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412A - 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412A
KR20200120412A KR1020190043306A KR20190043306A KR20200120412A KR 20200120412 A KR20200120412 A KR 20200120412A KR 1020190043306 A KR1020190043306 A KR 1020190043306A KR 20190043306 A KR20190043306 A KR 20190043306A KR 20200120412 A KR20200120412 A KR 2020012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zone
ozone filter
filt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8299B1 (en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to KR102019004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299B1/en
Publication of KR2020012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F24F3/1603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6Ozone
    • F24F2003/16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zone filter comprising polymer salt including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one or more of ethyl (meta)acrylate, diethylene glycol (meta)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eta)acrylate, polyglycerol (meta)acrylate, and carboxylmethylcellulose, thereby removing ozone from air by passing the air therethrough.

Description

오존필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실시예들은 오존필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오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존필터와, 오존필터를 구비하여 공기청정 성능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n ozone filter and an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n ozone filt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ozone from air, and an air purifier having an ozone filter with improved air cleaning performance.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공기오염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공기오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어 공기청정기의 수요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as the phenomenon of air pollution due to fine dust intensifies, interest in air pollution ha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air purifiers is also rapidly increasing.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용도로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는 주로 여과식을 채택한다. 여과식은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으로서 2~3개월의 잦은 주기로 필터를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잦은 필터 교체 주기로 인해 공기청정기의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므로 소비자 불만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Air purifiers installed indoors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indoor air mainly adopt filtration type. The filtration type uses a filter that passes ai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filter must be replaced at frequent intervals of 2 to 3 months. However, due to the frequent filter replacement cycle, the user's atten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air purifier is required, which is a factor of consumer complaints.

여과식 장치에서의 잦은 필터 교체 주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기청정기 기술로서 전기집진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전기집진식 공기청정기에서는 필터의 관리주기가 6개월 이상으로 증가하며 필터를 세척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소비자에게 공기청정기의 관리와 관련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An electric dust collection type is sometimes used as an air purifier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frequent filter replacement cycles in a filtration type device. I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type air purifier, the management cycle of the filter is increased to more than 6 months, and the filter can be reused after cleaning, thus providing the convenience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air purifier to the consumer.

그러나 전기집진기에서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오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 환경에서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를 이용하는 데 어려운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However, since ozone is generated by corona discharge in the electric precipitator, there is a technical limitation that is difficult to use the air purifier using the electric precipitator in an enclosed indoor environment.

일반적으로 전기집진기의 집진 효율은 코로나 방전 전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전기집진기를 채용한 공기청정기에서는 방전극에 수 kV 수준의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데, 높은 방전전압으로 인하여 오존이 발생한다. 즉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집진효율을 높이는 과정에서 오존 발생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general,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an electric precipitator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corona discharge current. Therefore, in an air purifier employ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 high voltage of several kV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ozone is generated due to the high discharge voltage.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increases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in order to secure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오존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에 활성탄소 필터를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오존제거 성능이 낮으며 활성탄소 필터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remove ozone, a method of adding an activated carbon filter to the air purifier may be considere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zone removal performance is low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must be replaced periodically.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53656호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오존발생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기 중의 세균 등을 살균하는 기능을 구현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존 살균 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에서 발생한 오존이 실내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공기청정기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echnologies that implement a function of sterilizing bacteria in the air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 ozone generating device inside an air purifier are known as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53656.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ozone generated from the air purifier having such an ozone sterilization function is leaked into the room, and thus a function for removing ozone from the air purifier is additionally required.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53656호 (2002.09.10)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253656 (2002.09.10)

실시예들은 오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존필터 및 오존필터를 구비하여 공기청정 성능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n air purifier with improved air cleaning performance by including an ozone filter and an ozone filt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ozone.

실시예들은 또한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Embodiments als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is convenient to use since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filter.

실시예들은 또한 전기집진기를 포함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전기집진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존을 충분히 제거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청정한 공기로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Embodiments als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cluding an electric precipitator and capable of purifying safe and clean air by sufficiently removing ozone that may occur in the electric precipitator.

실시예들은 오존필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Embodiments provide an ozone filter and an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일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는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세롤(메타)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중 하나 이상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염을 포함하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한다.The ozone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rived from one or more of ethyl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polyglycerol (meth) acrylate, and carboxylmethylcellulose. It contains a polymer salt containing a repeating unit, and removes ozone from the air while passing air.

고분자염은 1족 또는 2족 원소인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및 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lymer salt may include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oup 1 or Group 2 elements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and Ra.

고분자염이 포함하는 원소는 Li, Na, Mg, K, 및 C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ment included in the polymer salt may include one or more of Li, Na, Mg, K, and Ca.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세롤(메타)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중 하나 이상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염을 포함하여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필터를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cas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is ethyl (meta) acrylate, diethylene glycol (meta) acrylate. ,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polyglycerol (meth) acrylate, including a polymer salt contain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one or more of carboxylmethyl cellulose, an ozone filter that removes ozone from the air while passing air. Include.

공기청정기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오존필터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전기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precipitator disposed in the case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electric discharge.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의 내부에서 오존필터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 냉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cooler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in the case of the air cleaner to cool the air.

공기청정기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오존필터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오존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오존필터가 재생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heater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in the case to heat air, and the ozone filter may be regenerated by passing the air heated by the air heater through the ozone filter.

