 reportQuantityRsIndexes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RSRP 및 RSRQ를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들을 도출한다;
2>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가 csi-r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가 reportQuantityRsIndexes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RSRP 및 RSRQ를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들을 도출한다;
1>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가 촉발 양 및/또는 보고 양으로서 SINR을 포함하는 경우:
2> 연관된 reportConfig가 s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measId가 reportQuantityRsIndexes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SINR을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 SINR을 도출한다;
2> 연관된 reportConfig가 csi-r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measId가 reportQuantityRsIndexes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SINR을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 SINR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예컨대, UE)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보고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셀별로 측정될 빔 수를 식별할 수 있는 기법들을 수반한다.
한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빔 측정들은 서빙 주파수들과 연관된다. 이들은, 서빙 주파수들에서의 최상의 이웃하는 셀들 또는 서빙 셀들일 수 있다.
다른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빔 수는, RS 유형(SSB, CSI-RS 등)별로 그리고 UE에 의해 측정 및 유지될 양(예컨대, RSRP,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 대 간섭 + 잡음 비(SINR), 이들의 조합들 등)별로 결정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지는, 이러한 빔 측정들이 L3 필터링되고, 측정 보고들이 촉발될 때/경우 이러한 보고들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방법들을 적용함으로써,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 보고를 촉발한 이벤트는, 보고될 셀별로 X1개의 빔을 표시한다. 그러나, 유지할 서빙 주파수들에 대한 최대 빔 측정 수를 정의하기 위한 어떠한 규칙도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UE는 자신의 측정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의적으로 낮은 값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므로, UE는 최대 값을 보고할 수 없고, 네트워크는, UE가 서빙 주파수들에서의 셀들에 대해 X1개 초과의 빔들을 검출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핸드오버 결정들은 셀별 빔 수 및 그들의 측정 정보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측정 보고를 촉발한 이벤트는, 보고될 X2개의 빔을 표시한다. 그러나, 유지할 서빙 셀들에 대한 최대 빔 측정 수를 정의하기 위한 어떠한 규칙도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UE는 자신이 보고에 대한 요건들에 대처할 수 있음을 확실히 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높은 값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므로, UE는 표시된 최대 값을 보고할 수 있을 것이고,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해석 문제들도 없지만, 비용은 UE에 필요한 것보다 높을 것이다.
실시예들은 (불필요한 수준들로의 증가된 복잡도를 피함으로써) UE 복잡도를 최소화하고 핸드오버 성능을 개선할 잠재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결정하는 단계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방법은,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는, 송수신기 회로, 및 송수신기 회로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결정하는 것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처리 회로는 또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주파수와 연관된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주파수와 연관된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서빙 셀의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는, 송수신기 회로, 및 송수신기 회로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주파수와 연관된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주파수와 연관된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서빙 셀의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들은, 위에 요약된 방법들 및 위에 요약된 장치 및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현들에 대응하는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위의 특징들 및 장점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들을 볼 때 부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을 인지할 것이다.
도 1은 빔형성을 예시한다.
도 2는 빔 스위핑 절차를 예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을 예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다른 방법을 예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된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부분적 무선 연결을 통해서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일반화된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현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개념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UE들로 또한 지칭되는 무선 디바이스들, 및 액세스 노드들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그러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링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컨대, 5G 무선 액세스 기술(RAT), 이를테면 LTE RAT의 진화 또는 3GPP 엔알(NR)에 기반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된 개념들은 또한 다른 RAT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빔 보고를 제어하는 2개의 파라미터가 존재하지만, UE가 빔 측정들을 수행해야 할 방식에 대해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3GPP TS 38.331의 버전 15.0.0에서의 하나의 파라미터는 maxNrofRsIndexesToReport이며, 이는, A1-A6 이벤트들에 대해 측정 보고에서 포함할 RS 색인별 최대 측정 수 정보로서 이 버전의 표준에 정의된다. 다른 파라미터는 reportQuantityRsIndexes이며, 이는, 어느 RS 색인별 측정 정보를 UE가 측정 보고에 포함해야 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규격의 버전 15.0.0은, OPTIONAL로서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정의하고, 절차 본문은 이들이 구성되지 않을 때 UE 거동을 정의하지 않으며, 이는 상이한 방식들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첫 번째 문제는, 규격들에서, 빔 측정들이 L3 필터링될 것이고, 그와 연관된 메모리/복잡도 비용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규격의 버전 15.0.0에서의 규칙은 SSB에 대해 다음을 적시한다:
2>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s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RSRP 및 RSRQ를 도출한다;
규격은, UE가 측정들을 수행해야 할 서빙 셀에 대한 빔 수를 명시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UE는, 자신이 유지할 필요가 있는 L3 필터링된 빔 측정 수 또는 그 RS 유형(SSB)에 대한 빔 측정 수를 알지 못한다. UE는 또한, 측정 보고가 촉발될 때 이용가능한 빔 측정들을 갖도록 UE가 측정들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reportQuantityRsIndexes에 표시된 양들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서빙 셀들에 대한 빔 정보의 보고에 대한 기존 규칙들이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그들의 필드 설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성능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고 UE에 대해 필요한 것보다 비용들이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UE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보고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특정 유형들의 셀들에 대한) 셀별로 측정될 빔 수를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빔 측정들은 서빙 주파수들 상의 셀들과 연관된다. 이들은, 서빙 주파수들에서의 최상의 이웃하는 셀들 또는 서빙 셀들일 수 있다. 다른 세트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보고 파라미터들은 부가적으로, RS 유형별 및 UE에 의해 측정 및 유지될 양별 빔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지는, 이러한 빔 측정들이 L3 필터링되고, 측정 보고들이 촉발될 때/경우 이러한 보고들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사실을 지칭한다.
