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174A -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174A
KR20200119174A KR1020190045881A KR20190045881A KR20200119174A KR 20200119174 A KR20200119174 A KR 20200119174A KR 1020190045881 A KR1020190045881 A KR 1020190045881A KR 20190045881 A KR20190045881 A KR 20190045881A KR 20200119174 A KR20200119174 A KR 2020011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beverage
coffee
extra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689B1 (ko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프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프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프런
Publication of KR2020011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A47J31/545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음료 제조 장치는, 구동부; 음료 제조를 위한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추출부; 및 상기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홀(hole)을 포함하는 제 1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며, 상기 제조된 음료는 상기 제 1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1 자성체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 2 자성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자성체와 이격하여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 간의 척력에 의한 상기 추출부의 자기부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자성체와 제 2 자성체의 자성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는 로드(load)가 상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 장치 {manufacturing device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Coffee 시장 규모 및 1인당 Coffee 소비량과 관련하여, 시장 전문조사기관인 AC닐슨에서 발표한 국내 커피 시장은 규모가 2007년 1조 5580억원에서 2012년에 4조 1300억원으로 약 2.5배 증가했다.
1인당 커피 소비량의 조사결과는 커피소비량이 가장 큰 북유럽의 경우, 원두의 소비량이 80%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북유럽-일본-한국 순으로 1인당 커피 소비량에서 원두의 비율이 낮아지는데, 이를 반대로 생각해 보면 커피 소비량이 많아질수록 원두커피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Coffee Trend 소비자 분석에 따르면 커피숍을 찾아 커피를 즐기는 소비자는 점차 집 안에서 커피 머신을 통해 커피 등을 즐기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커피머신을 소비자가 구입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내가 원할 때 언제든지 커피 음용이 가능하고, 커피를 직접 내릴 수 있으며, 커피전문점 수준의 커피 음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 등이 떠오르고 있다.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우려내는 커피이다.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그 제조 방법이 장시간(500cc 물을 추출 시 6~12시간 소요)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 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제조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제공되는 커피의 온도가 결정되는 문제점(찬물로 제조하더라도 뜨거운 커피를 제공 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도 존재한다.
또한, 커피 외에도 소비자들은 녹차, 홍차 등 각종 차 즉, 음료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장시간을 소요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커피, 녹차, 홍차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1593982 호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음료 제조 장치는, 구동부; 음료 제조를 위한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추출부; 및 상기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홀(hole)을 포함하는 제 1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며, 상기 제조된 음료는 상기 제 1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1 자성체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 2 자성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자성체와 이격하여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 간의 척력에 의한 상기 추출부의 자기부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자성체와 제 2 자성체의 자성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는 로드(load)가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 각각은,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제 1 재료는 커피(coffee) 재료 및 티(tea)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의 제 1 구조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저장부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가 변화되며, 상기 입력부는 터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터치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추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투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물의 이온을 교환하는 격막; 및 (+)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격막 및 (+) 전극을 이용하여 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나사선 타입의 유로로서, 상기 음료 제조장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투입받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된 물은, 상기 나사선 타입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발열부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음료의 추출시간,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상기 물의 공급여부 및 상기 물의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 2 자성체가 분리된 경우,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조된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기 위한 제 3 자성체; 및 상기 제조된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 중 상기 제조된 음료와 먼저 접촉되는 제 1 부분은, 다른 제 2 부분과 비교하여 부피가 작고, 뾰족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일단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의 일단에 형성된 물 흐름 라인을 따라 상기 추출부에 물이 투입되며, 상기 추출부의 내부는 계단이 형성되고, 상기 물 흐름 라인을 따라 투입된 물은 상기 계단에 낙하되며, 상기 낙하된 물은, 상기 추출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재료로 흩뿌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흐름 라인은, 중심으로 말단이 일정 각도 휘어진 제 1 물 흐름 라인; 및 상기 제 1 물 흐름 라인보다 말단이 상기 중심으로 덜 휘어진 제 2 물 흐름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계단은 이중 계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물 흐름 라인을 따라 투입된 물은 상기 이중 계단 중 상측에 배치된 제 1 계단에 낙하되고, 상기 제 2 물 흐름 라인을 따라 투입된 물은 상기 이중 계단 중 하측에 배치된 제 2 계단에 낙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음료 제조 시스템은 전술한 음료 제조 장치; 및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진동에 의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에 삽입되는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삽입 파트의 표면은 복수의 제 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중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삽입되는 공간은,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링; 및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와의 마찰을 통해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미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를 내리는 행위를 통한 경험적 요소 중요시하는데, 이러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고, 버튼 등이 사라진 심플한 외관을 갖는 커피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 외에도 녹차, 홍차 등 각종 차에 관심이 많은데, 종류에 상관없이 단 기간에 차가운 온도에서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음료를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를 통해, 커피 등의 원액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자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서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통해 음료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 추출부의 회전 정도와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식에 의해 제조된 커피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TDS, 제조시간 등을 비교한 표 및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자성에 의해 모터의 일축이 밀리면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를 제안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전해 살균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수전해 살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전극 및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a 내지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구동부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구동부 캡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는 도 22에 따른 구동부 캡을 포함하는 구동부가 배치되는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Global Martet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세계 커피시장은 1,256억달러 수준으로 나타난다.
