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301A - 오디오 데이터 고속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 고속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301A
KR20200119301A KR1020207026116A KR20207026116A KR20200119301A KR 20200119301 A KR20200119301 A KR 20200119301A KR 1020207026116 A KR1020207026116 A KR 1020207026116A KR 20207026116 A KR20207026116 A KR 20207026116A KR 20200119301 A KR20200119301 A KR 20200119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ion scheme
audio data
audio
digital modulation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501B1 (ko
Inventor
화장 류
잔 위
퉁 천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1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12/00Encapsulation of p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는 단계-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및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가 증가될 수 있고, 따라서 상위-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된다.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 고속 송신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HIGH-SPEED AUDIO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라는 명칭으로 2018년 2월 14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151616.7호에 대한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는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특히,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다.
모바일 통신 기술의 급속한 개발로, 모바일 폰들 및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는 사람의 일상 생활에서 필수품들이 되었고, 블루투스 기술은 이러한 휴대용 디바이스들에 대한 표준 구성이 되었다.
블루투스 기술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음악을 청취하는 것은 블루투스의 가장 소중한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이다. 고급 오디오 분배 프로파일(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2DP)은 블루투스 음악을 플레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된다. 종래의 블루투스 기술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비동기 접속-지향 논리 전송(A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ACL) 접속을 사용하여 송신되고, 현재, 블루투스 디바이스는 초 당 3 메가비트(Mb/s)의 최대 물리 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블루투스 사양에서의 물리 레이트에 의해 제한되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플레이될 오디오는 비교적 높은 압축 비율을 갖는 손실 압축 모드에서 송신되고, 상위-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상위-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는 단계-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및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가 2개의 상이한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변조되기 때문에,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추가로,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고,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변조 스킴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스킴 및 PDU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스킴은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디바이스는 결정된 변조 스킴에 기초하여 PDU를 복조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전술한 방법에서,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는 PDU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 물리 채널 상에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PDU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페이로드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페이로드는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가 완전한지를 검증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megahertz)이거나; 또는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4 MHz이고, 2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2개의 인접 물리 채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이 형성된다.
전술한 방법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상이한 물리 채널들의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데이터 송신 레이트들로 송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를 포함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8DPSK(8-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이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 또는 8DPSK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BLE 모드와 EDR 모드 사이의 호환성이 구현되고, 오디오 데이터가 고속으로 송신되는 동안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에 있다.
전술한 방법에서,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 내에 속하여, 원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절약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접속 종료 명령이 전송된다.
전술한 방법에서, 오디오 접속 종료 명령을 사용하여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 디바이스가 접속해제되어, 전송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회피하고, 리소스들의 낭비를 회피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추가로,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코덱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하는 단계- 코덱 파라미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함 -; 및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L2CAP를 사용하여 코딩 파라미터가 쿼리되고,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정상 오디오 플레이를 보장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함 -; 및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PDU를 복조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수신되고,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된다.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방법은 추가로,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고,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 및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다음으로 오디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복조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와 동일하고,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전술한 방법에서,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는 PDU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 물리 채널 상에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이러한 방법은 추가로, 전송 디바이스에 확인응답 메시지를 리턴하는 단계- 이러한 확인응답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에서, 확인응답 메시지가 전송 디바이스에 리턴되어, 수신 디바이스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지를 전송 디바이스에게 통지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하고;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고-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전술한 장치에 대해,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가 2개의 상이한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변조되기 때문에,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장치는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코덱 코덱을 추가로 포함하고;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고,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신기는 변조 스킴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PDU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페이로드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페이로드는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megahertz)이거나; 또는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4 MHz이고, 2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2개의 인접 물리 채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이 형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를 포함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8DPSK(8-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에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장치는 오디오 코덱 코덱을 추가로 포함하고; 코덱은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하도록 구성되고- 코덱 파라미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함 -; 코덱은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수신기 및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수신기는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함 -;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도록,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PDU를 복조하도록,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구성된다.
전술한 장치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수신되고,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된다.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장치는 오디오 코덱 코덱을 추가로 포함하고; 수신기는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코덱은,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캡슐화 모듈 및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캡슐화 모듈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고-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송신 모듈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가능한 설계에서, PDU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페이로드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페이로드는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megahertz)이거나; 또는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4 MHz이고, 2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2개의 인접 물리 채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이 형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를 포함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8DPSK(8-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에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장치는 코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코덱 모듈은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하도록 구성되고- 코덱 파라미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함 -; 코덱 모듈은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고속 오디오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수신 모듈 및 복조 모듈을 포함하고; 수신 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함 -; 복조 모듈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도록,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PDU를 복조하도록,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장치는 코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수신 모듈은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코덱 모듈은,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출원의 제7 양태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러한 명령어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 또는 이들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출원의 제8 양태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이러한 명령어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 또는 이들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형적인 블루투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프레임워크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 능력을 쿼리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을 구성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접속을 생성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송신 채널들의 분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오디오 물리 프레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PDU 데이터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PDU 패킷 헤더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접속을 종료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형적인 블루투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프레임워크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은 블루투스 호스트(Bluetooth Host) 및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을 포함한다. 블루투스 호스트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및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Higher Layer)의 제어 하에 호스트 제어기 인터페이스(Host Controller Interface, HCL)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블루투스 호스트는 블루투스 모듈에서의 호스트 제어기(Host Controller), 링크 관리자(LinkManager), 블루투스 오디오(Bluetooth audio), 기저대역 및 링크 제어, 및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사용하여 다른 블루투스 시스템과 데이터를 교환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 구조도이다. 블루투스 시스템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 블루투스 제어기(203),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 및 블루투스 제어기(204)를 포함한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는 블루투스 제어기(203) 및 블루투스 제어기(204)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에 전송한다.
전송 디바이스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 및 블루투스 제어기(203)를 포함한다. 수신 디바이스는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 및 블루투스 제어기(204)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송 디바이스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수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술적 해결책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디바이스에 또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인 경우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의 구조는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의 구조와 동일하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의 구조가 아래에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는 블루투스 호스트 프로토콜 스택 모듈(2011), 오디오 인코딩 모듈(2012), 및 직렬 통신 모듈(2013)을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때, 블루투스 호스트 프로토콜 스택 모듈(2011)은 오디오 인코딩 모듈(2012)을 사용하여 오디오 인코딩 관련 파라미터를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와 협상할 수 있다. 추가로, 블루투스 호스트 프로토콜 스택 모듈(2011)은 직렬 통신 모듈(2013)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제어기(203)는 펄스 코드 변조 모듈(2014), 직렬 통신 모듈(2015),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16), 블루투스 기저대역 모듈(2017), 및 무선 주파수 모듈(2018)을 포함한다.
