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688A - Front end module - Google Patents

Front end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688A
KR20200119688A KR1020190076502A KR20190076502A KR20200119688A KR 20200119688 A KR20200119688 A KR 20200119688A KR 1020190076502 A KR1020190076502 A KR 1020190076502A KR 20190076502 A KR20190076502 A KR 20190076502A KR 20200119688 A KR20200119688 A KR 20200119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nd
frequency band
induc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4704B1 (en
Inventor
조강타
천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70,77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25218B2/en
Priority to CN201911355080.1A priority patent/CN111817730B/en
Publication of KR2020011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6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04B1/en
Priority to US17/246,993 priority patent/US1149610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ont end module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adjacent ba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end module comprises: a first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secon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a third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thir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sub filter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to provide an attenuation characteristic for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filt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nce units disposed between different nodes and ground among a plurality of nodes between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an inductor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nce units.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Front end module {FRONT END MODULE}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end module.

5세대(5G) 통신은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대비 더 많은 대용량의 데이터와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로 더 많은 기기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The fifth generation (5G) communication is expected to efficiently connect more devices with more large-capacity data and faster data transmission speed compared to the existing LTE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5세대 통신은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 해당하는 24250MHz~52600MHz의 주파수 대역과, sub-6GHz 대역에 해당하는 450MHz~60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5G communication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using the frequency band of 24250MHz ~ 52600MHz corresponding to the millimeter wave (mmWave) band and the frequency band of 450MHz ~ 6000MHz corresponding to the sub-6GHz band.

n77 대역(3300MHz~4200MHz), n78 대역(3300MHz~3800MHz) 및 n79 대역(4400MH~5000MHz) 각각은 sub-6GHz의 동작 대역(Operating band) 중의 하나로 정의 되었으며, n77 대역(3300MHz~4200MHz), n78 대역(3300MHz~3800MHz) 및 n79 대역(4400MH~5000MHz)은 넓은 대역폭을 가진 이점에 따라, 주요한 대역으로 이용될 예정이다.Each of the n77 band (3300MHz~4200MHz), n78 band (3300MHz~3800MHz) and n79 band (4400MH~5000MHz) was defined as one of the operating bands of sub-6GHz, and the n77 band (3300MHz~4200MHz), n78 band (3300MHz~3800MHz) and n79 band (4400MH~5000MHz) will be used as the main band according to the advantage of having a wide bandwidth.

본 발명의 과제는 인접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ont end module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adjacent ban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제1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1 필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2 필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보다 높은 제3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3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감쇄 특성을 제공하는 서브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의 복수의 노드 중 서로 다른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LC 공진부 및 상기 복수의 병렬 LC 공진부 중 어느 하나의 병렬 LC 공진부와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A front en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filter having a passband of a secon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A third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thir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sub-filter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to provide an attenuation characteristic for the first frequency band. Including, the second filter is a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tor disposed between the ground and a different node among a plurality of nodes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the parallel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tor It may include an inductor connected to the LC reson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채용되는 안테나의 수를 줄임으로써, 안테나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antennas employed in mobile devi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antenna isola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접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adjacent bands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3.3GHz~4.2GHz 대역(n77 대역), 및 4.4GHz~5.0GHz 대역(n79 대역), 및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필터들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도 3은 체비셰프(Chebyshev) 필터로 구현된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도출 과정을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도출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J-변환(J-Inverter) 기법 또는 K-변환(K-Inverter) 기법이 적용된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필터에 의해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필터 및 제1 서브 필터 내지 제3 서브 필터에 의한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연결되는 증폭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front en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filters required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3.3GHz to 4.2GHz band (n77 band), the 4.4GHz to 5.0GHz band (n79 band), and the 5.15GHz to 5.95GHz band (Wi-Fi 5GHz band). Show.
Figure 3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4.4GHz ~ 5.0GHz band (n79 band) implemented with a Chebyshev filter.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of a front end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shows a process of deriving a second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process of deriving a second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 filter to which a J-transformation (J-Inverter) technique or a K-transformation (K-Inverter) technique is applied.
8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by the first to third fil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frequency responses by first to third filters and first to third sub-fil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mplification unit connected to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front en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1)는 복수의 안테나(ANT1~ANT6) 및 복수의 안테나(ANT1~ANT6) 중 서로 다른 안테나 각각과 연결되는 복수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1~FEM6)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mobi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ront end modules connected to different antennas among a plurality of antennas ANT1 to ANT6 and a plurality of antennas ANT1 to ANT6. (FEM1 to FEM6) may be included.

모바일 기기(1)는 셀룰러(LTE/WCDMA/GSM) 통신, 2.4GHz 및 5GHz의 와이파이(Wifi) 통신, 및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등 복수의 표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모바일 기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안테나(ANT1~ANT6) 및 복수의 프론트 엔드 모듈(FEM1~FEM6)은 복수의 표준의 무선통신을 지원한다. The mobile device 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standards, such as cellular (LTE/WCDMA/GSM)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of 2.4 GHz and 5 GHz, and Bluetooth communication. A plurality of antennas ANT1 to ANT6 and a plurality of front end modules FEM1 to FEM6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standards.

모바일 기기(1)에는 MIMO(Multi-Input/Multi-Output)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MIMO는 안테나 개수에 비례하여 대역폭을 확대할 수 있는 기술이다. N개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면 단일 안테나 대비 N배의 주파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다만, 모바일 기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안테나가 탑재되는 공간에는 제한이 있으며, 기존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안테나들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다수의 안테나를 단말기에 추가적으로 구현하는 데에는 물리적 제약이 따른다. A MIMO (Multi-Input/Multi-Output) system may be applied to the mobile device 1. MIMO is a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bandwidth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antennas. If N antennas are used, frequency efficiency of N times as compared to a single antenna can be obtained. However, according to the trend of slimming and miniaturization of mobile devices, there is a limit to the space in which an antenna is mounted, and physical restrictions are imposed on additionally implementing a plurality of antennas in a terminal under the condition that antennas used in the existing system are present.

따라서, 어느 하나의 안테나와 연결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이 복수의 표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모바일 기기(1)에 탑재되는 안테나의 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front-end module connected to any one antenna to support a plurality of standard wireless communication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antennas mounted in the mobile device 1.

도 2는 3.3GHz~4.2GHz 대역(n77 대역), 및 4.4GHz~5.0GHz 대역(n79 대역), 및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필터들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Figure 2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filters required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3.3GHz to 4.2GHz band (n77 band), the 4.4GHz to 5.0GHz band (n79 band), and the 5.15GHz to 5.95GHz band (Wi-Fi 5GHz band). Show.