2015년 다소 등락을 나타내며 주춤하였으나, 2016년 이후 성장세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향후 2020년 커피시장 규모는 1,680억달러로 추정된다.
특히, 2015년 기준 커피 시장 규모 상위 5개국(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브라질) 규모가 전체 시장의 48%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농수산식품부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커피 시장규모는 약 8조7,906억원으로 3조 원대 초반 이던 10년전에 비해 3배 성장하였다.
2017년 세계 커피시장의 약 0.45% 정도의 시장규모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난다.
20세 성인 기준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2년 288잔에서 2017년 500잔으로 증가속도가 높아지고 있어, 향후에도 국내 커피머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 커피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각종 장비와 원두를 직접 구입해 집에서 나만의 커피를 즐기는 홈카페 시장도 커지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의 ‘2017 커피전문점 이용 및 홈카페 관련 조사’ 결과에 따르면 커피머신을 이용하는 사람은 47.2%로 2014년 35%보다 12.2%포인트 증가하였다.
또한, 프리미엄 가정용 커피머신 판매량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호주 프리미엄 주방가전 브레빌(Breville) 공식수입사 HLI에 따르면, 가정용 반자동 커피머신의 판매량은 2013년 315대에 불과했으나 2016년에는 1,000대 이상, 2017년에는 2,000대가 팔리면서 원년 대비 4년 만에 570%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커피머신을 구입하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원할때 언제든지 커피 음용이 가능(62.7%), 커피를 직접 내릴수 있음(60.7%), 커피전문점 수준의 음용 가능(52.6%)으로 나타났다.
커피에 대한 기호가 다양해진만큼 향후에도 선호하는 원두를 찾아 집에서 커피를 마시는 홈카페족이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와 관련된 커피 머신 시장도 지속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커피가 가정으로 점점 확산됨에 따라,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 소비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대안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 등이 떠오르고 있다.
더치커피(Dutch coffee) or 콜드브류(cold brew)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우려내는 커피이다.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단, 핸드드립(hand-drip)/브루잉(Brewing) 등의 경우에는,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1)이 존재한다.
나아가 제조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제공되는 커피의 온도가 결정되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2), 즉, 찬물로 제조하더라도 뜨거운 커피를 제공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무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더치커피(Dutch Coffee)/콜드브루(Cold Brew) 등의 경우에는, 제조 방법에 있어, 장시간(500cc 추출 시 3~10시간 소요)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3)이 존재한다.
또한, 커피 관련 공통적 문제점으로,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이하, 문제점 4)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특징은 다음의 4가지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1) 저온 또는 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기술 (이하, 핵심기술 1)
(2)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의 개발 (이하, 핵심기술 2)
(3) 제조하는 물의 온도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 제조 기술 (이하, 핵심기술 2)
(4)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에 따른 장치의 동작 제어 (이하, 핵심기술 4)
(5)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 (이하, 핵심기술 5)
(6)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 (이하, 핵심기술 6)
(7)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 (이하, 핵심기술 7)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장치의 필수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료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음료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음료 제조 장치(100)는 구동부(110), 저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커피 저장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음료 제조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구동부(110)는 음료 제조 장치(100) 내의 커피 추출부(122) 등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동력을 생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10)는 모터부(111)와 자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모터부(111)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전력을 받아서 회전하고, 그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기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부(111)는 공급되는 전기 방식에 따라 직류용, 단상 교류용, 3상 교류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10)는 모터부(1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성부(112)는 서로 이격되어 자성으로 함께 회전하는 구조 이외에도 자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구조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샤프트를 이용하는 구조와 대비하여 2개의 자성부(112) 중 상단 또는 하단의 자성부(112)의 말단을 고정하는 부속품이 이용되지 않을 수 있어 샤프트 이용 구조 대비 마모를 대비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자성부(112)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부(11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자성부(112)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성부(112)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동력을 전달하는 막대 모양의 기계 부품인 샤프트로 상호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적용되는 자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본 발명에 2개의 자성부(112)가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많은 개수의 자성부(112)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a의 (a)에는 제 1 자성부(112)가 도시되고, 도 2a의 (b)에는 제 2 자성부(112')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자성부(112)는 전술한 모터부(111)과 연결되고, 모터부(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자성부(112)는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2 자성부(112')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제 1 자성부(112)와 연결되지 않고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 1 자성부(112)가 회전하는 경우,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격된 제 2 자성부(112')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2 자성부(112')는 후술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제 2 자성부(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피 재료를 포함한 채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격된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의 세기를 더 강하게 하여 제 1 자성부(112)의 회전에 제 2 자성부(112')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 각각을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1개의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보다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된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이격된 자석의 회전을 더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는 4개의 조각 자석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복수의 조각 자석의 결합 형태를 통해 제 1 자성부(112)의 회전에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자성부(112')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자성부(112)가 4개의 조각난 자석으로 구성된 실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4개의 자석으로 자성부(112)가 구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다양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0)는 물 또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거나 구동부(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물 저장부(121) 및 커피 추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채된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커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피 이외에 홍차, 녹차 등의 차도 포함할 수 있으며, 