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487A -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487A
KR20200119487A KR1020190041735A KR20190041735A KR20200119487A KR 20200119487 A KR20200119487 A KR 20200119487A KR 1020190041735 A KR1020190041735 A KR 1020190041735A KR 20190041735 A KR20190041735 A KR 20190041735A KR 20200119487 A KR20200119487 A KR 20200119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tem cell
membership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웅
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비엑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비엑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비엑스씨
Priority to KR102019004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487A/ko
Priority to PCT/KR2019/004322 priority patent/WO2020209411A1/ko
Publication of KR2020011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 H04L67/1065Discovery involving distributed pre-established resource-based relationships among peers, e.g. based on distributed hash tables [DHT] 

Abstract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 화폐 데이터의 분산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블록 체인 기반의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연동하는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개인 의료 정보를 관리하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분을 관리하는 단계; 및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의 안전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고,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전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멀티서명 기반으로 행해지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위해 제공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 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 체인 기반의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연동하는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 의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디지털 암호화폐의 일종인 비트코인(bitcoin)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비트코인이란 2009년 나카모토 사토시(Satoshi Nakamoto)가 만든 디지털 통화로서, 통화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중앙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대신, 비트코인의 거래는 P2P 네트워크(peer-to peer network) 기반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공개 키(public key)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한다.
이처럼 현물에 대한 결제가 가능한 디지털 암호화폐에는 비트코인과 더불어,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리플 등이 있으며,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거래자가 비트코인을 포함하는 디지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한 거래내역의 장부가 전자지갑에 저장된다는 것이다. 거래내역의 장부는 일정 단위로 블록화 및 해쉬 변환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해쉬 비교에 의해 검증 가능한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에 연결되는 개별 블록은 해쉬 변환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pack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내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참여자들이 화폐를 거래한 거래내역, 이전 블록의 해시 값, 난이도, 논스(nonce) 등일 수 있다. 매 블록은 바로 전 블록의 해시 값을 담고 있으며, 이렇게 이어진 블록들은 시간 순으로 발생한 이체 내역들을 담고 있는 하나의 블록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그 네트워크에 접속된 노드들을 통해 하나의 거래 장부가 공유될 수 있다. 공유된 거래 장부는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에 의해 검증 형성되는 블록체인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거래 장부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노드 단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유 검증 및 보존되므로, 거래 시스템을 유지하고자 하는 과반의 노드들에 의해 거래 장부의 위변조는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해킹 등의 공격행위의 대상이 특정 단말이 아닌 불특정 다수의 노드들로 구성된 거래 시스템 자체가 되어야 하고, 행위 자체가 거래 시스템 자체를 파괴하므로, 해킹 비용에 대비한 이득가치가 낮아 해킹 자체의 성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중앙 통제 없이도 신뢰성있는 암호화폐의 분산거래를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형성된 암호 화폐는 그 가치의 불안정성 및 블록 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상의 한계로 발생되는 승인 시간 지연으로 인한 실 사용의 불편함으로 인해, 실제 경제에서 활발한 사용으로 이어지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그 불안정성과 익명성으로 인해 국가 단위에서 법적으로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특히, 그 근본적 원인인 가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형성된 암호 화폐를 특정한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 화폐에 담보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그 가치가 법정 화폐와 동일하게 되는 형태의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 방식 등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담보 안정화 방식들은 담보가 되는 다른 화폐가 다시 요구되며, 이로 인해 그 다른 화폐의 가치 변동성과 동일한 변동성을 가지게 되므로, 가치변동성이 전이되고 담보되는 것일 뿐, 암호 화폐 자체에 대한 실질적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과도한 안정화는 보유에 대한 수익성이나 화폐 거래에 대한 필요성을 낮추어, 보유자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암호 화폐 자체의 가치 안정화와 함께, 거래에 의한 가치 창출 및 실제 경제생활에서의 사용성 향상을 함께 가져오지 못하는 근본적 문제점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줄기세포를 이용한 미용 및 치료 서비스는 현재 의학에서 치료가 불가능한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줄기세포 서비스는 성인의 성체줄기세포와 면역세포를 추출 배양하여 저장하는 뱅킹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줄기세포 뱅킹 서비스는 향후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각종 질병 치료, 면역강화, 미용목적의 노화방지 시술, 난치병 치료 등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줄기세포의 보관 및 이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줄기세포 보관 및 이용 정보는 매우 민감한 개인 의료 정보로서 철저한 보안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1045호(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9004호(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009호(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 화폐 데이터의 분산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블록 체인 기반의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연동하는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개인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분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의 안전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전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멀티서명 기반으로 행해지며,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위해 제공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멤버십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는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에서 관리하고, 해당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안전 박스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분산 거래를 기반으로 발행 및 유통되는 제1 암호 화폐를 발행하되, 상기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하는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변환 비율에 따라 전환 가능한 멤버십 사용권을 발행하고, 상기 멤버십 사용권은 줄기 세포 서비스 가치에 대응하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준비 프로세스에 따라, 줄기 세포 서비스 가치에 대응하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줄기 세포 서비스 가치 연동에 의한 암호 화폐 자체의 가치 안정화와 함께, 거래에 의한 가치 창출과, 실제 경제생활에서의 사용성 향상을 함께 가져올 수 있다.