케이스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구역과, 공기를 통과시키며 오존필터를 재생하는 재생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오존필터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화구역과 재생구역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정화구역에 위치하는 오존필터의 일 영역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며 공기 중의 오존을 흡착할 수 있고, 재생구역에 위치하는 오존필터의 다른 영역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으로 오존을 배출함으로써 재생될 수 있다.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purification zone that purifies air and a recovery zone that passes air and regenerates the ozone filter, and the ozone filter may be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purification zone and the recovery zone inside the case, One area of the ozone filter located in the purification area absorbs moisture in the air while passing air and can adsorb ozone in the air, while the other area of the ozone filter located in the regeneration area discharges ozone into the air while passing the air. It can be reproduced by doing.

공기청정기는 오존필터를 회전시키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trolling a speed of rotating the ozone filter.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오존필터에 의하면, 오존필터에 포함된 고분자염의 작용에 의해 공기 중의 오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zone filt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zone in air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action of a polymer salt included in the ozone filter.

또한 전기집진기와 오존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에 의하면, 전기집진기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집진기에 의해 발생한 오존을 오존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provided with the electric precipitator and the ozone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electric precipitator, and ozone generated by the electric precipitator can be removed by using the ozone filter.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의 성능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의 사용과 관련하여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의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ozone fil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graph showing results of performance experiments of the ozon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3 is a graph showing characteristics of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in relation to the use of the ozon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오존필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ozone filter and an air purifi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mbodim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ozone fil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10)는 고분자 주쇄(main chain)에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세롤(메타)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중 하나 이상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염(polymeric salt)을 포함한다.The ozone filt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includes ethyl (meta) acrylate, diethylene glycol (meta)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eta) acrylate, and polyglycerol (meta) in the polymer main chain. It includes a polymeric salt contain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t least one of acrylate and carboxylmethylcellulose.

오존필터(1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기공(11)을 포함하는 부직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ozone filter 1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nclud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11 through which air can pass, as illustrated in FIG. 1.

그러나 실시예는 오존필터(10)의 구현예, 즉 제작 방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존필터(10)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규칙적인 패턴의 복수 개의 통기공(11)을 포함하는 직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차원 인쇄법(3D printing)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of the ozone filter 10, that is,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ozone filter 10 is a woven fabric includ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11 in a regular pattern through which air can pass. It may be produced, for example, may be produced by 3D printing (3D printing).

오존필터(10)의 복수 개의 통기공(11)은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기공(11)의 배열 패턴은 예를 들어 허니컴(honeycomb; 벌집형상)이나, 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1 of the ozone filter 10 may be arranged in a pattern capable of minimizing pressure loss.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1 may include, for example, a honeycomb (honeycomb) or a structure in which rectangular, circular, or polygonal holes are continuously arranged.

오존필터(10)에 포함되는 고분자염은 1족 또는 2족 원소인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및 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분자염이 포함하는 원소는 Li, Na, Mg, K, 및 C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lymer salt contained in the ozone filter 10 is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oup 1 or Group 2 elements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and Ra It may include. In particular, the element included in the polymer salt may include one or more of Li, Na, Mg, K, and Ca.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10)는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의 전기집진기에서 발생하는 오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오존필터(10)에 포함된 고분자염은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수분)를 흡수함으로써 이온화되며, 이온화로 인한 정전기력에 의해 극성분자(polar molecule)를 흡착할 수 있다.The ozone filter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effectively remove ozone generated from, for example, an electric precipitator of an air purifier. The polymer salt contained in the ozone filter 10 is ionized by absorbing moistur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and polar molecules can be adsorbed by electrostatic force due to ionization.

오존은 쌍극자 모멘트(dipole moment) 0.53D(debye)를 갖는 극성분자이며, 비극성분자인 산소와 비교할 때 물에 대한 용해도가 수 십배 크다. Ozone is a polar molecule with a dipole moment of 0.53D (debye), and its solubility in water is several tens of times higher than that of oxygen, a non-polar componen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의 성능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FIG. 2 is a graph showing results of performance experiments of the ozon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오존을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오존필터(10)의 통기공(11)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존필터(10)의 고분자염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이온화됨과 동시에 극성분자인 오존을 정전기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오존필터(10)의 입구에서 측정된 높은 오존 농도가 오존필터(10)의 출구에서 급격이 낮아짐으로써 오존을 효과적으로 흡착하는 오존필터(10)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ozon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 of the ozone filter 10, the high molecular salt of the ozone filter 10 absorbs moisture in the air and ionizes it. It can be adsorbed effectively. As a result, the high ozone concentration measured at the inlet of the ozone filter 10 rapidly decreases at the outlet of the ozone filter 10, thereby confirming the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0 for effectively adsorbing ozon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오존필터의 사용과 관련하여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오존농도가 1%일 때의 오존 용해도의 변화를 도시한다.3 is a graph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in relation to the use of the ozone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hows a change in the ozone solubility when the ozone concentration is 1%.

도 3을 참조하면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진다.Referring to FIG. 3,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vari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and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increases.

이와 같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0)의 오존제거 성능(오존흡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zone removal performanc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0 can be improved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20)는 도 3에 도시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0)의 오존제거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청정기의 예시이다. The air purifie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mproves the ozone removal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0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shown in FIG. This is an example of an air purifier.

공기청정기(2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5a)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5b)를 포함한 케이스(25)와, 케이스(25)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필터(10)를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20 includes a case 25 including an inlet 25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25b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se 25 to allow air to pass therethrough. It includes an ozone filter 10 for removing ozone from the air.