결국,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커피 추출부(122)를 회전시켜, 내부에서 회전하는 커피 재료와 물을 접촉시켜 음료를 제조하게 되므로, 뜨거운 물이 아닌 차가운 물에서도 손쉽게 소비자가 원하는 풍미를 포함하는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해, 물의 온도, 장 시간 걸리는 제조 방법 등의 걱정 없이 소비자는 커피 등의 음료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 추출부(122)는 적어도 일부가 매쉬 구조(mesh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생성되면, 상기 제조된 음료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매쉬 구조는 이중의 형태로 구현되어 매쉬 구조에 포함된 홀의 오픈(open)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중으로 이루어진 매쉬 구조 중 제 1 매쉬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여 내부의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이고, 제 2 매쉬 구조는 제 1 매쉬 구조를 둘러싸고 있고, 제 1 매쉬 구조의 홀을 막거나 오픈 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제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 2 매쉬 구조를 오픈하는 위치로 변경하여, 제 1 매쉬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해 음료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음료의 본격적인 생산 이전에 음료의 재료에 물을 투입하여 예비적으로 추출을 진행하고, 그 이후에 음료 제작을 하는 경우에는, 예비적 추출을 위해 제 2 매쉬 구조를 닫는 위치로 변경하여, 제 1 매쉬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홀이 모두 막아져서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상태, 음료 제조 장치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음료 제조 장치의 방위, 음료 제조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음료 제조 장치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음료 제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대표적으로 센싱부(140)는 외부 터치 자극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음료 제조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 장치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음료 제조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3)는 음료 제조 장치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음료 제조 장치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음료 제조장치(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저장부(170)는 음료 제조 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음료를 따르기 위한 별도의 주둥이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음료 제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핵심기술 1
핵심기술 1은, 저온 또는 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음료 제조장치(100)의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핵심기술 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 장치(100)는 가장 상단에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에 따른 명령에 따라 커피 추출부(122)의 회전 정도가 변화될 수도 있다.
즉, 모터(111)의 회전 속도를 사용자 입력부(130)에 따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며, 최종적으로 커피 추출부(122)의 회전 정도가 변화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입력부(130) 하단에 전원 공급부(190)로서 배터리가 배치되고, 전원 공급부(190) 주변을 물 저장부(121)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채된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하단에 모터부(111)가 배치되고, 모터(111)와 연결된 제 1 자성부(112)가 배치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성부(112)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동력을 전달하는 막대 모양의 기계 부품인 샤프트로 상호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 1 자성부(112)는 전술한 모터부(111)과 연결되고, 모터부(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자성부(112)는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2 자성부(112’)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제 1 자성부(112)와 연결되지 않고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 1 자성부(112)가 회전하는 경우,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격된 제 2 자성부(112’)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2 자성부(112’)는 후술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제 2 자성부(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피 재료를 포함한 채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격된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의 세기를 더 강하게 하여 제 1 자성부(112)의 회전에 제 2 자성부(112’)가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 각각을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1개의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보다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된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이격된 자석의 회전을 더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 2 자성부(112')의 하단에는 커피 추출부(122)가 연결된다.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제 2 자성부(1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커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피 이외에 홍차, 녹차 등의 차도 포함할 수 있으며, 결국,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에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
제 2 자성부(1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커피 추출부(122)를 회전시켜, 내부에서 회전하는 커피 재료와 물을 접촉시켜 음료를 제조하게 되므로, 뜨거운 물이 아닌 차가운 물에서도 손쉽게 소비자가 원하는 풍미를 포함하는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해, 물의 온도, 장 시간 걸리는 제조 방법 등의 걱정 없이 소비자는 커피 등의 음료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 추출부(122)는 적어도 일부가 매쉬 구조(mesh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생성되면, 상기 제조된 음료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커피 추출부(122)의 하단에는 커피 저장부(170)가 배치된다.
여기서 커피 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저장부(170)는 음료 제조 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음료를 따르기 위한 별도의 주둥이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b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100)의 외관을 상측에서 일정 각도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100)는 도 3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음료 제조 장치(100)는 가장 상단에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 하단에 전원 공급부(190)로서 배터리가 배치되고, 전원 공급부(190) 주변을 물 저장부(121)가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하단에 모터부(111)가 배치되고, 모터(111)와 연결된 제 1 자성부(112)가 배치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성부(112)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동력을 전달하는 막대 모양의 기계 부품인 샤프트로 상호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호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2 자성부(112')의 하단에는 커피 추출부(122)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제 2 자성부(11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피 추출부(122)는 적어도 일부가 매쉬 구조(mesh structure)로 형성되고,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생성되면, 상기 제조된 음료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커피 추출부(122)의 하단에는 커피 저장부(170)가 배치되고, 커피 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서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음료 제조 장치(110)의 상단 영역(200)을 회전시킴으로써,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치된 복수의 홀(123)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는 물의 양을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의 구성을 기초로 음료가 제조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통해 음료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모터(111)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제 1 자석(112)이 회전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
S100 단계에서의 제 1 자석(112)의 회전 및 자성에 대응하여 샤프트 없이 이격된 제 2 자석(112')이 회전하게 된다(S200).