다음 실시예들에서, 빔 측정들은: i) RSRP, ii) RSRQ, iii) SINR, iii) RSRP 및 RSRQ 둘 모두, iv) RSRP 및 SINR 둘 모두, v) RSRQ 및 SINR 둘 모두, vi) RSRP, RSRQ 및 SINR을 지칭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들에서, RS 유형은 적어도: i) SSB, ii) CSI-RS, iii) SSB 및 CSI-RS 둘 모두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UE는 오직,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정의하는 제2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에 (예컨대, 서빙 주파수들 상의 셀들에 대해) 빔 측정들을 수행한다. 38.331 버전 15.0.0보다 나중의 버전들의 NR 규격들에서, 이는 maxNrofRsIndexesToReport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버전 15.0.0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한 maxNrofRsIndexesToReport에 대한 정의일 것임을 유의한다. 보고될 양들을 표시하는 파라미터(reportQuantityRsIndexes)만이 구성되는 경우, UE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둘 모두가 빔 측정들을 수행하는 UE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 예에서, UE는, 그 UE에 구성된 측정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파라미터들 둘 모두, 즉, i)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예컨대, 나중의 NR 규격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maxNrofRsIndexesToReport 필드) 및 ii) 보고될 양들(예컨대, NR 규격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reportQuantityRsIndexes 필드)이 존재하는(즉, 구성된) reportConfig와 연관된 경우, 서빙 주파수들에 대한 빔 측정들을 수행한다. 그 제1 예는, 현재의 NR 규격들에서의 경우인, 파라미터들 둘 모두가 RRC 시그널링에서 OPTIONAL로서 정의되는 경우에, 그리고 maxNrofRsIndexesToReport가 1부터 시작하는 값으로 정의된 경우에 적합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규칙은 RS 유형별로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reportConfig는, SSB 또는 CSI-RS일 수 있는 RS 유형과 연관된다.
UE는, 그 UE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식별자가 SSB의 RS 유형을 갖고 파라미터들 둘 모두, 즉, i)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예컨대, 나중의 NR 규격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maxNrofRsIndexesToReport 필드) 및 ii) 보고될 양들(예컨대, NR 규격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reportQuantityRsIndexes 필드)이 존재하는(즉, 구성된) reportConfig와 연관된 경우, SSB 빔 측정들에 대해 이러한 제1 예에서의 이전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UE는, 그 UE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식별자가 CSI-RS의 RS 유형을 갖고 파라미터들 둘 모두, 즉, i)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예컨대, 나중의 NR 규격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maxNrofRsIndexesToReport 필드) 및 ii) 보고될 양들(예컨대, NR 규격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reportQuantityRsIndexes 필드)이 존재하는(즉, 구성된) reportConfig와 연관된 경우, CSI-RS 빔 측정들에 대해 이러한 실시예의 제1 예에서의 이전 규칙을 적용한다.
제2 실시예에서, 빔 측정들에 대해 항상 측정되지는 않는 양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실시예의 규칙이 충족되는 경우, UE는 항상 서빙 주파수들(즉, 서빙 주파수들 상의 최상의 이웃하는 셀들 및/또는 서빙 셀들)에 대해 RSRP 및 RSRQ 빔 측정들을 수행하지만, 부가적인 규칙이 SINR 빔 측정들에 대해 적용된다. 따라서, UE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식별자에 대해 파라미터들 둘 모두(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예컨대, maxNrofRsIndexesToReport 필드), 및 보고될 양들(예컨대, 나중의 NR 규격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reportQuantityRsIndexes 필드))에 대해 구성되고, 그 동일한 측정 식별자가 또한 촉발 양 또는 측정 양으로 SINR을 갖는 경우, 서빙 주파수들에 대해 SINR 빔 측정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안된 규칙은, 규격들에서 또한 구성가능하고 나중에 부가되는 임의의 부가적인 양, 예컨대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에 또한 적용가능할 수 있다.
RRC 규격에서의 변경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UE는 다음을 행할 것이다:
1> UE가 measConfig를 가질 때마다, 다음과 같이 각각의 서빙 셀에 대해 RSRP 및 RSRQ 측정들을 수행한다:
2>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ssb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RSRP 및 RSRQ를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들을 도출한다;
2>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csi-r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RSRP 및 RSRQ를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들을 도출한다;
1>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가 촉발 양 및/또는 보고 양으로서 SINR을 포함하는 경우:
2> 연관된 reportConfigssb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SINR을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 SINR을 도출한다;
2> 연관된 reportConfigcsi-r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SINR을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 SINR을 도출한다;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에서, 셀별 보고할 최대 빔 수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예컨대, maxNrofRsIndexesToReport)가 네트워크에 의해 영(ZERO)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파라미터가 구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UE가 빔 측정들을 수행해야 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므로, 그 경우에 대한 부가적인 규칙은, maxNrofRsIndexesToReport가 구성되고 영(0)으로 설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규격 본문은 그 변형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
UE는 다음을 행할 것이다:
1> UE가 measConfig를 가질 때마다, 다음과 같이 각각의 서빙 셀에 대해 RSRP 및 RSRQ 측정들을 수행한다:
2>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ssb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 및 0보다 높게 설정된 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RSRP 및 RSRQ를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들을 도출한다;
2>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csi-r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 및 0보다 높게 설정된 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RSRP 및 RSRQ를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 측정 결과들을 도출한다;
1> VarMeasConfig 내의 measIdList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measId가 촉발 양 및/또는 보고 양으로서 SINR을 포함하는 경우:
2> 연관된 reportConfigssb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 및 0보다 높게 설정된 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SINR을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S/PBCH 블록에 기반하여 서빙 셀 SINR을 도출한다;
2> 연관된 reportConfigcsi-rs로 설정된 rsType를 포함하는 경우:
3> measIdreportQuantityRsIndexes 및 0보다 높게 설정된 maxNrofRsIndexesToReport를 포함하는 경우:
4> 5.5.3.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에 대한 빔별 계층 3 필터링된 SINR을 도출한다;
3> 5.5.3.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 SINR을 도출한다;
제3 실시예에서, UE는 서빙 주파수에 대한 빔 측정들에 대해 (L3 필터링된 측정들에서) 측정 및 유지될 정확한 빔 수를 도출한다. 이는,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보고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어진 RS 유형에 대해, UE는, 주어진 양 또는 양들에 대해 유지할 빔 수를 결정한다. RS 유형별로 셀별로 서빙 주파수들에 대해 유지 및 측정할 빔 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3 빔 측정들을 유지할 빔 수 = 최대치
{maxNrofRsIndexesToReport(1), maxNrofRsIndexesToReport(2), ..., maxNrofRsIndexesToReport(Y)}
이러한 예에서, Y는, 구성된 후에 UE가 현재 가진 총 측정 식별자 수이다. 예컨대, UE는 현재 표 1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이러한 예에서, SSB에 대해 Y = 3이고, CSI-RS에 대해 Y = 2이다. 그러므로, SSB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1), maxNrofRsIndexesToReport(2), maxNrofRsIndexesToReport(3)} = 최대치 {5,10,2} = 10이다. 그러므로, 측정 보고를 촉발하는 이벤트가 5의 값을 갖는 measId = 1과 연관된 것인 경우, UE는 10개의 빔을 유지할 것이고, UE는 가장 강한 5개(또는 보고 규칙에 따른 5개)를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CSI-RS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4), maxNrofRsIndexesToReport(5)} = 최대치 {15,15} = 15이다.