케이스(25)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유입구(25a)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케이스(25)의 내부의 공간을 통과하여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 후 배출구(25b)를 통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Since the case 25 is manufactured in an empty shap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25a passes through the space inside the case 25 to form a flow of air, and then the outlet 25b is opened. Through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5).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스(25)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대략 일직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지만, 케이스(25)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케이스(25)의 내부의 공간이 굴곡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형, 타원형, 호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case 25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straight line, but the shape of the case 25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flow of air The space inside the case 25 for guiding the structure is manufactured in a shape having a curved shape, so that the flow of air may be formed to be curved in a circular, elliptical, or arc shape.

공기청정기(20)의 케이스(25)의 내부에서 오존필터(10)에 대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는 공기 냉각기(21)가 배치된다. 공기 냉각기(21)는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공기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공기 냉각기는 예를 들어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냉매가 내부에 흐르는 열교환튜브(열교환 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cooler 21 is disposed in the case 25 of the air purifier 20 on the upstream sid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with respect to the ozone filter 10. The air cooler 21 is an element that performs an air cooling function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air while passing air. The air cooler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t exchange tube (heat exchange fin) through which a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air flows.

공기 냉각기(21)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0)의 오존제거 성능(오존흡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입구(25a)를 통해 케이스(25)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오존필터(10)의 상류 측에 배치된 공기 냉각기(21)를 먼저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온도가 공기 냉각기(21)에 의해 낮아진다. 공기 냉각기(21)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공기 냉각기(21)의 하류에 배치된 오존필터(10)를 통과하는데, 이미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오존필터(10)를 통과하기 때문에 오존필터(10)가 오존을 흡착하는 성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The air cooler 21 performs a function of improving the ozone removal performanc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0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at is, whil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5 through the inlet 25a first passes through the air cooler 21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10, the air temperature is increased by the air cooler 21. Lowers. The air cooled by the air cooler 21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0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cooler 21, and since the air whose temperature has already been lowered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0, the ozone filter 10 The ability to adsorb ozon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20a)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0)의 재생 기능을 구현한 공기청정기의 예시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20a)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존 용해도가 감소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오존필터(10)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20a illustrated in FIG. 5 is an example of an air purifier that implements a regeneration function of the ozone filter 10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at is, the air purifier 20a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may perform a function of regenerating the ozone filter 10 by using a phenomenon in which ozone solubility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공기청정기(20a)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5a)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5b)를 포함한 케이스(25)와, 케이스(25)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흡착하였던 오존을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오존필터(10)를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20a includes a case 25 including an inlet 25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25b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se 25 to pass the air. It includes an ozone filter 10 for discharging the adsorbed ozone into the air.

공기청정기(20a)의 케이스(25)의 내부에서 오존필터(10)에 대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는 공기 가열기(22)가 배치된다. 공기 가열기(22)는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공기 가열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공기 가열기는 예를 들어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열매체가 내부에 흐르는 열교환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25 of the air purifier 20a, an air heater 22 is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10 along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 air heater 22 is an element that performs an air heating function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while passing air. The air hea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t exchange tube through which a heat medium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air flows therein.

공기 가열기(22)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0)의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입구(25a)를 통해 케이스(25)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낮은 오존 농도를 갖는다. 케이스(25)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오존필터(10)의 상류 측에 배치된 공기 가열기(22)를 먼저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온도가 공기 가열기(22)에 의해 높아진다. 공기 가열기(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공기 가열기(22)의 하류에 배치된 오존필터(10)를 통과하는데, 온도가 높아진 공기가 오존필터(10)를 통과하는 동안 오존필터(10)에 흡착되었던 오존이 다시 오존필터(10)로부터 분리되어 공기 중으로 배출된다.The air heater 22 performs a regeneration function of the ozone filter 10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at is,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5 through the inlet 25a has a low ozone concentration. While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5 first passes through the air heater 22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10, the air temperature is increased by the air heater 22. The air heated by the air heater 22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0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heater 22, and the air heated by the heated air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0 while passing through the ozone filter 10. The ozone adsorbed is again separated from the ozone filter 10 and discharged into the air.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20a)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공기의 오존을 흡착하는 기능을 계속 수행한 후 오존흡착 성능이 저하된 오존필터(10)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20a)는 도 4에 도시된 공기청정기(20)와 병렬적으로 사용되거나 도 4에 도시된 공기청정기(20)에 삽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공기청정기(20)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오존흡착 성능이 저하된 오존필터(10)를 도 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20a)에 배치하면 오존필터(10)가 재생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공기청정기(20a)의 배출구(25b)는 실외로 연결되어 오존필터(10)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배출하는 오존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2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may be used to regenerate the ozone filter 10 having deteriorated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after continuing to perform a function of adsorbing ozone from air rather than being used alone. . For example, the air purifier 2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may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air purifier 20 illustrated in FIG. 4 or inserted into the air purifier 20 illustrated in FIG. 4. . That is, if the ozone filter 10, whos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is degraded by being repeatedly used in the air purifier 20 shown in FIG. 4, is disposed in the air purifier 20a shown in FIG. 5, the ozone filter 10 can be regenerated. have. The outlet 25b of the air purifier 20a shown in FIG. 5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o discharge ozone discharged during the regeneration of the ozone filter 10 to the outside.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3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5a)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5b)를 포함한 케이스(25)와, 케이스(25)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오존을 흡착하는 오존필터(10)와, 오존필터(10)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전기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50)를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ncludes a case 25 including an inlet 25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25b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case 25 An ozone filter 10 disposed inside and adsorbing ozone while passing air, a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50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1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electric discharge.