펄스 코드 변조 모듈(2014)은 인코더 파라미터를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16)에 송신한다. 직렬 통신 모듈(2015)은 오디오 데이터를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2016)에 송신한다.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16)은 블루투스 기저대역 모듈(2017) 및 무선 주파수 모듈(2018)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송신한다.
수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4)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블루투스 제어기(203)의 설명들을 참조하고, 상세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S1: 비동기 접속-지향 논리 전송(A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logical transport, ACL) 접속을 생성함.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호스트 프로토콜 스택 모듈(2011)을 사용하여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로의 ACL 접속을 생성한다. 이러한 ACL 접속은 종래의 블루투스 ACL 접속 또는 BLE ACL 접속일 수 있다.
추가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는 논리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레이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및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코덱 파라미터를 협상한다.
S2: ACL 접속이 저 에너지 상태에 있음.
예를 들어, 오디오가 플레이되지 않거나 또는 오디오 플레이가 일시적으로 중단될 때, ACL 접속은 짧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저 에너지 상태에 있다.
예에서, 오디오가 플레이되지 않거나 또는 오디오 플레이가 일시적으로 중단될 때, 호흡 모드가 사용되고, 이러한 호흡 모드는 접속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여 장기 접속 모드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구현된다. 호흡 모드에서,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슬롯들의 수량이 감소되고,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청취되는 슬롯들의 수량이 대응하여 감소되어, 전력을 절약한다.
S3: 전송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로의 오디오 접속을 생성함.
전송 디바이스는,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수신 디바이스로의 오디오 접속을 생성한다.
S4: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함.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오디오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데이터에 대해 압축 코딩(손실 또는 무손실)을 수행한 후에 호스트 제어기 인터페이스(Host Controller Interface, HCI) 또는 인터-집적 회로 사운드 버스(Inter-IC Sound, I2S)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된다.
S5: PDU를 생성함.
도 2를 참조하면, 직렬 통신 모듈(2015)이 HCI 인터페이스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직렬 통신 모듈(2015)이 오디오 데이터를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16)에 송신하거나, 또는 펄스 코드 변조 모듈(2014)이 오디오 코덱 모듈(2012)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펄스 코드 변조 모듈(2014)이 오디오 데이터를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16)에 송신한다.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16)은 오디오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PDU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PDU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Header) 및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한다. 이러한 페이로드는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페이로드에서 운반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는 암호화 및 무결성 체크가 수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DU 데이터 포맷의 개략도이다. 선택적인 경우에, 페이로드가 송신을 위해 암호화되면, MIC는 암호화된 데이터의 무결성 체크 비트이거나; 또는 페이로드가 송신을 위해 암호화되지 않으면, MIC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DU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 헤더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러한 헤더는 피어 디바이스와의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음 시퀀스 번호(Next Sequence Number, NESN) 필드,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SN) 필드, 및 더 많은 데이터(More Data, MD) 필드를 포함한다. BLE ACL 패킷의 송신 메커니즘이 재사용된다. NESN의 길이는 1 비트이고; SN의 길이는 1 비트이고; MD의 길이는 1 비트이고; 미래 사용을 위한 예약(Reserve for future use, RFU) 필드의 길이는 2 비트이다. 예를 들어, 헤더는 페이로드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길이 표시 정보는 Length에 의해 표현되고, 선택적으로, Length의 길이는 11 비트이고, 유효 값은 0 내지 2047의 범위이다.
S6: PDU를 캡슐화함.
도 2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기저대역 모듈(2017)이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16)에 의해 협상되는 시간 시퀀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PDU를 캡슐화한다. 예를 들어, 시간 시퀀스 파라미터는 PDU의 최대 송신 길이, PDU의 최소 송신 간격, PDU의 최대 송신 간격, 및 PDU의 접속 앵커 시간을 포함한다. PDU의 접속 앵커 시간은 현재 송신되는 메시지의 시작 포인트 위치 이후의 시간 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PDU는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캡슐화되다, 즉, PDU 전에 하나의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추가된다. 선택적인 경우에,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0.45 내지 0.55 범위의 변조 인자를 갖는 GFSK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GFSK의 2M/4M 프레임 헤더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화된 PDU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물리 프레임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러한 물리 프레임에서의 일부 필드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1) 프리앰블(Preamble)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앰블 포맷의 개략도이다.
이러한 프리앰블의 시간은 항상 8 마이크로초이다. 고-해상도 2 MHz 채널의 프리앰블은 16 비트를 포함하고, 고-해상도 4 MHz 채널의 프리앰블은 32 비트를 포함한다. 액세스 어드레스의 처음 비트 "1"또는 "0"에 기초하여 비트 포맷 "1010" 또는 "0101"이 결정된다.
예에서, 액세스 어드레스의 처음 비트가 1이면, 프리앰블은 "1010"으로 시작하거나; 또는 액세스 어드레스의 처음 비트가 0이면, 프리앰블은 "0101"로 시작한다.
(2) 도 9를 참조하면, 액세스 어드레스는 32 비트를 포함하고, 블루투스 BLE 프로토콜에서의 포맷이 재사용된다.
(3) 도 8을 참조하면, GFSK의 트레일러는 12개의 전부-제로 비트들을 포함한다.
(4) 도 8을 참조하면, 보호 시간(Guard time)은 GFSK의 마지막 트레일러 비트로부터 DPSK 동기화 워드(동기 워드)의 처음 비트까지 계산되는 간격이다.
예에서, 보호 시간은 5 마이크로초일 수 있지만; 그러나, 실제 변동을 고려하면, 보호 시간은 +/- 0.25 마이크로초 내에서 변경되는 것이 허용된다. 보호 시간의 값들은 전부 0일 수 있거나, 또는 반복되는 0101일 수 있다.
(5) 도 8을 참조하면, DQPSK 변조 스킴의 동기 워드는 11개의 심볼들이고,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EDR DQPSK 설계를 따른다: 처음 심볼은 임의의 위상(참조)이고, 마지막 10개의 심볼들의 비트들은 0, 1, 1, 1, 0, 1, 1, 1, 0, 1, -1, 1, 1, 1, 0, 1, 0, 1, 및 1이다.