나아가, 줄기세포 관련 개인 정보의 보안은 강화하면서 의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가치를 부가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체인 기반의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연동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 화폐 발행 및 멤버십 서비스 구매와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 및 도 7은 거래자 단말의 구성과,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가 거래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거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거래자 단말(10)들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거래자 단말(1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서버 장치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자 단말(10)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거래자 단말(10)은 자신의 노드 접속에 따른 계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방식으로 공유되는 거래 장부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 화폐의 거래가 필요한 경우, 각 거래자 단말(10)은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될 거래 정보를 다른 거래자 단말(10)에게 전파할 수 있다.
또한, 각 거래자 단말(10)은 거래 장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한 거래 시스템 프로세스를 위/변조할 수 없도록 처리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사전 공유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에는 사후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블록 체인화된 거래 시스템 프로세스, 이에 따라 정의되는 암호 화폐별 속성, 발행 조건, 거래 조건, 소각 조건 및 거래자별 권한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한 프로세스가 처리되거나, 암호 화폐 거래에 대응하는 승인 처리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비율 이상의 노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 처리된 경우 거래 장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업데이트된 거래 장부 데이터가 공유됨으로써, 암호 화폐의 거래 및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장부 데이터는 일정 시간 또는 단위에 대응하는 블록별로 현재의 블록이 이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블록이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블록 체인(block chain)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장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 검증은 블록 체인의 해시값 검증에 따라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자 단말(10)에서는 후속 블록의 해시값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및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 체인의 보안 안정성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거래자들의 시스템 참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거래자 단말(10) 사이의 공유에 대한 내역 및 화폐 발급/거래 내역 등을 포함하는 거래 정보 블록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위변조 방지를 위한 해시값을 순차적으로 블록 체인화하기 위한 거래 검증(작업증명) 처리가 각 거래자 단말(10)에서 분산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각 처리부 및 모듈들은, 이와 같이 구성된 블록 체인 네트워크(50)를 메인 망으로 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한 탈중앙 어플리케이션(DECENTRALIZED APPLICATION)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이를 구성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는 메인 망(즉, 블록 체인 네트워크(50)) 기반의 제1 암호 화폐 및 줄기세포 가치 연동 멤버십 사용권의 발행, 거래, 전환 및 관리 처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는 메인 망(즉, 블록 체인 네트워크(50)) 기반으로 기 발행된 다른 암호 화폐간 거래 서비스, 법정 화폐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는 실질 가치 연동 멤버십 사용권의 실질 가치 교환 및 소각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환 시스템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50)를 기반으로 하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거래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 및 의료 서버(600)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환 처리, 거래 서비스 및 줄기세포 관련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분산 거래를 기반으로 발행 및 유통되는 제1 암호 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발행된 제1 암호 화폐 데이터는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유통될 수 있다. 거래자 단말(300)은 제1 암호 화폐를 다른 법정 화폐 또는 암호 화폐로 매입/매각 처리하거나,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하는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변환 비율에 따른 멤버십 사용권 전환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멤버십 사용권으로의 전환 요청에 따른 멤버십 사용권을 발행하여 해당 거래자 단말(300)로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멤버십 사용권은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의 지급 준비 프로세스에 따라,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처리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는,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의 실질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를 통해 제공되는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및 의료 서버(600)를 통해 제공되는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의 가치에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를 경유하여 제공될 수 있다.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는 멤버십에 등록된 거래자의 줄기세포의 보관 및 뱅킹 관리, 분리, 배양, 분화, 줄기세포 검진 및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 플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의료 서버(600)를 경유하여 제공될 수 있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는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에서 관리되는 줄기세포 중 치료 또는 미용에 필요한 형태로 분화 배양된 줄기세포를 제공받아, 거래자에게 제공되는 줄기세포 기반 면역세포 치료, 피부 재생 시술, 노화 방지 시술, 신규 임상 시술 및 기타 다양한 줄기세포 관련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거래자 단말(300)은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경유하여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대한 멤버십 사용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멤버십 사용자 등록은, 거래자 단말(300),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간 분산 보안 인증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산 보안 처리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 개인 정보, 의료 기록 정보, 멤버십 관리 정보, 리워드 정보 등은 거래자 단말(300),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각각 부분적으로 분산 저장되고 및 멀티 인증에 의해 관리됨으로써, 