도 2에서, 제1 그래프(graph 1)는 3.3GHz~4.2GHz 대역(n77 대역)을 지원하는 필터 A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제2 그래프(graph 2)는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을 지원하는 필터 B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제3 그래프(graph 3)는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을 지원하는 필터 C의 주파수 응답으로 가정한다. In FIG. 2, a first graph (graph 1)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a filter A supporting a 3.3 GHz to 4.2 GHz band (n77 band), and a second graph (graph 2) is a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filter B supporting ), and the third graph (graph 3) is assumed to be the frequency response of filter C supporting the 5.15GHz to 5.95GHz band (Wi-Fi 5GHz band).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은 3.3~4.2GHz 대역(n77 대역)과 밴드 갭이 200MHz,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과 밴드 갭이 150MHz에 불과하다. 따라서, 3.3~4.2GHz 대역(n77 대역), 4.4GHz~5.0GHz 대역(n79 대역), 및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에 CA(carrier aggregation), LTE-U(LTE in unlicensed spectrum), LAA(Licensed Assisted Access) 등의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는, 3.3~4.2GHz 대역(n77 대역)을 지원하는 필터 A,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을 지원하는 필터 B,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을 지원하는 필터 C는 서로에 대하여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The 4.4GHz~5.0GHz band (n79 band) has only a 3.3~4.2GHz band (n77 band) and a band gap of 200MHz, and a 5.15GHz~5.95GHz band (Wi-Fi 5GHz band) and a band gap of only 150MHz. Therefore, carrier aggregation (CA), LTE in unlicensed spectrum (LTE-U) in the 3.3 to 4.2 GHz band (n77 band),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and 5.15 GHz to 5.95 GHz band (Wi-Fi 5 GHz band) ), LAA (Licensed Assisted Access), etc., filter A supporting 3.3-4.2 GHz band (n77 band), filter B supporting 4.4 GHz-5.0 GHz band (n79 band), 5.15 GHz Filter C supporting ~5.95GHz band (Wi-Fi 5GHz band) needs to secure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other.

BAW 필터는 감쇄 특성은 우수하나, 통과 대역을 넓게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광대역 주파수 특성이 요구되는 5세대 통신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필터들을 커패시터 및 인덕터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LC 필터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 BAW filter has excell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form a wide passband, and thus, it is difficult to apply to 5G communication requiring broadb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the wideband frequency characteristic,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filters as an LC filte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a capacitor and an inductor.

도 3은 체비셰프(Chebyshev) 필터로 구현된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체비셰프 필터는 LC 필터의 일 예로, LC 공진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필터에 해당한다. Figure 3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4.4GHz ~ 5.0GHz band (n79 band) implemented with a Chebyshev filter. The Chebyshev filter is an example of an LC filter, and corresponds to a filt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LC resonators.

도 3에서, 제1 그래프(graph 1)는 3차 체비셰프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제2 그래프(graph 2)는 5차 체비셰프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제3 그래프(graph 3)는 7차 체비셰프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제4 그래프(graph 4)는 9차 체비셰프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In FIG. 3, a first graph (graph 1) represents the frequency response of a third-order Chebyshev filter, a second graph (graph 2) represents the frequency response of a fifth-order Chebyshev filter, and a third graph (graph 3)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7th order Chebyshev filter is shown, and the fourth graph (graph 4)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9th order Chebyshev filter.

도 3을 참조하면, 체비셰프 필터의 차수가 높아짐에 따라, 4,2GHz 및 5.150GHz에서의 감쇄 특성이 향상되나, 4.4GHz~5.0GHz 대역(n79 대역)에서의 삽입 손실이 열화된다. 삽입 손실 측면에서는 5차 체비셰프 필터가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의 구현에 적합하지만 감쇄 특성 측면에서는 9차 체비셰프 필터가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의 구현에 적합하다. 즉, LC 공진기 조합으로만 구성된 체비셰프 필터는 광대역의 통과 특성과 인접대역의 감쇄 특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Referring to FIG. 3, as the order of the Chebyshev filter increases,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4,2 GHz and 5.150 GHz are improved, but insertion loss in the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is deteriorated. In terms of insertion loss, the 5th Chebyshev filter is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4.4GHz~5.0GHz band (n79 band), but in terms of attenuation characteristics, the 9th Chebyshev filter is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4.4GHz~5.0GHz band (n79 band). . That is, a Chebyshev filter composed only of a combination of LC resonators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simultaneously satisfy the broadband pass characteristic and the adjacent band attenuation characteristic.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블록도이다.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of a front end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은 하나의 안테나 단자(T_ANT)에 연결되는 제1 필터(F1), 및 제2 필터(F2), 및 제3 필터(F3)를 포함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제1 서브 필터(SF1), 제2 서브 필터(SF2), 및 제3 서브 필터(SF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서브 필터(SF1), 제2 서브 필터(SF2), 및 제3 서브 필터(SF3)가 생략된 형태로, 프론트 엔드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4A, the front en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ilter F1, a second filter F2, and a third filter F3 connected to one antenna terminal T_ANT. A multiplexer including, a first sub-filter SF1, a second sub-filter SF2, and a third sub-filter SF3 may be included. Meanwhile, referring to FIG. 4B, a front end module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sub-filter SF1, the second sub-filter SF2, and the third sub-filter SF3 are omitted.

이하,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이 제1 서브 필터(SF1), 제2 서브 필터(SF2), 및 제3 서브 필터(SF3)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ront end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sub-filter SF1, the second sub-filter SF2, and the third sub-filter SF3.

제1 필터(F1)는 안테나 단자(T_ANT)와 제1 서브 필터(SF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필터(F1)의 일단은 안테나 단자(T_ANT)에 연결되고, 제1 필터(F1)의 타단은 제1 서브 필터(SF1)에 연결된다. 안테나 단자(T_ANT)에는 안테나(ANT)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F1 is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terminal T_ANT and the first sub-filter SF1. One end of the first filter F1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T_AN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ilter F1 is connected to the first sub-filter SF1. An antenna ANT may be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T_ANT.

제1 필터(F1)는 제1 주파수 대역, 구체적으로, Sub-6GHz 대역 중 3.3GHz~4.2GHz 대역(n77 대역)에서 셀룰러 통신을 지원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필터(F1)는 3.3GHz~3.8GHz 대역(n78 대역)에서 셀룰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F1 supports cellular communication in a first frequency band, specifically, a 3.3 GHz to 4.2 GHz band (n77 band) of the Sub-6 GHz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ilter F1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in a 3.3 GHz to 3.8 GHz band (n78 band).