전기집진기(5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방전하는 전극(51)을 포함한다. 전기집진기(50)의 전극(51)은 전기방전을 수행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71)을 효과적으로 집진한다. 전극(51)이 전기방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존(72)은 전기집진기(50)의 하류 측에 배치된 오존필터(10)에 의해 흡착되므로 공기청정기(30)에서는 이물질(71)과 오존(72)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높은 수준으로 정화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electric precipitator 50 includes an electrode 51 that operates and discharges an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electrode 51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effectively collects foreign matter 71 contained in the air by performing electric discharge. The ozone 72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electrode 51 performing electric discharge is adsorbed by the ozone filter 10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so that the air purifier 30 Since the ozone 72 is effectively removed, air purified to a high level can be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공기청정기(30)는 오존필터(10)와 전기집진기(50)의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 냉각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냉각기(23)는 전기집진기(50)를 통과한 공기가 오존필터(10)로 유입되기 이전에 공기를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냉각기(23)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0)의 오존제거 성능(오존흡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입구(25a)를 통해 케이스(25)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전기집진기(50)를 통과한 후 오존필터(10)의 상류 측에 배치된 공기 냉각기(23)를 먼저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온도가 공기 냉각기(23)에 의해 낮아진다. 공기 냉각기(23)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공기 냉각기(23)의 하류에 배치된 오존필터(10)를 통과하는데, 이미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오존필터(10)를 통과하기 때문에 오존필터(10)가 오존을 흡착하는 성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The air purifier 30 may further include an air cooler 23 disposed between the ozone filter 10 and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to cool air. The air cooler 23 performs a function of cooling air befor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flows into the ozone filter 10. The air cooler 23 performs a function of improving the ozone removal performanc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0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at i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25 through the inlet 25a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5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air cooler 23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10. The temperature is lowered by the air cooler 23. The air cooled by the air cooler 23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0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cooler 23, and since the air whose temperature has already been lowered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0, the ozone filter 10 The ability to adsorb ozon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13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5a, 126a)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5b, 126b)와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로들인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을 포함하는 케이스(125)와, 케이스(125)의 내부에서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공기 중의 오존을 흡착하는 오존필터(110)와, 정화구역(121)에서 오존필터(110)의 상류 측에 배치된 전기집진기(50)를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ncludes inlets 125a and 126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outlets 125b and 126b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purification zone 121 that i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air passes. An ozone filter 110 disposed so as to rotate between the purifying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inside the case 125 and adsorbing ozone in the air. ), and an electric precipitator 50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110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케이스(125)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사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125)의 내측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들인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은 도 7에서 케이스(125)의 내측을 수평한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하는 격벽(127)에 의해 분할된다. The case 125 is empty and has a rectangular or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nside the case 125, a purification zone 121 and a regeneration zone 122, which are passag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ar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are divided by a partition wall 127 extending horizontally across the inside of the case 125 in FIG. 7.

정화구역(121)은 도 7에서 좌측에 형성된 유입구(125a)와 우측에 형성된 배출구(125b)를 구비한다. 또한 재생구역(122)은 도 7에서 우측에 형성된 유입구(126a)와 좌측에 형성된 배출구(126b)를 구비한다. In FIG. 7, the purification zone 121 includes an inlet 125a formed on the left and an outlet 125b formed on the right. In addition, the regeneration zone 122 includes an inlet 126a formed on the right side and an outlet 126b formed on the left side in FIG. 7.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의 각각의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형성하는 송풍기(141, 142)가 배치될 수 있다.Blowers 141 and 142 for forcibly forming a flow of air may b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도 7에서는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의 각각의 유입구(125a, 126a)와 배출구(125b, 126b)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반대되게 배치되지만, 이러한 배치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정화구역(121)의 유입구(125a)와 재생구역(122)의 유입구(126a)를 모두 좌측에 배치하고, 정화구역(121)의 배출구(125b)와 재생구역(122)의 배출구(126b)를 모두 우측에 배치할 수 있다.In FIG. 7, the inlets 125a and 126a and the outlets 125b and 126b of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can be variously modified. . For example, in FIG. 7, both the inlet 125a of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inlet 126a of the regeneration zone 122 ar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outlet 125b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of the purification zone 121 All of the outlets 126b can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정화구역(121)의 유입구(125a)에는 실외의 공기 또는 실내에서 환기를 위해 배출된 공기가 공급되어 정화구역(121)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정화구역(121)의 전기집진기(50)와 오존필터(1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청정한 공기는 배출구(125b)를 통해 케이스(125)의 외부의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Outdoor air or air discharged from indoors for ventilation may be supplied to the inlet 125a of the purification zone 121 so that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zone 121. The clean air that has been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and the ozone filter 110 of the purification area 121 is discharged to the interior space outside the case 125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5b.

재생구역(122)의 유입구(126a)에는 예를 들어 실외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오존필터(110)를 통과하며 오존필터(110)의 재생 기능을 수행한 공기는 재생구역(122)의 배출구(126b)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For example, out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126a of the regeneration zone 122, and air passing through the ozone filter 110 and performing the regeneration function of the ozone filter 11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6b).

케이스(125)의 내측에는 오존필터(110)가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도 7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오존필터(110)가 케이스(125)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정화구역(121) 및 재생구역(122)을 통과하는 공기와 오존필터(110)가 접촉하여 공기와 오존필터(110)의 사이에 수분과 오존의 흡착 또는 오존의 배출(분리)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side the case 125, the ozone filter 110 is disposed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7. As the ozone filter 1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ase 125,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and the ozone filter 1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moisture and moisture between the air and the ozone filter 110. Adsorption of ozone or discharge (separation) of ozone may occur.