계속해서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RS 유형에 대해 이러한 측정들을 유지할 양들은 적어도 RSRP 및 RSRQ일 수 있다. 그 때, 세 번째 열은, 이러한 측정 식별자들 중 어느 식별자가 구성된 SINR을 갖는지 그리고 어느 측정 식별자들이 갖지 않는지를 표시한다. SSB 경우에서, measId = 1 및 measId = 3이 구성된 SINR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UE는 최대 5개의 빔에 대해 SINR을 유지 및 측정한다. 이는, measId = 2가 촉발된 경우, UE가 SINR 빔 측정들을 보고할 필요가 없고, RSRP 및 RSRQ만을 보고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최대 값들에 대한 규칙은, 일반적인 관점들에서 RS 유형별 및 구성가능한 양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NR에서, 구성가능한 양만이 SINR이다(RSRQ 및 RSQ는 항상 보고됨).
그러므로, 이전 규칙은, 예컨대 SINR 빔 측정들의 경우에서, 다음과 같이 구성가능한 양들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구성가능한 양(예컨대, SINR)별 L3 빔 측정들을 유지할 빔 수 = 최대치 {maxNrofRsIndexesToReport(1), maxNrofRsIndexesToReport(2), ...., maxNrofRsIndexesToReport(Y)}이며, 여기서, 그 값은, 연관된 측정 식별자에 대해 SINR이 구성된 경우에만 포함된다.
제4 실시예에서, UE는 비-서빙 주파수들에 대한 빔 측정들에 대해 (L3 필터링된 측정들에서) 측정 및 유지될 정확한 빔 수를 도출한다. 이전 실시예들 및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한 규칙들이 또한 비-서빙 주파수들 상의 셀들에 대해 적용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에 대한 다음의 구성이 가정되지만, 이제, 구성되는 정확한 이벤트 A3이 표시된다. 이는 표 2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03
이전 실시예들로부터의 규칙들이 적용되는 경우, UE는 각각의 서빙 주파수에 대해 다음의 L3 빔 측정들을 유지한다: 10개의 빔에 대해, SSB에 기반한 서빙 셀별 RSRP 및 RSRQ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 및 5개의 빔에 대해, SSB에 기반한 서빙 셀별 SINR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 서빙 주파수들 상의 최상의 이웃들의 보고가 연관된 측정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경우, 10개의 빔에 대해, SSB에 기반하여 서빙 셀별로 RSRP 및 RSRQ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이 유지된다. 서빙 주파수들 상의 최상의 이웃들의 보고가 연관된 측정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경우, 5개의 빔에 대해, SSB에 기반하여 서빙 셀별로 SINR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이 유지된다. 15개의 빔에 대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별로 RSRP 및 RSRQ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이 유지된다. 15개의 빔에 대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별로 SINR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이 유지된다. 서빙 주파수들 상의 최상의 이웃들의 보고가 연관된 측정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경우, 15개의 빔에 대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별로 RSRP 및 RSRQ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이 유지된다. 서빙 주파수들 상의 최상의 이웃들의 보고가 연관된 측정 식별자에 대해 구성된 경우, 15개의 빔에 대해, CSI-RS에 기반하여 서빙 셀별로 SINR L3 빔 필터링된 측정들이 유지된다.
비-서빙 주파수들 상의 셀들에 대해, 각각의 비-서빙 주파수는 측정 객체 {MO(1), MO(2), ..., MO(k)}와 연관된다. 그리고, 각각의 measIdreportConfigmeasObject와 연관된다. 이어서, UE가 주어진 RS 유형 및 양에 대해 빔 측정들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양별 및 RS 유형별 유지할 정확한 L3 필터링된 빔 측정 수를 결정하기 위해, UE는 다음의 규칙을 수행한다. maxNrofRsIndexesToReportreportQuantityRsIndexes가 비-서빙 주파수와 연관된 measObject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식별자에 대한 보고 구성에서 구성된 경우, UE는 그 비-서빙 주파수에서의 셀들에 대한 빔 측정들을 수행한다. 그 주파수에서의 셀별 최대 빔 수는, 그 특정 RS 유형 및 보고될 양들에 대한 각각의 연관된 reportConfig/측정 ID에서 구성된 maxNrofRsIndexesToReport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된 값들의 최대 값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비-서빙 주파수들에서의 셀들에 대한 규칙은 양별 및 RS 유형별로 적용된다.
다른 예에서, 이제, 비-서빙 주파수들에서의 셀들에 대한 빔들이 결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Y는, 구성된 후에 UE가 현재 가진 총 측정 식별자 수이다. 예컨대, UE가 현재 표 3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경우이다.