향후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의료 기록관리 등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멤버십 등록에 따른 줄기세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 화폐를 통해 제1 암호 화폐를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거래자 단말(300)은 제1 암호 화폐를 이용하여 멤버십 사용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 멤버십 사용권의 교환 비율은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에 의해 관리되는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멤버십 사용권에 연동된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는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 및 의료 서버(600)에서 제공되는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들의 가치 산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줄기세포 치료 서비스의 발달로 인한 가치 상승분은 멤버십 사용권 가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임상 실험에 있는 치료법이라 하더라도 그 임상 단계에 따른 가치 향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멤버십 사용권의 제1 암호 화폐 교환에 따른 대금이 예치될 수 있고, 이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통해 줄기세포 관련 치료법 또는 신약 개발 등의 연구와 같은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향상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구매한 멤버십 사용권에 대응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서비스 제공에 대응하는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멤버십 사용권 등급 또는 수량에 대응하는 줄기세포 서비스가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 또는 의료 서버(6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가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줄기세포의 보관 및 뱅킹 관리, 분리, 배양, 분화, 줄기세포 검진 및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 플랜 서비스 요청을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가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에서 관리되는 줄기세포 중 치료 또는 미용에 필요한 형태로 분화 배양된 줄기세포를 제공받아, 거래자에게 제공되는 줄기세포 기반 면역세포 치료, 피부 재생 시술, 노화 방지 시술, 신규 임상 시술 및 기타 다양한 줄기세포 관련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들을 의료 서버(6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줄기 세포 관련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보안화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해,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개인 정보 관리 모듈부(210),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멤버십 관리 모듈(230), 분산 보안 모듈부(240), 리워드 모듈부(250), 서비스 추천 모듈부(260), 및 이상 탐지 모듈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 관리 모듈부(210)는 멤버십에 등록된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원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하는 서비스는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술한 원하는 서비스에는 안티에이징 서비스, 헬스케어 서비스, 코스메틱 서비스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안티에이징 서비스로는 보톡스, 레이저 치료, 윤곽 주사, 실 리프팅, 리프팅 레이저, 필러, DNA 주사, 콜라겐 주사, MTS 치료, 에어젯 리프팅 등이 있을 수 있다. 헬스케어 서비스로는 건강 상담, 유전자 검사, 간병인 파견, 요양병원, 영양 식단, 예방 백신 등이 있을 수 있다.
개인 정보 관리 모듈부(210)의 각각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보안성을 위해 분산 보안 모듈부(240)에 의해 거래자 단말(300)과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도 각각 분산 저장될 수 있다.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는 멤버십에 등록된 사용자 각각의 개인 의료 기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는 중요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를 2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분(예컨대, 제 1 구간)은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에서 관리하고,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예컨대, 제 2 구간)는 분산 보안 모듈부(240)에 의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상의 안전 박스(800)에 저장한다.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및 안전 박스(800)내의 데이터는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된다.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 1의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전체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및 안전 박스(800)내의 데이터가 모두 필요하다. 그에 따라,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및 안전 박스(800)에 접근해야 되고, 이를 위해서는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및 안전 박스(800)에서의 접근자(예컨대, 거래자 단말의 사용자, 의료 센터의 관리자 등) 인증을 위한 멀티서명(multisignature)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없는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노출은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각각의 개인 의료 기록 정보에는 예를 들어, 유전자 정보, NK지수, 건강 나이, 발병할 요소가 있는 질환들, 면역지수, 항노화지수, 줄기세포 치료 내역, 줄기세포 미용 서비스 내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안전 박스(80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거래자 단말(300)과는 별개로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에 연결된다.
멤버십 관리 모듈부(230)는 사용자가 구매한 멤버십 사용권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자신이 구매한 멤버십 사용권중에서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는 멤버십 사용권을 사용하였을 경우 멤버십 관리 모듈부(230)는 해당 사용자의 기존의 멤버십 사용권을 사용량만큼 차감할 수 있다. 또한, 멤버십 관리 모듈부(230)는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멤버십 사용권을 구매하였을 경우 기존의 멤버십 사용권의 사용량을 구매량에 근거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멤버십 관리 모듈부(230)는 사용자별로 멤버십 사용권을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 및 사용자별 현재의 멤버십 사용권 사용량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별로 멤버십 사용권을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 및 사용자별 현재의 멤버십 사용권 사용량을 사용자별 멤버십 사용권 정보로 통칭할 수 있다.
멤버십 관리 모듈부(230)의 사용자별 멤버십 사용권 정보는 보안성을 위해 분산 보안 모듈부(240)에 의해 거래자 단말(300)과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도 각각 분산 저장될 수 있다.
분산 보안 모듈부(240)는 개인 정보 관리 모듈부(210)의 사용자별 개인 정보,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의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 멤버십 관리 모듈부(230)의 사용자별 멤버십 사용권 정보, 리워드 모듈부(250)의 사용자별 리워드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에 연결된 거래자 단말(300)과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도 각각 분산 저장시킬 수 있다.