제1 필터(F1)는 대역 통과 필터로 동작한다. 일 예로, 제1 필터(F1)는 3.3GHz~4.2GHz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고, 3.3GHz의 하한 주파수 및 4.2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필터(F1)는 3.3GHz~3.8GHz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고, 3.3GHz의 하한 주파수 및 3.8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F1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As an example, the first filter F1 may include a band pass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3.3 GHz to 4.2 GHz, and a lower limit frequency of 3.3 GHz and an upper limit frequency of 4.2 GHz.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ilter F1 may include a band pass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3.3 GHz to 3.8 GHz and a lower limit frequency of 3.3 GHz and an upper limit frequency of 3.8 GHz.

제1 필터(F1)는 LC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필터(F1)의 LC 필터는 체비셰프 필터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F1 may be composed of an LC filter. For example, the LC filter of the first filter F1 may be implemented in a Chebyshev filter structure.

제1 서브 필터(SF1)는 제1 필터(F1)와 제1 단자(T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서브 필터(SF1)의 일단은 제1 필터(F1)에 연결되고, 제1 필터(F1)의 타단은 제1 단자(T1)에 연결된다. The first sub-filter SF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ter F1 and the first terminal T1. One end of the first sub-filter SF1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F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ilter F1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1.

제1 서브 필터(SF1)는 대역 저지 필터로 동작한다. 일 예로, 제1 서브 필터(SF1)는 4.4GHz의 하한 주파수 및 4.6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저지 필터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서브 필터(SF1)는 높은 감쇄 특성을 가지는 SAW 필터 또는 BAW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ub-filter SF1 operates as a band-stop filter. As an example, the first sub-filter SF1 may operate as a band-stop filter having a lower limit frequency of 4.4 GHz and an upper limit frequency of 4.6 GHz. The first sub-filter SF1 may be composed of a SAW filter or a BAW filter having high attenuation characteristics.

제1 서브 필터(SF1)는 제1 단자(T1)와 안테나 단자(T_ANT) 사이의 신호 경로에 배치되어, 4.4GHz~5.0GHz 대역(n79 대역)에 대한 제1 필터(F1)의 감쇄 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The first sub-filter SF1 is disposed in the signa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antenna terminal T_ANT, so that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filter F1 for the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are obtained. You can secure enough.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1 단자(T1)와 안테나 단자(T_ANT) 사이의 신호 경로에는 인덕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인덕터는 저역 통과 특성을 제공하여,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의 임피던스와, 저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3.3GHz~4.2GHz 대역(n77 대역)의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inductor may be disposed in a signal path between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antenna terminal T_ANT. The inductor provides a low pass characteristic to match the impedance of the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and the 3.3 GHz to 4.2 GHz band (n77 band) located in the low frequency band.

제2 필터(F2)는 안테나 단자(T_ANT)와 제2 서브 필터(SF2)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필터(F2)의 일단은 안테나 단자(T_ANT)에 연결되고, 제2 필터(F2)의 타단은 제2 서브 필터(SF2)에 연결된다. The second filter F2 is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terminal T_ANT and the second sub-filter SF2. One end of the second filter F2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T_AN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lter F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b-filter SF2.

제2 필터(F2)는 제2 주파수 대역, 구체적으로, Sub-6GHz 대역 중 4.4GHz~5.0GHz 대역(n79 대역)에서 셀룰러 통신을 지원한다. The second filter F2 supports cellular communication in a second frequency band, specifically, a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of the Sub-6 GHz band.

제2 필터(F2)는 대역 통과 필터로 동작한다. 일 예로, 제2 필터(F2)는 4.4GHz~5.0GHz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고, 4.4GHz의 하한 주파수 및 5.0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F2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For example, the second filter F2 may include a band pass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4.4 GHz to 5.0 GHz, and a lower limit frequency of 4.4 GHz and an upper limit frequency of 5.0 GHz.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도출 과정을 나타낸다. 5 shows a process of deriving a second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공진부가 T 형태로 배치되는 체비셰프 필터의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5(a) show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Chebyshev filter in which the resonance part is arranged in a T shape.

도 5(a)의 체비셰프 필터는 소정의 전달함수(transfer-function)를 가질 수 있다. 도 5(a)의 체비셰프 필터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를 포함하는 제1 직렬 공진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를 포함하는 병렬 공진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를 포함하는 제2 직렬 공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ebyshev filter of FIG. 5A may have a predetermined transfer-function. The Chebyshev filter of FIG. 5(a) includes a first series resonance part including a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capacitor C2/second inductor L2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parallel resonator may include a second series resonator including a third capacitor C3/third inductor L3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제1 직렬 공진부와 제2 직렬 공진부는 제1 단자 Tx 및 제2 단자 Ty의 사이에 배치되고, 병렬 공진부는 제1 직렬 공진부와 제2 직렬 공진부의 사이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The first series resonance part and the second series resonance part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Tx and the second terminal Ty, and the parallel resonance part is disposed between a node between the first series resonance part and the second series resonance part and a ground.

도 5(b)는 도 5(a)의 체비셰프 필터에 J-변환(J-Inverter) 기법을 적용한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 5(b) show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in which a J-Inverter technique is applied to the Chebyshev filter of FIG. 5(a).

도 5(b)를 참조하면, 도 5(b)의 필터는 단자 Tx 및 단자 Ty의 사이에 직렬로 배치되는 커패시터 C01, 커패시터 C12, 커패시터 C23, 커패시터 C3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b), the filter of FIG. 5(b) includes a capacitor C01, a capacitor C12, a capacitor C23, and a capacitor C34 arranged in series between the terminal Tx and the terminal Ty.

또한, 도 5(b)의 필터는 커패시터 C01와 커패시터 C12의 사이 노드와 접지에 배치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 커패시터 C12와 커패시터 C23의 사이 노드와 접지에 배치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 커패시터 C23와 커패시터 C34의 사이 노드와 접지에 배치되고,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of FIG. 5(b) is disposed at the node between the capacitor C01 and the capacitor C12 and at the ground, and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and the node between the capacitor C12 and the capacitor C23 and at the ground. A second capacitor C2/second inductor L2 disposed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third capacitor C3/third inductor L3 disposed at a node between the capacitor C23 and the capacitor C34 and a ground,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have.

도 5(b)의 필터는 도 5(a)의 필터에 J-변환(J-Inverter)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The filter of FIG. 5(b) may be derived by applying a J-Inverter technique to the filter of FIG. 5(a).