8DPSK 변조 스킴의 동기 워드는 11개의 심볼들이고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EDR8DPSK 설계를 따른다: 처음 심볼은 참조이고, 마지막 10개의 심볼들의 비트들은 0, 1, 0, 1, 1, 1, 0, 1, 0, 1, 1, 1, 0, 1, 0, 1, 1, 1, 1, 1, 1, 0, 1, 0, 0, 1, 0, 0, 1, 및 0이다.
(6) 도 8을 참조하면, CRC 설계는 BLE PDU의 CRC 구조를 따른다, 즉, CRC는 총 24 비트를 포함한다. LFSR 함수는 X24 + X10 + X9 + X6 + X4 + X3 + X + 1이다.
(7) 도 8을 참조하면, DPSK의 트레일러는 2개의 심볼들의 전부-제로 비트들이다.
DQPSK 변조 스킴의 트레일러 비트는 {00, 00} 이고, D8PSK 변조 스킴의 트레일러 비트는 {000, 000}이다.
S7: 캡슐화된 PDU를 전송함.
무선 주파수 모듈(2018)이, 무선 주파수 모듈(2028)에,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를 전송한다.
S8: 블루투스 제어기(204)가 데이터를 수신함.
무선 주파수 모듈(2028)이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음으로 복조를 위해 블루투스 기저대역 모듈(2027)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음으로 데이터를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27)에 송신한다.
ACL 및 오디오 접속 관리 모듈(2027)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것, 및 오디오 데이터를 직렬 통신 모듈(2025) 또는 펄스 코드 변조 모듈(2024)에 송신하는 것을 담당한다.
S9: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함.
직렬 통신 모듈(2025) 또는 펄스 코드 변조 모듈(2024)이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 모듈(2022) 또는 직렬 통신 모듈(2023)에 송신한다.
S10: 블루투스 호스트 프로토콜 스택 모듈(2021)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함.
오디오 코덱 모듈(2022) 또는 직렬 통신 모듈(2023)이 오디오 데이터를 블루투스 호스트 프로토콜 스택 모듈(2021)에 송신한다.
S11: 오디오 데이터를 플레이함.
블루투스 호스트 프로토콜 스택 모듈(2021)이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한다. 오디오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인 경우에,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리턴하고, 이러한 확인응답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에서, 이러한 확인응답 메시지는 BLE 공백 패킷일 수 있다. 이러한 공백 패킷은 GFSK 변조 스킴을 사용하기 때문에, 간섭-방지 능력이 강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의한 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 파라미터를 협상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이러한 협상은 다음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401: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GET_AUDIO_CODEC_CAPACITY_REQ 메시지를 전송함.
전송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 ACL 접속이 수립된 후, 전송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의 오디오 코덱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할 수 있고; 대응하여, 수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의 코덱 파라미터를 또한 쿼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 능력을 쿼리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논리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채널에 기초하여 오디오 디코딩 능력이 쿼리된다.
전송 디바이스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전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는 전송 디바이스(203)의 블루투스 제어기, 수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4), 및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1)를 사용하여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한다.
먼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는 전송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3), 수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4), 및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를 사용하여 GET_AUDIO_CODEC_CAPACITY_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코덱 인덱스를 학습한다. 코덱 인덱스는 코덱 파라미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에서, 코덱 인덱스는 코덱 0 및 코덱 1을 포함한다.
표 1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GET_AUDIO_CODEC_CAPACITY_REQ 메시지의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1
표 1에서, 세션 식별자의 유효 범위는 1 내지 128일 수 있다.
메시지의 명령 식별자는 GET_AUDIO_CODEC_CAPACITY_REQ이고, 1의 값을 갖는다.
코덱(CODEC) 인덱스는 0으로부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코덱 인덱스가 0xff일 때, 모든 코덱 능력이 리턴된다.
402: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가 GET_AUDIO_CODEC_CAPACITY_RSP를 전송함.
다음으로,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가 수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4), 전송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3), 및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를 사용하여 GET_AUDIO_CODEC_CAPACITY_RSP를 전송하여, 코덱 능력 쿼리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코덱 파라미터를 학습한다. 예에서, 코덱 인덱스는 코덱 0 및 코덱 1을 포함하고, GET_AUDIO_CODEC_CAPACITY_RSP 메시지는 0을 갖는 코덱 파라미터 및 1을 갖는 코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표 2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GET_AUDIO_CODEC_CAPACITY_RSP의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2
표 2에서, 세션 식별자의 유효 범위는 1 내지 128일 수 있다.
명령 식별자는 GET_AUDIO_CODEC_CAPACITY_RSP이고, 2의 값을 갖는다.
표 3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코덱 파라미터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Figure pct00003
표 1 내지 표 3에 도시되는 메시지 포맷들은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들이고, 메시지 포맷을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표들에 제공되는 파라미터들의 값들 및 범위들 또한 선택적이다. 메시지 포맷 또는 파라미터 값 중 어느 것도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획득된 코덱 능력에 기초하여,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는 구체적인 코덱 코덱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와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협상된 인코딩 타입, 송신 모드, 샘플링 레이트, 및 오디오 채널을 구성하여,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및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가 일관된 코덱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코덱을 구성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이러한 오디오 코덱 구성 프로시저는 다음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501: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AUDIO_CONFIG_CODEC_REQ 메시지를 전송함.
먼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전송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3), 수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4), 및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를 사용하여 AUDIO_CONFIG_CODEC_REQ 메시지를 전송하여, 코덱 인덱스에 기초하여 코덱 파라미터를 선택한다. 예에서, 코덱 인덱스가 코덱 0 및 코덱 1을 포함하면, 0을 갖는 코덱 파라미터 및 1을 갖는 코덱 파라미터가 GET_AUDIO_CODEC_CAPACITY_RSP 메시지에서 리턴될 수 있다.
표 4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AUDIO_CONFIG_CODEC_REQ 메시지의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4
표 4에서, 세션 식별자는 1로부터 시작하고, 상이한 요청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명령 식별자는 AUDIO_CONFIG_CODEC_REQ이고, 3의 값을 갖는다.
코덱 인덱스의 유효 값은 0으로부터 시작한다. 예를 들어, 코덱 인덱스는 표 2에 도시되는 GET_AUDIO_CODEC_CAPACITY_RSP 메시지에서 리턴되는 코덱 리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502: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가 AUDIO_CONFIG_CODEC_CFM 메시지를 전송함.
다음으로,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가 수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4) 및 전송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제어기(203)를 사용하여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AUDIO_CONFIG_CODEC_CFM 메시지를 전송하여, 코덱 파라미터의 구성 상태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통지한다. 예에서, 구성 상태가 0이면, 이는 코덱 파라미터가 성공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표시하거나; 또는 구성 상태가 0이 아니면, 이는 코덱 파라미터가 성공적으로 구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한다.