특히, 분산 보안 모듈부(240)는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에 일부 저장된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상의 안전 박스(800)에 저장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는 중요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리워드 모듈부(250)는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 판매에 따른 이익 일부(리워드)를 에어 드랍(air drop)을 통해 보상해 주고, 사용자별 리워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제1 암호 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전용의 암호 화폐 지갑을 통해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여 원하는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멤버십 사용권을 구매하게 되면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멤버십 사용권에 상응하는 제1 암호 화폐의 수량을 차감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암호 화폐는 일정 전환량과 전환 비율에 따라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되고, 이때의 전환 비율은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와 멤버십 사용권에 대응하여 교환가능한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의 가치의 시세 정보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그에 따라, 해당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 구매에 소요된 멤버십 사용권에 상응하는 제1 암호 화폐의 수량(금액)이 해당 사용자의 전용 암호 화폐 지갑에서 차감되어야 한다. 대신에, 리워드 모듈부(250)에서는 해당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 판매에 따라 발생된 이익의 일부(리워드)를 에어 드랍(air drop)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해 준다.
상기에서는 리워드 모듈부(250)가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 판매에 따라 발생된 이익의 일부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으로 하였으나,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 이외로 안티에이징 서비스, 헬스케어 서비스, 코스메틱 서비스 등의 판매에 따라 발생된 이익의 일부도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리워드 모듈부(250)의 사용자별 리워드 정보는 보안성을 위해 분산 보안 모듈부(240)에 의해 거래자 단말(300)과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도 각각 분산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모듈부(210, 220, 230, 240, 250)는 모듈부 간 보안을 통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모듈부(210, 220, 230, 240, 250)는 공유 가능한 거래 정보(예컨대, 제1 화폐 사용 정보, 멤버십 구매 정보, 사용량 정보, 소각 정보 등의 단순 거래정보)만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의 거래 장부에 기입함으로써, 나머지 민감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암호 화폐는 다른 암호 화폐 및 법정 화폐간 거래가 가능하여 그 가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암호 화폐는 멤버십 사용권으로의 전환에 따른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므로,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에 의한 가치 연동성이 부가됨으로써 그 가치 변동성은 안정적이고 조절가능하게 된다.
또한, 멤버십 사용권은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따라 그 수량 및 발행량이 결정될 수 있다.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그 발행을 위한 지급 준비 프로세스를 사전에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 언제든 멤버십 사용권을 줄기 세포 서비스의 제공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된 멤버십 사용권은 소각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에서 산출된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따라 제1 암호 화폐 거래가에 대응하는 멤버십 사용권으로의 전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멤버십 사용권에 대응하는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 요청을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전달하거나, 지급 준비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된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 또는 의료 서버(600)에게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거래자 단말(300)에서는 줄기세포 치료기술 발달에 따라 언제든 서비스로 제공받을 수 있는 분산 거래 장부 기반의 멤버십 사용권을 보유하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효과적인 자산 관리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발행 및 유통되는 제1 암호 화폐의 멤버십 사용권으로의 전환, 및 이에 따른 멤버십 사용권의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급준비율 및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는 지급준비율이 유지됨에 따라, 거래 플랫폼과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폐 유통량 및 지급 준비금의 분석 및 조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는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예측 모델에 기초한 지급준비 필요여부를 결정하거나, 지급준비 필요성에 대응하는 정책 프로세스를 조건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황별 적절한 정책 결정 및 수행에 따른 금융 서버(도시 생략)로의 자금 조달 처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는 멤버십 등급별 줄기세포의 보관, 배양, 분화 및 검진 비용, 줄기세포 치료, 미용, 임상 단계별 비용들을 산출하고, 각각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일정 비율의 보험료를 산출할수 있다. 그리고,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는 서비스 및 보험료 총액 대비 현재 발행된 멤버십 사용권 총량에 대응하는 비율 및 자금 조달정보를 종합하여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시세에 연동한 멤버십 사용권, 및 제1 암호 화폐간 교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따라, 제1 암호 화폐는 안정적으로 발행 및 유통될 수 있으며,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연동한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될 수 있다. 멤버십 사용권은 필요 시점에 줄기 세포 서비스로 전환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는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의한 암호 화폐 자체의 가치 안정화와 함께 거래에 의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멤버십 사용권은 의료기술 발달에 따른 부가가치를 함께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 화폐 발행, 관리 및 거래 플랫폼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처리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도 2에서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를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가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교환 서비스 처리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교환 서비스 처리부(110)는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 멤버십 사용권 관리부(112), 화폐 전환 처리부(113), 지급 준비부(114), 줄기 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부(115), 소각 처리부(116),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 이상 탐지부(119), 및 서비스 추천부(121)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거래자 단말(3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5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4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입력 정보를 입력받아, 교환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50)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40)로 요청된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0)는 교환 서비스 처리부(110)를 통해, 암호 화폐의 발행, 거래, 화폐 전환,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 소각 등의 처리들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5)를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30)는 교환 서비스 처리에 따른 암호 화폐 거래 정보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상에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승인 결과에 따라 암호 화폐 거래 정보가 거래 장부 데이터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교환 서비스 처리부(110)의 암호 화폐 처리에 대한 프로세스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는 제1 암호 화폐의 발행 및 거래 서비스에 따른 보유량 관리 처리를 수행한다.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는 제1 암호 화폐를 발행함에 있어서, 초기 발행량을 중앙 은행 보유량 및 내부 보유량과 외부 보유량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발행량 중 50%는 중앙 은행 보유량으로 결정되고, 나머지 수량이 유통량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유통량 중 절반은 내부 보유량으로, 나머지는 외부 보유량으로 유통되어 관리될 수 있다.