도 5(a)의 필터에 J-변환(J-Inverter) 기법을 적용하여, 도 5(a)의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는 병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변환되어, 단자 Tx와 단자 Ty의 서로 다른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A third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FIG. 5(a) by applying a J-inverter technique to the filter of FIG. 5(a) The C3/third inductor L3 is converted into a form connected in parallel, and is disposed between the ground and different nodes of the terminal Tx and the terminal Ty.

한편, 도 5(a)의 체비셰프 필터의 전달함수(transfer-function)를 만족하기 위하여, 고역 통과 필터 특성을 가지는 커패시터 C01, 커패시터 C12, 커패시터 C23, 커패시터 C34가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Meanwhile, in order to satisfy the transfer-function of the Chebyshev filter of FIG. 5A, a capacitor C01, a capacitor C12, a capacitor C23, and a capacitor C34 having high-pass filter characteristics are additionally disposed.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의 도출 과정을 나타낸다. 6 shows a process of deriving a second fi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공진부가 ð 형태로 배치되는 체비셰프 필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6(a) shows an example of a Chebyshev filter in which the resonance part is arranged in a ð shape.

도 6(a)의 체비셰프 필터는 소정의 전달함수(transfer-function)를 가질 수 있다.The Chebyshev filter of FIG. 6A may have a predetermined transfer-function.

도 5(a)의 체비셰프 필터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를 포함하는 제1 병렬 공진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를 포함하는 직렬 공진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를 포함하는 제2 병렬 공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ebyshev filter of FIG. 5(a) includes a first parallel resonator including a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capacitor C2/second inductor L2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 series resonator may include a second parallel resonator including a third capacitor C3/third inductor L3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직렬 공진부는 단자 Tx 및 단자 Ty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병렬 공진부는 단자 Tx와 직렬 공진부의 사이 노드와 접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병렬 공진부는 단자 Ty와 직렬 공진부의 사이 노드와 접지의 사이에 배치된다. The series resonance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 Tx and the terminal Ty, the first parallel resonance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 Tx and the series resonance part and the node between the ground, and the second parallel resonance part is between the terminal Ty and the series resonance part and the ground. It is placed between.

도 6(b)는 도 6(a)의 체비셰프 필터에 K-변환(K-Inverter) 기법을 적용한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6(b) show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in which a K-Inverter technique is applied to the Chebyshev filter of FIG. 6(a).

도 6(b)를 참조하면, 도 6(b)의 필터는 단자 Tx 및 단자 Ty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the filter of FIG. 6(b) includes a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sequentially disposed between a terminal Tx and a terminal Ty, and a first capacitor C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 second capacitor C2/second inductor L2, and a third capacitor C3/third inductor L3 connected in series may be included.

또한, 도 6(b)의 필터는 단자 Tx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터 L01,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터 L12,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터 L23,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와 단자 Ty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터 L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of FIG. 6(b) includes an inductor L01 disposed between a terminal Tx and a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ductor L12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apacitor C2 / second inductor L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cond capacitor C2 / second inductor L2 connected in series and the third capacitor C3 / third inductor L3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 inductor L23 disposed at, and an inductor L34 disposed between the third capacitor C3/third inductor L3 and the terminal Ty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may be further included.

도 6(b)의 필터는 도 6(a)의 필터에 K-변환(K-Inverter)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The filter of FIG. 6(b) may be derived by applying a K-Inverter technique to the filter of FIG. 6(a).

도 6(a)의 필터에 K-변환(K-Inverter) 기법을 적용하여, 도 6(a)의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와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는 직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변환되어, 단자 Tx와 단자 Ty 사이에 배치된다. A third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FIG. 6(a) by applying a K-inverter technique to the filter of FIG. 6(a) The C3/third inductor L3 is converted into a form connected in series and is disposed between the terminal Tx and the terminal Ty.

한편, 도 6(a)의 체비셰프 필터의 전달함수(transfer-function)를 만족하기 위하여, 저역 통과 필터 특성을 가지는 인덕터 L01, 인덕터 L12, 인덕터 L23, 인덕터 L34가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Meanwhile, in order to satisfy the transfer-function of the Chebyshev filter of FIG. 6A, an inductor L01, an inductor L12, an inductor L23, and an inductor L34 having low-pass filter characteristics are additionally disposed.

도 7은 J-변환(J-Inverter) 기법 또는 K-변환(K-Inverter) 기법이 적용된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 filter to which a J-transformation (J-Inverter) technique or a K-transformation (K-Inverter) technique is applied.

도 7을 참조하면, 제1 그래프(graph 1)는 J-변환(J-Inverter) 기법 또는 K-변환(K-Inverter) 기법 적용 전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제2 그래프(graph 2)는 J-변환(J-Inverter)이 적용된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제3 그래프(graph 3)는 K-변환(K-Inverter)이 적용된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7, a first graph (graph 1)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a filter before applying a J-transformation (J-Inverter) technique or a K-transformation (K-Inverter) technique, and a second graph (graph 2) i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lter to which the J-transformation (J-Inverter) is applied is shown, and the third graph (graph 3)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filter to which the K-Inverter is applied.

도 5(a), 도 5(b)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5(b)에서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커패시터 C01, 커패시터 C12, 커패시터 C23, 커패시터 C34에 의해, 제1 그래프(graph 1)에 비하여 제2 그래프(graph 2)는 저주파 대역은 보다 개선된 감쇄 특성을 가지고, 고주파 대역은 보다 열화된 감쇄 특성을 가진다. 5(a), 5(b) and 7, the capacitor C01, the capacitor C12, the capacitor C23, and the capacitor C34 additionally disposed in FIG. 5(b), compared to the first graph (graph 1). The second graph (graph 2) shows that the low frequency band has more improve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high frequency band has more deteriorate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또한, 도 6(a), 도 6(b),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b)에서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인덕터 L01, 인덕터 L12, 인덕터 L23, 인덕터 L34에 의해, 제1 그래프(graph 1)에 비하여 제3 그래프(graph 3)는 고주파 대역은 보다 개선된 감쇄 특성을 가지고, 저주파 대역은 보다 열화된 감쇄 특성을 가진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6(a), 6(b), and 7, the first graph (graph 1) by the inductor L01, the inductor L12, the inductor L23, and the inductor L34 additionally disposed in FIG. 6(b). ), the third graph (graph 3) shows that the high-frequency band has more improve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low-frequency band has more deteriorate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따라서, 도 5(b)의 커패시터 C12, 커패시터 C23, 커패시터 C34에 의해 고주파 대역에서 열화된 감쇄 특성 및 도 6(b)의 인덕터 L01, 인덕터 L12, 인덕터 L23, 인덕터 L34에 의해 저주파 대역에서 열화된 감쇄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deteriorat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by the capacitor C12, capacitor C23, and capacitor C34 of FIG. 5(b), and the inductor L01, the inductor L12, the inductor L23, and the inductor L34 of FIG. 6(b) deteriorated in the low frequency b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attenuation properties.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5(c)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c)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는, 도 5(b)의 필터에 비하여, 인덕터 L21, 인덕터 L22, 및 인덕터 L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c)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or L21, an inductor L22, and an inductor L23, compared to the filter of FIG. 5(b).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는 제1 병렬 LC 공진부, 제2 병렬 LC 공진부, 제3 병렬 LC 공진부, 인덕터 L21, 인덕터 L22, 인덕터 L23, 커패시터 C01, 커패시터 C12, 커패시터 C23, 커패시터 C3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C, the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rallel LC resonator, a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a third parallel LC resonator, an inductor L21, and an inductor L22. , Inductor L23, capacitor C01, capacitor C12, capacitor C23, capacitor C34.