Figure pct00004
이러한 예에서, SSB에 대해 Y = 3이고, CSI-RS에 대해 Y = 2이다. 그 때, 특정 주파수에 대해, 다음의 규칙이 적용된다. SSB에 대해, RSRP 측정들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1), maxNrofRsIndexesToReport(3)} = 최대치 {5,2} = 5이다. SSB에 대해, RSRQ 측정들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1), maxNrofRsIndexesToReport(2), maxNrofRsIndexesToReport(3)} = 최대치 {5,10,2} = 10이다. SSB에 대해, SINR 측정들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3)} = 최대치 {2} = 2이다. CSI-RS에 대해, RSRP 측정들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5)} = 최대치 {2} = 2이다. CSI-RS에 대해, RSRQ 측정들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4), maxNrofRsIndexesToReport(5)} = 최대치 {5,2} = 5이다. CSI-RS에 대해, SINR 측정들에 대해 유지할 빔 수 = 연관된 reportConfig에서의 {maxNrofRsIndexesToReport(4)} = 최대치 {5} = 5이다.
다음은, UE가 RS 유형(SSB 및 CSI-RS)별 및 측정 양(RSRP, RSRQ, SINR 등)별로 L3 필터링된 측정들을 측정 및 유지할 빔 수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부가적인 실시예들이다. 이는, 보고 목적들을 위해 정의된 기존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규칙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무선 디바이스(50)로 도시된, 그러한 기법들을 수행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도면을 예시한다. 무선 디바이스(50)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UE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무선 단말기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예들은, 통신 디바이스, 표적 디바이스, 디바이스 간(D2D; device to device) UE, 기계 유형 UE 또는 기계 간 통신(M2M; machine to machine) 가능 UE, UE를 구비한 센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 폰, 랩톱 내장 장비(LEE; laptop embedded equipped), 랩톱 탑재 장비(LME; 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고객 댁내 장비(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50)는, 안테나들(54) 및 송수신기 회로(56)를 통해 광역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무선 노드 또는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회로(56)는, 셀룰러 통신 서비스들을 사용하려는 목적들을 위해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총괄적으로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들, 수신기 회로들, 및 연관된 제어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액세스 기술은 본 논의의 목적들에 대해 NR이다.
무선 디바이스(50)는 또한, 무선 송수신기 회로(56)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52)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52)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처리 회로, 예컨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복합 프로그래밍가능 논리 디바이스(CPLD),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더 일반적으로, 처리 회로(52)는, 고정 회로, 또는 본원에 교시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실행을 통해 특수하게 적응되는 프로그래밍가능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고정 회로 및 프로그래밍된 회로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52)는 다중-코어일 수 있다.
처리 회로(52)는 또한 메모리(64)를 포함한다. 메모리(64)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66), 및 임의적으로는 구성 데이터(68)를 저장한다. 메모리(64)는 컴퓨터 프로그램(66)을 위한 비-일시적인 저장소를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이를테면, 디스크 저장소,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저장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이라는 것은, 영구적, 반영구적, 또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영구적인 저장을 의미하며, 비-휘발성 메모리에서의 장기 저장, 및 예컨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 메모리에서의 저장 둘 모두를 포괄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메모리(64)는, 처리 회로(52) 내에 있고/거나 처리 회로(52)와 별개일 수 있는, SRAM, DRAM, EEPROM, 및 FLASH 메모리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64)는, 사용자 장비(50)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66) 및 임의의 구성 데이터(68)의 비-일시적인 저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52)는, 예컨대, 메모리(64)에 저장된 적절한 프로그램 코드의 사용을 통해,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들 및/또는 시그널링 프로세스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50)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처리 회로(52)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결정하는 것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처리 회로(52)는 또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처리 회로(52)는 도 4에 도시된 방법(4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그 방법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블록 402). 방법(400)은,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결정하는 단계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블록 404). 방법(400)은,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블록 406).
방법(400)은, 보고되는 측정들에 대응하는 촉발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유지된 빔 측정들 중 일부 또는 그 전부를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촉발에 대한 응답으로 보고되는 유지된 빔 측정 수는 촉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정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어떠한 파라미터도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어떠한 빔 측정들도 유지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가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영이 아닌 값으로 구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이 유지될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 및 보고될 양을 표시하는 파라미터가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이 유지될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유지될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은, RSRP 측정 및 RSRQ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SINR 촉발이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SINR 빔 측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것은,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은 CSI-RS 유형 및 SSB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와 연관된 다수의 측정 구성들을 수신했으며, 다수의 측정 구성들 각각은 파라미터를 보고할 개개의 최대 빔 측정 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방법(400)은,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 및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제1 기준 신호 유형과 연관된 그 측정 구성들에 대해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들 중에서 제1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 및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제1 최대 값과 동일한 수의 RSRP 측정, 및 제1 최대 값과 동일한 수의 RSRQ 측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 및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제1 기준 신호 유형과 연관되고 SINR 촉발을 포함하는 그 측정 구성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 중에서 제2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유지될 SINR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400)은, 하나 이상의 비-서빙 주파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개개의 비-서빙 주파수에 대응하고 개개의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한 측정 보고를 구성하는 측정 구성들에 대해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들 중에서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처리 회로(52)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서빙 셀의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처리 회로(52)는 도 5에 도시된 방법(5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그 방법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블록 502), 및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서빙 셀의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는 단계(블록 504)를 포함한다.