표 5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AUDIO_CONFIG_CODEC_CFM 메시지의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5
표 5에서, 세션 식별자는 1로부터 시작하고, 수신된 AUDIO_CONFIG_CODEC_REQ 메시지의 세션 식별자에 대응한다.
명령 식별자는 AUDIO_CONFIG_CODEC_CFM이고, 4의 값을 갖는다.
구성 상태에 대해, 0은 성공을 표시하고, 다른 값은 에러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접속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즉, S3의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접속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이러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601: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셋업 오디오 스트림 명령을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함.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오디오 접속이 생성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물리 채널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4 Mb/s, 6 Mb/s, 8 Mb/s, 또는 12 Mb/s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디오 접속을 생성하는 프로세스에서,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물리 채널이 결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는 셋업 오디오 스트림 명령을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하여, 오디오 스트림이 송신되는 물리 채널을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예에서, 0은 4 Mb/s의 레이트로 물리 채널을 표시하고; 1은 6 Mb/s의 레이트로 물리 채널을 표시하고; 2는 8 Mb/s의 레이트로 물리 채널을 표시하고; 3은 12 Mb/s의 레이트로 물리 채널을 표시한다.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물리 채널은 수를 사용하여 학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6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셋업 오디오 스트림 명령의 포맷을 도시한다.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물리 채널을 식별하기 위해 Phy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602: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셋업 오디오 명령 완료 이벤트 메시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전송함.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셋업 오디오 명령 완료 이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셋업 오디오 스트림 메시지를 실행한 결과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통지한다. 선택적으로, 블루투스 제어기(203)는 셋업 오디오 명령 완료 이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오디오 접속 식별자를 현재 오디오 스트림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표 7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셋업 오디오 명령 완료 이벤트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7
선택적인 경우에, 블루투스 제어기에 의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에 리턴되는 셋업 오디오 명령 완료 이벤트 메시지의 "상태(status)"가 0일 때, 이는 오디오 스트림 셋업 명령이 성공적으로 실행된다는 점을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태(status)"가 1일 때, 이는 오디오 스트림 셋업 명령 파라미터가 무효라는 점을 표시한다.
603: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을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함.
예를 들어,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은 오디오 스트림 명령, 즉,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셋업 오디오 명령 완료 이벤트 이벤트를 사용하여 할당되는 오디오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여 현재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에 동의하는지 또는 동의하지 않는지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표 8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의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8
예를 들어,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에서의 "인에이블(enable)"이 0일 때, 이는 할당된 오디오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여 현재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에서의 "인에이블(enable)"이 1일 때, 이는 할당된 오디오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여 현재 오디오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동의한다는 점을 표시한다.
604: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상태 메시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전송함.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상태 메시지는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명령이 실행된 후에 상태를 리턴하기 위해, 즉,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는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상태 메시지에 대해, 예를 들어, 표 9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상태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09
605: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AUDIO_CONNECTION_REQ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전송하여, 전송 디바이스와 수신 디바이스 사이의 오디오 접속을 셋업하도록 요청함.
예를 들어, 표 10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AUDIO_CONNECTION_REQ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10
606: 블루투스 제어기(204)가 오디오 스트림 요청 이벤트 메시지를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에 전송하여, 오디오 접속 요청이 존재한다는 점을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에 통지함.
예를 들어, 표 11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 요청 이벤트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11
607: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가 오디오 스트림 수락 명령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전송하여,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가 블루투스 제어기(204)에게 오디오 접속 요청을 수락하라고 명령함.
예를 들어, 표 12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 수락 명령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12
예를 들어, 오디오 스트림 수락 명령 메시지는 오디오 접속 식별자를 운반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오디오 접속 식별자는 0 내지 256의 범위의 임의의 정수일 수 있고, 현재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이 송신되는 오디오 접속이 이러한 오디오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608: 블루투스 제어기(204)가 AUDIO_CONNECTION_RSP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함. 예를 들어, 이러한 AUDIO_CONNECTION_RSP 메시지는 ACL 제어 PDU 메시지일 수 있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메시지 상태를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리턴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에서, 파라미터가 0일 때, 리턴된 메시지 상태는 "AUDIO_CONNECTION_REQ 메시지를 수락함(accepting the AUDIO_CONNECTION_REQ message)"이거나; 또는 파라미터가 1일 때, 리턴된 메시지 상태는 "무효 파라미터(invalid parameter)"이거나; 또는 파라미터가 2일 때, 리턴된 메시지 상태는 "시스템 혼잡(system busy)"이거나; 또는 파라미터가 3일 때, 리턴된 메시지 상태는 "불충분한 리소스들(insufficient resources)"이다.
예를 들어, 표 13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AUDIO_CONNECTION_RSP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13
609: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AUDIO_CONNECTION_CONFIRM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전송하여, 오디오 접속 요청이 수락될 수 있다는 점을 표시함.
예를 들어, 표 14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AUDIO_CONNECTION_CONFIRM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다.
Figure pct00014
610: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오디오 접속 준비 이벤트 메시지를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1)에 전송함.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오디오 접속 준비 이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오디오 접속이 이미 수립되었다고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통지하거나, 블루투스 제어기(204)가, 오디오 접속 준비 이벤트 메시지에 기초하여, 오디오 접속이 이미 수립되었다고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에 통지할 수 있고; 다음으로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와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 사이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5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접속 준비 이벤트 이벤트의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다.
Figure pct00015
611: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함.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오디오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데이터에 대해 압축 코딩(손실 또는 무손실)을 수행한 후에 호스트 제어기 인터페이스(Host Controller Interface, HCI) 또는 인터-집적 회로 사운드 버스(Inter-IC Sound, I2S)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된다.
612: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LL_AUDIO_DATA를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전송함.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를 전송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변조는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송신 채널들의 분배의 개략도이다.
블루투스 기본 레이트(Basic Rate, BR) 및 EDR 모드는 1 MHz의 대역폭에 기초하고, 채널 중심 주파수들은 2402 MHz, 2403 MHz, 2404 MHz, ..., 2479 MHz 및 2480 MHz이고, 총 79개의 채널들이 존재한다.
