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435A - 영유아 학습구 - Google Patents

영유아 학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435A
KR20200120435A KR1020190043368A KR20190043368A KR20200120435A KR 20200120435 A KR20200120435 A KR 20200120435A KR 1020190043368 A KR1020190043368 A KR 1020190043368A KR 20190043368 A KR20190043368 A KR 20190043368A KR 20200120435 A KR20200120435 A KR 20200120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s
infant
toddlers
content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서
Original Assignee
디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0435A/ko
Publication of KR2020012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영유아 학습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는, 영유아용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수단 및 화상출력렌즈를 포함하는 메인유닛; 상기 화상출력렌즈에서 출력된 빛에 의한 상이 맺히는 메인스크린; 및 상기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영유아의 태아시기에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수집한 상기 영유아의 부모의 음성정보를 적용해서 상기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영유아 학습구{LEARNING TOOL FOR INFANTS AND TODDL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유아 학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유아의 학습 및 보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유아 학습구에 관련된다.
태아시기는 외부 자극에 따라서 두뇌 및 신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시기, 신생아시기는 출산 후 엄마와 아기가 달라진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 영아시기는 오감 자극을 통하여 두뇌 및 신체가 발달하는 시기로 알려져 있으며, 태교 및 육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태교 및 육아관련 프로그램, 교보재 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태아 및 3세 이하 유아의 신체 및 두뇌 발달을 연속성을 고려한 제품이 없었으며, 태교에서 영유아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보육 및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태교와 육아의 연계성이 부족했다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체계적인 실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1607호(2015.10.29)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태아에서 영아까지 연속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거나, 태교 프로그램 과정 진행중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해서 영아용 육아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거나, 영유아의 학습 및 보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유아 학습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는, 영유아용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수단 및 화상출력렌즈를 포함하는 메인유닛; 상기 화상출력렌즈에서 출력된 빛에 의한 상이 맺히는 메인스크린; 및 상기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영유아의 태아시기에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수집한 상기 영유아의 부모의 음성정보를 적용해서 상기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수집된 음성정보로 기계학습하는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부모의 음성정보가 반영된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스크린은 상기 영유아를 마주보는 정면과 상기 정면에 대향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메인스크린의 후면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메인스크린은 전자파 차단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유아의 상태, 동작, 소리, 온도,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상기 메인유닛이 출력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는, 태아에서 영아까지 연속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는, 태교 프로그램 과정 진행중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해서 영아용 육아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는, 영유아의 학습 및 보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영유아 학습구를 통해서 부모 목소리를 직접녹음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영유아 학습구를 통해서 그림책, 동화책, 낱말카드 등의 교보재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 학습구를 통해서 부모 음성 및 영아 발달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렇게 수집 및 분석된 빅데이터를 이용해서 영유아 학습구용 인공지능의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이 가능하며, 이 인공지능에 의하여 합성된 콘텐츠에서 단어, 문장, 억양, 높낮이, 느낌 등의 완성도가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의 사용자 단말기에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될 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신생아 발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태아 발달과정 및 태교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태아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프로그램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10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1000)의 사용자 단말기(700)에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될 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신생아 발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태아 발달과정 및 태교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태아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프로그램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유아 학습구(1000)는 메인유닛(100) 및 메인스크린(200)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영유아 학습구(1000)는 모니터링부(300), 베이스부(400), 하우징(500), 공조부(600), 사용자 단말기(700) 및 리모콘(8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닛(100)은 영유아용 콘텐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유닛(100)은 흑백 정지화면, 컬러 정지화면, 흑백 동영상, 컬러 동영상 등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영유아의 발육 정도 또는 생후 경과기간에 따라 최적화된 콘텐츠가 선택되어 메인유닛(10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유닛(100)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수단은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으로 구현되거나 메인유닛(100)의 회로기판 등에 부착된 메모리 소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메인유닛(100)에는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각종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미러링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유닛(100)은 화상출력렌즈, 전원버튼, 스피커, 메모리 카드 슬롯 및 LED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유닛(100)은 블루투스 스피커 등 외부기기와 연동되어 화상 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유닛(100)은 모니터링부(300)와 연계되어, 영유아의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화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닛(100)은 모니터링된 영유아의 상태를 사용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유닛(10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는 일반 성우에 의하여 녹음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일반 성우에 의하여 녹음된 정보는 영유아의 부모의 음성으로 치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의 안정감, 영유아와 부모 사이 유대감, 영유아의 학습효과 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렇게 콘텐츠의 스크립트 발성이 부모의 음성으로 치환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700)에서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면, 해당 응용프로그램은 적절한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부모로 하여금 일 부분 씩 따라서 읽도록 할 수 있고, 이렇게 부모가 읽어내는 음성을 녹음해서 콘텐츠에 반영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사용되는 콘텐츠들은 영유아, 태아의 발달과정에 따라 최적화된 콘텐츠일 수 있다.