유지될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은, RSRP 측정 및 RSRQ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하는 것은, CSI-RS 유형 및 SSB 유형을 포함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위에 설명된 기법들로 무선 디바이스를 보완 또는 지원하는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30)의 도면을 예시한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이를테면, 기지국, 무선 기지국,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진화된 노드 B(eNodeB), 노드 B, 또는 중계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30)는, NR 네트워크에서 셀룰러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유형의 노드가, 예컨대, 처리 회로(32)에 의한 실행을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수정 및/또는 부가를 통해,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시그널링 프로세스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방식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무선 단말기들,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들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데이터 및/또는 셀룰러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려는 목적들을 위해 코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 무선 노드들, 및/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유형들의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38)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안테나들(34) 및 송수신기 회로(36)를 사용하여 UE들과 통신한다. 송수신기 회로(36)는, 셀룰러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려는 목적들을 위해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총괄적으로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들, 수신기 회로들, 및 연관된 제어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또한, 송수신기 회로(36) 및 일부 경우들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38)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32)를 포함한다. 논의의 용이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32)는 이후 "처리 회로(circuit)(32)" 또는 "처리 회로(circuitry)(32)"로 지칭된다. 처리 회로(32)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프로세서(42), 예컨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DSP, FPGA, CPLD, ASI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더 일반적으로, 처리 회로(32)는, 고정 회로, 또는 본원에 교시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실행을 통해 특수하게 구성되는 프로그래밍가능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고정 회로 및 프로그래밍된 회로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2)는 다중-코어일 수 있는데, 즉, 향상된 성능, 감소된 전력 소모, 및 다수의 작업들의 더 효율적인 동시 처리에 활용되는 2개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처리 회로(32)는 또한 메모리(44)를 포함한다. 메모리(44)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6), 및 임의적으로는 구성 데이터(48)를 저장한다. 메모리(44)는 컴퓨터 프로그램(46)을 위한 비-일시적인 저장소를 제공하며,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이를테면, 디스크 저장소,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저장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메모리(44)는, 처리 회로(32) 내에 있고/거나 처리 회로(32)와 별개일 수 있는, SRAM, DRAM, EEPROM, 및 FLASH 메모리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메모리(44)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30)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46) 및 임의의 구성 데이터(48)의 비-일시적인 저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32)는, 예컨대, 메모리(44)에 저장된 적절한 프로그램 코드의 사용을 통해,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들 및/또는 시그널링 프로세스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에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 기법들을 지원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컨대, 상이한 RS들이 각각의 빔에서 송신되고, 각각의 빔은 자신 고유의 빔 식별자(BID)를 반송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기준 신호들은 빔-특정 RS(BRS)로 지칭될 수 있고, UE는 빔별 기반으로 RLM을 수행할 수 있는데, 즉, 그 특정 빔에서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의 품질과 동일한 개별 빔별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RS들이 빔들 각각에서 송신될 수 있으며, 각각의 빔은 동일한 식별자를 반송한다. 이러한 식별자는, BID, 셀 식별자 셀 ID(CID)일 수 있는 그룹 식별자, 또는 빔 ID + 셀 ID 둘 모두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UE는 시간 도메인에서 빔들을 구별할 수 있고/거나 단순히, 동일한 식별자를 반송하는 빔들에 대해 일부 평균화를 수행할 수 있다.
RS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BID, 빔 ID + 그룹 ID(이는 예컨대, 셀 ID로서 이해될 수 있음), 또는 단순히 그룹 ID를 반송할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예컨대 PDCCH는, 이동성 목적들에 사용되는 RS들과 동일한 빔형성 특성들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이는, 상이한 시간들에 송신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RS들과 "동일한 빔"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채널 추정 및 채널 디코딩 목적들을 위해 상이한 RS들을 반송할 수 있다는 것(또는 그와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이는, 반드시 그러하진 않지만, 이동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들과 완전히 별개일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셀-특정, UE-특정, 및/또는 빔-특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7은, 액세스 네트워크(711), 이를테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714)를 포함하는 원격통신 네트워크(710), 이를테면 3GPP-유형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액세스 네트워크(711)는, 복수의 기지국들(712a, 712b, 712c), 이를테면, NB들, eNB들, gNB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대응하는 통달범위 영역(713a, 713b, 713c)을 정의한다. 각각의 기지국(712a, 712b, 712c)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715)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714)에 연결가능하다. 통달범위 영역(713c) 내에 위치된 제1 사용자 장비(UE)(791)는, 대응하는 기지국(712c)에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그에 의해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통달범위 영역(713a) 내의 제2 UE(792)는, 대응하는 기지국(712a)에 무선으로 연결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 복수의 UE들(791, 792)이 예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독 UE가 통달범위 영역 내에 있거나 단독 UE가 대응하는 기지국(712)에 연결되는 상황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원격통신 네트워크(710) 그 자체는 호스트 컴퓨터(730)에 연결되고, 그 호스트 컴퓨터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 서버, 분산형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또는 서버 팜의 처리 리소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7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을 수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운영될 수 있다. 원격통신 네트워크(710)와 호스트 컴퓨터(730) 사이의 연결들(721, 722)은 코어 네트워크(7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730)로 직접 연장될 수 있거나, 임의적 중간 네트워크(720)를 통해 이어질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720)는, 공중,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이들 중 하나 초과의 조합일 수 있으며; 중간 네트워크(720)는, 존재하는 경우,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일 수 있고; 특히, 중간 네트워크(72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통신 시스템은, 전체로서, 연결된 UE들(791, 792) 중 하나와 호스트 컴퓨터(730) 사이의 연결성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성은, 오버더톱(OTT: over-the-top) 연결(750)로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730) 및 연결된 UE들(791, 792)은, 액세스 네트워크(711), 코어 네트워크(7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720), 및 가능한 향후의 기반구조(도시되지 않음)를 중개자들로서 사용하여 OTT 연결(750)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연결(750)은, OTT 연결(750)이 지나가는 참여 통신 디바이스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들의 라우팅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712)은, 데이터가 호스트 컴퓨터(730)로부터 발신되어 연결된 UE(791)에 전달(예컨대, 핸드오버)될 착신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관해 통보받지 못하거나 통보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712)은, 호스트 컴퓨터(730)를 향해 UE(791)로부터 발신되는 발신 업링크 통신의 향후의 라우팅을 인지할 필요가 없다.