이후, 제 2 자석(112')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 2 자석(112')과 연결된 커피재료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부(122)가 회전하게 된다(S300).
S300 단계 이후,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물 저장부(121)에 저장된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투입되고(S400),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 내의 커피 재료로 투입된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500).
이후, 추출된 커피가 매쉬 구조의 커피 추출부(122) 외부로 토출되고(S600), 토출된 커피가 커피 저장부(170)에 유입된다(S700).
이후, 사용자는 커피 저장부(170)는 음료 제조 장치(100)로부터 분리하여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도 6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 추출부의 회전 정도와 추출부에 투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에서 S100 단계 내지 S700 단계는 도 6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과 동일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화를 위해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도 6과 다른 단계들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S300 단계 이후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모터(111)의 RPM이 변경되는 단계(S310)가 진행된다.
모터(111)의 RPM 변경에 대응하여, 제 1 자석(112) 및 제 2 자석(112')의 회전 정도가 함께 변화된다(S320).
따라서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커피 추출부로 투입되는 단계(S400)에서 커피 추출부(122)가 회전하는 정도를 상기 S310 단계 내지 S320 단계를 통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S400 단계 이후에, 커피 머신의 상단부(20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단계(S410)와 상단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커피 추출부로 투입되는 공간이 변화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
이후, 변화한 공간에 따라 커피 추출부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는 단계(S430)가 진행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 내의 커피 재료로 투입된 물에 의해 커피가 추출되는 단계(S500)에 있어 투입되는 물의 양을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식에 의해 제조된 커피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TDS, 제조시간 등을 비교한 표 및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커피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결과물을 상호 비교하고자 한다.
도 8에서 D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커피의 결과값을 나타낸다.
또한, X 축의 TDS는 total dissolved solids의 약어로서, 전용 함유 농도를 의미하고, 최종 결과물에 포함된 커피 원액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브릭스(Brix)는 당도를 측정하는 단위로서, 100g의 물에 녹아 있는 사탕수수 설탕의 g수를 말한다.
또한, extraction time은 커피 추출에 걸린 총 소요시간을 의미하고, extraction temp는 커피를 추출한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도 8에서 D2는 회전을 적용한 침출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물에 커피를 담근 상태에서 회전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종래의 방법이다.
또한, 도 8에서 D3는 침출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물에 커피를 담근 상태로 시간을 두고 기다려 커피를 추출하는 종래의 방법이다.
또한, 도 8에서 D4는 여과식으로 커피에 물을 부어 커피를 바로 추출하는 종래의 방법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1 방식이 침출식 D3 방식과 회전 및 침출식 D2 방식보다 TDS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식 D4 방식이 D1 방식보다 TDS가 높기는 하나 D4 방식은 D1 방식에 비해 시간이 10배로 오래 걸린 결과물이다.
즉, extraction time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장 적은 소요시간에 침출식 D3 방식과 회전 및 침출식 D2 방식보다 높은 TDS를 포함하는 커피를 제조하고, D4 방식보다 10배 빠르게 커피를 추출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커피 추출 온도는 23도로서, 상온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D1 방식을 수요자들이 원하는 풍미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도 8의 (b)는 도 8의 (a)에서 설명한 TDS의 결과값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는 상부 캡, 물 저장부(121), 구동부(110), 커피 추출부(122), 커피저장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캡(cap)은 사용자 입력부(130) 및 센싱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음료 제조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음료 제조 장치의 개폐 상태, 음료 제조 장치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음료 제조 장치의 방위, 음료 제조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음료 제조 장치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음료 제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대표적으로 센싱부(140)는 외부 터치 자극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에 투입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고,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물 저장부(121)는 커피 추출부(122)의 상단에 배치되고,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물이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물 저장부(121)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 배채된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121)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커피 추출부(122)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커피 추출부(122)가 도시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재료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고, 전술한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커피 추출부(122)와 물 저장부(121)를 통해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커피 등의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커피저장부(170)는 커피 추출부(122)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자성부(112)는 전술한 모터부(111)과 연결되고, 모터부(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자성부(112)는 회전하고, 제 2 자성부(112')는 샤프트를 이용하여 제 1 자성부(112)와 연결되지 않고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 1 자성부(112)가 회전하는 경우,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 간의 자성을 이용하여 이격된 제 2 자성부(112')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2 자성부(112')는 커피 추출부(122)와 연결되고, 커피 추출부(122)는 제 2 자성부(112')의 회전에 대응하여 커피 재료를 포함한 채 회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의 자성에 의해, 모터부(111)의 일축이 지속적으로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모터부(111)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 시 마찰계수 최소화를 위해 추가 마그네틱(410, 420)을 배치하고, 추가 마그네틱의 척력을 통한 자기부상을 기초로, 모터부(111)의 일축에 대한 힘을 상쇄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0은 자성에 의해 모터의 일축이 밀리면서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를 제안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부 캡, 물 저장부(121), 구동부(110), 커피 추출부(122), 커피저장부(170) 등이 도시되고, 구동부(110)의 일 구성으로, 제 1 자성부(112) 및 제 2 자성부(112')를 포함하는 자성부(112)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추가 마그네틱(410, 420)은 커피 추출부(122)와 커피저장부(17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모터부(111)의 회전 시, 제 1 자성부(112)와 제 2 자성부(112')에 의한 마찰계수 최소화를 위해, 커피 추출부(122)와 커피저장부(170) 사이의 공간에 추가 마그네틱(410, 420)을 배치한다.