메인스크린(200)은 메인유닛(100)에서 출력한 화상이 맺혀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스크린(200)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스크린(200)은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을 받아 상이 맺히도록 할 수 있으며, 메인스크린(200) 전방에 위치한 영유아 등이 메인스크린(200)에 맺힌 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스크린(200)에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 학습에 필요한 정보가 메인스크린(200)에 표시되도록 하면서도 메인유닛(100)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영유아 등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스크린(200)은 PDLCD로 구현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조명(디머), 투사시에는 전압으로 투명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량이나 높낮이, 분위기 등과 협응하여 메인스크린(200)의 색깔이나 밝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메인스크린(200)은 외부환경의 습도변화를 완충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300)는 영유아의 상태나 움직임 등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300)에는 카메라, 마이크, 온도센서, 조도센서, 공기질센서, 습도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부(300)는 영유아가 잠들었는지, 잠이 깼는지, 울고 있는지,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해당 정보들을 메인유닛(100)이나 보호자의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700), 별도의 서버(900) 등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유아 상태에 매칭된 최적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서버(900), 사용자 단말기(700), 메인유닛(100), 메인스크린(200), 모니터링부(300) 상호간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모니터링부(300)는 영유아의 눈이 감겨 있는지 또는 뜨여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의 눈동자가 향하고 있는 방향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300)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서 옹알이, 울음 등 영유아가 내는 소리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300)에 구비되는 조도센서 등을 통해서 영유아가 있는 공간의 주변 밝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300)에 구비되는 온도센서 등을 통해서 영유아가 있는 공간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300)에 구비되는 공기질센서 및 습도센서 등을 통해서 영유아가 있는 공간의 미세먼지의 양, 냄새, 습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베이스부(400)는 영유아가 위치되는 공간에서 바닥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써, 통기성, 완충성, 전자파 차폐성, 방수성 중 적어도 한 성질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영유아가 위치되는 공간에서 측면과 상면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써, 전술한 메인유닛(100), 메인스크린(200)이 하우징(5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0)은 영유아에게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고, 모기, 파리 등의 유해 곤충을 차단하며, 외부 빛을 차단하여 적절한 밝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공조부(600)는 영유아가 위치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천연물질이 포함된 필터를 통한 공기정화, 피톤치드나 허브 등을 통한 공기항균 등의 기능이 공조부(6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한, 전술한 모니터링부(300)가 검출하는 환경정보 등을 고려해서 공조부(600)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700)에서는 영유아 학습구(1000)와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앱)이 구동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이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700)에서 로컬로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응용프로그램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구동될 수 있다.