BLE는 2 MHz의 대역폭에 기초하고, 채널 중심 주파수들은 2402 MHz, 2404 MHz, 2406 MHz, ..., 2478 MHz, 및 2480 MHz이고, 총 40개의 채널들이 존재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해상도 오디오 송신을 위한 2개의 대역폭들: 2 MHz 및 4 MHz가 존재한다. 블루투스 채널들의 공존을 위해 그리고 기존 블루투스 채널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해상도 2 MHz 모드에서는, 동일한 BLE 2 MHz 물리 채널들이 분배되고, 한편 고-해상도 4 MHz 모드에서는, BLE 2 MHz 물리 채널들은 집성되어 2개의 인접 2 MHz 물리 채널들을 4 MHz 물리 채널로 조합하고, 4 MHz 물리 채널의 중심 주파수는 2개의 인접 2 MHz 물리 채널들의 중심 주파수들의 평균 값과 동일하다. 고-해상도 4 MHz 모드에 대해 총 20개의 채널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것은 많은 국가에들서 주파수 호핑 시스템에 대해 적어도 20개의 채널들에 대한 액세스 요건을 따른다.
선택적인 경우에, 블루투스 프로토콜에서의 음성 송신은 EDR 모드에서 수행되고, 프레임 헤더는 0.32의 변조 인자를 갖는 GFSK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페이로드는 DQPSK 또는 8DPSK를 사용하여 변조되고, 심볼 레이트는 1 MHz이다. DQPSK의 비트 레이트는 심볼 레이트의 2배, 즉, 2 Mbps이고; 8DPSK의 비트 레이트는 심볼 레이트의 3배, 즉, 3 Mbps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심볼 레이트는 변조 레이트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거나, 또는 비트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EDR의 특징은 블루투스 기술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2.1 Mbps까지 증가시키는 것이다. 더 안정적인 오디오 스트림 송신 및 더 낮은 전력 소비를 달성하는 것 외에도, 대역폭의 이점은 복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을 접속하기 위해 완전히 사용될 수 있다.
BLE는 저-비용이고, 단거리이고, 상호운용가능하고, 강건한 무선 기술이다. BLE는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지능형 수단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가변 접속 시간 간격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격은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수 밀리초 내지 수 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BLE는 매우 빠른 접속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절전 상태가 일반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링크의 2개의 단부들은 피어 단부가 여전히 접속된다는 것만을 안다. 링크는 필요할 때만 인에이블되고, 다음으로 링크는 최단 가능한 시간에 디스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는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캡슐화되어,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할 수 있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BLE 물리 채널 상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전송될 수 있다.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Hz(hertz)의 단위에서의 심볼 레이트이고,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pbs의 단위에서의 비트 레이트이고,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과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 사이의 비율 관계가 일반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GFSK 변조 스킴에서의 하나의 심볼은 하나의 정보 비트를 운반하고, 따라서, GFSK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심볼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비트 레이트)와 동일하고; DQPSK 변조 스킴에서의 하나의 심볼은 2개의 정보 비트들을 운반하고, 따라서, 2*DQPSK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심볼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비트 레이트)와 동일하고; 8DPSK 변조 스킴에서의 하나의 심볼은 3개의 정보 비트들을 운반하고, 따라서 3*DQPSK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심볼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비트 레이트)와 동일하다. 변조 레이트의 단위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것과 상이하기 때문에, 전술한 비례 관계는, 단위에 상관없이, 값들 사이의 비율을 표시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디지털 신호에 대한 3개의 변조 방법들: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 및 위상 변조가 존재한다. 다른 다양한 변조 방법들은 이러한 3개의 방법들의 개선된 조합들이다. GMSK는 최소 시프트 키잉(Minimum Shift Keying, MSK)의 개선이고, MSK 변조기 전에 가우시안 저역 통과 사전-변조 필터를 삽입하여 스펙트럼 이용을 증가시키고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예에서, 프레임 헤더에 대한 변조 스킴은 GFSK일 수 있다. 또한, GFSK의 변조 인자가 BLE에서의 GFSK의 변조 인자와 동일할 때, 디바이스를 업데이트할 필요 없이, 원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절약한다. BLE에서의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 범위이다, 즉, BLE에서의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이상이고, 0.55 이하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EDR 모드에 기초하여 송신될 수 있다. 블루투스 BLE 모드와의 조합에 대해,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의 GFSK의 변조 인자는 BLE에서의 GFSK의 변조 인자와 동일하다. 즉,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0.45 내지 0.55 범위의 변조 인자를 갖는 GFSK 스킴을 사용하고, 페이로드는 DQPSK 또는 8DPSK를 사용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대한 변조 스킴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이라고 지칭되고, 페이로드에 대한 변조 스킴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이라고 지칭된다. 제1 디지털 변조 스킴과 제2 디지털 변조 스킴과 데이터 송신 레이트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는 2개의 상이한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변조되기 때문에,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의 변조 레이트는 PDU의 변조 레이트와 상이하고,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될 수 있다.
예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변조 스킴은 GFSK이고, 페이로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변조 스킴은 DQPSK 또는 8DPSK이다.
GFSK 변조 스킴에 대해,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GFSK의 변조 레이트와 동일하다.
DQPSK 변조 스킴에 대해,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DQPSK의 변조 레이트의 2배이다.
8DPSK 변조 스킴에 대해,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8DPSK의 변조 레이트의 3배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해상도 2 MHz 모드의 변조 레이트는 2 MHz이고, 고-해상도 2 MHz 모드에서의 GFSK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2 MHz이고, 고-해상도 2 MHz 모드에서의 DQPSK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변조 레이트의 2배, 즉, 4 Mbps이고, 8DPSK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변조 레이트의 3배, 즉, 6 Mbps이다.
고-해상도 4 MHz 모드의 변조 레이트는 4 MHz이고, 고-해상도 4 MHz 모드에서의 GFSK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4 MHz이고, 고-해상도 4 MHz 모드에서의 DQPSK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변조 레이트의 2배, 즉, 8 Mbps이고, 8DPSK의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변조 레이트의 3배, 즉, 12 Mbps이다.
고-해상도 2 MHz 모드에서는, 최고 데이터 송신 레이트가 6 Mbps이고; 고-해상도 4 MHz 모드에서는, 최고 데이터 송신 레이트가 12 Mbps라는 점을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명백히,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은 3 Mb/s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될 수 있다.
표 16은 블루투스 음성과 비트 레이트 사이의 대응관계를 도시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EDR 모드에 기초하여 2 MHz의 대역폭 또는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는 점을 표 16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다. 프레임 헤더는 BLE 변조 인자와 동일한 변조 인자를 갖는 GFSK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페이로드는 DQPSK 또는 8DPSK를 사용하여 변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데이터는 BLE 채널 상에서 EDR 모드로 송신될 수 있다.