이때, 추가 마그네틱(410, 420) 중 제 1 추가 마그네틱(410)과 제 2 추가 마그네틱(420)은 서로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척력에 의한 자기부상 되는 효과를 기초로, 모터부(111) 의 일축에 대한 힘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 방법이 장시간(500cc 물을 추출 시 6~12시간 소요)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커피 외에도 소비자들은 녹차, 홍차 등 각종 차 즉, 음료에 대해 큰 관심을 두고 있는데, 종래와 같은 장시간을 소요하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커피, 녹차, 홍차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핵심기술 2
핵심기술 2는,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핵심기술 2를 통해,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전해 살균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가 도시되고, 500 부분에, 수전해 살균 기능 및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위한 구조물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500부분은 상부 물통(121), 물 투입을 위한 복수의 개방홀(123), 핵심기술 2에 적용되는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 및 후술하는 핵심기술 3을 위한 발열체(520)를 포함한다.
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에 대해서도 도 11에 도시된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중심에 있는 스틱부(110)가 도시되고, 스틱부(110)를 둘러싸면서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이 배치된다.
또한, 전극(510)을 둘러싸면서 발열체(520)가 배치되고, 스틱부(110), 전극(510) 및 발열체(520)는 상부 물통(121)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물이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500 부분에 삽입되어 무균수를 제조하는 전극(5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수전해 살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전극을 이용하여 산성수, 알칼리수 및 살균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전기분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분해 장치는 + 단자(20), 제 1 - 단자(10), 제 2 - 단자(30), 격막(515), 투입부(511), 하우징(514), 역류방지부(513), 제 1 배출부(512) 및 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먼저 투입부(511)는 전기분해를 위해 전해질이 투입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원수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14)은 본 발명의 전기분해 장치의 각 요소들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이스 역할을 담당하며, 도 7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상기 구성들을 포함하는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역류방지부(513)는 투입부(511)를 통해 입력된 원수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가 투입부(511)를 통해 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제 1 - 단자(10)와 + 단자(20)는 도 1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 전극과 (+) 전극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 단자(10)와 + 단자(20) 사이에는 격막(515)이 존재하고, 도 1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 단자(10)에서는 알칼리 이온수가 생성되고, + 단자(20)에서는 산성 이온수가 생성된다.
이때, + 단자(20) 측에는 제 2 - 단자(30)가 구비된다.
+ 단자(20)와 제 2 - 단자(30) 사이에는 격막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도 1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무격막의 상황에서 원수에 존재하는 미량의 물속 미네랄과 잔류염소가 전해질 역할을 하므로 전극의 소재에 따라 교효율의 전해 살균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무격막 전해조 내에 NaCl 혹은 HCl을 첨가하여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여 살균수로 활용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단,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 단자(30)에 - 전극을 걸어주는 것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 또는 제어부를 통해, 제 2 - 단자(30)에 - 전극이 걸리는 경우에는 살균수가 생성되지만 - 전극이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원래의 산성 이온수가 생성된다.
따라서 제 1 배출부(512)를 통해서는 알칼리 이온수가 배출되고, 제 2 배출부(516)를 통해서는 산성 이온수 또는 살균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한편, 추가적인 전극을 + 단자(20) 측이 아닌 제 1 제 1 - 단자(10)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 단자(20)를 제 1 + 단자(20)로 호칭하면, 제 1 - 단자(10) 측에 제 2 + 단자(50)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때, 수돗물이 아닌 정수물을 투입하는 경우, 상기 전극의 동작을 통해 균을 없애고, 결국 무균수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극(510)을 통해, 무균수를 제조하고, 무균수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거나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장시간에 따른 미생물 증식 등 비위생적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추출도구가 세척하기 힘든 구조라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핵심기술 3
핵심기술 3은, 제조하는 물의 온도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가 도시되고, 500 부분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위한 구조물(52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500 부분은 상부 물통(121), 물 투입을 위한 복수의 개방홀(123), 핵심기술 2에 적용되는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 및 핵심기술 3을 위한 발열체(520)를 포함한다.
이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에 대해서도 도 11에 도시되는데, 중심에 있는 스틱부(110)가 도시되고, 스틱부(110)를 둘러싸면서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이 배치되며, 전극(510)을 둘러싸면서 발열체(520)가 배치되고, 스틱부(110), 전극(510) 및 발열체(520)는 상부 물통(121)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물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520)는, 나사선 타입의 유로로서, 투입된 물을 유로를 회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열하는 구조물이다.