제1 병렬 LC 공진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로 구성되고, 제2 병렬 LC 공진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로 구성되고, 제3 병렬 LC 공진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로 구성된다. The first parallel LC resonator is composed of a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is composed of a second capacitor C2/second inductor L2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third The parallel LC resonator is composed of a third capacitor C3/third inductor L3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제1 병렬 LC 공진부, 제2 병렬 LC 공진부, 및 제3 병렬 LC 공진부는 제1 단자 Tx와 제2 단자 Ty 사이의 복수의 노드 중 서로 다른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병렬 LC 공진부, 제2 병렬 LC 공진부, 및 제3 병렬 LC 공진부 각각은 커패시터 C01, 커패시터 C12, 커패시터 C23, 커패시터 C34 사이의 서로 다른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The first parallel LC resonator,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and the third parallel LC resonator are disposed between different nodes of the plurality of nodes between the first terminal Tx and the second terminal Ty and the ground. Each of the first parallel LC resonator,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and the third parallel LC resonator is disposed between ground and different nodes between the capacitor C01, the capacitor C12, the capacitor C23, and the capacitor C34.

인덕터 L21은 제1 병렬 LC 공진부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인덕터 L22는 제2 병렬 LC 공진부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인덕터 L23는 제3 병렬 LC 공진부와 접지 사이에 배치된다. Inductor L2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allel LC resonator and ground, inductor L2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and ground, and inductor L23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parallel LC resonator and ground.

도 5(c)에서, 제1 병렬 LC 공진부, 제2 병렬 LC 공진부, 및 제3 병렬 LC 공진부 각각에 인덕터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1 병렬 LC 공진부, 제2 병렬 LC 공진부, 및 제3 병렬 LC 공진부 중 하나의 병렬 LC 공진부에만 인덕터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병렬 LC 공진부, 제2 병렬 LC 공진부, 및 제3 병렬 LC 공진부 중 두 개의 병렬 LC 공진부가 하나의 인덕터를 통해,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In Fig. 5(c), an inducto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parallel LC resonator,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and the third parallel LC resonator,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parallel LC resonator The inductor may be connected to only one of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and the third parallel LC resonator.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wo parallel LC resonance units of the first parallel LC resonance unit,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nce unit, and the third parallel LC resonance unit may be connected to ground through one inductor.

제1 병렬 LC 공진부, 제2 병렬 LC 공진부, 및 제3 병렬 LC 공진부 각각에 연결되는 인덕터 L21, 인덕터 L22, 및 인덕터 L23는 추가적인 감쇄역을 형성하여, J-변환(J-Inverter) 기법 적용시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커패시터 C01, 커패시터 C12, 커패시터 C23, 커패시터 C34에 의해 고주파 대역에서 열화된 감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The inductor L21, the inductor L22, and the inductor L23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parallel LC resonator, the second parallel LC resonator, and the third parallel LC resonator form an additional attenuation region, and J-transformation (J-Inverter) When the technique is applied,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deteriorat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can be improved by additionally disposed capacitors C01, C12, C23, and C34.

인덕터 L21, 인덕터 L22, 및 인덕터 L23에 의해 형성되는 감쇄역에 의해, 제2 필터(F2)는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Due to the attenuation region formed by the inductor L21, the inductor L22, and the inductor L23, the second filter F2 can secure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5.15GHz to 5.95GHz band (Wi-Fi 5GHz band).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6(c)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c)를 참조하면, 도 6(c)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는, 도 6(b)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에 비하여, 커패시터 Cz1, 커패시터 Cz2, 및 커패시터 Cz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c), the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c) is compared with the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b), a capacitor Cz1 and a capacitor. It may further include Cz2 and a capacitor Cz3.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는 제1 직렬 LC 공진부, 제2 직렬 LC 공진부, 제3 직렬 LC 공진부, 커패시터 Cz1, 커패시터 Cz2, 및 커패시터 Cz3, 인덕터 L01, 인덕터 L12, 인덕터 L23, 인덕터 L34를 포함한다. 6(c), the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ries LC resonator, a second series LC resonator, a third series LC resonator, a capacitor Cz1, and a capacitor Cz2. , And a capacitor Cz3, an inductor L01, an inductor L12, an inductor L23, and an inductor L34.

제1 직렬 LC 공진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C1/제1 인덕터 L1로 구성되고, 제2 직렬 LC 공진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C2/제2 인덕터 L2로 구성되고, 제3 직렬 LC 공진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3 커패시터 C3/제3 인덕터 L3로 구성된다. The first series LC resonator is composed of a first capacitor C1/first inductor L1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the second series LC resonator is composed of a second capacitor C2/second inductor L2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third The series LC resonator is composed of a third capacitor C3/third inductor L3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제1 직렬 LC 공진부, 제2 직렬 LC 공진부, 및 제3 직렬 LC 공진부는 제1 단자 Tx와 제2 단자 Ty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직렬 LC 공진부, 제2 직렬 LC 공진부, 및 제3 직렬 LC 공진부는 인덕터 L01, 인덕터 L12, 인덕터 L23, 인덕터 L3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eries LC resonance part, the second series LC resonance part, and the third series LC resonance part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Tx and the second terminal Ty. The first series LC resonator, the second series LC resonator, and the third series LC resonat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ductor L01, the inductor L12, the inductor L23, and the inductor L34.

커패시터 Cz1은 제1 직렬 LC 공진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커패시터 Cz2는 제2 직렬 LC 공진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커패시터 Cz3는 제3 직렬 LC 공진부와 병렬로 연결된다.The capacitor Cz1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eries LC resonator, the capacitor Cz2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eries LC resonator, and the capacitor Cz3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series LC resonator.