Figure pct00016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는 오디오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 블루투스 제어기(203), 및 블루투스 제어기(204)를 사용하여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에 송신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접속을 종료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1201: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을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함.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가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을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하여, 오디오 접속을 종료하기 위해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의 메시지 포맷에 대해서는, 표 17을 참조하고, 인에이블 파라미터는 0 이고, 0은 오디오 접속을 종료하는 것을 표시한다.
Figure pct00017
1202: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상태 메시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전송함.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상태 메시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전송하여,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이 실행된 후의 상태를 리턴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인에이블 오디오 스트림 명령 상태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에 대해서는 표 9를 참조한다.
1203: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AUDIO_DISCONNECT_REQ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전송함.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AUDIO_DISCONNECT_REQ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4)에 전송하여, 오디오 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식별자가 요구된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AUDIO_DISCONNECT_REQ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서는, 표 18을 참조한다.
Figure pct00018
1204: 블루투스 제어기(204)가 AUDIO_DISCONNECT_CFM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함.
블루투스 제어기(204)가 AUDIO_DISCONNECT_CFM 메시지를 블루투스 제어기(203)에 전송하여, 오디오 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식별자가 요구된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AUDIO_DISCONNECT_CFM 메시지의 포맷에 대해서는, 표 19를 참조한다.
Figure pct00019
1205: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 및 블루투스 제어기(204)를 사용하여 오디오 스트림 접속해제 이벤트 이벤트를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에 전송함.
블루투스 제어기(203)가 오디오 스트림 접속해제 이벤트 이벤트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에 전송하고, 블루투스 제어기(204)가 오디오 스트림 접속해제 이벤트 이벤트를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에 전송하여, 오디오 접속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었는지를 통지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스트림 접속해제 이벤트 이벤트의 포맷에 대해서는, 표 20을 참조한다.
Figure pct00020
지금까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코덱 파라미터가 먼저 협상되고, 다음으로 오디오 코덱 파라미터가 구성된다. 오디오 접속이 생성된 후,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201)는 블루투스 제어기(204) 및 블루투스 제어기(203)를 사용하여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202)와 오디오를 송신한다. 최종적으로, 오디오 접속이 종료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는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S1301: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함-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전송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에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전송 디바이스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에 기초하여 프레임 헤더를 변조한다. 예에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변조 스킴은 GFSK일 수 있다.
블루투스 BLE 모드와의 조합에 대해, 프레임 헤더는 0.45 내지 0.55 범위의 변조 인자를 갖는 GFSK 스킴을 사용할 수 있다. PDU는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예에서, PDU는 DQPSK 또는 8DPSK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S1302: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함.
전송 디바이스는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디바이스는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캡슐화된 PDU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가 2개의 상이한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변조되기 때문에,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덱은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생성하여, 이러한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고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고; 변조 스킴 식별자를 전송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스킴 및 PDU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스킴은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 디바이스는 결정된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를 변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다.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는 PDU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 물리 채널 상에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디바이스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가 완전한지를 검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이거나; 또는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4 MHz이고, 2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2개의 인접 물리 채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이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상이한 대역폭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송신 레이트들로 송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를 포함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 또는 8DPSK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BLE 모드와 EDR 모드 사이의 호환성이 구현되고, 오디오 데이터가 고속으로 송신되는 동안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에 있어, 원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술적 해결책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절약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L2CAP를 사용하여 코덱 코덱 파라미터가 쿼리될 수 있고, 이러한 코덱 파라미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이러한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는 암호화 또는 무결성 체크와 같은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예에서, 코덱 파라미터가 0의 인덱스를 갖고 0에 의해 표시되면, 이는 코딩 파라미터가 16 비트의 샘플링 레이트(16000)를 지원한다는 점을 표시하거나; 또는 코덱 파라미터가 1의 인덱스를 갖고 1에 의해 표시되면, 이는 코딩 파라미터가 16 비트의 샘플링 레이트(32000)를 지원한다는 점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코딩 파라미터는 L2CAP를 사용하여 쿼리되고,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정상 오디오 플레이를 보장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는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S1401: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함-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를 포함함 -.
수신 디바이스는,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 또는 4 MHz이다.
S1402: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PDU를 복조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함-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수신 디바이스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PDU를 복조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에서,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GFSK에 기초하여 변조된다, 즉,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GFSK를 사용하여 복조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에서,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 또는 8DPSK이고,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PDU는 DQPSK 또는 8DPSK를 사용하여 복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수신되고,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된다.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 디바이스는,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고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복조한다는 점을 학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수신하지 않을 때, 확인응답 메시지는 전송 디바이스에 리턴될 필요가 있고, 이러한 확인응답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는 오디오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었다는 것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예에서, BLE 공백 패킷이 사용될 수 있다, 즉, BLE 공백 패킷이 전송 디바이스에 리턴되어,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표시한다. BLE 공백 패킷이 GFSK 변조 스킴을 사용하기 때문에, 간섭-방지 능력이 강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전송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는 도 13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에 대응한다. 도 15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1501)가 오디오 데이터를 기저대역 프로세서(1502)에 전송하고; 기저대역 프로세서(1502)가 오디오 데이터의 PDU를 캡슐화하고; 다음으로 송신기(1503)가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1501)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502)는,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고,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다.
송신기(1503)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1501)는 전력 증폭기, 멀티미디어 콘솔, 디지털 오디오 믹서, 오디오 샘플링 카드, 합성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된다.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가 2개의 상이한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변조되기 때문에,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이 지원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일 수 있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PDU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페이로드는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이거나; 또는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4 MHz이고, 2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2개의 인접 물리 채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이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 또는 8DPSK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이다, 즉,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이상이고, 0.55 이하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1501)는 오디오 코덱(15011)을 추가로 포함한다. 오디오 코덱(15011)은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501)는,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PDU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스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디오 전송 디바이스의 기저대역 프로세서(1501)는 결정된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를 변조할 수 있다. 추가로, 송신기(1502)는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수신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변조 스킴들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를 복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코덱(15011)은 L2CAP를 사용하여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하고, 코덱 파라미터는 오디오 데이터의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추가로, 코덱(15011)은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 코딩 파라미터는 L2CAP를 사용하여 쿼리되고,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는 인코딩되어, 정상 오디오 플레이를 보장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의 개략 구조도이고, 오디오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는 도 14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에 대응한다.
도 16에서의 오디오 데이터 송신 디바이스는 수신기(1601), 기저대역 프로세서(1602), 및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1603)를 구체적으로 포함한다.