도 13은 도 11의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a)는 500 부분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발열체(520)의 배치 지점이 표시된다.
또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나사선 타입의 유로로 형성된 발열체(520)가 도시된다.
또한, 도 13의 (c)를 참조하면, (b)의 나사선 타입의 유로를 펼쳤을 때, 길게 연장되는 발열체(520)가 도시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520)가 도시되고, 도 14에 도시된 나사선 타입의 유로인 발열체(520)를 따라 투입된 물이 회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열된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전극 및 발열체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5에서는 500 부분과 관련하여, 상부 물통(121), 물 투입을 위한 복수의 개방홀(123), 핵심기술 2에 적용되는 무균수 제조를 위한 전극(510) 및 핵심기술 3을 위한 발열체(520)가 배치된 구체적인 형태가 도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520)는 히팅소재로 구현될 수 있고,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구조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정 열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도포하여 히팅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발열체(520)를 기초로, 제조하는 물의 온도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찬물로 커피를 제조한 경우, 사용자는 찬 커피를 그대로 섭취할 수도 있으나 발열체(520)를 구동시켜, 따뜻한 커피를 제공받아 섭취할 수도 있다.
핵심기술 4
핵심기술 4는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에 따른 장치의 동작 제어와 관련된 것이다.
종래에는,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 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핵심기술 4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600)과 음료 제조 장치(100)가 도시된다.
단말(600)과 음료 제조 장치(100) 간에는,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600)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 등의 맛을 도출하기 위한 레시피를 지정할 수 있고, 이를 전달 받은 음료 제조장치(100)는 지정받은 레시피에 따라 음료를 제조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 연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맞추어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이 자동 조절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음료제조장치(100)는 다음의 3가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 기호에 따른 음료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1) 상부 CAP에 회전체 속도 조절용 터치센서를 적용하여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전술한 상부 캡(cap)의 사용자 입력부(130) 및 센싱부(140)를 기초로,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2) 사용자가 상단 cap 구조를 회전시켜,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 연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맞추어 커피의 추출시간, 농도 및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 및 기능을 통해, 종래의 일정한 맛을 추출하기 위해, 테크닉 및 추출도구에 따른 지정된 Recipe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핵심기술 5
핵심기술 5는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커피 등의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 카페라떼, 카푸치노 등을 위하 우유 거품을 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자성체를 이용한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는, 제 2 자성부(112')를 대신하여 제 1 자성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커피추출부(122) 단의 제 2 자성부(112')를 제 1 자성부(112) 측으로부터 분리하고, 대신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연결하여 커피 저장부(170) 상의 커품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a) 내지 (c) 를 참조하면,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700)의 헤드가 도시된다.
즉, 제 1 자성부(112) 측과 자성을 이용하여 붙는 머리부(710)와 연결부(720)이 도시된다.
특히, 도 17의 (c)를 참조하면, 머리부(710) 내에는 회전 자성체(730)가 삽입되어 제 1 자성부(112) 측에 자성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도 17의 (d)를 참조하면, 연결부(720) 내에는 연결 자성체(740)가 삽입되어 하단의 거품 구조물과 연결 가능하다.
도 18을 참조하면, 거품 구조물이 연결 자성체(740)를 이용하여 헤드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된다.
거품 구조물은 연결 자성체(740)에 자성을 통해 달라붙는 서포트부(750)와 회전체(76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760)는 거품 발생시, 음료가 외부로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작되었다.
즉, 제 1 부분(761)은 회전을 유도하는 제 2 부분(762)보다 좁고, 더 이격이 많은 회전 구조로 제작된다.
제 1 부분(761)이 음료로 삽입시 이러한 구조를 통해,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이 방지되고, 제 2 부분(762)이 음료로 삽입되면 본격적으로 음료(우유 등)를 회전시켜 거품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가 자성체 구조물을 이용하여, 거품 발생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핵심기술 6
핵심기술 6은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회전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 기기가 미끌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제안한다.
도 19a 내지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패드(800)가 도시된다.
패드(800)는 측면에 배치되는 링부(820)와 파인 형태의 바닥부(840)로 구성된다.
특히, 바닥부(840)에는 복수의 돌기부(810)가 배치된다.
돌기부(810)는 도 1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패드(800)는 하면에 진공구조가 배치된 진공부(830)를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9a의 패드의 하면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시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닥부(840)의 하면(840')이 도시되고, 복수의 돌기부(810)의 하측 도습이 도시된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진공부(830)의 하면 구조물(850)이 도시되고, 중앙부(851)를 중심으로 원형의 나이테 형태를 취하고 있다.
사용자가 진공부(830)의 중앙부(851)를 압력으로 누르는 경우, 하면 구조물(850)의 진공 유도에 의해 바닥과 진공부(830)는 달라붙게 된다.