앞선 문단들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구현들이 이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800)에서, 호스트 컴퓨터(810)는, 통신 시스템(80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8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8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810)는, 저장 및/또는 처리 능력들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8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처리 회로(818)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810)는, 호스트 컴퓨터(810)에 저장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가능하고 처리 회로(81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8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8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8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812)은, UE(830) 및 호스트 컴퓨터(810)에서 종결되는 OTT 연결(850)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 사용자, 이를테면, UE(830)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812)은, OTT 연결(850)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800)은,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제공되고 호스트 컴퓨터(810) 및 UE(830)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825)를 포함하는 기지국(8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825)는, 통신 시스템(80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826)뿐만 아니라, 기지국(820)에 의해 서빙되는 통달범위 영역(도 8에 도시되지 않음) 내에 위치된 UE(830)와 적어도 무선 연결(870)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8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26)는, 호스트 컴퓨터(810)에 대한 연결(8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860)은 직접적일 수 있거나, 원격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8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고/거나 원격통신 시스템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지국(820)의 하드웨어(825)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828)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820)은 추가로 내부에 저장되거나 외부 연결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소프트웨어(821)를 갖는다.
통신 시스템(800)은, 이미 언급된 UE(830)를 더 포함한다. 그 UE의 하드웨어(835)는, UE(830)가 현재 위치되어 있는 통달범위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과 무선 연결(880)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인터페이스(837)를 포함할 수 있다. UE(830)의 하드웨어(835)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838)를 더 포함한다. UE(830)는, UE(830)에 저장되거나 그에 의해 액세스가능하고 처리 회로(838)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8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8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8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832)은, 호스트 컴퓨터(810)의 지원과 함께 UE(830)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810)에서, 실행 호스트 애플리케이션(812)은, UE(830) 및 호스트 컴퓨터(810)에서 종결되는 OTT 연결(850)을 통해 실행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8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8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8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연결(8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둘 모두를 전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832)은, 자신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호스트 컴퓨터(810), 기지국(820), 및 UE(830)는 각각, 도 7의 호스트 컴퓨터(630), 기지국들(712a, 712b, 712c) 중 하나, 및 UE들(791, 792) 중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엔티티들의 내부 작동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7의 것일 수 있다.
도 8에서, OTT 연결(850)은, 임의의 중간 디바이스들 및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통한 메시지들의 정확한 라우팅에 대한 명시적 참조 없이 기지국(820)을 통한 호스트 컴퓨터(810)와 사용자 장비(830) 사이의 통신을 예시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도시되었다. 네트워크 기반구조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고, 이는, UE(830)로부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810)를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또는 둘 모두로부터 은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TT 연결(8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기반구조는, (예컨대, 네트워크의 부하 균형 고려사항 또는 재구성에 기반하여)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들을 추가로 취할 수 있다.
UE(830)와 기지국(820) 사이의 무선 연결(870)은, 이를테면, 대응하는 방법(400)과 함께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제공되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른다. 유지할 서빙 주파수들에 대한 최대 빔 측정 수를 정의하기 위한 어떠한 규칙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UE(830)는 자신의 측정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의적으로 낮은 값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것이다. 그러므로, UE(830)는 최대 값을 보고할 수 없고, 네트워크는, UE(830)가 서빙 주파수들에서의 셀들에 대해 X1개 초과의 빔들을 검출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핸드오버 결정들은 셀별 빔 수 및 그들의 측정 정보에 의존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오버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유지할 서빙 셀들에 대한 최대 빔 측정 수를 정의하기 위한 어떠한 규칙도 존재하지 않는다. UE(830)는, 자신이 보고에 대한 요건들에 대처할 수 있음을 확실히 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높은 값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UE(830)는 표시된 최대 값을 보고할 수 있을 것이고,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해석 문제들도 없지만, 비용은 UE에 필요한 것보다 높을 것이다. 실시예들은 (불필요한 수준들로의 증가된 복잡도를 피함으로써) UE 복잡도를 최소화하고 핸드오버 성능을 개선할 잠재성을 갖는다. 이는, OTT 연결(850)을 사용하는 UE(830) 및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율, 용량, 레이턴시, 및/또는 전력 소모를 개선하며, 그에 의해, 감소된 사용자 대기 시간, 더 많은 용량, 더 양호한 응답성, 및 더 양호한 디바이스 배터리 시간과 같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할 수 있는 데이터율, 레이턴시, 및 다른 인자들을 모니터링하는 목적을 위해 측정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들에서의 변동들에 대한 응답으로, 호스트 컴퓨터(810)와 UE(830) 사이의 OTT 연결(8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임의적 네트워크 기능성이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측정 절차 및/또는 OTT 연결(850)을 재구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성은, 호스트 컴퓨터(810)의 소프트웨어(811)로 또는 UE(830)의 소프트웨어(831)로 또는 둘 모두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OTT 연결(850)이 지나가는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또는 그들과 연관되어 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이 이용될 수 있으며, 센서들은, 위에 예시된 모니터링된 양들의 값들을 공급하거나, 소프트웨어(811, 831)가 모니터링된 양들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양들의 값들을 공급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연결(8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송신 설정들, 바람직한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구성은 기지국(820)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고, 재구성은 기지국(820)에 알려지지 않거나 기지국(820)이 인지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절차들 및 기능성들은 관련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을 수 있고 실시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처리량, 전파 시간들,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810)의 측정들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 UE 시그널링을 수반할 수 있다. 측정들은, 소프트웨어(811, 831)가, 전파 시간들, 오류들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OTT 연결(850)을 사용하여 메시지들, 특히, 비어 있는 또는 '더미' 메시지들이 송신되는 것을 야기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간략화를 위해, 도 9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본 단락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제1 단계(9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1 단계(910)의 임의적 하위 단계(911)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9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UE에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송신을 개시한다. 임의적 제3 단계(930)에서, 기지국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송신에서 반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송신한다. 임의적 제4 단계(940)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간략화를 위해, 도 10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본 단락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제1 단계(101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임의적 하위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102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UE에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송신을 개시한다. 송신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기지국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임의적 제3 단계(1030)에서, UE는 송신에서 반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간략화를 위해, 도 11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본 단락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임의적 제1 단계(1110)에서,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임의적 제2 단계(1120)에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1120)의 임의적 하위 단계(1121)에서,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1 단계(1110)의 추가적인 임의적 하위 단계(1111)에서,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제공되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된 특정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임의적 제3 하위 단계(1130)에서, 호스트 컴퓨터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다. 방법의 제4 단계(114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UE로부터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간략화를 위해, 도 12에 대한 도면 참조들만이 본 단락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임의적 제1 단계(1210)에서,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들에 따라,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임의적 제2 단계(1220)에서, 기지국은,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호스트 컴퓨터로의 송신을 개시한다. 제3 단계(1230)에서,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송신에서 반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 및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로의 송신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며, UE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UE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며, 결정하는 것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UE의 처리 회로는 또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시스템은, UE, 및/또는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UE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를 포함하며,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UE에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에서의 방법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UE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결정하는 단계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UE에서의 방법은 또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에서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은,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으로부터 발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며, UE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UE의 처리 회로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UE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정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UE의 처리 회로는 또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시스템은 UE 및/또는 기지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에 의해 반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UE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요청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UE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요청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UE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방법은 