리모콘(800)은 메인유닛(100), 모니터링부(300), 공조부(600)의 전원 온/오프나, 조명의 온/오프, 모드 전환 등의 원격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리모콘(800)의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7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는 영유아 및 태아의 학습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태아의 태교와 영아의 육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태교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부모가 직접 목소리를 녹음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이렇게 태교 과정에서 생성된 콘텐츠는 출산 후 영유아 육아용 콘텐츠로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서발달 및 지능발달과 관련하여 태아 및 영유아에게 인식되는 콘텐츠의 연속성이 향상될 수 있고, 그 결과 영유아의 성장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700)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은, 태아의 성장 정도에 따라 맞춤형으로 태교관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임산부가 출산 예정일을 입력하면 응용프로그램은 자동으로 태아의 수정 후 경과기간을 계산하고, 각각의 경과기간에 매칭되는 콘텐츠들을 출력하여 임산부로 하여금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해당 콘텐츠의 안내에 따라 임산부가 노래를 부르거나 말을 하거나 생각을 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임산부가 발성하는 음성들을 녹음해서 저장한 뒤, 저장된 정보를 새로운 콘텐츠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태교관련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및 태교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모의 목소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부모의 음성을 이용해서 소정의 콘텐츠를 합성해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700)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활용해서 태교가 수행되고, 이 태교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부모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해서 영유아 학습구(1000)용 인공지능의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이 수행되도록 한 뒤, 이 영유아 학습구(1000)용 인공지능에 의하여 부모의 음성이 반영된 콘텐츠가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합성된 콘텐츠에서 단어, 문장, 억양, 높낮이, 느낌 등의 완성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학습구(1000)는 태아에서 영아까지 행동에 대한 상호작용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계량화하고 태아 및 영유아의 발달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를 통해서 부모 목소리를 직접 녹음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를 통해서 그림책, 동화책, 낱말카드 등의 교보재를 대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를 통해서 태교 및 육아 맞춤형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를 통해서 영아 행동에 대한 상호 작용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를 통해서 엄마 음성 및 영아 발달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렇게 수집 및 분석된 빅데이터를 이용해서 영유아 학습구(1000)용 인공지능의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는 영유아를 모니터링하고 돌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부(300)를 통해서 영상, 소리, 주변환경을 감지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는 공조부(600)를 통해서 천연 물질 필터로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하우징(500)을 전자파 차단 기능이 있는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전자파 차폐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00)을 통해 모기, 파리 등의 유해 곤충을 차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는 상황별 맞춤형 동작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상황별 맞춤형 모드는 주간모드, 야간모드, 잠깬모드, 잠재우기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주간모드는 아이의 행동에 따라 학습, 음악, 동화구연 등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소정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동화, 음악, 놀이 화면이나, 시각 발달에 좋은 색의 조명이 켜지거나, 부모가 녹음한 동화 및 이야기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야간모드는 영유아가 최대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밝기와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고, 영유아가 잠에서 깨어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기저귀를 교체하거나 수유를 할 경우에도 정상 조명이 아닌 무드등이 켜지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조작이 음성명령에 의하여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가 너무 어두운 환경에 적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수면등이 켜지도록 할 수 있다.
잠깬모드는, 영유아가 잠을 자다가 깨어나는 경우 서서히 조명을 밝혀주면서 부모 목소리와 부모 사진 등 아이가 좋아하는 사진을 보여주며 아이를 진정시켜 주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영유아가 잠을 깼다가 기준시간 내에 다시 잠들지 못하는 경우에는 부모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700)나 별도의 스피커 등으로 알림 메세지 등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잠재우기모드는 아이가 잠잘 시간이 되면 조명 밝기를 서서히 줄여주면서 부모 목소리로 녹음된 자장가를 재생시켜 영유아에게 잠을 자야 하는 시간이 되었다는 것을 인식시켜주어 영유아의 수면을 돕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유아에게 좋은 잠자리 습관이 길러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부모 등의 사용자가 리모콘(800)이나 사용자 단말기(700)를 통해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모니터링부(300)에서 영유아의 상태나 환경 등을 감지한 결과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모드가 선택되도록 하거나 적합한 모드가 사용자에게 추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될 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들이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는 건강측정, 병원 기록 및 예방접종 시기 알림 등을 통하여 육아를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는 육아정보를 제공하고 전문가와 온라인 상담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육아에 지친 부모를 위하여 다른 부모와 소통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육아에 지친 부모가 심적인 안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명상, 