또한, 커피 저장부(170)의 하단에는 추가적인 돌기 패드(860)가 배치되고, 돌기 패드(860)는 바닥부(84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돌기 패드(860)는 바닥부(840)에 안착되면서, 링부(820)가 측면을 압박하고, 복수의 돌기부(810)가 돌기 패드(860)와 진공을 유도함으로써, 제품은 패드 구조(800)에 밀착되어 미끌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드 구조를 통해,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핵심기술 7
핵심기술 7은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을 높여주면, 원액의 추출을 더 짧은 시간 내에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구동부(1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구동부 캡(113)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3는 도 22에 따른 구동부 캡(113)을 포함하는 구동부(100)가 배치되는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 캡(113)은 자성부(112)의 일단에 배치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구동부(110)가 도시되고, 구동부(100) 내부에 삽입되는 모터부(111)와 자성을 가진 자성부(112)가 도시된다.
또한, 자성부(112)의 하단에 구동부 캡(113)이 배치되고, 구동부 캡(133)을 포함하는 구동부(110)는 물 저장부(121) 하단의 수용 영역에 삽입된다.
또한, 물 저장부(121)의 하단에는 커피 추출부(122)가 배치되고, 전술한 것과 같이, 구동부(110) 상의 자성부(112)와 커피 추출부(122)에 포함된 자성부(122') 간의 자성에 의해, 회전이 유도되고,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이 추출된다.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을 높여주기 위해, 구동부 캡(113)의 제 1 물 흐름 라인(113a)과 제 2 물 흐름 라인(113b)를 이용한다.
구동부 캡(133)을 포함하는 구동부(110)가 물 저장부(121) 하단의 수용 영역에 삽입된 경우, 물 저장부(121)에 저장된 물은 도 22의 (a)에 도시된 구동부 캡(113)의 제 1 물 흐름 라인(113a) 또는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2의 (b) 및 (c)를 참조하면, 구동부 캡(113)의 구조 및 제 1 물 흐름 라인(113a)과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의 구조가 도시된다.
또한,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부(122)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단에 구동부(110) 상의 자성부(112)와 연동하여 자성을 기초로 회전하기 위한 자성부(122')가 배치된다.
이때, 도 24의 내부를 참조하면, 제 1 계단부(123a)와 제 2 계단부(123b)가 구비된다.
즉, 평행한 일부 영역을 갖는 계단 영역으로 구성된 제 1 계단부(123a)와 제 2 계단부(123b)가 계단 형식으로 구비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동부 캡(133)을 포함하는 구동부(110)가 물 저장부(121) 하단의 수용 영역에 삽입된 경우, 물 저장부(121)에 저장된 물은 도 22의 (a)에 도시된 구동부 캡(113)의 제 1 물 흐름 라인(113a) 또는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을 통해 커피 추출부(12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 1 물 흐름 라인(113a)은 제 2 물 흐름 라인(113b)과 비교하여 중심으로 말미가 꺽인 형태를 가지고, 제 1 물 흐름 라인(113a)을 통해 공급된 물은 커피 추출부(122)의 제 1 계단부(123a)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제 2 물 흐름 라인(113b)을 통해 공급된 물은 커피 추출부(122)의 제 2 계단부(123b)로 떨어지게 된다.
제 1 계단부(123a) 및 제 2 계단부(123b)로 떨어진 물은, 제 1 계단부(123a)와 제 2 계단부(123b)의 평행한 영역에서 회전에 의해 흩뿌려지는 형태로 주변에 분사되고, 결과적으로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도가 상승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제 1 물 흐름 라인(113a), 제 2 물 흐름 라인(113b), 제 1 계단부(123a) 및 제 2 계단부(123b)를 이용하여 물과 커피 등의 재료를 회전시켜 추출하는 경우, 물과 커피 등의 재료가 100% 접촉하여 추출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커피 등의 재료와 물의 접촉을 높여주면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재료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여 음료를 제조하고, 추출부의 매쉬 구조를 통해 외부로 제조한 음료를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온/고온의 복합형 환경에서, 회전유도 방식의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해 살균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기반 다양한 커피 레시피 프로그램에 의한 장치의 동작 제어 기술을 통해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를 내리는 행위를 통한 경험적 요소 중요시하는데, 이러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고, 버튼 등이 사라진 심플한 외관을 갖는 커피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소비자들은 커피 외에도 녹차, 홍차 등 각종 차에 관심이 많은데, 종류에 상관없이 단 기간에 차가운 온도에서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풍미를 갖는 음료를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거품 발생을 위한 회전체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기의 진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액의 추출을 지원하는 구조를 통해, 커피 등의 원액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1)

  1. 구동부;
    음료 제조를 위한 제 1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추출부; 및
    상기 회전하는 추출부에 물을 투입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홀(hole)을 포함하는 제 1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 1 재료와 상기 투입된 물의 접촉으로 상기 음료가 제조되며,
    상기 제조된 음료는 상기 제 1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자성체; 및
    상기 제 1 자성체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 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 2 자성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자성체와 이격하여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성체 간의 척력에 의한 상기 추출부의 자기부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자성체와 제 2 자성체의 자성에 의해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에 가해지는 로드(load)가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 각각은, 복수의 자석이 결합된 형태이고,
    상기 제 1 재료는 커피(coffee) 재료 및 티(tea)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의 제 1 구조를 통해 상기 외부로 배출되는 음료를 저장하는 음료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저장부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가 변화되며,