중앙 은행 보유량 및 내부 보유량은 지급 준비부(114)의 지급준비율 조절 관리를 위해 필요한 수량이다. 예를 들어, 중앙 은행 보유량은 별도의 보관 권한을 갖는 중앙 은행 계정으로 전달되어, 유통 및 거래가 제한된 상태로 관리될 수 있다. 내부 보유량은 유통 가능한 수량으로서, 관리자 계정으로 전달 및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보유량은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유통되는 보유량으로서,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및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에 의한 매각 또는 매입 프로세스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거래자는 통상적으로 외부 보유량에 대한 매입/매각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및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는 각각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 화폐에 대응한 제1 암호 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즉,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및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는 제1 암호 화폐의 법정 화폐간 거래가, 제1 암호 화폐와 다른 암호 화폐간 거래가를 각각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암호 화폐의 매입/매각 또는 다른 암호 화폐로의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호 화폐는 거래소에서의 각 판매자 및 구매자간 자율적 거래에 의해 그 거래가가 형성될 수 있다.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 및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는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된 제1 암호 화폐를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하거나, 보유한 법정 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를 제1 암호 화폐로 교환되도록 하는 거래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거래소를 통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암호 화폐는 거래 서비스에 의한 자율적 거래에 의해 결정되는 시장 가치를 가지며, 고유의 변동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암호 화폐는 가능한 수량만큼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멤버십 사용권은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에 의해 사용한 바, 멤버십 사용권의 가치는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와 동일할 수 있고, 실질 가치의 변동성은 낮거나 점진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십 사용권은 멤버십 등급 및 서비스에 따라 사용 가능한 수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멤버십 사용권 일정 단위 수량에 대한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는 각 서비스(줄기세포 보관, 배양, 분화, 검진 등의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시술, 치료, 미용, 임상 등의 줄기세포 치료 및 미용 서비스 등)에 의해 각각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는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으며, 멤버십 사용권으로의 교환 비율 및 전환 가능한 수량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제 거래가에 따라 제1 암호 화폐 1개 단위 수량으로 1회의 줄기세포 시술 가치의 멤버십 사용권을 전환받을 수 있었다면,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 상승에 따라, 오늘은 1개 단위 수량으로 2회의 줄기세포 시술 가치의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멤버십 사용권은 1회의 줄기세포 시술 가치가 동일 또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되는 바, 그 변동성은 안정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의 시장가치적 변동성이 존재하더라도, 그 실질 가치 변화는 멤버십 사용권의 안정적 변동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급격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방지되고, 가치 변동성의 조절 및 거래 시스템의 안정적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금확보에 따른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향상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효용성이 증가하므로, 거래자와 서비스 제공자 상호간의 이익 창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암호 화폐는 일정 전환량과 전환 비율에 따라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환 비율은 제1 암호 화폐의 거래가와 멤버십 사용권에 대응하여 교환 가능한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의 시세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십 사용권 일정 단위로 교환 가능한 실질 가치를 1회의 줄기세포 보관 서비스라고 할 때, 제1 암호 화폐는 이에 대응하는 일정 수량만큼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정 수량은 멤버십 사용권으로 교환 가능한 1회의 줄기세포 보관 서비스의 가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권한 및 등급에 따라 제1 암호 화폐 중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 가능한 수량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암호 화폐에서 멤버십 사용권으로의 교환 비율은 제1 암호 화폐 거래가, 등급별 이용가능 줄기세포 서비스 종류 및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시세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며, 교환에 따른 멤버십 사용권 전환 수량은 [제1 암호 화폐 단위당 멤버십 사용권 전환 수량 = (이용가능 줄기세포 서비스 종류) ×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시세가) / (거래 단위당 제1 암호 화폐 최저 거래가)] 와 같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멤버십 사용권 관리부(112)는, 멤버십 사용권의 발행 및 보유량 관리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멤버십 사용권 관리부(112)는 지급 준비부(114)의 지급 준비 정보에 따라 멤버십 사용권의 발행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급 준비 정보는 지급 준비금 정보로서, 제공 가능한 줄기 세포 서비스의 대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멤버십 사용권 관리부(112)는 지급 준비금에 기초하여, 일정 보유량을 유지하면서 줄기 세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수량만큼의 발행 가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행 가능량은 지급 준비금이 유통된 제1 암호 화폐의 시가총액 대비 일정 비율 이상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멤버십 사용권 관리부(112)는 발행 가능한 멤버십 사용권을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에 대응하는 가치 지급 또는 교환 처리에 의해 소각 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될 수 있다.