명언, 음악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정보들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부모 등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700)에서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각종 정보에 손쉽게 접근하고, 커뮤니티에 접속하며, 전문가와 화상통화, 음성통화, 메세지 송수신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육아일기를 작성할 수 있고, 이렇게 작성된 육아일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각종 건강정보 뿐만 아니라, 태교용 콘텐츠, 육아용 콘텐츠, 영유아의 모니터링된 영상 등과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영유아 학습구(1000)에는 영유아의 팔목 또는 발목에 착용되는 착용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착용구는 영유아의 팔 또는 다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움직임의 종류, 방향, 세기 등과 협응하는 진동이나 소리, 콘텐츠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모니터링부(300), 착용구 및 메인유닛(1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작용하여 영유아의 작은 움직임이나 행동에도 칭찬, 격려, 환호, 박수, 음악, 조명 등의 반응이 영유아에게 피드백되면 영유아가 본인의 행동에 대해서 자신감과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되어 영유아가 더욱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 영유아 학습구
100 : 메인유닛
200 : 메인스크린
300 : 모니터링부
400 : 베이스부
500 : 하우징
600 : 공조부
700 : 사용자 단말기
800 : 리모콘

Claims (4)

  1. 영유아용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수단 및 화상출력렌즈를 포함하는 메인유닛;
    상기 화상출력렌즈에서 출력된 빛에 의한 상이 맺히는 메인스크린; 및
    상기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영유아의 태아시기에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수집한 상기 영유아의 부모의 음성정보를 적용해서 상기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학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수집된 음성정보로 기계학습하는 인공지능과 연결되어부모의 음성정보가 반영된 영유아용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학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크린은 상기 영유아를 마주보는 정면과 상기 정면의 반대면인 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유닛은 상기 메인스크린의 후면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메인스크린은 전자파 차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학습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의 상태, 동작, 소리, 온도,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상기 메인유닛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학습구.
KR1020190043368A 2019-04-12 2019-04-12 영유아 학습구 KR20200120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68A KR20200120435A (ko) 2019-04-12 2019-04-12 영유아 학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68A KR20200120435A (ko) 2019-04-12 2019-04-12 영유아 학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35A true KR20200120435A (ko) 2020-10-21

Family

ID=7303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68A KR20200120435A (ko) 2019-04-12 2019-04-12 영유아 학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04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607A (ko) 2014-04-21 2015-10-29 양성화 영아 돌연사 방지를 위한 실시간 동작 인식 및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607A (ko) 2014-04-21 2015-10-29 양성화 영아 돌연사 방지를 위한 실시간 동작 인식 및 알림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chat et al. Social-cognitive development in the first year
Trevarthe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early infancy: A description of primary intersubjectivity
Filippa et al. Early vocal contact and preterm infant brain development
Brazelton Saving the bathwater
Soussignan et al. Human newborns match tongue protrusion of disembodied human and robotic mouths
Legerstee et al. Intentions make a difference: Infant responses to still-face and modified still-face conditions
Saliba et al. Changes in the vocal qualities of mothers and fathers are related to preterm infant's behavioural states
US20190130775A1 (en) Interactive device for object, playpen enclosure for child, and crib
US11806122B2 (en) Utilization of infant activated audio player
Tedder Give them the HUG: An innovative approach to helping parents understand the language of their newborn
KR20200120435A (ko) 영유아 학습구
US11730916B1 (en) Device and system for hands free monitoring and comforting
Liew CUPA: Cube pal for develop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Bower Competent newborns
US11179539B2 (en) Cognitive alert system
Barnard et al. Promoting awareness of the infant's behavioral patterns: Elements of anticipatory guidance for parents
Dunn A sensory processing approach to supporting infant-caregiver relationships
Hotelling Newborn capabilities: Parent teaching is a necessity
CN116350907B (zh) 婴幼儿睡眠引导辅助方法及装置
US9779634B2 (en) Natural orientation induction tool apparatus and method
Amrute Go the fuck to sleep: Well-being, welfare, and the ends of capitalism in US discourses on infant sleep
Ullah et al. A Cost-effective Smart Cradle Baby Monitoring System for assist the Parents
Van Egeren et al. The developmental origins of communication: Interactional systems in infancy
Greenwood Is mind extended or scaffolded? Ruminations on Sterelney’s (2010) extended stomach
Oyedokun et al. Embraced Separation: Exploring methods of breath attunement in speculative infant sw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