    상기 입력부는 터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터치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추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는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홀 중 상기 물 저장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오픈(open)된 홀을 통해서만 상기 물이 상기 추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투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물의 이온을 교환하는 격막; 및 (+)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격막 및 (+) 전극을 이용하여 무균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나사선 타입의 유로로서, 상기 음료 제조장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투입받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된 물은, 상기 나사선 타입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발열부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음료의 추출시간, 상기 추출부의 회전 정도, 상기 구동부의 구동 여부, 상기 물의 공급여부 및 상기 물의 유량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 2 자성체가 분리된 경우,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조된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자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자성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기 위한 제 3 자성체; 및
    상기 제조된 음료에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 중 상기 제조된 음료와 먼저 접촉되는 제 1 부분은, 다른 제 2 부분과 비교하여 부피가 작고, 뾰족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일단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부의 일단에 형성된 물 흐름 라인을 따라 상기 추출부에 물이 투입되며,
    상기 추출부의 내부는 계단이 형성되고,
    상기 물 흐름 라인을 따라 투입된 물은 상기 계단에 낙하되며,
    상기 낙하된 물은, 상기 추출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재료로 흩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라인은,
    중심으로 말단이 일정 각도 휘어진 제 1 물 흐름 라인; 및
    상기 제 1 물 흐름 라인보다 말단이 상기 중심으로 덜 휘어진 제 2 물 흐름 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계단은 이중 계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물 흐름 라인을 따라 투입된 물은 상기 이중 계단 중 상측에 배치된 제 1 계단에 낙하되고,
    상기 제 2 물 흐름 라인을 따라 투입된 물은 상기 이중 계단 중 하측에 배치된 제 2 계단에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 및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진동에 의해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에 삽입되는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삽입 파트의 표면은 복수의 제 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중 상기 음료 제조 장치가 삽입되는 공간은,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링; 및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와의 마찰을 통해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미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시스템.
KR1020190045881A 2019-04-09 2019-04-19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KR102171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30 2019-04-09
KR20190041530 2019-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74A true KR20200119174A (ko) 2020-10-19
KR102171689B1 KR102171689B1 (ko) 2020-10-30

Family

ID=7304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881A KR102171689B1 (ko) 2019-04-09 2019-04-19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6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54B1 (ko) * 2021-01-04 2021-10-26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CN114886314A (zh) * 2022-05-25 2022-08-1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饮品调制设备、电子设备、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
WO2023073674A1 (en) * 2021-11-01 2023-05-04 Spinn Holding B.V. Connected brewing machine with shared brewing recip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264A (ko) * 2014-03-11 2015-09-21 박종하 회전식 원액 추출기
KR20160005684A (ko) * 2013-03-07 2016-01-15 광동 순더 디스트릭트 가오다 카프일렉트리컬 어플라이언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밀크 포머
KR101593982B1 (ko)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더치커피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684A (ko) * 2013-03-07 2016-01-15 광동 순더 디스트릭트 가오다 카프일렉트리컬 어플라이언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밀크 포머
KR20150106264A (ko) * 2014-03-11 2015-09-21 박종하 회전식 원액 추출기
KR101593982B1 (ko) 2014-08-06 2016-02-15 주식회사 고스턴 더치커피머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054B1 (ko) * 2021-01-04 2021-10-26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WO2022145556A1 (ko) * 2021-01-04 2022-07-07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WO2023073674A1 (en) * 2021-11-01 2023-05-04 Spinn Holding B.V. Connected brewing machine with shared brewing recipes
CN114886314A (zh) * 2022-05-25 2022-08-12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饮品调制设备、电子设备、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689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689B1 (ko)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RU2513684C2 (ru) Машина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RU2672432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JP5768057B2 (ja) タッチメニュー機能を備える飲料調製マシン
CA2782446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a card reading arrangement
CN103813740B (zh) 饮料制备机器
JP2013512698A (ja) 雰囲気模倣機能を有する飲料調製マシン
AU2010101537A4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an extended user-advisory functionality
TW201534259A (zh) 單杯式飲料製備機台
US20220098020A1 (en) Universal liquid solution generation platform
US20090307404A1 (en) Appliances for heating and cooling liquids
AU2010326818A1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supporting a remote service functionality
CN104302213B (zh) 具有用于不同尺寸容器的保持系统的分配机
KR20210024956A (ko)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음료 제조 시스템
CN109567597A (zh) 功夫茶冲泡方法、功夫茶冲泡装置及功夫茶冲泡设备
KR20210024957A (ko) 로봇 그리퍼를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KR102317054B1 (ko) 음료 제조 장치
KR102119025B1 (ko) 음료 제조 시스템
CN206451286U (zh) 一种自动售货机外箱体
CN211130698U (zh) 智能茶饮机
CN105286421A (zh) 一种搅拌杯
KR20100117254A (ko) 드립식 음료 제조장치 사용방법
CN213820851U (zh) 一种多功能陶瓷马克杯
CN214317788U (zh) 茶饮机
US20220380194A1 (en) Universal liquid solution generation platform