도 6(c)에서, 제1 직렬 LC 공진부, 제2 직렬 LC 공진부, 및 제3 직렬 LC 공진부 각각에 커패시터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1 직렬 LC 공진부, 제2 직렬 LC 공진부, 및 제3 직렬 LC 공진부 중 하나의 직렬 LC 공진부에만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직렬 LC 공진부, 제2 직렬 LC 공진부, 및 제3 직렬 LC 공진부 각각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Cz1, 커패시터 Cz2 및 커패시터 Cz3는 추가적인 감쇄역을 형성하여, 인덕터 L01, 인덕터 L12, 인덕터 L23, 인덕터 L34에 의해 저주파 대역에서 열화된 감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In FIG. 6(c), a capacito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series LC resonator, the second series LC resonator, and the third series LC resonator,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eries LC resonator The capacitor may be connected only to one of the second series LC resonator and the third series LC resonator. A capacitor Cz1, a capacitor Cz2, and a capacitor Cz3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series LC resonator, the second series LC resonator, and the third series LC resonator form additional attenuation zones, so that inductor L01, inductor L12, inductor L23, Inductor L34 can improve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deteriorated in the low frequency band.

커패시터 Cz1, 커패시터 Cz2 및 커패시터 Cz3에 의해 형성되는 감쇄역에 의해, 제2 필터(F2)는 3.3GHz~4.2GHz 대역(n77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Due to the attenuation band formed by the capacitor Cz1, the capacitor Cz2, and the capacitor Cz3, the second filter F2 can secure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3.3GHz to 4.2GHz band (n77 band).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필터(SF2)는 제2 필터(F2)와 제2 단자(T2)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서브 필터(SF2)의 일단은 제2 필터(F2)에 연결되고, 제2 필터(F2)의 타단은 제2 단자(T2)에 연결된다. Again, referring to FIG. 4A, the second sub-filter SF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lter F2 and the second terminal T2. One end of the second sub-filter SF2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F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ilter F2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T2.

제2 서브 필터(SF2)는 대역 저지 필터로 동작한다. 제2 서브 필터(SF2)는 높은 감쇄 특성을 가지는 SAW 필터 또는 BAW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서브 필터(SF2)는 제2 단자(T2)와 안테나 단자(T_ANT) 사이의 신호 경로에 배치되어, 제2 필터(F2)의 감쇄 특성을 보완할 수 있다. The second sub-filter SF2 operates as a band-stop filter. The second sub-filter SF2 may be composed of a SAW filter or a BAW filter having high attenuation characteristics. The second sub-filter SF2 is disposed in a signal path between the second terminal T2 and the antenna terminal T_ANT, so that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filter F2 may be supplemented.

일 예로, 도 5(c)의 실시예에 따라 제2 필터(F2)가 구성되는 경우, 제2 서브 필터(SF2)는 4.0GHz~4.2GHz 대역의 저지 대역을 가지고, 4.0GHz의 하한 주파수 및 4.2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저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필터(SF2)는 3.3GHz~4.2GHz 대역(n77 대역)에 대한 제2 필터(F2)의 감쇄 특성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c)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는 인덕터 L21, 인덕터 L22, 및 인덕터 L23에 의해 형성되는 감쇄역에 의해,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하고, 제2 서브 필터(SF2)의 4.0GHz~4.2GHz 대역의 저지 대역에 의해, 3.3GHz~4.2GHz 대역(n77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filter F2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c), the second sub-filter SF2 has a stop band of 4.0 GHz to 4.2 GHz band, a lower limit frequency of 4.0 GHz and A band-stop filter having an upper limit frequency of 4.2 GHz may be included. The second sub-filter SF2 may sufficiently supplement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filter F2 for the 3.3 GHz to 4.2 GHz band (n77 band). Accordingly, the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c) is based on the attenuation band formed by the inductor L21, the inductor L22, and the inductor L23, for the 5.15GHz to 5.95GHz band (Wi-Fi 5GHz band).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can be secured, and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3.3 GHz to 4.2 GHz band (n77 band) can be secured by the stop band of the 4.0 GHz to 4.2 GHz band of the second sub-filter SF2.

다른 예로, 도 6(c)의 실시예에 따라 제2 필터(F2)가 구성되는 경우, 제2 서브 필터(SF2)는 5.15GHz~5.35GHz 대역의 저지 대역을 가지고, 5.15GHz의 하한 주파수 및 5.35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저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필터(SF2)는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에 대한 제2 필터(F2)의 감쇄 특성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filter F2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c), the second sub-filter SF2 has a stop band of 5.15 GHz to 5.35 GHz band, a lower limit frequency of 5.15 GHz and It may include a band stop filter having an upper limit frequency of 5.35GHz. The second sub-filter SF2 may sufficiently supplement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filter F2 for the 5.15 GHz to 5.95 GHz band (Wi-Fi 5 GHz band).

따라서, 도 6(c)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F2)는 커패시터 Cz1, 커패시터 Cz2 및 커패시터 Cz3에 의해 형성되는 감쇄역에 의해, 3.3GHz~4.2GHz 대역(n77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하고, 제2 서브 필터(SF2)의 5.15GHz~5.35GHz 대역의 저지 대역에 의해,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에 대한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filter F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c) is sufficiently attenuated for the 3.3 GHz to 4.2 GHz band (n77 band) by the attenuation band formed by the capacitor Cz1, the capacitor Cz2, and the capacitor Cz3. The characteristics are ensured, and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5.15 GHz to 5.95 GHz band (Wi-Fi 5 GHz band) can be secured by the stop band of the 5.15 GHz to 5.35 GHz band of the second sub-filter SF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필터(F2)를 도 5(c) 및 도 6(c)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여, 인접 대역에 대한 감쇄 특성을 제공하는 대역 저지 필터의 수를 하나로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lter F2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FIGS. 5(c) and 6(c), so that the number of band-stop filters providing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adjacent bands is one. Can be reduced.

제3 필터(F3)는 안테나 단자(T_ANT)와 제3 서브 필터(SF3) 사이에 배치된다. 제3 필터(F3)의 일단은 안테나 단자(T_ANT)에 연결되고, 제3 필터(F3)의 타단은 제3 서브 필터(SF3)에 연결된다. The third filter F3 is disposed between the antenna terminal T_ANT and the third sub-filter SF3. One end of the third filter F3 is connected to the antenna terminal T_ANT,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filter F3 is connected to the third sub-filter SF3.