또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UE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방법은, UE에서,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UE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방법은,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UE에서의 방법은 또한, 기지국에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UE에서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송신될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호스트 컴퓨터에서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UE에서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되고, 송신될 사용자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UE로부터 수신한 송신으로부터 발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UE에서의 방법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UE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UE에서의 방법은,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의 방법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호스트 컴퓨터로의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프로세스 흐름도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의 기능적 구현은 기능적 모듈들의 관점들에서 표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적 모듈은, 적절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유닛 또는 기능적 디지털 하드웨어 회로, 또는 둘 모두의 일부 조합에 대응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1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에 적응되는 무선 디바이스(50)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예시적인 기능적 모듈 또는 회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구현은,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302), 및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1304)을 포함하며, 결정하는 것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한다. 기능적 구현은 또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모듈(1306)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모듈(1306)은,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서빙 셀의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들의 원리들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든 그런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개념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위에 개시된 주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실시예들의 예들은 모든 그러한 수정들, 향상들, 및 본 발명의 개념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들을 망라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법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범위까지, 본 발명의 개념들의 범위는 실시예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의 예들을 비롯하여 본 개시내용의 가장 넓은 허용가능한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43)

  1. 무선 디바이스(50)에서의,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으로서,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402);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404) ―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함 ―; 및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는 단계(406)를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2. 제1항에 있어서,
    보고되는 측정들에 대응하는 촉발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유지된 빔 측정들 중 일부 또는 그 전부를 상기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촉발에 대한 응답으로 보고되는 유지된 빔 측정 수는 상기 촉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404)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상기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어떠한 파라미터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어떠한 빔 측정들도 유지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404)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상기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영이 아닌 값으로 구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이 유지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404)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상기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 및 보고될 양을 표시하는 파라미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이 유지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유지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측정,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측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8. 제7항에 있어서,
    신호 대 간섭 + 잡음 비(SINR) 촉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SINR 빔 측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404)는,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별개로 수행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심볼(CSI-RS) 유형 및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유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와 연관된 다수의 측정 구성들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측정 구성들 각각은 파라미터를 보고할 개개의 최대 빔 측정 수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4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 및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과 연관된 상기 측정 구성들에 대해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들 중에서 제1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 및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상기 제1 최대 값과 동일한 수의 수신 신호 기준 전력(RSRP) 측정, 및 상기 제1 최대 값과 동일한 수의 수신 신호 기준 품질(RSRQ) 측정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 및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과 연관되고 SINR 촉발을 포함하는 상기 측정 구성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 중에서 제2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유지될 신호 대 간섭 + 잡음 비(SINR)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서빙 주파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개개의 비-서빙 주파수에 대응하고 개개의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한 측정 보고를 구성하는 측정 구성들에 대해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들 중에서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400).
  15. 무선 디바이스(50)에서의,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500)으로서,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502); 및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상기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는 단계(504)를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500).
  16. 제15항에 있어서,
    유지될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측정,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측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500).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별개로 수행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50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심볼(CSI-RS) 유형 및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유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500).
  19.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로서,
    송수신기 회로(56); 및
    상기 송수신기 회로(56)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처리 회로(52)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52)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고 ― 상기 결정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함 ―,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보고되는 측정들에 대응하는 촉발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 주파수에 대한 유지된 빔 측정들 중 일부 또는 그 전부를 상기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촉발에 대한 응답으로 보고되는 유지된 빔 측정 수는 상기 촉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상기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어떠한 파라미터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어떠한 빔 측정들도 유지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3.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상기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영이 아닌 값으로 구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이 유지될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4.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상기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 및 보고될 양을 표시하는 파라미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이 유지될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유지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측정,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측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신호 대 간섭 + 잡음 비(SINR) 촉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구성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에 대해 SINR 빔 측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별개로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심볼(CSI-RS) 유형 및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유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제1 서빙 주파수와 연관된 다수의 측정 구성들을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측정 구성들 각각은 파라미터를 보고할 개개의 최대 빔 측정 수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5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 및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과 연관된 상기 측정 구성들에 대해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들 중에서 제1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 및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상기 제1 최대 값과 동일한 수의 수신 신호 기준 전력(RSRP) 측정, 및 상기 제1 최대 값과 동일한 수의 수신 신호 기준 품질(RSRQ) 측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중 상기 제1 서빙 주파수 및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해,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중 상기 제1 기준 신호 유형과 연관되고 SINR 촉발을 포함하는 상기 측정 구성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 중에서 제2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유지될 신호 대 간섭 + 잡음 비(SINR)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2. 제1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하나 이상의 비-서빙 주파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개개의 비-서빙 주파수에 대응하고 개개의 기준 신호 유형에 대한 측정 보고를 구성하는 측정 구성들에 대해 보고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들 중에서 최대 값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3.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로서,
    송수신기 회로(56); 및
    상기 송수신기 회로(56)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는 처리 회로(52)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52)는,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상기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4. 제33항에 있어서,
    유지될 적어도 하나의 빔 측정은,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측정, 및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측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52)는,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 각각에 대해 별개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상기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기준 신호 유형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심볼(CSI-RS) 유형 및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유형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7.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로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400, 500)을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38.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66)이 저장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4)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회로(52)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고 ― 상기 결정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함 ―,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4).