또한, 멤버십 사용권은 거래자 단말(300)의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한 화폐 전환 요청에 따라 발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폐 전환 처리부(113)는 지급 준비 정보에 따른 전환 가능량을 미리 산출하고, 제1 암호 화폐 중 전환 가능한 멤버십 사용권 수량을 결정하여 멤버십 사용권 관리부(112) 및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멤버십 사용권 관리부(112)는 화폐 전환 처리부(113)에서 결정된 수량만큼의 멤버십 사용권을 발행할 수 있으며, 발행된 멤버십 사용권은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부(115)는 거래자 단말(300)로부터 멤버십 사용권의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부(115)는 멤버십 사용권 중 특정 서비스에 대응하는 사용량 만큼의 사용권 차감과 함께,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가 해당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제공 요청 정보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부(115)는 거래자 단말(300)로부터 거래자의 멤버십 등록에 대응하는 자격 정보 또는 개인 증명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전달하여, 서비스 제공 전 사전 검증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부(115)는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성별, 나이, 원하는 용도를 입력받아 서비스 추천부(121)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비스 추천부(121)는 전달받은 성별, 나이, 원하는 용도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게 최상으로 적합한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즉, 줄기세포 관리 서비스, 줄기세포 치료 또는 미용 서비스)를 추천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즉,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추천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성별, 나이, 원하는 용도 등을 입력하게 되면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부(115)는 이를 서비스 추천부(121)에게로 전달한다. 서비스 추천부(121)는 전달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가장 적합한 최적의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추천받은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승낙을 하면 서비스 추천부(121)는 해당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가 해당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제공 요청 정보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는 해당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사용량 만큼의 멤버십 사용권을 차감하고,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에게로 해당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한다. 이에 의해 해당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시술(즉,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멤버십에 등록된 사용자(즉,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추천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나이, 성별, 원하는 용도 등의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부(115)는 수신한 정보를 서비스 추천부(121)에게로 보내고, 서비스 추천부(121)는 수신한 정보를 재차 다수의 파트너사(도시 생략)에게 전달하고, 다수의 파트너사(도시 생략)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해 저마다의 서비스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추천부(121)는 다수의 파트너사(도시 생략)에서 제시한 서비스 조건에 대해 어느 서비스 조건이 해당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지에 따라 순위를 매긴 후에 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추천할 수도 있다. 이때, 서비스 추천부(121)는 하나의 서비스 조건만을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로 하여 제시(추천)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순위별 서비스 조건을 제시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서비스 추천부(121)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시술(예컨대, 보톡스, 레이저 치료, 윤곽 주사, 실 리프팅, 리프팅 레이저, 필러, DNA 주사, 콜라겐 주사, MTS 치료, 에어젯 리프팅, 건강 상담, 유전자 검사, 간병인 파견, 요양병원, 영양 식단, 예방 백신 등)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적합한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이상 탐지부(119)는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의 이상(anomaly)을 탐지할 수 있다.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의 일반적인 보안 조치 이외로 이상 탐지부(119)에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의 이상(anomaly)을 탐지해 냄으로써, 보안의 안전성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상 탐지부(119)가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 이상 탐지부(119)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되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와는 별개로 독립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이상 탐지부(119)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에 접속된 각 노드(즉,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 거래자 단말(300),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 의료 서버(600))간의 통신 및 정보 교류에서 머신 러닝을 이용하여 이상(anomaly)을 탐지해 낸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상 탐지부(119)는 제1 암호 화폐 및 줄기세포 가치 연동 멤버십 사용권의 발행, 거래, 전환 및 관리 처분 과정에서 이상(anomaly)을 탐지해 낼 수 있고, 기 발행된 암호 화폐간 거래 서비스 및 법정 화폐간 거래 서비스 과정에서 이상(anomaly)을 탐지해 낼 수 있고, 멤버십 사용권 관리와 개인 정보 관리 및 개인 의료 기록 정보 관리의 과정에서 이상(anomaly)을 탐지해 낼 수 있고,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상(anomaly)을 탐지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 탐지부(119)가 이상을 탐지하면 그에 상응하는 이상 탐지 내역을 생성하여 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지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의 각 노드에게 이상 탐지 내역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상 탐지부(119)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의 각 노드간의 데이터를 분석 및 학습하는 머신 러닝부(119a), 및 머신 러닝부(119a)에서의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의 각 노드간의 통신 및 정보 교류에서의 이상이 발견되면 이를 이상 탐지 내역으로 하여 외부에 알리는 이상 알림부(119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처리가 완료된 멤버십 사용권은 소각 처리부(116)에 의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50) 내에서 전량 소각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1 암호 화폐 관리부(111)는 멤버십 사용권으로 전환된 제1 암호 화폐에 대하여, 내부 보유량으로의 전환 관리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내부 보유량은 관리자 계정에 의해 보관 처리되며, 외부 유통에 따라 외부 보유량으로 전환 가능한 수량일 수 있다. 내부 보유량 및 외부 보유량은 지급 준비부(114)에서의 지급 준비율 산출에 의한 조절에 이용되므로, 전체적 시스템 및 인플레이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메모리(150)에는 제1 암호 화폐의 총수량, 사용자별 제1 암호 화폐 수량 정보, 사용자별 개인 정보, 사용자별 멤버십 사용권 정보, 사용자별 전용 암호화폐 지갑 정보,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를 위한 각종의 프로세스 등이 저장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 화폐 발행 및 멤버십 서비스 구매와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거래자 단말(300)은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여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멤버십 서비스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1000).