수신기(1601)는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기저대역 프로세서(1602)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복조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1603)는 기저대역 프로세서(1602)에 의해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기(1601)는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602)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PDU를 복조하여, 페이로드에서 운반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다.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1603)는 기저대역 프로세서(1602)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BLE 물리 채널 상에서 수신되고,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되고,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복조된다. PDU에 대한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는 데이터 송신 레이트보다 더 낮다, 즉, 동일한 심볼이 더 많은 비트들을 운반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고-해상도 오디오 데이터의 송신을 지원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수신 디바이스(1603)는 오디오 코덱(16031)을 추가로 포함한다.
수신기(1601)는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코덱(16031)은,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PDU가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디지털 변조 스킴 및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다음으로 오디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복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수신기(1601)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때 또는 수신하지 않을 때, 확인응답 메시지는 전송 디바이스에 리턴될 필요가 있고, 이러한 확인응답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는 오디오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었다는 것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예에서, BLE 공백 패킷이 사용된다, 즉, BLE 공백 패킷이 전송 디바이스에 리턴되어,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표시한다. BLE 공백 패킷이 GFSK 변조 스킴을 사용하기 때문에, 간섭-방지 능력이 강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전송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1700)는 입력 디바이스(1701), 입력 인터페이스(1702), 프로세서(1703), 메모리(1704), 출력 인터페이스(1705), 및 출력 디바이스(1706)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702), 프로세서(1703), 메모리(1704), 및 출력 인터페이스(1705)는 버스(1710)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된다. 입력 디바이스(1701) 및 출력 디바이스(1706)는 입력 인터페이스(1702) 및 출력 인터페이스(1705)를 각각 사용하여 버스(1710)에 접속되어, 컴퓨팅 디바이스(170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입력 디바이스(1701)는 외부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입력 정보를 입력 인터페이스(1702)를 사용하여 프로세서(1703)에 송신한다. 프로세서(1703)는 메모리(1704)에 저장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에 따라 입력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출력 정보를 메모리(1704)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출력 정보를 출력 인터페이스(1705)를 통해 출력 디바이스(1706)에 송신한다. 출력 디바이스(1706)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위해 출력 정보를 컴퓨팅 디바이스(1700)의 외부에 출력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700)는 본 출원에서의 전술한 통신 방법에서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3)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들(영문: 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1) 또는 프로세서(1701)가 하나의 CPU일 때, 이러한 CPU는 싱글-코어 CPU 또는 멀티-코어 CPU일 수 있다.
메모리(1704)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하드 디스크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메모리(1704)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때,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컴퓨터 상에서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시저 또는 기능들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장치들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는,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 섬유 또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으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 매체를 집적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SD(Solid State Disk)))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전부 점진적인 방식으로 설명된다. 실시예들에서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들에 대해, 이러한 실시예들 사이에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로부터의 차이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장치 및 시스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들과 유사하고, 따라서 간략하게 설명되고; 관련 부분들에 대해서는,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설명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3)

  1.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상기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및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로,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PDU가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페이로드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megahertz)이거나; 또는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4 MHz이고, 2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2개의 인접 물리 채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이 형성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8DPSK(8-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로,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코덱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하는 단계- 상기 코덱 파라미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함 -; 및
    상기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9.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함 -; 및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고,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상기 PDU를 복조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로,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PDU가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은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 후에, 상기 방법은 추가로,
    확인응답 메시지를 리턴하는 단계-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송신 방법.
  13. 오디오 데이터 디바이스로서, 상기 장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PDU(protocol data unit)를 캡슐화하여,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고-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상기 PDU는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변조되고,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상기 송신기는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로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코덱 코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PDU가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는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는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페이로드 페이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어 레이어 프레임 헤더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2 MHz(megahertz)이거나; 또는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대역폭은 4 MHz이고, 2 MHz의 대역폭을 각각 갖는 2개의 인접 물리 채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4 MHz의 대역폭을 갖는 물리 채널이 형성되는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은 GFSK(Gaussian frequency-shift keying)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은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8DPSK(8-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FSK의 변조 인자는 0.45 내지 0.55의 범위에 있는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오디오 코덱 코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코덱은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코덱 파라미터를 쿼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덱 파라미터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함 -;
    상기 코덱은 상기 코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1. 오디오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수신기 및 기저대역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BLE(Bluetooth low energy) 물리 채널 상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패킷은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 및 PDU(protocol data unit)를 포함함 -;
    상기 기저대역 처리 모듈은,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를 복조하도록,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하여 상기 PDU를 복조하도록,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과 동일하고,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은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보다 작음 - 구성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오디오 코덱 코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BLE 물리 채널의 변조 스킴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덱은,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 레이어 프레임 헤더가 상기 제1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그리고, 상기 변조 스킴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PDU가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을 사용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레이트의 값은 상기 제2 디지털 변조 스킴의 변조 레이트의 값의 N배이고, N은 1보다 큰 정수인 장치.