오존필터(110)는 외측 가장자리가 원형을 이루는 원판 또는 원통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오존필터(110)의 외측 가장자리가 케이스(125)의 내측 벽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오존필터(110)의 외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케이스(125)의 내측 벽면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존필터(110)는 회전축에 의해 격벽(12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와 같은 구동부가 오존필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ozone filter 110 may be manufactured in a circular or cylindrical shape with an outer edge thereof. The outer edge of the ozone filter 110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25. Accordingl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25 supporting the outer edge of the ozone filter 11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ozone filter 1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27 by a rotating shaft.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can rotate the ozone filter.

전기집진기(5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방전을 수행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집진한다.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effectively collect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by performing electric discharge by operating by an electric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전기집진기(50)가 전기방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존은 정화구역(121)에서 전기집진기(50)의 하류 측에 배치된 오존필터(110)에 의해 흡착되므로 공기청정기(130)의 정화구역(121)의 배출구(125b)에서는 이물질과 오존이 제거되어 높은 수준으로 정화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Ozon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electric discharge by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is adsorbed by the ozone filter 110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so that the air purifier 130 is purified. The air purified to a high level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ozone from the outlet 125b of the zone 121 may be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정화구역(121)에 위치하는 오존필터(110)의 일 영역(110a)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며 공기 중의 오존을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e region 110a of the ozone filter 110 located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may absorb moisture in the air while passing air and perform a function of adsorbing ozone in the air.

재생구역(122)에 위치하는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흡착하였던 오존을 공기 중으로 배출함으로써 재생된다.Another area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located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is regenerated by discharging the adsorbed ozone into the air while passing the air.

오존필터(110)의 일 영역(110a)이 미리 정해진 작동시간 동안 오존을 흡착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에는 오존 흡착 성능이 저하되므로, 오존필터(110)가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의 사이에서 회전함으로써 오존필터(110)의 일 영역(110a) 중 오존 흡착 성능이 저하된 부분이 재생구역(122)으로 이동하여 재생의 대상인 다른 영역(110r)이 된다. 또한 재생구역(122)에 위치하는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이 미리 정해진 작동시간 동안 재생구역(122)에 머무르는데, 재생구역(122)에서는 오존필터(110)에 흡착되었던 오존이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으로부터 분리된 후 공기의 흐름과 함께 재생구역(122)의 배출구(126b)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재생이 완료된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은 오존필터(1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정화구역(121)으로 이동함으로써 오존을 흡착하는 기능을 하는 일 영역이 된다.Since th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deteriorates after one region 110a of the ozone filter 110 performs the function of adsorbing ozone for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the ozone filter 110 is separated from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 the portion of the ozone filter 110 whos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moves to the regeneration zone 122 and becomes another region 110r that is the target of regeneration. In addition, another area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located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stays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for a predetermined operating time.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ozone adsorbed by the ozone filter 110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other region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26b of the regeneration zone 122 together with the flow of air. The other region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which has been regenerated, moves to the purification zone 121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ozone filter 110, thereby becoming a region serving to adsorb ozone.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에서는 전기집진기(50)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정화구역(121)에 위치하는 오존필터(110)의 일 영역(110a)이 전기집진기(50)에서 발생한 오존을 흡착하고 재생구역(122)에 위치하는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은 오존 농도가 낮은 공기를 이용하여 재생된다. 또한 오존필터(110)가 회전함으로써 오존필터(110)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기의 오존필터(110)를 교체하지 않아도 오존필터(110)의 오존 흡착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eign matter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and one region 110a of the ozone filter 110 located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is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 and the other region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located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is regenerated using air having a low ozone concentration. In addition, since the ozone filter 110 rotates, regeneration of the ozone filter 110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so that th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10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ithout replacing the ozone filter 110 of the air purifier. .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23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5a, 126a)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5b, 126b)와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통로들인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을 포함하는 케이스(125)와, 케이스(125)의 내부에서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공기 중의 오존을 흡착하는 오존필터(110)와, 정화구역(121)에서 오존필터(110)의 상류 측에 배치된 전기집진기(50)와, 정화구역(121)의 내부에서 전기집진기(50)와 오존필터(110)의 사이에서 오존필터(110)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 냉각기(222)와, 재생구역(122)의 내부에서 오존필터(110)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기(221)를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2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includes inlets 125a and 126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outlets 125b and 126b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purification zone 121 that i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air passes. An ozone filter 110 disposed so as to rotate between the purifying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inside the case 125 and adsorbing ozone in the air. ),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110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ozone between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and the ozone filter 110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An air cooler 222 disposed upstream of the filter 110 to cool air, and an air heater 221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110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to heat the air. Include.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와 마찬가지로, 정화구역(121)의 유입구(125a)를 통하여 실외의 공기 또는 환기를 위해 실내 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정화구역(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정화구역(121)의 전기집진기(50)와 오존필터(110)를 통과하며 정화된 청정한 공기는 배출구(125b)를 통해 케이스(125)의 외부의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Like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outdoor air or air discharged from an indoor space for ventila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area 121 through the inlet 125a of the purification area 121. . The clean air that has been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and the ozone filter 110 of the purification area 121 is discharged to the interior space outside the case 125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5b.