그리고, 거래자 단말(300)은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게로 제1 암호 화폐를 이용한 멤버십 사용권의 전환구매를 요청한다(S1001).
이에 따라,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거래자 단말(300)과의 보안 인증에 따른 거래자 정보를 확인하고(S1003),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를 통해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정보에 기초한 지급 준비 정보를 확인한다(S1005).
이를 위해,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멤버십 사용권 가치 조회를 요청하고(S1008),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와의 연동에 따라 줄기세포 서비스에 대응한 가치 분석을 처리하여(S1007),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에게로 전달한다(S1009).
이후,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에서의 지급 준비 정보에 기초하여 멤버십 사용권으로의 전환 가능량을 연산하고(S1011), 연산된 전환 가능량 정보를 해당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전달한다(S1013).
그리고 나서,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거래자 단말(300)로부터의 구매 확인을 수신하고(S1015), 그에 따라 멤버십 사용권 가치 지불 처리를 수행하고(S1017),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에 따라 소각가능한 조건으로 발행되는 멤버십 사용권을 발행한다(S1019).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멤버십 사용권 구매완료 정보를 해당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전달하며(S1021),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에서는 신규 사용권 발행에 따른 멤버십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금 확보 처리를 수행하고(S1035), 지급 준비 정보를 갱신한다(S1037).
한편, 도 5는 멤버십 사용권 사용에 따른 소각 및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거래자 단말(300)에서는 보유한 멤버십 사용권을 이용한 멤버십 서비스 제공 요청을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게로 전달한다(S2001).
그리고,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해당 거래자 단말(300)의 멤버십 상태 조회를 요청하여(S2005), 멤버십 등급을 확인한다(S2003).
이에 따라,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멤버십 사용권에 대응하여 제공 가능 서비스를 결정하고(S2011), 결정된 서비스 정보를 해당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전달한다(S2013).
이후, 거래자 단말(300)에서 제공 확인 및 보안 인증정보를 전송하면(S2015),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멤버십 사용권 차감 및 차감된 사용량의 소각 처리를 수행하고(S2017), 멤버십 사용 정보를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에게로 전달한다(S2019).
그리고,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400)는 사전 확인된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정보에 기초하여, 멤버십 사용에 따른 사용 대금 이체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게로 전달한다(S2021).
이에 따라,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줄기세포 서비스 제공 요청을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S2023).
그리고,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는 요청된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해당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2025),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 정보를 해당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전송한다(S2027).
또한,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500)는 의료 서버(600)와 연동하여 의료 서비스를 해당 거래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2029), 의료 서비스 제공 정보를 해당 거래자 단말(300)에게로 전송한다(S2031).