KR1020207026116A 2018-02-14 2019-01-08 오디오 데이터 고속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392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51616.7A CN110166989B (zh) 2018-02-14 2018-02-14 一种高速传输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CN201810151616.7 2018-02-14
PCT/CN2019/070803 WO2019157886A1 (zh) 2018-02-14 2019-01-08 一种高速传输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301A true KR20200119301A (ko) 2020-10-19
KR102392501B1 KR102392501B1 (ko) 2022-04-29

Family

ID=6762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116A KR102392501B1 (ko) 2018-02-14 2019-01-08 오디오 데이터 고속 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489614B2 (ko)
EP (1) EP3742772A4 (ko)
JP (1) JP6988005B2 (ko)
KR (1) KR102392501B1 (ko)
CN (3) CN113489568B (ko)
BR (1) BR112020016405A2 (ko)
WO (1) WO2019157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10A1 (ko) * 2021-09-24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패킷 송수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9568B (zh) * 2018-02-14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传输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CN111065083A (zh) * 2019-12-31 2020-04-24 锐迪科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5086924A (zh) * 2021-03-12 2022-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6965070A (zh) * 2021-05-21 2023-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短距离无线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4697401A (zh) * 2022-03-14 2022-07-01 广州广哈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音频数据传输方法
CN115132213A (zh) * 2022-06-27 2022-09-30 哲库科技(上海)有限公司 音频数据传输方法、装置、芯片、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276906B (zh) * 2022-07-25 2024-04-05 哲库科技(上海)有限公司 数据帧传输方法、装置、芯片、存储介质和蓝牙设备
CN115276907B (zh) * 2022-07-25 2024-02-06 哲库科技(上海)有限公司 数据帧传输方法、装置、芯片、存储介质和蓝牙设备
CN115277323A (zh) * 2022-07-25 2022-1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帧传输方法、装置、芯片、存储介质和蓝牙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5348B2 (en) * 2011-07-29 2013-10-22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US9408147B2 (en) * 2012-09-24 2016-08-02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rate physical layer for Bluetooth™ low energy
US9756455B2 (en) * 2015-05-28 2017-09-05 Sony Corpor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udio data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19137B1 (en) 2000-01-20 2006-08-16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operability for bluetooth/IEEE 802.11
JP2002261738A (ja) * 2001-02-05 2002-09-13 Texas Instruments Inc 無線パケット通信の方法および装置
US7305043B2 (en) 2002-10-17 2007-12-04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signals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8254267B2 (en) * 2003-07-15 2012-08-28 Agere Systems Inc. Extensible traffic generator for synthesis of network data traffic
JP4485297B2 (ja) * 2004-09-08 2010-06-1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復調回路集積の半導体集積回路、復調方法及び受信機
CN101047677B (zh) * 2006-03-31 2012-07-04 豪威国际控股有限公司 一种gfsk信号多比特解调法
CN100536568C (zh) * 2006-08-16 2009-09-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多媒体广播控制信息与媒体信息区分传送的方法
CN101163130A (zh) * 2006-10-13 2008-04-16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处理帧碰撞的方法及系统
US7983235B2 (en) 2007-11-05 2011-07-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 speed overlay mode for burst data and real time streaming (audio) applications
CN101222793B (zh) * 2008-01-25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蓝牙立体声音质的方法及系统
US8111716B2 (en) 2008-02-15 2012-02-07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data signals in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system
US8159990B2 (en) 2009-03-11 2012-04-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audio data distribution using broadcast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hannels
CN101902816A (zh) * 2009-05-27 2010-12-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保护子载波的资源映射及资源映射指示方法
US8331273B2 (en) 2009-08-28 2012-12-11 Mediatek Inc. Communication methods employed in communication system associated with programmable communication protocols, and related transmitting methods, receiv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1969336B (zh) * 2010-04-22 2013-06-19 哈尔滨海能达科技有限公司 一种dmr数字集群系统多信道联合中速率数据传输方法
US8934572B2 (en) * 2010-08-31 2015-01-13 Broadcom Corporation Phase rotation for preambles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CN102355309A (zh) * 2011-08-09 2012-0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多种采样率的蓝牙立体声的实现方法和装置
US9326238B2 (en) * 2011-09-26 2016-04-26 Broadcom Corporation Smart meter media access control (MAC) for single use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538333B2 (en) 2011-12-16 2013-09-17 Arbitron Inc. Media exposure linking utilizing bluetooth signal characteristics
CN102739587B (zh) * 2012-06-16 2014-05-21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音频数据传输方法
CN102769590B (zh) 2012-06-21 2014-11-05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音频通信调制方式自适应的方法、系统、装置、电子签名工具
EP2921027A4 (en) 2012-11-19 2016-07-13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OW ENERGY BLUETOOTH DATA PACKET COMPRISING AUDIO - LOADING DATA.
US9008917B2 (en) * 2012-12-27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roximity of an end device to a vehicle based on signal strength information received over a bluetooth low energy (BLE) advertising channel
CN103747441B (zh) * 2013-12-10 2019-08-06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无线网络接入方法及接入装置
US9712951B2 (en) * 2014-05-09 2017-07-18 Apple Inc. Extended bluetooth communication modes
US9813189B2 (en) * 2014-09-09 2017-11-07 Mediatek Inc. Rate indication and link adaptation for variable data rates in long range wireless networks
CN105657739B (zh) * 2016-01-29 2019-03-22 深圳市极致汇仪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综测仪蓝牙信号帧同步检测方法
US10462808B2 (en) * 2017-04-13 2019-10-29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wireless networks
CN113489568B (zh) * 2018-02-14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速传输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5348B2 (en) * 2011-07-29 2013-10-22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US9408147B2 (en) * 2012-09-24 2016-08-02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rate physical layer for Bluetooth™ low energy
US9756455B2 (en) * 2015-05-28 2017-09-05 Sony Corpor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udio data transmis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410A1 (ko) * 2021-09-24 2023-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패킷 송수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89568A (zh) 2021-10-08
WO2019157886A1 (zh) 2019-08-22
CN110166989B (zh) 2021-06-01
US20230113453A1 (en) 2023-04-13
US20200374030A1 (en) 2020-11-26
KR102392501B1 (ko) 2022-04-29
EP3742772A1 (en) 2020-11-25
CN110166989A (zh) 2019-08-23
BR112020016405A2 (pt) 2020-12-15
JP2021513805A (ja) 2021-05-27
JP6988005B2 (ja) 2022-01-05
CN113489568B (zh) 2022-05-13
US11489614B2 (en) 2022-11-01
US11870564B2 (en) 2024-01-09
CN113489567A (zh) 2021-10-08
EP3742772A4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501B1 (ko) 오디오 데이터 고속 송신 방법 및 장치
CA2774044C (en) Data path transfer for multiband communication
US20120033620A1 (en) Synchronization for data transfers between physical layers
BR112012003047B1 (pt) método e aparelho para sinalização de prioridade através de um canal de comunicações serial sem fio
WO2022205234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5244881A (zh) 用于低能量音频的广播中继微微网
WO2016153652A1 (en) Detecting playback buffer underrun at sink device to improve streaming media quality over bluetooth
JP4609550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922047A (zh) 為低功耗短距離通訊設備產生空中介面封包
TW202139657A (zh) 空資料封包硬對準
WO2022022234A1 (zh) 处理蓝牙数据包的方法和通信装置
EP31662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high network data rates
EP4142359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select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07784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audio information
CN113661730A (zh) 使用nas协议的qos管理方法和设备
WO2022237518A1 (zh) 数据调制方法、数据处理方法、设备和存储介质
WO2023246648A1 (zh) 蓝牙数据的处理方法、终端设备和可读存储介质
WO2023185450A1 (zh) 数据包处理方法及装置
WO2023101712A1 (en) Transmitting bluetooth audio data over a wi-fi link
TW202046663A (zh) 用於使用選擇性中繼來構造協定資料單元的系統和方法
CN116528267A (zh) 蓝牙通信方法、装置、设备、芯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