제3 필터(F3)는 제3 주파수 대역, 구체적으로, 5GHz 대역에서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한다. 일 예로, 제3 필터(F3)는 5.15GHz~5.95GHz 대역에서 와이파이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third filter F3 supports Wi-Fi communication in a third frequency band, specifically, a 5 GHz band. For example, the third filter F3 may support Wi-Fi communication in a band of 5.15 GHz to 5.95 GHz.

제3 필터(F3)는 대역 통과 필터로 동작한다. 일 예로, 제3 필터(F3)는 5.15GHz~5.95GHz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고, 5.15GHz의 하한 주파수 및 5.95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filter F3 operates as a band pass filter. As an example, the third filter F3 may include a band pass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5.15 GHz to 5.95 GHz band and a lower limit frequency of 5.15 GHz and an upper limit frequency of 5.95 GHz.

제3 필터(F3)는 LC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필터(F3)의 LC 필터는 체비셰프 필터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third filter F3 may be composed of an LC filter. The LC filter of the third filter F3 may be implemented in a Chebyshev filter structure.

제3 서브 필터(SF3)는 제3 필터(F3)와 제3 단자(T3)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서브 필터(SF3)의 일단은 제3 필터(F3)에 연결되고, 제3 필터(F3)의 타단은 제3 단자(T3)에 연결된다. The third sub-filter SF3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filter F3 and the third terminal T3. One end of the third sub-filter SF3 is connected to the third filter F3,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filter F3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T3.

제3 서브 필터(SF3)는 대역 저지 필터로 동작한다. 일 예로, 제3 서브 필터(SF3)는 4.8GHz의 하한 주파수 및 5.0G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 대역 저지 필터로 동작할 수 있다. 제3 서브 필터(SF3)는 높은 감쇄 특성을 가지는 SAW 필터 또는 BAW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sub-filter SF3 operates as a band-stop filter. As an example, the third sub-filter SF3 may operate as a band-stop filter having a lower limit frequency of 4.8 GHz and an upper limit frequency of 5.0 GHz. The third sub-filter SF3 may be composed of a SAW filter or a BAW filter having high attenuation characteristics.

제3 서브 필터(SF3)는 제3 단자(T3)와 안테나 단자(T_ANT) 사이의 신호 경로에 배치되어, 4.4GHz~5.0GHz 대역(n79 대역)에 대한 제3 필터(F3)의 감쇄 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3 단자(T3)와 안테나 단자(T_ANT) 사이의 신호 경로에는 커패시터가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는 고역 통과 특성을 제공하여, 4.4GHz~5.0GHz 대역(n79 대역)의 임피던스와, 고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는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의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The third sub-filter SF3 is disposed in the signal path between the third terminal T3 and the antenna terminal T_ANT, so that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filter F3 for the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are obtained. You can secure enough.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apacitor may be disposed in a signal path between the third terminal T3 and the antenna terminal T_ANT. The capacitor provides a high pass characteristic to match the impedance of the 4.4 GHz to 5.0 GHz band (n79 band) and the 5.15 GHz to 5.95 GHz band (Wi-Fi 5 GHz band) locat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필터에 의해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필터 및 제1 서브 필터 내지 제3 서브 필터에 의한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8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by the first to third fil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irst to third filter and a first to third sub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by the filter.

도 8을 참조하면, 제1 필터 내지 제3 필터를 체비셰프 필터로 구현하여, 통과 대역이 600MHz 이상의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경우에도, 우수한 삽입 손실 특성 및 반사 손실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by implementing the first to third filters as Chebyshev filters, even when the passband has a wide bandwidth of 600 MHz or more, excellent insertion loss characteristics and return loss characteristics can be implemented.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1 서브 필터 내지 제3 서브 필터 각각을 제1 필터 내지 제3 필터 각각에 연결하여, 3.3GHz~4.2GHz 대역(n77 대역), 및 4.4GHz~5.0GHz 대역(n79 대역), 5.15GHz~5.95GHz 대역(와이파이 5GHz 대역)은 서로에 대하여 충분한 감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9,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filter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filters, so that a 3.3 GHz to 4.2 GHz band (n77 band), and a 4.4 GHz to 5.0 GHz band ( n79 band) and the 5.15GHz to 5.95GHz band (Wi-Fi 5GHz band) can secure suffici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other.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에 연결되는 증폭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mplification unit connected to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서, 필터(F)는 도 4a의 실시예의 제1 필터(F1), 제2 필터(F2), 및 제3 필터(F3)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구성 또는 도 4b의 실시예의 제1 서브 필터(SF1), 제2 서브 필터(SF2), 및 제3 서브 필터(SF3) 중 하나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수신단(Rx) 및 송신단(Tx)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자(T1) 내지 제4 단자(T4)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자(T1)는 수신단(Rx) 및 송신단(Tx)을 포함할 수 있다. In FIG. 10, the filter F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irst filter F1, the second filter F2, and the third filter F3 of the embodiment of FIG. 4A or the first filter of the embodiment of FIG. 4B. It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ub-filter SF1, the second sub-filter SF2, and the third sub-filter SF3. In addition, the receiving end (Rx) and the transmitting end (Tx)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included in any one of the first terminal (T1) to the fourth terminal (T4)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T1 may include a receiving end Rx and a transmitting end Tx.

증폭부(AU)는 스위치(SW),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및 전력 증폭기(PA: Power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mplification unit AU may include a switch SW, a low noise amplifier (LNA), and a power amplifier (PA).

도 10를 참조하면, 필터(F)는 스위치(SW)를 통하여, 저잡음 증폭기(LNA)의 일단, 및 전력 증폭기(PA)의 일단 각각과 연결된다. 저잡음 증폭기(LNA)는 RF 신호의 수신 경로(Rx_RF)에 배치될 수 있고, 전력 증폭기(PA)는 RF 신호의 송신 경로(Tx_RF)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저잡음 증폭기(LNA)의 타단은 수신단(Rx), 및 전력 증폭기(PA)의 타단은 송신단(Tx)과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0, the filter F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 noise amplifier LNA and one end of the power amplifier PA through the switch SW. The low noise amplifier LNA may be disposed in the reception path Rx_RF of the RF signal, and the power amplifier PA may be disposed in the transmission path Tx_RF of the RF signal.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amplifier (LNA)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end (Rx),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amplifier (PA)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end (Tx).

도 10에서, 수신 경로(Rx_RF)에 저잡음 증폭기(LNA)가 배치되고, 송신 경로(Tx_RF)가 전력 증폭기(PA)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른 증폭 필요성의 유무에 따라, 수신 경로(Rx_RF)에서 저잡음 증폭기(LNA)가 제거되거나, 송신 경로(Tx_RF)에서 전력 증폭기(PA)가 제거될 수 있다. In FIG. 10, it is shown that the low noise amplifier (LNA) is arranged in the reception path (Rx_RF) and the power amplifier (PA) is arranged in the transmission path (Tx_RF), but depending on the need for amplific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the reception path The low noise amplifier LNA may be removed from (Rx_RF), or the power amplifier PA may be removed from the transmission path Tx_RF.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modifications that are equally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ould say.