재생구역(122)의 유입구(126a)에는 예를 들어 실외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오존필터(110)를 통과하며 오존필터(110)의 재생 기능을 수행한 공기는 재생구역(122)의 배출구(126b)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For example, outdoor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126a of the regeneration zone 122, and air passing through the ozone filter 110 and performing the regeneration function of the ozone filter 11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6b).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의 각각의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형성하는 송풍기(141, 142)가 배치될 수 있다.Blowers 141 and 142 for forcibly forming a flow of air may b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케이스(125)의 내측에는 오존필터(110)가 정화구역(121)과 재생구역(122)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도 8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다. 오존필터(110)가 케이스(125)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정화구역(121) 및 재생구역(122)을 통과하는 공기와 오존필터(110)가 접촉함으로써 공기와 오존필터(110)의 사이에 수분과 오존의 흡착 또는 오존의 배출(분리)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side the case 125, the ozone filter 110 is disposed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8. As the ozone filter 1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ase 125,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and the ozone filter 11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moisture and moisture between the air and the ozone filter 110. Adsorption of ozone or discharge (separation) of ozone may occur.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공기청정기의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오존필터(110)는 외측 가장자리(110h)가 원형을 이루는 원판 또는 원통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오존필터(110)의 외측 가장자리가 케이스(125)의 내측 벽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오존필터(110)의 외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케이스(125)의 내측 벽면은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ozone filter 110 may be manufactured in a disk or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outer edge 110h forms a circular shape. The outer edge of the ozone filter 110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25. Accordingl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se 125 supporting the outer edge of the ozone filter 110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오존필터(110)는 회전축(129)에 의해 격벽(12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부(128)가 회전축(129)과 오존필터(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28)는 예를 들어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The ozone filter 1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27 by a rotation shaft 129. The driving unit 128 may rotate the rotation shaft 129 and the ozone filter 110. The driving unit 128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ic motor, for example.

도 8을 참조하면, 정화구역(121)의 내부에서 오존필터(110)에 대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 공기 냉각기(222)가 배치된다. 공기 냉각기(222)는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공기 냉각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공기 냉각기는 예를 들어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갖는 냉매가 내부에 흐르는 열교환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n air cooler 222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110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The air cooler 222 is an element that performs an air cooling function to lower the temperature of air while passing air. The air cooler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t exchange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at of air flows.

공기 냉각기(222)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10)의 오존제거 성능(오존흡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입구(125a)를 통해 정화구역(121)으로 유입된 공기가 오존필터(110)의 상류 측에 배치된 공기 냉각기(222)를 먼저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온도가 공기 냉각기(222)에 의해 낮아진다. 공기 냉각기(222)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공기 냉각기(222)의 하류에 배치된 오존필터(110)의 일 영역(110a)을 통과하는데, 이미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오존필터(110)를 통과하기 때문에 오존필터(110)가 오존을 흡착하는 성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The air cooler 222 performs a function of improving the ozone removal performanc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10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at is, whil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urification zone 121 through the inlet 125a first passes through the air cooler 222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110,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lowered by the air cooler 222. . The air cooled by the air cooler 222 passes through a region 110a of the ozone filter 110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cooler 222, and the air whose temperature has already been lowered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10. Therefore, the ozone filter 110 may further increase the performance of adsorbing ozone.

재생구역(122)의 내부에서 오존필터(110)에 대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는 공기 가열기(221)가 배치된다. 공기 가열기(221)는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공기 가열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공기 가열기는 예를 들어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열매체가 내부에 흐르는 열교환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heater 221 is disposed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on the upstream side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zone filter 110. The air heater 221 is an element that performs an air heating function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air while passing air. The air hea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heat exchange tube through which a heat medium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air flows therein.

공기 가열기(221)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오존필터(110)의 재생 기능을 수행한다. 유입구(126a)를 통해 재생구역(122)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낮은 오존 농도를 갖는다. 재생구역(122)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오존필터(110)의 상류 측에 배치된 공기 가열기(221)를 먼저 통과하는 동안 공기의 온도가 공기 가열기(221)에 의해 높아진다. 공기 가열기(22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공기 가열기(221)의 하류에 배치된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을 통과하는데, 온도가 높아진 공기가 오존필터(10)를 통과하는 동안 오존필터(110)에 흡착되었던 오존이 다시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으로부터 분리되어 공기 중으로 배출된다. 재생구역(122)의 배출구(126b)는 실외로 연결되어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배출하는 오존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The air heater 221 performs a regeneration function of the ozone filter 110 by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solubility of ozone in water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zone 122 through the inlet 126a has a low ozone concentration. Whil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zone 122 first passes through the air heater 221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ozone filter 110, the temperature of the air is increased by the air heater 221. The air heated by the air heater 221 passes through the other region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disposed downstream of the air heater 221, while the air with increased temperature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0. Ozone adsorbed on the ozone filter 110 is separated from the other region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and discharged into the air. The discharge port 126b of the regeneration zone 122 is connected to the outside, so that ozone discharged during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other region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9를 참조하면, 제어기(80)는 오존필터(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28)와, 공기 냉각기(222) 및 공기 가열기(221)와, 전기집진기(50)와, 오존필터(110)를 구동하는 구동부(128)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ler 80 includes a driving unit 128 for rotating the ozone filter 110, an air cooler 222 and an air heater 221, an electric dust collector 50, and an ozone filter 11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28 for driving the drive,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s controlled.

도 9에서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제어기(80)는 도 8에 도시된 송풍기(141, 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풍기(141, 14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공기 흐름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9, the controller 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lowers 141 and 142 shown in FIG. 8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lowers 141 and 142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

또한 제어기(80)는 센서들(89)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센서들(89)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들(89)은 예를 들어 공기 정화의 대상인 실내의 온도나 실내의 습도나, 정화구역(121) 및 재생구역(122)의 각각의 공기의 온도, 습도나, 공기 냉각기(222)의 냉매 및 공기 가열기(221)의 열매체의 온도나 유량이나, 실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sensors 89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s 89. The sensors 89 are, for example, the indoor temperature or indoor humidity, which is an object of air purificati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each air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and the regeneration zone 122, or the refrigerant of the air cooler 222.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r flow rate of the heat medium of the air heater 221 or the degree of pollution of indoor air.