  39.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66)이 저장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4)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회로(52)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상기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4).
  40.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66)으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처리 회로(52)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회로(52)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400, 500)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66).
  41. 캐리어로서,
    제40항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66)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학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4) 중 하나인, 캐리어.
  42.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로서,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302);
    서빙 주파수에서의 이웃하는 셀 또는 서빙 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해, 유지될 빔 측정 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1304) ― 상기 결정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 보고 파라미터에 기반함 ―; 및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대응하는 결정된 유지될 빔 측정 수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주파수 각각에 대한 빔 측정들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모듈(1306)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43.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로서,
    측정들을 보고하기 위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50)를 구성하는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302); 및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각각에 대해,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하나가 셀별 보고될 최대 빔 측정 수를 표시하고 상기 주파수와 연관된 상기 측정 보고 파라미터들 중 다른 하나가 보고될 양을 표시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보고에서 보고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빔별 측정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모듈(1306)을 포함하는, 빔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50).
KR1020207026009A 2018-03-13 2019-03-06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KR20200120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5500A KR20230070322A (ko) 2018-03-13 2019-03-06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2405P 2018-03-13 2018-03-13
US62/642,405 2018-03-13
PCT/SE2019/050194 WO2019177514A1 (en) 2018-03-13 2019-03-06 Beam reporting configuration for serving frequency measuremen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500A Division KR20230070322A (ko) 2018-03-13 2019-03-06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681A true KR20200120681A (ko) 2020-10-21

Family

ID=679068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009A KR20200120681A (ko) 2018-03-13 2019-03-06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KR1020237015500A KR20230070322A (ko) 2018-03-13 2019-03-06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500A KR20230070322A (ko) 2018-03-13 2019-03-06 서빙 주파수 측정들을 위한 빔 보고 구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736965B2 (ko)
EP (1) EP3766184A4 (ko)
JP (2) JP7046199B2 (ko)
KR (2) KR20200120681A (ko)
CN (1) CN111869118B (ko)
AU (1) AU2019234146B2 (ko)
BR (1) BR112020012927A2 (ko)
MX (1) MX2020008716A (ko)
SG (1) SG11202005683WA (ko)
WO (1) WO2019177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6287B2 (en) * 2017-11-17 2021-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for configuring measurements of cells and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29208A4 (en) * 2018-08-09 2021-08-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NOTIFICATION PROCEDUR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0163991A1 (en) * 2019-02-12 2020-08-20 Zte Corporation Method of performance information reporting
CN113543237B (zh) * 2020-04-13 2022-06-24 荣耀终端有限公司 小区的选择方法及装置
US11985531B2 (en) * 2020-09-09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porting multiple quantity types
EP4335044A1 (en) * 2021-05-07 2024-03-13 Nokia Technologies Oy Enhanced positioning protocol for carrier aggregation beam selection
CN115604828A (zh) * 2021-07-09 2023-01-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Cn) 波束发送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CN116210262A (zh) * 2021-09-24 2023-06-02 苹果公司 同时rx波束能力的指示和相关测量资源协调
US11743755B2 (en) * 2021-10-04 2023-08-29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E location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2008B2 (en) * 2014-01-17 2019-12-17 Idac Holdings, Inc. 3GPP MMW access link system architecture
KR102187855B1 (ko) * 2014-07-31 2020-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6023227A1 (zh) * 2014-08-15 2016-02-18 富士通株式会社 资源配置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KR102363547B1 (ko) * 2014-11-26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6488472B (zh) * 2015-08-27 2020-05-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信道信息上报方法及终端
US11006304B2 (en) * 2016-05-13 2021-05-11 Intel IP Corporation Beam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identifying candidate beams for a handover
EP3536012B1 (en) * 2016-11-04 2023-12-20 Nokia Technologies Oy Efficient beam measurements
WO2018204863A1 (en) 2017-05-04 2018-11-08 Ofinno Technologies, Llc Beam-based measurement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9118B (zh) 2023-08-29
WO2019177514A1 (en) 2019-09-19
US20200120525A1 (en) 2020-04-16
AU2019234146A1 (en) 2020-07-16
JP7046199B2 (ja) 2022-04-01
AU2019234146B2 (en) 2021-11-04
US11736965B2 (en) 2023-08-22
EP3766184A1 (en) 2021-01-20
BR112020012927A2 (pt) 2020-12-01
EP3766184A4 (en) 2021-05-19
JP2022104925A (ja) 2022-07-12
US20230354076A1 (en) 2023-11-02
MX2020008716A (es) 2020-09-28
KR20230070322A (ko) 2023-05-22
SG11202005683WA (en) 2020-07-29
JP7313503B2 (ja) 2023-07-24
CN111869118A (zh) 2020-10-30
JP2021520661A (ja)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34146B2 (en) Beam reporting configuration for serving frequency measurements
JP2020520571A (ja) 無線デバイス、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で通信を処理するために実行される方法
US11452013B2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20210203464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resource mapping
US11937112B2 (en)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0390269B2 (en) Uplink measurement based mobility management
CN114586318A (zh) 使用波束成形进行数据传输的网络节点、终端设备及其中的方法
US20210204182A1 (en) High-gain beam handover
US10998939B2 (en) Beamformed reception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EP3895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ntenna systems
US110756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US20220248419A1 (en) Interference handling at radio access network nodes
WO2016120660A1 (en) Modulation quality based cell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