도 6 및 도 7은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거래자 단말(300)로부터 요청된 교환 거래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6은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달러화, 원화 등과 같은 법정 화폐는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하여 현금 매각 또는 매입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암호 화폐는 거래소에서의 각 판매자 및 구매자간 자율적 거래에 의해 그 거래가가 형성될 수 있다.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는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된 제1 암호 화폐를 법정 화폐로 교환하거나, 보유한 법정 화폐를 제1 암호 화폐로 교환되도록 하는 거래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거래소를 통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매각 또는 매입 처리는 거래자의 현금 계좌로부터의 이체 처리와, 암호 화폐 지갑에서의 지급 처리가 포함될 수 있다.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는 각 거래자의 옴니버스 현금 계좌와 옴니버스 암호 화폐 지갑을 관리하여, 각 화폐의 매입 또는 매각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암호 화폐는 그 거래 및 유통이 자유로운 반면, 멤버십 사용권은 개인화된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에 이용되므로 별도의 거래 및 유통은 제한될 수 있다. 멤버십 사용권은 소각 처리부(116)에서의 처리에 따라 전량 소각될 수 있으므로, 법정 화폐 거래 서비스부(117)는 이에 대응하는 권한 관리 및 제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타 거래소 서버(700)에서 취급되는 다른 암호 화폐는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암호 화폐에 대응하여 다른 암호 화폐로 매각 또는 매입 처리될 수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제1 암호 화폐는 거래소에서의 각 판매자 및 구매자간 자율적 거래에 의해 그 거래가가 형성될 수 있다.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는 사용자의 계정에 보유된 제1 암호 화폐를 다른 암호 화폐로 교환하거나, 다른 암호 화폐를 제1 암호 화폐로 교환되도록 하는 거래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거래소를 통한 거래를 중개하는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암호 화폐는 멤버십 사용권과 상이하며, 통상의 블록 체인 기반에 의해 발행되어 거래소 등에서 거래되는 타 암호 화폐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른 암호 화폐로의 매각 또는 매입 처리는 거래자의 타 거래소 서버 연동 이체 처리 및 암호 화폐 지갑에서의 지급 처리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는 각 거래자의 옴니버스 암호 화폐 지갑과 타 거래소 서버(700)의 계정 정보를 관리하여, 각 화폐의 매입 또는 매각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멤버십 사용권은 개인화된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는 바 별도의 거래 및 유통은 제한될 수 있다. 멤버십 사용권은 소각 처리부(116)에서의 처리에 따라 전량 소각될 수 있으므로,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부(118)는 이에 대응하는 권한 관리 및 제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는 중요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는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를 2개의 구간으로 분할한다(S20).
그리고 나서,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는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분(예컨대, 제 1 구간)을 관리하고,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예컨대, 제 2 구간)는 분산 보안 모듈부(240)에게로 보낸다. 그에 따라, 분산 보안 모듈부(240)는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예컨대, 제 2 구간)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50)상의 안전 박스(800)에 저장시킨다(S22).
이와 같이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및 안전 박스(800)내의 데이터는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된다.
이후, 사용자의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전체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멀티서명이 필요하다. 즉,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및 안전 박스(800)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각에서의 서명(signature)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 및 안전 박스(800)에 접근함에 있어서,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220)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명 및 안전 박스(800)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명이 "OK"이면(S24에서 "Yes") 사용자의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전체 데이터가 노출된다(S26).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멤버십 등록된 사용자의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는 의료 기록 관리 모듈부에서 관리하고, 해당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안전 박스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의료 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블록 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 블록 체인 네트워크
100 :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
200 : 멤버십 서비스 제공 장치
300 : 거래자 단말
400 : 지급준비율 조절 모듈부
500 : 줄기세포 서비스 서버
600 : 의료 서버

Claims (3)

  1.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개인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분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의 안전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전체 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멀티서명 기반으로 행해지며,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줄기세포 관련 서비스를 위해 제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일부분 및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의 나머지 부분은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개인 의료 기록 정보는 유전자 정보, NK지수, 건강 나이, 발병할 요소가 있는 질환들, 면역지수, 항노화지수, 줄기세포 치료 내역, 줄기세포 미용 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41735A 2019-04-10 2019-04-10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19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35A KR20200119487A (ko) 2019-04-10 2019-04-10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9/004322 WO2020209411A1 (ko) 2019-04-10 2019-04-11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35A KR20200119487A (ko) 2019-04-10 2019-04-10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487A true KR20200119487A (ko) 2020-10-20

Family

ID=7302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735A KR20200119487A (ko) 2019-04-10 2019-04-10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9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4963A (zh) * 2021-12-03 2022-03-01 心医国际数字医疗系统(大连)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9B1 (ko)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101881045B1 (ko)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9004A (ko) 2017-08-16 2019-02-26 김용태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9B1 (ko) 2015-04-20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KR20190019004A (ko) 2017-08-16 2019-02-26 김용태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1045B1 (ko)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4963A (zh) * 2021-12-03 2022-03-01 心医国际数字医疗系统(大连)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9495A (ko) 블록 체인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판매 이익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93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서비스 판매 이익 보상 장치 및 방법
Shah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decentralized finance protocols
WO2020209411A1 (ko)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7A (ko)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19478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연동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4A (ko) 블록체인 기반 안티에이징 서비스를 위한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6A (ko) 블록체인 기반 코스메틱 서비스를 위한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3A (ko)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5A (ko)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개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92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서비스 추천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19491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코스메틱 서비스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90A (ko) 블록 체인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8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서비스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9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안티에이징 서비스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119500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이상 탐지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19480A (ko) 블록 체인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가치 연동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82A (ko) 블록체인 기반의 줄기세포 서비스 가치 연동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19481A (ko) 블록체인 기반의 코스메틱 서비스 가치 연동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79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안티에이징 서비스 가치 연동 암호 화폐 거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20989A (ko) 블록 체인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98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200048483A (ko) 블록 체인 기반 실질 가치 교환 거래 시스템
KR20200120990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코스메틱 서비스를 위한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200119499A (ko) 블록 체인 기반의 안티에이징 서비스를 위한 이상 탐지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