제어기(80)는 오존필터(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28)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83)와, 센서들(89)의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수신부(82)와, 전기집진기(50)를 제어하는 전기집진기 제어부(81)와, 공기 냉각기(222) 및 공기 가열기(2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84)와, 사용자 입력부(86)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85)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80 includes a driving control unit 83 that drives a driving unit 128 that rotates the ozone filter 110, a sensor receiving unit 82 receiving signals from the sensors 89, and an electric precipitator 50. A user input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precipitator control unit 81 to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84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oler 222 and the air heater 221, and the user input unit 86 It includes a receiver (85).

사용자 입력부(86)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86)는 적외선 신호 등을 이용한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에 의해 제어기(80)와 연결되는 원격 컨트롤러(리모트 컨트롤러)나, 공기청정기의 케이스(125)에 장착되는 버튼이나 터치 디스플레이 등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86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a user to select an operation mode for operating the air purifi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86 is a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80 by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using an infrared signal, or a button or touch display mounted on the case 125 of the air purifier.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such as.

제어기(80)는 컴퓨터나, 반도체 칩과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는 제어보드(control board)나, 소프트웨어를 내장하는 반도체 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의 각 구성요소는 별도의 제어보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컴퓨터나 제어보드나 반도체 칩 등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8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a control board including a semiconductor chip and a circuit board, or a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software. In addition,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ler 8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ntrol board, or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mbedded in a computer, a control board, or a semiconductor chip.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80)의 구동 제어부(83)로부터 구동부(128)에 제어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오존필터(110)의 회전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오존필터(110)의 회전속도가 변경됨에 따라 오존필터(110)의 통기공(111)을 통과하는 공기(A, B)와 오존필터(110)의 사이에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의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즉 전기집진기(50)의 전기방전 기능을 강하게 작동시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강력하게 실행할 때에는 오존이 더 많이 발생할 것이므로, 이러한 상황변화에 의해 오존을 흡착하는 오존필터(110)의 일 영역의 성능이 쉽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집진기(50)의 전기방전을 강하게 작동시킬 때에는 이에 맞추어 오존필터(11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speed of the ozone filter 110 may be changed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128 from the driving control unit 83 of the controller 80.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zone filter 110 is chang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phenomenon occurring between the air (A, B)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1 of the ozone filter 110 and the ozone filter 110 may change. I can. That is, when the electric discharge func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50 is strongly operated and the function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strongly executed, more ozone will be generated, so a region of the ozone filter 110 that adsorbs ozone due to this change in situation Can be easily degraded. Therefore, when the electric discharge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is strongly operat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ozone filter 110 may be increased accordingly.

또한 제어기(80)는 정화구역으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 등을 감지함으로써 공기 냉각기(222)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거나, 공기가 오존필터(110)를 통과하기 전에 정화구역의 공기의 온도를 더 낮게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기 냉각기(222)의 목표 냉각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the air cooler 222 is operated or not by detecting a change in temperature or humidity of indoor air flowing into the purification area, or before the air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10. The target cooling temperature of the air cooler 222 may be changed in order to cool the temperature lower.

또한 제어기(80)는 재생구역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 등을 감지함으로써 공기 가열기(221)의 작동여부를 결정하거나, 공기가 오존필터(110)를 통과하기 전에 재생구역의 공기의 온도를 더 높게 가열시키기 위하여 공기 가열기(221)의 목표 가열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the air heater 221 is operated or not by detecting a change in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regeneration zone, or the air in the regeneration zone before the air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110. In order to heat the temperature higher, the target heating temperature of the air heater 221 may be changed.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전기집진기(50)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정화구역(121)에 위치하는 오존필터(110)의 일 영역(110a)이 전기집진기(50)에서 발생한 오존을 흡착하고 재생구역(122)에 위치하는 오존필터(110)의 다른 영역(110r)은 오존 농도가 낮은 공기를 이용하여 재생된다. 또한 오존필터(110)가 회전함으로써 오존필터(110)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기청정기의 오존필터(110)를 교체하지 않아도 오존필터(110)의 오존 흡착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electric precipitator 50, and one region 110a of the ozone filter 110 located in the purification zone 121 is an electric precipitator. The ozone generated in 50 is adsorbed, and the other region 110r of the ozone filter 110 located in the regeneration zone 122 is regenerated using air having a low ozone concentration. In addition, since the ozone filter 110 rotates, regeneration of the ozone filter 110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so that the ozon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ozone filter 110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ithout replacing the ozone filter 110 of the air purifier. .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오존필터 83: 구동 제어부
11: 통기공 84: 온도 제어부
21, 23, 222: 공기 냉각기 85: 사용자 입력 수신부
22, 221: 공기 가열기 86: 사용자 입력부
25, 125: 케이스 89: 센서들
20, 20a, 30, 130, 230: 공기청정기 110r: 다른 영역
25b, 125b, 126b: 배출구 110: 오존필터
25a, 125a, 126a: 유입구 110h: 외측 가장자리
50: 전기집진기 110a: 일 영역
51: 전극 111: 통기공
71: 이물질 122: 재생구역
72: 오존 127: 격벽
80: 제어기 128: 구동부
81: 전기집진기 제어부 129: 회전축
82: 센서 수신부 141, 142: 송풍기
121: 정화구역
10: ozone filter 83: drive control unit
11: vent hole 84: temperature control unit
21, 23, 222: air cooler 85: user input receiver
22, 221: air heater 86: user input unit
25, 125: case 89: sensors
20, 20a, 30, 130, 230: air purifier 110r: other areas
25b, 125b, 126b: outlet 110: ozone filter
25a, 125a, 126a: inlet 110h: outer edge
50: electric dust collector 110a: work area
51: electrode 111: ventilation hole
71: foreign matter 122: regeneration zone
72: ozone 127: bulkhead
80: controller 128: driving unit
81: electric dust collector control unit 129: rotation shaft
82: sensor receiver 141, 142: blower
121: purification zone