ANT: 안테나
F1: 제1 필터
F2: 제2 필터
F3: 제3 필터
SF1: 제1 서브 필터
SF2: 제2 서브 필터
SF3: 제3 서브 필터
ANT: antenna
F1: first filter
F2: second filter
F3: third filter
SF1: first sub filter
SF2: second sub filter
SF3: third sub filter

Claims (16)

제1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1 필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2 필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보다 높은 제3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3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감쇄 특성을 제공하는 서브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의 복수의 노드 중 서로 다른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병렬 LC 공진부 및 상기 복수의 병렬 LC 공진부 중 어느 하나의 병렬 LC 공진부와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A first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filter having a passband of a secon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A third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thir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sub-filter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and providing an attenuation characteristic for the first frequency band; Including,
The second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nce units disposed between different nodes and ground among a plurality of nodes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parallel LC resonance uni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nce units. A front-end module comprising an inductor to be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감쇄 특성을 제공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uctor is a front end module that provides an attenuation characteristic for the third frequency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병렬 LC 공진부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inductor is a front-end module disposed between the parallel LC resonator and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복수의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덕터 각각은 상기 복수의 병렬 LC 공진부 중 서로 다른 병렬 LC 공진부와 연결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inductor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inductors is connected to a different parallel LC resonanc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nce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병렬 LC 공진부 각각은 복수의 커패시터 사이의 서로 다른 노드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capacitor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LC resonators is disposed between a different node between the plurality of capacitors and a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3.3GHz~4.2GHz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4.4GHz~5.0GHz 대역이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5.15GHz~5.95GHz 대역인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requency band is 3.3GHz ~ 4.2GHz b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4.4GHz ~ 5.0GHz band, the third frequency band is a 5.15GHz ~ 5.95GHz band front end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터는 4.0GHz~4.2GHz의 저지 대역을 갖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6,
The sub-filter is a front-end module having a stop band of 4.0GHz to 4.2GHz.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상기 제2 필터, 및 상기 제3 필터는 하나의 안테나 단자와 연결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ilter, the second filter, and the third filter are connected to one antenna terminal.

제1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1 필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보다 높은 제2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2 필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보다 높은 제3 주파수 대역의 통과 대역을 가지는 제3 필터; 및
상기 제2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감쇄 특성을 제공하는 서브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직렬 LC 공진부 및 상기 복수의 직렬 LC 공진부 중 어느 하나의 직렬 LC 공진부와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A first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first frequency band;
A second filter having a passband of a secon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irst frequency band;
A third filter having a pass band of a third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A sub-filter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to provid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third frequency band; Including,
The second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series LC resonator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capacitor connected to a series LC resonator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ries LC resonato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감쇄 특성을 제공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capacitor is a front end module that provides an attenuation characteristic for the first frequency ba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직렬 LC 공진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capacitor is a front-end modul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one series LC resona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패시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직렬 LC 공진부 중 서로 다른 직렬 LC 공진부와 연결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capacitor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apacitors is connected to a different series LC resonance part among the plurality of series LC resonance part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는 복수의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렬 LC 공진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인덕터 사이에 배치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inductor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ries LC resonators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inducto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3.3GHz~4.2GHz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4.4GHz~5.0GHz 대역이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5.15GHz~5.95GHz 대역인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frequency band is 3.3GHz ~ 4.2GHz b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4.4GHz ~ 5.0GHz band, the third frequency band is a 5.15GHz ~ 5.95GHz band front end modu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터는 5.15GHz~5.35GHz의 저지 대역을 갖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14,
The sub-filter is a front end module having a stop band of 5.15GHz ~ 5.35GHz.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상기 제2 필터, 및 상기 제3 필터는 하나의 안테나 단자와 연결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filter, the second filter, and the third filter are connected to one antenna terminal.
KR1020190076502A 2019-04-10 2019-06-26 Front end module KR102194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70,770 US11025218B2 (en) 2019-04-10 2019-10-31 Frontend module
CN201911355080.1A CN111817730B (en) 2019-04-10 2019-12-25 Front end module
US17/246,993 US11496107B2 (en) 2019-04-10 2021-05-03 Frontend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2091 2019-04-10
KR1020190042091 2019-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688A true KR20200119688A (en) 2020-10-20
KR102194704B1 KR102194704B1 (en) 2020-12-23

Family

ID=7302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02A KR102194704B1 (en) 2019-04-10 2019-06-26 Front end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70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028A (en) * 2001-11-01 2003-05-16 Sharp Corp Low-noise converter
JP2008205947A (en) * 2007-02-21 2008-09-04 Ngk Insulators Ltd Ladder type piezoelectric filter
KR20140064321A (en) * 2012-11-20 2014-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JP6428918B2 (en) * 2015-03-23 2018-1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Bandpass filter and multilayer bandpass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3028A (en) * 2001-11-01 2003-05-16 Sharp Corp Low-noise converter
JP2008205947A (en) * 2007-02-21 2008-09-04 Ngk Insulators Ltd Ladder type piezoelectric filter
KR20140064321A (en) * 2012-11-20 2014-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JP6428918B2 (en) * 2015-03-23 2018-1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Bandpass filter and multilayer bandpass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704B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4062B2 (en) Cascaded filter circuit for radio frequency filters and method for filtering radio frequency signals
CN109831176B (en) Piezoelectric acoustic wave filter and duplexer
CN111817730B (en) Front end module
US10277287B2 (en) Antenna system and harmonic suppression element
US20120112853A1 (en) Tunable filter, tunable duplex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N110071702B (en) Band-pass filter and duplexer
KR102489781B1 (en) Radio frequency switch apparatus with improved noise suppression characteristics
US9698839B2 (en) Tunable notch filter
KR102428338B1 (en) Front end module
CN112019186A (en) High-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10088855A (en) Front end module
CN111726127A (en) Front end module
KR20200060844A (en) Front end module
KR102211745B1 (en) Front end module
US11146229B2 (en) Filter and multiplexer
KR102194704B1 (en) Front end module
TWI540850B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filter thereof
KR102428339B1 (en) Front end module
US11387556B2 (en) Frontend module
TWI834691B (en) Parallel hybrid acoustic passive filter
JP2021082975A (en) High 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3054366A (en) Filt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