Claims (11)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세롤(메타)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중 하나 이상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염을 포함하며,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필터.A polymer salt contain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one or more of ethyl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polyglycerol (meth) acrylate, and carboxylmethylcellulose An ozone filter that removes ozone from the air while passing air through 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염은 1족 또는 2족 원소인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및 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오존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ymer salt is an ozone filter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and Ra, which are Group 1 or Group 2 elemen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염이 포함하는 상기 원소는 Li, Na, Mg, K, 및 C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존필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ment contained in the polymer salt is an ozone filt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Li, Na, Mg, K, and Ca.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세롤(메타)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중 하나 이상에서 유래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염을 포함하여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 cas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t is placed inside the case and repeats derived from at least one of ethyl (meta) acrylate, diethylene glycol (meta)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meta) acrylate, polyglycerol (meta) acrylate, and carboxylmethylcellulose An air purifier comprising: an ozone filter for removing ozone from the air while passing air including a polymer salt containing a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필터의 상기 고분자염은 1족 또는 2족 원소인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및 R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polymer salt of the ozone filter includes one or more elem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oup 1 or Group 2 elements Li, Be, Na, Mg, K, Ca, Rb, Sr, Cs, Ba, Fr, and Ra. air clea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필터의 상기 고분자염이 포함하는 상기 원소는 Li, Na, Mg, K, 및 C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ment contained in the polymer salt of the ozone filter is an air purifi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Li, Na, Mg, K, and C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오존필터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전기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An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precipitator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in the case of the air purifi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electric dischar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오존필터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 냉각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An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n air cooler dispos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in the case of the air purifier to cool ai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오존필터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오존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오존필터가 재생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ozone filter is regenerated by further comprising an air heater arranged upstream of the ozone filter in the case of the air purifier to heat air, and the air heated by the air heater passes through the ozone filter. Air purifi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구역과, 공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오존필터를 재생하는 재생구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오존필터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정화구역과 상기 재생구역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정화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오존필터의 일 영역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며 공기 중의 오존을 흡착하고,
상기 재생구역에 위치하는 상기 오존필터의 다른 영역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공기 중으로 오존을 배출함으로써 재생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case is divided into a purification zone for purifying air and a regeneration zone for passing air and regenerating the ozone filter,
The ozone filter is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purification zone and the regeneration zone in the interior of the case,
One area of the ozone filter located in the purification zone absorbs moisture in the air while passing air and adsorbs ozone in the air,
Another area of the ozone filter located in the regeneration zone is regenerated by discharging ozone into the air while passing ai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필터를 회전시키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speed of rotating the ozone filter.
KR1020190043306A 2019-04-12 2019-04-12 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KR102198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06A KR102198299B1 (en) 2019-04-12 2019-04-12 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06A KR102198299B1 (en) 2019-04-12 2019-04-12 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12A true KR20200120412A (en) 2020-10-21
KR102198299B1 KR102198299B1 (en) 2021-01-05

Family

ID=7303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06A KR102198299B1 (en) 2019-04-12 2019-04-12 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2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80B1 (en) 2022-10-18 2023-12-19 김정현 Wet ash shipp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671A (en) * 1994-08-15 1996-07-02 Hoechst Ag Filter material and method for removing ozone from gas and liquid
JP2002253656A (en) 2001-02-28 2002-09-10 Sanyo Electric Co Ltd Air cleaner
KR20050102226A (en) * 2004-04-21 200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671A (en) * 1994-08-15 1996-07-02 Hoechst Ag Filter material and method for removing ozone from gas and liquid
JP2002253656A (en) 2001-02-28 2002-09-10 Sanyo Electric Co Ltd Air cleaner
KR20050102226A (en) * 2004-04-21 200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80B1 (en) 2022-10-18 2023-12-19 김정현 Wet ash shipp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299B1 (en)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75200A1 (en) Composite air sterilization purifier
JP3979430B2 (en) Air conditioner
KR101125780B1 (en) Heat recovering ventilation system with renewable dust collector for stall
CN101903708B (en) Humidity control device
KR20050063592A (en) Air purifier
KR20040056151A (en) Air purifier
KR20170035481A (e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vehicle
CN108151179A (en) It is a kind of that the air cleaning system for adjusting purification can be corresponded to according to indoor environment
JP2910946B2 (en) Air purification harmony device
CN102836611B (en) Air purification device
CN107923635B (en) Dehumidifying and humidifying device
KR102198299B1 (en) Ozone filter and air cleaner with the same
JP2009133505A (en) Humidity controller
KR101825033B1 (en) Regeneration device of air filter, Air circulator and Regeneration method of air filter
KR20110061084A (en) Dehumidification type aircleaner
JP2006320613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120094731A (en) Air cleaner
JP4656137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40034368A (en) Air cooling-cleaning apparatus
JP2001179032A (en) Air cleaning equipment, air cleaner and air conditioner
KR20210006233A (en) Air cleaner
JP4985353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JP2002186879A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CN216716500U (en) Air purifying device
JP2006342977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